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7928A - 휠체어 보조구 및 이를 포함하는 휠체어 - Google Patents

휠체어 보조구 및 이를 포함하는 휠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7928A
KR20210077928A KR1020190169443A KR20190169443A KR20210077928A KR 20210077928 A KR20210077928 A KR 20210077928A KR 1020190169443 A KR1020190169443 A KR 1020190169443A KR 20190169443 A KR20190169443 A KR 20190169443A KR 20210077928 A KR20210077928 A KR 202100779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chair
wheel
assisting tool
fram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9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5996B1 (ko
Inventor
김진영
김소형
남승지
최연우
최웅
김찬형
김영철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69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5996B1/ko
Publication of KR20210077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79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5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59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91Cushions, seats or abduc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43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wheelcha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휠체어 보조구 및 이를 포함하는 휠체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보조구는 단단한 재질의 복수의 단위블록이 일방향으로 연결되어 형성되며 계단이나 요철에 설치되어 휠체어가 지나갈 수 있도록 평평한 면을 제공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양단에 구비되며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탄성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휠체어 보조구 및 이를 포함하는 휠체어{AUXILIARY UNIT FOR WHEELCHAIR AND WHEELCHAI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휠체어가 계단 또는 요철을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휠체어 보조구 및 이를 포함하는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들어 장애인이나 노약자를 위한 캠페인이 활발해지면서 계단 등에 장애인 휠체어 통로가 별도로 설치되는 것이 거의 의무화되어 있다. 하지만, 지금도 공원, 공공시설, 오래된 건물 등에는 휠체어 전용 통로가 없는 곳이 많아 장애인들이 많은 불편을 겪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와 같이 장애인용 휠체어가 다닐 수 있는 별도의 통로가 없는 계단에는 임시방편으로 나무판이나 철판을 계단에 비스듬히 얹어 놓은 곳이 종종 있으나 이 마저도 설치되지 않은 곳이 대부분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68189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휠체어가 계단 또는 요철을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휠체어 보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휠체어 보조구를 자동으로 수납 및 설치할 수 있어 사용자의 번거로움을 경감할 수 있는 휠체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단단한 재질의 복수의 단위블록이 일방향으로 연결되어 형성되며 계단이나 요철에 설치되어 휠체어가 지나갈 수 있도록 평평한 면을 제공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양단에 구비되며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휠체어 보조구를 제공한다.
복수의 상기 단위블록들은 서로 힌지결합되되, 일방향으로는 자유롭게 회전하여 상기 지지부가 곡면을 형성할 수 있지만, 반대 방향으로는 회전이 제한되어 상기 지지부가 평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착석하는 의자부, 상기 의자부의 양 측에 구비되는 바퀴를 포함하는 주행부, 상기 의자부와 상기 주행부 사이에서 이들을 연결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휠체어에 있어서, 상기 휠체어 보조구를 포함하며, 상기 바퀴의 휠에는 제 1 자석이 구비되어 상기 바퀴가 상기 휠체어 보조구 위를 지나가면 상기 바퀴의 회전에 따라 상기 휠체어 보조구가 상기 바퀴의 곡률에 대응되도록 변형되며 상기 바퀴에 부착되는 휠체어를 제공한다.
상기 휠체어 보조구는 상기 바퀴의 회전에 따라 상기 프레임 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프레임의 외측에 거치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의 외측에는 상기 바퀴의 회전에 따라 상기 휠체어 보조구가 상기 프레임의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휠체어 보조구를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에는 상기 제 1 자석보다 자력이 강한 제 2 자석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휠체어 보조구는 계단 또는 요철이 나타난 경우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자동 또는 수동으로 상기 계단 또는 요철 상에 놓여 평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보조구에 의하면 휠체어가 계단 또는 요철을 보다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보조구를 포함하는 휠체어에 의하면 상기 휠체어 보조구를 휠체어에 자동으로 수납하고, 계단 또는 요철에 자동으로 설치할 수 있어 사용자의 번거로움을 경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보조구를 나타내는 도면;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보조구를 휠체어에 자동으로 수납 및 설치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부호를 사용할 뿐 실질적으론 종래기술의 구성요소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보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보조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보조구(100)는 지지부(120) 및 탄성부(110)를 포함한다.
지지부(120)는 단단한 재질의 복수의 단위블록(12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부(120)는 복수의 단위블록(122)이 일방향으로 연결되어 형성되며, 계단이나 요철(10)에 설치되어 휠체어가 지나갈 수 있도록 평평한 면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단위블록(122)들은 서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지만, 선택적으로 단위블록(122)들이 평면을 이룬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단위블록(122)들을 서로 힌지결합 되되, 상호 인접한 단위블록(122)은 일방향으로는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지만 반대 방향으로는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이로써, 복수의 단위블록(122)의 힌지결합으로 이루어진 지지부(120)는 일방향으로는 구부러져 곡면을 형성할 수 있지만, 반대 방향으로는 휨이 제한되어 평면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120)의 양단에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탄성부(110)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탄성부(110)는 빳빳한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탄성부(110)의 형상은 외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휠체어의 지지면과 주행면 사이의 단차에 대응할 수 있으며, 마찰에 의해 지지부(120)가 미끄러지거나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탄성부(110)의 재질 및 형상은 상술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와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는 재질 및 형상이라면 어떤 것이든 적용 가능하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보조구(100)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보조구를 포함하는 휠체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보조구를 휠체어에 자동으로 수납 및 설치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200)는 사용자가 착석하는 의자부, 의자부의 양 측에 구비되는 바퀴(210)를 포함하는 주행부, 의자부와 주행부 사이에서 이들을 연결하는 프레임(23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휠체어(200)는 상술한 휠체어 보조구(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휠체어 보조구(100)는 철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지지부(120)가 철금속을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고, 지지부(120) 및 탄성부(110)의 내부에 철금속 부재가 내장될 수도 있다.
그리고, 바퀴(210)의 내부 휠에는 제 1 자석이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바퀴(210)가 휠체어 보조구(100) 위를 지나가면 바퀴(210)의 회전에 따라 휠체어 보조구(100)가 바퀴(210)의 곡률에 대응되도록 변형되며 바퀴(210)에 부착될 수 있다.
바퀴(210)가 계속 회전함에 따라 휠체어 보조구(100)는 바퀴(210)에 부착된 상태로 프레임(230)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바퀴(210)의 회전에 의해 탄성부(110)가 프레임(230)가 도달하면 휠체어 보조구(100)는 프레임(230)의 외측에 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프레임(230)의 외측에는 바퀴(210)의 회전에 따라 휠체어 보조구(100)가 프레임(230)의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휠체어 보조구(100)를 안내하는 가이드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가이드부(미도시)는 프레임(230)의 외측에 구비되되 바퀴(210) 또는 휠과 동일한 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이드부(미도시)는 레일 형태로서 바퀴(210)의 근처에서부터 휠체어(200)의 발 받침대(250)를 향하는 방향으로 프레임(230)의 길이를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부(110)의 말단이 가이드부(미도시)에 위치하면 바퀴(210)가 계속 회전함에 따라 휠체어 보조구(100)가 바퀴(210)로부터 분리되어 가이드부(미도시)로 진입할 수 있다. 그리고, 휠체어 보조구(100) 전체가 완전히 가이드부(미도시)에 위치하게 되면 휠체어 보조구(100)는 사용자의 별도의 요청이 있을 때까지 가이드부(미도시)에 거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가이드부(미도시)에는 휠체어 보조구(100)를 고정하기 위한 제 2 자석이 구비될 수 있다. 제 2 자석은 전자석이 될 수도 있고, 일반 자석이 될 수도 있다.
그리고, 휠체어(200)의 주행 도중 계단 또는 요철(10)을 만나면 휠체어 보조구(100)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자동 또는 수동으로 계단 또는 요철(10) 상에 놓여 평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전동 휠체어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휠체어(200)의 조작을 위한 리모컨(240)이 구비되는데, 리모컨(240)에는 휠체어 보조구 설치 명령 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휠체어 보조구 설치 명령 버튼은 제 2 자석의 자력을 제거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자석은 전자석일 수 있다. 즉, 휠체어 보조구 설치 명령 버튼을 누르면 제 2 자석의 자력이 제거되어 가이드부(미도시)로부터 휠체어 보조구(100)가 미끄러져 내려와 계단 또는 요철(10)에 휠체어 보조구(100)가 설치될 수 있다.
하지만, 상술하는 것은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휠체어 보조구의 설치를 자동으로 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떤 식으로든 구성될 수 있다.
휠체어(200)가 전동 휠체어라 하더라도 본 실시예의 휠체어 보조구(100)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휠체어(200)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설치하여 사용하거나, 이물질에 의해 오염된 경우 손쉽게 휠체어(200)로부터 분리하여 세척 후 다시 휠체어(200)에 거치할 수 있다.
또는, 본 실시예의 도면에는 전동 휠체어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휠체어(200)가 전동 휠체어가 아닌 경우에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가이드부(미도시)로부터 휠체어 보조구(100)를 분리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보조구 및 이를 포함하는 휠체어에 의하면 휠체어(200)가 계단 또는 요철(10)을 보다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으며, 휠체어 보조구(100)를 휠체어(200)에 자동으로 수납하고 계단 또는 요철(10)에 자동으로 설치할 수 있어 사용자의 번거로움을 경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휠체어 보조구
110: 탄성부
120: 지지부
122: 단위블록
200: 휠체어
210: 바퀴
220: 보조바퀴
230: 프레임
240: 리모컨
250: 발 받침대

Claims (8)

  1. 단단한 재질의 복수의 단위블록이 일방향으로 연결되어 형성되며 계단이나 요철에 설치되어 휠체어가 지나갈 수 있도록 평평한 면을 제공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양단에 구비되며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탄성부;
    를 포함하는 휠체어 보조구.
  2. 제 1항에 있어서,
    복수의 단위블록들은 서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지만, 선택적으로 단위블록들이 평면을 이룬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휠체어 보조구.
  3. 제 1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단위블록들은 서로 힌지결합되되, 일방향으로는 자유롭게 회전하여 상기 지지부가 곡면을 형성할 수 있지만, 반대 방향으로는 회전이 제한되어 상기 지지부가 평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휠체어 보조구.
  4. 사용자가 착석하는 의자부, 상기 의자부의 양 측에 구비되는 바퀴를 포함하는 주행부, 상기 의자부와 상기 주행부 사이에서 이들을 연결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휠체어에 있어서,
    제 1항 또는 제 2항의 휠체어 보조구를 포함하며,
    상기 휠체어 보조구에는 철금속이 포함되고,
    상기 바퀴의 휠에는 제 1 자석이 구비되어 상기 바퀴가 상기 휠체어 보조구 위를 지나가면 상기 바퀴의 회전에 따라 상기 휠체어 보조구가 상기 바퀴의 곡률에 대응되도록 변형되며 상기 바퀴에 부착되는 휠체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의 회전에 따라 상기 휠체어 보조구는 상기 프레임 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프레임의 외측에 거치되는 휠체어.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외측에는 상기 바퀴의 회전에 따라 상기 휠체어 보조구가 상기 프레임의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휠체어 보조구를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구비되는 휠체어.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에는 상기 휠체어 보조구를 고정하기 위한 제 2 자석이 구비되는 휠체어.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휠체어 보조구는 계단 또는 요철이 나타난 경우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자동 또는 수동으로 상기 계단 또는 요철 상에 놓여 평탄면을 형성하는 휠체어.
KR1020190169443A 2019-12-18 2019-12-18 휠체어 보조구 및 이를 포함하는 휠체어 KR1023759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9443A KR102375996B1 (ko) 2019-12-18 2019-12-18 휠체어 보조구 및 이를 포함하는 휠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9443A KR102375996B1 (ko) 2019-12-18 2019-12-18 휠체어 보조구 및 이를 포함하는 휠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7928A true KR20210077928A (ko) 2021-06-28
KR102375996B1 KR102375996B1 (ko) 2022-03-17

Family

ID=76607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9443A KR102375996B1 (ko) 2019-12-18 2019-12-18 휠체어 보조구 및 이를 포함하는 휠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599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8189Y1 (ko) 2004-08-17 2004-11-17 이창기 휠체어용 계단보조구
JP2016067518A (ja) * 2014-09-29 2016-05-09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携帯用スロープ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8189Y1 (ko) 2004-08-17 2004-11-17 이창기 휠체어용 계단보조구
JP2016067518A (ja) * 2014-09-29 2016-05-09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携帯用スロー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5996B1 (ko) 2022-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204704D1 (de) Krankenbett- lenkrollen- vorrichtung
US20140231738A1 (en) New Locking System for a Stair Assistance Device
KR102375996B1 (ko) 휠체어 보조구 및 이를 포함하는 휠체어
KR20130027807A (ko) 장애인의 차량 운전을 위한 동작 보조 시스템
ATE212524T1 (de) Tragbares reinigungsgerät
JP2006288795A (ja) 歩行補助装置
JP6111498B2 (ja) 移乗補助装置
JP6284761B2 (ja) 手摺の取付け構造および手摺の取付け方法
DE69504968D1 (de) Kombination von rollstuhl und gehhilfe
ATE184858T1 (de) Treppenlift
JP2008002219A (ja) 突っ張り型支柱
TWM600637U (zh) 輔助老人感知統合之協調裝置
KR200295718Y1 (ko) 편리한 장애우 전용 지하철 이용기구
JP3085147U (ja) 段差解消スロープ
KR100653213B1 (ko) 공동주택용 가변형 계단 구조
KR102292564B1 (ko) 엘리베이터용 안내클릭장치
JP6317625B2 (ja) 移動補助装置
JP2022015345A (ja) 偏芯軸車輪(キャスター)補助デバイス
KR101424570B1 (ko) 휠체어 이용자를 위한 서랍식 현금자동지급기용 부스
JPH11263541A (ja) エレベータ運転装置
JPS6340986Y2 (ko)
KR200365232Y1 (ko) 이동 재활치료 차량
JP2007082601A (ja) 歩行器
JP2003035019A (ja) 段差解消スロープ
JP3009513U (ja) トイレの可動式手す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