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9981A - 고효율 모터용 스파이럴 스테이터 코어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고효율 모터용 스파이럴 스테이터 코어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9981A
KR20150069981A KR1020140002857A KR20140002857A KR20150069981A KR 20150069981 A KR20150069981 A KR 20150069981A KR 1020140002857 A KR1020140002857 A KR 1020140002857A KR 20140002857 A KR20140002857 A KR 20140002857A KR 20150069981 A KR20150069981 A KR 201500699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or core
spiral stator
spiral
manufacturing
w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2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8213B1 (ko
Inventor
정인규
Original Assignee
(주)항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항남 filed Critical (주)항남
Priority to KR1020140002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8213B1/ko
Publication of KR20150069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99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8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82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스파이럴 스테이터 코어의 제조 장치는 강판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전기강판을 타발하여 2조의 모재를 분리하는 블랭킹부; 회전 및 상하운동을 하는 제1 호퍼와 상기 제1 호퍼의 양측에 설치되는 제1 서보모터 및 제2 서보모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블랭킹부에서 공급되는 2조의 모재를 상기 제1 호퍼에 저장하기 위한 어큐뮬레이터부; 상기 어큐뮬레이터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2조의 모재를 스파이럴 스테이터 코어의 형태로 와인딩하기 위한 와인딩부; 상기 와인딩부의 일측에 설치되고 복수 개의 이송 지그가 설치된 회전 테이블; 상기 회전 테이블의 일측에 설치되고 가압 하부 지그가 설치된 가압부; 및 상기 회전 테이블의 다른 일측에 설치되고 검사 지그가 설치된 검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효율 모터용 스파이럴 스테이터 코어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piral Stator Core for High Efficient Motor}
본 발명은 스테이터 모터용 코어의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고효율 모터에 적합한 재질의 전기강판을 이용하여 스테이터 코어를 스파이럴 형태로 제작할 수 있는 고효율 모터용 스파이럴 스테이터 코어의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터는 스테이터와 로터로 구성되는데, 드럼세탁기 등에 사용되는 모터는 회전하는 로터가 외측에, 스테이터가 로터의 내측에 위치한다. 이러한 형태의 스테이터의 경우, 코일이 와인딩되는 코어의 티스 부분(도 3의 도면부호 110 참조)이 코어의 외주면을 따라 바깥쪽 방사상으로 형성된 형태의 코어를 갖는다. 이러한 형태의 코어를 아우터 타입 스테이터 코어(outer type stator core)라고 한다. 반면, 코어의 티스 부분이 코어의 원의 중심쪽으로 향하는 형태의 코어를 이너 타입 스테이터 코어(inner type stator core)라 한다.
한편, 종래의 스테이터 코어를 제조하는 일반적인 방법은 전기강판으로부터 6등분한 원호형상의 코어를 타발하고, 이 타발된 코어를 여러장 적층하여 6개의 분할코어 적층체를 형성한 다음, 이 6개의 분할코어 적층체를 용접하여 하나의 코어를 만드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방법은 전기강판에 곡선호 모양으로 타발하기 때문에 전기강판으로부터 타발되고 남아서 버려지는 부분이 매우 많아서, 자재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전기강판에 직선으로 타발할 수 있다면 버려지는 전기강판의 양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대한민국특허 제10-0911880호(이하 "선행특허문헌 1")에서는 전기강판을 직선으로 타발하고, 각 공정을 효율적으로 배치하여 생산량을 증대시키고 제조비용을 낮춘 스파이럴 코어의 제조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특허 제10-0902628호(이하 "선행특허문헌 2")에서는 타발된 전기 강판을 스파이럴 형태로 와인딩하고 2 단계로 가압하여 스테이터 코어를 제조하는 장치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선행특허문헌 1 및 2의 장치에서 적용되는 전기강판은 압연성이 우수한 냉연강판(이하 "A형 전기강판")이다. 그런데, 최근 모터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다양한 시도가 있는데, 이러한 시도 중의 하나로 스테이터 코어의 재질을 A형 전기강판 보다 압연성은 우수하지 않으나 두께가 약 1/2 정도로 얇은 형태의 전기강판(이하 "B형 전기강판")을 적용한 것이 있다. 이러한 B형 전기강판을 이용하여 스테이터 코어를 제작할 때, 분할 및 적층형으로 제작하는 데에는 기존의 제조 공법과 크게 차이가 나지 않지만, 스파이럴 형태로 제작하는 경우 전기강판의 물리적 특성이 상이하여 기존의 스파이럴 코어의 제조 장치에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B형 전기강판을 이용하여 스파이럴 스테이터 코어를 제조하기에 적합하고, 생산 효율이 높은 스파이럴 코어의 제조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B형 전기강판을 이용하여 스파이럴 스테이터 코어를 제작할 수 있는 스파이럴 스테이터 코어의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제조 공정수를 줄이고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는 스파이럴 스테이터 코어의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기타 내재되어 있는 목적은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파이럴 스테이터 코어의 제조 장치는
강판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전기강판을 타발하여 2조의 모재를 분리하는 블랭킹부;
회전 및 상하운동을 하는 제1 호퍼와 상기 제1 호퍼의 양측에 설치되는 제1 서보모터 및 제2 서보모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블랭킹부에서 공급되는 2조의 모재를 상기 제1 호퍼에 저장하기 위한 어큐뮬레이터부;
상기 어큐뮬레이터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2조의 모재를 스파이럴 스테이터 코어의 형태로 와인딩하기 위한 와인딩부;
상기 와인딩부의 일측에 설치되고 복수 개의 이송 지그가 설치된 회전 테이블;
상기 회전 테이블의 일측에 설치되고 가압 하부 지그가 설치된 가압부; 및
상기 회전 테이블의 다른 일측에 설치되고 검사 지그가 설치된 검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가압 하부 지그에는 상기 스파이럴 스테이터 코어의 내측면을 지지하기 위한 내경 지지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가압 하부 지그에는 상기 스파이럴 스테이터 코어의 내측면을 지지하기 위한 내경 지지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가압 하부 지그에는 상기 스파이럴 스테이터 코어의 내측면을 지지하기 위한 내경 지지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은 B형 전기강판을 이용하여 스파이럴 스테이터 코어를 제작할 수 있고, 제조 공정 수를 줄일 수 있으며,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는 스파이럴 스테이터 코어의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발명의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파이럴 스테이터 코어의 제조 장치의 전체 레이아웃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파이럴 스테이터 코어의 제조 장치에서 전기강판이 타발되어 모재로 공급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파이럴 스테이터 코어의 제조 장치에서 제작되는 스파이럴 스테이터 코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파이럴 스테이터 코어의 제조 장치의 외인딩부, 회전 테이블, 가압부 및 검사부의 레이아웃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파이럴 스테이터 코어의 가압부에 적용되는 가압 하부 지그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파이럴 스테이터 코어의 가압 하부 지그에 스테이터 코어가 삽입되어 있는 형상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파이럴 스테이터 코어(100)의 제조 장치의 전체 레이아웃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파이럴 스테이터 코어의 제조 장치는 크게 전기강판 공급부(1), 블랭킹부(2), 어큐뮬레이터부(3)와 회전 테이블(5)의 일측에 위치하는 와인딩부(4), 가압부(6), 검사부(7) 및 바니쉬 도포부(8)로 이루어진다.
전기강판 공급부(1)는 소정의 폭을 갖는 전기강판을 연속적으로 블랭킹부(2)에 공급하는 장치이다. 이 전기강판 공급부(1)는 크게 멀티 크래들(11), 레벨러(12) 및 웰딩 장치(13)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스파이럴 스테이터 코어의 제조 장치는 B형 전기강판을 가공하는 장치이므로, 이하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으면 "전기강판"은 "B형 전기강판"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한다.
멀티 크래들(11)은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전기강판을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장치이다. 이를 위하여 도 1에서와 같이 다수 개의 전기강판을 공급하는 크래들이 2조를 이루어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공급되는 전기강판은 레벨러(12)를 통과하면서 수평으로 펴지게 된다. 보통 전기강판은 롤 형태로 보관 및 공급되기 때문에 크래들에서 공급되는 전기강판은 약간의 휘어짐이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이러한 휘어짐을 편편하게 펴주기 위해 레벨러를 설치한다. 레벨러를 통과한 각각의 전기강판은 웰딩 장치(13)를 통과하면서 하나의 연결된 전기강판으로 되어 이후의 블랭킹부(2)로 공급된다. 한편, B형 전기강판은 A형 전기강판에 비하여 표면이 미끄럽고, 두께가 얇아서 한 쪽에서 인장력을 가할 경우 변형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롤의 중심부에 회전 구동 수단(도시되지 않음)을 설치하여, 이 회전 구동 수단과 레벨러(12)의 구동 속도가 일치하도록 연동하여 작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블랭킹부(2)는 일종의 프레스 장치로서, 전기강판을 타발(blanking)하여 스파이럴 코어의 모재로 사용할 수 있도록 가공해주는 장치이다. 도 2에는, 본 발명에서 전기강판(200)이 타발되어 모재(103)로서 공급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좌측 도면과 같이 전기강판(200)에 스파이럴 코어의 모재(103)가 2개의 겹쳐진 형태로 타발되어 우측 도면과 같이, 2조의 모재(103)를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타발하면, 종래의 분할적층형 코어보다 타발 공정에서 버려지는 전기강판의 양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2조의 모재(103)를 동시에 스파이럴 코어로 제작할 수 있어 생산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프레스(21)를 통과한 전기강판은 세퍼레이터(22)를 통과하면서 2조의 모재(103)로 분리되어 다음 공정인 어큐뮬레이터부(3)로 공급된다.
한편, 모재(103)를 원형으로 감아서 절단하면 스파이럴 코어의 형태가 완성된다. 이와 같은 모재의 와인딩 및 절단 작업은 와인딩부(4)에서 이루어진다. 그런데, 블랭킹부(2)를 통과하여 공급되는 모재(103)의 속도는 와인딩부(4)에서 와인딩되어 그 다음 공정으로 넘어가는 속도보다 빠르기 때문에, 이 두 공정 사이에서 완충작용을 해주는 공정이 필요하다. 이러한 공정을 수행하는 것이 바로 어큐뮬레이터부(3)이다.
어큐뮬레이터부(3)는 중심부에 설치된 원형의 제1 호퍼(31) 및 제2 호퍼(32)와 제1 및 제2 호퍼(31, 32)의 양측에서 모재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제1 서보모터(33) 및 제2 서보모터(34)로 구성된다. 제1 호퍼(31)는 회전하면서 모재(103)를 감아 저장하고 또한 상하운동을 하도록 설치되는데, 제1 서보모터(32)의 작동에 의하여 모재(103)는 제1 호퍼(31)에 감기게 되고 제1 호퍼(31)는 상승한다. 이 때, 제2 서보모터(34)가 작동하면, 모재(103)는 와인딩부(4)로 공급되면서 제2 호퍼(32)는 하강한다. 따라서, 제1 및 제2 호퍼(31, 32)는 적당한 높이로 상승하면서 많은 양의 모재(103)를 감아올려 저장하면서 제2 서보모터(33)의 작동에 의해 와인딩부(4)로 모재를 공급한다. 종래의 스파이럴 스테이터 코어의 제조 장치는 하나의 호퍼를 적용하고 있는데, 하나의 호퍼를 적용할 경우, 호퍼의 높이가 높아져 작동시 진동이나 흔들림 등에 의하여 불안정하고, 작업자가 유지보수를 위해 접근하기가 쉽지 않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높이를 종래의 호퍼보다 낮게 2 개의 호퍼를 적용하고 있다. 제1 호퍼(31) 및 제2 호퍼(32) 사이에 2 조의 모재의 공급과 두 호퍼의 작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서보 모터를 적용하여도 좋다.
와인딩부(4)는 어큐뮬레이터부(3)로부터 공급되는 모재(103)를 수평으로 소정의 높이만큼 감아서, 스파이럴 스테이터 코어(100)의 형태로 만드는 장치이다. 와인딩부(4)는 회전 테이블(5)의 일측에 위치하고 있고, 회전 테이블(5)의 다른 일측에는 가압부(6)가, 또 다른 일측에는 검사부(7)가, 또 다른 일측에는 바니쉬 도포부(8)가 위치한다. 이들 각각의 자세한 구성은 아래 도 4를 참조하여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파이럴 스테이터 코어의 제조 장치에서 제작되는 스파이럴 스테이터 코어(100)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스파이럴 스테이터 코어(10)는 직선의 모재(103)를 와인딩부(4)에서 원형으로 감아서 연직 방향으로 적층된 형태를 갖는다. 원형의 스파이럴 스테이터 코어(10)에는 방사상으로 다수의 티스(105)가 형성되어 있다. 티스(110)의 내측 방향에는 핀 홀(105)이 형성되어 있고, 핀 홀(105)의 내측 방향 끝 단 부분을 내경부(101)라 지칭한다. 인접하는 두 티스 사이의 공간을 슬롯(115)이라고 하는데, 슬롯(115)의 내측 단 부분을 외경부(102)라 한다. 이들 각 부분은 가압부(6)의 가압 하부 지그(60)의 형상 및 접촉 부분과 연관되는데, 자세한 것은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파이럴 스테이터 코어의 제조 장치의 와인딩부(4), 회전 테이블(5), 가압부(6) 및 검사부(7)의 레이아웃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테이블(5)을 중심으로 그 일측에 와인딩부(4)가 설치된다. 회전 테이블(5)의 다른 일측에는 가압부(6)가 설치된다. 회전 테이블(5)의 또 다른 일측에는 검사부(7)가 설치된다. 회전 테이블(5)의 또 다른 일측에는 바니쉬 도포부(8)가 설치된다.
와인딩부(4)는 어큐뮬레이터부(3)로부터 공급되는 모재(103)를 소정의 높이만큼 감아서, 스파이럴 스테이터 코어(100)의 형태를 만드는 장치이다. 와인딩부(4)는 어큐뮬레이터부(3)의 일측에 설치된다. 와인딩부(4)에는 모재(103)가 순차적으로 유입되어 원형의 형상으로 감기도록 하는 회전 수단인 와인딩 머신(41)이 설치되어 있다. 이 와인딩 머신(41)의 작동에 의하여 와인딩 지그(42)가 회전하면서, 와인딩 지그(42) 내부에 원형의 스파이럴 스테이터 코어의 형상이 갖추어진다. 와인딩이 완료된 스파이럴 스테이터 코어는 와인딩부(4)의 일측에 설치된 회전 테이블(5) 상의 이송 지그(50) 위로 이송된다. 와인딩이 완료된 스파이럴 스테이터 코어의 이송은 와인딩부(4)와 회전 테이블(5) 상부에 설치된 트랜스퍼(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회전 테이블(5)은 90도를 한 피치로 하여, 한 피치씩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회전 테이블(5)의 각각의 일측에 설치되는 와인딩부(4), 가압부(6), 검사부(7) 및 바니쉬 도포부(8)로의 이송을 위하여 회전 테이블(5)의 상부에는 4 쌍의 이송 지그(50)가 설치된다. 와인딩부(4)에서 인접한 이송 지그(50)로 이송된 한 쌍의 스파이럴 스테이터 코어(100)는 회전 테이블(5)의 시계방향 90도 회전에 의하여, 가압부(6)의 일측에 위치한다.
가압부(6)와 회전 테이블(5)의 상부에 설치된 트랜스퍼(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스파이럴 스테이터 코어(100)는 가압부(6)의 가압 하부 지그(60) 위로 이송되어 가압되며, 가압이 완료되면 다시 이송 지그(50)로 이송된다. 가압 하부 지그(60)의 상세한 구성은 추후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이송 지그(50)를 별도로 분리 가능하도록 설계함으로써, 트랜스퍼에 의하여 가압이 완료된 스테이터 코어(100)를 이송하지 않고, 이송 지그(50)에 스테이터 코어(100)가 삽입된 상태로 이송하여도 좋다. 이렇게 함으로써, 이송 지그(50) 내에서 스테이터 코어(100)를 분리해내어 이송할 때 발생하는 스테이터 코어(100)의 외관 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회전 테이블(5)이 시계방향 90도 회전을 하면, 스파이럴 스테이터 코어(100)가 안착되어 있는 이송 지그(50)는 검사부(7)의 일측에 위치한다. 이 스테이터 코어(100)는 검사부(7)와 회전 테이블(5) 상부에 설치된 트랜스퍼(도시되지 않음)의 작동에 의해 검사부 상의 검사 지그(70)로 이송된다. 물론,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송 지그(50)에 스테이터 코어(100)가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함께 이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검사 지그(70)에 놓인 스파이럴 스테이터 코어(100)는 육안 또는 검사 도구를 사용하여 이상 유무를 검사하여도 좋고, 별도의 검사 지그를 사용하여, 스테이터 코어(100) 상부로 검사 지그를 위치시켜, 검사 지그 내에 스테이터 코어(100)가 잘 위치하는 지를 검사한다. 검사 결과 불량으로 판정된 스테이터 코어는 바니쉬 도포부(8)에서 바니쉬 도포 없이 불량품 컨베이어(83)으로 배출된다.
검사 지그(70)에서 검사가 완료된 코어(100)는 다시 이송 지그(50)로 이송되며, 다시 시계방향 90도 회전에 의하여 바니쉬 도포부(8)의 일측으로 이송된다. 마찬가지로, 스테이터 코어(100)는 회전 테이블(5)과 바니쉬 도포부(8) 상부에 설치된 트랜스퍼(도시되지 않음)의 작동에 의하여, 이송 지그(50)로부터 바니쉬 도포부(8)의 코어 클램프(81)로 이송된다. 코어 클램프(81)는 스테이터 코어(100)를 연직 방향으로 클램핑하여, 회전 시키면서 바니쉬 액이 스테이터 코어(100) 표면에 골고루 도포되도록 한다. 바니쉬 도포가 완료되면, 양품과 불량품을 구분하여 양품 컨베이어(82)와 불량품 컨베이어(83)를 통해 출하시킨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파이럴 스테이터 코어의 가압부(6)에 적용되는 가압 하부 지그(60)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파이럴 스테이터 코어의 가압 하부 지그에 스테이터 코어가 삽입되어 있는 형상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압 하부 지그(60)는 그 내부에 스테이터 코어(100)가 도면에서 나오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내경지지부(61)와 외경지지부(62) 사이에 삽입되고, 코어 하부 지지부(63)는 스테이터 코어(100)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면서 스테이터 코어(100)의 하부를 지지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스테이터 코어(100)의 내경부(101)를 지지하기 위하여 내경 지지부(61)가 돌출되어 형성되며, 스테이터 코어(100)의 외경부를 지지하기 위하여 외경 지지부(62)가 형성된다. 스테이터 코어(100)는 코어 하부 지지부(63) 위에 놓인다. 코어 하부 지지부(63)는 티스(110)의 형상과 유사한 형상을 포함한다. 즉, 코어 하부 지지부(63)는 가압 하부 지그(60)에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며, 스테이터 코어(100)가 코어 하부 지지부(63) 위에 놓일 때, 스테이터 코어(100)는 내경 지지부(61)와 외경 지지부(62) 사이에 삽입되면서, 스테이터 코어(100)의 흐트러진 부분이 전체적으로 정렬된다. 이렇게 정렬된 상태에서 스테이터 코어(100)의 형상에 대응하는 상부 지그(도시되지 않음)가 하강하여 코어(100)를 가압하여 스테이터 코어(100)의 형태를 완성한다.
이상과 같은 스파이럴 스테이터 코어의 제조 장치와 관련하여, 스테이터 코어를 제작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기강판 공급부(1)로부터 공급되는 전기강판을 타발하여 2 조로 분리한다. 이렇게 직선으로 공급되는 전기강판을 타발에 의하여 2조로 분리하여 어큐물레이터부(3)를 거치게 한 다음, 와인딩부(4)에서 원형의 스테이터 코어의 형상으로 와인딩한다.
이렇게 와인딩된 스테이터 코어를 회전 테이블(5) 상의 이송 지그(50)로 이송한다. 이송이 완료되면 회전 테이블은 한 피치 만큼 회전하는데, 이송 지그(50)는 가압부(6) 일측에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이송 지그(50)에 있는 스테이터 코어를 가압한다.
이후, 회전 테이블이 한 피치 더 회전한 상태에서 상기 이송 지그(50)에 위치한 스테이터 코어는 검사부(7)에 위치하여 검사가 수행된다.
다음으로, 회전 테이블(5)이 한 피치 더 회전하여 스테이터 코어가 바니쉬 도포부(8)로 이동한 상태에서 스테이터 코어에 바니쉬를 도포한다. 바니쉬가 도포된 스테이터 코어는 양품 컨베이어(82)를 통해 출하된다.
검사부(7)에서 불량으로 판정된 스테이터 코어는 바니쉬 도포를 생략하고 불량품 컨베이어(83)로 배출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님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며, 이 범위 내에서의 단순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전기강판 공급부 2: 블랭킹부
3: 어큐뮬레이터부 4: 와인딩부
5: 회전 테이블 6: 가압부
7: 검사부 8: 바니쉬 도포부
11: 멀티 크래들 12: 레벨러
13: 웰딩 장치 21: 프레스
22: 세퍼레이터 31: 제1 호퍼
32: 제2 호퍼 33: 제1 서보 모터
34: 제2 서보 모터 41: 와인딩 머신
42: 와인딩 지그 50: 이송 지그
60: 가압 하부 지그 61: 내경 지지부
62: 외경 지지부 70: 검사 지그
63: 코어 하부 지지부 81: 코어 클램프
82: 양품 컨베이어 83: 불량품 컨베이어
100: 스테이터 코어 101: 내경부
102: 외경부 103: 모재
105: 핀 홀 110: 티스
115: 슬롯 200: 전기강판

Claims (4)

  1. 전기강판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전기강판을 타발하여 2조의 모재를 분리하는 블랭킹부;
    회전 및 상하운동을 하는 제1 호퍼와 상기 제1 호퍼의 양측에 설치되는 제1 서보모터 및 제2 서보모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블랭킹부에서 공급되는 2조의 모재를 상기 제1 호퍼에 저장하기 위한 어큐뮬레이터부;
    상기 어큐뮬레이터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2조의 모재를 스파이럴 스테이터 코어의 형태로 와인딩하기 위한 와인딩부;
    상기 와인딩부의 일측에 설치되고 복수 개의 이송 지그가 설치된 회전 테이블;
    상기 회전 테이블의 일측에 설치되고 가압 하부 지그가 설치된 가압부; 및
    상기 회전 테이블의 다른 일측에 설치되고 검사 지그가 설치된 검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이럴 스테이터 코어의 제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하부 지그에는 상기 스파이럴 스테이터 코어의 내측면을 지지하기 위한 내경 지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이럴 스테이터 코어의 제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하부 지그에는 상기 스파이럴 스테이터 코어의 내측면을 지지하기 위한 내경 지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이럴 스테이터 코어의 제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하부 지그에는 상기 스파이럴 스테이터 코어의 내측면을 지지하기 위한 내경 지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이럴 스테이터 코어의 제조 장치.
KR1020140002857A 2014-01-09 2014-01-09 고효율 모터용 스파이럴 스테이터 코어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KR1020282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2857A KR102028213B1 (ko) 2014-01-09 2014-01-09 고효율 모터용 스파이럴 스테이터 코어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2857A KR102028213B1 (ko) 2014-01-09 2014-01-09 고효율 모터용 스파이럴 스테이터 코어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6077A Division KR101507659B1 (ko) 2013-12-16 2013-12-16 고효율 모터용 스파이럴 스테이터 코어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9981A true KR20150069981A (ko) 2015-06-24
KR102028213B1 KR102028213B1 (ko) 2019-10-04

Family

ID=53516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2857A KR102028213B1 (ko) 2014-01-09 2014-01-09 고효율 모터용 스파이럴 스테이터 코어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82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1646B1 (ko) * 2021-02-09 2022-02-14 최명국 변류기 환형코아 권취 자동제작 시스템 및 그 변류기 권취 환형코아 자동 제작 시스템 운용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99908A (ja) * 2007-10-19 2009-05-07 Honda Motor Co Ltd 巻線方法及び巻線装置
KR20090048814A (ko) * 2007-11-12 2009-05-15 지에스티 반도체장비(주) 필름이송장치
KR100911880B1 (ko) * 2009-02-16 2009-08-11 (주)태화기업 스파이럴 스테이터 코어의 제조 장치
KR101064018B1 (ko) * 2010-01-14 2011-09-08 뉴모텍(주) 스테이터 코어의 제조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99908A (ja) * 2007-10-19 2009-05-07 Honda Motor Co Ltd 巻線方法及び巻線装置
KR20090048814A (ko) * 2007-11-12 2009-05-15 지에스티 반도체장비(주) 필름이송장치
KR100911880B1 (ko) * 2009-02-16 2009-08-11 (주)태화기업 스파이럴 스테이터 코어의 제조 장치
KR101064018B1 (ko) * 2010-01-14 2011-09-08 뉴모텍(주) 스테이터 코어의 제조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1646B1 (ko) * 2021-02-09 2022-02-14 최명국 변류기 환형코아 권취 자동제작 시스템 및 그 변류기 권취 환형코아 자동 제작 시스템 운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8213B1 (ko) 2019-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56923B2 (ja) 板材の回転式打ち抜き装置及び打ち抜き方法
KR100911880B1 (ko) 스파이럴 스테이터 코어의 제조 장치
KR102069972B1 (ko) 적층 코어 제조 장치
JP5802818B1 (ja) 順送加工方法
CN104001790A (zh) 多列电机定子大回转高速冲级进模具
JP2017022885A5 (ko)
JP2017022885A (ja) 積層鉄心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CN203862808U (zh) 多列电机定子大回转高速冲级进模具
KR101507249B1 (ko) 고효율 모터용 스파이럴 스테이터 코어의 가압 장치 및 방법
KR101507659B1 (ko) 고효율 모터용 스파이럴 스테이터 코어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KR102028214B1 (ko) 고효율 모터용 스파이럴 스테이터 코어의 가압 장치 및 방법
KR20150069981A (ko) 고효율 모터용 스파이럴 스테이터 코어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CN112994375A (zh) 马达制造线和马达制造方法
KR101507267B1 (ko) 고효율 모터용 스파이럴 스테이터 코어의 제조를 위한 모재 공급 장치
JP6456753B2 (ja) 回転子積層鉄心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EP2174732B1 (en) Can seamer
KR102005588B1 (ko) 고효율 모터용 스파이럴 스테이터 코어의 제조를 위한 모재 공급 장치 및 방법
KR100902628B1 (ko) 스파이럴 스테이터 코어의 와인딩 장치
KR100927872B1 (ko) 스파이럴 스테이터 코어의 제조 공법
JP6063533B2 (ja) 順送加工方法
KR101455872B1 (ko) 스파이럴 스테이터 코어의 제조 장치 및 방법
JP6010670B2 (ja) 順送加工方法
JP7292348B2 (ja) 回転電機の積層鉄心製造方法及び積層鉄心製造装置
CN216828122U (zh) 一种矿山滚筒电机定子铁芯生产用冲压设备
US20230291287A1 (en) Laminated iron core, manufacturing method of laminated iron core, and progressive die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