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0311A - 탄성 크롤러 - Google Patents

탄성 크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0311A
KR20210060311A KR1020200138328A KR20200138328A KR20210060311A KR 20210060311 A KR20210060311 A KR 20210060311A KR 1020200138328 A KR1020200138328 A KR 1020200138328A KR 20200138328 A KR20200138328 A KR 20200138328A KR 20210060311 A KR20210060311 A KR 202100603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gs
driving
crawler
lug
circumferenti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8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재
Original Assignee
최용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용재 filed Critical 최용재
Priority to US17/092,745 priority Critical patent/US11970226B2/en
Publication of KR20210060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03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8Tracks
    • B62D55/24Tracks of continuously flexible type, e.g. rubber belts
    • B62D55/244Moulded in one piece, with either smooth surfaces or surfaces having projections, e.g. incorporating reinforc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8Tracks
    • B62D55/24Tracks of continuously flexible type, e.g. rubber belts
    • B62D55/253Tracks of continuously flexible type, e.g. rubber belts having elements interconnected by one or more cables or like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내구성이 향상됨과 아울러, 주행시의 진동, 소음의 발생 및 균열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탄성 크롤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탄성 크롤러는 크롤러 본체의 좌우방향 중앙부에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배치된 결합부와, 크롤러 본체의 원주방향으로 이웃하는 결합부 사이에 좌우방향으로 배치된 심금과, 크롤러 본체의 외주측에 설치된 좌우 2열의 러그열을 구비하고, 각 러그열은 상기 심금에 대하여 경사방향으로 배치된 구동러그를 구비하고, 각 구동러그는 원주방향으로 이웃하는 2개의 상기 심금과 각각 겹쳐진다.

Description

탄성 크롤러 {Elastic Crawler}
본 발명은 탄성 크롤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운반차, 농업용 기계, 제설기, 건설용 기계 등의 무한궤도장치에 사용하는 탄성 크롤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반차 등의 무한궤도장치에 사용하는 탄성 크롤러는 고무 등의 탄성재료에 의해 구성된 크롤러 본체를 구비하고, 이 크롤러 본체의 좌우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다수의 결합구멍을 형성하고, 또 그 각 결합구멍 사이의 크롤러 본체내에 좌우방향(폭방향)의 심금을 매설하고, 또 크롤러 본체의 외주측에 좌우 2열의 러그열이 배치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8-144633호에는 이와 같은 탄성 크롤러에 대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이 종류의 탄성 크롤러에서는 주행중의 진동을 경감함과 동시에 크롤러 본체의 균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좌우 2열의 러그열에 크롤러 본체내의 각 심금에 대하여 경사형상으로 배치된 구동러그와 원주방향으로 이웃하는 구동러그 사이를 접속하는 접속러그를 구비하고, 각 러그열이 원주방향으로 연속형상으로 구성된다.
종래 탄성 크롤러는 좌우 2열의 러그열에 있어서, 그 구동러그와 접속러그가 원주방향으로 연속하여 있기 때문에, 원주방향의 러그 사이에 간격이 있는 것에 비교하여 진동 및 균열의 발생을 적게 하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각 러그열의 구동러그와 심금은 각 구동러그가 각 심금에 대하여 1개소에서 겹쳐지도록 배치되므로, 도로면 주행시에는 구동러그의 심금과의 중첩부분의 면압이 높아져 내구성이 저하하는 외에 주행시의 진동음의 발생을 충분히 방지할 수 없다는 결점이 있다.
즉, 주행시에는 구동륜, 유동회전륜 등이 크롤러 본체에 이어져 상대적으로 구름운동하면서 크롤러 본체를 전후진방향과 원주방향으로 안내한다. 그러나, 각 구동러그는 각 심금에 대하여 1개소에서 겹쳐지고, 중첩부분의 면적이 작기 때문에, 구동러그가 도로면에 접촉할 때에 구동러그의 심금과의 중첩부분의 면압이 높아지고, 그 중첩부분에서 구동러그가 손상되기 쉽다는 등, 구동러그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결점이 있다.
또, 중첩부분의 높은 면압에 대해서도 충분히 대항할 수 있는 정도로 구동러그를 포함하는 크롤러 본체의 탄성재료로 경질재료를 선택하면, 도로면의 주행시에 각 심금이 도로면측에 대응할 때마다 경질 구동러그가 적은 면적의 중첩부분에서 도로면을 두드리게 되고, 주행시의 진동, 소음이 커지는 결점이 있다.
그리고, 각 구동러그와 각 심금의 중첩부분의 면적이 작기 때문에, 주행시에 중첩부분의 전후 양측에서 크롤러 본체가 크게 굴곡하게 되어 크롤러 본체 자체에 균열이 발생하기 쉬운 결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에 조감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내구성이 향상됨과 아울러, 주행시의 진동, 소음의 발생 및 균열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탄성 크롤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 크롤러는 크롤러 본체의 좌우방향 중앙부에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배치된 결합부와, 상기 크롤러 본체의 원주방향으로 이웃하는 결합부 사이에 좌우방향으로 배치된 심금과, 상기 크롤러 본체의 외주측에 설치된 좌우 2열의 러그열을 구비하고, 상기 각 러그열은 상기 심금에 대하여 경사방향으로 배치된 구동러그를 구비한 탄성 크롤러에 있어서, 상기 각 구동러그는 원주방향으로 이웃하는 2개의 상기 심금과 각각 겹쳐지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원주방향으로 이웃하는 2개의 상기 구동러그는 그 내단부측이 원주방향으로 이웃하는 2개의 상기 심금의 한쪽에 그 외단부측이 상기 심금의 다른쪽에 각각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각 구동러그는 전진방향의 앞쪽으로 돌출하여 원호형상으로 만곡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각 구동러그는 전진방향의 뒤쪽으로 돌출하여 원호형상으로 만곡하거나, 대략 직선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러그열마다 원주방향으로 이웃하는 2개의 상기 구동러그를 접속하는 접속러그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접속러그의 상면은 그 접속러그에 대응하는 상기 구동러그의 접속러그 대응부분의 상면보다 낮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 크롤러에 의하면, 크롤러 본체의 좌우방향 중앙부에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배치된 결합부와, 상기 크롤러 본체의 원주방향으로 이웃하는 결합부 사이에 좌우방향으로 배치된 심금과, 상기 크롤러 본체의 외주측에 설치된 좌우 2열의 러그열을 구비하고, 상기 각 러그열은 상기 심금에 대하여 경사방향으로 배치된 구동러그를 구비한 탄성 크롤러에 있어서, 상기 각 구동러그는 원주방향으로 이웃하는 2개의 상기 심금과 각각 겹쳐지기 때문에, 내구성이 향상됨과 아울러, 주행시의 진동, 소음의 발생 및 균열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탄성 크롤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탄성 크롤러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탄성 크롤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탄성 크롤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탄성 크롤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탄성 크롤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탄성 크롤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탄성 크롤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탄성 크롤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E-E선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탄성 크롤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탄성 크롤러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탄성 크롤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탄성 크롤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탄성 크롤러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탄성 크롤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탄성 크롤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가지 다양한 형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밀접한 관계가 없는 부분은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으며, 발명의 설명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반복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탄성 크롤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탄성 크롤러는,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무 기타의 탄성재료에 의해 구성된 무한궤도형상의 크롤러 본체(1)와, 크롤러 본체(1)의 좌우방향 대략 중앙부에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일열형상으로 배치된 구동륜용의 결합구멍(2)과, 크롤러 본체(1) 내의 각 결합구멍(2) 사이에 좌우방향으로 배치된 심금(3)과, 크롤러 본체(1)의 외주측 결합구멍(2)의 좌우 양측에 배치된 좌우 2열의 러그열(4a), (4b)을 구비하고, 구동륜, 종동륜, 유동회전륜 등에 감겨 있다.
상기 크롤러 본체(1)에는 스틸와이어 등의 항장체(5a), (5b)가 좌우방향으로 복수개 매입되어 있다. 상기 결합구멍(2)은 구동륜의 결합돌기가 결합하는 것으로, 크롤러 본체(1)의 좌우방향 대략 중앙부에 원주방향으로 대략 등간격을 두고 1열형상으로 다수(복수)개 설치된다.
상기 심금(3)은 크롤러 본체(1)의 좌우방향 중앙부에 위치하는 결합부(6)와, 상기 결합부(6)의 양쪽으로부터 크롤러 본체(1)의 좌우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날개부(7a), (7b)와, 상기 결합부(6)의 양쪽으로부터 크롤러 본체(1)의 내주측으로 돌출하는 안내돌기(8a), (8b)를 일체로 구비한다. 상기 크롤러 본체(1)에는 심금(3)의 결합부(6) 사이에 결합구멍(2)이 형성되고, 구동륜 외주의 결합돌기가 결합구멍(2) 안으로부터 결합부(6)로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좌우 2열의 러그열(4a), (4b)은 크롤러 본체(1)의 좌우방향 양쪽에 좌우대칭으로 배치되고, 그 각 러그열(4a), (4b)에는 다수(복수)의 구동러그(9a), (9b)와 접속러그(10a), (10b)가 원주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된다. 상기 좌우의 구동러그(9a), (9b) 및 접속러그(10a), (10b)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주방향으로 동일 피치로 좌우대칭으로 배치된다. 또, 상기 구동러그(9a), (9b) 및 접속러그(10a), (10b)는 단면 사다리꼴형상이고, 크롤러 본체(1)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고, 그 상면은 대략 동일한 높이로 구성된다.
상기 좌우의 각 구동러그(9a), (9b)는 크롤러 본체(1)의 좌우방향 중앙쪽 내단부(11a), (11b)와, 좌우방향 외측의 외단부(12a), (12b) 사이에 완만하게 만곡되는 원호형상이고, 내단부(11a), (11b)가 원주방향으로 이웃하는 2개의 심금(3) 중 전진방향(도 1의 화살표 X 방향)쪽의 심금(3)상에 위치하고, 외단부(12a), (12b)가 원주방향으로 이웃하는 2개의 심금(3) 중 후진방향쪽 심금(3)의 바깥쪽 연장상에 위치하도록, 크롤러 본체(1)의 원주방향 및 좌우방향의 선에 대하여 경사방향으로 경사형상으로 배치된다.
즉, 상기 구동러그(9a), (9b)는 내단부(11a), (11b)쪽으로부터 외단부(12a), (12b)쪽으로 전진방향의 뒤쪽으로 팽창하는 완만한 원호형상으로 형성되고, 게다가 심금(3)에 대하여 대체로 경사형상으로 배치된다. 상기 구동러그(9a), (9b)는, 도 1에 사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내단부(11a), (11b)가 크롤러 본체(1)의 전진방향 앞쪽의 심금(3)과 전중첩부(13a), (13b)에서 겹쳐지고, 외단부(12a), (12b) 보다도 내측으 중간부분이 후중첩부(14a), (14b)에서 뒤쪽의 심금(3)과 겹쳐진다. 또, 구동러그(9a), (9b)의 내단부(11a), (11b)쪽은 결합구멍(2)의 양측에 좌우로 서로를 향하여 배치되고, 외단부(12a), (12b)는 크롤러 본체(1)의 좌우 양쪽에 배치된다.
상기 각 접속러그(10a), (10b)는 원주방향으로 이웃하는 구동러그(9a), (9b)를 접속하는 것으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롤러 본체(1)의 좌우방향의 외측에 팽창하는 완만한 원호형상으로 만곡된다. 각 접속러그(10a), (10b)는 그 양단의 전접속부(15a), (15b) 및 후접속부(16a), (16b) 중 크롤러 본체(1)의 전진방향 앞쪽의 전접속부(15a), (15b)가 좌우방향의 중간에서 앞쪽의 구동러그(9a), (9b)에 일체로 접속되고, 전진방향 뒤쪽의 후접속부(16a), (16b)가 전접속부(15a), (15b) 보다도 좌우방향의 내측으로 뒤쪽의 구동러그(9a), (9b)에 일체로 접속된다. 따라서, 각 접속러그(10a), (10b)는 그 전후 양쪽이 구동러그(9a), (9b)에 대하여 대략 직각 또는 대략 직각에 가까운 각도로 배치된다.
상기 각 접속러그(10a), (10b)는, 도 1에 사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전접속부(15a), (15b)를 포함하는 많은 부분이 중첩부(17a), (17b)에서 심금(3)이 겹쳐진다. 각 접속러그(10a), (10b)의 후접속부(16a), (16b)는 전후의 심금(3)과 겹치지 않고 이웃하는 심금(3) 사이의 중간위치에 배치된다.
또, 상기 구동러그(9a), (9b)에는 그 원주방향의 양쪽 접속러그(10a), (10b)가 접속되지만, 후접속부(16a), (16b)가 좌우방향 안쪽에 위치하고, 전접속부(15a), (15b)가 좌우방향 바깥쪽에 위치한다. 전접속부(15a), (15b) 및 후접속부(16a), (16b)의 심금(3)과의 중첩상태는 반대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종류의 탄성 크롤러에서는 크롤러 본체(1)는 각 구동륜 등을 따라서 원주방향으로 회전운동하므로, 그 회전운동시에 구동륜 등이 각 심금(3)상을 상대적으로 통과한다. 따라서, 크롤러 본체(1)가 전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도로면상을 주행하는 경우에는 크롤러 본체(1)의 회전운동에 수반하여 각 심금(3)이 도로면쪽에 대응할 때마다, 심금(3) 등을 통하여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각 구동러그(9a), (9b)가 도로면에 순차 압접하면서 전후진방향으로 주행한다.
이 실시예의 탄성 크롤러에서는 좌우의 각 러그열(4a), (4b)에 있어서, 원주방향으로 이웃하는 2개의 구동러그(9a),(9b)가 원주방향으로 이웃하는 2개의 심금(3)에 대하여 경사형상으로 배치되고, 각 심금(3)에 대하여 전중첩부(13a), (13b)와 후중첩부(14a), (14b)에서 각각 겹쳐지므로, 각 심금(3)이 도로면쪽에 대응할 때마다, 회전운동방향 앞쪽의 구동러그(9a), (9b)와 그 뒤쪽의 구동러그(9a), (9b)의 전후 2개의 구동러그(9a), (9b)가 심금(3)상에 겹쳐진 상태로 된다. 또, 각 구동러그(9a), (9b) 사이의 접속러그(10a), (10b)의 중첩부분도 심금(3)에 겹쳐진 상태로 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러그(9a), (9b)와 심금(3)이 전중첩부(13a), (13b)와 후중첩부(14a), (14b)의 2개소에서 겹쳐지므로, 1개소에서 심금과 겹쳐지는 종래 탄성 크롤러에 비교하여 중첩부(13a), (13b), (14a), (14b)의 면적을 확대하는 것이 가능하고, 구동러그(9a), (9b)가 도로면에 접촉할 때에 구동러그(9a), (9b)의 중첩부분의 면압을 낮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각 구동러그(9a), (9b)가 낮은 면압으로 도로면상을 구르는 것으로 되고, 구동러그(9a), (9b)의 내구성이 향상됨과 아울러, 주행시에 구동러그(9a), (9b)가 도로면을 두드리는 진동, 주행음(구르는 소리)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원주방향으로 이웃하는 2개의 심금(3)에 대하여 원주방향으로 이웃하는 2개의 구동러그(9a), (9b)가 각각 겹쳐지고, 원주방향으로 이웃하는 2개의 심금(3)에 걸쳐져 원주방향으로 이웃하는 2개의 구동러그(9a), (9b)가 있으므로, 원주방향으로 이웃하는 2개의 심금(3) 사이에서 크롤러 본체(1)가 극단적으로 굴곡하는 것이 없고, 각 심금(3)의 양쪽에서 크롤러 본체(1)의 균열 발생 등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 구동러그(9a), (9b) 사이를 접속하는 접속러그(10a), (10b)에도 심금(3)과의 중첩부분이 있으므로, 각 심금(3)마다 볼 경우, 각 러그열(4a), (4b)에 있어서 합계 3개소에서 러그(9a), (9b), (10a), (10b)의 중첩부분이 있다. 이 때문에 러그(9a), (9b), (10a), (10b) 전체의 면압을 더 낮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탄성 크롤러를 예시한다. 이 탄성 크롤러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의 러그열(4a), (4b)을 구비하고, 그 각 러그열(4a), (4b)의 구동러그(9a), (9b) 및 접속러그(10a), (10b)는 대략 직선형상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다른 구성은 상기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좌우의 러그열(4a), (4b)의 구동러그(9a), (9b) 및 접속러그(10a), (10b)를 대략 직선형상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의 구동러그(9a), (9b) 및 접속러그(10a), (10b)를 채용하는 경우에도, 구동러그(9a), (9b)를 2개의 중첩부(13a), (13b), (14a), (14b)에서 심금(3)에, 접속러그(10a), (10b)를 중첩부(17a), (17b)에서 심금(3)에 각각 겹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구동러그(9a), (9b)의 면압을 낮추어 구동러그(9a), (9b)의 내구성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 주행시의 진동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크롤러 본체(1)의 균열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탄성 크롤러를 예시한다. 이 탄성 크롤러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의 러그열(4a), (4b)을 구비하고, 그 각 러그열(4a), (4b)의 구동러그(9a), (9b) 및 접속러그(10a), (10b)는 원호형상으로 만곡하여 구성된다.
상기 각 구동러그(9a), (9b)는 내단부(11a), (11b)와 외단부(12a), (12b)의 사이에서 전진방향이 앞쪽을 팽창하는 원호형상으로 만곡되고, 중첩부(13a), (13b), (14a), (14b)에서 심금(3)과 겹쳐진다. 접속러그(10a), (10b)는 그 대략 전체이 중첩부(17a), (17b)에서 심금(3)에 겹쳐진다. 그리고, 다른 구성은 상기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탄성 크롤러에서는 구동러그(9a), (9b)는 원호형상으로 만곡되지만, 제1실시예의 구동러그(9a), (9b)와 비교하면, 그 만곡방향은 역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구동러그(9a), (9b)를 2개의 중첩부(13a), (13b), (14a), (14b)에서 심금(3)에, 접속러그(10a), (10b)를 중첩부(17a), (17b)에서 심금(3)에 각각 겹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구동러그(9a), (9b)의 면압을 낮추어 구동러그(9a), (9b)의 내구성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 주행시의 진동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크롤러 본체(1)의 균열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탄성 크롤러를 예시한다. 이 탄성 크롤러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의 러그열(4a), (4b)을 구비한다. 좌우의 각 러그열(4a), (4b)은 원호형상으로 만곡하는 구동러그(9a), (9b) 및 접속러그(10a), (10b)를 구비하지만, 좌우의 각 러그열(4a), (4b)의 구동러그(9a), (9b) 및 접속러그(10a), (10b)는 크롤러 본체(1)의 원주방향으로 반피치 어긋난 상태로 배치된다.
상기 좌우 각 러그열(4a), (4b)의 구동러그(9a), (9b)는 각 심금(3)에 대하여 2개소의 중첩부(13a), (13b), (14a), (14b)에서 겹쳐지고, 접속러그(10a), (10b)는 각 심금(3)에 대하여 1개소의 중첩부(17a), (17b)에서 겹쳐진다. 그리고, 다른 구성은 상기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좌우 러그열(4a), (4b)의 구동러그(9a), (9b) 및 접속러그(10a), (10b)를 크롤러 본체(1)의 원주방향으로 반피치 어긋하게 배치한 경우에도, 각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구동러그(9a), (9b)를 2개의 중첩부(13a), (13b), (14a), (14b)에서 심금(3)에, 접속러그(10a), (10b)를 중첩부(17a), (17b)에서 심금(3)에 각각 겹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구동러그(9a), (9b)의 면압을 낮추어 구동러그(9a), (9b)의 내구성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 주행시의 진동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크롤러 본체(1)의 균열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8 및 도 9에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탄성 크롤러를 예시한다. 이 탄성 크롤러는,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의 러그열(4a), (4b)을 구성하는 구동러그(9a), (9b)와 접속러그(10a), (10b) 중, 구동러그(9a), (9b)의 상면 높이(H1)를 접속러그(10a), (10b)의 상면 높이(H2) 보다도 높게 구성한다. 그리고, 다른 구성은 상기한 각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구동러그(9a), (9b)의 상면 높이(H1)를 접속러그(10a), (10b)의 상면 높이(H2) 보다도 높게 구성하는 것에 의해, 정지되지 않은 곳을 주행시에도, 구동러그(9a), (9b)의 접속러그(10a), (10b)에 대응하는 부분에서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구동러그(9a), (9b)의 지면에 대한 침식이 양호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즉, 구동러그(9a), (9b)와 접속러그(10a), (10b)의 상면 높이가 대략 같은 경우에는 구동러그(9a), (9b)의 접속러그(10a), (10b)에 대응하는 부분과 지면과의 사이에서 미끄러짐이 발생하기 쉽고, 구동러그(9a), (9b)의 지면에 대한 침식이 나빠진다.
그러나, 구동러그(9a), (9b)의 상면 높이(H1)를 접속러그(10a), (10b)의 상면 높이(H2) 보다도 높게 하면, 접속러그(10a), (10b)에 대응하는 부분에서도 구동러그가 돌출하기 때문에, 구동러그(9a), (9b)와 지면과의 사이의 미끄러짐이 적어지고, 구동러그(9a), (9b)의 지면에 대한 침식이 양호하게 된다.
도 10 및 도 11에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탄성 크롤러를 예시한다. 구동러그(9a), (9b)의 상면 높이(H1)를 접속러그(10a), (10b)의 상면 높이(H2) 보다도 높게 구성한 경우에는,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속러그(10a), (10b)의 양단의 구동러그(9a), (9b)쪽에 "V"형상, 그 외의 오목부(10c)를 설치하여, 구동러그(9a), (9b)와 접속러그(10a), (10b)의 경계를 두드러지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2에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탄성 크롤러를 예시한다. 좌우 2열의 러그열(4a), (4b)은 구동러그(9a), (9b)와 접속러그(10a), (10b)를 구비하고, 그 구동러그(9a), (9b)는 심금(3)에 대하여 대체로 경사형상이지만,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측부분(20a), (20b)과 외측부분(21a), (21b)에서 심금(3)에 대한 각도가 차이가 있다.
즉, 구동러그(9a), (9b)의 평면에서 본 위의 러그형상을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성하면, 탄성 크롤러의 전진시와 후퇴시의 구동력이 극단적으로 다르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구동러그(9a), (9b)를 도 6 또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원호형상으로 구성한 경우에는 구동러그(9a), (9b)의 심금(3)에 대한 각도는 크롤러 본체(1)의 좌우방향 중앙쪽에 비교하여 양단쪽이 크게 된다.
이 때문에, 정지되지 않는 곳을 주행할 때에, 크롤러 본체(1)가 전진방향(화살표 X 방향)으로 회전한 때에는 크롤러 본체(1)의 좌우 양쪽 부분에서는 구동러그(9a), (9b)의 만곡형상을 따라 흙이 좌우 양쪽으로 안내되어 이동하고, 구동러그(9a), (9b)의 지면에 대한 침식력이 저하된다.
한편, 크롤러 본체(1)가 후퇴방향으로 회전한 때에는 크롤러 본체(1)의 좌우 양단쪽 부분의 흙이 구동러그(9a), (9b)의 만곡형상을 따라 좌우방향의 중앙쪽으로 안내되기 때문에, 구동러그(9a), (9b)의 지면에 대한 침식력이 향상된다. 그 결과, 전진시와 후퇴시에서 구동력이 크게 차이가 나게 된다.
그러나,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러그(9a), (9b)를 중간부에서 굴곡시켜 내측부분(20a), (20b)과 외측부분((21a), (21b)이 "ㄱ"형상이 되도록 구성하는 것에 의해 전진시와 후퇴시의 구동력이 극단적으로 다르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3 및 도 14에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탄성 크롤러를 예시한다. 이 탄성 크롤러는 크롤러 본체(1)의 외주에 구동러그(9a), (9b)와 접속러그(10a), (10b)가 설치되고, 크롤러 본체(1)의 내주에 차륜구름운동부(22a), (22b)가 설치된다. 구동러그(9a), (9b)와 접속러그(10a), (10b)는 상기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차륜구름운동부(22a), (22b)는 크롤러 본체(1)의 회전운동시에 구동륜, 종동륜, 유동회전륜 등으 차륜(24a), (24b)이 구름운동하는 차륜구름운동로(23a), (23b)를 구성하고, 좌우 안내돌기(8a), (8b)의 외측에 접속러그(10a), (10b)에 대응하여 원주방향으로 열형상(列形狀)으로 배치된다.
이와 같이 크롤러 본체(1)의 내주에 외주측의 접속러그(10a), (10b)에 대응하여 차륜구름운동부(22a), (22b)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것에 의해 차륜(24a), (24b)이 차륜구름운동로(23a), (23b)를 구름운동할 때의 크롤러 본체(1)의 상하방향 진동을 극력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5 내지 도 17에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탄성 크롤러를 예시한다. 이 탄성 크롤러는,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롤러 본체(1)의 외주에 구동러그(9a), (9b)와 접속러그(10a), (10b)가 설치된다. 이들은 상기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크롤러 본체(1)의 내주에는,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심금(3)의 좌우 한쌍의 안내돌기(8a), (8b)가 돌출된다. 각 안내돌기(8a), (8b)는 머리부(81a), (81b)쪽이 원주방향(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그 머리부(81a), (81b)에 있어서, 유동회전륜(25)이 구름운동하는 차륜구름운동로(23a), (23b)가 형성된다. 각 안내돌기(8a), (8b)의 머리부(81a), (81b)는 심금(3)에 대하여 원주방향의 반대로 향하여 돌출된다. 유동회전륜(25)은 안내돌기(8a), (8b)의 머리부(81a),(81b)를 구름운동하는 좌우 한쌍의 소경의 회전륜부(25a), (25b)와, 이 한쌍의 회전륜부(25a), (25b) 사이에 배치되고 안내돌기(8a), (8b)의 내측부에 의해 안내되는 대경의 피안내부(25c)를 보유한다.
이와 같이 안내돌기(8a), (8b)의 머리부(81a), (81b)를 유동회전륜(25)이 구름운동하는 듯한 형식의 탄성 크롤러에 있어서도,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구동러그(9a), (9b)의 면압을 저하시켜 구동러그(9a), (9b)의 내구성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 주행시의 진동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크롤러 본체(1)의 균열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8 내지 도 20에는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탄성 크롤러를 예시한다. 이 탄성 크롤러는,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롤러 본체(1)의 외주에 구동러그(9a), (9b)와 접속러그(10a), (10b)가 설치된다. 이들은 상기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크롤러 본체(1)의 내주에는,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심금(3)의 좌우 한쌍의 안내돌기(8a), (8b)와, 이 안내돌기(8a), (8b)의 외측에 배치된 차륜구름운동부(26a), (26b)가 설치된다. 안내돌기(8a), (8b)와 차륜구름운동부(26a), (26b)는 원주방향(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또 좌우 동일측에서 안내돌기(8a), (8b)와 차륜구름운동부(26a), (26b)는 심금(3)에 대하여 원주방향의 반대로 향하여 돌출된다. 또, 좌우의 안내돌기(8a), (8b)와 좌우의 차륜구름운동부(26a), (26b)는 심금(3)마다 점대칭으로 되어 있다.
상기 차륜구름운동부(26a), (26b)는 유동회전륜(28) 대경의 회전륜부(28a), (28b)가 구름운동하는 차륜구름운동로(23a), (23b)를 구성한다. 원주방향으로 이웃하는 차륜구름운동부(26a), (26b) 사이에는 크롤러 본체(1)의 굴곡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오목부(29a), (29b)가 좌우방향으로 설치된다. 유동회전륜(28)은 좌우 양단측에 형성되고 차륜구름운동부(26a), (26b)상을 구름운동 가능한 대경의 회전륜부(28a), (28b)와, 안내돌기(8a), (8b)상에 대응하는 소경부(28c)와, 회전륜부(28a), (28b) 및 소경부(28c) 사이에 형성되고 안내돌기(8a), (8b)의 외측 모서리부에 의해 좌우방향의 위치가 규제되는 경사부(28d), (28e)를 보유한다. 차륜구름운동로(23a), (23b)는 접속러그(10a), (10b)에 대응된다.
이와 같은 유동회전륜(28)을 사용하는 탄성 크롤러에 있어서도,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구동러그(9a),(9b)의 면압을 저하시켜 구동러그(9a), (9b)의 내구성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 주행시의 진동을 방지함과 아울러, 크롤러 본체(1)의 균열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도 19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유동회전륜(28)에 소경의 회전륜부(28f), (28g)를 설치하는 한편, 이 회전륜부(28f), (28g)에 대응하여 안내돌기(8a), (8b)의 상면을 차륜구름운동부(81a), (81b)로 하고, 대경의 회전륜부(28a), (28b)가 차륜구름운동부(26a), (26b)상을 구름운동함과 동시에, 소경의 회전륜부(28f), (28g)가 차륜구름운동부(81a), (81b)상을 구름운동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실시예에서는 크롤러 본체(1)의 외주측에 좌우 2열의 러그열(4a), (4b)을 구성하는 구동러그(9a), (9b)와 접속러그(10a), (10b)는 주행로쪽의 조건에 대응하여 원호형상, 직선형상, 굴곡형상, 그외의 적당한 형상으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구동러그(9a), (9b)를 이웃하는 2개의 심금(3)과 겹치도록 배치하는 데 있어서는 구동러그(9a), (9b)를 심금(3)에 대하여 대체로 사선방향으로 경사형상으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구동러그(9a), (9b)는 이웃하는 2개의 심금(3)에 걸쳐 구불구불하도록 굴곡형상으로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접속러그(10a), (10b)는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구동러그(9a), (9b)는 이웃하는 2개 이상의 심금(3)과 겹쳐지도록 배치되면 좋다. 그 경우, 상면을 포함하는 구동러그(9a), (9b)의 일부가 심금(3)과 겹쳐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단면 사다리꼴형상의 구동러그(9a), (9b) 중, 그 상부측 경사부 등과 같이 구동러그(9a), (9b)의 상면 이외의 일부라도 가능하다. 각 러그열(4a), (4b)의 구동러그(9a), (9b)가 한종류인 경우에는 그 각 구동러그(9a), (9b)가 심금(3)과 겹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장단 2종류의 구동러그(9a), (9b) 등, 복수 종류의 구동러그(9a), (9b)가 있는 경우에는 그 전부의 구동러그(9a), (9b)가 이웃하는 적어도 2개의 심금(3)과 겹쳐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고, 복수 종류의 구동러그(9a), (9b) 중의 일부, 예를 들면 주요 구동러그(9a), (9b)가 이웃하는 2개의 심금(3)과 겹치고, 다른 구동러그(9a), (9b)가 하나의 심금(3)과 겹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구동러그(9a), (9b)와 접속러그(10a), (10b)는 상면이 대략 동일 높이여도 좋지만, 구동러그(9a), (9b)의 상면을 접속러그(10a), (10b)의 상면보다도 높게 하면, 구동력의 지면에 대한 침식이 좋아지고, 구동력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경우, 구동러그(9a), (9b)는 적어도 접속러그(10a), (10b)에 대응하는 부분이 높게 되어 있으면 된다.
상기한 각 실시예에서는 크롤러 본체(1)의 좌우방향 중앙부에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배치된 결합구멍(2)과, 크롤러 본체(1)의 원주방향으로 이웃하는 결합구멍(2) 사이에 폭방향으로 배치딘 심금(3)가, 크롤러 본체(1)의 외주측에 설치된 좌우 2열의 러그열(4a),(4b)을 구비한 탄성 크롤러를 예시하지만, 결합구멍(2)에 대체하여 내주에 돌출하는 결합부를 구비한 탄성 크롤러에서도 마찬가지로 실시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 크롤러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발명의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 - 크롤러 본체, 2 - 결합구멍, 3 - 심금, 4a,4b - 러그열, 6 - 결합부
9a,9b - 구동러그, 10a,10b -접속러그, 11a,11b - 내단부, 12a,12b - 외단부
13a,13b - 전중첩부, 14a,14b - 후중첩부, 15a,15b - 전접속부
16a,16b - 후접속부, 17a,17b - 중첩부, 20a,20b - 내측부분
21a,21b - 외측부분

Claims (7)

  1. 크롤러 본체의 좌우방향 중앙부에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배치된 결합부와, 상기 크롤러 본체의 원주방향으로 이웃하는 결합부 사이에 좌우방향으로 배치된 심금과, 상기 크롤러 본체의 외주측에 설치된 좌우 2열의 러그열을 구비하고, 상기 각 러그열은 상기 심금에 대하여 경사방향으로 배치된 구동러그를 구비한 탄성 크롤러에 있어서,
    상기 각 구동러그는 원주방향으로 이웃하는 2개의 상기 심금과 각각 겹쳐지는 탄성 크롤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원주방향으로 이웃하는 2개의 상기 구동러그는 그 내단부측이 원주방향으로 이웃하는 2개의 상기 심금의 한쪽에 그 외단부측이 상기 심금의 다른쪽에 각각 위치하는 탄성 크롤러.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각 구동러그는 전진방향의 앞쪽으로 돌출하여 원호형상으로 만곡하는 탄성 크롤러.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각 구동러그는 전진방향의 뒤쪽으로 돌출하여 원호형상으로 만곡하는 탄성 크롤러.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각 구동러그는 직선형상인 탄성 크롤러.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러그열마다 원주방향으로 이웃하는 2개의 상기 구동러그를 접속하는 접속러그를 구비한 탄성 크롤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접속러그의 상면은 그 접속러그에 대응하는 상기 구동러그의 접속러그 대응부분의 상면보다 낮은 탄성 크롤러.
KR1020200138328A 2019-11-18 2020-10-23 탄성 크롤러 KR202100603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092,745 US11970226B2 (en) 2019-11-18 2020-11-09 Elastic crawl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207963 2019-11-18
JP2019207963A JP7013436B2 (ja) 2019-11-18 2019-11-18 弾性クロー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0311A true KR20210060311A (ko) 2021-05-26

Family

ID=75963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8328A KR20210060311A (ko) 2019-11-18 2020-10-23 탄성 크롤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7013436B2 (ko)
KR (1) KR20210060311A (ko)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0955A (ja) * 1996-09-27 1998-04-21 Komatsu Ltd ゴム履帯のラグパターン
JP4675488B2 (ja) * 2001-02-27 2011-04-20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弾性クローラ
JP4828059B2 (ja) * 2001-09-18 2011-11-30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弾性クローラ
JP5330748B2 (ja) * 2008-06-30 2013-10-30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弾性クローラ
JP4578550B2 (ja) * 2008-11-10 2010-11-10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弾性履帯
JP5269557B2 (ja) * 2008-11-20 2013-08-21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弾性クローラ
JP5319249B2 (ja) * 2008-11-20 2013-10-16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弾性履帯
JP5411627B2 (ja) * 2009-08-27 2014-02-12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ゴムクローラ
JP6779583B2 (ja) * 2017-03-06 2020-11-04 鎔宰 崔 弾性クロー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079782A (ja) 2021-05-27
JP7013436B2 (ja) 2022-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51546B2 (ja) クローラ
JP4087619B2 (ja) 弾性クローラ
JP5411627B2 (ja) ゴムクローラ
JP5469163B2 (ja) ゴムクローラ
KR20200013007A (ko) 탄성 크롤러
KR20210060311A (ko) 탄성 크롤러
CN210971336U (zh) 一种vt型橡胶履带结构
US11970226B2 (en) Elastic crawler
JP5382762B2 (ja) 弾性クローラ
JP4157863B2 (ja) 弾性クローラ
JP4142932B2 (ja) 弾性クローラ
JP2020073371A (ja) 弾性クローラ
JP4549138B2 (ja) 弾性クローラ
KR102642441B1 (ko) 탄성 크롤러
JP2010120550A (ja) 弾性クローラ
US20210354770A1 (en) Elastic crawler
JP4152146B2 (ja) 弾性クローラ
JP6926867B2 (ja) 弾性クローラ
JP5587574B2 (ja) ゴムクローラ
JP3094882B2 (ja) 脱輪防止ゴムクロ−ラ
JPH03262787A (ja) ゴムクローラ
JPH05278647A (ja) 弾性クローラ
KR20230026957A (ko) 탄성 크롤러
JPH03235766A (ja) ゴム履帯のラグパターン
KR20190128215A (ko) 탄성 크롤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