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1605B1 - 3차원 열교환기 열전달 향상을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3차원 열교환기 열전달 향상을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1605B1
KR102541605B1 KR1020210041207A KR20210041207A KR102541605B1 KR 102541605 B1 KR102541605 B1 KR 102541605B1 KR 1020210041207 A KR1020210041207 A KR 1020210041207A KR 20210041207 A KR20210041207 A KR 20210041207A KR 102541605 B1 KR102541605 B1 KR 1025416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fluid
heat transfer
screen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1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5485A (ko
Inventor
김춘택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041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1605B1/ko
Priority to US17/545,379 priority patent/US20220316503A1/en
Publication of KR20220135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54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1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1605B1/ko
Priority to US18/477,685 priority patent/US20240018981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DFLUID DYNAMICS, i.e. METHODS OR MEANS FOR INFLUENCING THE FLOW OF GASES OR LIQUIDS
    • F15D1/00Influencing flow of fluids
    • F15D1/02Influencing flow of fluids in pipes or conduits
    • F15D1/025Influencing flow of fluids in pipes or conduits by means of orifice or throttle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3/00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 F28F13/06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by affecting the pattern of flow of the heat-exchange media
    • F28F13/08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by affecting the pattern of flow of the heat-exchange media by varying the cross-section of the flow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28D1/05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stra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24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 F28F1/26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the means being integral with the element
    • F28F1/28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the means being integral with the element the element being built-up from finned s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26Header boxes; End plates with static flow control means, e.g. with means for uniformly distributing heat exchange media into conduits
    • F28F9/0263Header boxes; End plates with static flow control means, e.g. with means for uniformly distributing heat exchange media into conduits by varying the geometry or cross-section of header box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26Header boxes; End plates with static flow control means, e.g. with means for uniformly distributing heat exchange media into conduits
    • F28F9/0265Header boxes; End plates with static flow control means, e.g. with means for uniformly distributing heat exchange media into conduits by using guiding means or impingement means inside the header box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26Header boxes; End plates with static flow control means, e.g. with means for uniformly distributing heat exchange media into conduits
    • F28F9/0278Header boxes; End plates with static flow control means, e.g. with means for uniformly distributing heat exchange media into conduits in the form of stacked distribution plates or perforated plates arranged over end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26Header boxes; End plates with static flow control means, e.g. with means for uniformly distributing heat exchange media into conduits
    • F28F9/028Header boxes; End plates with static flow control means, e.g. with means for uniformly distributing heat exchange media into conduits by using inserts for modifying the pattern of flow inside the header box, e.g. by using flow restrictors or permeable bodies or blocks with cha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ometry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차원 열교환기 열전달 향상을 위한 장치에 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열교환기로 유입되는 유체가 균일한 유동장을 형성하여 3차원 열교환기 열전달 향상을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체가 유입되는 배관 입구에 유동분배장치를 배치하여 균일한 유동장을 형성하는 것이 특징으로, 유체 분배장치는 원주면과 단부에 다수의 홀이 형성되어 중앙 뿐 아니라 주변으로 유체를 분배한다. 또한, 일단에 플랜지가 형성되어 배관과 확산부 사이에 결합되어진다.
분배된 유체는 열교환기를 통과하게 되는데 이때,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크린이 배치되어 유체의 유동장을 더 균일하게 형성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3차원 열교환기 열전달 향상을 위한 장치 {3D Heat Exchanger Heat Transfer Enhancement Device}
본 발명은 열교환기 열전달 향상을 위한 장치에 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열교환기로 유입되는 유체가 균일한 유동장을 형성하여 열교환기 열전달 향상을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열교환기는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유체 사이에서 열을 교환할 수 있게 고안된 장치이다. 열교환을 통해 유체의 냉각 또는 난방을 목적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내부에 냉각유체가 흐르는 유체관이 형성되며, 유체관 외주에 방열면적을 넓히도록 열교환 핀이 다수 배치되어진다. 유체가 열교환기를 통과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가열된 유체는 열교환기를 이용하여 냉각을 하게 되는데 열교환기는 배관의 단면적에 비하여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어 디퓨저를 통해 배관과 열교환기를 연결하게 된다. 열교환기에 균일한 유동이 통과해야 높은 열교환 성능을 가질 수 있어 도 1과 같이 디퓨저가 유체 진행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방법이 이용되었다.
도 1은 종래의 열교환기 열전달 향상을 위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를 참고하면 배관의 유입구에서 유체가 유입되고 배관과 열교환기 사이에 배치된 디퓨저에 의해 열교환기 전체 전면에 확산된다. 확산된 유체는 열교환기 내부를 통과하면서 방열핀과 열교환이 일어나 유체가 냉각되는 과정이 이루어졌다.
이때, 유동의 박리를 없애고 열교환기를 효율적 활용하기 위해 배관에서 열교환기까지 거리(d1)를 가진 긴 디퓨져를 사용하여 균일한 유동장에 가깝게 형성하였으나, 열교환기 설비의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열교환기 입구에 유동을 분배할 수 있는 장치를 삽입하고 열교환기 후단에 스크린을 설치하여 열교환기 입구로 공급되는 유동이 균일하도록 유지하면서 배관과 열교환기 사이의 거리를 단축시켜서 설비 등을 컴팩트하게 설치할 수 있는 열전달 향상을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유동분배장치의 홀은 열교환기 및 배관의 크기에 따라 조절을 하여 최적화된 형상을 도출할 수 있는 열전달 향상을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유동분배 장치는 플랜지 형상으로 배관의 플랜지 사이에 삽입 후 볼트를 체결하면 손쉽게 장착할 수 있는 열전달 향상을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입구 배관에 티, 엘보우 등의 요소가 있을 경우 배관의 입구 유동장이 균일하게 들어오지 않고 스월이 발생할 수 있는 점을 감안하여 격벽을 설치하여 유동의 직진성을 향상시키고 압력 손실을 줄일 수 있는 열전달 향상을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배관의 유입구에 배치되며, 원주부과 단부에 다수의 홀이 형성된 유동분배장치, 상기 유동분배장치에서 유입된 유체가 통과하여 냉각되는 열교환기, 상기 유입구에서 열교환기로 갈수록 단면이 넓어지는 형상을 갖는 확산부, 상기 열교환기에서 배관의 유출구로 갈수록 단면이 좁아지는 형상을 갖는 수렴부, 및 상기 열교환기 후면에 배치되며 다수의 홀이 형성된 스크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동분배장치의 상기 원주부의 홀 크기가 상기 단부의 홀 크기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동분배장치는 유체가 유입되는 배관과 상기 확산부 사이에 볼트 결합되는 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크린의 홀은 중앙부에서 주변부로 갈수록 넓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크린은 상기 열교환기의 전면 또는 후면에 하나 이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크린은 상기 열교환기의 전면과 후면에 하나 이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교환기의 전면에 배치되는 상기 스크린은 유입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입구방향에 배치된 상기 확산부의 내면에 배치되며, 유체의 유동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격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확산부는 상기 격벽에 의해 상기 유동분배장치 둘레를 따라 균일하게 내부 공간이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격벽은 상기 유동분배장치와 원주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관에서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단계, 유입된 유체가 상기 유동분배장치에 의해 원주방향과 단부방향으로 분배되는 제 1분배 단계, 분배된 유체가 상기 확산부에 의해 확산되어, 상기 열교환기의 전단으로 유체의 유동이 균일하게 진입되는 진입단계, 및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하여 유체가 냉각되는 냉각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분배단계 이후, 상기 확산부의 내벽에 격벽이 배치되어,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유체의 유동장이 균일하게 조정되는 조정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정단계 이후, 상기 스크린이 상기 열교환기 전면에 배치되며, 상기 스크린의 중앙부가 볼록하게 형성되어 주변부로 유체의 유동이 분배되는 제 2 분배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분배단계 이후, 상기 스크린이 상기 열교환기 전면에 배치되며, 상기 스크린의 중앙부가 볼록하게 형성되어 주변부로 유체의 유동이 분배되는 제 2 분배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여 유입되는 유체가 열교환기로 균일하게 유입되어 효과적으로 냉각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유동분배장치의 홀이 열교환기 및 배관의 크기에 따라 조절되어 최적화된 형상이 도출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유동분배장치는 플랜지가 형성되어 배관과 디퓨저 사이에 삽입되어 손쉽게 장착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배관의 입구 유동장이 균일하게 들어오지 않고 스월이 발생할 경우, 격벽을 설치하여 유동의 직진성을 향상시키고 압력 손실이 감소된다.
도 1은 종래의 열교환기 열전달 장치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 구성
도 3은 본 발명의 유동분배장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유동분배장치 결합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스크린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스크린 변형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스크린 배치 변형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스크린 변형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의 A-A' 단면도
본 발명은 도 1의 열전달 장치를 개선한 것으로 균일한 유동장에 가깝게 하기 위하여 배관(100)에서 열교환기까지 긴 디퓨져를 사용하였으나, 공간의 불리함이 있어 입구에 원주방향과 단부방향으로 유체를 분배하는 유동분배장치를 배치하여 배관과 열교환기 사이의 거리를 단축시켜 설비 등을 컴팩트하게 설치하였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대한 열교환기 열전달 향상을 위한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1] 본 발명의 전체구성 및 동작원리
먼저,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 단면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유체의 유동은 좌측에 형성된 배관(100)의 유입구(110)에서 유입되어 우측에 형성된 배관(100)의 유출구(120)로 유출된다. 배관(100)에서 유입되는 유체는 유동분배장치(200)에 형성된 홀을 통과하여 분배되며, 배관(100)과 열교환기(400) 사이에 배치된 확산부(300)에 의해 열교환기(400)의 전면 전체에 유체가 확산되어 진행된다. 열교환기(400)를 통과한 유체는 열교환기(400) 후면에 배치된 스크린(500)을 통과한 후 수렴부(600)에 의해 수렴되어 유출구(120)로 유출된다.
이때, 유동분배장치(200)는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에 배치되며, 일면이 개방된 속이 빈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일단은 배관(100)과 연결되며, 타단은 다수의 홀을 포함하는 단부(210)이 형성되며, 원주부(220)에 다수의 홀이 형성되어 있다. 형성된 홀에 의해 유입되는 유체가 원주방향과 단부방향으로 분배되어 진행하게 된다. 배관(100)보다 넓은 단면을 가진 열교환기(400)에 균일한 유동장을 형성하는 효과가 있다. 원주부(220)과 단부(210)에 형성된 홀은 열교환기(400) 및 배관(100)의 크기에 따라 크기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유동분배장치(200)는 원통형 형상으로 제한하는 것이 아닌 돔 형태로 형성되어 유체를 분배할 수 있다.
확산부(300)는 배관(100)과 열교환기(400) 사이에 배치되며, 유입되는 유체를 열교환기(400) 전체로 확산하는 역할을 한다. 배관(100)에서부터 열교환기(400)까지 점차 단면이 크게 형성되며, 열교환기(400)의 전면 일정거리는 직선으로 형성된다. 유동분배장치(200)에서 분배된 유체가 열교환기(400)로 진행되도록 하는 가이드 역할을 하며, 열교환기(400) 전면 전체에 균일하게 유동되도록 한다. 유동분배장치(200)가 배치되어 확산부(300)의 길이(d2)는 도 1의 디퓨저의 길이(d1)보다 짧게 형성되는 특징이 있다. 이로 인해 설비 전체를 컴팩트하게 설치 할 수 있다.
스크린(500)은 다수의 홀이 형성되거나 촘촘한 메쉬로 형성되며, 열교환기(400) 후면 또는 수렴부(600)의 직선범위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스크린은 열교환기의 후면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열교환기의 단면적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된다. 스크린(500)이 배치됨으로써 유입되는 유체가 중앙으로 빠르게 통과되지 못하게 막아주어 전체적인 유체 흐름이 분산되도록 한다.
열교환기(400) 후면에는 수렴부(600)가 배치되며, 열교환기(400)로부터 일정거리 직선으로 형성되며, 이후 배관(100)의 유출구(120)까지 점차 단면이 작게 형성된다. 도면에는 확산부(300)와 수렴부(600)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어 있으나, 서로 길이가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유동분배장치(200) 사시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유동분배장치(20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단부(210)과 원주부(220)에 다수의 홀이 형성된다. 유입되는 유체를 단부(210)와 원주부(220)에 형성될 홀을 통해 분배하게 된다. 배관의 크기와 유입되는 유량을 파악하여 단부(210)의 홀과 원주부(220)의 홀의 크기는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유체가 균일하게 분배되어 열교환기를 통과하도록 한다.
이때, 유동분배장치(200)의 일단에는 연결되는 플랜지(230)가 형성되며, 플랜지(230) 홀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배관과 확산부 사이에 볼트 결합되어 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유동분배장치(200) 결합 확대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배관(100)으로부터 유체가 유입되며, 유동분배장치(200)에 의해 원주방향과 직진방향으로 유체가 분배된다. 원주방향으로 분배된 유체는 확산부(300)의 내면 경사를 타고 열교환기의 주변부에도 확산된다. 열교환기에 균일한 유동장을 형성하여 진입하게 된다. 유동분배장치(200)의 일단에 형성된 플랜지(230)는 배관(100)과 확산부(300) 사이에 배치되어 볼트 결합되어 손쉽게 결합 분리가 가능하다. 배관(100)과 플랜지(230) 사이, 플랜지(230)와 확산부(300) 사이에 기밀부재가 추가 삽입될 수 있으며, 유체누설을 방지하여 진행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열교환기(400)와 스크린(500) 사시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배관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유체가 유동분배장치와 확산부에 의해 열교환기(400)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진입하게 된다. 열교환기(400) 측면에는 내부에 냉매제가 흐르는 파이프가 삽입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에 다수의 방열 핀에 의해 통과 되는 유체를 냉각하도록 한다. 열교환기(400) 후면에는 스크린(500)이 배치된다. 스크린(500)은 다수의 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촘촘한 메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스크린(500)은 유입된 유체의 진행을 더디게 하여 확산부에서 충분한 확산 시간을 갖게 되어 균일한 유동장을 형성하게 하고 열교환기(400) 전체 면적을 활용하여 효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스크린의 변형 예시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배관의 유입구로 유입되는 유체는 유동분배장치로 인해 원주부와 단부로 분배되어지며, 분배된 유체는 확산부를 따라 열교환기로 진입된다. 이때, 확산부에서 유체는 균일한 유동장을 형성하여 열교환기 전면 전체에 진입된다. 열교환기 후면에 배치되는 스크린(500)은 중앙부(510)와 주변부(520)의 홀 크기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중앙부(510)와 주변부(520)의 홀 크기를 다르게 형성함으로서 중앙으로 통과되는 유체를 주변부(520)로 분산함으로써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동장을 일정하게 형성하는 효과가 있다. 열교환기(400)에 진입하는 유체와 열교환기(400)를 통과하는 유체가 중앙부(510)와 주변부(520)의 유량차이를 줄여 열교환기(400)의 효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스크린 배치변경 예시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유체는 배관(100)으로부터 유입되며, 유입된 유체는 유동분배장치(200)를 통해 원주방향과 직진방향으로 분배되어 진다. 분배된 유체는 확산부(300)에 의해 열교환기(400) 전면 전체에 균일한 유동장이 형성되어 진입되며, 진입된 유체는 열교환기(400)에 흐르는 냉매제와 다수 형성된 방열 핀에 의해 유체가 냉각된다.
도 7(a)을 참고하면 스크린(500)은 열교환기(400)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전면에 배치됨으로써, 유입되는 유체의 유속을 낮추고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하여 열교환기(400) 효율적으로 활용하도록 된다.
도 7(b)을 참고하면 스크린(500)이 열교환기(400) 전면과 후면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양측에 배치됨으로써 전면에 배치된 스크린(500)에 의해 확산부(300)에서 열교환기(400)로 진입되는 유체가 확산되어 균일하게 통과되도록 형성하고, 후면에 배치된 스크린(500)에 의해 열교환기(400)를 통과 중인 유체가 균일한 유동장을 형성하여 열교환기(400)를 효율적으로 활용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스크린(500) 변형 예시도이다. 도 8을 참고하면, 유체는 배관(100)으로부터 유입되며, 유입된 유체는 유동분배장치(200)를 통해 원주방향과 직진방향으로 분배되어 진다. 분배된 유체는 확산부(300)에 의해 열교환기(400) 전면 전체에 균일한 유동장이 형성되어 진입되며, 진입된 유체는 열교환기(400)에 흐르는 냉매제와 다수 형성된 방열 핀에 의해 유체가 냉각된다.
열교환기(400) 앞에 스크린(500)이 배치될 경우 중심부가 유입구(110)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스크린(500)이 볼록하게 형성되어 중앙에 온 유체는 스크린(500)의 외면을 타고 더 주변으로 확산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균일한 유동장을 형성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격벽(700)이 배치된 예시도이다. 도 9를 참고하면, 입구 배관(100)에 티, 엘보우 등의 요소가 있을 경우 배관(100)의 입구 유동장이 균일하게 들어오지 않고 스월이 발생할 수 있다. 유입된 유체를 균일하게 형성하기 위해 격벽(700)이 열교환기(400)와 수직이 되도록 확산부(300)의 내벽에 배치된다. 유동의 직진성을 향상시키고 압력 손실을 줄일 수 있다.
이때, 격벽(700)은 확산부(300)의 내면에 배치되며, 다수의 격벽(700)이 유동분배장치(200) 둘레를 따라 균일하게 내부 공간을 분리된다. 격벽(700)은 확산부(300) 내면 경사부에 형성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유동분배장치(200)와 열교환기(400) 사이에도 격벽이 배치될 수 있다.
도 10은 도 9의 A-A'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배관(100)이 유입되며 확산부(300)가 격벽(700)이 유동분배장치(200)에서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다수의 격벽(700)이 배치된다. 확산되어 균일한 유동장이 형성된다.
[2] 본 발명의 열교환기 열전달 방법
열교환기 열전달 향상을 위한 장치를 이용한 방법을 서술하도록 한다. 배관에서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단계, 유입된 유체가 유동분배장치에 의해 원주방향과 단부방향으로 분배되는 제 1분배 단계, 분배된 유체가 확산부에 의해 열교환기로 이동되며 열교환기의 전면 전체에 기체의 유동이 균일하게 진입되는 확산단계, 및 열교환기를 통과하여 유체가 냉각되는 냉각단계를 거치게 된다.
제 1 분배단계는 유동분배장치의 원주부와 단부에 형성된 홀에 유체가 분배된다. 배관의 단면보다 넓은 열교환기 전면 전체에 균일한 유동장이 형성되어 진입하여 효율적으로 이용이 가능하며, 유입구에 유동분배장치를 배치하여 유체를 전반적으로 분배한다.
확산단계는 유동분배장치에 의해 분배된 유체가 유입구에서 열교환기까지 점차 단면이 넓어지는 확산부에 의해 열교환기로 이동되며, 확산을 통해 균일한 유동장을 형성하게 된다.
냉각단계는 확산을 통해 균일한 유동장이 형성된 유체는 열교환기를 통과하게 된다. 열교환기의 냉매파이프와 냉매파이프에 형성된 방열판에 의해 유체는 열교환이 이루어져 냉각된다. 냉각된 유체는 열교환기와 유출구가 형성된 배관사이에 배치된 수렴부에 의해 유출된다.
열교환기 후면에 스크린이 배치되어 병목현상이 발생하여 하여 더 균일하게 된다
이때, 유입단계는 유입구를 갖는 배관이 일정 길이 직선 형태로 형성되어 유체가 균일하게 유입될 수 있으나, 배관이 티, 엘보우 등의 요소가 있을 경우 배관의 입구 유동장이 균일하게 들어오지 않고 스웰이 발생하게 된다.
제 1 분배 단계 이후, 확산부의 내면에 격벽을 설치하여 유체의 유동장을 균일하게 조정되는 조정단계를 더 포함하여, 조정단계와 진입단계가 동시에 진행되도록 한다.
확산단계 이후, 열교환기 전면에 스크린이 형성되고, 중앙부가 유입되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주변부로 유동이 분배되는 제 2분배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 배관
110 : 유입구 120 : 유출구
200 : 유동분배장치
210 : 단부 220 : 원주부 230 : 플랜지
300 : 확산부
400 : 열교환기
500 : 스크린
510 : 중앙부 520 : 주변부
600 : 수렴부
700 : 격벽
d1 : 종래의 디퓨저 길이
d2 : 본 발명의 확산부 길이

Claims (14)

  1. 열교환기를 이용하여 공급된 유체를 냉각하는 열교환기 열전달 향상을 위한 장치에 있어서,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에 배치되며, 일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원주부과 단부에 다수의 홀이 형성된 유동분배장치;
    상기 유입구에서 상기 열교환기로 갈수록 단면이 넓어지는 형상을 갖는 확산부;
    상기 열교환기에서 유출구로 갈수록 단면이 좁아지는 형상을 갖는 수렴부; 및
    상기 열교환기의 후면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열교환기의 단면적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며, 다수의 홀이 형성된 스크린을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은 상기 열교환기로 유입된 유체를 분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열전달 향상을 위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분배장치의 상기 원주부의 홀 크기와 상기 단부의 홀 크기가 상이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열전달 향상을 위한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분배장치는 유체가 유입되는 배관과 상기 확산부 사이에 볼트 결합되는 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열전달 향상을 위한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의 홀은 중앙부에서 주변부로 갈수록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열전달 향상을 위한 장치.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상기 열교환기의 전면과 후면에 하나 이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열전달 향상을 위한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의 전면에 배치되는 상기 스크린은 유입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열전달 향상을 위한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부의 내면에 배치되며, 상기 유동분배장치와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유동분배장치를 통과한 유체에 직진성을 부가하도록 상기 열교환기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격벽을 포함하는 열교환기 열전달 향상을 위한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부는 상기 격벽에 의해 상기 유동분배장치의 둘레를 따라 균일하게 내부 공간이 분리되는 것을 특징하는 열교환기 열전달 향상을 위한 장치.
  10. 삭제
  11. 제 1항의 열교환기 열전달 향상을 위한 장치를 이용한 열교환기 열전달 향상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배관에서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단계;
    유입된 유체가 상기 유동분배장치에 의해 원주방향과 단부방향으로 분배되는 제 1분배 단계;
    분배된 유체가 상기 확산부에 의해 확산되어, 상기 열교환기의 전단으로 유체의 유동이 균일하게 진입되는 진입단계; 및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하여 유체가 냉각되는 냉각단계;
    를 포함하는 열교환기 열전달 향상을 위한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분배 단계 이후, 상기 확산부의 내벽에 격벽이 배치되어,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유체의 유동장이 균일하게 조정되는 조정단계를 더 포함하는 열교환기 열전달 향상을 위한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단계 이후, 상기 스크린이 상기 열교환기의 전면에 배치되며, 상기 스크린의 중앙부가 볼록하게 형성되어 주변부로 유체의 유동이 분배되는 제 2 분배단계를 더 포함하는 열교환기 열전달 향상을 위한 방법.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분배 단계 이후, 상기 스크린이 상기 열교환기의 전면에 배치되며, 상기 스크린의 중앙부가 볼록하게 형성되어 주변부로 유체의 유동이 분배되는 제 2 분배단계를 더 포함하는 열교환기 열전달 향상을 위한 방법.

KR1020210041207A 2021-03-30 2021-03-30 3차원 열교환기 열전달 향상을 위한 장치 KR1025416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1207A KR102541605B1 (ko) 2021-03-30 2021-03-30 3차원 열교환기 열전달 향상을 위한 장치
US17/545,379 US20220316503A1 (en) 2021-03-30 2021-12-08 3d heat exchanger heat transfer enchancement device
US18/477,685 US20240018981A1 (en) 2021-03-30 2023-09-29 3d heat exchanger heat transfer enhancement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1207A KR102541605B1 (ko) 2021-03-30 2021-03-30 3차원 열교환기 열전달 향상을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5485A KR20220135485A (ko) 2022-10-07
KR102541605B1 true KR102541605B1 (ko) 2023-06-12

Family

ID=83448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1207A KR102541605B1 (ko) 2021-03-30 2021-03-30 3차원 열교환기 열전달 향상을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20220316503A1 (ko)
KR (1) KR10254160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17202A1 (en) * 2000-02-25 2001-08-30 Tetsuji Mitsumoto Heat exchanger for easily polymerizing substance-containing gas provided with gas distributing plate
KR101483878B1 (ko) * 2013-09-11 2015-01-16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다공판이 구비되는 열교환기
CN102649738B (zh) * 2011-02-25 2015-07-08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一氧化碳气相偶联催化反应生产草酸酯的方法
US20180202727A1 (en) * 2017-01-13 2018-07-19 Hs Marston Aerospace Limited Heat exchange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80772A (en) * 1972-03-02 1973-12-25 Universal Oil Prod Co Coupling arrangement for providing uniform velocity distribution for gas flow between pipes of different diameter
US6192974B1 (en) * 1998-09-15 2001-02-27 Xchanger, Inc. Heat exchanger housing having conical inlet and outlet gas transitions
KR20040075211A (ko) * 2003-02-20 2004-08-27 한라공조주식회사 열교환기
DE10336260A1 (de) * 2003-08-07 2004-05-19 Basf Ag Gasverteiler für Reaktoren
JP4957679B2 (ja) * 2007-08-10 2012-06-20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の空調ユニットおよび車両用空調装置の空調ユニットの製造方法
US11559799B2 (en) * 2020-12-22 2023-01-24 Scientific Design Company, Inc. Removable impingement basket for ethylene oxide (EO) reactor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17202A1 (en) * 2000-02-25 2001-08-30 Tetsuji Mitsumoto Heat exchanger for easily polymerizing substance-containing gas provided with gas distributing plate
CN102649738B (zh) * 2011-02-25 2015-07-08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一氧化碳气相偶联催化反应生产草酸酯的方法
KR101483878B1 (ko) * 2013-09-11 2015-01-16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다공판이 구비되는 열교환기
US20180202727A1 (en) * 2017-01-13 2018-07-19 Hs Marston Aerospace Limited Heat exchang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018981A1 (en) 2024-01-18
US20220316503A1 (en) 2022-10-06
KR20220135485A (ko) 2022-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7750B1 (ko) 차량의 egr쿨러
US20150136366A1 (en) Heat exchanger
US20070039724A1 (en) Evaporating heat exchanger
KR20070088794A (ko) 열펌프의 헤더를 위한 튜브 인세트 및 바이플로우 장치
US10168083B2 (en) Refrigeration system and heat exchanger thereof
JPH0763492A (ja) 熱交換器
US20180010857A1 (en) Heat exchanger and multi-split system having same
KR20110025633A (ko) 유동 분쇄기를 구비한 열교환기와 그 작동방법
JP2006336936A (ja) フィンチューブ型熱交換器の冷媒供給方法
KR102541605B1 (ko) 3차원 열교환기 열전달 향상을 위한 장치
US9243846B2 (en) Heat exhanging apparatus
CN112654217B (zh) 一种闭-开式渐扩微通道液冷板
JP2007003080A (ja) 蒸発器
JP5389227B2 (ja) 冷媒分配器及びヒートポンプ装置
CN106524793B (zh) 一种换热器
JP2010209878A (ja) Egrクーラ
CN104422313A (zh) 壳管换热器及具有其的空调机
JP6319272B2 (ja) 冷媒分流器
KR20050104072A (ko) 열교환기
JP5436531B2 (ja) ヒートポンプ装置
KR20080107024A (ko) 열교환기
KR101385230B1 (ko) 열교환기
KR20210079740A (ko) 열교환기
EP4279851A1 (en) Heat exchanger
CN218511526U (zh) 一种冷凝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