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9740A - 열교환기 - Google Patents

열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9740A
KR20210079740A KR1020190171839A KR20190171839A KR20210079740A KR 20210079740 A KR20210079740 A KR 20210079740A KR 1020190171839 A KR1020190171839 A KR 1020190171839A KR 20190171839 A KR20190171839 A KR 20190171839A KR 20210079740 A KR20210079740 A KR 202100797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pipe
heat transfer
refrigerant
hea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1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상
이재권
차우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원공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원공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원공조
Priority to KR1020190171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79740A/ko
Publication of KR20210079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97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28D1/05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straight
    • F28D1/0535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straight the conduits having a non-circular cross-section
    • F28D1/05366Assemblies of conduits connected to common headers, e.g. core type radiators
    • F28D1/05391Assemblies of conduits connected to common headers, e.g. core type radiators with multiple rows of conduits or with multi-channel conduits combined with a particular flow pattern, e.g. multi-row multi-stage radi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10/00Heat exchange conduits
    • F28F2210/08Assemblies of conduits having different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50/00Arrangements for modifying the flow of the heat exchange media, e.g. flow guiding means; Particular flow patter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202Header boxes having their inner space divided by part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로 냉매가 통과되는 전열파이프; 상기 전열파이프에 연결되는 전열튜브; 상기 전열파이프의 후방에 배치되며, 외부로부터 냉매가 유입되는 후열파이프; 및 상기 전열튜브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후열파이프에 연결되는 후열튜브를 포함하되, 상기 후열파이프의 냉매유입부는, 상기 전열파이프의 냉매배출부와 단면적이 다르게 형성된 열교환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에 의하면, 냉매가 유입되는 제1후열파이프의 냉매유입부가 냉매가 토출되는 제1전열파이프의 냉매배출부보다 단면적이 더 작게 형성됨으로써, 유입되는 냉매의 유속을 증가시켜 유입되는 냉매가 제1후열격벽까지 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2후열파이프와 제2전열파이프를 연통하는 연통홀이 제2전열격벽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제2후열파이프에서 제2전열파이프로 공급된 냉매가 우측 끝에 있는 튜브의 상단까지 도달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제2구간이 제1구간 및 제3구간보다 더 작게 형성됨으로써, 제2구간을 통과하는 냉매의 압력강하를 증가시켜 냉매의 분배를 맞출 수 있다. 이와 같은 설계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는, 열교환기의 내부를 통과하는 냉매가 전(全) 영역에 걸쳐서 균등하게 분포되도록 할 수 있고,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가 골고루 냉각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열교환기{Heat exchanger}
본 발명은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에 설치되며 내부로 유동하는 냉매를 이용하여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시키는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교환기란, 내부로 유동하는 냉매를 이용하여,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시키는 장치를 의미한다. 열교환기는 차량의 에어컨 시스템과 같은 공조 계통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열교환기는 증발기가 될 수도 있고 응축기가 될 수도 있다. 열교환기가 증발기로 사용되는 경우,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고온의 공기는, 열교환기의 내부로 유동하는 냉매에 의해 냉각되며, 반대로 열교환기의 내부로 유동하는 냉매는 가열된다. 이처럼 냉각된 공기는, 차량의 실내로 공급되어, 실내 온도를 낮추게 된다.
열교환기는, 전열파이프, 전열튜브, 후열파이프, 후열튜브로 이루어진다. 후열파이프로 유입된 냉매는, 후열튜브를 따라 순환한다. 그리고 후열튜브 끝 부분으로 공급된 냉매는, 전열파이프로 공급된 후 전열튜브를 따라 역시 순환한다. 그리고 전열튜브를 순환한 냉매는, 전열파이프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공기는 상기 전열튜브와 후열튜브를 통과하면서, 각 튜브의 내부로 유동하는 냉매에 의해 간접 접촉 방식으로 냉각된다.
종래의 열교환기에 의하면, 전열파이프와 후열파이프의 내부에 상하로 각각 격벽들이 구비된다. 따라서 각각의 파이프 내부로 유동하는 냉매는, 격벽을 기준으로 경로가 변경이 된다. 이때, 종래의 열교환기에 의하면, 격벽이 배치된 부분 또는 파이프의 끝 부분에서는, 다른 부분에 비하여 유동하는 냉매의 양이 적게 분포된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종래의 열교환기에 의하면, 튜브의 각 부위 별로 냉매 분포도가 달라, 튜브를 통과하는 공기가 부분적으로는 냉각되고 부분적으로는 냉각되지 않은 상태로 실내로 공급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열교환기의 전(全) 영역을 따라 냉매가 균등하게 분포되도록 하는 열교환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내부로 냉매가 통과되는 전열파이프; 상기 전열파이프에 연결되는 전열튜브; 상기 전열파이프의 후방에 배치되며, 외부로부터 냉매가 유입되는 후열파이프; 및 상기 전열튜브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후열파이프에 연결되는 후열튜브를 포함하되, 상기 후열파이프의 냉매유입부는, 상기 전열파이프의 냉매배출부와 단면적이 다르게 형성된 열교환기를 제공한다.
상기 후열파이프의 냉매유입부는, 상기 전열파이프의 냉매배출부보다 단면적이 더 작게 형성된다.
상기 전열파이프는, 내부로 유입된 냉매가 외부로 배출되는 제1전열파이프와, 상기 제1전열파이프의 하측에 이격 배치되며, 상기 제1전열파이프와의 사이에 상기 전열튜브가 배치되는 제2전열파이프를 포함하며, 상기 후열파이프는, 외부로부터 내부로 냉매가 유입되는 제1후열파이프와, 상기 제1후열파이프의 하측에 이격 배치되며, 상기 제1후열파이프와의 사이에 상기 후열튜브가 배치되는 제2후열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1후열파이프의 냉매유입부는, 상기 제1전열파이프의 냉매배출부보다 단면적이 더 작게 형성된다.
상기 제1전열파이프에서 유동하는 냉매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류(Upstream) 측을 우측, 하류(Downstream) 측을 좌측이라 하였을 때, 상기 제1전열파이프는, 내부에 제1전열격벽이 배치되며, 상기 제2전열파이프는, 전방에서 보았을 때, 제2전열격벽이 상기 제1전열격벽보다 우측으로 이격되도록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전열파이프는, 상기 제2전열격벽보다 우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상기 제2후열파이프와 연통되는 연통홀이 형성된다.
상기 연통홀은, 서로 제1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개로 구비되되, 가장 좌측에 배치된 것이 상기 제2전열격벽으로부터 상기 제1간격보다 더 큰 제2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1 및 제2전열파이프의 좌측 단부와 상기 제1전열격벽 사이의 좌우영역을 제1구간이라 하고, 상기 제1전열격벽과 상기 제2전열격벽 사이의 좌우구간을 제2구간이라 하며, 상기 제2전열격벽과 상기 제1 및 제2전열파이프의 우측 단부 사이의 좌우구간을 제3구간이라 하였을 때, 상기 제2구간에 배치된 전열튜브는, 상기 제1 및 제3구간에 배치된 전열튜브보다 냉매가 통과하는 면적이 작게 형성된다.
상기 제1구간에 배치된 전열튜브와 상기 제3구간에 배치된 전열튜브는, 각각 면적이 동일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2구간에 배치된 전열튜브는, 전체 전열튜브 대비 15 내지 33%의 면적 비율을 차지한다.
상기 후열파이프의 냉매유입부와 상기 전열파이프의 냉매배출부는, 각각 단면이 타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후열파이프의 냉매유입부와 상기 전열파이프의 냉매배출부는, 각각 단면이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슬롯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후열파이프의 냉매유입부와 상기 전열파이프의 냉매배출부는, 각각 단면이 서로 다른 도형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에 의하면, 냉매가 유입되는 제1후열파이프의 냉매유입부가 냉매가 토출되는 제1전열파이프의 냉매배출부보다 단면적이 더 작게 형성됨으로써, 유입되는 냉매의 유속을 증가시켜 유입되는 냉매가 제1후열격벽까지 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2후열파이프와 제2전열파이프를 연통하는 연통홀이 제2전열격벽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제2후열파이프에서 제2전열파이프로 공급된 냉매가 우측 끝에 있는 튜브의 상단까지 도달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제2구간이 제1구간 및 제3구간보다 더 작게 형성됨으로써, 제2구간을 통과하는 냉매의 압력강하를 증가시켜 냉매의 분배를 맞출 수 있다.
이와 같은 설계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는, 열교환기의 내부를 통과하는 냉매가 전(全) 영역에 걸쳐서 균등하게 분포되도록 할 수 있고,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가 골고루 냉각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의 B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2에서 전열파이프의 냉매유입부와 후열파이프의 냉매배출부가 타원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2에서 전열파이프의 냉매유입부와 후열파이프의 냉매배출부가 슬롯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2에서 전열파이프의 냉매유입부와 후열파이프의 냉매배출부가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100)는, 내부로 유동하는 냉매를 이용하여 장치를 통과하는 공기를 냉각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전열파이프(110,120), 복수개의 전열튜브(130), 후열파이프(140,150), 복수개의 후열튜브(160)를 포함한다.
상기 전열파이프(110,120)는, 제1전열파이프(110)와 제2전열파이프(1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전열파이프(110)는, 열교환기(100)의 내부를 순환한 냉매가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제2전열파이프(120)는, 상기 제1전열파이프의 하측으로 평행하게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복수개의 전열튜브(130)는, 상기 제1전열파이프(110)와 상기 제2전열파이프(120)의 사이에 배치되며, 좌우로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전열튜브(130)는, 상단이 상기 제1전열파이프(110)에 연통되도록 결합되며, 하단이 상기 제2전열파이프(120)에 연통되도록 결합된다.
상기 후열파이프(140,150)는, 제1후열파이프(140)와 제2후열파이프(150)를 포함한다. 상기 제1후열파이프(140)는, 상기 제1전열파이프(110)의 후방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외부로부터 냉매가 유입된다. 상기 제2후열파이프(150)는, 상기 제2전열파이프(120)의 후방으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복수개의 후열튜브(160)는, 상기 제1후열파이프(140)와 상기 제2후열파이프(150)의 사이에 배치되며, 좌우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후열튜브(160)는, 상단이 상기 제1후열파이프(140)에 연통되도록 결합되며, 하단이 상기 제2후열파이프(150)에 연통되도록 결합된다.
상기 제2전열파이프(120)의 우측에는, 복수개의 연통홀(122)이 형성된다. 물론 상기 제2후열파이프(150)의 우측에도 상기 복수개의 연통홀(122)과 연통되는 보조연통홀(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제1전열파이프(110)와 상기 제1후열파이프(140)는, 서로 연통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전열튜브(130)와 상기 복수개의 후열튜브(160) 역시, 서로 각각 연통되지 않는다. 상기 제2전열파이프(120)와 상기 제2후열파이프(150)는, 상기 연통홀(122)과 보조연통홀을 통해서 서로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제1후열파이프(140), 복수개의 후열튜브(160) 및 제2후열파이프(150)를 통해 순환한 냉매는, 상기 보조연통홀 및 연통홀(122)을 통해서만 상기 제1전열파이프(110), 복수개의 전열튜브(130) 및 제2전열파이프(120)로 공급되어 순환된다.
상기 제1전열파이프(110)의 내부에는, 제1전열격벽(111)이 설치된다. 상기 제1후열파이프(140)의 내부에는, 상기 제1전열격벽(111)과 동일 평면상에 놓이도록 제1후열격벽(141)이 나란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2전열파이프(120)의 내부에는, 제2전열격벽(121)이 배치된다. 전방에서 열교환기(100)를 보았을 때, 상기 제2전열격벽(121)은, 상기 제1전열격벽(111)을 기준으로 우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제2후열파이프(150)는, 상기 제2전열격벽(121)과 동일 평면상에 놓이도록 제2후열격벽(151)이 나란하게 배치된다.
여기서, 전방에서 열교환기(100)를 보았을 때, 상기 제1 및 제2전열파이프(110,120)(또는 상기 제1 및 제2후열파이프(140,150))의 좌측 단부와 상기 제1전열격벽(111)(또는 상기 제1후열격벽(141)) 사이의 좌우영역을 제1구간(S1)이라 하고, 상기 제1전열격벽(111)(또는 상기 제1후열격벽(141))과 상기 제2전열격벽(121)(또는 상기 제2후열격벽(151)) 사이의 좌우구간을 제2구간(S2)이라 하며, 상기 제2전열격벽(121)(또는 상기 제2후열격벽(151))과 상기 제1 및 제2전열파이프(110,120)(또는 상기 제1 및 제2후열파이프(140,150))의 우측 단부 사이의 좌우구간을 제3구간(S3)이라 정의한다.
냉매의 흐름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외부로부터 상기 제1후열파이프(140)로 유입된 냉매는, 상기 제1구간(S1)에서 상기 제1후열파이프(140)의 내부를 따라 우측으로 유동하면서 상기 제1구간(S1)에 배치된 상기 복수개의 후열튜브(160)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제1구간(S1)에서 상기 제1후열파이프(140)의 내부로 유동하는 냉매는, 상기 제1후열격벽(141)에 부딪혀 더 이상 우측으로 유동하지 않는다.
상기 제1구간(S1)에 배치된 상기 전열튜브(130)를 통해 유동하는 냉매는, 상기 제2전열파이프(120)로 공급된다. 그리고 냉매는, 상기 제2전열파이프(120)를 따라 상기 제2구간(S2) 측으로 유동한 후, 상기 제2후열격벽(151)에 의해 더 이상 진행하지 못하고, 상기 제2구간(S2)의 전열튜브(130)를 따라 상측으로 유동하여 상기 제1후열파이프(140)의 상기 제2구간(S2) 부위로 공급된다.
상기 제1후열파이프(140)의 상기 제2구간(S2)으로 유입된 냉매는, 다시 우측으로 유동하여, 상기 제1후열파이프(140)의 상기 제3구간(S3) 측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냉매는, 상기 제3구간(S3)에 배치된 후열튜브(160)를 따라 하측으로 유동한 후, 상기 제2후열파이프(150)의 보조연통홀 및 상기 제2전열파이프(120)의 연통홀(122)을 통해 상기 제2전열파이프(120)로 공급된다.
후열에서 전열 측으로 공급된 냉매는, 후열에서의 유동방향과 역순으로 진행된다. 즉, 상기 연통홀(122)을 통해 상기 제2전열파이프(120)로 공급된 냉매는, 차례로 상기 제3구간(S3)의 전열튜브(130), 제1전열파이프(110), 상기 제2구간(S2)의 전열튜브(130), 제2전열파이프(120), 상기 제1구간(S1)의 전열튜브(130), 제1전열파이프(110)의 순서로 순환하며, 상기 제1전열파이프(110)의 제1구간(S1)으로 공급된 냉매는 외부로 배출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1후열파이프(140)의 냉매유입부(142)의 단면적은, 상기 제1전열파이프(110)의 냉매배출부(112)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제1후열파이프(140)를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냉매의 유속은, 상기 제1전열파이프(110)에서의 냉매의 유속보다 커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1후열파이프(140)의 내부로 유입된 냉매가 상기 제1후열격벽(141)까지 충분한 양의 냉매가 도달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제1구간(S1) 중 상기 제2구간(S2)과 인접한 영역에 배치되는 후열튜브(160)의 냉매 분포를 종래에 비하여 증가시킬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복수개의 연통홀(122)은, 상기 제2전열격벽(121)보다 우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복수개의 연통홀(122)은, 서로 제1간격(t1)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연통홀(122) 중 가장 좌측에 배치된 것은, 상기 제2전열격벽(121)으로부터 상기 제1간격(t1)보다 더 큰 제2간격(t2)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연통홀(122) 중 가장 우측에 배치된 것은, 상기 제2전열파이프(120)의 우측 단부와의 간격(t3)이, 상기 제1간격(t1)보다 작게 형성되도록 배치된다. 이 경우, 상기 보조연통홀 및 연통홀(122)을 통해 상기 제2전열파이프(120)로 공급된 냉매는, 상기 제3구간(S3) 중 우측에 배치되는 전열튜브(130)의 냉매분포를 종래에 비하여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제2구간(S2)에 배치된 전열튜브(130) 및 후열튜브(160)는, 상기 제1 및 제3구간(S1,S3)에 배치된 튜브(130,160)에 비하여, 냉매가 통과되는 면적이 작게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튜브(130,160)들의 내부 직경이 모두 동일하게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2구간(S2)에는 상기 제1 및 제3구간(S1,S3)보다 튜브(130,160)가 보다 작은 개수로 배치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제1구간(S1)에 배치된 튜브(130,160)와 상기 제3구간(S3)에 배치된 튜브(130,160)는, 각각 면적이 동일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구간(S2)에 배치된 튜브(130,160)는, 전 구간(S1,S2,S3)에 배치되는 모든 튜브(130,160)와 비교하였을 때 15 내지 33%의 면적 비율을 차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구간(S2)에서의 냉매의 압력강하를 증가시켜, 열교환기(100) 전체에서 냉매의 분배 비율을 균등하게 분포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에 의하면, 냉매가 유입되는 제1후열파이프의 냉매유입부(142)가 냉매가 토출되는 제1전열파이프의 냉매배출부(112)보다 단면적이 더 작게 형성됨으로써, 유입되는 냉매의 유속을 증가시켜 유입되는 냉매가 제1후열격벽(141)까지 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2후열파이프(140,150)와 제2전열파이프(110,120)를 연통하는 연통홀이 제2전열격벽(121)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제2후열파이프(140,150)에서 제2전열파이프(110,120)로 공급된 냉매가 우측 끝에 있는 튜브의 상단까지 도달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제2구간이 제1구간 및 제3구간보다 더 작게 형성됨으로써, 제2구간을 통과하는 냉매의 압력강하를 증가시켜 냉매의 분배를 맞출 수 있다.
이와 같은 설계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는, 열교환기의 내부를 통과하는 냉매가 전(全) 영역에 걸쳐서 균등하게 분포되도록 할 수 있고,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가 골고루 냉각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내지 제4실시예에 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상기 후열파이프의 냉매유입부(142)와 제1전열파이프의 냉매배출부(112)는, 각각 단면이 타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상기 후열파이프의 냉매유입부(142)와 제1전열파이프의 냉매배출부(112)는, 각각 단면이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장공 형상, 즉 슬롯(Slot)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 상기 후열파이프의 냉매유입부(142)와 제1전열파이프의 냉매배출부(112)는, 각각 단면이 서로 다른 도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서 제1전열파이프의 냉매배출부(112)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도 6에서 제1후열파이프의 냉매유입부(142)는 상측에 곡률이 존재하고 하측은 편평한 도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도 6에 도시된 형상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 상기 후열파이프의 냉매유입부(142)와 제1전열파이프의 냉매배출부(112)는, 서로 다른 도형이라면 어떠한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100 : 열교환기 110 : 제1전열파이프
120 : 제2전열파이프 121 : 제2전열격벽
122 : 제1전열파이프의 냉매배출부 130 : 전열튜브
140 : 제1후열파이프 141 : 제1후열격벽
142 : 제1후열파이프의 냉매유입부 150 : 제2후열파이프
160 : 후열튜브

Claims (10)

  1. 내부로 냉매가 통과되는 전열파이프;
    상기 전열파이프에 연결되는 전열튜브;
    상기 전열파이프의 후방에 배치되며, 외부로부터 냉매가 유입되는 후열파이프; 및
    상기 전열튜브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후열파이프에 연결되는 후열튜브를 포함하되,
    상기 후열파이프의 냉매유입부는, 상기 전열파이프의 냉매배출부와 단면적이 다르게 형성된 열교환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열파이프의 냉매유입부는, 상기 전열파이프의 냉매배출부보다 단면적이 더 작게 형성된 열교환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열파이프는,
    내부로 유입된 냉매가 외부로 배출되는 제1전열파이프와,
    상기 제1전열파이프의 하측에 이격 배치되며, 상기 제1전열파이프와의 사이에 상기 전열튜브가 배치되는 제2전열파이프를 포함하며,
    상기 후열파이프는,
    외부로부터 내부로 냉매가 유입되는 제1후열파이프와,
    상기 제1후열파이프의 하측에 이격 배치되며, 상기 제1후열파이프와의 사이에 상기 후열튜브가 배치되는 제2후열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1후열파이프의 냉매유입부는, 상기 제1전열파이프의 냉매배출부보다 단면적이 더 작게 형성된 열교환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전열파이프에서 유동하는 냉매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류(Upstream) 측을 우측, 하류(Downstream) 측을 좌측이라 하였을 때,
    상기 제1전열파이프는, 내부에 제1전열격벽이 배치되며,
    상기 제2전열파이프는, 전방에서 보았을 때, 제2전열격벽이 상기 제1전열격벽보다 우측으로 이격되도록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전열파이프는, 상기 제2전열격벽보다 우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상기 제2후열파이프와 연통되는 연통홀이 형성된 열교환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연통홀은, 서로 제1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개로 구비되되, 가장 좌측에 배치된 것이 상기 제2전열격벽으로부터 상기 제1간격보다 더 큰 제2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열교환기.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전열파이프의 좌측 단부와 상기 제1전열격벽 사이의 좌우영역을 제1구간이라 하고, 상기 제1전열격벽과 상기 제2전열격벽 사이의 좌우구간을 제2구간이라 하며, 상기 제2전열격벽과 상기 제1 및 제2전열파이프의 우측 단부 사이의 좌우구간을 제3구간이라 하였을 때,
    상기 제2구간에 배치된 전열튜브는, 상기 제1 및 제3구간에 배치된 전열튜브보다 냉매가 통과하는 면적이 작게 형성된 열교환기.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구간에 배치된 전열튜브와 상기 제3구간에 배치된 전열튜브는, 각각 면적이 동일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2구간에 배치된 전열튜브는, 전체 전열튜브 대비 15 내지 33%의 면적 비율을 차지하는 열교환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열파이프의 냉매유입부와 상기 전열파이프의 냉매배출부는, 각각 단면이 타원 형상으로 형성된 열교환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열파이프의 냉매유입부와 상기 전열파이프의 냉매배출부는, 각각 단면이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슬롯 형상으로 형성된 열교환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열파이프의 냉매유입부와 상기 전열파이프의 냉매배출부는, 각각 단면이 서로 다른 도형의 형상으로 형성된 열교환기.
KR1020190171839A 2019-12-20 2019-12-20 열교환기 KR202100797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1839A KR20210079740A (ko) 2019-12-20 2019-12-20 열교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1839A KR20210079740A (ko) 2019-12-20 2019-12-20 열교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9740A true KR20210079740A (ko) 2021-06-30

Family

ID=76602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1839A KR20210079740A (ko) 2019-12-20 2019-12-20 열교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7974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92237B2 (ja) 積層型熱交換器
JP2010038447A (ja) 熱交換器
US10295265B2 (en) Return waterbox for heat exchanger
JP2004212041A5 (ko)
JP7263736B2 (ja) 熱交換器
JP4536243B2 (ja) 空調用熱交換器
KR100220723B1 (ko)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
JP6639865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JP2010502929A (ja) 熱交換器
US20140305158A1 (en) In-Chamber Condenser
KR20210079740A (ko) 열교환기
JP2015092120A (ja) 凝縮器
US7510471B2 (en) Flow spreading mechanism
KR101497347B1 (ko) 열교환기
JP2017015310A (ja) エバポレータ
JP2011185549A (ja) 熱交換器
KR20050104072A (ko) 열교환기
JP2001304720A (ja) 熱交換器
JP2017203609A (ja) エバポレータ
KR20140116625A (ko) 열교환기
JP2018179367A (ja) 熱交換器および車両用空調装置
KR101371536B1 (ko) 열교환기
KR102541605B1 (ko) 3차원 열교환기 열전달 향상을 위한 장치
JPH025326Y2 (ko)
JP2019190685A (ja) 冷却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