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0628A - 자동차용 도어 트림에 내장되는 휴대단말 거치대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도어 트림에 내장되는 휴대단말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0628A
KR20220070628A KR1020200157363A KR20200157363A KR20220070628A KR 20220070628 A KR20220070628 A KR 20220070628A KR 1020200157363 A KR1020200157363 A KR 1020200157363A KR 20200157363 A KR20200157363 A KR 20200157363A KR 20220070628 A KR20220070628 A KR 202200706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space
door trim
vehicle
mobile terminal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7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충호
한필규
Original Assignee
(주)대한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한솔루션 filed Critical (주)대한솔루션
Priority to KR1020200157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70628A/ko
Publication of KR20220070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06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4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d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9Side or rear panels
    • B60R2011/0021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5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rotation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도어 트림에 수납공간을 구성하고, 휴대단말을 거치하는 거치수단이 이 수납공간에 수납과 인출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거치수단을 이용할 때는 도어 트림에서 인출시켜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는 도어 트림 안에 수납시켜서 자동차 실내 공간의 미감과 미관을 개선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링크와 볼 조인트 방식으로 수납공간에서 거치수단을 인출해서 임의로 조절해서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자동차 시트를 뒤로 젖히더라도 이에 맞춰서 거치수단의 위치를 이용자 위치에 맞춰서 조절하여 쉽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이러한 거치수단으로 플렉시블 암 이용함으로써, 휴대단말의 위치를 더욱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어 한층 더 쉽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도어 트림에 내장되는 휴대단말 거치대{HANDY TERMINAL STAND INSTALLED INTO THE DOOR TRIM FOR VEHICLES}
본 발명은 자동차용 도어 트림에 내장되는 휴대단말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단말 거치대를 도어 트림에 수납과 인출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자동차의 실내 미관과 미감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거치가 필요할 때는 도어 트림에서 쉽게 빼내서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때, 휴대단말 거치대는 다절 링크 또는 플렉시블 암 형태로 휴대단말을 지지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시트 백을 뒤로 젖힌 상태에서도 이용자가 편리하고 편한 자세에서 휴대단말을 이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전자나 탑승자는 자동차를 이용할 때 휴대단말을 내비게이션으로 사용하거나 음악을 듣는 등 다양하게 사용한다. 이에, 자동차에는 실내에서 휴대단말을 쉽게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아래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과 같이, 다양하게 제작된 거치대가 사용된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0-2146184호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상기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는 차량에 결합되는 차량장착 고정유닛과, 차량장착 고정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여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조절하며, 조작감 향상부에 회전이 지지되면서 회전된 위치가 고정되는 단말기 위치 조절부와, 휴대 단말기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단말기 위치 조절부를 기준으로 회전되면서 휴대 단말기의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단말기 홀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휴대폰의 거치와 거치방향 조작시에 조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에어벤트의 블레이드 파손을 방지하면서 견고하고 안정되게 장착할 수 있다.
(특허문헌 2)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103448호
차량용 휴대기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상기 차량용 휴대기기 거치대는 차량의 컵홀더에 삽입 가능한 베이스부와, 휴대기기를 거치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거치부와,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거치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거치부의 상부에 제공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제공되는 휴대기기 홀더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대가 거치부의 연장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상기 거치부는 높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한 상단 봉과 하단 봉을 구비하며, 상기 하단 봉에는 공동부가 마련된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거치부가 상기 연결부의 연장축선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하단 봉의 공동부에 결합이 된다.
(특허문헌 3) 한국공개실용 제20-2019-0002674호
휴대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송풍구로 삽입되어 블레이드의 내측단에 걸리는 걸림 헤드와, 상기 걸림 헤드에 선단이 결합하여 송풍구 외부로 연장되며, 외주 면을 따라 숫나사부가 형성된 지지 샤프트와, 상기 지지 샤프트의 숫나사부에 체결되는 암사나부가 마련되어, 나사 체결을 통해 지지 샤프트를 따라 가압 전진함으로써 지지 샤프트를 송풍구에 고정하는 가압 부재와, 상기 지지 샤프트의 후단에 결합하며, 휴대단말기가 거치가 되는 거치 부재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차량의 송풍구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를 거치시키되,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제조가 용이하며, 나사체결구조를 통해 간편하게 설치가 가능하면서 설치안전성도 우수한 장점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존의 휴대단말 거치대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1) 기존 휴대단말 거치대는 자동차와 별도로 제작된다. 이에, 운전자가 별도로 휴대단말 거치대를 구매하여 자동차에 장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2) 또한, 기존 휴대단말 거치대는 운전석이나 보조석에 앉은 운전자와 탑승자를 중심으로 사용할 수 있게 장착되므로, 운전자의 운전을 방해할 우려가 크다.
(3) 그리고 기존 휴대단말 거치대는 사용되지 않을 때도 자동차 실내에 노출된 상태로 있게 되므로, 한정된 자동차 실내의 공간을 차지할 뿐만 아니라 자동차 실내의 미감과 미관을 해칠 우려가 있다.
(4) 이처럼 자동차 실내에 노출된 휴대단말 거치대는 운전석과 조수석에 앉은 운전자나 탑승자가 앉아서 움직이는데 걸림돌이 될 뿐만 아니라 실수로 휴대단말 거치대에 힘을 가해 실내에서 분리되거나 떨어뜨릴 우려가 있다.
(5) 이는, 기존 휴대단말 거치대가 파손될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휴대단말 거치대를 고정했던 부분, 예를 들어서, 그릴 부분이나 대시 보드의 표면 등이 파손될 우려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146184호 (등록일: 2020.08.12)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103448호 (공개일: 2020.09.02) 한국공개실용 제20-2019-0002674호 (공개일: 2019.10.25)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자동차용 도어 트림에 수납공간을 구성하고, 휴대단말을 거치하는 거치수단이 이 수납공간에 수납과 인출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거치수단을 이용할 때는 도어 트림에서 인출시켜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는 도어 트림 안에 수납시켜서 자동차 실내 공간의 미감과 미관을 개선할 수 있게 한 자동차용 도어 트림에 내장되는 휴대단말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링크와 볼 조인트 방식으로 수납공간에서 거치수단을 인출해서 임의로 조절해서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자동차 시트를 뒤로 젖히더라도 이에 맞춰서 거치수단의 위치를 이용자 위치에 맞춰서 조절하여 쉽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한 자동차용 도어 트림에 내장되는 휴대단말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이때, 본 발명은 이러한 거치수단으로 플렉시블 암 이용함으로써, 휴대단말의 위치를 더욱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어 한층 더 쉽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한 자동차용 도어 트림에 내장되는 휴대단말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 트림에 내장되는 휴대단말 거치대는, 자동차용 도어 트림(100)에 형성된 수납공간(110)에 설치되는 자동차용 휴대단말 거치대에서, 상기 수납공간(110)에는 거치수단(200)이 장착되되; 상기 거치수단(200)은, 상기 수납공간(110)의 안에서 바깥 쪽으로 형성된 슬릿(111)을 따라 움직이면서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된 이동 링크(210); 한쪽이 상기 이동 링크(210)에 장착되고 서로 볼 조인트 방식으로 연결된 적어도 2개로 이루어진 다절 링크(220); 및 상기 수납공간(110)을 마감하고, 한쪽 면에는 휴대단말(T)을 거치하도록 스프링의 탄성 지지를 받는 적어도 두 개의 스토퍼(231)가 구비되고, 상기 다절 링크(220)의 다른 한쪽이 볼 조인트 방식으로 연결되는 거치 판(230);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 트림에 내장되는 휴대단말 거치대는, 자동차용 도어 트림(100)에 형성된 수납공간(110)에 설치되는 자동차용 휴대단말 거치대에서, 상기 수납공간(110)에는 거치수단(200)이 장착되되; 상기 거치수단(200)은, 상기 수납공간(110)의 안에서 바깥 쪽으로 형성된 슬릿(111)을 따라 움직이면서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된 이동 링크(210); 상기 수납공간(110)을 마감하고, 한쪽 면에는 휴대단말(T)을 거치하도록 스프링의 탄성 지지를 받는 적어도 두 개의 스토퍼(231)가 구비된 거치 판(230); 및 양쪽이 상기 이동 링크(210)와 상기 거치 판(230)에 고정된 플렉시블 암;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 트림에 내장되는 휴대단말 거치대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휴대단말 거치대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도어 트림 안에 형성된 수납공간에 수납시켜 놓음으로써, 자동차 실내 공간의 미관과 미감을 개선할 수 있다.
(2) 특히, 이처럼 휴대단말 거치대가 수납공간 안에 수납됨에 따라, 한정된 자동차 실내 공간 안에서 움직이더라도 휴대단말 거치대가 운전자나 탑승자에게 걸리거나 움직임을 제한하지 않게 되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3) 한편, 휴대단말 거치대는 다절 링크나 플렉시블 암을 이용해서 휴대단말의 위치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휴게소나 캠핑 등을 위해 자동차를 주차했을 때처럼 안전한 상황에서는 시트 백을 뒤로 젖힌 상태에서도 편리하게 휴대단말 거치대를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 거치대가 장착된 위치를 보여주는 자동차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 거치대가 장착된 도어 트림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 거치대가 장착된 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 거치대가 수납공간에 수납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 거치대가 수납공간에 수납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 거치대가 수납공간에 인출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 트림에 내장되는 휴대단말 거치대에는, [도 1] 내지 [도 6]과 같이, 자동차용 도어 트림(100)에 형성된 수납공간(110)에 설치되는 거치수단(200)이 포함된다.
특히, 상기 거치수단(200)은 사용하지 않을 때는 상기 수납공간(110)에 수납되게 하고, 사용할 때만 수납공간(110)에서 인출시켜서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상기 거치수단(200)이 자동차 실내 공간의 미감과 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필요할 때만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거치수단(200)에는 볼 조인트로 연결된 다절 링크(220)로 연결되어 휴대단말을 지지하는 거치 판(230)이 여러 방향으로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시트 백을 뒤로 젖힌 상태에서도 탑승자의 체형과 자세 등을 고려하여 이에 맞도록 거치수단(200)을 조절해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한편, 상기 거치 판(230)은 휴대단말(T)을 지지하게 하면서도 수납공간(110)의 개방 부위를 마감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수납공간(110)을 마감하는 덮개를 별도로 구성하지 않고도 이 거치 판(230)으로 마감하게 하고 필요할 때 이 거치 판(230)을 인출시켜서 휴대단말을 거치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처럼 이루어진 구성에 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 도어 트림
도어 트림(100)은,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자동차 도어의 실내 측에 장착되는 트림이다. 특히, 상기 도어 트림(100)에는 안쪽으로 수납공간(11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납공간(110)은, [도 3] 내지 [도 6]과 같이, 내부에 후술할 거치수단(200)이 수납되게 하고, 때에 따라 이 거치수단(200)이 수납공간(110)에서 인출하게 해서 거치대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거치수단(200)이 수납공간(110) 안에 수납되어 자동차 실내공간의 미감과 미관을 개선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에, 상기 수납공간(110)은,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후술할 거치수단(200) 전체를 수납할 수 있는 크기로 제작하고 또한, 자동차 도어 안에 설치되는 유리 등과 간섭이 생기지 않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수납공간(110)에는, [도 4] 내지 [도 6] 같이, 그 안에서 바깥으로 향하도록 길게 슬릿(111)이 형성된다. 슬릿(111)에는 후술할 거치수단(200)이 장착되어 거치수단(200)이 수납공간(110) 안에 수납될 때 공간 확보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고, 인출될 때는 후술할 다절 링크(220)가 쉽게 움직일 수 있도록 충분한 공간을 마련해 주게 된다.
이처럼 이루어진 상기 수납공간(110)에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거치수단(200)이 수납과 인출할 수 있게 장착된다.
나. 거치수단
거치수단(200)은, [도 3] 내지 [도 6]과 같이, 상술한 수납공간(110) 안에 수납되거나 수납된 상태에서 인출시켜서 원하는 위치에서 휴대단말(T)을 지지 고정하여 이용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이때, 거치대(200)는 수납공간(110)에 수납되었을 때는 수납공간(110)의 입구 부분이 마감되게 하여 자동차 실내 공간의 미감과 미관을 개선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거치대(200)에는, [도 3] 내지 [도 6]과 같이, 이동 링크(210), 다절 링크(220), 그리고 거치 판(230)이 포함된다.
1. 이동 링크
이동 링크(210)는,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상술한 슬릿(111)의 안내를 받아 그 길이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장착된다. 이때, 상기 이동 링크(210)는 슬릿(111)의 안내를 받아 움직이면서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함으로써, 이 이동 링크(210)에 연결되는 후술할 다절 링크(220)가 수납공간(110) 안에 수납될 때 이동 링크(210)가 슬릿(111)을 따라 움직이면서 수납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마련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이동 링크(210)는, [도 6]과 같이, 상기 거치수단(200)이 수납공간(110)에서 인출되었을 때는 이 이동 링크(210)에 설치되는 다절 링크(220)가 수납공간(110) 밖으로 돌출하여 후술할 거치 판(230)이 임의의 각도로 편리하게 움직일 수 있게 한다.
2. 다절 링크
다절 링크(220)는,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한쪽이 상술한 이동 링크(210)에 회전할 수 있게 고정되고, 다른 한쪽이 후술할 거치 판(230)에 회전할 수 있게 고정된다.
이때, 상기 다절 링크(220)는,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이웃한 링크가 서로 볼 조인트 방식으로 연결함으로써, 여러 방향으로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된다. 여기서, 볼 조인트 방식은 한쪽에는 볼을 형성하고 다른 한쪽에는 이 볼을 케이싱으로 감싸게 구성함으로써, 볼 부분이 케이싱 내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조립된 기술을 의미한다. 이러한 다절 링크(220)는 양단을 이동 링크(210)와 거치 판(230)에 고정하게 되는데, 이때도 볼 조인트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이동 링크(210)에 고정된 다절 링크(220)와 이 다절 링크(220)에 연결된 거치 판(230)이 여러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하여 결과적으로 이 거치 판(230)에 설치되는 휴대단말(T)을 원하는 위치로 위치를 조절하여 더욱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다절 링크(220)는,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접었을 때는 상술한 수납공간(110) 안에 수납할 수 있는 길이와 링크 개수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납공간(110)에서 상기 다절 링크(220)를 인출해서 펼치면 자동차 시트에 앉은 이용자가 이 다절 링크(220)를 이용해서 휴대단말(T)의 위치를 원하는 위치로 쉽게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이처럼 이루어진 다절 링크(220)에는, [도 3] 내지 [도 6] 같이, 거치 판(230)이 장착된다.
3. 거치 판
거치 판(230)은,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상술한 다절 링크(220)의 다른 한쪽, 즉 상술한 이동 링크(210)에 연결되지 않은 한쪽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거치 판(230)은,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다절 링크(220)에 볼 조인트 방식으로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볼 조인트 방식에 관해서는 상술한 다절 링크(220)를 설명하면서 이미 상세하게 설명했으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상기 거치 판(230)은, [도 3] 및 [도 4]와 같이, 상술한 수납공간(110)의 입구 부분을 마감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수단(200)이 사용되지 않고 수납공간(110) 안에 수납될 때는, 이 거치 판(230)이 수납공간(110)의 덮개 기능을 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거치 판(230)에는, [도 3] 내지 [도 6]과 같이, 실질적으로 휴대단말(T)을 받쳐주는 받침(232)과 이 휴대단말(T)이 빠지지 않게 지지하는 적어도 두 개의 스토퍼(231)가 구성된다. 이때, 스토퍼(231)는 거치 판(230)의 한쪽 면, 바람직하게는 수납공간(110)에 수납되었을 실내에 노출하는 거치 판(230) 면에 실질적으로 휴대단말(T)을 거치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스토퍼(231)로는 스프링 지지를 받아 좌우로 간격 조절이 이루어지거나, 스프링의 탄성 지지를 받아 "X"자 형태로 이루어져서 그 사이에 휴대단말(T)을 끼워서 거치할 수 있게 하거나, 자석을 이용해서 휴대단말(T)을 거치할 수 있게 하거나, 진공을 이용해서 부착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의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도어 트림에 형성된 수납공간에 휴대단말을 거치하는 거치수단이 수납되게 하거나, 거치수단이 사용되지 않을 때는 수납공간 안에 이 거치수단을 수납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거치수단을 이용하지 않을 때는 자동차 실내 공간에 노출되지 않아 자동차 실내 공간의 미감과 미감을 개선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 트림에 내장되는 휴대단말 거치대는, 상술한 [실시예 1]과 같은 구성이나, 거치 판을 지지하는 구성에서 차이가 있다. 이에, 여기서는 [실시예 1]과 같은 구성에 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거치 판을 지지하는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2]는 거치 판을 지지하는 구성으로 플렉시블 암을 이용하는 점에서 상술한 [실시예 1]과 구성상 차이가 있다. 여기서, 플렉시블 암(Flexible Arm)은 전등의 스탠드나 주방이나 화장실 등에서 사용되는 수전 등에 이용되는 것으로 호스 형태로 이루어졌으나 임의로 원하는 위치로 위치를 조절해서 사용할 수 있게 한 암을 말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처럼 플렉시블 암을 통해 거치 판을 이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각도 조절이 한층 더 쉽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100: 도어 트림
110: 수납공간
111: 슬릿
200: 거치수단
210: 이동 링크
220: 다절 링크
230: 거치 판
231: 스토퍼

Claims (2)

  1. 자동차용 도어 트림(100)에 형성된 수납공간(110)에 설치되는 자동차용 휴대단말 거치대에서,
    상기 수납공간(110)에는 거치수단(200)이 장착되되, 상기 거치수단(200)은,
    상기 수납공간(110)의 안에서 바깥 쪽으로 형성된 슬릿(111)을 따라 움직이면서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된 이동 링크(210);
    한쪽이 상기 이동 링크(210)에 장착되고 서로 볼 조인트 방식으로 연결된 적어도 2개로 이루어진 다절 링크(220); 및
    상기 수납공간(110)을 마감하고, 한쪽 면에는 휴대단말(T)을 거치하는 받침(232)과 휴대단말(T)을 탄성 지지하는 적어도 두 개의 스토퍼(231)가 구비되고, 상기 다절 링크(220)의 다른 한쪽이 볼 조인트 방식으로 연결되는 거치 판(230);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 트림에 내장되는 휴대단말 거치대.
  2. 자동차용 도어 트림(100)에 형성된 수납공간(110)에 설치되는 자동차용 휴대단말 거치대에서,
    상기 수납공간(110)에는 거치수단(200)이 장착되되, 상기 거치수단(200)은,
    상기 수납공간(110)의 안에서 바깥 쪽으로 형성된 슬릿(111)을 따라 움직이면서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된 이동 링크(210);
    상기 수납공간(110)을 마감하고, 한쪽 면에는 휴대단말(T)을 거치하도록 스프링의 탄성 지지를 받는 적어도 두 개의 스토퍼(231)가 구비된 거치 판(230); 및
    양쪽이 상기 이동 링크(210)와 상기 거치 판(230)에 고정된 플렉시블 암;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 트림에 내장되는 휴대단말 거치대.
KR1020200157363A 2020-11-23 2020-11-23 자동차용 도어 트림에 내장되는 휴대단말 거치대 KR202200706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7363A KR20220070628A (ko) 2020-11-23 2020-11-23 자동차용 도어 트림에 내장되는 휴대단말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7363A KR20220070628A (ko) 2020-11-23 2020-11-23 자동차용 도어 트림에 내장되는 휴대단말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0628A true KR20220070628A (ko) 2022-05-31

Family

ID=81779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7363A KR20220070628A (ko) 2020-11-23 2020-11-23 자동차용 도어 트림에 내장되는 휴대단말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70628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674U (ko) 2019-08-30 2019-10-25 윤양준 차량용 휴대단말기 거치대
KR102146184B1 (ko) 2019-02-07 2020-08-19 황성민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KR20200103448A (ko) 2019-02-25 2020-09-02 차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용 휴대기기 거치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6184B1 (ko) 2019-02-07 2020-08-19 황성민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KR20200103448A (ko) 2019-02-25 2020-09-02 차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용 휴대기기 거치대
KR20190002674U (ko) 2019-08-30 2019-10-25 윤양준 차량용 휴대단말기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31365B2 (en) Console assembly for a vehicle
US6547323B1 (en) Folding seat part with integrated table
CN104512349B (zh) 用于遮阳板的显示设备固定装置
US5997082A (en) Stowable container holder
US7537258B2 (en) Multi-functional fastener system
US20140203585A1 (en) Vehicle portable device holding system
KR940008953A (ko) 차량용 회전 인출식 용기 지지구 조립체
US8573668B2 (en) Retracting storage tray system with locking trunnion
US20170210255A1 (en) Armrest with deployable cup holder
KR20220070628A (ko) 자동차용 도어 트림에 내장되는 휴대단말 거치대
EP0983889A2 (en) Visor with pivoting vanity mirror assembly
US5975708A (en) Visor with pivoting vanity mirror assembly
JP5272506B2 (ja) 自動車用バニティミラー装置
WO2015057241A1 (en) Interior component for vehicle with magnetic structure for attaching electronic device
US6264339B1 (en) Make-up mirror for vehicle
JPH10241447A (ja) 座席の読書灯
KR20180051091A (ko) 우산거치대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도어 트림
KR102452228B1 (ko) 차량용 콘솔박스
JPH0417074Y2 (ko)
KR20060030134A (ko) 가변형 보조 룸미러
GB2299752A (en) Demountable armrest assembly for vehicle seat
US20100176644A1 (en) Leg support assembly for a small child
KR19990031030U (ko) 간이화장대가 장착된 자동차용 시트
KR20180138220A (ko) 자동차의 헤드 라이너용 휴대용 단말 거치대
JPH11165572A (ja) 自動車用シー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