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1002A - 수지 조성물 및 광 파이버 - Google Patents

수지 조성물 및 광 파이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1002A
KR20210071002A KR1020217011693A KR20217011693A KR20210071002A KR 20210071002 A KR20210071002 A KR 20210071002A KR 1020217011693 A KR1020217011693 A KR 1020217011693A KR 20217011693 A KR20217011693 A KR 20217011693A KR 20210071002 A KR20210071002 A KR 202100710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
acrylate
resin composition
resin layer
optical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1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쓰시 하마쿠보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71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10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0/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 C08F290/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unsaturated end groups
    • C08F290/06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 C08F290/067Polyurethanes; Polyurea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5/00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 C03C25/10Coating
    • C03C25/104Coating to obtain optical fibres
    • C03C25/1065Multiple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5/00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 C03C25/10Coating
    • C03C25/24Coatings containing organic materials
    • C03C25/26Macromolecular compounds or pre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5/00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 C03C25/10Coating
    • C03C25/24Coatings containing organic materials
    • C03C25/26Macromolecular compounds or prepolymers
    • C03C25/28Macromolecular compounds or pre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3C25/285Acrylic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5/00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 C03C25/10Coating
    • C03C25/24Coatings containing organic materials
    • C03C25/26Macromolecular compounds or prepolymers
    • C03C25/32Macromolecular compounds or pre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3C25/326Polyureas; 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5/00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 C03C25/10Coating
    • C03C25/465Coatings containing composite materials
    • C03C25/47Coatings containing composite materials containing particles, fibres or flakes, e.g. in a continuous phase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5/00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 C03C25/10Coating
    • C03C25/48Coating with two or more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3/00Glass compositions
    • C03C3/0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 C03C3/06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more than 90% silica by weight, e.g. quartz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4Polymerisation in the presence of compounding ingredients, e.g. plasticisers, dyestuffs, fill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6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C08F2/48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 C08F2/50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with sensitis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26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08F220/30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aromatic rings in the alcohol moiety
    • C08F220/301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aromatic rings in the alcohol moiety and one oxygen in the alcohol moiet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 C08F222/10Esters
    • C08F222/1006Esters of polyhydric alcohols or polyhydric phenols
    • C08F222/106Esters of polycondensation macromers
    • C08F222/1065Esters of polycondensation macromers of alcohol terminated (poly)urethanes, e.g. urethane(meth)acry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8Polyethers
    • C08G18/4825Polyethers containing two hydroxy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67Unsaturated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671Unsaturated compounds having only one group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672Esters of acrylic or alkyl acrylic acid having only one group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5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 C08G18/751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 C08G18/75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containing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 C08G18/753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containing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containing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having a primary carbon atom next to th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 C08G18/755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containing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containing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having a primary carbon atom next to th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and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a secondary carbon atom of the cycloaliphatic ring, e.g. isophorone diisocyan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4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 C08K9/06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with 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062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8L33/06
    • C08L33/066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8L33/06 containing -OH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halogen, nitrogen, sulfur, or oxygen atoms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D133/062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D133/06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D133/062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D133/06
    • C09D133/066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D133/06 containing -OH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halogen, nitrogen, sulfur or oxygen atoms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09D175/14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D175/16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having terminal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4/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D183/00 - C09D183/16
    • C09D4/06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in combination with a macromolecular compound other than an unsaturated polymer of groups C09D159/00 - C09D187/00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02B6/02395Glass optical fibre with a protective coating, e.g. two layer polymer coating deposited directly on a silica cladding surface during fibre manufactur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201/00Glass compositions
    • C03C2201/02Pure silica glass, e.g. pure fused quartz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201/00Glass compositions
    • C03C2201/06Doped silica-based glasses
    • C03C2201/08Doped silica-based glasses containing boron or halide
    • C03C2201/12Doped silica-based glasses containing boron or halide containing fluor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201/00Glass compositions
    • C03C2201/06Doped silica-based glasses
    • C03C2201/30Doped silica-based glasses containing metals
    • C03C2201/31Doped silica-based glasses containing metals containing germa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1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magnesium
    • C08K2003/222Magnesia, i.e. magnesium 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2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31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t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3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titanium
    • C08K2003/2241Titanium di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44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3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dia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5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particle size in gener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11Nanostructured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2Applications used for fib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 Optical Fibers, Optical Fiber Cores, And Optical Fiber Bundles (AREA)

Abstract

수지 조성물은, 유레테인 (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페녹시기를 갖는 모노머, 광중합 개시제 및 실레인 커플링제를 함유하는 베이스 수지와, 소수성의 무기 산화물 입자를 포함하고, 무기 산화물 입자의 함유량이, 수지 조성물의 총량을 기준으로 해서 1질량% 이상 45질량% 이하이다.

Description

수지 조성물 및 광 파이버
본 개시는, 수지 조성물 및 광 파이버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18년 10월 4일 출원된 일본 출원 제2018-189221호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하고, 상기 일본 출원에 기재된 모든 기재 내용을 원용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 파이버는, 광 전송체인 유리 파이버를 보호하기 위한 피복 수지층을 갖고 있다. 광 파이버는, 광 파이버에 측압이 부여되었을 때에 발생하는 미소한 굽힘에 의해 야기되는 전송 손실의 증가를 작게 하기 위해서, 측압 특성이 우수할 것이 요구되고 있다.
피복 수지층은, 예를 들면, 프라이머리 수지층 및 세컨더리 수지층을 구비하고 있다. 프라이머리 수지층에는, 영률이 낮고, 유연성이 우수할 것이 요구된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공개 2013-197163호 공보
본 개시의 일 태양에 따른 수지 조성물은, 유레테인 (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페녹시기를 갖는 모노머, 광중합 개시제 및 실레인 커플링제를 함유하는 베이스 수지와, 소수성의 무기 산화물 입자를 포함하고, 무기 산화물 입자의 함유량이, 수지 조성물의 총량을 기준으로 해서 1질량% 이상 45질량% 이하이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광 파이버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본 개시가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광 파이버의 측압 특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프라이머리 수지층의 영률을 저감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프라이머리 수지층의 영률이 낮아짐에 수반하여, 프라이머리 수지층의 강도가 저하되고, 광 파이버에 보이드가 발생하기 쉬워진다.
본 개시는, 보이드의 발생이 억제되고, 광 파이버의 측압 특성을 향상시키는 수지층을 형성할 수 있는 수지 조성물, 및 당해 수지 조성물로 형성되는 프라이머리 수지층을 구비하는 광 파이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효과]
본 개시에 의하면, 보이드의 발생이 억제되고, 광 파이버의 측압 특성을 향상시키는 수지층을 형성할 수 있는 광 파이버 피복용의 수지 조성물, 및 당해 수지 조성물로 형성되는 프라이머리 수지층을 구비하는 광 파이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형태의 설명]
처음으로, 본 개시의 실시형태의 내용을 열기하여 설명한다. 본 개시의 일 태양에 따른 수지 조성물은, 유레테인 (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페녹시기를 갖는 모노머, 광중합 개시제 및 실레인 커플링제를 함유하는 베이스 수지와, 소수성의 무기 산화물 입자를 포함하고, 무기 산화물 입자의 함유량이, 수지 조성물의 총량을 기준으로 해서 1질량% 이상 45질량% 이하이다.
페녹시기를 갖는 모노머와 함께, 무기 산화물 입자를 특정 범위에서 이용함으로써, 보이드의 발생이 억제되고, 광 파이버의 측압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지층을 형성할 수 있다.
광 파이버의 측압 특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점에서, 페녹시기를 갖는 모노머의 함유량은, 베이스 수지의 총량을 기준으로 해서 0.5질량% 이상 60질량% 이하여도 된다.
수지 조성물 중에서의 분산성이 우수하고, 강인한 수지층을 형성하기 쉬운 점에서, 상기 무기 산화물 입자는, 이산화 규소, 이산화 지르코늄, 산화 알루미늄, 산화 마그네슘, 산화 타이타늄, 산화 주석 및 산화 아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어도 된다. 수지층의 영률을 저감하는 관점에서, 무기 산화물 입자의 평균 일차 입경은, 650nm 이하여도 된다.
본 개시의 일 태양에 따른 광 파이버의 프라이머리 피복 재료는, 상기 수지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수지 조성물을 프라이머리 수지층에 이용함으로써, 보이드의 발생을 억제하고, 측압 특성이 우수한 광 파이버를 제작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태양에 따른 광 파이버는, 코어 및 클래드를 포함하는 유리 파이버와, 유리 파이버에 접해서 해당 유리 파이버를 피복하는 프라이머리 수지층과, 프라이머리 수지층을 피복하는 세컨더리 수지층을 구비하고, 프라이머리 수지층이 상기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수지 조성물을 프라이머리 수지층에 적용함으로써, 광 파이버의 측압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광 파이버의 측압 특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상기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의 영률은, 23℃±2℃에서 4MPa 이하여도 된다.
[본 개시의 실시형태의 상세]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수지 조성물 및 광 파이버의 구체예를, 필요에 따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은 이들 예시로 한정되지 않고, 청구의 범위에 의해 나타나며,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면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수지 조성물>
본 실시형태에 따른 수지 조성물은, 유레테인 (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페녹시기를 갖는 모노머, 광중합 개시제 및 실레인 커플링제를 함유하는 베이스 수지와, 소수성의 무기 산화물 입자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메트)아크릴레이트란, 아크릴레이트 또는 그것에 대응하는 메타크릴레이트를 의미한다. (메트)아크릴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베이스 수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베이스 수지는, 유레테인 (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페녹시기를 갖는 모노머, 광중합 개시제 및 실레인 커플링제를 함유한다. 페녹시기를 갖는 모노머를 이용함으로써, 보이드의 발생이 억제되고, 광 파이버의 측압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지층을 형성할 수 있다.
페녹시기를 갖는 모노머로서는, 페녹시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페녹시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페놀 EO 변성 (메트)아크릴레이트, 노닐페놀 EO 변성 (메트)아크릴레이트, 페놀 PO 변성 (메트)아크릴레이트, 노닐페놀 PO 변성 (메트)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3-페녹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3-페녹시벤질 (메트)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여기에서, EO 변성이란, (C2H4O)n으로 표시되는 에틸렌 옥사이드기를 갖는 것을 의미하고, PO 변성이란, (C3H6O)n으로 표시되는 프로필렌 옥사이드기를 갖는 것을 의미한다. n은 1 이상의 정수이다.
경화물의 영률을 조정하는 관점에서, 페녹시기를 갖는 모노머는, 페놀 EO 변성 (메트)아크릴레이트, 노닐페놀 EO 변성 (메트)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3-페녹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3-페녹시벤질 (메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어도 된다. 페녹시기를 갖는 모노머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페녹시기를 갖는 모노머의 함유량은, 베이스 수지의 총량을 기준으로 해서 0.5질량% 이상 6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질량% 이상 55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질량% 이상 50질량%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수지 조성물이, 이와 같은 범위에서 페녹시기를 갖는 모노머를 포함함으로써, 광 파이버의 프라이머리 피복 재료로서 적절한 영률을 갖는 수지층을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 수지는, 페녹시기를 갖지 않는 모노머를 추가로 함유해도 된다. 페녹시기를 갖지 않는 모노머는, 중합성기를 1개 갖는 단작용 모노머 또는 중합성기를 2개 이상 갖는 다작용 모노머여도 된다. 페녹시기를 갖지 않는 모노머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페녹시기를 갖지 않는 단작용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n-뷰틸 (메트)아크릴레이트, s-뷰틸 (메트)아크릴레이트, tert-뷰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아이소뷰틸 (메트)아크릴레이트, n-펜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아이소펜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헵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아이소아밀 (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n-옥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아이소옥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아이소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라우릴 (메트)아크릴레이트, 4-tert-뷰틸사이클로헥산올 (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하이드로퍼퓨릴 (메트)아크릴레이트, 벤질 (메트)아크릴레이트, 다이사이클로펜텐일 (메트)아크릴레이트, 다이사이클로펜텐일옥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다이사이클로펜탄일 (메트)아크릴레이트, 노닐페놀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메트)아크릴레이트, 아이소보닐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메트)아크릴산, (메트)아크릴산 다이머, 카복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카복시펜틸 (메트)아크릴레이트, ω-카복시-폴리카프로락톤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카복실기 함유 모노머; N-아크릴로일모폴린, N-바이닐피롤리돈, N-바이닐카프로락탐, N-아크릴로일피페리딘, N-메타크릴로일피페리딘, N-아크릴로일피롤리딘, 3-(3-피리딘)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환상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 폼알 아크릴레이트 등의 헤테로환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말레이미드, N-사이클로헥실말레이미드, N-페닐말레이미드 등의 말레이미드계 모노머; (메트)아크릴아마이드, N,N-다이메틸 (메트)아크릴아마이드, N,N-다이에틸 (메트)아크릴아마이드, N-헥실 (메트)아크릴아마이드, N-메틸 (메트)아크릴아마이드, N-뷰틸 (메트)아크릴아마이드, N-뷰틸 (메트)아크릴아마이드, N-메틸올 (메트)아크릴아마이드, N-메틸올프로페인 (메트)아크릴아마이드 등의 N-치환 아마이드계 모노머; (메트)아크릴산 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산 아미노프로필, (메트)아크릴산 N,N-다이메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산 tert-뷰틸아미노에틸 등의 (메트)아크릴산 아미노알킬계 모노머; N-(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렌 석신이미드, N-(메트)아크릴로일-6-옥시헥사메틸렌 석신이미드, N-(메트)아크릴로일-8-옥시옥타메틸렌 석신이미드 등의 석신이미드계 모노머를 들 수 있다.
페녹시기를 갖지 않는 다작용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 글라이콜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 글라이콜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 글라이콜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트라이프로필렌 글라이콜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 A의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의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 글라이콜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피발산 네오펜틸 글라이콜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1,4-뷰테인다이올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세인다이올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1,9-노네인다이올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1,12-도데케인다이올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1,14-테트라데케인다이올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1,16-헥사데케인다이올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1,20-에이코세인다이올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아이소펜틸다이올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3-에틸-1,8-옥테인다이올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 A의 EO 부가물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 트라이(메트)아크릴레이트, 트라이메틸올옥테인 트라이(메트)아크릴레이트,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 폴리에톡시 트라이(메트)아크릴레이트,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 폴리프로폭시 트라이(메트)아크릴레이트,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 폴리에톡시 폴리프로폭시 트라이(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아이소사이아누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라이(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폴리에톡시 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폴리프로폭시 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다이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 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다이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다이펜타에리트리톨 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다이펜타에리트리톨 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카프로락톤 변성 트리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아이소사이아누레이트를 들 수 있다.
다작용 모노머로서, 수지 조성물의 점도를 저감하면서, 원하는 영률을 갖는 도막을 형성하는 관점에서, 트라이프로필렌 글라이콜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세인다이올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 트라이(메트)아크릴레이트를 이용해도 된다. 그 중에서도, 다작용 모노머로서, 1,6-헥세인다이올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유레테인 (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로서는, 폴리올 화합물,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 및 수산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올리고머를 이용할 수 있다.
폴리올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라이콜, 폴리프로필렌 글라이콜 및 비스페놀 A·에틸렌 옥사이드 부가 다이올을 들 수 있다. 폴리올 화합물의 수 평균 분자량은, 1000 이상 8000 이하가 바람직하고, 1200 이상 650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1500 이상 6000 이하가 더 바람직하다.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2,4-톨릴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2,6-톨릴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아이소포론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및 다이사이클로헥실 메테인 4,4'-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를 들 수 있다. 수산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2-하이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뷰틸 (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세인다이올 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라이(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트라이프로필렌 글라이콜 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유레테인 (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합성할 때의 촉매로서, 일반적으로 유기 주석 화합물이 사용된다. 유기 주석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다이뷰틸주석 다이라우레이트, 다이뷰틸주석 다이아세테이트, 다이뷰틸주석 말레에이트, 다이뷰틸주석 비스(머캅토아세트산 2-에틸헥실), 다이뷰틸주석 비스(머캅토아세트산 아이소옥틸) 및 다이뷰틸주석 옥사이드를 들 수 있다. 용이입수성 또는 촉매 성능의 점에서, 촉매로서 다이뷰틸주석 다이라우레이트 또는 다이뷰틸주석 다이아세테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레테인 (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합성 시에 탄소수 5 이하의 저급 알코올을 사용해도 된다. 저급 알코올로서는,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1-프로판올, 2-프로판올, 1-뷰탄올, 2-뷰탄올, 2-메틸-2-프로판올, 1-펜탄올, 2-펜탄올, 3-펜탄올, 2-메틸-1-뷰탄올, 3-메틸-1-뷰탄올, 2-메틸-2-뷰탄올, 3-메틸-2-뷰탄올 및 2,2-다이메틸-1-프로판올을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베이스 수지는, 올리고머로서, 에폭시 (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추가로 함유해도 된다. 에폭시 (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로서는, 글라이시딜기를 2 이상 갖는 에폭시 수지에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화합물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올리고머를 이용할 수 있다.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공지된 라디칼 광중합 개시제 중에서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광중합 개시제로서, 예를 들면, 1-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 페닐 케톤, 2,2-다이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1-(4-아이소프로필페닐)-2-하이드록시-2-메틸프로판-1-온, 비스(2,6-다이메톡시벤조일)-2,4,4-트라이메틸펜틸포스핀 옥사이드, 2-메틸-1-[4-(메틸싸이오)페닐]-2-모폴리노-프로판-1-온(Omnirad 907, IGM Resins사제), 2,4,6-트라이메틸벤조일다이페닐포스핀 옥사이드(Omnirad TPO, IGM Resins사제) 및 비스(2,4,6-트라이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 옥사이드(Omnirad 819, IGM Resins사제)를 들 수 있다.
실레인 커플링제로서는, 수지 조성물의 경화의 방해가 되지 않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실레인 커플링제로서, 예를 들면, 테트라메틸 실리케이트, 테트라에틸 실리케이트, 머캅토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레인, 바이닐트라이클로로실레인, 바이닐트라이에톡시실레인, 바이닐트리스(β-메톡시-에톡시)실레인, β-(3,4-에폭시사이클로헥실)-에틸트라이메톡시실레인, 다이메톡시다이메틸실레인, 다이에톡시다이메틸실레인, 3-아크릴옥시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레인, γ-글라이시독시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레인, γ-글라이시독시프로필메틸다이에톡시실레인,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레인, N-(β-아미노에틸)-γ-아미노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레인, N-(β-아미노에틸)-γ-아미노프로필트라이메틸다이메톡시실레인, N-페닐-γ-아미노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레인, γ-클로로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레인, γ-머캅토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레인, γ-아미노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레인, 비스-[3-(트라이에톡시실릴)프로필]테트라설파이드, 비스-[3-(트라이에톡시실릴)프로필]다이설파이드, γ-트라이메톡시실릴프로필다이메틸싸이오카밤일 테트라설파이드 및 γ-트라이메톡시실릴프로필 벤조싸이아질 테트라설파이드를 들 수 있다.
수지 조성물은, 광산 발생제, 레벨링제, 소포제, 산화 방지제 등을 추가로 함유해도 된다.
광산 발생제로서는, A+B-의 구조를 한 오늄염을 이용해도 된다. 광산 발생제로서는, 예를 들면, UVACURE1590(다이셀 사이테크제), CPI-100P, 110P(산 아프로제) 등의 설포늄염, Omnicat 250(IGM Resins사제), WPI-113(후지필름 와코 준야쿠제), Rp-2074(로디아 재팬제) 등의 아이오도늄염을 들 수 있다.
(무기 산화물 입자)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무기 산화물 입자는, 그 표면이 소수 처리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소수 처리란, 무기 산화물 입자의 표면에 소수성의 기가 도입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소수성의 기가 도입된 무기 산화물 입자는, 수지 조성물 중의 분산성이 우수하다. 소수성의 기는, (메트)아크릴로일기, 바이닐기 등의 반응성기, 또는 탄화수소기(예를 들면, 알킬기), 아릴기(예를 들면, 페닐기) 등의 비반응성기여도 된다. 무기 산화물 입자가 반응성기를 갖는 경우, 영률이 높은 수지층을 형성하기 쉬워진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무기 산화물 입자는, 분산매에 분산되어 있다. 분산매에 분산된 무기 산화물 입자를 이용함으로써, 수지 조성물 중에 무기 산화물 입자를 균일하게 분산할 수 있어, 수지 조성물의 보존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분산매로서는, 수지 조성물의 경화를 저해하지 않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분산매는, 반응성이어도, 비반응성이어도 된다.
반응성의 분산매로서, (메트)아크릴로일 화합물, 에폭시 화합물 등의 모노머를 이용해도 된다. (메트)아크릴로일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1,6-헥세인다이올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EO 변성 비스페놀 A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PO 변성 비스페놀 A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 글라이콜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라이콜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메트)아크릴로일 화합물로서, 전술하는 모노머로 예시하는 화합물을 이용해도 된다.
비반응성의 분산매로서, 메틸 에틸 케톤(MEK) 등의 케톤계 용매, 메탄올(MeOH), 프로필렌 글라이콜 모노메틸 에터(PGME) 등의 알코올계 용매, 또는 프로필렌 글라이콜 모노메틸 에터 아세테이트(PGMEA) 등의 에스터계 용매를 이용해도 된다. 비반응성의 분산매의 경우, 베이스 수지와 분산매에 분산된 무기 산화물 입자를 혼합한 후, 분산매의 일부를 제거하여 수지 조성물을 조제해도 된다. 무기 산화물 입자가 포함되는 분산매를 광학 현미경(배율 약 100배)으로 관찰하여, 입자가 관찰되지 않는 경우에, 무기 산화물 입자가 일차 입자로 분산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분산매에 분산된 무기 산화물 입자는, 수지 조성물의 경화 후도 수지층 중에 분산된 상태로 존재한다. 반응성의 분산매를 사용한 경우, 무기 산화물 입자는 수지 조성물에 분산매째 혼합되고, 분산 상태가 유지된 그대로 수지층 중에 혼입된다. 비반응성의 분산매를 사용한 경우, 분산매는 적어도 그 일부가 수지 조성물로부터 휘발되어 없어지지만, 무기 산화물 입자는 분산 상태인 그대로 수지 조성물 중에 남고, 경화 후의 수지층에도 분산된 상태로 존재한다. 수지층 중에 존재하는 무기 산화물 입자는,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한 경우에, 일차 입자가 분산된 상태로 관찰된다.
수지 조성물 중에서의 분산성이 우수하고, 강인한 수지층을 형성하기 쉬운 점에서, 상기 무기 산화물 입자는, 이산화 규소(실리카), 이산화 지르코늄(지르코니아), 산화 알루미늄(알루미나), 산화 마그네슘(마그네시아), 산화 타이타늄(타이타니아), 산화 주석 및 산화 아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이 바람직하다. 염가성이 우수하고, 표면 처리를 하기 쉽고, 자외선 투과성을 갖고, 수지층에 적당한 경도를 부여하기 쉬운 등의 관점에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무기 산화물 입자로서, 소수성의 실리카 입자를 이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프라이머리 수지층의 영률을 저감하는 관점에서, 무기 산화물 입자의 평균 일차 입경은, 650nm 이하여도 되고, 600nm 이하가 바람직하고, 500n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400nm 이하가 더 바람직하다. 프라이머리 수지층의 강도를 부여하는 관점에서, 무기 산화물 입자의 평균 일차 입경은, 5nm 이상이 바람직하고, 10nm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평균 일차 입경은, 예를 들면, 전자 현미경 사진의 화상 해석, 광산란법, BET법 등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무기 산화물 입자의 일차 입자가 분산된 분산매는, 일차 입자의 입경이 작은 경우는 육안으로 투명하게 보인다. 일차 입자의 입경이 비교적 큰(40nm 이상) 경우는, 일차 입자가 분산된 분산매는 백탁되어 보이지만 침강물은 관찰되지 않는다.
무기 산화물 입자의 함유량은, 수지 조성물의 총량(베이스 수지 및 무기 산화물 입자의 총량)을 기준으로 해서 1질량% 이상 45질량% 이하이며, 2질량% 이상 40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3질량% 이상 35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무기 산화물 입자의 함유량이 1질량% 이상이면, 강인한 수지층을 형성하기 쉬워진다. 무기 산화물 입자의 함유량이 45질량% 이하이면, 영률이 낮은 수지층을 형성하기 쉬워진다. 한편, 수지 조성물의 총량과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의 총량은 동일하다고 생각해도 된다. 무기 산화물 입자의 함유량은, 프라이머리 수지층의 총량(프라이머리 수지층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의 총량)을 기준으로 해서 1질량% 이상 45질량% 이하이며, 2질량% 이상 40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3질량% 이상 35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광 파이버에 보이드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는 점에서, 상기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의 영률은, 23℃±2℃에서 4MPa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05MPa 이상 4.0MPa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1MPa 이상 3.5MPa 이하가 더 바람직하며, 0.3MPa 이상 3.0MPa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수지 조성물은, 광 파이버의 프라이머리 피복 재료로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수지 조성물을 프라이머리 수지층에 이용함으로써, 영률을 저감하면서, 보이드의 발생을 억제하고, 측압 특성이 우수한 광 파이버를 제작할 수 있다.
<광 파이버>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광 파이버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광 파이버(10)는, 코어(11) 및 클래드(12)를 포함하는 유리 파이버(13)와, 유리 파이버(13)의 외주에 설치된 프라이머리 수지층(14) 및 세컨더리 수지층(15)을 포함하는 피복 수지층(16)을 구비하고 있다.
클래드(12)는 코어(11)를 둘러싸고 있다. 코어(11) 및 클래드(12)는 석영 유리 등의 유리를 주로 포함하고, 예를 들면, 코어(11)에는 저마늄을 첨가한 석영을 이용할 수 있고, 클래드(12)에는 순석영, 또는 불소가 첨가된 석영을 이용할 수 있다.
도 1에 있어서, 예를 들면, 유리 파이버(13)의 외경(D2)은 125μm 정도이며, 유리 파이버(13)를 구성하는 코어(11)의 직경(D1)은 7∼15μm 정도이다.
피복 수지층(16)의 두께는, 통상 60∼70μm 정도이다. 프라이머리 수지층(14) 및 세컨더리 수지층(15)의 각 층의 두께는, 10∼50μm 정도여도 되고, 예를 들면, 프라이머리 수지층(14)의 두께가 35μm이고, 세컨더리 수지층(15)의 두께가 25μm여도 된다. 광 파이버(10)의 외경은, 245∼265μm 정도여도 된다.
또한, 피복 수지층(16)의 두께는, 27∼48μm 정도여도 된다. 프라이머리 수지층(14) 및 세컨더리 수지층(15)의 각 층의 두께는, 10∼38μm 정도여도 되고, 예를 들면, 프라이머리 수지층(14)의 두께가 25μm이고, 세컨더리 수지층(15)의 두께가 10μm여도 된다. 광 파이버(10)의 외경은, 179∼221μm 정도여도 된다.
또, 유리 파이버(13)의 외경(D2)이 100μm 정도이고, 피복 수지층(16)의 두께가 22∼37μm 정도여도 된다. 프라이머리 수지층(14) 및 세컨더리 수지층(15)의 각 층의 두께는, 5∼32μm 정도여도 되고, 예를 들면, 프라이머리 수지층(14)의 두께가 25μm이고, 세컨더리 수지층(15)의 두께가 10μm여도 된다. 광 파이버(10)의 외경은, 144∼174μm 정도여도 된다.
세컨더리 수지층의 영률은, 23℃에서 1300MPa 이상이 바람직하고, 1300MPa 이상 2600MPa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1300MPa 이상 2500MPa 이하가 더 바람직하다. 세컨더리 수지층의 영률이 1300MPa 이상이면, 측압 특성을 향상시키기 쉽고, 2600MPa 이하이면, 세컨더리 수지층에 적당한 인성을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세컨더리 수지층에 균열 등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세컨더리층은, 예를 들면, 유레테인 (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모노머 및 광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경화시켜 형성할 수 있다. 세컨더리 수지층용의 수지 조성물은, 종래 공지된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유레테인 (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모노머 및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상기 베이스 수지로 예시한 화합물로부터 적절히 선택해도 된다. 또한, 세컨더리 수지층용의 수지 조성물은, 소수성의 무기 산화물 입자를 포함해도 된다. 단, 세컨더리 수지층을 형성하는 수지 조성물은, 프라이머리 수지층을 형성하는 수지 조성물과는 상이한 조성을 갖고 있다. 세컨더리 수지층의 영률을 높이는 관점에서, 유레테인 (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합성할 때에 이용하는 폴리올 화합물의 수 평균 분자량은, 400 이상 1000 이하여도 된다.
실시예
이하,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 및 비교예를 이용한 평가 시험의 결과를 나타내어, 본 개시를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수지 조성물의 제작]
(올리고머)
올리고머로서, 분자량 4000의 폴리프로필렌 글라이콜, 아이소포론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및 메탄올을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얻어진 유레테인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준비했다.
(페녹시기를 갖는 모노머)
페녹시기를 갖는 모노머로서, 노닐페놀 EO 변성 아크릴레이트(도아합성 주식회사의 상품명 「아로닉스 M-113」, n≒4), 노닐페놀 EO 변성 아크릴레이트(도아합성 주식회사의 상품명 「아로닉스 M-111, n≒1), 페놀 EO 변성 아크릴레이트(도아합성 주식회사의 상품명 「아로닉스 M-101A, n≒2), 페놀 EO 변성 아크릴레이트(도아합성 주식회사의 상품명 「아로닉스 M-102, n≒4), 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교에이 가가쿠 주식회사의 상품명 「라이트 아크릴레이트 PO-A」), 및 3-페녹시벤질 아크릴레이트(교에이 가가쿠 주식회사의 상품명 「라이트 아크릴레이트 POB-A」), 2-하이드록시-3-페녹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교에이 가가쿠 주식회사의 상품명 「에폭시 에스터 M-600A」)를 준비했다.
(페녹시기를 갖지 않는 모노머)
페녹시기를 갖지 않는 모노머로서, N-바이닐카프로락탐 및 1,6-헥세인다이올 다이아크릴레이트를 준비했다.
(광중합 개시제)
광중합 개시제로서, 2,4,6-트라이메틸벤조일 다이페닐포스핀 옥사이드를 준비했다.
(실레인 커플링제)
실레인 커플링제로서, 3-머캅토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레인을 준비했다.
(무기 산화물 입자)
무기 산화물 입자로서, 평균 입경이 10nm 이상 15nm 이하인 소수성 실리카 입자, 평균 입경이 70nm 이상 100nm 이하인 소수성 실리카 입자, 평균 입경이 250nm 이상 350nm 이하인 소수성 실리카 입자, 및 평균 입경이 450nm 이상 640nm 이하인 소수성 실리카 입자를 준비했다. 이들 실리카 입자는, 메타크릴로일기를 갖고 있고, 메틸 에틸 케톤(MEK)에 분산되어 있었다.
(수지 조성물)
우선, 상기 올리고머, 모노머, 광중합 개시제 및 실레인 커플링제를 혼합하여, 베이스 수지를 조제했다. 이어서, 베이스 수지와 실리카 입자를 혼합한 후, 분산매인 MEK의 대부분을 감압 제거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의 수지 조성물을 각각 제작했다. 한편, 수지 조성물 중에 잔존하고 있는 MEK의 함유량은, 5질량% 이하였다.
표 1, 표 2 및 표 3에 있어서, 모노머, 올리고머 및 실레인 커플링제의 각 수치는, 모노머, 올리고머, 실레인 커플링제 및 실리카 입자의 총량을 기준으로 하는 함유량(질량%)이며, 실리카 입자의 수치는, 수지 조성물의 총량을 기준으로 하는 함유량이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이하의 평가를 행했다.
(영률)
스핀 코터를 이용하여, 수지 조성물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상에 도포한 후, 무전극 UV 램프 시스템(D 벌브)(헤레우스제)을 이용하여, 1000±100mJ/cm2의 조건에서 경화시켜, PET 필름 상에 두께 200±20μm의 수지층을 형성했다. 수지층을 PET 필름으로부터 벗겨, 수지 필름을 얻었다.
수지 필름을 JIS K 7127 타입 5의 덤벨 형상으로 타발하고, 23±2℃, 50±10%RH의 조건하에서, 인장 시험기를 이용하여 1mm/분의 인장 속도, 표선간 25mm의 조건에서 인장하여, 응력-변형 곡선을 얻었다. 2.5% 할선에 의해 영률을 구했다.
[광 파이버의 제작]
분자량 600의 폴리프로필렌 글라이콜, 2,4-톨릴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및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의 반응물인 유레테인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40질량부와, 아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 35질량부와, 비스페놀 A 다이글라이시딜 에터 아크릴산 부가물 24질량부와, 2,4,6-트라이메틸벤조일 다이페닐포스핀 옥사이드 0.5질량부와, 1-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 페닐 케톤 0.5질량부를 혼합하여, 세컨더리 수지층용의 수지 조성물 A1을 제작했다.
코어 및 클래드로 구성되는 직경 125μm의 유리 파이버의 외주에, 실시예 또는 비교예에서 제작한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두께 35μm의 프라이머리 수지층을 형성하고, 추가로 그 외주에 수지 조성물 A1을 이용하여 세컨더리 수지층을 형성하여, 광 파이버를 제작했다. 선속은 1500m/분으로 했다.
(보이드의 관찰)
10m의 광 파이버를 85℃에서 습도 85%의 조건하에서 120일간 보관한 후, -40℃에 16시간 두고, 직경 10μm 이상의 보이드의 유무를 현미경으로 관찰했다. 광 파이버 1m당의 보이드의 수가 1개 미만인 경우를 「A」, 보이드의 수가 1∼2개인 경우를 「B」, 보이드의 수가 2개를 초과하는 경우를 「C」로 평가했다.
(측압 특성)
샌드 페이퍼로 표면을 덮은 280mm 직경의 보빈에, 광 파이버를 단층상으로 휘감았을 때의 1550nm의 파장의 광의 전송 손실을, OTDR(Optical Time Domain Reflectometer)법에 의해 측정했다. 또한, 샌드 페이퍼가 없는 280mm 직경의 보빈에, 광 파이버(10)를 단층상으로 휘감았을 때의 1550nm의 파장의 광의 전송 손실을, OTDR법에 의해 측정했다. 측정한 전송 손실의 차를 구하여, 전송 손실차가 0.6dB/km 이하인 경우를 측압 특성 「OK」로, 전송 손실차가 0.6dB/km 초과인 경우를 측압 특성 「NG」로 판단했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은, 프라이머리 수지층에 요구되는 영률을 가짐과 함게, 보이드의 발생이 억제되고, 측압 특성을 향상시킨 광 파이버를 제작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0…광 파이버, 11…코어, 12…클래드, 13…유리 파이버, 14…프라이머리 수지층, 15…세컨더리 수지층, 16…피복 수지층.

Claims (8)

  1. 유레테인 (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페녹시기를 갖는 모노머, 광중합 개시제 및 실레인 커플링제를 함유하는 베이스 수지와, 소수성의 무기 산화물 입자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이고,
    상기 무기 산화물 입자의 함유량이, 상기 수지 조성물의 총량을 기준으로 해서 1질량% 이상 45질량% 이하인, 광 파이버 피복용의 수지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페녹시기를 갖는 모노머의 함유량이, 상기 베이스 수지의 총량을 기준으로 해서 0.5질량% 이상 60질량% 이하인, 수지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산화물 입자가, 이산화 규소, 이산화 지르코늄, 산화 알루미늄, 산화 마그네슘, 산화 타이타늄, 산화 주석 및 산화 아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수지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산화물 입자의 평균 일차 입경이, 650nm 이하인, 수지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페녹시기를 갖는 모노머가, 페놀 EO 변성 (메트)아크릴레이트, 노닐페놀 EO 변성 (메트)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3-페녹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3-페녹시벤질 (메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수지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광 파이버의 프라이머리 피복 재료.
  7. 코어 및 클래드를 포함하는 유리 파이버와,
    상기 유리 파이버에 접해서 해당 유리 파이버를 피복하는 프라이머리 수지층과,
    상기 프라이머리 수지층을 피복하는 세컨더리 수지층을 구비하고,
    상기 프라이머리 수지층이,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로 이루어지는, 광 파이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의 영률이, 23℃±2℃에서 4MPa 이하인, 광 파이버.
KR1020217011693A 2018-10-04 2019-10-04 수지 조성물 및 광 파이버 KR2021007100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89221 2018-10-04
JPJP-P-2018-189221 2018-10-04
PCT/JP2019/039344 WO2020071544A1 (ja) 2018-10-04 2019-10-04 樹脂組成物及び光ファイ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1002A true KR20210071002A (ko) 2021-06-15

Family

ID=70054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1693A KR20210071002A (ko) 2018-10-04 2019-10-04 수지 조성물 및 광 파이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00262749A1 (ko)
EP (1) EP3862372A4 (ko)
JP (1) JPWO2020071544A1 (ko)
KR (1) KR20210071002A (ko)
CN (1) CN112789306A (ko)
TW (1) TWI828776B (ko)
WO (1) WO20200715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1942164A (zh) * 2018-04-02 2019-11-01 日商住友電氣工業股份有限公司 樹脂組合物、光纖之二次被覆材料及光纖
CN111936904B (zh) 2018-04-16 2023-02-21 住友电气工业株式会社 光纤
WO2020255835A1 (ja) 2019-06-19 2020-12-24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97163A (ja) 2012-03-16 2013-09-30 Toppan Printing Co Ltd 積層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69706A (ja) * 1988-09-06 1990-03-08 Sumitomo Electric Ind Ltd 被覆光ファイバ
WO1998031642A1 (en) * 1997-01-20 1998-07-23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Optical fiber equipped with claddin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6304705B1 (en) * 1999-07-27 2001-10-16 Lucent Technologies Inc. Mode coupling buffered optical fiber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JP3912532B2 (ja) * 2002-02-21 2007-05-09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被覆光ファイバ心線、コネクタ付被覆光ファイバ心線、及び、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4555061B2 (ja) * 2004-09-28 2010-09-29 Jsr株式会社 光ファイバアップジャケット用放射線硬化型液状樹脂組成物
JP5381097B2 (ja) * 2006-03-15 2014-01-08 日立化成株式会社 光学材料用フェノキシ樹脂、光学材料用樹脂組成物、光学材料用樹脂フィルム及びこれらを用いた光導波路
ATE423175T1 (de) * 2006-12-05 2009-03-15 Dsm Ip Assets Bv Strahlungshärtbare beschichtungszusammensetzung
EP2504288B1 (en) * 2009-11-26 2019-04-17 Prysmian S.p.A. Optical fiber with double coating
JP2017007896A (ja) * 2015-06-23 2017-01-12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及び光ファイバテープ心線
JP6647492B2 (ja) 2017-05-11 2020-02-14 株式会社エフ・イー・シー 非接触駆動伝達装置
TW201942164A (zh) * 2018-04-02 2019-11-01 日商住友電氣工業股份有限公司 樹脂組合物、光纖之二次被覆材料及光纖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97163A (ja) 2012-03-16 2013-09-30 Toppan Printing Co Ltd 積層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789306A (zh) 2021-05-11
WO2020071544A1 (ja) 2020-04-09
TW202033581A (zh) 2020-09-16
EP3862372A1 (en) 2021-08-11
EP3862372A4 (en) 2022-07-20
US20200262749A1 (en) 2020-08-20
TWI828776B (zh) 2024-01-11
JPWO2020071544A1 (ja) 2021-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902442B (zh) 树脂组合物、光纤用二次被覆材料及光纤
JP7136124B2 (ja) 樹脂組成物及び光ファイバ
US11603331B2 (en) Optical fiber
US11919804B2 (en) Resin composition, secondary coating material for optical fiber, optical fib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ptical fiber
KR20210071002A (ko) 수지 조성물 및 광 파이버
KR20210093279A (ko) 수지 조성물 및 광 파이버
WO2020250838A1 (ja) 樹脂組成物、光ファイバ及び光ファイバの製造方法
US20220041501A1 (en) Resin composition, secondary coating material for optical fiber, optical fiber, and method for producing optical fiber
WO2020255570A1 (ja) 光ファイバ
KR20210129100A (ko) 광섬유 피복용의 수지 조성물
KR20210093278A (ko) 수지 조성물, 광 파이버 및 광 파이버의 제조 방법
KR20210093280A (ko) 수지 조성물, 광 파이버 및 광 파이버의 제조 방법
WO2020255830A1 (ja) 樹脂組成物、光ファイバのセカンダリ被覆材料、光ファイバ及び光ファイバの製造方法
KR102666777B1 (ko) 수지 조성물, 광섬유의 세컨더리 피복 재료 및 광섬유
KR102669759B1 (ko) 광섬유
RU2772949C1 (ru) Оптическое волокно
US20220017768A1 (en) Resin composition, optical fiber and method for producing optical fiber
KR20200143409A (ko) 광섬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