KR20210083319A - 온열구 - Google Patents

온열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3319A
KR20210083319A KR1020217016240A KR20217016240A KR20210083319A KR 20210083319 A KR20210083319 A KR 20210083319A KR 1020217016240 A KR1020217016240 A KR 1020217016240A KR 20217016240 A KR20217016240 A KR 20217016240A KR 20210083319 A KR20210083319 A KR 202100833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fibers
sheet
back sheet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6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0890B1 (ko
Inventor
야스히로 시다하라
Original Assignee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오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83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33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0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08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7/03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thermophore, i.e. self-heating, e.g. using a chemical reaction
    • A61F7/03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thermophore, i.e. self-heating, e.g. using a chemical reaction using oxygen from the air, e.g. pocket-sto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7/03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thermophore, i.e. self-heating, e.g. using a chemical re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4Eye-masks ; Devices to be worn on the face, not intended for looking through; Eye-pads for sunbat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01Body part
    • A61F2007/0002Head or parts thereof
    • A61F2007/0004Eyes or part of the face surrounding the e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2007/0225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connected to the body or a part thereof
    • A61F2007/0228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connected to the body or a part thereof with belt or strap, e.g. with buck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온열구 (1) 는, 사용시에 사용자의 양쪽 눈을 덮는 형상을 갖는 본체부 (2) 와, 그 본체부 (2) 에 구비된 발열체 (3) 와, 그 본체부 (3) 에 장착되고 또한 그 본체부 (3) 에 의한 사용자의 양쪽 눈의 피복 상태를 유지 가능한 1 쌍의 귀걸이부 (4) 를 구비한다. 본체부 (3) 는, 사용자의 피부에 가까운 쪽에 위치하는 표면 시트 (5) 와, 사용자의 피부로부터 먼 쪽에 위치하는 이면 시트 (6) 를 구비한다. 발열체 (3) 는, 상기 표면 시트 (5) 와 상기 이면 시트 (6) 의 사이에 유지되어 있다. 이면 시트 (6) 는, 공극량이 1000 ㎤/㎡ 이상 6000 ㎤/㎡ 이하이다.

Description

온열구
본 발명은 온열구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은 먼저, 인쇄부를 갖는 발열구를 제안하였다 (특허문헌 1 참조). 이 온열구는, 사용시에 사용자의 신체측을 향하는 신체측 시트와, 사용시에 외측을 향하는 외측 시트를 갖는 포재 (包材) 내에, 피산화성 금속을 함유하는 발열부가 배치되어 있고, 그 외측 시트 및/또는 그 신체측 시트는 그 적어도 일부에, 접촉 인쇄에 의해 형성된 인쇄부를 갖는 부직포로 이루어진다. 또, 당해 부직포로서, 평량이 25 ∼ 60 g/㎡ 이고, 부직포 밀도가 0.01 ∼ 0.04 g/㎤ 이고, 또한 KES 에 따라서 측정된 압축 하중-압축 변형 곡선의 직선성인 LC 값이 0.4 ∼ 0.8 인 것을 사용함으로써, 온열구는, 인쇄부에 의한 모양이나 문자 등이 매우 입체적으로 보인다고 하는 시각적으로 유리한 효과가 발휘되게 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250873호
본 발명은, 사용시에 사용자의 양쪽 눈을 덮는 형상을 갖는 본체부와, 그 본체부에 구비된 발열체와, 그 본체부에 장착되고 또한 그 본체부에 의한 사용자의 양쪽 눈의 피복 상태를 유지 가능한 1 쌍의 귀걸이부를 구비한 온열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체부는, 사용자의 피부에 가까운 쪽에 위치하는 표면 시트와, 사용자의 피부로부터 먼 쪽에 위치하는 이면 시트를 구비한다.
상기 발열체는,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의 사이에 유지되어 있다.
상기 이면 시트는, 단위 면적당의 공극량이 1000 ㎤/㎡ 이상 6000 ㎤/㎡ 이하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온열구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내는 온열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1 에 나타내는 온열구의 길이 방향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4 는, 도 3 에 나타내는 온열구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온열구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온열구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온열구는, 시트상 발열체로부터 발생한 온열을 신체측 시트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부여시키는 것이지만, 이 온열은, 외측 시트를 통하여 외부로 방열되어 버려, 사용자에 대한 온열의 부여 효율의 향상에 관하여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한편, 온열의 부여 효율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섬유간의 공극이 많은 외측 시트를 사용한 경우, 외측 시트의 외면에 문자나 모양 등의 인쇄를 순조롭게 실시할 수 없기 때문에, 온열구의 인쇄성의 향상에 관하여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본 발명은, 보온성 및 인쇄성이 양립하여 우수한 온열구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 에는, 본 발명의 온열구의 일 실시형태가 나타나 있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온열구 (1) 는, 이른바 아이마스크 타입의 것으로, 인간의 양쪽 눈을 덮도록 맞닿게 하여, 소정 온도로 가열된 수증기를 눈 및 그 주위에 온열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온열구 (1) 는, 사용시에 사용자의 양쪽 눈을 덮는 형상을 갖는 가로 방향 (X) 으로 긴 본체부 (2) 와, 본체부 (2) 에 구비된 발열체 (3) 와, 1 쌍의 귀걸이부 (4, 4) 를 구비하고 있다. 귀걸이부 (4) 는, 본체부 (2) 의 가로 방향 (X) 의 양 외단 영역에 형성되어 있고, 가로 방향 (X) 의 외측을 향해 반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각 귀걸이부 (4, 4) 를 사용자의 귀에 각각 걸어, 본체부 (2) 에 의한 사용자의 양 눈의 피복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장착성의 향상의 관점에서, 귀걸이부 (4) 를 구성하는 시트재는, 신축성을 갖는 시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에는, 온열구 (1) 의 분해 사시도가 나타나 있다. 또 도 3 에는, 온열구 (1) 의 가로 방향 (X) (길이 방향) 을 따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나타내는 온열구 (1) 에 있어서의 본체부 (2) 는, 사용자의 피부에 가까운 쪽에 위치하는 표면 시트 (5) 와, 사용자의 피부에 먼 쪽에 위치하는 이면 시트 (6) 를 구비하고 있다. 즉, 동 도면 중 상방이 사용자의 피부에 가까운 쪽이고, 동 도면 중 하방이 사용자의 피부에 먼 쪽이다. 이면 시트 (6) 에 있어서의 사용자의 피부에 먼 쪽의 면, 즉 온열구 (1) 의 외면을 형성하는 면은, 문자나 모양 등을 인쇄 가능한 인쇄면 (6S) 으로 되어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온열구 (1) 의 길이 방향에 상당하는 방향을 가로 방향 (X) 이라고도 하고, 가로 방향 (X) 에 직교하는 방향을 세로 방향 (Y) 이라고도 한다.
도 2 및 도 3 에 나타내는 표면 시트 (5) 및 이면 시트 (6) 는, 이들을 중첩한 상태에서 핫멜트 접착제 등의 접착제 (7) 에 의해 서로 접합되어 있고, 이로써, 양 시트 (5, 6) 의 사이에 2 개의 발열체 (3, 3) 가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간되어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표면 시트 (5) 및 이면 시트 (6) 는 모두 통기성을 갖고 있다.
표면 시트 (5) 및 이면 시트 (6) 사이에 유지되는 발열체 (3) 는, 피산화성 금속, 반응 촉진제, 전해질 및 물을 포함한다. 발열체 (3) 로는, 피산화성 금속, 반응 촉진제, 섬유상물, 전해질 및 물을 포함하는 섬유 시트로 구성된 발열 시트나, 피산화성 금속, 반응 촉진제, 보수제 (保水劑), 전해질 및 물을 포함하는 발열 조성물을 구비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발열 시트 및 발열 조성물은, 이들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발열 시트 및 발열 조성물의 적어도 일방을 복수의 시트재를 첩합한 주머니체 내에 수용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발열 시트나 발열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종 재료로는,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102761호 및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340928호에 기재된 재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3 에 나타내는 단면도에는, 발열 시트가 주머니체 내에 수용되어 형성된 발열체 (3) 의 고정 상태가 나타나 있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발열체 (3) 는, 온열구 (1) 에 있어서의 이면 시트 (6) 의 내측의 면과, 접착제 (7) 에 의해 접착 고정부 (7a, 7a) 가 형성되어 고정되어 있고, 그 이외의 면은 이면 시트 (6) 와 고정되어 있지 않다. 각 접착 고정부 (7a, 7a) 는, 온열구 (1) 의 가로 방향 (X) 의 중앙역에 형성되어 있고, 온열구 (1) 의 세로 방향 (Y) 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음으로써, 온열구 (1) 의 사용시에 사용자의 양쪽 눈 및 그 근방에 발열체 (3) 가 순조롭게 배치되게 된다.
도 2 로 되돌아가면, 동 도면에 나타내는 귀걸이부 (4) 는 시트재로 이루어지고, 그 시트재에, 가로 방향 (X) 으로 연장되는 삽입 통과부 (4A) 가 형성되어 있다. 삽입 통과부 (4A) 는, 귀걸이부 (4) 를 귀에 걸 때에 귀를 통과시키기 위한 구멍이다. 이것을 대신하여, 삽입 통과부 (4A) 는, 귀를 통과시킬 수 있는 관통 슬릿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2 및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귀걸이부 (4) 는, 가로 방향 (X) 의 양 외단 영역에 있어서, 본체부 (2) 에 있어서의 표면 시트 (5) 의 외면에 접합되어 있고, 이로써, 본체부 (2) 와 귀걸이부 (4) 가 접합된 접합 영역 (9) 이 형성되어 있다. 접합 영역 (9) 은, 접합 단부 (9s) 를 축으로 하여, 귀걸이부 (4) 를 반전시킬 때의 구부림부로서도 기능한다.
도 4 는, 접합 영역 (9) 의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4 에 나타내는 본체부 (2) 와 귀걸이부 (4) 의 접합 영역 (9) 은, 접합 영역 (9) 에 있어서의 가로 방향 (X) 의 내측단인 접합 단부 (9s) 로부터 본체부 (2) 의 가로 방향 (X) 의 외단부까지 연속적으로 접합되어 있고, 반타원의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합 영역 (9) 은, 표면 시트 (5) 와 귀걸이부 (4) 가 접합되어 형성된 것이다. 접합 영역 (9) 은, 접합 단부 (9s) 를 축으로 하여, 귀걸이부 (4) 를 반전시킬 때의 구부림부로서도 기능한다. 도 2 및 도 4 에 나타내는 접합 영역 (9) 은 연속적으로 접합되어 형성되어 있지만, 이것 대신에, 간헐적으로 접합되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온열구는, 소정의 공극량을 갖는 이면 시트 (6) 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 중 하나로 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공극량이란, 이면 시트의 단위 면적당 공기의 체적을 말한다. 상세하게는, 이면 시트 (6) 는, 공극량이 100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500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00 ㎤/㎡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2500 ㎤/㎡ 이상인 것이 한층 더 바람직하며, 또한, 60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00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000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3000 ㎤/㎡ 이하인 것이 한층 더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공극량은, 예를 들어, 에어스루법에 의해 시트를 구성하는 섬유를 압밀하지 않으면서 또한 부피가 커지도록 제조하거나, 후술하는 권축 섬유, 중공 (中空) 섬유, 혹은 이형 섬유를 사용하거나 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소정의 공극량을 갖는 이면 시트가 배치되어 있는 본 실시형태의 온열구에 의하면, 보온성 및 인쇄성이 양립하여 우수한 것이 된다. 상세하게는, 이면 시트를 치밀한 구조로 하면 잉크의 부착성의 향상에서 기인하여, 문자나 모양 등을 선명하게 인쇄할 수 있어, 인쇄성이 향상되지만, 시트 내의 공극이 적기 때문에 공기에 의한 단열 효과가 발현되기 어려워지고, 그 결과, 온열구의 보온성이 저하된다. 한편, 이면 시트를 부피가 크게 하여, 시트 내의 공극을 많게 하면, 단열 효과가 발현되기 쉬워져 보온성이 향상되지만, 시트에 대한 잉크의 부착이 양호한 것으로 되지 않아, 인쇄성이 저하되어 버린다. 이러한 점들에 관하여, 온열구에 소정의 공극량을 갖는 이면 시트를 사용함으로써, 보온성에 기여하는 단열 효과와, 인쇄성에 기여하는 시트의 치밀함을 양립시킬 수 있으므로, 발열체로부터 발생한 온열을 외부로 빠져나가기 어렵게 하여 온열구의 보온성을 높임과 함께, 인쇄성을 높일 수 있다. 특히, 온열구의 기술 분야에 있어서, 공극률이라는 파라미터가, 온열구의 보온성과, 시트에 대한 인쇄성을 양립시키는 것에 관해서 지배적 요인인 것은 지금까지 알려져 있지 않았다.
공극량은, 예를 들어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우선, 측정 대상인 시트를 소정의 면적 A (㎡) 가 되도록 잘라내고, 시트의 두께 B (m) 를 3.7 gf/㎠ (36.28 mN/㎠) 의 하중하에서 측정한다. 또, 잘라낸 측정 대상인 시트의 질량 C (g) 를 측정하고, 시트를 구성하는 재료의 밀도를 D (g/㎥) 로 했을 때에, 공극량 (㎤/㎡) 은, 이하의 식 (1) 로 구할 수 있다. 또한, 「질량 C/면적 A」 는, 잘라낸 측정 대상인 시트의 평량 E (g/㎡) 와 동일한 의미이므로, 공극량은 이하의 식 (2) 로서 측정할 수도 있다. 시트를 구성하는 수지 등의 재료를 복수 사용하는 경우에는, 밀도 D 는, 구성 수지의 진밀도 및 그 함유 질량 비율로부터 산출된 값으로 한다.
 공극량 (㎤/㎡) = (A × B - C/D) × 106/A ... (1)
 공극량 (㎤/㎡) = (B - E/D) × 106 ... (2)
이면 시트 (6) 에 사용될 수 있는 시트재는, 전술한 공극량의 범위로 되어 있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부직포, 직포, 종이 등의 섬유 시트, 수지 발포 시트, 금속 시트 또는 이들의 조합 등이 사용된다. 또한, 이들 시트재는, 섬유의 원료, 섬유의 굵기, 섬유의 권축의 정도 등이 상이한 섬유를 복수 혼합하여 사용하거나, 시트재를 복수 조합하거나 하여, 원하는 성질을 발현시킬 수도 있다. 이면 시트 (6) 는, 1 종의 섬유층으로 구성되어 있는 1 장의 시트로 이루어지는 단일 구조이거나, 또는 2 종 이상의 시트재 또는 섬유층을 박리 불가능하게 중첩한 1 장의 시트재로 이루어지는 단일 구조여도 되고, 2 종 이상의 시트재 또는 섬유층을 박리 가능하게 중첩한 복합 구조여도 된다. 원하는 성질이 발현된 이면 시트 (6) 를 형성하기 쉽게 함과 함께, 시트 강도를 충분히 발현시키는 관점에서, 2 종 이상의 섬유층을 갖고, 또한 각 층간이 박리 불가능하게 형성된 단일 구조의 시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면 시트 (6) 로서 부직포를 사용하는 경우, 예컨대 에어스루, 서멀 본드, 니들 펀치 중 적어도 1 종의 처리를 실시하여 제조된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에어스루 처리 및 서멀 본드 처리의 조합에 의해 제조된 부직포이다. 이러한 부직포를 이면 시트 (6) 로서 사용하는 경우, 예컨대, 카드기로부터 공급된 원료 섬유에 대하여 가열한 공기류를 쏘여 섬유 구조체로 하고, 그 후, 섬유 구조체의 일방의 면에 열 롤에 의해 서멀 본드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전술한 공극량의 범위를 달성할 수 있다. 이면 시트 (6) 로서 서멀 본드 처리가 실시된 부직포를 사용함으로써, 서멀 본드 처리가 실시된 부직포의 면에 존재하는 섬유끼리의 치밀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인쇄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발열체 (3), 귀걸이부 (4) 및 표면 시트 (5) 에 사용될 수 있는 시트재는, 이들의 통기성, 투습성, 질감, 신축성, 강도나, 발열 시트 및 발열 조성물의 구성 재료의 누출 방지 등의 성질을 고려하여 적절히 결정하면 되고, 예를 들어 부직포, 직포, 종이 등의 섬유 시트, 수지 발포 시트, 금속 시트 또는 이들의 조합 등이 사용된다. 통기도가 높은 시트재로는, 멜트블로운 부직포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질감을 양호하게 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시트재로는, 에어스루 부직포나 서멀 본드 부직포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신축성을 발현시킬 목적으로 사용되는 시트재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 섬유를 포함하는 에어스루 부직포나 스펀 본드 부직포 등이 사용된다. 강도를 부여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시트재로는, 스펀 본드 부직포나 스펀레이스 부직포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 서술한 부직포에 추가하여, 또는 이를 대신하여, 부직포를 실리콘이나 계면 활성제 등으로 표면 처리한 것을 사용하거나, 폴리에틸렌이나 폴리우레탄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원료로 하는 발포 시트 등을 사용하거나 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시트재는, 섬유의 원료, 섬유의 굵기, 섬유의 권축의 정도 등이 상이한 섬유를 복수 혼합하여 사용하거나, 시트재를 복수 조합하거나 하여, 원하는 성질을 발현시킬 수도 있다. 발열체 (3), 귀걸이부 (4) 및 표면 시트 (5) 는, 1 종의 섬유층으로 구성되어 있거나, 또는 2 종 이상의 섬유층을 박리 불가능하게 중첩한 1 장의 시트재로 이루어지는 단일 구조여도 되고, 2 종 이상의 시트재를 박리 가능하게 중첩한 복합 구조여도 된다.
표면 시트 (5) 및 이면 시트 (6) 로서 부직포를 사용하는 경우, 표면 시트 (5) 의 평량은 10 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g/㎡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200 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30 g/㎡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이면 시트 (6) 의 평량은, 15 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g/㎡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05 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75 g/㎡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표면 시트 (5) 및 이면 시트 (6) 가 적층 구조를 갖는 경우, 시트 전체의 평량이 상기 서술한 범위이면 된다.
이면 시트 (6) 는, 상기 서술한 공극량을 가지고 있음과 함께,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의 피부에 가까운 쪽에 위치하는 제 1 섬유층 (6a) 과, 사용자의 피부로부터 먼 쪽에 위치하는 제 2 섬유층 (6b) 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면 시트 (6) 는, 제 1 섬유층 (6a) 과 제 2 섬유층 (6b) 을 갖고, 각 층간이 박리 불가능하게 구성된 1 장의 시트재로 이루어지는 단일 구조로서 구성되어 있거나, 또는 제 1 섬유층 (6a) 을 구성하는 시트재와, 제 2 섬유층 (6b) 을 구성하는 시트재를 적어도 구비하고, 박리 가능하게 구성된 시트재의 적층체인 복합 구조로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이면 시트 (6) 의 공극량은, 이면 시트 (6) 전체의 공극량이 상기 서술한 범위를 만족시키고 있으면, 본 발명의 효과는 발휘된다.
이면 시트 (6) 가 단일 구조인 경우, 이면 시트 (6) 를 구성하는 섬유층은, 제 1 섬유층 (6a) 및 제 2 섬유층 (6b) 만이어도 되고, 제 1 섬유층 (6a) 및 제 2 섬유층 (6b) 에 추가하여, 다른 섬유층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어느 형태라도, 단일 구조에 있어서의 각 섬유층은 서로 박리 불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면 시트 (6) 가 복합 구조인 경우, 이면 시트 (6) 는, 제 1 섬유층 (6a) 을 구성하는 1 장의 시트재와, 제 2 섬유층 (6b) 을 구성하는 1 장의 시트재만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제 1 섬유층 (6a) 을 구성하는 1 장의 시트재와, 제 2 섬유층 (6b) 을 구성하는 1 장의 시트재에 추가하여, 다른 시트재를 추가로 포함해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어느 형태라도, 복합 구조에 있어서의 각 시트재 사이는 박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 1 섬유층 (6a) 및 제 2 섬유층 (6b) 은, 서로 섬유의 종류가 상이하다. 섬유의 종류가 상이하다는 것은, 섬유를 구성하는 수지의 종류가 상이한 경우뿐만 아니라, 수지의 종류는 동일하지만, 섬유의 굵기 및/또는 길이가 상이한 경우도 포함한다. 이 경우, 제 1 섬유층 (6a) 을 구성하는 시트재의 평량은 10 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g/㎡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70 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g/㎡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제 2 섬유층 (6b) 을 구성하는 시트재의 평량은 5 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g/㎡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35 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5 g/㎡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5 에 나타내는 제 1 섬유층 (6a) 은, 그 사용자의 피부에 가까운 면과 발열체 (3) 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제 2 섬유층 (6b) 은, 제 1 섬유층 (6a) 의 사용자의 피부로부터 먼 면측에 배치되고, 온열구 (1) 의 외면을 구성하고 있다. 제 2 섬유층 (6b) 의 외면은 인쇄면 (6S) 으로 되어 있다. 제 1 섬유층 (6a) 및 제 2 섬유층 (6b) 의 접합은, 예를 들어 접착제에 의한 접착, 열 융착, 압착 또는 이들의 조합 등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음으로써, 이면 시트 (6) 의 공극량을 보다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고, 그 결과, 높은 제조 효율로 보온성 및 인쇄성이 우수한 온열구를 제조할 수 있다.
이면 시트 (6) 로서, 제 1 섬유층 (6a) 및 제 2 섬유층 (6b) 을 갖는 부직포를 사용했을 때에, 제 2 섬유층 (6b) 의 구성 섬유는, 그 섬유의 굵기가, 제 1 섬유층 (6a) 의 구성 섬유의 굵기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가는 직경의 섬유를 사용한 부직포는, 섬유 밀도가 높아 치밀한 구조가 되기 쉬우므로, 인쇄성은 높아지지만, 보온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이에 대하여, 굵은 직경의 섬유를 사용한 부직포는, 섬유 밀도가 낮아 부피가 큰 구조가 되기 쉽기 때문에, 시트 내의 공극이 많아, 보온성이 높아지지만, 인쇄성은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이들 특성을 양립시키기 위해서, 이면 시트 (6) 의 구성으로서, 온열구 (1) 의 외면을 구성하는 제 2 섬유층 (6b) 을 바람직하게는 가는 직경의 섬유로 구성하고, 발열체 (3) 와 대향하는 제 1 섬유층 (6a) 을 바람직하게는 가는 직경 섬유와 동일 또는 그 섬유보다 굵은 직경의 섬유로 구성함으로써, 치밀한 구조의 제 2 섬유층 (6b) 에서 인쇄성을 더욱 높임과 함께, 부피가 큰 구조의 제 1 섬유층 (6a) 에서 단열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그 결과, 온열구는, 보온성 및 인쇄성이 한층 우수한 것이 된다.
특히, 이면 시트 (6) 로서, 제 1 섬유층 (6a) 및 제 2 섬유층 (6b) 을 적어도 포함하는 시트를 사용하고, 또한 제 2 섬유층 (6b) 을 구성하는 섬유의 굵기를, 제 1 섬유층 (6a) 의 구성 섬유의 굵기보다 작게 함으로써, 제 1 섬유층 (6a) 은, 굵은 섬유끼리의 서로 얽힘에 의해 형성된 높은 공극률을 갖는 부피가 큰 구조로 되어, 주로 보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층으로 된다. 또한, 제 2 섬유층 (6b) 은, 가는 섬유끼리의 서로 얽힘에 의해 형성된 치밀성이 높은 구조가 되어, 잉크의 부착성의 향상 등의 인쇄성의 향상에 주로 기여하는 층이 된다. 요컨대, 제 1 섬유층 (6a) 을 보온성을 주로 향상시키기 위한 층으로 하고, 제 2 섬유층 (6b) 을 인쇄성을 주로 향상시키기 위한 층으로 함으로써, 각 섬유층에서 상이한 성질을 용이하게 발현시키기 쉽게 하여, 보온성과 인쇄성이 높은 레벨로 발현된 이면 시트 (6) 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으므로, 보온성 및 인쇄성이 한층 우수한 온열구를 높은 생산성으로 얻을 수 있다.
제 2 섬유층 (6b) 을 구성하는 섬유의 굵기는, 제 1 섬유층 (6a) 의 구성 섬유의 굵기보다 동일하거나 또는 작은 것을 조건으로 하고, 섬도로 나타내어, 0.8 dtex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dtex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또한 2.0 dtex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dtex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제 1 섬유층 (6a) 을 구성하는 섬유의 굵기는, 섬도로서, 1.5 dtex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dtex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또한 10.0 dtex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dtex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 1 섬유층 (6a) 및 제 2 섬유층 (6b) 이 상이한 섬유의 굵기를 갖는 섬유를 2 종 이상 포함하는 경우, 각 섬유층 (6a, 6b) 의 구성 섬유의 굵기는, 섬유의 굵기가 가장 작은 섬유끼리를 비교하는 것으로 한다.
이면 시트를 부피를 크게 하여 단열 효과를 높이고, 온열구의 보온성을 한층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이면 시트 (6) 는, 그 구성 섬유로서 권축된 섬유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면 시트 (6) 가 적층 구조를 구비하는 경우, 제 1 섬유층 (6a) 및 제 2 섬유층 (6b) 의 적어도 일방에 권축 섬유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 1 섬유층 (6a) 및 제 2 섬유층 (6b) 의 쌍방에 권축 섬유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면 시트에 포함되는 권축 섬유는, 이차원 또는 삼차원으로 권축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권축 섬유로는, 예를 들어 수축률이 상이한 2 종류의 열가소성 수지를 성분으로 하는 동심 심초형 혹은 편심 심초형 복합 섬유 또는 사이드·바이·사이드형 복합 섬유 등의 잠재 권축 섬유를 가열함으로써 스파이럴상의 권축을 발현시킨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로는, 폴리에틸렌 (PE), 폴리프로필렌 (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및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PBT) 등의 폴리에스테르나, 폴리아미드 또는 이들의 조합 등을 들 수 있다. 그 밖의 예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296325호 등에 기재된 것을 들 수 있다. 수축률이 상이한 2 종류의 열가소성 수지로는, 심초 섬유에 있어서의 심의 부분에 융점이 높은 수지를 사용하고, 심초 섬유에 있어서의 초의 부분에 심보다 융점이 낮은 수지를 사용한 섬유를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심/초로서, 폴리프로필렌/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폴리프로필렌 등의 조합을 들 수 있다.
섬유의 권축의 정도는, 예를 들어 JIS L 0208 에 규정되는 권축률 및 권축수로서 평가할 수 있다. 권축률은, 섬유를 잡아 늘렸을 때의 길이 (W1) 와, 원래의 섬유의 길이 (W2) 의 차의, 섬유를 늘렸을 때의 길이 (W1) 에 대한 백분율로 정의되고, 「100 × (W1 - W2)/W1 (%)」라는 식으로부터 산출된다. 원래의 섬유의 길이 (W2) 란, 섬유의 자연 상태에 있어서, 섬유의 양단부를 직선으로 연결한 길이를 말한다. 자연 상태란, 섬유의 일방의 단부를 수평한 판에 고정시키고, 섬유의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늘어뜨린 상태를 말한다. 섬유를 잡아 늘렸을 때의 길이 (W1) 란, 섬유의 권축이 없어질 때까지 늘렸을 때의 최소 하중시의 길이를 말한다.
이면 시트 (6) 를 구성하는 권축 섬유의 권축률은, 바람직하게는 5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 이상이고, 또, 바람직하게는 8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 이하이다. 또한, 권축수는, 1 ㎝ 당, 바람직하게는 1 개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 개 이상, 또한 바람직하게는 10 개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8 개 이하이다. 이러한 권축률 및 권축수로 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섬유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실시하는 권축 처리나, 잠재 권축 섬유의 재질, 가열 처리의 온도 등을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권축률 및 권축수를 만족하는 권축 섬유를 갖는 이면 시트 (6) 로는, 예를 들어 상기 서술한 심초 구조를 갖는 잠재 권축 섬유를 에어스루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이면 시트 (6) 를 시트재의 적층체로 하고, 또한 각 시트재에 권축 섬유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서술한 권축률 및 권축수는, 각 시트재가 각각 독립적으로 만족하는 것으로 한다.
이면 시트 (6) 의 구성 섬유는, 그 일부가 권축 섬유여도 되고, 구성 섬유의 전부가 권축 섬유여도 된다. 이면 시트 (6) 에 포함되는 권축 섬유의 비율은, 보온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2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또, 1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80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권축 섬유의 비율은, 예를 들어 측정 대상인 시트로부터 10 개의 섬유를 무작위로 취출하여, 상기 서술한 권축률 및 권축수를 모두 만족하는 섬유를 권축 섬유로 하고, 권축률 또는 권축수 중 어느 것을 만족하지 않는 섬유를 권축되어 있지 않은 섬유로 했을 때에, 권축 섬유의 개수의 비율로서 개수 기준으로 산출할 수 있다.
이면 시트 (6) 내의 공극을 증가시켜 단열 효과를 높이고, 온열구의 보온성을 한층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이면 시트 (6) 는, 그 구성 섬유로서, 중실 (中實) 의 섬유에 추가하여, 또는 이것을 대신하여, 중공의 섬유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면 시트 (6) 가 적층 구조를 갖는 경우에는, 제 1 섬유층 (6a) 및 제 2 섬유층 (6b) 의 적어도 일방에 중공 섬유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적어도 제 1 섬유층 (6a) 에 중공 섬유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중공 섬유는, 섬유의 내부에 단일공 또는 다공으로 이루어지는 공동을 갖는 사상체이다. 온열구의 보온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중공 섬유는, 중공 섬유의 횡단면 (섬유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 전체의 면적에 대한 공동 부분의 면적의 백분율인 중공률이 1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또, 5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0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중공 섬유는, 예를 들어 중공 섬유의 원료가 되는 열가소성 수지의 용융물 또는 용해물을 구금으로부터 통형상으로 토출하면서, 토출된 통형상의 용융물 또는 용해물의 일단을 융착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중공 섬유의 횡단면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진원형, 혹은 후술하는 비진원형 등을 들 수 있다. 중공 섬유의 횡단면의 형상은, 섬유의 제조시에 사용하는 구금의 크기나 형상에 따라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중공 섬유는, 상기 서술한 잠재 권축 섬유에 사용되는 원료를 사용함으로써, 중공이면서 또한 권축된 섬유로 해도 된다. 중공이면서 또한 권축된 섬유는, 예를 들어 상기 서술한 동심 또는 편심의 심초 구조를 갖고, 또한 심 부분에 섬유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공동이 형성되어 있는 잠재 권축 섬유에 가열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이면 시트 (6) 의 구성 섬유는, 중공 섬유와 중실 섬유를 혼합한 섬유여도 되고, 구성 섬유 모두가 중실 섬유 또는 중공 섬유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보온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이면 시트 (6) 에 포함되는 중공 섬유의 비율은, 3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40 %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또한, 1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80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면 시트 (6) 에 포함되는 중공 섬유의 비율은, 예컨대 측정 대상인 시트로부터 10 개의 섬유를 무작위로 취출하고, 그 섬유의 횡단면 (섬유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 을 주사성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했을 때에, 횡단면의 전체 면적에 대하여 10 % 이상의 공동을 섬유 내부에 갖는 섬유의 개수의 비율로서 개수 기준으로 산출할 수 있다.
보온성 및 인쇄성을 한층 더 우수한 것으로 하는 관점에서, 이면 시트 (6) 는, 그 구성 섬유로서, 섬유의 횡단면의 형상이 진원형인 섬유에 추가하여, 또는 이것 대신에, 섬유의 횡단면의 형상이 비진원형인 이형 섬유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면 시트 (6) 가 적층 구조를 갖는 경우에는, 제 1 섬유층 (6a) 및 제 2 섬유층 (6b) 의 적어도 일방에 이형 섬유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적어도 온열구 (1) 의 외면을 구성하는 시트재가 이형 섬유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제 2 섬유층 (6b) 에 적어도 이형 섬유를 포함하는 것도 보다 바람직하다.
이형 섬유의 횡단면 형상으로는, 예를 들면 삼각형이나, 사각형, 오각형 및 육각형 등의 볼록 다각형 또는 정다각형, 별형 다각형, 타원형, 다엽형 (多葉形), W 자형, X 자형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의 효과가 발휘되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온열구의 외관을 양호한 것으로 하는 관점에서, 이면 시트 (6) 에 있어서의 사용자의 피부로부터 먼 쪽의 면인 인쇄면 (6S) 에 인쇄가 실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쇄를 실시한다는 것은, 이면 시트 (6) 의 인쇄면 (6S) 의 일부 또는 전부에 잉크를 부착시켜서, 이면 시트 (6) 를 그 시트의 바탕색과 동일한 또는 상이한 색으로 착색하여, 문자, 기호, 도형, 무늬, 모양, 윤곽, 화상, 또는 이들의 조합 등을 시인 가능하게 하는 것을 말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온열구는, 소정의 공극량을 갖는 이면 시트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원하는 문자나 모양 등을 선명하게 인쇄할 수 있고, 그 결과, 온열구의 미관이 양호해진다. 이면 시트에 대한 인쇄 방법으로는, 시트에 잉크를 부착 가능한 방법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어 잉크젯 인쇄, 로터리 인쇄, 플렉소 인쇄, 스크린 인쇄, 그라비아 인쇄 등을 들 수 있다. 잉크의 도공량은, 잉크의 건조 질량에 기초하는 평량으로서, 0.5 g/㎡ 이상 1.5 g/㎡ 이하 정도로 할 수 있다.
온열구 (1) 에 있어서의 귀걸이부 (4) 의 형태는, 본체부 (2) 를 사용자의 양쪽 눈에 고정 가능한 양태이면,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시트상의 부재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끈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귀걸이부 (4) 를 채용하거나, 실형상 또는 띠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귀걸이부 (4) 를 채용하거나 해도 된다. 온열구의 피트감을 높이는 관점에서, 고무 등의 탄성체를 사용하여, 신축 가능한 귀걸이부 (4)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술한 온열구 (1) 에 있어서의 발열체 (3) 의 형태는, 2 개의 발열체 (3) 가 이간되어 유지된 형태로서 설명했지만, 사용자의 양쪽 눈 및 이들 주위에 온감을 부여 가능하다면 온열구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양쪽 눈 및 그 주위를 덮을 수 있는 형상 및 크기를 갖는 1 개의 발열체가 표면 시트 (5) 및 이면 시트 (6) 사이에 유지되어 있어도 되고, 3 개 이상의 발열체가 표면 시트 (5) 및 이면 시트 (6) 사이에 유지되어 있어도 된다.
또, 도 2 및 도 3 에 나타내는 발열체 (3) 는, 그 일부가 온열구 (1) 의 가로 방향 (X) 의 중앙역에서 고정되어 있을 뿐이었지만, 이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발열체 (3) 와 이면 시트 (6) 가 상기 중앙역 및 상기 중앙역 이외의 영역에서 접착제에 의해 연속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접합되어 있어도 되고, 이면 시트 (6) 에 있어서의 발열체 (3) 가 배치되는 위치의 전체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합되어 있어도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이면 시트 (6) 에 포함될 수 있는 중공 섬유 및 권축 섬유는, 이들 섬유가 각각 독립적으로 포함되어 있어도 되고, 혹은 중공이면서 또한 권축된 1 개의 섬유가 복수개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중공이면서 또한 권축된 섬유로 하는 경우, 그 섬유는 제 1 섬유층 (6a) 및 제 2 섬유층 (6b) 의 적어도 일방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 1 섬유층 (6a) 및 제 2 섬유층 (6b) 의 쌍방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들 이면 시트 (6) 의 각 형태에는, 중실의 섬유가 추가로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중공이면서 또한 권축된 섬유에 대해서는, 상기 서술한 중공 섬유 및 권축 섬유의 설명이 적절히 적용된다. 어느 경우라도 본 발명의 효과는 충분히 발휘된다.
상기 서술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하여, 추가로 이하의 온열구를 개시한다.
<1>
사용시에 사용자의 양쪽 눈을 덮는 형상을 갖는 본체부와, 그 본체부에 구비된 발열체와, 그 본체부에 장착되고 또한 그 본체부에 의한 사용자의 양쪽 눈의 피복 상태를 유지 가능한 1 쌍의 귀걸이부를 구비한 온열구로서,
상기 본체부는, 사용자의 피부에 가까운 쪽에 위치하는 표면 시트와, 사용자의 피부로부터 먼 쪽에 위치하는 이면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발열체는,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 사이에 유지되어 있고,
상기 이면 시트는, 단위 면적당의 공극량이 1000 ㎤/㎡ 이상 6000 ㎤/㎡ 이하인, 온열구.
<2>
상기 온열구는, 길이 방향에 상당하는 가로 방향과, 그 가로 방향에 직교하는 세로 방향을 구비하고,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의 사이에, 복수의 상기 발열체가 가로 방향으로 서로 이간되어 유지되어 있는, 상기 <1> 에 기재된 온열구.
<3>
상기 표면 시트 및 상기 이면 시트는 모두 통기성을 갖고 있는, 상기 <1> 또는 <2> 에 기재된 온열구.
<4>
상기 발열체는, 피산화성 금속, 반응 촉진제, 전해질 및 물을 포함하는,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온열구.
<5>
상기 발열체는, 섬유상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섬유 시트로 구성된 발열 시트인, 상기 <4> 에 기재된 온열구.
<6>
상기 발열체는, 보수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발열 조성물로 구성되는, 상기 <4> 에 기재된 온열구.
<7>
상기 온열구는, 길이 방향에 상당하는 가로 방향과, 그 가로 방향에 직교하는 세로 방향을 구비하고,
상기 이면 시트와 상기 발열체는 접착 고정부를 개재하여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접착 고정부는, 상기 온열구의 가로 방향 중앙역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온열구.
<8>
상기 온열구는, 길이 방향에 상당하는 가로 방향과, 그 가로 방향에 직교하는 세로 방향을 구비하고,
상기 귀걸이부가, 가로 방향의 양 외단 영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시트의 외면에 접합되어, 상기 본체부와 상기 귀걸이부가 접합된 접합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상기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온열구.
<9>
상기 접합 영역은, 상기 본체부와 상기 귀걸이부가 연속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접합되어 형성되어 있는, 상기 <8> 에 기재된 온열구.
<10>
상기 이면 시트는, 단위 면적당의 공극량이 100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500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00 ㎤/㎡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2500 ㎤/㎡ 이상인 것이 한층 더 바람직하며, 60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00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000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3000 ㎤/㎡ 이하인 것이 한층 더 바람직한, 상기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온열구.
<11>
상기 이면 시트는, 에어스루 처리, 서멀 본드 처리 및 니들 펀치 처리 중 적어도 일종의 처리가 실시된 부직포인, 상기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온열구.
<12>
상기 이면 시트는, 에어스루 처리 및 서멀 본드 처리가 실시된 부직포인, 상기 <1>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온열구.
<13>
상기 표면 시트가 부직포이고,
상기 표면 시트의 평량이, 10 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g/㎡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200 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30 g/㎡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한, 상기 <1>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온열구.
<14>
상기 이면 시트가 부직포이고,
상기 이면 시트의 평량은, 15 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g/㎡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05 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75 g/㎡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한, 상기 <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온열구.
<15>
상기 이면 시트는, 사용자의 피부에 가까운 쪽에 위치하는 제 1 섬유층과, 사용자의 피부로부터 먼 쪽에 위치하는 제 2 섬유층을 구비하고,
제 2 섬유층의 구성 섬유는, 그 섬유의 굵기가 제 1 섬유층의 구성 섬유의 굵기보다 작은, 상기 <1> 내지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온열구.
<16>
상기 이면 시트가, 제 1 섬유층과 제 2 섬유층을 갖는 시트재로 이루어지는 단일 구조인, 상기 <15> 에 기재된 온열구.
<17>
상기 이면 시트가, 제 1 섬유층을 구성하는 시트재와, 제 2 섬유층을 구성하는 시트재를 중첩한 복합 구조인, 상기 <15> 에 기재된 온열구.
<18>
제 1 섬유층을 구성하는 시트재의 평량은, 10 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g/㎡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70 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g/㎡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한, 상기 <17> 에 기재된 온열구.
<19>
제 2 섬유층을 구성하는 시트재의 평량은, 5 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g/㎡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35 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5 g/㎡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한, 상기 <17> 또는 <18> 에 기재된 온열구.
<20>
제 1 섬유층을 구성하는 섬유의 섬도는, 1.5 dtex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dtex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또, 10.0 dtex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dtex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한, 상기 <15> 내지 <1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온열구.
<21>
제 2 섬유층의 구성 섬유의 섬도는, 0.8 dtex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dtex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또, 2.0 dtex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dtex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한, 상기 <15> 내지 <2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온열구.
<22>
상기 이면 시트는 권축 섬유를 포함하는, 상기 <1> 내지 <2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온열구.
<23>
제 1 섬유층 및 제 2 섬유층의 적어도 일방에 권축 섬유를 포함하는, 상기 <15> 내지 <2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온열구.
<24>
제 1 섬유층 및 제 2 섬유층의 쌍방에 권축 섬유를 포함하는, 상기 <15> 내지 <2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온열구.
<25>
상기 권축 섬유는, 동심 심초형 또는 편심 심초형의 복합 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복합 섬유에 있어서의 심/초의 조합이, 폴리프로필렌/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폴리에틸렌,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폴리프로필렌인, 상기 <22> 내지 <2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온열구.
<26>
상기 권축 섬유의 권축률은, 바람직하게는 5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 이상이고, 또, 바람직하게는 8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 이하인, 상기 <22> 내지 <2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온열구.
<27>
상기 권축 섬유의 권축수는, 1 ㎝ 당, 바람직하게는 1 개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 개 이상, 또 바람직하게는 10 개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8 개 이하인, 상기 <22> 내지 <2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온열구.
<28>
상기 이면 시트에 포함되는 권축 섬유의 비율은, 개수 기준으로, 2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또 1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80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한, 상기 <22> 내지 <2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온열구.
<29>
상기 이면 시트는 중공 섬유를 포함하는, 상기 <1> 내지 <2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온열구.
<30>
적어도 제 2 섬유층에 중공 섬유를 포함하는, 상기 <15> 내지 <21>, <23> 내지 <2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온열구.
<31>
상기 중공 섬유는, 그 중공률이 1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또 5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0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한, 상기 <29> 또는 <30> 에 기재된 온열구.
<32>
상기 이면 시트에 함유되는 중공 섬유의 비율은, 개수 기준으로 3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40 %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또 1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80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한, 상기 <29> 내지 <3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온열구.
<33>
상기 이면 시트는, 섬유의 횡단면의 형상이 비진원형인 이형 섬유를 포함하는, 상기 <1> 내지 <3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온열구.
<34>
섬유의 횡단면의 형상이 비진원형인 이형 섬유를 적어도 제 2 섬유층에 포함하는, 상기 <15> 내지 <21>, <23> 내지 <28>, <30> 내지 <3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온열구.
<35>
상기 이면 시트는, 중공이면서 또한 권축된 섬유와, 중실의 섬유를 포함하는, 상기 <1> 내지 <3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온열구.
<36>
제 1 섬유층 및 제 2 섬유층의 적어도 일방에, 중공이면서 또한 권축된 섬유와, 중실의 섬유를 포함하는, 상기 <15> 내지 <21>, <23> 내지 <28>, <30> 내지 <32>, <3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온열구.
<37>
제 1 섬유층 및 제 2 섬유층의 쌍방에, 중공이면서 또한 권축된 섬유와 중실의 섬유를 포함하는, 상기 <15> 내지 <21>, <23> 내지 <28>, <30> 내지 <32>, <3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온열구.
<38>
제 1 섬유층에, 중공이면서 또한 권축된 섬유와, 중실의 섬유를 포함하는, 상기 <15> 내지 <21>, <23> 내지 <28>, <30> 내지 <32>, <34>, <3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온열구.
<39>
상기 이면 시트에 있어서의 사용자의 피부로부터 먼 쪽의 면에 인쇄가 실시되어 있는, 상기 <1> 내지 <3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온열구.
<40>
상기 귀걸이부가 시트재로 이루어지고, 귀를 통과시키기 위한 삽입 통과부가 그 시트재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1> 내지 <3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온열구.
<41>
상기 귀걸이부는, 끈형상, 실형상 또는 띠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상기 <1> 내지 <3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온열구.
<42>
상기 부재는 탄성체인, 상기 <41> 에 기재된 온열구.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러한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 1]
표면 시트 (5) 로서, 폴리프로필렌을 원료로 하고, 섬도가 1.0 dtex 인 중실의 섬유와, 폴리프로필렌과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를 원료로 하고, 섬도가 2.2 dtex 인 첩합 섬유를 포함하는 평량 80 g/㎡ 의 니들 펀치 부직포를 단층으로 사용하였다.
이면 시트 (6) 로서, 이하의 시트재를 사용하였다. 즉,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이하, 폴리에스테르라고도 한다) 를 심으로 하고, 폴리에틸렌을 초로 하는 편심이면서 또한 중공의 잠재 권축 심초 섬유 (섬도 2.8 dtex, 중공률 15 %) 만을 포함하는 제 1 원료 집합체 (평량 20 g/㎡) 와, 폴리에스테르를 심으로 하고, 폴리에틸렌을 초로 하는 중실의 심초 섬유 (섬도 2.8 dtex) 만을 포함하는 제 2 원료 집합체 (평량 10 g/㎡) 를 혼합하고, 이들 원료 집합체에 대해, 140 ℃ 의 공기류를 10 초간 쏘여 에어스루 처리하여, 권축 섬유를 포함하는 1 장의 섬유 집합체를 제조하였다. 그 후, 표면 온도가 124 ℃ 인 열 롤을 사용하여, 상기 섬유 집합체를 0.3 MPa 로 가압하고, 서멀 본드 처리를 실시하여, 1 장의 시트재로 이루어지는 이면 시트 (6) 로 하였다. 이 이면 시트 (6) 는, 제 1 원료 집합체 유래의 중공이면서 또한 권축된 섬유와, 제 2 원료 집합체 유래의 중실의 섬유가 혼재되고, 각 집합체 사이가 박리 불가능한 단일 구조의 시트였다. 이면 시트 (6) 는, 평량 30 g/㎡, 권축 섬유 및 중공 섬유의 비율은 50 %, 공극량은 1635 ㎤/㎡ 였다.
발열체 (3) 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102761호에 기재된 재료 및 방법에 따라 제조하고, 피산화성 금속, 보수재, 섬유상물, 전해질 및 물을 포함하는 발열 시트로 하였다. 제 2 섬유층 (6b) 이 사용자의 피부로부터 먼 면에 배치되도록 이면 시트 (6) 를 배치하고, 이 상태에서, 표면 시트 (5) 와 이면 시트 (6) 의 사이에 시트상의 발열체 (3) 를 유지하여, 도 1 에 나타내는 온열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이면 시트 (6) 로서, 이하의 시트재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온열구를 제조하였다.
이면 시트 (6) 로서, 폴리에스테르를 심으로 하고, 폴리에틸렌을 초로 하는 편심이면서 또한 중공의 잠재 권축 심초 섬유 (섬도 2.8 dtex, 중공률 15 %) 및 폴리에스테르를 심으로 하고, 폴리에틸렌을 초로 하는 중실의 심초 섬유 (섬도 2.8 dtex) 의 2 종의 섬유를 포함하는 제 1 원료 섬유 집합체 (평량 20 g/㎡) 와, 폴리에스테르를 심으로 하고, 폴리에틸렌을 초로 하는 중실의 심초 섬유 (섬도 1.7 dtex) 만을 포함하는 제 2 원료 섬유 집합체 (평량 10 g/㎡) 를 중첩하여 원료 적층체로 하고, 이 원료 적층체에 대하여,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건으로 에어스루 처리하여, 권축 섬유를 포함하고, 또한 복수의 섬유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그 후,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건으로, 상기 적층체의 제 2 원료 시트가 존재하는 측의 면에 서멀 본드 처리를 실시하여, 복수의 섬유층으로 이루어지고, 각 층간이 박리 불가능한 단일 구조의 이면 시트 (6) 로 하였다. 상세하게는, 이 이면 시트 (6) 는, 중공이면서 또한 권축된 섬유와 중실의 섬유의 쌍방을 구비하는 제 1 섬유층 (6a) 과, 중실의 섬유만을 구비하는 제 2 섬유층 (6b) 의 2 개의 섬유층을 갖는 1 장의 시트재로 이루어지는 단일 구조의 시트였다. 본 실시예의 이면 시트 (6) 는, 평량 30 g/㎡, 공극량은 1695 ㎤/㎡ 였다.
[실시예 3]
이면 시트 (6) 로서, 이하의 시트재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온열구를 제조하였다.
이면 시트 (6) 로서, 폴리에스테르를 심으로 하고, 폴리에틸렌을 초로 하는 편심이면서 또한 중공의 잠재 권축 심초 섬유 (섬도 2.8 dtex, 중공률 15 %) 및 폴리에스테르를 심으로 하고, 폴리에틸렌을 초로 하는 중실의 심초 섬유 (섬도 2.8 dtex) 의 2 종의 섬유를 포함하는 제 1 원료 섬유 집합체 (평량 30 g/㎡) 와, 폴리에스테르를 심으로 하고, 폴리에틸렌을 초로 하는 중실의 심초 섬유 (섬도 1.7 dtex) 만을 포함하는 제 2 원료 섬유 집합체 (평량 15 g/㎡) 를 중첩하여 원료 적층체로 하고, 이 원료 적층체에 대해,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건으로 에어스루 처리하여, 권축 섬유를 포함하고, 또한 복수의 섬유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그 후,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건으로, 상기 적층체의 제 2 원료 섬유 집합체가 존재하는 측의 면에 서멀 본드 처리를 실시하여, 복수의 섬유층으로 이루어지고, 각 층간이 박리 불가능한 단일 구조의 이면 시트 (6) 로 하였다. 이 이면 시트 (6) 는, 중공이면서 또한 권축된 섬유와 중실의 섬유의 쌍방을 구비하는 제 1 섬유층 (6a) 과, 중실의 섬유를 구비하는 제 2 섬유층 (6b) 의 2 개의 섬유층을 갖는 1 장의 시트재로 이루어지는 단일 구조의 시트였다. 본 실시예의 이면 시트 (6) 는, 평량 45 g/㎡, 공극량은 2533 ㎤/㎡ 였다.
[실시예 4]
이면 시트 (6) 로서, 이하의 시트재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온열구를 제조하였다.
이면 시트 (6) 로서, 폴리에스테르를 심으로 하고, 폴리에틸렌을 초로 하는 편심이면서 또한 중공의 잠재 권축 심초 섬유 (섬도 2.8 dtex, 중공률 15 %) 및 폴리에스테르를 심으로 하고, 폴리에틸렌을 초로 하는 중실의 심초 섬유 (섬도 2.8 dtex) 의 2 종의 섬유를 포함하는 제 1 원료 섬유 집합체 (평량 30 g/㎡) 와, 폴리에스테르를 심으로 하고, 폴리에틸렌을 초로 하는 중실의 심초 섬유 (섬도 1.7 dtex) 만을 포함하는 제 2 원료 섬유 집합체 (평량 15 g/㎡) 를 중첩하여 원료 적층체로 하고, 이 원료 적층체에 대해,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건으로 에어스루 처리하여, 권축 섬유를 포함하고, 또한 복수의 섬유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그 후,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건으로, 상기 적층체의 제 2 원료 섬유 집합체가 존재하는 측의 면에 서멀 본드 처리를 실시하여, 각 층간이 박리 불가능한 단일 구조의 시트재로 이루어지는 섬유 집합체 A (평량 45 g/㎡) 를 제조하였다.
별도로, 폴리에스테르를 심으로 하고, 폴리에틸렌을 초로 하는 편심이면서 또한 중공의 잠재 권축 심초 섬유 (섬도 2.8 dtex, 중공률 15 %) 만을 포함하는 제 1 원료 집합체 (평량 20 g/㎡) 와, 폴리에스테르를 심으로 하고, 폴리에틸렌을 초로 하는 중실의 심초 섬유 (섬도 2.8 dtex) 만을 포함하는 제 2 원료 집합체 (평량 10 g/㎡) 를 혼합하고, 이들 평량 30 g/㎡ 의 원료 집합체에 대하여, 140 ℃ 의 공기류를 10 초간 쏘여 에어스루 처리하여, 권축 섬유를 포함하고, 각 층간이 박리 불가능한 단일 구조의 시트재로 이루어지는 섬유 집합체 B 를 제조하였다.
얻어진 섬유 집합체 A 및 섬유 집합체 B 를 핫멜트 접착제로 첩합하여, 복수장의 시트재로 이루어지는 평량 75 g/㎡ 의 각 층간이 박리 불가능한 단일 구조의 이면 시트 (6) 로 하였다. 이 이면 시트 (6) 는, 중공이면서 또한 권축된 섬유와 중실의 섬유의 쌍방을 포함하는 섬유 집합체 B 를 구비하는 2 층 구조의 제 1 섬유층 (6a) 과, 중공이면서 또한 권축된 섬유와 중실의 섬유의 쌍방을 포함하는 섬유 집합체 A 를 구비하는 2 층 구조의 제 2 섬유층 (6b) 의 2 개의 섬유층을 박리 불가능하게 갖고, 섬유 집합체 A 에 있어서의 제 2 원료 시트가 인쇄면을 형성하고 있는 단일 구조의 시트였다. 공극량은 5113 ㎤/㎡ 였다.
[비교예 1]
이면 시트 (6) 로서, 섬도가 1.7 dtex 인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이루어지는 스펀레이스 부직포 (평량 40 g/㎡) 를 단독으로 사용하고, 그 부직포에 에어스루 처리 및 서멀 본드 처리를 실시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온열구를 제조하였다. 이면 시트 (6) 의 공극량은 501 ㎤/㎡ 였다.
<보온성 평가>
이면 시트의 보온성의 평가는, 다음의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측정 샘플로서, 온도 센서 및 열 유속계를 갖는 측정 장치 (Intercross 사 제조, 펠티에 210) 상에, 치수가 4 ㎝ × 3 ㎝ 인 실시예 또는 비교예에서 사용한 이면 시트를, 이면 시트에 있어서의 사용자의 피부에 가까운 쪽에 배치되는 면이 면 접촉하도록 배치하고, 이면 시트의 사용자의 피부로부터 먼 쪽에 배치되는 면 상에 그 시트와 동일한 치수의 비통기 시트 (종이와 수지의 라미네이트) 를 배치하고, 이들 시트를 측정 장치에 고정시켰다. 이어서, 20 ℃, 50 % RH 환경 하에서 이하에 나타내는 온도 프로파일 (1) ∼ (3) 의 순으로 열을 부여하고, 열 유속 (W/㎡) 의 변화를 경시적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대조 샘플로서, 측정 장치에 비통기 시트만을 고정시킨 경우에서의 열 유속 (W/㎡) 의 변화도 동일하게 측정하였다. 이들 측정은 2 회 실시하고, 각각의 평균값을 평균 열 유속으로 하였다. 보온성의 평가는, 측정 샘플에 있어서의 온도 프로파일 (3) 에서의 평균 열 유속과, 대상 샘플에 있어서의 온도 프로파일 (3) 에서의 평균 열 유속의 차를 보온 효과 지수 (W/㎡) 로서 나타냈다. 보온 효과 지수가 높을수록 보온성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결과를 이하의 표 1 에 나타낸다.
<온도 프로파일>
(1) 측정 전: 30 ℃ 에서 일정, 5 분간
(2) 측정 시작 (0 초) ∼ 100 초: 30 ℃ 에서 50 ℃ 까지 일정 승온
(3) 100 초 ∼ 280 초: 50 ℃ 에서 일정
[피부 온도의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의 온열구를 인간에 장착시키고, 표면 시트 (5) 와 접하는 부위의 피부에 온도 센서 (그램사 제조, 형번 : LT-8 시리즈 LT-ST08-12) 를 장착하여, 피부 온도 (℃) 의 변화를 경시적으로 측정하였다. 측정 환경은 모두 15 ℃, 50 % RH 로 하고, 측정 시간은 30 분간으로 하였다. 표면 시트 (5) 측에서의 최고 도달 온도 (℃) 및 38 ℃ 지속 시간 (분) 을 측정하였다. 최고 도달 온도의 측정은 2 회 실시하고, 그 평균값으로 하였다. 본 평가는, 도달 온도가 높고 또한 지속 시간이 길수록 보온성이 높은 것임을 의미한다. 결과를 이하의 표 1 에 나타낸다.
[인쇄성의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이면 시트 (6) 의 인쇄면에, 플렉소 인쇄로, 유성 플렉소 잉크를 사용하여, 문자로 이루어지는 인쇄를 실시하였다. 실시예 1 내지 4 는, 제 2 섬유층 (6b) 의 외방측에 인쇄를 실시하였다. 잉크의 도공량은, 건조 질량으로서 1 g/㎡ 이고, 인쇄에 의한 압축도는 45 % 였다. 이들 인쇄성을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결과를 이하의 표 1 에 나타낸다.
<평가 기준>
A: 인쇄된 문자의 윤곽이 선명하여, 문자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B: 인쇄된 문자의 윤곽은 약간 희미해져 있지만, 문자를 인식할 수 있다.
C: 인쇄된 문자가 흐릿하거나, 문자의 윤곽선이 희미하여 문자를 인식할 수 없다.
[사용감의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의 온열구를, 전문 패널리스트 5 명에게 장착시키고, 온열구의 사용감을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게 하였다. 각 패널리스트의 평가점의 산술 평균값을 산출하여, 사용감을 평가하였다. 평가점의 산술 평균점이 2 점 이상이면, 온열구의 사용감이 양호한 것을 나타낸다. 결과를 이하의 표 1 에 나타낸다.
<사용감의 평가 기준>
3 점: 장착시에 무게를 느끼지 않고, 사용감이 매우 양호하다.
2 점: 장착시에 무게를 느끼는 경우가 있지만, 사용감이 양호하다.
1 점: 장착시에 무게를 강하게 느끼고, 불쾌하다.
Figure pct00001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정의 공극량을 갖는 이면 시트를 사용한 각 실시예의 온열구는, 비교예의 온열구와 비교하여, 보온성이 높고, 적온한 온열을 장시간 사용자에게 부여 가능한 것을 알 수 있다. 또, 실시예 및 비교예의 온열구는, 인쇄성이 높고, 사용감도 양호한 것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온열구는 보온성 및 인쇄성이 양립하여 우수하며, 이에 더하여 사용감도 양호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의하면, 보온성 및 인쇄성이 양립하여 우수한 온열구가 제공된다.

Claims (17)

  1. 사용시에 사용자의 양쪽 눈을 덮는 형상을 갖는 본체부와, 그 본체부에 구비된 발열체와, 그 본체부에 장착되고 또한 그 본체부에 의한 사용자의 양쪽 눈의 피복 상태를 유지 가능한 1 쌍의 귀걸이부를 구비한 온열구로서,
    상기 본체부는, 사용자의 피부에 가까운 쪽에 위치하는 표면 시트와, 사용자의 피부로부터 먼 쪽에 위치하는 이면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발열체는,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의 사이에 유지되어 있고,
    상기 이면 시트는, 단위 면적당의 공극량이 1000 ㎤/㎡ 이상 6000 ㎤/㎡ 이하인, 온열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면 시트는, 사용자의 피부에 가까운 쪽에 위치하는 제 1 섬유층과, 사용자의 피부로부터 먼 쪽에 위치하는 제 2 섬유층을 구비하는, 온열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제 2 섬유층의 구성 섬유는, 그 섬유의 굵기가, 제 1 섬유층의 구성 섬유의 굵기보다 작은, 온열구.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면 시트가, 제 1 섬유층과 제 2 섬유층을 갖는 시트재로 이루어지는 단일 구조인, 온열구.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면 시트가, 제 1 섬유층을 구성하는 시트재와, 제 2 섬유층을 구성하는 시트재를 중첩한 복합 구조인, 온열구.
  6.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섬유층 및 제 2 섬유층 중 적어도 일방에, 중공 또한 권축된 섬유와, 중실의 섬유를 포함하는, 온열구.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면 시트는 권축 섬유를 포함하는, 온열구.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권축 섬유는, 동심 심초형 또는 편심 심초형의 복합 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복합 섬유에 있어서의 심/초의 조합이, 폴리프로필렌/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폴리에틸렌,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폴리프로필렌인, 온열구.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면 시트에 포함되는 권축 섬유의 비율은, 개수 기준으로, 20 % 이상 100 % 이하인, 온열구.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면 시트는 중공 섬유를 포함하는, 온열구.
  11. 제 6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섬유는, 그 중공률이 10 % 이상 50 % 이하인, 온열구.
  12. 제 6 항,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면 시트에 포함되는 중공 섬유의 비율은, 개수 기준으로, 30 % 이상 100 % 이하인, 온열구.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면 시트에 있어서의 사용자의 피부로부터 먼 쪽의 면에 인쇄가 실시되어 있는, 온열구.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면 시트는, 에어스루 처리, 서멀 본드 처리 및 니들 펀치 처리 중 적어도 1 종의 처리가 실시된 부직포인, 온열구.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면 시트는, 에어스루 처리 및 서멀 본드 처리가 실시된 부직포인, 온열구.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면 시트는, 중공 또한 권축된 섬유와, 중실의 섬유를 포함하는, 온열구.
  17. 제 6 항에 있어서,
    제 1 섬유층에, 중공 또한 권축된 섬유와, 중실의 섬유를 포함하는, 온열구.
KR1020217016240A 2019-03-01 2019-11-14 온열구 KR1026308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PCT/JP2019/008229 2019-03-01
JP2019008229 2019-03-01
PCT/JP2019/044648 WO2020179135A1 (ja) 2019-03-01 2019-11-14 温熱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3319A true KR20210083319A (ko) 2021-07-06
KR102630890B1 KR102630890B1 (ko) 2024-01-29

Family

ID=72337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6240A KR102630890B1 (ko) 2019-03-01 2019-11-14 온열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7397059B2 (ko)
KR (1) KR102630890B1 (ko)
CN (1) CN113507905B (ko)
TW (1) TWI736035B (ko)
WO (1) WO2020179135A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6325A (ja) * 1996-04-26 1997-11-18 Toyobo Co Ltd 複合繊維及びその製造法
JP2004024748A (ja) * 2002-06-28 2004-01-29 Asahi Kasei Fibers Corp 印刷性に優れたカイロ包材用不織布および使い捨てカイロ
JP2011250873A (ja) 2010-05-31 2011-12-15 Kao Corp 発熱具
JP2012245044A (ja) * 2011-05-25 2012-12-13 Suzuki Yushi Kogyo Kk 発熱用シートおよび発熱性貼付用具
JP2013042963A (ja) * 2011-08-24 2013-03-04 Kao Corp 発熱具
JP2017225813A (ja) * 2016-06-17 2017-12-28 花王株式会社 蒸気温熱具及びその使用方法
JP2018000376A (ja) * 2016-06-29 2018-01-11 桐灰化学株式会社 発熱体及び温熱具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95457B2 (ja) * 2008-03-21 2012-12-12 東洋紡株式会社 温熱具用不織布及びそれを用いた温熱具
JP5888495B2 (ja) * 2012-01-11 2016-03-22 東洋紡株式会社 柔軟性および耐摩耗性に優れた長繊維不織布およびその用途
DE112016006301B4 (de) * 2016-01-25 2024-04-25 Denso Corporation Heizvorrichtung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6325A (ja) * 1996-04-26 1997-11-18 Toyobo Co Ltd 複合繊維及びその製造法
JP2004024748A (ja) * 2002-06-28 2004-01-29 Asahi Kasei Fibers Corp 印刷性に優れたカイロ包材用不織布および使い捨てカイロ
JP2011250873A (ja) 2010-05-31 2011-12-15 Kao Corp 発熱具
JP2012245044A (ja) * 2011-05-25 2012-12-13 Suzuki Yushi Kogyo Kk 発熱用シートおよび発熱性貼付用具
JP2013042963A (ja) * 2011-08-24 2013-03-04 Kao Corp 発熱具
JP2017225813A (ja) * 2016-06-17 2017-12-28 花王株式会社 蒸気温熱具及びその使用方法
KR20190017904A (ko) * 2016-06-17 2019-02-20 카오카부시키가이샤 증기 온열구 및 그 사용 방법
JP2018000376A (ja) * 2016-06-29 2018-01-11 桐灰化学株式会社 発熱体及び温熱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397059B2 (ja) 2023-12-12
CN113507905A (zh) 2021-10-15
TW202033169A (zh) 2020-09-16
JPWO2020179135A1 (ko) 2020-09-10
WO2020179135A1 (ja) 2020-09-10
KR102630890B1 (ko) 2024-01-29
CN113507905B (zh) 2024-02-20
TWI736035B (zh) 2021-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9557B1 (ko) 경량 펠트재
JP5123512B2 (ja) 不織布
US4276338A (en) Absorbent article
CN102802490B (zh) 清扫片及清扫用具
JP5154048B2 (ja) 不織布
KR100788228B1 (ko) 화장료 함침용 피부 피복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이것을 사용한 페이스 마스크
JP4627035B2 (ja) 立体有孔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3989218B2 (ja) 吸収性物品
CN109689352A (zh) 纹理化清洁制品
TW201716045A (zh) 吸收性物品
JP2002173863A (ja) 吸収性物品の表面シート
KR20090023338A (ko) 부직포
KR20090023340A (ko) 부직포
CN104661575A (zh) 个人护理清洁用品
ES2753363T3 (es) Revestimiento para mueble acolchado
JP5973706B2 (ja) 吸収性物品
JP4338327B2 (ja) 吸収性物品
JP2008285433A (ja) 化粧料含浸皮膚被覆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S61125343A (ja) 吸収性物品の表面材およびその製法
JP2016108714A (ja) 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吸収性物品
CN109152684A (zh) 吸收性物品
WO2018051518A1 (ja) 吸収性物品
KR20210083319A (ko) 온열구
JP7337494B2 (ja) 吸収性物品用の透液性シート
JPH0819570A (ja) 防漏用シート及び衛生材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