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3628A - 자동차용 우산 보관대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우산 보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3628A
KR20210073628A KR1020190163306A KR20190163306A KR20210073628A KR 20210073628 A KR20210073628 A KR 20210073628A KR 1020190163306 A KR1020190163306 A KR 1020190163306A KR 20190163306 A KR20190163306 A KR 20190163306A KR 20210073628 A KR20210073628 A KR 202100736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seat
car
driver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3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충호
장현득
Original Assignee
(주)대한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한솔루션 filed Critical (주)대한솔루션
Priority to KR1020190163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73628A/ko
Publication of KR20210073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36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8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 B60R7/12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for supporting umbrell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43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or under a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2Seat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운전석과 조수석의 시트 쿠션에 우산을 보관했다가 필요할 때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 통상 트렁크나 뒷좌석에 보관하는 우산을 꺼내려고 할 때 맞을 수 있는 비나 눈을 피하면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시트 쿠션 아래나 측면에 자동차의 주행 방향을 따라 수납과 인출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 운전자나 조수석 탑승자는 시트에 앉은 자세에서도 쉽게 우산을 수납하거나 인출할 수 있어 자동차 문을 열지 않아도 되어 전혀 비를 맞지 않고도 우산을 꺼내거나 수납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이러한 우산 보관대를 자동차 문쪽에 위치하도록 장착함으로써, 비가 오는 날에 비에 젖은 우산을 수납할 때도 자동차 플로어 패널을 최소한으로 젖히면서 쉽고 신속하게 수납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우산 보관대{CAR UMBRELLA HOLDER}
본 발명은 자동차용 우산 보관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운전석과 조수석 등의 시트 쿠션 하부에 수납한 우산이 스위치 조작으로 쉽게 강제로 사출하게 구성함으로, 우산이 필요하지 않을 때는 눈에 보이지 않게 보관해 놓았다가 우산이 필요할 때 쉽고도 편리하게 꺼내서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주행에 필요한 필수적인 구성 이외에도, 운전자와 탑승자에게 편리한 여러 가지 편의시설을 갖추고 있다. 아래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에는, 이러한 편의시설 중에서 우산 보관대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0-1942575호
우산 거치대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도어 트림이 개시된다. 이에 따른 우산 거치대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도어 트림은 맵 포켓과 암 레스트를 포함하는 도어 트림에서, 맵 포켓의 수용 공간 상부에 위치하는 암 레스트의 끝단에 접이식 우산을 수용할 수 있도록 반원형의 홈 형태로 마련되는 포켓부와, 포켓부에 결합이 되는 것으로 받침대와, 받침대로부터 상부로 연장 마련되는 걸림지지구를 포함하는 거치부를 포함하며, 포켓부와 걸림지지구 중 하나에는 복수의 수용 홈이 상하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마련되고, 다른 하나에는 복수의 수용 홈에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포켓부에 대한 거치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복수의 걸림 돌기가 마련될 수 있다.
(특허문헌 2)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065546호
우산꽂이에 관한 것으로, 이동 가능한 우산꽂이에서, 원통형 모양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측면에 장착된 다리, 상기 몸체부 상측면에 부착되는 우산꽂이 홈으로 구성되며, 상기 우산꽂이 홈에 하측면에 장착된 가변성 우산꽂이 홈;으로 구성되되, 우산꽂이 홈;에 장착된 가변성 우산꽂이 홈을 사용하여 우산을 고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부 측면에 장착된 다리는 다리 1, 다리 2, 다리 3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다리들은 접철식으로 구성되어 우산 크기에 따라 늘이고 줄이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부 상측 면에 부착되는 우산꽂이 홈 하측 면에 장착된 가변성 우산꽂이 홈은 상기 다리와 같은 방식으로 우산크기에 따라 늘이고 줄이는 것이 가능하며 물이 내부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허문헌 3) 한국공개실용 제20-2019-0002797호
우산 걸이가 구비된 자동차에 관한 것으로서, 우산을 소지하고 자동차에 탑승한 승객의 편의성을 개선한 자동차 좌석에 관한 것이다. 이에, 좌우측으로 팔걸이가 구성된 통상의 자동차용 좌석에서, 상기 좌석의 팔걸이 일측면에는 승객이 소지한 우산을 간단히 고정할 수 있는 걸착수단이 구성되되, 상기 걸착수단은, 자 형태로 형성되어 우산 손잡이 또는 우산 지주대가 삽입되며 내측 일면에는 고무 또는 우레탄 등의 미끄럼 방지 소재가 부착된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는 우산을 개구부의 내측 일면으로 밀착시켜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개구부의 개방부 내부에서 이동 가능한 판상형으로 이루어지고, 우산의 손잡이 또는 지주대를 걸착하기 위한 것으로 테두리에는 고무 또는 우레탄 등의 미끄럼 방지 소재가 부착된 걸착홈과, 우산을 상기 걸착홈까지 가이드 하기 위하여 개구부의 개방측으로부터 상기 걸착홈까지 경사져 형성된 가이드면이 구성된 슬라이이드부와; 상기 슬라이드부를 개구부의 내측 일면으로 탄성 지지하기 위하여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슬라이드부의 일단을 스프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탄지부재;로 구성되어, 승객이 소지한 우산을 간편하게 좌석의 팔걸이에 마련된 걸착수단에 끼워 고정함으로써 자동차를 탑승한 승객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걸이가 구비된 자동차를 제공한다.
하지만, 이러한 기존의 우산걸이(꽂이)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1) 우산걸이가 자동차 실내에 노출하게 제작하므로, 비가 올 때뿐만 아니라 비가 오지 않을 때도 우산걸이가 항상 자동차 실내에 노출되어 있어 자동차의 실내 미감을 해친다.
(2) 또한, 이처럼 항상 노출된 우산걸이는 어느 정도의 크기를 차지하므로, 한정된 자동차 실내 공간의 일부를 차지하여 실내 공간에 대한 공간활용도를 떨어뜨린다.
(3)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려고, 탈·부착식을 이루어진 우산걸이가 있으나, 이러한 방식의 우산걸이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4) 사용하지 않을 때는 우산걸이를 트렁크 등에 보관할 수 있어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나, 갑자기 비나 눈이 오는 등 신속하게 대처할 수 없는 상황에서는 우산걸이를 사용할 수 없거나, 트렁크에서 우산걸이를 꺼내올 때 비나 눈을 맞을 수 있다.
(5) 트렁크나 뒷좌석에 보관 중인 우산걸이는 때에 따라 여러 곳으로 보관하는 등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분실의 위험이 크다. 이처럼 우산걸이를 분실하면 우산을 제대로 관리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자동차 바닥이 더러워지거나 오염될 우려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942575호 (등록일: 2019.01.21)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065546호 (공개일: 2019.06.12) 한국공개실용 제20-2019-0002797호 (공개일: 2019.11.07)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운전석과 조수석의 시트 쿠션에 우산을 보관했다가 필요할 때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 통상 트렁크나 뒷좌석에 보관하는 우산을 꺼내려고 할 때 맞을 수 있는 비나 눈을 피하면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자동차용 우산 보관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시트 쿠션 아래나 측면에 자동차의 주행 방향을 따라 수납과 인출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 운전자나 조수석 탑승자는 시트에 앉은 자세에서도 쉽게 우산을 수납하거나 인출할 수 있어 자동차 문을 열지 않아도 되어 전혀 비를 맞지 않고도 우산을 꺼내거나 수납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자동차용 우산 보관대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우산 보관대를 자동차 문쪽에 위치하도록 장착함으로써, 비가 오는 날에 비에 젖은 우산을 수납할 때도 자동차 플로어 패널을 최소한으로 젖히면서 쉽고 신속하게 수납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자동차용 우산 보관대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우산 보관대는, 운전석과 조수석의 시트 쿠션(C) 중 적어도 한 곳에 장착하는 자동차용 우산 보관대(100)에서, 상기 우산 보관대(100)는, 우산(U)을 수납할 수 있는 길이로 이루어진 본체(110); 상기 본체(110) 안에서 탄성 부재(121)의 탄성 지지를 받아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며, 수납한 우산(U)을 본체(110) 밖으로 밀어내는 사출 부재(120); 및 상기 본체(110) 내부에 형성하되, 상기 본체(110)에 우산(U)을 수납할 수 있는 위치에서 사출 부재(120)의 위치를 고정하고, 스위치(131) 조작으로 사출 부재(120)가 수납한 우산(U)을 본체(100) 밖으로 밀어내게 하는 잠금 수단(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본체(100)는, 자동차의 진행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시트 쿠션(C) 하부 또는 측면에 장착하되, 자동차 문쪽에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위치(131)는, 자동차 문(D)이나 시트 쿠션(C) 또는 센터 페시아(F)에 장착하되, 운전자나 탑승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작동하는 수동 스위치 또는 자동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우산 보관대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운전석이나 조수석 밑에 우산을 보관할 수 있음으로, 비가 올 때는 언제든지 쉽고 빠르게 꺼내서 사용할 수 있다.
(2) 이에, 우산을 뒷좌석이나 트렁크에 보관하다가 비가 올 때 꺼내려면 잠시라도 맞아야 하는 비를 맞지 않아도 되어 훨씬 쾌적한 환경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3) 또한, 비가 와서 우산을 사용한 뒤에도, 운전석이나 조수석에 앉은 자세에서 우산을 우산 보관대에 수납할 수 있음으로, 사용한 우산을 우산 보관대에 수납할 때도 거의 비를 맞지 않고 수납하게 하여 보관할 수 있다.
(4) 특히, 우산 보관대는 운전석이나 조수석의 시트 쿠션 하부나 측면에 장착하되, 자동차 문에 가까운 쪽에 장착함으로, 우산을 사용할 때는 우산을 먼저 펼쳐서 차에서 내리고, 우산을 수납할 때는 운전자나 탑승자가 차에 승차한 상태에서 우산을 수납하므로, 비에 젖지 않으면서도 편리하게 우산을 우산 보관대에 수납하거나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5) 수납한 우산을 꺼낼 때 사용하는 스위치가 자동차 문, 시트 쿠션 그리고 센터 페시아 등, 운전자나 조수석 탑승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위치에 장착함으로, 우산이 필요할 때는 운전석이나 조수석에 앉은 자세에서 언제든지 쉽게 스위치를 조작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우산 보관대의 장착 위치를 보여주려고 개략적으로 도시한 자동차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우산 보관대에 우산을 수납한 상태를 보여주는 시트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우산 보관대에 수납한 우산을 인출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시트의 측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우산 보관대에서 사용하는 스위치의 장착 위치를 보여주려 자동차 실내에서 앞쪽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한가지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구성)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우산 보관대(100)는, [도 1] 내지 [도 6]과 같이, 본체(110), 사출 부재(120), 그리고 잠금 수단(130)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운전석과 조수석의 시트 쿠션(C) 중 적어도 한 곳에 장착한 것이다.
특히, 상기 우산 보관대(100)는, 운전석이나 조수석의 시트 쿠션(C) 하부나 측면에 장착하되, 자동차 문에 가까운 곳에 장착함으로써, 운전자나 조수석 탑승자가 자리에 앉은 상태에서 쉽게 우산(U)을 꺼내거나, 사용한 우산(U)을 쉽게 수납할 수 있게 하여 비 맞는 것을 최소화하면서도 편리하게 우산(U)을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우산(U)을 꺼낼 때 사용하려고 우산 보관대(100)에 구성한 스위치(131)를 자동차 문(D), 시트 쿠션(C), 또는 센터 페시아(F)에 설치함으로써, 운전자나 조수석 탑승자가 시트에 앉은 상태에서 우산(U)이 필요할 때 쉽게 우산 보관대(100)를 이용할 수 있게 하여 편의성을 높일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면부호 "C"는 자동차 실내에서 운전석과 조수석으로 구성한 시트 쿠션을 나타낸다.
가. 본체
본체(110)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운전석과 조수석을 구성하는 시트 쿠션(C)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장착한다. 바람직하게는 이들 운전석과 조수석을 구성하는 각 시트 쿠션(C)에 각각 하나씩 장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본체(110)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안에 우산(U)을 수납해야 함으로, 우산(U)을 수납할 수 있는 길이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체(110)는 2단 또는 3단으로 접을 수 있는 우산(U)을 수납할 수 있는 길이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접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길이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본체(110)에는 우산(U)을 수납하는 입구에 마개를 갖춤으로써, 수납한 우산에서 빗물 등이 자동차의 플로어 패널 위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110)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시트 쿠션(C) 아래나 그 측면에 자동차의 진행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장착하여 우산(U)을 본체(110)에서 쉽게 꺼내거나 다시 집어넣을 수 있게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110)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시트 쿠션(C) 아래나 그 측면에 장착할 때 자동차 문(D)과 가까운 위치에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운전자와 조수석 탑승자가 운전석과 조수석에 앉은 상태에서 사용했던 우산(U)을 쉽게 본체(110)에 수납할 수 있게 하고, 반대로 우산(U)을 사용할 때는 이처럼 앉은 자세에서 우산(U)을 꺼내 펼친 다음 내릴 수 있게 하여 비를 맞지 않고도 편리하게 우산(U)을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처럼 이루어진 본체(100)에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사출 부재(120)를 장착한다.
나. 사출 부재
사출 부재(120)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상술한 본체(110) 안에 장착하여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움직일 수 있게 설치한 부재이다.
특히, 상기 사출 부재(120)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탄성 부재(121)의 탄성 지지를 받아 본체(110) 안에서 그 길이 방향을 따라 강제로 움직일 수 있게 장착한다. 이는, 우산(U)을 본체(110)에 수납할 때 우산(U)을 집어넣음에 따라 사출 부재(120)를 본체(110) 안으로 밀게 하고, 이에 탄성 부재(121)가 탄성력을 저장하면서 본체(110) 안으로 밀려 들어가면서 본체(110) 안에 우산(U)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게 한다.
이때, 상기 사출 부재(120)는, [도 2]와 같이, 우산(U)에 의해 본체(110) 안으로 밀려 들어옴에 따라 후술할 잠금 수단(130)에 의해 걸려 더는 움직이지 못하는 상태에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잠금 수단(130)의 잠금이 해제되면, 탄성력을 저장했던 탄성 부재(121)가 사출 부재(120)를 본체(110) 바깥쪽으로 밀어냄에 따라 우산(U)을 쉽게 꺼낼 수 있게 한다.
이처럼, 상기 사출 부재(120)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후술할 잠금 수단(130)에 의해 정해진 위치에서 위치를 고정하여 본체(110) 안에 우산(U)을 수납할 수 있게 한다.
다. 잠금 수단
잠금 수단(130)은, [도 2]와 같이, 우산(U)을 본체(110) 안에 끼워서 사출 부재(120)를 강제로 누름에 따라 소정의 위치에서 이 사출 부재(120)의 위치를 고정하여 사출 부재(120)가 본체(110) 밖으로 튀어나가지 못하게 하여 만들어진 공간에 우산(U)을 수납할 수 있게 한다.
이에, 상기 잠금 수단(130)은, [도 2] 및 [도 3]과 같이, 상기 본체(110)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한 적어도 두 개의 스토퍼(131)와, 상기 스토퍼(131)의 걸림 해제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132)를 포함한다.
1. 스토퍼
스토퍼(131)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상술한 본체(110)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두 개를 장착한다. 이는, 우산(U)의 길이에 따라 2단 또는 3단으로 접거나 접지 않고 사용하는 우산이 있음으로, 이에 맞춰 사출 부재(120)의 위치를 여러 곳에서 고정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스토퍼(131)는 솔레노이드밸브와 같이 전기적으로 작동하게 하는 것이나, 손으로 눌렀다가 떼면 강제로 턱을 넘어가면서 잠금이 해제되게 하는 푸시 락(Push Lock) 타입 등 수동 방식으로 조작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2. 스위치
스위치(132)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상술한 스토퍼(131)를 작동하게 하여 여기에 걸린 사출 부재(120)가 탄성 부재(121)의 탄성 지지를 받아 본체(110) 밖으로 우산(U)을 인출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스위치(132)는 솔레노이드밸브와 같이 전기를 공급하여 작동하게 하는 구성뿐만 아니라 버튼 형태로 제작하여 운전자나 조수석 탑승자가 손을 이용하여 강제로 잠금을 해제하게 하는 수동 방식의 스위치 등 잠금을 해제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스위치(132)는,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자동차 문(D)이나 시트 쿠션(C) 또는 센터 페시아(F)에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운전자나 조수석 탑승자가 시트에 앉은 상태에서도 쉽게 스위치(132) 조작을 통해 편리하게 우산을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시트 쿠션 하부에 우산 보관대를 장착하고, 우산이 필요할 때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 비가 오는 상황에서 자동차에서 내리거나 반대로 자동차에 탑승할 때 비를 거의 맞지 않고도 편리하게 우산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100: 우산 보관대
110: 본체
120: 사출 부재
121: 탄성 부재
130: 잠금 수단
131: 스토퍼
132: 스위치
C: 시트 쿠션

Claims (3)

  1. 운전석과 조수석의 시트 쿠션(C) 중 적어도 한 곳에 장착하는 자동차용 우산 보관대(100)에서,
    상기 우산 보관대(100)는,
    우산(U)을 수납할 수 있는 길이로 이루어진 본체(110);
    상기 본체(110) 안에서 탄성 부재(121)의 탄성 지지를 받아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며, 수납한 우산(U)을 본체(110) 밖으로 밀어내는 사출 부재(120); 및
    상기 본체(110) 내부에 형성하되, 상기 본체(110)에 우산(U)을 수납할 수 있는 위치에서 사출 부재(120)의 위치를 고정하고, 스위치(131) 조작으로 사출 부재(120)가 수납한 우산(U)을 본체(100) 밖으로 밀어내게 하는 잠금 수단(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우산 보관대(100).
  2. 제1항에서,
    상기 본체(100)는,
    자동차의 진행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시트 쿠션(C) 하부 또는 측면에 장착하되,
    자동차 문쪽에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우산 보관대(100).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스위치(131)는,
    자동차 문(D)이나 시트 쿠션(C) 또는 센터 페시아(F)에 장착하되, 운전자나 탑승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작동하는 수동 스위치 또는 자동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우산 보관대(100).
KR1020190163306A 2019-12-10 2019-12-10 자동차용 우산 보관대 KR202100736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3306A KR20210073628A (ko) 2019-12-10 2019-12-10 자동차용 우산 보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3306A KR20210073628A (ko) 2019-12-10 2019-12-10 자동차용 우산 보관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3628A true KR20210073628A (ko) 2021-06-21

Family

ID=76599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3306A KR20210073628A (ko) 2019-12-10 2019-12-10 자동차용 우산 보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73628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2575B1 (ko) 2016-11-08 2019-01-28 주식회사 서연이화 우산거치대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도어 트림
KR20190065546A (ko) 2017-12-03 2019-06-12 김건호 이동식 자동차용 우산꽂이
KR20190002797U (ko) 2018-04-30 2019-11-07 박동현 우산 걸이가 구비된 자동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2575B1 (ko) 2016-11-08 2019-01-28 주식회사 서연이화 우산거치대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도어 트림
KR20190065546A (ko) 2017-12-03 2019-06-12 김건호 이동식 자동차용 우산꽂이
KR20190002797U (ko) 2018-04-30 2019-11-07 박동현 우산 걸이가 구비된 자동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46097B2 (en) Holding device
US20110121596A1 (en) Motor vehicle with multifunction box
CN108263291B (zh) 车门
US6325436B1 (en) Cargo area divider for a motor vehicle
CN107298041B (zh) 车辆座椅调整系统
US9358929B1 (en) Interior trim electronic device holder
CN102923019A (zh) 车辆座位延长器
RU2703738C2 (ru) Узел отделки салона д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варианты) и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варианты)
KR20210073628A (ko) 자동차용 우산 보관대
KR101942575B1 (ko) 우산거치대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도어 트림
US20100230456A1 (en) Holding device
KR20110004602A (ko) 자동차용 테이블
KR20190002797U (ko) 우산 걸이가 구비된 자동차
KR20220161722A (ko) 암 레스트가 구비된 자동차용 도어 트림
KR20200071156A (ko) 코트 훅을 갖춘 자동차용 보조 손잡이
CN109693617A (zh) 头枕收纳构造
KR20210129763A (ko) 우산을 보관할 수 있는 자동차용 시트
KR200369656Y1 (ko) 자동차 리어시트 쿠션 틸팅장치
JP4552194B2 (ja) 車両の荷室構造
KR200314204Y1 (ko) 자동차용 도어트림의 암레스트 구조
WO2016132346A1 (en) Umbrella holder console for motor vehicles
US10441083B2 (en) Deployable and retractable writing surface
KR20220070628A (ko) 자동차용 도어 트림에 내장되는 휴대단말 거치대
KR200153335Y1 (ko) 접철이 가능한 리어시트 헤드레스트
JP4534913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