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8249B1 - 도용방지 기능을 갖는 큐알코드 시스템 - Google Patents

도용방지 기능을 갖는 큐알코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8249B1
KR102198249B1 KR1020200067370A KR20200067370A KR102198249B1 KR 102198249 B1 KR102198249 B1 KR 102198249B1 KR 1020200067370 A KR1020200067370 A KR 1020200067370A KR 20200067370 A KR20200067370 A KR 20200067370A KR 102198249 B1 KR102198249 B1 KR 1021982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frame
color
modul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7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승희
Original Assignee
고승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승희 filed Critical 고승희
Priority to KR1020200067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82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8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82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46Constructional details
    • G06K19/06056Constructional details the marking comprising a further embedded marking, e.g. a 1D bar code with the black bars containing a smaller sized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08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being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type of code
    • G06K7/1434Barcodes with supplemental or add-on codes

Abstract

식별코드가 인쇄된 큐알코드부; 및 상기 큐알코드부를 담는 플랫폼에 인접하여 제공되는 도용방지 패턴부를 포함하는 도용방지 기능을 갖는 큐알코드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도용방지 기능을 갖는 큐알코드 시스템 {QR CODE SYSTEM EQUIPPED WITH FUCTION OF THEFT PREVENTION}
본 발명은 도용방지 기능을 갖는 큐알코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목적은 패턴의 선명도 또는 패턴의 색상 변화 여부를 통해 큐알코드의 도용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도용방지 기능을 갖는 큐알코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고가의 상품이나 내용물의 진정성이 요구되는 상품의 위조 및 변조를 방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기술들이 소개된 바 있다. 종래에는 주로 미세 패턴, 점자, 홀로그램, RFID 등을 이용한 기술들이 상품의 위조 및 변조를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되어 왔다.
한편, 큐알 코드는 흑백 격자 무늬 패턴으로 정보를 나타내는 매트릭스 형식의 이차원 바코드이다. 큐알 코드는 단방향으로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저장하는 일반 바코드보다 큰 사이즈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인해 여러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큐알 코드는 스마트폰 등에 구비된 카메라 또는 별도의 리더기가 있는 장치를 통한 이미지 캡쳐링을 통해 저장된 데이터를 읽을 수 있다. 즉, 표준 큐알 코드를 읽을 수 있는 수단을 가진 사용자라면 누구나 큐알 코드 내의 데이터를 열람할 수 있다.
종래의 기술은 큐알 코드의 위조 및 변조를 방지하기 위하여 복사방해 패턴이나 잠상 패턴을 구현하고 있으나, 시트 표면에 미세한 돌기 구조를 형성시키는 요판 인쇄방식을 채택하고 있는데, 소비자의 요구나 위변조 기술 트렌드의 변화 등에 따라 다양한 패턴을 형성하기에는 적합하지 않고, 상대적으로 제조 비용이 높아 저가 제품군을 확보하거나 대량생산을 하는데에도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색 변환 물질을 이용한 종래의 위조 방지 기술은 색 변환 효과를 구현하는 구조의 최적화를 통해 다양한 보안 용도에 사용할 수 있으나, 풀컬러의 구조색을 발현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고 색 대비의 시각적 효과가 불충분한 문제가 있다.
위에서 언급된 배경기술에 기재된 내용들은 단지 본 발명의 배경기술을 이해시키기 위해서 작성된 것이므로, 이 기술의 당업자에게 이미 알려진 공지기술 외의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84661호
본 발명은, 도용방지 기능을 갖는 큐알코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목적은 패턴의 선명도 또는 패턴의 색상 변화 여부를 통해 큐알코드의 도용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도용방지 기능을 갖는 큐알코드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용방지 기능을 갖는 큐알코드 시스템은, 식별코드가 인쇄된 큐알코드부; 및 상기 큐알코드부에 인접하여 제공되는 도용방지 패턴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큐알코드부는 가맹점 ID, 가맹점 업종코드, 국가코드, 가맹점명, 지역, 통화코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가 포함되도록 서로 다른 광학적 특성을 가진 단위모듈들이 표면에 배열되는 바코드 도안으로 제공되며, 상기 바코드 도안의 단위모듈은 복수개의 직사각형 매크로모듈로 구획되고, 상기 매크로모듈은 A × A개의 단위모듈을 포함하고, A는 3보다 큰 자연수이고, 각 매크로모듈마다 데이터의 길이가 고정된 데이터 코드를 기억하는 단위모듈과, 상기 바코드 도안에서 상기 매크로모듈의 위치를 대표하는 클러스터 번호를 기억하는 단위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매크로모듈은, 최외곽의 1열의 단위모듈이 모두 짙은색으로서 가장자리가 검은 매크로모듈과, 최외곽 1열의 단위모듈이 모두 연한색으로서 가장자리가 흰 매크로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데이터 코드와 클러스터 번호가 테두리내의 단위모듈에 저장되며, 상기 가장자리가 검은 매크로모듈과 가장자리가 흰 매크로모듈이 바코드 도안에서 교차배열되며, 상기 바코드 도안은 B × B개의 상기 매크로모듈을 포함하고 있으며, B는 1보다 큰 기수이고, 상기 바코드 도안 중심의 매크로모듈의 클러스터 번호는 0이고, 바코드 도안 중심으로부터 경계를 향하면서 매크로모듈의 클러스터 번호가 층에 따라 순서로 증가되며, 서로 다른 상기 매크로모듈에서 클러스터 번호 정보를 저장하는 클러스터 번호의 단위모듈의 위치와 개수는 같으며, 상기 클러스터 번호의 단위모듈에 저장된 값은 바코드 도안중의 해당 매크로모듈의 층수가 상기 클러스터 번호의 단위모듈의 최대 기억값에 대해 모듈라연산을 진행하여 얻은 수값이고, 상기 도용방지 패턴부는 제1 시트, 상기 제1 시트 상에 평판 인쇄방식으로 제공되는 제1 패턴부, 상기 제1 패턴부 상에 제공되는 접착층. 상기 접착층 상에 제공되는 제2 패턴부 및 상기 제2 패턴부 상에 제공되는 보호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패턴부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서로 이격되어 제공되고, 상기 제2 패턴부는 제1 패턴부의 양 끝단의 일부와 중첩되도록 제공되고, 상기 제1 패턴부와 상기 제2 패턴부는 정면으로 바라보았을 때 하나로 결합된 패턴으로 보여지도록 제공되며, 상기 제1 패턴부 및 상기 제2 패턴부는 도용 시 색이 변화하는 색 변환 물질로 형성되며, 상기 색 변환 물질은 마이크로 캡슐 내에 컬러 자성 안료 입자 또는 컬러 안료 입자 중에서 선택되는 컬러 입자와 자기 색 가변 입자 및 용매를 포함하며, 마이크로 캡슐에 외력이 인가되며, 상기 컬러 자성 안료 입자는 외력이 인가되는 방향으로 편재되며, 상기 자기 색 가변 변환 물질은 재배열되어 결정 구조를 형성하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도용방지 기능을 갖는 큐알코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목적은 패턴의 선명도 또는 패턴의 색상 변화 여부를 통해 큐알코드의 도용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큐알코드부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큐알코드부의 바코드 도안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큐알코드부의 바코드 도안 중 가장자리가 흰 매크로모듈과 가장자리가 검은 매크로모듈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큐알코드부의 바코드 도안 중 매크로모듈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큐알코드부의 바코드 도안 중 매크로모듈의 배열방식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큐알코드부와 인접하여 제공되는 도용방지 패턴부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용방지 패턴부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용방지 패턴부를 형성하는 색 변환 물질의 색 변환 효과를 나타내는 과정을 도시한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큐알코드부를 도시하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큐알코드부의 바코드 도안을 도시한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큐알코드부(10)의 바코드 도안 중 가장자리가 흰 매크로모듈과 가장자리가 검은 매크로모듈을 도시하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큐알코드부(10)의 바코드 도안 중 매크로모듈의 구성을 도시하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큐알코드부(10)의 바코드 도안 중 매크로모듈의 배열방식을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도용방지 기능을 갖는 큐알코드 시스템은 식별코드가 인쇄된 큐알코드부(10)를 포함한다. 큐알코드부(10)는 가맹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큐알코드부(10)는 바코드와 달리 작은 면적에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단말로부터 인식되었을 경우, 해당 가맹점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비롯하여, 큐알코드부 고유의 식별정보와 함께, 가맹점 ID, 가맹점 업종코드, 국가코드, 가맹점명, 지역, 통화코드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큐알코드부(10)는 광학특성이 서로다른 직사각형 단위모듈이 표면에 빈틈 없이 배열되어 이루어진 직사각형 바코드 도안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큐알코드부(10)의 바코드 도안은 직사각형이며, 역시 직사각형인 복수의 매크로모듈, 즉 도면과 같은 매크로모듈(501)과 매크로모듈(502)로 구성된다. 각 매크로모듈은 또 A × A(A는 자연수, A>3)개의 단위모듈이 직사각형으로 배열되어 이루어지며, 각 단위모듈의 형상도 직사각형이며, 각 단위모듈이 짙은색 혹은 연한색중의 하나여도 좋기때문에, 각 단위모듈마다 1비트의 정보(짙은색은 1, 연한색은 0, 혹은 그 반대)가 저장되어 있다. 각각의 코드워드(데이터 코드 및 에러교정 코드워드를 포함)는 바코드 도안 중의 각각의 매크로모듈에 대응된다.
바코드 도안은 2종류의 매크로모듈을 종횡 2 방향으로 교차배열하여 구성되고, 이들 각각은 가장자리가 흰 매크로모듈과 가장자리가 검은 매크로모듈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각 매크로모듈이 단위모듈(100)로 구성됨을 잘 보여주고 있으며, 테두리부분(200), 코드워드 기억부분, 클러스터 번호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매크로모듈의 최외측의 일렬의 단위모듈이 테두리부분(200)으로서, 즉 테두리 단위모듈(200)은 매크로모듈의 최외층에 위치하고 있으며, 각 매크로모듈마다 한개 혹은 복수의 클러스터 번호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클러스터 번호모듈은 테두리 모듈을 제외한 장소에 위치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매 행마다 6개의 단위모듈(100)이 있어 모두 36개로서, 최외곽 1열의 테두리 모듈(200)은 모두 20개이고, 테두리 모듈 안쪽의 데이터 모듈(400)은 모두 14개이며, 클러스터 번호모듈(300)은 모두 2개일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큐알코드부(10)의 바코드 도안 중 매크로모듈의 배열방식은 짙은색 모듈이 가장자리가 검은 모듈이고 연한색 모듈이 가장자리가 흰 모듈이며, 매크로모듈의 배열순서는 도면의 순번으로 표시되고, 이것 역시 코드워드가 기억되는 순서(중심에서 시계방향을 나선형으로 나가는 순서로 배열)이기도 하며, 각 바코드 도안의 각 변의 매크로모듈의 개수는 B Х B(B는 1보다 큰 기수)개 이며, 바코드 도안 안에는 모두 B Х B 개의 매크로모듈이 있다. 바코드 도안의 매크로모듈을 중심으로부터 밖을 향해 층을 나누며, 1번 모듈이 제 1 층이고, 2부터 9번까지의 매크로모듈이 제 2 층을 구성하며, 10부터 25번까지의 매크로모듈이 제 3 층을 구성하며, 나머지는 유추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코드 도안은 모두 3층의 매크로모듈로 구성되고 있다. 동일층에 위치된 매크로모듈은 같은 클러스터 번호를 갖고 있다.
제 1 층 매크로모듈을 제 0 클러스터로, 제 2 층 매크로모듈을 제 1 클러스터로, 제 3 층 매크로모듈을 제 3 클러스터로 정의하면, 나머지는 유추할 수 있다. 매크로모듈의 클러스터 번호모듈(300)은 클러스터 번호를 기억하기 위해 사용되며, 만약 클러스터 번호가 클러스터 번호모듈의 기억범위를 초과하면 클러스터 번호모듈이 코딩가능한 총 수에 근거하여 모듈라연산를 진행한다. 예컨대, 각 매크로모듈마다 두개의 클러스터 번호모듈이 있으면 제 1층부터 클러스터 번호는 각각 0, 1, 2, 3, 0, 1, 2, 3, ……처럼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큐알코드부(10)와 인접하여 제공되는 도용방지 패턴부(50)를 도시하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용방지 패턴부(50)의 단면을 도시한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용방지 패턴부를 형성하는 색 변환 물질의 색 변환 효과를 나타내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도용방지 패턴부(50)는 큐알코드부(10)에 인접하여 제공된다. 도 6은 도용방지 패턴부(50)가 큐알코드부(10)와 중첩하는 영역에 제공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도용방지 패턴부(50)는 큐알코드부(10)와 중첩하지 않는 영역에 제공될 수 있다.
도용방지 패턴부(50)의 형상은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6은 도용방지 패턴부(50)의 형상이 사각 테두리 형상인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원형 테두리 또는 삼각 테두리 형상일 수도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도용방지 패턴부(50)는 제1 시트(51), 제1 시트(51) 상에 평판 인쇄방식으로 제공되는 제1 패턴부(52), 제1 패턴부(52) 상에 제공되는 접착층(53). 접착층(53) 상에 제공되는 제2 시트(54), 제2 시트(54) 상에 평판 인쇄방식으로 제공되는 제2 패턴부(55) 및 제2 패턴부(55) 상에 제공되는 보호층(5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시트(51) 또는 제2 시트(54)는 유가증권 등에 사용되는 용지일 수도 있으며, 고분자 계열의 필름(film)일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용지의 경우 복사방해용지(anti-copy paper), 보안 용지(security paper), 벽지, 포장지, 코팅지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시트(51) 또는 제2 시트(54) 는 평판 인쇄방식으로 인쇄 가능한 모든 용지를 포함한다.
제1 시트(51) 및 제2 시트(54) 각각에 인쇄되는 제1 패턴부(52) 및 제2 패턴부(55)는 평판 인쇄방식으로 제공된다. 평판 인쇄방식은 표면에 굴곡, 요철 등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위변조 방지 패턴을 형성하는 요판 인쇄공정이 아닌 것을 의미하며, 평판 인쇄방식으로는 옵셋(offset) 방식, 그라비아(gravure) 방식, 플렉소(flexo) 방식, 레터프레스(letter press) 방식, 스크린 방식, 잉크젯 방식, 레이저젯 방식 등이 활용될 수 있으며, 패턴의 정밀성 측면에서는 잉크젯이나 레이저젯 방식보다는 앞서 언급한 방식들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1 시트(51)와 제2 시트(54) 사이의 제1 패턴부(52)의 상부에 소정의 광 투과성을 갖는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접착층(5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 패턴부(52)의 상부와 접착층(53)의 하부 또는 접착층(52)의 상부에 광 투과성을 저하시키기 위한 투과억제층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제2 패턴부(54) 상에 제공되는 보호층(56)은 제2 패턴부(56)의 손상 등을 보호하고 인식성이나 위조방지 효과를 높이기 위한 기능성 코팅층으로서, 제1 시트(51)와 제2 시트(54)의 노출면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고, 제1 시트(51)의 노출면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시트(51) 상에 제공되는 제1 패턴부(52)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서로 이격되어 제공되고, 제2 시트(54) 상에 제공되는 제2 패턴부(55)는 제1 패턴부(52)와 양 끝단의 일부와 중첩되도록 제공된다. 따라서, 제1 패턴부(52)와 제2 패턴부(55)는 정면으로 바라보았을 때 하나로 결합된 패턴으로 보여질 수 있다.
하나로 결합된 패턴으로 보여지는 제1 패턴부(52) 및 제2 패턴부(55)는 도용 시 제2 패턴부(55)는 진하게 보이며, 제1 패턴부(512)와 제2 패턴부(55)가 중첩되는 영역은 가장 진하게, 제1 패턴부(52)와 제2 패턴부(55)가 중첩되지 않는 영역은 흐리게 보일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 큐알코드 시스템의 도용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패턴부(52) 및 제2 패턴부(55)는 도용 시 색이 변화하는 색 변환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색 변환 물질은 마이크로 캡슐 내에 컬러 자성 안료 입자 또는 컬러 안료 입자 중에서 선택되는 컬러 입자와 자기 색 가변 입자 및 용매를 포함하며, 마이크로 캡슐은 외력의 인가에 의해 색 변환 효과를 발생한다.
도 8(a)는 종래의 마이크로 캡슐을 나타낸 것으로, 자기 색 가변 입자를 포함하는 것이다. 자기 색 가변 입자는 MTX 입자로도 불리며, 광 결정(photonic crystal)을 형성함으로써 특정 파장의 반사광을 형성함으로써 색 가변 효과를 일으킨다. 자기 색 가변 입자의 광 결정 효과에 의한 결정 구조 형성 만으로 특정 파장의 반사광의 형성되므로 색 변환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색 변환 물질의 마이크로 캡슐은 도 8(b)에서와 같이 컬러 자성 안료 입자가 마이크로 캡슐의 일면에 편재됨으로써 배경색이나 광 흡수색을 구현하게 됨으로써 상기 자기 색 가변 입자의 광 결정 효과에 의한 구조색의 발현도가 높아지게 된다.
즉, 마이크로 캡슐에 외력(자기장)이 인가될 때의 색 변환 효과를 나타낸 개념도로서, 마이크로 캡슐 내에 함유된 용매에 컬러 자성 안료 입자와 자기 색 가변 입자가 무작위로 분산되어 있는 상태에서 마이크로 캡슐의 하부에서 자기장이 인가되면 컬러 자성 안료 입자는 자기장이 인가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마이크로 입자의 하부에 편재되며, 이와 동시에 자기 색 가변 입자는 광 결정 효과에 의해 일정한 결정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캡슐은 도 8(b)에서와 같이 컬러 자성 안료 입자가 마이크로 캡슐의 일면에 편재됨으로써 배경색이나 광 흡수색을 구현하게 됨으로써 상기 자기 색 가변 입자의 광 결정 효과에 의한 구조색의 발현도가 높아지게 된다.
또한, 도 8(c)에는 컬러 안료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캡슐이 색 변환 효과를 일으키는 과정을 예시하고 있다. 마이크로 캡슐에는 컬러 안료와 자기 색 가변 입자가 무작위로 분포되어 있는데, 외부 자기장이 인가되면 자기 색 가변 입자가 재배열하여 광 결정 구조를 형성하며, 광 결정의 사이로 컬러 안료 입자가 분포하게 된다. 이에 따라, 광 결정 내에 분포하는 컬러 안료 입자의 색 순도가 증가되는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또한, 도 8(b)에서는 컬러 자성 안료 입자를 포함하고 있으나, 도 8(d)에서는 블랙 자성 안료 입자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이 경우, 블랙 자성 안료 입자가 마이크로 캡슐의 하부에 편재됨으로써 배경색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자기 색 가변 입자의 배열에 따라 특정 파장의 반사광이 형성되는데, 자기 색 가변 입자의 광 결정 배열은 자기장의 세기에 따라 변경되므로 외부에서 인가되는 자기장을 조절함으로써 목적하는 고유색을 구현할 수 있다.
도 8(d)에서와 같은 마이크로 캡슐은 블랙 자성 안료 입자가 배경색으로 작용하면서 고유색이 구현되기 때문에, 자기 색 가변 입자만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캡슐에 비하여 구조색의 발현도가 크게 향상되며 색 대비 효과가 증대되게 된다.
자기 색 가변 입자는 나노 입자, 컬러 나노 입자, 컬러 나노 복합체, 또는 상기 나노 입자, 컬러 나노 입자, 컬러 나노 복합체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캡슐과 같이 전자기장에 반응하는 입자를 이용하여 이러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광 결정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나노 입자, 컬러 나노 입자, 컬러 나노 복합체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캡슐을 적용하고 있는데, 이는 마이크로 캡슐 내에 상기 MTX 입자 외에 컬러 자성 안료 입자 등의 부가적인 성분이 함유되기 때문이다.
컬러 나노 복합체는 나노 복합체 내에 포함된 착색제 입자로 인한 입자의 고유색을 통해 구현될 수 있기 때문에 단색만 구현이 가능한 나노 입자에 비해 색상의 선택폭이 넓은 장점이 있다. 이와 동시에, 전기장 또는 자기장의 외부로부터의 인가에 의해 나노 입자와 마찬가지로 상기 나노 복합체가 재배열되거나 전하 상태가 변함으로써 특정 파장의 광을 투과 또는 반사하여 색상을 구현할 수도 있다. 즉, 컬러 나노 복합체는 입자의 재배열 또는 전하 상태의 변화를 통한 색상 구현을 위해 매우 균일한 입자 크기를 가지며 매질 내의 이동성이 높아 재배열이 용이한 특성을 가져야 한다.
자기 색 가변 입자는 매체에 분산되어 있거나, 전하를 갖는 입자의 형태로 매체에 분산되어 존재할 수 있고, 코어-셀 구조나 멀티 코어-셀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분산을 위하여 자기 색 가변 안료는 입자 크기가 50 내지 1,000㎚,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5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300㎚의 범위에서 균일한 크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입자가 착색제를 포함할 때 입자 크기보다는 입자의 균일성이 더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으므로, 입자 크기의 범위를 벗어날 수도 있다.
또한, 나노 입자는 전도성 입자, 금속 입자, 유기금속 입자, 금속산화물 입자, 자성 입자, 소수성 유기고분자 입자일 수 있고, 외부 에너지의 인가에 의해 입자의 배열, 간격에 규칙성이 부여되는 광 결정 특성을 나타내는 입자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실리콘(Si), 티타늄(Ti), 바륨(Ba), 스트론튬(Sr), 철(Fe), 니켈(Ni), 코발트(Co), 납(Pb), 알루미늄(Al), 구리(Cu), 은(Ag), 금(Au), 텅스텐(W), 몰리브덴(Mo), 아연(Zn), 지르코늄(Zr)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금속 또는 이들의 질화물 또는 산화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유기물질 나노 입자로서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의 고분자 물질로도 이루어질 수 있으며, 탄화수소기를 갖는 유기화합물에 의하여 표면이 수식된 입자, 카르복실기, 에스테르기, 아실기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을 갖는 유기화합물에 의하여 표면이 수식된 입자, 할로겐 원소를 포함하는 착 화합물에 의하여 표면이 수식된 입자, 아민, 티올, 포스핀을 포함하는 배위화합물에 의하여 표면이 수식된 입자, 표면에 라디칼을 형성하여 전하를 갖는 입자를 들 수 있다.
나노 입자는 전기 분극 특성을 부여한 입자일 수 있다. 즉, 매개체와의 분극을 위하여 외부 자기장 또는 전기장이 인가됨에 따라 이온 또는 원자의 분극이 추가 유발되어 분극량이 크게 증가하고, 외부 자기장 또는 전기장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도 잔류 분극량이 존재하며 자기장 또는 전기장 인가 방향에 따라 이력(hysteresis)이 남는 강유전성(ferroelectric)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외부 자기장 또는 전기장이 인가됨에 따라 이온 또는 원자 분극이 추가 유발되어 분극량이 크게 증가하지만, 외부 자기장 또는 전기장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는 잔류 분극량과 이력(hysteresis)이 남지 않는 상유전성 물질, 초상유전성(superparaelectric)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물질로는 페로브스카이트(perovskite) 구조를 갖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ABO3 구조를 갖는 물질로서 PbZrO3, PbTiO3, Pb(Zr,Ti)O3, SrTiO3, BaTiO3, (Ba, Sr)TiO3, CaTiO3, LiNbO3 등의 물질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나노 입자는 단일 또는 이종의 금속이 함유된 입자, 산화물 입자 또는 광결정성 입자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금속의 경우, 금속 나이트레이트계 화합물, 금속 설페이트계 화합물, 금속 플루오르아세토아세테이트계 화합물, 금속 할라이드계 화합물, 금속 퍼클로로레이트계 화합물, 금속 설파메이트계 화합물, 금속 스티어레이트계 화합물 및 유기 금속 계열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자성 선구물질과 알킬트리메틸암모늄할라이드계 양이온 리간드, 알킬산, 트리알킬포스핀, 트리알킬포스핀옥사이드, 알킬아민, 알킬티올 등의 중성 리간드, 소듐알킬설페이트, 소듐알킬카복실레이트, 소듐알킬포스페이트, 소듐아세테이트 등의 음이온 리간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리간드를 용매에 첨가하여 녹임으로써 비정질 금속 겔을 제조하고, 이를 가열하여 결정성 입자로 상전이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이종의 선구물질을 함유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입자의 자기적 특성이 증강되거나, 초상자성, 상자성, 강자성, 반강자성, 페리자성, 반자성 등의 다양한 자성 물질을 얻을 수 있다.
자기 색 가변 입자는 용매에 분산된 상태로 있다가 전기장 또는 자기장의 인가에 의해 재배열되는데, 용매로는 극성 또는 비극성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컬러 자성 나노 입자 역시 용매에 분산되어 전기장 또는 자기장의 인가에 의해 이동하여 편재되게 된다.
용매의 구체예로는 물,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프로필렌카보네이트, 톨루엔, 벤젠, 헥산, 클로로포름, 할로카본오일, 퍼클로로에틸렌, 트리클로로에틸렌, 아이소파라핀 오일의 일종인 isopar-G, isopar-M, isopar-H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을 들 수 있다.
또한, 자기 색 가변 입자는 자기장이 인가됨에 따라 자성을 갖게 되는, 즉, 자화되는 되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부에서 자기장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 자성을 지닌 입자끼리 뭉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부 자기장을 인가하면 자화(magnetization)가 일어나지만 외부 자기장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는 잔류 자화(remnant magnetization)가 일어나지 않는 초상자성(superparamagnetic) 물질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나노 입자가 용매에 잘 분산되고 응집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입자 표면을 동일한 부호의 전하로 코팅할 수 있고, 입자가 용매 내에서 침전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입자 표면을 해당 입자와 비중이 다른 물질로 코팅하거나 용매에 해당 입자와 비중이 다른 물질을 혼합할 수도 있다.
또한, 나노 입자는 특정 파장의 광을 반사시킬 수 있도록, 즉, 특정 컬러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자는 산화수 조절 또는 무기 안료, 안료 등의 코팅을 통하여 특정 컬러를 갖게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자에 코팅되는 무기 안료로는 발색단을 포함하는 Zn, Pb, Ti, Cd, Fe, As, Co, Mg, Al 등이 산화물, 유화물, 유산염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입자에 코팅되는 염료로는 형광 염료, 산성 염료, 염기성 염료, 매염 염료, 황화 염료, 배트 염료, 분산 염료, 반응성 염료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나노 입자는 서로 동일한 전하를 갖도록 전하를 갖는 물질로 코팅될 수도 있다.
자기 색 가변 입자 및 컬러 자성 안료 입자를 함유하는 마이크로 캡슐은 투명한 캡슐 벽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캡슐 벽을 구성하는 재료로는 아지네이트(aginate), 젤라틴(gelatin), 에틸 셀룰로오스 (ethyl cellulose), 폴리아마이드(polyamide), 멜라민-포름알데히드(melamine formaldehyde) 수지, 폴리비닐 피리딘(poly(vinyl pyridine)), 폴리스티렌(polystyrene), 우레탄 결합을 포함하는 수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들 수 있다. 이러한 투명한 고분자로 캡슐 벽을 구성하면 자기장의 인가에 의해 재배열되는 컬러 자성 안료 입자, 자기 색 가변 입자로 인해 구현되는 특정 파장의 반사광을 도출하게 되어 구조색을 표현할 수 있게 된다.
마이크로 캡슐은 컬러 자성 안료 입자, 자기 색 가변 입자 외에도 용매에 분산될 수 있는 컬러 안료, 형광 안료, 시온 안료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추가적인 성분은 전기장이나 자기장과 같은 외력 외에도 열 에너지, 광 에너지, 중력 등의 외력에도 반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추가성분들의 배합에 의해 더욱 다양한 색 가변 효과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은 도용방지 기능을 갖는 큐알코드 시스템을 통해, 패턴의 선명도 또는 패턴의 색상 변화 여부를 통해 큐알코드의 도용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식장치를 도시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인식장치(101)는 프로세서(210), 메모리(220), 통신 프로세서(230), 디스플레이(240) 또는 카메라(25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 메모리(220), 통신 프로세서(230), 디스플레이(240) 및/또는 카메라(250)는 통신 버스(a communication bus)와 같은 전자 소자(electronical component)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및/또는 작동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electronically and/or operably coupled with each other). 인식장치(101)에 포함된 하드웨어 컴포넌트의 타입 및/또는 개수는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인식장치(101)는 하드웨어 컴포넌트 중 일부만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인식장치(101)의 프로세서(210)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에 기반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하드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하드웨어 컴포넌트는, 예를 들어, ALU(Arithmetic and Logic Un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및/또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의 개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듀얼 코어(dual core), 쿼드 코어(quad core) 또는 헥사 코어(hexa core)에 기반하여, 복수의 프로세서(210)가 인식장치(101)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인식장치(101)의 메모리(220)는 프로세서(210)에 입력 및/또는 출력되는 데이터 및/또는 인스트럭션을 저장하기 위한 하드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예를 들어, RAM(Random-Access Memory)와 같은 휘발성 메모리(Volatile Memory) 및/또는 ROM(Read-Only Memory)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를 포함할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예를 들어, DRAM(Dynamic RAM), SRAM(Static RAM), Cache RAM, PSRAM (Pseudo SRAM)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는, 예를 들어, PROM(Programmable ROM), EPROM (Erasable PROM),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M), 플래시 메모리, 하드디스크, 컴팩트 디스크, eMMC(Embedded Multi Media Car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20) 내에서, 프로세서(210)가 데이터에 수행할 동작을 나타내는 인스트럭션이 하나 이상 저장될 수 있다. 인스트럭션의 집합은, 펌웨어, 운영 체제, 프로세스, 루틴, 서브-루틴 및/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참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식장치(101) 및/또는 인식장치(101)의 프로세서(210)는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배포된 복수의 인스트럭션의 집합(set of a plurality of instructions)을 실행하여, 이미지로부터 큐알코드부를 측정하거나, 및/또는 상기 큐알코드부의 이미지를 캡쳐하기 위한 가이드를 제공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인식장치(101)의 통신 프로세서(230)는 인식장치(101) 및 인식장치(101)와 구별되는 외부 전자 장치 사이의 전기 신호의 송신 및/또는 수신을 지원하기 위한 하드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프로세서(230)는, 예를 들어, 모뎀(MODEM), 안테나, O/E(Optic/Electronic) 변환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프로세서(230)는, 이더넷(ethernet),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WiFi(Wireless Fidelity), LTE(Long Term Evolution), 5G NR(New Radio)와 같은 다양한 타입의 프로토콜에 기반하여 전기 신호의 송신 및/또는 수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인식장치(101)의 디스플레이(240)는 사용자에게 시각화된 정보, 예를 들어, 큐알코드부를 촬영환 시각화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240)는, 프로세서(210)와 같은 컨트롤러(예를 들어, 프로세서(210)에 포함된 GPU(Graphic Processing Unit))에 의해 제어되어, 사용자에게 시각화된 정보(visualized information)를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40)는 CRT(Cathode Ray Tube), FPD(Flat Panel Display) 및/또는 전자 종이(electronic pap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FPD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및/또는 하나 이상의 LED(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LED는 OLED(Organic LED)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인식장치(101)는 정보를 시각화한 형태 외에 다른 형태로 출력하기 위한 출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식장치(101)는 음성 신호(acoustic signal)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식장치(101)는 진동에 기반하는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큐알코드부의 위조 변조가 있는 경우 햅틱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인식장치(101)의 카메라(250)는 지정된 공간(예를 들어, 카메라(250)의 전방의 공간)의 빛에 기반하여, 프로세서(210) 및/또는 메모리(220)에서 이용할 수 있는 포맷(usable format)을 가지는 전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250)는 2차원 배열된 복수의 포토 다이오드(Photo Diode, PD))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250)가 수신하는 파장의 종류는 가시 광선(visible light)에 제한되지 않으며, 적외선 광 및/또는 자외선 광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250)는 피사체를 향해 적외선을 조사한 다음, 피사체에서 반사된 적외선을 수신하여 깊이 맵(depth-map)을 획득하는 ToF(Time of Flight)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카메라(250)는 가시 광선에 기반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대응하는 깊이 맵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250)는 지정된 주기마다, 복수의 포토 다이오드 각각의 전기 신호에 기반하는 프레임을 출력할 수 있다. 카메라(250)가 프레임을 출력하는 주기는 프레임율(frames per second, fps)으로 참조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프로세서(210) 및/또는 메모리(220)로 송신될 수 있다. 인식장치(101)가 포함하는 카메라(250)의 개수는 도 2의 일 실시예에 제한되니 않으며, 예를 들어, 듀얼 카메라, 트리플 카메라와 같이 2 이상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인식장치(101)는 카메라(250)로부터터 큐알코드부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큐알코드부는 인식장치(101)가 큐알코드부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피사체(예를 들어, 큐알코드부가 포함된 종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내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큐알코드부를 식별하는 것에 응답하여, 인식장치(101)는 상기 큐알코드부의 크기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인식장치(101)는 카메라(250)를 제어하여 상기 프레임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해상도를 가지는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인식장치(101)가 큐알코드부의 크기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것은, 상기 이미지에 기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인식장치(101)는 프레임 내에서 식별된 상기 하나 이상의 큐알코드부의 크기에 기반하여, 사용자에게 상기 프레임 내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큐알코드부의 구도(composition)를 변경하기 위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 내에서 식별된 상기 하나 이상의 큐알코드부의 크기가 너무 작거나, 및/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큐알코드부가 프레임의 중심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인식장치(101)는 사용자에게 프레임 내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큐알코드부의 크기 및/또는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인식장치(101) 중 메모리는, 복수의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고, 상기 복수의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로부터 큐알코드부을 캡쳐한 제1 프레임을 식별하고,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분에 표시되고, 상기 제1 프레임의 식별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프레임 내에서 상기 큐알코드부들을 식별한다. 계속하여, 상기 제1 프레임 내에서의 상기 큐알코드부들의 식별에 응답하여, 상기 큐알코드부의 위치들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고 있는 제1 프레임 상에 중첩되는 지정된 하나 이상의 안내선 및 상기 큐알코드부의 위치들에 대응하는 객체들(objects)을 표시하고, 상기 지정된 하나 이상의 안내선 및 상기 복수의 객체들을 표시하는 상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로부터 상기 제1 프레임과 구별되는 제2 프레임을 식별하고,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제1 프레임이 표시되고 있던 상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분에 표시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안내선들이 상기 제2 프레임 상에 중첩되어 표시된다. 계속하여, 상기 제2 프레임의 식별에 응답하여, 상기 제2 프레임 내에서 상기 큐알코드부의 위치들을 식별하고, 상기 제2 프레임 내에서의 상기 큐알코드부의 위치들의 식별에 응답하여, 상기 제2 프레임 내에서의 상기 큐알코드부의 위치들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분에 표시되고 있던 상기 복수의 객체들의 위치를 조절하고; 및 상기 복수의 객체들의 위치의 조절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안내선들 및 상기 조절된 복수의 객체들의 위치들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큐알코드부를 캡쳐한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인식장치는 카메라로부터 큐알코드부의 프레임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인식장치는 카메라의 프레임율과 관련된 주기에 기반하여 카메라로부터 하나 이상의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 큐알코드부와 관련된 프레임의 획득에 응답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인식장치는 디스플레이(240))의 적어도 일부분(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의 프리뷰 영역)에 획득된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분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인식장치는 프레임 내에서 큐알코드부를 인식할 수 있다. 카메라로부터 제1프레임의 획득 및/또는 식별에 응답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인식장치는 상기 제1프레임 내에서 큐알코드부를 식별할 수 있다. 인식장치가 큐알코드부를 인식하는 것은, 큐알코드부의 타입, 프레임 내에서의 큐알코드부의 위치 또는 프레임내 에서의 큐알코드부의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인식장치가 큐알코드부를 인식하는 것은, 사전에 저장된 참조 이미지(pre-store reference image) 및 프레임 사이의 비교(예를 들어, 콘볼루션에 기반하는 비교) 및/또는 딥러닝에 기반하는 뉴럴 네트워크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인식장치는 인식된 큐알코드부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안내선 및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안내선은, 큐알코드부 및 인식장치 사이의 각도와 관련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객체는, 프레임 내에서의 큐알코드부의 위치 및/또는 크기와 관련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프레임으로부터 큐알코드부의 식별에 응답하여, 지정된 복수의 안내선들 중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인식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식별된 큐알코드부의 형태에 대응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안내선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지정된 복수의 안내선들은, 상기 인식장치의 메모리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지정된 복수의 안내선들은, 상기 하나 이상의 큐알코드부 및 인식장치의 카메라 사이의 지정된 복수의 각도들 각각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큐알코드부의 전면, 좌측면, 우측면 등에 기반하는 복수의 안내선들이 인식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제1 프레임 내에서 큐알코드부의 좌측면을 식별하는 것에 응답하여, 인식장치는 상기 저장된 복수의 안내선들 중에서 디스플레이에 큐알코드부의 좌측면에 대응하는 안내선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프레임으로부터 큐알코드부의 크기, 형태 또는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에 응답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인식장치는 상기 큐알코드부의 크기, 형태 및/또는 위치에 기반하는 크기, 형태 및/또는 위치를 가지는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객체는 큐알코드부의 형태(또는 윤곽선)에 대응하는 다각형의 형태를 가지고, 디스플레이에서 프레임 내의 큐알코드부가 표시되는 위치에 중첩될 수 있다(may be superimposed on). 상기 다각형의 내부는 지정된 색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다각형의 지정된 색상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통해 큐알코드부를 인식할 수 있도록, 지정된 불투명도(opacity)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인식장치는 프레임에 캡쳐된 큐알코드부가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안내선 및 객체를 표시하는 상태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인식장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지정된 조건은 인식장치의 카메라를 제어하여 이미지(예를 들어, 상기 프레임 보다 높은 해상도를 가지는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정된 조건은 프레임으로부터 인식된 하나 이상의 큐알코드부의 구도, 카메라 및/또는 전자 장치와 이루는 각도, 프레임 내에서의 큐알코드부의 위치 및/또는 크기와 관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큐알코드부가 프레임의 중앙에 배치되고, 프레임의 픽셀들 중에서 임계치를 초과하는 크기의 픽셀에 대응하는 경우, 인식장치는 상기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인식장치가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동작은, 동작의 안내선 및 객체에 기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식장치는 표시되는 안내선 및 객체의 위치 관계 및/또는 크기 비율에 기반하여, 상기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프레임에 캡쳐된 피사체가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카메라로부터 제1 프레임을 획득한 이후, 인식장치가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제1 프레임을 획득한 것으로 결정한 경우, 인식장치는 동작을 다시 수행하여 상기 제1프레임과 구별되는 제2 프레임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제2 프레임은, 예를 들어, 상기 카메라에 의해 상기 제1 프레임 보다 나중에 획득된 프레임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프레임이 캡쳐된 시점 및 제2 프레임이 캡쳐된 시점의 차이는 카메라의 프레임율과 관련될 수 있다. 동작에 기반하여 획득된 제2 프레임에 대하여 동작들을 수행함에 따라, 일 실시예에 따른 인식장치는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고 있던 객체의 위치 및/또는 크기를, 제2 프레임에서 인식된 큐알코드부의 위치 및/또는 크기에 기반하여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 인식장치는 객체의 위치 및/또는 크기를, 연속적인 프레임의 획득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프레임에 캡쳐된 큐알코드부가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일 실시예에 따른 인식장치는 카메라를 제어하여 큐알코드부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미지의 획득은, 인식장치가 표시하는 지정된 알림 메시지(예를 들어, "버튼을 누르세요"와 같은 텍스트, 상기 텍스트는 동작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표시됨)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입력(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셔터 형태의 버튼을 터치하는 사용자의 입력)에 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미지의 획득은, 상기 사용자의 입력과 독립적으로, 전자 장치에 의해 자동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는, 동작의 프레임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해상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이 인식장치의 디스플레이와 관련된 해상도(예를 들어, 1024 × 768 개의 픽셀을 포함)를 가지는 경우, 이미지는 상기 해상도보다 높은 해상도(예를 들어, 1600 × 1200 개 또는 2048 × 1536 개의 픽셀을 포함)를 가질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큐알코드부
50: 도용방지 패턴부
51: 제1 시트
52: 제1 패턴부
53: 접착층
54: 제2 시트
55: 제2 패턴부
56: 보호층

Claims (2)

  1. 식별코드가 인쇄된 큐알코드부;
    상기 큐알코드부에 인접하여 제공되는 도용방지 패턴부; 및
    상기 큐알코드부를 촬영 및 인식하는 인식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큐알코드부는 가맹점 ID, 가맹점 업종코드, 국가코드, 가맹점명, 지역, 통화코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가 포함되도록 서로 다른 광학적 특성을 가진 단위모듈들이 표면에 배열되는 바코드 도안으로 제공되며,
    상기 바코드 도안의 단위모듈은 복수개의 직사각형 매크로모듈로 구획되고, 상기 매크로모듈은 A × A개의 단위모듈을 포함하고, A는 3보다 큰 자연수이고, 각 매크로모듈마다 데이터의 길이가 고정된 데이터 코드를 기억하는 단위모듈과, 상기 바코드 도안에서 상기 매크로모듈의 위치를 대표하는 클러스터 번호를 기억하는 단위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매크로모듈은, 최외곽의 1열의 단위모듈이 모두 짙은색으로서 가장자리가 검은 매크로모듈과, 최외곽 1열의 단위모듈이 모두 연한색으로서 가장자리가 흰 매크로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데이터 코드와 클러스터 번호가 테두리내의 단위모듈에 저장되며, 상기 가장자리가 검은 매크로모듈과 가장자리가 흰 매크로모듈이 바코드 도안에서 교차배열되며,
    상기 바코드 도안은 B × B개의 상기 매크로모듈을 포함하고 있으며, B는 1보다 큰 기수이고, 상기 바코드 도안 중심의 매크로모듈의 클러스터 번호는 0이고, 바코드 도안 중심으로부터 경계를 향하면서 매크로모듈의 클러스터 번호가 층에 따라 순서로 증가되며,
    서로 다른 상기 매크로모듈에서 클러스터 번호 정보를 저장하는 클러스터 번호의 단위모듈의 위치와 개수는 같으며, 상기 클러스터 번호의 단위모듈에 저장된 값은 바코드 도안중의 해당 매크로모듈의 층수가 상기 클러스터 번호의 단위모듈의 최대 기억값에 대해 모듈라연산을 진행하여 얻은 수값이고,
    상기 도용방지 패턴부는 제1 시트, 상기 제1 시트 상에 평판 인쇄방식으로 제공되는 제1 패턴부, 상기 제1 패턴부 상에 제공되는 접착층. 상기 접착층 상에 제공되는 제2 시트, 상기 제2 시트 상에 평판 인쇄방식으로 제공되는 제2 패턴부 및 상기 제2 패턴부 상에 제공되는 보호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패턴부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서로 이격되어 제공되고, 상기 제2 패턴부는 제1 패턴부의 양 끝단의 일부와 중첩되도록 제공되고, 상기 제1 패턴부와 상기 제2 패턴부는 정면으로 바라보았을 때 하나로 결합된 패턴으로 보여지도록 제공되며,
    상기 제1 패턴부 및 상기 제2 패턴부는 도용 시 색이 변화하는 색 변환 물질로 형성되며,
    상기 색 변환 물질은 마이크로 캡슐 내에 컬러 자성 안료 입자 또는 컬러 안료 입자 중에서 선택되는 컬러 입자와 자기 색 가변 입자 및 용매를 포함하며, 마이크로 캡슐에 외력이 인가되며, 상기 컬러 자성 안료 입자는 외력이 인가되는 방향으로 편재되며, 상기 자기 색 가변 입자는 재배열되어 결정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인식장치는,
    디스플레이;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메모리; 및 상기 디스플레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및 상기 메모리와 작동적으로 결합된(operably coupled to)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복수의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고,
    상기 복수의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로부터 큐알코드부을 캡쳐한 제1 프레임을 식별하고,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분에 표시되고,
    상기 제1 프레임의 식별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프레임 내에서 상기 큐알코드부들을 식별하고,
    상기 제1 프레임 내에서의 상기 큐알코드부들의 식별에 응답하여, 상기 큐알코드부의 위치들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고 있는 제1 프레임 상에 중첩되는 지정된 하나 이상의 안내선 및 상기 큐알코드부의 위치들에 대응하는 객체들(objects)을 표시하고,
    상기 지정된 하나 이상의 안내선 및 상기 복수의 객체들을 표시하는 상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로부터 상기 제1 프레임과 구별되는 제2 프레임을 식별하고,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제1 프레임이 표시되고 있던 상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분에 표시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안내선들이 상기 제2 프레임 상에 중첩되어 표시되고,
    상기 제2 프레임의 식별에 응답하여, 상기 제2 프레임 내에서 상기 큐알코드부의 위치들을 식별하고,
    상기 제2 프레임 내에서의 상기 큐알코드부의 위치들의 식별에 응답하여, 상기 제2 프레임 내에서의 상기 큐알코드부의 위치들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분에 표시되고 있던 상기 복수의 객체들의 위치를 조절하고; 및 상기 복수의 객체들의 위치의 조절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안내선들 및 상기 조절된 복수의 객체들의 위치들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큐알코드부를 캡쳐한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제2 프레임 내에서의 상기 위치들의 식별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안내선들 및 상기 제2 프레임 내에서 식별된 상기 복수의 피사체들의 위치들을 비교하고, 상기 복수의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위치들을 비교한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피사체들을 캡쳐한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제2 프레임 내에서의 상기 위치들의 식별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안내선들 및 상기 제2 프레임 내에서 식별된 상기 복수의 피사체들의 위치들을 비교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위치들을 비교한 결과에 기반하여, 사용자에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이동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도용방지 기능을 갖는 큐알코드 시스템.

  2. 삭제
KR1020200067370A 2020-06-04 2020-06-04 도용방지 기능을 갖는 큐알코드 시스템 KR1021982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7370A KR102198249B1 (ko) 2020-06-04 2020-06-04 도용방지 기능을 갖는 큐알코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7370A KR102198249B1 (ko) 2020-06-04 2020-06-04 도용방지 기능을 갖는 큐알코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8249B1 true KR102198249B1 (ko) 2021-01-04

Family

ID=74127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7370A KR102198249B1 (ko) 2020-06-04 2020-06-04 도용방지 기능을 갖는 큐알코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824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6178B1 (ko) * 2022-05-03 2022-10-19 (주)디앤씨컴퍼니 특수 디자인을 이용한 위변조 방지 기능을 갖는 큐알코드 시스템
KR102456182B1 (ko) * 2022-05-03 2022-10-19 (주)디앤씨컴퍼니 난수코드를 적용한 위변조 방지 기능을 갖는 큐알코드 시스템
KR102566036B1 (ko) * 2023-03-08 2023-08-11 용남엠비에스 주식회사 자동 라벨 출력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2335A (ko) * 2004-03-15 2005-09-21 셴젠 시스칸 테크놀러지 코오퍼레이션 리미티드 2차원 바코드 및 그 코딩/디코딩 방법
JP2007293836A (ja) * 2007-03-30 2007-11-08 Denso Wave Inc 情報コード印刷媒体読取方法及び情報コード印刷媒体読取装置
KR20140062698A (ko) * 2012-11-14 2014-05-26 주식회사 나노브릭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
KR20140084661A (ko) 2012-12-27 2014-07-07 주식회사 포스코 판재 교정장치
KR20200026425A (ko) * 2018-08-31 2020-03-11 한국조폐공사 위변조 방지 및 진위확인을 위한 위조방지시트 및 이의 인식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2335A (ko) * 2004-03-15 2005-09-21 셴젠 시스칸 테크놀러지 코오퍼레이션 리미티드 2차원 바코드 및 그 코딩/디코딩 방법
JP2007293836A (ja) * 2007-03-30 2007-11-08 Denso Wave Inc 情報コード印刷媒体読取方法及び情報コード印刷媒体読取装置
KR20140062698A (ko) * 2012-11-14 2014-05-26 주식회사 나노브릭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
KR20140084661A (ko) 2012-12-27 2014-07-07 주식회사 포스코 판재 교정장치
KR20200026425A (ko) * 2018-08-31 2020-03-11 한국조폐공사 위변조 방지 및 진위확인을 위한 위조방지시트 및 이의 인식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6178B1 (ko) * 2022-05-03 2022-10-19 (주)디앤씨컴퍼니 특수 디자인을 이용한 위변조 방지 기능을 갖는 큐알코드 시스템
KR102456182B1 (ko) * 2022-05-03 2022-10-19 (주)디앤씨컴퍼니 난수코드를 적용한 위변조 방지 기능을 갖는 큐알코드 시스템
KR102566036B1 (ko) * 2023-03-08 2023-08-11 용남엠비에스 주식회사 자동 라벨 출력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8249B1 (ko) 도용방지 기능을 갖는 큐알코드 시스템
KR102550629B1 (ko) 광학적 가변 물질을 포함하는 위변조 방지용 인쇄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490792Y1 (ko) 정품인증 및 위조방지용 연포장재.
EP2694299B1 (de) Optisch variables sicherheitselement mit optisch variabler farbschicht
CN104781087B (zh) 安全设备
US20160176221A1 (en) Securit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e
DE202004021712U1 (de) Mikrooptisches Sicherheits- und Bildpräsentationssystem
US20130163818A1 (en) Method for the authentication and/or identification of a security item
EP3877192B1 (en) Methods of manufacturing security device components
EP3500436B1 (en) Image arrays for optical devices and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KR20190135754A (ko) 광결정 소재를 포함하는 위변조 방지용 큐알 코드 및 이의 활용방법
KR20190022302A (ko) 컬러 입자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캡슐 및 이를 포함하는 인쇄 매체.
KR102465924B1 (ko) 컬러 나노 복합체를 포함하는 에멀전, 젤리형 볼 및 구체
KR102632606B1 (ko) 자기 색가변 잉크를 이용하여 보안 정보용 컬러 코드가 인쇄된 보안 매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69582B1 (ko) 위변조 방지 및 진위확인을 위한 위조방지시트 및 이의 인식방법
KR20200050112A (ko) 위조 및 변조 방지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CN114148114A (zh) 防伪变造用膜及其应用方法
EP3805005A1 (en) Security medium printed on which color code for security information is printed using magnetically color turnable photonic crystal in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2152408B1 (ko) 히든 이미지 효과를 나타내는 정품인증용 라벨 및 이의 제조방법.
EP3079920B1 (de) Überlagerungssicherheitselement und verifikationsverfahren
GB2562592A (en) Methods of manufacturing security devices and image arrays therefor
KR20200059561A (ko) 위조 및 변조 방지용 전사라벨 및 상기 전사라벨의 전사방법.
EP3782822B1 (de) Mikrostrukturiertes transparentes sicherheitselement
KR20180098649A (ko) 결합된 이미지 및/또는 노출 래스터(raster)를 포함하는 보안 물품
EP3079919B1 (de) Sicherheitsdokument mit verdecktem sicherheitsmerkm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