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5041A - 생약재 추출물 - Google Patents

생약재 추출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5041A
KR20210075041A KR1020210075309A KR20210075309A KR20210075041A KR 20210075041 A KR20210075041 A KR 20210075041A KR 1020210075309 A KR1020210075309 A KR 1020210075309A KR 20210075309 A KR20210075309 A KR 20210075309A KR 20210075041 A KR20210075041 A KR 202100750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ver
weight
injin
sanchija
tosaj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5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윤서
Original Assignee
최윤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윤서 filed Critical 최윤서
Priority to KR1020210075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75041A/ko
Publication of KR20210075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50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9Convolvulaceae (Morning-glory family), e.g. bindwe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4Lauraceae (Laurel family), e.g. cinnamon or sassafr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8Meliaceae (Chinaberry or Mahogany family), e.g. Azadirachta (ne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3Oleaceae (Olive family), e.g. jasmine, lilac or ash tre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0Polygonaceae (Buckwheat family), e.g. spineflower or do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4Rubiaceae (Madder family)
    • A61K36/744Garden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8Saururaceae (Lizard's-tail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61K36/8994Coix (Job's tea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물이나 알콜 등으로 인해 간에 손상이 간 것에 대해, 순수 생약재로부터 만든 추출물을 이용해 회복 및 개선 효과를 보이는 약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약물로 인한 간손상 치료제는 간에 독성이 적은 순수 생약제이면서도 실제로 간손상이 일어난 간을 보호하고 회복시킬 수 있어 약물로 인한 간손상을 효과적으로 다스릴 수 있다.

Description

생약재 추출물{HERB MEDICINE EXTRACT}
본 발명은 약물이나 알콜 등으로 인해 간에 손상이 간 것에 대해, 순수 생약재로부터 만든 추출물을 이용해 회복 및 개선 효과를 보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간은 상복부 우측에 위치한 장기로 각종 영양소를 만들어 저장하고 체내 노폐물과 독소 배출 등 중요한 기능을 한다. 하지만 간세포가 파괴돼 간 기능이 절반 이하로 떨어져도 특별한 증상이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치료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아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
간의 손상 정도가 심해지면 소변 색이 갈색으로 변하고 눈동자와 피부가 노랗게 되는 황달 증세가 나타난다. 만일 간이 붓거나 염증으로 커지면 우측 갈비뼈 아래 부근을 눌렀을 때 만져지기도 한다.
간손상은 약물로 인해 생길 수도 있으므로, 불필요한 약도 피해야 한다. 양약뿐 아니라 건강보조식품, 생약제도 간염의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과다한 음주 후에 숙취 해소를 위한 약제 복용이나 해장술을 마시는 것도 간 건강에 해로울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간 손상은 지방간에서 시작되는 경우가 많다. 지방간이란 간세포에 지방이 쌓이는 것을 말하며, 간에 지방이 축적되어 전체 간의 5% 이상이 지방이 되면 지방간으로 간주한다.
지방간은 크게 음주로 인한 알코올성 지방간과 지방간을 일으킬 수 있는 기저질환 없이 발생한 비알코올성 지방간으로 나뉜다. 지방간은 흔히들 과도한 음주로 인해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술을 전혀 입에 대지 않아도 서구화된 식습관, 비만을 비롯한 대사증후군 환자의 증가 등으로 인하여 비알코올성 지방간 환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특히, 한국인의 경우 탄수화물 함량이 높은 흰쌀밥 위주의 식습관으로 인한 지방간 발생 비율이 전체 인구의 약 30%에 이를 정도로 높으므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지방간은 간 세포 속에 지방이 축적된 상태를 의미하며, 의학적으로 지방이 전체 간 무게의 5% 이상을 초과하는 병적 상태를 의미하는데, 이를 포함하는 간질환은 선진국 40-50대 성인 인구의 사망 원인에서 암 다음으로 심각한 질환으로 인정된다. 선진국을 포함한 주요 국가의 인구 중 30%는 지방간 증상을 보이고 있으며, 이들 중 20%는 간경변증으로 진행하게 되며, 간경변증 환자의 약 절반은 진단 후 10년 이내에 간질환으로 사망한다.
비알콜성 지방간염(non-alcholic steatohepatitis; NASH)의 경우, 만성적인 질환으로 지속적으로 간염을 일으키고, 조기에 진단되기 어려우며, 환자의 약 20%가 20년 후 간 섬유화 또는 간경화로 진행되는 특징이 있는 등, 종래의 간질환과는 패턴 양상의 차이가 있으며, 다양한 병리원인에 의하여 유병율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한국등록특허 제0626724호는 인진, 창출, 후박, 진피, 저령, 택사, 백출, 복령, 나복자, 생강, 반하, 대복피, 삼릉, 봉출, 청피 및 감초를 포함하는 혼합 생약재로부터 열탕 추출한 간섬유화 억제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0604354호는 인진, 백출, 운지, 와송 및 저령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간질환 예방 및 개선용 생약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0682045호는 위모 3 내지 5 중량부, 모려분 3 내지 5 중량부, 백렴 3 내지 5 중량부, 제조 3 내지 5 중량부, 인진 1 내지 3 중량부, 택사 1 내지 3 중량부, 섬수 1 내지 3 중량부, 사간 1 내지 3 중량부, 편축 0.5 내지 1.5 중량부, 나복자 0.5 내지 1.5 중량부, 울금 0.5 내지 1.5 중량부, 승마 0.5 내지 1.5 중량부, 백복령 0.5 내지 1.5 중량부, 비파엽 0.5 내지 1.5 중량부, 감초 0.5 내지 1.5 중량부, 정력자 0.1 내지 1 중량부 및 고백반 0.1 내지 1 중량부의 17종의 복합 생약 분말을 용매로 추출하여 제조되는 간섬유화의 예방 및 개선용 한약 추출물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한약 조성물은 다양한 한약재를 함께 사용하기 때문에 취급 및 제조가 용이하지 않을 뿐더러, 비알콜성 지방간, 간보호, 간섬유화 및 간경화와 같은 여러 간질환에 효과가 충분하지 않으므로, 간손상을 개선하고 회복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성분의 함량이 높은 생약추출물의 연구 개발이 여전히 요구되는 바이다.
본 발명자는 전래되어 왔던 여러 생약재를 포함하는 추출물을 실제로 얻어, 이 추출물이 간손상을 회복 및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여 발명을 완성하였다.
한국등록특허 제0626724호
본 발명의 목적은, 약물이나 알콜 등으로 인해 간에 손상이 간 것에 대해, 순수 생약재로부터 만든 추출물을 이용해 회복 및 개선 효과를 보이는 약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인진, 청호, 금전초, 황기, 산치자, 대황, 황금, 토사자, 생맥아, 어성초, 저령, 율무, 복령, 천련자, 목향, 후박, 연교, 곡아, 계내금으로 구성되는 생약재로부터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손상 치료를 위한 생약재 추출물을 제공한다.
상기 상기 생약재는, 인진, 청호, 금전초, 황기, 산치자, 대황, 황금, 토사자, 생맥아, 어성초, 저령, 율무, 복령, 천련자, 목향, 후박, 연교, 곡아, 계내금을 3:2:3:2:1:0.5:1:1:2:2:1:1:1:2:1:1:1:1:1의 중량비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1) 인진, 청호, 금전초, 황기, 산치자, 대황, 황금, 토사자, 생맥아, 어성초, 저령, 율무, 복령, 천련자, 목향, 후박, 연교, 곡아, 계내금을 3:2:3:2:1:0.5:1:1:2:2:1:1:1:2:1:1:1:1:1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단계; (2) 상기 혼합물을 중탕기에 넣은 후 혼합물 중량 2.75에 1의 비율로 물을 넣어 2시간 내지 5시간 동안 센 불에서 가열하여 끓이는 단계; 및 (3) 상기 끓인 액체를 중간 불에서 가열하여 온도를 70℃ 내지 95℃로 유지하며 상기 (1)단계에서 넣은 물의 양의 절반 양이 되도록 줄이는 단계;를 포함하는 간손상 치료를 위한 생약재 추출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1) 인진, 청호, 금전초, 황기, 산치자, 대황, 황금, 토사자, 생맥아, 어성초, 저령, 율무, 복령, 천련자, 목향, 후박, 연교, 곡아, 계내금을 3:2:3:2:1:0.5:1:1:2:2:1:1:1:2:1:1:1:1:1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단계; (2) 상기 혼합물을 골고루 섞고 1mm체를 통과할 정도의 가루로 만드는 단계; 및 (3) 상기 섞은 가루에 중량 2.75에 0.5의 비율로 꿀을 넣어 환약 형태로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간손상 치료를 위한 생약재 추출물 환약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약물로 인한 간손상 치료제는 간에 독성이 적은 순수 생약제이면서도 실제로 간손상이 일어난 간을 보호하고 회복시킬 수 있어 약물로 인한 간손상을 효과적으로 다스릴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추출물의 효능을, 비교 실험을 통해 확인한 쥐(Rat)의 간세포 모습들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일 관점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인진, 청호, 금전초, 황기, 산치자, 대황, 황금, 토사자, 생맥아, 어성초, 저령, 율무, 복령, 천련자, 목향, 후박, 연교, 곡아, 계내금으로 구성되는 생약재로부터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손상 치료를 위한 생약재 추출물을 제공한다.
상기 생약재는, 인진, 청호, 금전초, 황기, 산치자, 대황, 황금, 토사자, 생맥아, 어성초, 저령, 율무, 복령, 천련자, 목향, 후박, 연교, 곡아, 계내금을 3:2:3:2:1:0.5:1:1:2:2:1:1:1:2:1:1:1:1:1의 중량비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1) 인진, 청호, 금전초, 황기, 산치자, 대황, 황금, 토사자, 생맥아, 어성초, 저령, 율무, 복령, 천련자, 목향, 후박, 연교, 곡아, 계내금을 3:2:3:2:1:0.5:1:1:2:2:1:1:1:2:1:1:1:1:1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단계; (2) 상기 혼합물을 중탕기에 넣은 후 혼합물 중량 2.75에 1의 비율로 물을 넣어 2시간 내지 5시간 동안 센 불에서 가열하여 끓이는 단계; 및 (3) 상기 끓인 액체를 중간 불에서 가열하여 온도를 70℃ 내지 95℃로 유지하며 상기 (1)단계에서 넣은 물의 양의 절반 양이 되도록 줄이는 단계;를 포함하는 간손상 치료를 위한 생약재 추출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1) 인진, 청호, 금전초, 황기, 산치자, 대황, 황금, 토사자, 생맥아, 어성초, 저령, 율무, 복령, 천련자, 목향, 후박, 연교, 곡아, 계내금을 3:2:3:2:1:0.5:1:1:2:2:1:1:1:2:1:1:1:1:1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단계; (2) 상기 혼합물을 골고루 섞고 1mm체를 통과할 정도의 가루로 만드는 단계; 및 (3) 상기 섞은 가루에 중량 2.75에 0.5의 비율로 꿀을 넣어 환약 형태로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간손상 치료를 위한 생약재 추출물 환약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약물로 인한 간손상 치료를 위한 혼합 생약 추출물은 인진, 청호, 금전초, 황기, 산치자, 대황, 황금, 토사자, 생맥아, 어성초, 저령, 율무, 복령, 천련자, 목향, 후박, 연교, 곡아, 계내금을 포함하는 추출물이다.
각 생약재의 효능을 보면,
'인진'은 주약으로서 속열, 습 또는 몸과 눈이 노란 것을 소변으로 배출시킨다. 그리고 해독작용 간을 보호하고, 종류 예방과 혈압도 낮춘다.
'청호'도 주약으로서 황달을 내리게 한다.
'금전초'는 주약으로서 해독작용을 하고 습과 열이 없어지게 하며 담낭 부위 아픈 것을 진통시킨다.
'황기'는 기를 돕는 약으로서 몸에 힘이 없는 것을 해결하며 면역력을 높여주고 간을 보호해주는 작용을 한다.
'산치자'는 찬 약으로 삼교 열을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담낭에 좋고 간을 보호해준다.
'대황'은 찬 약으로 열을 제거하고 이뇨작용도 있으며 비장, 간을 도우며 혈압도 낮혀준다.
'황금'은 속열을 치고 습이 많을 때 쓰이고 황달에도 효과가 좋다. 그리고 간을 보호해준다.
'토사자'는 간장, 신장을 도와준다.
'생 맥아'는 기가 통하고 비장을 도와주며 소화작용을 한다. 그러면서 간에 기가 통하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어성초'는 이뇨작용을 하며 면역력을 높여준다.
'저령'은 주로 습을 소변으로 배출시키고 간염을 방지하는데도 쓰인다.
'율무'는 이뇨작용 비장을 돕고 염증을 치료하고 해독작용도 한다.
'복령'은 습을 소변으로 배출시키고 비장을 도우며 안심작용도 하고 간을 보호하고 혈당도 낮추며 노쇠를 늦춘다.
'천련자'는 간에 기를 통하게 하며 진통작용, 열을 발산시키며 담낭을 수축시켜 담즙을 배출하게 한다.
'목향'은 비장의 기를 통하게 하면서 소화작용을 한다.
'후박'은 윗 배가 불룩하고 습이 많은 것을 치료한다.
'연교'는 해독작용을 하며 추출물은 염증 치료에도 효과가 있다.
'곡아'는 소화작용을 한다.
'계내금'은 비장을 돕고 소화작용을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약물로 인한 간손상 치료를 위한 상기 혼합 생약 추출물은 인진, 청호, 금전초, 황기, 산치자, 대황, 황금, 토사자, 생맥아, 어성초, 저령, 율무, 복령, 천련자, 목향, 후박, 연교, 곡아, 계내금을 2-5:1-4:2-5:1-4:1-2:1-1:1-2:1-2:1-4:1-4:1-2:1-2:1-2:1-4:1-2:1-2:1-2:1-2:1-2의 중량 조성비로 혼합한 후 물을 가하여 중탕기에서 2-5시간 센 불로 가열하고 8-15시간 중 불에서 중탕하는 단계; 및 상기 중탕한 혼합물을 2-5시간 약불로 가열한 후 상기 혼합물이 반으로 줄어들 때까지 농축하여 제조된다.
바람직하게는, 인진 200-500 중량부, 청호 100-300 중량부, 금전초 200-500 중량부, 황기 100-300 중량부, 산치자 100-200 중량부, 대황 100-100 중량부, 황금 100-200 중량부, 토사자 100-200 중량부, 생 맥아 100-300 중량부, 어성초 100-300 중량부, 저령 100-200 중량부, 율무 100-200 중량부, 복령 100-200 중량부, 천련자 100-300 중량부, 목향 100-200 중량부, 후박 100-200 중량부, 연교 100-200 중량부, 곡아 100-200 중량부, 계내금 100-200 중량부를 포함하는 비율로 제조하고, 이러한 비율로 2750g의 양으로 혼합한 후 여기에 물을 1000L를 가한 후 중탕하여 물이 500L가 될 때까지 가열하여 제조한다.
추출물이 아닌 환제 제조의 경우, 인진 300g, 청호 200g, 금전초 300g, 황기 200g, 산치자 100g, 대황 50g, 황금 100g, 토사자 100g, 생 맥아 200g, 어성초 200g, 저령 100g, 율무 100g, 복령 100g, 천련자 200g, 목향 100g, 후박 100g, 연교 100g, 곡아 100g, 계내금 100g을 혼합하여 가루로 만든 후 꿀을 넣어서 9g 좌우되는 환제를 제조한다.
전래되어 온 생약재 추출물 복용 방법에 의하면, 상기와 같이 제조된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1일 2-3회 식전에 복용하고 1회에 100cc를 복용하며 환제는 1일 2-3회 식전에 복용하고 1회에 9g을 복용하여 15일 이상 지나면 호전이 온다고 한다. 다른 방법으로는, 상기와 같이 제조된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여 정제하거나 환제 또는 캡슐화하여 약학적으로 조성물로 이용하거나 이를 포함한 식음료로 이용할 수 있다.
아래 실시예와 같이 추출물과 환약을 만들어, 그 효능을 살펴 보았다.
실시예 1. 혼합 생약 추출물의 제조
본 발명의 혼합 생약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하기 표 1의 함량대로 약제의 중량을 측정하여 준비한다.
약재명 용량(g)
1 인진 300
2 청호 200
3 금전초 300
4 황기 200
5 산치자 100
6 대황 50
7 황금 100
8 토사자 100
9 생맥아 200
10 어성초 200
11 저령 100
12 율무 100
13 봉령 100
14 천련자 200
15 목향 100
16 후박 100
17 연교 100
18 곡아 100
19 계내금 100
합계 2750
상기 준비된 약재의 혼합물 2750g을 중탕기에 넣은 후 물 1000L를 넣는다. 2 내지 5시간 동안, 실제로는 100℃에 도달한 후 4시간 동안 센 불에서 가열하고, 그 후 중간 불에서 8 내지 15시간 동안, 실제로는 불을 줄여 끓지 않게 하고 90℃로 유지하며 12시간 동안 가열한다. 이렇게 가열한 결과 액체인 원액을 중불에서 70℃로 유지 가열하면서 원액이 최종적으로 500L가 될 때까지 가열한다. 보통 3시간 정도가 소요된다.
실시예 2. 혼합 생약 추출물 환약의 제조
본 발명의 혼합 생약 추출물 환약을 제조하기 위하여 하기 표 2의 함량대로 약제의 중량을 측정하여 준비한다.
약재명 용량(g)
1 인진 300
2 청호 200
3 금전초 300
4 황기 200
5 산치자 100
6 대황 50
7 황금 100
8 토사자 100
9 생맥아 200
10 어성초 200
11 저령 100
12 율무 100
13 봉령 100
14 천련자 200
15 목향 100
16 후박 100
17 연교 100
18 곡아 100
19 계내금 100
합계 2750
상기 준비된 약재의 혼합물 2750g을 골고루 섞고 1mm체를 통과할 정도의 가루로 만든 후, 꿀 500mL을 넣어서 환약을 제조한다. 환약의 크기는 보통 9g 좌우되는 구슬 형태로 제조한다.
실시예 3. 쥐(Rat)를 이용한 혼합 생약 추출물 효과 확인
본 발명의 추출물을, 약물로 인해 간질환이 인위적으로 유발된 쥐(Rat)에게 투여하여 그 간세포 치료적인 효과를 알아 본다.
이를 위해 우선 본 발명 실시예 1의 추출물을 감압농축하여 분말로 만들었고, 그 후 50mg/15ml 농도로 증류수에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쥐(Rat)는 250일 전후 키운 male을 사용하였고, 구입 후 7일간 계류시킴으로써 적응시킨 다음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동물의 사육은 온도; 23℃ 전후, 습도; 40 내지 60%, 명암 주기; 12 시간 조건에서 하였다. 사료는 실험동물용 펠렛사료를 매일 자유 급식하였고, 식수는 수돗물을 정수하여 제한 없이 공급하였다.
실험군은 총 30 마리의 동물을 각 군 6마리씩, 5개 군으로 구성하였다. 즉, 정상대조군 (G1), CCl4 단독투여군 (G2) 및 생약재 추출물 투여군으로 50 mg/kg (G3), 100 mg/kg (G4), 200 mg/kg (G5)으로 투약하여 비교하였다.
한편 사염화탄소는 corn oil에 50% (v/v)로 희석하여 1 ml을 단회투여한 후 3~4일 간격으로 0.5 ml로 2주 동안 4회 경구로 투여하였다. 즉, 사염화탄소는 실험 개시일로부터 0, 3, 7, 10 및 14일에 각각 경구로 투여하였다.
한편, 생약재 추출물은 사염화탄소 마지막 투여 후부터 2주간 투여하여 총 4주간 실험하였다.
Bansal 등(1983)의 방법에 따라, 실험 후 적출한 쥐(Rat)의 간을 잘게 썰고 150 mM KCl을 함유한 30 mM Hepes 완충액(pH 7.4)으로 5배 희석하여 균질화한 다음 20분 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얻었다. 그 상등액을 30분간 고속원심분리하여 pellet을 제거하였다. 그 상등액을 다시 60분 간 초원심분리하여 세포질 분획을 얻었으며, pellet은 130 mM KCl 함유 Hepes 완충액으로 씻어낸 다음 같은 완충액으로 재균질하여 마이크로좀 분획을 얻었다. 마이크로좀과 세포질 분획을 분리하는 모든 과정은 0 내지 4℃ 저온실에서 수행하였으며, 조제한 분획을 영하 70℃에 보관하여 후속 실험에 사용하였다.
단백질 정량은, Bovine serum albumine (BSA)을 표준물질로 사용하여 Lowry 등 (1951)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Catalase 활성도 측정을 위해, 간 cytosol에서 catalase의 활성도는 Aebi (1984)의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Superoxide dismutase (SOD) 활성도 측정을 위해, 간 cytosol에서 SOD의 활성도는 Lee와 Yu (1990)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자세하게는, Lowry (1951) 등의 방법에 의하여 단백질을 정량한 후 시료 1 ml당 2 mg protein으로 조제하였다. 미리 조제하여 놓은 0.76 mg의 xanthine 시약에 0.01N NaOH 10 ml을 첨가하여 용해시킨 후 여기에 24.8 mg의 cytochrome C를 첨가한 다음 50mM phosphate buffered saline (PBS) buffer (pH 7.8)로 total volume를 110 ml로 만든 solution A 2.9ml에 1ml당 2mg protein으로 조제한 sample 50㎕를 넣고 30초 동안 vortex mixer로 혼합시켰다. 여기에 0.1 mM EDTA가 함유된 2M ammonium sulfate solution에 xanthine oxidase를 첨가한 solution B 50㎕를 첨가한 다음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피펫팅한 후 550nm에서 1분간 optical density의 변화량을 측정하였다. 모든 지질 과산화물과 효소활성의 측정은 4℃의 저온상태에서 수행하였다
카탈라제 측정 결과, 대조군에 비해 사염화탄소를 투여한 G2(2군)은 134%의 유의한 증가가 있었으며 (p<0.05), G3, G4, G5는 각각 115%, 121%, 106%로 약간 증가된 경향을 보였다. SOD에 있어서는 G2가 대조군에 비해 164%의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p<0.05), 다른 G3, G4 G5는 139%, 126%, 109%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사염화탄소의 독성을 해소하기 위해 간세포에서 카탈라제와 SOD를 발현하는 것으로 해석되며, 추출물을 투여하면 그만큼 간세포의 사염화탄소 독성 제거 능력을 도와줘서 필요 이상의 카탈라제와 SOD가 발현될 필요가 없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도 1)은 쥐(Rat) 간세포를 (A)는 대조가 되는 정상세포군, (B)는 사염화탄소 처리, (C) 사염화탄소와 실시예 1 추출물 200mg/kg, (D)는 사염화탄소와 실시예 1 추출물 50mg/kg을 처리한 결과 사진이다. 이른 보면, 정상군에서는 간소엽, sinusoid 구조의 변성이나 중심 정맥성주위성 변화, 담관 및 문맥주위의 특이적인 변화는 관찰되지 않은 즉, 간세포들이 간소엽의 가장 자리를 향해 방사형으로 코드 모양의 배열을 보이는 반면, 사염화탄소 양성 대조군안 (B)의 경우 간세포가 팽윤되어 있었으며, 간세포의 괴사와 cytoplasmic vacuolation 및 fatty metamorphosis가 관찰되었다. 또한, 다핵을 가진 세포의 출현과 염증세포의 침윤이 나타났으며, sinusoid 구조의 소실과 간세포의 수복에 의한 섬유화 된 간의 구조가 관찰되었다. 한편 치료효과를 보기 위한 생약재 추출물 투여군에서는 (D)의 50 mg군에서는 사염화탄소 단독 투여군인 (B)에서와 같이 세포의 일부가 팽윤되어 있었고 일부에서 hepatic cell necrosis, cytoplasmic vacuolation 및 disse space의 cell infiltration을 관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200 mg의 추출물 투여군인 (C)군에서는 약간의 cytoplasmic vacuolation 및 염증세포의 침윤을 관찰하였다. 이는 결국 본 발명의 생약재 추출물이 간세포 보호와, 약물에 의한 간손상에 대해 재생 및 치료에 효과가 있음을 시사한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4)

  1. 인진, 청호, 금전초, 황기, 산치자, 대황, 황금, 토사자, 생맥아, 어성초, 저령, 율무, 복령, 천련자, 목향, 후박, 연교, 곡아, 계내금으로 구성되는 생약재로부터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약재 추출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약재는, 인진, 청호, 금전초, 황기, 산치자, 대황, 황금, 토사자, 생맥아, 어성초, 저령, 율무, 복령, 천련자, 목향, 후박, 연교, 곡아, 계내금을 3:2:3:2:1:0.5:1:1:2:2:1:1:1:2:1:1:1:1:1의 중량비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약재 추출물.
  3. (1) 인진, 청호, 금전초, 황기, 산치자, 대황, 황금, 토사자, 생맥아, 어성초, 저령, 율무, 복령, 천련자, 목향, 후박, 연교, 곡아, 계내금을 3:2:3:2:1:0.5:1:1:2:2:1:1:1:2:1:1:1:1:1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단계;
    (2) 상기 혼합물을 중탕기에 넣은 후 혼합물 중량 2.75에 1의 비율로 물을 넣어 2시간 내지 5시간 동안 센 불에서 가열하여 끓이는 단계; 및
    (3) 상기 끓인 액체를 중간 불에서 가열하여 온도를 70℃ 내지 95℃로 유지하며 상기 (1)단계에서 넣은 물의 양의 절반 양이 되도록 줄이는 단계;를 포함하는 생약재 추출물 제조방법.
  4. (1) 인진, 청호, 금전초, 황기, 산치자, 대황, 황금, 토사자, 생맥아, 어성초, 저령, 율무, 복령, 천련자, 목향, 후박, 연교, 곡아, 계내금을 3:2:3:2:1:0.5:1:1:2:2:1:1:1:2:1:1:1:1:1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단계;
    (2) 상기 혼합물을 골고루 섞고 1mm체를 통과할 정도의 가루로 만드는 단계; 및
    (3) 상기 섞은 가루에 중량 2.75에 0.5의 비율로 꿀을 넣어 환약 형태로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생약재 추출물 환약 제조방법.
KR1020210075309A 2019-02-19 2021-06-10 생약재 추출물 KR202100750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5309A KR20210075041A (ko) 2019-02-19 2021-06-10 생약재 추출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8967A KR20200101545A (ko) 2019-02-19 2019-02-19 간손상 방지 또는 개선효과를 갖는 추출물
KR1020210075309A KR20210075041A (ko) 2019-02-19 2021-06-10 생약재 추출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8967A Division KR20200101545A (ko) 2019-02-19 2019-02-19 간손상 방지 또는 개선효과를 갖는 추출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5041A true KR20210075041A (ko) 2021-06-22

Family

ID=7226597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8967A KR20200101545A (ko) 2019-02-19 2019-02-19 간손상 방지 또는 개선효과를 갖는 추출물
KR1020210075309A KR20210075041A (ko) 2019-02-19 2021-06-10 생약재 추출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8967A KR20200101545A (ko) 2019-02-19 2019-02-19 간손상 방지 또는 개선효과를 갖는 추출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0010154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3496B1 (ko) * 2022-09-16 2023-02-01 최윤서 천연물 유래의 간 손상 완화 및 개선용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6724B1 (ko) 2004-04-14 2006-10-02 서울향료(주) 간 섬유화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혼합 생약추출물 및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6724B1 (ko) 2004-04-14 2006-10-02 서울향료(주) 간 섬유화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혼합 생약추출물 및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3496B1 (ko) * 2022-09-16 2023-02-01 최윤서 천연물 유래의 간 손상 완화 및 개선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1545A (ko) 2020-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41801B2 (ja) 花粉症、アレルギー性鼻炎、アトピー性皮膚炎、喘息又は蕁麻疹の予防又は治療用組成物
Kumar et al. Traditional medicinal uses and therapeutic benefits of Momordica charantia Linn
TWI331019B (en) Therapeutic compositions
US6416795B1 (en) Herbal extract composition for stress prevention and treatment
CN102670864A (zh) 治疗心脑血管疾病和糖尿病的抗氧化功能的药物组合物
CN102366595A (zh) 一种治疗糖尿病的药物及其制备方法
KR20210075041A (ko) 생약재 추출물
CN106176953A (zh) 一种包含青钱柳叶、罗汉果和桑叶的降血糖保健组合物
KR100742502B1 (ko) 아토피 치료 한방 조성물
EP3616697B1 (en) Use of a pharmaceutical carrier in the preparation of an anti-diabetic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berberine and oryzanol
CN114947129A (zh) 一种降尿酸的大叶菊苣白芷保健食品及其制备方法
US20220047658A1 (en) Tcm addition and subtraction prescription used prevention/treatment of metabolic syndrome and complications
CN108935818A (zh) 一种青钱柳叶保健饮料茶及其制备方法
KR20090081062A (ko) 당뇨병 예방 치료 및 내장 기능 치료제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CN107412626A (zh) 一种健脾祛湿组合物及其加工方法及在祛湿降尿酸产品中的应用
KR101934810B1 (ko) 한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행 개선용 제제
CN115089661A (zh) 辅助调节内分泌代谢并抗癌防癌的人参组合物的应用
KR20050023118A (ko)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CN106266687A (zh) 一种用于治疗高血压和慢性便秘的保健品
KR100685472B1 (ko) 식초 가공 인삼제제를 이용한 제2형 당뇨병과대사증후군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2005154411A (ja) 二日酔い防止・除去用組成物
CN111821325A (zh) 光叶子花提取物的应用
CN105169187B (zh) 一种组合物及其应用,其制备方法以及含有该组合物的药物、食品
KR101934811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행 개선용 제제
KR20050120302A (ko) 항비만용 아밀라제 저해제 및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