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30892A - 허브추출물 함유 치약 - Google Patents

허브추출물 함유 치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30892A
KR20090130892A KR1020080056602A KR20080056602A KR20090130892A KR 20090130892 A KR20090130892 A KR 20090130892A KR 1020080056602 A KR1020080056602 A KR 1020080056602A KR 20080056602 A KR20080056602 A KR 20080056602A KR 20090130892 A KR20090130892 A KR 200901308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artemisia
garlic
toothpaste
o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6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종화
Original Assignee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56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30892A/ko
Publication of KR20090130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089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61K36/8962Allium, e.g. garden onion, leek, garlic or ch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61Q11/02Preparations for deodorising, bleaching or disinfecting den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허브를 함유한 기능성치약에 관한 특허로 건강에 대한 효능이 과 학적으로 입증된 대표적인 허브인 마늘과 구취감소, 항치태 효과가 있는 쑥추출 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기능성치약조성물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치약의 조성물을 마늘추출물 0.1 중량% ~ 10 중량%, 쑥 추출물을 0.1 중량% ~ 10 중량%, 자이리톨 0.1 중량% ~ 10 중량%를 첨가제로 사용하였다. 마늘추출물의 치주질환균인 P. gingivalis w381에 대한 항균작용과 쑥의 구강내 미생물에 대한 항균 효과는 이미 보고되었고, 기존에 화학제제로 인한 부작용을 방지하고 생체친화적인 천연물 사용에 의해 친숙하고 독특한 이미지를 창출하면서 구강내 세균에 대한 항균, 항염 효과에 의해 구강병 예방 및 처치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마늘추출물, 쑥추출물, 항치태효과, 항염작용, 구취저감, 치약, 치아우식증, 치주질환

Description

허브추출물 함유 치약{Dentifrice compositions containing extract of herbal}
본 발명은 허브를 함유한 기능성치약에 관한 특허로 건강에 대한 효능이 과 학적으로 입증된 대표적인 허브인 마늘과 구취감소, 항치태 효과가 있는 쑥추출 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기능성치약조성물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허브 기능성치약의 조성물은 마늘추출물 0.1 중량% ~ 10 중량%, 쑥 추출물을 0.1 중량% ~ 10 중량%, 자이리톨 0.1 중량% ~ 10 중량%를 첨가제로 사용하였다. 마늘과 쑥추출물의 구강내 항세균, 항염, 구취저감 효과에 의한 특징과 생체친화적인 천연물 사용에 의해 친숙하고 독특한 이미지를 창출하면서 구강내 환경 개선 효과를 가져와서 구강건강 증진 및 유지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마늘과 쑥추출물을 함유하는 치약조성물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세균, 효모, 곰팡이는 물론 원생동물에도 생육저해작용이 있다고 밝혀진 마늘추출물과 구취저감 및 항균효과가 보고된 쑥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치약조성물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마늘추출물은 항염, 항균, 항암, 항산화작용이 우수하며 특히, 구강내 치주질환균인 P. gingivalis 381에 대한 항균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고, 쑥추출물은 구강 내 세균인 Staphylococcus aureus(S. aureus), Candida albicans(C. albicans), Streptococcus viridans(S. viridans) group, Porphyromonas gingivalis(P. gingivalis)에 대한 항균효과가 보고되고 있다. 구강위생용품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치약은 세정작용과 더불어 기능성을 부여하면서도 구강내 부작용을 고려해야한다. 마늘과 같은 허브는 친숙한 맛과 향, 생체친화적인 특성을 갖추고 있으면서 항균 및 항염, 항산화작용의 우수성이 널리 알려져 있고, 쑥추출물은 임상시험을 통해 구취감소, 구강내 미생물에 대한 항균 및 항치태작용에 의해 구강병 예방 및 치료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본 발명에 이용된 치약 조성물의 성분은 다음과 같다.
구성성분 성분명 배합비율(%) 비고
정제수 정제수 17.95
주성분 이산화규소 11.00
일불소인산나트륨 0.30
마늘추출물 0.10
쑥추출물 0.10
점도조절제 함수규산43K 8.00
카르복시메칠셀룰오로스나트륨 0.85
보존제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0.10
습윤제 글리세린 2.00
소르비톨70%(비결정성) 54.00
폴리에칠렌글리콜 1500 2.00
감미제 자이리톨 0.10
삭카린나트륨 0.10
기포제 라우릴황산나트륨 2.00
증백제 산화티탄 0.30
향미제 L-멘톨 0.20
페파민트(P-20128) 0.20
옵타민트 0.70
합계 100.00
기존에 치태 형성 억제를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치약조성물에서 화학제제는 강력한 항균력을 가지고 있으나 치약에 첨가하여 장기간 사용 시 구강내 생태파괴, 치아착색, 혹은 치약내 다른 성분과의 반응으로 효과가 감소되는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치약은 칫솔질의 효과를 강화시키는 기본적인 재료이지만 일반 치약만 사용할 경우 치아 표면의 치태 성장을 감소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치약구성 성분에 다양한 약제를 첨가하는 것이 필요하며 구강내 부작용 발생을 고려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천연물 이용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은 구취저감효과 뿐만 아니라 치태 생성 억제 및 치은염완화 효과로 치주질 환과 치아우식증을 예방하여 구강병 발생을 감소시키기 위한 기능성 치약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치태는 치아상실을 유발하는 중요한 구강질환인 치아우식증, 치은염, 치주질환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원인요소이다. 마늘추출물과 쑥추출물은 생체친화적인 성분으로 치약조성물 중 화학요법제제로 인한 부작용을 방지하면서 항치태효과와 치은염을 완화시키는 항염, 항균작용으로 구강병 예방 및 치료효과로 인해 구강건강을 증진시키는 치약조성물이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생체친화적인 천연물인 허브(마늘, 쑥)는 이러한 여러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는 화학제제를 대체하여 식약청 허가 규정 내에서 성분 배합 비율로 제조하여 구취저감효과 및 치태 형성을 억제하고 치은염 완화효과가 우수한 치약조성물이 되는 것이다.
각 성분에 대한 효능을 기술하면,
마늘(Garlic) : 항균작용, 항염작용, 항산화작용, 항암작용이 우수하다.
자이리톨(Xylitol) : 당 알코올계 감미료로 Streptococcus의 대사작용에 관여하여 치태의 pH감소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쑥(Artemisia) : 구강내 호기성, 혐기성 세균 및 진균류에 대한 항균력으로 구강병 예방 및 치료효과가 있다.
항균, 항염 효과가 우수하면서 구취저감효과가 있는 생체친화적인 대표적인 허브(마늘과 쑥추출믈)를 함유한 기능성 치약 개발에 의해 구강위생개선에 효과적인 구 강위생용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최적의 항균효과를 나타내는 허브(마늘, 쑥)추출물 약효성분의 농도 및 배합조건을 도출하기 위해 디스크확산법을 이용하여 구강내 세균 6종에 대한 최소억제농도(MIC)를 측정한 결과를 근거하여 허브 기능성 치약을 제조한다.
마늘추출물의 항균효과와 쑥 추출물의 항균, 항염, 구취감소 효과에 의해 일반 치약의 구강내 청결기능에 약효성분이 첨가되어 구강내 치면세균막 완화 효과와 치은염 감소 및 구취저감 효과에 의해 구강질환 환자 뿐만 아니라 일반 대중의 구강 감염성 질환의 예방을 위해 장기간 안전하게 이용가능 할 것이다.

Claims (1)

  1. 일반치약 조성물에 있어서 열수추출한 마늘추출물 0.1 내지 10중량%와 한방에서 애엽으로 어린 순을 식용으로 하는 Artemisia var.orientalis의 건조한 잎을 정제수와 프로필렌글리콜 혼합액(7:3)으로 추출하여 얻은 쑥추출물 0.1 내지 10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위생 개선용 치약조성물
KR1020080056602A 2008-06-17 2008-06-17 허브추출물 함유 치약 KR200901308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6602A KR20090130892A (ko) 2008-06-17 2008-06-17 허브추출물 함유 치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6602A KR20090130892A (ko) 2008-06-17 2008-06-17 허브추출물 함유 치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0892A true KR20090130892A (ko) 2009-12-28

Family

ID=41690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6602A KR20090130892A (ko) 2008-06-17 2008-06-17 허브추출물 함유 치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3089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608659C2 (ru) * 2015-06-16 2017-01-23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Северны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медицин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Министерства здравоохранения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Способ лечения хронического генерализованного катарального гингивита
KR20210060075A (ko) 2019-11-18 2021-05-26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608659C2 (ru) * 2015-06-16 2017-01-23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Северны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медицин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Министерства здравоохранения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Способ лечения хронического генерализованного катарального гингивита
KR20210060075A (ko) 2019-11-18 2021-05-26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1341B1 (ko) 개선된 구강청결제
JP5730025B2 (ja) 口腔用組成物
KR20180081032A (ko) 갈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12181A (ko) 생약추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KR102562835B1 (ko) 금앵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90130892A (ko) 허브추출물 함유 치약
KR101881636B1 (ko) 갈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Raj et al. Herbal mouthwash.
Ghelichli Formulation of new herbal Salvadora toothpaste with antidecay, wound healing and caring tooth and Periodontal diseases
KR20170090717A (ko) 구강청결제
Fareen et al. Evaluation of antimicrobial activity of commercially available herbal toothpaste-An in vitro study.
KR102030106B1 (ko) 짠맛을 마스킹하는 효과가 있는 구강용 조성물
RU2813879C1 (ru) Противовоспалительная композиция (варианты) для местного применения в полости рта и верхних дыхательных путях
KR102090592B1 (ko) 치석 방지용 구강 조성물
KR20140055885A (ko) 구강 위생 증진용 조성물
KR20170103494A (ko) 과체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20112929A (ko) 옻나무 추출물과 히노키티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KR20170103482A (ko) 연전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18211B1 (ko) 우방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62829B1 (ko) 고량강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62831B1 (ko) 조협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E10065413A1 (de) Zahnpflegemittel
KR20240011429A (ko)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케어 치약 조성물
KR20170142975A (ko) 익모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30035323A (ko) 차나무 뿌리 유래 사포닌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