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933U - 정품인증 및 위조방지용 연포장재. - Google Patents

정품인증 및 위조방지용 연포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933U
KR20180001933U KR2020180002504U KR20180002504U KR20180001933U KR 20180001933 U KR20180001933 U KR 20180001933U KR 2020180002504 U KR2020180002504 U KR 2020180002504U KR 20180002504 U KR20180002504 U KR 20180002504U KR 20180001933 U KR20180001933 U KR 2018000193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hotonic crystal
packaging material
soft packaging
pri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25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0792Y1 (ko
Inventor
주재현
장보승
최성우
한승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노브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노브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노브릭
Priority to KR20201800025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792Y1/ko
Publication of KR201800019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93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7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79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0Applications of laminates for particular packag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aluminium or c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4Printing or colouring
    • B32B38/145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02Wrappers or flexible covers
    • B65D65/16Wrappers or flexible covers with provision for excluding or admitting light
    • B65D65/18Wrappers or flexible covers with provision for excluding or admitting light with some areas transparent and others opa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6Reflec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 B65D2203/06Arrangements on packages concerning bar-c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정품인증 및 위조방지용 연포장재에 관한 것으로서, 연포장재 기재, 상기 연포장재 기재의 일면에 적층되는 광 결정 인쇄층, 상기 광 결정 인쇄 층 상에 적층되는 광 흡수층, 상기 광 흡수 층 상에 적층되는 정보 인쇄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정품인증 및 위조방지용 연포장재.{FLEXIBLE PACKAGING FOR CERTIFYING GENUINE AND ANTI-COUNTERFEI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고안은 정품인증 및 위조방지용 연포장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포장재의 표면에 자기장의 변화에 의해 반사광이 변화되는 광 결정 보안 요소를 인쇄함으로써 정품인증 및 위조방지의 용도로 적용할 수 있는 연포장재에 관한 것이다.
자기 색 가변 소재를 적용하여 제품의 정품인증 및 위변조 방지를 위하여 보안요소들이 개발되고 있다. 출원인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5-0066498호를 통해 라벨층과 자기 가변 물질부를 포함하는 실크 인쇄층이 형성된 위변조 방지용 라벨을 제안한 바 있으며, 이러한 라벨 제품을 통해 정품인증 및 위변조 방지의 효과를 구현하고 있다.
이러한 위변조 방지 라벨은 다양한 보안요소들을 포함하는 라벨로 제품의 포장재 및 내용물에 부착됨으로써 위변조 여부를 식별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여 많은 산업 제품들에 적용될 수 있다. 하지만, 라벨의 훼손 또는 탈착 후 재부착하는 등의 위변조 식별 기능에 문제가 될 수 있는 근본적인 문제점이 존재하여 라벨의 제작과 부착 등의 추가 공정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보안요소를 직접 인쇄하는 방식이 제안되었다. 즉, 제품을 포장하는 패키지에 직접 정품인증 및 위변조 방지를 위한 광 결정 보안 요소를 인쇄하는 방식을 통해 경제적이고 효과적으로 정품인증 및 위변조를 방지할 수 있는 보안 매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5-0066498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제품을 포장하기 위한 연포장재의 표면에 광 결정 보안요소를 인쇄함으로써 정품인증 및 위조방지의 효율을 향상시키고 종래의 라벨이 가진 훼손이나 탈착 후 재부착의 문제를 해결한 보안 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연포장재는 연포장재 기재, 상기 연포장재 기재의 일면에 적층되는 광 결정 인쇄층, 상기 광 결정 인쇄 층 상에 적층되는 광 흡수층, 상기 광 흡수 층 상에 적층되는 정보 인쇄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보 인쇄층 상에는 알루미늄 박막 층이 추가적으로 적층되고, 상기 알루미늄 박막 층 상에 보호층이 적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포장재는 연포장재 기재의 표면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을 통해 보안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광 결정 인쇄층은 시온소재, 시변각소재, 홀로그램, 형광소재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다양한 시각적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정품인증 및 위조방지용 연포장재는 연포장재 기재의 일면에 자기 색 가변 잉크를 인쇄하여 광 결정 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광 결정 인쇄 층 상에 광 흡수층을 인쇄하는 단계, 상기 광 흡수층 상에 정보 인쇄층을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쇄는 헬리오그라피 방식으로 표면에 선수가 형성된 동판을 사용하여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연포장재는 표면에 광 결정 보안요소를 인쇄함으로써 종래의 라벨이 가진 훼손이나 탈착 후 재부착의 문제를 해결하여 정품인증 및 위조방지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종래의 라벨 형태의 보안 매체를 부착할 때의 보안 라벨과 연포장재의 적층 구조(a) 및 본 고안에 따른 연포장재의 적층 구조(b)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연포장재에서 반사광이 발생하는 과정(a) 및 하부에 외부 자기장을 인가했을 때 반사광의 색 가변 효과가 발생하는 과정(b)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연포장재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연포장재의 사진으로서, 연포장재 전면(a) 및 정품인증 표시부를 확대한 광학 현미경 사진(b)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연포장재의 정품인증 과정을 예시한 것으로서 연포장재(a) 및 상기 연포장재에 고무 자석을 접근시킬 때(b)의 색 가변 효과를 통한 정품인증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포장재의 정품인증 과정을 예시한 것으로서 연포장재(a) 및 상기 연포장재에 링 자석을 접근시킬 때(b)의 색 가변 효과를 통한 정품인증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포장재의 정품인증 과정을 예시한 것으로서 연포장재(a) 및 상기 연포장재에 스마트 폰의 스피커를 접근시킬 때(b)의 색 가변 효과를 통한 정품인증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포장재의 정품인증 과정을 예시한 것으로서 연포장재에 인쇄된 QR 코드를 스마트 폰으로 촬영하여 온라인으로 정품인증 하는 경우(a) 및 상기 연포장재에 인쇄된 QR 코드에 스마트 폰의 스피커를 접근시켜 색 가변 효과를 통해 정품인증 하는 경우(b)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이하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연포장재는 도 1(b)에서와 같은 적층 구조를 가진다. 연포장재 기재, 상기 연포장재 기재의 일면에 적층되는 광 결정 인쇄층, 상기 광 결정 인쇄 층 상에 적층되는 광 흡수층, 상기 광 흡수 층 상에 적층되는 정보 인쇄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기술에서 보안 라벨을 연포장재의 표면에 부착하는 경우, 도 1(a)에서와 같이 보안 라벨(100')과 연포장재(100) 각각의 적층 구조를 구성해야 하며, 보안 라벨(100')과 연포장재(100)의 접착을 위하여 상기 보안 라벨(100')의 일면에 접착제 층(170)이 형성되어야 했다. 이때, 광 결정 인쇄층(120)과 광 흡수층(130)이 인쇄되는 인쇄기재(170)는 종이나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광 결정 인쇄층(120)을 통과한 빛이 광 흡수층(130), 인쇄기재(170), 접착제 층(170), 및 연포장재 기재(110)를 통과하여 정보 인쇄층(140)에 도달한 후 반사광을 형성하기 때문에 시각적으로 광 변색 효과를 뚜렷이 구현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반하여, 본 고안에 따른 연포장재는 도 1(b)에서와 같이, 연포장재 자체에 광 결정 인쇄층(120) 및 광 흡수층(130)이 인쇄되어 적층되기 때문에 보안 라벨의 훼손, 탈착 후 재사용 등의 문제를 근원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즉, 일정 부분에 투명한 정보 인쇄층이 컬러 인쇄된 시트와 일정 부분에 위조 방지를 위한 광 결정 인쇄층이 인쇄된 시트를 합지함으로써 위조 방지를 위한 광 결정 인쇄층이 보일 수 있도록 합지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연포장재에서 상기 광 결정 인쇄층(120)은 광 결정을 포함하는 자기 색 가변 잉크를 적용하여 인쇄될 수 있으며, 외부 자기장의 인가에 의해 색 가변을 일으키므로 보안 정보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보안 정보는 위변조 방지의 측면에서 정품인지 아닌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문자, 숫자, 이미지, 1차원 바코드, 2차원 바코드, QR 코드, 패턴 등의 정보일 수 있고, 위조 또는 변조된 것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광 흡수층(130)은 특정 파장만을 반사하여 특정 색상을 나타내도록 유색 안료 또는 잉크로 인쇄하여 형성될 수도 있고, 전체 가시광선 파장을 흡수하여 상기 자기 색 가변 잉크의 시인성을 높이기 위하여 블랙 안료 또는 잉크로 인쇄하여 적층할 수도 있다.
또한, 연포장재 기재(110)는 투명한 수지로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기재(110) 상에 외부 자기장을 인가하면 자기장의 세기에 따라 상기 자기 색 가변 잉크의 색 가변 효과가 달라지게 되어 반사광을 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광 흡수층(130)은 상기 광 결정 인쇄층(120)의 전체에 인쇄되어 적층될 수도 있지만, 일부에 인쇄되어 적층됨으로써 다양한 색상을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연포장재에 정보를 표시하기 위하여 문자, 패턴, 이미지, 로고, 디자인 등으로 정보 인쇄층(140)이 적층될 수 있으며, 수분 차단성을 높여 포장재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통상의 알루미늄 박막층(150)을 부가할 수도 있다. 이러한 알루미늄 박막층(150)은 연포장재의 용도에 따라 수분 차단이 필요 없는 경우에는 적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연포장재 기재(110)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PET 필름의 경우 자기 색 가변 잉크의 인쇄가 용이하고 잉크의 번짐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본 고안에서와 같이 다층 구조의 인쇄층이 적층되는 기재로서 적합하다.
또한, 상기 보호층(160)은 연포장재의 표면 마감과 보호를 위하여 상기 알루미늄 박막층(150) 상에 적층되는 것으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필름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LLDPE 필름은 알루미늄 박막층과의 상용성이나 가공성을 고려하여 선택되는 것이다.
상기 연포장재는 포장하고자 하는 물건과 인접하는 내부층을 상기 보호층(160)으로 하고 광 입사를 통해 반사광을 형성하는 외부층을 상기 연포장재 기재(100)로 하게 된다.
즉, 도 2에서와 같이 외부 자기장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광 결정 인쇄층의 고유색에 의한 반사광이 관찰되나, 연포장재의 배면에서 자석 등을 통해 외부 자기장을 인가하면 광 변색 현상에 의해 상기 광 결정 인쇄층의 색상이 변화하므로 변화된 색상이 반사광으로서 관찰되게 된다.
본 고안의 광 결정 인쇄층(120)을 구성하는 자기 색 가변 잉크는 광 결정 기술을 이용하여 색 가변 효과를 일으키는 소재로서, 나노 입자, 컬러 나노 입자, 컬러 나노 복합체, 또는 상기 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캡슐과 같이 전자기장에 반응하는 입자와 상기 입자가 분산되는 유기용제 등의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컬러 나노 복합체는 나노 복합체 내에 포함된 착색제 입자로 인한 입자의 고유색을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전기장 또는 자기장의 외부로부터의 인가에 의해 상기 나노 복합체가 재배열되거나 전하 상태가 변함으로써 특정 파장의 광을 투과 또는 반사하여 색상을 구현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컬러 나노 복합체는 입자의 재배열 또는 전하 상태의 변화를 통한 색상 구현을 위해 매우 균일한 입자 크기를 가지며 매질 내의 이동성이 높아 재배열이 용이한 특성을 가져야 한다.
상기 자기 색 가변 잉크는 매체에 분산되어 있거나, 전하를 갖는 입자의 형태로 매체에 분산되어 존재할 수 있고, 코어-셀 구조나 멀티 코어-셀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분산을 위하여 상기 자기 색 가변 안료는 입자 크기가 50 내지 1,000㎚,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5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300㎚의 범위에서 균일한 크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입자가 착색제를 포함할 때 입자 크기보다는 입자의 균일성이 더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으므로, 상기 입자 크기의 범위를 벗어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나노 입자는 전도성 입자, 금속 입자, 유기금속 입자, 금속산화물 입자, 자성 입자, 소수성 유기고분자 입자일 수 있고, 외부 에너지의 인가에 의해 입자의 배열, 간격에 규칙성이 부여되는 광 결정 특성을 나타내는 입자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실리콘(Si), 티타늄(Ti), 바륨(Ba), 스트론튬(Sr), 철(Fe), 니켈(Ni), 코발트(Co), 납(Pb), 알루미늄(Al), 구리(Cu), 은(Ag), 금(Au), 텅스텐(W), 몰리브덴(Mo), 아연(Zn), 지르코늄(Zr)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금속 또는 이들의 질화물 또는 산화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유기물질 나노 입자로서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의 고분자 물질로도 이루어질 수 있으며, 탄화수소기를 갖는 유기화합물에 의하여 표면이 수식된 입자, 카르복실기, 에스테르기, 아실기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을 갖는 유기화합물에 의하여 표면이 수식된 입자, 할로겐 원소를 포함하는 착화합물에 의하여 표면이 수식된 입자, 아민, 티올, 포스핀을 포함하는 배위화합물에 의하여 표면이 수식된 입자, 표면에 라디칼을 형성하여 전하를 갖는 입자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나노 입자는 전기 분극 특성을 부여한 입자일 수 있다. 즉, 매개체와의 분극을 위하여 외부 자기장 또는 전기장이 인가됨에 따라 이온 또는 원자의 분극이 추가 유발되어 분극량이 크게 증가하고, 외부 자기장 또는 전기장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도 잔류 분극량이 존재하며 자기장 또는 전기장 인가 방향에 따라 이력(hysteresis)이 남는 강유전성(ferroelectric)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외부 자기장 또는 전기장이 인가됨에 따라 이온 또는 원자 분극이 추가 유발되어 분극량이 크게 증가하지만, 외부 자기장 또는 전기장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는 잔류 분극량과 이력(hysteresis)이 남지 않는 상유전성 물질, 초상유전성(superparaelectric)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물질로는 페로브스카이트(perovskite) 구조를 갖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ABO3 구조를 갖는 물질로서 PbZrO3, PbTiO3, Pb(Zr,Ti)O3, SrTiO3, BaTiO3, (Ba, Sr)TiO3, CaTiO3, LiNbO3 등의 물질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나노 입자는 단일 또는 이종의 금속이 함유된 입자, 산화물 입자 또는 광결정성 입자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금속의 경우, 금속 나이트레이트계 화합물, 금속 설페이트계 화합물, 금속 플루오르아세토아세테이트계 화합물, 금속 할라이드계 화합물, 금속 퍼클로로레이트계 화합물, 금속 설파메이트계 화합물, 금속 스티어레이트계 화합물 및 유기 금속 계열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자성 선구물질과 알킬트리메틸암모늄할라이드계 양이온 리간드, 알킬산, 트리알킬포스핀, 트리알킬포스핀옥사이드, 알킬아민, 알킬티올 등의 중성 리간드, 소듐알킬설페이트, 소듐알킬카복실레이트, 소듐알킬포스페이트, 소듐아세테이트 등의 음이온 리간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리간드를 용매에 첨가하여 녹임으로써 비정질 금속 겔을 제조하고, 이를 가열하여 결정성 입자로 상전이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이종의 선구물질을 함유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입자의 자기적 특성이 증강되거나, 초상자성, 상자성, 강자성, 반강자성, 페리자성, 반자성 등의 다양한 자성 물질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자기 색 가변 잉크는 매체에 분산된 상태로 있다가 전기장 또는 자기장의 인가에 의해 재배열되는데, 상기 매체로는 극성 또는 비극성 매체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프로필렌카보네이트, 톨루엔, 벤젠, 헥산, 클로로포름, 할로카본오일, 퍼클로로에틸렌, 트리클로로에틸렌, 아이소파라핀 오일의 일종인 isopar-G, isopar-M, isopar-H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기 색 가변 잉크는 자기장이 인가됨에 따라 자성을 갖게 되는, 즉, 자화되는 되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부에서 자기장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 자성을 지닌 입자끼리 뭉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부 자기장을 인가하면 자화(magnetization)가 일어나지만 외부 자기장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는 잔류 자화(remnant magnetization)가 일어나지 않는 초상자성(superparamagnetic) 물질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나노 입자가 용매에 잘 분산되고 응집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입자 표면을 동일한 부호의 전하로 코팅할 수 있고, 입자가 용매 내에서 침전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입자 표면을 해당 입자와 비중이 다른 물질로 코팅하거나 용매에 해당 입자와 비중이 다른 물질을 혼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나노 입자는 특정 파장의 광을 반사시킬 수 있도록, 즉, 특정 컬러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에 따른 입자는 산화수 조절 또는 무기 안료, 안료 등의 코팅을 통하여 특정 컬러를 갖게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고안에 따른 입자에 코팅되는 무기 안료로는 발색단을 포함하는 Zn, Pb, Ti, Cd, Fe, As, Co, Mg, Al 등이 산화물, 유화물, 유산염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고, 본 고안에 따른 입자에 코팅되는 염료로는 형광 염료, 산성 염료, 염기성 염료, 매염 염료, 황화 염료, 배트 염료, 분산 염료, 반응성 염료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나노 입자는 서로 동일한 전하를 갖도록 전하를 갖는 물질로 코팅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자기 색 가변 잉크는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상기 마이크로 캡슐은 광결정 또는 고유색을 가지는 광결정이 분산된 용매를 포함하게 된다. 이때, 상기 마이크로 캡슐은 아지네이트(aginate), 젤라틴(gelatin), 에틸 셀룰로스 (ethyl cellulose), 폴리아마이드(polyamide), 멜라민-포름알데히드(melamine formaldehyde) 수지, 폴리비닐 피리딘(poly(vinyl pyridine)), 폴리스티렌(polystyrene), 우레탄 결합을 포함하는 수지,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 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투명한 고분자로 캡슐 벽을 구성함으로써 자기장의 인가에 의해 상기 광결정이 재배열되어 색상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마이크로 캡슐로는 출원인이 개발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7-0124028호에 개시된 마이크로 캡슐이나,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5-0031197호, 10-2015-0017796, 10-2015-0020491호에 개시된 마이크로 캡슐을 모두 이용할 수 있으며, 전기 영동 방식이나 자기장 인가 방식에 모두 적용할 수 있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자기장에 대해 모두 반응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연포장재는 연포장재 기재의 일면에 자기 색 가변 잉크를 인쇄하여 광 결정 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광 결정 인쇄 층 상에 광 흡수층을 인쇄하는 단계, 상기 광 흡수층 상에 정보 인쇄층을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알루미늄 박막층을 도포하여 연포장재의 수분 차단 특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상기 인쇄는 그라비아 인쇄, 플렉소 인쇄, 옵셋 인쇄, 스크린 인쇄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조 방지를 위한 광 결정 인쇄층을 컬러 인쇄가 된 포장재 시트와 겹친 후 압력과 열을 가하여 상기 광 결정 인쇄층을 상기 포장재 시트 상에 전사시키는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연포장재 기재로 PET 필름을 사용하였다. 이때 상기 기재의 두께는 10 내지 20㎛로 하였는데, 이는 상기 PET 필름의 일면에 인쇄되어 적층되는 광 결정 인쇄층과 광 흡수층에 대한 인쇄 공정의 효율을 고려하여 선택된 것으로 기재의 두께가 지나치게 얇으면 인쇄 공정에서 필름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고, 지나치게 두꺼우면 반사광에 의한 색 가변 효과를 시각적으로 뚜렷이 확인할 수 없으므로 상기 두께의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자기 색 가변 잉크를 상기 PET 필름의 일면에 인쇄하여 광 결정 인쇄층을 적층한다. 이를 위하여 1도로 인쇄하되 헬리오그라피 방식으로 표면에 150 선의 선수가 형성된 동판을 사용하였다. 또한, 레이저 조사로 패턴을 인쇄하여 보안 정보를 인쇄하였다. 상기 광 결정 인쇄층의 두께는 15㎛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두께가 지나치게 두꺼우면 연포장재의 전체 두께가 두꺼워져 포장재로 부적합하며, 지나치게 얇으면 광 결정에 의한 색 변환 효과를 충분히 구현할 수 없게 되므로 상기 두께로 인쇄하게 된다.
다음으로 2도 인쇄를 하는데, 자기 색 가변 잉크로 인쇄된 광 결정 인쇄층의 시인성을 높이기 위하여 광 흡수층을 인쇄하게 된다. 상기 광 흡수층은 배경색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블랙 잉크로 인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를 위하여 헬리오그라피 방식으로 표면에 175 선의 선수가 형성된 동판을 사용하였다.
다음으로, 연포장재의 정보 표시를 위하여 유색층을 3도 인쇄하여 정보 인쇄층을 형성하는데, 이 경우에도 광 흡수층과 마찬가지로 헬리오그라피 방식으로 표면에 175 선의 선수가 형성된 동판을 사용하였다.
상기 헬리오그라피 방식의 동판을 사용할 때 그라비아 인쇄를 통해 인쇄층을 적층하게 되는데, 챔버 온도는 80℃를 유지하였으며, 인쇄 속도는 분당 200m의 속도로 하여 인쇄 작업을 수행하였다. 또한, 헬리오그라피 방식의 동판을 사용하여 인쇄하면 인쇄층 간의 광이 투과되어 반사될 수 있으며 인쇄층이 지나치게 조밀하여 반사광이 형성되기 힘든 종래의 인쇄방식에 비해 본 고안의 연포장재의 형성에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PET 필름을 통해 입사한 광은 헬리오그라피 방식으로 인쇄된 광 결정 인쇄층과 광 흡수층을 통과하여 정보 인쇄층에서 반사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연포장재의 수분 차단성을 높이기 위하여 알루미늄 박막을 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인쇄에 의해 적층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인쇄 원단과의 접착을 위하여 접착제를 균일하게 도포하여 접착제 층을 형성한 후 합지하게 된다.
또한, 연포장재의 3방 가공을 위하여 보호층을 형성하는데, LLDPE 필름을 합지하여 형성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알루미늄 박막의 표면에 접착제를 균일하게 도포하여 접착제 층을 형성한 후 합지를 수행한다. 또한, 합지 작업 시 챔버 온도는 80℃를 유지하였으며 인쇄 속도는 분당 80m의 속도로 작업하였다.
마지막으로 인쇄와 합지가 끝난 원단은 삼방가공 및 제대공정을 거쳐 도 3(a)에서와 같은 최종 제품을 얻었다. 제조된 연포장재의 정품인증 표시부를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하면 헬리오그라피 방식의 인쇄에 의해 선수에 의한 광 결정 인쇄층의 잉크 입자가 분포되며, 그 배경으로 블랙 잉크로 형성된 광 흡수층이 구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연포장재는 다양한 방식으로 정품인증 및 위변조 여부의 확인이 가능하다.
마스크 팩을 포장하는 연포장재를 예로 들면, 일 실시예에서 고무자석을 사용하여 정품인증 및 위변조 여부의 확인이 가능한데, 도 4(a)에서와 같이 고무자석 인가 전 표시되는 옐로우 이미지가 연포장재의 배면에 갖다 댄 고무자석의 자기장 인가에 의해 그린으로 색 가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정품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링 자석을 사용하여 정품인증 및 위변조 여부의 확인이 가능한데, 도 5(a)에서와 같이 링 자석 인가 전 표시되는 옐로우 이미지가 상기 옐로우 이미지와 겹쳐 연포장재의 전면에 올린 링 자석 가운데의 링 부분을 통해 그린으로 색 가변되어 표시되므로 이를 통해 정품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스마트 폰을 사용하여 정품인증 및 위변조 여부의 확인이 가능한데, 이는 스마트 폰의 스피커를 구성하는 자석의 자기장을 이용한 것이다. 즉, 도 6(a)에서와 같이 자기장이 인가되기 전 표시되는 옐로우 이미지가 상기 연포장재의 배면에 스마트 폰의 스피커를 접근시키면 자기장에 의해 그린으로 색 가변되어 표시되므로 이를 통해 정품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한 정품인증 및 위변조 여부의 확인을 들 수 있는데, 이는 도 7에서와 같이 광 결정 인쇄층을 QR 코드로 패턴화하여 인쇄함으로써 이를 촬영하여 온라인으로 정품인증을 할 수도 있고(도 7(a)), 또한, 상기 연포장재의 배면에 스마트 폰의 스피커를 접근시키면 스피커를 구성하는 자석의 자기장에 의해 상기 QR 코드의 색상이 가변되므로 이를 통해 정품인증을 할 수도 있다(도 7(b)).
또한, 상기 QR 코드 대신 바코드, 회사 로고, 제품 정보, 생산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정품인증 및 위변조 여부 확인을 위한 정보로서 인쇄할 수도 있다.
또한, 위조 방지를 위한 상기 연포장재에 제조할 때 상기 광 결정 인쇄층을 구성하기 위한 자기 색 가변 잉크와 함께 시온소재, 형광소재, 시변각소재(OVI)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혼합하여 상기 광 결정 인쇄층을 형성할 수도 있고, 상기 광 결정 인쇄층 상에 온도에 따라 색이 변하는 시온소재, 형광소재, 각도에 따라 색이 변하는 시변각소재(OVI), 홀로그램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인쇄하여 적층함으로써 다양한 시각적 효과를 구현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고안을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하며, 그러한 변형예 및 변경예는 본 고안과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 : 연포장재 100' : 보안 라벨
110 : 기재 120 : 광 결정 인쇄층
130 : 광 흡수층 140 : 정보 인쇄층
150 : 알루미늄 박막층 160 : 보호층
170 : 접착제 층 180 : 인쇄기재

Claims (4)

  1. 연포장재 기재;
    상기 연포장재 기재의 일면에 적층되는 광 결정 인쇄층;
    상기 광 결정 인쇄 층 상에 적층되는 광 흡수층;
    상기 광 흡수 층 상에 적층되는 정보 인쇄층;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품인증 및 위조방지용 연포장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보 인쇄층 상에는 알루미늄 박막 층이 추가적으로 적층되고,
    상기 알루미늄 박막 층 상에 보호층이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품인증 및 위조방지용 연포장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포장재 기재의 표면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을 통해 보안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품인증 및 위조방지용 연포장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 결정 인쇄층은 시온소재, 시변각소재, 홀로그램, 형광소재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품인증 및 위조방지용 연포장재.
KR2020180002504U 2018-06-08 2018-06-08 정품인증 및 위조방지용 연포장재. KR2004907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504U KR200490792Y1 (ko) 2018-06-08 2018-06-08 정품인증 및 위조방지용 연포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504U KR200490792Y1 (ko) 2018-06-08 2018-06-08 정품인증 및 위조방지용 연포장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933U true KR20180001933U (ko) 2018-06-27
KR200490792Y1 KR200490792Y1 (ko) 2020-01-03

Family

ID=62749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2504U KR200490792Y1 (ko) 2018-06-08 2018-06-08 정품인증 및 위조방지용 연포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792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0579A (ko) * 2018-11-02 2020-05-12 주식회사 나노브릭 자기 색가변 잉크를 이용하여 보안 정보용 컬러 코드가 인쇄된 보안 매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60858A (ko) * 2018-11-23 2020-06-02 엔비에스티(주) 광결정 소재를 포함하는 위변조 방지용 전자태그 및 이의 활용방법
KR102127208B1 (ko) * 2019-12-23 2020-06-26 노민철 온도감지부를 구비한 음료포장용기
KR102163119B1 (ko) 2019-11-22 2020-10-07 주식회사 더코더 도트 난반사 특성을 이용한 진위여부 판별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163120B1 (ko) 2019-11-22 2020-10-08 주식회사 더코더 음영을 이용한 진위여부 검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N115674943A (zh) * 2021-07-28 2023-02-03 深圳市裕同包装科技股份有限公司 转移膜及其制造方法
KR102562132B1 (ko) 2022-08-30 2023-08-01 (주)씨큐파이버 비정질 연자성 와이어를 이용한 정품 인증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7317A (ja) * 2000-04-07 2001-10-16 Toppan Printing Co Ltd 積層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蓋材および軟包装材および複合紙容器
JP2003220662A (ja) * 2001-11-05 2003-08-05 Dainippon Printing Co Ltd 偽造防止体積ホログラム積層体および偽造防止体積ホログラムシール
JP2008134510A (ja) * 2006-11-29 2008-06-12 Toppan Printing Co Ltd ホログラムシールおよび偽造防止用光学積層体
KR20150063309A (ko) * 2014-12-03 2015-06-09 주식회사 나노브릭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7317A (ja) * 2000-04-07 2001-10-16 Toppan Printing Co Ltd 積層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蓋材および軟包装材および複合紙容器
JP2003220662A (ja) * 2001-11-05 2003-08-05 Dainippon Printing Co Ltd 偽造防止体積ホログラム積層体および偽造防止体積ホログラムシール
JP2008134510A (ja) * 2006-11-29 2008-06-12 Toppan Printing Co Ltd ホログラムシールおよび偽造防止用光学積層体
KR20150063309A (ko) * 2014-12-03 2015-06-09 주식회사 나노브릭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
KR20150066498A (ko) 2014-12-03 2015-06-16 주식회사 나노브릭 위변조 방지 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0579A (ko) * 2018-11-02 2020-05-12 주식회사 나노브릭 자기 색가변 잉크를 이용하여 보안 정보용 컬러 코드가 인쇄된 보안 매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60858A (ko) * 2018-11-23 2020-06-02 엔비에스티(주) 광결정 소재를 포함하는 위변조 방지용 전자태그 및 이의 활용방법
KR102163119B1 (ko) 2019-11-22 2020-10-07 주식회사 더코더 도트 난반사 특성을 이용한 진위여부 판별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163120B1 (ko) 2019-11-22 2020-10-08 주식회사 더코더 음영을 이용한 진위여부 검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20210063213A (ko) 2019-11-22 2021-06-01 주식회사 더코더 도트 난반사 특성을 이용한 진위여부 판별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20210063214A (ko) 2019-11-22 2021-06-01 주식회사 더코더 음영을 이용한 진위여부 검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127208B1 (ko) * 2019-12-23 2020-06-26 노민철 온도감지부를 구비한 음료포장용기
CN115674943A (zh) * 2021-07-28 2023-02-03 深圳市裕同包装科技股份有限公司 转移膜及其制造方法
CN115674943B (zh) * 2021-07-28 2024-05-03 深圳市裕同包装科技股份有限公司 转移膜及其制造方法
KR102562132B1 (ko) 2022-08-30 2023-08-01 (주)씨큐파이버 비정질 연자성 와이어를 이용한 정품 인증 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0792Y1 (ko) 2020-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0792Y1 (ko) 정품인증 및 위조방지용 연포장재.
JP7024153B2 (ja) 効果層を生成するための方法
RU2649547C2 (ru) Способы производства защитных нитей или полосок
KR101745668B1 (ko) 잉크 내에 배향된 자성의 입자를 포함하는 위조방지사 또는 위조방지 스트라이프, 및 이의 제조 방법
RU2715166C2 (ru) Устройства и способы получения слоев с оптическим эффектом, содержащих ориентированные несферические магнитные или намагничиваемые частицы пигмента
KR102597997B1 (ko) 배향된 비-구형 자성 또는 자화성 안료 입자를 포함하는 광학 효과층을 생성하기 위한 자석 조립체 및 방법
JP6535930B2 (ja) 光学可変磁気セキュリティスレッド及びストライプ
RU2641864C2 (ru) Оптически изменяющиеся защитные нити и полоски
ES2939138T3 (es) Procesos para producir capas de efecto óptico que comprenden partículas de pigmento magnéticas o magnetizables no esféricas orientadas
RU2668545C2 (ru) Защитные нити и полоски
KR20170124763A (ko) 광학적 가변 물질을 포함하는 위변조 방지용 인쇄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9532831A (ja) 効果層を生成するための方法
JP7271826B2 (ja) 配向磁性又は磁化可能顔料粒子を含む光学効果層を生成するためのアセンブリ及びプロセス
CN103052896B (zh) 复合防伪薄膜及复合防伪方法
JP7434688B2 (ja) 光学効果層を生成するためのプロセス
KR20150081257A (ko) 비가역적 자기 유도 이미지 또는 패턴
KR20190022302A (ko) 컬러 입자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캡슐 및 이를 포함하는 인쇄 매체.
CN115942999A (zh) 用于生产包含取向的片状磁性或可磁化颜料颗粒的光学效应层的磁性组件和方法
KR20170064917A (ko) 컬러 나노 복합체를 포함하는 에멀전, 젤리형 볼 및 구체
KR20200050112A (ko)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32606B1 (ko) 자기 색가변 잉크를 이용하여 보안 정보용 컬러 코드가 인쇄된 보안 매체 및 이의 제조방법.
RU2634772C1 (ru) Оптически изменяющиеся защитные нити и полоски
WO2019235707A1 (ko) 자기 색 가변 잉크를 이용하여 보안 정보용 컬러 코드가 인쇄된 보안 매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59561A (ko) 위조 및 변조 방지용 전사라벨 및 상기 전사라벨의 전사방법.
KR20180065140A (ko) 히든 이미지 효과를 나타내는 정품인증용 라벨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