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8025B1 - 잠상기술을 이용한 위변조 검증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잠상기술을 이용한 위변조 검증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68025B1 KR102668025B1 KR1020200117517A KR20200117517A KR102668025B1 KR 102668025 B1 KR102668025 B1 KR 102668025B1 KR 1020200117517 A KR1020200117517 A KR 1020200117517A KR 20200117517 A KR20200117517 A KR 20200117517A KR 102668025 B1 KR102668025 B1 KR 10266802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ttern
- dot
- forgery
- latent image
- laten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8000012795 verif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8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5
- 230000004075 alt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7639 pr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976 in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034 disappearanc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95—Pattern authentication; Markers therefor; Forgery detec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30—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 B42D25/355—Security threa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40—Manufactur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G06V10/12—Details of acquisition arrangemen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G06V10/14—Optical characteristics of the device performing the acquisition or on the illumination arrangemen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G06V10/16—Image acquisition using multiple overlapping images; Image stit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 Facsimile Image Signal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잠상기술을 이용한 위변조 검증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잠상기술을 이용한 위변조 검증방법은, 배경 패턴과 상기 배경 패턴에 포함되어 있는 잠재 패턴상에 등 간격을 두고 선 형태의 패턴을 형성하는 위변조 판별대상을 이용해 생성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및 임의 판별대상의 스캔 데이터 및 상기 저장한 데이터를 근거로 위변조되는 지정 조건에서 상기 잠재 패턴상의 선 형태가 하나의 선 또는 이미지로 현출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잠상기술을 이용한 위변조 검증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가령 육안으로 색상차의 판별이 불가능한 판별대상을 고해상도의 컬러복사기에서 복사할 경우 잠상이 현출되도록 하는 잠상기술을 이용한 위변조 검증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IT 기술의 발달에 따라 스캐너, 프린터, 복합기, 소프트웨어 등 컴퓨터 관련 기기들의 해상도 및 재현능력 향상에 따라 은행권이나 수표, 각종 증명서, 보안문서 등을 쉽게 복사하여 이용하는 범죄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각종 위변조방지 망점들이 개발되어 왔으며, 종래에는 자외선 잉크나 적외선 잉크, 홀로그램 등을 이용하여 위변조를 방지하는 방법이 시도되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들은 복사시 형광 램프 등을 이용하여 기본적으로 진위여부의 확인은 가능하나 원본의 내용을 인식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없다. 또한, 홀로그램이나 잉크 등을 추가로 적용하는 데에 따른 원료나 인건비, 추가 공정 등에 따른 생산비용 증가가 불가피하다.
이에, 은행권이나 수표, 각종 증명서, 보안문서 등을 복사시 원본의 내용 파악이 어렵도록 원도의 선과 망점, 큰 망점과 작은 망점, 점선과 점선의 각도변환, 점선과 선 또는 각도를 변환시킨 기다란 곡선으로 복사시 잠상을 현출시키는 방법으로 위조를 방지하였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경우 망점과 도형을 이용하여 패턴을 형성하고 스크린 농도를 균일하게 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경우, 소실 부분과 현출 부분의 크기가 상이하게 배치함으로써 크기 차이가 클수록 복사시 소실부분과 현출부분의 구분 효과가 좋으나, 크기 차이가 크면 복사 전 인쇄물 원본에서도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하여 그 기술의 적용을 쉽게 알 수 있어 실용성이 떨어진다.
또한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만약 배경 패턴과 현출 패턴의 크기 차이를 작게 한다면 복사시 소실 및 현출 효과가 미흡하여 기술의 효과가 현저히 낮아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배경 패턴과 현출 패턴의 크기 차이 이외에도 모양 자체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복사 전 인쇄물 원본에서도 기술의 적용 유무가 육안으로 쉽게 확인이 가능하여 기술의 실용성이 떨어지는 단점 또한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령 육안으로 색상차의 판별이 불가능한 판별대상을 고해상도의 컬러복사기에서 복사할 경우 잠상이 현출되도록 하는 잠상기술을 이용한 위변조 검증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잠상기술을 이용한 위변조 검증방법은, 배경 패턴과 상기 배경 패턴에 포함되어 있는 잠재 패턴상에 등 간격을 두고 선 형태의 패턴을 형성하는 위변조 판별대상을 이용해 생성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및 임의 판별대상의 스캔 데이터 및 상기 저장한 데이터를 근거로 위변조되는 지정 조건에서 상기 잠재 패턴상의 선 형태가 하나의 선 또는 이미지로 현출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잠상기술을 이용한 위변조 검증장치는, 배경 패턴과 상기 배경 패턴에 포함되어 있는 잠재 패턴상에 등 간격을 두고 선 형태의 패턴을 형성하는 위변조 판별대상을 이용해 생성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임의 판별대상의 스캔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한 스캔 데이터 및 상기 저장한 데이터를 근거로, 위변조되는 지정 조건에서 상기 잠재 패턴상의 선 형태가 하나의 선 또는 이미지로 현출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실선의 두께, 농도를 달리함으로써 복사기를 통해 위조 방지가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선의 간격, 두께, 각도 및 농도를 동일하게 유지함으로써 잠상 패턴과 배경 패턴은 육안으로 식별되지 않으며, 고해상도 컬러복사기에서 복사할 경우 배경 패턴의 실선은 약하게 발현되거나 소실되고 잠상 패턴의 실선은 하나의 선처럼 표현되어 현출되어 육안 판별이 되므로 위변조가 불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변조검증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판별대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변조검증장치로서 도 1의 복사기의 세부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변조 검증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변조검증장치의 구동과정을 예시한 흐름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판별대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판별대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판별대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변조검증장치로서 도 1의 복사기의 세부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변조 검증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변조검증장치의 구동과정을 예시한 흐름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판별대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판별대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변조검증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판별대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변조검증서비스시스템(90)은 복사기(100), 사용자 단말장치(110), 통신망(120) 및 위변조검증서비스장치(1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턴을 인쇄하는 인쇄기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복사기(100)와 같은 구성요소가 스탠드 얼론(stand alone) 형태로 동작하거나, 위변조검증서비스장치(130)와 같은 구성요소의 일부 또는 전부가 통신망(120)을 구성하는 네트워크장치(예: 무선교환장치 등)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변조 판별을 받는 판별대상(97)은 별도의 인쇄기(또는 프린터)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문서 등에 형성될 수도 있지만, 별도의 마크(mark) 형태로 형성되어 제품에 부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판별대상(97)이 어떠한 형태로 형성되느냐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판별대상(97)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상 패턴과 배경 패턴을 선 형상, 더 정확하게는 이중 실선으로 구성하여 비표를 표시하며, 이때 선의 간격, 두께, 각도 및 농도를 동일하게 유지하여 잠상 패턴과 배경 패턴은 육안으로 식별되지 않는다. 따라서, 고해상도 컬러복사기 등에서 복사할 경우 배경 패턴의 실선은 약하게 발현되거나 소실되고 잠상 패턴의 실선은 하나의 선(혹은 이미지)처럼 표현되어 현출되도록 설정된다. 물론 잠상 패턴과 배경 패턴의 실선의 두께 및 농도를 달리하여 복사기(100)를 통한 위조 방지 효과가 있다. 실선의 두께는 약 0.02 ~ 0.04mm, 간격은 0.05 ~ 0.07mm이며 200선 이상의 스크린톤(screen tone) 선수와 15% 이하의 농도를 가지고 있다. 물론 이러한 상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술 사상을 변경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필터 인식기(예: 모바일)를 이용하여 위조여부를 확인하는 경우 정본 용지상에서 잠상 비표(예: 문자 및 DoT(Data of Things)) 패턴을 확인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판별대상(97)은, 배경 패턴이 잠상 패턴을 포함하며, 여기서 잠상 패턴은 잠재되어 있는 이미지 즉 상 또는 패턴을 의미한다. 잠상 패턴은 색상차가 없어 도 2의 (a) 및 도 3의 (a)에서와 같이 평소 눈에 드러나지 않지만 가령 복사 등이 이루어지는 특정 상황에서 외부로 드러나는 형태를 띤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2의 (b) 및 도 3의 (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이중 실선이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도 3의 (b)에서와 같이 배경 패턴의 실선에는 DoT 패턴(300)을 포함할 수도 있다. DoT 패턴은 이중 실선에 부가적으로 형성되는 것이므로 부가 패턴이라 명명될 수 있다. 가령,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2의 경우를 K-DoT라 명명할 수 있으며, 도 3의 경우에는 X-DoT라 명명할 수 있다. X-DoT는 K-DoT와 동일한 원리에서 배경 패턴과 DoT 패턴을 라인 간격의 차이를 두어 비표를 표시하고 있다. 비표는 DoT 패턴 및 문자 2가지를 혼용하여 삽입될 수 있다. 배경 패턴인 DoT 패턴의 영역 중 간격이 0.05 ~ 0.07mm인 실선이 복사시 약하게 발현되거나 소실되어 현출된 라인을 DoT 패턴으로 표현할 수 있다. 현출된 DoT 패턴을 특정 필터 인식기(예: 모바일)가 인식하여 위조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2 및 도 3에서 이중 실선을 예시하고 있지만, 이는 등간격을 이루는 하나의 실선이 될 수도 있고, 또 파선이 될 수도 있는 것이므로, 선의 형상 또는 형태를 갖는다고 표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판별대상(97)의 형성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되어 형성될 수 있으므로,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복사기(100)는 인쇄기 및 사용자 단말장치(110)와 함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변조검증장치로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독자적인 동작뿐 아니라 병행하여 동작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복사기(100)는 일반적인 복사기보다는 시중에 출시되는 제품 중에 문서 등의 위변조가 가능할 수 있는 고해상도 컬러복사기를 의미할 수 있다. 기술이 점점더 발전함에 따라 고성능의 컬러복사기 등에 의해 정품 또는 진품의 위변조를 방지해야 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고 볼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사기(100)는 위변조 검증을 위한 기술을 내부에 포함하고 있다기보다는 판별대상(97)이 위변조될 때 이를 검증 즉 확인해 주는 장치에 불과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검증에 있어서 복사기(100)의 내부 복사 조건은, 가령 램프의 스캔시 밝기, 데이터 변환 등은 판별대상(97)의 잠상을 발현시키는데 중요한 요인(factor)이 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를 간과하지는 않을 것이다. 예를 들어 컬러복사기의 성능이 점점더 진화하는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가령 이중 실선의 간격을 변경시키거나 두께를 변경시키는 등의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복사기(1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통신망(120)을 경유해 위변조검증서비스장치(130)로부터 관련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아 내부에 저장한 후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같은 위변조 검증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는 것이므로 위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사용자 단말장치(110)는 복사기(100)와 함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변조검증장치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이나 국내 S사의 갤럭*기어와 같은 웨어러블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장치(110)는 촬영이 가능한 고해상도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복사기(100)의 스캐너를 통해 문서를 읽어들이는 원리는 고해상도의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 단말장치(110)를 통해 촬영되는 것과 크게 다르지 않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장치(110)의 경우에도 복사기(100)와 마찬가지로 위변조가 있다는 것을 얼마든지 검증해 줄 수 있다. 가령 위의 복사기(100)와 같은 경우에는 도 2의 (c) 및 (d)나 도 3의 (c) 및 (d)에서와 같이 출력 문서에 잠상 패턴이 드러나도록 하여 위변조가 불가능하도록 한다면, 사용자 단말장치(110)의 경우에는 전용 앱을 통해 화면상에 위변조 여부를 확인해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은 배경 패턴과 잠상 패턴을 포함하지 않는 판별대상(97)은 잠상이 드러나지 않아 위변조되었다고 판단하는 것이다.
사용자 단말장치(110)는 이러한 위변조 검증을 위하여 외부에서 내려받은 전용 앱을 통해 위에서와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 있지만, 앱을 활용하되 위변조 여부를 검증해 달라고 위변조검증서비스장치(130)로 요청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장치(110)를 통해 촬영시에 복사기(100)에서와 마찬가지로 배경 패턴의 실선은 소실되고 잠상 패턴은 하나의 선처럼 표현되어 촬영되고 촬영이미지는 위변조검증서비스장치(130)에 제공되어 위변조 여부가 검증될 수 있을 것이다.
통신망(120)은 유무선 통신망을 모두 포함한다. 가령 통신망(120)으로서 유무선 인터넷망이 이용되거나 연동될 수 있다. 여기서 유선망은 케이블망이나 공중 전화망(PSTN)과 같은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것이고, 무선 통신망은 CDMA, WCDMA, GSM, EPC(Evolved Packet Core), LTE(Long Term Evolution), 와이브로(Wibro) 망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12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향후 구현될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접속망으로서 가령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하의 클라우드 컴퓨팅망, 5G망 등에 사용될 수 있다. 가령, 통신망(120)이 유선 통신망인 경우 통신망(120) 내의 AP는 전화국의 교환국 등에 접속할 수 있지만, 무선 통신망인 경우에는 통신사에서 운용하는 SGSN 또는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BTS(Base Station Transmission), NodeB, e-NodeB 등의 다양한 중계기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통신망(120)은 AP를 포함할 수 있다. AP는 건물 내에 많이 설치되는 펨토(femto) 또는 피코(pico) 기지국과 같은 소형 기지국을 포함한다. 여기서, 펨토 또는 피코 기지국은 소형 기지국의 분류상 복사기(100)나 사용자 단말장치(110)를 최대 몇 대까지 접속할 수 있느냐에 따라 구분된다. 물론 AP는 복사기(100)나 사용자 단말장치(110)와 지그비(zig-bee) 및 와이파이(Wi-Fi) 등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AP는 무선통신을 위하여 TCP/IP 혹은 RTSP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은 앞서 언급한 대로 와이파이 외에 블루투스, 지그비, 적외선, UHF 및 VHF와 같은 RF 및 초광대역 통신(UWB) 등의 다양한 규격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AP는 데이터 패킷의 위치를 추출하고, 추출된 위치에 대한 최상의 통신 경로를 지정하며, 지정된 통신 경로를 따라 데이터 패킷을 다음 장치, 예컨대 위변조검증서비스장치(130)로 전달할 수 있다. AP는 일반적인 네트워크 환경에서 여러 회선을 공유할 수 있으며, 라우터(router), 리피터(repeater) 및 중계기 등이 포함된다.
위변조검증서비스장치(130)는 시스템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되어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변조 검증 동작은 실질적으로 위변조검증장치로서 동작하는 복사기(100)나 사용자 단말장치(110)에서 자체적으로도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는 위에서 이미 설명한 바 있다. 다만, 위변조검증서비스장치(13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앱을 내려주거나 데이터를 생성해주거나 생성한 데이터를 관리하고, 또 사용자 단말장치(110)에서 검증 요청이 있을 때 검증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경우 검증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위변조검증서비스장치(130)는 서비스 운영사의 관리 서버가 될 수도 있다. 도 1의 판별대상(97)과 관련되는 데이터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일종의 서비스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위변조검증서비스장치(130)는 복사기(100)나 사용자 단말장치(110)에서의 위변조 동작을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즉 통합관리를 수행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복사기(100)가 있는 어느 곳에서 위변조 사건이 발생하였는지 등을 판단하여 위변조 사건의 발생시에도 신속하게 상황에 대처할 수 있다. 나아가, 위변조검증서비스장치(130)는 DB(130)를 포함함으로써 도 1의 판별대상(97)을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를 생성해 저장하고, 갱신하는 등의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변조검증장치로서 도 1의 복사기의 세부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4를 도 1의 복사기와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사기(100)는 위변조검증장치로서, 인터페이스부(혹은 통신 인터페이스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스캔부)(400), 제어부(410), 잠상데이터처리부(420) 및 저장부(4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저장부(43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구성되거나, 잠상데이터처리부(42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제어부(410)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인터페이스부(400)는 가령 통신 인터페이스부로서 통신망(120)을 경유하여 위변조검증서비스장치(130)에 접속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을 설치하거나 또는 위변조 검증에 필요한 기준데이터를 제공받는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USB와 같은 저장매체를 인터페이스부(400)에 연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이외에도 인터페이스부(4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스캔부, 프린팅부 등을 포함한다. 스캔부를 통해 가령 문서를 복사 또는 스캔하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가령 스캔부에서 스캔시 램프를 스캔 라인(Line)별로 구동하여 순차적으로 비추면서 상측에 구비되는 카메라를 통해 해당 문서를 복사 또는 스캔하게 된다.
제어부(410)는 복사 또는 스캔된 데이터를 스캔된 이미지의 형태로 저장부(430)에 저장시키거나 외부로 전송하거나, 또 프린팅부를 통해 복사 문서를 출력시킬 수 있다. 이의 과정에서 제어부(410)는 입력된 데이터를 잠상데이터처리부(420)에 제공하여 데이터 처리를 요청할 수 있고, 요청 결과에 따른 데이터를 제공받아 문서를 출력시킬 수 있을 것이다.
잠상데이터처리부(420)는 제어부(410)에서 제공된 스캔 데이터가 도 1에서와 같은 판별대상(97)에 대한 스캔 데이터인 경우, 판별대상(97)에 형성된 배경 패턴과 잠상 패턴이 복사기(100)의 복사 과정에서 왜곡, 더 정확하게는 전이되므로 그 전이된 데이터가 스캔 데이터에 포함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이유에서 '잠상 및 디지털 포렌식 전이를 이용한 위변조 방지"라고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잠상데이터처리부(420)는 전이된 데이터를 그대로 반영하여 프린팅부로 출력하게 된다. 예를 들어, 스캔된 데이터는 RGB의 화소값으로 제공된다면, 프린팅부는 RGB의 화소값을 프린팅에 적합한 값으로 변환하여 이를 통해 인쇄를 수행할 수 있다. 프린팅부에서 변환된 데이터에 의해 잉크나 감광체가 구현된다.
잠상데이터처리부(420)에서 특별한 동작을 수행한다기보다는 전이된 데이터를 판단한다고 볼 수 있다. 판별대상(97)의 복사나 스캔시 배경 패턴의 실선은 약하게 발현되거나 소실되고 잠상 패턴의 실선은 하나의 선처럼 표현되어 현출되는 데이터를 취득하여 이를 그대로 인쇄해 주는 것이라 볼 수 있다.
또한, 저장부(430)는 제어부(410)의 제어하에 처리되는 다양한 정보 및 데이터를 저장한다. 정보는 간단한 제어명령을 의미한다면, 데이터는 스캔된 화소 데이터 등을 의미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그러한 용어의 개념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즉 혼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변조 검증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5를 도 1과 함께 참조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본의 판별 대상(97)은 도 1의 복사기(100)나 사용자 단말장치(110)를 통해 가령 스캔 동작이 이루어지는 경우, 잠상 패턴 소실로 DoT 패턴이 현출될 수 있다(S510).
이를 위하여, 복사기(100)나 사용자 단말장치(110)는 특정 필터를 인식(혹은 포함)할 수 있고, 다시 말해 잠상 패턴의 소실된 DoT 패턴을 추출할 수 있고, 따라서 추출한 잠상 패턴을 확인하여 복사본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S513). 여기서, 필터는 필터링 동작을 수행하므로, 가령 전이된 데이터를 필터를 통과시켜 잠상 데이터를 추출되면 이를 발현시키면 되는 것이다.
복사본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복사기(100)의 경우에는 추출한 잠상 패턴을 출력 문서에 함께 출력하게 된다. 잠상은 도 2의 (c) 및 (d), 그리고 도 3의 (c) 및 (d)에서와 같이 육안 판별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도 6은 도 1의 위변조검증장치의 구동 과정을 예시한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6을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변조검증장치는 복사기(100), 사용자 단말장치(110), 인쇄기 및 위변조검증서비스장치(130) 중 적어도 하나의 장치를 의미하며, 가령 인쇄기는 배경 패턴과 배경 패턴에 잠재되어 있는 잠재 패턴상에 등 간격을 두고 선 형태의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S600).
또한, 가령 복사기(100)는 위변조되는 지정 조건에서 잠재 패턴상의 선 형태가 하나의 선 또는 이미지로 외부로 현출되도록 하여 위변조를 방지할 수 있다(S610).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변조검증장치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도 7 및 도 8은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판별대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판별대상(697)은 앞서 도 3에서 설명한 바 있는 X-DoT 기술이 응용된 형태로 X-DoT(예: D-DoT 패턴이 삽입된 잠상) 위에 D-DoT 즉 2차원 패턴코드를 이중 인쇄한 기술이다. 이때 정본(700, 701))에서는 위에 인쇄된 D-DoT 패턴(701)만 인식기(예: 모바일)에서 인식할 수 있으며 복사(예: 위조 및 변조)시 D-DoT은 소실되며 X-DoT 잠상에 삽입되어 있던 D-DoT만 발현된다. 정본(700, 701)과 복사본(710)에서 다른 DoT을 확인할 수 있어 위조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도 8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정본에서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에 탑재되어 있는 앱을 실행하여 D-DoT만 인식되는 경우에는 정본(700, 701)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복사 등에 의한 복사본(710)은 X-DoT 내 잠상 DoT 인식되어 위조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판별대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X-DoT 기술이 응용된 또 다른 형태로 X-DoT(D-DoT 패턴(801)이 삽입된 잠상) 위에 G-DoT을 이중 인쇄한 기술이다. 이때 정본(800, 801)에서는 위에 인쇄된 G-DoT 패턴만 인식기(모바일)에서 인식할 수 있으며 복사(위.변조) 시 G-DoT은 소실되며 X-DoT 잠상에 삽입되어 있던 D-DoT만 발현된다. 정본(800, 801)과 복사본(810)에서 다른 DoT을 확인할 수 있어 위조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여기서, G-DoT는, 2차원 코드를 투명 잉크로 인쇄하여 단말기에 내장된 플래시를 통해 반사되어 표출되는 코드의 값을 인지 후 결과 데이터로 연결한다. 이는 정품인증과 같은 복제나 위변조의 유무 및 진본의 진위 여부를 판별하는데 사용되며 해당 결과를 검증하는데 이용된다. 기존 정품인증 플랫폼에서 제공되고 있는 가시적으로 판별이 가능한 Visible 인쇄에서는 광학장비등을 통해 복제가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으며, 현 적용 기술은 Invisible 형태로 제작되며 물리적인 색상 차가 존재하지 않아 광학장비 등을 통한 복제가 불가능한 형태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저장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판독 가능 기록매체란, 레지스터, 캐시(cache),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 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복사기 110: 사용자 단말장치
120: 통신망 130: 위변조검증서비스장치
400: 인터페이스부 410: 제어부
420: 잠상데이터처리부 430: 저장부
120: 통신망 130: 위변조검증서비스장치
400: 인터페이스부 410: 제어부
420: 잠상데이터처리부 430: 저장부
Claims (12)
- 판별대상을 스캔하여 생성된 스캔 데이터를 기초로 제2 D-DoT 패턴이 인식되는 경우 정품으로 판단하고 X-DoT 내 잠상에 삽입되어 있던 제1 D-DoT 패턴이 인식되는 경우 위조품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판별대상은
상기 제1 D-DoT 패턴이 삽입된 잠상 X-DoT 패턴의 위에 제2 D-DoT 패턴이 이중으로 인쇄되어 있고,
상기 제2 D-DoT 패턴은 상기 판별대상의 복사 시 소실되는 잠상 패턴이고 상기 제1 D-DoT 패턴은 X-DoT 내 잠상에 형성되어 상기 복사 시 소실되지 않고, 상기 X-DoT은 배경 패턴과 잠상 패턴으로 구성된 비표 중 배경 패턴에 잠상으로 형성되는 부가 패턴이며 상기 제1 D-DoT 패턴이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상기술을 이용한 위변조 검증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은 이중 실선 또는 파선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상기술을 이용한 위변조 검증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은 육안 판별이 불가능하도록 선 형태의 패턴의 간격, 두께, 각도 및 농도를 동일하게 유지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상기술을 이용한 위변조 검증방법. - 판별대상을 스캔하여 생성된 스캔 데이터를 기초로 제2 D-DoT 패턴이 인식되는 경우 정품으로 판단하고 X-DoT 내 잠상에 삽입되어 있던 제1 D-DoT 패턴이 인식되는 경우 위조품으로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판별대상은
제1 D-DoT 패턴이 삽입된 잠상 X-DoT 패턴의 위에 제2 D-DoT 패턴이 이중으로 인쇄되어 있고,
상기 제2 D-DoT 패턴은 상기 판별대상의 복사 시 소실되는 잠상 패턴이고 상기 제1 D-DoT 패턴은 X-DoT 내 잠상에 형성되어 복사 시 소실되지 않고, 상기 X-DoT은 배경 패턴과 잠상 패턴으로 구성된 비표 중 배경 패턴에 잠상으로 형성되는 부가 패턴이며 상기 제1 D-DoT 패턴이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상기술을 이용한 위변조 검증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은 이중 실선 또는 파선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상기술을 이용한 위변조 검증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은 육안 판별이 불가능하도록 선 형태의 패턴의 간격, 두께, 각도 및 농도를 동일하게 유지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상기술을 이용한 위변조 검증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17517A KR102668025B1 (ko) | 2019-11-22 | 2020-09-14 | 잠상기술을 이용한 위변조 검증방법 및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50969A KR102163121B1 (ko) | 2019-11-22 | 2019-11-22 | 잠상기술을 이용한 위변조 검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
KR1020200117517A KR102668025B1 (ko) | 2019-11-22 | 2020-09-14 | 잠상기술을 이용한 위변조 검증방법 및 장치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50969A Division KR102163121B1 (ko) | 2019-11-22 | 2019-11-22 | 잠상기술을 이용한 위변조 검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63215A KR20210063215A (ko) | 2021-06-01 |
KR102668025B1 true KR102668025B1 (ko) | 2024-05-22 |
Family
ID=7288477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50969A KR102163121B1 (ko) | 2019-11-22 | 2019-11-22 | 잠상기술을 이용한 위변조 검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
KR1020200117517A KR102668025B1 (ko) | 2019-11-22 | 2020-09-14 | 잠상기술을 이용한 위변조 검증방법 및 장치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50969A KR102163121B1 (ko) | 2019-11-22 | 2019-11-22 | 잠상기술을 이용한 위변조 검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2) | KR102163121B1 (ko) |
WO (1) | WO2021101297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63121B1 (ko) * | 2019-11-22 | 2020-10-07 | 주식회사 더코더 | 잠상기술을 이용한 위변조 검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237211A (ja) * | 2002-02-18 | 2003-08-27 | Toppan Printing Co Ltd | コピー偽造防止用紙及びこのコピー偽造防止用紙を用いた有価証券類 |
JP2004228896A (ja) * | 2003-01-22 | 2004-08-12 | Canon Inc | 画像処理方法 |
KR101164003B1 (ko) * | 2012-03-28 | 2012-07-18 | 한국조폐공사 | 위조 방지 및 복사 방해용 인쇄물의 제조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40006793A (ko) | 1992-09-29 | 1994-04-25 | 스기에 다께시 | 잠상표현식 복사위조 방지용지 |
KR960012223B1 (ko) | 1994-08-31 | 1996-09-18 | 만도기계 주식회사 | 전자제어식 동력조향장치의 압력조정밸브 |
KR20010070865A (ko) | 2001-06-14 | 2001-07-27 | 최종욱 | 문서의 복사 및 위조/변조 방지 및 인증 장치 |
KR100405828B1 (ko) | 2002-02-01 | 2003-11-14 | 주식회사 마크애니 | 위변조의 방지가 가능한 문서를 제작하는 장치 및 방법,그리고 상기 문서를 인증하는 장치 및 방법 |
KR100587621B1 (ko) | 2004-12-16 | 2006-06-08 | 한국조폐공사 | 시변각 복합 잠상을 갖는 위·변조방지용 인쇄물 및 이의제조 방법 |
KR20080110117A (ko) * | 2007-06-14 | 2008-12-18 | (주)광인사 | 위조방지용지 |
KR20090053563A (ko) | 2007-11-23 | 2009-05-27 | 한국조폐공사 | 컬러 출력기에 의한 위조방지 인쇄물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1254095B1 (ko) * | 2011-08-09 | 2013-04-12 | 주식회사 씨텍 | 화폐처리기 |
KR101770984B1 (ko) | 2016-03-14 | 2017-09-06 | 한국조폐공사 | 위조방지 인쇄물 및 그 제조방법 |
KR102163121B1 (ko) * | 2019-11-22 | 2020-10-07 | 주식회사 더코더 | 잠상기술을 이용한 위변조 검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
-
2019
- 2019-11-22 KR KR1020190150969A patent/KR102163121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0
- 2020-09-14 KR KR1020200117517A patent/KR10266802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0-11-20 WO PCT/KR2020/016429 patent/WO2021101297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237211A (ja) * | 2002-02-18 | 2003-08-27 | Toppan Printing Co Ltd | コピー偽造防止用紙及びこのコピー偽造防止用紙を用いた有価証券類 |
JP2004228896A (ja) * | 2003-01-22 | 2004-08-12 | Canon Inc | 画像処理方法 |
KR101164003B1 (ko) * | 2012-03-28 | 2012-07-18 | 한국조폐공사 | 위조 방지 및 복사 방해용 인쇄물의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1101297A1 (ko) | 2021-05-27 |
KR102163121B1 (ko) | 2020-10-07 |
KR20210063215A (ko) | 2021-06-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580820B1 (en) | Digital imaging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on of document security marks | |
US8310718B2 (en) | High resolution scalable gloss effect | |
US20070041628A1 (en) | Detection of document security marks using run profiles | |
KR101802808B1 (ko) | 위조 방지용 인쇄물 및 그에 대한 위조 여부 확인 방법 | |
KR101468412B1 (ko) | 위조 방지용 인쇄물 및 그에 대한 위조 여부 확인 방법 | |
JP2009111980A (ja) | 閉ループ処理における文書の真偽判定 | |
KR102668025B1 (ko) | 잠상기술을 이용한 위변조 검증방법 및 장치 | |
JP2023067165A (ja) |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 |
KR102668040B1 (ko) | 이종 패턴을 이용한 위변조 검증방법 및 장치 | |
WO2021101290A1 (ko) | 도트 난반사 특성을 이용한 진위여부 판별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 |
KR100874752B1 (ko) | 지폐 인식장치 및 그 인식방법 | |
US20230291858A1 (en) |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 |
JP2016076079A (ja) | 判別システム及び判別方法、判別装置及び撮像装置並びに判別装置用プログラム及び撮像装置用プログラム | |
CN113348092B (zh) | 用调幅栅格印刷来印刷验证标识的方法 | |
KR102240840B1 (ko) | 위조방지용지 또는 보안 인쇄 구조를 이용한 진위 여부 확인 시스템 | |
US10562331B2 (en) | Monochrome device fluorescent pantograph | |
CA2570983A1 (en) | Full color scanning protection of document | |
KR102137944B1 (ko) | 위조방지용 인쇄물 및 그 제조 방법 | |
US20070133023A1 (en) | Document For Determining Interference Scanning Frequencies | |
US20030142360A1 (en) |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a scanned image | |
US11968343B2 (en) |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that obtain multiplexed images and output print data using multiplexed image | |
KR101858965B1 (ko) | 이미지에 진위 판별 코드 삽입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생산된 생산물의 진위 여부 판별 방법 | |
KR20110083453A (ko) | 화상형성장치, 화상형성방법 및 문서 인증 방법 | |
JP2005151449A (ja) | 記録媒体 | |
JP3490069B2 (ja) | 画像処理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