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7881A - 투명 디스플레이 기반의 지능화 상품 전시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투명 디스플레이 기반의 지능화 상품 전시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7881A
KR20180077881A KR1020160182702A KR20160182702A KR20180077881A KR 20180077881 A KR20180077881 A KR 20180077881A KR 1020160182702 A KR1020160182702 A KR 1020160182702A KR 20160182702 A KR20160182702 A KR 20160182702A KR 20180077881 A KR20180077881 A KR 201800778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tomer
product
information
transparent display
inte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2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5669B1 (ko
Inventor
조경은
치옥용
박지선
김준오
Original Assignee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82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5669B1/ko
Priority to PCT/KR2017/013214 priority patent/WO2018124476A1/ko
Publication of KR20180077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78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5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56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1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5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hist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G09F27/005Signs associated with a sens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G09F2027/001Comprising a presence or proximity detector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기반의 지능화 상품 전시 시스템은 적어도 둘 이상의 상품을 거치하고 회전하며 선정된 특정 상품을 투명 디스플레이의 배면에서 투영시켜 전시하는 회전 전시대와, 투명 디스플레이 전방의 고객을 인식하여 고객 인식 신호를 출력하는 인식 센서부와, 카메라 및 블루투스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여 상기 고객의 이미지, 고객 소유의 전자기기 및 고객의 제스처 중 적어도 하나를 고객 정보로서 획득하는 고객 정보 획득부 및 고객 인식 신호의 수신에 따라 투명 디스플레이 전방의 고객이 인식되면, 고객 정보 획득부를 통해 획득한 고객 정보를 분석하여 고객의 관심 상품군을 추정하고, 관심 상품군에 미리 매핑된 추천 상품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추천 상품을 투명 디스플레이를 통해 투영시켜 전시하기 위해 회전 전시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투명 디스플레이 기반의 지능화 상품 전시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INTELLIGENT EXHIBITION BASED ON TRANSPARENT DISPLAY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투명 디스플레이 기반의 지능화 상품 전시대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방의 고객의 취향을 분석하여 고객의 관심 상품군을 추정하고, 추정에 따라 선별된 추천 상품을 투명 디스플레이에 투영시켜 전시하기 위해 배면의 회전 전시대를 제어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기반의 지능화 상품 전시대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사이니지는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디스플레이 스크린이나 프로젝터에 영상과 정보를 표시하고 네트워크로 원격 관리하는 융합 플랫폼이다. 이런 기능을 가진 디지털 사이니지는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 관리가 가능한 디지털 디스플레이를 공공장소나 상업공간에 설치되어 다양한 정보와 광고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융합 미디어의 성격을 지닌다.
소비자에게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광고는 옥외광고의 블루 오션으로 떠올랐다. 멀티 스크린 플랫폼을 이용한 맞춤형, 센서를 이용한 상황인지형, 스마트폰과 디지털 사이니지를 연동한 모바일 광고로 소프트웨어 기술이 발달하고 있는 상황에서 창의적인 콘텐츠 개발이 무엇보다 중요해지고 있다.
정부에서도 스마트 미디어 강국을 실현하기 위해 ‘스마트 미디어 산업 육성계획(2015~2020)’을 발표했고, 디지털 사이니지는 육성계획의 대상이 되는 산업 영역 중 하나이다.
이처럼 디지털 사이니지는 스마트 미디어 산업의 주요 영역으로 선정될 정도로 발전 가능성이 높으며, 텔레비전, 컴퓨터 및 휴대폰에 이어 제4의 스크린 미디어로 주목받는 디지털 사이니지는 광고 시장의 차세대 성장 동력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 10-139036(“투명 디스플레이 쇼케이스를 위한 온라인 영상 컨텐츠 제공 시스템”), 2012.01.30., 주식회사 더브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고객의 취향을 분석하여 고객의 관심 상품군을 추정하고, 추정에 따라 선별된 추천 상품을 투명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기반의 지능화 상품 전시대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고객의 취향에 따라 선별된 추천 상품을 선정하고 이를 투명 디스플레이에 투영시키기 위해서 투명 디스플레이의 배면에서 회전하며 상품들을 선별적으로 전시할 수 있는 투명 디스플레이 기반의 지능화 상품 전시대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기반의 지능화 상품 전시 시스템은 적어도 둘 이상의 상품을 거치하고 회전하며 선정된 특정 상품을 투명 디스플레이의 배면에서 투영시켜 전시하는 회전 전시대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전방의 고객을 인식하여 고객 인식 신호를 출력하는 인식 센서부와, 카메라 및 블루투스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여 상기 고객의 이미지, 고객 소유의 전자기기 및 고객의 제스처 중 적어도 하나를 고객 정보로서 획득하는 고객 정보 획득부 및 상기 고객 인식 신호의 수신에 따라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전방의 고객이 인식되면, 상기 고객 정보 획득부를 통해 획득한 상기 고객 정보를 분석하여 고객의 관심 상품군을 추정하고, 상기 관심 상품군에 미리 매핑된 추천 상품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추천 상품을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를 통해 투영시켜 전시하기 위해 상기 회전 전시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분석된 고객 정보 별로 미리 매핑된 관심 상품군을 추출하는 관심 상품군 추정 모듈과, 상기 관심 상품군에 미리 매핑된 특정 상품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추천 상품 추출 모듈과, 상기 추출된 특정 상품을 고객에게 추천하고자 상기 특정 상품이 거치된 개별 회전대를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에 대면시키기 위해 상기 회전판의 회전을 제어하며, 상기 인식 센서부로부터 입력된 고객 제스처를 분석하여 상기 고객 제스처에 따라 상기 회전판의 구동을 제어하는 회전 전시대 제어 모듈 및 상기 추천 상품에 관한 정보와, 상기 고객의 제스처에 대응되는 인터랙티브 데이터를 상기 특정 상품의 투영과 함께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로 출력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기 관심 상품군 추정 모듈은 매장에서 판매하는 상품군에 따라 상기 고객의 이미지 및 고객 소유의 전자기기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획득할지 결정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기 관심 상품군 추정 모듈은 고객의 이미지 획득이 결정된 경우, 상기 카메라를 실행시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전방을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에서 고객 이미지를 추출하며, 상기 추출된 고객 이미지에서 고객이 착용중인 의류 및 장신구 중 적어도 하나의 종류, 색상 및 사이즈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에 따라 고객의 관심 상품군을 추정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기 관심 상품군 추정 모듈은 고객의 의류 및 장신구 중 적어도 하나의 색상을 분석하는데 있어서, 상기 고객의 의류 및 장신구 중 적어도 하나의 색상을 HSV(Hue, Saturation, Value)를 기준으로 20도 범위 내에 해당하는 색상과 유사 색상으로 결정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추천 상품 추출 모듈은 상기 유사 색상에 해당하는 의류 및 장신구 중 적어도 하나의 상품, 고객의 피부색을 파악하여 HSV 중 Value 값이 상기 고객의 피부색에 미리 매핑된 값에 해당하는 상품, 상기 고객 이미지의 색상 중에서 비중이 큰 두 색상의 Hue 값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기준보다 클 경우, 보색을 갖는 상품, 상기 고객 이미지의 색상 중에서 비중이 큰 두 색상의 Hue 값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기준보다 작은 경우, 유사색을 갖는 상품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추천 상품으로서 추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기 관심 상품군 추정 모듈은 상기 고객 이미지에서 고객이 착용중인 장신구와 의류 및 미착용 장신구와, 상기 착용중인 장신구와 의류의 색상, 디자인 및 재질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고, 상기 추천 상품 추출 모듈은 상기 분석된 장신구 및 의류 중 적어도 하나의 색상, 디자인 및 재질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며 동시에 상기 미착용 장신구에 해당하는 장신구에 관한 정보를 추천 상품으로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기 관심 상품군 추정 모듈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에 탑재된 블루투스에서 확인되는 활성화된 주변 기기들 중 미리 설정된 신호의 세기 또는 순위에 해당하는 전자기기들을 상기 고객 소유의 전자기기로 추정하며, 상기 추정된 전자기기의 종류, 기종 및 브랜드, 제조사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에 따라 고객의 관심 상품군을 추정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기 관심 상품군 추정 모듈은 고객 소유 전자기기와 미소지한 웨어러블 전자기기를 분석하고, 상기 추천 상품 추출 모듈은 상기 분석된 고객 소유 전자기기의 브랜드 및 제조사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며 동시에 상기 미소지한 웨어러블 전자기기에 해당하는 전자기기에 관한 정보를 추천 상품으로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회전 전시대는 소정 간격 이격되게 복수의 상품들을 거치시키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 중심에 구비된 회전축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회전축을 360도 회전시켜 상기 선정된 특정 상품을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배면에 대면하도록 배치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회전판은 각 상품이 거치된 부분마다 개별적으로 360도 회전 및 상하좌우 이동이 가능한 개별 회전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회전판 및 상기 개별 회전대는, 상기 선정된 특정 상품에 대해 추가 정보를 더 확인하고자 하는 상기 고객의 제스처가 발생한 경우, 상기 고객의 제스처에 따라 구동이 제어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기 고객 정보 획득부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전방을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를 출력하는 상기 카메라 및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에 근접한 전자기기들을 파악하기 위한 상기 블루투스로 구성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블루투스에서 파악되는 활성화된 주변 기기들 중 미리 설정된 신호의 세기 또는 순위에 해당하는 전자기기들을 고객 소유의 전자기기로 추정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상기 관심 상품군에 미리 매핑된 추천 상품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유사 색상에 해당하는 의류 및 장신구 중 적어도 하나의 상품, 고객의 피부색을 파악하여 HSV 중 Value 값이 상기 고객의 피부색에 미리 매핑된 값에 해당하는 상품, 상기 고객 이미지의 색상 중에서 비중이 큰 두 색상의 Hue 값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기준보다 클 경우, 보색을 갖는 상품, 상기 고객 이미지의 색상 중에서 비중이 큰 두 색상의 Hue 값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기준보다 작은 경우, 유사색을 갖는 상품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추천 상품으로서 추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상기 고객 정보를 분석하여 고객의 관심 상품군을 추정하는 단계는, 상기 고객 이미지에서 고객이 착용중인 장신구와 의류 및 미착용 장신구와, 상기 착용중인 장신구와 의류의 색상, 디자인 및 재질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고, 상기 관심 상품군에 미리 매핑된 추천 상품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분석된 장신구 및 의류 중 적어도 하나의 색상, 디자인 및 재질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며 동시에 상기 미착용 장신구에 해당하는 장신구에 관한 정보를 추천 상품으로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상기 고객 정보를 분석하여 고객의 관심 상품군을 추정하는 단계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에 탑재된 블루투스에서 확인되는 활성화된 주변 기기들 중 미리 설정된 신호의 세기 또는 순위에 해당하는 전자기기들을 상기 고객 소유의 전자기기로 추정하고, 상기 관심 상품군에 미리 매핑된 추천 상품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추정된 전자기기의 종류, 기종 및 브랜드, 제조사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에 따라 고객의 관심 상품군을 추정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상기 고객 정보를 분석하여 고객의 관심 상품군을 추정하는 단계는, 상기 고객 소유 전자기기와 고객이 미소지한 웨어러블 전자기기를 분석하고, 상기 관심 상품군에 미리 매핑된 추천 상품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분석된 고객 소유 전자기기의 브랜드 및 제조사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며 동시에 상기 미소지한 웨어러블 전자기기에 해당하는 전자기기에 관한 정보를 추천 상품으로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투명 디스플레이 기반의 지능화 상품 전시대 및 그 방법에 따르면, 전방의 고객의 취향을 분석하여 고객의 관심 상품군을 추정하고, 추정에 따라 선별된 추천 상품을 투명 디스플레이에 투영시켜 전시함으로써, 고객 맞춤형 상품 광고 및 그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투명 디스플레이 기반의 지능화 상품 전시대 및 그 방법에 따르면, 고객별 맞춤형 추천 상품을 전시하기 위해 다양한 상품들을 회전 전시대를 통해 선별적으로 투명 디스플레이에 대면시켜 전시함으로써, 사용자의 선호 상품을 지능적으로 추천함으로써 소비자에게 상품 구매 의욕을 증진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기반의 지능화 상품 전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화 상품 전시 시스템을 위에서 내려다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의 실행화면의 일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기반의 지능화 상품 전시대의 제어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서 활용되는 HSV 색상공간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기반의 지능화 상품 전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명칭 및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기반의 지능화 상품 전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도시하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화 상품 전시 시스템을 위에서 내려다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의 실행화면의 일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기반의 지능화 상품 전시 시스템은 회전 전시대(100), 투명 디스플레이(200), 인식 센서부(300), 고객 정보 획득부(400), 제어부(500) 및 데이터베이스(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회전 전시대(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둘 이상의 상품을 거치하고 회전하며 선정된 특정 상품을 투명 디스플레이(200)의 배면에서 투영시켜 전시하는 역할을 한다. 즉, 투명 디스플레이(200)에 투영되는 상품을 회전 전시대(100)의 회전을 통하여 변경할 수 있다.
회전 전시대(100)는 소정 간격 이격되게 복수의 상품들을 거치시키는 회전판(130), 상기 회전판(130) 중심에 구비된 회전축(120) 및 제어부(500)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의해 회전축(120)을 360도 회전시켜 상기 선정된 특정 상품을 투명 디스플레이(200)의 배면에 대면하도록 배치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회전판(130)은 각 상품이 거치된 부분마다 개별적으로 360도 회전 및 상하좌우 이동이 가능한 개별 회전대(111~116)를 다수 개 포함한다.
회전판(130) 및 개별 회전대(111~116)는 제어부(500)에 의한 기 설정에 따라 구동이 제어되는 것을 디폴트로 하되, 상기 선정된 특정 상품에 대해 추가 정보를 더 확인하고자 하는 고객의 제스처가 발생한 경우, 상기 고객의 제스처에 따라 구동이 제어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상품 운송통로(600)를 추가로 구비하여 상기 상품 운송통로로부터 회전 전시대(100)로 다양한 상품(700)을 전송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디스플레이(200)는 회전 전시대(100)의 전면에 설치되어, 회전 전시대(100)에 거치된 특정 상품을 투영시킴과 동시에 특정 상품에 관한 정보(210, 220) 및 고객 제스처에 대응하는 인터랙티브 데이터를 표시한다. 회전 전시대(100)에 거치된 상품은 투명 디스플레이(200)의 스크린과 겹쳐서 보일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된다. 투명 디스플레이(200)에서는 해당 상품을 가리지 않으면서 상품에 관련된 광고 동영상(220) 및 소개 메시지(210)를 가시화할 수 있다. 광고 동영상(220) 및 소개 메시지(210)는 제품의 가격, 행사 등을 포함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투명 디스플레이(200) 전방에서 제스처를 수행하여 전시된 상품을 다른 상품으로 전환하거나, 특정 상품을 회전시켜 다양한 각도에서 상품을 관찰할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200)는 내부 또는 외부 전면 또는 배면에 인식 센서부(300) 및 고객 정보 획득부(400)를 탑재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투명 디스플레이(200) 내부에 블루투스(220)를 탑재하고, 후방에 카메라(210)가 구비되어 있으며, 전방에 키넥트(310)가 구비된 예를 도시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인식 센서부(300)는 투명 디스플레이(200) 전방의 고객을 인식하여 고객 인식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고객 인식 신호를 제어부(500)로 출력한다. 인식 센서부(300)는 동작인식센서, 시선인식센서, 위치인식센서 및 음성인식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고객 인식 신호는 동작 인식 신호, 시선 인식 신호, 위치 인식 신호 및 음성 인식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인식 센서는 인식범위 내의 인체로 적외선을 송출한 후 인체로부터 반사되는 적외선 신호를 감지함으로써, 인체의 중요 관절 부위를 복수 개의 점으로 표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인체의 움직임, 속도 및 위치 등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동작 인식 센서는 깊이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동작 인식 센서와 감지된 인체 사이의 거리를 인식할 수도 있다. 동작 인식 센서는 인식 범위 내에 여러 사람이 위치하는 경우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사람을 인식하는 등의 방법으로 한 명의 사람을 분리할 수 있다.
일례로서, 동작 인식 센서는 모션 캡쳐 및 음성 인식이 가능한 마이크로소프트 사의 키넥트(kinect)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동작 인식 센서는 대략적으로 40센티미터 내지 4미터의 거리에 있는 사람을 감지할 수 있는 인식범위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동작 인식 센서에서 생성되는 동작 인식 신호는 동작 인식 센서에서 감지된 인체의 움직임 및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디지털 데이터로서, 예를 들면 감지된 인체의 중요 관절 부위를 표현한 복수 개의 점들의 위치정보 및 깊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시선 인식 센서는 사람의 동공을 세밀하게 추적하여 사용자의 시선이 어느 방향을 향하는지를 인식할 수 있는 센서로서, 투명 디스플레이(200) 전방의 고객을 감지하여 고객의 시선에 관한 정보(고객이 바라보는 방향, 고객의 시선이 유지되는 시간 등)를 포함하는 시선 인식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위치 인식 센서는 고객이 투명 디스플레이(200) 전방의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인식할 수 있는 센서로서,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바와 같이 적외선 위치 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위치 인식 센서는 투명 디스플레이(200) 전방의 고객을 감지하여 고객의 위치에 관한 정보(고객이 서있는 위치, 고객이 현재 위치에 서있는 시간 등)를 포함하는 위치 인식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음성 인식 센서는 투명 디스플레이(200) 전방의 고객이 말하는 음성을 인식할 수 있는 센서로서,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음성 인식 센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음성 인식 센서는 투명 디스플레이(200) 전방의 고객이 말하는 음성을 인식하여 음성 인식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아울러, 인식 센서부(300)는 투명 디스플레이(200) 후방에 2D 카메라 등으로 구비되어, 회전 전시대(100)에 거치된 상품들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여 제어부(5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제어부(500)는 투명 디스플레이(200)의 배면에 특정 상품을 대면시키기 위한 회전 전시대(100)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더불어, 투명 디스플레이(200) 후방에 구비된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통해 제어부(500)가 상품의 사이즈를 인식하여, 투명 디스플레이(200) 화면상의 상기 상품의 UI의 크기 및 위치 등을 자동으로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인식 센서부(300)가 동작인식센서, 시선인식센서, 위치인식센서 및 음성인식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인식 센서부(300)는 이외에도 다양한 인식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동작 인식센서, 시선 인식 센서, 위치 인식 센서 및 음성 인식 센서 등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고객 정보 획득부(400)는 투명 디스플레이의 전방을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를 출력하는 카메라 및 투명 디스플레이에 근접한 전자기기들을 파악하기 위한 블루투스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여 고객의 이미지, 고객 소유의 전자기기 및 고객의 제스처 중 적어도 하나를 고객 정보로서 획득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블루투스에서 파악되는 활성화된 주변 기기들 중 제어부(500)에 의해 미리 설정된 신호의 세기 또는 순위에 해당하는 전자기기들을 고객 소유의 전자기기로 추정한다.
제어부(500)는 약술하자면, 고객 인식 신호의 수신에 따라 투명 디스플레이 전방의 고객이 인식되면, 고객 정보 획득부(400)를 통해 획득한 상기 고객 정보를 분석하여 고객의 관심 상품군을 추정하고, 상기 관심 상품군에 미리 매핑된 추천 상품정보를 데이터베이스(500)로부터 추출하여 해당 추천 상품을 투명 디스플레이(200)를 통해 투영시켜 전시하기 위해 회전 전시대(100)의 회전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기반의 지능화 상품 전시대의 제어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제어부(50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기반의 지능화 상품 전시대의 다양한 구성요소를 제어하고 다양한 데이터를 처리하는 구성요소로서, CPU 프로세서와 같은 중앙처리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제어부(500) 또는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이 수행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은 제어부의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제어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자면, 제어부(500)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분석된 고객 정보 별로 미리 매핑된 관심 상품군을 추출하는 관심 상품군 추정 모듈(510), 상기 관심 상품군에 미리 매핑된 특정 상품을 데이터베이스(600)로부터 추출하는 추천 상품 추출 모듈(530), 상기 추출된 특정 상품을 고객에게 추천하고자 상기 특정 상품이 거치된 개별 회전대(111~116) 중 어느 하나의 개별 회전대를 투명 디스플레이(200)에 대면시키기 위해 회전 전시대(100)의 회전을 제어하며, 인식 센서부(300)로부터 입력된 고객 제스처를 분석하여 상기 고객 제스처에 따라 회전 전시대(100) 및 개별 전시대(111~116)의 구동을 제어하는 회전 전시대 제어 모듈(550) 및 상기 추천 상품에 관한 정보와, 상기 고객의 제스처에 대응되는 인터랙티브 데이터를 상기 특정 상품의 투영과 함께 투명 디스플레이(200)로 출력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5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관심 상품군 추정 모듈(510)은 먼저, 매장에서 판매하는 상품군에 따라 상기 고객의 이미지 및 고객 소유의 전자기기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획득할지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기기를 판매하는 매장인 경우, 판매자나 설계자에 의해 관심 상품군 추정 모듈(510)은 고객 소유의 전자기기에 관한 정보를 고객 정보로서 획득하기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의류나 장신구를 판매하는 매장인 경우, 판매자나 설계자에 의해 관심 상품군 추정 모듈(510)은 고객의 이미지에 관한 정보를 고객 정보로서 획득하기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관심 상품군 추정 모듈(510)은 고객 정보로서 고객의 이미지를 획득하기로 설정된 경우, 카메라를 실행시켜 투명 디스플레이(200) 전방을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에서 고객 이미지를 추출하며, 상기 추출된 고객 이미지에서 고객이 착용중인 의류 및 장신구 중 적어도 하나의 종류, 색상 및 사이즈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에 따라 고객의 관심 상품군을 추정한다.
여기서, 관심 상품군 추정 모듈(510)은 고객의 의류 및 장신구 중 적어도 하나의 색상을 분석하는데 있어서, 상기 고객의 의류 및 장신구 중 적어도 하나의 색상을 HSV(Hue, Saturation, Value)를 기준으로 20도 범위 내에 해당하는 색상과 유사 색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5는 이러한 관심 상품군 추정 모듈(510)에서 활용되는 HSV 색상공간을 도시한다.
추천 상품 추출 모듈(530)은 상기 유사 색상에 해당하는 의류 및 장신구 중 적어도 하나의 상품, 고객의 피부색을 파악하여 HSV 중 Value 값이 상기 고객의 피부색에 미리 매핑된 값에 해당하는 상품, 상기 고객 이미지의 색상 중에서 비중이 큰 두 색상의 Hue 값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기준보다 클 경우, 보색을 갖는 상품, 상기 고객 이미지의 색상 중에서 비중이 큰 두 색상의 Hue 값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기준보다 작은 경우, 유사색을 갖는 상품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추천 상품으로서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보색이나 유사색을 갖는 상품을 추천 상품으로서 추출하는 경우에도, 고객의 피부색에 따라 HSV 중 V값을 조절하여 고객에게 적절한 상품의 색상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고객의 피부색에 따라 상품을 추출하는 방법은 Value 값이 낮을수록 어두운 피부에 어울리고, 반대의 경우 밝은 피부에 어울리는 것으로 미리 전제되어 있음을 기반으로 한다.
상기한 상품들 중 어느 상품을 추천 상픔으로서 추출하느냐는 매장의 전시 시스템 담당자 또는 설계자에 의해 미리 정해질 수 있으며, 변경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의해 자명하다.
좀 더 구체적으로, 관심 상품군 추정 모듈(510)은 상기 고객 이미지에서 고객이 착용중인 장신구와 의류 및 미착용 장신구와, 상기 착용중인 장신구와 의류의 색상, 디자인 및 재질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할 수 있다.
이에 추천 상품 추출 모듈(530)은 상기 분석된 장신구 및 의류 중 적어도 하나의 색상, 디자인 및 재질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며 동시에 상기 미착용 장신구에 해당하는 장신구에 관한 정보를 추천 상품으로서 데이터베이스(600)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이는, 고객이 이미 소지하고 있는 장신구는 매장에서 다시 구매할 확률이 낮다는 경향을 전제로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전제는 계절이나 날씨 등의 환경에 따라 상품별 우선순위를 정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시스템의 실행 가능한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한편, 관심 상품군 추정 모듈(510)은 고객 정보로서 고객 소유의 전자기기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기로 설정된 경우, 투명 디스플레이(200)에 탑재된 블루투스(240)에서 확인되는 활성화된 주변 기기들 중 미리 설정된 신호의 세기 또는 순위에 해당하는 전자기기들을 상기 고객 소유의 전자기기로 추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추정된 전자기기의 종류, 기종 및 브랜드, 제조사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에 따라 고객의 관심 상품군을 추정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관심 상품군 추정 모듈(510)은 고객 소유 전자기기와 미소지한 웨어러블 전자기기를 분석할 수 있다. 이에 추천 상품 추출 모듈(530)은 상기 분석된 고객 소유 전자기기의 브랜드 및 제조사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며 동시에 상기 미소지한 웨어러블 전자기기에 해당하는 전자기기에 관한 정보를 추천 상품으로서 데이터베이스(600)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앞서 설명한 고객의 관심 의류 및 장신구에 관한 관심 상품 추정 기법을 함께 적용하여 웨어러블 전자기기를 추천하는 구성에 이용할 수 있다.
한편, 관심 상품군 추정 모듈(510)은 고객 소유의 전자기기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 고객이 착용한 장신구를 검출하고, 상기 장신구에 대응하는 웨어러블 전자기기를 우선순위로 추천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회전 전시대 제어 모듈(550)은 추천 상품 추출 모듈(530)에 의해 추출된 특정 상품을 고객에게 추천하고자 상기 특정 상품이 거치된 개별 회전대(111~116) 중 어느 하나의 개별 회전대를 투명 디스플레이(200)에 대면시키기 위해 회전 전시대(100)의 회전을 제어하며, 인식 센서부(300)로부터 입력된 고객 제스처를 분석하여 상기 고객 제스처에 따라 회전 전시대(100) 및 개별 전시대(111~116)의 구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고객 제스처를 인식한 결과는 예를 들어, 아두이노(Arduino) 통신 모듈을 통하여 회전 전시대(100) 및 개별 전시대(111~116)의 구동을 제어하는 신호로 변환될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570)은 고객의 제스처에 대응되는 인터랙티브 데이터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특정 상품의 투영과 함께 투명 디스플레이(200)로 출력한다. 이를 위해, 투명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570)은 인식 센서부(300)를 통해 인식된 고객의 제스처에 대응되는 회전 전시대(100) 및 개별 회전부(111~116)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고객이 특정 상품을 가리키는 행동 및 고객이 특정 상품의 관련 단어를 스피치하는 음성 데이터 등에 미리 매핑된 투명 디스플레이의 화면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600)는 고객의 제스처에 대응되는 상품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즉, 투명 디스플레이(200)를 투영하여 전시되는 특정 상품에 대응되는 관련 상품의 이미지, 영상 및 텍스트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600)에 저장된 상품 이미지들은 3차원 이미지일 수 있으며, 매핑 테이블에 기반하여 관심 상품군에 따라 미리 매핑된 추천 상품들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600)는 HDD, EEPROM, 플래시 메모리 및 SSD 등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다양한 형태의 저장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기반의 지능화 상품 전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기반의 지능화 상품 전시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기반의 지능화 상품 전시 방법은 적어도 둘 이상의 상품을 거치하고 회전하며 선정된 특정 상품을 투명 디스플레이의 배면에서 투영시켜 전시하는 회전 전시대를 이용하여 상품을 전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먼저, 투명 디스플레이 전방의 고객을 인식하여 고객 인식 신호를 출력한다(S610). 이를 위해, 동작인식센서, 시선인식센서, 위치인식센서 및 음성인식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투명 디스플레이에 탑재된 카메라 및 블루투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고객의 이미지, 고객 소유의 전자기기 및 고객의 제스처 중 적어도 하나를 고객 정보로서 획득한다(S620).
여기서, 매장에서 판매하는 상품군에 따라 상기 고객의 이미지 및 고객 소유의 전자기기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획득할지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고객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카메라를 실행시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전방을 촬영하는 단계와, 상기 촬영된 이미지에서 고객 이미지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고객 이미지에서 고객이 착용중인 의류 및 장신구 중 적어도 하나의 종류, 색상 및 사이즈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객의 의류 및 장신구 중 적어도 하나의 색상을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고객의 의류 및 장신구 중 적어도 하나의 색상을 HSV(Hue, Saturation, Value)를 기준으로 20도 범위 내에 해당하는 색상과 유사 색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고객 소유의 전자기기를 고객 정보로서 획득하는 단계는 블루투스에서 파악되는 활성화된 주변 기기들 중 미리 설정된 신호의 세기 또는 순위에 해당하는 전자기기들을 고객 소유의 전자기기로 추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고객 정보를 분석하여 고객의 관심 상품군을 추정한다(S630). 여기서, 상기 고객 이미지를 분석하는 경우, 고객이 착용중인 장신구와 의류 및 미착용 장신구와, 상기 착용중인 장신구와 의류의 색상, 디자인 및 재질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객 소유의 전자기기를 분석하는 경우, 투명 디스플레이에 탑재된 블루투스에서 확인되는 활성화된 주변 기기들 중 미리 설정된 신호의 세기 또는 순위에 해당하는 전자기기들을 상기 고객 소유의 전자기기로 추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관심 상품군에 미리 매핑된 추천 상품정보를 추출한다(S640).
여기서, 상기 고객 이미지에 대한 추천 상품 정보를 추출하기 위해서는 상기 유사 색상에 해당하는 의류 및 장신구 중 적어도 하나의 상품, 고객의 피부색을 파악하여 HSV 중 Value 값이 상기 고객의 피부색에 미리 매핑된 값에 해당하는 상품, 상기 고객 이미지의 색상 중에서 비중이 큰 두 색상의 Hue 값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기준보다 클 경우, 보색을 갖는 상품, 상기 고객 이미지의 색상 중에서 비중이 큰 두 색상의 Hue 값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기준보다 작은 경우, 유사색을 갖는 상품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보색이나 유사색을 갖는 상품을 추천 상품으로서 추출하는 경우에도, 고객의 피부색에 따라 HSV 중 V값을 조절하여 고객에게 적절한 상품의 색상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고객의 피부색에 따라 상품을 추출하는 방법은 Value 값이 낮을수록 어두운 피부에 어울리고, 반대의 경우 밝은 피부에 어울리는 것으로 미리 전제되어 있음을 기반으로 한다.
상기한 상품들 중 어느 상품을 추천 상품으로서 추출하느냐는 매장의 전시 시스템 담당자 또는 설계자에 의해 미리 정해질 수 있으며, 변경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의해 자명하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고객 이미지에서 고객이 착용중인 장신구와 의류 및 미착용 장신구와, 상기 착용중인 장신구와 의류의 색상, 디자인 및 재질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고, 이에 상기 분석된 장신구 및 의류 중 적어도 하나의 색상, 디자인 및 재질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며 동시에 상기 미착용 장신구에 해당하는 장신구에 관한 정보를 추천 상품으로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이는, 고객이 이미 소지하고 있는 장신구는 매장에서 다시 구매할 확률이 낮다는 경향을 전제로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전제는 계절이나 날씨 등의 환경에 따라 상품별 우선순위를 정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시스템의 실행 가능한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또한, 고객 소유의 전자기기에 관련된 추천 상품정보를 추출하기 위해서는 추정된 전자기기의 종류, 기종 및 브랜드, 제조사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에 따라 고객의 관심 상품군을 추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객 소유 전자기기와 고객이 미소지한 웨어러블 전자기기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고객 소유 전자기기의 브랜드 및 제조사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며 동시에 상기 미소지한 웨어러블 전자기기에 해당하는 전자기기에 관한 정보를 추천 상품으로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한편, 고객 소유의 전자기기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 고객이 착용한 장신구를 검출하고, 상기 장신구에 대응하는 웨어러블 전자기기를 우선순위로 추천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추천 상품정보에 해당 추천 상품을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를 통해 투영시켜 전시하기 위해 상기 회전 전시대의 회전을 제어한다(S650).
여기서, 회전 전시대는 각 상품이 거치된 부분마다 개별적으로 360도 회전 및 상하좌우 이동이 가능한 개별 회전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전시대 및 개별 회전대는 상기 선정된 특정 상품에 대해 추가 정보를 더 확인하고자 하는 상기 고객의 제스처가 발생한 경우, 상기 고객의 제스처에 따라 구동이 제어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추출된 특정 상품을 고객에게 추천하고자 상기 특정 상품이 거치된 개별 회전대 중 어느 하나의 개별 회전대를 투명 디스플레이에 대면시키기 위해 회전 전시대의 회전을 제어하며, 고객 제스처를 분석하여 상기 고객 제스처에 따라 회전 전시대 및 개별 전시대의 구동을 제어한다. 이때, 고객 제스처를 인식한 결과는 예를 들어, 아두이노(Arduino) 통신 모듈을 통하여 회전 전시대 및 개별 전시대의 구동을 제어하는 신호로 변환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투명 디스플레이 기반의 지능화 상품 전시대 및 그 방법에 따르면, 전방의 고객의 취향을 분석하여 고객의 관심 상품군을 추정하고, 추정에 따라 선별된 추천 상품을 투명 디스플레이에 투영시켜 전시함으로써, 고객 맞춤형 상품 광고 및 그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아울러, 고객별 맞춤형 추천 상품을 전시하기 위해 다양한 상품들을 회전 전시대를 통해 선별적으로 투명 디스플레이에 대면시켜 전시함으로써, 사용자의 선호 상품을 지능적으로 추천함으로써 소비자에게 상품 구매 의욕을 증진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다양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회전 전시대
200: 투명 디스플레이
300: 인식 센서부
400: 고객 정보 획득부
500: 제어부
600: 데이터베이스

Claims (20)

  1. 적어도 둘 이상의 상품을 거치하고 회전하며 선정된 특정 상품을 투명 디스플레이의 배면에서 투영시켜 전시하는 회전 전시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전방의 고객을 인식하여 고객 인식 신호를 출력하는 인식 센서부;
    카메라 및 블루투스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여 상기 고객의 이미지, 고객 소유의 전자기기 및 고객의 제스처 중 적어도 하나를 고객 정보로서 획득하는 고객 정보 획득부; 및
    상기 고객 인식 신호의 수신에 따라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전방의 고객이 인식되면, 상기 고객 정보 획득부를 통해 획득한 상기 고객 정보를 분석하여 고객의 관심 상품군을 추정하고, 상기 관심 상품군에 미리 매핑된 추천 상품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추천 상품을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를 통해 투영시켜 전시하기 위해 상기 회전 전시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기반의 지능화 상품 전시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분석된 고객 정보별로 미리 매핑된 관심 상품군을 추출하는 관심 상품군 추정 모듈;
    상기 관심 상품군에 미리 매핑된 특정 상품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추천 상품 추출 모듈;
    상기 추출된 특정 상품을 고객에게 추천하고자 상기 특정 상품이 거치된 개별 회전대를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에 대면시키기 위해 상기 회전판의 회전을 제어하며, 상기 인식 센서부로부터 입력된 고객 제스처를 분석하여 상기 고객 제스처에 따라 상기 회전판의 구동을 제어하는 회전 전시대 제어 모듈; 및
    상기 추천 상품에 관한 정보와, 상기 고객의 제스처에 대응되는 인터랙티브 데이터를 상기 특정 상품의 투영과 함께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로 출력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기반의 지능화 상품 전시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상품군 추정 모듈은,
    매장에서 판매하는 상품군에 따라 상기 고객의 이미지 및 고객 소유의 전자기기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획득할지 결정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기반의 지능화 상품 전시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상품군 추정 모듈은,
    고객의 이미지 획득이 결정된 경우, 상기 카메라를 실행시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전방을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에서 고객 이미지를 추출하며, 상기 추출된 고객 이미지에서 고객이 착용중인 의류 및 장신구 중 적어도 하나의 종류, 색상 및 사이즈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에 따라 고객의 관심 상품군을 추정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기반의 지능화 상품 전시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상품군 추정 모듈은,
    고객의 의류 및 장신구 중 적어도 하나의 색상을 분석하는데 있어서, 상기 고객의 의류 및 장신구 중 적어도 하나의 색상을 HSV(Hue, Saturation, Value)를 기준으로 20도 범위 내에 해당하는 색상과 유사 색상으로 결정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기반의 지능화 상품 전시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상품 추출 모듈은,
    상기 유사 색상에 해당하는 의류 및 장신구 중 적어도 하나의 상품, 고객의 피부색을 파악하여 HSV 중 Value 값이 상기 고객의 피부색에 미리 매핑된 값에 해당하는 상품, 상기 고객 이미지의 색상 중에서 비중이 큰 두 색상의 Hue 값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기준보다 클 경우, 보색을 갖는 상품, 상기 고객 이미지의 색상 중에서 비중이 큰 두 색상의 Hue 값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기준보다 작은 경우, 유사색을 갖는 상품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추천 상품으로서 추출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기반의 지능화 상품 전시 시스템.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상품군 추정 모듈은 상기 고객 이미지에서 고객이 착용중인 장신구와 의류 및 미착용 장신구와, 상기 착용중인 장신구와 의류의 색상, 디자인 및 재질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고,
    상기 추천 상품 추출 모듈은 상기 분석된 장신구 및 의류 중 적어도 하나의 색상, 디자인 및 재질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며 동시에 상기 미착용 장신구에 해당하는 장신구에 관한 정보를 추천 상품으로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기반의 지능화 상품 전시 시스템.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상품군 추정 모듈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에 탑재된 블루투스에서 확인되는 활성화된 주변 기기들 중 미리 설정된 신호의 세기 또는 순위에 해당하는 전자기기들을 상기 고객 소유의 전자기기로 추정하며, 상기 추정된 전자기기의 종류, 기종 및 브랜드, 제조사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에 따라 고객의 관심 상품군을 추정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기반의 지능화 상품 전시 시스템.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상품군 추정 모듈은 고객 소유 전자기기와 미소지한 웨어러블 전자기기를 분석하고,
    상기 추천 상품 추출 모듈은 상기 분석된 고객 소유 전자기기의 브랜드 및 제조사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며 동시에 상기 미소지한 웨어러블 전자기기에 해당하는 전자기기에 관한 정보를 추천 상품으로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기반의 지능화 상품 전시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전시대는,
    소정 간격 이격되게 복수의 상품들을 거치시키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 중심에 구비된 회전축;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회전축을 360도 회전시켜 상기 선정된 특정 상품을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배면에 대면하도록 배치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기반의 지능화 상품 전시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은,
    각 상품이 거치된 부분마다 개별적으로 360도 회전 및 상하좌우 이동이 가능한 개별 회전대를 포함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기반의 지능화 상품 전시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 및 상기 개별 회전대는,
    상기 선정된 특정 상품에 대해 추가 정보를 더 확인하고자 하는 상기 고객의 제스처가 발생한 경우, 상기 고객의 제스처에 따라 구동이 제어되는, 투명 디스플레이 기반의 지능화 상품 전시 시스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 정보 획득부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전방을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를 출력하는 상기 카메라 및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에 근접한 전자기기들을 파악하기 위한 상기 블루투스로 구성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블루투스에서 파악되는 활성화된 주변 기기들 중 미리 설정된 신호의 세기 또는 순위에 해당하는 전자기기들을 고객 소유의 전자기기로 추정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기반의 지능화 상품 전시 시스템.
  14. 적어도 둘 이상의 상품을 거치하고 회전하며 선정된 특정 상품을 투명 디스플레이의 배면에서 투영시켜 전시하는 회전 전시대를 이용하여 상품을 전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전방의 고객을 인식하여 고객 인식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에 탑재된 카메라 및 블루투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고객의 이미지, 고객 소유의 전자기기 및 고객의 제스처 중 적어도 하나를 고객 정보로서 획득하는 단계;
    상기 고객 정보를 분석하여 고객의 관심 상품군을 추정하는 단계;
    상기 관심 상품군에 미리 매핑된 추천 상품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천 상품정보에 해당 추천 상품을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를 통해 투영시켜 전시하기 위해 상기 회전 전시대의 회전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기반의 지능화 상품 전시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카메라를 실행시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전방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촬영된 이미지에서 고객 이미지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고객 이미지에서 고객이 착용중인 의류 및 장신구 중 적어도 하나의 종류, 색상 및 사이즈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기반의 지능화 상품 전시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의 의류 및 장신구 중 적어도 하나의 색상을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고객의 의류 및 장신구 중 적어도 하나의 색상을 HSV(Hue, Saturation, Value)를 기준으로 20도 범위 내에 해당하는 색상과 유사 색상으로 결정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기반의 지능화 상품 전시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상품군에 미리 매핑된 추천 상품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유사 색상에 해당하는 의류 및 장신구 중 적어도 하나의 상품, 고객의 피부색을 파악하여 HSV 중 Value 값이 상기 고객의 피부색에 미리 매핑된 값에 해당하는 상품, 상기 고객 이미지의 색상 중에서 비중이 큰 두 색상의 Hue 값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기준보다 클 경우, 보색을 갖는 상품, 상기 고객 이미지의 색상 중에서 비중이 큰 두 색상의 Hue 값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기준보다 작은 경우, 유사색을 갖는 상품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추천 상품으로서 추출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기반의 지능화 상품 전시 방법.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 정보를 분석하여 고객의 관심 상품군을 추정하는 단계는,
    상기 고객 이미지에서 고객이 착용중인 장신구와 의류 및 미착용 장신구와, 상기 착용중인 장신구와 의류의 색상, 디자인 및 재질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고,
    상기 관심 상품군에 미리 매핑된 추천 상품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분석된 장신구 및 의류 중 적어도 하나의 색상, 디자인 및 재질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며 동시에 상기 미착용 장신구에 해당하는 장신구에 관한 정보를 추천 상품으로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기반의 지능화 상품 전시 방법.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 정보를 분석하여 고객의 관심 상품군을 추정하는 단계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에 탑재된 블루투스에서 확인되는 활성화된 주변 기기들 중 미리 설정된 신호의 세기 또는 순위에 해당하는 전자기기들을 상기 고객 소유의 전자기기로 추정하고,
    상기 관심 상품군에 미리 매핑된 추천 상품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추정된 전자기기의 종류, 기종 및 브랜드, 제조사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에 따라 고객의 관심 상품군을 추정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기반의 지능화 상품 전시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 정보를 분석하여 고객의 관심 상품군을 추정하는 단계는,
    상기 고객 소유 전자기기와 고객이 미소지한 웨어러블 전자기기를 분석하고,
    상기 관심 상품군에 미리 매핑된 추천 상품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분석된 고객 소유 전자기기의 브랜드 및 제조사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며 동시에 상기 미소지한 웨어러블 전자기기에 해당하는 전자기기에 관한 정보를 추천 상품으로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기반의 지능화 상품 전시 방법.
KR1020160182702A 2016-12-29 2016-12-29 투명 디스플레이 기반의 지능화 상품 전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856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2702A KR101885669B1 (ko) 2016-12-29 2016-12-29 투명 디스플레이 기반의 지능화 상품 전시 시스템 및 그 방법
PCT/KR2017/013214 WO2018124476A1 (ko) 2016-12-29 2017-11-21 투명 디스플레이 기반의 지능화 상품 전시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2702A KR101885669B1 (ko) 2016-12-29 2016-12-29 투명 디스플레이 기반의 지능화 상품 전시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7881A true KR20180077881A (ko) 2018-07-09
KR101885669B1 KR101885669B1 (ko) 2018-09-10

Family

ID=62711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2702A KR101885669B1 (ko) 2016-12-29 2016-12-29 투명 디스플레이 기반의 지능화 상품 전시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85669B1 (ko)
WO (1) WO201812447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0005A (ko) * 2019-12-04 2021-06-14 주식회사 이엠디넷 빅 데이터와 인공 지능 알고리즘을 통한 고객 개인 맞춤형 패션 디자인 판매용 디지털 사이니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27412A (zh) * 2019-01-21 2019-05-07 北京三快在线科技有限公司 电子收款机及其控制方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2949B1 (ko) * 2012-05-22 2012-12-18 삼일씨티에스(주) 상품 전시 장치
KR101390360B1 (ko) 2012-01-30 2014-05-07 주식회사 더브이 투명 디스플레이 쇼케이스를 위한 온라인 영상 컨텐츠 제공 시스템
KR101392877B1 (ko) * 2013-09-16 2014-05-09 (주)엘케이지오 디지털 쇼케이스 및 이를 포함한 디지털 쇼케이스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마케팅방법
KR20140109700A (ko) * 2013-03-06 2014-09-16 (주)피엑스디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인터랙티브 이미지 표시장치, 표시방법 및 그 기록매체
KR20140124087A (ko) * 2013-04-16 2014-10-24 허명구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 스타일 추천 시스템과 방법 및 그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한 기록매체
KR20140143970A (ko) * 2013-06-10 2014-12-18 (주)피엑스디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프로모션 이미지 표시장치, 표시방법 및 그 기록매체
KR20150106938A (ko) * 2013-03-13 2015-09-22 인텔 코포레이션 위치 기반 디지털 사이니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44277A (ko) * 2015-06-08 2016-12-16 (주)엘앤케이랩 코디 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사용자 기기 및 이를 이용한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0360B1 (ko) 2012-01-30 2014-05-07 주식회사 더브이 투명 디스플레이 쇼케이스를 위한 온라인 영상 컨텐츠 제공 시스템
KR101212949B1 (ko) * 2012-05-22 2012-12-18 삼일씨티에스(주) 상품 전시 장치
KR20140109700A (ko) * 2013-03-06 2014-09-16 (주)피엑스디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인터랙티브 이미지 표시장치, 표시방법 및 그 기록매체
KR20150106938A (ko) * 2013-03-13 2015-09-22 인텔 코포레이션 위치 기반 디지털 사이니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40124087A (ko) * 2013-04-16 2014-10-24 허명구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 스타일 추천 시스템과 방법 및 그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한 기록매체
KR20140143970A (ko) * 2013-06-10 2014-12-18 (주)피엑스디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프로모션 이미지 표시장치, 표시방법 및 그 기록매체
KR101392877B1 (ko) * 2013-09-16 2014-05-09 (주)엘케이지오 디지털 쇼케이스 및 이를 포함한 디지털 쇼케이스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마케팅방법
KR20160144277A (ko) * 2015-06-08 2016-12-16 (주)엘앤케이랩 코디 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사용자 기기 및 이를 이용한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 블로그, "[PMC] 증강현실 피팅 거울~ IoT 기술로 태어난 에프엑스미러 가상 피팅 체험존 운영! IT뉴스" (2016.06.21) {URL: http://blog.naver.com/pmccorp5088/220741933629} 1부. *
네이버 블로그, "[PMC] 증강현실 피팅 거울~ IoT 기술로 태어난 에프엑스미러 가상 피팅 체험존 운영! IT뉴스" (2016.06.21.) <URL: http://blog.naver.com/pmccorp5088/220741933629>*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0005A (ko) * 2019-12-04 2021-06-14 주식회사 이엠디넷 빅 데이터와 인공 지능 알고리즘을 통한 고객 개인 맞춤형 패션 디자인 판매용 디지털 사이니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5669B1 (ko) 2018-09-10
WO2018124476A1 (ko) 2018-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wangbo et al. Use of the smart store for persuasive marketing and immersive customer experiences: A case study of Korean apparel enterprise
CN104090973B (zh) 一种信息呈现方法及装置
US10417878B2 (en) Method,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system for providing a sensor-based environment
US20180033045A1 (en) Method and system for personalized advertising
US20240144392A1 (en) Systems/methods for identifying products within audio-visual content and enabling seamless purchasing of such identified products by viewers/users of the audio-visual content
CN107493319A (zh) 一种智能交互多媒体展示系统及其实现方法
CN111681070B (zh) 线上商品的购买方法、购买装置、存储装置及购买设备
US2012014006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athering viewership statistics and providing viewer-driven mass media content
CN105339969A (zh) 链接的广告
US20130195322A1 (en) Selection of targeted content based on content criteria and a profile of users of a display
KR101620938B1 (ko) 의류 제품 판매 지원 장치와 이와 통신 가능한 의류 제품 정보 관리 서버, 의류 연관 제품 추천 서버 및 의류 제품 정보 제공 방법
EP3794577A1 (en) Smart platform counter display system and method
KR20130057148A (ko) 사용자의 피부색에 따른 화장품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5047112A (zh) 展示物品及其媒体播放的系统及方法
KR20150000026A (ko) 사용자 인식기능을 이용하는 스마트 모바일 디지털 사이니지
CN110874133B (zh) 基于智能显示设备的交互方法、智能显示设备及存储介质
WO2018190773A1 (en) Method and system for targeted advertising based on personal physical characteristics
JP2016218821A (ja) 販売情報利用装置、販売情報利用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70358135A1 (en) Augmenting the Half-Mirror to Display Additional Information in Retail Environments
KR101885669B1 (ko) 투명 디스플레이 기반의 지능화 상품 전시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50100464A1 (en) Information displaying apparatus and method of object
KR20200004014A (ko) 의류피팅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및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을 이용한 상품 디스플레이 방법
CN110832525A (zh) 在对象上的增强现实广告
KR20230044382A (ko) 안면 인식 및 IoT 기반 애드큐레이션 사이니지 시스템
CN114012746B (zh) 一种机器人、信息播放的方法、控制装置以及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