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8215A - 리더용 오거 스크류 결합장치 - Google Patents

리더용 오거 스크류 결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8215A
KR20210078215A KR1020190170047A KR20190170047A KR20210078215A KR 20210078215 A KR20210078215 A KR 20210078215A KR 1020190170047 A KR1020190170047 A KR 1020190170047A KR 20190170047 A KR20190170047 A KR 20190170047A KR 20210078215 A KR20210078215 A KR 202100782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ger screw
mounting cover
auger
mounting
mounting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0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2669B1 (ko
Inventor
신진섭
한순형
Original Assignee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0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2669B1/ko
Publication of KR20210078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82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2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26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0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screw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3/00Rotary drilling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7/00Special methods or apparatus for drilling
    • E21B7/02Drilling rigs characterised by means for land transport with their own drive, e.g. skid mounting or wheel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더시스템에서 오거 스크류를 장착브라켓에 탑재된 어태치먼트에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캐빈 내에서 와이어 윈치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오거 스크류를 어태치먼트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리더용 오거 스크류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리더용 오거 스크류 결합장치{A JOINTING APPARATUS OF AUGER SCREW FOR LEADER}
본 발명은 리더용 오거 스크류 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리더시스템에서 오거 스크류를 장착브라켓에 탑재된 어태치먼트에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캐빈 내에서 와이어 윈치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오거 스크류를 어태치먼트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리더용 오거 스크류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거머신은 드릴모양의 스크류인 오거(Auger: 이하 통상적인 표현으로 오거 스크류라 한다)를 회전시켜 굴착공을 천공하는 기기를 뜻한다.
오거머신의 핵심 작업도구인 오거 스크류는 흙을 퍼올리는 스크류형상의 로드 끝단부에 땅을 파내는 회전날 비트를 설치하여 구성되며, 필요에 따라 암석에 충격을 가해 파쇄하는 해머헤드를 추가로 장착할 수 있다.
즉, 해머기능을 보유한 오거 스크류는 구동방식은 전기모터 또는 유압모터에 의한 드릴회전과 압축공기에 의한 해머타격이 조합되어 암반을 깨면서, 동시에 스크류 날을 통해 파쇄된 돌과 흙이 지상으로 퍼올려지는 작동구조를 갖는다.
이 같은 작동구조로 인해 오거머신은 종종 오거드릴머신 또는 오거해머드릴머신으로 불려진다. 오거머신의 종류로는 긴 스트로크에 걸쳐 오거 스크류를 승강시키는 전용 레일을 크레인이나 굴삭기 붐에 장착한 타입이 있는가 하면, 레일 없이 굴삭기 붐에 간단히 부착하여 사용하는 타입도 있다. 보통 레일 없이 굴삭기 붐에만 의존하여 승강하는 방식이 소형 오거머신이다.
크레인 붐에 장착되는 오거머신은 오거유니트의 스트로크를 확대할 수 있으므로 천공가능 깊이의 증가는 물론 대구경 오거의 탑재가 가능하다. 굴삭기 붐에 장착되는 오거머신은 상대적으로 천공 지름과 깊이가 제한된다는 약점이 있지만 그 대신 작업의 개시, 종료와 진행과정이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어느 방식이든 다양한 종류의 오거 스크류를 가지고 다니면서 현장의 토질에 적응하여야 할 필요는 있으며 이 과정에서 작업 중 오거 스크류 교체는 필수적으로 뒤따른다.
기존 오거 스크류를 리더시스템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상,하로 승강동작되는 장착브라켓에 탑재된 어태치먼트에 탈부착시키기 위해서 지면에 누운 상태의 오거 스크류를 와이어 윈치를 이용하여 수직방향으로 기립시키고, 기립된 오거 스크류의 상단에 각진 형태의 오목홈형태로 형성된 삽입홈에 어태치먼트의 연결축을 삽입시키는 과정에서 오거 스크류를 수직방향으로 기립시키기 위해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와이어 윈치에 매달린 오거 스크류의 하단부를 붙잡고 당기거나 밀어서 수직 상태로 유지시키고, 각진 단면구조의 오거 스크류의 삽입홈과 어태치먼트의 연결축을 수직선상에 일치시켜야 하는 번거로운 작업이 요구된다.
위의 경우 오거 스크류를 수직상태로 기립시키는 과정에서 운전자와 오거 스크류를 파지하는 작업자가 요구될 뿐만 아니라, 굴삭기 캐빈 내에서 운전자가 조작하는 과정에서 리더 마스터에 의해 시야가 가려져서 작업자의 작업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었다.
상기 오거 스크류의 결합에 관련된 종래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36379호 "오거머신의 스크류헤드 마운트 장치로 활용되는 원격 조종식 조인트클램프"(등록일자 : 2014.08.26)에 개시된 바와 같이, 오거머신 드라이브소켓의 내부에 부착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된 부착부와, 상기 부착부에 연결되어 상기 드라이브소켓 안에서 밖으로 내려다보는 하방 시야를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외부 단말기로 전송하는 영상송신부와, 상기 영상송신부에 연결되며 상기 드라이브 소켓 안에서 밖으로 영상신호를 전송하는 통신안테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영상관측기와 원격결합 동작하는 조인트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브소켓의 외주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인트하우징과; 상기 조인트하우징에 배치되며 상기 통신안테나의 신호를 수신하여 외부로 중계하는 중계안테나와; 상기 조인트하우징에 장착되며 상기 통신안테나 또는 상기 중계안테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며 원격조종에 의해 조임 및 풀림동작을 수행하는 클램프구동모듈; 및 상기 클램프구동모듈에 결합되어 상기 드라이브소켓 내부로 오므려지거나 외부로 벌어지면서 상기 드라이브소켓에 삽입되는 오거 스크류의 스크류헤드를 고정하거나 해제하도록 조임 및 풀림 동작하는 클램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관련된 종래 다른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36378호 "오거머신의 드라이브소켓 조준 장치로 활용되는 스크류축 정렬용 영상관측기"(등록일자 : 2014.08.26)에 개시된 바와 같이, 오거머신 드라이브소켓의 내부에 부착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된 부착부와; 상기 부착부에 연결되어 상기 드라이브소켓 안에서 밖으로 내려다보는 하방 시야를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외부 단말기로 전송하는 영상송신부와; 상기 영상송신부에 연결되며 상기 드라이브소켓 안에서 밖으로 영상신호를 전송하는 통신안테나와; 상기 드라이브 소켓의 외부에 배치되며, 상기 통신안테나의 신호를 수신하여 외부로 중계하는 중계안테나; 및 상기 통신안테나 또는 상기 중계안테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드라이브소켓 내부로 오므려지거나 외부로 벌어지도록 동작하는 조인트클램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런데, 기존 종래 기술들은 운전자가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정보를 확인하여 작업 현장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오거 스크류를 어태치먼트에 결합시키는 작업이 필요하므로, 작업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삽입홈과 연결축이 각진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삽입홈 내에 연결축을 삽입시키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36379호 "오거머신의 스크류헤드 마운트 장치로 활용되는 원격 조종식 조인트클램프"(등록일자 : 2014.08.26)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36378호 "오거머신의 드라이브소켓 조준 장치로 활용되는 스크류축 정렬용 영상관측기"(등록일자 : 2014.08.26)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리더시스템에서 오거 스크류를 장착브라켓에 탑재된 어태치먼트에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캐빈 내에서 와이어 윈치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오거 스크류를 어태치먼트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리더용 오거 스크류 결합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리더의 일측에 상,하로 승강가능하게 마련되고 와이어 윈치의 와이어로프가 상,하로 관통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된 장착브라켓과; 상기 장착브라켓에 형성된 결합공에 각진 단면구조의 연결축이 통과되도록 탑재되는 어태치먼트와; 상기 장착브라켓의 하측에 마련되고 일측과 하부에 오거 스크류의 상단부가 진입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된 장착커버와; 상기 장착커버의 내측으로 진입되는 오거 스크류를 감지하고 이를 제어부측으로 출력하는 근접센서와; 상기 장착커버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장착커버의 내측으로 진입되는 오거 스크류의 상단 외주를 클램핑 파지하여 상기 오거 스크류를 수직상태의 정위치로 기립시키는 기립수단; 및 상기 기립수단에 의해 기립된 오거 스크류의 삽입홈과 상기 연결축이 동일 수직선상의 정위치에 위치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측으로 출력하는 위치감지센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착커버 내에 구비되어 상기 오거 스크류의 결합상태를 촬영하여 굴삭기 캐빈에 탑승한 운전자에게 영상정보를 제공하는 카메라를 더 구비한다.
상기 관통공은 상기 장착브라켓의 바닥면에 형성되고, 입구가 전방을 향해 개구되도록 형성된 것이다.
상기 장착커버를 상기 장착브라켓의 하부 둘레를 따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더 구비하되,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장착브라켓의 하부에 원호형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장착커버가 상기 가이드레일에 매달려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장착커버의 상부에 형성된 레일홈부와, 상기 장착커버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다수의 기어이가 형성된 기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기어부에 기어이 맞물림되도록 치합되는 구동기어를 갖는 회전모터로 구성되어서, 상기 회전모터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상기 장착커버가 360°방향으로 로터리 회전되도록 된 것이다.
상기 기립수단은 상기 장착커버의 양 외측에 각각 배치되고 외부의 유압력이 제공됨에 따라 신축동작되는 로드부재를 갖는 클램핑 실린더와, 상기 클램핑 실린더의 로드부재 단부에 각각 연동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오거 스크류의 상단부 외주 둘레에 밀착되도록 원호형으로 형성된 파지구를 구비하여서, 상기 개구부를 통해 장착커버의 내측으로 진입되는 오거 스크류의 상단부를 양측의 파지구가 클램핑하면서 정위치의 수직상태로 기립시키도록 된 것이다.
본 발명은 오거 스크류를 리더의 장착브라켓에 탑재된 어태치먼트에 결합시키기 위해 오거 스크류를 와이어 윈치로 들어 올리고 수직방향으로 기립시키는 과정에서 와이어 윈치의 와이어로프가 오거 스크류의 기립방향과 근접된 위치에 위치할 수 있도록 장착브라켓에 상,하로 개구된 관통공을 형성시키고, 장착브라켓의 하측에 기립수단을 배치시켜 오거 스크류의 상단부를 좌,우 양측에서 클램핑 파지하여 오거 스크류를 수직방향으로 기립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수작업을 최소화하여 작업 인원을 줄일 수 있으며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유용한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회전수단을 이용하여 장착커버를 장착브라켓의 하측에서 로터리 회전가능하게 배치시키고, 기립수단의 파지구 동작과 연계하여 오거 스크류를 장착커버의 회전시 연동 회전시켜 각진 구조의 삽입홈과 연결축의 결합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 본 발명은 근접센서와 위치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장착커버 내로 진입하는 오거 스크류의 위치 및 상태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유용한 이점을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카메라를 구비할 경우, 장착커버 내의 상황을 영상으로 촬영하여 굴삭기 캐빈의 운전사에게 송신하여, 오거 스크류의 장착커버 내 진입상태 및 연결축과 삽입홈의 결합상태를 시각적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굴삭기 캐빈 내에서 회전수단 및 기립수단의 동작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더용 오거 스크류 결합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결합상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 장착커버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기립수단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a,5b,5c는 본 발명 와이어로프에 의한 오거 스크류의 기립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6a는 본 발명 기립수단에 의해 오거 스크류의 수직방향 기립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 회전수단에 의해 오거 스크류가 회전동작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리더용 오거 스크류 결합장치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리더용 오거 스크류 결합장치는 도 1 내지 도 6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리더(10)의 일측에 상,하로 승강가능하게 마련되고 와이어 윈치(100)의 와이어로프(110)가 상,하로 관통되도록 관통공(220)이 형성된 장착브라켓(200)과; 상기 장착브라켓(200)에 형성된 결합공(215)에 각진 단면구조의 연결축(310)이 통과되도록 탑재되는 어태치먼트(300)와; 상기 장착브라켓(200)의 하측에 마련되고 일측과 하부에 오거 스크류(50)의 상단부가 진입되도록 개구부(405)가 형성된 장착커버(400)와; 상기 장착커버(400)의 내측으로 진입되는 오거 스크류(50)를 감지하고 이를 제어부(750)측으로 출력하는 근접센서(710)와; 상기 장착커버(40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장착커버(400)의 내측으로 진입되는 오거 스크류(50)의 상단 외주를 클램핑 파지하여 상기 오거 스크류(50)를 수직상태의 정위치로 기립시키는 기립수단(600); 및 상기 기립수단(600)에 의해 기립된 오거 스크류(50)의 삽입홈(52)과 상기 연결축(310)이 동일 수직선상의 정위치에 위치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750)측으로 출력하는 위치감지센서(7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장착브라켓(200)은 상부와 전면이 개구되고 중앙에 어태치먼트(300)가 거치되도록 탑재된다.
또한, 상기 장착브라켓(200)은 중앙에 어태치먼트(300)의 연결축(310)이 관통되도록 결합공(215)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또, 상기 장착브라켓(200)은 바닥면에 상기 와이어 윈치(100)의 와이어로프(110)가 상,하로 통과되도록 관통공(220)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220)은 상기 와이어 윈치(100)의 와이어로프(110)의 진입이 용이하도록 상기 바닥면의 전면 부위가 전방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관통공(220)은 와이어 윈치(100)의 와이어로프(110)가 오거 스크류(50)의 기립방향과 근접된 위치에 위치할 수 있도록 장착브라켓(200) 중앙의 결합공(215)과 근접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와이어로프(110)는 상기 오거 스크류(50)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와이어 윈치(100)의 감김동작시 오거 스크류(50)를 들어 올리게 되며, 이에 관한 결합구조는 도면에서 개략적으로 표시하기로 한다.
상기 장착브라켓(200)은 하부에 장착커버(400)가 구비된다.
상기 장착커버(400)는 전면방향과 하부방향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되고,상기 장착브라켓(200)의 하측에서 로터리 회전 가능하게 매달린 구조로 결합된다.
상기 장착커버(400)를 상기 장착브라켓(200)의 하부 둘레를 따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800)을 더 구비한다.
상기 회전수단(800)은 상기 장착브라켓(200)의 하부에 원호형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레일(805)과, 상기 장착커버(400)가 상기 가이드레일(805)에 매달려 상기 가이드레일(805)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장착커버(400)의 상부에 형성된 레일홈부(807)와, 상기 장착커버(400)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다수의 기어이가 형성된 기어부(820)와, 상기 제어부(750)의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기어부(820)에 기어이 맞물림되도록 치합되는 구동기어(815)를 갖는 회전모터(810)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수단(800)은 상기 회전모터(810)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상기 장착커버(400)를 로터리 회전시키도록 된 것이다.
도면에는 미도시되어 있지만, 상기 회전수단(800)은 회전모터(810)의 구동력이 구동기어(815)를 통해 기어부(820)측에 전달되는 과정에서 감속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수단(800)이 구비된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레일(805)과 레일홈부(807)와의 슬라이딩 결합을 위해 상기 장착커버(400)는 좌,우로 분할된 제1,2장착커버(400A,400B)로 구성되고, 상기 제1,2장착커버(400A,400B)의 연결부위에 형성된 연결플랜지가 볼트로 체결되는 플랜지 결합방식으로 결합된다.
상기 연결플랜지는 상기 기어부(820)의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2장착커버(400A,400B)를 연결하게 된다.
즉, 상기 제1,2장착커버(400A,400B)는 각각의 레일홈부(807)가 상기 가이드레일(805)의 좌,우측 단부측에서 슬라이딩 결합된 후에, 상기 제1,2장착커버(400A,400B)의 연결플랜지들이 서로 마주 접하는 위치에서 볼트로 연결플랜지들이 체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기립수단(6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착커버(400)의 양 외측에 각각 배치되고 외부의 유압력이 제공됨에 따라 신축동작되는 로드부재(615)를 갖는 클램핑 실린더(610)와, 상기 클램핑 실린더(610)의 로드부재(615) 단부에 각각 연동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오거 스크류(50)의 상단부 외주 둘레에 밀착되도록 원호형으로 형성된 파지구(620)를 구비한다.
상기 기립수단(600)은 상기 개구부(405)를 통해 장착커버(400)의 내측으로 진입되는 오거 스크류(50)의 상단부를 양측의 파지구(620)가 클램핑하면서 정위치의 수직상태로 기립시키도록 된 것이다.
상기 파지구(620)와 로드부재(615)의 결합은 상기 파지구(620)의 외측면에 상기 로드부재(615)의 단부가 삽입되는 결합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부 내에 삽입된 로드부재(615)의 단부를 볼트 등의 체결부재로 결합시키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파지구(620)와 로드부재(615)의 결합은 장착커버(400)의 내측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클램핑 실린더(610)는 여기서 좌,우 양측에 배치된 2개로 표현되어 있으나, 4개 이상의 복수개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클램핑 실린더(610)는 제어부(750)에서 장착커버(400) 내로 오거 스크류(50)의 상단부가 진입됨을 감지할 경우, 상기 제어부(750)의 제어신호에 의해 외부 유압이 공급됨에 따라, 상기 로드부재(615)를 신장시켜 파지구(620)로 하여금 오거 스크류(50)의 상단 둘레 부위를 클램핑 파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기립수단(600)은 상기 오거 스크류(50)가 장착커버(400)의 개구부(405)를 통해 내부로 진입되는 중에 좌,우 양측의 파지구(620)를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오거 스크류(50)를 수직방향으로 기립된 상태로 유지시키며, 상기 오거 스크류(50)의 삽입홈(52)에 어태치먼트(300)의 연결축(310)이 삽입되어 결합된 후에는, 상기 제어부(750)가 상기 클램핑 실린더(610)측에 로드부재(615)를 수축시키는 방향으로 유압을 제공하도록 제어함에 따라 상기 파지구(620)를 오거 스크류(50)의 상단부 외주로부터 분리시키게 된다.
미설명부호 "900"은 상기 장착커버(400) 내의 장착브라켓(200) 하면에 장착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오거 스크류(50)의 진입 및 결합상태를 촬영하여 굴삭기 캐빈에 탑승한 운전자에게 영상정보를 제공하는 카메라(900)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지면에 눕혀져 있는 오거 스크류(50)의 상단부를 별도의 결합구를 이용하여 와이어 윈치(100)의 와이어로프(110)에 연결하고, 도 5a에서와 같이, 와이어로프(110)를 장착브라켓(200)의 관통공(220) 내에 진입시켜 와이어 윈치(100)를 감아서 오거 스크류(50)를 들어 올리면, 상기 오거 스크류(50)의 수직 방향 기립을 위해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조작할 필요가 없게 되어 작업인원을 최소화하면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상기한 오거 스크류(50)를 들어올리면서 장착커버(400)의 내부로 진입시킬 경우, 상기 근접센서(710)가 개구부(405)를 통해 오거 스크류(50)의 단부가 장착커버(400)의 내부로 진입되는 것을 감지하여 제어부(750)측으로 출력하게 되고, 상기 근접센서(710)로부터 신호가 감지됨에 따라 제어부(750)가 클램핑 실린더(610)에 로드부재(615)를 신장시키는 방향으로 유압을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도 5b 및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립수단(600)은 상기 파지구(620)들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서로 간의 간격이 좁아지게 됨에 따라, 상기 오거 스크류(50)를 수직 방향으로 기립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파지구(620)는 도 6a에서와 같이, 오거 스크류(50)의 수직방향 승강동작을 방해하지 않도록 오거 스크류(50)의 외주면과 틈새 간격을 유지하게 되어 단순히 가이드 기능만을 수행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위치감지센서(720)는 각진 형태의 상기 오거 스크류(50)의 삽입홈(52)이 각진 형태의 연결축(310)과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하는 지를 감지하여 제어부(750)측으로 출력하게 된다.
상기 삽입홈(52)과 연결축(310)이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할 경우, 상기 와이어 윈치(100)를 감아서 오거 스크류(50)를 수직방향으로 들어올려, 삽입홈(52) 내에 연결축(310)이 삽입되도록 한 후에, 상기 삽입홈(52)과 연결축(310)을 별도의 연결볼트로 고정시킨다.
상기 오거 스크류(50)의 삽입홈(52)이 연결축(310)과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하지 않을 경우 상기 위치감지센서(720)에서 제어부(750)를 통해 굴삭기 운전사에게 부적합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운전사는 회전수단(800)을 이용하여 장착커버(400) 및 오거 스크류(50)를 회전시키게 된다.
위의 경우에는 좌,우 양측의 파지구(620)를 도 6b에서와 같이, 오거 스크류(50)의 외주면에 밀착시키고, 상기 장착커버(400)를 회전모터(810)의 회전 구동력으로 기어부(820)를 통해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장착커버(400)의 회전력이 파지구(620)를 통해 오거 스크류(50)를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오거 스크류(50)의 회전은 상기 위치감지센서(720)를 이용하여 삽입홈(52)과 연결축(310)의 각진 부위가 일치하게 된 것을 감지할 경우 정지되며, 상기 오거 스크류(50)의 회전이 완료된 후에, 상기 오거 스크류(50)의 승강동작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파지구(620)가 오거 스크류(50)로부터 이격되게 이동시키거나, 상기 파지구(620)의 재질이 마찰과 슬립이 가능한 재질일 경우 상기 파지구(620)와 오거 스크류(50)의 마찰력보다 더 큰 힘으로 오거 스크류(50)를 상측으로 당겨서 삽입홈(52) 내에 연결축(310)이 결합되도록 상승시킨다.
한편, 상기한 카메라(900)는 장착커버(400) 내의 상황을 영상으로 촬영하여 굴삭기 캐빈의 운전사에게 송신하여, 오거 스크류(50)의 장착커버(400) 내 진입상태 및 연결축(310)과 삽입홈(52)의 결합상태를 시각적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굴삭기 캐빈 내에서 회전수단(800) 및 기립수단(600)의 동작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오거 스크류(50)를 리더의 장착브라켓(200)에 탑재된 어태치먼트(300)에 결합시키기 위해 오거 스크류(50)를 와이어 윈치(100)로 들어 올리고 수직방향으로 기립시키는 과정에서 와이어 윈치(100)의 와이어로프(110)가 오거 스크류(50)의 기립방향과 근접된 위치에 위치할 수 있도록 장착브라켓(200)에 상,하로 개구된 관통공(220)을 형성시키고, 장착브라켓(200)의 하측에 기립수단(600)을 배치시켜 오거 스크류(50)의 상단부를 좌,우 양측에서 클램핑 파지하여 오거 스크류(50)를 수직방향으로 기립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수작업을 최소화하여 작업 인원을 줄일 수 있으며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유용한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회전수단(800)을 이용하여 장착커버(400)를 장착브라켓(200)의 하측에서 로터리 회전가능하게 배치시키고, 기립수단(600)의 파지구(620) 동작과 연계하여 오거 스크류(50)를 장착커버(400)의 회전시 연동 회전시켜 각진 구조의 삽입홈(52)과 연결축(310)의 결합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 본 발명은 근접센서(710)와 위치감지센서(720)를 이용하여 장착커버(400) 내로 진입하는 오거 스크류(50)의 위치 및 상태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유용한 이점을 갖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앞서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이상에서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리더 50 : 오거 스크류
52 : 삽입홈 100 : 와이어 윈치
110 : 와이어로프 200 : 장착브라켓
215 : 결합공 220 : 관통공
300 : 어태치먼트 310 : 연결축
400 : 장착커버 405 : 개구부
420 : 연결플랜지 600 : 기립수단
610 : 클램핑 실린더 615 : 로드부재
620 : 파지구 710 : 근접센서
720 : 위치감지센서 750 : 제어부
800 : 회전수단 805 : 가이드레일
807 : 레일홈부 810 : 회전모터
815 : 구동기어 820 : 기어부
900 : 카메라

Claims (5)

  1. 리더(10)의 일측에 상,하로 승강가능하게 마련되고 와이어 윈치(100)의 와이어로프(110)가 상,하로 관통되도록 관통공(220)이 형성된 장착브라켓(200)과;
    상기 장착브라켓(200)에 형성된 결합공(215)에 각진 단면구조의 연결축(310)이 통과되도록 탑재되는 어태치먼트(300)와;
    상기 장착브라켓(200)의 하측에 마련되고 일측과 하부에 오거 스크류(50)의 상단부가 진입되도록 개구부(405)가 형성된 장착커버(400)와;
    상기 장착커버(400)의 내측으로 진입되는 오거 스크류(50)를 감지하고 이를 제어부(750)측으로 출력하는 근접센서(710)와;
    상기 장착커버(40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장착커버(400)의 내측으로 진입되는 오거 스크류(50)의 상단 외주를 클램핑 파지하여 상기 오거 스크류(50)를 수직상태의 정위치로 기립시키는 기립수단(600); 및
    상기 기립수단(600)에 의해 기립된 오거 스크류(50)의 삽입홈(52)과 상기 연결축(310)이 동일 수직선상의 정위치에 위치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750)측으로 출력하는 위치감지센서(72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더용 오거 스크류 결합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착커버(400) 내에 구비되어 상기 오거 스크류(50)의 결합상태를 촬영하여 굴삭기 캐빈에 탑승한 운전자에게 영상정보를 제공하는 카메라(900)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더용 오거 스크류 결합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220)은 상기 장착브라켓(200)의 바닥면에 형성되고, 입구가 전방을 향해 개구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더용 오거 스크류 결합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착커버(400)를 상기 장착브라켓(200)의 하부 둘레를 따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800)을 더 구비하되,
    상기 회전수단(800)은 상기 장착브라켓(200)의 하부에 원호형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레일(805)과,
    상기 장착커버(400)가 상기 가이드레일(805)에 매달려 상기 가이드레일(805)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장착커버(400)의 상부에 형성된 레일홈부(807)와,
    상기 장착커버(400)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다수의 기어이가 형성된 기어부(820)와,
    상기 제어부(750)의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기어부(820)에 기어이 맞물림되도록 치합되는 구동기어(815)를 갖는 회전모터(810)로 구성되어서,
    상기 회전모터(810)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상기 장착커버(400)가 로터리 회전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더용 오거 스크류 결합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립수단(600)은 상기 장착커버(400)의 양 외측에 각각 배치되고 외부의 유압력이 제공됨에 따라 신축동작되는 로드부재(615)를 갖는 클램핑 실린더(610)와,
    상기 클램핑 실린더(610)의 로드부재(615) 단부에 각각 연동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오거 스크류(50)의 상단부 외주 둘레에 밀착되도록 원호형으로 형성된 파지구(620)를 구비하여서,
    상기 개구부(405)를 통해 장착커버(400)의 내측으로 진입되는 오거 스크류(50)의 상단부를 양측의 파지구(620)가 클램핑하면서 정위치의 수직상태로 기립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더용 오거 스크류 결합장치.
KR1020190170047A 2019-12-18 2019-12-18 리더용 오거 스크류 결합장치 KR1023226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0047A KR102322669B1 (ko) 2019-12-18 2019-12-18 리더용 오거 스크류 결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0047A KR102322669B1 (ko) 2019-12-18 2019-12-18 리더용 오거 스크류 결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8215A true KR20210078215A (ko) 2021-06-28
KR102322669B1 KR102322669B1 (ko) 2021-11-10

Family

ID=76608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0047A KR102322669B1 (ko) 2019-12-18 2019-12-18 리더용 오거 스크류 결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266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9889U (ja) * 1993-04-28 1994-11-08 近畿イシコ株式会社 建設機械用二軸駆動装置
JP2002327434A (ja) * 2001-05-07 2002-11-15 Nakamine Shinji コンクリートパイル及びその製造方法及びリーダー装置
JP2010168827A (ja) * 2009-01-23 2010-08-05 Avolon Systmes Corp 杭施工機
KR101436379B1 (ko) 2014-04-15 2014-09-02 주식회사 태강기업 오거머신의 스크류헤드 마운트 장치로 활용되는 원격 조종식 조인트클램프
KR101436378B1 (ko) 2014-04-15 2014-11-04 주식회사 태강기업 오거머신의 드라이브소켓 조준 장치로 활용되는 스크류축 정렬용 영상관측기
KR20150124728A (ko) * 2014-04-29 2015-11-06 박인수 천공 및 항타 작업이 동시에 가능한 시트파일 시공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9889U (ja) * 1993-04-28 1994-11-08 近畿イシコ株式会社 建設機械用二軸駆動装置
JP2002327434A (ja) * 2001-05-07 2002-11-15 Nakamine Shinji コンクリートパイル及びその製造方法及びリーダー装置
JP2010168827A (ja) * 2009-01-23 2010-08-05 Avolon Systmes Corp 杭施工機
KR101436379B1 (ko) 2014-04-15 2014-09-02 주식회사 태강기업 오거머신의 스크류헤드 마운트 장치로 활용되는 원격 조종식 조인트클램프
KR101436378B1 (ko) 2014-04-15 2014-11-04 주식회사 태강기업 오거머신의 드라이브소켓 조준 장치로 활용되는 스크류축 정렬용 영상관측기
KR20150124728A (ko) * 2014-04-29 2015-11-06 박인수 천공 및 항타 작업이 동시에 가능한 시트파일 시공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 B2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2669B1 (ko) 2021-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090320A2 (ko) 천공 장치용 로드 장착장치
US6003619A (en) Back driving automatic hammer
AU2012214910B2 (en) Subsea clamp connector emergency release tool and method
KR102322669B1 (ko) 리더용 오거 스크류 결합장치
KR101436379B1 (ko) 오거머신의 스크류헤드 마운트 장치로 활용되는 원격 조종식 조인트클램프
KR101453726B1 (ko) 영상 데이터 무선 전송장치와 전원 및 압축공기 공급을 위한 배관이 형성된 지하매설물 확인용 카메라가 장착된 굴착스크류
JP2006207252A (ja) 杭引抜機
CN114029719B (zh) 一种液压插拔销轴装置及其使用方法
JP2015196587A (ja) クレーン機能を有する多関節フロント
CN110608001B (zh) 一种钻杆动力钳
JP2000211888A (ja) 建設機械の連結ピン着脱装置
CN106607680A (zh) 一种坑道勘探钻具用销钉装配孔快速定位机构
JP5759395B2 (ja) 破砕システム
JP2004092184A (ja) 埋設配管分岐部穿孔装置及び穿孔方法並びに穿孔ツール
KR101436378B1 (ko) 오거머신의 드라이브소켓 조준 장치로 활용되는 스크류축 정렬용 영상관측기
JP4650904B2 (ja) リールユニット取付け装置とリールユニット取付け方法
JP6286097B1 (ja) U型鋼矢板圧入装置
EP0778392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the uppermost part of a construction in the seabed
JP2008240392A (ja) 杭打機
CN109403891A (zh) 一种钻机钻杆拆装用机械手
WO2007055637A1 (en) Method and device at rock drilling
CN210033305U (zh) 一种矿用或民用钻机支架
KR102604854B1 (ko) 시추공 내 유선장비 인양 보조 장치
CN213419015U (zh) 一种煤矿井下电控自动化钻机
CN211924251U (zh) 一种竖井联系测量用吊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