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0075A -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 Google Patents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0075A
KR20210060075A KR1020190147661A KR20190147661A KR20210060075A KR 20210060075 A KR20210060075 A KR 20210060075A KR 1020190147661 A KR1020190147661 A KR 1020190147661A KR 20190147661 A KR20190147661 A KR 20190147661A KR 20210060075 A KR20210060075 A KR 202100600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antibacterial
composition
extract
antibacteria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7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3663B1 (ko
Inventor
윤현서
최가연
최수연
이서현
김소영
권지민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47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3663B1/ko
Publication of KR20210060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0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3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36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취 및 치주질환에 원인이 되는 치주질환 유발균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치주질환의 예방 효과 및 구취 제거 효과가 우수한 동시에 높은 항균 활성을 가지는 항균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ANTIMICROBIAL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S OF HERB}
본 발명은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로즈마리, 라벤더, 세이지, 바실, 민트, 캐모마일, 오레가노, 레몬밤, 캐롭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구취 제거 및 치주질환의 예방 효과가 우수한 동시에 높은 항균 활성을 가지는 항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강에서 발생하는 통상적인 질환으로는 치아에서 발생하는 충치, 치주질환의 구취가 있다. 충치는 입안에 서식하는 세균 기타 미생물이 당분을 분해하면서 생성하는 산(acid)에 의해 치아의 표면의 범랑질을 손상시키는 질환이다. 또 치주질환은 음식물 중 당질에 달라붙어 치아에 이끼처럼 연하게 단단히 부착된 세균과 그 세균의 대사산물인 독성물질로 이우어진 치태와 치면의 세균막이 석회화된 물질인 치석으로 인해 잇몸 및 치주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잇몸에 염증이 생기는 치은염과 치주에 염증이 생기는 치주염으로 나뉜다. 상기 충치와 치주질환은 자각증상 없이 진행되며 가끔 잇몸에서 피가 나거나 구취가 나는 것 이외에는 치통 등을 일으키지 않아 치주염 및 충치가 진행되고 있어도 이를 알지 못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며 환자가 불편을 느낄 때쯤 이면 이미 치료하기 곤란한 정도로 치주조직 및 치아가 손상되어 자연적으로 원상복구가 불가능한 경우가 일반적이다. 또 구취란 입을 통하여 나오는 호기의 냄새로서 일반적으로 주위의 사람이 불쾌하게 느끼는 정도의 냄새를 말한다. 이러한 구취는 여러가지 요인이 있으나 일반적으로 타액중의 단백질, 음식물 찌꺼기 등이 구강 내에서 세균 기타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고 이때 생성된 아미노산이 아미노 효소등에 의해 분해되어 악취를 유발하는 물질을 생성하게 된다.
상기 충치, 치주질환 및 구취를 발생시키는 병원성 미생물로 여러 종들이 알려져 있으나 그 중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와 포피로모나스 진지바리스(Porphyromonas gingivalis)가 대표적인 것으로 알려져있다. 상기 미생물들은 균체 외 또는 표면으로부터 글루코실 트랜스퍼라아제(Glucosyltransferase, GTase)라는 효소를 분비함으로써 음식물 내 수쿠로즈(sucrose)를 기질로 하여 글루코즈(glucose)와 프락토즈(fructose)를 생성하고, 동시에 글루코즈의 중합체인 불용성 글루칸(insoluble glucan)을 치면에 형성하게 된다. 형성된 글루칸에 다른 미생물들이 치면에 부착하므로써 치면 세균막 즉, 치태(dental plaque)를 형성하게 된다. 이 치태 내에서 젖산균이 증식하여 프락토즈를 탄소원으로 젖산을 생성하고, 부착성 글루칸에 젖산이 포집 농축되고, 이렇게 농축된 고농도의 산은 치아의 구성성분인 인산칼슘 중 Ca2+를 녹아내리게 하여 치아의 외막인 법랑질(enamel)을 용해시킴으로써 충치를 유발하게 된다. 또 구강 내 병원성 미생물은 치아 표면에 세균성 피막인 프라그를 형성하고, 프라그내에서 증식하는 젖산균으로부터 생성된 젖산이 고농도롤 축적됨으로써 치아의 칼슘 이온(Ca2+)이소실된다. 이로 인해, 치아 외막 법랑질의 용해와 함께 충치가 유발되고 프라그로부터 유발된 독성 물질이치아와 잇몸 사이의 틈새(crevice)로 스며들어 세포내 염증 반응을 일으킴으로써 치은염, 치주염 등의 치주질환이 나타난다.
현재 충치, 치주질환 및 구취의 억제방법으로 스피라마이신(spiramycin), 반코마이신(vancomycin), 클로로헥시딘(chlorhexidine) 등의 항생물질을 이용하는 방법과 유기 또는 무기불소가 함유된 치약 및 구강청결제를 통하여 구강내 병원성 세균을 억제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항생물질을 이용하는 방법은 미생물이 내성을 갖게 되거나 설사, 구토 등의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는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항생물질의 남용으로 인해 구강 내 상재균들의 생육이 저해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치약은 치아의 표면을 칫솔질할 때 사용하는 의약부외품으로서 살균효과, 치간청정효과 및 미백목적으로 생활속에서 가장많이는 구강청결제품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치약조성물에는 연마제, 습윤제, 기포제, 감미제의 성분들과 유효성분으로 0.05~0.1중량%의 불소가 사용되고 있는데 최근 보고에 따르면 상기 불소는 충치예방에는 효과가 있을 수 있지만 장기적인 사용은 오히려 잇몸의 염증현상을 촉진시키는 부작용이 있다고 밝혀지고 있다.
따라서 화합물인 불소보다는 인체에 부작용이 적다고 알려진 천연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충치, 치주질환 및 구취를 예방 및 개선기능성 치약조성물이 요구되고 있다.
KR 10-2009-0130892 A
본 발명의 목적은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로즈마리, 라벤더, 세이지, 바실, 민트, 캐모마일, 오레가노, 레몬밤, 캐롭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구취 제거 및 치주질환의 예방 효과가 우수한 동시에 높은 항균 활성을 가지는 항균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균 조성물은 로즈마리, 라벤더, 세이지, 바실, 민트, 캐모마일, 오레가노, 레몬밤, 캐롭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구취 제거 및 치주질환의 예방 효과가 우수하다.
상기 조성물은 천연오일을 더 포함하며, 상기 천연오일은 스파이크 라벤더 오일(Lavandula latifolia oil), 블랙 페퍼 오일(Piper nigrum), 윗점 오일(Wheat Germ Oil)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조성물은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 악티노바실루스 악티노마이세템코미탄스 (Actinobacillus actinomycetemcomitans), 포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Porphyromonas gingivalis), 타네렐라 포르시시아(Tannerella forsythia), 트레포네마 덴티콜라 (Treponema denticola) 및 푸소박테리움 누클리아툼(Fusobacterium nucleatum)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균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항균 효과를 갖는 것이다.
상기 추출물은 물, C1 내지 C6의 저급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약 조성물은 상기 항균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스프레이는 상기 항균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가글액은 상기 항균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당업계에서 조추출물(crude extract)로 통용되는 의미를 갖지만, 광의적으로는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분획(fractionation)한 분획물도 포함한다. 즉,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얻은 것뿐만 아니라, 여기에 정제과정을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얻은 것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추출물을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통과시켜 얻은 분획,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균 조성물은 로즈마리, 라벤더, 세이지, 바실, 민트, 캐모마일, 오레가노, 레몬밤, 캐롭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구취 제거 및 치주질환의 예방 효과가 우수하다.
허브식물은 꽃과 종자, 줄기, 잎, 뿌리 등이 인간에게 유용하게 사용되는 초본식물로 예로부터 진통·진정 등의 치료나 방부 및 살충을 위한 약초로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으며 오늘날에는 인체에 대한 화학물질의 독성, 환경 오염에 대한 우려 및 그 뛰어난 효능으로 인하여 더더욱 많은 주목을 받고 있는 천연소재이다.
로즈마리(Rosemary)는 꿀풀과의 다년생 상록 저목으로 보통 1미터이상 자란다. 좁고 가는 바늘 모양의 잎은 가죽처럼 질긴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윤기가 나고 특유의 강한 방향이 있으며 진초록색이다. 살균 소독 작용이 있어 고기를 보존시킬때 이용했고 병원이나 전염병이 유행 할때 많이 사용했다. 로즈마리는 기억력증진에 도움을 주고, 무기력 증세를 보일때 활기를 찾아 주며 두통이나 편두통을 없애준다. 또한 비만 억제 효과가 있으며 피부를 재생시켜 늘어진 조직에 활력을 주고 부종과 비듬의 발생을 억제하며 모발성장을 촉진한다. 로즈마리는 요리, 얼굴 세안용, 저혈압일때 혈압을 높여 주는 데 사용한다.
라벤더(Lavender)는 허브 가운데 가장 알려진 품종이다. 방향유 성분이 잎과 꽃 표면이 빛나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관상용 허브로 인기가 높은데 개화기 때 그 화려함이 더욱 빛을 발한다. 고품질의 라벤더는 여러 용도로 쓰이는데 특히 꽃, 잎, 줄기등 식물 전체에 방향이 있어 관상용은 물론이고 포푸리나 각종 미용재에 적합하다. 드라이 플라워는 오전중에 보라색을 띤 개화 전의 봉오리를 베어 통풍이 잘 되는 응달에 매달아 말린다. 관상용은 꽃이 진 뒤에 2마디 정도 남기고 베어낸다. 라벤더의 정유 성분으로 만든 화장수는 피부를 긴장, 완화시켜주며 말끔하고 촉촉하게 재생시켜 주는 세정 효과가 있기 때문에 거친 피부에 효과가 크다. 또 라벤더 향은 정신 안정의 효과가 있어 베개에 넣어 안면을 위해 이용되었다. 라벤더로 차를 끓여 마시면 진정작용에 효과가 있고 진통과 두통을 없애 주며 기분을 전환시켜 숙면에 도움을 준다.
세이지(Sage)는 그리스, 로마시대부터 만병 통치약으로 이용되어 왔다. 관상, 향료 채취, 약, 요리, 염색 등 다양하게 이용되고 강장, 진정, 소화, 살균 효과 등이 있으며 고기나 생선의 지방분을 중화시켜 냄새를 제거하므로 요리에 매우 긴요하게 쓰인다. 세이지의 용도는 다양하지만 한 번에 다량으로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 세이지 차는 기분을 맑게 하고 흥분을 진정시키며 구강염이나 잇몸의 출혈과 구취 방지에 효과가 있으나 효력이 강하므로 연속하여 마시는 것은 피한다. 또한 세이지는 소화 촉진, 해독 작용, 위약, 입욕제는 피로 회복 효과, 거담, 구풍, 이뇨, 구충, 방부 작용으로도 사용하며 냉증. 갱년기장애에 큰 효과가 있다.
바실(Basil)은 식물전체에서 짙은 향기를 풍기며 일년생 식물로써 줄기는 둔한 사각형으로 들깨줄기와 유사하게 생겼으며 아래줄기는 목질화하며 녹색 또는 자색을 띤다. 상기 바실은 달콤하면서 강한 향기를 가진 허브식물로 향신료 및 차로 많이 사용되며 편두통, 항균작용, 구취 및 소화기능촉진에 큰 효과가 있다.
민트(Mint)는 원산지는 유럽이고, 레몬밤과 함께 밀원 식물의 대표적인 허브라고 할 수 있다. 꿀풀과의 다년초로 생육이 가장 튼튼한 허브 가운데 하나이며 잎을 스치기만 하여도 상쾌하고 청량감이 느껴지는 강한 박하향이 향기가 난다. 보관할 때는 향기가 제일 강한 6, 7월에 줄기 밑동을 베어 응달에서 말린다. 청량감이 특징인 민트류의 허브들은 특히 육류 요리의 소스를 만드는데 많이 쓰이며 산뜻한 맛과 향으로 야채나 과일 샐러드에 뿌려서 사용하는 비니거나 탄산수로 만든 음료, 칵테일 등의 풍미를 내는 데 이용되고 있다. 민트류는 종류에 다라다소 차이는 있지만 살균, 소화 촉진, 건위 작용, 구내 소취제, 치약, 위약등의 원료로 쓰인다. 피부염이나 가려움증에도 약효가 있고 화장실에 놓아 두면 악취 대신 박하향이 오랫동안 지속되며 강력한 살균작용까지 한다. 스피아민트라고 불리는 녹색 박하는 페퍼민트와 함께 요리에 많이 이용되는데 페퍼민트보다 향이 달콤하며 피부에 매우 좋다.
케모마일(Chamomile)은 수많은 허브 중에서도 약초로서 옛부터 가장 잘 알려진 허브의 하나이다. 유럽과 인도, 북아프리카가에 널리 자생하며 국화과에 속한다. 향기는 달콤새콤한 사과향이 나는데 봄이 되면 자그마한 꽃이 여기저기에서 일시에 개화하여 달콤한 향기가 가득 퍼져 나간다. 건조한 꽃은 미용 효과가 뛰어나 목욕제로 이용한다. 마사지 오일에 소량을 넣으면 운동후 피로 회복에 좋다. 유럽에서는 탕약이라고 하면 캐모마일을 연상할 정도인데 "마트리카리아"라는 속명도자궁에 효과가 있어서 생긴 것이다. 저염증, 방부, 구충약, 경련을 가라 앉히는데 좋다. 또, 냉증이 있는 사람에게는 몸을 보온하는 효과가 있다. 개화한 뒤 2,3일 째가 꽃의 향기가 좋고 맛이 있다. 향은 마음이 초조하고 화가나거나 심한 정신적 긴장을 완화시킨다. 작고 흰 꽃 5, 6개를 뜨거운 물에 넣으면 달콤한 사과향의 신선한 차를 즐길 수 있다 위통이 있을 때 매일 마시면 좋다.
오레가노(Oregano)는 소엽과의 다년초로서 원산지는 유럽이다. 이탈리아, 멕시코요리에 잘 이용되며 와일드(야생) 마조람이라는 별명대로 야생적인 향기가 있다. 라틴계의 요리나 토마토와 잘 어울린다. 소화촉진, 강장효과가 있으며 차나 입욕제, 건조한 꽃으로 이용한다.
레몬밤(lemonbalm)은 내한성의 다년초로 옆병과 털이 있으며 레몬향이 강한 허브식물이다. 상기 레몬밤은 차로 마시면 소화를 돕고 레몬밤의 침출액은 발한작용이 있어 감기에 좋다고 알려져 있다.
캐롭{Ceratonia siliqua (L.) Taub.}은 높이가 10m 정도 자라는 상록 활엽 관목(灌木)으로, 가뭄에 잘 견딘다. 잎에 수지를 함유하고 있다. 가을에 작고 우중충한 녹갈색의 꽃이 피며, 녹색의 긴 꼬투리가 달린다. 이 꼬투리는 익으면 초콜릿색으로 변하고, 속에는 작고 광택이 나는 딱딱한 콩이 들어 있다. 피부를 부드럽게 하는 캐롭 검(Carob gum)은 피부 팩으로 인기가 있으며, 설사 치료에 쓰이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세정력 또는 향균력이 알려져 있는 천연식물을 그대로 구강 세정용 조성물로 활용하는 경우 예상되는 세정 또는 향균 효과가 발생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향균 또는 세정효과가 알려진 천연물에 대한 추출물의 경우에도 치아에 형성된 플라그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지 못하는 것이 대부분이고, 구강 내의 치주질환 등의 원인이 되는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 진지발리스(Gingivalis) 등의 유해균을 효과적으로 사멸시키지 못하기 때문이다. 특히 구강은 습한 환경으로 음식물 또는 음료, 침 등이 지속적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오염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며, 세정제는 계속 씻겨 제거되는 환경이기 때문이다. 특히 일반적인 천연물의 추출물은 플라그가 제거되지 못하는 환경에 의해 유해균을 제거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한편, 알코올이나, 천연추출물 중에 세정효과가 우수한 것은 구강내 유해균을 사멸시킬 수 있지만, 구강 내 유익균까지 사멸시키는 문제가 있어 치주질환을 오히려 가속화시키는 문제가 있다.
상기 조성물은 천연오일을 더 포함하며, 상기 천연오일은 스파이크 라벤더 오일(Lavandula latifolia oil), 블랙 페퍼 오일(Piper nigrum), 윗점 오일(Wheat Germ Oil)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한다.
스파이크 라벤더 오일(Lavandula latifolia oil)은 라벤더 스파이크 꽃에서 추출한 에센셜 오일로 정신을 상쾌하게 하고 근육통, 류머티즘 통증 완화에 효과적이다. 프랑스와 스페인 등 지중해가 주요 산지로, 꿀풀과 식물인 라벤더 스파이크의 꽃을 증기 증류법(식물로부터 수증기로 오일을 추출한 후에 냉각수로 식혀 응축하는 방법)으로 추출하는 에센셜 오일이다. 무색에서 엷은 노란색의 투명한 액체인 라벤더 스파이크는 신선한 꽃향기와 풀향기에 약간 날카로운 캠퍼향이 섞인 향으로 라벤더와 로즈메리를 섞은 향과 비슷하다. 주요 화학 성분은 1,8시네올(1,8-cineole)의 옥사이드계, 리날로올(linalool), 보르네올(Borneol)의 알코올계, 캠퍼(camphor)의 케톤계로 구성되어 있다. 정신을 맑고 상쾌하게 하여 스트레스 해소와 두통 완화에 도움이 된다. 거담작용으로 기침, 가래 등의 감기 증상을 완화하고, 진통작용으로 염좌, 근육통, 관절염, 류머티즘 등 통증 완화에 효과가 있다. 상처 회복과 벌레 퇴치에 유용하다.
블랙 페퍼 오일(Piper nigrum)은 블랙 페퍼의 말린 열매에서 추출한 에센셜 오일로,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몸을 따뜻하게 하는 효과로 통증 완화, 식용 촉진의 효능이 있다. 남인도와 인도네시아에서 재배되는 블랙 페퍼의 덜 익은 열매를 건조시켜 증기 증류법으로 추출하는 에센셜 오일이다. 무색 또는 연한 녹색의 액체로 나무 향과 매운 향이 어우러지며 베이스 노트(오래 지속되는 향)에 속한다. 주요 화학성분은 알파 피넨과 베타 피넨(β-pinene) 등의 모노터펜계와 베타 캐리오필렌(β-caryophyllene), 알파 후물렌(α-humulene) 등의 세스퀴터펜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혈액 순환을 촉진하고, 몸을 따뜻하게 해주어 소화불량, 가스가 차는 증상, 변비 등의 소화계 장애를 완화하는 효과가 있다. 류머티즘, 관절염, 근육통, 타박상 완화에 효과적이고 멍이 든 부위에도 사용한다.
윗점 오일(Wheat Germ Oil)은 밀의 배아에서 추출한 식물성 오일로 아로마세러피에서 캐리어 오일로 사용된다. 필수지방산과 비타민 E가 풍부해 피부 보습 및 항산화 효과가 있다. 전세계적으로 자라는 벗과의 식물인 밀의 배아에서 추출하는 것으로 순수 냉압착법으로는 추출이 어려워 인퓨즈드 (infused; 식물성 오일에 약용식물을 일정 기간 담가 두어 유용한 성분을 우려낸 침출유)하거나 용매로 추출하는 식물성 오일이다. 점성이 강하고 특유의 강한 향이 있으며, 노란색에서 갈색을 띤다. 주요 성분으로는 불포화지방산인 리놀레산, 올레산과 포화지방산인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등을 함유한다. 비타민 E가 풍부해 천연산화방지제 역할을 하며, 피부 보습 효과가 있어 갈라진 피부, 건조한 피부에 유용하고, 세포재생효과도 있어 흉터, 화상, 주름 완화에 효과적이다. 콜레스테롤을 낮추고 혈액순환을 촉진하여 심장 건강에 도움을 주고, 영양이 풍부해서 건강기능식품으로 판매되기도 한다.
상기 천연 오일을 사용하는 경우, 구강 내의 치주질환 등의 원인이 되는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 진지발리스(Gingivalis) 등의 유해균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플라그를 제거하는데 효과가 있어, 세정단계에서 플라그가 함께 제거되어 플라그 내 잔존하는 유해균까지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파이크 라벤더 오일, 블랙 페퍼 오일 및 윗점 오일을 추가로 포함하여 복합으로 사용함에 따라, 허브 추출물만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치주질환에 원인되는 유해균을 억제하는 효과가 상승하여, 구취 제거, 치주질환의 예방 및 개선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로의 제공을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조성물은 허브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해, 스파이크 라벤더 오일 20 내지 40 중량부, 블랙 페퍼 오일 20 내지 40 중량부 및 윗점 오일 20 내지 4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복합 추출물로 사용 시, 구취 제거 및 치주질환의 예방 효과를 나타내는 동시에, 항균 효과가 우수한 항균 조성물로의 제공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조성물은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 악티노바실루스 악티노마이세템코미탄스 (Actinobacillus actinomycetemcomitans), 포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Porphyromonas gingivalis), 타네렐라 포르시시아(Tannerella forsythia), 트레포네마 덴티콜라 (Treponema denticola) 및 푸소박테리움 누클리아툼(Fusobacterium nucleatum)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균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항균 효과를 갖는 것이다.
치주질환(periodontal disease)은 치아를 받치고 있는 치은과 치주인대 및 골조직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서, 흔히 풍치라고도 하는데, 병의 정도에 따라 치은염(gingivitis)과 치주염(periodontitis)으로 나뉜다. 비교적 가볍고 회복이 빠른 형태의 치주질환으로 잇몸 즉, 연조직에만 국한된 형태를 치은염이라고 하고, 이러한 염증이 잇몸과 잇몸뼈 주변까지 진행된 경우를 치주염이라고 한다. 치은(잇몸)과 치아 사이에는 V자 모양의 틈이 있는데, 이 홈(sulcus)의 잇몸 선 아래 부분을 구강병원균이 공격하면서 염증 자극원인 리포폴리사카라이드(Lipopolysaccharide, LPS)를 방출하고, 이로 인해 잇몸이 붓고 출혈이 일어나는 등 염증이 생성되며, 이로써 치주인대와 인접조직이 손상된다. 치주염이 진행되면 치주인대, 더 나아가 치조골까지 손상시키고 결국 치아가 손실된다. 단백질, 비타민 등의 영양부족, 임신한 경우나 당뇨병 등과 같은 호르몬 장애, 흡연, 후천성면역결핍증(AIDS) 등이 질환을 악화시킬 수 있다. 또한, 치주질환의 다른 원인으로 치태 및 치석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치주질환은 치주질환을 일으키는 원인균이라면 그 종류에 관계없이 모두 포함되나, 구체적으로는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 악티노바실루스 악티노마이세템코미탄스 (Actinobacillus actinomycetemcomitans), 포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Porphyromonas gingivalis), 타네렐라 포르시시아(Tannerella forsythia), 트레포네마 덴티콜라 (Treponema denticola) 및 푸소박테리움 누클리아툼(Fusobacterium nucleatum)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균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포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일 수 있다.
구취는 구강 및 인접기관으로부터 유래되는 냄새로 구취의 85 ~ 90%가 구강에서 유래하며, 특히, 혀의 뒷쪽에서 유래하고 있다. 구취의 주요 성분은 휘발성 황화합물인데, 휘발성 황화합물의 전체량 중 90%가 시스테인으로부터 만들어지는 황화수소(hydrogen sulfide)와 메티오닌으로부터 만들어지는 메틸머캡탄(methyl mercaptan)및 디메틸설파이드(dimethyl sulfide)이다. 이러한 성분들은 주로 혐기성 세균이 분비하는 단백질 효소에 의해서 생성되며, 혀의 뒷쪽이 가장 중요한 서식지가 된다. 이 부위는 타액에 의해 세정작용이 잘 되지 않고, 많은 작은 함몰이 있어 세균이 지속적으로 살아가는 장소가 된다. 혐기성 세균에 의한 휘발성 황화합물 생성이 구취의 원인으로 가장 중요하지만, 그 외 치아 우식증, 치주염, 구강 건조증 등과 같은 구강질환에 의해서도 발생한다. 구취를 발생시키는데 많은 종류의 혐기성 세균이 관여하며, 구취 발생 원인균의 비제한적인 예로 많은 종류와 많은 양의 효소를 분비하는 포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Porphyromonas gingivalis)를 들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항균 조성물은 구취 및 치주질환의 원인이 되는 유해균인 포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Porphyromonas gingivalis)를 효과적으로 제거함으로써 구취 감소 및 치주질환의 예방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물, C1 내지 C6의 저급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허브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천연물을 분쇄하는 단계;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상기 분쇄물을 침출시키는 단계; 시료를 침출 후 건조시키는 단계; 건조된 시료를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재 침출 시키는 단계; 시료를 침출 후 건조시키는 단계; 물을 이용하여 침출시키는 단계; 및 침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허브 추출물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천연 추출물은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분획을 실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 용매는 시료의 중량 기준으로 2 내지 50배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2 내지 20배이다. 추출을 위해 시료는 추출 용매에서 침출을 위해 1 내지 72 시간 동안 방치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24 내지 48시간 동안 방치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용매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환류 추출법, 침출법, 발효법 및 포제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추출법으로 수득하는 것을 포함한다.
초음파 추출법은 30 내지 50℃, 0.5 내지 2.5시간 동안 반응을 진행하며, 추출용매는 물 또는 50 내지 10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에 의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40 내지 50℃, 1 내지 2.5시간 동안 추출하며, 추출용매로 물 또는 70 내지 8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에 의한 것이다.
환류 추출법은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100mL기준으로, 천연물의 분쇄물 10 내지 30g, 환류 시간 1 내지 3시간 및 50 내지 10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또는 물에 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100Ml 또는 물 100mL 기준으로, 천연물의 분쇄물 10 내지 20g, 환류 시간 1 내지 2시간 및 70 내지 90%의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또는 물에 의한 것이다.
침출법은 15 내지 30℃, 24 내지 72시간 동안 진행하며, 추출 용매로 물 또는 50 내지 10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을 이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20 내지 25℃, 30 내지 54시간 동안 진행하며, 추출 용매는 물 또는 70 내지 8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에 의한 것이다.
추출 후, 추출물은 새로운 분획 용매를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분획할 수 있다. 분획시 사용하는 분획 용매는 상기 용매는 물, 헥산, 부탄올, 에틸아세트산, 에틸 아세테이트,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메틸렌클로라이드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약 조성물은 상기 항균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것이다.
상기 치약 조성물은 본 발명의 허브추출물 및 천연 오일 이외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계면활성제, 연마제, 안정제, 결합제, 기포제, 향료, 색소, 향균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습윤제, 점증제, 무기염류, 미백제, 유화제, 완충제, 감미제, 가용화제, 조직강화제, 구강세정제등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분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들이면 충분하겨 또한 상기 성분의 사용량은 당업자의 선택에 의하여 본 발명이 목적하는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에 있어서 더 자세하게는 제2인산칼슘, 탄산칼슘, 피로인산칼슘.황산칼슘, 메타인산나트륨, 시리카류, 알미늄실리케이트, 수산화알미늄 등의 연마제(보통 20~60% 사용), 카르복시메칠 셀룰로오즈,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즈, 알긴한염, 카라기난, 아라비아껌, 폴리비닐알콜 등의 점증제(1.5~5%), 폴리에틸렌 글리콜류, 솔비톨,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등의 점조제와 라우릴 황산나트륨, 소디움라우릴 사르코시네이트 등의 계면활성제, 멘톨 및 민트류를 비롯한 향료와 사카린, 스테비오사이드 등의 감미제와 방부제, 불화나트륨, 모노플로로인산나트륨, 불화제 1주석, 소금, 아란토인, 비타민류,사급암모늄화합물 등 치약에 통상 사용되고 있는 각종 유효성분 등을 물과 같이 혼합하여 치약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스프레이는 상기 항균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가글액은 상기 항균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것이다.
상기 가글액은 구강을 가글링(Gargling)할 수 있는 조성물 기타, 구강 내 세정 및 향균활성을 나타내도록 하기 위한 제재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상기 가글액은 허브 추출물 및 오일 기반의 조성이어야 하며, 계면활성제 또는 알코올을 혼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체적인 제형은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선택하여 혼합할 수 있는 구성 및 혼합범위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본 발명의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에 의하면, 구치 및 치주질환에 원인이 되는 치주질환 유발균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치주질환의 예방 효과 및 구취 제거 효과가 우수한 동시에 높은 항균 활성을 가지는 항균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조예1: 허브 추출물의 제조]
1. 로즈마리 추출물의 제조
로즈마리를 흐르는 물에 깨끗이 세척한 다음 완전히 자연 건조시켰다. 건조된 로즈마리를 믹서기로 분쇄한 다음 분말로 제조하였다. 분말 시료를 추출 용매인 50% 에탄올을 1;10(w;v)의 비율로 가한 다음 완전히 침지 시킨 후, 80℃에서 환류시키면서 3시간씩 3회 반복 추출하였다. 추출액은 Whatman No. 2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여과액은 60℃에서 감압 농축하여 로즈마리 추출물(RH)을 제조하였다.
2. 천연 추출물 제조
상기 로즈마리 추출물(RH)의 제조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라벤더 추출물(LE), 세이지 추출물(SE), 바실 추출물(BH), 민트 추출물(ME), 캐모마일 추출물(CH), 오레가노 추출물(OH), 레몬밤 추출물(IH) 및 캐롭 추출물(TH)을 제조하였다.
3. 복합 허브 추출물의 제조
상기 로즈마리 추출물(RH), 라벤더 추출물(LE), 세이지 추출물(SE), 바실 추출물(BH), 민트 추출물(ME), 캐모마일 추출물(CH), 오레가노 추출물(OH), 레몬밤 추출물(IH) 및 캐롭 추출물(TH)을 각각 100g 씩 혼합하여 허브 추출물(MH) 900g을 제조하였다.
[제조예2: 항균 조성물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허브 추출물(MH), 스파이크라벤더 오일(LO), 블랙페퍼 오일(BO) 및 윗점 오일(WO)을 하기의 표 1과 같이 혼합하여 항균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A1 A2 A3 A4 A5 A6
MH 100 100 100 100 100 100
LO - 10 20 30 40 50
BO - 10 20 30 40 50
WO - 10 20 30 40 50
(단위: 중량부)
[실험예1: 항균 효과]
1. 구취 및 치주질환 원인균에 대한 항균 효과
(1)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 균에 대한 향균력 실험
치주질환의 대표적인 유해균으로 알려진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 균을 고체 배지에 접종하고, 3 내지 4일간 배양하였다. 대조군에는 정제수만을 처리하고, 제조예인 상기 A1(ME) 내지 A6를 처리한 후 24시간 이후 배양하였다.
상기 정제수 및 제조예의 처리 전후를 6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성장억제능(%)을 조사하였다.
객관적인 비교를 위하여 정제수를 사용한 결과(control)를 100으로 하고, 각 실시예의 값을 상기 control의 성장억제능의 값으로 나누어 비교 평가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 결과(뮤탄스 균에 대한 향균력 실험: Mu)를 하기의 표 2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2에 나타난 값은 그 숫자가 낮을수록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 균에 대한 향균력이 우수한 것이다.
(2) 진지발리스(Gingivalis) 균에 대한 향균력 실험
치주질환 및 구취의 원인 균으로 잘 알려진 진지발리스(Gingivalis) 균에 대한 향균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진지발리스를 고체 배지에 접종하고, 3 내지 4일간 배양하였다. 대조군에는 정제수만을 처리하고, 제조예인 상기 A1(ME) 내지 A6를 처리한 후 24시간 이후 배양하였다.
상기 정제수 및 제조예의 처리 전후를 6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성장억제능을 조사하였다.
객관적인 비교를 위하여 정제수를 사용한 결과(control)를 100으로 하고, 각 실시예의 값을 상기 control의 성장억제능의 값으로 나누어 비교 평가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 결과(진지발리스 균에 대한 향균력 실험: Gv)를 하기의 표 2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2에 나타난 값은 그 숫자가 낮을수록 진지발리스(Gingivalis) 균에 대한 향균력이 우수한 것이다.
(3) 락토바실러스 루테리(Lactobacillus reuteri) 균의 보존력 실험
뮤탄스 균을 억제함으로서 충치를 예방하고 기타 치주질환 예방에 유리한 효과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유익균 중 하나로 알려져 있는 락토바실러스 루테리(Lactobacillus reuteri) 균을 배지에 배양하고 고체 배지에 접종하고, 3 내지 4일간 배양하였다. 대조군에는 정제수만을 처리하고, 제조예인 A1(ME) 내지 A6를 처리한 후 24시간 이후 배양하였다.
상기 정제수 및 제조예의 처리 전후를 6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성장억제능을 조사하였다.
객관적인 비교를 위하여 정제수를 사용한 결과(control)를 100으로 하고, 각 실시예의 값을 상기 control의 성장억제능의 값으로 나누어 비교 평가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 결과(락토바실러스 루테리 균에 대한 보존력 실험: Rt)를 하기의 표 2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2에 나타난 값은 그 숫자가 높을수록 락토바실러스 루테리(Lactobacillus reuteri) 균에 대한 보존력이 우수한 것이다.
Mu Gv Rt
Control 100 100 100
A1 9.79 7.41 24.71
A2 4.89 5.11 24.41
A3 3.96 4.04 44.17
A4 4.13 3.94 43.35
A5 4.97 2.14 41.25
A6 7.81 6.14 24.46
(단위: 지수)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허브 추출물(A1, MH) 및 천연 오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A2 내지 A6)의 경우 세균 수가 급격히 감소하는 세정 효과를 확인하였다.
특히, 천연 오일을 포함하는 A3 내지 A5의 범위로 혼합되는 항균 조성물의 경우, 상호 작용에 의한 상승효과로 유해균의 항균력이 배가되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유익균이 소멸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가장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보다 적은 함량으로 유해균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면서도 구강 내 유익균이 사멸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낼 수 있는 항균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으며, 치주질환의 원인이 되는 유해균을 효과적으로 제거함으로써 구취 제거, 치주질환의 예방 및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실험예2: 플라그 제거 효과]
20인의 시험자에게 정제수(Control) 및 제조예인 상기 A1(ME) 내지 A6를 가글로 제공하고, 가글링 전후의 플라그 제거효과를 실험하였다.
플라그가 제거된 정도를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의 표 3에 나타내었다. 플라는 제거정도는 플라그 착색을 통하여 유관으로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정제수 5를 기준으로 하여 1 내지 10의 지수로 평가하였다. 각 지수는 그 숫자가 높을수록 우수한 것이다.
Control A1 A2 A3 A4 A5 A6
플라그 (plague) 5 6 7 8 9 8 6
(단위: 지수)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허브 추출물(A1, MH)의 경우 정제수에 비해여 플라그 제거 효과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천연 오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A2 내지 A6)의 경우에 플라그 제거 효과가 눈에 띄게 상승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3: 기호성 실험]
상기 플라그 제거 실험에서 피시험자들에게 A1 내지 A6의 각 제조예에 대하여 청량감 및 향을 평가하여 기호성을 기재하게 하였다. 평가는 10점법에 따라 1 내지 10의 지수로 평가하도록 하였다. 상기 지수는 그 숫자가 높을수록 청량감과 향이 우수한 것이다.
그 결과를 하기의 표 4에 나타내었다.
A1 A2 A3 A4 A5 A6
청량감 5 6 7 8 7 6
3 4 6 8 7 5
(단위: 지수)
상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허브 추출물(A1, MH)은 청량감에 대한 기호도는 우수하나, 복합 허브 추출물의 사용으로 상대적으로 강한 향을 가지고 있어 향에 대한 선호도는 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만, 천연 오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A2 내지 A6)의 경우, 복합 허브 추출물의 강한 향을 중화시켜, 향에 대한 기호도가 상승하였으며, 특히 A3 내지 A5에 의하는 경우, 청량감에 대한 기호도도 상승하게 되어 전반적인 기호도가 확실히 증가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7)

  1. 로즈마리, 라벤더, 세이지, 바실, 민트, 캐모마일, 오레가노, 레몬밤, 캐롭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구취 제거 및 치주질환의 예방 효과가 우수한
    항균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천연오일을 더 포함하며,
    상기 천연오일은 스파이크라벤더 오일(Lavandula latifolia oil), 블랙페퍼 오일(Piper nigrum), 윗점 오일(Wheat Germ Oil)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 악티노바실루스 악티노마이세템코미탄스 (Actinobacillus actinomycetemcomitans), 포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Porphyromonas gingivalis), 타네렐라 포르시시아(Tannerella forsythia), 트레포네마 덴티콜라 (Treponema denticola) 및 푸소박테리움 누클리아툼(Fusobacterium nucleatum)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균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항균 효과를 갖는
    항균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C1 내지 C6의 저급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항균 조성물.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항균 조성물을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항균 조성물을 포함하는 구강 스프레이.
  7.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항균 조성물을 포함하는 가글액.
KR1020190147661A 2019-11-18 2019-11-18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22836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7661A KR102283663B1 (ko) 2019-11-18 2019-11-18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7661A KR102283663B1 (ko) 2019-11-18 2019-11-18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0075A true KR20210060075A (ko) 2021-05-26
KR102283663B1 KR102283663B1 (ko) 2021-07-29

Family

ID=76137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7661A KR102283663B1 (ko) 2019-11-18 2019-11-18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366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7864A (ja) * 1993-02-23 1994-09-06 Morishita Jintan Kk 抗歯周病剤
KR20000001148A (ko) * 1998-06-09 2000-01-15 최영신 항균 및 항진균 작용이 있는 정유 조성물
KR20090130892A (ko) 2008-06-17 2009-12-28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허브추출물 함유 치약
KR20170029106A (ko) * 2015-09-07 2017-03-15 이상수 유산균 발효 허브 추출물을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KR20190031761A (ko) * 2017-09-18 2019-03-27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천연 항균물질을 포함하는 나노 캡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7864A (ja) * 1993-02-23 1994-09-06 Morishita Jintan Kk 抗歯周病剤
KR20000001148A (ko) * 1998-06-09 2000-01-15 최영신 항균 및 항진균 작용이 있는 정유 조성물
KR20090130892A (ko) 2008-06-17 2009-12-28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허브추출물 함유 치약
KR20170029106A (ko) * 2015-09-07 2017-03-15 이상수 유산균 발효 허브 추출물을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KR20190031761A (ko) * 2017-09-18 2019-03-27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천연 항균물질을 포함하는 나노 캡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3663B1 (ko) 2021-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1181B1 (ko)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KR101723588B1 (ko) 동백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481371B1 (ko) 울금을 함유한 치약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029106A (ko) 유산균 발효 허브 추출물을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CN102512345B (zh) 一种天然抗菌漱口液及其制备方法
KR101544896B1 (ko) 천년초 분말과 천년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99387B1 (ko) 향균성 치약 조성물
KR102090119B1 (ko) 생약추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KR20170019893A (ko) 천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니오좀을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
Almas et al. Miswak (salvadora persica chewing stick) and its role in oral health; an update
KR20140127061A (ko) 천연식물 성분과 미네랄 염이 함유된 구강청결 기능성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1703269B1 (ko) 후박 추출물 및 중탄산염을 포함하는 구강 관리용 조성물
KR20210039067A (ko) 해조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취 완화용 조성물
KR20140031512A (ko)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치료 및 구취 억제용 조성물
KR102070316B1 (ko) 천연 복합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030209A (ko) 구강 항균 효과를 갖는 치약 조성물
KR102283663B1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20170085703A (ko) 천연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내 항염 및 구취 제거용 조성물
RU2312657C2 (ru) Ополаскиватель для полости рта
KR102180622B1 (ko) 금연 보조용 치약 조성물
KR102218625B1 (ko) 생균 양치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생균 양치 소금
KR101632910B1 (ko) 편백 추출물 및 생약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향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79529B1 (ko) 치주질환 예방 및 개선용 오일 조성물
KR20150040818A (ko) 천연식물 성분과 미네랄 천일 염 및 프로폴리스 및 자일리톨 함유된 구강청결 기능성 조성물 제조방법
KR20140055885A (ko) 구강 위생 증진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