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9561A - 위조 및 변조 방지용 전사라벨 및 상기 전사라벨의 전사방법. - Google Patents

위조 및 변조 방지용 전사라벨 및 상기 전사라벨의 전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9561A
KR20200059561A KR1020180144435A KR20180144435A KR20200059561A KR 20200059561 A KR20200059561 A KR 20200059561A KR 1020180144435 A KR1020180144435 A KR 1020180144435A KR 20180144435 A KR20180144435 A KR 20180144435A KR 20200059561 A KR20200059561 A KR 202000595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label
transfer label
tamper
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4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재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노브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노브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노브릭
Priority to KR1020180144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59561A/ko
Publication of KR20200059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95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3/03Forms or constructions of security seals
    • G09F3/0305Forms or constructions of security sea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al used
    • G09F3/0341Forms or constructions of security sea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al used having label seal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3/0291Labels or tickets undergoing a change under particular conditions, e.g. heat, radiation, passage of time
    • G09F3/0292Labels or tickets undergoing a change under particular conditions, e.g. heat, radiation, passage of time tamper indicating lab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3/0291Labels or tickets undergoing a change under particular conditions, e.g. heat, radiation, passage of time
    • G09F3/0294Labels or tickets undergoing a change under particular conditions, e.g. heat, radiation, passage of time where the change is not permanent, e.g. labels only readable under a special light, temperature indicating labels and the like

Abstract

본 발명은 위조 및 변조 방지용 전사라벨에 관한 것으로서, 이형 기재, 상기 이형 기재의 표면에 적층되어 형성되는 투명 전사 필름, 상기 투명 전사 필름의 표면 전체 또는 일부에 적층되어 형성되는 정품 인증 패턴 층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물품의 표면에 전사하여 정품인증 및 위변조 방지를 위한 라벨로 적용할 수 있는 전사라벨 및 상기 전사라벨의 전사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위조 및 변조 방지용 전사라벨 및 상기 전사라벨의 전사방법.{ANTI-COUNTERFEIT TRANSFER LABEL AND TRANSFER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위조 및 변조 방지용 전사라벨 및 상기 전사라벨의 전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 자기장의 인가에 의해 색 가변되는 정품 인증 패턴 층을 포함하는 위조 및 변조 방지용 라벨을 제품 표면이나 제품 포장재의 표면에 전사(transfer)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전사라벨 및 상기 전사라벨의 전사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기 색 가변 소재를 적용하여 제품의 정품인증 및 위조 및 변조 방지를 할 수 있는 보안요소는 주로 필름, 라벨과 같은 형태로 개발되고 있다.
출원인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5-0066498호를 통해 라벨층과 자기 가변 물질부를 포함하는 실크 인쇄층이 형성된 위조 및 변조 방지용 라벨을 제안하였으며, 이러한 라벨 제품을 통해 정품인증 뿐만 아니라 위조 및 변조 방지의 효과를 구현하고 있다.
이러한 위변조 방지 라벨은 다양한 보안요소들을 포함하는 라벨로 제품의 포장재 및 내용물에 부착됨으로써 위변조 여부를 식별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여 많은 산업 제품들에 적용될 수 있다. 하지만, 라벨의 훼손 또는 탈착 후 재부착하는 등의 위변조 식별 기능에 문제가 될 수 있는 근본적인 문제점이 존재하므로 제품의 표면이나 제품의 포장재의 표면에 직접 이를 전사하여 인쇄하는 방식이 필요하다.
그러나 라벨을 직접 전사하여 인쇄하기 위해서는 제품에 대한 추가적인 인쇄 공정이 필요하며, 고온 처리 등의 인쇄 후 공정에 의해 제품이나 포장재에 손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어 이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5-006649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제품이나 제품을 포장하는 포장재와 같은 물품의 표면에 직접 전사 인쇄하여 부착할 수 있는 위조 및 변조 방지용 전사라벨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사라벨을 물품의 표면에 전사할 수 있는 전사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사라벨은 이형 기재, 상기 이형 기재의 표면에 적층되어 형성되는 투명 전사 필름, 상기 투명 전사 필름의 표면 전체 또는 일부에 적층되어 형성되는 정품 인증 패턴 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투명 전사 필름은 일면 또는 양면에 정보 인쇄 층이 적층될 수 있는데, 상기 정보 인쇄 층은 시온 소재, 시변각 소재, 홀로그램 소재, 형광 소재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품 인증 패턴 층은 자기 색 가변 물질(magnetically color turnable photonic crystal materials, MTX), 자기 영동 디스플레이 물질(magnetophoretic display materials, MPD), 초상자성 나노 입자(superparamagnetic nanoparticles, SPM)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위조 및 변조 방지용 전사라벨을 물품의 표면에 전사하는 방법은 상기 물품의 표면과 상기 정품 인증 패턴 층이 접하도록 상기 위조 및 변조 방지용 전사라벨을 상기 물품의 표면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위조 및 변조 방지용 전사라벨을 가압하여 전사하는 단계, 상기 이형 기재를 박리하여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사라벨은 물품의 표면에 직접 전사 인쇄하여 부착할 수 있으므로 라벨의 탈착을 통한 위조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물품에 직접 인쇄할 경우 발생하는 불량이나 인쇄 후 공정에서 발생하는 불량을 개선할 수 있는 전사라벨 및 전사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사라벨의 적층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사라벨을 물품의 표면에 전사하는 과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사라벨의 시제품 사진이다.
도 4는 도 3의 전사라벨을 물품의 표면에 전사한 후의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사라벨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형 기재, 상기 이형 기재의 표면에 적층되어 형성되는 투명 전사 필름, 상기 투명 전사 필름의 표면 전체 또는 일부에 적층되어 형성되는 정품 인증 패턴 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사라벨을 구성하는 이형 기재는 상기 투명 전사 필름 및 상기 투명 전사 필름 상에 적층된 정품 인증 패턴 층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물품의 표면에 전사된 후에는 박리하여 제거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투명 전사 필름은 물품의 표면에 전사된 후 상기 정품 인증 패턴 층을 보호하며,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정품 인증 패턴 층으로부터 광의 반사를 통한 색 가변 효과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투명 전사 필름에는 필요에 따라 일면 또는 양면에 정보 인쇄 층이 적층될 수 있다. 상기 정보 인쇄 층은 위조 및 변조 방지와 정품 인증을 위한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정품 인증 패턴 층에 의해 나타나는 색 가변 효과와 병용하여 위조 및 변조 방지의 효과를 강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정보 인쇄 층을 구성하는 정보는 보안 정보로서, 상기 보안 정보는 위조 및 변조 방지의 측면에서 정품인지 아닌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유색 또는 단색의 문자, 숫자, 이미지, 1차원 바코드, 2차원 바코드, QR 코드, 패턴 등의 정보일 수 있고, 위조 또는 변조된 것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일 수도 있다.
상기 정보 인쇄 층은 유색 안료 또는 잉크로 인쇄하여 형성될 수도 있고, 전체 가시광선 파장을 흡수하여 상기 자기 색 가변 잉크의 시인성을 높이기 위하여 블랙 안료 또는 잉크로 인쇄하여 적층할 있는데, 이와 더불어, 시온 소재, 시변각 소재, 홀로그램 소재, 형광 소재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소재를 포함하는 잉크를 사용하여 정보를 인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정품 인증 패턴 층은 외부 자기장의 인가에 의해 색 가변 효과를 일으킴으로써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색 변화를 인지하여 이를 통해 위조 및 변조 여부, 정품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적층되는 것으로서, 자기 색 가변 물질(magnetically color turnable photonic crystal materials, MTX), 자기 영동 디스플레이 물질(magnetophoretic display materials, MPD), 초상자성 나노 입자(superparamagnetic nanoparticles, SPM)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잉크로 인쇄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자기 색 가변 물질은 자기장에 의해 입자의 배열이 가변되는 광 결정 나노 입자를 이용한 것으로서, 인가되는 외부 자기장의 세기와 상기 나노 입자의 배열의 방법 및 거리 조정에 따라 반사되는 광의 파장이 변화됨으로써 색 가변 효과를 일으키는 물질이다.
또한, 상기 자기 영동 디스플레이 물질은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캡슐 내에 균일하게 분산된 자성 나노 입자 및/또는 유색 안료를 통해 외부 자기장의 인가에 의해 각각의 입자의 배열과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반사되는 광의 파장 변화를 일으키고 이를 통해 색 가변 효과를 일으키는 물질이다.
또한, 초상자성 나노 입자는 자기장이 인가될 때에만 강한 자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나노 입자의 표면에 다양한 작용기를 부착함으로써 다양한 색 가변 효과를 일으킬 수 있는 물질이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정품 인증 패턴 층을 구성하는 잉크는 광 결정 기술을 이용하여 색 가변 효과를 일으키는 전술한 소재들로서, 나노 입자, 컬러 나노 입자, 컬러 나노 복합체, 또는 상기 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캡슐과 같이 전자기장에 반응하는 입자와 상기 입자가 분산되는 유기용제 등의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컬러 나노 복합체는 나노 복합체 내에 포함된 착색제 입자로 인한 입자의 고유색을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전기장 또는 자기장의 외부로부터의 인가에 의해 상기 나노 복합체가 재배열되거나 전하 상태가 변함으로써 특정 파장의 광을 투과 또는 반사하여 색상을 구현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컬러 나노 복합체는 입자의 재배열 또는 전하 상태의 변화를 통한 색상 구현을 위해 매우 균일한 입자 크기를 가지며 매질 내의 이동성이 높아 재배열이 용이한 특성을 가져야 한다.
상기 잉크는 매체에 분산되어 있거나, 전하를 갖는 입자의 형태로 매체에 분산되어 존재할 수 있고, 코어-셀 구조나 멀티 코어-셀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분산을 위하여 상기 자기 색 가변 안료는 입자 크기가 50 내지 1,000㎚,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5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300㎚의 범위에서 균일한 크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입자가 착색제를 포함할 때 입자 크기보다는 입자의 균일성이 더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으므로, 상기 입자 크기의 범위를 벗어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나노 입자는 전도성 입자, 금속 입자, 유기금속 입자, 금속산화물 입자, 자성 입자, 소수성 유기고분자 입자일 수 있고, 외부 에너지의 인가에 의해 입자의 배열, 간격에 규칙성이 부여되는 광 결정 특성을 나타내는 입자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실리콘(Si), 티타늄(Ti), 바륨(Ba), 스트론튬(Sr), 철(Fe), 니켈(Ni), 코발트(Co), 납(Pb), 알루미늄(Al), 구리(Cu), 은(Ag), 금(Au), 텅스텐(W), 몰리브덴(Mo), 아연(Zn), 지르코늄(Zr)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금속 또는 이들의 질화물 또는 산화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유기물질 나노 입자로서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의 고분자 물질로도 이루어질 수 있으며, 탄화수소기를 갖는 유기화합물에 의하여 표면이 수식된 입자, 카르복실기, 에스테르기, 아실기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을 갖는 유기화합물에 의하여 표면이 수식된 입자, 할로겐 원소를 포함하는 착화합물에 의하여 표면이 수식된 입자, 아민, 티올, 포스핀을 포함하는 배위화합물에 의하여 표면이 수식된 입자, 표면에 라디칼을 형성하여 전하를 갖는 입자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나노 입자는 전기 분극 특성을 부여한 입자일 수 있다. 즉, 매개체와의 분극을 위하여 외부 자기장 또는 전기장이 인가됨에 따라 이온 또는 원자의 분극이 추가 유발되어 분극량이 크게 증가하고, 외부 자기장 또는 전기장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도 잔류 분극량이 존재하며 자기장 또는 전기장 인가 방향에 따라 이력(hysteresis)이 남는 강유전성(ferroelectric)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외부 자기장 또는 전기장이 인가됨에 따라 이온 또는 원자 분극이 추가 유발되어 분극량이 크게 증가하지만, 외부 자기장 또는 전기장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는 잔류 분극량과 이력(hysteresis)이 남지 않는 상유전성 물질, 초상유전성(superparaelectric)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물질로는 페로브스카이트(perovskite) 구조를 갖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ABO3 구조를 갖는 물질로서 PbZrO3, PbTiO3, Pb(Zr,Ti)O3, SrTiO3, BaTiO3, (Ba, Sr)TiO3, CaTiO3, LiNbO3 등의 물질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나노 입자는 단일 또는 이종의 금속이 함유된 입자, 산화물 입자 또는 광결정성 입자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금속의 경우, 금속 나이트레이트계 화합물, 금속 설페이트계 화합물, 금속 플루오르아세토아세테이트계 화합물, 금속 할라이드계 화합물, 금속 퍼클로로레이트계 화합물, 금속 설파메이트계 화합물, 금속 스티어레이트계 화합물 및 유기 금속 계열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자성 선구물질과 알킬트리메틸암모늄할라이드계 양이온 리간드, 알킬산, 트리알킬포스핀, 트리알킬포스핀옥사이드, 알킬아민, 알킬티올 등의 중성 리간드, 소듐알킬설페이트, 소듐알킬카복실레이트, 소듐알킬포스페이트, 소듐아세테이트 등의 음이온 리간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리간드를 용매에 첨가하여 녹임으로써 비정질 금속 겔을 제조하고, 이를 가열하여 결정성 입자로 상전이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이종의 선구물질을 함유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입자의 자기적 특성이 증강되거나, 초상자성, 상자성, 강자성, 반강자성, 페리자성, 반자성 등의 다양한 자성 물질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자기 색 가변 잉크는 매체에 분산된 상태로 있다가 전기장 또는 자기장의 인가에 의해 재배열되는데, 상기 매체로는 극성 또는 비극성 매체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프로필렌카보네이트, 톨루엔, 벤젠, 헥산, 클로로포름, 할로카본오일, 퍼클로로에틸렌, 트리클로로에틸렌, 아이소파라핀 오일의 일종인 isopar-G, isopar-M, isopar-H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잉크는 자기장이 인가됨에 따라 자성을 갖게 되는, 즉, 자화되는 되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부에서 자기장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 자성을 지닌 입자끼리 뭉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부 자기장을 인가하면 자화(magnetization)가 일어나지만 외부 자기장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는 잔류 자화(remnant magnetization)가 일어나지 않는 초상자성(superparamagnetic) 물질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나노 입자가 용매에 잘 분산되고 응집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입자 표면을 동일한 부호의 전하로 코팅할 수 있고, 입자가 용매 내에서 침전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입자 표면을 해당 입자와 비중이 다른 물질로 코팅하거나 용매에 해당 입자와 비중이 다른 물질을 혼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나노 입자는 특정 파장의 광을 반사시킬 수 있도록, 즉, 특정 컬러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입자는 산화수 조절 또는 무기 안료, 안료 등의 코팅을 통하여 특정 컬러를 갖게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입자에 코팅되는 무기 안료로는 발색단을 포함하는 Zn, Pb, Ti, Cd, Fe, As, Co, Mg, Al 등이 산화물, 유화물, 유산염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입자에 코팅되는 염료로는 형광 염료, 산성 염료, 염기성 염료, 매염 염료, 황화 염료, 배트 염료, 분산 염료, 반응성 염료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나노 입자는 서로 동일한 전하를 갖도록 전하를 갖는 물질로 코팅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잉크는 전술한 바와 같은 마이크로 캡슐 형태의 자기 영동 디스플레이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상기 마이크로 캡슐은 광결정 또는 고유색을 가지는 광결정이 분산된 용매를 포함하게 된다. 이때, 상기 마이크로 캡슐은 아지네이트(aginate), 젤라틴(gelatin), 에틸 셀룰로스 (ethyl cellulose), 폴리아마이드(polyamide), 멜라민-포름알데히드(melamine formaldehyde) 수지, 폴리비닐 피리딘(poly(vinyl pyridine)), 폴리스티렌(polystyrene), 우레탄 결합을 포함하는 수지,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 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투명한 고분자로 캡슐 벽을 구성함으로써 자기장의 인가에 의해 상기 광결정이 재배열되어 색상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마이크로 캡슐로는 출원인이 개발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7-0124028호에 개시된 마이크로 캡슐이나,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5-0031197호, 10-2015-0017796, 10-2015-0020491호에 개시된 마이크로 캡슐을 모두 이용할 수 있으며, 전기 영동 방식이나 자기장 인가 방식에 모두 적용할 수 있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자기장에 대해 모두 반응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전사라벨은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순서로 물품의 표면에 전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사라벨의 시제품은 도 3과 같으며, 상기 도 3의 전사라벨을 물품의 표면에 전사한 후의 상태는 도 4와 같다.
상기 물품은 제품이나 상기 제품을 포장하기 위한 포장재, 포장용기, 상기 물품에 부착하는 포장용 라벨, 테이프 등을 들 수 있으며, 전사 가능한 재질이라면 어떠한 재질이라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전사라벨을 물품의 표면에 전사하기 위해서는 대상이 되는 물품의 표면과 상기 정품 인증 패턴 층이 접하도록 상기 위조 및 변조 방지용 전사라벨을 상기 물품의 표면에 배치하고(도 2(a)), 상기 위조 및 변조 방지용 전사라벨을 가압하여 전사한 후(도 2(b)), 상기 이형 기재를 박리하여 제거함으로써 상기 물품의 표면에 정품 인증 패턴 층 및 상기 정품 인증 패턴 층을 전체적으로 도포하는 투명 전사 필름 층이 전사되어 형성되게 된다(도 2(c)).
상기 전사라벨을 전사하는 방법은 열을 가하면서 가압하는 열 전사 또는 열을 가하지 않는 레이저 전사, 가압하여 전사하는 방법으로 전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품 인증 패턴 층을 상기 투명 전사 필름 층 상에 형성하는 방법 역시 열 전사 또는 레이저 전사법으로 전사하여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사 방법을 통해 전사된 보안 정보는 물품의 표면 상에 상기 정품 인증 패턴 층 및 투명 전사 필름 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가짐으로써 외부 자기장의 인가에 의해 상기 정품 인증 패턴 층의 색 가변 효과를 시각적으로 관찰함으로써 사용자는 대상 물품의 정품 여부 및 위조 및 변조 여부를 쉽게 식별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전사라벨이 전사된 물품의 표면에 고무자석이나 휴대전화의 카메라에 장착된 자석을 가까이 대어 외부 자기장을 인가하면 색 가변이 일어나 정품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한 정품인증 및 위변조 여부의 확인할 수도 있는데, 상기 투명 전사 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정보 인쇄 층이 적층하여 형성할 수 있으므로 색 가변 효과 외에도 다른 보안 정보를 통해 정품 인증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정보 인쇄 층에 형성된 바 코드 또는 QR 코드를 스마트 폰으로 촬영하여 온라인으로 정품 인증을 할 수도 있고, 스마트 폰의 스피커를 접근시키면 스피커를 구성하는 자석의 자기장에 의해 정품 인증 패턴 층의 색상이 가변될 때, 이를 통한 상기 바 코드 또는 QR 코드의 배경 색이 가변될 수 있으므로 이를 통해 오프라인에서 정품 인증을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바 코드나 QR 코드 대신 회사 로고, 제품 정보, 생산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인쇄할 수도 있기 때문에 정품 인증의 방법을 다양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인쇄 층을 구성하는 시온 소재, 시변각 소재, 홀로그램 소재, 형광 소재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소재를 포함하는 잉크를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시각적 효과를 구현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하며, 그러한 변형예 및 변경예는 본 발명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Claims (5)

  1. 이형 기재;
    상기 이형 기재의 표면에 적층되어 형성되는 투명 전사 필름;
    상기 투명 전사 필름의 표면 전체 또는 일부에 적층되어 형성되는 정품 인증 패턴 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 및 변조 방지용 전사라벨.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명 전사 필름은 일면 또는 양면에 정보 인쇄 층이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 및 변조 방지용 전사라벨.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정보 인쇄 층은 시온 소재, 시변각 소재, 홀로그램 소재, 형광 소재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소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 및 변조 방지용 전사라벨.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품 인증 패턴 층은 자기 색 가변 물질(magnetically color turnable photonic crystal materials, MTX), 자기 영동 디스플레이 물질(magnetophoretic display materials, MPD), 초상자성 나노 입자(superparamagnetic nanoparticles, SPM)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 및 변조 방지용 전사라벨.
  5. 청구항 1 또는 2의 위조 및 변조 방지용 전사라벨을 물품의 표면에 전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물품의 표면과 상기 정품 인증 패턴 층이 접하도록 상기 위조 및 변조 방지용 전사라벨을 상기 물품의 표면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위조 및 변조 방지용 전사라벨을 가압하여 전사하는 단계;
    상기 이형 기재를 박리하여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 및 변조 방지용 전사라벨의 전사방법.
KR1020180144435A 2018-11-21 2018-11-21 위조 및 변조 방지용 전사라벨 및 상기 전사라벨의 전사방법. KR202000595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4435A KR20200059561A (ko) 2018-11-21 2018-11-21 위조 및 변조 방지용 전사라벨 및 상기 전사라벨의 전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4435A KR20200059561A (ko) 2018-11-21 2018-11-21 위조 및 변조 방지용 전사라벨 및 상기 전사라벨의 전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9561A true KR20200059561A (ko) 2020-05-29

Family

ID=70912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4435A KR20200059561A (ko) 2018-11-21 2018-11-21 위조 및 변조 방지용 전사라벨 및 상기 전사라벨의 전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5956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6498A (ko) 2014-12-03 2015-06-16 주식회사 나노브릭 위변조 방지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6498A (ko) 2014-12-03 2015-06-16 주식회사 나노브릭 위변조 방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0792Y1 (ko) 정품인증 및 위조방지용 연포장재.
KR102550629B1 (ko) 광학적 가변 물질을 포함하는 위변조 방지용 인쇄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7024153B2 (ja) 効果層を生成するための方法
KR101703914B1 (ko)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
KR101476412B1 (ko)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
KR102597997B1 (ko) 배향된 비-구형 자성 또는 자화성 안료 입자를 포함하는 광학 효과층을 생성하기 위한 자석 조립체 및 방법
JP2019532831A (ja) 効果層を生成するための方法
CN103052896B (zh) 复合防伪薄膜及复合防伪方法
JP7271826B2 (ja) 配向磁性又は磁化可能顔料粒子を含む光学効果層を生成するためのアセンブリ及びプロセス
EP2860500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counterfeiting and alteration
EP3806830B1 (en) Microcapsule containing color particles and print medium including the same
KR102465924B1 (ko) 컬러 나노 복합체를 포함하는 에멀전, 젤리형 볼 및 구체
KR102373887B1 (ko) 광결정물질 복합체를 포함하는 위변조 방지수단 제조방법
CN211994801U (zh) 防伪造及变造装置
KR102198249B1 (ko) 도용방지 기능을 갖는 큐알코드 시스템
KR20190022418A (ko) 색 가변 캡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062372A (ko) 정품인증을 위한 표시장치 및 이의 사용방법.
KR20200050112A (ko)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32606B1 (ko) 자기 색가변 잉크를 이용하여 보안 정보용 컬러 코드가 인쇄된 보안 매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59561A (ko) 위조 및 변조 방지용 전사라벨 및 상기 전사라벨의 전사방법.
EP3805005A1 (en) Security medium printed on which color code for security information is printed using magnetically color turnable photonic crystal in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20180065140A (ko) 히든 이미지 효과를 나타내는 정품인증용 라벨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115822A (ko) 카메라를 이용한 위변조 장치 인증방법
KR20210037976A (ko)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의 제조방법.
KR20190117106A (ko) 자기 색 가변 안료를 포함하는 위조 방지용 홀로그램 라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