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4458A - 쥐오줌풀을 이용한 수면유도차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쥐오줌풀을 이용한 수면유도차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4458A
KR20210064458A KR1020190152066A KR20190152066A KR20210064458A KR 20210064458 A KR20210064458 A KR 20210064458A KR 1020190152066 A KR1020190152066 A KR 1020190152066A KR 20190152066 A KR20190152066 A KR 20190152066A KR 20210064458 A KR20210064458 A KR 202100644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erian
weight
parts
sleep
t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2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9771B1 (ko
Inventor
김영아
조동기
서향임
이미선
Original Assignee
(재)전북바이오융합산업진흥원
조동기
전라북도 진안군(진안군 농업기술센터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전북바이오융합산업진흥원, 조동기, 전라북도 진안군(진안군 농업기술센터장) filed Critical (재)전북바이오융합산업진흥원
Priority to KR1020190152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9771B1/ko
Publication of KR20210064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44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9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97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4Tea preparations, e.g.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2Rolling or shredding tea leav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쥐오줌풀을 이용한 수면유도차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쥐오줌풀을 이용한 수면유도차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쥐오줌풀을 로스팅하는 단계 및 (b) 로스팅된 쥐오줌풀에 부재료 및 천연 감미료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면유도차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쥐오줌풀, 산조인, 메밀 및 수국을 포함하는 수면유도차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쥐오줌풀을 이용한 수면유도차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쥐오줌풀을 분말화하는 단계 및 (B) 분말화된 쥐오줌풀에 부재료 및 감미료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면유도차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쥐오줌풀, 아로니아, 레몬, 대추, 홍삼 및 포도당을 포함하는 수면유도차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쥐오줌풀을 이용한 수면유도차 및 이의 제조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sleep induction difference and teeth using valerian}
본 발명은 쥐오줌풀을 이용한 수면유도차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쥐오줌풀을 이용하여 수면 유도 기능을 가지면서도, 쥐오줌풀 특유의 향을 효과적으로 마스킹하여 맛과 향을 개선시켜 기호도가 우수한 쥐오줌풀을 이용한 수면유도차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상적인 수면은 건강한 삶에 필수 불가결한 요소로, 수면은 인간 수명의 1/3을 차지한다. 그러나 현대인들은 업무과다, 스트레스, 노화, 생활환경 및 질환 등의 다양한 원인으로 성인 중 10% 이상이 수면장애를 호소하며 성인의 1/3 정도는 일생동안 어떤 형태로든 수면장애를 경험한다고 한다.
수면장애는 흔히 신경정신질환의 초기 증상으로 나타나며 일부 정신질환은 수면생리의 특징적인 변화를 동반한다. 미국 수면 협회(National Sleep Foundation)의 통계에 따르면 미국인의 60%가 때때로 수면장애를 겪으며, 미국 교통안전 위원회에서는 이러한 수면장애로 인해 년간 약 10,000 건의 교통사고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1,500명 이상이 사망하는 등 심각한 사회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또한, 현대사회들어 증가된 스마트폰의 사용과 같은 생활습관 역시 잠을 잘 못 이루게 하는 요인으로 대두되고 있다.
현재 신경안정을 위하여 불안과 수면장애 치료를 위해 많이 사용되고 있는 약물들은 장기 연용에 의해 내성과 의존성이 생기며, 기억 감퇴, 감각기능의 마비, 호흡기능의 억제와 같은 부작용을 동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민간요법의 경우, 그 효능 검증의 기준이 적절하게 마련되어 있지 않아 객관적인 효능 평가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런 불안증과 수면장애 개선할 수 있는 신경안정제를 대체하기 위하여 생약을 이용한 천연의약품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최근 쥐오줌풀을 이용한 천연의약품이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는 상황이나, 쥐오줌풀의 특유 향을 제대로 마스킹하지 못하여 거부감이 있고 맛이 좋지 못하여 섭취하기에 어려움이 있거나 특유 향이 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소량을 사용하여 수면 유도 기능 등과 같은 효과가 낮은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쥐오줌풀을 이용하여 수면 유도 기능을 가지면서도, 쥐오줌풀 특유의 향을 효과적으로 마스킹하여 맛과 향을 개선시켜 기호도가 우수한 쥐오줌풀을 이용한 수면유도차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쥐오줌풀을 이용한 수면유도차의 제조방법은 (a) 쥐오줌풀을 로스팅하는 단계 및 (b) 로스팅된 쥐오줌풀에 부재료 및 천연 감미료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면유도차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상기 (a) 단계는 3번의 로스팅 단계를 거쳐 상기 쥐오줌풀을 로스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재료는 산조인 및 메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천연 감미료는 수국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b) 단계는 쥐오줌풀, 부재료 및 천연 감미료를 혼합하고 로스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쥐오줌풀을 이용한 수면유도차의 제조방법은 (A) 쥐오줌풀을 분말화하는 단계 및 (B) 분말화된 쥐오줌풀에 부재료 및 감미료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면유도차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쥐오줌풀에 용매를 첨가하여 추출물을 추출하고 농축한 후, 부형제를 첨가하고 동결건조하여 분말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매는 상기 쥐오줌풀 중량 대비 20 내지 40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매는 20 내지 40%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A) 단계는 쥐오줌풀 100중량부에 있어서, 부형제로 덱스트린 8 내지 10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재료는 아로니아, 레몬, 대추 및 홍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감미료는 포도당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쥐오줌풀을 이용한 수면유도차에 있어서, 쥐오줌풀, 산조인, 메밀 및 수국을 포함하는 수면유도차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쥐오줌풀 15 내지 20중량부, 산조인 25 내지 35중량부, 메밀 40 내지 50중량부 및 수국 1 내지 5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쥐오줌풀을 이용한 수면유도차에 있어서, 쥐오줌풀, 아로니아, 레몬, 대추, 홍삼 및 포도당을 포함하는 수면유도차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쥐오줌풀 15 내지 20중량부, 아로니아 0.5 내지 8.5중량부, 레몬 25 내지 35중량부, 대추 10 내지 20중량부, 홍삼 0.1 내지 6.5중량부 및 포도당 25 내지 35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쥐오줌풀을 이용한 수면유도차 및 이의 제조방법은 쥐오줌풀을 이용하여 수면 유도 기능을 가짐으로써, 수면에 효과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때, 쥐오줌풀의 로스팅 조건 또는 추출 조건을 통해 보다 효과적인 수면 유도 기능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쥐오줌풀 특유의 향을 효과적으로 마스킹하여 사용함으로써, 맛과 향을 개선시켜 섭취자의 기호도가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쥐오줌풀을 이용한 수면유도차의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쥐오줌풀을 이용한 수면유도차의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흐름도.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쥐오줌풀을 이용한 수면유도차의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쥐오줌풀을 이용한 수면유도차의 제조방법은 쥐오줌풀을 로스팅하는 단계(S1) 및 로스팅된 쥐오줌풀에 부재료 및 천연 감미료를 혼합하는 단계(S2)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쥐오줌풀을 로스팅하는 단계(S1)는 건조된 쥐오줌풀을 분쇄하여 로스팅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쥐오줌풀은 발레리안이라고도 불리는 특이한 향을 풍기며 쓴맛이 있는 여러해살이풀로, 그늘진 곳에서 잘 자라며 5~6월에 피어난다. 이러한 쥐오줌풀은 미네랄과 비타민이 풍부하고, Valepotriate 및 Valerenic acid를 함유하여 진정, 진경의 효능이 있어 불면증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스트레스 호르몬인 혈중 코티솔의 함량을 감소시켜 스트레스 완화에 도움이 되고 월경불순, 갱년기 증상을 완화하는데도 도움이 된다.
S1 단계는 상기와 같은 쥐오줌풀을 건조하고 분쇄한 후 로스팅함으로써, 그대로 섭취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쥐오줌풀의 특유 향을 마스킹하고 고소한 맛과 향을 부여하여 맛과 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S1 단계는 3번의 로스팅 단계를 거쳐 상기 쥐오줌풀을 로스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로스팅 횟수는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이 S1 단계에서 로스팅을 3번 진행하는 것은 짧은 시간 내에 쥐오줌풀이 타지 않으면서 효과적으로 로스팅시켜 특유 향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며 고소한 맛과 부드러운 맛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S1 단계는 1차 로스팅 단계, 2차 로스팅 단계 및 3차 로스팅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1차 로스팅 단계는 건조하고 분쇄된 쥐오줌풀을 180 내지 200℃에서 1분 내지 3분동안 로스팅하고 식힐 수 있으며, 200℃에서 2분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2차 로스팅 단계는 1차 로스팅 단계에서 로스팅 후 식힌 쥐오줌풀을 210 내지 230℃에서 1 내지 3분동안 로스팅하고 식힐 수 있으며, 220℃에서 2분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3차 로스팅 단계는 2차 로스팅 단계에서 로스팅 후 식힌 쥐오줌풀을 230 내지 250℃에서 3 내지 4분동안 로스팅하고 식힐 수 있으며, 240℃에서 4분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각 로스팅 단계에서 로스팅 온도 범위를 벗어날 경우 쥐오줌풀의 향이 제대로 마스킹되지 못하고 향을 제거하기 위해 시간이 너무 길어지거나, 최종적으로 로스팅이 완료된 쥐오줌풀에서 탄향이 날 수 있으며, Valepotriate 및 Valerenic acid 등 유효성분의 파괴, 변형 등이 일어날 수 있다.
또한, 로스팅 시간 범위를 벗어날 경우 쥐오줌풀의 특유 향이 존재하거나, Valepotriate 및 Valerenic acid 등 유효성분의 함량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각 로스팅 단계에서 상기 온도 및 시간 조건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로스팅된 쥐오줌풀에 부재료 및 천연 감미료를 혼합하는 단계(S2)는 S1 단계에서 로스팅된 쥐오줌풀에 부재료 및 천연 감미료를 혼합시킬 수 있다.
여기서, 부재료는 산조인 및 메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모두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산조인은 차로 잘 우러나올 수 있도록 볶은 산조인을 사용할 수 있으며, 고소한 맛과 향을 낼 수 있다. 이러한 산조인은 고소한 맛과 향으로 쥐오줌풀의 특유 향과 풀 향을 마스킹 할 수 있으며 맛과 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메밀은 건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고, 고소한 향을 많이 나타내며 부드럽고 고소한 맛을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메밀은 쥐오줌풀의 특유 향과 쓴 맛을 제거할 수 있으며 차의 고소하고 부드러운 맛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천연 감미료는 부드러운 단맛을 내기 위한 것으로, 천연 감미료일 수 있고, 건조시킨 수국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수국은 부드러운 단맛을 낼 수 있으며 항 알레르기 및 항산화 작용을 하고 항균 작용으로 잇몸 질환과 구취 예방에 효과를 줄 수 있다. 이러한 수국을 통해 차에 부드러운 단맛을 부여하고 쥐오줌풀의 쓴맛을 잡아줄 수 있다.
S2 단계는 부재료와 천연 감미료를 각각 분쇄하여 로스팅된 쥐오줌풀에 혼합 시킬 수 있고, 혼합은 쥐오줌풀 15 내지 20중량부에 부재료 65 내지 85중량부 및 천연 감미료 1 내지 5중량부를 혼합시킬 수 있으며, 쥐오줌풀 20중량부, 부재료 75중량부 및 천연 감미료 5중량부를 혼합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쥐오줌풀 15 내지 20중량부, 산조인 25 내지 35중량부, 메밀 40 내지 50중량부 및 수국 1 내지 5중량부를 혼합시킬 수 있으며, 쥐오줌풀 20중량부, 산조인 30중량부, 메밀 45중량부 및 수국 5중량부를 혼합시킬 수 있다.
S2 단계에서 쥐오줌풀이 15중량부 미만일 경우 수면 유도 기능이 미흡할 수 있고, 20중량부 초과일 경우 느끼한 맛과 쓴맛이 강해 질 수 있다.
산조인이 25중량부 미만일 경우 쥐오줌출의 특유 향 제거가 미흡하고 고소한 맛과 향이 저하될 수 있으며, 35중량부 초과일 경우 고소한 맛이 너무 강해져 다른 재료 맛들을 가려버릴 수 있다.
메밀은 40중량부 미만일 경우 쥐오줌풀의 특유 향과 쓴 맛, 느끼한 맛의 제거가 미흡할 수 있으며, 50중량부 초과일 경우 구수한 맛이 너무 강해져 쥐오줌풀의 맛과 향을 아예 가려버릴 수 있다.
수국이 1중량부 미만일 경우 단맛 부여와 쓴맛 제거가 저하될 수 있으며, 5중량부 초과일 경우 단맛이 너무 강해져 자기 전에 먹기 부담스럽고 오히려 기호도가 저하될 수 있다.
S2 단계에서 부재료 및 천연 감미료를 각각 분쇄하고 혼합시키기 전에 각각 채를 이용하여 이물질 등 다소 작은 크기의 물질들을 걸러낼 수 있다. 이에 티백형으로 형성되어, 차를 우러낼 시 티백에서 조성물이 빠져나오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S2 단계는 혼합하고 후 로스팅할 수 있다.
여기서 로스팅은 170 내지 190℃에서 3 내지 5분동안 이루어지고, 180℃에서 5분동안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1번 또는 2번 진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로스팅은 수면유도차의 풍미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170℃, 3분 미만일 경우 재료의 향들이 잘 섞일 수 없으며, 190℃, 5분 초과일 경우 오히려 향을 제거할 수 있으며 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쥐오줌풀을 이용한 수면유도차의 제조방법은 S2 단계 후에 티백 포장지에 로스팅된 쥐오줌풀, 부재료 및 천연 감미료를 2 내지 4g씩 넣고 밀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를 통해 수면유도차를 티백형으로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포장지, 용기를 이용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을 통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쥐오줌풀을 이용한 수면유도차를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수면유도차는 티백형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에 따른 쥐오줌풀을 이용한 수면유도차는 쥐오줌풀, 산조인, 메밀 및 수국을 포함할 수 있으며, 쥐오줌풀 15 내지 20중량부, 산조인 25 내지 35중량부, 메밀 40 내지 50중량부 및 수국 1 내지 5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쥐오줌풀 20중량부, 산조인 30중량부, 메밀 45중량부 및 수국 5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쥐오줌풀을 이용한 수면유도차의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쥐오줌풀을 이용한 수면유도차의 제조방법은 쥐오줌풀을 분말화하는 단계(S100) 및 분말화된 쥐오줌풀에 부재료 및 감미료를 혼합하는 단계(S20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쥐오줌풀을 분말화하는 단계(S100)는 건조된 쥐오줌풀에서 추출물을 추출하고 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분말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S100 단계는 건조시킨 쥐오줌풀에 용매를 첨가하여 추출물을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추출은 열수추출 및 주정추출일 수 있으나, Valepotriate 및 Valerenic acid 등 유효성분을 고려했을 시 주정추출이 바람직하다.
이에 용매는 20 내지 40%주정일 수 있으며, 30%주정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주정의 농도가 20% 미만일 경우 Valepotriate 및 Valerenic acid 등 유효성분 함량이 저하될 수 있으며, 40% 초과할 경우 쥐오줌풀 및 용매 함량 대비 회수되는 분말 양이 적어져 회수율이 저하될 수 있으며 생산단가가 급격하게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용매는 쥐오줌풀 중량 대비 20 내지 40배일 수 있고, 30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용매가 쥐오줌풀 중량 대비 20배 미만일 경우 추출 효율이 저하되고 40배 미만일 경우 수면유도차의 쥐오줌풀 함량 대비 수면유도성분 회수 저감으로 수면유도기능이 저하될 수 있으며 용매 함량이 증가하는 것에 비해 회수율 차이가 없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추출은 25 내지 30℃에서 1 내지 2시간동안 이루어질 수 있으며, 25℃에서 2시간동안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 온도가 25℃ 미만일 경우 추출효율이 저하되며 30℃ 초과할 경우 유효성분의 파괴 또는 변형이 일어날 수 있다.
추출 시간이 1시간 미만일 경우 추출물의 추출이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아 회수율이 저하 될 있으며, 2시간 초과할 경우 회수율에 차이가 없어 경제적 측면 등으로 비효율적이다.
그 다음, S100 단계는 쥐오줌출에서 추출된 추출물을 농축할 수 있다.
농축은 저온감압농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bath temp를 통해 60 내지 70℃에서 40 내지 60rpm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70℃에서 50rpm으로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 다음, S100 단계는 농축된 추출물에 부형제를 첨가하고 동결건조하여 분말활 할 수 있다.
여기서 부형제는 추출물을 고체화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덱스트린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때, 덱스트린은 분말 회수율과 1:1의 비율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쥐오줌풀(원물) 중량 대비 분말 회수율은 약 8~10%정도이므로, 건조된 쥐오줌풀(원물) 100중량부에 있어서, 8 내지 10중량부로 첨가될 수 있으며, 10중량부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덱스트린 함량이 높을수록 회수율은 증가하나, 1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쥐오줌풀의 첨가에 대한 기호도를 느낄 수 없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8중량부 미만일 경우 회수율이 낮아지고 쥐오줌풀 특유의 향과 쓴맛이 강해져 기호도 측면과 효율 측면으로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동결건조는 -50 내지 -35℃에서 3 내지 7mTorr 압력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40℃에서 5mTorr압력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S100 단계에서 쥐오줌풀을 분말화하여 쥐오줌풀 분말을 획득할 수 있다.
분말화된 쥐오줌풀에 부재료 및 감미료를 혼합하는 단계(S200)는 S100 단계에서 분말화된 쥐오줌풀에 부재료 및 감미료를 혼합시킬 수 있다.
여기서, 부재료는 아로니아, 레몬, 대추 및 홍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모두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아로니아는 아로니아에서 추출물을 추출하고 농축시켜 덱스트린을 첨가하고 동결건조를 통해 분말화한 분말로, 안토시아닌 성분을 함유하여 항암효과가 뛰어나고 피로 해소 등에 도움을 준다. 또한 다이어트에 도움을 주며 피부 미용에도 좋고 면역력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레몬은 레몬에서 추출물을 추출하고 농축시켜 덱스트린을 첨가하고 동결건조를 통해 분말화한 분말로, 상큼한 향과 맛을 나타내며 심신안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대추는 대추에서 추출물을 추출하고 농축시켜 덱스트린을 첨가하고 동결건조를 통해 분말화 분말로, 단맛을 내며 풍미를 향상시켜 줄 수 있다.
홍삼은 홍삼에서 추출물을 추출하고 농축시켜 덱스트린을 첨가하고 동결건조를 통해 분말화 분말로, 쥐오줌풀의 쓴맛을 보완하고 맛과 풍미를 향상시켜줄 수 있다.
여기서, 덱스트린 첨가량은 원물(아로니아, 레몬, 대추, 홍삼 중 하나) 100중량부에 대하여, 8 내지 10중량부 일 수 있고, 10중량부가 바람직하다.
감미료는 단맛을 내기 위한 것으로, 포도당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구체적으로, S200 단계는 쥐오줌풀 15 내지 20중량부, 부재료 35.6 내지 70중량부 및 감미료 25 내지 35중량부를 혼합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S200 단계는 쥐오줌풀 15 내지 20중량부, 아로니아 0.5 내지 8.5중량부, 레몬 25 내지 35중량부, 대추 10 내지 20중량부, 홍삼 0.1 내지 6.5중량부 및 포도당 25 내지 35중량부를 혼합할 수 있으며, 쥐오줌풀 20중량부, 아로니아 3.5중량부, 레몬 30중량부, 대추 15중량부, 홍삼 1.5중량부 및 포도당 30중량부를 혼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쥐오줌풀이 15중량부 미만일 경우 수면 유도 기능이 미흡할 수 있고, 20중량부 초과일 경우 느끼한 맛과 쓴맛이 강해 질 수 있다.
또한, 아로니아가 0.5중량부 미만일 경우 상기와 같은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며, 8.5중량부 초과일 경우 떫은 맛이 강해질 수 있다.
또한, 레몬이 25중량부 미만일 경우 상큼한 향과 맛으로 쥐오줌풀의 향과 맛을 잡아주는 효과가 미미하며, 35중량부 초과일 경우 신맛이 너무 강해져 차의 전체적인 맛과 향을 오히려 해칠 수 있다.
또한, 대추가 10중량부 미만일 경우 은은한 단맛과 풍미가 저하될 수 있으며, 20중량부 초과일 경우 느끼한 맛이 강해지고 차의 색을 탁하게 만들어 시각적인 기호도가 저하될 수 있다.
또한, 홍삼이 0.1중량부 미만일 경우 홍삼으로 인한 건강한 맛으로 쓴맛을 중화시키는 효과가 미흡하고, 6.5중량부 초과일 경우 홍삼의 향과 맛이 너무 강해질 수 있다.
또한, 포도당이 25중량부 미만일 경우 단맛 부여와 쓴맛 제거가 저하될 수 있으며, 35중량부 초과일 경우 단맛이 너무 강해져 오히려 기호도가 저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을 통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쥐오줌풀을 이용한 수면유도차를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수면유도차는 과립형으로 물 등에 타먹는 차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에 따른 쥐오줌풀을 이용한 수면유도차는 쥐오줌풀, 아로니아, 레몬, 대추, 홍삼 및 포도당을 포함할 수 있으며, 쥐오줌풀 15 내지 20중량부, 아로니아 0.5 내지 8.5중량부, 레몬 25 내지 35중량부, 대추 10 내지 20중량부, 홍삼 0.1 내지 6.5중량부 및 포도당 25 내지 35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쥐오줌풀 20중량부, 아로니아 3.5중량부, 레몬 30중량부, 대추 15중량부, 홍삼 1.5중량부 및 포도당 3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쥐오줌풀을 이용한 수면유도차 및 이의 제조방법은 쥐오줌풀을 이용하여 수면 유도 기능을 가짐으로써, 수면에 효과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때, 쥐오줌풀의 로스팅 조건 또는 추출 조건을 통해 보다 효과적인 수면 유도 기능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쥐오줌풀 특유의 향을 효과적으로 마스킹하여 사용함으로써, 맛과 향을 개선시켜 섭취자의 기호도가 향상될 수 있다.
이하, 실시되는 실험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시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험 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험예 1-1] 로스팅 조건 확립
쥐오줌풀의 로스팅에 따른 효과와 로스팅 시 바람직한 조건을 확립하기 위하여, 건조된 쥐오줌풀 10g씩 분쇄기로 3~4초동안 분쇄하고, 강, 중, 약의 온도에서 로스팅을 진행한 후 추출하여 시음하는 것으로 기호도를 분석하였다.
진흥원 직원 20명을 선발하여 시음한 후 평가하도록 하였다.
이때, 로스팅한 온도에서 약은 80 내지 100℃, 중은 130 내지 150℃, 강은 180 내지 200℃로 이루어졌으며, 약에서는 3분, 중과 강에서는 1분 동안 로스팅을 진행하였다. 3분을 기준으로 비교할 예정이였으나, 중과 강에서 색의 변화가 빠르게 진행되어 1분만 진행하여 평가하였다.
쥐오줌풀이 약, 중, 강에서 로스팅된 모습과 추출된 모습은 표 1과 같다.
Figure pat00001
상기 표 1과 같이 로스팅 조건에 따른 쥐오줌풀 기호도 분석 결과는, 약으로 3분동안 로스팅한 쥐오줌풀은 느끼하지 않고 부드러운 맛이 나나, 쥐오줌풀의 향이 마스킹되지 못해 특유의 향이 강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중으로 1분동안 로스팅한 쥐오줌풀은 맛은 약으로 로스팅한 것과 비슷하나, 쥐오줌푸의 향이 조금 남아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강으로 1분동안 로스팅한 쥐오줌풀은 느끼하지 않고 부드러운 맛이 나고 고소한 맛이 나서 좋으며, 쥐오줌풀의 특유 향도 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로스팅의 기준 온도와 시간을 200℃ 및 1분으로 잡고 구체화를 진행하였다.
[ 실험예 1-2] 부재료 종류 선정
상기와 같은 조건으로 로스팅한 쥐오줌풀에 하기 표 2와 같이 부재료를 혼합하여 제조예 1 내지 3을 제조하였고, 각각 시음하여 맛, 향 및 기호도를 평가하였다.
평가는 5점 측정법(1:매우 나쁨, 2:나쁨, 3:보통, 4:좋음, 5:매우 좋음)으로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표 3과 같다.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상기 표 3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제조예 1이 맛, 향 및 기호도 모든 항목에서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조예 1은 고소한 맛이 강하고 느끼한 맛이 없었으며 쥐오줌풀의 특유 향도 나타나지 않는다는 의견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조예 2는 고소한 맛이 있지만 신맛이 강하게나고 향이 좋지 못하다는 의견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조예 3은 신맛이 있으나 고소하지도 신맛이 강하지도 않고, 향도 강하지 않고 특징이 없다는 의견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부재료로 산조인과 메밀을 선정하였다.
[ 실험예 2-1] 추출방법 설정
쥐오줌풀에서 추출물을 추출하는 방법을 선정하기 위하여, 건조시킨 쥐오줌풀을 DW추출, 주정추출(20%주정, 30%주정, 40%주정), 열수추출을 이용하여 추출물을 추출한 후, 추출물의 Valepotriate 및 Valerenic acid 함량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는 표 4와 같다.
Figure pat00004
상기 표 4를 보면 알 수 있듯이, DW추출, 열수추출을 이용할 경우 추출물의 Valepotriate 및 Valerenic acid 함량이 낮고 주정추출에서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쥐오줌풀을 추출할 경우 주정추출을 이용하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 실험예 2-2] 주정의 농도 도출
쥐오줌풀에서 추출물을 추출할 시 사용되는 주정의 바람직한 농도를 도출하기 위하여, 건조시킨 쥐오줌풀을 주정추출에서 사용되는 주정의 농도(20%, 30%, 40%)를 달리 하여 각각 추출물을 추출한 후, 회수율을 비교하였다. 대조군으로 DW추출, 열수추출을 이용하여 추출된 추출물도 함께 비교하였다.
그 결과는 표 5와 같다.
Figure pat00005
상기 표 5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주정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회수율이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상기 실험예 2-1에서 수면유도성부 함량(Valepotriate 및 Valerenic acid 함량)은 주정의 농도가 높을수록 높아졌으므로, 이를 모두 고려하여 바람직한 주정의 농도는 30%로 도출하였다.
[ 실험예 2-3] 용매 함량 도출
쥐오줌풀에서 추출물을 추출할 시 사용되는 용매의 바람직한 함량을 도출하기 위하여, 건조시킨 쥐오줌풀을 주정추출에서 사용되는 주정 함량(20배, 30배)을 달리 하여 각각 추출물을 추출한 후, 회수율을 비교하였다. 대조군으로 DW추출을 이용하여 추출된 추출물도 함께 비교하였다.
그 결과는 표 6과 같다.
Figure pat00006
상기 표 6을 보면 알 수 있듯이, 20배 30%주정보다 30배 30%주정의 회수율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바람직한 주정의 함량은 쥐오줌풀 함량 대비 30배인 것으로 도출하였다.
[ 실험예 2-4] 부형제 함량 도출
쥐오줌풀에서 추출물을 추출하고 농축된 추출물에 첨가되는 부형제(덱스트린)의 바람직한 함량을 도출하기 위하여, 농축된 추출물에 덱스트린 함량(쥐오줌풀 100중량부 대비 5중량부, 10중량부, 15중량부)을 달리 하여 첨가하고 동결건조하여 제조예 4 내지 6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4 내지 6의 회수율과 기호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표 7과 같다.
Figure pat00007
상기 표 7을 보면 알 수 있듯이, 덱스트린 함량이 클수록 회수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기호도 측면에서는 덱스트린이 15중량부 첨가된 것은 쥐오줌풀의 특유 향과 쓴맛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덱스트린의 바람직한 함량은 회수량과 기호도 측면을 모두 고려하여 5 내지 10중량부로 도출하였다.
[ 실시예 ]
[실시예 1]
쥐오줌풀 20중량부, 산조인 30중량부, 메밀 45중량부 및 수국 5중량부를 포함하는 수면유도차를 제조하였다.
여기서, 쥐오줌풀은 건조시킨 쥐오줌풀을 분쇄하고 200℃에서 2분동안 로스팅하고 식히고, 220℃에서 2분동안 로스팅하고 식힌 후, 240℃에서 4분동안 로스팅하고 식히는 것으로 로스팅한 것이다.
[실시예 2]
쥐오줌풀 20중량부, 아로니아 3.5중량부, 레몬 30중량부, 대추 15중량부, 홍삼 1.5중량부 및 포도당 30중량부를 포함하는 수면유도차를 제조하였다.
여기서, 쥐오줌풀은 건조시킨 쥐오줌풀에 30배의 30%주정을 첨가하여 추출물을 추출하고 농축한 후, 농축된 추출물에, 쥐오줌풀 100중량부에 대하여, 덱스트린 10중량부를 첨가하고 동결건조하여 분말화한 것이다.
[비교예 1]
로스팅된 쥐오줌풀 대신 건조시킨 쥐오줌풀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쥐오줌풀 90 중량부 및 수국 10중량부를 포함하는 수면유도차를 제조하였다.
여기서, 쥐오줌풀은 건조시킨 쥐오줌풀을 분쇄하고 200℃에서 2분동안 로스팅하고 식히고, 220℃에서 2분동안 로스팅하고 식힌 후, 240℃에서 4분동안 로스팅하고 식히는 것으로 로스팅한 것이다.
[비교예 3]
쥐오줌풀 25중량부를 사용하고, 수국을 제외하여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실시예 2에서 사용된 쥐오줌풀이 아닌 건조시키고 분쇄하여 분말화시킨 쥐오줌풀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5]
쥐오줌풀 40중량부, 아로니아 5중량부, 대추 25중량부 및 포도당 30중량부를 포함하는 수면유도차를 제조하였다.
[ 실험예 3] 관능평가
실시예 1과 비교예 1 내지 3, 실시예 2와 비교예 4, 5의 맛, 향, 기호도를 측정하기 위해 실시예 및 비교예의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실시예 1과 비교예 1 내지 3/ 실시예 2와 비교예 4, 5를 각각 훈련된 전문 관능검사 요원(2년 이상 관능검사 경험을 지닌 50명[남자 25명, 여자 25명])중 미각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30명을 선발하여 맛, 향, 기호도로 나누어 정량적 묘사분석(Quantitative Descriptive Analysis: QDA)을 하였다.
관능검사는 5점 측정법(1:매우 나쁨, 2:나쁨, 3:보통, 4:좋음, 5:매우 좋음)으로 실시하였다. 실시한 결과는 하기의 표 8 및 표 9에 나타내었다.
하나를 섭취하여 평가한 뒤 반드시 물로 입안을 헹군 후 다른 하나를 섭취하여 평가하는 것으로 실시하였다.
Figure pat00008
상기 표 8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실시예 1이 로스팅하지 않은 쥐오줌풀을 사용한 비교예 1, 산조인 및 메밀을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2, 수국을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3 보다 모든 항목에서 우수한 점수를 받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ure pat00009
상기 표 9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실시예 2가 건조 후 분쇄된 쥐오줌풀을 사용한 비교예 4, 레몬 및 홍삼을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5보다 모든 항목에서 우수한 점수를 받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Claims (16)

  1. 쥐오줌풀을 이용한 수면유도차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쥐오줌풀을 로스팅하는 단계 및
    (b) 로스팅된 쥐오줌풀에 부재료 및 천연 감미료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면유도차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3번의 로스팅 단계를 거쳐 상기 쥐오줌풀을 로스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유도차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료는,
    산조인 및 메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유도차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감미료는,
    수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유도차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쥐오줌풀, 부재료 및 천연 감미료를 혼합하고 로스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유도차의 제조방법.
  6. 쥐오줌풀을 이용한 수면유도차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쥐오줌풀을 분말화하는 단계 및
    (B) 분말화된 쥐오줌풀에 부재료 및 감미료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면유도차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쥐오줌풀에 용매를 첨가하여 추출물을 추출하고 농축한 후, 부형제를 첨가하고 동결건조하여 분말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유도차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상기 쥐오줌풀 중량 대비 20 내지 40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유도차의 제조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20 내지 40%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유도차의 제조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쥐오줌풀 100중량부에 있어서, 부형제로 덱스트린 8 내지 10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유도차의 제조방법.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료는,
    아로니아, 레몬, 대추 및 홍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유도차의 제조방법.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감미료는,
    포도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유도차의 제조방법.
  13. 쥐오줌풀을 이용한 수면유도차에 있어서,
    쥐오줌풀, 산조인, 메밀 및 수국을 포함하는 수면유도차.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쥐오줌풀 15 내지 20중량부, 산조인 25 내지 35중량부, 메밀 40 내지 50중량부 및 수국 1 내지 5중량부를 포함하는 수면유도차.
  15. 쥐오줌풀을 이용한 수면유도차에 있어서,
    쥐오줌풀, 아로니아, 레몬, 대추, 홍삼 및 포도당을 포함하는 수면유도차.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쥐오줌풀 15 내지 20중량부, 아로니아 0.5 내지 8.5중량부, 레몬 25 내지 35중량부, 대추 10 내지 20중량부, 홍삼 0.1 내지 6.5중량부 및 포도당 25 내지 35중량부를 포함하는 수면유도차.
KR1020190152066A 2019-11-25 2019-11-25 쥐오줌풀을 이용한 수면유도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897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2066A KR102389771B1 (ko) 2019-11-25 2019-11-25 쥐오줌풀을 이용한 수면유도차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2066A KR102389771B1 (ko) 2019-11-25 2019-11-25 쥐오줌풀을 이용한 수면유도차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4458A true KR20210064458A (ko) 2021-06-03
KR102389771B1 KR102389771B1 (ko) 2022-04-22

Family

ID=76396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2066A KR102389771B1 (ko) 2019-11-25 2019-11-25 쥐오줌풀을 이용한 수면유도차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977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36877A (ja) * 1992-02-28 1993-09-17 Yaizu Miile Kyogyo Kumiai 濃縮緑茶の製造方法
KR20030062493A (ko) * 2002-01-17 2003-07-28 주식회사 태평양 결명자 추출분말 및 이를 함유하는 변비개선용 차
KR20170123534A (ko) * 2016-04-29 2017-11-08 주식회사 벤스랩 수면장애 개선 및 수면유도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36877A (ja) * 1992-02-28 1993-09-17 Yaizu Miile Kyogyo Kumiai 濃縮緑茶の製造方法
KR20030062493A (ko) * 2002-01-17 2003-07-28 주식회사 태평양 결명자 추출분말 및 이를 함유하는 변비개선용 차
KR20170123534A (ko) * 2016-04-29 2017-11-08 주식회사 벤스랩 수면장애 개선 및 수면유도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9771B1 (ko) 2022-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770863B (zh) 一种具有凉茶风味的电子烟烟液及其应用
EP2364157B1 (en) Plant extract compositions for affecting sleep
CN103315106B (zh) 一种降血压、降血脂的袋泡茶的制作方法
CN107996759A (zh) 一种天麻乌龙茶及其加工方法
CN108029811A (zh) 一种改善吸烟和饮酒人群体质的黄精茶及其制备工艺
CN112314819A (zh) 一种改善睡眠的植物饮料及其制备方法
CN113768004A (zh) 一种含陈皮的白茶调味茶及其制备方法
CN106359720A (zh) 一种清咽利喉和润肺清火的保健茶及其制备方法
CN103055014B (zh) 一种预防老年痴呆症的银杏叶保健品及其制备方法
CN1970708A (zh) 一种香烟香料及其制备方法
KR102389771B1 (ko) 쥐오줌풀을 이용한 수면유도차 및 이의 제조방법
CN110313597A (zh) 一种速溶免冲润喉颗粒及其制备方法
KR20020074563A (ko) 녹용추출물을 함유하는 기능성양갱조성물
WO2023116222A1 (zh) 一种雾化基液、烟液以及电子雾化装置
CN1058399C (zh) 一种降低尼古丁危害的保健茶和保健饮料
KR102456193B1 (ko) L-테아닌을 포함하는 수면 개선용 차
CN109480014A (zh) 一种金莲花玫瑰养颜茶及其制备方法
JPH1179982A (ja) 禁煙兼用喫煙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873349B1 (ko) 금연 보조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6974025A (zh) 一种绿色降火类饮品及制备方法
CN1114143A (zh) 天麻茶
KR19980071887A (ko) 건강증진용 차
CN109864324A (zh) 一种茶与甘草组合物、制备方法及其应用
CN109170052A (zh) 一种石斛养胃保健茶及其制备方法
CN108853354A (zh) 用于气血两虚和美容养颜的组合物及制备方法与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