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5949A -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 - Google Patents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5949A
KR20210065949A KR1020217008433A KR20217008433A KR20210065949A KR 20210065949 A KR20210065949 A KR 20210065949A KR 1020217008433 A KR1020217008433 A KR 1020217008433A KR 20217008433 A KR20217008433 A KR 20217008433A KR 20210065949 A KR20210065949 A KR 202100659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layer
face material
magnetic
building
constr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8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타루 요코야마
요스케 사토
다이치 후지쿠라
히데토시 토이타
Original Assignee
요시노 셋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노 셋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요시노 셋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65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59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04C2/29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sheet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fixed directly to the wall by means of magnets, hook and loop-type or similar fasteners, not necessarily involving the side faces of the covering element
    • E04F13/0883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fixed directly to the wall by means of magnets, hook and loop-type or similar fasteners, not necessarily involving the side faces of the covering element by mag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all layers being exclusively metallic
    • B32B15/0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all layers being exclusively metallic one layer being formed of an iron alloy or steel, another layer being formed of aluminium or an aluminium allo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5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24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alkyl, ammonium or metal silicates; containing silica sols
    • C04B28/26Silicates of the alkali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 C09D1/02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alkali metal silic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53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panels and support posts, extending from floor to ceiling
    • E04B2/745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panels and support posts, extending from floor to ceiling with wallboards attached to the outer faces of the posts, parallel to the part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7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specially adapted, structured or shaped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 E04F13/141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with an outer layer of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 E04F13/14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with an outer layer of asbestos cement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0Inorganic coating
    • B32B2255/205Metall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2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piezoelectric
    • B32B2307/208Magnetic, paramagne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7/00Walls, panels
    • B32B2607/02Wall papers, wall cove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474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 C04B2111/00482Coating or impregnation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474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 C04B2111/00612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as one or more layers of a layered stru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8Anti-corrosive paints
    • C09D5/082Anti-corrosive paints characterised by the anti-corrosive pigment
    • C09D5/086Organic or 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23Magnetisable or magnetic paints or lacqu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0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of asbestos cement; of cement and other mineral fib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nishing Wal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Hard Magnetic Materials (AREA)

Abstract

건축용 면재와, 상기 건축용 면재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를 덮는 자성층을 포함하며, 상기 자성층은 자성 재료와 무기 바인더를 함유하는 것인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
본 발명은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예를 들어 학교 건물, 상업 시설 등에서 벽 등에 마그넷 등과 같은 자성체에 의해 인쇄물 등을 고정하는 니즈가 있었다. 그래서, 벽 등을 형성할 때에 사용하는 건축재로는, 마그넷을 흡착할 수 있는 건축재가 요구되었다.
마그넷을 흡착할 수 있는 건축재로는, 얇은 철판을 표면에 배치한 건축재가 알려져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는, 벽지와 바탕재 사이에 얇은 철판을 개재(介在)시킴으로써 자석의 흡착력을 이용하여 물품을 홀딩할 수 있게 한 게시용 벽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실개평6-78983호
그러나, 철판을 표면에 배치, 고정시킨 건축재에 대해서는, 절단 등의 가공을 행할 수가 없다.
건축용 면재(面材)의 큰 잇점 중 하나로, 커터나 원형톱 등에 의해 용이하게 절단 등의 가공을 할 수 있어서 시공 현장에서 원하는 형상으로 절단 등을 할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으나, 철판을 표면에 배치시킨 건축재에서는 이러한 잇점이 손실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게시용 벽의 경우, 현장에서 바탕재 표면에 철판을 붙이는 등의 시공을 행할 필요가 있는데, 이러한 시공은 작업 공정이 늘어난다는 점에서도 문제였다.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는, 마그넷을 흡착할 수 있으며 또한 용이하게 자유로운 형상으로 절단 가공할 수 있는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面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하면, 건축용 면재와, 상기 건축용 면재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를 덮는 자성층을 포함하며, 상기 자성층은 자성 재료와 무기 바인더를 함유하는 것인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하면, 마그넷을 흡착할 수 있으며 또한 용이하게 자유로운 형상으로 절단 가공할 수 있는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에 대한 마그넷 흡착 시험의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벽 구조체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벽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실험예 1에서 사용한 마그넷의 1mm 철판에 대한 흡착력 평가 방법의 설명도이다.
도 6은 실험예 2에서 접착성 시험시에 제작한 접착성 시험용 시험체의 설명도이다.
도 7은 실험예 6에서의 녹 발생 평가의 설명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형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으면서 이하의 실시형태에 다양한 변형 및 치환을 가할 수가 있다.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
본 실시형태의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의 일 구성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는, 건축용 면재와, 당해 건축용 면재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를 덮는 자성층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자성층은 자성 재료와 무기 바인더를 함유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실시형태의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의 구성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10)는, 건축용 면재(11)와, 건축용 면재(11)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를 덮는 자성층(12)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10)에서는, 건축용 면재(11)의 한쪽 주표면(11a)의 표면 전체에 자성층(12)을 형성한 예를 나타내었으나, 자성층은 마그넷 등의 자성체를 흡착할 것이 요구되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으면 되어서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한쪽 주표면(11a) 중 일부를 덮도록 자성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한쪽 주표면(11a)만이 아니라, 다른쪽 주표면(11b)의 일부 또는 전부, 측면부의 일부 또는 전부 등에 대해서도 자성층을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자성층의 형상에 있어서도 반드시 연속된 면 형상을 가질 필요는 없으며, 자성층의 형상이 예를 들어, 선형 형상, 도트(dot) 형상 등일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의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는 복수 개의 연속하지 않는 자성층을 가질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의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가 포함하는 각 부재에 대해, 이하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건축용 면재(11)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며, 각종 건축용 면재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섬유 강화 시멘트판, 유리 매트 석고 보드, 유리 섬유 부직포 포함 석고 함유판, 유리 섬유 혼입 시멘트판, 섬유 혼입 규산칼슘판, JIS A 6901(2014)에서 규정되는 석고 보드, JIS A 6901(2014)에서 규정되는 석고 보드보다 경량이거나 중량인 석고 보드(이하에서는, 상기의 JIS에서 규정되는 석고 보드와 JIS에서 규정되는 석고 보드보다 경량 또는 중량인 석고 보드를 총칭하여 "석고 보드"라고도 함), 석고판, 슬래그 석고판 및 수지판 등을 들 수 있다. 그리하여, 건축용 면재(11)는, 예를 들어, 섬유 강화 시멘트판, 유리 매트 석고 보드, 유리 섬유 부직포 포함 석고 함유판, 유리 섬유 혼입 시멘트판, 석고 혼입 규산칼슘판, 석고 보드, 석고판, 슬래그 석고판 또는 수지판이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는, 특히 건축물 벽을 구성하는 재료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그래서, 벽재(壁材) 등으로 널리 사용된다는 점에서, 건축용 면재는 석고 보드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말하는 석고 보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JIS A 6901(2014)에서 규정되는 석고 보드, 또는 JIS A 6901(2014)에서 규정되는 석고 보드보다 경량이거나 중량인 석고 보드를 의미한다. 한편, JIS A 6901(2014)에서 규정되는 석고 보드보다 경량인 석고 보드는, 예를 들어, 비중이 0.3 이상 0.65 미만인 석고 보드이면 바람직하다.
자성층(12)은 자성 재료와 무기 바인더를 함유할 수 있다.
자성층(12)은 마그넷 등의 자성체를 흡착할 수 있게 하기 위해 구비된 층이며, 자성 재료를 함유함으로써 마그넷 등의 자성체를 흡착할 수 있다.
자성층(12)이 함유하는 자성 재료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며, 마그넷 등의 자성체를 자기력에 의해 흡착할 수 있는 각종의 자성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자성 재료로는, 적어도 첨가량으로써 마그넷 등의 자성체를 강하게 흡착할 수 있는 재료이면 바람직하며, 적어도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를 사용할 때의 환경 온도에서 강자성(强磁性)을 나타내는 재료이면 바람직하다. 상기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를 사용할 때의 환경 온도로는, 예를 들어, -20℃ 이상 50℃ 이하인 온도 영역을 들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 말하는 강자성을 나타내는 재료라 함은, 전체로서 자기(磁氣) 모멘트를 갖는 재료(물질)를 의미하며, 외부 자기장이 없는 환경 하에서도 자발 자화(自發磁化)를 갖는 재료를 의미한다. 그러므로, 강자성을 나타내는 재료에는 페리(ferri) 자성의 재료 등도 포함된다.
자성 재료로는, 비용이 매우 낮으면서 안정성도 우수하다는 점에서, 철 분말이면 특히 바람직하다. 철 분말의 종류에 대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며, 예를 들어, 산화철 분말, 환원철 분말, 아토마이즈(atomize) 철 분말에서 선택된 1종류 이상을 필요에 따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자성 재료로서 철 분말을 사용하는 경우, 자성 재료는 아토마이즈 철 분말을 포함하면 바람직하다.
자성 재료의 입자 직경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며, 임의의 입자 직경을 갖는 자성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의 자성층에는,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입자 직경의 자성 재료를 사용하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평균 입자 직경이 20㎛ 이상 200㎛ 이하인 자성 재료를 필요에 따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평균 입자 직경이라 함은, 레이저 회절·산란법에 의해 구한 입자도 분포에서 적산값 50%에서의 입자 직경을 의미하는 것이어서, 체적 기준의 평균 입자 직경, 즉, 체적 평균 입자 직경이 된다.
자성층이 함유하는 자성 재료의 비율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며, 예를 들어 자성 재료가 갖는 자성,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에 요구되는 자성체 흡착 성능 등에 따라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자성층은, 예를 들어 자성 재료의 단위 면적당 함유량이 0.3kg/m2 이상임이 바람직하다. 이는, 자성층에 있어 자성 재료의 단위 면적당 함유량을 0.3kg/m2 이상으로 함으로써,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의 표면에 마그넷 등의 자성체를 충분한 흡착력으로 흡착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마그넷 등의 자성체에 대한 흡착력을 높인다는 관점에서, 자성층에 있어 자성 재료의 단위 면적당 함유량은 0.8kg/m2 이상이면 보다 바람직하며, 1.0kg/m2 이상이면 더 바람직하다.
자성층에 있어 자성 재료의 단위 면적당 함유량의 상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며, 예를 들어 자성 재료의 자성,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에 요구되는 흡착력이나 비용 등에 따라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자성층에 있어 자성 재료의 단위 면적당 함유량은, 예를 들어 10kg/m2 이하임이 바람직하다.
한편, 자성층에 있어 자성 재료의 단위 면적당 함유량에서의, 단위 면적이라 함은, 자성층(12)에 있어 건축용 면재(11)에 대향하는 면의 반대쪽 면에서의 단위 면적을 의미한다.
또한, 자성층의 밀도는 2.0g/cm3 이상임이 바람직하며, 2.5g/cm3 이상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이는, 자성층의 밀도를 2.0g/cm3 이상으로 함으로써, 마그넷의 흡착력을 크게 높일 수 있어서 자성층이 보다 확실하게 마그넷 등의 자성체를 흡착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자성층 밀도의 상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며, 예를 들어,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에 요구되는 흡착력이나 비용 등에 따라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자성층의 밀도는. 예를 들어, 5.0g/cm3 이하임이 바람직하다.
자성층에 포함되는 무기 바인더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며, 각종의 무기 바인더를 사용할 수 있다. 무기 바인더를 사용함으로써, 유기 바인더를 사용한 경우보다 불연성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실시형태의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는 자성층을 1층만 구비함으로써도 불연(不燃) 성능을 충족할 수 있다. 또한, 무기 바인더를 사용함으로써, 자성 재료의 산화를 억제하여 자성 재료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무기 바인더로는,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무기 규산염계, 인산염계, 실리카졸계 등에서 선택된 1종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자성층에 무기 바인더를 사용함으로써, 유기 바인더를 사용한 경우보다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의 불연성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자성층의 바인더로서 유기 바인더는 사용하지 않는 편이 바람직하여, 자성층은 유기 바인더를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무기 바인더 중에서도 무기 규산염계 바인더는 난연 재료로서의 기능도 가지므로, 불연성을 특히 더 향상시킬 필요가 있는 용도에서는, 바람직하게는 무기 규산염계 바인더를 사용할 수 있다. 무기 규산염계 바인더로는,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알칼리 금속 규산염계 바인더를 사용할 수 있다.
자성층에 포함되는 무기 바인더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며, 자성층에 요구되는 강도 등에 따라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자성층은, 예를 들어, 자성 재료 100질량부에 대해 무기 바인더가 1질량부 이상 35질량부 이하로 되도록 무기 바인더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무기 바인더가 1질량부 이상 15질량부 이하로 되도록 무기 바인더를 함유하면 보다 바람직하다.
이는, 자성 재료 100질량부에 대한 무기 바인더 함유량을 1질량부 이상으로 함으로써 자성층을 균일한 막 형상으로 할 수 있고, 나아가 바탕이 되는 건축용 면재와의 밀착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자성 재료 100질량부에 대한 무기 바인더 함유량을 35질량부 이하로 함으로써, 자성층에 크랙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자성층에 크랙이 발생하는 원인은, 명백하게 밝혀져 있지는 않지만, 무기 바인더의 함유 비율이 너무 많아지면 자성층의 재료인 자성 재료 함유 도료재가 경화할 때에 자성층 전체의 수축량이 커짐에 의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자성층은, 자성 재료와 무기 바인더 이외에도, 임의의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자성층은 또한, 예를 들어 무기 첨가제를 함유할 수도 있다.
무기 첨가제로는, 탈크(talc), 석고, 탄산칼슘, 산화마그네슘, 수산화마그네슘, 산화알루미늄, 황산바륨, 고령토(kaolin) 등에서 선택되는 1종류 이상임이 바람직하다.
무기 첨가제를 첨가함으로써, 자성층을 형성할 때에 사용하는 자성 재료 함유 도료재의 유동성을 높여서 자성층 표면을 매우 평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위에서 예로 들은 무기 첨가제의 경우에는 백색을 띈 재료들이므로, 자성층이 이러한 무기 첨가제를 함유함으로써 또는 후술하는 안료를 더 함유함으로써,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의 자성층 표면을 백색에 가깝도록 할 수도 있다.
사용하는 무기 첨가제의 입자 직경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며, 예를 들어 평균 입자 직경이 0.1㎛ 이상 50㎛ 이하이면 바람직하고, 1㎛ 이상 30㎛ 이하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무기 첨가제를 첨가하는 경우에, 자성층이 함유하는 무기 첨가제의 양은, 사용하는 무기 첨가제의 종류나 입자 직경 등에 따라 선택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자성층은, 무기 첨가제를 함유하는 경우에, 예를 들어, 무기 첨가제를 자성 재료 100질량부에 대해 0.5질량부 이상 30질량부 이하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질량부 이상 20질량부 이하의 비율로 함유하면 보다 바람직하고, 5질량부 이상 10질량부 이하의 비율로 함유하면 더 바람직하다. 한편, 무기 첨가제의 함유량이 자성 재료 100질량부에 대해 0.5질량부 미만인 경우나 30질량부보다 많은 경우에는, 자성층을 형성할 때에 사용하는 자성 재료 함유 도료재의 유동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그리하여, 자성 재료 함유 도료재의 유동성이 저하되면, 자성층에 기포의 흔적인 핀 홀(pin hole)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자성층에 핀 홀이 생기더라도 당해 자성층의 마그넷 흡착력 등에는 변화가 없지만, 페인트로 표면을 마무리한 경우 등에 미관을 해칠 우려가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무기 첨가제의 함유량을 자성 재료 100질량부에 대해 0.5질량부 이상 30질량부 이하로 함으로써, 자성층에 핀 홀이 생기는 것을 크게 억제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자성층은 방청제를 함유할 수도 있다. 자성층이 방청제를 함유함으로써, 자성층에 포함되는 자성 재료의 산화가 진행되어 변색된다거나 마그넷 등의 자성체에 대한 흡착력에 변화가 생기는 것을 크게 억제할 수 있다.
자성층이 방청제를 함유하는 경우, 그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방청제의 성분이나 그 첨가량에 따라서는 무기 바인더와 반응하여 겔(gel)화하는 경우도 있다는 점에서, 다른 성분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성층이 방청제를 함유하는 경우, 자성층은 방청제를 자성 재료에 대해 0.1질량% 이상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0.3질량% 이상의 비율로 함유하면 보다 바람직하다.
자성층이 방청제를 함유하는 경우, 그 함유량의 상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지나치게 많이 첨가하여도 방청 효과에 큰 변화는 없고 또한 자성층의 강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그러므로, 자성층은 방청제를, 예를 들어, 자성 재료에 대해 20질량% 이하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청제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방청제는, 예를 들어, 수용성 또는 에멀젼인 유기산계 방청제, 킬레이트계 방청제, 유기산 아민계 방청제, 지방산계 방청제 및 아질산염계 방청제에서 선택된 1종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본 실시형태의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는 무기 바인더를 사용함으로써,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자성 재료의 산화를 억제하여 자성 재료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형태의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의 자성층은 방청제를 함유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자성층은 그 밖에도 임의의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점성 증가제, 기포 제거제, 자성층의 색감을 조정하기 위한 산화티탄, 연백(white lead), 아연화(zinc white), 리토폰(lithopone) 등에서 선택된 1종류 이상의 안료, 충전재(부피 증가재)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자성층의 표면을 색차계로 측정한 헌터 백색도(hunter brightness, Wb)가 25를 초과하는 경우, 예를 들어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의 표면에 벽지를 배치하는 벽지 마감, 페인트를 도포하는 페인트 마감시에, 마감재의 표면에서 자성층의 색이 비쳐서 보이기가 어려워지므로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자성층 표면의 헌터 백색도(Wb)가 25보다 커지도록, 예를 들어, 앞서 설명한 무기 첨가제, 경우에 따라서는 전술한 안료도 첨가하여 자성층의 색감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자성 재료로서 철 분말을 사용하고 자성층이 무기 첨가제, 안료를 함유하지 않은 경우에는, 자성층 표면의 헌터 백색도(Wb)가 약 3 정도로 되는 바, 전술한 바와 같이 자성층에 무기 첨가제, 안료를 첨가하여 색감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의 검토에 의하면, 예를 들어, 자성층이 함유하는 철 분말 100질량부에 대해 무기 첨가제인 탈크를 0.5질량부, 안료인 산화티탄을 2질량부 첨가하면, 헌터 백색도(Wb)는 약 30이 된다. 따라서, 자성층이 철 분말을 함유하는 경우에, 자성층은 철 분말 100질량부에 대해 탈크 등과 같은 무기 첨가제를 0.5질량부 이상, 산화 티탄 등과 같은 안료를 2질량부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의 자성층은 임의의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는데, 본 실시형태의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의 불연성을 향상시킨다는 관점에서는, 자성층의 유기 화합물 함유량을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본 발명의 발명자들의 검토에 의하면, 자성층에서 자성 재료 100질량부에 대한 유기 화합물의 함유 비율이 5질량부 정도까지라면,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의 발열량에 거의 변화가 없어서 불연성에 영향을 주지는 않는다. 그러므로, 자성층은, 유기 화합물의 함유 비율이 자성 재료 100질량부에 대해 5질량부 이하임이 바람직하며, 2질량부 이하이면 보다 바람직하며, 1질량부 이하이면 더 바람직하다.
한편, 자성층이 함유하는 유기 화합물은 자성층에 첨가하는 임의의 첨가제에서 유래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자성층을 형성할 때에 사용하는 자성 재료 함유 도료재에 첨가하는 첨가제 중의 유기 화합물 함유 비율을 조정함으로써, 자성층이 함유하는 유기 화합물의 함유 비율을 원하는 범위로 할 수 있다.
자성층(12)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예를 들어 0.1mm 이상임이 바람직하며, 0.3mm 이상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자성층(12)의 두께의 상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예를 들어 5.0mm 이하임이 바람직하며, 2.0mm 이하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는, 자성층에 있어 건축용 면재에 대향하는 면의 반대쪽 면은 노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자성층에 있어 건축용 면재에 대향하는 면의 반대쪽 면에는, 불연성을 높이는 층을 포함하는 다른 층을 갖지 않음이 바람직하다. 이는, 본 실시형태의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에서는 자성층이 무기 바인더를 함유함으로써 불연성이 충분히 향상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불연성을 더 높이기 위한 각종의 층을 추가로 구비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한편, 본 실시형태의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를 사용하여 벽 등을 형성할 때에 자성층 표면에 배치하는 벽지 등의 마감재는, 전술한 다른 층에 포함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들 마감재를 제외하고서, 본 실시형태의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는 자성층에 있어 건축용 면재에 대향하는 면의 반대쪽 면이 노출되어 있음이 바람직하다.
이제까지 본 실시형태의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가 갖는 부재에 대해 설명하였는데, 이하에서는 본 실시형태의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의 특성 등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는 표면이 평활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의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의 표면(주표면)이 평활하다 함은,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의 두께를 복수 개의 지점에서 측정한 경우에 두께의 편차가 500㎛ 이하임을 의미한다.
한편,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의 두께에 대해서는, JIS A 6901(2014)의 "7.3.1 칫수"의 "a)두께" 규정과 마찬가지로 하여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시료인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의 양단으로부터 25mm 이내이면서 양 측면으로부터는 80mm 이상 안쪽인 영역에 있어, 등간격인 6개소의 측정 위치에서 두께를 측정할 수 있다. 그렇게 측정된 당해 6개소에서의 두께 편차가 500㎛ 이하인 경우에 표면이 평활하다고 할 수 있다.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의 표면이 평활하면, 예를 들어 벽재 등으로 사용한 경우에 평탄한 벽을 형성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또한,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의 표면이 평활하면,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의 표면에 대해 벽지를 붙이는 도배(벽지 마감) 작업, 도료를 도포하는 도장 마감, 라미네이트 가공 등과 같은 장식 마감, 장식 마그넷를 배치하는 장식 마그넷 마감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장식 마그넷 마감이라 함은, 한쪽 주표면에 마그넷을 배치한 벽지, 장식판, 장식지 등을 당해 마그넷에 의해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에 흡착시켜 벽 표면을 마감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는, 두께 t가 JIS A 6901(2014)의 규격을 충족함이 바람직하다.
JIS A 6901(2014)의 규격을 충족한다 함은,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의 두께가 9.5mm 이상 10.0mm 이하, 12.5mm 이상 13.0mm 이하, 15.0mm 이상 15.5mm 이하, 16.0mm 이상 16.5mm 이하, 18.0mm 이상 18.5mm 이하, 21.0mm 이상 21.5mm 이하, 25.0mm 이상 25.5mm 이하 중의 어느 범위에 속함을 의미한다.
이는,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의 두께 t가 JIS A 6901(2014)의 규격을 충족하는 경우,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의 두께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건축용 면재의 두께와 같은 규격을 충족하게 되는 것이고, 따라서, 예를 들어 본 실시형태의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와 일반적인 건축용 면재를 동시에 사용하여 벽 등을 형성한 경우에도, 두께 조정 등을 할 필요가 없이, 사용된 건축용 면재의 종류에 따라 생기는 요철이 없는 동일 평면의 벽, 즉, 평탄한 벽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의 두께 t는, 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건축용 면재와 마찬가지로, 9.5mm 이상 10.0mm 이하, 12.5mm 이상 13.0mm 이하, 15.0mm 이상 15.5mm 이하, 21.0mm 이상 21.5mm 이하 중의 어느 범위에 속하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여기에서 말하는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의 두께 t라 함은,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의 전체 두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도 1에 나타낸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10)와 같이,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가 건축용 면재(11)와 자성층(12)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건축용 면재(11)와 자성층(12)의 합계 두께가 당해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10)의 두께 t로 된다.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의 두께는 JIS A 6901(2014)에 규정된 방법에 의해 평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는 준불연(準不燃) 성능을 충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실시형태의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는 준불연 재료로 인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준불연에 대해서는 일본 건축 기준법 시행령 제1조 제5호에 규정되어 있다. 준불연 재료로 인정되기 위해서는, 일반적인 화재에 의한 화염과 열이 가해진 경우에, 가열 개시 후 10분 동안 연소되지 않을 것, 화재를 방지함에 있어 유해한 변형, 용융, 균열, 그 밖의 손상을 일으키지 않을 것, 피난시에 유해한 연기 또는 가스를 발생시키지 않을 것을 충족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는 불연(不燃) 성능을 충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불연 재료로 인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불연에 대해서는 일본 건축 기준법 제2조 제9호 및 일본 건축 기준법 시행령 제108조의 2에 규정되어 있다. 불연 재료로 인정되기 위해서는, 일반적인 화재에 의한 화염과 열이 가해진 경우에, 가열 개시 후 20분 동안 연소되지 않을 것, 화재를 방지함에 있어 유해한 변형, 용융, 균열, 그 밖의 손상을 일으키지 않을 것, 피난시에 유해한 연기 또는 가스를 발생시키지 않을 것을 충족하도록 되어 있다. 일본 건축 기준법 상의 내장(內裝) 제한에 의해, 건물의 용도나 규모 등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건축 재료가 준불연 재료인지 불연 재료인지 정해져 있다. 본 실시형태의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는, 사용할 건물에 요구되는 내장 제한에 적응할 수 있다. 즉, 준불연 재료로 될 수도 있고 불연 재료로 될 수도 있으므로, 어떠한 용도나 규모의 건물에도 사용할 수가 있다.
본 실시형태의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자성층에 무기 바인더를 사용함으로써 불연성을 높이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불연성을 더욱 높이기 위해, 건축용 면재의 재료, 자성층의 재료 등에 대해 잘 연소되지 않는 재료를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자성층을 배치할 건축용 면재에 대해, 준불연 성능을 충족하는 건축용 면재 또는 불연 성능을 충족하는 건축용 면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하여, 필요에 따라 이들 재료를 선택함으로써, 준불연, 불연 성능을 충족하는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로 할 수가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는, 자성층을 배치함으로써 마그넷 등의 자성체를 흡착할 수 있다. 마그넷 흡착력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예를 들어 이하의 마그넷 흡착 시험 특성을 충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선,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21)를 주표면(21a)이 수직으로 되도록 세운다. 그리고, 마그넷 부분의 직경이 17mmΦ이며 1mm 철판에 대한 흡착력이 3.5N인 마그넷(22)을 1개 사용하여 당해 마그넷 1개에 의해 주표면(21a)에 A4 용지(23)를 1장 붙인 경우에 A4 용지가 낙하하지 않는 흡착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여기에서 주표면(21a)이 수직으로 되도록 세운다는 것은, 지면 등과 같은 수평 방향에 대해, 판 형상을 갖는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21)의 주표면, 즉, 마그넷을 흡착시키는 면이 수직으로 되도록 세움을 의미한다. 이하에서, 같은 기재에 대해서는 같은 의미를 갖는다.
또한,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의 주표면에 벽지를 배치한 경우에도 마찬가지의 특성을 가지면 보다 바람직하다. 즉, 주표면(21a)에 벽지가 시공된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21)를 주표면(21a)이 수직으로 되도록 세운다. 그리고, 마그넷 부분의 직경이 17mmΦ이며 1mm 철판에 대한 흡착력이 3.5N인 마그넷(22)을 1개 사용하여 당해 마그넷 1개에 의해 주표면(21a)에 A4 용지(23)를 1장 붙인 경우에 A4 용지(23)가 낙하하지 않는 흡착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의 주표면에 벽지를 배치하고서 마그넷 흡착 시험을 실시한 경우, 벽지로는, 예를 들어,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두께 0.3mm의 벽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벽지로는, 예를 들어, 비닐 벽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마그넷 흡착 시험에 있어, A4 용지로는, 바람직하게는 두께 0.9mm, 질량 64g/m2의 A4 용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마그넷 흡착 시험뿐 아니라, 본 명세서에서의 A4 용지로는, 바람직하게는, 상기의 두께, 질량을 갖는 A4 용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마그넷 흡착 시험을 실시할 때에 자성층을 배치하는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본 실시형태의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에서는, 자성층을 건축용 면재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구비시킴으로써 마그넷을 흡착하기에 충분한 흡착력을 발휘한다. 그리하여, 적어도 마그넷(22)을 배치하는 부분에는 자성층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마그넷(22)과 A4 용지(23)의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마그넷(22) 중심과 A4 용지(23) 상단 사이의 거리 L은 3cm임이 바람직하며, 마그넷(22)의 중심은 A4 용지(23)의 폭방향 중앙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본 실시형태의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형태의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는, 건축용 면재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자성층을 배치함으로써 마그넷 등의 자성체를 흡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건축용 면재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자성층을 배치하고 있을 뿐이므로, 절단 등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서 자유로운 형상으로 가공할 수가 있다.
또한, 종래에 사용되는 철판을 표면에 배치, 고정한 건축용 면재에서는, 철판 때문에 나사나 못을 박기가 어려우므로, 건축용 면재를 고정하기가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벽지, 도장(塗裝) 등에 의해 마감 작업을 할 때에 벽지, 도료와의 접착성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본 실시형태의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에 의하면, 건축용 면재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자성층을 배치할 뿐이므로, 못이나 나사 등도 용이하게 박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는, 전술한 바와 같이 건축용 면재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자성층을 배치할 뿐이므로, 못이나 나사 등을 박은 경우에 쪼개짐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벽지, 도료와의 접착성도 충분히 높게 할 수가 있다.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의 제조방법]
이어서, 본 실시형태의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 제조방법의 일 구성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 제조방법에 의해, 앞서 설명한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를 제조할 수 있다. 그러므로, 앞서 설명한 사항의 일부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의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 제조방법은, 건축용 면재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자성 재료와 무기 바인더를 함유하는 자성 재료 함유 도료재를 도장(塗裝)함으로써 자성층을 형성하는 자성층 형성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자성 재료 함유 도료재는, 앞서 설명한 자성층의 재료, 구체적으로는 자성 재료와 무기 바인더를, 필요에 따라 무기 첨가제, 방청제 등과 같은 임의의 첨가제 등도 같이 혼합함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자성 재료 함유 도료재를 조제할 때에는, 필요에 따라 점도를 조정하기 위해 물과 같은 분산매를 더 첨가하여 혼합할 수도 있다.
자성층에 있어 자성 재료의 단위 면적당 함유량, 자성층의 밀도 등은, 예를 들어, 자성 재료 함유 도료재에 포함되는 자성 재료의 입자 직경, 자성 재료, 반죽 물, 무기 첨가제 등과 같은 각종 성분의 첨가량(함유 비율) 등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자성 재료 함유 도료재에 충전재(부피 증가재)를 첨가하는 경우에는, 당해 충전재의 첨가량(함유량)에 의해 조정할 수도 있다. 충전재로는, 예를 들어, 골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자성층 형성 공정에서 사용하는 원료 및 그 적합한 첨가량, 자성층에 있어 자성 재료의 단위 면적당 함유량이나 밀도의 적합한 범위 등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하였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자성층 형성 공정에서 자성 재료 함유 도료재를 건축용 면재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도장하는 수단,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만, 형성되는 자성층의 두께가 균일해지도록 도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자성층 형성 공정에서는, 자성 재료 함유 도료재를, 롤 코터(roll coater), 플로우 코터(flow coater), 스크레이퍼(scraper)법 중 어느 하나에 의해, 건축용 면재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도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롤 코터란, 회전하는 롤러에 자성 재료 함유 도료재를 칠하여, 당해 롤러에 의해 건축용 면재 표면에 자성층을 형성하는 수단이다. 또한, 플로우 코터란, 반송되고 있는 건축용 면재의 상방에서 건축용 면재의 표면에 대해 자성 재료 함유 도료재를 얇은 막 형상으로 흘려보내어, 건축용 면재의 표면에 자성층을 형성하는 수단이다. 또한, 스크레이퍼법이란, 건축용 면재의 표면으로 공급된 자성 재료 함유 도료재를, 예를 들어 블레이드 등으로 긁어내어, 건축용 면재 표면에서 원하는 두께가 되도록 늘려서 자성층을 형성하는 수단(방법)이다.
한편, 자성층 형성 공정에 공급하는 건축용 면재는, 자성층을 형성하지 않는 부분에는 미리 마스킹 등을 하여 두어 원하는 패턴을 갖는 자성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의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 제조방법은, 전술한 자성층 형성 공정에 더하여 임의의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 제조방법은, 필요에 따라, 형성된 자성층을 건조시키는 건조 공정,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나 원료로 되는 건축용 면재를 임의의 크기로 절단하는 절단 공정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건조 공정에서의 건조 온도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예를 들어 100℃ 이하임이 바람직하며, 70℃ 이하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이는, 건조 온도를 100℃ 이하로 함으로써,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가 휘거나 자성층에 금이 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건조 온도의 하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생산성의 관점에서 20℃ 이상임이 바람직하며, 30℃ 이상이면 더 바람직하다.
[벽 구조체]
이어서, 앞서 설명한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를 사용한 벽 구조체의 구성예에 대해, 도3, 도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벽 구조체인 칸막이벽에 있어, 높이 방향에 평행하며 벽의 주표면에 수직인 면에서의 단면도를 나타내며, 도 4는 칸막이벽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도 4에서는 칸막이벽의 구조를 알기 쉽게 하기 위해, 도 3에서는 도시한 천정 경량 철골조 등이 생략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벽 구조체는, 앞서 설명한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 구체적인 구성예를 나타낸다.
도 3에서 나타낸 칸막이벽(30)은 철근 콘크리트의 바닥 슬래브(F1) 상에 시공된다. 칸막이벽(30)의 하단부는 바닥 슬래브(F1)에 고정되며, 칸막이벽(30)의 상단부는 윗층의 철큰 콘크리트의 바닥 슬래브(F2)에 고정된다. 칸막이벽(30)의 골조는 강제(鋼製) 스터드(31), 바닥 러너(321) 및 상부 러너(천정 러너, 322)에 의해 구성된다. 스터드(31)는 경량 철골제의 채널형 부재로 이루어지고, 바닥 러너(321) 및 상부 러너(322)는 경량 홈형 강(鋼)으로 이루어진다. 도 3 중의 점선은 스터드(31)의 내벽을 나타내고 있다. 바닥 러너(321)와 상부 러너(322)는 앵커-볼트 등의 체결구(33)에 의해 바닥 슬래브(F1,F2)에 각각 고정되며, 스터드(31)는 하단부 및 상단부가 바닥 러너(321) 및 상부 러너(322)에 각각 체결된다. 스터드(31)는 300~600㎜ 정도의 치수로 설정된 소정 간격(예를 들어, 455㎜ 간격)을 띄우고 벽 중심 방향으로 정렬시켜 바닥 슬래브(F1,F2)의 사이에 수직으로 세워서 설치된다.
안쪽 보드(34)가 나사(35)에 의해 스터드(31)의 양쪽에 설치되며, 바깥쪽 보드(36)가 스테이플 등의 체결구(37)와 접착제 중에서 선택된 1종류 이상에 의해 안쪽 보드(34)의 표면에 고정된다. 안쪽 보드(34)로는, JIS A 6901(2014)에서 규정되는 석고 보드, 상기 석고 보드보다 경량(輕量)이거나 중량(重量)인 석고 보드, 석고판, 경질 석고판, 유리 섬유 보강 석고판, 규산칼슘판 등의 불연성 건축재 보드를 필요에 따라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는 기재의 편의상 나사(35)의 기재를 일부 생략하였다.
바깥쪽 보드(36)의 표면은, 도장(塗裝)되거나 또는 벽지 등의 외장 마감재(38)가 시공된다.
칸막이벽(30)의 내부에는 글라스 울(glass wool), 로크 울(rock wool) 등과 같은 단열재(39)를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바닥 슬래브(F1) 상에는 바닥 마감재(40)를 시공하며, 몰딩(41)을 칸막이벽(30)의 하단 가장자리에 설치할 수 있다. 몰딩(41)으로는 범용의 기성품, 예를 들어, 비닐 몰딩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천정 경량 철골조(42)를 윗층의 바닥 슬래브(F2)에 걸어 매달 수도 있다. 그리고, 천정 경량 철골조(42)의 표면에는 천정 마감재(43)를 배치할 수 있다.
천정 마감재(43)는 천정 둘레 몰딩 등의 마감 몰딩(44)을 사이에 두고 실내쪽 벽면에 연접된다. 마감 몰딩(44)으로서는, 수지 또는 금속제의 마감 몰딩 기성품 또는 조이너(joiner), 목재 가공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쪽 보드(34)는 가로 방향으로 시공되며 상하의 안쪽 보드(34)가 가로 줄눈(45)에서 서로 맞붙는다. 복수 개의 가로 줄눈(45)은, 맞붙은 줄눈 형태의 이음매로서 수평하고 평행하게 연장된다.
바깥쪽 보드(36)는 세로 방향으로 시공되며, 간격을 둔 줄눈, 맞붙은 줄눈, 조인트 공법 줄눈 등, 원하는 줄눈 형태의 세로 줄눈(46)을 사이에 두고 상호 연접된다. 복수 개의 세로 줄눈(46)은 수직하고 평행하게 연장된다.
그리고, 바깥쪽 보드(36)로는, 앞서 설명한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를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바깥쪽 보드(36) 사이의 세로 줄눈(46)은, 줄눈 처리재를 이용하여 줄눈 처리할 수도 있다. 한편, 칸막이벽(30)을 구성하는 바깥쪽 보드(36)의 일부를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로 하고, 나머지 부분을 자성층을 갖지 않는 일반적인 건축용 면재로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바깥쪽 보드(36)로서 앞서 설명한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를 사용함으로써, 벽 구조체인 칸막이벽에 대해 마그넷 등의 자성체를 흡착할 수 있는 벽으로 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한편, 여기에서는 벽 구조체로서 칸막이벽의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형태의 벽 구조체가 칸막이벽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를 사용한 각종의 벽 구조체를 포함한다. 또한, 여기에서는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를 안쪽 보드에 고정시킨 예를 나타내었으나, 본 실시형태의 벽 구조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를 나사 등으로 스터드에 고정시킨 벽 구조체를 포함한다.
실시예
이하에서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는데,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1>
실험예 1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를 제작하여 마그넷 흡착 시험을 실시하였다.
우선,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의 제조 조건에 대해 설명한다.
건축용 면재(11)로서 두께12.0㎜×폭300㎜×길이400㎜의 석고 보드를 준비하고, 그 한쪽 주표면(11a) 상의 전체면에 자성층(12)을 형성함으로써,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10)로 하였다.
자성층은, 자성 재료인 철 분말 100질량부에 대해, 바인더로서 무기 바인더인 알칼리금속 규산염계 바인더를 5질량부와, 물을 혼합하여 형성된 자성 재료 함유 도료재를, 스크레이퍼법에 의해 건축용 면재(11)의 주표면 상에 두께 0.75mm로 되도록 도장하고 건조시킴으로써, 형성되었다.
철 분말로는,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험예1-1~실험예1-5에서는 환원철 분말을, 실험예1-6~실험예1-10에서는 아토마이즈(atomize) 철 분말을, 실험예1-11~실험예1-15에서는 산화철 분말을 사용하였다. 한편, 산화철 분말로는 사산화삼철 분말을 사용하였다. 상기 모든 철 분말의 평균 입자 직경은 50㎛이었다.
또한, 알칼리 금속 규산염계 바인더는 규산리튬과 규산나트륨과 붕산아연을 함유하고 있다.
실험예1-1~실험예1-15에서는, 자성층(12)에 있어 자성 재료인 철 분말의 단위 면적당 함유량이 각각 표 1에 나타낸 값이 되도록 형성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실험예1-1, 실험예1-6, 실험예1-11에서는, 자성층에 있어 자성 재료인 철 분말의 단위 면적당 함유량이 0.3kg/m2 이 되도록 자성층을 형성하였다. 한편, 각 실험예의 자성층(12)을 형성할 때에는, 자성 재료 함유 도료재에 첨가하는 물의 양을 조정함으로써, 자성층(12)에 있어 철 분말의 단위 면적당 함유량이 각 실험예에 대해 원하는 값이 되도록 조정하였다.
또한, 모든 실험예에서, 자성층의 두께는 0.75㎜±0.25㎜의 범위 내에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그넷 흡착 시험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각 실험예에서 제작된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21)를, 주표면(21a)이 수직이 되도록 세운다. 그리고, 마그넷 부분의 직경이 17㎜Φ이며 1㎜ 철판에 대한 흡착력이 3.5N인 마그넷(22)을 1개 사용하며, 당해 1개의 마그넷에 의해 A4 용지(23)를 주표면(21a)에 붙였다. 그리고, A4 용지(23)가 낙하할 때까지 A4 용지(23)의 장수를 늘려 가면서, A4 용지(23)가 낙하했을 때의 장수-1장을 당해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의 마그넷 흡착력으로서 평가하였다.
한편, 마그넷 흡착 시험에서 사용한 마그넷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당해 마그넷(51)을 두께 1㎜의 철판(52)에 흡착시키고, 마그넷(51)에 접속시켜 둔 후크(511)를 오토그래프(미도시)에 의해 3㎜/sec의 속도로 블록 화살표 A를 따라 들어올려서, 최대 강도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당해 최대 강도를 1㎜ 철판에 대한 흡착력으로 하며, 본 실험예에서는 같은 마그넷을 사용하였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마그넷 흡착 시험을 실시할 때에는, 마그넷(22) 중심과 A4 용지(23) 상단 사이의 거리 L이 3cm이고 마그넷(22)의 중심이 A4 용지(23)의 폭방향 중앙에 위치하도록, 마그넷을 배치하였다.
그리고, A4 용지(23)로는, 두께0.09㎜, 질량64g/m2인 A4 용지를 사용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에서, 각 실험예 번호 아래에 있는 수치가 마그넷 흡착 시험의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실험예1-1~실험예1-15는 실시예에 해당한다.
Figure pct00001
표 1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건축용 면재의 표면에 자성 재료 및 무기 바인더를 함유하는 자성층을 형성하여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로 한 경우에, 당해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는 충분한 마그넷 흡착력을 가짐이 확인되었다. 또한, 커터로 절단해 보았더니, 모든 실험예의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에 있어 임의의 형상으로 용이하게 절단 가공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실험예 2>
실험예 2에서는, 자성 재료로서, 실험예 1에서 자성층 내 자성 재료의 단위 면적당 함유량이 같은 경우에 마그넷 흡착력이 가장 우수한 아토마이즈 철 분말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무기 바인더의 배합량을 바꾸거나 무기 바인더를 유기 바인더로 바꾸고서, 실험예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여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를 제작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건축용 면재로서 두께12.0㎜×폭300㎜×길이400㎜의 석고 보드를 준비하고, 그 한쪽 주표면 상의 전체면에 자성층을 형성하여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로 하였다.
자성층은, 자성 재료인 아토마이즈 철 분말 100질량부에 대해, 바인더로서 표 2에 나타낸 비율의 무기 바인더 또는 유기 바인더와 물을 혼합하여 형성한 자성 재료 함유 도료재를, 스크레이퍼법에 의해 건축용 면재(11)의 주표면 상에 두께가 0.75㎜로 되도록 도장하고 건조시킴으로써 형성하였다.
아토마이즈 철 분말로는 실험예 1과 같은 것을 사용하였다.
실험예 2-1~실험예 2-7에서는, 바인더로서 무기 바인더인 알칼리 금속 규산염계 바인더를 사용하였다. 한편, 알칼리 금속 규산염계 바인더는 실험예 1과 같은 것을 사용하였다. 실험예 2-8에서는, 바인더로서 유기 바인더인 아세트산비닐 수지를 사용하였다.
모든 실험예에서 자성층(12)은, 자성 재료인 철 분말의 단위 면적당 함유량이 2.0kg/m2이 되도록 각각 자성층을 형성하였다. 한편, 각 실험예의 자성층(12)을 형성할 때에 전술한 자성 재료 함유 도료재에 첨가하는 물의 양을 조정함으로써, 자성층(12)에 있어 철 분말의 단위 면적당 함유량이 원하는 값으로 되도록 조정하였다.
또한, 모든 실험예에서, 자성층의 두께는 0.75㎜±0.25㎜의 범위에 있음이 확인되었다.
그리하여, 제작된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에 대해, 마그넷 흡착 시험, 접착성 시험, 외관 시험, 발열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마그넷 흡착 시험에 대해서는, 실험예 1에서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하며 그 밖의 평가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접착성 시험)
접착성 시험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우선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 시험편(61)에 부착물(621,622)을 접착시킨 접착성 시험용 시험체(60)를 제작하였다. 한편, 도 6에서는, 접착성 시험용 시험체(60)에 대해,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 시험편(61)과 부착물(621,622)의 적층 방향에 평행한 면에서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접착성 시험용 시험체(60)를 제작함에 있어서는, 우선, 각 실험예에서 제작한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로부터, 원형톱으로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 시험편(61)을 잘라내었다. 구체적으로는, 자성층의 노출된 면에 대해 수직으로 칼집을 넣고, 자성층과 건축용 면재의 적층 방향 위에서 봤을 때에 크기가 4cm×4cm인 직방체로 되도록,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 시험편(61)을 잘라내었다.
그리고, 시료를 접착시키는 면의 크기가 4cm×4cm인 한 쌍의 부착물(621,622)을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 시험편(61)의 건축용 면재(611) 부분 및 자성층(612) 부분에서 각각 에폭시 수지로 접착하였다. 이로써 접착성 시험용 시험체(60)를 제작하였다.
이어서, 한쪽의 부착물(621)은 고정하고서, 다른쪽 부착물(622)에 대해, 오토그래프(시마즈 제작소 제조, AG-X plus)를 이용해서 분당 2mm의 속도로 도 6에서의 상방으로 끌어당김으로써,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 시험편(61)에서의 파단 지점을 관측하였다.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 시험편(61)의 자성층, 구체적으로는 자성층(612)과 건축용 면재(611) 사이에서 파단된 경우에는, 자성층과 건축용 면재 사이의 접착 강도가 낮으며 밀착성(접착성)이 충분하지 않음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 시험편(61)의 건축용 면재(611)에서 파단된 경우에는, 자성층과 건축용 면재 사이의 접착 강도가 크고 밀착성이 충분히 높음을 나타내고 있다.
(외관 시험)
제작된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의 자성층 표면에 크랙이 발생하지 않았는지 육안으로 검사하였다.
(발열성 시험)
ISO 5660-1 원뿔형 열량계(cone calorimeter)법에 준거하여 실시하였다. 그리고, 일반 재단법인 일본 종합 연구소 내화 성능 시험·평가 업무 방법서 중, 4.10.1 불연성 시험 방법 및 4.11.1 준불연 성능 시험 방법에서의 6. 판정에 따라 평가하였다.
발열성 시험 평가 중에, 발열성 시험(준불연)은 가열 개시 후 10분 동안의 총발열량, 최고 발열 속도 및 균열 관통 유무를, 발열성 시험(불연)은 가열 개시 후 20분 동안의 총발열량, 최고 발열 속도 및 균열 관통 유무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실험예 2-1~실험예 2~7이 실시예에, 실험예 2-8이 비교예에 해당한다.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2
표 2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실험예 2-1~실험예 2-7의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는 충분한 마그넷 흡착력을 가짐이 확인되었다. 또한, 커터로 절단해 보았더니, 모든 실험예의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가 임의의 형상으로 용이하게 절단 가공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무기 바인더를 사용한 실험예 2-1~실험예 2-7에서는, 유기 바인더를 사용한 실험예 2-8에 비해 총 발열량, 최고 발열 속도가 억제되어 불연성이 향상되었음이 확인되었다.
한편, 가열 개시 후 10분 동안의 총 발열량이 8MJ/m2 이하이고, 최고 발열 속도가 10초를 넘는 기간 동안 연속해서 200kw/m2을 초과하지 않으며, 연소를 방지함에 있어 유해한, 뒷면까지 관통된 균열 및 구멍이 없는 경우에는, 준불연 재료로 인정된다. 또한, 가열 개시 후 20분 동안 준불연과 같은 요건을 충족하는 경우에는, 불연 재료로 인정된다. 따라서, 실험예 2-3~실험예 2-7의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는 불연 재료임이 확인되었다. 또한, 실험예 2-2~실험예 2-7의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는 준불연 재료임이 확인되었다.
접착성 시험에서, 무기 바인더의 배합량이 자성 재료 100질량부에 대해 1질량부 미만인 실험예 2-1의 경우, 접착성 시험에서의 파단 지점이 자성층이었다. 한편, 자성층이 얇아서 자성층에서 파단되었다는 것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자성층과 건축용 면재 사이, 즉, 계면에서 파단되었음을 의미한다. 한편, 무기 바인더의 배합량이 자성 재료 100질량부에 대해 1질량부 이상인 실험예 2-2~실험예 2-7의 경우, 자성층과 건축용 면재 간 계면에서는 파단되지 않고, 석고심, 즉, 건축용 면재의 내부에서 파단되었음이 확인되었다.
이는, 실험예 2-1에서는, 자성층과 건축용 면재 간 접착 강도가 실험예 2-2~실험예 2-7에 비해 낮으므로, 즉 밀착성이 낮으므로, 이렇게 계면에서 파단된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와 달리 실험예 2-2~실험예 2-7에서는, 자성층과 건축용 면재 간 접착 강도가 충분히 높으므로, 석고심에서 파단된 것이라고 생각된다.
다만, 무기 바인더의 배합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실험예 2-7에서와 같이, 자성층에 크랙이 생기는 경우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실험예 3>
실험예 3에서는, 자성 재료로서, 실험예 1에서 자성층 내 자성 재료의 단위 면적당 함유량이 같은 경우에 마그넷 흡착력이 가장 우수한 아토마이즈 철 분말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자성 재료 함유 도료재로서, 상기 자성 재료 및 무기 바인더에 소정량의 무기 첨가제를 첨가한 것을 사용하여,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를 제작하고서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건축용 면재로서 두께12.0㎜×폭300㎜×길이400㎜의 석고 보드를 준비하고, 그 한쪽 주표면 상의 전체면에 자성층을 형성하여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로 하였다.
자성층은, 자성 재료인 아토마이즈 철 분말 100질량부에 대해, 바인더로서 무기 바인더인 알칼리 금속 규산염계 바인더 5질량부와, 표 3에 나타낸 비율의 무기 첨가제와, 물 20질량부를 혼합하여 형성한 자성 재료 함유 도료재를, 스크레이퍼법에 의해 건축용 면재(11)의 주표면 상에 두께가 0.75㎜로 되도록 도장하고 건조시킴으로써 형성하였다.
한편, 아토마이즈 철 분말, 알칼리 금속 규산염계 바인더는, 실험예 1과 같은 것을 사용하였다.
무기 첨가제로는, 평균 입자 직경이 16㎛인 탈크를 사용하였다.
모든 실험예에서 자성층(12)은, 자성 재료인 철 분말의 단위 면적당 함유량이 2.0kg/m2이 되도록 각각 자성층을 형성하였다.
또한, 모든 실험예에서 형성된 자성층의 두께는 0.75㎜±0.25㎜의 범위에 있음이 확인되었다.
그리하여, 제작된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에 대해, 마그넷 흡착 시험, 접착성 시험, 외관 시험, 발열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마그넷 흡착 시험, 접착성 시험, 발열성 시험에 대해서는, 실험예 1 또는 실험예 2에서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외관 시험에서는, 자성층의 표면에 기포의 흔적인 핀 홀이 생기지 않았는지를 평가하였다. 육안으로 핀 홀이 확인된 경우에는 "있음"으로, 확인되지 않은 경우에는 "없음"으로 평가하였다.
실험예 3-1~실험예 3-6은 실시예에 해당한다.
Figure pct00003
표 3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실험예 3-1~실험예 3-6의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는 충분한 마그넷 흡착력을 가짐이 확인되었다. 또한, 커터로 절단해 보았더니, 모든 실험예의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가 임의의 형상으로 용이하게 절단 가공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실험예 3-1~실험예 3-6에서는, 접착성 시험을 행했을 때에, 건축용 면재, 즉, 석고심에서 파단함이 확인되어, 자성층과 건축용 면재 간 접착 강도가 충분히 높음이 확인되었다.
실험예 3-1, 실험예 3-6에서는, 자성층 표면에 핀 홀이 생겼음이 확인되었다. 이는, 무기 첨가제의 첨가량이 충분하지 않던가 지나치게 많아서, 자성 재료 함유 도료재의 유동성이 충분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실험예 3-1~실험예 3-6의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는 불연 재료임이 확인되었다.
<실험예 4>
실험예 4에서는, 건축용 면재의 종류를 바꾸어 도 1에 나타내는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를 제작하고 평가하였다.
먼저,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의 제조 조건에 대해 설명한다.
건축용 면재(11)로서 표 4에 나타낸 각종 건축용 면재를 준비하였다. 모든 경우에서 크기는 두께12.0㎜×폭300㎜×길이400㎜이다. 그리고, 그 한쪽 주표면(11a) 상의 전체면에 자성층(12)을 형성하여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로 하였다.
자성층은, 자성 재료인 아토마이즈 철 분말 100질량부에 대해, 바인더로서 무기 바인더인 알칼리 금속 규산염계 바인더 5질량부와, 물 20질량부를 혼합하여 형성한 자성 재료 함유 도료재를, 스크레이퍼법에 의해 건축용 면재(11)의 주표면 상에 두께가 0.75㎜로 되도록 도장하고 건조시킴으로써 형성하였다.
한편, 아토마이즈 철 분말, 알칼리 금속 규산염계 바인더는 실험예 1과 같은 것을 사용하였다.
모든 실험예에서 자성층(12)은, 각각 자성 재료인 철 분말의 단위 면적당 함유량이 2.0kg/m2으로 되도록 자성층을 형성하였다.
또한, 두께는 0.75㎜±0.25㎜의 범위에 있음이 확인되었다.
그렇게 제작된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에 대해, 마그넷 흡착 시험, 접착성 시험, 발열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마그넷 흡착 시험, 접착성 시험, 발열성 시험에 대해서는, 실험예 1 또는 실험예 2에서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실험예 4-1~실험예 4-5은 실시예에 해당한다.
Figure pct00004
표 4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실험예 4-1~실험예 4-5의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는 충분한 마그넷 흡착력을 가짐이 확인되었다. 또한, 커터로 절단해 보았더니, 모든 실험예의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가 임의의 형상으로 용이하게 절단 가공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실험예 4-1~실험예 4-5에서는, 접착성 시험을 행했을 때에, 건축용 면재, 즉, 기재(基材)에서 파단함이 확인되어, 자성층과 건축용 면재 간 접착 강도가 충분히 높음이 확인되었다.
실험예 4-1~실험예 4-5의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는 불연 재료임이 확인되었다.
<실험예 5>
실험예 5에서는, 자성 재료로서, 실험예 1에서 자성층 내 자성 재료의 단위 면적당 함유량이 같은 경우에 마그넷 흡착력이 가장 우수한 아토마이즈 철 분말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자성 재료 함유 도료재로서, 상기 자성 재료 및 무기 바인더에 소정량의 무기 첨가제 및 점성 증가제를 첨가한 것을 사용하여,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를 제작하고서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건축용 면재로서 두께12.0㎜×폭300㎜×길이400㎜의 석고 보드를 준비하고, 그 한쪽 주표면 상의 전체면에 자성층을 형성하여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로 하였다.
자성층은, 자성 재료인 아토마이즈 철 분말 100질량부에 대해, 바인더로서 무기 바인더인 알칼리 금속 규산염계 바인더 5질량부와, 무기 첨가제 5질량부와, 표 5에 나타낸 비율의 점성 증가제인 변성 폴리아크릴계 술폰산염과, 물 20질량부를 혼합하여 형성한 자성 재료 함유 도료재를, 스크레이퍼법에 의해 건축용 면재(11)의 주표면 상에 두께가 0.75㎜로 되도록 도장하고 건조시킴으로써 형성하였다.
한편, 아토마이즈 철 분말, 알칼리 금속 규산염계 바인더는, 실험예 1과 같은 것을 사용하였다.
무기 첨가제로는, 평균 입자 직경이 16㎛인 탈크를 사용하였다.
모든 실험예에서 자성층(12)은, 자성 재료인 철 분말의 단위 면적당 함유량이 2.0kg/m2이 되도록 각각 자성층을 형성하였다.
또한, 모든 실험예에서 형성된 자성층의 두께는 0.75㎜±0.25㎜의 범위에 있음이 확인되었다.
그리하여, 제작된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에 대해, 마그넷 흡착 시험, 접착성 시험, 발열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마그넷 흡착 시험, 접착성 시험, 발열성 시험에 대해서는, 실험예 1 또는 실험예 2에서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실험예 5-1~실험예 5-4는 실시예에 해당한다.
Figure pct00005
표 5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실험예 5-1~실험예 5-4의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는 충분한 마그넷 흡착력을 가짐이 확인되었다. 또한, 커터로 절단해 보았더니, 모든 실험예의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가 임의의 형상으로 용이하게 절단 가공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실험예 5-1~실험예 5-4에서는, 접착성 시험을 행했을 때에, 건축용 면재, 즉, 석고심에서 파단함이 확인되어, 자성층과 건축용 면재 간 접착 강도가 충분히 높음이 확인되었다.
실험예 5-1~실험예 5-4의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는 불연 재료임이 확인되었다. 또한, 유기 화합물인 점성 증가제의 배합량이 자성 재료 100질량부에 대해 5질량부 이하 정도이면, 총발열량에 큰 변화가 없어서 불연성에 큰 영향을 주지 않음이 확인되었다.
<실험예 6>
실험예 6에서는, 자성 재료로서, 실험예 1에서 자성층 내 자성 재료의 단위 면적당 함유량이 같은 경우에 마그넷 흡착력이 가장 우수한 아토마이즈 철 분말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자성 재료 함유 도료재의 원료로서, 상기 자성 재료에 더해, 소정량의 무기 첨가제, 바인더로서 무기 바인더 또는 유기 바인더를 사용하여,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를 제작하고서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건축용 면재로서 두께12.0㎜×폭100㎜×길이100㎜의 석고 보드를 준비하고, 그 한쪽 주표면 상의 전체면에 자성층을 형성하여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로 하였다.
자성층은, 자성 재료인 아토마이즈 철 분말 100질량부에 대해, 무기 첨가제로서 탈크를 5질량부, 바인더로서 무기 바인더(실험예 6-1) 또는 유기 바인더(실험예 6-2)를 5질량부, 물 20질량부를 혼합하여 형성한 자성 재료 함유 도료재를, 스크레이퍼법에 의해 건축용 면재(11)의 주표면 상에 두께가 0.75㎜로 되도록 도장하고 건조시킴으로써 형성하였다.
아토마이즈 철 분말로는 실험예 1과 같은 것을 사용하였다.
무기 첨가제로는 평균 입자 직경이 16㎛인 탈크를 사용하였다.
실험예 6-1에서는, 바인더로서 무기 바인더인 알칼리 금속 규산염계 바인더를 사용하였다. 한편, 알칼리 금속 규산염계 바인더는 실험예 1과 같은 것을 사용하였다. 실험예 6-2에서는, 바인더로서 유기 바인더인 아세트산비닐 수지를 사용하였다.
모든 실험예에서 자성층(12)은, 자성 재료인 철 분말의 단위 면적당 함유량이 2.0kg/m2이 되도록 각각 자성층을 형성하였다.
또한, 모든 실험예에서 형성된 자성층의 두께는 0.75㎜±0.25㎜의 범위에 있음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제작된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에 대해 녹 발생 평가를 실시하였다.
녹 발생 평가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험예 6-1의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71)와, 실험예 6-2의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72)와, 물 100mL를 넣은 샤레(73)를 밀폐 용기(74) 안에 넣은 후, 당해 밀폐 용기를 40℃로 설정한 항온조 내에 넣고 자성층에 녹이 발생하는지를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결과를 표 6에 나타낸다. 한편, 실험예 6-1이 실시예에 해당하며, 실험예 6-2가 비교예에 해당한다.
Figure pct00006
표 6에 나타낸 결과에 의하면, 시험 개시 후 14일이 되는 시점에서도, 무기 바인더를 사용한 실험예 6-1의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에서는 녹이 발생하지 않음이 확인되었다. 한편, 유기 바인더를 사용한 실험예 6-2의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에서는, 시험 개시 후 7일째에 녹이 발생했음이 확인되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바인더로서 무기 바인더를 사용함으로써, 방청제를 첨가하지 않더라도, 자성층의 자성 재료가 산화되어 녹 등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한편, 마그넷 흡착 시험의 결과를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실험예 6-1, 실험예 6-2의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는 충분한 마그넷 흡착력을 가짐이 확인되었다. 또한, 커터로 절단해 보았더니, 양 실험예의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가 임의의 형상으로 용이하게 절단 가공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상에서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에 대해 실시형태 등에 의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 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 요지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변경이 가능하다.
본 출원은 2018년 10월 5일에 일본국 특허청에 출원된 특원2018-190511호에 기초한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으로서, 특원2018-190511호의 전체 내용을 본 국제출원에 원용한다.
10,21,71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
11,611 건축용 면재
12,612 자성층

Claims (10)

  1. 건축용 면재와,
    상기 건축용 면재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를 덮는 자성층을 포함하며,
    상기 자성층은 자성 재료와 무기 바인더를 함유하는 것인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층은 상기 자성 재료 100질량부에 대해 상기 무기 바인더를 1질량부 이상 35질량부 이하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인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층은 또한 무기 첨가제를 상기 자성 재료 100질량부에 대해 0.5질량부 이상 30질량부 이하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인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층은 상기 자성 재료의 단위 면적당 함유량이 0.3kg/m2 이상인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건축용 면재가 섬유 강화 시멘트판, 유리 매트 석고 보드, 유리 섬유 부직포 포함 석고 함유판, 유리 섬유 혼입 시멘트판, 섬유 혼입 규산칼슘판, 석고 보드, 석고판, 슬래그 석고판 또는 수지판인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층은 유기 화합물의 함유 비율이 상기 자성 재료 100질량부에 대해 5질량부 이하인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층에 있어 상기 건축용 면재에 대향하는 면의 반대쪽 면이 노출되어 있는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두께가 9.5mm 이상 10.0mm 이하, 12.5mm 이상 13.0mm 이하, 15.0mm 이상 15.5mm 이하, 16.0mm 이상 16.5mm 이하, 18.0mm 이상 18.5mm 이하, 21.0mm 이상 21.5mm 이하, 25.0mm 이상 25.5mm 이하 중 어느 하나인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준불연 성능을 충족하는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불연 성능을 충족하는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


KR1020217008433A 2018-10-05 2019-09-05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 KR202100659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90511 2018-10-05
JP2018190511 2018-10-05
PCT/JP2019/035060 WO2020071051A1 (ja) 2018-10-05 2019-09-05 磁性層付き建築用面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5949A true KR20210065949A (ko) 2021-06-04

Family

ID=70055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8433A KR20210065949A (ko) 2018-10-05 2019-09-05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20220112716A1 (ko)
EP (1) EP3839169B1 (ko)
JP (2) JPWO2020071051A1 (ko)
KR (1) KR20210065949A (ko)
CN (1) CN112771236A (ko)
AU (1) AU2019352154A1 (ko)
BR (1) BR112021003072A2 (ko)
CA (1) CA3112500A1 (ko)
DK (1) DK3839169T3 (ko)
ES (1) ES2961332T3 (ko)
FI (1) FI3839169T3 (ko)
MX (1) MX2021002435A (ko)
PH (1) PH12021550578A1 (ko)
PL (1) PL3839169T3 (ko)
SG (1) SG11202102782XA (ko)
TW (1) TW202028584A (ko)
WO (1) WO20200710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47412A1 (zh) * 2019-01-14 2020-07-23 龚柱 墙面覆盖板的铺设方法
CA3164279A1 (en) * 2020-03-19 2021-09-23 Wataru Ohuchi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partition walls and floor slab, and method for constructing same
JP7385871B2 (ja) 2021-03-02 2023-11-24 ニチレイマグネット株式会社 水性磁性塗料組成物並びにそれを用いた磁性面及び磁性シート
CN113580615B (zh) * 2021-08-03 2022-02-08 绍兴寿春针纺织有限公司 一种防静电墙布生产工艺
CN115110733B (zh) * 2022-06-22 2023-09-19 三峡大学 一种精确定向浆液厚度的电磁吸附式瓷砖铺贴装置及方法
US11674308B1 (en) * 2022-08-12 2023-06-13 Planet Growth LLC Modular reattachable structure system and metho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8983A (ja) 1991-12-27 1994-03-22 Nippon Metal Ind Co Ltd 医療廃棄物の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28022U (ko) * 1985-01-30 1986-08-11
JPH0676729B2 (ja) * 1987-06-23 1994-09-28 ニチレイマグネット株式会社 壁 板
JPH0678983U (ja) 1993-04-22 1994-11-04 鹿島建設株式会社 掲示用壁
JP3263514B2 (ja) * 1993-12-27 2002-03-04 ティーディーケイ株式会社 磁気記録媒体
JPH0988294A (ja) * 1995-09-21 1997-03-31 Fujita Corp 磁気吸着壁
US20030150190A1 (en) * 2002-02-14 2003-08-14 Michael Schroth Magnetic gypsum panel
KR100716582B1 (ko) * 2005-06-03 2007-05-09 (주)에이치제이 도전성 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US7652087B2 (en) * 2006-02-21 2010-01-26 American Thermal Holdings Company Protective coating
JP5877804B2 (ja) * 2012-02-28 2016-03-08 ニチレイマグネット株式会社 建装部材の磁性層及び建装部材の磁性層の製造方法
EP3213899B1 (en) * 2014-10-30 2023-08-02 Prime Polymer Co., Ltd. Polypropylene foam molded article and method for producing polypropylene foam molded article
JP5954602B1 (ja) * 2015-01-22 2016-07-20 有限会社イマヤマ 装飾性マグネット吸着不燃化粧板
US20170037629A1 (en) * 2015-08-05 2017-02-09 Milliken & Company Magnetically attached building composite
US10658096B2 (en) * 2016-03-04 2020-05-1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agnetic multilayer sheet
US20190323234A1 (en) * 2016-10-18 2019-10-24 Yoshino Gypsum Co., Ltd. Gypsum-based building material with magnetic layer, magnetic joint material, method for fabricating gypsum-based building material with magnetic layer
JP2017155583A (ja) * 2017-03-16 2017-09-07 吉野石膏株式会社 内装用建材
JP6956396B2 (ja) 2017-04-28 2021-11-02 マイクロ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加工装置又は加工システム用の発電装置及び発電システム、並びに当該加工装置又は加工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8983A (ja) 1991-12-27 1994-03-22 Nippon Metal Ind Co Ltd 医療廃棄物の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169263A (ja) 2023-11-29
WO2020071051A1 (ja) 2020-04-09
EP3839169B1 (en) 2023-07-19
AU2019352154A1 (en) 2021-04-15
US20220112716A1 (en) 2022-04-14
PH12021550578A1 (en) 2021-12-06
TW202028584A (zh) 2020-08-01
FI3839169T3 (fi) 2023-09-22
EP3839169A4 (en) 2021-11-17
SG11202102782XA (en) 2021-04-29
EP3839169A1 (en) 2021-06-23
CN112771236A (zh) 2021-05-07
CA3112500A1 (en) 2020-04-09
DK3839169T3 (da) 2023-10-02
MX2021002435A (es) 2021-04-28
BR112021003072A2 (pt) 2021-05-11
PL3839169T3 (pl) 2023-12-04
JPWO2020071051A1 (ja) 2021-09-02
ES2961332T3 (es) 2024-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65949A (ko) 자성층 포함 건축용 면재
JP7412011B2 (ja) 磁性層付き石膏系建材、磁性層付き石膏系建材の製造方法
US20210246655A1 (en) Shear panel building material
US8440296B2 (en) Shear panel building material
JP2009132078A (ja) 不燃ボードとその製造方法
RU2776145C1 (ru) Строительная панель с магнитым слоем
CN103261540A (zh) 浇铸天花板
CN202573186U (zh) 一种新型阻燃木工板
WO2018143414A1 (ja) 石膏組成物用の混和剤組成物及びキット
CN110117992A (zh) 一种装修用环保耐火保温板
CN202037935U (zh) 一种防火镜面铝塑复合板
JP2019173448A (ja) 建材パネ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