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0005A - 빅 데이터와 인공 지능 알고리즘을 통한 고객 개인 맞춤형 패션 디자인 판매용 디지털 사이니지 - Google Patents

빅 데이터와 인공 지능 알고리즘을 통한 고객 개인 맞춤형 패션 디자인 판매용 디지털 사이니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0005A
KR20210070005A KR1020190159953A KR20190159953A KR20210070005A KR 20210070005 A KR20210070005 A KR 20210070005A KR 1020190159953 A KR1020190159953 A KR 1020190159953A KR 20190159953 A KR20190159953 A KR 20190159953A KR 20210070005 A KR20210070005 A KR 202100700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tomer
data
module
digital signage
sa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9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5918B1 (ko
Inventor
조종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엠디넷
조종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엠디넷, 조종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엠디넷
Priority to KR1020190159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5918B1/ko
Publication of KR20210070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00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5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59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 G06Q30/0271Personalized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8Targeted advertisements at point-of-sale [PO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100)과 빅데이터 처리/AI 운영 통합 서버부(200)를 포함하는 빅데이터와 인공 지능 알고리즘을 통한 고객 개인 맞춤형 패션 디자인 판매용 디지털 사이니지에 관한 발명으로 결제코드가 결합된 고객 가상 아바타와 매칭된 광고 데이터 또는 상품 데이터를 통해 결제가 이루어지면 고객에게 약정된 대가가 지급되는 고객판매용데이터를 생성하여 고객이 광고주 또는 판매자가 되어 수익을 올릴 수 있게 함으로써 다방향 광고를 실현시킨다.

Description

빅 데이터와 인공 지능 알고리즘을 통한 고객 개인 맞춤형 패션 디자인 판매용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 TO SELL FASHION GOODS USING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본 발명은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100)과 빅데이터 처리/AI 운영 통합 서버부(200)를 포함하는 빅데이터와 인공 지능 알고리즘을 통한 고객 개인 맞춤형 패션 디자인 판매용 디지털 사이니지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100)과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1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빅데이터 처리/AI 운영 통합 서버부(200)의 데이터와 매칭되어 생성된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 송수신 모듈(210)과,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100)의 위치 데이터를 전달받아 인터넷 포털사이트나 기상청 서버로부터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100)이 설치된 위치의 날씨, 온도, 습도 및 환경정보를 수집하는 환경 데이터 생성 모듈(200)과,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100)을 통해 수신된 고객 데이터를 식별하여 회원 여부를 판별하고, 비회원일 경우, 고객을 식별하기 위한 고객 식별 코드가 부여된 고객데이터세트를 생성하는 고객 데이터 생성 모듈(230)과,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고객의 실시간 영상 및 이미지 데이터가 분석되어 고객 신체 특징점 위치가 설정되고, 각 특징점들의 사이 거리가 계산되어 고객 가상 아바타를 생성하는 고객 가상 아바타 생성부(240)와, 고객 데이터, 상품 데이터, 광고 데이터, 판매용 데이터 및 고객 유인 데이터 및 업데이트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 모듈(250)과, 고객이 선택한 상품 데이터를 고객 가상 아바타에 매칭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고객셀프모델데이터 생성 모듈(260)과, 결제코드가 결합된 고객 가상 아바타와 매칭된 광고 데이터 또는 상품 데이터를 통해 결제가 이루어지면 고객에게 약정된 대가가 지급되는 고객판매용데이터를 생성하는 고객판매용데이터생성모듈(270)과,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100)을 통해 수신된 고객 데이터와, 환경 데이터 수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환경 데이터와, 데이터 저장 모듈(200e)에 저장된 상품 데이터, 광고 데이터, 고객 유인 데이터를 빅데이터로 매칭 분석해서 고객 맞춤형 데이터를 생성하는 빅데이터/AI 처리 모듈(280)과, 고객 맞춤형 데이터를 고객에게 송부하고 고객의 반응을 수신하는 고객 요구 데이터 수집 모듈(290)로 이루어지는 빅데이터 처리/AI 운영 통합 서버부(200)를 포함하는 빅 데이터와 인공 지능 알고리즘을 통한 고객 개인 맞춤형 패션 디자인 판매용 디지털 사이니지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는 마케팅, 광고, 트레이닝 효과를 비롯한 고객 경험을 유도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툴로써 공항이나 호텔, 병원 같은 공공 장소에서 방송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특정한 정보를 함께 제공하는 디지털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의미한다. 디지털 사이니지는 주로 내장된 카메라와 센서를 활용하여 근거리에 있는 고객의 나이, 성별, 감정 등을 수집해 이에 적합한 광고를 송출함으로써 짧은 시간 내 최대 광고 효과를 누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로 각광받고 있으며, 지하철, 아파트 엘리베이터, 버스 정류장 등에 있는 디스플레이 광고판, 식음료 매장 내 디지털 메뉴보드, 무인주문 키오스크, 백화점, 전시장, 대형유통마트 내 홍보 및 안내 디스플레이 등 업계 전반에 걸쳐 그 활용도와 역할이 점차 확대되고 있고, IT기술 발전에 따라 그 종류도 점차 다양해지고 있다. 이와 함께, 디지털 사이니지에서 수집되는 정보들이 인위적으로 처리될 수 없을 정도로 방대해지면서 빅데이터화되고 있고, 상기 빅데이터를 처리/분석하고, 인공지능 알고리즘 기술을 활용해 유효한 패턴을 찾아냄으로써 새로운 비지니스를 창출하려는 동 산업계의 니즈도 커지고 있다.
종래 패션 매장에서 상품의 홍보는 대중에게 인기 있는 특정 모델에게 신상품을 착용하게 하여 온라인 및 오프라인 광고 매체를 통하여 대중에게 전달하거나 신상품을 입한 마네킹을 디스플레이 하여 고객의 구매를 유도하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이는 상품 판매자의 일방적인 정보전달에 불과해 고객 맞춤형 광고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근래에는 백화점 및 유명 의류 브랜드 매장을 중심으로 디지털 사이니지를 설치하여 내장된 카메라와 센서를 활용해 근거리에 있는 고객의 나이, 성별, 감정 등을 수집해 개별 고객에게 특화된 광고를 송출함으로써 광고 효과를 높이는 기술이 쓰이고 있지만, 이 역시 고객이 일방적으로 광고를 수용하는 입장에 불과하므로 기존 홍보 방식에서 탈피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이와 같은 한계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빅 데이터와 인공 지능 알고리즘을 통한 고객 개인 맞춤형 패션 디자인 판매용 디지털 사이니지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100)과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1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빅데이터 처리/AI 운영 통합 서버부(200)의 데이터와 매칭되어 생성된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 송수신 모듈(210)과,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100)의 위치 데이터를 전달받아 인터넷 포털사이트나 기상청 서버로부터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100)이 설치된 위치의 날씨, 온도, 습도 및 환경정보를 수집하는 환경 데이터 생성 모듈(200)과,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100)을 통해 수신된 고객 데이터를 식별하여 회원 여부를 판별하고, 비회원일 경우, 고객을 식별하기 위한 고객 식별 코드가 부여된 고객데이터세트를 생성하는 고객 데이터 생성 모듈(230)과,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고객의 실시간 영상 및 이미지 데이터가 분석되어 고객 신체 특징점 위치가 설정되고, 각 특징점들의 사이 거리가 계산되어 고객 가상 아바타를 생성하는 고객 가상 아바타 생성부(240)와, 고객 데이터, 상품 데이터, 광고 데이터, 판매용 데이터 및 고객 유인 데이터 및 업데이트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 모듈(250)과, 고객이 선택한 상품 데이터를 고객 가상 아바타에 매칭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고객셀프모델데이터 생성 모듈(260)과, 결제코드가 결합된 고객 가상 아바타와 매칭된 광고 데이터 또는 상품 데이터를 통해 결제가 이루어지면 고객에게 약정된 대가가 지급되는 고객판매용데이터를 생성하는 고객판매용데이터생성모듈(270)과,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100)을 통해 수신된 고객 데이터와, 환경 데이터 수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환경 데이터와, 데이터 저장 모듈(200e)에 저장된 상품 데이터, 광고 데이터, 고객 유인 데이터를 빅데이터로 매칭 분석해서 고객 맞춤형 데이터를 생성하는 빅데이터/AI 처리 모듈(280)과, 고객 맞춤형 데이터를 고객에게 송부하고 고객의 반응을 수신하는 고객 요구 데이터 수집 모듈(290)로 이루어지는 빅데이터 처리/AI 운영 통합 서버부(200)를 포함하는 빅 데이터와 인공 지능 알고리즘을 통한 고객 개인 맞춤형 패션 디자인 판매용 디지털 사이니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100)을 통해 수신된 고객 데이터와, 환경 데이터 수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환경 데이터와, 고객 맞춤형 데이터를 분석하여, 고객 맞춤형 광고 샘플을 자동으로 매칭하여 디스플레이함으로써 광고 효과를 극대화시키는 빅 데이터와 인공 지능 알고리즘을 통한 고객 개인 맞춤형 패션 디자인 판매용 디지털 사이니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100)을 통해 수신된 고객 데이터와, 환경 데이터 수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환경 데이터와, 고객 맞춤형 데이터를 분석하여, 고객 가상 아바타에 고객 맞춤형 상품 샘플을 자동으로 매칭하여 디스플레이함으로써 광고 효과를 극대화시키는 빅 데이터와 인공 지능 알고리즘을 통한 고객 개인 맞춤형 패션 디자인 판매용 디지털 사이니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결제코드가 결합된 고객 가상 아바타와 매칭된 광고 데이터 또는 상품 데이터를 통해 결제가 이루어지면 고객에게 약정된 대가가 지급되는 고객판매용데이터를 생성하여 고객이 광고주 또는 판매자가 되어 수익을 올릴 수 있게 함으로써 다방향 광고를 실현시키고, 광고 효과를 극대화하며, 매출 향상에 기여하는 빅 데이터와 인공 지능 알고리즘을 통한 고객 개인 맞춤형 패션 디자인 판매용 디지털 사이니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100)을 통해 수신된 고객 데이터와, 환경 데이터 수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환경 데이터와, 고객 맞춤형 데이터를 분석하여, 고객 맞춤형 상품 샘플을 자동으로 생성하여, 신규 패션 디자인 제작을 위하여 필연적으로 겪어야하는 소모 시간과 비용을 경감시키고, 신규 패션 디자인 제작 사이클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잘못 예측된 패션 디자인 패턴을 적용하여 제작된 패션 상품의 판매 부진으로 인한 재고 증가와 같은 부담을 경감 시켜 주고, 고객이 직접 모델이 된 이미지 및 영상이 제공되어 신상품에 관한 고객의 이해와 홍보 효과를 높이는 빅 데이터와 인공 지능 알고리즘을 통한 고객 개인 맞춤형 패션 디자인 판매용 디지털 사이니지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의 전체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빅데이터 처리/AI 운영 통합 서버부의 전체적인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들에 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빅 데이터와 인공 지능 알고리즘을 통한 고객 개인 맞춤형 패션 디자인 판매용 디지털 사이니지의 간략한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과 같이, 본 발명은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100)과 빅데이터 처리/AI 운영 통합 서버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100)과 빅데이터 처리/AI 운영 통합 서버부(200)는 블루투스, WiFi, TCP/IP, GPS 등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고객이 소지하고 있는 모바일폰, 스마트폰, 헤드마운트디스플레이, 태블릿 등 고객 단말(300)과 연결되거나, 판매자가 소지하고 있는 매장용 판매 단말기, 모바일폰, 스마트폰, 태블릿 등 판매 단말(400)과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100)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과 같이, 본 발명의 발명의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100)은 실시간 영상 촬영 카메라의 시야 범위 내 진입하는 고객의 동작을 실시간 감지하여 빅데이터 처리/AI 운영 통합 서버부(200)에 전송하는 실시간 고객 촬영 모듈(110)과,
고객의 음성을 인식하여 빅데이터 처리/AI 운영 통합 서버부(200)에 전송하고, 전송된 음성 데이터와 매칭되는 음성데이터를 수신받아 출력하는 음성송수신 모듈(120)과,
실시간 고객 촬영 모듈(110)에서 촬영된 이미지 및 영상 데이터와, 고객 촬영 모듈에서 촬영된 이미지 및 영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빅데이터 처리/AI 운영 통합 서버부(200)의 데이터와 매칭되어 생성된 이미지 및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30)과,
빅데이터 처리/AI 운영 통합 서버부(200)로부터 전송된 이미지 및 영상데이터에 대응하여 고객이 선택적으로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 모듈(140)과,
빅데이터 처리/AI 운영 통합 서버부(200)에 네트워크 연결되어, 서로 다른 곳에 설치된 각각의 디지털 사이니지 간에 동적 서버 컨텐츠를 수행시키는 통신 모듈(1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3은 본 발명의 빅데이터 처리/AI 운영 통합 서버부(200)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과 같이, 본 발명의 빅데이터 처리/AI 운영 통합 서버부(200)는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1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빅데이터 처리/AI 운영 통합 서버부(200)의 데이터와 매칭되어 생성된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 송수신 모듈(210)과,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100)의 위치 데이터를 전달받아 인터넷 포털사이트나 기상청 서버로부터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100)이 설치된 위치의 날씨, 온도, 습도 및 환경정보를 수집하는 환경 데이터 생성 모듈(220)과,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100)을 통해 수신된 고객 데이터를 식별하여 회원 여부를 판별하고, 비회원일 경우, 고객을 식별하기 위한 고객 식별 코드가 부여된 고객데이터세트를 생성하는 고객 데이터 생성 모듈(230)과,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고객의 실시간 영상 및 이미지 데이터가 분석되어 고객 신체 특징점 위치가 설정되고, 각 특징점들의 사이 거리가 계산되어 고객 가상 아바타 데이터를 생성하는 고객 가상 아바타 데이터 생성 모듈(240)과,
실시간 영상 촬영 카메라의 시야 범위 내 고객이 진입하면 고객을 유인하기 위해 송출되는 고객 유인 데이터와 기저장되어 있었거나 상기 고객 데이터 생성 모듈(230)을 통해 생성된 고객 데이터와, 기저장되어 있었거나 상기 고객 가상 아바타 생성 모듈(240)을 통해 생성된 고객의 가상 아바타 데이터와, 판매하는 상품 샘플 이미지나 영상, 상품의 가격, 소재, 제조사, 유통사 등의 상품 정보 및 빅데이터 처리/AI 운영 모듈을 통해 생성된 샘플 이미지 또는 영상을 포함한 상품데이터와 판매하는 상품에 관한 광고를 송출시키기 위한 광고 데이터와, 상기 상품을 구매하기 위한 구매 데이터와 고객이 자신이 모델이 된 이미지 및 영상데이터로 수익을 얻기 위해 제공되는 판매 데이터 및 업데이트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 모듈(250)과,
고객이 선택한 상품 데이터를 고객 가상 아바타에 매칭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고객셀프모델데이터 생성 모듈(260)과,
결제코드와 고객 가상 아바타와 매칭된 광고 데이터 또는 상품 데이터와 고객 가상 아바타가 결합되고, 결제가 이루어지면 고객에게 약정된 대가가 지급되는 고객판매용데이터를 생성하는 고객판매용데이터생성모듈(270)과,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100)을 통해 수신된 고객 데이터와, 환경 데이터 수신 모듈(220)을 통해 수신된 환경 데이터와, 데이터 저장 모듈(250)에 저장된 고객 유인 데이터, 고객 데이터, 상품 데이터, 광고 데이터, 구매 데이터, 판매데이터를 포함한 데이터를 빅데이터로 매칭 분석해서 고객 맞춤형 데이터를 생성하는 빅데이터 처리/AI 운영 모듈(280)과,
고객 맞춤형 데이터를 고객에게 송부하고 고객의 반응을 수신하는 고객 요구 데이터 수집 모듈(29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빅데이터 처리/AI 운영 모듈은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100)을 통해 수신된 고객 데이터와, 환경 데이터 수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환경 데이터와, 고객 맞춤형 데이터를 분석하여, 고객 맞춤형 광고 샘플을 자동으로 매칭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맞춤 광고 생성 모듈(281)을 포함하거나,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100)을 통해 수신된 고객 데이터와, 환경 데이터 수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환경 데이터와, 고객 맞춤형 데이터를 분석하여, 고객 맞춤형 광고 샘플을 자동으로 매칭한 후, 고객 맞춤형 광고 샘플의 모델 데이터를 고객 가상 아바타로 대체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고객 모델 광고 생성 모듈(282)을 포함하거나,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100)을 통해 수신된 고객 데이터와, 환경 데이터 수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환경 데이터와, 고객 맞춤형 데이터를 분석하여, 고객 가상 아바타에 고객 맞춤형 상품 샘플을 자동으로 매칭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상품자동추천 생성 모듈(283)을 포함하거나,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100)을 통해 수신된 고객 데이터와, 환경 데이터 수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환경 데이터와, 고객 맞춤형 데이터를 분석하여, 고객 맞춤형 상품 샘플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신상품 데이터 생성 모듈(28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신상품 데이터 생성 모듈(284)은 고객 맞춤형 상품 샘플이 고객 단말로 송부되어 고객 반응을 수신하고 고객의 긍정 평가가 기설정된 기준점에 도달할 때까지 새로운 상품 데이터를 생성시키는 고객 요구 데이터 수집 모듈(29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다음과 같이 개시한다.
[실시예 1. 고객 맞춤 광고 생성 모듈(281)]
본 발명, 빅 데이터와 인공 지능 알고리즘을 통한 고객 개인 맞춤형 패션 디자인 판매용 디지털 사이니지에서 제공하는 "고객 맞춤 광고 생성 모듈(281)"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100)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100) 내 실시간 고객 촬영 모듈(110)을 통해 실시간 영상 촬영 카메라의 시야 범위 내 진입하는 고객의 동작을 실시간 감지하여 획득된 이미지 및 영상이 빅데이터 처리/AI 운영 통합 서버부(200) 내 데이터 송수신 모듈(210)을 통해 고객 데이터 생성 모듈(230)로 전달된다.
고객 데이터 생성 모듈(230)은 상기 고객의 동작을 실시간 감지하여 획득된이미지 및 영상이 고객이 될 요건을 갖춘 예비 고객의 이미지 및 영상으로 인식될 경우, 데이터 저장 모듈(250) 내 고객 데이터를 비교 분석하여 기존에 있던 고객인지 판단하고, 기존에 없는 고객이라면 고객을 식별하기 위한 고객 식별 코드가 부여된 새로운 고객데이터세트를 고객데이터부(251)에 생성시킨다. 이때 상기 예비 고객의 이미지란, 사람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기 위해 기준이 되는 사람 이미지들과 비교되어 유사도가 산출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예비 고객의 이미지는 사람에 국한하지는 않으며 사람이 아닌 이미지들과 비교하여 유사도가 산출될 수도 있다.
상기 고객 데이터는 빅데이터 처리/AI 운영 모듈(280)을 통해 데이터 저장 모듈(250)에 있는 데이터와 매칭되어 분석됨으로서 맞춤 광고 생성 모듈(281)에서 맞춤 광고를 생성시켜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100)에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100)을 통해 실시간으로 획득된 고객 데이터를 분석하여 고객의 반응을 판단하되, 만일 부정적이라고 판단되면, 맞춤 광고 생성 모듈(281)에 신호를 보내 다른 고객 맞춤 광고가 디스플레이되게 함으로써, 다시 고객의 반응을 전달받고, 고객의 반응이 긍정적이라고 판단될 때까지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최적의 고객 맞춤형 광고를 실현시키는 고객 맞춤 광고 생성 모듈(281)을 포함한 빅 데이터와 인공 지능 알고리즘을 통한 고객 개인 맞춤형 패션 디자인 판매용 디지털 사이니지를 제공하게 된다.
구체적인 예시를 들면, 실시간 고객 촬영 모듈(110)을 통해 획득된 이미지 및 영상은 빅데이터 처리/AI 운영 모듈(280)에서 성별, 인종별, 나이대별, 옷차림별 등으로 다양하게 이미지 및 영상 그룹들이 설정되어 있는 고객데이터부(251) 내 이미지 및 영상 그룹들과 매칭 분석되어 유사도가 산출됨으로써, 고객이 여자인지 남자인지, 흑인인지 백인인지, 20대인지 70대인지 정장을 입었는지 캐쥬얼을 입었는지 등 고객 맞춤형 데이터를 생성시킬 수 있고,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도출된 고객 맞춤형 데이터는 환경 데이터 수신 모듈(220)을 통해 수신된 환경 데이터와 데이터 저장 모듈(250) 내 상품구매데이터부(251d)의 상품구매내역데이터와 매칭 분석됨으로써 고객 맞춤 광고 생성이 가능하다.
더 구체적으로, 고객 전체의 상품구매데이터부(251d)를 분석하면 고객 그룹별 선호하는 패션 상품이 파악될 수 있는 바, 즉, 나이, 성별, 거주 지역 등이 동일한 특정 그룹 회원들의 구매 이력을 바탕으로 그들이 선호하는 패션 상품의 샘플을 추려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간 고객 촬영 모듈(110)을 통해 획득된 이미지 및 영상이 빅데이터 처리/AI 운영 모듈(280)에서 빅데이터로 분석되고 AI 알고리즘으로 학습되어, "20대", 남성", "백인", "정장을 입은 고객", "서울에 위치한 A 백화점 매장", "일요일", "오후 2시", "비오는 날"이라는 고객 맞춤 데이터가 추출되었다면, 고객 전체의 상품구매데이터부(251d)에서 정장을 입은 20대 남성 백인 서울에 위치한 A 백화점 매장에서 일요일 오후 2시 비오는 날에 구매한 상품의 이력을 분석하고, 그 결과 제일 잘 팔렸던 패션 상품이 푸른색 V라인 티셔츠였다고 한다면,광고샘플데이터부(256)에 저장된 푸른색 V라인 티셔츠 광고를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100)에 전송하여 디스플레이되게함으로써 고객 맞춤 광고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고객에게 고객 맞춤 광고를 생성하기 위해 분석되는 데이터는 상기 예시 때문에 제한되지 않으며 빅데이터 처리/AI 운영 통합 서버부(200)에 있는 어떤 데이터라도 될 수 있다.
[실시예 2. 고객모델광고 생성 모듈(282)]
본 발명, 빅 데이터와 인공 지능 알고리즘을 통한 고객 개인 맞춤형 패션 디자인 판매용 디지털 사이니지에서 제공하는 "고객모델광고 생성 모듈(282)"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100) 내 실시간 고객 촬영 모듈(110)을 통해 실시간 영상 촬영 카메라의 시야 범위 내 진입하는 고객의 동작을 실시간 감지하여 획득된 이미지 및 영상이 빅데이터 처리/AI 운영 통합 서버부(200) 내 데이터 송수신 모듈(210)을 통해 고객 데이터 생성 모듈(230)로 전달된다.
고객 데이터 생성 모듈(230)은 상기 고객의 동작을 실시간 감지하여 획득된이미지 및 영상이 고객이 될 요건을 갖춘 예비 고객의 이미지 및 영상으로 인식될 경우, 데이터 저장 모듈(250) 내 고객 데이터를 비교 분석하여 기존에 있던 고객인지 판단하고, 기존에 없는 고객이라면 고객을 식별하기 위한 고객 식별 코드가 부여된 새로운 고객데이터세트를 고객데이터부(251)에 생성시킨다. 이때 상기 예비 고객의 이미지란, 사람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기 위해 기준이 되는 사람 이미지들과 비교하여 유사도가 산출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예비 고객의 이미지는 사람에 국한하지는 않으며 사람이 아닌 이미지들과 비교하여 유사도가 산출될 수도 있다.
상기 고객 데이터는 빅데이터 처리/AI 운영 모듈(280)을 통해 데이터 저장 모듈(250)에 있는 데이터와 매칭되어 분석됨으로서 고객모델광고 생성 모듈(282)에서 고객 맞춤형 고객 모델 광고를 생성시켜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100)에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100)을 통해 실시간으로 획득된 고객 데이터를 분석하여 고객의 반응을 판단하되, 만일 부정적이라고 판단되면, 맞춤 광고 생성 모듈(281)에 신호를 보내 다른 광고가 디스플레이되게 함으로써, 다시 고객의 반응을 전달받고, 고객의 반응이 긍정적이라고 판단될 때까지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최적의 고객 맞춤형 고객 모델 광고를 실현시키는 고객모델광고 생성 모듈(282)을 포함한 빅 데이터와 인공 지능 알고리즘을 통한 고객 개인 맞춤형 패션 디자인 판매용 디지털 사이니지를 제공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고객 촬영 모듈(110)을 통해 획득된 고객의 실시간 영상 및 이미지 데이터가 고객가상아바타데이터부(251a)로 전송되어, 신체의 주요 관절, 근육, 뼈의 위치 등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신체의 특징점 알고리즘을 통해 다수 개의 고객 신체 특징점들 위치가 설정되고 각 특징점들의 사이 거리가 계산되어 고객의 신체 사이즈가 산출됨으로써, 고객 가상 아바타가 생성되고, 상기 고객 가상 아바타는 광고샘플데이터부(256) 내 고객모델광고샘플데이터부(256b)의 고객 모델 광고 샘플 데이터와 결합되어 고객이 상품을 착용하여 모델이 된 이미지 또는 영상을 생성시켜 디스플레이 되게 한다.
더 구체적으로, 광고샘플데이터부(256) 내 고객모델광고샘플데이터부(256b)는 배경이 되는 이미지 및 영상과 모델이 되는 이미지 및 영상이 별도 레이어화 되어 구성된 데이터로 저장되어 있고, 모델이 되는 이미지 및 영상은 다른 이미지 및 영상으로 대체될 수 있도록 구성된 다수 개의 특징점으로 이루어져 있는 바, 상기 고객 가상 아바타의 특징점들과 연동되어 합성됨으로써, 고객이 상품을 착용하여 모델이 된 광고 이미지 또는 영상이 고객 모델 광고로써 디스플레이 되게 된다.
이때, 상기 고객 맞춤 고객모델광고를 생성하기 위해 분석되는 데이터는 상기 예시 때문에 제한되지 않으며 빅데이터 처리/AI 운영 통합 서버부(200)에 있는 어떤 데이터라도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객 맞춤형 고객 모델 광고를 생성하기 위해 분석되는 데이터는 상기 예시 때문에 제한되지 않으며 빅데이터 처리/AI 운영 통합 서버부(200)에 있는 어떤 데이터라도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 1의 맞춤 광고 생성 모듈(281)과 실시예 2의 고객모델광고 생성 모듈(282)은 연동이 가능한 바, 일례로 상기 맞춤 광고 생성 모듈(281)에서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100)을 통해 실시간으로 획득된 고객의 데이터를 고객 요구 데이터 수집 모듈(290)로 분석해 고객의 반응을 판단하되, 만일 부정적인 반응이라고 판단되면, 맞춤 광고 생성 모듈(281)에서 고객 맞춤 광고를 디스플레이시킬 수도 있으나, 설정에 따라 다른 고객 모델 광고를 디스플레이 시킬 수도 있다.
반대로, 상기 고객모델광고 생성 모듈(282)에서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100)을 통해 실시간으로 획득된 고객의 데이터를 고객 요구 데이터 수집 모듈(290)로 분석해 고객의 반응을 판단하되, 만일 부정적인 반응이라고 판단되면, 광고샘플데이터 생성 모듈(200k)에 신호를 보내 다른 고객모델광고를 디스플레이시킬 수도 있으나, 설정에 따라 고객이 모델이 되지 않은 고객 맞춤 광고를 디스플레이 시킬 수도 있다.
[실시예 3. 고객 요구 데이터 수집 모듈(290)의 고객 유인 방법]
본 발명, 빅 데이터와 인공 지능 알고리즘을 통한 고객 개인 맞춤형 패션 디자인 판매용 디지털 사이니지에서 제공하는 "고객 요구 데이터 수집 모듈(290)"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100)이 설치되어 있고,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100) 내 실시간 고객 촬영 모듈(110)을 통해 획득된 이미지 및 영상은 빅데이터/AI 운영 서버 통합 정보 제공 시스템(200)내 데이터 송수신 모듈(210)을 통해 고객 데이터 생성 모듈(230)로 전달되어 사람의 이미지를 인식하는 고객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고객 데이터는 데이터 저장 모듈(250) 내 고객가상아바타데이터부(251a)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및 영상데이터들과 비교 분석되어 유사도가 산출됨으로써 신규 고객인지 여부가 판별된다. 이때 신규 고객인지 판단 여부는 안면인식기술, 홍채인식기술을 포함한 생체인식기술과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한 AI 처리기술이 활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객데이터부(251)에는 실시간 고객 촬영 모듈(110)을 통해 획득된 다수 개별 고객의 다수 이미지 및 영상들이 머신 러닝을 통해 알고리즘이 반복 적용되는 방식으로 학습되어 산출된 안면특징데이터, 홍채특징데이터, 신체비율데이터 등 생체특징데이터가 저장되어 있고, 상기 생체특징데이터를 실시간 고객 촬영 모듈(110)을 통해 촬영된 고객의 이미지 및 영상 데이터와 비교 분석함으로써 유사도를 산출해 내어 신규고객인지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신규 고객이라고 판별되면, 고객 요구 데이터 수집 모듈(290)은 모바일 번호를 포함한 고객 정보 제공 및 고객 정보 이용 동의를 유인하는 음성데이터가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100) 내 음성송수신 모듈(120)을 통해 출력되게하고, 모바일 번호를 포함한 고객 정보 제공 및 고객 정보 이용 동의를 유인하는 이미지 및 영상데이터가 디스플레이 모듈(130)을 통해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고객이 입력 모듈을 통해 고객 정보를 제공하고 정보이용에 동의하게 유인한다. 이때 입력 모듈은 디스플레이 모듈과 결합된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모듈과 결합되지 않은 터치스크린, 키보드, 터치패드, 음성 인식 마이크, 통신 마이크 등 입력 가능한 모든 장치가 해당될 수 있다.
고객이 고객 정보를 제공하고 정보이용에 동의하면, 고객 데이터 생성 모듈(230)은 고객을 식별하기 위한 고객 식별 코드가 부여된 고객데이터세트를 생성하고 상기 고객데이터세트에 접속가능한 고객 계정이 만들어지고,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100)를 통해 획득된 고객 데이터와, 고객이 입력한 데이터와, 전화번호부 목록, 통화목록, 메시지, 스케쥴러,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목록, 저장된 파일 목록, 사진 등 고객 단말에 저장되어있던 데이터 전부 혹은 일부가 고객데이터세트에 수신된다.
상기 수신된 고객데이터는 빅데이터 처리된 후 AI 처리 모듈에서 텍스트 마이닝, 데이터 마이닝 등으로 처리/분석되어, 고객의 성별, 직업, 사회적 위치, 인맥, 일상 스케쥴 등 고객별 광고 송출에 유효한 가치를 지닌 고객 맞춤형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고객 맞춤형 데이터는 고객데이터세트에 저장된다.
일례로, 고객의 전화번호부에 저장된 이름에 "아들", "딸" 이라는 단어를 추출함으로써 "기혼"이라는 고객 맞춤형 데이터를 산출해 낼수 있고, "장모님", "처제"라는 단어를 추출함으로써 "기혼 남성"이라는 고객 맞춤형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으며, 동일한 공간을 배경으로 하는 동일한 생김새의 강아지 사진이 연속해서 인식되는 경우 "반려견을 키우는 고객"이라는 고객 맞춤형 데이터를 추출해낼 수 있다.
상기 고객데이터세트에 저장된 유효한 고객 데이터는 상기 맞춤 광고 생성 모듈(281), 고객모델광고 생성 모듈(282), 상품자동추천 생성 모듈(283) 및 신상품샘플데이터생성 모듈 (284)에서 고객 맞춤형 데이터를 생성시키기 위해 빅데이터 처리되거나, AI 처리되거나, 쓰일 수 있는 다른 방법으로도 처리/분석될 수있으며 상기 예시로 한정되어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 4. 상품자동추천 생성 모듈(283)]
본 발명, 빅 데이터와 인공 지능 알고리즘을 통한 고객 개인 맞춤형 패션 디자인 판매용 디지털 사이니지에서 제공하는, 상기 고객이 직접 모델이 된 고객셀프모델데이터를 생성할수 있는 "상품자동추천 생성 모듈(283)"에 대하여 설명한다.
고객이 상품을 직접 착용하지 않아도 상품자동추천 생성 모듈(283)을 통해 상품자동추천 데이터를 생성하여 고객이 상품을 착용하여 직접 모델이 된 이미지 또는 영상이 디스플레이될 수있다.
구체적으로, 실시간 고객 촬영 모듈(110)을 통해 실제 상품을 착용한 고객의 실시간 영상 및 이미지 데이터가 고객가상아바타데이터부(251a)로 전달되어, 이미 설정된 신체의 특징점 알고리즘을 통해 신체의 주요 관절, 근육, 뼈의 위치 등을 기준으로 다수 개의 고객 신체 특징점의 위치가 설정되며, 각 특징점들의 사이 거리가 계산되어 고객의 신체 사이즈가 산출됨으로써 고객 가상 아바타가 생성된다. 상기 고객 가상 아바타가 생성되면 상품자동추천 생성 모듈(283)은
상기 고객 가상 아바타를 상품샘플데이터부(252) 내 가상의 상품 샘플 데이타와 결합시켜 고객이 상품을 착용하여 모델이 된 이미지 또는 영상이 디스플레이 모듈(130)을 통해 디스플레이되게 함으로써, 고객이 실제 착용한 의류와 관계없이 가상 패션 상품만을 착용한 것 같이 시뮬레이션 되게 한다. 이때 상품 샘플 데이터는 기설정된 특징점이 존재하고, 상기 상품샘플데이터 특징점은 고객의 움직임과 연동되어, 실시간으로 고객의 신체 특징점 위치 변동을 추적하여, 고객 신체 특징점 위치 변화에 따라 자연스럽게 시뮬레이션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와 관련, 상기와 같은 고객 가상 아바타 생성을 위해 실시간 고객 촬영은 깊이 카메라 또는 RGB 카메라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바,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대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대상에 대하여 실시간으로 깊이 정보를 획득하며, 이와 같이 얻어진 깊이 정보를 이용하여 고객 신체의 주요 관절 등 특징점의 위치를 추적함으로써 고객의 움직임을 측정하고, 또한 얻어진 영상의 패턴 분석을 통해 고객 신체의 주요 관절 등 특징점의 위치를 추적함으로써 고객의 움직임을 측정하고, RGB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된 고객의 신체의 중심점과, 주요 관절에 따른 특징점을 찾아 고객의 위치정보에 따른 깊이 정보를 통해 고객의 움직임을 파악하는 기술에 관한 알고리즘은 종래에 널리 알려져있는 기술이므로, 본 명세서에서 별도로 설명하지 않고, 그것으로 대체한다.
상기 고객이 상품을 착용하여 모델이 된 이미지 또는 영상은 고객이 가상 패션 상품의 색상, 무늬, 장식, 아웃라인 등을 수정할 수 있도록 하는 수정툴이 제공될 수 있는데, 고객이 상품을 착용하여 모델이 된 이미지 또는 영상 데이터와 함께 상품샘플이미지를 보여주는 상품샘플데이터 수정툴이 디스플레이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된 상품샘플데이터 수정툴에 나타난 상품샘플이미지에서 영역을 선택한 뒤 해당 영역의 색상, 무늬, 장식, 아웃라인 등이 입력부를 통해 정정될 수 있다. 상기 정정된 영역은 고객이 상품을 착용하여 모델이 된 이미지 또는 영상에 반영되어 고객은 정정된 디자인의 패션 상품을 걸친 자신이 모델이 된 이미지 또는 영상을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때 고객이 수정툴를 활용하는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기 때문에 판매자는 상품샘플데이터 수정툴에 접속할 수 있는 판매 단말(400)을 통해 고객을 대신하여 상품샘플이미지를 수정할 수 있고, 고객이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의 입력 모듈 사용에 익숙하지 않은 경우를 고려하여, 고객이 상품샘플데이터 수정툴에 접속 가능한 고객 단말(300)을 통해 수정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고객에게 최종 선택된 상품샘플데이터가 수정툴을 통해 정정되어 기존에 없는 상품샘플데이터가 된 경우, 새롭게 상품샘플데이터가 생성되어 새로운 상품샘플데이터로써 저장된다.
상기 고객이 상품을 착용하여 모델이 된 이미지 또는 영상은 카카오톡 메시지, 온라인 쇼핑몰, SNS, 통신 가능한 디지털 사이니지 등에 업로드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고객 단말로 전송될 수있다.
[실시예 5. 고객판매용데이터 생성 모듈(270)]
본 발명, 빅 데이터와 인공 지능 알고리즘을 통한 고객 개인 맞춤형 패션 디자인 판매용 디지털 사이니지에서 제공하는, 상기 고객이 직접 모델이 된 고객셀프모델데이터를 생성할수 있는 "고객판매용데이터 생성 모듈(270)"에 대하여 설명한다.
고객 가상 아바타와 매칭된 광고 데이터 또는 상품 데이터는 결제코드가 결합되어 고객판매용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고객을 수익사업에 참여시킬 수 있다.
고객판매용데이터생성모듈(270)은 상품판매계약을 위한 필요정보의 입력을 요구하는 판매계약양식을 디스플레이시키고, 고객이 상품을 착용하여 모델이 된 이미지 또는 영상에 광고 데이터 및 상품데이터와 결제모드를 활성화시켜 결제 가능한 창을 생성시키고 결제가 이루어지면 고객에게 기설정된 판매계약양식에 약정된 대가가 지급되는 결제코드를 결합시켜 고객판매용데이터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고객은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100) 혹은 고객 단말(300)을 이용해 본인의 계정으로 로그인함으로써 빅데이터 처리/AI 운영 서버(200) 내 고객데이터부(251)에 있는 본인의 고객데이터세트에 접속가능하며, 고객셀프모델판매용데이터부(251c)를 활성화 시켜 상품판매계약 양식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객셀프모델판매용데이터부(251c)가 활성화되면, 상품판매데이터부(251e)에 있는, 고객에게 서명을 포함해 필요한 정보의 입력을 요구하는 기설정된 판매계약양식이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기설정된 판매계약양식에는 계약 당사자인 제조사, 판매사, 고객 및 회원의 이름과 주소, 판매 상품의 종류 및 명칭, 사이즈, 가격, 수수료율, 판매 기간, 판매 물품 수량, 결제 방법, 초상권을 포함한 저작권에 대한 사항 등 계약에 관한 모든 사항이 포함될 수 있고, 이 같은 정보는 저장되어 있던 고객 데이터를 통해 제공될 수도 있고, 입력을 요청하게 할수도 있다.
상기 판매계약이 완성되면 고객셀프모델판매용데이터부(251c)에 있던 고객이 상품을 착용하여 모델이 된 이미지 또는 영상에 결제코드가 결합되어 고객셀프모델판매용데이터가 생성되고, 상품판매데이터부(251e) 내 고객셀프모델판매용데이터가 생성된다.
상기 고객셀프모델판매용데이터는 카카오톡 메시지, 온라인 쇼핑몰, SNS, 통신 가능한 디지털 사이니지 등에 업로드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고객 단말로 전송될 수있다.
상기 업로드된 셀프모델영상판매데이터는 클릭 등의 입력 행위로 결제모드가 활성화될수 있고, 결제모드가 활성화되면 상품 정보와 함께 결제창이 띄워진다. 결제는 모바일 결제, 카드 결제, 쿠폰, 코인, 사이버 머니 등 온라인으로 결제가능한 어떤 수단이라도 될 수 있다. 결제가 이루어지면 상품 배송 및 계정 생성을 위해 모바일 전화번호를 포함한 개인정보를 요청하는 창이 열리게되고, 새로운 고객의 데이터는 빅데이터 처리/AI 운영 통합 서버부(200)으로 전송되어 고객데이타부 내 새롭게 생성된 고객데이타세트에 저장되고, 고객의 새로운 구매 데이터는 상품구매데이터부(251d)에 별도 구매계약세트를 구분하기 위한 식별번호를 포함하여 새롭게 생성된 구매계약세트에 저장된다. 이때 결제모드를 활성화시키는 입력 행위는 결합된 결제코드에 따라 클릭 뿐만 아니라 바코드 판독, QR코드 판독, 액션 인식 기술 등도 이용될 수있고, 상기 결제 코드와 입력 행위는 결제 가능하게 만드는 모든 결제코드와 그 결제코드를 활성화 시킬수 있는 모든 입력행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상기 예시로 인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구매 및 결제정보는 고객과 판매계약을 맺은 제조사 및 판매사에게 통보되고, 제조사 및 판매사는 개별 구매계약세트에 저장된 구매 정보를 통해 상품 배송 등을 이행하고, 환불 등 특이사항이 없으면 상품판매 계약시 약정했던 대가를 제공한다. 이때 대가는 쿠폰, 코인, 사이버 머니, 실물의상 등을 포함해 고객에게 계약에 적합한 수익을 지급할 수 있는 어떤 것이라도 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상기 예시로 인하여 그 종류가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 6. 신상품샘플데이터생성 모듈 (284)]
본 발명, 빅 데이터와 인공 지능 알고리즘을 통한 고객 개인 맞춤형 패션 디자인 판매용 디지털 사이니지에서 제공하는, "신상품샘플데이터생성 모듈(284)"을 설명한다.
상기 환경 데이터 수신 모듈(220), 고객 데이터 생성 모듈(230), 고객 가상 아바타 데이터 생성 모듈(240), 고객셀프모델데이터 생성 모듈(260), 고객판매용데이터 생성모듈(270) 및 빅데이터 처리/AI 운영 모듈(280) 내 맞춤 광고 생성 모듈(281), 고객모델광고 생성 모듈(282), 상품자동추천 생성 모듈(283), 신상품샘플데이터생성 모듈(284) 및 고객 요구 데이터 수집 모듈(290)을 통하여, 얻어진 상기 데이타는 빅데이터 처리/AI 운영 통합 서버부(200) 내 빅데이터/AI 처리 모듈(280)을 통해 빅데이터로 분석되고 AI 알고리즘으로 학습되어 고객이 선호하는 신상품 샘플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품구매데이터부(251d)를 고객별로 빅데이터 처리, 분석하면, 전체 패션상품들 중에서 그 고객 그룹이 선호하는 패션상품이 무엇인지를 예측할 수 있다. 일례로 40대, 남성, 기혼, 서울에 거주하는 고객 그룹이 구매했던 긴팔 티셔츠의 넥라운드 지름이 2017년에는 10cm였고, 2018년에는 12cm였고, 2019년에는 14cm였다면 다음해에는 넥라운드 지름이 16cm인 긴팔 티셔츠가 상기 고객 그룹 사이에서 선호될 것이라고 예측될수 있다. 이때 이처럼 고객이 선호하는 패션상품이 무엇인지를 예측하기 위해 빅데이터 처리/AI 운영 모듈(28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는 상품구매데이터부(251d)뿐만 아니라 빅데이터 처리/AI 운영 모듈(280)을 통해 수집되는 어떤 데이터라도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빅데이터 처리 모듈을 통해 처리 분석된 빅데이타는 AI 처리 모듈(200i)을 통해 딥러닝(Deep Learning) 등 머신 러닝(machine learning)이 수행되어 고객이 선호하는 디자인 패턴을 생성하고, 상기 패턴을 기반으로 신상품샘플데이터생성 모듈(284)을 통해 고객이 선호하는 신상품 샘플 데이터를 생성한다. 머신 러닝의 일종인 딥러닝(deep learning) 기술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다단계로 깊은 수준까지 내려가 학습할 수 있는 기술로서, 단계를 높여갈수록 복수의 데이터들로부터 핵심적인 데이터를 추출하는 머신 러닝 알고리즘의 집합을 나타낼 수 있는데, 이러한 머신 러닝 알고리즘은 종래에 널리 알려져있는 기술이므로, 본 명세서에서 별도로 설명하지 않고, 그것으로 대체한다.
상기 신상품 샘플 데이터는 고객가상아바타데이터부(251a)에 저장된 고객 가상 아바타와 결합되어 고객이 모델이 되어 신상품 샘플을 착용하고 있는 고객이 모델이 된 이미지 또는 영상을 생성시키고, 상기 고객이 모델이 된 이미지 또는 영상에 관한 고객 반응을 수신하여 고객 반응이 정식 출시해도 될 정도라고 판단될 수 있는 기설정된 기준값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신상품 샘플 데이터는 상품샘플데이터부(252)에 저장된다.
만일 고객 반응이 기준값에 미달할경우 고객 요구 데이터 수집 모듈(290)에서 수집된 정보를 포함하여 머신 러닝을 수행함으로써 다시 신상품샘플데이터를 자동으로 생성시키고, 그 다시 생성된 신상품샘플데이터가 고객가상아바타데이터부(251a)에 있는 고객 가상 아바타와 결합되어 고객이 모델이 되어 다시 생성된 신상품샘플을 착용하고 있는 고객이 모델이 된 이미지 또는 영상을 생성시켜, 상기 이미지 또는 영상에 신상품 샘플에 관한 고객 반응을 수신하여 고객 반응이 정식 출시해도 될 정도라고 판단될 수 있는 기설정된 기준값에 도달할때까지 상기 과정을 반복한다.
상기 신상품 샘플 데이터는 판매 단말을 통해 판매자, 제작자 및 디자이너에게 전달됨으로써, 판매자 및 제작자가 최신 디자인 추세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줄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100)과 빅데이터 처리/AI 운영 통합 서버부(200)를 포함하는 빅데이터와 인공 지능 알고리즘을 통한 고객 개인 맞춤형 패션 디자인 판매용 디지털 사이니지에 관한 발명으로, 결제코드가 결합된 고객 가상 아바타와 매칭된 광고 데이터 또는 상품 데이터를 통해 결제가 이루어지면 고객에게 약정된 대가가 지급되는 고객판매용데이터를 생성하여 고객이 광고주 또는 판매자가 되어 수익을 올릴 수 있게 함으로써 다방향 광고를 실현시켜 광고 효과가 우수하다.
100:디지털 사이니지 단말
110:실시간 고객 촬영 모듈
120:음성송수신 모듈
130:디스플레이 모듈
140:입력 모듈
150:통신 모듈
200:빅데이터 처리/AI 운영 통합 서버부
210:데이터 송수신 모듈
220:환경 데이터 생성 모듈
230:고객 데이터 생성 모듈
240:고객 가상 아바타 생성부
250:데이터 저장 모듈
260:고객셀프모델데이터 생성 모
270:고객판매용데이터생성모듈
280:빅데이터 처리/AI 운영 모듈
281:맞춤 광고 생성 모듈
282:고객 모델 광고 생성 모듈
283:상품자동추천 생성 모듈
284:신상품 데이터 생성 모듈
290:고객 요구 데이터 수집 모듈
300:고객 단말
400:판매 단말

Claims (8)

  1. 카메라 시야 범위 내 진입하는 고객의 동작을 실시간 감지하여 빅데이터 처리/AI 운영 통합 서버부(200)에 전송하는 실시간 고객 촬영 모듈(110)과,
    고객의 음성을 인식하여 빅데이터 처리/AI 운영 통합 서버부(200)에 전송하고, 전송된 음성 데이터와 매칭되는 음성데이터를 수신받아 출력하는 음성송수신 모듈(120)과,
    실시간 고객 촬영 모듈(110)에서 촬영된 이미지 및 영상 데이터와, 고객 촬영 모듈에서 촬영된 이미지 및 영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빅데이터 처리/AI 운영 통합 서버부(200)의 데이터와 매칭되어 생성된 이미지 및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30)과,
    빅데이터 처리/AI 운영 통합 서버부(200)로부터 전송된 이미지 및 영상데이터에 대응하여 고객이 선택적으로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 모듈(140)과,
    빅데이터 처리/AI 운영 통합 서버부(200)에 블루투스, WiFi, TCP/IP와 같은 네트워크 연결되어 건물·장소별 실내·외에 위치한 각각의 디지털 사이니지 간에 동적 서버 컨텐츠를 수행시키는 통신 모듈(150)을 포함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100)과,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1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빅데이터 처리/AI 운영 통합 서버부(200)의 데이터와 매칭되어 생성된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 송수신 모듈(210)과,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100)의 위치 데이터를 전달받아 인터넷 포털사이트나 기상청 서버로부터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100)이 설치된 위치의 날씨, 온도, 습도 및 환경정보를 수집하는 환경 데이터 생성 모듈(220)과,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100)을 통해 수신된 고객 데이터를 식별하여 회원 여부를 판별하고, 비회원일 경우, 고객을 식별하기 위한 고객 식별 코드가 부여된 고객데이터세트를 생성하는 고객 데이터 생성 모듈(230)과,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고객의 실시간 영상 및 이미지 데이터가 분석되어 고객 신체 특징점 위치가 설정되고, 각 특징점들의 사이 거리가 계산되어 고객 가상 아바타를 생성하는 고객 가상 아바타 생성부(240)와,
    고객 데이터, 상품 데이터, 광고 데이터, 판매용 데이터 및 고객 유인 데이터 및 업데이트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 모듈(250)과,
    고객이 선택한 상품 데이터를 고객 가상 아바타에 매칭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고객셀프모델데이터 생성 모듈(260)과,
    결제코드와 고객 가상 아바타와 매칭된 광고 데이터 또는 상품 데이터와 고객 가상 아바타가 결합되고, 결제가 이루어지면 고객에게 약정된 대가가 지급되는 고객판매용데이터를 생성하는 고객판매용데이터생성모듈(270)과,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100)을 통해 수신된 고객 데이터와, 환경 데이터 수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환경 데이터와, 데이터 저장 모듈(200e)에 저장된 상품 데이터, 광고 데이터, 고객 유인 데이터를 빅데이터로 매칭 분석해서 고객 맞춤형 데이터를 생성하는 빅데이터 처리/AI 운영 모듈(280)과,
    고객 맞춤형 데이터를 고객에게 송부하고 고객의 반응을 수신하는 고객 요구 데이터 수집 모듈(290)을 포함하는
    빅데이터 처리/AI 운영 통합 서버부(200)를 포함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 데이터와 인공 지능 알고리즘을 통한 고객 개인 맞춤형 패션 디자인 판매용 디지털 사이니지.
  2.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빅데이터 처리/AI 운영 모듈은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100)을 통해 수신된 고객 데이터와, 환경 데이터 수신 모듈(220)을 통해 수신된 환경 데이터와, 고객 맞춤형 데이터를 분석하여, 고객 맞춤형 광고 샘플을 자동으로 매칭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맞춤 광고 생성 모듈(28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 데이터와 인공 지능 알고리즘을 통한 고객 개인 맞춤형 패션 디자인 판매용 디지털 사이니지.
  3.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빅데이터 처리/AI 운영 모듈은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100)을 통해 수신된 고객 데이터와, 환경 데이터 수신 모듈(220)을 통해 수신된 환경 데이터와, 고객 맞춤형 데이터를 분석하여, 고객 맞춤형 광고 샘플을 자동으로 매칭한 후, 고객 맞춤형 광고 샘플의 모델 데이터를 고객 가상 아바타로 대체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고객 모델 광고 생성 모듈(28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 데이터와 인공 지능 알고리즘을 통한 고객 개인 맞춤형 패션 디자인 판매용 디지털 사이니지.
  4.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빅데이터 처리/AI 운영 모듈은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100)을 통해 수신된 고객 데이터와, 환경 데이터 수신 모듈(220)을 통해 수신된 환경 데이터와, 고객 맞춤형 데이터를 분석하여, 고객 가상 아바타에 고객 맞춤형 상품 샘플을 자동으로 매칭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상품자동추천 생성 모듈(28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 데이터와 인공 지능 알고리즘을 통한 고객 개인 맞춤형 패션 디자인 판매용 디지털 사이니지.
  5.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빅데이터 처리/AI 운영 모듈은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100)을 통해 수신된 고객 데이터와, 환경 데이터 수신 모듈(220)을 통해 수신된 환경 데이터와, 고객 맞춤형 데이터를 분석하여, 고객 맞춤형 상품 샘플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신상품 데이터 생성 모듈(284)을 포함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 데이터와 인공 지능 알고리즘을 통한 고객 개인 맞춤형 패션 디자인 판매용 디지털 사이니지.
  6. 청구항 제5항에 있어서,
    신상품 데이터 생성 모듈(284)은
    고객 맞춤형 상품 샘플이 고객 단말로 송부되어 고객 반응을 수신하고 고객의 긍정 평가가 기설정된 기준점에 도달할 때까지 새로운 상품 데이터를 생성시키는 고객 요구 데이터 수집 모듈(29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 데이터와 인공 지능 알고리즘을 통한 고객 개인 맞춤형 패션 디자인 판매용 디지털 사이니지.
  7.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고객판매용데이터생성모듈(270)은
    판매계약양식을 디스플레이시키고,
    고객이 상품을 착용하여 모델이 된 이미지 또는 영상에
    광고 데이터 및 상품데이터와
    결제모드를 활성화시켜 결제 가능한 창을 생성시키고 결제가 이루어지면 고객에게 기설정된 판매계약양식에 약정된 대가가 지급되는 결제코드를 결합시켜 고객판매용데이터를 생성하는 고객판매용데이터생성모듈(270).
  8.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100)과
    빅데이터 처리/AI 운영 통합 서버부(200)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100)과 빅데이터 처리/AI 운영 통합 서버부(200)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고객 단말(300)과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디지털 사이니지 단말(100)과 빅데이터 처리/AI 운영 통합 서버부(200)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판매 단말(400)을 포함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 데이터와 인공 지능 알고리즘을 통한 고객 개인 맞춤형 패션 디자인 판매용 디지털 사이니지.
KR1020190159953A 2019-12-04 2019-12-04 빅 데이터와 인공 지능 알고리즘을 통한 고객 개인 맞춤형 패션 디자인 판매용 디지털 사이니지 KR1023359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9953A KR102335918B1 (ko) 2019-12-04 2019-12-04 빅 데이터와 인공 지능 알고리즘을 통한 고객 개인 맞춤형 패션 디자인 판매용 디지털 사이니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9953A KR102335918B1 (ko) 2019-12-04 2019-12-04 빅 데이터와 인공 지능 알고리즘을 통한 고객 개인 맞춤형 패션 디자인 판매용 디지털 사이니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0005A true KR20210070005A (ko) 2021-06-14
KR102335918B1 KR102335918B1 (ko) 2021-12-07

Family

ID=76417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9953A KR102335918B1 (ko) 2019-12-04 2019-12-04 빅 데이터와 인공 지능 알고리즘을 통한 고객 개인 맞춤형 패션 디자인 판매용 디지털 사이니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591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75132B1 (en) 2022-05-18 2023-10-03 Environments by LE, Inc. System and method for the management and use of building systems, facilities, and amenities using internet of things devices and a metaverse representation
KR102664241B1 (ko) * 2023-10-30 2024-05-08 주식회사 에이디쏠인터렉티브 고객 맞춤형 광고 콘텐츠의 기획 및 템플릿 생성 자동화 솔루션 제공 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5532A (ko) * 2009-08-07 2009-09-09 이창근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종합 코디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서비스 방법
KR20100137901A (ko) * 2009-06-23 2010-12-31 강희찬 3d 아바타를 이용한 의류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109721A (ko) * 2012-03-28 2013-10-08 (주)네오위즈게임즈 개인 의류 정보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JP2014102739A (ja) * 2012-11-21 2014-06-05 Japan Research Institute Ltd アバターを利用した服飾品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管理方法
KR20160049853A (ko) * 2014-10-28 2016-05-10 함승철 사용자맞춤형 온라인 패션 코디네이션 자동 매칭방법
KR20180077881A (ko) * 2016-12-29 2018-07-09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투명 디스플레이 기반의 지능화 상품 전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86161B1 (ko) * 2017-12-05 2018-08-07 엄나래 Ai 기반 개인 의류 토탈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7901A (ko) * 2009-06-23 2010-12-31 강희찬 3d 아바타를 이용한 의류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095532A (ko) * 2009-08-07 2009-09-09 이창근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종합 코디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서비스 방법
KR20130109721A (ko) * 2012-03-28 2013-10-08 (주)네오위즈게임즈 개인 의류 정보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JP2014102739A (ja) * 2012-11-21 2014-06-05 Japan Research Institute Ltd アバターを利用した服飾品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管理方法
KR20160049853A (ko) * 2014-10-28 2016-05-10 함승철 사용자맞춤형 온라인 패션 코디네이션 자동 매칭방법
KR20180077881A (ko) * 2016-12-29 2018-07-09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투명 디스플레이 기반의 지능화 상품 전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86161B1 (ko) * 2017-12-05 2018-08-07 엄나래 Ai 기반 개인 의류 토탈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Naver Blog, "[PMC] Augmented Reality Fitting Mirror~ FX Mirror virtual fitting experience zone born with IoT technology! IT News" (2016.06.21.) <URL: http://blog.naver.com/pmccorp5088/220741933629 > Part 1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75132B1 (en) 2022-05-18 2023-10-03 Environments by LE, Inc. System and method for the management and use of building systems, facilities, and amenities using internet of things devices and a metaverse representation
KR102664241B1 (ko) * 2023-10-30 2024-05-08 주식회사 에이디쏠인터렉티브 고객 맞춤형 광고 콘텐츠의 기획 및 템플릿 생성 자동화 솔루션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5918B1 (ko) 2021-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15288B2 (en) Useful and novel shopping application
US11488104B2 (en) Virtual planogram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Hwangbo et al. Use of the smart store for persuasive marketing and immersive customer experiences: A case study of Korean apparel enterprise
CN106663277B (zh) 基于用户兴趣的交互显示器
US20180033045A1 (en) Method and system for personalized advertising
US20140130076A1 (en) System and Method of Media Content Selection Using Adaptive Recommendation Engine
CN115151938A (zh) 用于标识视听内容内的产品的系统
CN105122288A (zh) 用于处理多媒体商务服务的设备和方法
CN108197519A (zh) 基于二维码扫描触发人脸图像采集的方法和装置
JP7357244B2 (ja) 店舗利用情報配信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店舗利用情報配信システム並びに店舗利用情報配信方法
TWI709098B (zh) 多媒體物料推送方法和裝置
JP2009151408A (ja) マーケティングデータ分析方法、マーケティングデータ分析システム、データ分析サー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335918B1 (ko) 빅 데이터와 인공 지능 알고리즘을 통한 고객 개인 맞춤형 패션 디자인 판매용 디지털 사이니지
JP2022517045A (ja) コンテンツのターゲットを絞った表示を行うためのシステム
EP2136329A2 (en) Comprehensive computer implemented system and method for adapting the content of digital signage displays
US20230111437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ent recognition and data categorization
CN113887884A (zh) 商超服务系统
JP5834774B2 (ja) 推奨情報提示システムおよび写真シール機
US11526925B2 (en) System and method for fashion recommendations
US11430043B2 (en) System and method for fashion recommendations
KR20210141322A (ko) 가상 피팅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79916B1 (ko) 스마트 거울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한 코디 정보 제공 시스템
KR20160005180A (ko) 복수 기업이 패션모델을 공유하여 이용하는 온라인 쇼윈도 시스템
KR102354645B1 (ko) 온라인 콘테스트 기반의 판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을 위한 시스템
KR102153336B1 (ko) 스마트 미러의 생체인증에 연동한 블록체인 기반의 마케팅 정보처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