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1226A - 난연성 친환경 하이브리드 도어 - Google Patents

난연성 친환경 하이브리드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1226A
KR20210061226A KR1020190164013A KR20190164013A KR20210061226A KR 20210061226 A KR20210061226 A KR 20210061226A KR 1020190164013 A KR1020190164013 A KR 1020190164013A KR 20190164013 A KR20190164013 A KR 20190164013A KR 20210061226 A KR20210061226 A KR 202100612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door
eco
flame
friend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4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9494B1 (ko
Inventor
김미숙
Original Assignee
김미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미숙 filed Critical 김미숙
Priority to PCT/KR2019/017573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1117938A1/ko
Publication of KR20210061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12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9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94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015Door leaves characterised by the filling between two external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001Coverings therefor; Door leaves imitating traditional raised panel doors, e.g. engraved or embossed surfaces, with trim strips applied to the surfac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015Door leaves characterised by the filling between two external panels
    • E06B3/7017Door leaves characterised by the filling between two external panels of grating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2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 E06B3/74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with wooden panels or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2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 E06B3/76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with metal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2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 E06B3/78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with panels of plas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015Door leaves characterised by the filling between two external panels
    • E06B2003/7023Door leaves characterised by the filling between two external panels of foam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015Door leaves characterised by the filling between two external panels
    • E06B2003/7042Door leaves characterised by the filling between two external panels with a fire retardant 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2003/7049Specific panel characteristics
    • E06B2003/7051Specific panel characteristics of layered construction involving different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연성 친환경 하이브리드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도어의 난연기능과 무독성 친환경 소재를 사용하여 화재시 유독가스 배출을 최소함과 동시에 화염전파 시간을 지연시켜 화염과 열기로부터 최소한의 대피시간을 얻을 수 있으며 특히, 습기에 강하고 뒤틀림이 없는 최적화된 난연성 친환경 하이브리드 도어에 관것이며, 특히 도어부재를 무독성 부재를 형성함으로 화재가 발생시 유독가스로 인한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화재의 지연과 동시에 다른 곳으로 옮겨 퍼지는 시간을 지연시켜 화염과 열기로부터 최소한의 대피시간을 얻을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난연성 친환경 하이브리드 도어{Door for protecting fire accident}
본 발명은 난연성 친환경 하이브리드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어의 난연기능과 무독성 친환경 소재를 사용하여 화재시 유독가스 배출을 최소함과 동시에 화염전파 시간을 지연시켜 화염과 열기로부터 최소한의 대피시간을 얻을 수 있으며 특히, 습기에 강하고 뒤틀림이 없는 최적화된 난연성 친환경 하이브리드 도어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널리 사용되어오던 원목이나 합판 등의 가공 목재로 된 도어는 중량이 많이 나가고, 수분의 영향에 취약하여 수명이 짧으며, 장기간 사용에 따라 썩거나 뒤틀리는 등 변형이 발생이 되고, 특히 환경보호를 이유로 목재 공급이 점차 제한적이 됨에 따라 제조 비용이 증가하는 등의 도어 문제점이 있는 바, 목재 대체재와 목재도어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이를 해결하고자 근래에는 다양한 형태의 합성수지재 도어가 개발되어 생산 시판되고 있다.
기존의 합성수지재 도어의 일반적인 구조의 합성수지 도어는, PVC나 ABS
등의 합성수지를 압출 성형하여 형성되며 도어를 지지하는 프레임 역할을 하는 사각 형틀과, 사각 형틀의 내측에 배치되는 보강목, 합성수지를 판재 형상으로 성형하여 형성되며 사각 형틀의 전방 및 후방에 배치되는 전면판 및 후면판과, 전면판과 후면판 사이 즉, 도어의 내측 공간부에 채워져 강도를 보강하는 충진재로 구성된다. 충진재로는, 합성수지를 발포충진하거나, 벌집(honey comb) 모양의 종이보강재를 충진하게 되는 데, 발포 충진 방식은 방음이나 방진 및 강도 보강의 측면에서는 우수한 면이 있으나, 발포 충진 작업이 번잡할 뿐만 아니라 도어의 중량이 많이 나가고 원가가 상승한다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경량화, 작업의 편의성, 원가 등
을 고려하여 많은 경우 종이 허니콤이 충진재로 채택되고 있다. 사각 형틀은 합성수지 바 형태로 제조되며, 그 내측으로는 판상의 나무를 다단으로 적층하여서 된
집성목으로 형성된 보강목에 의해 보강하여 2중 구조로된 사각보강 테두리를 구성하여, 견고한 도어 후레임을 제공하게 된다.
전면판 및 후면판은, 합성수지 판재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나, 일반적으로, 엠디에프보드(MDF:Midium density Fiber board) 등의 가공 합판의 표면에 PVC필름이나 무늬목 등의 마감재를 부착하여 형성된다.
또한, 도어는 평상시에는 사람이 통행 가능하도록 하면서 화재 발생시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화염의 침투시간을 지연하며 특히 유독가스의 발생을 최소화하는 것을 건축법상에 강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특허 제10-1832383호 및 제10-1912780호에 도어에 관한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또한, 일반 내부에 많이 사용되는 도어 중에 수지도어는 화재시에 유독가스가 발생되어 화재로 인한 사망시 유독가스중독에 의해 먼저 사상자가 발생되는 큰 피해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어의 무늬와 색채가 다양해 지고 있으나 너무 가벼워 보이는 문제점이 있는 고급화가 어려우며, 단순한 기존의 도어방식으로는 친환경과 난연성과 고급화하기 위한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도어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가볍고 가격이 저렴한 제품을 이용하여 제조하도록 하여 화재시 화염과 유독가스로 부터 보호할 수 있으며 특히 대피할 수 있는 시간을 벌어주도록 한 친환경 난연성 수지도어를 개발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에 사용되는 재료를 난연 및 무독성을 가지도록 형성한 난연성 친환경 하이브리드 도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 수단은 앞면판넬부재와 뒷면판넬부재인 메인판넬과, 상기 메인판넬 사이의 내측 공간부에 허니컴구조와 사각 메인프레임으로 형성된 도어에 있어서,
메인판넬은 PP층과, PP데코시트층으로 부착하는 경우 메틸카보네이트와 디클로로메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14∼20 중량%와 폴리우레탄레진 80∼86 중량%로 이루어진 친환경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하여 결합하여 달성하였다.
본 발명의 난연성 친환경 하이브리드 도어는 메인프레임 앞면과 뒷면에 MDF층이나, PP층, 알루미늄층, PP데코시트층으로 부착하는 경우 메틸카보네이트와 디클로로메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14∼20 중량%와 폴리우레탄레진 80∼86 중량%로 이루어진 친환경 접착제를 사용하여 달성하였다.
본 발명은 난연성 도어 설치가 의무화되지 않은 구역에 설치하도록 하고, 가볍고 가격이 저렴한 제품을 이용하여 제조하도록 하여 화재시 화염과 유독가스로 부터 보호할 수 있는 도어제품 개발하여 전 세계에서 널리 사용되어 화재로부터 인명피해를 대폭 줄일 수 있는 큰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품의 고급화와 습기에 강하고 뒤틀림이 없는 최적화된 난연성 친환경 하이브리드 도어를 개발한 효과가 았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재시 난연과 동시에 무독성을 갖는 접착재 및 결합 재료를 사용하여 유독물질의 발생을 줄일 수 있는 친환경 도어를 제공하는 데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도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도어의 메인판넬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메인판넬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도어의 결합부분을 도시한 부분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도어의 일부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도어의 앞면판넬부재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도어의 분해사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도어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이동,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이동,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도 1 과 도 2에 도시한 합성수지 도어에 있어서,
메인판넬은 PP층(50), PP데코시트층(70)으로 부착하는 경우 메틸카보네이트와 디클로로메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14∼20 중량%와 폴리우레탄레진 80∼86 중량%로 이루어진 친환경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친환경 접착제는 DMF와, 톨루엔과, 자일렌, 에세테이트 등을 함유하지 않는 친환경 접착제 및 무용제 우레탄 수지를 사용하여 화제시에 유독가스배출을 대폭 줄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메인판넬(앞면판넬부재와 뒷면판넬부재)은 PP층(50)이 난연성을 갖는 난연재가 함유되어 사출 성형되거나 외부에 난연시트지(50-1,50-2)를 부착하여 화염전파 시간을 단출할 수 있는 친환경 도어를 형성한 특징이 있다.
상기 PP층(50)는 PET, PE, PAPER 층으로 대체하여 친환경 소재로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 PP데코시트층(70)은 PET, PE 층으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도 1과 도 3에 도시한 다른 실시예는
메인판넬(앞면판넬부재와 뒷면판넬부재)은 PP층(50)과, 알루미늄층(60)과, PP데코시트층(70)으로 부착하는 경우 메틸카보네이트와 디클로로메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14∼20 중량%와 폴리우레탄레진 80∼86 중량%로 이루어진 친환경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가볍고 다양한 무늬를 형성한 친환경 합성수지도어를 갖는 특징이 있다.
상기 메인판넬은 PP층(50)이 난연재가 함유되어 사출성형되거나 알루미늄층으로 인하여 화염전파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친환경 난연합성수지도어를 형성한 특징이 있다.
상기 메인판넬은 PP층(50)과, 알루미늄층(60)과, PP데코시트층(70)으로 부착하는 경우 메틸카보네이트와 디클로로메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14∼20 중량%와 폴리우레탄레진 80∼86 중량%로 이루어진 친환경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되어 사용된다. 상기와 같이 가볍고 다양한 무늬를 형성한 친환경 합성수지도어를 갖는 특징이 있다.
상기 PP층(50)는 PET, PE, PAPER 층으로 대체하여 친환경 소재로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 PP데코시트층(70)은 PET, PE, PAPER 층으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난연성과 화염전파를 줄일 수 있는 일실시예로 도어의 메인프레임 내부에 실리카 에어로겔 분말로 이루어진 허니컴 충진물층(10)으로 채워져 있으며, 상기 허니컴 충진물층(10)의 양쪽 측면에 LVL(laminated veneer lumber) 심재층(20)으로 결합되고, 상기 LVL(laminated veneer lumber) 심재층(20)의 측면에 무독성 PVC 발포심재층(30)으로 결합된 사각프레임 있으며, 도어의 메인프레임 앞면과 뒷면에 MDF층(40), PP층(50), 알루미늄층(60), PP데코시트층(70), 테두리판(90)으로 부착되어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테두리판(90)은 알루미늄판에 PP, PET, PE, PAPER 시트지가 결합된 특징이 있다.
도 4 내지 도 7의 본 발명의 난연성 친환경 하이브리드 도어는
앞면판넬부재(150)와 뒷면판넬부재(160)인 메인판넬과, 상기 메인판넬 사이의 내측 공간부에 허니컴구조(10)와 사각 메인프레임(30)과 테두리판으로 형성된 도어에 있어서,
메인판넬(앞면판넬부재와 뒷면판넬부재)은 MDF층(40)이 2∼5mm와, PP층(50)은 0.5∼2mm와, 알루미늄층(60)은 0.2∼1.5mm와, PP데코시트층(70)은 0.1∼2.5mm;로 이루어진 특징이 있다.
상기 도어의 4면의 마감인 테두리판(90)은 전체의 4면을 모두 알루미늄판 또는 동판층, 압연도금층, 비철금속 중에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PP, PET, PE, PAPER 시트지 중에 하나와 결합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도어의 중량감을 주도록 하되 단열강도의 높임과 동시에 밀폐력을 한층 더 높이도록 한 특징이 있다.
앞면판넬부재와 뒷면판넬부재인 메인판넬과, 상기 메인판넬의 외측에 사각 메인프레임과 테두리판으로 형성된 도어에 있어서,
상기 앞면판넬부재와 뒷면판넬부재의 사이에 우레탄 발포물에 미분의 톱밥 또는 미분의 광물을 혼합 발포하여 충진하거나, 메인판넬 사이의 내측 공간부에 허니컴구조의 상부에 우레탄 발포물에 미분의 톱밥 또는 미분의 광물을 혼합 발포하여 충진한 후에 일정시간 가압하여 형성한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견고하고 중량감을 갖도록 형성한 특징이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도어는 메인프레임 앞면과 뒷면에 MDF층(40)과, PP층(50)과, 알루미늄층(60)과, PP데코시트층(70)으로 부착하는 경우 친환경 접착재인 메틸카보네이트와 디클로로메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14∼20 중량%와 폴리우레탄레진 80∼86 중량%로 이루어져 일부는 열접착과 하중이 큰 프레스를 이용하여 체결하여 접합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알루미늄층(60)는 동판층, 아연도금층의 비철금속재층 등으로 사용되며 무게가 가벼우면서 습기에 강하고, 견고한 재질을 선택하여 사용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도 1 내지 도 7과 같이 본 발명의 도어에 실시예로 난연과 불연으로 사용된 실리카 에어로겔 분말로 이루어진 허니컴 충진물층은 단열성이면서 난연성인 실리카 에어로겔 분말로서 난연성 친환경 하이브리드 도어의 내부에 충진재로 사용하여 제작한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난연성 친환경 하이브리드 도어에서 사용된 LVL 합판은 사각의 바 형상으로 수평으로 길게 연장되며 메인프레임의 전후 보드에 안착되도록 채워져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난연성 친환경 하이브리드 도어에서 메인프레임은 단순히 사각틀의 형상을 위하여 허니컴 충진물층과 양쪽 측면에 LVL(laminated veneer lumber) 심재층(20)으로 채워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한 다른 실시예의 난연성 친환경 하이브리드 도어는 LVL(laminated veneer lumber) 심재층(20)의 측면에 무독성 PVC 발포심재층(30)으로 채워져 있으며 메인프레임의 테두리를 따라 난연 발포제를 장착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이 목재가 불에 타는 특성을 미루어 화재시 가장 먼저 불이 붙는 것은 메인판넬이 되며 이후 내부로 번지게 되는 것으로 메인판넬에 불이 붙으면 직접적으로 내부의 메인프레임에 화염이 접촉하여 이들이 타는 속도가 빨라지지않도록 친환경 난연성 하이브리드 도어를 제공하는 데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난연성 친환경 하이브리드 도어는 앞면판넬부재(150)와 뒷면판넬부재(160)에 알루미늄층(60) 및 MDF층(40), PP층(50)이 부착되어 있어 화재시 열기에 의하여 화염의 전파속도를 늦출 수 있어 대피시간을 늘릴 수 있는 난연성 친환경 하이브리드 도어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4 내지 도 7과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 MDF층(40)은 2∼5mm와, PP층(50)은 0.5∼2mm와, 알루미늄층(60)은 0.2∼1.5mm, PP데코시트층(70)은 0.1∼2.5mm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도어는 앞면판넬부재와 뒷면판넬부재에 MDF층(40), PP층(50), 알루미늄층(60), PP데코시트층(70)으로 부착하는 경우 메틸카보네이트와 디클로로메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14∼20 중량%와 폴리우레탄레진 80∼86 중량%로 이루어진 친환경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도어의 소재를 친환경뿐만 아니라 접착제 역시 화재시에 유독가스가 발생하지 않는 소재인 친환경으로 한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도어에 접착하는 층 또는 프레임 등에 친환경 접착제를 사용하여 화재시에 유독가스가 발생이 되는 것을 최소화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9에 도시한 본 발명은 문과 문틀의 사이로 스며드는 유독가스와 열기를 최대한 차단하여 대피할 시간을 확보하기 위해 형성한 특징이 있다.
도 8에 도시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구성은 도어와 문틀의 사이를 막도록 하여 화염과 연기가 통하지 않도록 한 구성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구조는 완전한 차단이 어렵지만 연기가 작은 틈을 통하여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여 이는 화재시에는 높은 온도에 이르므로 이보다 낮은 용융점을 갖는 내화충지재(56)를 심재층(20)의 측면인 발포심재층(30) 사이에 내화충진재(56)를 삽입하여 형성하였다. 상기 삽입된 내화충진재(56)가 화재시에 팽창하면서 발포심재층(30)를 밀어서 도어와 문틀 사이를 밀착하고, 특히 발포심재층(30)에 형성된 배출구(57)로 내화충진재(56)가 채워져 견고하게 밀착할 수 있도록 한 특징이 있다. 특히 열전달이 이루어지도록 내화충진재(56)와 맞닿는 알루미늄층(60)에 열전달 돌기(55)가 다수개 돌출되도록 형성한 특징이 있다.
특히, 도어와 문틀의 사이는 틈새가 많아 화재시에 유독가스로부터 취약한 문제점을 해결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30: 발포심재층 40: MDF층
50: PP층 60: 알루미늄층
150: 앞면판넬부재 160: 뒷면판넬부재

Claims (10)

  1. 앞면판넬부재와 뒷면판넬부재인 메인판넬과, 상기 메인판넬 사이의 내측 공간부에 허니컴구조와 사각 메인프레임과 테두리판으로 형성된 도어에 있어서,
    메인판넬은 PP층(50)과, PP데코시트층(70)으로 부착하는 경우 메틸카보네이트와 디클로로메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14∼20 중량%와 폴리우레탄레진 80∼86 중량%로 이루어진 친환경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하여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친환경 하이브리드 도어.
  2. 앞면판넬부재와 뒷면판넬부재인 메인판넬과, 상기 메인판넬 사이의 내측 공간부에 허니컴구조와 사각 메인프레임, 테두리판으로 형성된 도어에 있어서,
    메인판넬은 PP층(50)과, 알루미늄층(60)과, PP데코시트층(70)의 순서로 배열되어 부착되고, 상기 부착시에 메틸카보네이트와 디클로로메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14∼20 중량%와 폴리우레탄레진 80∼86 중량%로 이루어진 무용제 타입의 친환경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하여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친환경 하이브리드 도어.
  3. 앞면판넬부재와 뒷면판넬부재인 메인판넬과, 상기 메인판넬 사이의 내측 공간부에 허니컴구조와 사각 메인프레임과 테두리판으로 형성된 도어에 있어서,
    메인판넬은 MDF층(40)이 2∼5mm와, PP층(50)은 0.5∼2mm와, 알루미늄층(60)은 0.2∼1.5mm와, PP데코시트층(70)은 0.1∼2.5mm;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친환경 하이브리드 도어.
  4. 앞면판넬부재와 뒷면판넬부재인 메인판넬과, 상기 메인판넬의 외측에 사각 메인프레임과 테두리판으로 형성된 도어에 있어서,
    상기 앞면판넬부재와 뒷면판넬부재의 사이에 우레탄 발포물에 미분의 톱밥 또는 미분의 광물을 혼합하여 발포하여 충진하거나, 메인판넬 사이의 내측 공간부에 허니컴구조의 상부에 우레탄 발포물에 미분의 톱밥 또는 미분의 광물을 혼합하여 발포하여 충진한 후에 일정시간 가압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친환경 하이브리드 도어.
  5. 제 1항 내지 4항 중 어느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100)은
    메인프레임의 MDF층(40)과, PP층(50)과, 알루미늄층(60)과, PP데코시트층(70);으로 부착하는 경우 메틸카보네이트와 디클로로메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14∼20 중량%와 폴리우레탄레진 80∼86 중량%로 이루어진 무용제타입의 친환경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되는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친환경 하이브리드 도어.
  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한 항에 있어서,
    상기 PP층(50)는 PET, PE, PAPER 층으로 선택하여 대체하여 친환경 소재로 사용할 수 있으며,
    PP데코시트층(70)은 PET, PE, PAPER 층으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친환경 하이브리드 도어.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층(90)은
    동판층, 압연도금층, 비철금속 중에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대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친환경 하이브리드 도어.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판은
    동판층, 압연도금층, 비철금속 중에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PP, PET, PE, PAPER 시트지 중에 어느 하나와 결합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연성 친환경 하이브리드 도어.
  9. 제 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한 항에 있어서,
    앞면판넬부재와 뒷면판넬부재인 메인판넬과, 상기 메인판넬 사이의 사각 메인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내측 공간부에 채워져 도어의 강도를 보강하는 충진재를 형성하고, 상기 충진재는 실리카 에어로겔 분말로 이루어진 허니컴 충진물층(10)으로 채워져 있으며, 상기 허니컴 충진물층(10)의 양쪽 측면에 LVL(laminated veneer lumber) 심재층(20)으로 채워져 있고,
    상기 LVL(laminated veneer lumber) 심재층(20)의 측면에 무독성 PVC 발포심재층(30)으로 채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친환경 하이브리드 도어.
  10. 제1항 내지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심재층(20)의 측면인 발포심재층(30)의 사이에 내화충진재(56)를 삽입하여 형성하고, 상기 삽입된 내화충진재(56)가 화재시에 팽창하면서 발포심재층(30)를 밀어서 도어와 문틀 사이를 밀착하고, 상기 발포심재층(30)에 형성된 배출구(57)로 내화충진재(56)가 채워져 견고하게 밀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친환경 하이브리드 도어.




KR1020190164013A 2019-11-19 2019-12-10 난연성 친환경 하이브리드 도어 KR1025194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9/017573 WO2021117938A1 (ko) 2019-11-19 2019-12-12 난연성 친환경 하이브리드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148884 2019-11-19
KR1020190148884 2019-11-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1226A true KR20210061226A (ko) 2021-05-27
KR102519494B1 KR102519494B1 (ko) 2023-04-10

Family

ID=76135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4013A KR102519494B1 (ko) 2019-11-19 2019-12-10 난연성 친환경 하이브리드 도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19494B1 (ko)
WO (1) WO2021117938A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5441A (ja) * 1996-01-23 1997-07-29 Riboole:Kk 軽量断熱防水パネルの製造方法
KR200346972Y1 (ko) * 2003-12-19 2004-04-06 주식회사 엘지화학 무기심재를 사용한 합성수지 도어
KR200350821Y1 (ko) * 2004-02-03 2004-05-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실내도어의 방화구조
KR20160096250A (ko) * 2015-02-04 2016-08-16 주식회사 서해 난연성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축용 난연 패널
KR20170008139A (ko) * 2015-07-13 2017-01-23 김미숙 목재패널을 포함하는 합성수지 도어
KR20180005936A (ko) * 2016-07-07 2018-01-17 김주민 도어용 보드
JP2018052001A (ja) * 2016-09-30 2018-04-0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表面化粧パネル、これを備えた化粧パネル及び表面化粧パネル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3862Y1 (ko) * 2006-05-11 2006-08-11 성남기업(주) 방화용 도어
KR101497028B1 (ko) * 2013-05-14 2015-03-04 이상철 Abs도어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abs도어
KR20150136460A (ko) * 2015-11-17 2015-12-07 이지수 친환경소재 이용한 방음, 단열, 불연성 방화문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5441A (ja) * 1996-01-23 1997-07-29 Riboole:Kk 軽量断熱防水パネルの製造方法
KR200346972Y1 (ko) * 2003-12-19 2004-04-06 주식회사 엘지화학 무기심재를 사용한 합성수지 도어
KR200350821Y1 (ko) * 2004-02-03 2004-05-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실내도어의 방화구조
KR20160096250A (ko) * 2015-02-04 2016-08-16 주식회사 서해 난연성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축용 난연 패널
KR20170008139A (ko) * 2015-07-13 2017-01-23 김미숙 목재패널을 포함하는 합성수지 도어
KR20180005936A (ko) * 2016-07-07 2018-01-17 김주민 도어용 보드
JP2018052001A (ja) * 2016-09-30 2018-04-0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表面化粧パネル、これを備えた化粧パネル及び表面化粧パネル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17938A1 (ko) 2021-06-17
KR102519494B1 (ko) 2023-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86391A (en) Portable fabric covered divider panels
CA2686268C (en) A fireproof door panel structure
TWI453332B (zh) 陶瓷門與板及其應用
KR20090066087A (ko) 건축용 복합기능의 진공 방화심재
KR100777422B1 (ko) 목질계 방화도어
KR20210061226A (ko) 난연성 친환경 하이브리드 도어
JP2018141346A (ja) 木製防火扉取付枠及び木製防火扉構造
KR101501388B1 (ko) 샌드위치패널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샌드위치패널을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
KR100797761B1 (ko) 목질계 방화도어
KR102073626B1 (ko) 방화문의 구조
KR200350821Y1 (ko) 실내도어의 방화구조
JP2019218853A (ja) 耐火構造
KR200331768Y1 (ko) 실내도어의 방화구조
EP2766549B1 (en) Door leaf
JP2004108082A (ja) 木製防火扉
JP2020180447A (ja) 防火戸用の開閉体
CN218257146U (zh) 一种隔音防火门芯和防火门
KR0153076B1 (ko) 발포시트층을 가진 건축용 칼라무늬 샌드위치 패널
IES20080230A2 (en) A fireproof door
JP6970968B2 (ja) 防火パネル材
WO2021085452A1 (ja) 内装パネル
JP7218065B2 (ja) 木製防火ドア装置
JPH11107397A (ja) 断熱ボード
CN210940760U (zh) 一种复合结构的轻型夹芯蜂窝板材
JPH08218744A (ja) 防火ド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