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7578A - 표시 시스템, 전송 장치 및 중계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시스템, 전송 장치 및 중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7578A
KR20210077578A KR1020200088951A KR20200088951A KR20210077578A KR 20210077578 A KR20210077578 A KR 20210077578A KR 1020200088951 A KR1020200088951 A KR 1020200088951A KR 20200088951 A KR20200088951 A KR 20200088951A KR 20210077578 A KR20210077578 A KR 202100775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th
signal line
display panels
relay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8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0167B1 (ko
Inventor
지현종
카츠요시 히라키
타카유키 스즈키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10077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75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0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01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1Arbitration of resources in a display system, e.g. control of access to frame buffer by video controller and/or main process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4Display of multiple viewpo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7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2Synchronisation between the display unit and other units, e.g. other display units, video-disc play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02Details
    • H04B3/36Repeater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2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additional display device, e.g. video proj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8Signal distribution or switch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Composi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6Video wall, i.e. juxtaposition of a plurality of screens to create a display screen of bigger dimens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09G2300/0426Layout of electrodes and connec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2Networking asp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8Details of image data interface between the display device controller and the data line driver circui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8Use of optical transmission of display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간단한 구성으로 복수의 표시 패널에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표시 시스템, 전송 장치 및 중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표시 시스템은, 제 1 내지 제 N(단, N은 2 이상의 정수이다.) 표시 패널과, 제 1 내지 제 N 표시 패널에 각각 표시할 영상의 제 1 내지 제 N 영상 신호 및 제 1 내지 제 N 표시 패널을 각각 제어하는 제 1 내지 제 N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구동부와, 제 1 내지 제 N 영상 신호 및 제 1 내지 제 N 제어 신호를 제 1 내지 제 N 표시 패널에 전송하는 전송부를 가지고, 전송부는, 제 1 내지 제 N 중계부를 가지며, 제 m(단, m은 1 ≤ m ≤ N-1을 만족하는 정수이다.) 중계부는, 제 m 영상 신호를 제 m 표시 패널에 출력하고, 제 (m+1) 내지 제 N 영상 신호를 제 (m+1) 중계부에 출력한다.

Description

표시 시스템, 전송 장치 및 중계 장치{Display system, transmission device and re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시스템, 전송 장치 및 중계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멀티 화면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복수의 표시 장치에 대해서, 표시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표시 장치 제어 정보를 부여하는 기능을 가진 멀티 화면 영상 재생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장치에서는, 복수의 묘화 유닛에 대해서 표시 장치 제어 정보 전송이 가능한 네트 워크로서 LAN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송출된 화상 신호를 복수의 디스플레이에 전송하는 화상 신호 전송 시스템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시스템에서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각각에 대해서, 화상 신호를 광 신호로 변환하는 송신 유닛으로부터 송출된 광 신호를 화상 신호로 변환하고 디스플레이에 입력하는 중계 유닛이 설치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특허공개공보 2005-274937호 특허문헌 2: 일본특허공개공보 2009-182821호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장치에서는, 표시 장치 제어 패킷으로서 생성된 표시 장치 제어 정보의 묘화 유닛에 대한 송신 및 묘화 유닛으로부터 송신되는 정보 수신을 LAN을 사용하여 수행하는 송수신부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시스템에서는, 중계 유닛이, 광 신호를 화상 신호로 변환하는 광/전기 변환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때문에 특허문헌 1, 2에 기재된 장치 또는 시스템에서는, 복수의 디스플레이에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구성이 복잡해졌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과제를 감안하여, 간단한 구성으로 복수의 표시 패널에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표시 시스템, 전송 장치 및 중계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제 1 내지 제 N(단, N은 2 이상의 정수이다.) 표시 패널과, 상기 제 1 내지 제 N 표시 패널에 각각 표시할 영상의 제 1 내지 제 N 영상 신호 및 상기 제 1 내지 제 N 표시 패널을 각각 제어하는 제 1 내지 제 N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구동부와, 상기 제 1 내지 제 N 영상 신호 및 상기 제 1 내지 제 N 제어 신호를 상기 제 1 내지 제 N 표시 패널에 전송하는 전송부를 가지고, 상기 전송부는, 제 1 내지 제 N 중계부를 가지며, 상기 제 m(단, m은 1 ≤ m ≤ N-1을 만족하는 정수이다.) 중계부는, 상기 제 m 영상 신호를 상기 제 m 표시 패널에 출력하고, 상기 제 (m+1) 내지 제 N 영상 신호를 상기 제 (m+1) 중계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제 1 내지 제 N(단, N은 2 이상의 정수이다.) 표시 패널과, 상기 제 1 내지 제 N 표시 패널에 각각 표시할 영상의 제 1 내지 제 N 영상 신호 및 상기 제 1 내지 제 N 표시 패널을 각각 제어하는 제 1 내지 제 N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구동부를 가지는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N 영상 신호 및 상기 제 1 내지 제 N 제어 신호를 상기 제 1 내지 제 N 표시 패널에 전송하는 전송 장치로서, 제 1 내지 제 N 중계부를 가지며, 상기 제 m(단, m은 1 ≤ m ≤ N-1을 만족하는 정수이다.) 중계부는, 상기 제 m 영상 신호를 상기 제 m 표시 패널에 출력하고, 상기 제 (m+1) 내지 제 N 영상 신호를 상기 제 (m+1) 중계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르면, 제 1 내지 제 N(단, N은 2 이상의 정수이다.) 표시 패널과, 상기 제 1 내지 제 N 표시 패널에 각각 표시할 영상의 제 1 내지 제 N 영상 신호 및 상기 제 1 내지 제 N 표시 패널을 각각 제어하는 제 1 내지 제 N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구동부와, 상기 제 1 내지 제 N 영상 신호 및 상기 제 1 내지 제 N 제어 신호를 상기 제 1 내지 제 N 표시 패널에 전송하는 전송부를 가지는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의 상기 전송부에 포함되는 중계 장치로서, 상기 제 m(단, m은 1 ≤ m ≤ N-1을 만족하는 정수이다.) 영상 신호를 상기 제 m 표시 패널에 출력하고, 상기 제 (m+1) 내지 제 N 영상 신호를 상기 제 (m+1) 중계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으로 복수의 표시 패널에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표시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의 표시 패널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의 신호 통합 보드, 중계 보드 및 Tcon 보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의 인접하는 2개의 중계 보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 신호 및 선택 신호를 도시한 타이밍 차트이다.
<일 실시형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표시 시스템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5를 가지고 설명한다.
우선, 본 실시형태에 따른 표시 시스템의 전체 구성에 대하여 도 1 및 도 2를 가지고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표시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의 표시 패널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표시 시스템(1)은, 복수인 N개(단, N은 2 이상의 정수이다. 이하 동일하다.)의 표시 패널(2-1, …, 2-N)에 영상을 표시하는 시스템이다. 또한 도 1은 N=4인 경우를 도시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표시 시스템(1)은, 표시 패널(2-1, …, 2-N)과, 구동 장치(3), 전송 장치(4)를 포함하고 있다. 각 표시 패널(2-1, …, 2-N)은, 예를 들면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액정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등의 패널이다. 또한 이하에서는 표시 패널(2-1, …, 2-N)을 총칭하여 표시 패널(2)로 부르는 경우가 있다.
N개의 표시 패널(2-1, …, 2-N)은, 서로 동일한 종류이다. 즉, N개의 표시 패널(2-1, …, 2-N)은, 서로 동일한 형상, 동일한 사이즈 및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N개의 표시 패널(2-1, …, 2-N)은, 예를 들면 가로 1열로 배치되도록 타일링 되어 단일 대화면을 구성하고 있다. 도 1에서는, 4개의 표시 패널(2-1, 2-2, 2-3, 2-4)이 가로 1열로 배치되어 타일링 되어 있는 경우, 즉 표시 패널(2)의 가로 X 세로 배치 개수가 4 X 1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표시 패널(2)의 개수는, 4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2개 이상의 복수 면 된다. 또한 표시 패널(2)의 가로 X 세로 배치 개수는, 4 X 1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x X y(단, x 및 y는, 서로 독립된 양의 정수이고, x X y = N을 만족한다.)일 수 있다. 즉, N개의 표시 패널(2-1, …, 2-N)은, 가로 방향뿐만 아니라 세로 방향으로 타일링 되어 있어도 되고,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타일링 되어 있어도 된다.
N개의 표시 패널(2-1, …, 2-N)은, 특별히 그 용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디지털 사이니지로서 사용할 수 있다. N개의 표시 패널(2-1, …, 2-N)에 의해, 대화면 디지털 사이니지를 구성할 수 있다.
표시 패널(2)은,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타이밍 컨트롤러(204)와 패널부(206), 소스 드라이버(208), 게이트 드라이버(210)를 가지고 있다. 또한 게이트 드라이버(210)는 패널부(206) 내부에 내장된 구조도 포함한다. 패널부(206)는, 행렬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화소를 구비하고 있고,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로서 기능한다. 각 화소는, 예를 들면 적색(R), 녹색(G), 청색(B) 등 각 색의 복수의 부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204)는, 소스 드라이버(208)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게이트 드라이버(210)는, 패널부(206)를 통해서 타이밍 컨트롤러(204)에 접속되어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204)는, 후술하는 것과 같이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바탕으로 소스 드라이버(208) 및 게이트 드라이버(210)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 신호는, 예를 들면 V-by-One(등록상표) 신호의 핫 플러그 검지(Hot plug Detect) 신호, 락 검지(Lock Detect) 신호, I2C(Inter-Integrated Circuit, 패널간 통신) 신호, 패널의 이상 검지 신호, 패널의 화질 보정 관련 신호이다. 또한 타이밍 컨트롤러(204)는, 후술하는 것과 같이 입력되는 화상 신호를 바탕으로, 패널부(206)에 있어서의 화소를 구성하는 각 부화소의 휘도를 나타내는 휘도 데이터를 생성하고, 휘도 데이터를 소스 드라이버(208)에 출력 신호로서 출력한다. 또한 영상 신호는 수직 동기 신호, 수평 동기 신호,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 등의 타이밍 신호를 포함하고 있다.
소스 드라이버(208)는, 타이밍 컨트롤러(204)의 제어에 따라서, 복수의 데이터 라인을 통해서 패널부(206) 내의 복수의 화소를 구동하기 위한 전압을 공급한다. 게이트 드라이버(210)는, 타이밍 컨트롤러(204)의 제어에 따라서, 복수의 게이트 라인을 통해서 패널부(206) 내의 복수의 화소에 스캔 신호를 공급한다. 이와 같이 타이밍 컨트롤러(204)는, 표시 패널(2)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표시 제어 장치로서 기능한다.
또한 표시 패널(2-i, 단, i는 1 ≤ i ≤ N을 만족하는 정수이다. 이하 동일하다.)은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Tcon 보드(20-i)와 구동 보드(22-i), 구동 보드(24-i)를 가지고 있다. Tcon 보드(20-i)는, 타이밍 컨트롤러(204)가 탑재된 보드이다. 구동 보드(22-i, 24-i)는, 소스 드라이버(208)가 탑재된 보드이다.
구동 장치(3)는, 영상 소스에 따라서 그 영상을 N개의 표시 패널(2-1, …, 2-N)에 표시하기 위해, 각 표시 패널(2-1, …, 2-N)에 표시할 영상의 영상 신호와, 각 표시 패널(2-1, …, 2-N)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출력하는 구동부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표시 시스템(1)에서는 1대의 구동 장치(3)에 의해 N개의 표시 패널(2-1, …, 2-N)이 제어된다.
각 표시 패널(2-1, …, 2-N)에 표시되는 영상은, 예를 들면 타일링 된 표시 패널(2-1, …, 2-N)에 걸쳐서 표시되는 영상의 일부를 구성하는 부분적인 영상이다. 또한 각 표시 패널(2-1, …, 2-N)에 표시되는 영상은, 예를 들면 서로 독립된 영상이어도 된다.
구동 장치(3)는, 구동 보드(30)를 가지고 있다. 구동 장치(3)는, 예를 들면 셋톱 박스로서 구성되어 있다. 구동 보드(30)는, 입력되는 영상 소스에 따라서 각 표시 패널(2-1, …, 2-N)에 표시할 영상의 영상 신호를 생성하고 출력한다. 또한 구동 보드(30)는, 각 표시 패널(2-1, …, 2-N)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시간 분할로 출력한다.
구동 보드(30)에 입력되는 영상 소스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지상파, 위성파, 유선 등에 의한 텔레비전 방송의 방송 신호이다. 또한 영상 소스는, 예를 들면 기록 매체에 영상 파일로서 기록된 것이어도 된다.
전송 장치(4)는, 구동 장치(3)의 구동 보드(30)로부터 출력된 영상 신호 및 제어 신호를 N개의 표시 패널(2-1, …, 2-N)에 전송하는 전송부이다. 전송 장치(4)는, 1대의 구동 장치(3)와 N개의 표시 패널(2-1, …, 2-N)을 접속한다. 전송 장치(4)는, 후술하는 것과 같이 N개의 표시 패널(2-1, …, 2-N)을 표시하는 제어 신호를 시간 분할로 전송한다.
전송 장치(4)는, 신호 통합 보드(40)와, N개의 표시 패널(2-1, …, 2-N)의 개 수와 동일한 N개의 중계 보드(50-1, …, 50-N)를 가지고 있다. 중계 보드(50-1, …, 50-N)는, 각각 표시 패널(2-1, …, 2-N)에 1:1로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전송 장치(4)는, 신호 통합 보드(40)와 중계 보드(50-1) 사이를 접속하는 케이블(60-1)과, 중계 보드(50-2, …, 50-N)에 있어서의 인접 보드 사이를 접속하는 케이블(60-2, …, 60-N)을 가지고 있다. 중계 보드(50-1, …, 50-N)는, 서로 동일한 종류이다. 또한 케이블(60-1, …, 60-N)도 서로 동일한 종류이다.
신호 통합 보드(40)는, 구동 장치(3)로부터 출력된 영상 신호 및 제어 신호를, 복수의 신호선을 묶은 1개의 케이블(60-1)로 전송 가능하도록 통합해서 출력하는 통합부이다. 신호 통합 보드(40)는, 케이블(32)을 통해서 구동 장치(3)의 구동 보드(30)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신호 통합 보드(40)의 기능은, 구동 장치(3)의 구동 보드(30)에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즉, 신호 통합 보드(40)는, 구동 보드(30)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중계 보드(50-1, …, 50-N)는, 신호 통합 보드(40)로부터 출력된 영상 신호 및 제어 신호를 중계하고, 각각 대응하는 표시 패널(2-1, …, 2-N)에 입력하는 중계부이다. 중계 보드(50-1, …, 50-N)는, 각각 대응하는 표시 패널(2-1, …, 2-N)에 영상 신호 및 제어 신호를 중계하고 전송하는 중계 장치로서 기능한다.
이하, 신호 통합 보드(40), 중계 보드(50-1, …, 50-N) 및 Tcon 보드(20-1, …, 20-N)의 접속 구조에 대하여, 도 3 및 도 4를 가지고 더욱 설명한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의 신호 통합 보드, 중계 보드 및 Tcon 보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의 인접하는 2개의 중계 보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은, 신호 통합 보드(40), 중계 보드(50-1) 및 Tcon 보드(20-1)의 접속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N=4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신호 통합 보드(40)는, 보드 본체(402)와 입력 접속부(404), 출력 접속부(406)를 가지고 있다. 또한 신호 통합 보드(40)는, N세트의 영상 신호선 그룹(408-1, …, 408-N)과 SerDes 회로(410), 제어 신호선 그룹(412), 제어 신호선 그룹(414), 제어 회로(416), N개의 선택 신호선(418-1, …, 418-N)을 가지고 있다.
보드 본체(402)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일단 및 타단 중, 일단에는 입력 접속부(404)가 설치되고, 타단에는 출력 접속부(40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2개의 입력 접속부(404)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지만, 입력 접속부(404)의 수는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보드 본체(402)에는, SerDes 회로(410) 및 제어 회로(416)가 설치되어 있다.
입력 접속부(404)는, 케이블 접속이 가능한 커넥터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출력 접속부(406)도, 케이블 접속이 가능한 커넥터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출력 접속부(406)에는, 출력 포트(406v1, …, 406vN)가 순서대로 나란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보드 본체(402)에는, N세트의 영상 신호선 그룹(408-1, …, 408-N), 제어 신호선 그룹(412), 제어 신호선 그룹(414) 및 N개의 선택 신호선(418-1, …, 418-N)이 설치되어 있다. N세트의 영상 신호선 그룹(408-1, …, 408-N)은, 입력 접속부(404)와 출력 접속부(406)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제어 신호선 그룹(412)은, 입력 접속부(404)와 SerDes 회로(410)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제어 신호선 그룹(414)은, SerDes 회로(410)와 출력 접속부(406)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N개의 선택 신호선(418-1, …, 418-N)은, 제어 회로(416)와 출력 접속부(406)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각 영상 신호선 그룹(408-1, …, 408-N)은, 차동 신호를 전송하는 1세트 2개의 영상 신호선을 1레인으로 해서 복수 레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각 영상 신호선 그룹(408-1, …, 408-4)이 4레인, 8개의 영상 신호선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지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영상 신호선의 개수 및 레인 수는, 전송해야 되는 영상 신호 등에 따라서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신호선 그룹(412)은, 패럴렐 전송에 의한 제어 신호의 쌍방향 전송을 수행하는 복수개의 제어 신호선을 포함하고 있다. 제어 신호선 그룹(412)에 포함되는 제어 신호선의 개수는, 예를 들면 18개이다.
또한 제어 신호선 그룹(414)은, 시리얼 전송에 의한 제어 신호의 쌍방향 전송을 수행하는 복수개의 제어 신호선을 포함하고 있다. 제어 신호선 그룹(414)은, 차동 신호를 전송하는 1세트 2개의 제어 신호선을 1레인으로 해서 쌍방향 전송을 수행하는 2레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제어 신호선 그룹(414)에 포함되는 제어 신호의 개수는, SerDes 회로(410)에 의한 패럴렐 전송과 시리얼 전송 사이의 상호 변환에 의해, 제어 신호선 그룹(412)에 포함되는 제어 신호의 개수보다 적고, 예를 들면 4개이다.
N세트의 영상 신호선 그룹(408-1, …, 408-N)의 각 일방 단부는, 입력 접속부(404)에 접속되어 있다. N세트의 영상 신호선 그룹(408-1, …, 408-N)의 각 타방 단부는, 출력 접속부(406)의 출력 포트(406v1, …, 406vN)에 접속되어 있다.
제어 신호선 그룹(412)의 일방 단부는, 입력 접속부(404)에 접속되어 있다. 제어 신호선 그룹(412)의 타방 단부는, SerDes 회로(410)에 접속되어 있다.
제어 신호선 그룹(414)의 일방 단부는, SerDes 회로(410)에 접속되어 있다. 제어 신호선 그룹(414)의 타방 단부는, 출력 접속부(406)의 출력 포트(406c)에 접속되어 있다.
N개의 선택 신호선(418-1, …, 418-N)의 각 일방 단부는, 제어 회로(416)에 접속되어 있다. N개의 선택 신호선(418-1, …, 418-N)의 각 타방 단부는, 출력 접속부(406)의 출력 포트(406s)에 접속되어 있다.
SerDes 회로(410)는, 제어 신호에 대해서 패럴렐 전송과 시리얼 전송을 상호 변환하는 IC이다. SerDes 회로(410)는, 각 Tcon 보드(20-1, …, 20-N)에 탑재된, 후술하는 SerDes 회로(214)와 쌍방향 SerDes에 의한 제어 신호 전송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제어 신호 전송에 있어서, SerDes 회로(410)가 마스터, SerDes 회로(214)가 슬레이브로 되어 있다. SerDes 회로(410)는, 제어 신호선 그룹(412)에 있어서 패럴렐 전송에 의해 전송되는 제어 신호와, 제어 신호선 그룹(414)에 있어서 시리얼 전송에 의해 전송되는 제어 신호를 상호 변환한다.
제어 회로(416)는, 제어 신호 전송을 수행해야 되는 N개의 표시 패널(2-1, …, 2-N)을 순차적으로 선택하는 선택 신호를 생성하고 출력하는 IC이다. 제어 회로(416)는, 예를 들면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어 회로(416)는, 표시 패널(2-1)을 선택하는 제 1 선택 신호, …, 표시 패널(2-N)을 선택하는 제 N 선택 신호를 생성하고, 각각 선택 신호선(418-1, …, 418-N)에 출력한다.
상술한 것과 같이 각 신호선이 접속된 입력 접속부(404)는, N세트의 영상 신호선 그룹(408-1, …, 408-N) 및 제어 신호선 그룹(412)의 각 일방 단부를 외부와 접속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입력 접속부(404)에는, 구동 장치(3)의 구동 보드(30)에 접속된 케이블(32)이 외부로부터 접속되어 있다. 케이블(32)은, 구동 장치(3)로부터의 영상 신호가 전송되는 신호선과, 구동 장치(3)로부터의 제어 신호가 전송되는 신호선이 묶인 것이다. 신호 통합 보드(40)에는, 구동 장치(3)로부터의 영상 신호 및 제어 신호가 케이블(32)을 통해서 입력된다.
또한 상술한 것과 같이 각 신호선이 접속된 출력 접속부(406)는, N세트의 영상 신호선 그룹(408-1, …, 408-N), 제어 신호선 그룹(414) 및 N개의 선택 신호선(418-1, …, 418-N)의 각 타방 단부를 외부와 접속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영상 신호선 그룹(408-1, …, 408-N)에는, 구동 장치(3)로부터 케이블(32)을 통해서 각각 표시 패널(2-1, …, 2-N)에 표시할 영상의 영상 신호가 입력된다. 또한 제어 신호선 그룹(412)에는, 구동 장치(3)로부터 케이블(32)을 통해서 제어 신호가 입력된다.
영상 신호선 그룹(408-1, …, 408-N)은, 각각 영상 신호를 전송하고 출력 포트(406v1, …, 406vN)에 출력한다.
제어 신호선 그룹(412)은, 패럴렐 전송에 의해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SerDes 회로(410)는, 제어 신호선 그룹(412)에 있어서 패럴렐 전송에 의해 전송되는 제어 신호를 시리얼 변환하여 제어 신호선 그룹(414)에 출력한다. 제어 신호선 그룹(414)은, 패럴렐 전송에 의해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출력 포트(406c)에 출력한다.
N개의 선택 신호선(418-1, …, 418-N)은, 각각 제어 회로(416)로부터의 선택 신호를 전송하고 출력 포트(406s)에 출력한다. N개의 선택 신호선(418-1, …, 418-N)은, 각각 표시 패널(2-1)을 선택하는 제 1 선택 신호, …, 표시 패널(2-N)을 선택하는 제 N 선택 신호를 전송한다.
이와 같이 신호 통합 보드(40)가 구성되어 있다. 신호 통합 보드(40)에는, 케이블(60-1)을 통해서 중계 보드(50-1)가 접속되어 있다.
신호 통합 보드(40)에 접속된 중계 보드(50-1)는, 보드 본체(502)와, 입력 접속부(504), 출력 접속부(506)를 가지고 있다. 또한 중계 보드(50-1)는, N세트의 영상 신호선 그룹(508-1, …, 508-N)과 셀렉터 회로(510), 제어 신호선 그룹(512), 제어 신호선 그룹(514), 제어 신호선 그룹(516), N개의 선택 신호선(518-1, …, 518-N)을 가지고 있다. 또한 중계 보드(50-1)는, 송신부(520)와 수신부(522), 송신부(524)를 가지고 있다. 또한 다른 중계 보드(50-2, …, 50-N)도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보드 본체(502)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일단 및 타단 중, 일단에는 입력 접속부(504)가 설치되고, 타단에는 출력 접속부(50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보드 본체(502)에는 셀렉터 회로(510), 송신부(520), 수신부(522) 및 송신부(524)가 설치되어 있다. 송신부(520), 수신부(522) 및 송신부(524)는, 표시 패널(2-1)에 있어서의 Tcon 보드(20-1)와의 신호 송수신을 수행하는 송수신부(526)를 구성하고 있다.
입력 접속부(504)는, 케이블 접속 가능한 커넥터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입력 접속부(504)에는, 입력 포트(504v1, …, 504vN)가 순서대로 나란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출력 접속부(506)도, 케이블 접속 가능한 커넥터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출력 접속부(506)에는, 출력 포트(506v1, …, 506vN)가 순서대로 나란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보드 본체(502)에는, N세트의 영상 신호선 그룹(508-1, …, 508-N), 제어 신호선 그룹(512), 제어 신호선 그룹(514), 제어 신호선 그룹(516) 및 N개의 선택 신호선(518-1, …, 518-N)이 설치되어 있다. N세트의 영상 신호선 그룹(508-1, …, 508-N) 중에서 영상 신호선 그룹(508-1)은, 입력 접속부(504)와 송신부(520)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남은 영상 신호선 그룹(502-8, …, 508-N)은, 입력 접속부(504)와 출력 접속부(506)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제어 신호선 그룹(512)은, 입력 접속부(504)와 셀렉터 회로(510)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제어 신호선 그룹(514)은, 셀렉터 회로(510)와 출력 접속부(506)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제어 신호선 그룹(516)은, 셀렉터 회로(510)와 수신부(522) 및 송신부(524)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N개의 선택 신호선(518-1, …, 518-N) 중에서 선택 신호선(518-1)은, 입력 접속부(504)와 셀렉터 회로(510)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남은 선택 신호선(518-2, …, 518-N)은, 입력 접속부(504)와 출력 접속부(506)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N세트의 영상 신호선 그룹(508-1, …, 508-N), 셀렉터 회로(510), 제어 신호선 그룹(512), 제어 신호선 그룹(514), N개의 선택 신호선(518-1, …, 518-N), 송신부(520), 수신부(522) 및 송신부(524)는, 보드 본체(502)의 일방 면에 설치되어 있다. 한편 제어 신호선 그룹(516)은, 보드 본체(502)의 일방 면에 설치된 양단 부분과, via(528)를 통해서 보드 본체(502)의 타방 면에 설치된 잔여 부분을 가지고 있다. 제어 신호선 그룹(516)은, 보드 본체(502)의 일방 면에 설치된 영상 신호선 그룹(508-2, …, 508-N)과 보드 본체(502)의 타방 면에서 교차되어 있다.
각 영상 신호선 그룹(508-1, …, 508-N)은, 차동 신호를 전송하는 1세트 2개의 영상 신호선을 1레인으로 해서 복수 레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각 영상 신호선 그룹(508-1, …, 508-4)이 4레인, 8개의 영상 신호선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지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영상 신호선의 개수 및 레인 수는, 전송해야 되는 영상 신호 등에 따라서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신호선 그룹(512, 514, 516)은, 각각 시리얼 전송에 의한 제어 신호의 쌍방향 전송을 수행하는 복수개의 제어 신호를 포함하고 있다. 제어 신호선 그룹(512, 514, 516)은, 각각 차동 신호를 전송하는 1세트 2개의 제어 신호선을 1레인으로 해서, 쌍방향 전송을 수행하는 2레인, 4개의 제어 신호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N세트의 영상 신호선 그룹(508-1, …, 508-N) 중에서 영상 신호선 그룹(508-1)의 일방 단부는, 입력 접속부(504)의 입력 포트(504v1)에 접속되어 있다. 영상 신호선 그룹(508-1)의 타방 단부는, 1레인을 구성하는 2개의 영상 신호선마다 송신부(520)에 접속되어 있다.
송신부(520)는, 영상 신호선 그룹(508-1)에 있어서의 1레인 2개의 영상 신호선으로, 차동 신호로서 전송되는 영상 신호를 표시 패널(2-1)의 Tcon 보드(20-1)에 송신하는 것이다. 송신부(520)는, 송신기 회로(520a)와 전송 소자(520b)를 가지고 있다. 송신기 회로(520a)는, I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송신기 회로(520a)의 입력단에는, 영상 신호선 그룹(508-1)에 있어서의 1레인 2개의 영상 신호선 각각이 접속되어 있다. 송신기 회로(520a)의 출력단에는, 전송 소자(520b)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다. 전송 소자(520b)는, 후술하는 전송 소자(220b)와의 사이에서 신호의 비접촉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소자이다. 전송 소자(520b)로서는, 안테나 등 공지된 소자를 사용할 수 있다. 전송 소자(520b)는, 필요에 따라서 그 타단에 종단 저항(520c)이 접속되어 종단되어 있다. 또한 송신부(520)의 송신기 회로(520a) 및 종단 저항(520c)을 포함하는 회로 구성은, 전송 소자(520b)의 특성 등에 따라서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N세트의 영상신호선 그룹(508-1, …, 508-N) 중에서 남은 영상 신호선 그룹(508-2, …, 508-N)의 각 일방 단부는, 입력 접속부(504)의 입력 포트(504v2, …, 504vN)에 접속되어 있다. 남은 영상 신호선 그룹(508-2, …, 508-N)의 각 타방 단부는, 출력 접속부(506)의 출력 포트(506v1, …, 506v(N-1))에 접속되어 있다. 출력 접속부(506)의 출력 포트(506vN)는, 영상 신호선이 접속되지 않은 더미 포트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입력 포트(504v2, …, 504vN)는, 각각 영상 신호선 그룹(508-2, …, 508-N)을 통해서 각각 출력 포트(506v1, …, 506v(N-1))에 접속되어 있다.
제어 신호선 그룹(512)의 일방 단부는, 입력 접속부(504)의 입력 포트(504c)에 접속되어 있다. 제어 신호선 그룹(512)의 타방 단부는, 셀렉터 회로(510)에 접속되어 있다.
제어 신호선 그룹(514)의 일방 단부는, 셀렉터 회로(510)에 접속되어 있다. 제어 신호선 그룹(514)의 타방 단부는, 출력 접속부(506)의 출력 포트(506c)에 접속되어 있다.
제어 신호선 그룹(516)의 일방 단부는, 셀렉터 회로(510)에 접속되어 있다. 제어 신호선 그룹(516)의 타방 단부는, 수신부(522) 및 송신부(524)에 접속되어 있다.
수신부(522)는, Tcon 보드(20-1)로부터 차동 신호로서 송신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것이다. 수신부(522)는, 수신기 회로(522a)와 전송 소자(522b)를 가지고 있다. 수신기 회로(522a)는, I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수신기 회로(522a)의 출력단에는, 제어 신호선 그룹(516)에 있어서의 1레인 2개의 제어 신호선 각각이 접속되어 있다. 수신기 회로(522a)의 입력단에는, 전송 소자(522b)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다. 전송 소자(522b)는, 후술하는 전송 소자(222b)와의 사이에서 신호의 비접촉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소자이다. 전송 소자(522b)로서는, 안테나 등 공지된 소자를 사용할 수 있다. 전송 소자(522b)는, 필요에 따라서 그 타단에 종단 저항(522c)이 접속되어 종단되어 있다. 또한 수신부(522)의 수신기 회로(522a) 및 종단 저항(522c)을 포함하는 회로 구성은, 전송 소자(522b)의 특성 등에 따라서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송신부(524)는, 제어 신호선 그룹(516)에 있어서의 1레인 2개의 제어 신호선으로, 차동 신호로서 전송되는 제어 신호를 표시 패널(2-1)의 Tcon 보드(20-1)에 송신하는 것이다. 송신부(524)는, 전송 소자(524b)를 가지고 있다. 전송 소자(524b)의 일단에는, 제어 신호선 그룹(516)에 있어서의 1레인 2개의 제어 신호선이 접속되어 있다. 전송 소자(524b)의 타단은, 종단 저항(524c)이 접속되어 종단되어 있다. 전송 소자(524b)는, 후술하는 전송 소자(224b)와의 사이에서 신호의 비접촉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소자이다. 전송 소자(524b)로서는, 안테나 등 공지된 소자를 사용할 수 있다. 전송 소자(524b)는, 필요에 따라서 그 타단에 종단 저항(524c)이 접속되어 종단되어 있다. 또한 송신부(524)의 종단 저항(524c)을 포함하는 회로 구성은, 전송 소자(524b)의 특성 등에 따라서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N개의 선택 신호선(518-1, …, 518-N)의 각 일방 단부는, 입력 접속부(504)의 입력 포트(504s)에 접속되어 있다. N개의 선택 신호선(518-1, …, 518-N) 중에서 선택 신호선(518-1)의 타방 단부는, 셀렉터 회로(510)에 접속되어 있다. 남은 선택 신호선(518-2, …, 518-N)의 각 타방 단부는, 출력 접속부(506)의 출력 포트(506s)에 접속되어 있다. 출력 포트(506s)에는, 선택 신호선(518-2, …, 518-N)이 접속되지 않은 더미 단자(506s-d)가 설치되어 있다.
셀렉터 회로(510)는, 제어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제어 신호선 그룹(512)을 제어 신호선 그룹(516) 또는 제어 신호선 그룹(514)에 접속하는 IC이다. 셀렉터 회로(510)는, 선택 신호선(518-1)으로부터의 선택 신호 입력 유무에 따라서, 제어 신호선 그룹(512)을 제어 신호선 그룹(516) 또는 제어 신호선 그룹(514)으로 전환해서 접속한다.
셀렉터 회로(510)는, 선택 신호선(518-1)으로부터 선택 신호가 입력되어 있는 경우, 제어 신호선 그룹(512)을, 수신부(522) 및 송신부(524)가 접속된 제어 신호선 그룹(516)에 접속한다. 이 경우, 중계 보드(50-1)와 Tcon 보드(20-1) 사이에서 제어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해진다.
한편 셀렉터 회로(510)는, 선택 신호선(518-1)으로부터 선택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제어 신호선 그룹(512)을, 출력 포트(506c)에 접속된 제어 신호선 그룹(514)에 접속한다. 이 경우, 서로 인접하는 중계 보드(50-1)와 중계 보드(50-2) 사이에서 제어 신호가 흐른다.
이와 같이 셀렉터 회로(510)는, 선택 신호선(518-1)으로부터의 선택 신호 입력에 따라서, 표시 패널(2-1)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표시 패널(2-1)에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선택부로서 기능한다.
상술한 것과 같이 각 신호선이 접속된 입력 접속부(504)는, N세트의 영상 신호선 그룹(508-1, …, 508-N), 제어 신호선 그룹(512) 및 N개의 선택 신호선(518-1, …, 518-N)의 각 일방 단부를 외부와 접속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것과 같이 각 신호선이 접속된 출력 접속부(506)는, (N-1)세트의 영상 신호선 그룹(508-2, …, 508-N), 제어 신호선 그룹(514) 및 (N-1)개의 선택 신호선 그룹(518-2, …, 518-N)의 각 타방 단부를 외부와 접속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중계 보드(50-1)가 구성되어 있다. 중계 보드(50-1)는, 케이블(60-1)을 통해서 신호 통합 보드(40)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다른 중계 보드(50-2, …, 50-N)도, 상술한 중계 보드(50-1)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즉, 중계 보드(50-1, …, 50-N)는, 서로 다른 독자적인 구조를 가지는 것이 아니라, 교환 가능한 동일 구조를 가지고 있다.
중계 보드(50-1)에 있어서의 입력 접속부(504)는, 신호 통합 보드(40)에 있어서의 출력 접속부(406)에 케이블(60-1)을 통해서 접속되어 있다.
케이블(60-1)은, 신호 통합 보드(40)에 있어서의 출력 접속부(406)와, 중계 보드(50-1)에 있어서의 입력 접속부(504)를 서로 접속하는 신호선 그룹이 1개의 케이블로 묶인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케이블(60-1)에는, 신호 통합 보드(40)에 있어서의 출력 접속부(406)의 각 출력 포트(406v1, …, 406vN, 406c, 406s)와, 중계 보드(50-1)에 있어서의 입력 접속부(504)의 각 입력 포트(504-1, …, 504-N, 504c, 504s)를 서로 접속하는 신호선 그룹이 묶여 있다.
이러한 케이블(60-1)을 통해서, 신호 통합 보드(40)의 영상 신호선 그룹(408-1, …, 408-N)이, 각각 중계 보드(50-1)의 영상 신호선 그룹(508-1, …, 508-N)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케이블(60-1)을 통해서, 신호 통합 보드(40)의 제어 신호선 그룹(414)이, 중계 보드(50-1)의 제어 신호선 그룹(512)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케이블(60-1)을 통해서, 신호 통합 보드(40)의 N개의 선택 신호선(418-1, …, 418-N)이, 각각 중계 보드(50-1)의 N개의 선택 신호선(518-1, …, 518-N)에 접속되어 있다.
N개의 중계 보드(50-1, …, 50-N)는, 예를 들면 가로 1열로 배치되도록 타일링 된 N개의 표시 패널(2-1, …, 2-N)에 대응하도록 1열로 나란히 케이블(60-2, …, 60-N)을 통해서 직렬 접속되어 있다. 인접하는 중계 보드(50-m)와 중계 보드(50-(m+1))는, 케이블(60-(m+1))을 통해서 접속되어 있다. 단, m은 1 ≤ m ≤ N-1을 만족하는 정수이다(이하 동일).
도 4는, 인접하는 2개의 중계 보드(50-m, 50-(m+1))의 접속 구조의 예로서, m=1인 경우의 중계 보드(50-1)와 중계 보드(50-2)의 접속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4 역시, 도 1 및 도 3과 동일하게 N=4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중계 보드(50-m)에 있어서의 출력 접속부(506)는, 중계 보드(50-(m+1))에 있어서의 입력 접속부(504)에 케이블(60-(m+1))을 통해서 접속되어 있다.
케이블(60-(m+1))은, 중계 보드(50-m)에 있어서의 출력 접속부(506)와, 중계 보드(50-(m+1))에 있어서의 입력 접속부(504)를 서로 접속하는 신호선 그룹이 1개의 케이블로 묶인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케이블(60-(m+1))은, 중계 보드(50-m)에 있어서의 출력 접속부(506)의 각 출력 포트(506v1, …, 506vN, 506c, 506s)와, 중계 보드(50-(m+1))에 있어서의 입력 접속부(504)의 각 입력 포트(504-1, …, 504-N, 504c, 504s)를 서로 접속하는 신호선 그룹이 묶여 있다.
이와 같은 케이블(60-(m+1))을 통해서, 중계 보드(50-m)의 영상 신호선 그룹(508-2, …, 508-N)이, 각각 중계 보드(50-(m+1))의 영상 신호선 그룹(508-1, …, 508-(N-1))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중계 보드(50-(m+1))의 영상 신호선 그룹(508-N)은, 케이블(60-(m+1))을 통해서, 중계 보드(50-m)에 있어서의 출력 접속부(506)의 더미 포트인 출력 포트(560vN)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중계 보드(50-(m+1))의 영상 신호선 그룹(508-N)은, 중계 보드(50-m)의 영상 신호선 그룹과는 접속되어 있지 않다.
또한 케이블(60-(m+1))을 통해서, 중계 보드(50-m)의 제어 신호선 그룹(512)이, 중계 보드(50-(m+1))의 제어 신호선 그룹(512)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케이블(60-(m+1))을 통해서, 중계 보드(50-m)의 (N-1)개의 선택 신호선(518-2, …, 518-N)이, 중계 보드(50-(m+1))의 (N-1)개의 선택 신호선(518-1, …, 518-(N-1))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중계 보드(50-(m+1))의 선택 신호선(518-N)은, 케이블(60-(m+1))을 통해서, 중계 보드(50-m)에 있어서의 출력 접속부(506)의 출력 포트(506s)에 설치된 더미 단자(506s-d)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중계 보드(50-(m+1))의 선택 신호선(518-N)은, 중계 보드(50-m)의 선택 신호선과는 접속되어 있지 않다.
이와 같이 중계 보드(50-m)에 있어서의 출력 접속부(506)는, 중계 보드(50-(m+1))에 있어서의 입력 접속부(504)에 케이블(60-(m+1))을 통해서 접속되어 있다.
N개의 중계 보드(50-1, …, 50-N)는, 각각 N개의 표시 패널(2-1, …, 2-N)의 Tcon 보드(20-1, …, 20-N)에 접속되어 있다. 중계 보드(50-1, …, 50-N)는, 각각 Tcon 보드(20-1, …, 20-N)에 커넥터 등을 통해서 접속되어 있다. 또한 각 중계 보드(50-1, …, 50-N)와 각 Tcon 보드(20-1, …, 20-N)의 접속 상태에서는, 각 중계 보드(50-1, …, 50-N)의 송수신부(526)가, 각 Tcon 보드(20-1, …, 20-N)의 후술하는 수송신부(226)에 대해서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된다. 각 송수신부(526)와 각 수송신부(226) 사이에서는, 비접촉 전송에 의한 신호의 송수신이 수행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중계 보드(50-1)에 접속된 Tcon 보드(20-1)는, 보드 본체(202)와, 상술한 타이밍 컨트롤러(204), 1세트의 영상 신호선 그룹(212)을 가지고 있다. 또한 Tcon 보드(20-1)는, SerDes 회로(214)와 제어 신호선 그룹(216), 제어 신호선 그룹(218)을 가지고 있다. 또한 Tcon 보드(20-1)는, 수신부(220)와 송신부(222), 수신부(224)를 가지고 있다. 또한 다른 Tcon 보드(20-2, …, 20-N)도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보드 본체(202)에는, 타이밍 컨트롤러(204)와 SerDes 회로(214), 수신부(220), 송신부(222), 수신부(224)가 설치되어 있다. 수신부(220), 송신부(222) 및 수신부(224)는, 중계 보드(50-1)와의 신호 수송신을 수행하는 수송신부(226)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보드 본체(202)에는, 1세트의 영상 신호선 그룹(212), 제어 신호선 그룹(216) 및 제어 신호선 그룹(218)이 설치되어 있다. 영상 신호선 그룹(212)은, 타이밍 컨트롤러(204)와 수신부(220)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제어 신호선 그룹(216)은, 타이밍 컨트롤러(204)와 SerDes 회로(214)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제어 신호선 그룹(218)은, SerDes 회로(214)와 송신부(222) 및 수신부(224)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영상 신호선 그룹(212)은, 차동 신호를 전송하는 1세트 2개의 영상 신호선을 1레인으로 해서 복수 레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에서는, 영상 신호선 그룹(212)이 4레인, 8개의 영상 신호선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지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영상 신호선의 개수 및 레인 수는, 전송해야 되는 영상 신호 등에 따라서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신호선 그룹(216)은, 패럴렐 전송에 의한 제어 신호의 쌍방향 전송을 수행하는 복수개의 제어 신호선을 포함하고 있다. 제어 신호선 그룹(216)에 포함되는 제어 신호선의 개수는, 예를 들면 18개이다.
또한 제어 신호선 그룹(218)은, 시리얼 전송에 의한 제어 신호의 쌍방향 전송을 수행하는 복수개의 제어 신호를 포함하고 있다. 제어 신호선 그룹(218)은, 차동 신호를 전송하는 1세트 2개의 제어 신호선을 1레인으로 해서, 쌍방향 전송을 수행하는 2레인, 4개의 제어 신호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어 신호선 그룹(218)에 포함되는 제어 신호의 개수는, SerDes 회로(214)에 의한 패럴렐 전송과 시리얼 전송간의 상호 변환에 의해, 제어 신호선 그룹(216)에 포함되는 제어 신호의 개수보다 적고, 예를 들면 4개이다.
영상 신호선 그룹(212)의 일방 단부는, 타이밍 컨트롤러(204)에 접속되어 있다. 영상 신호선 그룹(212)의 타방 단부는, 1레인을 구성하는 2개의 영상 신호선마다 수신부(220)에 접속되어 있다.
수신부(220)는, 중계 보드(50-1)의 송신부(520)로부터, 차동 신호로서 송신되는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것이다. 수신부(220)는, 수신기 회로(220a)와 전송 소자(220b)를 가지고 있다. 수신기 회로(220a)는, I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수신기 회로(220a)의 출력단에는, 영상 신호선 그룹(212)에 있어서의 1레인 2개의 영상 신호선 각각이 접속되어 있다. 수신기 회로(220a)의 입력단에는, 전송 소자(220b)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다. 전송 소자(220b)는, 전술한 전송 소자(520b)와의 사이에서 신호의 비접촉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소자이다. 전송 소자(220b)로서는, 안테나 등 공지된 소자를 사용할 수 있다. 전송 소자(220b)는 필요에 따라서, 그 타단에 종단 저항(220c)이 접속되어 종단되어 있다. 또한 수신부(220)의 수신기 회로(220a) 및 종단 저항(220c)을 포함하는 회로 구성은, 전송 소자(220b)의 특성 등에 따라서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제어 신호선 그룹(216)의 일방 단부는, 타이밍 컨트롤러(204)에 접속되어 있다. 제어 신호선 그룹(216)의 타방 단부는, SerDes 회로(214)에 접속되어 있다.
제어 신호선 그룹(218)의 일방 단부는, SerDes 회로(214)에 접속되어 있다. 제어 신호선 그룹(218)의 타방 단부는, 송신부(222) 및 수신부(224)에 접속되어 있다.
송신부(222)는, 제어 신호선 그룹(218)에 있어서의 1레인 2개의 제어 신호선으로, 차동 신호로서 전송되는 제어 신호를 중계 보드(50-1)에 송신하는 것이다. 송신부(222)는, 전송 소자(222b)를 가지고 있다. 전송 소자(222b)의 일단에는, 제어 신호선 그룹(218)에 있어서의 1레인 2개의 제어 신호선이 접속되어 있다. 전송 소자(222b)는, 전술한 전송 소자(522b)와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전자계 결합에 의해 신호의 비접촉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소자이다. 전송 소자(222b)로서는, 안테나 등 공지된 소자를 사용할 수 있다. 전송 소자(222b)는, 필요에 따라서 그 타단에 종단 저항(222c)이 접속되어 종단되어 있다. 또한 송신부(222)의 종단 저항(222c)을 포함하는 회로 구성은, 전송 소자(222b)의 특성 등에 따라서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수신부(224)는, 중계 보드(50-1)로부터 차동 신호로서 송신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것이다. 수신부(224)는, 수신기 회로(224a)와 전송 소자(224b)를 가지고 있다. 수신기 회로(224a)는, I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수신기 회로(224a)의 출력단에는, 제어 신호선 그룹(516)에 있어서의 1레인 2개의 제어 신호선 각각이 접속되어 있다. 수신기 회로(224a)의 입력단에는, 전송 소자(224b)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다. 전송 소자(224b)는, 전술한 전송 소자(524b)와의 사이에서 신호의 비접촉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소자이다. 전송 소자(224b)로서는, 안테나 등 공지된 소자를 사용할 수 있다. 전송 소자(224b)는, 필요에 따라서 그 타단에 종단 저항(224c)이 접속되어 종단되어 있다. 또한 수신부(224)의 수신기 회로(224a) 및 종단 저항(224c)을 포함하는 회로 구성은, 전송 소자(224b)의 특성 등에 따라서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SerDes 회로(214)는, 제어 신호에 대해서 패럴렐 전송과 시리얼 전송을 상호 변환하는 IC이다. SerDes 회로(214)는, 신호 통합 보드(40)에 탑재된 전술한 SerDes 회로(410)와 쌍방향 SerDes에 의한 제어 신호 전송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SerDes 회로(214)는, 제어 신호선 그룹(216)에 있어서 패럴렐 전송에 의해 전송되는 제어 신호와, 제어 신호선 그룹(218)에 있어서 시리얼 전송에 의해 전송되는 제어 신호를 상호 변환한다.
이와 같이 Tcon 보드(20-1)가 구성되어 있다. Tcon 보드(20-1)에는, 커넥터 등에 의해 대응하는 중계 보드(50-1)가 접속되어 있다. 중계 보드(50-1)가 접속된 Tcon 보드(20-1)의 전송 소자(220b, 222b, 224b)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각각 중계 보드(50-1)의 전송 소자(520b, 522b, 524b)가 대향 배치되어 있다. 소자간 소정 간격은, 신호의 비접촉 전송이 가능한 간격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다른 Tcon 보드(20-2, …, 20-N)도, 상술한 Tcon 보드(20-1)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다른 Tcon 보드(20-2, …, 20-N)도, 상술한 Tcon 보드(20-1)와 동일하게, 각각 대응하는 중계 보드(50-2, …, 50-N)가 접속되어 있다.
이렇게 본 실시형태에 따른 표시 시스템(1)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송신기 회로(520a), 수신기 회로(220a, 522a, 224a), 셀렉터 회로(510) 및 SerDes 회로(410, 214)의 각 회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공지된 회로를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표시 시스템(1)에서는, 다음과 같이 해서 각 표시 패널(2-1, …, 2-N)에 표시할 영상의 영상 신호가 각 표시 패널(2-1, …, 2-N)에 전송된다. 각 표시 패널(2-1, …, 2-N)에 표시하는 영상 신호는, 구동 장치(3)의 구동 보드(30)로부터 신호 통합 보드(40)에 입력된다.
우선, 표시 패널(2-1)의 타이밍 컨트롤러(204)에는, 신호 통합 보드(40)의 영상 신호선 그룹(408-1), 중계 보드(50-1)의 영상 신호선 그룹(508-1) 및 송신부(520), 그리고 Tcon 보드(20-1)의 수신부(220) 및 영상 신호선 그룹(212)을 통해서, 표시 패널(2-1)에 표시할 영상의 영상 신호가 입력된다.
표시 패널(2-2)의 타이밍 컨트롤러(204)에는, 신호 통합 보드(40)의 영상 신호선 그룹(408-2), 중계 보드(50-1)의 영상 신호선 그룹(508-2), 중계 보드(50-2)의 영상 신호선 그룹(508-1) 및 송신부(520), 그리고 Tcon 보드(20-2)의 수신부(220) 및 영상 신호선 그룹(212)을 통해서, 표시 패널(2-2)에 표시할 영상의 영상 신호가 입력된다.
표시 패널(2-3)의 타이밍 컨트롤러(204)에는, 신호 통합 보드(40)의 영상 신호선 그룹(408-3), 중계 보드(50-1)의 영상 신호선 그룹(508-3), 중계 보드(50-2)의 영상 신호선 그룹(508-2), 중계 보드(50-3)의 영상 신호선 그룹(508-1) 및 송신부(520), 그리고 Tcon 보드(20-3)의 수신부(220) 및 영상 신호선 그룹(212)을 통해서, 표시 패널(2-3)에 표시할 영상의 영상 신호가 입력된다.
표시 패널(2-4)의 타이밍 컨트롤러(204)에는, 신호 통합 보드(40)의 영상 신호선 그룹(408-4), 중계 보드(50-1)의 영상 신호선 그룹(508-4), 중계 보드(50-2)의 영상 신호선 그룹(508-3), 중계 보드(50-3)의 영상 신호선 그룹(508-2), 중계 보드(50-4)의 영상 신호선 그룹(508-1) 및 송신부(520), 그리고 Tcon 보드(20-4)의 수신부(220) 및 영상 신호선 그룹(212)을 통해서, 표시 패널(2-4)에 표시할 영상의 영상 신호가 입력된다.
상기 영상 신호의 전송에서는, 중계 보드(50-i)에 있어서, 입력 접속부(504)의 입력 포트(504v1, …, 504v(N-(i-1))에, 각각 표시 패널(2-i, …, 2-N)에 표시할 영상의 영상 신호가 입력된다.
또한 출력 접속부(506)에 중계 보드(50-(m+1))가 접속된 중계 보드(50-m)에서는, 영상 신호선 그룹(508-1) 및 송신부(520)를 통해서, 표시 패널(2-m)에 표시할 영상의 영상 신호가 표시 패널(2-m)에 출력된다. 또한 중계 보드(50-m)에서는, 영상 신호선 그룹(508-2, …, 508-(N-(m-1))을 통해서, 표시 패널(2-(m+1), …, 2-N)에 표시할 영상의 영상 신호가 중계 보드(50-(m+1))에 출력된다.
또한 표시 패널(2-i)의 타이밍 컨트롤러(204)에는, 신호 통합 보드(40)의 영상 신호선 그룹(408-i), 중계 보드(50-1)의 영상 신호선 그룹(508-i), 중계 보드(50-2)의 영상 신호선 그룹(508-(i-1)), 중계 보드(50-3)의 영상 신호선 그룹(508-(i-2)), …, 중계 보드(50-i)의 영상 신호선 그룹(508-1) 및 송신부(520), 그리고 Tcon 보드(20-i)의 수신부(220) 및 영상 신호선 그룹(212)을 통해서, 표시 패널(2-i)에 표시할 영상의 영상 신호가 입력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입력 접속부(504)의 입력 포트(504v1, …, 504vN) 중에서 입력 포트(504v2, …, 504vN)가, 각각 영상 신호선 그룹(508-2, …, 508-N)을 통해서, 각각 출력 접속부(506)의 출력 포트(506v1, …, 506N) 중 출력 포트(506v1, …, 506v(N-1))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중계 보드(50-1, …, 50-N)를 사용하여, 상술한 것과 같이 각 표시 패널(2-1, …, 2-N)에 영상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중계 보드(50-1, …, 50-N)가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인접한 중계 보드 사이를 동일한 케이블로 접속할 수 있고, 표시 패널 증설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표시 패널과 중계 보드 접속 시, 양자의 매칭을 고려할 필요도 없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간단한 구성으로 N개의 표시 패널(2-1, …, 2-N)에 영상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표시 시스템(1)에서는, 다음과 같이 해서 구동 보드(30)와 각 표시 패널(2-1, …, 2-N) 사이의 제어 신호의 전송이 시간 분할로 수행된다. 이하, 본 실시형태에 따른 표시 시스템(1)에 있어서의 제어 신호의 전송에 대하여 도 5를 가지고 설명한다. 도 5는, 시간 분할 제어 신호 전송에 있어서의 제어 신호 및 선택 신호를 도시한 타이밍 차트이다. 또한 도 5는, N=4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5에 있어서, 상단으로부터 1번째 내지 4번째는, 각각 표시 패널(2-1)을 선택하는 선택 신호(S-1), 표시 패널(2-2)을 선택하는 선택 신호(S-2), 표시 패널(2-3)을 선택하는 선택 신호(S-3) 및 표시 패널(2-4)을 선택하는 선택 신호(S-4)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하단으로부터 1번째는, 시간 분할로 전송되는 1종류의 제어 신호(C-1, C-2, C-3, C-4)를 도시하고 있다. 선택 신호(S-1, S-2, S-3, S-4)는, 각각 하이 레벨(H) 및 로우 레벨(L) 중 로우 레벨(L)에서 액티브가 되는 액티브 로우 신호로 되어 있지만, IC의 사양에 따라서는 액티브 하이인 경우도 있다. 또한 제어 신호(C-1, C-2, C-3, C-4)에 대해서는, 편의상 제어 신호(C-1, C-3)를 로우 레벨(L) 신호로서 도시하고, 제어 신호(C-2, C-4)를 하이 레벨(H) 신호로서 도시하고 있다.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이, 구동 장치(3)의 구동 보드(30)는, 제어 신호(C-1, …, C-N)를 시간 분할로 다중화하고 순차적으로 전송한다. 제어 신호(C-1, …, C-N)는, 각각 표시 패널(2-1, …, 2-N)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구동 보드(30)는, N개의 표시 패널(2-1, …, 2-N)과의 사이에 있어서의 제어 신호(C-1, …, C-N) 전송을, 소정의 시간(T)을 1주기로 해서 주기적으로 수행한다.
신호 통합 보드(40)의 제어 회로(416)는, 표시 패널(2-1, …, 2-N)을 선택하는 선택 신호(S-1, …, S-N)를 각각 선택 신호선(418-1, …, 418-N)에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제어 회로(416)는, 선택 신호(S-1, …, S-N)를 각각 제어 신호(C-1, C-2, C-3, C-4)와 동기해서 출력한다.
선택 신호(S-i)는, 신호 통합 보드(40)의 선택 신호선(418-i), 중계 보드(50-1)의 선택 신호선(518-i), …, 중계 보드(50-i)의 선택 신호선(518-i)을 통해서, 중계 보드(50-i)의 셀렉터 회로(510)에 입력된다.
중계 보드(50-i)의 셀렉터 회로(510)는, 선택 신호(S-i)가 입력되지 않아서 선택되어 있지 않은 타이밍에서는, 제어 신호선 그룹(512)과 제어 신호선 그룹(514)을 접속한다. 이 경우, Tcon 보드(20-i)의 타이밍 컨트롤러(204)와 구동 장치(3)의 구동 보드(50) 사이의 제어 신호 쌍방향 전송은 확립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어 신호는, 제어 신호선 그룹(514)으로부터 출력 접속부(506)의 출력 포트(506c)에 출력된다.
한편 중계 보드(50-i)의 셀렉터 회로(510)는, 선택 신호(S-i)가 입력되어 선택되어 있는 타이밍에서는, 제어 신호선 그룹(512)과 제어 신호선 그룹(516)을 접속한다. 이 경우, Tcon 보드(20-i)의 타이밍 컨트롤러(204)와 구동 장치(3)의 구동 보드(50) 사이의 제어 신호 쌍방향 전송이 확립된다. 이로써 Tcon 보드(20-i)의 타이밍 컨트롤러(204)에는, 구동 장치(3)의 구동 보드(30)로부터의 제어 신호(C-i)가 입력된다.
이 때, 제어 신호(C-i)는, 신호 통합 보드(40)의 제어 신호선 그룹(412), SerDes 회로(410) 및 제어 신호선 그룹(414), 중계 보드(50-1)의 제어 신호선 그룹(512, 514), …, 중계 보드(50-(i-1))의 제어 신호선 그룹(512, 514)을 통해서 중계 보드(50-i)에 입력된다. 더욱이 제어 신호(C-i)는, 중계 보드(50-i)의 제어 신호선 그룹(512, 516) 및 송신부(524), 그리고 Tcon 보드(20-i)의 수신부(224), SerDes(214) 및 제어 신호선 그룹(216)을 통해서 타이밍 컨트롤러(204)에 입력된다.
이와 같이 각 표시 패널(2-1, …, 2-N)에 있어서의 각 Tcon 보드(20-1, …, 20-N)의 타이밍 컨트롤러(204)와 구동 장치(3)의 구동 보드(30) 사이의 제어 신호 쌍방향 전송이 수행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것과 같이 구동 보드(30)와 Tcon 보드(20-i)의 타이밍 컨트롤러(204) 사이의 1:1 제어 신호 전송이 시간 분할로 수행된다. 이로써 구동 보드(30)와 N개의 Tcon 보드(20-1, …, 20-N) 사이의 1:N 제어 신호 전송이 실현된다.
이와 같은 시간 분할에 의한 제어 신호 전송에 있어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과 같이 공통되는 제어 신호선 그룹을 사용하여 제어 신호를 각 Tcon 보드(20-1, …, 20-N)의 타이밍 컨트롤러(204)에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 신호선의 개수 증가를 억제하면서 복수의 표시 패널(2-1, …, 2-N)에 영상 표시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신호 통합 보드(40)에 있어서, SerDes 회로(410)에 의해, 제어 신호의 패럴렐 전송과 시리얼 전송 간의 상호 변환을 수행한다. 또한 Tcon 보드(20-i)에 있어서, SerDes 회로(214)에 의해, 제어 신호의 패럴렐 전송과 시리얼 전송 간의 상호 변환을 수행한다. 이로써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 신호선의 개수를 삭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간단한 구성으로 N개의 표시 패널(2-1, …, 2-N)에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에서는, 중계 보드(50-1, …, 50-N)와 Tcon 보드(20-1, …, 20-N) 사이에 있어서, 전송 소자(520b, 220b) 사이, 전송 소자(222b, 522b) 사이 및 전송 소자(524b, 224b) 사이에서 비접촉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를 예로 설명했지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각 전송 소자 사이의 비접촉 신호 전송을 대신하여 단자 핀, 단자 패턴 등의 접촉에 의해 신호가 전송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신호의 전송 방식과 제어 신호의 전송 방식을 바꿔서, 영상 방식의 전송 방식으로서 상기에서 설명한 제어 신호의 전송 방식을 채용하고, 제어 신호의 전송 방식으로서 상기에서 설명한 영상 신호의 전송 방식을 채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중계 보드(50-1, …, 50-N)를 통해서 표시 패널(2-1, …, 2-N)에 영상 신호 및 제어 신호, 양자를 전송하는 경우를 예로 설명했지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술한 것과 같이 중계 보드(50-1, …, 50-N)를 통해서 표시 패널(2-1, …, 2-N)에 영상 신호를 전송하는 한편 표시 패널(2-1, …, 2-N)에 제어 신호를 개별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상술한 것과 같이 중계 보드(50-1, …, 50-N)를 통해서 표시 패널(2-1, …, 2-N)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한편 표시 패널(2-1, …, 2-N)에 영상 신호를 개별로 전송할 수도 있다.
1: 표시 시스템
2-1, …, 2-N: 표시 패널
3: 구동 장치
4: 전송 장치
20-1, …, 20-N: Tcon 보드
30: 구동 보드
40: 신호 통합 보드
50-1, …, 50-N: 중계 보드

Claims (21)

  1. 제 1 내지 제 N(단, N은 2 이상의 정수이다.) 표시 패널과,
    상기 제 1 내지 제 N 표시 패널에 각각 표시할 영상의 제 1 내지 제 N 영상 신호 및 상기 제 1 내지 제 N 표시 패널을 각각 제어하는 제 1 내지 제 N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구동부와,
    상기 제 1 내지 제 N 영상 신호 및 상기 제 1 내지 제 N 제어 신호를 상기 제 1 내지 제 N 표시 패널에 전송하는 전송부를 가지고,
    상기 전송부는, 제 1 내지 제 N 중계부를 가지며,
    상기 제 m(단, m은 1 ≤ m ≤ N-1을 만족하는 정수이다.) 중계부는, 상기 제 m 영상 신호를 상기 제 m 표시 패널에 출력하고, 상기 제 (m+1) 내지 제 N 영상 신호를 상기 제 (m+1) 중계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n(단, n은 1 ≤ n ≤ N을 만족하는 정수이다.) 중계부는,
    제 1 내지 제 N 입력 포트와,
    제 1 내지 제 N 출력 포트와,
    상기 제 n 표시 패널에 상기 제 n 영상 신호를 송신하는 제 1 송신부를 가지고,
    상기 제 1 입력 포트는, 상기 제 1 송신부에 접속되고,
    상기 제 2 내지 제 N 입력 포트는, 각각 상기 제 1 내지 제 (N-1) 출력 포트에 접속되며,
    상기 제 m 중계부의 상기 제 1 내지 제 N 출력 포트는, 상기 (m+1) 중계부의 상기 제 1 내지 제 N 입력 포트에 접속되고,
    상기 제 1 중계부의 상기 제 1 내지 제 N 입력 포트는, 각각 상기 제 1 내지 제 N 영상 신호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N 출력 포트는, 더미 포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시스템.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n 중계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송신부는, 상기 제 n 표시 패널에 있어서의 제 1 수신부에 상기 제 n 영상 신호를 비접촉으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시스템.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는, 상기 제 m 중계부의 상기 제 1 내지 제 N 출력 포트를 각각 상기 (m+1) 중계부의 상기 제 1 내지 제 N 입력 포트에 접속하는 신호선이 묶인 제 (m+1) 케이블을 가지는 표시 시스템.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는, 상기 제 1 내지 제 N 제어 신호를 상기 제 1 내지 제 N 표시 패널에 시간 분할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n 중계부는, 제 n 선택 신호의 입력에 따라서, 상기 제 n 제어 신호를 상기 제 n 표시 패널에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선택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n 중계부는, 상기 제 n 표시 패널에 상기 제 n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제 2 송신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n 중계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송신부는, 상기 제 n 표시 패널에 있어서의 제 2 수신부에 상기 제 n 제어 신호를 비접촉으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시스템.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m 중계부는,
    상기 제 m 선택 신호를 상기 선택부에 입력하기 위한 선택 신호선과,
    제 (m+1) 내지 제 N 선택 신호를 상기 (m+1) 중계부에 출력하기 위한 다른 선택 신호선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시스템.
  11.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는, 시리얼 전송에 의해 상기 제 1 내지 제 N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시스템.
  12.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N 영상 신호는, 각각 차동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시스템.
  13.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N 표시 패널은, 서로 동일한 종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N 표시 패널은, 타일링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시스템.
  1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N 표시 패널은, O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시스템.
  16. 제 1 내지 제 N(단, N은 2 이상의 정수이다.) 표시 패널과, 상기 제 1 내지 제 N 표시 패널에 각각 표시할 영상의 제 1 내지 제 N 영상 신호 및 상기 제 1 내지 제 N 표시 패널을 각각 제어하는 제 1 내지 제 N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구동부를 가지는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N 영상 신호 및 상기 제 1 내지 제 N 제어 신호를 상기 제 1 내지 제 N 표시 패널에 전송하는 전송 장치로서,
    제 1 내지 제 N 중계부를 가지고,
    상기 제 m(단, m은 1 ≤ m ≤ N-1을 만족하는 정수이다.) 중계부는, 상기 제 m 영상 신호를 상기 제 m 표시 패널에 출력하고, 상기 제 (m+1) 내지 제 N 영상 신호를 상기 제 (m+1) 중계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n(단, n은 1 ≤ n ≤ N을 만족하는 정수이다.) 중계부는,
    제 1 내지 제 N 입력 포트와,
    제 1 내지 제 N 출력 포트와,
    상기 제 n 표시 패널에 상기 제 n 영상 신호를 송신하는 제 1 송신부를 가지고,
    상기 제 1 입력 포트는, 상기 제 1 송신부에 접속되고,
    상기 제 2 내지 제 N 입력 포트는, 각각 상기 제 1 내지 제 (N-1) 출력 포트에 접속되며,
    상기 제 m 중계부의 상기 제 1 내지 제 N 출력 포트는, 상기 (m+1) 중계부의 상기 제 1 내지 제 N 입력 포트에 접속되고,
    상기 제 1 중계부의 상기 제 1 내지 제 N 입력 포트는, 각각 상기 제 1 내지 제 N 영상 신호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장치.
  18.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N 제어 신호를 상기 제 1 내지 제 N 표시 패널에 시간 분할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장치.
  19. 제 1 내지 제 N(단, N은 2 이상의 정수이다.) 표시 패널과, 상기 제 1 내지 제 N 표시 패널에 각각 표시할 영상의 제 1 내지 제 N 영상 신호 및 상기 제 1 내지 제 N 표시 패널을 각각 제어하는 제 1 내지 제 N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구동부와, 상기 제 1 내지 제 N 영상 신호 및 상기 제 1 내지 제 N 제어 신호를 상기 제 1 내지 제 N 표시 패널에 전송하는 전송부를 가지는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의 상기 전송부에 포함되는 중계 장치로서,
    상기 제 m(단, m은 1 ≤ m ≤ N-1을 만족하는 정수이다.) 영상 신호를 상기 제 m 표시 패널에 출력하고, 상기 제 (m+1) 내지 제 N 영상 신호를 제 (m+1) 중계 장치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제 1 내지 제 N 입력 포트와,
    제 1 내지 제 N 출력 포트와,
    상기 제 m 표시 패널에 상기 제 m 영상 신호를 송신하는 제 1 송신부를 가지고,
    상기 제 1 입력 포트는, 상기 제 1 송신부에 접속되고,
    상기 제 2 내지 제 N 입력 포트는, 각각 상기 제 1 내지 제 (N-1) 출력 포트에 접속되며,
    상기 제 1 내지 제 (N-(m-1))의 입력 포트는, 각각 상기 제 m 내지 제 N 영상 신호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장치.
  21. 제 19 항 또는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는, 상기 제 1 내지 제 N 제어 신호를 상기 제 1 내지 제 N 표시 패널에 시간 분할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장치.
KR1020200088951A 2019-12-17 2020-07-17 표시 시스템, 전송 장치 및 중계 장치 KR1023301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227055 2019-12-17
JP2019227055A JP7477965B2 (ja) 2019-12-17 2019-12-17 表示システム、伝送装置及び中継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7578A true KR20210077578A (ko) 2021-06-25
KR102330167B1 KR102330167B1 (ko) 2021-11-22

Family

ID=76317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8951A KR102330167B1 (ko) 2019-12-17 2020-07-17 표시 시스템, 전송 장치 및 중계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249712B2 (ko)
JP (1) JP7477965B2 (ko)
KR (1) KR102330167B1 (ko)
CN (1) CN112992101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74937A (ja) 2004-03-24 2005-10-06 Seiko Epson Corp マルチ画面映像再生装置およびマルチ画面映像再生装置における表示装置制御方法
KR20060083301A (ko) * 2005-01-14 2006-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스크린 시스템 및 그 구현방법
JP2009182821A (ja) 2008-01-31 2009-08-13 Fuji Xerox Co Ltd 画像信号伝送システムおよび画像表示システム
KR20120054442A (ko) * 2010-11-19 2012-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소스 구동 회로, 소스 구동 회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KR20190093259A (ko) * 2018-02-01 2019-08-09 김갑수 진동 기능을 내장한 분산형 무선 광학 디스플레이의 멀티패스 제어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62589A (ja) * 1990-07-02 1992-02-27 Canon Inc 表示装置および移動表示方法
US20020129374A1 (en) * 1991-11-25 2002-09-12 Michael J. Freeman Compressed digital-data seamless video switching system
JPH10171407A (ja) * 1996-12-10 1998-06-26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情報表示装置
JP2004109322A (ja) 2002-09-17 2004-04-08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多桁スクロール表示装置
ES2306837T3 (es) 2003-05-23 2008-11-16 Barco N.V. Procedimiento de visualizacion de imagenes en un dispositivo visualizador de diodos organicos emisores de luz de pantalla grande y dispositivo visualizador usado para ello.
KR20050112953A (ko) * 2004-05-28 2005-12-01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구동장치 및 방법
JP2006163991A (ja) 2004-12-09 2006-06-22 Canon Inc 可搬媒体の管理システム
JP5041590B2 (ja) * 2007-07-09 2012-10-03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平面表示装置、データ処理方法
TWI384371B (zh) * 2009-06-09 2013-02-01 Iei Technology Corp 可延伸輸出/入介面之介面系統
DE102010025315A1 (de) * 2010-06-28 2011-12-29 Lukas Biberacher Elektronisches Bauelement
JP2014175736A (ja) * 2013-03-06 2014-09-22 Panasonic Corp 中継装置および中継方法
JP2016035480A (ja) 2014-08-01 2016-03-17 三菱電機株式会社 表示システム
KR102208313B1 (ko) * 2014-10-30 2021-01-2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변환 장치
JP2019004401A (ja) 2017-06-19 2019-01-1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ションシステム、プロジェクター及びプロジェクションシステムの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74937A (ja) 2004-03-24 2005-10-06 Seiko Epson Corp マルチ画面映像再生装置およびマルチ画面映像再生装置における表示装置制御方法
KR20060083301A (ko) * 2005-01-14 2006-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스크린 시스템 및 그 구현방법
JP2009182821A (ja) 2008-01-31 2009-08-13 Fuji Xerox Co Ltd 画像信号伝送システムおよび画像表示システム
KR20120054442A (ko) * 2010-11-19 2012-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소스 구동 회로, 소스 구동 회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KR20190093259A (ko) * 2018-02-01 2019-08-09 김갑수 진동 기능을 내장한 분산형 무선 광학 디스플레이의 멀티패스 제어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477965B2 (ja) 2024-05-02
US20210182010A1 (en) 2021-06-17
JP2021096344A (ja) 2021-06-24
KR102330167B1 (ko) 2021-11-22
CN112992101A (zh) 2021-06-18
US11249712B2 (en) 2022-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140976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EP2315197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driving device for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US20150161927A1 (en) Driving apparatus with 1:2 mux for 2-column inversion scheme
US20170039928A1 (en) Array substrate, display panel, driv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WO2016169194A1 (zh) 一种显示面板、驱动方法及显示装置
US20170243566A1 (en) Driving Method and Driving Apparatus for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CN102682686A (zh) 面板驱动装置和具有该驱动装置的显示装置
US20090085858A1 (en) Driving circuit and related driving method of display panel
CN101123079A (zh) 将影像数据给delta像素排列的面板的方法及其装置
KR100881142B1 (ko) 엘이디 디스플레이 장치
WO2014089859A1 (zh) 液晶显示器及其驱动显示方法
US7683878B2 (en) Systems for providing dual resolution control of display panels
CN105425486A (zh) 一种阵列基板和显示面板
KR101176891B1 (ko) 고해상도 led 전광판
WO2014101307A1 (zh) 液晶显示面板及其液晶显示器
KR102330167B1 (ko) 표시 시스템, 전송 장치 및 중계 장치
KR20090078577A (ko) 주사구동부 및 그를 이용한 평판 표시장치
US20230260474A1 (en) Driving circuit, driving method and display device
CN110111719B (zh) 一种串行数据传输电路
CN111201562B (zh) 用于驱动显示面板上所布置的像素的数据驱动装置
KR101308262B1 (ko) 액정 표시 장치
JP2016148710A (ja) ドライバー、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CN110933332B (zh) 显示控制系统
US20180033390A1 (en) Electrooptical device,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electrooptical device
CN101409067B (zh) 显示器的驱动装置及其驱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