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1800A - 강판코일 단면측판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강판코일 단면측판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1800A
KR20210081800A KR1020190174094A KR20190174094A KR20210081800A KR 20210081800 A KR20210081800 A KR 20210081800A KR 1020190174094 A KR1020190174094 A KR 1020190174094A KR 20190174094 A KR20190174094 A KR 20190174094A KR 20210081800 A KR20210081800 A KR 202100818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erial plate
plate
coil
unit
circular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4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정익
곽훈이
김태욱
Original Assignee
(주)포스코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포스코엠텍 filed Critical (주)포스코엠텍
Priority to KR1020190174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81800A/ko
Publication of KR20210081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18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125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for thin material, e.g. for sheets, strip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24Transferring coils to or from winding apparatus or to or from operative position therein; Preventing uncoiling during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0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 B26D1/045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for thin material, e.g. for sheets, strip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6D7/015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for sheet material or piles of she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다양한 강판코일의 외경에 대응할 수 있도록 단일 장비를 이용하여 다양한 사이즈의 단면측판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한 본 발명에 따른 강판코일 단면측판 제조장치는 코일 형태로 감겨져 있는 소재판을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소재판을 동심원 형태의 내측원과 외측원을 형성하는 원형커팅부, 상기 소재판을 상기 공급부로부터 상기 원형커팅부를 향해 이송하는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공급부와 상기 원형커팅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강판코일의 외경정보에 따라 상기 소재판을 커팅하여 제1소재판을 형성하는 선형커팅부 및 상기 제1소재판의 이송경로에 배치되어 상기 제1소재판 이후에 공급되는 제2소재판을 상기 제1소재판에 연결하여 상기 제1소재판의 폭을 확장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강판코일 단면측판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ide plate for packaging steel coil}
본 발명은 강판코일 단면측판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강판코일의 양측 단면을 보호하기 위한 단면측판을 제조하는 강판코일 단면측판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공장에서 생산된 강판은 코일 형태로 감겨진 후, 양측면에 포장용 단면측판을 부착하고 스트랩으로 묶어 포장을 한다.
이때, 단면측판은 사각형의 소재판을 두 개의 동심원인 내측원형과 외측원형이 형성되도록 커팅하는 공정으로 제조한다. 이러한 단면측판의 제조공정을 좀 더 자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단면측판을 제조할 소재 코일을 재단기에서 일정크기의 사각판으로 만든다. 그런 다음, 하나의 제조라인에서는 단면측판의 내측 동심원인 내측원형이 형성되도록 소재판을 커팅하고, 다른 하나의 제조라인에서는 포장용 측판의 외측 동심원인 외측원형이 형성되도록 소재판을 커팅한다. 결과적으로, 복수의 제조라인에서 사각형 소재판을 커팅하여 내측과 외측의 동심원인 내측원형과 외측원형을 형성시킴으로써, 도넛 형상의 포장용 측판을 제조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코일 포장용 측판 제조장치는 두 개의 제조라인에서 각각의 작업공정을 거쳐서 제품으로 생산되는 한계점이 있다. 이로 인하여, 하나의 제품을 만들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생산적인 측면에서 일정시간에 따른 생산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하나의 제품을 만들기 위해서 두 개의 제조라인이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설비투자비용이 높아지며, 두 개의 제조라인이 차지하는 설비공간으로 인하여 공간활용적인 측면에서 비효율적이다. 아울러, 작업자가 무거운 중량의 소재판을 직접 다루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안전사고가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강판 코일은 다양한 외경을 가질 수 있기때문에, 다양한 강판 코일의 외경 사이즈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측판 제조장치를 마련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757070호 (2007. 09. 10.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강판코일의 외경에 대응할 수 있도록 단일 장비를 이용하여 다양한 사이즈의 단면측판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한 강판코일 단면측판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강판코일 단면측판 제조장치는 코일 형태로 감겨져 있는 소재판을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소재판을 동심원 형태의 내측원과 외측원을 형성하는 원형커팅부, 상기 소재판을 상기 공급부로부터 상기 원형커팅부를 향해 이송하는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공급부와 상기 원형커팅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강판코일의 외경정보에 따라 상기 소재판을 커팅하여 제1소재판을 형성하는 선형커팅부 및 상기 제1소재판의 이송경로에 배치되어 상기 제1소재판 이후에 공급되는 제2소재판을 상기 제1소재판에 연결하여 상기 제1소재판의 폭을 확장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부는 상기 소재판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소재판을 이송하는 제1컨베이어 및 상기 제1컨베이어로부터 상기 소재판을 전달받아 상기 소재판의 폭 방향으로 상기 소재판을 이송하는 제2컨베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강판코일의 외경이 상기 소재판의 폭보다 작으면, 상기 제2컨베이어는 상기 제1소재판을 상기 원형커팅부로 이송할 수 있다.
상기 강판코일의 외경이 상기 소재판의 폭보다 크면, 상기 제2컨베이어는 상기 제1소재판의 일부를 상기 연결부의 하측에 정렬하고, 상기 제2소재판의 일부가 상기 제1소재판에 일부 중첩되도록 상기 제2소재판을 이송할 수 있다.
상기 강판코일 단면측판 제조장치는 상기 원형커팅부로부터 상기 단면측판을 배출하는 배출유닛, 상기 원형커팅부의 일측방에 배치되어 상기 배출유닛에 의해 배출되는 상기 단면측판을 지지하는 배출테이블 및 상기 원형커팅부에 의해 제조된 상기 단면측판의 잔여 스크랩을 수용하는 스크랩박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강판코일 단면측판 제조방법은 공급부가 코일 형태로 감겨있는 소재판을 공급하는 소재판 공급단계, 선형커팅부가 상기 강판코일의 외경정보에 따라 상기 소재판을 커팅하여 제1소재판을 형성하는 제1소재판 형성단계, 이송부가 상기 제1소재판을 상기 제1소재판의 길이방향으로 이송하는 소재판 이송단계, 연결부가 상기 제1소재판 이후에 공급되는 제2소재판을 상기 제1소재판에 연결하여 상기 제1소재판의 폭을 확장시키는 소재판 확장단계 및 원형커팅부가 서로 연결된 상기 제1소재판과 제2소재판을 커팅하는 소재판 커팅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강판코일 단면측판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은 다양한 강판코일의 외경에 대응하여 다양한 사이즈의 단면측판을 제조할 수 있으므로, 설비투자비용을 절감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뿐만 아니라,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판코일 단면측판 제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판코일 단면측판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판코일 단면측판 제조장치의 공정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강판코일 단면측판 제조장치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판코일 단면측판 제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판코일 단면측판 제조장치는 공급부(100), 원형커팅부(200), 이송부(300), 선형커팅부(400) 및 연결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급부(100)는 소재판(10)을 공급한다. 공급부(100)는 코일 형태로 회전축에 감겨져 있는 소재판(10)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구동하여, 소재판(10)이 공급되도록 하는 언코일러(uncoiler)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원형커팅부(200)는 소재판(10)에 외측원형과 내측원형을 형성한다. 원형커팅부(200)는 외측회전커터(210)와 내측회전커터(230)를 포함할 수 있다. 외측회전커터(210)와 내측회전커터(230)는 각각 소재판의 상/하측에 서로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회전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상부커터와 하부커터를 각각 포함하며, 상부커터는 승강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상부커터는 하강하여 하부커터와 함께 소재판(10)의 상면과 하면을 함께 가압하는 상태가 되고 상부커터와 하부커터가 동시에 회전하면, 소재판(10)은 상부커터와 하부커터에 의해 회전하면서 커팅된다. 물론, 상부커터와 하부커터는 소재판(10)의 중심을 향해 직선 이송 가능하게 마련되어 강판코일의 내경정보와 외경정보에 따라 그 위치가 가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송부(300)는 소재판(10)을 공급부로부터 원형커팅부(200)로 이송한다. 이송부(300)는 제1컨베이어(310)와 제2컨베이어(3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컨베이어(310)는 소재판(10)을 제1방향으로 이송한다. 제2컨베이어(330)는 소재판(10)을 제1방향에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이송한다. 제1방향은 공급부(100)로부터 공급되는 소재판(10)의 길이 방향이며, 제1방향은 공급부(100)로부터 공급되는 소재판(10)의 폭 방향이다. 제1컨베이어(310)와 제2컨베이어(330)는 회전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구동롤러와, 체인과 같은 동력전달 수단에 회전축이 연결된 다수의 종동롤러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선형커팅부(400)는 공급부(100)와 원형커팅부(200)의 사이에 배치된다. 선형커팅부(400)는 강판코일의 외경정보에 따라 소재판(10)을 커팅하여 기 설정된 길이의 제1소재판(11)을 형성한다. 선형커팅부(400)는 소재판(10)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상부커터와 하부커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커터가 하부커터를 향해 하강하면 상부커터와 하부커터의 사이에 위치한 소재판(10)이 커팅될 수 있다.
연결부(500)는 제1컨베이어(310)와 제2컨베이어(330)의 사이에 배치된다. 연결부(500)는 강판코일의 외경정보에 따라 기 설정된 길이를 가지고 제1소재판(11) 이후에 공급되는 제2소재판(12)을 제1소재판(11)에 연결하여 제1소재판(11)의 폭을 확장시킨다. 연결부(500)는 제1방향, 즉 제1소재판(11)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용접기를 사용할 수 있다. 용접기는 소재판(10)의 하측에 배치되는 접지봉과, 소재판(10)을 향해 하강 구동되는 용접봉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원형커팅부(200)의 이후에는 제조가 완료된 단면측판(20)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600)가 배치될 수 있다. 원형커팅부(200)의 일측방에는 배출유닛(610)이 배치되고, 배출유닛(610)의 일측방에는 배출된 단면측판(20)을 임시로 지지하기 위한 배출테이블(630)이 배치될 수 있다. 원형커팅부(200)와 배출테이블(630)의 사이에는 단면측판(20)을 제조하고 남은 잔여 스크랩을 수용하는 스크랩박스(650)가 배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강판코일 단면측판 제조장치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판코일 단면측판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3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판코일 단면측판 제조장치의 공정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공급부(100)로부터 풀려나온 소재판(10)은 제1컨베이어(310)에 안착된다. 공급부(100)가 소재판(10)을 공급하고, 제1컨베이어(310)가 가동됨에 따라 소재판(10)은 제2컨베이어(330)를 향해 이송된다.
강판코일의 외경정보에 따라 선형커팅부는 소재판(10)을 커팅하여 기 설정된 길이를 갖는 제1소재판(11)을 형성한다. 제1컨베이어(310)는 제1소재판(11)을 계속 이송하며, 제1소재판(11)은 제2컨베이어(330)에 안착된다. 제2컨베이어(330)는 제2방향으로 제1소재판(11)을 이송한다. 이때, 강판코일의 외경이 제1소재판(11)의 폭 보다 작은 경우, 제2컨베이어(330)는 제1소재판(11)을 원형커팅부(200)까지 이송한다.
만약, 강판코일의 외경이 제1소재판(11)의 폭 보다 큰 경우, 제2컨베이어(330)는 제1소재판(11)을 제2방향으로 이송하되, 제1소재판(11)의 일부가 연결부(500)의 하측에 위치하면 제1소재판(11)의 이송을 중단한다. 계속해서 제1소재판(11)과 동일한 길이로 커팅된 제2소재판(12)은 제1컨베이어(310)에 의해 제1소재판(11) 이후에 공급되는 제2소재판(12)은 제1컨베이어(310)에 의해 제2컨베이어(330)에 안착된다. 제2컨베이어(330)는 제2소재판(12)을 제2방향으로 이송하며, 제1소재판(11)과 제2소재판(12)의 일부에 중첩된다.
이때, 연결부(500)는 서로 중첩된 제1소재판(11)과 제2소재판(12)을 용접하여 제1소재판(11)의 폭을 확장시킨다.
계속해서, 폭이 확장된 소재판(11, 12)은 원형커팅부(200)로 이송된다. 원형커팅부(200)는 강판코일의 내경정보에 따라 내측원형커터(230)가 정렬되고, 강판코일의 외경정보에 따라 외측원형커터(210)가 정렬된 후, 내측원형커터(230)와 외측원형커터(210)가 함께 회전하여 동심원을 이루는 강판코일 단면측판(20)을 제조할 수 있다.
게속해서, 배출(610)은 단면측판(20)을 배출테이블(630)로 배출한 후, 원형커팅부(200)에 남아있는 잔여 스크랩을 스크랩박스(650)에 배출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판코일 단면측판 제조장치는 다양한 강판코일의 외경에 대응하여 다양한 사이즈의 단면측판을 제조할 수 있으므로, 설비투자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 : 소재판 11 : 제1소재판
12 : 제2소재판 20 : 단면측판
100 : 공급부 200 : 원형커팅부
300 : 이송부 400 : 선형커팅부
500 : 연결부

Claims (6)

  1. 코일 형태로 감겨져 있는 소재판을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소재판을 동심원 형태의 내측원과 외측원을 형성하는 원형커팅부;
    상기 소재판을 상기 공급부로부터 상기 원형커팅부를 향해 이송하는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공급부와 상기 원형커팅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강판코일의 외경정보에 따라 상기 소재판을 커팅하여 제1소재판을 형성하는 선형커팅부;
    상기 제1소재판의 이송경로에 배치되어 상기 제1소재판 이후에 공급되는 제2소재판을 상기 제1소재판에 연결하여 상기 제1소재판의 폭을 확장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코일 단면측판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소재판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소재판을 이송하는 제1컨베이어;및
    상기 제1컨베이어로부터 상기 소재판을 전달받아 상기 소재판의 폭 방향으로 상기 소재판을 이송하는 제2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코일 단면측판 제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코일의 외경이 상기 소재판의 폭보다 작으면,
    상기 제2컨베이어는 상기 제1소재판을 상기 원형커팅부로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코일 단면측판 제조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코일의 외경이 상기 소재판의 폭보다 크면,
    상기 제2컨베이어는 상기 제1소재판의 일부를 상기 연결부의 하측에 정렬하고, 상기 제2소재판의 일부가 상기 제1소재판에 일부 중첩되도록 상기 제2소재판을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코일 단면측판 제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커팅부로부터 상기 단면측판을 배출하는 배출유닛;
    상기 원형커팅부의 일측방에 배치되어 상기 배출유닛에 의해 배출되는 상기 단면측판을 지지하는 배출테이블;및
    상기 원형커팅부에 의해 제조된 상기 단면측판의 잔여 스크랩을 수용하는 스크랩박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면측판 제조장치.
  6. 공급부가 코일 형태로 감겨있는 소재판을 공급하는 소재판 공급단계;
    선형커팅부가 강판코일의 외경정보에 따라 상기 소재판을 커팅하여 제1소재판을 형성하는 제1소재판 형성단계;
    이송부가 상기 제1소재판을 상기 제1소재판의 길이방향으로 이송하는 소재판 이송단계;
    연결부가 상기 제1소재판 이후에 공급되는 제2소재판을 상기 제1소재판에 연결하여 상기 제1소재판의 폭을 확장시키는 소재판 확장단계;및
    원형커팅부가 서로 연결된 상기 제1소재판과 제2소재판을 커팅하는 소재판 커팅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코일 단면측판 제조방법.
KR1020190174094A 2019-12-24 2019-12-24 강판코일 단면측판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202100818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4094A KR20210081800A (ko) 2019-12-24 2019-12-24 강판코일 단면측판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4094A KR20210081800A (ko) 2019-12-24 2019-12-24 강판코일 단면측판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1800A true KR20210081800A (ko) 2021-07-02

Family

ID=76897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4094A KR20210081800A (ko) 2019-12-24 2019-12-24 강판코일 단면측판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8180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7070B1 (ko) 2006-10-31 2007-09-10 주식회사 삼정피앤에이 코일 포장용 측판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7070B1 (ko) 2006-10-31 2007-09-10 주식회사 삼정피앤에이 코일 포장용 측판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82541B2 (ja) 鋼板の組合せせん断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CN205989366U (zh) 全自动三工位数控纸管精切机
KR100757070B1 (ko) 코일 포장용 측판 제조장치
KR20210081800A (ko) 강판코일 단면측판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EP2018324B1 (en) Machine for applying a flexible carrier to a plurality of containers
KR102451327B1 (ko) 형강 자동 이송 장치
CN103072840A (zh) 芯管应用回收系统、方法以及芯管回收系统
KR100445612B1 (ko) 폐단면을 갖는 입체형 제품을 성형하기 위한 롤포밍형 판금가공장치와 그러한 판금가공장치를 이용하여 입체형제품을 성형하는 방법
CN205732462U (zh) 一种角钢切断装置
US6886251B1 (en) Beam fabrication system
CN104526050B (zh) 开料系统及其应用方法
CN112093186A (zh) 一种垛料切膜设备及拆膜方法
CN104129670A (zh) 一种预涂膜装置
KR960000557B1 (ko) 알루미늄판의 원형커팅장치
KR102086394B1 (ko) 변류기 환형코아 권취 자동제작 시스템 및 그 변류기 권취 환형코아 자동 제작 시스템 운용방법
CN102424144B (zh) 撑开单元的引导装置和引导至少一个材料幅端部的方法
KR101507659B1 (ko) 고효율 모터용 스파이럴 스테이터 코어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JPH0429498B2 (ko)
KR20150069981A (ko) 고효율 모터용 스파이럴 스테이터 코어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KR20160116682A (ko) 자동차의 배관용 보호튜브의 삽입장치
CN103878595A (zh) 烤盘铁条成型生产线
KR102005588B1 (ko) 고효율 모터용 스파이럴 스테이터 코어의 제조를 위한 모재 공급 장치 및 방법
KR20090019613A (ko) 슬리터의 아버단부 지지컬럼 퇴피기구
KR20130051732A (ko) 자동식 종이가공물 부착장치
CN105108353A (zh) 一种用于打印机辊轮的切割剥料一体化产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