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8255A - 적층이 가능한 카톤팩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적층이 가능한 카톤팩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8255A
KR20210068255A KR1020190157827A KR20190157827A KR20210068255A KR 20210068255 A KR20210068255 A KR 20210068255A KR 1020190157827 A KR1020190157827 A KR 1020190157827A KR 20190157827 A KR20190157827 A KR 20190157827A KR 20210068255 A KR20210068255 A KR 202100682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on
mandrel
pack
discharged
stack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7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0252B1 (ko
Inventor
김민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으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으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으뜸
Priority to KR1020190157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0252B1/ko
Publication of KR20210068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82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0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0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04Closing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14Cutting, e.g. perforating, punching, slitting or trim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25Surface sco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74Auxiliary operations

Landscapes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톤팩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측벽으로 성형된 카톤이 상기 측벽의 길이방향으로 적층 가능하도록 측벽의 일측인 하부를 밀봉하여 반제품으로 제공할 수 있는 적층형 카톤 하부성형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적층이 가능한 카톤팩 제조장치{Apparatus for stackable catorn pack}
본 발명은 카톤팩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측벽으로 성형된 카톤이 상기 측벽의 길이방향으로 적층 가능하도록 측벽의 일측인 하부를 밀봉하여 반제품으로 제공할 수 있는 적층형 카톤 하부성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카톤팩은 내부에 우유, 쥬스 등과 같은 액상음료를 수용하여 유통되는 용기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카톤팩은 천연펄프로 만든 판지의 양면에 폴리에틸렌수지층을 적층하여 만든 원단을 원재료로 하여, 인쇄, 타발및 측면 접착공정을 거쳐 사각기둥 모양의 용기로 만들어지며, 이에 가볍고 깨지지 않아 안전성이 높고 물류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카톤팩은 통형상의 네 측벽부와, 네 측벽부에 의해 형성된 하단개구를 차단하는 저판부를 가지고 음료를 수용한다. 카톤팩의 상부에는, 한쌍의 상호 대향하는 측벽부로부터 상향 연장되어 상호 대향하면서 카톤팩의 내측으로 경사지게 절곡되며 상단영역에 측벽부의 상단부에 대해 평행을 이루며 접착되는 접착부를 갖는 한쌍의 주상판부와, 나머지 한쌍의 상호 대향하는 측벽부로부터 상향 연장되어 카톤팩의 내측으로 접히도록 삼각편의 절곡선을 따라 절곡되어 주상판부 사이에 개재되며 상단영역에 주상판부의 주접착부와 접착되는 부접착부를 갖는 한쌍의 부상판부가 마련되어 있다. 이로써, 한쌍의 주상판부의 주접착부와 한쌍의 부상판부의 부접착부를 상호 접착하여 카톤팩을 밀봉시킨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473650호에는 개봉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편하게 개봉할 수 있는 카톤팩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카톤팩은 일본 등록특허 4788086호에 개시된 공정으로 포장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탄하게 접힌 카톤이 펼쳐지면서 맨드릴에 삽입된 후 맨드릴이 회전되면서 하부가 밀봉된다. 하부가 밀봉된 후 카톤팩의 내부에 우유 등 음료가 충진된 후 상부가 마감되면서 포장이 완성된다.
상기 종래의 카톤팩은 우유, 주스 등 액체가 저장된 후 상부를 마감하여 내용물을 보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최근 소포장 시장의 발전함과 더불어 친환경적인 소재의 카톤팩을 활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증가하고 있다. 종래의 카톤팩 포장기는 평탄하게 접힌 카톤의 형상을 만들면서 내용물 충진과 밀봉까지 한번에 이루어지는 것으로 내용물의 변경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KR 10-0473650 B JP 4788086 B2
본 발명의 목적은 카톤의 일측인 하부를 밀봉하여 반제품으로 성형하여 내용물을 삽입하기 전에 다단 적층이 가능하여 보관이 용이한 적층이 가능한 카톤팩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카톤의 형상으로 펼쳐진 후 맨드릴에 삽입된 후 이탈 되지 않도록 상기 맨드릴에 복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된 적층이 가능한 카톤팩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적층이 가능한 카톤팩 제조장치는 평면 상에 접는 선이 형성되고, 측면의 소정부분이 접합되어 편평하게 적층된 카톤의 하부를 성형하는 장치에 관한 것에 있어서, 상기 적층된 카톤은 한쌍의 상호 대향하는 측벽부로부터 상향 연장되어 상호 대향하면서 카톤팩의 내측으로 경사지게 절곡되고, 측벽의 길이방향으로 적층이 가능하도록 측면의 일측의 단면이 타측의 단면보다 면적이 좁게 형성되도록 접철선이 성형되어 하나씩 펼쳐진 후 순차적으로 배출되는 카톤 저장부와, 상기 배출된 카톤이 인접한 위치의 맨드릴에 삽입된 후 일측 가열, 가압하여 일측을 밀봉하는 카톤 하부밀봉부 및 상기 일측이 밀봉된 카톤이 맨드릴에서 배출되면서 다단 적층되어 반제품을 보관하는 카톤 적층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톤 하부밀봉부에 형성된 맨드릴에는 복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내측에서 공기를 흡입하거나, 배출하여 카톤팩과의 장력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형성된다.
상기 맨드릴은 외측면에 복수개로 형성되는 관통홀과 연결된 공기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적층이 가능한 카톤팩 제조장치는 카톤의 일측인 하부를 밀봉하여 반제품으로 성형하여 내용물을 삽입하기 전에 다단 적층이 가능하여 보관이 용이하고, 협소한 공간에도 보관이 가능한 효과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카톤팩 제조장치는 맨드릴에 형성된 복수개의 관통홀을 통하여 공기가 지속적으로 배출되거나 삽입되도록 공기의 흐름으로 카톤이 맨드릴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 카톤팩 자동 포장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적층이 가능한 카톤팩 제조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카톤 하부 마감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맨드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적층이 가능한 카톤팩 제조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적층이 가능한 카톤팩 제조장치(100)에 관한 것으로서, 평면 상에 접는 선이 형성되고, 측면의 소정부분이 접합되어 편평하게 적층된 카톤의 하부를 성형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카톤은 복수개의 측벽과 상기 측벽의 일측면을 마감하여 내용물을 삽입하고, 삽입 후 타측면을 마감하여 보관한다.
도 3은 도 2의 카톤 하부 마감부(12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맨드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카톤(C)은 일측면이 마감된 상태로 측벽의 길이방향으로 적층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카톤은 측벽의 길이방향으로 적층이 가능하도록 측면의 일측의 단면이 타측의 단면보다 면적이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카톤의 일측면을 마감(밀봉)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편평하게 적층된 카톤을 하나씩 취출하여 하부 밀봉기(120)에서 일측을 마감한다. 이때, 마감된 카톤(C)의 일측면이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한 하부면이 된다.
상기 하부 밀봉기(120)는 복수개의 맨드릴(121)이 회전 축에서 외측을 향하도록 고정된다. 상기 맨드릴은 회전되면서 카톤팩의 일측면이 가열되고, 접힌 후 압착된다. 상기 카톤은 양 측면의 단면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었기 때문에 맨드릴(121)에 삽입된 후 회전되면서 카톤이 빠져나갈 수 있다.
상기 맨드릴(121)에는 복수개의 관통홀(128)이 형성되고, 내측에서 공기를 흡입하거나, 배출하여 카톤과의 장력을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맨드릴(121)에는 삽입되는 카톤이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클립(미도시)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클립은 카톤의 일측이 끼워져서 하부 밀봉기(120)의 맨드릴(121)이 회전하는 동안 떨어지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본 발명의 하부 밀봉기(120)는 삽입된 카톤과 맨드릴 사이의 유격이 발생하여도 관통홀(128)로 공기를 흡입 또는 배출하는 공기의 흐름이 카톤을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이 외에도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 또는 분할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 또는 분할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범위 안에서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적층이 가능한 카톤팩 제조장치
110: 카톤 저장부
120: 카톤 하부밀봉부
130: 카톤 적층부

Claims (2)

  1. 평면 상에 접는 선이 형성되고, 측면의 소정부분이 접합되어 편평하게 적층된 카톤의 하부를 성형하는 장치에 관한 것에 있어서,
    상기 적층된 카톤은 한쌍의 상호 대향하는 측벽부로부터 상향 연장되어 상호 대향하면서 카톤팩의 내측으로 경사지게 절곡되고, 측벽의 길이방향으로 적층이 가능하도록 측면의 일측의 단면이 타측의 단면보다 면적이 좁게 형성되도록 접철선이 성형되어 하나씩 펼쳐진 후 순차적으로 배출되는 카톤 저장부와,
    상기 배출된 카톤이 인접한 위치의 맨드릴에 삽입된 후 일측 가열, 가압하여 일측을 밀봉하는 카톤 하부밀봉부 및
    상기 일측이 밀봉된 카톤이 맨드릴에서 배출되면서 다단 적층되어 반제품을 보관하는 카톤 적층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톤 하부밀봉부에 형성된 맨드릴에는 복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내측에서 공기를 흡입하거나, 배출하여 카톤팩과의 장력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이 가능한 카톤팩 제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맨드릴은 외측면에 복수개로 형성되는 관통홀과 연결된 공기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이 가능한 카톤팩 제조장치.
KR1020190157827A 2019-11-30 2019-11-30 적층이 가능한 카톤팩 제조장치 KR1022802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7827A KR102280252B1 (ko) 2019-11-30 2019-11-30 적층이 가능한 카톤팩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7827A KR102280252B1 (ko) 2019-11-30 2019-11-30 적층이 가능한 카톤팩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8255A true KR20210068255A (ko) 2021-06-09
KR102280252B1 KR102280252B1 (ko) 2021-07-21

Family

ID=76415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7827A KR102280252B1 (ko) 2019-11-30 2019-11-30 적층이 가능한 카톤팩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025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6428U (ko) * 1988-08-31 1990-03-09
JP2001179853A (ja) * 1999-12-27 2001-07-03 Toppan Printing Co Ltd カートンの底部成形装置
KR100473650B1 (ko) 2002-01-15 2005-03-08 김실호 카톤팩
KR20080015093A (ko) * 2005-05-02 2008-02-18 엘로팩 시스템스 아크티엔게젤샤프트 부분적으로 형성된 용기를 취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4788086B2 (ja) 2001-09-07 2011-10-05 四国化工機株式会社 包装機械
JP2017047635A (ja) * 2015-09-03 2017-03-09 東罐興業株式会社 搬送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6428U (ko) * 1988-08-31 1990-03-09
JP2001179853A (ja) * 1999-12-27 2001-07-03 Toppan Printing Co Ltd カートンの底部成形装置
JP4788086B2 (ja) 2001-09-07 2011-10-05 四国化工機株式会社 包装機械
KR100473650B1 (ko) 2002-01-15 2005-03-08 김실호 카톤팩
KR20080015093A (ko) * 2005-05-02 2008-02-18 엘로팩 시스템스 아크티엔게젤샤프트 부분적으로 형성된 용기를 취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17047635A (ja) * 2015-09-03 2017-03-09 東罐興業株式会社 搬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0252B1 (ko) 2021-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109826B (zh) 一种多腔室空气包装装置及其制造方法
CN105555671B (zh) 卷绕装运盒坯件以及将坯件形成为装运箱的系统和方法
KR101494928B1 (ko) 내측 포일 용기를 구비한 카드보드 패키징, 그의 제조를 위한 조립 카톤 유닛, 및 그러한 패키징 카톤의 제조 방법
JP2019510702A (ja) 包装スリーブ、包装体、および包装体の製造方法
JP7005510B2 (ja) 包装スリーブ、包装体、および包装体の製造方法
JP6570099B2 (ja) 梱包資材と梱包袋と梱包方法
JP2013545675A (ja) 調整雰囲気包装のための包装体
US10308384B2 (en) Method for packing stacked bundles made of paper
JP7138091B2 (ja) 軟包材容器用中間材の製造方法、軟包材容器の製造方法及び軟包材容器包装体の製造方法
CN104918865A (zh) 制造和填充包装的方法
US9862540B2 (en) System for complete dispensing of flowable materials from a bulk shipping container
KR20160042074A (ko) 판지 패키징 절단체 상에 보강부를 체결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및 대응 패키징
JP5132931B2 (ja) 複合容器
US10301063B2 (en) Package material and package container formed with said material
JP6426186B2 (ja) 喫煙品用パッケージ
KR102280252B1 (ko) 적층이 가능한 카톤팩 제조장치
US10336481B2 (en) Display pack
JP2017527498A (ja) たばこ用パッケージ
KR20240034780A (ko) 접착된 코너가 있는 상부 플랜지를 갖는 용기, 용기 형성 방법, 및 용기를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
JP2017013860A (ja) ブランク板および容器
JP5564836B2 (ja) 易成形紙トレー
US20210155369A1 (en) Tray
CN109923046A (zh) 包装盒和包装盒坯件
US20240190635A1 (en) Packaging container-filler member, packaging container, contents-filled packaging contain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ontents-filled packaging container
EP4321450A1 (en) Filler member for packaging container, packaging container, contents-filled packaging contain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ntents-filled packaging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