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7295A - 청각증진을 위한 생체환경/외부자극에 의한 자가힐링 펩타이드 모티브의 능동형 방출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청각증진을 위한 생체환경/외부자극에 의한 자가힐링 펩타이드 모티브의 능동형 방출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7295A
KR20210077295A KR1020190168780A KR20190168780A KR20210077295A KR 20210077295 A KR20210077295 A KR 20210077295A KR 1020190168780 A KR1020190168780 A KR 1020190168780A KR 20190168780 A KR20190168780 A KR 20190168780A KR 20210077295 A KR20210077295 A KR 202100772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lf
peptide motif
degradable
hearing
healing pept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8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하
Original Assignee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68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77295A/ko
Priority to PCT/KR2020/017563 priority patent/WO2021125641A1/ko
Publication of KR20210077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72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1/00Medicinal preparations obtained by treating materials with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Therapies using these preparations
    • A61K41/0042Photocleavage of drugs in vivo, e.g. cleavage of photolabile linkers in vivo by UV radiation for releasing the pharmacologically-active agent from the administered agent; photothrombosis or photoocclu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046Tachykinins, e.g. eledoisins, substance P; Related pep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1/00Medicinal preparations obtained by treating materials with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Therapies using these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1/00Medicinal preparations obtained by treating materials with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Therapies using these preparations
    • A61K41/0028Disruption, e.g. by heat or ultrasounds, sonophysical or sonochemical activation, e.g. thermosensitive or heat-sensitive liposomes, disruption of calculi with a medicinal preparation and ultras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54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compou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54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compound
    • A61K47/542Carboxylic acids, e.g. a fatty acid or an amino ac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각증진을 위한 생체환경/외부자극에 의한 자가힐링 펩타이드 모티브의 능동형 방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지체; 생체환경 자극 분해성 연결기; 및 자가힐링 펩타이드 모티브로 구성된 청각 증진용 바이오 메디컬 소재 및 생체환경/외부자극에 의한 자가힐링 펩타이드 모티브의 능동형 방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청각 손상 부위 주변에 있는 생체 환경 자극(광, 음파, pH변화, 생화학 물질 등)에 감응하여 청각 세포 동원능을 가진 자가힐링 펩타이드를 방출시킬 수 있는 자가힐링 펩타이드 모티브를 제조하였으며, 생체 환경 자극/외부자극에 의해 자가힐링 펩타이드가 바이오 메디컬 소재로부터 정밀하게 방출 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므로, 청각 세포 손상 보호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청각증진을 위한 생체환경/외부자극에 의한 자가힐링 펩타이드 모티브의 능동형 방출 제어 방법{Method of controlled active release of self―healing peptide motif by biological/external stimulation for hearing enhancement}
본 발명은 청각증진을 위한 생체환경/외부자극에 의한 자가힐링 펩타이드 모티브의 능동형 방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지체; 생체환경 자극 분해성 연결기; 및 자가힐링 펩타이드 모티브로 구성된 청각 증진용 바이오 메디컬 소재 및 생체환경/외부자극에 의한 자가힐링 펩타이드 모티브의 능동형 방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선천적 난청 또는 다양한 사회적 유발 원인에 의한 이독성, 돌발성, 노인성 중/고도 난치성 청각 손상 환자가 급증하고 있으며, 전세계 3억 명, 미국 3500만 명 및 한국 5백만 명(완전손상 환자 35만 명/2017)의 환자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이에 대한 치료 기술 개발이 매우 필요한 실정이다 (2015, Market Trak Vll research).
선천적 또는 사고로 청각 소실된 환자는 대체로 영구적인 난청을 초래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 이유는 한번 손상 받은 청각세포나 청각신경은 자발적으로 회복되지 못하기 때문에 완전 질환 치료가 매우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난치성 청각 소실을 효과적으로 치료하기 위한 청각 재생 연구들이 시도되고 있으며, 체외배양한 다양한 줄기(전구)세포 이식, 유전자 치료가 가능성 있는 치료 방법으로 부각되고 있으나 안전성과 생존효율성 등 극복해야 하는 몇 가지 제약들이 있다.
이러한 제약들을 극복하기 위해 제일 먼저 선행되어야 하는 것이 내이의 구조적 한계를 극복하고 청각세포 및 청각신경의 기능회복을 위한 연구 접근방법이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청각 치료를 위한 제약점을 극복하기 위해, 청각 전구세포를 동원(recruiting 또는 homing)하여 청각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조건을 확립하기 위해 예의 노력한 결과, 청각 손상 부위 주변에 있는 생체 환경 자극(광, 음파, pH변화, 생화학 물질 등)에 감응하여 청각세포를 동원시킬 수 있는 자가힐링 펩타이드 모티브를 포함한 바이오 메디컬 소재를 제조하였으며, 생체환경/외부자극에 의해 자가힐링 펩타이드가 바이오 메디컬 소재로부터 정밀하게 방출 되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지지체; 생체환경 자극 분해성 연결기; 및 자가힐링 펩타이드 모티브로 구성된 청각 증진용 바이오 메디컬 소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생체환경/외부자극에 의한 자가힐링 펩타이드 모티브의 능동형 방출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청각 증진용 바이오 메디컬 소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청각 세포 손상 보호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지지체; 생체환경 자극 분해성 연결기; 및 자가힐링 펩타이드 모티브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생체환경 자극 분해성 연결기는 지지체와 자가힐링 펩타이드 모티브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 증진용 바이오 메디컬 소재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체는 생분해성 지지체, 히알루론산 함유 지지체, 레진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왕 레진(Wang resin)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생체환경 자극 분해성 연결기는 광분해성 연결기, 음파 분해성 연결기, pH 분해성 연결기 및 생화학물질 분해성 연결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광분해성 연결기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4-[4-(1-hydroxyethyl)-2-methoxy-5-nitrophenoxy]butanoic acid)이며,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생화학물질 분해성 연결기는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COOCH3-cTCO(trans-cyclooctene)이며,
[화학식 3]
Figure pat00002
상기 pH 분해성 연결기는 히드라존 연결기(Hydrazone linker) 또는 이황화물 연결기(Disulfide linker)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음파 분해성 연결기는 마이크로 버블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자가힐링 펩타이드 모티브는 줄기세포 동원물질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물질 P(substance P; SP) 또는 이의 유사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청각 증진용 바이오 메디컬 소재는 (a) 지지체에 생체환경 자극 분해성 연결기를 도입하는 단계; 및 (b) 상기 생체환경 자극 분해성 연결기에 자가힐링 펩타이드 모티브를 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청각 증진용 바이오 메디컬 소재에 생체환경/외부 자극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가힐링 펩타이드 모티브의 능동형 방출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생체환경/외부 자극은 광, 음파, pH 조절 또는 생화학물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광은 250 내지 450nm의 파장의 광선을 1분 내지 240분 동안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생화학적 물질은 테트라진 또는 테트라진 유도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청각 증진용 바이오 메디컬 소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청각 세포 손상 보호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청각 손상 부위 주변에 있는 생체 환경 자극(광, 음파, pH변화, 생화학 물질 등)에 감응하여 청각 세포 동원능을 가진 자가힐링 펩타이드를 방출시킬 수 있는 자가힐링 펩타이드 모티브를 제조하였으며, 생체 환경 자극/외부자극에 의해 자가힐링 펩타이드가 바이오 메디컬 소재로부터 정밀하게 방출 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므로, 청각 세포 손상 보호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자가힐링 펩타이드 모티브 및 생체환경자극 (광, 음파, pH 환경, 생화학물질등) 감응 물질을 함유하는 청각 증진용 바이오 메디컬 소재 및 생체환경/외부자극에 의한 자가힐링 펩타이드 모티브의 능동형 방출 제어 방법에 관한 모식도이다.
도 2는 자가힐링 펩타이드 모티브중의 하나인 물질 P(Substance P; SP)의 화학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광 분해성 연결기(photocleavable linker)를 이용하여 SP를 왕 레진(Wang resin)에 도입시키는 합성과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4는 자외선(UV; 365 nm) 조사를 통한 왕 레진으로 부터 SP의 방출제어 방법에 관한 모식도이다.
도 5는 자외선 조사 시간에 따른 SP의 방출 증가를 HPLC로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6은 자외선 조사 시간에 따른 SP의 HPLC 데이터에서 피크 강도(Peak Intensity) 및 피크 면적(Peak area) 증가를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7은 생화학적물질 분해성 연결기인 cTCO를 이용하여 SP를 왕 레진(Wang resin)에 도입시키는 합성과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8은 반응액 속의 SP 흡광도 관찰을 통한 PNP-cTCO-Ala-Wang Resin 및 SP 결합 정도를 확인한 데이터이다.
도 9는 PNP-cTCO-Ala-Wang Resin 및 형광프로브가 결합된 NH2-KIz의 반응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0은 Tz-KIz 반응에 따른 cTCO-왕 레진(cTCO bead)의 형광 정도를 관찰한 데이터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일관점에서, 지지체; 생체환경 자극 분해성 연결기; 및 자가힐링 펩타이드 모티브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생체환경 자극 분해성 연결기는 지지체와 자가힐링 펩타이드 모티브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 증진용 바이오 메디컬 소재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자가힐링 펩타이드 모티브 및 생체환경자극 (광, 음파, pH 환경, 생화학물질등) 감응 물질을 함유하는 청각 증진용 바이오 메디컬 소재 및 생체환경/외부자극에 의한 자가힐링 펩타이드 모티브의 능동형 방출 제어 방법에 관한 모식도로, 본 발명에서는 생체환경 감응 물질(생체환경 자극 분해성 연결기)이 연결된 바이오메디컬 소재에 청각전구세포 동원(recruiting 또는 homing) 물질을 도입하여, 생체환경/외부 자극에 의해 생체환경 감응 물질이 분해되어 자가힐링 펩타이드가 정밀 제어 방출 되도록 자가힐링 펩타이드 모티브를 제조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목적에 따라 나노입자, 블럭, 튜브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리포좀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지지체는 생분해성 고분자, 레진, 또는 바이오메디컬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하게 왕 레진(Wang resin)을 사용하였다. 상기 지지체는 또한, 천연 고분자인 히알루론산을 함유한 지지체 또는 3D 프린팅 기술 지지체를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로는 폴리글리콜리드(polyglycolide), 폴리락티드(polylactides), 폴리카프롤락톤(polycaprolactones), 폴리트리메틸렌카보이트(polytrimethylenecarbonates), 폴리히드록시부티레이트(poly-hydroxy-butyrates), 폴리히드록실발레레이트(polyhydroxyvalerates), 폴리디옥사논(polydioxanones), 폴리오르토에스테르(polyorthoesters),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티로신카보네이트(polytyrosinecarbonates), 폴리오르토카보네이트(polyorthocarbonate), 옥살산염 폴리알킬렌(polyalkylene oxalates), 숙신산염 폴리알킬렌(polyalkylenesuccinates), 폴리(말산)(poly(malic acid)), 폴리(무수말레산)(poly(maleic- anhydride)), 폴리펩티드(polypeptides), 폴리뎁시펩티드(polydepsipeptides), 폴리비닐알코올(polyvinlylalcohol), 폴리에스테라미드(polyesteramides), 폴리아미드(polyamides), 폴리안히드라이드(polyanhydrides), 폴리우레탄(polyurethanes), 폴리포스파젠(polyphosphazenes), 폴리시아노아크릴레이트(polycyanoacrylate), 폴리푸마레이트(polyfumarates), 폴리(아미노산)(poly(amino acid)), 변성 탄수화물(modified polysaccharides), 변성단백질(modified proteins), 이들의 중합체 혼합물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중에서도 폴리글리콜리드 (polyglycolide), 폴리(L-락티드폴리(L-락티드-코-글리콜리드)(poly(L-lactide-co-glycolide)), 폴리(D,L-락티드-코-글리콜리드) (poly(D,L-lactide-co-glycolide)), 폴리(L-락티드)(poly(L-lactide)), 폴리(D,L-락티드)(poly(D,L-lactide)), 폴리(L-락티드-코-D,L-락티드)(poly(L-lactide-co-D,L-lactide)), 폴리카프롤락톤(polycaprolactone), 폴리(L-락티드-코-카프롤락톤(poly(L-lactide-co-caprolactone)), 폴리(D,L-락티드-코-카프롤락톤(poly(D,L-lactide-co-caprolactone)), 폴리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polytrimethylenecarbonate), 폴리(L-락티드-코-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poly(L-lactide-co-trimethylenecarbonate)), 폴리(D,L-락티드-코-트리메틸렌카보네이트)(poly(D,L-lactide-co-trimethylene-carbonate)), 폴리디옥사논(polydioxanone), 이들의 공중합체, 이들의 3 원 중합체, 또는 이들의 중합체 혼합물(polymer blends)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생체환경 자극 분해성 연결기는 광분해성 연결기, 음파 분해성 연결기, 특정 pH 분해성 연결기 및 생화학물질 분해성 연결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광분해성 연결기는 지지체 표면에 결합되는 카르복시산 부분 및 자가힐링 펩타이드와 결합되는 부분 하이드록시 부분으로 구성된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하이드록시 부분이 광 조사에 의해 분해되어 자가힐링 펩타이드 모티브가 방출되게 된다.
상기 음파 분해성 연결기는 마이크로 버블(microbubble) 기술을 적용할 수 있으며, 특정 pH 분해성 연결기는 히드라존 연결기(Hydrazone linker) 또는 이황화물 연결기(Disulfide linker)를 적용할 수 있고, 생화학물질 분해성 연결기는 테트라진 유도체(tetrazine derivatives)를 적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자가힐링 펩타이드 모티브는 줄기세포 동원물질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물질 P(Substance P; SP, 도 2) 또는 이의 유사체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물질 P(Substance P, 이하 "SP"로 혼용 표기함)는 RPKPQQFFGLM의 11개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포유류의 타키키닌의 하나로서, 조직 내 상처가 발생했을 때 과량 분비되고, 이는 상처 회복을 위해 다분화능이 있는 줄기세포의 동원(또는 '포집', '이동 촉진')을 유도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닌 물질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청각 증진용 바이오 메디컬 소재는 (a) 지지체에 생체환경 자극 분해성 연결기를 도입하는 단계; 및 (b) 상기 생체환경 자극 분해성 연결기에 자가힐링 펩타이드 모티브를 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a) 단계의 지지체는 생체환경 자극 분해성 연결기를 도입시키기 위해 아민기가 포함되도록 표면을 개질시킬 수 있으며, 생체환경 자극 분해성 연결기 도입 전에 아민기를 보호하기 위해 Fmoc(fluorenylmethyloxycarbonyl protecting group) 또는 t-Boc(tert-Butyloxycarbonyl protecting group)가 추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구현예에서는 도 3의 모식도에 나타난 방법과 같이 광 분해성 연결기(photocleavable linker)를 이용하여 SP를 왕 레진(Wang resin)에 도입시켰다.
구체적으로, (ⅰ) 알라닌-NH-Fmoc(fluorenylmethyloxycarbonyl protecting group)으로 표면개질되어 있는 왕 레진에 피페리딘(piperidine) 또는 DBU(1,8-Diazabicyclo[5.4.0]undec-7-ene)을 처리하여 Fmoc를 제거하는 단계;
(ⅱ) Fmoc가 제거된 왕 레진에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4-[4-(1-hydroxyethyl)-2-methoxy-5-nitrophenoxy]butanoic acid)를 도입시키는 단계;
[화학식 1]
Figure pat00003
(ⅲ) 상기 (ⅱ) 단계에서 왕레진에 도입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하이드록시 부분에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4-Nitrophenyl chloroacetate)을 도입시키는 단계; 및
[화학식 2]
Figure pat00004
(ⅳ) 상기 (ⅲ) 단계에서 왕레진에 도입된 화학식 2의 화합물의 나이트로페놀(nitrophenol) 부분을 물질 P(substance P; SP)로 치환시켜 광분해성 연결기에 물질 P를 도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청각 증진용 바이오 메디컬 소재를 제조하였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광분해성 연결기의 역할을 하며, 광분해성 연결기는 카르복시산 부분 및 하이드록시 부분을 포함한다. 카르복시산 부분을 지지체의 표면과 결합되고, 하이드록시 부분이 최종적으로 자가힐링 펩타이드과 결합되며, 하이드록시 부분이 자외선 조사에 의해 분해된다.
본 발명의 광분해성 연결기를 분해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250 내지 450nm의 파장의 광선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다른 일구현예에서는 도 7의 모식도에 나타난 방법과 같이 cTCO-테트라진 반응을 이용한 생화학물질 분해성 청각 증진용 바이오 메디컬 소재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ⅰ)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COOCH3-cTCO(trans-cyclooctene)의 카르복실기 부분에 하이드록시기를 도입시키는 단계;
[화학식 3]
Figure pat00005
(ⅱ) 알라닌-NH-Fmoc(fluorenylmethyloxycarbonyl protecting group)으로 표면개질되어 있는 왕 레진에 피페리딘(piperidine) 또는 DBU(1,8-Diazabicyclo[5.4.0]undec-7-ene)을 처리하여 Fmoc를 제거하는 단계;
(ⅲ) 상기 (ⅱ)단계에서 Fmoc이 제거된 왕 레진에 상기 (ⅰ) 단계에서 가수분해된 cTCO를 도입시키는 단계;
(ⅳ) 상기 (ⅲ) 단계에서 왕레진에 cTCO의 하이드록시 부분에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4-Nitrophenyl chloroacetate)을 도입시키는 단계; 및
[화학식 2]
Figure pat00006
(Ⅴ) 상기 (ⅳ) 단계에서 왕레진에 도입된 화학식 2의 화합물의 나이트로페놀(nitrophenol) 부분을 물질 P(Substance P; SP)로 치환시켜 cTCO에 물질 P를 도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청각 증진용 바이오 메디컬 소재를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한 cTCO-왕 레진에 물질 P가 제대로 결합되었는지 반응물 속의 물질 P의 흡광도(236 nm) 측정을 통해 확인한 결과,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반응이 진행함에 따라 흡광도(236 nm)가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생화학적 분해성 연결기인 cTCO와 테트라진의 반응성은 PNP-cTCO-Ala-Wang Resin 및 NH2-Kiz 결합을 통해 확인하기 위해, PNP-cTCO-Ala-Wang Resin에 형광프로브가(Fluorogenic probe) 결합된 테트라진(Tz-KIz)을 처리한 결과,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cTCO-Tz 결합 반응에 의해 Tz-Kiz을 처리한 왕 레진이 빨간색 형광으로 라벨링(labeling)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서 청각 증진용 바이오 메디컬 소재에 생체환경/외부 자극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가힐링 펩타이드 모티브의 능동형 방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생체환경/외부 자극은 광, 음파, pH 조절 또는 생화학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광분해성 연결기를 포함하는 청각 증진용 바이오 메디컬 소재인 경우, 구체적으로 광 조사를 통해 자가힐링 펩타이드 모티브의 방출을 제어하였으며, 더 구체적으로는 250 내지 450nm의 파장의 광선, 바람직하게는 365 nm 파장의 자외선을 1분 내지 240분 동안 처리하여 자가힐링 펩타이드 모티브의 방출을 제어하였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또 다른 구현예에서는, 도 4에 나타난 모식도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조한 자가힐링 펩타이드 모티브가 광조사에 의해 자가힐링 펩타이드의 방출 제어 가능한지 확인하였다. HPLC 분석을 통해 확인한 결과 도 5 내지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특정 환경변화 조건에서 선택적으로 SP 펩타이드 모티브를 정밀 제어하여 방출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생화학물질 분해성 연결기인 cTCO를 포함하는 청각 증진용 바이오 메디컬 소재인 경우, 테트라진 또는 테트라진 유도체 처리를 통해 자가힐링 펩타이드 모티브의 방출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또 다른 구현예에서는,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cTCO-Tz 결합 반응에 의해 Tz-Kiz을 처리한 왕 레진이 빨간색 형광으로 라벨링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자가힐링 펩타이드 모티브-cTCO-지지체로 구성된 바이오 메디컬 소재에 테트라진을 처리하게되면 cTCO 및 테트라진이 결합하게 되고, 이로 인해 최종적으로 자가힐링 펩타이드 모티브가 방출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바이오 메디컬 소재로부터 자가힐링 펩타이드 모티브를 정밀 제어 방출 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으므로, 본 발명의 자가힐링 펩타이드 모티드는 청각세포 손상 보호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써 활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추후 재생의학에 연계된 생체소재 및 생체조직 복원산업에 필수적으로 도입될 정밀 방출제어 툴(tool)에 널리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각 증진용 바이오 메디컬 소재는 줄기세포 또는 전구세포 동원능이 있는 펩타이드가 생체 내에서 정밀 방출 될 수 있도록 제어가 가능하므로, 다양한 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손상된 장기 또는 조직의 재생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서, 상기 청각 증진용 바이오 메디컬 소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청각 세포 손상 보호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어떠한 일반적인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 예를 들어, 복강내 투여, 정맥내 투여, 근육내 투여, 피하 투여, 피내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때, 비경구 투여용 제형으로 제제화하기 위하여 자가힐링 펩타이드 모티브를 안정제 또는 완충제와 함께 물에 혼합하여 용액 또는 현탁액으로 제조하고, 이를 앰플 또는 바이알 단위 투여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멸균되고/되거나 방부제, 안정화제, 수화제 또는 유화 촉진제, 삼투압 조절을 위한 염 및/또는 완충제 등의 보조제, 및 기타 치료적으로 유용한 물질을 함유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인 혼합, 과립화 또는 코팅 방법에 따라 제제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인체에 대한 투여량은 환자의 나이, 몸무게, 성별, 투여형태, 건강상태 및 질환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몸무게가 60 ㎏인 성인 환자를 기준으로 할 때, 일반적으로 0.001 ~ 1,000 ㎎/일이며, 바람직하게는 0.01 ~ 500 ㎎/일이며, 의사 또는 약사의 판단에 따라 일정시간 간격으로 1일 1회 내지 수회로 분할 투여할 수도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광분해성 청각 증진용 바이오 메디컬 소재 제작 및 방출 제어
1-1: 광분해성 청각 증진용 바이오 메디컬 소재 제작
본 발명에서는 도 3과 같은 방법으로 청각 증진용 바이오 메디컬 소재를 제작하였다. 모든 반응은 2개의 시약을 사용하여 반복하여 수행하였으며, 각 단계별 반응 후에 주사기 용액을 버린 다음, DCM(Dichloromethane; 300 ㎕) 및 DMF(Dimethylformamide; 300 ㎕)를 이용하여 2회씩 각각 1분 동안 세척을 수행하였다. 모든 반응은 5 ㎖(6 ㎖) NORM-JECT® 주사기에서 수행되었으며, 실온에서 유지되었다.
<1 단계>
Fmoc-Ala-Wang resin(0.79 mmol/g; 10 mg, 0.0079 mmol을 10분 동안 DCM(300 ㎕)에서 팽윤시킨 다음, 세척하였다. 이어서, 20% 피페리딘(Piperidine)이 포함된 DMF(300 ㎕)에 왕 레진을 첨가한 다음, 반응 혼합물을 3분 동안 교반하고, 레진을 제외한 용액을 제거하였다. 상기 과정을 2번 반복하여 수행하였다.
<2 단계>
상기 보호기가 제거된 왕 레진에 광분해성 링커(Photocleavable linker; 4-[4-(1-Hydroxyethyl)-2-methoxy-5-nitrophenoxy]butanoic acid; 12 mg, 0.0395 mmol) 및 HCTU(O-(6-Chlorobenzotriazol-1-yl)-N,N,N′,N′-tetramethyluronium hexafluorophosphate; 16.3 mg, 0.0395 mmol)가 포함된 DMF(300 ㎕) 및 DIPEA(N,N-Diisopropylethylamine; 13.8 ㎕, 0.079mmol)를 첨가한 다음, 반응 혼합물을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과정을 두번 반복하여 수행하였으며, 두번째 반응은 DMF 용액 대신 DCM(300 ㎕)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2단계의 모든 반응은 빛으로부터 보호되었다.
<3 단계>
상기 광분해성 연결기가 도입된 왕레진에 4-니트로페닐 클로로포르메이트(4-Nitrophenyl chloroformate; 6.37 mg, 0.0316 mmol) 및 DIPEA(5.5 ㎕, 0.0316mmol)이 포함된 DMF(300 ㎕)용액을 첨가한 다음, 반응 혼합물을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과정을 두번 반복하여 수행하였으며, 두번째 반응은 DMF 용액 대신 DCM(300 ㎕)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4 단계>
상기 3단계 반응이 끝난 왕레진에 물질 P(Substance P; 2.5 mg, 0.00186mmol) 및 DIPEA(0.323 ㎕, 0.00186mmol) 포함된 DMF/증류수(100 ㎕/100 ㎕) 용액을 첨가한 다음, 반응 혼합물을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진행됨에 따라 혼합물의 색이 투명하게 변하였으며, 동일한 시약을 사용하여 상기 과정을 두번 반복하여 수행하였다.
1-2: UV 조사에 따른 자가힐링 펩타이드 방출 제어
본 발명에서는 도 4에 나타난 모식도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조한 청각 증진용 바이오 메디컬 소재가 광조사에 의해 자가힐링 펩타이드 모티브의 방출 제어 가능한지 확인하였다.
자외선 조사는 SP 및 광분해성 연결기가 도입된 왕 레진을 용매(물 200 ㎕)에 현탁시킨 상태에서 수행하였으며, 핸드 UV 조사기(Hand UV irradiator ; SPECTROLINE®Model : ENF-240C/ FE, 230 V, 50 Hz, 0.2 Amps)를 이용하여 365nm 채널에서 수행하였다. 어두운 방에서 UV 조사를 유지하였으며, HPLC 크로마토그램을 시간경과(0, 2, 12, 42, 67, 147, 237 min)에 따라 검사하였다.
도 5는 펩타이드 모티브의 정밀 제어 방출 가능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광분해 링커를 통해 왕레진에 결합된 SP 펩타이드가 자가힐링 펩타이드 모티브 바이오 메디컬 신소재 모델인 왕레진으로부터 365 nm UV 조사에 의해 방출되는지의 여부를 HPLC를 활용하여 235 nm 파장에서의 시간별(0 ~ 240 min) 흡광을 통해 관찰한 것으로, UV 조사에 의해 SP가 방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6은 자가힐링 펩타이드 모티브 정밀제어 방출의 정량적 분석을 위해 HPLC 상에서의 피크 인텐시티 멕시멈(peak intensity maximum) 값과 AUC 면적 값을 시간에 따라 나타낸 산점도(scatter plot) 그래프로, 광조사 조건에서 선택적으로 SP 펩타이드 모티브를 정밀 제어하여 방출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생화학물질 분해성 청각 증진용 바이오 메디컬 소재 제작 및 방출 제어
2-1: 생화학물질 분해성 청각 증진용 바이오 메디컬 소재 제작
본 발명에서는 생화학물질 분해성(생체환경 자극 분해성) 연결기인 cTCO(trans-cyclooctene)를 활용하여 물질 P 펩타이드 모티브를 왕 레진(Wang resin)에 도입하였다. cTCO는 테트라진(tetrazine; Tz)과의 반응성이 높아 왕레진-cTOC-SP로 구성된 자가힐링펩타이드 모티브에 테트라진 또는 테트라진 유도체를 처리하게되면 cTCO-Tz 결합에 의해 물질 P가 방출하게 된다.
왕레진-cTOC-SP로 구성된 청각 증진용 바이오 메디컬 소재의 제작과정은 하기와 같다.
<1 단계: cTCO 가수분해>
수산화칼륨(KOH; 12.5 mg, 222.5 μmol)를 50 ㎕ 메탄올(MeOH)에 포함된 COOCH3-cTCO(1.76 mg, 8.9 μmol)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어두운 곳에서 8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강산성 양이온 교환 수지인 IR120(Amberlite IR-120; 0.1 ㎖)를 첨가하고 1분 동안 추가로 교반하였다. 그 다음, IR120를 여과로 제거하고, 메탄올로 3회 세척한 후, DIPEA(4-(N,N-Dimethylamino)pyridine; 6.2 ㎕, 35.6 μmol)를 첨가한 후, 여액을 감압농축시켜 생성된 미정제물을 정제하지 않고 이후 반응에 사용하였다.
<2 단계: Fmoc-Ala-Wang Resin 보호기 제거>
Fmoc-Ala-Wang Resin(1.5 mg, 1.2 μmol)을 30분 동안 DMF에서 팽윤시킨 다음, 새로운 DMF로 3회 세척하였다. 2M DBU(1,8-Diazabicyclo[5.4.0]undec-7-ene)이 포함된 DMF를 상기 왕레진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완료 후 여과로 레진을 제외한 용액을 제거한 다음, DMF로 3회 세척하였다.
<3 단계: cTCO-Ala-Wang Resin 컨쥬게이션>
DIPEA(1.4 ㎕, 8.1 μmol)를 보호기가 제거된 NH2-Ala-Wang Resin이 포함된 50 ㎕ DMF에 첨가한 다음,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PyBOP(benzotriazol-1-yl-oxytripyrrolidinophosphonium hexafluorophosphate; 2.5 mg, 4.9 μmol) 및 상기 1 단계에서 가수분해 시킨 COOH-cTCO-OH(1.5 mg, 8.1 μmol)를 상기 왕레진에 첨가한 다음, 어두운 조건에서 6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완료 후, 여과로 레진을 제외한 용액을 제거한 다음, DMF로 3회 세척하였다.
<4 단계: PNP-cTCO-Ala-Wang Resin 컨쥬게이션>
4-니트로페닐 클로로포르메이트(4-nitrophenyl chloroformate; 0.7 mg, 3.6 μmol) 및 DIPEA를 cTCO-Wang-Ala Resin(1.0 mg, 0.79 μmol)이 포함된 50 ㎕ DMF(또는 DCM)에 첨가한 다음, 16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완료 후, 여과로 레진을 제외한 용액을 제거한 다음, DMF로 3회 세척하였다.
<5 단계: NP-cTCO-Ala-Wang Resin 및 물질 P 컨쥬게이션>
4단계에서 컨쥬게이션 시킨 PNP-cTCO-Ala-Wang Resin(1.0 mg, 1.2 μmol)을 DMF에서 30분 동안 예비 팽윤시킨 후, 여과로 레진을 제외한 용액을 제거한 다음, DMF로 3회 세척하였다.
DIPEA(0.4 ㎕, 2.4 μmol) 및 물질 P(1.8 mg, 1.3 μmol)를 30 ㎕ DMF에 첨가한 다음,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예비 팽윤된 PNP-cTCO-Ala-Wang Resin이 포함된 30 ㎕ DMF에 첨가한 다음, 15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왕 레진에 물질 P의 도입 여부는 반응물 속의 물질 P의 흡광도(236 nm) 측정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반응이 진행함에 따라 흡광도(236 nm)가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2-2: 테트라진 처리에 따른 자가힐링 펩타이드 방출 제어
생화학적 분해성 연결기인 cTCO와 테트라진의 반응성은 PNP-cTCO-Ala-Wang Resin 및 NH2-Kiz 결합을 통해 확인하였다.
상기 실시예 2-1의 4 단계에서 제조한 PNP-cTCO-Ala-Wang Resin에 형광프로브가(Fluorogenic probe) 결합된 테트라진(Tz-KIz)을 처리하였다 (도 9).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cTCO-Tz 결합 반응에 의해 Tz-Kiz을 처리한 왕 레진이 빨간색 형광으로 라벨링(labeling)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110> AJOU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120> Method of controlled active release of self healing peptide motif by biological external stimulation for hearing enhancement <130> 1066848 <160> 1 <170> KoPatentIn 3.0 <210> 1 <211> 1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ubstance P <400> 1 Arg Pro Lys Pro Gln Gln Phe Phe Gly Leu Met 1 5 10

Claims (10)

  1. 지지체; 생체환경 자극 분해성 연결기; 및 자가힐링 펩타이드 모티브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생체환경 자극 분해성 연결기는 지지체와 자가힐링 펩타이드 모티브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 증진용 바이오 메디컬 소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생분해성 지지체, 히알루론산 함유 지지체, 레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 증진용 바이오 메디컬 소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진은 왕 레진(Wang res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 증진용 바이오 메디컬 소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환경 자극 분해성 연결기는 광분해성 연결기, 음파 분해성 연결기, pH 분해성 연결기 및 생화학물질 분해성 연결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 증진용 바이오 메디컬 소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광분해성 연결기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4-[4-(1-hydroxyethyl)-2-methoxy-5-nitrophenoxy]butanoic acid)이며,
    [화학식 1]
    Figure pat00007

    상기 생화학물질 분해성 연결기는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COOCH3-cTCO(trans-cyclooctene)이며,
    [화학식 3]
    Figure pat00008

    상기 pH 분해성 연결기는 히드라존 연결기(Hydrazone linker) 또는 이황화물 연결기(Disulfide link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 증진용 바이오 메디컬 소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가힐링 펩타이드 모티브는 줄기세포 동원물질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서열번호 1로 구성되는 물질 P(substance P; SP) 또는 이의 유사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 증진용 바이오 메디컬 소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각 증진용 바이오 메디컬 소재는 (a) 지지체에 생체환경 자극 분해성 연결기를 도입하는 단계; 및 (b) 상기 생체환경 자극 분해성 연결기에 자가힐링 펩타이드 모티브를 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 증진용 바이오 메디컬 소재.
  8. 제1항 내지 제7항의 방법 중 어느 한 항의 청각 증진용 바이오 메디컬 소재에 생체환경/외부 자극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가힐링 펩타이드 모티브의 능동형 방출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환경/외부 자극은 광, 음파, pH 조절 또는 생화학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힐링 펩타이드 모티브의 능동형 방출 제어 방법.
  10. 제1항 내지 제7항의 방법 중 어느 한 항의 청각 증진용 바이오 메디컬 소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청각 세포 손상 보호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190168780A 2019-12-17 2019-12-17 청각증진을 위한 생체환경/외부자극에 의한 자가힐링 펩타이드 모티브의 능동형 방출 제어 방법 KR2021007729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8780A KR20210077295A (ko) 2019-12-17 2019-12-17 청각증진을 위한 생체환경/외부자극에 의한 자가힐링 펩타이드 모티브의 능동형 방출 제어 방법
PCT/KR2020/017563 WO2021125641A1 (ko) 2019-12-17 2020-12-03 생체환경/외부자극에 의한 자가힐링 펩타이드 모티브의 능동형 방출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8780A KR20210077295A (ko) 2019-12-17 2019-12-17 청각증진을 위한 생체환경/외부자극에 의한 자가힐링 펩타이드 모티브의 능동형 방출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7295A true KR20210077295A (ko) 2021-06-25

Family

ID=76478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8780A KR20210077295A (ko) 2019-12-17 2019-12-17 청각증진을 위한 생체환경/외부자극에 의한 자가힐링 펩타이드 모티브의 능동형 방출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10077295A (ko)
WO (1) WO2021125641A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3655A (ko) * 2003-01-08 2004-07-14 주식회사 비드테크 광분해성 연결기가 도입된 생체 분자 분리용 고분자지지체 및 이를 이용한 생체분자의 검출 및 분석방법
KR101382484B1 (ko) * 2012-04-10 2014-04-1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줄기세포 동원 활성을 가지는 폴리펩타이드
GB2528643A (en) * 2014-07-08 2016-02-03 Adc Biotechnology Ltd Method of synthesising ADC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25641A1 (ko) 2021-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2602443C2 (ko)
DE69818987T2 (de) Zusammensetzung und verfahren zur verzögerung des transports durch biologische membranen
DE60217507T2 (de) Peptide für die behandlung von tumoren und anderen zuständen, die das entfernen oder zerstören von zellen erfordern
CN101535336A (zh) 合成酞酰胺及其二聚体
CN101237898A (zh) 人胎盘胶原组合物、其制备方法、使用方法以及包含该组合物的试剂盒
CN101627049A (zh) 合成酞酰胺
JPWO2011013700A1 (ja) キャリアペプチドフラグメント及びその利用
DE69633623T2 (de) Cystein-Protease-Inhibitoren für die Behandlung von allergischen Krankheiten verursacht duch IgE
DE60222745T2 (de) Verwendung von neurofilamentproteinen zur behandlung von tumoren
EP0140084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Insulin-Derivaten, deren B-Kette C-terminal verlängert ist, neue basisch modifizierte Insulin-Derivate, diese enthaltende Mittel und ihre Verwendung
EP2349312B1 (de) N-terminal modifizierte tetrapeptidderivate mit c-terminalem argininmimetikum
DE69928040T2 (de) Aktives Hedgehog-Protein-Konjugat, Verfahren zur Herstellung und Verwendung
DE69917281T2 (de) Coumarin und damit verwandte aromatische polymere prodrugs
EP1196433B1 (de) CYCLISCHE PEPTIDDERIVATE ALS INHIBITOREN DES INTEGRINS ALPHA v BETA 6
EP0019829B1 (de) Pharmakologisch aktive Peptide und deren Zusammensetzungen
DE60126802T2 (de) Cyclopeptid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zur hemmung oder stimulierung von angiogenese
CN114569628A (zh) Dna四面体框架纳米核酸在美容中的用途
KR20210077295A (ko) 청각증진을 위한 생체환경/외부자극에 의한 자가힐링 펩타이드 모티브의 능동형 방출 제어 방법
CN101679495A (zh) 用于细胞学和免疫学调节的短的生物活性肽
CN102675419A (zh) 一种Aβ短肽聚合抑制剂及其制备与应用
EP3412681A1 (de) Protransduzin b ein enhancer des gentransfers
EP2041161B1 (de) Chirale mit phosphonsäureester- oder phosphonsäure- substituierte verbindungen
AU2009207302B2 (en) Peptides,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JPS63198698A (ja) 新規ペプチド、その製法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医薬組成物
KR20220003557A (ko) 피부 내에서의 활성제의 전달 및 보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