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9302A - 도광판, 백라이트 모듈 및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도광판, 백라이트 모듈 및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9302A
KR20210079302A KR1020217012996A KR20217012996A KR20210079302A KR 20210079302 A KR20210079302 A KR 20210079302A KR 1020217012996 A KR1020217012996 A KR 1020217012996A KR 20217012996 A KR20217012996 A KR 20217012996A KR 20210079302 A KR20210079302 A KR 202100793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incident
strip
hole
opposite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2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5838B1 (ko
Inventor
치아인 장
포창 후앙
쿤청 린
Original Assignee
라디안트 옵토-엘렉트로닉스(쑤저우)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디안트 옵토-엘렉트로닉스(쑤저우)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라디안트 옵토-엘렉트로닉스(쑤저우)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79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93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5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58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38Linear indentations or grooves, e.g. arc-shaped grooves or meandering grooves, extending over the full length or width of the light guid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00Hand tools
    • A01B1/02Spades; Shovels
    • A01B1/022Collapsible; extensible; combinations with other too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1/00Ploughs with oscillating, digging or piercing tools driven or no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8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varying in density, size, shape or depth along the light guide
    • G02B6/0061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varying in density, size, shape or depth along the light guide to provide homogeneous light output intensit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광판(300), 백라이트 모듈(100) 및 표시 장치(1000)를 제공하고, 이 도광판(300)은 주로 본체(310), 복수 개의 제1 스트립 형태 구조(320) 및 복수 개의 제2 스트립 형태 구조(330)를 구비한다. 본체(310)는 광학면(311), 입광면(312) 및 입광 반대면(313)을 구비한다. 입광면(312) 및 입광 반대면(313)은, 광학면(311)의 대향되는 양측에 각각 연결된다. 본체(310)는 광학면(311)을 관통하는 관통홀(311a)을 구비하고, 광학면(311)은 가상선(M1)에 의해 제1 영역(A1) 및 제2 영역(A2)으로 분할되고, 가상선(M1)과 관통홀(311a)은 교차되며, 제1 영역(A1)은 입광면(312)에 근접하고, 제2 영역(A2)은 입광 반대면(313)에 근접한다. 각 제1 스트립 형태 구조(320)의 적어도 일부는 제1 영역(A1)에 배치된다. 제2 스트립 형태 구조(330)는 제2 영역(A2)에 배치된다. 제1 스트립 형태 구조(320)의 배열 방향 또는 밀도와 제2 스트립 형태 구조(300)의 배열 방향 또는 밀도는 서로 다르다.

Description

도광판, 백라이트 모듈 및 표시 장치
본 발명은 도광 부품 및 그 적용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광판, 백라이트 모듈 및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 기술의 발달에 따라, 스크린 점유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현재 백라이트 모듈의 도광판에 구멍을 뚫어 렌즈를 수납하는 방법도 있다.
하지만, 도광판에 구멍을 뚫을 결우, 도광판 내부에서 이동하는 광선이 도광판의 관통홀을 잘 통과하지 못하고, 구멍의 수광 반대편에 어두운 그림자가 형성되여, 도광판의 외관과 출광 균일도에 크게 영향을 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광판의 미세 구조 설계가 도광판 중 관통홀에 근접하는 위치의 휘도 분균일 문제를 해결하고, 백라이트 모듈 전체의 출광 외관의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도광판, 백라이트 모듈 및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에 따르면, 도광판을 제공한다. 이 도광판은 주로 본체, 복수 개의 제1 스트립 형태 구조 및 복수 개의 제2 스트립 형태 구조를 구비한다. 본체는 광학면, 입광면 및 입광 반대면을 구비한다. 입광면 및 입광 반대면은, 광학면의 대향되는 양측에 각각 연결된다. 그 중, 본체는 광학면을 관통하는 관통홀을 구비하고, 광학면은 가상선에 의해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 분할되며, 가상선과 관통홀은 교차되고, 제1 영역은 입광면에 근접하고, 제2 영역은 입광 반대면에 근접한다. 각 제1 스트립 형태 구조의 적어도 일부는 제1 영역에 배치된다. 제2 스트립 형태 구조는 제2 영역에 배치된다. 여기서, 제1 스트립 형태 구조의 배열 방향 또는 밀도는, 제2 스트립 형태 구조의 배열 방향 또는 밀도과 서로 다르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에 따르면, 기타 도광판을 제공하는 바, 이 도광판은 주로 본체, 복수 개의 제1 스트립 형태 구조 및 복수 개의 제2 스트립 형태 구조를 구비한다. 본체는 광학면, 입광면 및 입광 반대면을 구비한다. 입광면 및 입광 반대면은, 광학면의 대향되는 양측에 각각 연결된다. 그 중, 본체는 광학면을 관통하는 관통홀을 구비하고, 광학면은 가상선에 의해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 분할되고, 가상선과 관통홀은 교차되고, 제1 영역은 입광면에 근접하며, 제2 영역은 입광 반대면에 근접한다. 각 제1 스트립 형태 구조의 적어도 일부는 제1 영역에 배치된다. 제2 스트립 형태 구조는 제2 영역에 배치된다. 여기서, 각 제1 스트립 형태 구조의 적어도 일부의 연신 방향은 입광면에 수직되고, 제2 스트립 형태 구조의 적어도 일부는, 관통홀의 입광 반대면에 근접하는 제1 측까지 연신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도광판의 제1 스트립 형태 구조의 연신 방향은, 제2 스트립 형태 구조의 연신 방향과 서로 다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일부 제1 스트립 형태 구조는, 일단이 입광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관통홀 중의 입광 반대면에 따른 방향에서 대향되는 양측까지 연신되며, 기타 일부 제1 스트립 형태 구조는, 일단이 입광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관통홀의 입광면에 근접하는 제2 측까지 연신된다. 각 제2 스트립 형태 구조는, 일단이 제1 스트립 형태 구조에 연결되고, 타단이 입광 반대면에 연결되며, 각 제2 스트립 형태 구조는, 관통홀에 대해 경사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관통홀의 입광 반대면에 따른 방향에서 대향되는 양측에 위치하는 제2 스트립 형태 구조는, 연신 방향이 서로 반대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일부 제2 스트립 형태 구조는, 교차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스트립 형태 구조는, 일단이 입광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관통홀의 입광 반대면에 따른 방향에서 대향되는 양측까지 연신된다. 각 제2 스트립 형태 구조의 연신 방향은, 입광 반대면에 평행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일부 제1 스트립 형태 구조는, 일단이 입광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관통홀에 대해 절곡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일부 제1 스트립 형태 구조는, 일단이 입광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입광 반대면에 연결되며, 일부 제1 스트립 형태 구조는, 일단이 입광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관통홀의 입광 반대면에 따른 방향에서 대향되는 양측까지 연신되며, 기타 일부 제1 스트립 형태 구조는, 일단이 입광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관통홀의 입광면에 근접하는 제2 측까지 연신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일부 제1 스트립 형태 구조는, 일단이 입광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입광 반대면에 연결되며, 일부 제1 스트립 형태 구조는, 일단이 입광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관통홀의 입광면에 근접하는 제2 측까지 연신된다. 그 중, 일부 제2 스트립 형태 구조의 연신 방향은 입광 반대면에 평행되고, 기타 일부 제2 스트립 형태 구조는, 일단이 입광 반대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관통홀의 입광 반대면에 근접하는 제1 측까지 연신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각 제2 스트립 형태 구조는, 일단이 입광 반대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관통홀의 입광 반대면에 근접하는 제1 측에 연결되어 있다. 일부 제1 스트립 형태 구조는, 일단이 입광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관통홀의 입광면에 근접하는 제2 측까지 연신되지만, 관통홀에는 연결되지 않으며, 기타 일부 제1 스트립 형태 구조는, 일단이 입광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입광 반대면에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또한 복수 개의 미세 구조를 구비한다. 그 중, 본체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 및 적어도 하나의 원호면을 구비하고, 측면은 광학면, 입광면 및 입광 반대면에 연결되고, 또한, 원호면은 측면과 입광 반대면 사이에 위치한다. 미세 구조는 측면, 원호면 및/또는 입광 반대면 중 관통홀에 근접하는 일부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에 따르면, 또한 백라이트 모듈을 제공한다. 이 백라이트 모듈은 상술한 도광판 및 광원을 구비한다. 광원은 당해 도광판의 본체의 입광면에 인접한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에 따르면, 또한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이 표시 장치는 상술한 백라이트 모듈 및 표시 패널을 구비한다. 그 중, 표시 패널은 당해 도광판의 전방에 위치한다.
상술한 내용에서 알 수 있다시피, 본 발명은, 제1 스트립 형태 구조에 의해, 도광판에 입사하는 광선을 균일화 시킴과 동시에, 제2 스트립 형태 구조에 의해, 일부 광선을 관통홀의 입광 반대면에 근접하는 일측에 인도하여, 입광 반대면에 근접하는 관통홀의 출광량을 향상시키고, 이에 의해 도광판의 출광을 보다 균일하게 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광판의 본체의 입광 반대면, 측면 및/또는 원호면 중 관통홀에 인접하는 위치에 미세 구조를 배치할 수 있고, 이러한 미세 구조 영역 중 미세 구조는, 광선을 관통홀의 입광면으로부터 멀어지는 일측의 어두운 그림자에 효과적으로 반사시킬 수 있기에, 관통홀 부근의 명암이 불균일한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백라이트 모듈을 나타내는 장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도광판의 본체를 나타내는 구조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도광판을 나타내는 구조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도광판을 나타내는 구조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도광판을 나타내는 구조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도광판을 나타내는 구조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도광판을 나타내는 구조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기타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본체를 나타내는 구조 모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패널을 나타내는 장치 모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라이트 모듈을 나타내는 장치 모식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백라이트 모듈(100)은 주로 광원(200) 및 광원(200)에 인접하는 도광판(300)을 구비한다. 그 중, 도광판(300)은 주로 본체(310), 및 본체(310)에 배치된 복수 개의 제1 스트립 형태 구조(320)와 복수 개의 제2 스트립 형태 구조(330)를 구비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도광판의 본체를 나타내는 구조 모식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2는 본체(310)의 구조 설계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1 스트립 형태 구조(320) 및 제2 스트립 형태 구조(330)를 생략하고, 본체(310) 만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본체(310)는 광학면(311), 입광면(312) 및 입광 반대면(313)을 구비하고, 입광면(312) 및 입광 반대면(313)은 광학면(311)의 대향되는 양측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그 중, 본체(310)는 광학면(311)을 관통하는 관통홀(311a)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광학면(311)은 가상선(M1)에 의해 제1 영역(A1) 및 제2 영역(A2)으로 분할되고, 여기서 제1 영역(A1)은 입광면(312)에 근접하고, 제2 영역(A2)은 입광 반대면(313)에 근접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가상선(M1)과 관통홀(311a)은 교차된다.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가상선(M1)은 관통홀의 중심을 통과하고, 가상선(M1)의 연신 방향은 입광 반대면(313)의 연신 방향(D1)에 평행된다. 기타 실시예에 있어서, 가상선(M1)은 필요에 따라 관통홀(311a)에 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2에 도시된 점선은 본 발명 중의 가상선(M1) 만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주로 광학면(311)의 제1 영역(A1) 및 제2 영역(A2)을 분할하는 데 사용되고, 광학면(311)의 제1 영역(A1) 및 제2 영역(A2)의 점유율을 결정하도록 정의되어 있는 바, 당해 점선 자체는 본 발명의 본체(310)의 구조에 속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광학면(311)은 출광면 또는 반사면일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홀(311a)에 대한 제1 스트립 형태 구조(320) 및 제2 스트립 형태 구조(330)의 연신 방향 및 배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관통홀(311a)이 제1 측(S1), 제2 측(S2), 제3 측(S3) 및 제4 측(S4)을 가지도록 정의한다. 제1 측(S1)은 관통홀(311a)의 입광 반대면(313)에 근접하는 일측이고, 제2 측(S2)은 관통홀(311a) 의 입광면(312)에 근접하는 일측이며, 제2 측(S2)은 제1 측(S1)과 대향한다. 제3 측(S3) 및 제4 측(S4)은 각각 입광 반대면(313)의 연신 방향(D1)에 따른 관통홀(311a)의 대향되는 양측으로 정의되어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 스트립 형태 구조(320)의 적어도 일부는 제1 영역(A1)에 배치되고, 제2 스트립 형태 구조(330)는 제2 영역(A2)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스트립 형태 구조(320)의 연신 방향과 제2 스트립 형태 구조(330)의 연신 방향은 서로 다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각 제1 스트립 형태 구조(320)의 연신 방향은 입광면(312)에 수직된다. 제2 스트립 형태 구조(330)는 관통홀(311a)에 대해 경사지고, 일부 제2 스트립 형태 구조(330)는, 일단이 제1 스트립 형태 구조(320)에 연결되고, 타단이 관통홀(311a) 의 입광 반대면(313)에 근접하는 제1 측(S1)까지 연신된다. 제1 스트립 형태 구조(320)는 주로 도광판(300)의 광선을 균일하게 출광시키고, 제2 스트립 형태 구조(330)는 일부 광선을 관통홀(311a)의 입광 반대면(313)에 근접하는 제1 측(S1)에 인도하여, 광선이 관통홀(311a)의 입광 반대면(313)에 근접하는 제1 측(S1)의 어두운 그림자를 보상하도록 하여, 도광판(300)의 균일 출광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스트립 형태 구조(320)는 복수 개의 제1 구조 유닛(320a), 복수 개의 제2 구조 유닛(320b) 및 복수 개의 제3 구조 유닛(320c)을 구비한다. 그 중, 제1 구조 유닛(320a)은, 일단이 입광면(312)에 연결되고, 타단이 관통홀(311a)의 제3 측(S3)까지 연신되며, 제2 구조 유닛(320b)은, 일단이 입광면(312)에 연결되고, 타단이 관통홀(311a)의 제4 측(S4)까지 연신되며, 제3 구조 유닛(320c)는, 일단이 입광면(312)에 연결되고, 타단이 관통홀(311a)의 입광면(312)에 근접하는 제2 측(S2)에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3 구조 유닛(320c)은, 당해 타단이 관통홀(311a)에 연결되어 있지만,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기타 실시예에 있어서, 제3 구조 유닛은 관통홀(311a)에는 연결되지 않도록(예를 들어 도 3 중 도시) 설계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스트립 형태 구조(330)는 복수 개의 제1 구조 유닛(330a) 및 복수 개의 제2 구조 유닛(330b)을 구비한다. 그 중, 제1 구조 유닛(330a) 및 제2 구조 유닛(330b)은 각각 관통홀(311a)의 입광 반대면(313)에 따른 방향에서 대향되는 양측(즉 제3 측(S3) 및 제4 측(S4))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구조 유닛(330a)과 제2 구조 유닛(330b)은, 연신 방향이 서로 반대되고, 일부 제1 구조 유닛(330a) 중 관통홀의 제1 측(S1)까지 연신된 부분과 제2 구조 유닛(330b) 중 관통홀(311a)의 제1 측(S1)까지 연신된 부분은 교차적으로 배치되며, 관통홀(311a)의 입광 반대면(313)에 근접하는 제1 측(S1)의 출광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2 스트립 형태 구조(330)의 설계에 의해, 관통홀(311a) 중 입광면(312)으로부터 멀어지는 위치의 출광량을 향상시킬 수 있고, 도광판(300) 전체의 출광을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도광판을 나타내는 구조 모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광판(400)의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도광판(300)의 구조와 거의 동일한 바, 차이점은 도광판(400)의 제1 스트립 형태 구조(420)와 제2 스트립 형태 구조(430)가 각각 상이한 구조 설계를 갖는 것뿐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스트립 형태 구조(420)는 제1 영역(A1)에 배치되고, 제2 스트립 형태 구조(430)는 제2 영역(A2)에 배치되어 있다. 각 제1 스트립 형태 구조(420)의 연신 방향은 입광면(312)에 수직된다. 제2 스트립 형태 구조(430)는 관통홀(311a)에 대해 경사지고, 일부 제2 스트립 형태 구조(430)는, 일단이 제1 스트립 형태 구조(420)에 연결되고, 타단이 관통홀(311a)의 입광 반대면(313)에 근접하는 제1 측(S1)까지 연신된다.
도 3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스트립 형태 구조(420)는 복수 개의 제1 구조 유닛(420a), 복수 개의 제2 구조 유닛(420b) 및 복수 개의 제3 구조 유닛(420c)을 구비한다. 그 중, 제1 구조 유닛(420a)은, 일단이 입광면(312)에 연결되고, 타단이 관통홀(311a)의 제3 측(S3)까지 연신되며, 제2 구조 유닛(420b)은, 일단이 입광면(312)에 연결되고, 타단이 관통홀(311a)의 제4 측(S4)까지 연신되며, 제3 구조 유닛(420c)은, 일단이 입광면(312)에 연결되고, 타단이 관통홀(311a)의 입광면(312)에 근접하는 제2 측(S2)에 연결되지만, 관통홀(311a)에는 연결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서, 제3 구조 유닛(420c)과 관통홀(311a) 사이에는, 제2 측(S2)에 위치하는 공백 부분(B1)을 가지고(즉 관통홀(311a)의 제2 측(S2)에 공백 부분(B1)을 가짐), 이 공백 부분(B1)의 설계는 주로 관통홀(311a)의 입광면(312)에 근접하는 제2 측(S2)의 출광량을 감소시킬 수 있고, 광선이 관통홀(311a)의 제2 측(S2)에 집중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스트립 형태 구조(430)는 복수 개의 제1 구조 유닛(430a) 및 복수 개의 제2 구조 유닛(430b)을 구비한다. 그 중, 제1 구조 유닛(430a) 및 제2 구조 유닛(430b)은 각각 관통홀(311a)의 입광 반대면(313)에 따른 방향에서 대향되는 양측(즉 제3 측(S3) 및 제4 측(S4))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구조 유닛(430a)과 제2 구조 유닛(430b)은 연신 방향이 서로 반대되고, 일부 제1 구조 유닛(430a) 중 관통홀의 제1 측(S1)까지 연신된 일단과 제2 구조 유닛(430b) 중 관통홀(311a)의 제1 측(S1)까지 연신된 일단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관통홀(311a)에 근접하는 제1 구조 유닛(430a)의 배열 밀도는 관통홀(311a)로부터 멀어지는 제1 구조 유닛(430a)의 배열 밀도보다 크고, 관통홀(311a)에 근접하는 제2 구조 유닛(430b)의 배열 밀도는, 관통홀(311a)로부터 멀어지는 제2 구조 유닛(430b)의 배열 밀도보다 크다. 이러한 제2 스트립 형태 구조(430)의 설계에 의해, 광선을 관통홀(311a)의 입광 반대면(313)에 근접하는 제1 측(S1)에 인도하여, 광선이 관통홀(311a)의 입광 반대면(313)에 근접하는 제1 측(S1)의 어두운 그림자를 보상하도록 하여, 관통홀(311a)의 입광면(312)으로부터 멀어지는 위치의 출광량을 향상시킬 수 있고, 도광판(400) 전체의 출광을 보다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도광판을 나타내는 구조 모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도광판(500)의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도광판(300)의 구조와 거의 동일한 바, 차이점은 도광판(500)의 제1 스트립 형태 구조(520)와 제2 스트립 형태 구조(530)가 각각 상이한 구조 설계를 갖는 것뿐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스트립 형태 구조(520)와 제2 스트립 형태 구조(530)는 배열 방향이 서로 다르다. 제1 스트립 형태 구조(520)는 입광 반대면(313)의 연신 방향(D1)에 따라 배열되고, 제2 스트립 형태 구조(530)는 방향(D2)에 따라 배열되고, 여기서 방향(D2)은 입광 반대면(313)의 연신 방향(D1)에 수직된다. 또한, 제1 스트립 형태 구조(520)의 적어도 일부의 연신 방향은, 입광면(312)에 수직되고, 각 제2 스트립 형태 구조(530)의 연신 방향은, 입광 반대면(313)의 연신 방향(D1)에 평행된다.
도 4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스트립 형태 구조(520)는 복수 개의 제1 구조 유닛(520a), 복수 개의 제2 구조 유닛 및 복수 개의 제3 구조 유닛(520c)을 구비한다. 그 중, 제1 구조 유닛(520a)은 일단이 입광면(312)에 연결되고, 타단이 관통홀(311a)의 제3 측(S3)까지 연신되며, 제2 구조 유닛(520b)은 일단이 입광면(312)에 연결되고, 타단이 관통홀(311a)의 제4 측(S4)까지 연신되며, 제3 구조 유닛(520c)은, 일단이 입광면(312)에 연결되고, 타단이 관통홀(311a)에 대해 절곡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제3 구조 유닛(520c)은 입광면(312)으로부터 관통홀(311a)의 입광면(312)에 근접하는 제2 측(S2)까지 연신된 후, 각각 관통홀(311a)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절곡되어 있다. 이리하여, 제3 구조 유닛(520c)의 절곡 부분에 의해, 관통홀(311a)의 전방(즉 제2 측(S2))에 전파되는 광선을 각각 관통홀(311a)의 제3 측(S3) 및 제4 측(S4)에 인도하여, 광선이 관통홀(311a)의 입광면(312)에 근접하는 제2 측(S2)에 집중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스트립 형태 구조(530)의 연신 방향은 입광 반대면(313)의 연신 방향(D1)에 평행된다. 제2 스트립 형태 구조(530)는 관통홀(311a)의 제3 측(S3) 및 제4 측(S4)에 인도된 광선을 더욱 균일화 시킬 수 있는 것 외에도, 광선을 인도하여 관통홀(311a)의 입광 반대면(313)에 근접하는 제1 측(S1)의 어두운 그림자를 보상하여, 관통홀(311a)의 입광면(312)으로부터 멀어지는 위치의 출광량을 향상시키고, 도광판(500) 전체의 출광을 보다 균일화 할 수 있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도광판을 나타내는 구조 모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도광판(600)의 구조는 도 4에 도시된 도광판(500)의 구조와 거의 동일한 바, 차이점은 도광판(600)의 제1 스트립 형태 구조(620)와 제2 스트립 형태 구조(630)가 각각 상이한 구조 설계를 갖는 것뿐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각 제1 스트립 형태 구조(620)의 적어도 일부는 제1 영역(A1)에 배치되고, 제2 스트립 형태 구조(630)는 제2 영역(A2)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스트립 형태 구조(620)의 연신 방향은 입광면(312)에 수직되고, 일부 제2 스트립 형태 구조(630)의 연신 방향은 입광 반대면(313)의 연신 방향(D1)에 평행된다.
도 5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스트립 형태 구조(620)는 복수 개의 제1 구조 유닛(620a) 및 복수 개의 제2 구조 유닛(620b)을 구비한다. 그 중, 제1 구조 유닛(620a)은, 일단이 입광면(312)에 연결되고, 타단이 입광 반대면(313)에 연결되며, 제2 구조 유닛(620b)은, 일단이 입광면(312)에 연결되고, 타단이 관통홀(311a)의 입광면(312)에 근접하는 제2 측(S2)까지 연신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2 구조 유닛(620b)은, 당해 타단이 관통홀(311a)에는 연결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서, 제2 구조 유닛(620b)과 관통홀(311a) 사이에는, 제2 측(S2)에 위치하는 공백 부분(B2)을 가지고(즉 관통홀(311a)의 제2 측(S2)에 공백 부분(B2)을 가짐), 이 공백 부분(B2)의 설계는 주로 관통홀(311a)의 입광면(312)에 근접하는 제2 측(S2)의 출광향을 감소시킬 수 있고, 광선이 관통홀(311a)의 제2 측(S2)에 집중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스트립 형태 구조(630)는 복수 개의 제1 구조 유닛(630a) 및 복수 개의 제2 구조 유닛(630b)을 구비한다. 제1 구조 유닛(630a)의 연신 방향은 입광 반대면(313)의 연신 방향(D1)에 수직되고, 제1 구조 유닛(630a)은, 일단이 입광 반대면(313)에 연결되고, 타단이 관통홀(311a)의 입광 반대면(313)에 근접하는 제1 측(S1)에 연결되어 있다. 제2 구조 유닛(630b)의 연신 방향은 입광 반대면(313)의 연신 방향(D1)에 평행되고, 제1 구조 유닛(630a)과는 교차적으로 배치되어, 제2 스트립 형태 구조(630)가 관통홀(311a)의 입광 반대면(313)에 근접하는 제1 측(S1)에서 높은 배열 밀도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이리하여, 제2 스트립 형태 구조(630)의 설계에 의해, 관통홀(311a)의 입광면(312)으로부터 멀어지는 위치의 출광량을 향상시킬 수 있고, 도광판(600) 전체의 출광을 보다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도광판을 나타내는 구조 모식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도광판(700)의 구조는, 도 5에 도시된 도광판(600)의 구조와 거의 동일한 바, 차이점은 도광판(700)의 제1 스트립 형태 구조(720)와 제2 스트립 형태 구조(730)가 각각 상이한 구조 설계를 갖는 것뿐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스트립 형태 구조(720)의 적어도 일부는 제1 영역(A1)에 배치되고, 제2 스트립 형태 구조(730)는 제2 영역(A2)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스트립 형태 구조(720)의 연신 방향은 제2 스트립 형태 구조(730)의 연신 방향과 서로 다르다. 구체적으로, 각 제1 스트립 형태 구조(720)의 연신 방향은, 입광면(312)에 수직된다. 제2 스트립 형태 구조(730)는 관통홀(311a)의 윤곽에 따라 연신된다.
도 6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스트립 형태 구조(720)는 복수 개의 제1 구조 유닛(720a), 복수 개의 제2 구조 유닛(720b) 및 복수 개의 제3 구조 유닛(720c)을 구비한다. 그 중, 제1 구조 유닛(720a)은, 일단이 입광면(312)에 연결되고, 타단이 입광 반대면(313)에 연결되어 있다. 일부 제2 구조 유닛(720b)은, 일단이 입광면(312)에 연결되고, 타단이 관통홀(311a)의 제3 측(S3)까지 연신되며, 기타 일부 제2 구조 유닛(720b)은, 일단이 입광면(312)에 연결되고, 타단이 관통홀(311a)의 제4 측(S4)까지 연신된다. 제3 구조 유닛(720c)은, 일단이 입광면(312)에 연결되고, 타단이 관통홀(311a)의 입광면(312)에 근접하는 제2 측(S2)까지 연신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3 구조 유닛(720c)은, 당해 타단이 관통홀(311a)에 직접 연결되지 않아도 되는 바, 광선이 관통홀(311a)의 제2 측(S2)에 집중되는 것을 피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스트립 형태 구조(730)는 관통홀(311a)을 감싸는 원호형 구조이다. 일부 예에 있어서, 원호형 구조의 대향되는 양단은, 제1 스트립 형태 구조(720)의 제2 구조 유닛(720b)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이리하여, 제2 스트립 형태 구조(730)의 설계에 의해, 일부 광선을 관통홀(311a)의 입광 반대면(313)에 근접하는 제1 측(S1)에 인도하여, 광선이 관통홀(311a)의 입광 반대면(313)에 근접하는 제1 측(S1)의 어두운 그림자를 보상하도록 하여, 도광판(700)의 균일 출광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도 2 및 도 7을 참조하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도광판을 나타내는 구조 모식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도광판(800)의 구조는 도 6에 도시된 도광판(700)의 구조와 거의 동일한 바, 차이점은 도광판(800)의 제1 스트립 형태 구조(820)와 제2 스트립 형태 구조(830)가 각각 상이한 구조 설계를 갖는 것뿐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스트립 형태 구조(820)의 적어도 일부는 제1 영역(A1)에 배치되고, 제2 스트립 형태 구조(830)는 제2 영역(A2)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스트립 형태 구조(820)의 연신 방향은, 입광면(312)에 수직된다. 제2 스트립 형태 구조(830)는 관통홀의 입광 반대면(313)에 근접하는 제1 측(S1)까지 연신된다.
도 7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스트립 형태 구조(820)는 복수 개의 제1 구조 유닛(820a) 및 복수 개의 제2 구조 유닛(820b)을 구비한다. 그 중, 제1 구조 유닛(820a)는, 일단이 입광면(312)에 연결되고, 타단이 입광 반대면(313)에 연결되어 있다. 제2 구조 유닛(820b)은, 일단이 입광면(312)에 연결되고, 타단이 관통홀(311a)의 입광면(312)에 근접하는 제2 측(S2)까지 연신되지만, 관통홀(311a)에는 연결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2 구조 유닛(820b)과 관통홀(311a) 사이에는, 공백 부분(B3)이 있고, 이 공백 부분(B3)의 설계는 주로 관통홀(311a)의 입광면(312)에 근접하는 제2 측(S2)의 출광량을 저하시킬 수 있으며, 광선이 관통홀(311a)의 제2 측(S2)에 집중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스트립 형태 구조(830)는, 일단이 입광 반대면(313)에 연결되고, 타단이 관통홀(311a)의 입광 반대면(313)에 근접하는 제1 측(S1)에 연결되고, 또한 관통홀(311a)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 또한, 관통홀(311a)의 제1 측(S1)에 배치되는 제2 스트립 형태 구조(830)의 배열 간격은, 제1 스트립 형태 구조(820)의 배열 간격보다 작고, 다시 말해서 제2 스트립 형태 구조(830)의 배열 밀도는 제1 스트립 형태 구조(820)의 배열 밀도보다 높다. 이리하여, 제2 스트립 형태 구조(830)의 설계에 의해, 관통홀(311a)의 입광 반대면(313)에 근접하는 제1 측(S1)의 출광량을 향상시킬 수 있고, 광선이 관통홀(311a)의 입광 반대면(313)에 근접하는 제1 측(S1)의 어두운 그림자를 보상하도록 하여, 도광판(700)의 균일 출광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제1 스트립 형태 구조 및 제2 스트립 형태 구조는, 스트립 형태 렌즈 구조(lenticular)일 수 있는 바, 그 단면은 V형 또는 원호형일 수 있으며, 또한 제1 스트립 형태 구조 및 제2 스트립 형태 구조는 돌출 구조 또는 요함 구조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본체는 부동한 구조 설계를 가지여, 도 1 및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부동한 제1 스트립 형태 구조 및 제2 스트립 형태 구조와 조합하여, 부동한 광학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8는, 본 발명의 기타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본체를 나타내는 구조 모식도이다.본 실시 형태의 본체(910)의 구조는 도 2에 도시된 본체(310)와 거의 동일한 바, 차이점은 본체(910)가 또한 미세 구조(920)를 구비하는 것뿐이다. 본체(910)는, 광학면(911), 입광면(912), 입광 반대면(913), 적어도 하나의 측면(914) 및 적어도 하나의 원호면(915)을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광학면(911)은 출광면 또는 반사면일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910)는 광학면(911)을 관통하는 관통홀(916)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미세 구조(920)는, 입광 반대면(913) 중 관통홀(916)에 접근하는 일부에 배치되어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세 구조(920)는 요함 구조인 바, 각 미세 구조(920)는 비대칭 삼각형 구조이다. 각 미세 구조(920)는, 입광 반대면(913)에 대해 경사지는 제1 경사면(921) 및 제2 경사면(922)을 구비하고, 제1 경사면(921)과 입광 반대면(913)은 제1 협각(α1)을 가지고, 제2 경사면(922)과 입광 반대면(913)은 제2 협각(β1)을 가지며, 여기서 제1 협각(α1)은 제2 협각(β1)보다 작고, 또한 제1 협각(α1) 및 제2 협각(β1)은 모두 예각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경사면(921)의 경사 정도는, 제2 경사면(922)의 경사 정도보다 작고, 또한 제1 경사면(921)의 면적은 제2 경사면(922)의 면적보다 크다. 이리하여, 제1 경사면(921)에 입사하는 광선(예를 들어 광선(L1))은 제1 경사면(921)에 의해 반사되어, 관통홀(916)의 입광 반대면(913)에 근접하는 일측에 입사된다. 한편, 제2 경사면(922)에 입사하는 광선(예를 들어 광선(L2))은 우선 제2 경사면(922)에 의해 반사되어 제1 경사면(921)에 입사하고, 관통홀(916)의 입광 반대면(913)에 근접하는 일측에 입사한다. 여기서 알 수 있다시피, 미세 구조(920)의 설계에 의해, 일부 광선을 관통홀(916)의 입광 반대면(913)에 근접하는 일측에 인도하여, 광선이 관통홀(916)의 입광 반대면(913)에 근접하는 일측의 어두운 그림자를 보상하도록 하여, 도광판이 균일하게 출광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미세 구조(920)의 형태는 비대칭 삼각형이지만,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기타 실시예에 있어서, 미세 구조(920)는 대칭 삼각형, 원호형 또는 기타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미세 구조(920)는 필요에 따라 돌출 구조로 설계될 수 있거나, 또는 필요에 따라 입광 반대면(913) 및/또는 측면(914)에 동시에 배치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이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패널을 나타내는 장치 모식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1000)는, 도 1에 도시된 백라이트 모듈(100) 및 표시 패널(1100)을 구비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패널(1100)은 백라이트 모듈(100)의 도광판(300)의 전방에 배치되면, 전술과 같은 목적을 달성할 수 있기에, 여기서 설명을 생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원의 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된 백라이트 모듈(100)을 표시 장치(1000)에 적용하는 것을 예시적인 설명으로만 사용하고 있고,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기타 실시예의 도광판은 예을 들어 도광판(400, 500, 600, 700, 800), 또는 본체(910)를 구비하는 도광판은, 모두 표시 장치에 적용되여,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로부터 알 수 있다시피, 본 발명은 제1 스트립 형태 구조에 의해, 도광판에 입사하는 광선을 균일화 함과 동시에, 제2 스트립 형태 구조에 의해, 일부 광선을 관통홀의 입광 반대면에 근접하는 일측에 인도하여, 관통홀의 입광 반대면에 근접하는 출광량을 향상시킬 수 있고, 도광판의 출광을 보다 균일하게 하는 목적에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광판의 본체의 입광 반대면, 측면 및/또는 원호면의 관통홀에 인접하는 위치에 미세 구조를 배치할 수 있고, 이러한 미세 구조 영역 중 미세 구조는, 광선을 관통홀의 입광면으로부터 멀어지는 일측의 어두운 그림자에 효과적으로 반사시킬 수 있기에, 관통홀 부근의 명암 불균일성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라면 약간의 변경 또는 수식을 진행하여도 되기에,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범위를 기준으로 한다.
100…백라이트 모듈
200…광원
300…도광판
310…본체
311…광학면
311a…관통홀
312…입광면
313…입광 반대면
320…제1 스트립 형태 구조
320a…제1 구조 유닛
320b…제2 구조 유닛
320c…제3 구조 유닛
330…제2 스트립 형태 구조
330a…제1 구조 유닛
330b…제2 구조 유닛
400…도광판
420…제1 스트립 형태 구조
420a…제1 구조 유닛
420b…제2 구조 유닛
420c…제3 구조 유닛
430…제2 스트립 형태 구조
430a…제1 구조 유닛
430b…제2 구조 유닛
500…도광판
520…제1 스트립 형태 구조
520a…제1 구조 유닛
520b…제2 구조 유닛
520c…제3 구조 유닛
530…제2 스트립 형태 구조
600…도광판
620…제1 스트립 형태 구조
620a…제1 구조 유닛
620b…제2 구조 유닛
630…제2 스트립 형태 구조
630a…제1 구조 유닛
630b…제2 구조 유닛
700…도광판
720…제1 스트립 형태 구조
720a…제1 구조 유닛
720b…제2 구조 유닛
720c…제3 구조 유닛
730…제2 스트립 형태 구조
800…도광판
820…제1 스트립 형태 구조
820a…제1 구조 유닛
820b…제2 구조 유닛
830…제2 스트립 형태 구조
910…본체
211…광학면
912…입광면
913…입광 반대면
914…측면
915…원호면
916…관통홀
920…미세 구조
921…제1 경사면
922…제2 경사면
1000…표시 장치
1100…표시 패널
A1…제1 영역
A2…제2 영역
B1…공백 부분
B2…공백 부분
B3…공백 부분
D1…연신 방향
D2…방향
L1…광선
L2…관선
M1…가상선
S1…제1 측
S2…제2 측
S3…제3 측
S4…제4 측
α1…제1 협각
β1…제2 협각

Claims (14)

  1. 광학면, 입광면 및 입광 반대면을 구비하고, 상기 입광면 및 상기 입광 반대면이 각각 상기 광학면의 대향되는 양측에 연결되고, 상기 광학면을 관통하는 관통홀을 구비하며, 상기 광학면이 가상선에 의해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 분할되고, 상기 가상선과 상기 관통홀은 교차되며, 상기 제1 영역이 상기 입광면에 근접하고, 상기 제2 영역이 상기 입광 반대면에 근접하는, 본체;
    각각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 스트립 형태 구조; 및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2 스트립 형태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트립 형태 구조의 배열 방향 또는 밀도와 상기 제2 스트립 형태 구조의 배열 방향 또는 밀도는 서로 다름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
  2. 광학면, 입광면 및 입광 반대면을 구비하고, 상기 입광면 및 상기 입광 반대면이 각각 상기 광학면의 대향되는 양측에 연결되고, 상기 광학면을 관통하는 관통홀을 구비하며, 상기 광학면이 가상선에 의해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 분할되고, 상기 가상선과 상기 관통홀은 교차되며, 상기 제1 영역이 상기 입광면에 근접하고, 상기 제2 영역이 상기 입광 반대면에 근접하는, 본체;
    각각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 스트립 형태 구조; 및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2 스트립 형태 구조를 포함하고,
    각 상기 제1 스트립 형태 구조의 적어도 일부의 연신 방향은 상기 입광면에 수직되고, 상기 제2 스트립 형태 구조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관통홀의 상기 입광 반대면에 근접하는 제1 측까지 연신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트립 형태 구조의 연신 방향과 상기 제2 스트립 형태 구조의 연신 방향은 서로 다름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
  4.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일부 상기 제1 스트립 형태 구조는, 일단이 상기 입광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관통홀의 상기 입광 반대면에 따른 방향에서 대향되는 양측까지 연신되며, 기타 일부 상기 제1 스트립 형태 구조는, 일단이 상기 입광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관통홀의 상기 입광면에 근접하는 제2 측까지 연신되며,
    각 상기 제2 스트립 형태 구조는, 일단이 상기 제1 스트립 형태 구조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입광 반대면에 연결되고, 각 상기 제2 스트립 형태 구조는 상기 관통홀에 대해 경사짐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의 상기 입광 반대면에 따른 방향에서 대향되는 양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2 스트립 형태 구조는, 연신 방향이 서로 반대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
  6. 제5 항에 있어서,
    일부 상기 제2 스트립 형태 구조는, 교차적으로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
  7.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트립 형태 구조는, 일단이 상기 입광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관통홀의 상기 입광 반대면에 따른 방향에서 대향되는 양측까지 연신되며,
    각 상기 제2 스트립 형태 구조의 연신 방향은, 상기 입광 반대면에 평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
  8. 제7 항에 있어서,
    일부 상기 제1 스트립 형태 구조는, 일단이 상기 입광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관통홀에 대해 절곡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
  9.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일부 상기 제1 스트립 형태 구조는, 일단이 상기 입광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입광 반대면에 연결되고, 일부 상기 제1 스트립 형태 구조는, 일단이 상기 입광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관통홀의 상기 입광 반대면에 따른 방향에서 대향되는 양측까지 연신되며, 기타 일부 상기 제1 스트립 형태 구조는, 일단이 상기 입광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관통홀의 상기 입광면에 근접하는 제2 측까지 연신되며,
    각 상기 제2 스트립 형태 구조는, 상기 관통홀을 감싸는 원호형 구조임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
  10.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일부 상기 제1 스트립 형태 구조는, 일단이 상기 입광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입광 반대면에 연결되며, 일부 상기 제1 스트립 형태 구조는, 일단이 상기 입광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관통홀의 상기 입광면에 근접하는 제2 측까지 연신되며,
    일부 상기 제2 스트립 형태 구조의 연신 방향은, 상기 입광 반대면에 평행되고, 기타 일부 상기 제2 스트립 형태 구조는, 일단이 상기 입광 반대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관통홀의 상기 입광 반대면에 근접하는 상기 제1 측까지 연신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
  11. 제2 항에 있어서,
    각 상기 제2 스트립 형태 구조는, 일단이 상기 입광 반대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관통홀의 상기 입광 반대면에 근접하는 제1 측에 연결되며,
    일부 상기 제1 스트립 형태 구조는, 일단이 상기 입광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관통홀의 상기 입광면에 근접하는 제2 측까지 연신되지만, 상기 관통홀에 연결되지는 않고, 기타 일부 상기 제1 스트립 형태 구조는, 일단이 상기 입광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입광 반대면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
  12.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미세 구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적어도 하나의 측면 및 적어도 하나의 원호면을 더 구비하고, 상기 측면은 상기 광학면, 상기 입광면 및 상기 입광 반대면에 연결되고, 또한, 상기 원호면은 상기 측면과 상기 입광 반대면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미세 구조는, 상기 측면, 상기 원호면 및/또는 상기 입광 반대면 중 상기 관통홀에 근접하는 일부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
  13. 제1 항 또는 제12 항 중 어느 한 항의 도광판; 및
    상기 도광판의 상기 본체의 상기 입광면에 인접하는 광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모듈.
  14. 제13 항의 백라이트 모듈; 및
    상기 도광판의 전방에 위치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KR1020217012996A 2018-10-25 2018-12-11 도광판, 백라이트 모듈 및 표시 장치 KR1026558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21739511.5 2018-10-25
CN201821739511.5U CN209102944U (zh) 2018-10-25 2018-10-25 导光板、背光模块及显示设备
PCT/CN2018/120221 WO2020082526A1 (zh) 2018-10-25 2018-12-11 导光板、背光模块及显示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9302A true KR20210079302A (ko) 2021-06-29
KR102655838B1 KR102655838B1 (ko) 2024-04-05

Family

ID=65433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2996A KR102655838B1 (ko) 2018-10-25 2018-12-11 도광판, 백라이트 모듈 및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1119264B2 (ko)
JP (2) JP7297063B2 (ko)
KR (1) KR102655838B1 (ko)
CN (2) CN209102944U (ko)
TW (1) TWI682202B (ko)
WO (1) WO20200825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26359A (zh) * 2019-12-30 2021-07-16 华为技术有限公司 背光装置、显示装置和电子设备
CN114153096B (zh) * 2022-01-18 2024-01-23 友达光电(昆山)有限公司 导光板、背光模组及显示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27372A (ja) * 2012-12-26 2014-07-07 Omron Corp 導光板及び面光源装置
KR20170038377A (ko) * 2015-09-30 2017-04-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도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과 액정 표시 장치
CN107861188A (zh) * 2017-09-29 2018-03-30 广东深越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导光板及利用其提升暗区的亮度的背光模组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3102A (ko) * 2005-10-20 2007-04-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점광원용 광 가이드 유닛,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표시 장치
JP4307477B2 (ja) * 2006-07-04 2009-08-05 三星モバイルディスプレイ株式會社 導光板および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TWI322281B (en) * 2007-04-04 2010-03-21 Eternal Chemical Co Ltd Thin and flexible light guide element
US7931396B2 (en) * 2008-12-10 2011-04-26 Sharp Kabushiki Kaisha Backlight and display
JP2010205613A (ja) * 2009-03-04 2010-09-16 Hitachi Displays Ltd 導光板、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US8534894B2 (en) * 2009-12-23 2013-09-17 Global Lighting Technology Inc. Light guide plate, backlight module and method of guiding light
CN102121670A (zh) * 2010-01-08 2011-07-13 苏州向隆塑胶有限公司 导光板、背光模块以及传导光线的方法
TW201215816A (en) * 2010-10-12 2012-04-16 Global Lighting Technologies Light guiding element
CN102032529A (zh) * 2010-10-25 2011-04-27 苏州向隆塑胶有限公司 导光组件
US9442240B2 (en) * 2012-03-16 2016-09-13 Radiant Opto-Electronics Corporation Light guide plate and light source module
JP5532109B2 (ja) * 2012-11-15 2014-06-25 オムロン株式会社 導光板及び面光源装置
WO2016072342A1 (ja) * 2014-11-05 2016-05-12 シャープ株式会社 照明装置及び表示装置
US10670917B2 (en) * 2015-10-05 2020-06-02 Sharp Kabushiki Kaisha Light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KR102392994B1 (ko) * 2015-10-30 2022-04-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과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및 전자 장치
JP2017120740A (ja) * 2015-12-28 2017-07-06 オムロン株式会社 導光板、面光源装置、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CN107448909B (zh) * 2016-05-31 2019-10-15 瑞仪光电(苏州)有限公司 背光模块
CN206489292U (zh) * 2016-10-11 2017-09-12 瑞仪光电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US10464472B2 (en) * 2016-11-18 2019-11-05 Rebo Lighting & Electronics, Llc Illumination assembly for a vehicle
JP2019090941A (ja) * 2017-11-15 2019-06-13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CN108181762B (zh) * 2017-12-28 2020-07-24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液晶显示器及其背光模组
JP2019125519A (ja) * 2018-01-18 2019-07-25 シャープ株式会社 照明装置および表示装置
CN108427228B (zh) * 2018-02-24 2021-03-16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背光模组与显示装置
JP2019184635A (ja) * 2018-04-02 2019-10-24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CN108873471A (zh) * 2018-06-28 2018-11-2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背光模组、显示屏组件及电子设备
CN108663744A (zh) * 2018-07-18 2018-10-16 深圳市宝明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带孔结构的导光板
KR102634179B1 (ko) * 2018-08-27 2024-02-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20200278488A1 (en) * 2019-03-01 2020-09-03 Sharp Kabushiki Kaisha Illumination device and display device
US11022257B2 (en) * 2019-04-23 2021-06-01 Lumileds Llc LED light engine features
US10877317B1 (en) * 2019-06-17 2020-12-29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Backlight module and display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27372A (ja) * 2012-12-26 2014-07-07 Omron Corp 導光板及び面光源装置
KR20170038377A (ko) * 2015-09-30 2017-04-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도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과 액정 표시 장치
CN107861188A (zh) * 2017-09-29 2018-03-30 广东深越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导光板及利用其提升暗区的亮度的背光模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500144B2 (en) 2022-11-15
CN209102944U (zh) 2019-07-12
TWI682202B (zh) 2020-01-11
WO2020082526A1 (zh) 2020-04-30
CN111386492A (zh) 2020-07-07
CN111386492B (zh) 2022-10-14
US11119264B2 (en) 2021-09-14
US20200241192A1 (en) 2020-07-30
JP7297063B2 (ja) 2023-06-23
JP2022515703A (ja) 2022-02-22
JP3220277U (ja) 2019-02-21
KR102655838B1 (ko) 2024-04-05
US20210373224A1 (en) 2021-12-02
TW202016586A (zh) 2020-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78424B2 (ja) 導光板、バックライトモジュール及び表示装置
US9435936B2 (en) Light guide plate with multi-directional structures
TWI615659B (zh) 光源模組及其稜鏡片
KR101165460B1 (ko)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
JP5664100B2 (ja) 発光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
US9690034B2 (en) Illumination device and display device
KR101463689B1 (ko) 면상 조명 장치
JP5773792B2 (ja) 表示装置
JP6290683B2 (ja)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それを含む表示装置
US20130163281A1 (en) Light guide plate and backlight module using same
US20170336551A1 (en) Light guide plate, backlight module and display device
KR20210079302A (ko) 도광판, 백라이트 모듈 및 표시 장치
US20150260897A1 (en) Light guide plate, backlight source assembly and display apparatus
KR101407010B1 (ko) 면광원장치
JP3214997U (ja) バックライトモジュール及び表示装置
US8858056B2 (en) Light guide plate and corresponding backlight module
US20200064536A1 (en) Light guide plate, backlight module and display device
US20170123130A1 (en) Light guide plate, backlight module and display device
US10816715B2 (en) Light guide plate, backlight module and display device
KR20130133569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JP2012174599A (ja) 照明装置
JP2006323084A (ja) 液晶表示装置
JP5867573B2 (ja) 発光装置
TW202343109A (zh) 背光模組及顯示裝置
CN116466515A (zh) 背光模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