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3119B1 - 도트 난반사 특성을 이용한 진위여부 판별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도트 난반사 특성을 이용한 진위여부 판별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3119B1
KR102163119B1 KR1020190150967A KR20190150967A KR102163119B1 KR 102163119 B1 KR102163119 B1 KR 102163119B1 KR 1020190150967 A KR1020190150967 A KR 1020190150967A KR 20190150967 A KR20190150967 A KR 20190150967A KR 102163119 B1 KR102163119 B1 KR 102163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henticity
diffuse reflection
reference data
printing layer
transparent pri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0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영민
박행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코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코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코더
Priority to KR1020190150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3119B1/ko
Priority to KR1020200117515A priority patent/KR202100632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3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3119B1/ko
Priority to PCT/KR2020/016419 priority patent/WO202110129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K9/466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 G06V10/6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relating to illumination properties, e.g. using a reflectance or lighting mode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06F18/20Analysing
    • G06F18/22Matching criteria, e.g. proximity meas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9/620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8Certifying business or pro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ultimedia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트 난반사 특성을 이용한 진위여부 판별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트 난반사 특성을 이용한 진위여부 판별장치는, 진위여부 판별대상의 표면에 형성한 투명 인쇄층을 근거로 도트(dot) 난반사 특성을 적용하기 위한 진위여부판별 기준 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및 진위여부 판별대상의 표면을 촬영한 촬영영상에서 표면에 대한 코드값을 인지하며, 인지한 코드값을 저장한 진위여부판별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대상의 진위여부를 판별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트 난반사 특성을 이용한 진위여부 판별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Apparatus for Detecting Authenticity by Using Scattered Reflection of Dots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도트 난반사 특성을 이용한 진위여부 판별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가령 스마트폰 등의 휴대용 사용자 단말을 통해 간단하게 정품인증 등을 수행할 수 있는 도트 난반사 특성을 이용한 진위여부 판별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문서의 위변조에 따른 피해가 늘어나고 있으며, 그에 따라 문서의 위변조를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 중 일 예로, 2차원 바코드에 문서의 전체 내용 또는 문서의 주요 내용을 저장한 후, 해당 문서의 출력시 2차원 바코드를 문서에 포함시켜 인쇄하는 방법이 있다. 이 경우, 2차원 바코드가 포함되어 출력된 문서를 스캐너로 획득한 후, 2차원 바코드 해독용 소프트웨어를 통해 2차원 바코드를 해독하여 해당 문서의 진위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2차원 바코드를 문서에 포함시켜 출력하기 때문에, 문서의 일정 영역을 2차원 바코드에 할당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2차원 바코드를 문서에 포함시키기 위해 별도의 공간을 2차원 바코드의 영역으로 할당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출력한 문서의 위변조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스캐너 장비를 사용하여 문서를 획득한 후, 획득한 문서 내의 2차원 바코드를 해독하여야 하는 등 절차가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최근 QR 코드(Quick Response Code)를 이용한 문서의 위변조 방지 기술이 시도되고 있으나, QR 코드 역시 문서의 일정 영역을 별도로 할당해야 한다는 점, QR 코드의 생성 방법이 이미 공개되어 있어 위변조가 쉽게 일어날 수 있다는 점 등에서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최근의 정품인증 플랫폼에서 제공되고 있는 가시적으로 판별 가능한(Visible) 인쇄에서는 광학 장비 등을 통해 복제가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561289호(2006.03.08)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389723호(2014.04.22)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929025호(2018.12.07)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18672호(2017.02.20)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2018-0001933호(2018.06.27)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령 스마트폰 등의 휴대용 사용자 단말을 통해 간단하게 정품인증 등을 수행할 수 있는 도트 난반사 특성을 이용한 진위여부 판별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트 난반사 특성을 이용한 진위여부 판별장치는, 진위여부 판별대상의 표면에 형성한 투명 인쇄층을 근거로 도트(dot) 난반사 특성을 적용하기 위해 생성한 진위여부판별 기준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진위여부 판별대상의 표면을 촬영한 촬영이미지에서 상기 표면에 대한 코드값을 인지하며, 상기 인지한 코드값을 상기 저장한 진위여부판별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대상의 진위여부를 판별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부는, 색상차를 없애 육안 판별이 불가능한 엠보 형태의 상기 투명 인쇄층에 대한 상기 기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는, 양각 형태의 상기 엠보에 대한 상기 기준 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단말장치의 플래시에 의해 상기 표면이 반사될 때 취득한 반사영상을 상기 촬영이미지로서 이용하며, 상기 반사영상에서 추출하는 화소값을 상기 코드값으로 인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트 난반사 특성을 이용한 진위여부 판별방법은, 진위여부 판별대상의 표면에 형성한 투명 인쇄층을 근거로 도트 난반사 특성을 적용하기 위해 생성한 진위여부판별 기준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진위여부 판별대상의 표면에 대한 촬영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촬영이미지에서 상기 표면에 대한 코드값을 인지하는 단계, 및 상기 인지한 코드값을 상기 저장한 진위여부판별 기준데이터와 비교하여 대상의 진위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색상차를 없애 육안 판별이 불가능한 엠보 형태의 상기 투명 인쇄층에 대한 상기 기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양각 형태의 상기 엠보에 대한 상기 기준 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촬영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사용자 단말장치의 플래시에 의해 상기 표면이 반사될 때 취득한 반사영상을 상기 촬영이미지로서 수신하며, 상기 인지하는 단계는, 상기 반사영상에서 추출하는 화소값을 상기 코드값으로 인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는, 도트 난반사 특성을 이용한 진위여부 판별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로서, 상기 도트 난반사 특성을 이용한 진위여부 판별방법은, 진위여부 판별대상의 표면에 형성한 투명 인쇄층을 근거로 도트 난반사 특성을 적용하기 위해 생성한 진위여부판별 기준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진위여부 판별대상의 표면에 대한 촬영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촬영이미지에서 상기 표면에 대한 코드값을 인지하는 단계, 및 상기 인지한 코드값을 상기 저장한 진위여부판별 기준데이터와 비교하여 대상의 진위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를 실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령 상품 포장지나 상품에 부착된 지류에 형성된 코팅층을 통해 다양한 종류의 상품에 대한 정품 위변조를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와 달리 가시적으로 판별이 불가능한(invisible) 형태로 제작되어 물리적인 색상차가 존재하지 않아 광학장비 등을 통한 복제가 불가능하게 될 것이다. 가령 위변조가 있다 하더라도 2차원 코드 또는 코드 정보에 의해 이에 대한 감별이 명확히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품인증서비스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판별대상의 실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위여부판별장치의 세부 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
도 4는 도 3의 진위여부처리부의 세부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위여부판별장치의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품인증서비스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판별대상의 실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품인증서비스시스템(90)은 사용자 단말장치(100), 통신망(110), 정품인증서비스장치(120) 및 관리자장치(1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정품인증서비스장치(120)와 같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사용자 단말장치(100)가 스탠드 얼론(stand alone) 형태로 동작할 수 있거나(예: 앱을 앱저장소에서 다운로드받아 사용), 정품인증서비스장치(120)의 일부 또는 전부가 통신망(110)을 구성하는 네트워크장치(예: 무선교환장치 등)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스마트폰, 태블릿PC, 랩탑컴퓨터 및 국내 S사의 갤럭*시기어와 같은 웨어러블장치 등을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카메라를 포함하여 위변조 감별을 위해 사진촬영(혹은 표면 스캔 동작)이 가능하다면 어떠한 장치이어도 무관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위변조 감별을 위해 별도로 제작되는 전용 단말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사진촬영, 다시 말해 도 1에서와 같은 진위여부 판별대상(이하, 판별대상)(95, 97)을 촬영할 때 플래시(flash)를 동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별도의 플래시 장치를 사용하거나, 주변에 빛이 있는 경우에는 해당 빛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이의 경우에는 플래시가 사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다만, 플래시는 상시 켜져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촬영에 의해 진위여부가 판별되는 판별대상(95, 97)은 지류(95)의 일측에 형성된 투명 인쇄층(97)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명 인쇄층(97)을 포함하는 경우라면 어떠한 형태이어도 무관하다. 더 정확하게는 난반사 특성을 이용하는 어떠한 형태이어도 무관하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판별대상(95, 97)과 같은 지류(95)의 경우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가시적으로 판별이 불가능한(invisible) 형태로 제작되어야 하며, 따라서 물리적인 색상차가 존재하지 않아 광학장비, 가령 복사기 등으로 복제가 불가능한 형태를 제공한다. 이에 근거해 볼 때, 투명 인쇄층(97)은 아주 미세한 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투명 인쇄층(97)은 일반 잉크와 수지(resin)가 혼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그 패턴은 코드값 즉 정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빛의 난반사를 이용해 판별대상(95, 97)의 위변조를 판별하기 위한 것이므로, 투명 인쇄층(97)은 다양한 형태를 띨 수 있지만, 도 1에서와 같이 볼록한 엠보(embo)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난반사를 이용해 위변조를 판별할 수 있다면, 또 가시적으로 판별이 불가능한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의 패턴을 형성하여도 무관하다. 가령, 사각형상이 될 수도 있으며, 투명 인쇄층(97)을 음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위여부 판별을 위하여 이를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이하, 앱)을 실행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특정 상품이나 제품에 대하여 진위여부를 판별하기 위하여 앱을 실행시킨 후 카메라를 해당 상품이나 제품의 표면을 비추면 자동으로 플래시가 작동하면서 사진촬영이 이루어진다. 동영상 촬영이라기보다는 한 번의 사진촬영을 통해 정지영상의 촬영이미지를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판별대상(95, 97)은 앱을 통해 인식 가능한 2차원 코드를 가령 투명 잉크로 인쇄한 상태이므로 사용자 단말장치(100)에 내장된 플래시를 통해 반사되어 표출되는 코드의 값을 인지 후 결과 데이터를 연결한다. 여기서 코드의 값은 빛의 특성을 이용한 다양한 정보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빛의 반사 속도가 될 수 있고, 촬영이미지 즉 난반사가 담긴 영상의 화소값이 될 수도 있으며, 화소값 중에 휘도값이 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도트(혹은 망점)(Dot)의 난반사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여 추출한 데이터를 정품인증서비스장치(120)로 전송해 정품인증과 같은 복제나 위변조의 유무 및 진본의 진위여부를 판별하는데 사용하며 해당 결과를 검증하는데 이용하는 것이다. 데이터 추출은 사용자 단말장치(100)에서 앱을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정품인증서비스장치(120)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사용자 단말장치(100)에 의해 촬영된 촬영이미지는 도 1의 통신망(110)을 경유하여 정품인증서비스장치(120)로 제공될 수 있으며, 앱에서 바로 촬영된 촬영이미지를 이용하여 진위여부 판별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는 앱에서 촬영이미지에서 데이터만을 추출하여 추출한 데이터를 정품인증서비스장치(12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다만, 정품인증서비스장치(120)는 고가의 장비이고, 따라서 고성능의 하드웨어 자원이나 소프트웨어 자원을 보유할 개연성이 높으므로 해당 장치에서 진위여부 판별이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
도 2에서 볼 때, 도 2의 (a)는 플래시가 오프된 상태에서의 원본, 가령 판별대상(95, 97)을 보여주고 있으며, 도 2의 (b)는 플래시가 켜진 상태에서의 원본을 보여주고 있다. 표면은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명 인쇄층(97)이 각각 형성된 상태이며, 투명 인쇄층(97)은 형성된 패턴이 일종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를 "2차원 코드(code)"라 명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명 인쇄층(97)의 패턴은 G(Gost)-도트(DoT: Data of Things)라 명명될 수 있다. 2차원 코드는 진위여부 판별을 위한 수단이며, 지류(95)에 형성된 투명 인쇄층(97)이 일정 패턴을 형성하여 이 패턴이 결국은 정보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투명 인쇄층(97)이 빛에 반사되므로 반사된 부분을 찾아내어 이를 근거로 원본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물론 그 정보 즉 코드는 앞서 언급한 대로 화소값이 될 수 있다. 촬영이미지에서 화소값은 색상을 의미한다. 물론 해당 색상은 휘도 즉 밝기를 포함한다. 투명 인쇄층(97)에 의한 반사 부위가 곧 정보가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동일한 적색이라 하더라도, 가령 256계조 즉 레벨로 표현될 수 있으며, 해당 계조(gray scale)는 휘도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난반사가 없을 때의 계조값과 난반사가 있을 때의 계조값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드값으로서 진위 판별시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외에도 난반사에 의한 다양한 인자(factor)가 진위 판별을 위해 사용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통신망(110)은 유무선 통신망을 모두 포함한다. 가령 통신망(110)으로서 유무선 인터넷망이 이용되거나 연동될 수 있다. 여기서 유선망은 케이블망이나 공중 전화망(PSTN)과 같은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것이고, 무선 통신망은 CDMA, WCDMA, GSM, EPC(Evolved Packet Core), LTE(Long Term Evolution), 와이브로(Wibro) 망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11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향후 구현될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접속망으로서 가령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하의 클라우드 컴퓨팅망, 5G망 등에 사용될 수 있다. 가령, 통신망(110)이 유선 통신망인 경우 통신망(110) 내의 AP는 전화국의 교환국 등에 접속할 수 있지만, 무선 통신망인 경우에는 통신사에서 운용하는 SGSN 또는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BTS(Base Station Transmission), NodeB, e-NodeB 등의 다양한 중계기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통신망(110)은 AP를 포함할 수 있다. AP는 건물 내에 많이 설치되는 펨토(femto) 또는 피코(pico) 기지국과 같은 소형 기지국을 포함한다. 여기서, 펨토 또는 피코 기지국은 소형 기지국의 분류상 사용자 단말장치(100)나 관리자장치(130)를 최대 몇 대까지 접속할 수 있느냐에 따라 구분된다. 물론 AP는 지상개폐기(100)와 지그비(zig-bee) 및 와이파이(Wi-Fi) 등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AP는 무선통신을 위하여 TCP/IP 혹은 RTSP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은 앞서 언급한 대로 와이파이 외에 블루투스, 지그비, 적외선, UHF 및 VHF와 같은 RF 및 초광대역 통신(UWB) 등의 다양한 규격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AP는 데이터 패킷의 위치를 추출하고, 추출된 위치에 대한 최상의 통신 경로를 지정하며, 지정된 통신 경로를 따라 데이터 패킷을 다음 장치, 예컨대 정품인증서비스장치(120)로 전달할 수 있다. AP는 일반적인 네트워크 환경에서 여러 회선을 공유할 수 있으며, 라우터(router), 리피터(repeater) 및 중계기 등이 포함된다.
정품인증서비스장치(120)는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요청에 따라 진위여부 판별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앞서 정품인증서비스장치(12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앱을 다운로드해 줄 수도 있을 것이다. 사용자 단말장치(100)에서 사용자가 앱을 실행할 때 정품인증서비스장치(120)와 통신 채널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정품인증서비스장치(120)는 가령 사용자 단말장치(100)에서 판별대상(95, 97)의 촬영이미지가 제공되는 경우 해당 이미지를 분석하여 진위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촬영이미지는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촬영시 플래시의 광에 대한 난반사가 적용된 반사영상을 수신하여 수신한 반사영상을 이용해 진위여부를 판별하는 것이다. 물론 위조품의 경우에는 복제된 판별대상의 촬영이미지를 수신하여 진위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가령 지류(95)에 삽입된 투명 인쇄층(97)에 의한 반사 부위가 발견되는지에 따라 진위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위해 정품인증서비스장치(120)는 관리자장치(130)로부터 진위 판별의 기준이 되는 기준 데이터를 제공받아 DB(120a)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본에 대한 난반사 특성을 이용해 이를 분석하여 기준 데이터로서 저장한 후, 난반사가 없는 제품의 촬영 이미지는 정품이 아니라 판정하는 것이다. 물론 난반사를 이용할 경우, 정품은 난반사 특성이 있는 것이므로, 반복적인 테스트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다양한 '경우의 수'를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다양한 방향에서 스캔을 수행하여 이를 통해 확보되는 촬영이미지를 분석하여 기준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정품의 지류(95)에 형성된 투명 인쇄층(97)을 어떠한 형태로 형성하느냐에 따라 그 기준값을 다양할 수 있을 것이다.
정품인증서비스장치(120)에서 기준 데이터를 DB(120a)에 저장하는 방법은 관리자장치(130)에서 생성하여 제공하되, 관리자장치(130)로서 기준 데이터를 생성하는 전용 앱이 설치되는 관리자의 스마트폰이 사용될 수 있으며, 또는 관리자의 데스크탑 컴퓨터에 설치된 프로그램을 통해 알고리즘을 통해 기준 데이터가 생성되어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차원 코드 즉 투명 인쇄층(97)의 패턴을 어떠한 형태로 형성할지를 결정하고, 또 플래시의 빛에 대한 조건 데이터를 시뮬레이션하면 그에 따라 기준 데이터값이 생성될 수 있고, 이와 같은 방식으로 기준데이터가 생성되어 제공될 수 있다. 혹은 스마트폰에 설치된 전용 앱을 실행시켜 실제 실환경에서의 촬영에 의해 제공된 촬영이미지를 이용해 기준 데이터를 생성해 DB(120a)에 저장한 후 이를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관리자장치(130)는 관리자가 구비하는 스마트폰 등의 휴대 단말장치, 노트북, 랩탑 및 데스크탑 컴퓨터, 태블릿 PC 등 다양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관리자장치(130)는 정품의 위변조 방지를 위하여 난반사 특성이 반영된 즉 투명 인쇄층(97)이 형성되어 있는 정품 마크 등으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여 기준값으로서 정품인증서비스장치(120)에 접속하여 DB(120a)에 저장시킬 수 있다. 이는 직접 제품을 촬영하여 저장시킬 수도 있지만, 컴퓨터에서 프로그램의 알고리즘을 통해 기준값을 생성해 저장시킬 수도 있다. 가령, 관리자는 자신의 스마트폰에서 앱을 실행하여 등록시키고자 하는 정품 마크를 다양한 방향에서 촬영을 수행하면 자동으로 기준 데이터가 생성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사용자와 관리자가 사용하는 프로그램, 가령 앱은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위여부판별장치의 세부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며, 도 4는 도 3의 진위여부처리부의 세부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위여부판별장치(100, 120)는 도 1의 사용자 단말장치(100) 및 정품인증서비스장치(120) 중 적어도 하나의 장치를 의미할 수 있으며, 가령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정품인증서비스장치(120)가 고가의 장비임을 감안할 때 고성능의 자원을 포함할 수 있다는 가정하에 정품인증서비스장치(120)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경우에도 난반사 촬영시의 촬영영상에 대하여 분석한 후 데이터를 추출해 진위여부를 판별하는 것이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정품인증서비스장치(120)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위여부판별장치(100, 120)로서 정품인증서비스장치(12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00), 제어부(310), 정품인증처리부(320) 및 저장부(3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저장부(33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구성되거나, 정품인증처리부(320)와 같은 구성요소가 제어부(310)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통신망(110)을 경유하여 사용자 단말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변/복조, 인코딩/디코딩, 먹싱/디먹싱, 해상도 변환 등의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사용자 단말장치(100)로부터 난반사 특성을 이용한 촬영영상, 더 정확하게는 (난)반사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위조품의 경우에는 난반사 영상이 아닐 수도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해당 난반사 영상에 대하여 사용자 단말장치(100)가 데이터를 추출하여 제공하는 경우에는 해당 추출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앞서와 같은 이유로 반사 영상을 수신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제어부(310)의 제어하에 수신된 난반사 영상을 근거로 사용자 단말장치(100)에서 촬영하여 제공한 제품의 진위 여부에 대한 결과를 전송한다. 결과는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므로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물론 앱을 실행하고 있으므로, 앱을 통해 결과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310)는 도 1의 정품인증서비스장치(120)를 구성하는 도 3의 통신 인터페이스부(300), 정품인증처리부(320) 및 저장부(330)의 전반적인 제어동작을 담당한다. 예를 들어, 난반사 영상이 통신 인터페이스부(300)에서 수신되면 이를 저장부(330)에 임시 저장한 후 다시 불러내어 정품인증처리부(32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10)는 정품인증처리부(320)에서 난반사 영상을 분석하여 제공하는 인증 결과를 사용자 단말장치(100)로 제공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난반사 특성을 이용하여 난반사 특성이 있을 때 정품으로 판정하고 난반사 특성이 없을 때 복제 또는 위변조로 판단할 수 있다. 무엇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그 난반사 특성이 적용되는 투명 인쇄층(97)이 2차원 코드 즉 제품의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으므로 판별 방법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무엇보다 시각적으로 볼 때, 눈에 보이지 않으므로 동일한 인쇄 패턴을 생성해 복제 등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쉽지 않다. 특히, 제품의 제조사에서 정보를 담고 있는 투명 인쇄층(97)의 패턴을 주기적으로 변경하거나 여러 가지 형태로 변경하는 경우, 가령 복제한 경우가 발생하더라고 복제, 위변조를 쉽게 감지해 낼 수 있게 될 것이다.
정품인증처리부(320)는 모든 제품(예: 품종이 다른 제품)에 대하여 동일한 투명 인쇄층(97)의 패턴을 적용한 경우라면 하나의 기준값을 레지스트리 등에 저장한 후 인증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위에서와 같이 많은 제품들(예: 화장품, 고급주류 등)에 대하여 인증을 수행해야 하고, 또 제품들마다 기준값이 상이한 경우라면, 관련 데이터는 저장부(330)에 저장한 후 필요할 때 제어부(310)에 요청하여 해당 기준 데이터를 제공받아 인증을 요청한 추출 데이터와 비교하여 진위여부를 판별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정품인증처리부(320)는 사용자 단말장치(100)에서 데이터를 추출하여 전송하는 경우, 기준 데이터와 수신한 추출 데이터를 비교하여 진위여부를 판별해 주겠지만, 제품마다 사용자 단말장치(100)에서 제공되는 추출 데이터가 상이한 경우에는 해당 제품의 식별정보를 근거로 기준 데이터를 선택하여 이를 근거로 진위 여부를 판별해 줄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품인증처리부(320)는 사용자 단말장치(100)에서 촬영영상을 제공하는 경우, 해당 영상을 분석하여 난반사 특성이 반영되어 있는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한 데이터를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진위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가령, 난반사 특성이 없는 경우라면 분명 복제나 위변조에 해당된다. 다만, 복제나 위변조를 통해 난반사 특성이 있는 경우라도 구체적인 데이터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복제나 위변조를 판별해 낼 수 있을 것이다. 이의 과정에서 가령 인공지능(AI)의 딥러닝을 적용하는 경우, 그 정확도는 더욱 높아질 수 있다. 가령 딥러닝을 적용하는 경우 위변조가 어디에서 발생되는지에 대한 출처를 밝히는 데에도 유용할 수 있을 것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정품인증처리부(320)는 도 4의 정품인증처리부(320')와 같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정품인증처리부(320')는 코드값인지부(400), 진위여부판별부(410) 및 기준데이터저장부(42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앞서서의 의미와 동일하다.
코드값인지부(400)는 가령 촬영영상이 수신되는 경우 해당 촬영영상의 화소값을 분석하여 코드값을 인식할 수 있다. 가령, 코드값은 2진비트 형태가 될 수 있으며, 난반사가 있을 때의 코드값과 난반사가 없을 때의 코드값은 분명 다르다. 따라서, 코드값인지부(400)는 이러한 2진비트 형태의 정보를 추출한다고 볼 수 있다.
진위여부판별부(410)는 코드값인지부(400)에서 제공하는 코드값과 기준데이터저장부(420)의 데이터를 서로 비교한다. 비교 결과 서로 일치하면 정품이라는 결과를 출력하고, 서로 일치하지 않으면, 위조라는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가령 일부 데이터에만 오류가 있는 경우 이를 위변조로 분류할지 아니면 정품으로 판정할지는 인공지능(AI) 딥러닝을 활용할 수도 있다. 학습을 통해 오류를 바로잡을 수 있을 것이다.
기준데이터저장부(420)는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적으로, 또 관리자에 의해 수동으로, 또는 도 1의 관리자장치(130)를 통해 자동으로 생성된 기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난반사 특성을 이용하기 위하여 형성한 투명 인쇄층(97)의 2차원 코드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가 등록되는 과정이며, 2진비트 형태로 등록될 수 있을 것이다.
저장부(330)는 제어부(310)의 제어하에 처리되는 다양한 정보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수신된 촬영영상의 화소 데이터는 저장부(330)에 임시 저장된 후 도 3의 정품인증처리부(320)에 제공될 수 있다. 저장부(330)는 램이나 롬과 같은 하드웨어 메모리라면, 위의 기준데이터저장부(420)는 소프트웨어적인 레지스트리 등을 의미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그러한 구성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한편, 도 3의 제어부(310)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CPU와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CPU와 메모리는 원칩화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CPU는 제어회로, 연산부(ALU), 명령어해석부, 레지스트리 등을 포함하며, 메모리는 램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회로는 제어동작을, 그리고 연산부는 2진비트정보의 연산을, 명령어해석부는 고급언어를 기계어로 또 기계어를 고급언어로 해석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레지스트리는 소프트웨어적인 데이터 저장에 관여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 결과 가령 도 1의 정품인증서비스장치(120)의 초기 구동시 또는 필요시에 정품인증처리부(320)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알고리즘을 메모리에 저장한 후 이를 실행시킴으로써 연산 처리 속도를 빠르게 증가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위여부판별장치의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5를 도 1의 정품인증서비스장치(120)와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품인증서비스장치(120)는 진위여부판별장치(100, 120)로서, 판별대상(95, 97)의 표면에 형성한 투명 인쇄층(97)을 근거로 도트 난반사 특성을 적용하기 위한 진위여부 판별 기준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한다(S500).
또한, 정품인증서비스장치(120)는 사용자 단말장치(100)에 의해 촬영되는 진위여부 판별대상의 표면에 대한 촬영영상을 수신한다(S510). 물론 수신한 촬영영상은 정품인 경우 난반사영상이 될 수 있고, 정품이 아닌 경우라면 난반사영상이 아닐 수 있다. 물론 정품이 아닌 경우에도 위변조에 의한 난반사영상이 수신될 수 있지만, 2차원 코드 정보를 통해 분석에 의해 정품이 아니라는 것이 판별될 것이다.
정품인증서비스장치(120)는 수신한 촬영영상에서 표면에 대한 코드값을 인지한다(S520). 즉 도트 난반사 특성이 반영된 투명 인쇄층(97)의 데이터 또는 정보를 인지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인지 과정은 가령 난반사 특성이 반영된 촬영영상의 화소값을 분석하여 이를 근거로 판단할 수도 있다. 또는 휘도값만을 활용할 수도 있으며, 난반사와 같은 광의 특성을 분석하여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난반사가 있으면 플래시에서 빛이 방출되어 표면에 반사되어 카메라로 수용될 때, 시간이 지연되거나 빛이 산란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투명 인쇄층(97)이 어떠한 코드 정보를 가질 수 있도록 어떠한 패턴이나 모양으로 형성하느냐에 따라 그 난반사 특성도 천차만별일 것이다. 제품마다 서로 다른 난반사 특성을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서로 다른 2차원 코드값을 반영하도록 패턴이나 모양을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정품인증서비스장치(120)는 인지한 코드값을 기저장한 진위여부판별 기준데이터와 비교하여 대상의 진위여부를 판별한다(S530). 서로 일치하면 정품인 것이고, 서로 다르면 위조품이 되는 것이다. 이러한 진위여부 판별시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인공지능 딥러닝 기술이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가령, 정품인증서비스장치(120)는 난반사가 없으면 1차적으로 위변조나 복제로 분류하고, 난반사가 있는 경우라 하더라도 2차적으로 코드 정보를 확인하여 복제나 위변조로 분류할 수도 있을 것이다. 만약, 일부 데이터에 오류가 있어 진위여부 판별이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는 딥러닝을 적용할 수 있다. 가령, 딥러닝을 통해 오학습이 발생하여 고객으로부터 불만이 접수되면 이를 학습시켜 오류를 바로 잡아 향후에 진위여부 판별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정품인증서비스장치(120)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한편 도 5에서는 진위여부판별장치(100, 120)로서 정품인증서비스장치(120)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도 5의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는 사용자 단말장치(100)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장치에 동작을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저장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판독 가능 기록매체란, 레지스터, 캐시(cache),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 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95: 지류 97: 투명 인쇄층
100: 사용자 단말장치 110: 통신망
120: 정품인증서비스장치 130: 관리자장치
300: 통신 인터페이스부 310: 제어부
320, 320': 정품인증처리부 330: 저장부
400: 코드값인지부 410: 진위여부판별부
420: 기준데이터저장부

Claims (8)

  1. 진위여부 판별대상의 표면에 형성한 투명 인쇄층에 의해 반사되어 도트(dot) 난반사 특성을 보이는 반사 부위를 이용하여 생성한 진위여부판별 기준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진위여부 판별대상의 표면에 대한 촬영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촬영이미지에서 상기 표면에 대한 코드값을 인지하는 단계; 및
    상기 인지한 코드값을 상기 저장한 진위여부판별 기준데이터와 비교해 상기 난반사 특성을 보이는지 판단하여 대상의 진위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기준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진위여부 판별대상에 형성한 투명 인쇄층을 다양한 방향에서 스캔을 수행하여 확보되는 촬영이미지를 분석하여 생성되는 상기 기준데이터를 저장하며,
    상기 투명 인쇄층은,
    색상차를 없애 육안 판별이 불가능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투명 인쇄층에 의해 반사가 이루어지도록 외부로 노출되어 형성되는 도트 난반사 특성을 이용한 진위여부 판별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색상차를 없애 육안 판별이 불가능한 엠보(embo) 형태의 상기 투명 인쇄층에 대한 상기 기준 데이터를 저장하는 도트 난반사 특성을 이용한 진위여부 판별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양각 형태의 상기 엠보에 대한 상기 기준 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도트 난반사 특성을 이용한 진위여부 판별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사용자 단말장치의 플래시(Flash)에 의해 상기 표면이 반사될 때 취득한 반사영상을 상기 촬영이미지로서 수신하며,
    상기 인지하는 단계는,
    상기 반사영상에서 추출하는 화소값을 상기 코드값으로 인지하는 도트 난반사 특성을 이용한 진위여부 판별방법.
  5. 진위여부 판별대상의 표면에 형성한 투명 인쇄층에 의해 반사되어 도트(dot) 난반사 특성을 보이는 반사 부위를 이용하여 생성한 진위여부판별 기준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진위여부 판별대상의 표면을 촬영한 촬영이미지에서 상기 표면에 대한 코드값을 인지하며, 상기 인지한 코드값을 상기 저장한 진위여부판별 기준 데이터와 비교해 상기 난반사 특성을 보이는지 판단하여 대상의 진위여부를 판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저장부는,
    상기 진위여부 판별대상에 형성한 투명 인쇄층을 다양한 방향에서 스캔을 수행하여 확보되는 촬영이미지를 분석하여 생성되는 상기 기준데이터를 저장하며,
    상기 투명 인쇄층은,
    색상차를 없애 육안 판별이 불가능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투명 인쇄층에 의해 반사가 이루어지도록 외부로 노출되어 형성되는 도트 난반사 특성을 이용한 진위여부 판별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색상차를 없애 육안 판별이 불가능한 엠보 형태의 상기 투명 인쇄층에 대한 상기 기준 데이터를 저장하는 도트 난반사 특성을 이용한 진위여부 판별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양각 형태의 상기 엠보에 대한 상기 기준 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도트 난반사 특성을 이용한 진위여부 판별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단말장치의 플래시에 의해 상기 표면이 반사될 때 취득한 반사영상을 상기 촬영이미지로서 이용하며, 상기 반사영상에서 추출하는 화소값을 상기 코드값으로 인지하는 도트 난반사 특성을 이용한 진위여부 판별장치.
KR1020190150967A 2019-11-22 2019-11-22 도트 난반사 특성을 이용한 진위여부 판별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1631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0967A KR102163119B1 (ko) 2019-11-22 2019-11-22 도트 난반사 특성을 이용한 진위여부 판별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0200117515A KR20210063213A (ko) 2019-11-22 2020-09-14 도트 난반사 특성을 이용한 진위여부 판별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PCT/KR2020/016419 WO2021101290A1 (ko) 2019-11-22 2020-11-20 도트 난반사 특성을 이용한 진위여부 판별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0967A KR102163119B1 (ko) 2019-11-22 2019-11-22 도트 난반사 특성을 이용한 진위여부 판별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7515A Division KR20210063213A (ko) 2019-11-22 2020-09-14 도트 난반사 특성을 이용한 진위여부 판별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3119B1 true KR102163119B1 (ko) 2020-10-07

Family

ID=7288478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0967A KR102163119B1 (ko) 2019-11-22 2019-11-22 도트 난반사 특성을 이용한 진위여부 판별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0200117515A KR20210063213A (ko) 2019-11-22 2020-09-14 도트 난반사 특성을 이용한 진위여부 판별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7515A KR20210063213A (ko) 2019-11-22 2020-09-14 도트 난반사 특성을 이용한 진위여부 판별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2163119B1 (ko)
WO (1) WO202110129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01290A1 (ko) * 2019-11-22 2021-05-27 주식회사 더코더 도트 난반사 특성을 이용한 진위여부 판별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20220088116A (ko) * 2020-12-18 2022-06-27 주식회사 더코더 진위 판별 정보가 삽입된 식별 코드 이미지 생성 시스템 및 이를 통해 생성된 식별 코드 이미지를 이용한 객체 진위 여부 판별 방법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1289B1 (ko) 2004-06-30 2006-03-15 한국조폐공사 위조방지용 자성 물질이 부가된 단층 은선 및 이를포함하는 보안용지
JP2008084177A (ja) * 2006-09-28 2008-04-10 Toshiba Corp 紙葉類の真偽判別装置および紙葉類の真偽判別方法
JP2013095055A (ja) * 2011-11-01 2013-05-20 Toppan Printing Co Ltd 表示体及びその真偽判定方法
KR101389723B1 (ko) 2011-08-25 2014-04-29 주식회사 씨케이앤비 복제 방지용 출력 장치
KR20160074945A (ko) * 2014-12-19 2016-06-29 (주)비티비코리아 위폐 검출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위폐 검출 방법
KR20160096463A (ko) * 2015-02-05 2016-08-16 한국기계연구원 위조 방지 패턴 감지 장치
KR20170018672A (ko) 2015-08-10 2017-02-20 주식회사 신원피앤피 화장품에 대한 정품 확인 시스템
KR20180001933U (ko) 2018-06-08 2018-06-27 주식회사 나노브릭 정품인증 및 위조방지용 연포장재.
KR101929025B1 (ko) 2017-01-11 2018-12-13 주식회사 니어네트웍스 상품에 대한 정품 또는 위조품을 확인하는 정품인증시스템
JP2019022951A (ja) * 2017-07-24 2019-02-1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偽造防止媒体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3119B1 (ko) * 2019-11-22 2020-10-07 주식회사 더코더 도트 난반사 특성을 이용한 진위여부 판별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1289B1 (ko) 2004-06-30 2006-03-15 한국조폐공사 위조방지용 자성 물질이 부가된 단층 은선 및 이를포함하는 보안용지
JP2008084177A (ja) * 2006-09-28 2008-04-10 Toshiba Corp 紙葉類の真偽判別装置および紙葉類の真偽判別方法
KR101389723B1 (ko) 2011-08-25 2014-04-29 주식회사 씨케이앤비 복제 방지용 출력 장치
JP2013095055A (ja) * 2011-11-01 2013-05-20 Toppan Printing Co Ltd 表示体及びその真偽判定方法
KR20160074945A (ko) * 2014-12-19 2016-06-29 (주)비티비코리아 위폐 검출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위폐 검출 방법
KR20160096463A (ko) * 2015-02-05 2016-08-16 한국기계연구원 위조 방지 패턴 감지 장치
KR20170018672A (ko) 2015-08-10 2017-02-20 주식회사 신원피앤피 화장품에 대한 정품 확인 시스템
KR101929025B1 (ko) 2017-01-11 2018-12-13 주식회사 니어네트웍스 상품에 대한 정품 또는 위조품을 확인하는 정품인증시스템
JP2019022951A (ja) * 2017-07-24 2019-02-1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偽造防止媒体
KR20180001933U (ko) 2018-06-08 2018-06-27 주식회사 나노브릭 정품인증 및 위조방지용 연포장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01290A1 (ko) * 2019-11-22 2021-05-27 주식회사 더코더 도트 난반사 특성을 이용한 진위여부 판별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20220088116A (ko) * 2020-12-18 2022-06-27 주식회사 더코더 진위 판별 정보가 삽입된 식별 코드 이미지 생성 시스템 및 이를 통해 생성된 식별 코드 이미지를 이용한 객체 진위 여부 판별 방법
KR102515358B1 (ko) * 2020-12-18 2023-03-29 주식회사 더코더 진위 판별 정보가 삽입된 식별 코드 이미지 생성 시스템 및 이를 통해 생성된 식별 코드 이미지를 이용한 객체 진위 여부 판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3213A (ko) 2021-06-01
WO2021101290A1 (ko) 2021-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02109B2 (en) Range and/or polarity-based thresholding for improved data extraction
US20210383150A1 (en) Iterative recognition-guided thresholding and data extraction
US11314958B2 (en) Detecting in an environment a matrix having a least prevalent color
US11210510B2 (en) Storing anonymized identifiers instead of personally identifiable information
US11720776B2 (en) System and method using a histogram and colorspaces to create a matrix barcode having a plurality of colors, an infrared layer, and an ultraviolet layer
CN111652223B (zh) 证件识别方法及装置
US10733492B1 (en) Detection of images in relation to targets based on colorspace transformation techniques and utilizing infrared light
US10496862B1 (en) Detection of images in relation to targets based on colorspace transformation techniques and utilizing ultraviolet light
US10762371B1 (en) Object detection techniques using colorspace conversions
KR102163119B1 (ko) 도트 난반사 특성을 이용한 진위여부 판별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US11341739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recording medium
CA295408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hentication of physical features on identification documents
KR102163120B1 (ko) 음영을 이용한 진위여부 검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US10929625B2 (en) Authentication method for product packaging
KR102668040B1 (ko) 이종 패턴을 이용한 위변조 검증방법 및 장치
KR102668025B1 (ko) 잠상기술을 이용한 위변조 검증방법 및 장치
TR2021019054T (tr) Dot dağınık yansıma özellikleri kullanılarak gerçekliğin belirlenmesine yönelik aygıt ve söz konusu aygıtı çalıştırma yöntemi.
TR2021019208T2 (tr) Gölgeleme kullanan orijinallik doğrulama cihazı ve bunu çalıştırma yöntemi.
CN116911872A (zh) 物品验证方法、针对隔屏采集的检测方法、印刷有图形码的标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