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0624A - 라우드스피커 모듈을 구비한 자동차 몸체 - Google Patents

라우드스피커 모듈을 구비한 자동차 몸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0624A
KR20210060624A KR1020217013928A KR20217013928A KR20210060624A KR 20210060624 A KR20210060624 A KR 20210060624A KR 1020217013928 A KR1020217013928 A KR 1020217013928A KR 20217013928 A KR20217013928 A KR 20217013928A KR 20210060624 A KR20210060624 A KR 202100606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ody
lower support
loudspeaker module
reinforcement
inner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3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글레시아스 마뉴엘 꽁드
Original Assignee
르노 에스.아.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르노 에스.아.에스. filed Critical 르노 에스.아.에스.
Publication of KR20210060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06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17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loud-speak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1Liners for load platforms or load compartments
    • B60R13/011Liners for load platforms or load compartments for internal load compartments, e.g. car tru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29Floor, e.g. side sills, fire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36Luggage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2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screws, bolts, rivet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0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2Production or manufacturing of vehicle parts
    • B60Y2410/124Welde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2Production or manufacturing of vehicle parts
    • B60Y2410/125Bounded parts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휠(3) 하우징(2)(wheel housing), 특히 후방 휠 하우징을 포함하는 자동차 몸체(motor vehicle body)(1)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휠 하우징은 몸체 외피 측방 라이닝(4)의 적어도 일 부분과 내측 부분(5)의 조립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몸체 외피 측방 라이닝(4)은 휠 하우징(2)의 외측 부분을 한정하는 후방 쿼터 라이닝이며, 상기 내측 부분(5)은 상기 몸체 측방 라이닝을 바닥부(floor), 특히 트렁크 바닥부에 연결하기 위한 부분이고, 상기 내측 부분(5)은 휠 하우징(2)의 내부 부분을 한정한다. 상기 내측 부분(5)은, 라우드스피커 모듈(8), 특히 서브우퍼(subwoofer)의 장착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장하기 위한 하측 지지부(7)의 보강재(reinforcement)(6)에의 추가 및 용접시 통과되는 개구(5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라우드스피커 모듈을 구비한 자동차 몸체
본 발명은 라우드스피커 모듈의 통합을 위한 전용 적합화부를 포함하는 자동차 몸체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몸체 측방 라이닝의 적어도 일 부분과 내측 부분의 조립에 의해 제작되는 적어도 하나의 휠 하우징, 특히 후방 휠 하우징을 포함하는 자동차 몸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몸체 측방 라이닝은 특히 휠 하우징의 외측 부분을 한정하는 후방 쿼터 라이닝이고, 상기 내측 부분은 상기 측방 라이닝을 바닥부, 특히 트렁크 바닥부에 연결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휠 하우징의 내부 부분을 한정한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라우드스피커 모듈, 예를 들어 서브우퍼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서브우퍼는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바닥부, 예를 들어 후방 바닥부에 위치한다. 그러나, 내부연소 엔진의 오염물제거에 관한 규제는 복잡하고 부피가 큰 오염물 처리 시스템의 생성을 유발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면 후방 바닥부에서 가용한 체적이 라우드스피커 모듈을 수용하기에 불충분하게 된다.
또한 자동차는 일반적으로 다양한 두께의 시트 금속(sheet metal) 부품들의 조립에 의해 제작되는 구조의 몸체를 갖는데, 라우드스피커 모듈을 바닥부가 아닌 몸체의 다른 부분으로 이동시키는 방안은 통합의 새로운 문제를 유발한다. 예를 들어, 밝혀진 통합에 관한 일 문제는 자동차의 스타일 제약사항들(style constraints)을 충족시키기 위한 상기 몸체의 부품들의 특정하고 복잡한 형태일치에 관한 것인데, 시트 금속에 관한 전문적 표준에서는, 재료의 찢어짐 방지를 위해서 뿐만이 아니라 라우드스피커 모듈의 고정 영역들이 불충분한 두께의 금속 시트로 제작된 경우에 상기 고정 영역들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체이싱(chasing)된 시트 금속 부품들의 기하형태에 대해 규정하고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라우드스피커 모듈의 설치를 가능하게 함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제작이 저렴하고 단순하며 신뢰성있는, 라우드스피커 모듈을 지지하는 자동차 몸체를 제안한다.
상기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휠 하우징(wheel housing), 특히 후방 휠 하우징을 포함하는 자동차 몸체(motor vehicle body)을 제공하는바, 상기 휠 하우징은 몸체 측방 라이닝(body lateral lining)의 적어도 일 부분과 내측 부분(inner part)의 조립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몸체 측방 라이닝은 휠 하우징의 외측 부분을 한정하는 후방 쿼터 라이닝(rear quarter lining)이며, 상기 내측 부분은 상기 몸체 측방 라이닝을 바닥부, 특히 트렁크 바닥부에 연결하기 위한 부분이고, 상기 내측 부분은 휠 하우징의 내부 부분(interior part)을 한정한다. 또한 상기 몸체는, 라우드스피커 모듈(loudspeaker module), 특히 서브우퍼(subwoofer)의 장착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장하기 위한 하측 지지부(lower support)의 보강재(reinforcement)에의 추가 및 용접시 통과되는 개구를 포함한다.
상기 내측 부분은 상기 휠 하우징의 상부 부분을 한정하기 위하여 상부 벽(top wall), 특히 종축 및 횡축 주위로 만곡한 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내측 부분의 개구는 상기 상부 벽에 형성되고 대략적으로 종축을 따라 배치된 장원형(oblong) 구멍의 형태를 갖는다.
상기 하측 지지부의 보강재는 상기 상부 부분에 상기 라우드스피커 모듈의 저부 영역이 지탱될 수 있는 지탱 표면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지탱 표면은 특히 평면이거나 실질적으로 평면을 이루고, 상기 내측 부분으로부터, 특히 상부 벽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되게 배치된다.
상기 하측 지지부의 보강재는 상기 지탱 표면에 중심을 갖거나 또는 실질적인 중심을 갖는 장원형 구멍의 형태를 가진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동차 몸체는 시일링 수단(sealing means)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시일링 수단은 특히 하측 지지부의 보강재의 개구의 주변부(perimeter)을 따라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밀봉재로서 폐쇄 셀(closed cell)들을 구비하며, 특히 상기 밀봉재는 하측 지지부 보강재의 개구의 주변부 전체를 따라서 연장된 단일 부재로서 제작된다.
상기 하측 지지부는 라우드스피커 모듈의 가역적 장착(reversible mounting)을 보장하기 위한 고정 포크 조인트(fixing fork joint)이고, 상기 고정 포크 조인트는 상기 하측 지지부 보강재, 특히 상부 벽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되게 배치된 보강재의 부분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추가 및 용접된다.
상기 고정 포크 조인트는 연결 스트립(connecting strip)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연결 스트립을 넘어서는 적어도 하나, 특히 두 개의 고정 러그(fixing lug)가 돌출되게 연장되며, 상기 고정 러그는 하측 지지부의 보강재의 상부 부분의 지탱 표면의 평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에 배치된다.
상기 하측 지지부의 보강재는 특히 체이싱(chasing)에 의해 제작된 주변 플랜지(peripheral flange)를 포함하고, 상기 주변 플랜지는 내측 부분의 아래에서 상기 하측 지지부 보강재의 개구의 윤곽(outline)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하측 지지부 보강재는 특히 용접에 의하여 내측 부분에 고정된다.
상기 휠 하우징은 라우드스피커 모듈의 서브우퍼의 구성요소, 특히 어쿠스틱 노즐(acoustic nozzle)일 수 있다.
상기 자동차 몸체는, 라우드스피커 모듈의 장착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장하기 위한 상측 지지부의 고정을 위하여 의도된 몸체 측방 라이닝의 보강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 측방 라이닝의 보강재는 몸체 측방 라이닝의 외측부(outer side)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측방 라이닝 보강재는 상기 상측 지지부, 특히 상기 라우드스피커 모듈을 상기 몸체의 몸체 측방 라이닝에 연결하는 고정 브리지(fixing bridge)의 가역적 장착을 위하여 상기 몸체 측방 라이닝을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된 몸체를 포함하는 자동차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본 발명의 위와 같은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아래의 첨부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비제한적인 예로서 제시되는 실시예에 관한 하기의 설명에서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도 1 에는 후방 휠 하우징을 포함하는 몸체의 측방 측부(lateral side)에 라우드스피커 모듈이 통합됨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2 에는 라우드스피커 모듈의 고정을 위해 의도된 보강 부품이 추가되어 있는 몸체 측방 라이닝의 외측부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3 에는 도 1 의 III-III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 에는 라우드스피커 모듈과 통합되도록 의도된 상측 및 하측 지지 요소들 및 이 지지부들의 보강 요소들이 제공되어 있는 몸체의 측방 측부의 부분 분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 에는 도 1 의 구성의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는바, 여기에는 라우드스피커 모듈을 자동차 몸체에 연결하는, 라우드스피커 모듈의 저부 고정 수단이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 6 에는 도 1 의 구성의 단면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바, 여기에는 라우드스피커 모듈의 지지를 위해 구현된 시일링 및 고정 수단이 도시되어 있다.
아래의 설명은 좌측 후방 휠 하우징에 관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우측 후방 휠 하우징에도 적용될 수 있다.
자동차가 직선으로 이동하는 방향이 종방향(X)으로 정의된다. 관례상, 상기 종방향(X)에 대해 직각을 이루고 지면에 대해 평행한 평면에 있는 방향이 횡방향(Y)으로 호칭된다. 상기 두 가지 방향에 대해 직각을 이루는 제3의 방향은 수직방향(Z)으로 호칭된다.
도 1 에는 자동차 몸체(1), 구체적으로는 후방 휠(3)의 휠 하우징(2) 상에 있는 라우드스피커 모듈(8)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제시되는 라우드스피커 모듈은 하향으로 경사진 휠 하우징의 상부 부분의 후방에서 뒤로 설정된 위치에 있다. 이것은, 라우드스피커 모듈이 경사진 위치에 있기 때문이다. 라우드스피커 모듈(8)은 내측 부분(5) 및 몸체 내측 라이닝(4)에 의해 형성되는 요부 안에 수용된다. 내측 부분(5)은 몸체 측방 라이닝(4)을 자동차의 바닥부(미도시)에 연결하는 연결 부분이다. 따라서, 휠 하우징(2)은 부분적으로는 내측 부분(5)에 의해 형성되는 내측 휠 하우징과, 부분적으로는 몸체 측방 라이닝(4)에 의해 형성되는 외측 휠 하우징으로 이루어진다. 몸체 측방 라이닝(4)은 쿼터 라이닝(quarter lining)인데, 상기 쿼터 라이닝의 하측 부분은 바퀴의 유형에 따라서 정의되는 곡면을 가진 휠 하우징을 포함한다.
또한 자동차 몸체(1)는 자동차의 외부에서 보이는 차체 부분(bodywork part)을 포함하는데, 상기 차체 부분은 몸체 내측 라이닝(4)에 대해 외부로부터 추가된다. 이 차체 부분은 몸체 측부(10)이다.
몸체 내측 라이닝(4)과 상기 내측 부분(5)의 중첩된 조립에 의하여 휠 하우징(2)이 형성된다. 내측 휠 하우징은 외측 휠 하우징에 용접된다. 이 조립 이전에, 보강재(6, 16)가 몸체 측방 라이닝(4) 또는 내측 부분(5)에 추가 및 용접된다.
라우드스피커 모듈의 상측 지지부(17)의 고정을 위한 보강재(16)는 몸체 측방 라이닝(4)의 외측면에 중첩되게 추가되는바, 구체적으로는 도 2 및 도 3 에서 잘 보이는 바와 같이 라우드스피커 모듈의 상측 지지부(17)의 고정 영역을 형성하도록 의도된 몸체 측방 라이닝(4)의 고정 영역에 추가된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재(17)는 횡축을 따라서 몸체 측부(10)와 내측 라이닝(4) 사이에 배치된다.
아래에서, 보강재(16)는 상측 지지부(17)의 보강재(16)로 한정된다. 보강재(16)는 몸체 측방 라이닝(4)의 제작을 위하여 사용되는 것보다 큰 두께를 가진 스틸 플레이트(steel plate)로 제작된다. 이와 같이 증가된 두께 때문에, 상기 내측 라이닝은 예를 들어 0.6 내지 0.9 mm, 특히 0.65 mm 의 두께를 갖는 반면에, 보강재(16)는 1 내지 1.5 mm 사이의 더 큰 두께를 가지며, 고정 스크류(18)들이 보강재(16)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들의 고정 영역들은 주변 리브(peripheral rib)들에 의해 강화된다. 보강재(16)는, 여기에서는 세 개인 고정 스크류(18)들에 대해 중심에 위치하는 개구의 존재로 인하여 경량화된다. 고정 스크류(18)들은 전용의 구멍들을 통해 몸체 측방 라이닝(4)을 통과한다. 이로써, 트렁크의 후방 단부에 위치한 몸체 측부에 있는 요부, 즉 만입부 안에 수용되는 상측 지지부(17)의 클램핑에 의한 조립이 가능하게 된다.
상측 지지부(17)는, 라우드스피커 모듈(8)의 대략적인 수직 정렬을 보장할 수 있는 고정 브리지를 형성하도록, 스틸 시트(steel sheet)를 접음으로써 제작되는 부품이다. 도 4 에는 상측 지지부(17)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몸체 측방 라이닝(4)의 외형(profile)이 어떠하든지, 상측 지지부(17)는 특히 도 1 의 III-III 선을 따라 취한 상부 부분에서 라우드스피커 모듈과 몸체 측방 라이닝(4) 간의 기계적 연결을 보장한다. 상측 지지부(17)는 보강재(16)의 고정 스크류(18)들의 통과를 위한 개구들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측 지지부(17)는 너트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상측 지지부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우드스피커 모듈의 가역적 장착을 위해 위도된 고정 스크류를 포함한다.
일단 상측 지지부(17)가 몸체 측방 라이닝(4)과 조립된 다음에는, 몸체 측방 라이닝(4)이 보강재(16)와 상측 지지부(17) 사이에 배치된다.
라우드스피커 모듈(8)의 고정은 하측 지지부(7)에 의해서도 이루어지는바, 아래에서는 이에 대해 설명한다. 하측 지지부(7)는 도 1, 3, 4, 5, 및 6 에 도시되어 있다. 하측 지지부(7)는, 아래에서 하측 지지부(7)의 보강재(6)로서 일컬어지는 보강재(6)와 관련된다. 보강재(6)는, 내측 부분(5)에 의해 형성되는 내측 휠 하우징에 대한 하측 지지부(7)의 기계적 연결을 보장한다. 내측 부분(5), 특히 내측 부분(5)의 상부 벽(51)의 곡면이 어떻든지, 보강재(6)는 개구(50)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 벽(51)의 수직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개구(50)를 통과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하여, 보강재(6)는 라우드스피커 모듈이 추가되고 지탱될 수 있는 지탱 표면(61)을 형성한다.
라우드스피커 모듈(8)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탱 표면(61)은 특히 폐쇄 셀(closed cell)들을 구비한 밀봉재와 같은 시일링 수단(9)을 포함하는바, 이것은 라우드스피커 모듈(8)의 인터페이스부(interface)에 직접 접착되는데,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라우드스피커 모듈(8)의 고정 베이스(fixing base)이다. 일단 라우드스피커 모듈(8)이 상기 몸체에 추가 및 고정된 다음에는, 시일링 수단(9)이 보강재(6)의 영역(61)에 압착됨으로써 밀봉이 시일링이 얻어진다.
다양한 변형예에 따르면, 상기 몸체는 특히 폐쇄 셀들을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밀봉재인 시일링 수단(9)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시일링 수단은 하측 지지부의 보강재(6)의 개구(60)의 주변부를 따라서 직접 추가될 수 있다. 시일링은 하측 지지부 보강재의 개구의 주변부 전체를 따라서 연장되는 단일 부재로서 얻어질 수 있다.
지탱 표면(61)은 하측 지지부(7)의 보강재(6)의 상부 부분에 형성되는바, 여기에 라우드스피커 모듈(8)의 하측 영역이 배치되고 지탱된다. 유리하게는, 지탱 표면(61)이 평면이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평면을 이룬다. 상부 벽(51)의 곡면이 어떻든지, 보강재(16)는 라우드스피커 모듈(8)을 위해 적합한 지탱 표면을 형성한다.
하측 지지부(7)의 보강재(6)는 지탱 표면(61)에 중심을 두거나 실질적인 중심을 둔 장원형 구멍 형태의 개구(60)를 포함한다.
개구(50)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대략적으로 종축(X)을 따르는 장원형 구멍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보강재(6)는 특히 체이싱에 의해 제작된 주변 플랜지(62)를 포함하는데, 이것은 도 6 에 부분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플랜지(62)는 개구(50)의 윤곽을 따라서 내측 부분(5)의 아래에 배치되는바, 이것은 용접, 특히 전기 스폿 용접에 의한 고정을 보장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내측 부분(5) 및 하측 지지부 보강재(6)의 개구들(50, 50)은 실질적으로 동축을 이룬다. 이와 같은 구조는, 라우드스피커 모듈(8)과 휠 하우징(2) 사이에 소통 경로(communication pathway)를 형성함을 가능하게 하는바, 이로써 자동차의 몸체(1)가 라우드스피커 모듈의 서브우퍼의 구성요소를 이루게 되어서 뛰어난 음향 성능을 제공한다. 또한, 서브우퍼의 볼륨은 부분적으로 차체 자체에 의해 만들어지기 때문에 라우드스피커 모듈(8)이 작은 체적을 가질 수 있다는 사실에서도 장점이 있다.
휠 하우징(2)은 내측 스크린(inner screen)(11)을 포함하는바, 이것은 공기 및 파편(projectile)들이 몸체, 특히 몸체의 내부와 외부 간에 소통 경로를 만드는 개구들(50, 60)을 향하여 상승함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하측 지지부(7)는 고정 포크 조인트인데, 여기에는 라우드스피커 모듈의 저부 부분이 바람직하게는 나사체결에 의하여 직접 고정되며, 이는 장착이 가역적으로 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것은 애프터세일 교체(after-sale replacement)를 위해 유용하다. 도 1 및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 지지부(7)는 상기 포크 조인트가 연결 스트립(71)을 포함하도록 접혀진 스틸 플레이트로 만들어지는바, 상기 연결 스트립(71)을 넘어서는 라우드스피커 모듈이 나사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러그(72),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고정 러그가 돌출되게 연장된다. 하측 지지부(7)가 보강재(6)에 용접된 때에는, 고정 러그(72)들이 하측 지지부(7)의 보강재(6)의 상부 부분의 지탱 표면(61)의 평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에 배치된다. 스트립(71)의 상부 부분은 향상된 강성을 제공하는 드롭 에지(dropped edge)를 포함한다. 드롭 에지는 고정 러그(72)들의 평면과 동일한 평면에서 연장된다. 스트립(71)은 실질적으로 U자 형상을 갖는바, 이것은 도 4 에 도시되어 있다. 스트립(71)은 보강재(6), 바람직하게는 보강재(6)의 전방 및 후방 횡단 측부들과 내측부를 둘러싼다.
본 발명의 몸체는 트렁크의 측방 라이닝 내부, 구체적으로는 내측 휠 하우징을 포함하는 몸체 측부와 트렁크 라이닝 사이에서 공간을 확보함을 가능하게 한다. 그 결과로써, 바닥부 레벨에서의 공간이 절감된다. 따라서, 자동차 몸체(1)에 포함되는 후방 바닥부에는 자동차의 다른 장비, 예를 들어 요소 탱크(urea tank)와 같이 오염저감 장치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방안은 후방 크렁크에 라우드스피커 모듈을 세심하게 통합시킴을 가능하게 하는바, 라우드스피커 모듈은 트렁크의 측방 라이닝에 의하여 은닉됨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라우드스피커 모듈은 트렁크 덮개가 개방된 이후에도 보이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자동차 몸체는 후방 바닥부 내의 공간을 최적화시키는 목적을 달성하며, 다음과 같은 장점들을 제공한다.
- 본 발명은 다양한 라우드스피커 모듈, 특히 다양한 크기를 가진 라우드스피커 모듈과 호환될 수 있는바, 이것은 상이한 범위의 차량들 간에 내측 휠 하우징의 제작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표준화시킴과 제작 비용 절감을 가능하게 한다.
- 내측 휠 하우징들의 체이싱 범위가 라우드스피커 모듈의 유형에 맞게 쉽게 적합화될 수 있는바, 외부 개구를 필요로 하는 라우드스피커 모듈의 경우에 개구(50)를 생성해야 하는 경우에 다른 방식으로 개구를 생성할 필요가 없다는 점에서 그러하다.
본 발명은 배기 시스템과 관련하여 오염절감 수단을 필요로 하는 내부연소 엔진이 제공되어 있는 자동차에 특히 잘 부합된다.
또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자동차 몸체를 구비한 자동차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방안은 후방 휠 하우징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특히 후방에 장착된 엔진이 제공되어 있는 자동차의 경우에) 전방 휠 하우징에도 적합할 수 있다. 사실, 엔진실이 후방에 위치한 자동차는 후방 휠 하우징에 있어서 부피의 관점에서 더 많은 구속이 따르고, 전방 휠 하우징에 있어서는 상대적으로 덜한 구속이 따른다.

Claims (12)

  1. 적어도 하나의 휠(3) 하우징(2)(wheel housing), 특히 후방 휠 하우징을 포함하는 자동차 몸체(motor vehicle body)(1)로서,
    상기 휠 하우징은 몸체 측방 라이닝(body lateral lining)(4)의 적어도 일 부분과 내측 부분(inner part)(5)의 조립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몸체 측방 라이닝(4)은 휠 하우징(2)의 외측 부분을 한정하는 후방 쿼터 라이닝(rear quarter lining)이며, 상기 내측 부분(5)은 상기 몸체 측방 라이닝을 바닥부(floor), 특히 트렁크 바닥부에 연결하기 위한 부분이고, 상기 내측 부분(5)은 휠 하우징(2)의 내부 부분(interior part)을 한정하며,
    상기 내측 부분(5)은, 라우드스피커 모듈(loudspeaker module)(8), 특히 서브우퍼(subwoofer)의 장착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장하기 위한 하측 지지부(lower support)(7)의 보강재(reinforcement)(6)에의 추가 및 용접시 통과되는 개구(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몸체(1).
  2. 앞선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부분(5)은 상기 휠 하우징(2)의 상부 부분을 한정하기 위하여 상부 벽(top wall)(51), 특히 종축(X) 및 횡축(Y) 주위로 만곡한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 부분(5)의 개구(50)는 상기 상부 벽에 형성되고 대략적으로 종축(X)을 따라 배치된 장원형(oblong) 구멍의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몸체(1).
  3. 앞선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지지부(7)의 보강재(6)는 상기 상부 부분에 상기 라우드스피커 모듈(8)의 저부 영역이 지탱될 수 있는 지탱 표면(61)을 포함하고, 상기 지탱 표면은 특히 평면이거나 실질적으로 평면을 이루고, 상기 내측 부분(5)으로부터, 특히 상부 벽(51)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몸체(1).
  4. 앞선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지지부(7)의 보강재(6)는 상기 지탱 표면(61)에 중심을 갖거나 또는 실질적인 중심을 갖는 장원형 구멍의 형태를 가진 개구(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몸체(1).
  5. 앞선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 몸체(1)는 시일링 수단(sealing means)(9)을 포함하고, 상기 시일링 수단은 특히 하측 지지부(7)의 보강재(6)의 개구(60)의 주변부(perimeter)을 따라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밀봉재로서 폐쇄 셀(closed cell)들을 구비하며, 특히 상기 밀봉재는 하측 지지부 보강재의 개구의 주변부 전체를 따라서 연장된 단일 부재(single piece)로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몸체(1).
  6. 앞선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지지부(7)는 라우드스피커 모듈(8)의 가역적 장착(reversible mounting)을 보장하기 위한 고정 포크 조인트(fixing fork joint)이고, 상기 고정 포크 조인트는 상기 하측 지지부 보강재(6), 특히 상부 벽(51)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되게 배치된 보강재(6)의 부분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추가 및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몸체(1).
  7. 앞선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포크 조인트는 연결 스트립(connecting strip)(71)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스트립(71)을 넘어서는 적어도 하나, 특히 두 개의 고정 러그(fixing lug)(72)가 돌출되게 연장되며, 상기 고정 러그는 하측 지지부(7)의 보강재(6)의 상부 부분의 지탱 표면(61)의 평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몸체(1).
  8. 앞선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지지부(7)의 보강재(6)는 특히 체이싱(chasing)에 의해 제작된 주변 플랜지(peripheral flange)(62)를 포함하고, 상기 주변 플랜지는 내측 부분(5)의 아래에서 상기 내측 부분(5)의 개구(50)의 윤곽(outline)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하측 지지부 보강재(6)는 특히 용접에 의하여 내측 부분(5)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몸체(1).
  9. 앞선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휠(3) 하우징(2)은 라우드스피커 모듈(8)의 서브우퍼의 구성요소, 특히 어쿠스틱 노즐(acoustic nozzl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몸체(1).
  10. 앞선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 몸체(1)는, 라우드스피커 모듈(8)의 장착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장하기 위한 상측 지지부(17)의 고정을 위하여 의도된 몸체 측방 라이닝(4)의 보강재(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몸체(1).
  11. 앞선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측방 라이닝(4)의 보강재(16)는 몸체 측방 라이닝(4)의 외측부(outer side)에 배치되고, 상기 측방 라이닝 보강재(16)는 상기 상측 지지부(17), 특히 상기 라우드스피커 모듈(8)을 상기 몸체의 몸체 측방 라이닝(4)에 연결하는 고정 브리지(fixing bridge)의 가역적 장착을 위하여 상기 몸체 측방 라이닝(4)을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1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몸체(1).
  12. 앞선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자동차 몸체(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KR1020217013928A 2018-10-09 2019-10-02 라우드스피커 모듈을 구비한 자동차 몸체 KR2021006062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871151 2018-10-09
FR1871151A FR3086903B1 (fr) 2018-10-09 2018-10-09 Caisse de vehicule automobile equipe d’un module de haut-parleur
PCT/EP2019/076690 WO2020074339A1 (fr) 2018-10-09 2019-10-02 Caisse de véhicule automobile équipé d'un module de haut-parleu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0624A true KR20210060624A (ko) 2021-05-26

Family

ID=65244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3928A KR20210060624A (ko) 2018-10-09 2019-10-02 라우드스피커 모듈을 구비한 자동차 몸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863892B1 (ko)
KR (1) KR20210060624A (ko)
CN (1) CN112805183A (ko)
FR (1) FR3086903B1 (ko)
WO (1) WO20200743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37653A1 (fr) * 2022-07-05 2024-01-12 Renault S.A.S Structure avant de véhicule automobile électrique équipé d’un générateur sonor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46594B3 (de) * 2005-09-28 2007-03-08 Daimlerchrysler Ag Lautsprecher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unter Ausnutzung von durch Tragstrukturen gebildeten Hohlräumen
DE102009041552A1 (de) * 2009-09-15 2011-03-24 Daimler Ag Lautsprecherbox für Kraftfahrzeug mit einer Soundanl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63892B1 (fr) 2023-06-21
FR3086903B1 (fr) 2021-02-26
WO2020074339A1 (fr) 2020-04-16
FR3086903A1 (fr) 2020-04-10
CN112805183A (zh) 2021-05-14
EP3863892A1 (fr) 2021-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02360B2 (ja) 車両のドア構造
JP3640637B2 (ja) 車両用カウルトップパネルのシール構造
JP6015190B2 (ja) バッテリボックス
JP2000264252A (ja) 自動車の外気導入構造
US7905531B2 (en) Apparatus for mounting roof rack to sunroof for vehicles
JP3976197B2 (ja) 自動車のフロントボデー構造
JP2006282119A (ja) 車両のルーフサイド部取付構造
KR20210060624A (ko) 라우드스피커 모듈을 구비한 자동차 몸체
CN107826170B (zh) 车辆前围部结构
CN107031736B (zh) 车身前部结构
JPH10329756A (ja) 車両フロントエンドモジュール構造
KR102407715B1 (ko) 스피커 모듈을 장착한 차량 휠 하우징
RU2797181C2 (ru) Кузов авто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оснащенный модулем акустической системы
CN112823116B (zh) 包括扬声器模块的车身布置
JP3865613B2 (ja) 自動車のバンパ補強構造
CN217435604U (zh) 用于车辆的尾灯安装支架和车辆
JP4296823B2 (ja) 車両天井構造
JP2014129005A (ja) 車体内部構造
US20230331312A1 (en) Vehicle outer panel assembly
JP2014046751A (ja) 車両用ステアリングハンガビーム支持構造
JPH06166381A (ja) 自動車の車体前部構造
JP2008012935A (ja) 自動車のリヤコンビネーションランプ取付構造
JPH0352613Y2 (ko)
JP3431457B2 (ja) 自動車の車体におけるカウルルーバ取付構造
JP2014129004A (ja) 車体内部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