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3214A - 음영을 이용한 진위여부 검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음영을 이용한 진위여부 검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3214A
KR20210063214A KR1020200117516A KR20200117516A KR20210063214A KR 20210063214 A KR20210063214 A KR 20210063214A KR 1020200117516 A KR1020200117516 A KR 1020200117516A KR 20200117516 A KR20200117516 A KR 20200117516A KR 20210063214 A KR20210063214 A KR 202100632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henticity
shadow
reference data
patter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7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영민
박행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코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코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코더
Priority to KR1020200117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3214A/ko
Publication of KR20210063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32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K9/466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 G06V10/6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relating to illumination properties, e.g. using a reflectance or lighting mode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06F18/20Analysing
    • G06F18/22Matching criteria, e.g. proximity measures
    • G06K9/620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ultimedia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age Analysi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영을 이용한 진위여부 검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영을 이용한 진위여부 검증장치는 진위여부 판별대상의 표면에 형성한 단차 패턴의 음영을 근거로 진위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생성한 기준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진위여부 판별대상의 표면을 촬영한 촬영영상에서, 표면의 음영 유무에 대한 상태값을 인지하고, 인지한 상태값을 (기) 저장한 기준데이터와 비교하여 판별대상의 진위여부를 판별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영을 이용한 진위여부 검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Apparatus for Verifying Authenticity by Using Shadow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음영을 이용한 진위여부 검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가령 별도의 인쇄없이 스탬핑된 패턴의 음영 유무를 통해 스마트폰 등의 휴대용 사용자 단말을 사용하여 간단하게 복제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음영을 이용한 진위여부 검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문서의 위변조에 따른 피해가 늘어나고 있으며, 그에 따라 문서의 위변조를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 중 일 예로, 2차원 바코드에 문서의 전체 내용 또는 문서의 주요 내용을 저장한 후, 해당 문서의 출력시 2차원 바코드를 문서에 포함시켜 인쇄하는 방법이 있다. 이 경우, 2차원 바코드가 포함되어 출력된 문서를 스캐너로 획득한 후, 2차원 바코드 해독용 소프트웨어를 통해 2차원 바코드를 해독하여 해당 문서의 진위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2차원 바코드를 문서에 포함시켜 출력하기 때문에, 문서의 일정 영역을 2차원 바코드에 할당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2차원 바코드를 문서에 포함시키기 위해 별도의 공간을 2차원 바코드의 영역으로 할당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출력한 문서의 위변조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스캐너 장비를 사용하여 문서를 획득한 후, 획득한 문서 내의 2차원 바코드를 해독하여야 하는 등 절차가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최근 QR 코드(Quick Response Code)를 이용한 문서의 위변조 방지 기술이 시도되고 있으나, QR 코드 역시 문서의 일정 영역을 별도로 할당해야 한다는 점, QR 코드의 생성 방법이 이미 공개되어 있어 위변조가 쉽게 일어날 수 있다는 점 등에서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최근의 정품인증 플랫폼에서 제공되고 있는 가시적으로 판별 가능한(Visible) 인쇄에서는 광학 장비 등을 통해 복제가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561289호(2006.03.08)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389723호(2014.04.22)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929025호(2018.12.07)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18672호(2017.02.20)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2018-0001933호(2018.06.27)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령 별도의 인쇄없이 스탬핑된 패턴의 음영 유무를 통해 스마트폰 등의 휴대용 사용자 단말을 사용하여 간단하게 복제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음영을 이용한 진위여부 검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영을 이용한 진위여부 검증장치는 진위여부 판별대상의 표면에 형성한 단차 패턴의 음영을 근거로 진위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생성한 기준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진위여부 판별대상의 표면을 촬영한 촬영이미지에서 상기 표면의 음영 유무에 대한 상태값을 인지하고, 상기 인지한 상태값을 상기 저장한 기준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판별대상의 진위여부를 판별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부는, 색상차를 없애 육안 판별이 불가능하게 스탬핑된 압인 패턴에 대한 상기 기준 데이터를 생성해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는, 음각 형태의 상기 압인 패턴에 대한 음영 유무의 정보를 상기 기준 데이터로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면에 형성된 상기 압인 패턴의 위치와 상기 압인 패턴의 음영 유무를 상기 상태값으로서 인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영을 이용한 진위여부 검증방법은, 진위여부 판별대상의 표면에 형성한 단차 패턴의 음영을 근거로 진위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생성하기 기준데이터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진위여부 판별대상의 표면을 촬영한 촬영이미지에서 상기 표면의 음영 유무에 대한 상태값을 인지하고, 상기 인지한 상태값을 상기 저장한 기준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판별대상의 진위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색상차를 없애 육안 판별이 불가능하게 스탬핑된 압인 패턴에 대한 상기 기준데이터를 생성해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음각 형태의 상기 압인 패턴에 대한 음영 유무의 정보를 상기 기준 데이터로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상태값을 인지하는 단계는, 상기 표면에 형성된 상기 압인 패턴의 위치와 상기 압인 패턴의 음영 유무를 상기 상태값으로서 인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는, 음영을 이용한 진위여부 검증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로서, 상기 음영을 이용한 진위여부 검증방법은 진위여부 판별대상의 표면에 형성한 단차 패턴의 음영을 근거로 진위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생성하기 기준데이터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진위여부 판별대상의 표면을 촬영한 촬영이미지에서 상기 표면의 음영 유무에 대한 상태값을 인지하고, 상기 인지한 상태값을 상기 저장한 기준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판별대상의 진위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를 실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각종 사출물이나 가죽 제품 등과 같이 스탬핑 또는 압인 패턴을 접목하는 제품군에 기술 적용이 가능할 수 있으며, 해당 기술은 응용 분야가 다양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인쇄를 통한 물리적 색상차가 존재하지 않고 패턴의 음영 유무만으로 인지하므로 복제시 미세한 음영의 구현이 어려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위여부검증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판별대상의 사본과 원본을 대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장치 또는 진위여부검증장치의 세부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
도 4는 도 3의 진위여부처리부의 세부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장치 또는 진위여부검증장치의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위여부검증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판별대상의 사본 및 원본을 대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위여부검증시스템(90)은 사용자 단말장치(100), 통신망(110), 진위여부검증장치(120) 및 관리자장치(1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진위여부검증장치(120)와 같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사용자 단말장치(100)가 스탠드얼론(stand alone) 형태로 동작할 수 있거나(예: 앱을 앱저장소에서 다운로드받아 사용), 진위여부검증장치(120)의 일부 또는 전부가 통신망(110)을 구성하는 네트워크장치(예: 무선교환장치 등)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스마트폰, 태블릿PC, 랩탑컴퓨터 및 국내 S사의 갤럭*시기어와 같은 웨어러블장치 등을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카메라를 포함하여 복제나 위변조 감별을 위해 사진촬영(혹은 표면 스캔동작)이 가능하다면 어떠한 장치이어도 무관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위변조 감별을 위해 별도로 제작되는 전용 단말장치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사진촬영, 다시 말해 도 1에서와 같은 진위여부 판별대상(이하, 판별대상)(95)을 촬영할 때 주변에 빛이 있는 경우 해당 빛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주변에 빛이 없는 경우라 해도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플래시(flash)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에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조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조도센서를 통해 조도를 측정한 후 조도가 지정값 이하가 될 때, 플래시를 동작시킬 수 있다. 여기서, 지정값이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영 유무를 판단하기에 곤란한 정도를 의미한다.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촬영에 의해 진위여부가 판별되는 판별대상(95)은 사출물이나 가죽제품 등으로서 그 표면에 압인 또는 스탬핑 기법에 의해 형성된 압인 패턴(또는 스탬핑 패턴, 마이크로 패턴)(97)을 포함한다. 여기서, 압인 패턴(97)은 압인기에 의해 소정의 압력을 인가하여 형성되지만, 미세한 요철들을 형성하므로 '마이크로 패턴'이라 명명될 수 있고, 패턴은 일종의 정보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코드라는 명칭이 더 부여될 수 있다. 스탬프는 요철을 의미하는 음각 형태의 패턴과 양각 형태의 패턴도 포함하는 의미이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위의 용어의 개념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도 1에서는 음각 패턴을 예시하고 있다. 더 정확히 말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압인 패턴(97)이 주변과 단차 즉 단의 차이를 보일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이어도 무관하다. 더 정확하게는 음영을 형성할 수 있으면 된다. 이는 층(layer)을 형성한다는 의미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레이어링(layering)이라 표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인 패턴(97)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인 패턴(97)은 압인에 의해 마이크로 패턴이 생성되는 경우에도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물리적으로 색상차가 존재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마이크로 패턴을 포함하는지는 가시적으로 판별이 불가능한(invisible) 형태로 제작된다. 따라서 광학장비, 가령 복사기 등으로 복제가 이루어진 경우 압인 패턴(97)에 의한 음영이 발견되지 않으므로, 또 발견된 음영이 정품과 같은 정보를 포함하지 않으므로 복제나 위조로 판별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복제는 사실상 불가능하게 된다. 도 2에서 볼 때, 도 2의 (a)는 복사기 등에 의해 복사된 사본을 보여주고 있으며, 도 2의 (b)는 마이크로 패턴 즉 압인 패턴(97)이 형성되어 있는 원본을 보여준다. 도면에서 볼 때 색상의 채도에 있어 다소 차이가 있어 보이기는 하지만, 실물에서는 색상의 차이가 전혀 없으며, 무엇보다 마이크로 패턴은 전혀 육안으로 판별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인 패턴(97)은 음영을 이용할 수만 있다면 어떠한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관하다.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위여부 판별을 위하여 이를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이하, 앱)을 실행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특정 상품이나 제품에 대하여 진위여부를 판별하기 위하여 앱을 실행시킨 후 카메라를 해당 상품이나 제품의 표면을 비추면 자동으로 사진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일회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동영상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촬영시에는 조도를 측정하여 빛이 기준값 이하인 경우에는 플래시를 가동시킬 수도 있다. 동영상 촬영보다는 한 번의 사진촬영을 통해 정지영상의 촬영이미지를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판별대상(95)은 앱을 통해 인식 가능한 2차원 코드를 가령 압인 기법에 의해 마이크로 코드로 형성한 상태이므로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촬영 동작시 주변 빛에 의해 형성된 마이크로 패턴의 음영에 대한 정보 즉 코드의 값을 인지 후 결과 데이터를 연결한다. 여기서, 인지(또는 인식)는 촬영영상에서 코드값 즉 패턴의 음영 정보를 알게 되는 동작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의 동작은 사용자 단말장치(100)에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진위여부검증장치(120)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의 경우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촬영영상, 더 정확하게는 촬영이미지를 진위여부검증장치(12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진위여부 검증을 위한 데이터 추출은 사용자 단말장치(100)에서 앱을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진위여부검증장치(120)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사용자 단말장치(100)에 의해 촬영된 촬영이미지는 도 1의 통신망(110)을 경유하여 진위여부검증장치(120)로 제공될 수 있으며, 앱에서 바로 촬영된 촬영이미지를 이용하여 진위여부 판별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는 앱을 실행해 촬영이미지에서 데이터만을 추출하여 추출한 데이터를 진위여부검증장치(12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다만, 진위여부검증장치(120)는 고가의 장비이고, 따라서 고성능의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자원을 보유할 개연성이 높으므로 해당 장치에서 진위여부 판별이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통신망(110)은 유무선 통신망을 모두 포함한다. 가령 통신망(110)으로서 유무선 인터넷망이 이용되거나 연동될 수 있다. 여기서 유선망은 케이블망이나 공중 전화망(PSTN)과 같은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것이고, 무선 통신망은 CDMA, WCDMA, GSM, EPC(Evolved Packet Core), LTE(Long Term Evolution), 와이브로(Wibro) 망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11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향후 구현될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접속망으로서 가령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하의 클라우드 컴퓨팅망, 5G망 등에 사용될 수 있다. 가령, 통신망(110)이 유선 통신망인 경우 통신망(110) 내의 AP는 전화국의 교환국 등에 접속할 수 있지만, 무선 통신망인 경우에는 통신사에서 운용하는 SGSN 또는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BTS(Base Station Transmission), NodeB, e-NodeB 등의 다양한 중계기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통신망(110)은 AP를 포함할 수 있다. AP는 건물 내에 많이 설치되는 펨토(femto) 또는 피코(pico) 기지국과 같은 소형 기지국을 포함한다. 여기서, 펨토 또는 피코 기지국은 소형 기지국의 분류상 사용자 단말장치(100)나 관리자장치(130)를 최대 몇 대까지 접속할 수 있느냐에 따라 구분된다. 물론 AP는 지상개폐기(100)와 지그비(zig-bee) 및 와이파이(Wi-Fi) 등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AP는 무선통신을 위하여 TCP/IP 혹은 RTSP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은 앞서 언급한 대로 와이파이 외에 블루투스, 지그비, 적외선, UHF 및 VHF와 같은 RF 및 초광대역 통신(UWB) 등의 다양한 규격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AP는 데이터 패킷의 위치를 추출하고, 추출된 위치에 대한 최상의 통신 경로를 지정하며, 지정된 통신 경로를 따라 데이터 패킷을 다음 장치, 예컨대 정품인증서비스장치(120)로 전달할 수 있다. AP는 일반적인 네트워크 환경에서 여러 회선을 공유할 수 있으며, 라우터(router), 리피터(repeater) 및 중계기 등이 포함된다.
진위여부검증장치(120)는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요청에 따라 진위여부 판별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진위여부 판별에 앞서 진위여부검증장치(12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앱을 다운로드해 줄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장치(100)에서 사용자가 앱을 실행할 때 진위여부검증장치(120)와 통신 채널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진위여부검증장치(120)는 가령 사용자 단말장치(100)에서 판별대상(95)의 촬영이미지가 제공되는 경우 해당 이미지를 분석하여 진위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촬영이미지는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촬영시 주변 빛에 의한, 또는 플래시에 의한 압인 패턴(97)의 음영을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진위여부검증장치(120)는 음영의 유무나 상태를 파악해 진위여부를 판별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단순히 음영이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하지만 음영의 방향을 판단하거나, 또는 음영이 형성된 모양(또는 일정한 형태)을 판단하거나, 압인 패턴(97)의 형성 위치를 근거로 복수의 압인 패턴(97)에 대한 음영을 판단하는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음영의 상태를 판단하여 진위여부를 판별하는 것이다. 물론 복제나 위변조품의 경우에는 촬영이미지로부터 음영이 판별되지 않을 것이다. 설령, 복제나 위변조에 의해 발견된다 하더라도, 제품이나 상품마다 고유하게 형성되는 코드값까지 복제하지는 못하므로 이를 통해 위변조 등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다.
가령, 위변조 방지를 위한 기준 데이터를 구축하기 위하여 진위여부검증장치(120)는 관리자장치(130)로부터 진위 판별의 기준이 되는 기준 데이터를 제공받아 DB(120a)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의 (b)에서와 같은 원본에 대한 촬영을 수행해 촬영이미지를 분석하여 기준 데이터로서 저장한 후, 음영이 없는 제품의 촬영이미지가 수신되면 정품이 아니라 판정하는 것이다. 물론 음영을 이용할 경우, 정품은 음영 특성이 있는 것이므로, 반복적인 테스트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다양한 '경우의 수'를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다양한 방향에서 스캔을 수행하여 이를 통해 확보되는 촬영이미지를 분석하여 기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정품의 판별대상(95)에 형성된 압인 패턴(97)을 어떠한 형태로 형성하느냐에 따라 그 기준값을 조금 상이하고 다양할 수 있을 것이다.
진위여부검증장치(120)에서 기준 데이터를 DB(120a)에 저장하는 방법은 관리자장치(130)에서 생성하여 제공하되, 관리자장치(130)로서는 기준 데이터를 생성하는 전용 앱이 설치되는 관리자의 스마트폰이 사용될 수 있으며, 또는 관리자의 데스크탑 컴퓨터에 설치된 프로그램을 통해 알고리즘을 통해 기준 데이터가 생성되어 저장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2차원 코드 즉 압인 패턴(97)의 패턴을 어떠한 형태로 형성할지를 결정하고, 또 음영과 관련한 조건 데이터를 시뮬레이션하면 그에 따라 기준 데이터값이 생성될 수 있고, 이와 같은 방식으로 기준데이터가 생성되어 제공될 수 있다. 혹은 스마트폰에 설치된 전용 앱을 실행시켜 실제 실환경에서의 촬영에 의해 제공된 촬영이미지를 이용해 기준 데이터를 생성해 DB(120a)에 저장한 후 이를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인 패턴(97) 즉 마이크로 패턴은 일종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이를 마이크로 패턴 코드라 명명할 수 있는 것을 앞서 언급한 바 있다. 따라서 마이크로 패턴은 평면상에 형성되므로 2차원 코드에 해당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마이크로 패턴을 J-도트(DoT: Data of Things)라 명명할 수도 있다. 마이크로 패턴은 진위여부 판별을 위한 수단이며, 판별대상(95)에 형성된 마이크로 패턴이 일정 패턴 즉 형상을 형성하여 이 패턴이 결국은 정보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마이크로 패턴에 의해 형성되는 음영이 정보가 되는 것이다. 물론 마이크로 패턴의 위치도 정보가 될 수 있다.
음영의 유무나 상태를 판단하기 위하여 진위여부검증장치(120)는 촬영이미지가 수신되면 화소의 상태를 분석하여 화소값을 분석할 수 있다. 화소값은 색상과 휘도 즉 밝기를 포함하므로, 휘도값을 통해 음영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음영 유무를 판단하기 위하여 주변의 압인 패턴(97)과 관련한 화소값이 존재하는지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적색이라 하더라도, 가령 256 계조 즉 레벨로 표현될 수 있으며, 해당 계조(gray scale)는 휘도가 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휘도값 등을 근거로 음영 유무를 판단하고 이를 코드값으로서 진위 판별시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각각의 패턴은 데이터 처리시 2진 비트로 표현될 수 있으므로, 이를 각각은 특정 패턴에 대한 정보 즉 코드값이 될 수 있다. 이외에도 음영과 관련한 다양한 인자(factor)가 진위 판별을 위해 사용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관리자장치(130)는 관리자가 구비하는 스마트폰 등의 휴대 단말장치, 노트북, 랩탑 및 데스크탑 컴퓨터, 태블릿 PC 등 다양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관리자장치(130)는 복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음영 특성이 반영된 즉 압인 패턴(97)이 형성되어 있는 사출물이나 가죽제품 등으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해 내어 기준값으로서 진위여부검증장치(120)에 접속하여 DB(120a)에 저장시킬 수 있다. 이는 직접 제품을 촬영하여 촬영이미지를 이용해 저장시킬 수도 있지만, 컴퓨터에서 프로그램의 알고리즘을 통해 기준값을 생성해 저장시킬 수도 있다. 가령, 관리자는 자신의 스마트폰에서 앱을 실행하여 등록시키고자 하는 정품을 또는 해당 정품에 압인된 부위를 다양한 방향에서 촬영을 수행하면 자동으로 기준 데이터가 생성되어 저장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점에서, 사용자와 관리자가 사용하는 프로그램, 가령 앱은 차이가 있을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장치 또는 진위여부검증장치의 세부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며, 도 4는 도 3의 진위여부처리부의 세부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영을 이용한 진위여부 판별은 사용자 단말장치(100) 및 진위여부검증장치(120) 중 적어도 하나의 장치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가령 사용자 단말장치(100)에서 스탠드얼론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앱 저장소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앱을 내려받아 설치한 후 진위여부를 판별하는 것이다. 물론 앱저장소에 저장된 앱은 주기적으로 관리자장치(130)에 의해 갱신될 수도 있다. 이의 경우라면 진위여부검증장치(120)는 단순히 앱을 내려주는 앱저장소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서비스 비용 등의 현실적인 측면을 고려해 볼 때 사용자 단말장치(100)에서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복제 앱이 사용될 수 있는 점도 고려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진위판별을 진위여부검증장치(120)에서 수행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이하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위여부검증장치(12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00), 제어부(310), 진위여부처리부(320) 및 저장부(3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저장부(33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구성되거나, 진위여부처리부(320)와 같은 구성요소가 제어부(310)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도 1의 통신망(110)을 경유하여 사용자 단말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변/복조, 인코딩/디코딩, 먹싱/디먹싱, 해상도 변환 등의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사용자 단말장치(100)로부터 진위여부 판별을 요청하는 판별대상의 촬영이미지를 수신하여 제어부(310)로 제공한다. 물론 촬영이미지는 정품으로서 도 1의 압인 패턴(97)에 의한 음영을 포함할 수도 있고, 또는 복제 및 위변조로서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음영을 포함한다 하더라도 복제에 의한 제품일 수 있는 것이다. 이의 과정에서 물론 이는 시스템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는 것이지만, 가령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사용자 단말장치(100)에서 촬영이미지를 분석하여 분석 결과로서 데이터를 제공하는 경우 이를 제어부(310)로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사용자 단말장치(100)에서 앱이 실행될 때, 통신을 위한 채널을 형성하고, 제공된 촬영이미지에 대한 진위 여부에 대한 결과를 사용자 단말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만약, 앱을 이용한 방식이 아니라면 SMS 메시지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제공될 수도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앱을 통해 결과 전송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제어부(310)는 도 3의 통신 인터페이스부(300), 진위여부처리부(320) 및 저장부(33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담당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로부터 촬영이미지 또는 촬영이미지의 분석 데이터(혹은 음영 등의 특성을 추출한 추출 데이터)가 수신되면 이를 진위여부처리부(32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의 과정에서 제어부(310)는 촬영이미지나 분석 데이터를 저장부(330)에 임시 저장시킨 후 불러내어 진위여부처리부(320)에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어부(310)는 진위여부처리부(320)의 판별 결과 즉 인증 결과를 진위여부처리부(320)로부터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장치(100)로 전송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진위여부처리부(320)는 사용자 단말장치(100)에서 진위 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전송한 촬영이미지 또는 촬영이미지를 분석한 분석 데이터를 수신한다. 촬영이미지를 수신한 경우 영상 분석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분석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기저장한 기준 데이터와의 비교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순히 음영의 유무만을 판단하는 경우에는 압인 패턴(97)에 의한 음영 부위를 찾아 해당 부위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정보란 음영 부위에 해당하는 픽셀들의 거리가 일정한가, 또는 모양이 일정한가 등이 판단의 기준이 될 수도 있다. 따라서, 기준 데이터는 원본에서 마이크로 패턴과 패턴 사이의 거리 등이 거리값으로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진위여부처리부(320)는 마이크로 패턴의 위치를 더 판단하거나 이를 근거로 음영이 형성된 방향이 일정한 형태를 띠는지 등을 판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시스템 설계자가 어떠한 방법으로 음영을 이용해 복제품에 대한 판단이 이루어지도록 설정하느냐에 따라 다양한 판단 방법이 가능할 수 있다. 다양한 방법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방법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인 패턴(97)은 바코드나 QR 코드와 같이 모든 패턴(97)이 일종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이는 시각적으로 외부에 드러나지 않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판별대상(95)에 대한 복제는 불가능하다. 다만, 해당 제품에 압인 패턴(97)이 형성되어 있다는 사실을 누군가가 알게 되었다 하더라도 해당 압인 패턴(97)은 마이크로 패턴 코드가 주기적으로 변경될 수 있고, 또 회사나 제품들마다 해당 압인 패턴(97)을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복제가 설령 가능하다 하더라도 진위 판별에 의해 쉽게 검증된다고 볼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진위여부처리부(320)는 도 4의 진위여부처리부(320')와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진위여부처리부(320')는 코드값인지부(400), 진위여부판별부(410) 및 기준데이터저장부(42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며,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앞서서의 의미와 동일하다.
코드값인지부(400)는 촬영이미지에서 분석된 데이터를 통해 음영 부위를 찾고 해당 음영 부위가 어떠한 특성을 띠는지 판단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석된 데이터가 2진 32비트 정보라면, 그 정보에는 음영 부위에 대한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입력된 분석 데이터에서 음영 특성을 찾고 그에 대한 결과를 도출해 된다. 예를 들어, 패턴과 패턴 사이의 거리값이 설정되어 있다면 이를 분석할 수 있다. 물론 코드값 즉 압인 패턴(97)의 디지털 데이터는 다양한 방식으로 설정되어 사용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빅데이터를 형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디지털 포럼 데이터라 명명할 수도 있다.
진위여부판별부(410)는 코드값인지부(400)에서 제공되는 코드값 즉 패턴 정보와 기준데이터저장부(420)에서 제공되는 데이터를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면 복제나 위변조가 아니라는 결과를 출력한다. 만약 서로 일치하지 않으면 복제나 위변조가 있다는 결과를 출력한다. 진위여부 판별 과정에서 대부분 일치하나 일부 데이터가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라면 위조 등으로 판별해야 하나, 여러 상황을 고려하여 인공지능(AI)의 딥러닝을 통해 진위여부를 더 정확히 판별해 낼 수도 있다. 물론 딥러닝을 통해 초기에 오판이 있다 하더라도 고객으로부터 불만을 접수하고 이를 딥러닝에 반영해 오류를 바로잡음으로써 이후의 오판정에 대비할 수 있다.
기준데이터저장부(420)는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적으로, 또 관리자에 의해 수동으로, 또는 도 1의 관리자장치(130)를 통해 자동으로 생성된 기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압인 패턴(97)의 음영 특성을 이용하여 2차원 코드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가 등록되는 과정이며, 2진비트 형태로 등록될 수 있다. 물론 저장된 기준 데이터는 음영 특성으로서 360도 방향에서 음영의 방향이나 형태를 측정하고 이를 근거로 거리를 측정해 저장할 수도 있다. 시스템 설계자가 음영의 어떠한 특성을 이용하려느냐에 따라 기준데이터의 형태는 다를 수 있다.
도 3의 저장부(330)는 제어부(310)의 제어 하에 처리되는 다양한 정보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정보는 단순한 제어 명령을 의미하고 데이터는 화소 데이터 등을 의미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그 용어의 개념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수신된 촬영이미지의 화소 데이터는 저장부(330)에 임시 저장된 후 도 3의 진위여부처리부(320)에 제공될 수 있다. 저장부(330)는 램(RAM)이나 롬(ROM)과 같은 하드웨어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위의 기준데이터저장부(420)는 소프트웨어적인 레지스트리 등을 의미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한편, 도 3의 제어부(310)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CPU와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CPU와 메모리는 원칩화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CPU는 제어회로, 연산부(ALU), 명령어해석부, 레지스트리 등을 포함하며, 메모리는 램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회로는 제어동작을, 그리고 연산부는 2진비트정보의 연산을, 명령어해석부는 고급언어를 기계어로 또 기계어를 고급언어로 해석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레지스트리는 소프트웨어적인 데이터 저장에 관여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 결과 가령 도 1의 정품인증서비스장치(120)의 초기 구동시 또는 필요시에 정품인증처리부(320)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알고리즘을 메모리에 저장한 후 이를 실행시킴으로써 연산 처리 속도를 빠르게 증가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장치 또는 진위여부검증장치의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5를 도 1의 진위여부검증장치(120)와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위여부검증장치(120)는 진위여부 판별대상(95)의 표면에 형성한 단차 패턴의 음영을 근거로 진위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생성한 기준데이터를 저장한다(S500).
여기서, 단차 패턴은 압인기에 의한 도 1의 압인 패턴(97)뿐 아니라, 사출물의 경우에는 사출시 형성되어 제품이 출고되는 것이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주변과 다른 높이를 갖는, 즉 단의 차를 갖는 패턴이라는 표현이 적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준데이터의 생성은 앞서 언급한 대로, 관리자의 데스크탑 컴퓨터를 통해 프로그램을 통해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도 1의 관리자장치(130)로서 스마트폰에 전용 앱을 설치하여 해당 전용 앱을 실행해 정품을 촬영하는 형태로 기준데이터를 생성해 저장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떠한 방식으로 데이터를 생성하느냐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위여부검증장치(120)는 진위여부 판별대상(95)의 표면을 촬영한 촬영이미지에서 표면의 음영 유무에 대한 상태값을 인지하고, 인지한 상태값을 (기)저장한 진위여부판별 기준데이터와 비교하여 판별대상(95)의 진위여부를 판별한다(S510).
진위여부검증장치(120)는 음영 유무에 대한 상태값을 인지하기 위하여 촬영이미지에서 화소값을 분석하여 음영이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음영이 일정한 형태로 형성되었는지 판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촬영이미지에서 음영의 위치정보를 근거로 음영이 어떠한 형태 즉 상태를 보이는지 알 수도 있다. 일정 거리마다 음영이 발견되는지 또는 규칙적인지 아니면 불규칙적인지 등에 분석 결과를 상태값으로서 추출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음영의 거리값이 상태값으로 설정되어 있다면, 진위여부검증장치(120)는 거리를 측정하여 거리값을 추출할 것이다.
상태값이 인지 또는 인식되면 진위여부검증장치(120)는 기준데이터와 비교하여 판별대상(95)이 복제 또는 위변조가 있는지, 아니면 정품인지를 판단하여 사용자 단말장치(100)로 결과를 전송할 수 있으며, 이러한 위변조 등의 판단 과정에서 인공지능의 딥러닝 등의 동작을 더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위여부검증장치(120)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한편 도 5에서는 진위여부검증장치(120)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스탠드얼론 형태로 동작하는 경우 도 5의 동작은 사용자 단말장치(100)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장치에 동작을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저장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판독 가능 기록매체란, 레지스터, 캐시(cache),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 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95: 판별대상 97: 압인 패턴
100: 사용자 단말장치 110: 통신망
120: 진위여부검증장치 130: 관리자장치
300: 통신 인터페이스부 310: 제어부
320, 320': 진위여부처리부 330: 저장부
400: 코드값인지부 410: 진위여부판별부
420: 기준데이터저장부

Claims (8)

  1. 진위여부 판별대상의 표면에 형성한 단차 패턴(pattern)의 음영을 근거로 진위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생성하기 기준데이터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진위여부 판별대상의 표면을 촬영한 촬영이미지에서 상기 표면의 음영 유무에 대한 상태값을 인지하고, 상기 인지한 상태값을 상기 저장한 기준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판별대상의 진위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영을 이용한 진위여부 검증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색상차를 없애 육안 판별이 불가능하게 스탬핑(stamping)된 압인 패턴에 대한 상기 기준데이터를 생성해 저장하는 음영을 이용한 진위여부 검증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음각 형태의 상기 압인 패턴에 대한 음영 유무의 정보를 상기 기준 데이터로서 저장하는 음영을 이용한 진위여부 검증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값을 인지하는 단계는,
    상기 표면에 형성된 상기 압인 패턴의 위치와 상기 압인 패턴의 음영 유무를 상기 상태값으로서 인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영을 이용한 진위여부 검증방법.
  5. 진위여부 판별대상의 표면에 형성한 단차 패턴의 음영을 근거로 진위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생성한 기준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진위여부 판별대상의 표면을 촬영한 촬영이미지에서 상기 표면의 음영 유무에 대한 상태값을 인지하고, 상기 인지한 상태값을 상기 저장한 기준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판별대상의 진위여부를 판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음영을 이용한 진위여부 검증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색상차를 없애 육안 판별이 불가능하게 스탬핑된 압인 패턴에 대한 상기 기준 데이터를 생성해 저장하는 음영을 이용한 진위여부 검증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음각 형태의 상기 압인 패턴에 대한 음영 유무의 정보를 상기 기준 데이터로서 저장하는 음영을 이용한 진위여부 검증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면에 형성된 상기 압인 패턴의 위치와 상기 압인 패턴의 음영 유무를 상기 상태값으로서 인지하는 음영을 이용한 진위여부 검증장치.
KR1020200117516A 2019-11-22 2020-09-14 음영을 이용한 진위여부 검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202100632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7516A KR20210063214A (ko) 2019-11-22 2020-09-14 음영을 이용한 진위여부 검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0968A KR102163120B1 (ko) 2019-11-22 2019-11-22 음영을 이용한 진위여부 검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0200117516A KR20210063214A (ko) 2019-11-22 2020-09-14 음영을 이용한 진위여부 검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0968A Division KR102163120B1 (ko) 2019-11-22 2019-11-22 음영을 이용한 진위여부 검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3214A true KR20210063214A (ko) 2021-06-01

Family

ID=7289730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0968A KR102163120B1 (ko) 2019-11-22 2019-11-22 음영을 이용한 진위여부 검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0200117516A KR20210063214A (ko) 2019-11-22 2020-09-14 음영을 이용한 진위여부 검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0968A KR102163120B1 (ko) 2019-11-22 2019-11-22 음영을 이용한 진위여부 검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2163120B1 (ko)
WO (1) WO20211012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3120B1 (ko) * 2019-11-22 2020-10-08 주식회사 더코더 음영을 이용한 진위여부 검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445959B1 (ko) * 2021-01-15 2022-09-20 주식회사 더코더 진위 판별 코드가 삽입된 콜드 스템프 및 이를 통해 제작된 인쇄물의 진위 여부 판별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1289B1 (ko) 2004-06-30 2006-03-15 한국조폐공사 위조방지용 자성 물질이 부가된 단층 은선 및 이를포함하는 보안용지
KR101389723B1 (ko) 2011-08-25 2014-04-29 주식회사 씨케이앤비 복제 방지용 출력 장치
KR20170018672A (ko) 2015-08-10 2017-02-20 주식회사 신원피앤피 화장품에 대한 정품 확인 시스템
KR20180001933U (ko) 2018-06-08 2018-06-27 주식회사 나노브릭 정품인증 및 위조방지용 연포장재.
KR101929025B1 (ko) 2017-01-11 2018-12-13 주식회사 니어네트웍스 상품에 대한 정품 또는 위조품을 확인하는 정품인증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28592A2 (en) * 2010-01-26 2012-12-05 NanoInk, Inc. Moire patterns generated by angular illumination of surfaces
JP2013015898A (ja) * 2011-06-30 2013-01-24 Fuji Xerox Co Ltd 真贋判定支援装置、真贋判定装置、真贋判定支援プログラム、及び真贋判定プログラム
JP5765152B2 (ja) * 2011-09-12 2015-08-1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真贋判定装置、真贋判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8051572A (ja) * 2016-09-27 2018-04-05 有限会社三井刻印 物品の真贋識別方法、物品の持ち主特定方法及び刻印用のポンチ
JP6984404B2 (ja) * 2017-12-27 2021-12-2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真贋判定装置、読取装置、真贋判定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163120B1 (ko) * 2019-11-22 2020-10-08 주식회사 더코더 음영을 이용한 진위여부 검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1289B1 (ko) 2004-06-30 2006-03-15 한국조폐공사 위조방지용 자성 물질이 부가된 단층 은선 및 이를포함하는 보안용지
KR101389723B1 (ko) 2011-08-25 2014-04-29 주식회사 씨케이앤비 복제 방지용 출력 장치
KR20170018672A (ko) 2015-08-10 2017-02-20 주식회사 신원피앤피 화장품에 대한 정품 확인 시스템
KR101929025B1 (ko) 2017-01-11 2018-12-13 주식회사 니어네트웍스 상품에 대한 정품 또는 위조품을 확인하는 정품인증시스템
KR20180001933U (ko) 2018-06-08 2018-06-27 주식회사 나노브릭 정품인증 및 위조방지용 연포장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3120B1 (ko) 2020-10-08
WO2021101291A1 (ko) 2021-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49666B2 (en) Electronically signing and distributing identification data as a service that provides proof of identity, integrity, validity and origin of data for non-repudiation and ID validation methods
US10706277B2 (en) Storing anonymized identifiers instead of personally identifiable information
CN110598710B (zh) 证件识别方法及装置
RU2648582C1 (ru) Способы и вычисл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того, является ли знак подлинным
EP3807792A1 (en) Authenticating an identity of a person
US20200372628A1 (en) Methods and systems to ensure correct printing plate usage for encoded signals
EA025922B1 (ru) Способ автоматической аутентификации защищенного документа
RU2661528C1 (ru) Способы и вычисл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является ли знак подлинным
KR20210063214A (ko) 음영을 이용한 진위여부 검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US10460161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ensuring correct printing plate usage and signal tolerances
US2017020024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hentication of physical features on identification documents
US9667880B2 (en) Activating flash for capturing images with text
KR102163119B1 (ko) 도트 난반사 특성을 이용한 진위여부 판별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RU2706475C1 (ru) Способы и вычисл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является ли метка подлинной
US20210042486A1 (en) Two-dimensional barcode generating method, verification method, server and two-dimensional barcode
US10929625B2 (en) Authentication method for product packaging
KR102163122B1 (ko) 이종 패턴을 이용한 위변조 검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163121B1 (ko) 잠상기술을 이용한 위변조 검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WO2020251380A1 (pt) Método para a validação da autenticidade de uma imagem presente em um objeto, objeto com nível de segurança intensificado e o seu método de preparo, aparelho computacional, programas de computador e meio de leitura adaptados
KR102668040B1 (ko) 이종 패턴을 이용한 위변조 검증방법 및 장치
TR2021019208T2 (tr) Gölgeleme kullanan orijinallik doğrulama cihazı ve bunu çalıştırma yöntemi.
TR2021019054T (tr) Dot dağınık yansıma özellikleri kullanılarak gerçekliğin belirlenmesine yönelik aygıt ve söz konusu aygıtı çalıştırma yöntemi.
KR102668025B1 (ko) 잠상기술을 이용한 위변조 검증방법 및 장치
CN112597810A (zh) 身份证明文件认证方法和系统
CN113282903A (zh) 一种电子卡片的认证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