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0490A - 혐기적 고체발효를 이용한 반추위 발달 촉진 기능성 발효사료(tmf)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혐기적 고체발효를 이용한 반추위 발달 촉진 기능성 발효사료(tmf)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0490A
KR20210070490A KR1020190160274A KR20190160274A KR20210070490A KR 20210070490 A KR20210070490 A KR 20210070490A KR 1020190160274 A KR1020190160274 A KR 1020190160274A KR 20190160274 A KR20190160274 A KR 20190160274A KR 20210070490 A KR20210070490 A KR 202100704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id fermentation
feed
anaerobic
fermented feed
ye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0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승호
양한경
문정권
김근영
Original Assignee
제주축산업협동조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주축산업협동조합 filed Critical 제주축산업협동조합
Priority to KR1020190160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70490A/ko
Publication of KR20210070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04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23K10/18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of live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23K10/33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from molass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40/0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1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rumina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80Food processing, e.g. use of renewable energies or variable speed drives in handling, conveying or stacking
    • Y02P60/87Re-use of by-products of food processing for fodder produ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혐기적 고체발효를 이용한 반추위 발달 촉진 기능성 발효사료(TMF)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산물인 유청과 감귤박 부산물을 이용함으로써 생산비를 절감하고 부산물을 폐기처분하지 않고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타터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효모와 유산균의 완전발효로 사료의 기호성 향상에 따른 사료섭취량 증가, 유산균에 의한 면역력 증가, 감귤박 부산물의 낮은 pH로 인한 부패균의 성장 억제에 따른 사료 저장성 향상, 낙농우의 유량증가, 효모의 작용으로 인한 반추동물의 반추위 융모 탈락 방지의 이점이 있는 혐기적 고체발효를 이용한 반추위 발달 촉진 기능성 발효사료(TMF)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혐기적 고체발효를 이용한 반추위 발달 촉진 기능성 발효사료(TMF)의 방법은, 당밀과 CMS(Condensed Molasses Solubles)를 첨가하고 효모균과 유산균을 종균으로 접종하여 스타터를 배양하는 스타터 배양 단계와, 소맥피, 대두박, 옥수수분말, 단백피가 포함된 주원료에 유제품 생산 부산물인 유청을 첨가하고 상기 스타터 배양 단계에서 배양된 효모균과 유산균을 접종하여 혐기 조건하에서 고체 발효하는 혐기 고체발효 단계와, 상기 혐기 고체발효 단계에서 얻은 고체발효배양물에 조사료와 감귤박을 투입하여 혼합하는 발효사료 제조 단계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혐기적 고체발효를 이용한 반추위 발달 촉진 기능성 발효사료(TMF) 및 그 제조 방법{METHOD FOR MANUFACURING FUNCTIONAL FERMENTATION FEED USING ANAEROBIC SOLID STATE FERMENTATION HAVING RUMEN DEVELOPMENT PROMOTION FUNCTION}
본 발명은 혐기적 고체발효를 이용한 반추위 발달 촉진 기능성 발효사료(TMF)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산물인 유청과 감귤박 부산물을 이용함으로써 생산비를 절감하고 부산물을 폐기처분하지 않고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타터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효모와 유산균의 완전발효로 사료의 기호성 향상에 따른 사료섭취량 증가, 유산균에 의한 면역력 증가, 감귤박 부산물의 낮은 pH로 인한 부패균의 성장 억제에 따른 사료 저장성 향상, 낙농우의 유량증가, 효모의 작용으로 인한 반추동물의 반추위 융모 탈락 방지의 이점이 있는 혐기적 고체발효를 이용한 반추위 발달 촉진 기능성 발효사료(TMF)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소득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육류 소비량은 날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인데, 단순한 소비량 증가에 그치지 않고 외국산 수입 육류와 질적으로 차별화된 고급육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대한민국의 소고기 육질 등급은 외국과는 다르게 근육 내 지방세포의 고른 분포(마블링)에 따라 등급이 결정되는 기준을 적용하고 있다. 따라서, 높은 등급을 받기 위하여는 각 성장 단계별 사료 급이 프로그램의 적용이 필요하다. 또한, 소화흡수율을 높일 수 있도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15012호(2005.09.07, 잣나무 생지엽의 혐기발효산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육우 급식용 조사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37893호(2012.04.12, 발효홍삼박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사료 첨가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125805호(2019.11.07, 발효 및 숙성 공정을 포함하는 깻묵을 이용한 배합사료의 제조방법)과 같이 고품질의 발효사료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발효사료는 일반사료에 비해 15~30% 소화 흡수율이 높으며 효모에 의한 발효향으로 인하여 그 섭취량도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발효사료는 가축의 면역력을 강화시켜 질병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젖소에서는 기존의 배합사료를 10~ 30중량%정도 빼고 발효 사료로 급여하게 되면 사료의 소화 속도가 빠르며, 비육우에 급여할 경우에는 반추위 기능이 완전하지 못한 기능을 도와 소화에 도움을 주어 생산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고, 미생물을 배양시킨 발효사료를 가축에게 먹인 결과 사료 섭취량이 늘고 분뇨의 냄새와 수분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발효 사료는 특정 가축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대동물인 소(한우, 젖소 등), 소동물인 가금류에 전반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사료의 발효는 주로 미생물에 의해 일어나게 되는데 사료가 발효되는 과정 중에 증식되는 미생물과 증식 과정 중에 생산하는 유기산 등의 대사 산물에 의해 가축의 설사예방, 유량의 향상, 육질 개선, 번식률의 증가, 성장 촉진, 반추위 내의 대사장애 예방 등의 효과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축산에서의 미생물이 함유된 제품은 저가 사료 제품 개발을 통한 축산 농가의 사료비 절감 효과 및 가축 면역 증가 등의 기능성을 가지는 사료로서 사용 가능하다.
또한, 효모의 세포벽에서 추출한 고분자 다당류인 β- glucan은 면역증강과 항암 효과뿐만 아니라,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 항세균성 , 항바이러스성 , 항염증 등 약리적인 효능도 보고되었다.
현재까지의 사료는 영양적인 측면과 경제적인 측면만이 고려된 값싸고 영양가치가 높은 사료 위주로 생산 판매되고 있으며, 잉여자원의 활용도를 높여 발효사료로 제조하는 기술에 집중되어 있으나, 사료의 영양 및 기능성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가축이 사료를 잘 먹는 것이다. 여름에는 더운 기온에 의한 외부 스트레스, 이취 , 이질감 등으로 인해 가축이 사료 급여를 거부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이유로 증체량 감소, 우유생산량 감소, 영양 결핍 등의 결과를 초래한다. 따라서, 가축이 잘 먹는 사료를 개발하는 것은 사료 효율 및 가축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요소이므로 이러한 부분의 해결이 가능한 발효사료 개발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15012호(2005.09.07) : 잣나무 생지엽의 혐기발효산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육우 급식용 조사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37893호(2012.04.12) : 발효홍삼박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사료 첨가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125805호(2019.11.07) : 발효 및 숙성 공정을 포함하는 깻묵을 이용한 배합사료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인식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부산물인 유청과 감귤박 부산물을 이용함으로써 생산비를 절감하고 부산물을 폐기처분하지 않고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타터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효모와 유산균의 완전발효로 사료의 기호성 향상에 따른 사료섭취량 증가, 유산균에 의한 면역력 증가, 감귤박 부산물의 낮은 pH로 인한 부패균의 성장 억제에 따른 사료 저장성 향상, 낙농우의 유량증가, 효모의 작용으로 인한 반추동물의 반추위 융모 탈락 방지의 이점이 있는 혐기적 고체발효를 이용한 반추위 발달 촉진 기능성 발효사료(TMF)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혐기적 고체발효를 이용한 반추위 발달 촉진 기능성 발효사료(TMF)의 방법은, 당밀과 CMS(Condensed Molasses Solubles)를 첨가하고 효모균과 유산균을 종균으로 접종하여 스타터를 배양하는 스타터 배양 단계와, 소맥피, 대두박, 옥수수분말, 단백피가 포함된 주원료에 유제품 생산 부산물인 유청을 첨가하고 상기 스타터 배양 단계에서 배양된 효모균과 유산균을 접종하여 혐기 조건하에서 고체 발효하는 혐기 고체발효 단계와, 상기 혐기 고체발효 단계에서 얻은 고체발효배양물에 조사료와 감귤박을 투입하여 혼합하는 발효사료 제조 단계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혐기적 고체발효를 이용한 반추위 발달 촉진 기능성 발효사료의 제조 방법은, 상기 스타터 배양 단계는 당밀과 CMS(Condensed Molasses Solubles)을 살균시킨 다음 효모균과 유산균을 종균으로 접종하여 30~35℃의 온도에서 24시간 배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혐기적 고체발효를 이용한 반추위 발달 촉진 기능성 발효사료의 제조 방법은, 상기 혐기 고체발효 단계에서는 40℃에서 4시간 동안 혐기 조건하에서 고체발효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혐기적 고체발효를 이용한 반추위 발달 촉진 기능성 발효사료의 제조 방법은, 상기 혐기 고체발효 단계에서는 고체발효된 발효물을 20℃에서 5일 동안 숙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혐기적 고체발효를 이용한 반추위 발달 촉진 기능성 발효사료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혐기적 고체발효를 이용한 반추위 발달 촉진 기능성 발효사료는, 고체발효배양물 17.0 중량%, 섬유질류 20.0 중량%, 곡류 40.0 중량%, 당밀 5.0 중량%, 감귤박 5.0 중량%, 맥주박 10.0 중량 %, 토탈믹스 0.2 중량%, 중조 0.3 중량%, 유청 2.5 중량%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혐기적 고체발효를 이용한 반추위 발달 촉진 기능성 발효사료(TMF) 및 그 제조 방법은 분산물인 유청과 감귤박 부산물을 이용함으로써 생산비를 절감하고 부산물을 폐기처분하지 않고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타터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효모와 유산균의 완전발효로 사료의 기호성 향상에 따른 사료섭취량 증가, 유산균에 의한 면역력 증가, 감귤박 부산물의 낮은 pH로 인한 부패균의 성장 억제에 따른 사료 저장성 향상, 낙농우의 유량증가, 효모의 작용으로 인한 반추동물의 반추위 융모 탈락 방지의 이점이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혐기적 고체발효를 이용한 반추위 발달 촉진 기능성 발효사료(TMF)의 제조 방법은 본 출원인의 사료공장에서 생산되는 섬유질배합사료인 보들결한우어린송아지, 보들결한우육성비육, 보들결한우큰소비육, 보들결한우번식우, 삼다한라착유5호, 삼다한라착유베이스골드, 보들결한우베이스골드Ⅰ 및 보들결한우베이스골드Ⅱ에 적용되어 다양한 상품에 활용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혐기적 고체발효를 이용한 반추위 발달 촉진 기능성 발효사료(TMF)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2 및 도 3은 감귤박 함량에 따른 완전발효사료의 병원균에 대한 항균효과를 검정한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
도 4 및 도 5는 감귤박 함량에 따른 완전발효사료의 병원균에 대한 항균 능력을 검정한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혐기적 고체발효를 이용한 반추위 발달 촉진 기능성 발효사료(TMF)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완전혼합발효사료를 한우에 24개월 동한 급여한 후 반추위 발달 상태를 검정한 결과에 대한 사진
이하에서는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혐기적 고체발효를 이용한 반추위 발달 촉진 기능성 발효사료(TMF) 및 그 제조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혐기적 고체발효를 이용한 반추위 발달 촉진 기능성 발효사료(TMF)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2 및 도 3은 감귤박 함량에 따른 완전발효사료의 병원균에 대한 항균효과를 검정한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며, 도 4 및 도 5는 감귤박 함량에 따른 완전발효사료의 병원균에 대한 항균 능력을 검정한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혐기적 고체발효를 이용한 반추위 발달 촉진 기능성 발효사료(TMF)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완전혼합발효사료를 한우에 24개월 동한 급여한 후 반추위 발달 상태를 검정한 결과에 대한 사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혐기적 고체발효를 이용한 반추위 발달 촉진 기능성 발효사료(TMF)의 제조 방법은 기능성이 향상된 발효사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스타터 배양 단계, 혐기 고체발효 단계 및 발효사료 제조 단계로 구성된다.
상기 스타터 배양 단계는 당밀과 CMS(Condensed Molasses Solubles)를 첨가하고 효모균과 유산균을 종균으로 접종하여 스타터를 배양하는 단계이다. 효모와 유산균을 각각을 배양하는 배양탱크에 물 1.000kg을 넣고 당밀과 CMS를 각각 2~5 중량부를 넣어 용해한 후 동결건조된 효모(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시에)와 유산균(락토바실러스 프렌타럼) 분말을 각각의 배양 탱크에 0.05~0.1중량부 접종한다. 미생물의 세포 배양을 극대화하기 위한 최적 조건으로 효모는 30℃, 유산균은 35℃의 최적온도에서 24시간동안 호기적으로 배양한다.
상기 혐기 고체발효 단계는, 소맥피, 대두박, 옥수수분말, 단백피가 포함된 주원료에 유제품 생산 부산물인 유청을 첨가하고 상기 스타터 배양 단계에서 배양된 효모균과 유산균을 접종하여 혐기 조건하에서 고체 발효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혐기 고체발효 단계에서는 소맥피, 대두박, 옥수수분말로 구성된 고체배지 3,000kg을 고체 발효기에 투입하고 유제품 부산물인 유청 1~5 중량부, 스타터 배양액 2~5 중량부 첨가한 다음 40℃에서 4시간동안 발효시킨 후 1,000kg씩 나누어 밀폐된 톤백 용기에 담아 20℃에서 5일간 숙성시킨다.
상기 발효사료 제조 단계는 상기 혐기 고체발효 단계에서 얻은 고체발효배양물에 조사료와 감귤박을 투입하여 혼합하여 완전고체발효사료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혐기 고체발효 단계에서 숙성된 고체 배양물을 20~30 중량부 투입하고, 조사료(티모시, 알팔파, 라이그라스, 톨페스큐 등) 20~40중량부, 감귤박 부산물 5~10 중량부 투입하여 20분 동안 혼합한다. 균일하게 혼합된 완전고체발효사료는 20kg 비닐포장지에 포장하여 상온에서 3일간 2차 숙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혐기적 고체발효를 이용한 반추위 발달 촉진 기능성 발효사료(TMF)의 제조 방법은 본 출원인의 사료공장에서 생산되는 섬유질배합사료인 보들결한우어린송아지, 보들결한우육성비육, 보들결한우큰소비육, 보들결한우번식우, 삼다한라착유5호, 삼다한라착유베이스골드, 보들결한우베이스골드Ⅰ 및 보들결한우베이스골드Ⅱ에 적용되었다.
(실시예 1 : 완전혼합발효사료(TMF) 제조)
사료의 조성을 살펴보면 고체발효배양물 17.0 중량%, 섬유질류 20.0 중량%, 곡류 40.0 중량%, 당밀 5.0 중량%, 감귤박 5.0 중량%, 맥주박 10.0 중량 %, 토탈믹스 0.2 중량%, 중조 0.3 중량%, 유청 2.5 중량%로 구성된다. 표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완전혼합발효사료의 조성을 정리한 것이다.
성 분 명 배합비율
(중량%)
섬유질류: 오차드라이짚, 에뉴얼라이그라스, 국내산라이그라스, 면실(종실) 20.0
곡류 혼합곡물(영암베이스믹스) 14.0
옥수수 후레이크, 루핀후레이크 26.0
당밀 5.0
감귤박 5.0
맥주박 10.0
고체발효배양물 17.0
토탈믹스 0.2
중조 0.3
유청 2.5
합 계 100
(실시예 2 : 발효사료의 면역증강 효과)
실시예1에서 제조된 완전발효사료 내의 유산균에 의한 면역세포 활성 효과를 검정한 결과는 표 2와 같다. 대조구 대비 시험구의 면역인자가 향상되었다.
Control L. plantarum
nitric oxide(uM) 4.74 6.17
IL-1(pg/ml) 633.98 1161.98
IL-4(pg/ml) 209 405.66
IL-6(pg/ml) 14.66 316.56
IL-10(pg/ml) 49.48 77.94
IL-12(pg/ml) 42.83 135.33
TNF-α(pg/ml) 59.85 127.71
IFN-δ(pg/ml) 35.22 102.44
(실시예 3 : 감귤박의 부패균 억제 효과)
도 2 및 도 3은 감귤박 함량에 따른 완전발효사료의 병원균에 대한 항균효과를 검정한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감귤박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대장균과 곰팡이균의 생육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4 : 감귤박의 병원균 생육 억제 효과)
도 4 및 도 5는 감귤박 함량에 따른 완전발효사료의 병원균에 대한 항균 능력을 검정한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무첨가군(control)과 자몽추출물이 첨가된 시험군과 비교하여 감귤박이 첨가된 시험군의 경우 병원균인 대장균 및 살모넬라균에 대하여 생육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5 : 완전혼합발효사료의 반추위 발달 및 융모 손상 억제 효과)
도 6은 실시예 1에 의해 제조된 완전혼합발효사료를 한우에 24개월 동한 급여한 후 반추위 발달 상태를 검정한 결과에 대한 사진이다. 대조군에 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완전혼합발효사료를 급여한 시험군에서 현격히 융모가 발달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 예 6 : 완전혼합발효사료의 한우(거세우) 성장 촉진 효과)
표 3은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완전혼합발효사료를 한우(시험구)에 급여한 한우의 성장 효과를 정리한 것이다. 대조구에 비하여 시험구의 경우 8개월 사육후 체중, 일당증체량 및 사료요구율 모두 유의적인 차이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ure pat00001
(실시예 7 : 완전혼합발효사료의 한우(거세우) 육질 향상 효과)
표 4는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완전혼합발효사료를 한우(시험구)에 급여하여 사육된 한우의 육질 향상 효과를 정리한 것이다. 모든 항목에 대하여 대조구에 비하여 시험구의 품질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Figure pat00002
(실시 예 8 : 완전혼합발효사료의 한우(거세우) 등급 향상 효과)
표 5 및 표 6은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완전혼합발효사료를 한우(시험구)에 급여하여 사육한 한우의 등급을 정리한 것이다. 대조구에 비하여 시험구의 경우 한우 등급이 우수하게 나타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시험두수 ++ 등급 출현율(%) + 등급 출현율(%) 이하
대조구 37 0 37 63
시험구 16 31 43 26
등지방
(mm)
등심단면적
(cm)
도체중
(kg)
육량지수 근내지방
(No)
육질1B 이상 출현된 도체중
대조구 16.4 85.7 419.9 62.21 4.8 409.0
시험구 14.1 94.9 455.1 64.00 6.2 455.0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혐기적 고체발효를 이용한 반추위 발달 촉진 기능성 발효사료(TMF) 및 그 제조 방법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5)

  1. 당밀과 CMS(Condensed Molasses Solubles)를 첨가하고 효모균과 유산균을 종균으로 접종하여 스타터를 배양하는 스타터 배양 단계와,
    소맥피, 대두박, 옥수수분말, 단백피가 포함된 주원료에 유제품 생산 부산물인 유청을 첨가하고 상기 스타터 배양 단계에서 배양된 효모균과 유산균을 접종하여 혐기 조건하에서 고체 발효하는 혐기 고체발효 단계와,
    상기 혐기 고체발효 단계에서 얻은 고체발효배양물에 조사료와 감귤박을 투입하여 혼합하는 발효사료 제조 단계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혐기적 고체발효를 이용한 반추위 발달 촉진 기능성 발효사료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터 배양 단계는 당밀과 CMS(Condensed Molasses Solubles)을 살균시킨 다음 효모균과 유산균을 종균으로 접종하여 30~35℃의 온도에서 24시간 배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혐기적 고체발효를 이용한 반추위 발달 촉진 기능성 발효사료의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혐기 고체발효 단계에서는 40℃에서 4시간 동안 혐기 조건하에서 고체발효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혐기적 고체발효를 이용한 반추위 발달 촉진 기능성 발효사료의 제조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혐기 고체발효 단계에서는 고체발효된 발효물을 20℃에서 5일 동안 숙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혐기적 고체발효를 이용한 반추위 발달 촉진 기능성 발효사료의 제조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혐기적 고체발효를 이용한 반추위 발달 촉진 기능성 발효사료.
KR1020190160274A 2019-12-05 2019-12-05 혐기적 고체발효를 이용한 반추위 발달 촉진 기능성 발효사료(tmf) 및 그 제조 방법 KR202100704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0274A KR20210070490A (ko) 2019-12-05 2019-12-05 혐기적 고체발효를 이용한 반추위 발달 촉진 기능성 발효사료(tmf)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0274A KR20210070490A (ko) 2019-12-05 2019-12-05 혐기적 고체발효를 이용한 반추위 발달 촉진 기능성 발효사료(tmf)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0490A true KR20210070490A (ko) 2021-06-15

Family

ID=76411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0274A KR20210070490A (ko) 2019-12-05 2019-12-05 혐기적 고체발효를 이용한 반추위 발달 촉진 기능성 발효사료(tmf)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70490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75764A (zh) * 2021-06-24 2021-11-02 山东泰山生力源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酿酒酵母培养物及其应用
KR20220012584A (ko) * 2020-07-23 2022-02-04 주식회사 풍국 발효균합제를 적용한 혼합사료 및 그 제조방법
KR102391886B1 (ko) * 2021-11-09 2022-05-04 힐링파머스 주식회사 완전 혼합 발효 사료 생산 시스템
KR102400133B1 (ko) * 2022-03-02 2022-05-20 영농조합법인 명인 가축용 사료 및 그 제조 방법
KR102432652B1 (ko) * 2021-09-10 2022-08-17 송동환 양배추 및 감귤껍질을 이용한 ct 발효생균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20230099617A (ko) 2021-12-27 2023-07-04 오헌식 IoT 제어시스템을 구비하는 미생물 고체발효 사료 배합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5012B1 (ko) 2002-09-17 2005-09-16 대한민국 잣나무 생지엽의 혐기발효산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육우 급식용 조사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137893B1 (ko) 2010-05-31 2012-04-30 (주)다우바이오 발효홍삼박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사료 첨가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90125805A (ko) 2018-04-30 2019-11-07 이성재 발효 및 숙성 공정을 포함하는 깻묵을 이용한 배합사료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5012B1 (ko) 2002-09-17 2005-09-16 대한민국 잣나무 생지엽의 혐기발효산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육우 급식용 조사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137893B1 (ko) 2010-05-31 2012-04-30 (주)다우바이오 발효홍삼박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사료 첨가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90125805A (ko) 2018-04-30 2019-11-07 이성재 발효 및 숙성 공정을 포함하는 깻묵을 이용한 배합사료의 제조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2584A (ko) * 2020-07-23 2022-02-04 주식회사 풍국 발효균합제를 적용한 혼합사료 및 그 제조방법
CN113575764A (zh) * 2021-06-24 2021-11-02 山东泰山生力源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酿酒酵母培养物及其应用
CN113575764B (zh) * 2021-06-24 2024-04-12 山东泰山生力源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酿酒酵母培养物及其应用
KR102432652B1 (ko) * 2021-09-10 2022-08-17 송동환 양배추 및 감귤껍질을 이용한 ct 발효생균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102391886B1 (ko) * 2021-11-09 2022-05-04 힐링파머스 주식회사 완전 혼합 발효 사료 생산 시스템
KR20230099617A (ko) 2021-12-27 2023-07-04 오헌식 IoT 제어시스템을 구비하는 미생물 고체발효 사료 배합장치
KR102400133B1 (ko) * 2022-03-02 2022-05-20 영농조합법인 명인 가축용 사료 및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0145B1 (ko) 유산균 및 효모를 이용한 축산용 발효사료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70490A (ko) 혐기적 고체발효를 이용한 반추위 발달 촉진 기능성 발효사료(tmf) 및 그 제조 방법
CN106071186A (zh) 一种母猪专用酵解精料青贮饲料的制备方法
KR102255611B1 (ko) 복합 균주를 이용한 완전배합 발효사료의 제조방법
CN108935928A (zh) 一种利用地源饲料资源生产的生物发酵饲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9536416A (zh) 一种降解构树叶单宁的青贮菌剂制备及其应用方法
CN103461687A (zh) 哺乳母猪中草药酵解促乳饲料的制备方法
CN105475623A (zh) 一种生态真菌复合饲料的生产方法及饲喂方法
CN115067419A (zh) 一种饲料添加剂的应用和蚯蚓发酵液的制备方法
CN113261609A (zh) 一种发酵饲料生产方法
CN101756002A (zh) 利用树叶和醋糟发酵生产高复合酶和高蛋白饲料的方法
CN104431336A (zh) 一种木薯残渣生物饲料及其制备方法
CN115316525A (zh) 一种肉牛饲料及其制备方法
CN111000030A (zh) 一种林草植物蛋白源益生菌发酵饲料的制作方法
KR100876521B1 (ko) 혼합사료 발효용 생균제 및 이를 이용한 혼합사료의 발효방법
CN112335783B (zh) 一种甜高粱与柠檬叶混合青贮饲料及其制备方法
CN109362977A (zh) 菌糠发酵饲料及制备方法
CN108850586A (zh) 以杂交构树为原料提升奶牛免疫力的饲料及其制法和应用
CN116391796A (zh) 一种王草加工的方法
CN111183954A (zh) 肉牛育肥的饲喂方法
CN103229888A (zh) 粗糙脉孢菌固态发酵稻草制备蛋白饲料的方法
CN109329568A (zh) 高蛋白木薯饲料及制备方法
CN108669295A (zh) 一种玉米饲料
CN106804942A (zh) 一种仔猪用发酵饲料及其制备方法
CN112155117A (zh) 一种发酵茶粉及其制备方法和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