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7328A - 창문형 에어컨의 창틀 설치 프레임 조립체 - Google Patents

창문형 에어컨의 창틀 설치 프레임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7328A
KR20210077328A KR1020190168839A KR20190168839A KR20210077328A KR 20210077328 A KR20210077328 A KR 20210077328A KR 1020190168839 A KR1020190168839 A KR 1020190168839A KR 20190168839 A KR20190168839 A KR 20190168839A KR 20210077328 A KR20210077328 A KR 202100773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indow
piece
air conditioner
window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8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9637B1 (ko
Inventor
구해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세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세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세코
Priority to KR1020190168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9637B1/ko
Publication of KR20210077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73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9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96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2Supports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or ventilation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 F24F1/027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mounted in wall openings, e.g. in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문형 에어컨의 창틀 설치 프레임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창문형 에어컨이 설치되는 설치 영역의 둘레를 감싸도록 상단 프레임, 하단 프레임, 좌측 프레임 및 우측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단 프레임과 하단 프레임에는 창문틀에 걸리도록 상하방향으로 각각 돌출되는 상부 걸림편과 하부 걸림편이 형성되는 설치 프레임 및, 상기 상단 프레임의 상부 걸림편과 하단 프레임의 하부 걸림편에 대하여 실내쪽으로 각각 이격된 상태로 고정 설치되는 누름 작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누름 작동부는, 상기 상부 걸림편 및 하부 걸림편에 대하여 상기 창문틀을 누르도록 수평방향으로 돌출 이동하는 누름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종래기술에서의 창문틀 보호 브라켓 등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필요없어 조립작업이 간단하고 나사에 의해 창문틀이 손상되는 경우가 없다.

Description

창문형 에어컨의 창틀 설치 프레임 조립체{FRAME ASSEMBLY STRUCTURE FOR INSTALLING WINDOW TYPE AIR-CONDITIONER ON WINDOW SILL}
본 발명은 창문형 에어컨의 창틀 설치 프레임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창틀 조립 및 실링 작업이 간편하고 편리한 창문형 에어컨의 창틀 설치 프레임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창문형 에어컨은 실내기(증발기)와 실외기(응축기)가 케이스 내에 일체로 내장되는 구조로 되어 있고, 창문에 설치되는 창틀 설치 프레임 조립체를 별도로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전문 기사가 아닌 사용자가 직접 용이하게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특히, 실외를 향하는 에어컨의 배면이 외벽으로 돌출되지 않기 때문에 에어컨을 가동하지 않을 때 외측 창문을 폐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창문형 에어컨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창틀에 먼저 창틀 설치 프레임 조립체를 조립하여 고정한 후 상기 창틀 설치 프레임 조립체에 창문형 에어컨을 조립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도 10과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창문형 에어컨의 창틀 설치 프레임 조립체(10)는 실내에 면하는 첫번째 창문틀(1)에 설치 브라켓(2)을 걸어 놓은 상태에서 고정 나사(3)를 창문틀의 실내면을 눌러서 고정하게 되어 있다.
이때, 고정 나사(3)에 의해 창문틀(1)의 실내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창문틀 보호 브라켓(4)을 창문틀(1)과 고정 나사(3) 사이에 개재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실내에서 수평방향으로 고정 나사(3)를 체결하는 방식에 의해 창문형 에어컨의 창틀 설치 프레임 조립체(10)를 고정하였기 때문에, 상단 창문틀(1)의 실내 측에 장식물 등이 있는 경우 드라이버 등 공구를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고정 나사(3)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창문틀(1)의 실내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창문틀 보호 브라켓(4) 등 추가적인 부품이 소요되므로 설치작업이 한층 번거롭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창문형 에어컨의 창틀 설치 프레임 조립체(10)는 실내에 면하는 첫번째 창문틀(1)에 조립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고무나 유연한 합성수지를 이용한 실링 작업도 창틀 설치 프레임 조립체(10)의 실외측 부분에서 이루어져야 했으므로 창문형 에어컨 창틀 설치 프레임 조립체(10)의 실링 작업이 불편하다는 단점도 있었다.
인터넷 사이트 https://tv.naver.com/v/8914358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발명의 목적은 창틀 조립 및 실링 작업이 간편하고 편리한 창문형 에어컨의 창틀 설치 프레임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창문형 에어컨의 창틀 설치 프레임 조립체는,
창문형 에어컨이 설치되는 설치 영역의 둘레를 감싸도록 상단 프레임, 하단 프레임, 좌측 프레임 및 우측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단 프레임과 하단 프레임의 외측에는 창문틀에 걸리도록 상하방향으로 각각 돌출되는 상부 걸림편과 하부 걸림편이 형성되는 설치 프레임; 및,
상기 상부 걸림편과 하부 걸림편에 대하여 실내쪽으로 각각 이격된 상태로 상단 프레임과 하단 프레임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누름 작동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누름 작동부는, 상기 상부 걸림편 및 하부 걸림편을 상기 창문틀에 각각 걸어놓은 상태에서 상기 상부 걸림편 및 하부 걸림편에 대하여 상기 창문틀을 누르도록 수평방향으로 돌출 이동 가능한 누름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누름 작동부는,
상기 상단 프레임의 상면과 하단 프레임의 하면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누름편의 바닥으로부터 상기 하우징 내로 연장되고 일측에는 래크 기어가 형성되는 작동편;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평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래크 기어에 맞물리는 전동 기어열; 및,
상기 전동 기어열을 구성하는 구동용 구동 피니언 기어의 회전축 방향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관통공과 상기 상단 프레임과 하단 프레임에 형성된 체결공을 통해 노출되는 나사 헤드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동편과 전동 기어열은 회전축 방향으로 동시에 왕복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작동편과 하우징의 바닥 사이에는 탄성복원유닛이 개재되며, 상기 탄성복원유닛의 반대쪽에서 상기 작동편은 상기 전동 기어열에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맞닿아 걸리고,
상기 작동편에서 상기 탄성복원유닛의 반대쪽 면에는 제1 걸림 요철부가 형성되며 상기 작동편과 대향하는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는 상기 제1 걸림 요철부와 걸리는 제2 걸림 요철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동 기어열은 상기 구동 피니언 기어에 맞물리는 중간 피니언 기어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작동편은 상기 중간 피니언 기어에 회전축 방향으로 맞닿아 걸리고, 상기 중간 피니언 기어는 상기 구동 피니언 기어에 회전축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맞닿아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간기어에는 제1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구동 피니언 기어에는 제2 플랜지가 형성되어, 상기 작동편은 상기 제1 플랜지에 맞닿아 걸리고, 상기 제1 플랜지는 제2 플랜지에 맞닿아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복원유닛은 토션 스프링을 매개로 힌지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창문형 에어컨이 설치되는 설치 영역의 둘레를 감싸도록 상단 프레임, 하단 프레임, 좌측 프레임 및 우측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단 프레임과 하단 프레임의 외측에는 창문틀에 걸리도록 상하방향으로 각각 돌출되는 상부 걸림편과 하부 걸림편이 형성되는 설치 프레임 및, 상기 상단 프레임의 상부 걸림편과 하단 프레임의 하부 걸림편에 대하여 실내쪽으로 각각 이격된 상태로 고정 설치되는 누름 작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누름 작동부는, 상기 상부 걸림편 및 하부 걸림편에 대하여 상기 창문틀을 누르도록 수평방향으로 돌출 이동하는 누름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종래기술에서의 창문틀 보호 브라켓 등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필요없어 조립작업이 간단하고 나사에 의해 창문틀이 손상되는 경우가 없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누름 작동부는, 상기 상단 프레임과 하단 프레임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누름편의 바닥으로부터 상기 하우징 내로 연장되고 일측에는 래크 기어가 형성되는 작동편,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평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래크 기어에 맞물리는 전동 기어열 및, 상기 전동 기어열을 구성하는 구동용 구동 피니언 기어의 회전축 방향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관통공과 상기 상단 프레임과 하단 프레임에 형성된 체결공을 통해 노출되는 나사 헤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므로, 하단 프레임에 대해서는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나사 헤드부를 회전시켜서 설치 작업을 진행하고, 상단 프레임에 대해서는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하부에서 상부를 향해 나사 헤드부를 회전시켜서 설치 작업을 진행하므로 창문틀의 실내 측에 장식물 등이 있는 경우에도 작업이 가능하다는 이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창틀 설치 프레임 조립체를 실내측 첫번째 창틀만이 아니라 두번째 이상의 창틀에도 설치가 가능하여 실내측에서 실링 작업이 가능하므로 편리함을 제고할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창문형 에어컨의 창틀 설치 프레임 조립체가 창틀에 설치된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창문형 에어컨의 창틀 설치 프레임 조립체의 상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창문형 에어컨의 창틀 설치 프레임 조립체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창문형 에어컨의 창틀 설치 프레임 조립체가 창틀에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누름 작동부의 작용을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창문형 에어컨의 창틀 설치 프레임 조립체에 포함된 누름 작동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누름 작동부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a)는 누름편이 하우징과 근접한 상태를 나타내고, (b)는 누름편이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8은 도 6의 누름 작동부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누름 작동부를 구성하는 누름편과 작동편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누름 작동부를 구성하는 하우징 내부 일측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종래기술에 따른 창문형 에어컨의 창틀 설치 프레임 조립체의 설치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서 창문형 에어컨의 창틀 설치 프레임 조립체가 창틀에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창문형 에어컨 창틀 설치 프레임 조립체(1000)는, 창문형 에어컨(미도시)이 설치되는 설치 영역의 둘레를 감싸도록 상단 프레임(210), 하단 프레임(220), 좌측 프레임(230) 및 우측 프레임(240)으로 이루어지며, 상단 프레임(210)과 하단 프레임(220)에는 창문틀(900)에 걸리도록 상하방향으로 각각 돌출되는 상부 걸림편(211)과 하부 걸림편(221)이 형성되는 설치 프레임(200) 및, 상기 상부 걸림편(211)과 하부 걸림편(221)에 대하여 실내쪽으로 각각 이격된 상태로 상단 프레임(210)과 하단 프레임(220)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누름 작동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누름 작동부(300)는, 상기 상부 걸림편(211) 및 하부 걸림편(221)을 각각 상기 창문틀(900)에 걸어놓은 상태에서 상기 상부 걸림편(211) 및 하부 걸림편(221)에 대하여 상기 창문틀(900)을 누르도록 수평방향으로 돌출 이동 가능하는 누름편(329)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상기 상부 걸림편(211) 및 하부 걸림편(221)을 창문틀(900)에 걸어놓은 상태에서 상기 누름편(329)으로 상기 상부 걸림편(211) 및 하부 걸림편(221)에 대하여 창문틀(900)을 눌러서 고정할 수 있어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나사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종래기술에서의 창문틀 보호 브라켓 등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필요없어 조립작업이 간단하고 나사에 의해 창문틀(900)이 손상되는 경우가 없다.
구체적으로, 도 6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누름 작동부(300)는, 상기 상단 프레임(210)의 상면과 하단 프레임(220)의 하면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하우징(310), 상기 누름편(329)의 바닥으로부터 상기 하우징(310) 내로 연장되고 일측에는 래크 기어(321)가 형성되는 작동편(320), 상기 하우징(310)의 내부에 수평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래크 기어(321)에 맞물리는 전동 기어열(330) 및, 상기 전동 기어열(330)을 구성하는 구동용 구동 피니언 기어(331)의 회전축 방향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310)에 형성된 관통공(311)과 상기 상단 프레임(210)과 하단 프레임(220)에 형성된 체결공(미도시)을 통해 노출되는 나사 헤드부(340)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드라이버(미도시)를 상기 체결공과 관통공(311)을 통해 상기 나사 헤드부(340)에 결합한 상태에서 회전시키면 상기 구동 피니언 기어(331)가 회전하고 상기 구동 피니언 기어(331)에 맞물린 전동 기어열(330) 전체가 회전하며 상기 전동 기어열(330)에 맞물린 래크 기어(321)를 통해 상기 작동편(320)이 이동하여 누름편(329)이 창문틀(900)을 조이게 된다.
따라서, 하단 프레임(220)에 대해서는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나사 헤드부(340)를 회전시켜서 설치 작업을 진행하고, 상단 프레임(210)에 대해서는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하부에서 상부를 향해 나사 헤드부(340)를 회전시켜서 설치 작업을 진행하므로 창문틀(900)의 실내 측에 상기 상단 프레임(210)이나 하단 프레임(220)을 가리는 장식물 등이 있는 경우에도 작업이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구성에 따라, 창틀 설치 프레임 조립체(1000)를 전체 창틀(S) 중 실내측 첫번째 창문틀만이 아니라 두번째 이상의 창틀에도 설치가 가능하여 실내측에서 패킹 작업이나 실링 작업이 가능하므로 작업의 편리함을 제고할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한편, 상기 누름편(329)이 일단 창문틀(900)을 조인 후 누름편(329)이 후퇴하지 않도록 유지하는 누름편 고정 수단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상기 작동편(320)과 전동 기어열(330)은 회전축 방향으로 동시에 왕복 병진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작동편(320)과 하우징(310)의 바닥 사이에는 탄성복원유닛(350)이 개재되며, 상기 탄성복원유닛(350)의 반대쪽에서 상기 작동편(320)은 상기 전동 기어열(330)에 측방향으로 맞닿아 걸리고, 상기 작동편(320)에서 상기 탄성복원유닛(350)의 반대쪽 면에는 제1 걸림 요철부(322)가 형성되며 상기 작동편(320)과 대향하는 상기 하우징(310)의 내면에는 상기 제1 걸림 요철부(322)와 걸리는 제2 걸림 요철부(312)가 형성된다.
상기 탄성복원유닛(350)은 상기 작동편(320)에 설치될 수도 있고 상기 하우징(310)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작동편(320)에 설치되는 경우 탄성복원유닛(350)은 토션 스프링(미도시)을 매개로 힌지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바(351)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복원유닛(350)이 하우징(310)에 설치될 경우 판스프링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상기 누름편(329)이 창문틀(900)을 조인 후 드라이버를 나사 헤드부(340)로부터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상기 탄성복원유닛(350)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작동편(320)이 상기 관통공(311) 쪽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1 걸림 요철부(322)가 하우징(310)에 형성된 제2 걸림 요철부(312)에 결합하여 상대 이동이 구속된다.
한편, 상기 드라이버로 나사 헤드부(340)를 누르면 상기 전동 기어열(330)이 작동편(320)을 연속적으로 누르게 되어 상기 작동편(320)이 하우징(310)으로부터 분리되므로 제1 걸림 요철부(322)를 제2 걸림 요철부(312)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며, 이 상태에서 드라이버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창문틀(900)을 누르고 있던 누름편(329)이 하우징(31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창문틀(900)의 고정 상태가 해제된다.
특히, 상기 전동 기어열(330)은 상기 구동 피니언 기어(331)에 맞물리는 중간 피니언 기어(332)를 포함하여 구동 피니언 기어(331)의 위치를 자유롭게 할 수 있으며, 이 겅우 상기 작동편(320)은 상기 중간 피니언 기어(332)에 회전축 방향으로 맞닿아 걸리고, 상기 중간 피니언 기어(332)는 상기 구동 피니언 기어(331)에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맞닿아 걸리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탄성복원유닛(350)의 복원력에 의해 작동편(320), 중간기어(332) 및 구동 피니언 기어(331)가 동시에 회전축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누름편(329)이 그 자리에 고정되거나 수평 이동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중간기어(332)에는 외주면에 제1 플랜지(332a)가 형성되고, 상기 구동 피니언 기어(331)에는 외주면에 제2 플랜지(331a)가 형성되어, 상기 작동편(320)은 상기 제1 플랜지(332a)에 맞닿아 걸리고, 상기 제1 플랜지(332a)는 제2 플랜지(331a)에 맞닿아 걸리도록 하여 동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작동편(320)에 맞닿아 걸리는 상기 중간기어(332)의 제1 플랜지(332a)는 상기 작동편(320)의 제1 걸림 요철부(322)에 간섭되지 않도록 적절히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는, 상기 제1 플랜지(332a)가 작동편(320)의 래크 기어(321)에만 맞닿도록 하여 제1 걸림 요철부(322)와의 접촉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도록 한 구성이 나타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0... 창문형 에어컨
200.. 설치 프레임
210... 상단 프레임
220... 하단 프레임
230... 좌측 프레임
240... 우측 프레임
300... 누름 작동부
310... 하우징
320... 작동편
330... 전동 기어열
340... 나사 헤드부
900... 창문틀
1000... 창문형 에어컨 창틀 설치 프레임 조립체

Claims (6)

  1. 창문형 에어컨이 설치되는 설치 영역의 둘레를 감싸도록 상단 프레임, 하단 프레임, 좌측 프레임 및 우측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단 프레임과 하단 프레임의 외측에는 창문틀에 걸리도록 상하방향으로 각각 돌출되는 상부 걸림편과 하부 걸림편이 형성되는 설치 프레임; 및,
    상기 상부 걸림편과 하부 걸림편에 대하여 실내쪽으로 각각 이격된 상태로 상기 상단 프레임과 하단 프레임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누름 작동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누름 작동부는, 상기 상부 걸림편 및 하부 걸림편을 상기 창문틀에 각각 걸어놓은 상태에서 상기 상부 걸림편 및 하부 걸림편에 대하여 상기 창문틀을 누르도록 수평방향으로 돌출 이동 가능한 누름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에어컨의 창틀 설치 프레임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작동부는,
    상기 상단 프레임의 상면과 하단 프레임의 하면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누름편의 바닥으로부터 상기 하우징 내로 연장되고 일측에는 래크 기어가 형성되는 작동편;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평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래크 기어에 맞물리는 전동 기어열; 및,
    상기 전동 기어열을 구성하는 구동용 구동 피니언 기어의 회전축 방향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관통공과 상기 상단 프레임과 하단 프레임에 형성된 체결공을 통해 노출되는 나사 헤드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에어컨의 창틀 설치 프레임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편과 전동 기어열은 회전축 방향으로 동시에 왕복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작동편과 하우징의 바닥 사이에는 탄성복원유닛이 개재되며, 상기 탄성복원유닛의 반대쪽에서 상기 작동편은 상기 전동 기어열에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맞닿아 걸리고,
    상기 작동편에서 상기 탄성복원유닛의 반대쪽 면에는 제1 걸림 요철부가 형성되며 상기 작동편과 대향하는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는 상기 제1 걸림 요철부와 걸리는 제2 걸림 요철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에어컨의 창틀 설치 프레임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기어열은 상기 구동 피니언 기어에 맞물리는 중간 피니언 기어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작동편은 상기 중간 피니언 기어에 회전축 방향으로 맞닿아 걸리고, 상기 중간 피니언 기어는 상기 구동 피니언 기어에 회전축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맞닿아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에어컨의 창틀 설치 프레임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기어에는 외주면에 제1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구동 피니언 기어에는 외주면에 제2 플랜지가 형성되어, 상기 작동편은 상기 제1 플랜지에 맞닿아 걸리고, 상기 제1 플랜지는 제2 플랜지에 맞닿아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에어컨의 창틀 설치 프레임 조립체.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복원유닛은 토션 스프링을 매개로 힌지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에어컨의 창틀 설치 프레임 조립체.
KR1020190168839A 2019-12-17 2019-12-17 창문형 에어컨의 창틀 설치 프레임 조립체 KR1023196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8839A KR102319637B1 (ko) 2019-12-17 2019-12-17 창문형 에어컨의 창틀 설치 프레임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8839A KR102319637B1 (ko) 2019-12-17 2019-12-17 창문형 에어컨의 창틀 설치 프레임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7328A true KR20210077328A (ko) 2021-06-25
KR102319637B1 KR102319637B1 (ko) 2021-11-01

Family

ID=76629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8839A KR102319637B1 (ko) 2019-12-17 2019-12-17 창문형 에어컨의 창틀 설치 프레임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963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35110B2 (en) 2016-05-27 2022-09-06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Air conditioner with window connection
US11519615B2 (en) 2017-12-13 2022-12-06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Out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US11566815B2 (en) 2017-12-13 2023-01-31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Installation device for split air-conditioner
US11841148B2 (en) 2017-12-13 2023-12-12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Window-type air conditioner
US11879647B2 (en) 2021-12-22 2024-01-23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Portable air conditioning unit window installation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1404A (ko) 2022-08-10 2024-02-19 주식회사 파세코 창문형 에어컨의 창문틀 설치 프레임 조립체
KR20240039895A (ko) 2022-09-20 2024-03-27 주식회사 파세코 창문형 에어컨의 창문틀 설치 프레임 조립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2463Y2 (ja) * 1981-04-28 1985-04-22 株式会社ヨコタ カ−テンレ−ルのストツプ装置
KR200266010Y1 (ko) * 2001-12-08 2002-02-25 주식회사 해광 댐퍼판넬 공기흐름 조절장치
KR200355677Y1 (ko) * 2004-03-31 2004-07-07 전영길 환기공을 구비하는 창문용 프레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2463Y2 (ja) * 1981-04-28 1985-04-22 株式会社ヨコタ カ−テンレ−ルのストツプ装置
KR200266010Y1 (ko) * 2001-12-08 2002-02-25 주식회사 해광 댐퍼판넬 공기흐름 조절장치
KR200355677Y1 (ko) * 2004-03-31 2004-07-07 전영길 환기공을 구비하는 창문용 프레임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인터넷 사이트 https://tv.naver.com/v/8914358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35110B2 (en) 2016-05-27 2022-09-06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Air conditioner with window connection
US11519615B2 (en) 2017-12-13 2022-12-06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Out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US11566815B2 (en) 2017-12-13 2023-01-31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Installation device for split air-conditioner
US11841148B2 (en) 2017-12-13 2023-12-12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Window-type air conditioner
US11879647B2 (en) 2021-12-22 2024-01-23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Portable air conditioning unit window install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9637B1 (ko) 2021-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9637B1 (ko) 창문형 에어컨의 창틀 설치 프레임 조립체
CA2787792A1 (en) Mounting bracket
KR100717370B1 (ko) 공동주택의 회전형 창문
WO2011142046A1 (ja) 戸開閉装置
JP6630635B2 (ja) サッシ
KR200258237Y1 (ko) 환기창
JP5128307B2 (ja) 屋外ユニットを備えた建具及びその屋外ユニットの取付方法
JP6851494B2 (ja) 操作パネルの一体化構造および食洗機
JP4347106B2 (ja) 面格子の取付構造
CN212183915U (zh) 一种便于安装的卷闸门控制器
JP2016017303A (ja) 網戸の取付構造及びその網戸
JP7039338B2 (ja) 建具
JP3876999B2 (ja) 換気ガラリ
JPH0736068Y2 (ja) 障子の電力供給装置
JP3477853B2 (ja) 監視カメラ用ハウジング装置
JP5418107B2 (ja) 換気扇取付枠
JP4808671B2 (ja) 嵌め殺し窓
KR200482679Y1 (ko) 조립용 지그를 갖춘 창호용 핸들장치
JP2548226Y2 (ja) 空気調和機の室内化粧板の取付装置
JPS6316455Y2 (ko)
KR20020031735A (ko) 덮개가 조성된 창호의 하부구조
JP2024036189A (ja) ハンドル及び建具
JPS6317838Y2 (ko)
JPS5811893Y2 (ja) ドア枠付壁装置
JPH021158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