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0622B1 - 금연 보조용 치약 조성물 - Google Patents

금연 보조용 치약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0622B1
KR102180622B1 KR1020190085693A KR20190085693A KR102180622B1 KR 102180622 B1 KR102180622 B1 KR 102180622B1 KR 1020190085693 A KR1020190085693 A KR 1020190085693A KR 20190085693 A KR20190085693 A KR 20190085693A KR 102180622 B1 KR102180622 B1 KR 1021806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oil
extract
individually added
so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5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민우
Original Assignee
(주)한일제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일제약 filed Critical (주)한일제약
Priority to KR1020190085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06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0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06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8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with carboxyl groups directly bound to carbon atoms of aromat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A61K8/46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containing sulfuric acid derivatives, e.g. sodium lauryl sulf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1Cellulose; Quaternized cellulose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6Chitin; Chitosan;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90/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for specific us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약 조성물에 니코틴 해독 및 중화작용을 하는 혼합정유를 첨가하여 흡연 억제 기능을 갖게 한 금연 보조용 치약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주성분으로서 침강탄산칼슘 및 제1혼합정유를 포함하고, 부성분으로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우스나트륨, D-소르비톨, 글리세린, 벤조산나트륨, 라우릴황산나트륨, L-멘톨, 사카린나트륨, 자일리톨, 키토산, 녹차추출물, 상백피추출물, 인삼추출물, 박하유 및 정제수를 포함하되,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침강탄산칼슘 20 내지 45 중량%, 제1혼합정유 0.1 내지 0.8 중량%, 카르복시메틸셀룰로우스나트륨 1 내지 5 중량%, D-소르비톨 20 내지 30 중량%, 글리세린 3 내지 12 중량%, 벤조산나트륨 0.05 내지 0.8 중량%, 라우릴황산나트륨 2 내지 3.2 중량%, L-멘톨 0.2 내지 0.8 중량%, 사카린나트륨 0.05 내지 0.25 중량%, 자일리톨 0.1 내지 0.5 중량%, 키토산 0.1 내지 0.6 중량%, 녹차추출물 0.05 내지 0.5 중량%, 상백피추출물 0.05 내지 0.5 중량%, 인삼추출물 0.05 내지 0.5 중량%, 박하유 0.01 내지 0.1 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로 구성되고, 상기 제1혼합정유는 베가못유, 코리안더유, 생강유, 오렌지유, 레몬유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금연 보조용 치약 조성물{TOOTHPASTE COMPOSITION FOR STOP SMOKING}
본 발명은 금연 보조용 치약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치약 조성물에 니코틴 해독 및 중화작용을 하는 혼합정유를 첨가하여 흡연 억제 기능을 갖게 한 금연 보조용 치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담배는 기호 식품으로서 아주 오래전부터 현재 까지 많이 애용하고 있음은 주지된 사실이다. 더욱이 담배에 함유된 니코틴, 타르, 일산화탄소 등 각종 독성물질과 발암물질은 각종 질병의 요인으로 작용되고 있다는 것이 의학적으로 입증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최근에는 여자는 물론 어린 청소년 까지 끽연 연령이 낮아지고 있어 금연에 대한 경각심이 고취되고 있다.
그러나 니코틴에 의한 담배 중독은 흡연자 들이 금연을 시도 한다고 하여도 금단현상(禁斷現象)에 의해 중도에 포기하는 일이 많다. 니코틴은 담배속에 존재하는 중요한 정신 활성 물질로 아편과 같은 수준의 습관성 중독을 일으키기 때문에 의학적으로는 마약으로 분류되고 있다. 담배를 통해 흡입된 니코틴의 약 25%가 혈액 내로 흡수되고, 또한 대략 7~9초 정도면 뇌에 도달하여 신경계에 작용함으로써 교감 및 부교감 신경을 흥분 시킨다. 이러한 니코틴의 효과는 흡연 후 1분 이내에 그 절정에 달하는데, 이러한 효과를 다시 얻기 위해서는 혈중 니코틴 용량을 유지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행동이 뒤 따르게 된다. 이것이 바로 담배를 한대 더 피워 무는 것이며, 담배의 이러한 중독성 물질 때문에 흡연이 좋지 않다는 것을 알면서도 쉽게 금연을 하지 못하고 있으며, 금연을 한다고 하여도 상기에서 밝힌 금단현상이 발생되고 있으며, 금단현상은 흡연자가 담배속에 있는 니코틴 등에 의해 중독된 후, 흡연을 중단 하였을 때 일어나는 정신, 신체상의 증상을 말 한다. 신체증상으로는 두통, 재채기, 가래, 변비, 설사 및 구토 등이 나타나고, 정신 증상으로는 불면증, 불안, 집중력감소, 흡연욕구 등이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금단현상을 예방하기 위한 금연 보조제의 유형으로는, 니코틴 츄잉껌, 니코틴을 함유시킨 피부 접착제, 니코틴 감량 파이프, 시판 금연 보조제 등이 있으나, 피부 염증, 위장 장애, 구역질 및 두통 등의 부작용이 발생되는 일이 있으며, 또한 금연보조제로 국내 공개번호 제97-9806호, 동 공개번호 제97-9805, 국내 등록 특허제289111호, 동 특허 제274825호가 있으나, 이러한 금연물질은 사용자들이 상시 지니고 다니면서 복용 또는 사용하여만 하는 사용상의 어려움이 있고, 또한 인체에 해를 주는 경우도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30386호(발명의 명칭 : 금연 보조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구강 위생 제품)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95618호(발명의 명칭 : 파래가 함유된 금연 보조형 치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점들에 비추어 예의(銳意) 연구결과 개발한 것으로, 항시 사용하는 치약 조성물에 담배 흡연을 억제하는 혼합정유와 아울러 생약제를 첨가하여 누구든지 쉽게 사용할 수 있게 한 편리성, 어느 흡연자들이 사용을 하더라도 인체에 전연 부작용이 없는 안전성을 부여 하면서도 충치, 잇몸 및 구강 질환에 대한 항염 및 항균 작용도 갖게 한 혼합정유를 함유한 금연 보조용 치약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주성분으로서 침강탄산칼슘 및 제1혼합정유를 포함하고,
부성분으로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우스나트륨, D-소르비톨, 글리세린, 벤조산나트륨, 라우릴황산나트륨, L-멘톨, 사카린나트륨, 자일리톨, 키토산, 녹차추출물, 상백피추출물, 인삼추출물, 박하유 및 정제수를 포함하되,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침강탄산칼슘 20 내지 45 중량%, 제1혼합정유 0.1 내지 0.8 중량%, 카르복시메틸셀룰로우스나트륨 1 내지 5 중량%, D-소르비톨 20 내지 30 중량%, 글리세린 3 내지 12 중량%, 벤조산나트륨 0.05 내지 0.8 중량%, 라우릴황산나트륨 2 내지 3.2 중량%, L-멘톨 0.2 내지 0.8 중량%, 사카린나트륨 0.05 내지 0.25 중량%, 자일리톨 0.1 내지 0.5 중량%, 키토산 0.1 내지 0.6 중량%, 녹차추출물 0.05 내지 0.5 중량%, 상백피추출물 0.05 내지 0.5 중량%, 인삼추출물 0.05 내지 0.5 중량%, 박하유 0.01 내지 0.1 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로 구성되고,
상기 제1혼합정유는 베가못유, 코리안더유, 생강유, 오렌지유, 레몬유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금연 보조용 치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주성분에 제2혼합정유가 더 포함되며, 상기 제2혼합정유는 유칼립투스유, 제라늄유, 티트리유, 만다린유, 마조람유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0.05 내지 0.5 중량%로 포함되는 금연 보조용 치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치약 조성물에 담배 흡연을 억제하는 혼합정유를 첨가하여 담배가 가지고 있는 특유의 맛을 변화시켜 흡연에 대한 욕구를 현저하게 떨어뜨리며, 또한, 향 성분의 첨가로 의하여 담배의 맛을 더욱 심하게 유도시켜 흡연의 욕구를 더욱 더 떨어뜨려서 금연에 도움을 주는 효과를 주며, 아울러 충치, 잇몸 및 구강 질환에 대한 항염 및 항균 작용을 하는 약리기능도 갖게 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니코틴 해독 및 중화작용, 구취제거, 플라그제거 및 항균효과가 우수한 금연 보조용 치약 조성물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니코틴 해독 및 중화작용, 구취제거, 플라그제거 및 항균효과가 우수한 금연 보조용 치약 조성물은, 연마제, 혼합정유, 첨가제, 습윤제, 점증제, 감미제, 착향제 및 정제수를 포함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주성분으로서 침강탄산칼슘 및 제1혼합정유를 포함하고,
부성분으로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우스나트륨, D-소르비톨, 글리세린, 벤조산나트륨, 라우릴황산나트륨, L-멘톨, 사카린나트륨, 자일리톨, 키토산, 녹차추출물, 상백피추출물, 인삼추출물, 박하유 및 정제수를 포함하되,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침강탄산칼슘 20 내지 45 중량%, 제1혼합정유 0.1 내지 0.8 중량%, 카르복시메틸셀룰로우스나트륨 1 내지 5 중량%, D-소르비톨 20 내지 30 중량%, 글리세린 3 내지 12 중량%, 벤조산나트륨 0.05 내지 0.8 중량%, 라우릴황산나트륨 2 내지 3.2 중량%, L-멘톨 0.2 내지 0.8 중량%, 사카린나트륨 0.05 내지 0.25 중량%, 자일리톨 0.1 내지 0.5 중량%, 키토산 0.1 내지 0.6 중량%, 녹차추출물 0.05 내지 0.5 중량%, 상백피추출물 0.05 내지 0.5 중량%, 인삼추출물 0.05 내지 0.5 중량%, 박하유 0.01 내지 0.1 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로 구성되고,
상기 제1혼합정유는 베가못유, 코리안더유, 생강유, 오렌지유, 레몬유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금연 보조용 치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침강탄산칼슘(precipitated calcium carbonate)은 연마제로서, 치아에 부착된 치구, 치석 따위를 제거하며 본래의 광택을 주는 작용을 하고, 무미무취의 분체로서 색은 백색이며 치아의 질을 상하게 하지 않는 경도 또는 그 이하에 있는 것을 요한다(치아의 애나멜질의 경도는 6-7 정도임). 또한, 위산을 중화하고 창자액 분비를 억제하여 설사를 멎게 하는 약 또는 소화계통의 질환 이외에 피부병, 구루병 따위에도 사용되는 성분이다.
그리고, 상기 제1혼합정유는 베르가못유, 코리안더유, 생강유, 오렌지유, 레몬유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베르가못 정유(essential oil)는, 무색의 액체로 신선하고 톡쏘는 향을 가진 시트러스계 오일이며, 마음을 안정시켜주고 호흡기능을 돕고 정신적인 스트레스로 인한 긴장된 근육을 풀어주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 베르가못유를 추출하는 베르가못(Bergamot)은 숙근성 다년초로서, 주성분에 리날롤아세트산에스테르(30~45%)와 리모넨(40%)이며, 이밖에 캄펜, 피넨, 네롤, 리날로올 등을 함유되며, 치약에 사용시 긴장완화 효과가 있고 교취제로 사용된다.
제1혼합정유 총 중량에 대해서 0.01~0.06중량% 첨가하며, 이 보다 미만이거나 초과하면 베르가못의 향이 강하여 치약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상기 코리안더유(Coriandrum sativum; 학명)는 Apiaceae(Umbelliferae)에 속하는 고수의 종자를 수증기 증류하여 추출한 오일로서, 달콤한 스파이스 향으로 기운을 북돋아주며 편안하게 하고 몸 전체의 정화작용이 있으며, 몸의 독소를 배출하고 체액의 노폐물을 내보내는 작용을 하며, 심한 피로나 두통에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으며, 제1혼합정유 총 중량에 대해서 0.01~0.06중량% 첨가한다.
상기 생강유는 높은 항염 활성의 기능을 가지며, 생강 분말을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35 ~ 55℃의 온도, 100~ 400 bar의 압력에서 1 ~ 3mL/min의 유속으로 1 ~ 3 시간 동안 초임계 추출하여 얻어진 생강유를 사용하며, 제1혼합정유 총 중량에 대해서 0.01~0.06중량% 첨가한다.
상기 오렌지유는 오렌지나무의 다양한 기관, 바람직하게는 열매의 육질 또는 껍질, 보다 바람직하게는 오렌지나무 열매의 껍질로부터 얻은 기름성분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오렌지유는 리모넨을 주성분으로 포함하며, 제1혼합정유 총 중량에 대해서 0.01~0.06중량% 첨가한다.
상기 레몬유는 레몬의 껍질로부터 압축법에 의하여 추출되며, monoterpen hydrocarbon 종류의 하나인 리모넨이 거의 60% 함유되어 있다. 작은 세균이나 곰팡이 균의 감염들을 예방하는데 효과적이고, 특히 호흡작용을 원활하게 하도록 도와주고 혈액순환을 도와주는 오일로 알려지며, 특히 기관지염에 효과적인 오일로 알려져 있으며, 제1혼합정유 총 중량에 대해서 0.01~0.06중량% 첨가한다.
그리고, 상기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나트륨(CMC)은 점증제인 점도조절제로서, 치약에서 액상과 고상을 결합하여 액분리를 방지하고 구강 조성물의 점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하는 물질을 의미한다.
상기 점도조절제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나트륨(CMC) 외에 함수규산, 카라기난, 수용성 폴리비닐아크릴 수지, 잔탄검, 점증용 실리카 및 알루미늄 실리케이트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D-소르비톨은 습윤제로서, 연고상의 제형을 만드는데 필수적인 베이스 성분으로 구강 조성물이 공기 중에 노출될 때 건조, 고화되는 것을 방지하고 치약의 표면에 윤기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종류에 따라서는 양치 시 감미효과를 주는 역할을 하는 물질을 의미한다.
상기 습윤제는 D-소르비톨 외에 글리세린,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프로필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벤조산나트륨(sodium benzoate)은 첨가제로서, 흰색의 결정성 가루로서 무취이며 단맛과 떫은맛을 낸다. 수용액은 중성 또는 약알칼리성이며 물에 잘 녹고 유기용매에서는 잘 녹지 않으나 에탄올에서는 녹는 특성이 있다. 벤조산보다 효과가 약하나 물에 잘 녹기 때문에 벤조산나트륨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주로 세균과 곰팡이의 생육을 억제하는 작용을 한다. 곰팡이, 효모 등 다양한 종류의 미생물에 효과가 있으며, 항균 범위가 넓은 편이나 주로 pH가 낮은 범위에서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라우릴황산나트륨(sodium lauryl sulfate)은 계면활성제의 일종으로 주로 라우릴황산나트륨으로 이루어진 알킬황산나트륨을 일컫는다. 백색-담황색의 분말로 되고 약하지만 특유의 냄새가 있는 것이 특징이며, 물에 용해시켜 흔들어 섞으면 거품을 발생시키는 특성이 있다.
또한, 상기 라우릴황산나트륨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라우릴황산나트륨 0.5 ~ 3 중량%, 라우린산사르코신나트륨 0.05 ~ 1중량%와, 상기 비이온 계면활성제로서 알킬폴리글로코스 0.5 ~ 5중량%, 자당지방산에스테르 0.5 ~ 3중량%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으로 함유된다.
그리고, 상기 L-맨톨은 구취 제거 기능을 하기 위하여 첨가하는 감미제로서, 상기 L-맨톨은 박하뇌(薄荷腦)라고도 하며, 이소프레노이드계열 화합물의 일종으로, 강한 박하의 향미를 가지는 결정성 유기화합물로 수세기 동안 일본산 박하유에서 얻어냈다. 천연에서 가장 일반적인 광학 이성질체는 좌회전성인 ℓ-멘톨로 박하유에 존재한다. 소량의 ℓ-멘톨은 시트로넬랄에서 얻어진다. 특유의 산뜻함으로 입안의 청량감을 줄뿐 아니라 구취를 제거하는 기능이 우수하다. 따라서 L-맨톨의 첨가량이 0.2 중량% 미만이면 박하유와 같이 구취제거 기능을 약화시킬 우려가 있고, 반대로 0.8 중량%를 초과하면 강한 자극으로 오히려 불편할 수 있으며, 또한 같이 첨가되는 상기 원료들의 효능을 약화시킬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0.2~0.8 중량%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사카린나트륨(saccharin sodium)은 무색-백색의 결정 또는 백색의 결정성 분말로, 물에 잘 녹고 에탄올에서는 약간 녹으며 수용액은 중성인 특징이 있다. 치약에서는 감미제로서 사용되는데, 감미는 사카린 분자 그 자체가 감미를 나타내지 않고, 해리한 음이온이 강한 감미를 발산한다.
그리고, 감미제나 향료는 치약 조성물의 사용감을 좋게 하는 물질로서, 감미제로는 삭카린, 락토오스, 아스파탐 등을 사용한다. 향료로는 페파민트, 스피아민트, 원터그린, 세이지, 유칼립투스오일, 메틸살리실테이트, 기타 과일 추출물 등을 혼합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멘톨, 솔비톨, 자일리톨 등을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키토산(chitosan)은 게, 새우 등 갑각류의 껍질에 존재하는 키틴(chitin)을 고온, 강알칼리로 처리하여 탈아세틸화시킨 천연 고분자 물질을 의미한다. 상기 키토산은 항균활성, 항진균활성, 면역활성 증강효과 등의 다
양한 생리 기능성을 갖는 물질이다.
상기 키토산은 구강세균의 생육을 억제하여 잇몸 질환을 예방함과 동시에 키토산의 흡착, 응집작용에 의하여 구강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키토산은 분자 내에 수소결합이 매우 강한 아세틸아미노기를 가지고 있어서, 물에 용해되지 않는 특성이 있으나, 상기 키토산을 저분자, 일 예로 분자량 10,000 내지 30,000 Da로 저분자화하는 경우 수용성을 가지나 항균 효과 등이 감소한다. 상기 키토산은 바람직하게는 물에 용해가 가능한 수용성 키토산이면서, 효과가 우수한 고분자량의 키토산, 일 예로 키틴을 탈아세틸화시켜 얻은 통상적인 키토산(비수용성 키토산)에 카르복실에틸(Carboxyethyl) 그룹을 겹합시킨 카르복실에틸키토산(N-Carboxyethyl Chitosan)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약효제는 사용 목적에 따라 사용이 가능하며 녹차추출물, 프로폴리스 추출액, 포공영 추출물, 자몽 종자 추출물, 길경 농축액기스, 황백 농축액기스, 불화나트륨, 초산토코페롤, 소금, 죽염, 질산칼륨, 인산삼칼슘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약효제는 바람직하기로 구강 베이스 조성물에 0.001 내지 2.0 중량부로 사용하고, 만일 그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적절한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게 되면 쓴맛, 아린맛, 텁텁한 맛 및 약효제 고유의 이미를 나타내 불쾌감이 남을 수 있어 상기 범위 내에서 적절히 조절하여 사용한다.
상기 녹차추출물은 구취제거, 항균, 항산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상기 녹차추출물 외에 황칠나무추출물, 산초추출물, 천궁추출물, 유칼립투스추출물, 쇠비름추출물, 겨우살이추출물, 솔잎추출물 및 은행잎추출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의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백피추출물의 첨가는, 치은염, 치주염, 치주질환 및 잇몸질환 예방을 위한 천연 원료로 첨가하는 것인데, 상백피에 함유된 '유지놀'은 항염 기능을, 그리고 비타민C 는 잇몸 질환에 대한 예방 기능을 한다. 따라서 상백피추출물의 첨가량이 0.05중량% 미만이면 상기와 같은 약리 작용을 약화 시킬 우려가 있고, 반대로 0.5중량%를 초과하면 첨가되는 원료들의 효능을 저하 시킬 우려가 있다.
그리고, 상기 착향제는 L-멘톨 외에 인삼추출물을 포함하여 구강을 깨끗이 하고, 상쾌함을 주며, 구강내의 불결한 냄새를 억제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상기 착향제는 항균작용, 구취제거, 살균작용을 할 수 있으며, 상기 착향제로 인삼추출물 외에 프로폴리스추출물, 굴유, 콜민트향, 조합향료(사과향)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폴리스추출물은 상기 인삼추출물과 같이 착향제로 첨가하는 것으로, 염증 및 치주질환을 예방할 수 있고, 잇몸 수렴작용, 잇몸 재생기능을 할 수 있다. 상기 프로폴리스추출물은 꿀벌이 포플라나무, 유칼리나무, 소나무등의 새싹 및 나무 껍질에서 채취한 성분과 자신의 타액을 섞어 만든 아교 형태의 물질이며, 여러식물의 약효성분인 효모, 왁스, 벌의 타액이 섞인 물질이다. 특히 이 원료에 함유된 프라보노이드라는 성분이 항염 및 항균성을 갖고 있다. 상기 프로폴리스추출물은 0.1~1.5 중량%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주성분에 제2혼합정유가 더 포함되며, 상기 제2혼합정유는 유칼립투스유, 제라늄유, 티트리유, 만다린유, 마조람유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5 내지 0.3 중량%로 포함되는 금연 보조용 치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유칼립투스유는 시네올 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강력한 살균, 소염, 방부작용을 하며, 제2혼합정유 총 중량에 대해서 0.01~0.06중량% 첨가한다.
상기 제라늄유(Pelargonium inquinans)은 주로 향수의 원료, 샐러드, 케이크, 과자 등의 향료 또는 장식용, 주택의 방향제, 마사지 오일 등의 원료로 쓰인다. 그 밖에 신경안정제, 유방 소염제, 이뇨제 등의 약재로 쓰이며, 제라늄 중에 로즈제라늄 중에 센티드제라늄 또는 쵸코제라늄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제2혼합정유 총 중량에 대해서 0.01~0.06중량% 첨가한다.
상기 티트리유는 오일(Tea tree oil)은 Melaleuca alternifolia의 학명과 Myrtaceae계열의 식물과이다. 화학성분으로는 알코올, 모노테르펜, 세스퀴테르펜을 함유하고 있다. 주요 특성은 감기, 독감, 기관지염 등의 호흡기 질환에 효과적이며 항 박테리아, 항 바이러스, 항 진균, 소염, 진통, 살균작용이 있으며, 제2혼합정유 총 중량에 대해서 0.01~0.06중량% 첨가한다.
상기 만다린유(mandarin Oil)은 만다린계오렌지라고도 하며, 비타민P와 아스코르빈산, 카로티노이드, 리모노이드 플라보노이드, 구마린, 나린제닌 계통의 성분 등이 들어있으며, 특히 나린제는 신경과민성, 불면증, 우울증, 피부톤에 활력증강, 세포활성화, 살균, 강장, 혈액순환을 촉진하는 역할을 하며, 제2혼합정유 총 중량에 대해서 0.01~0.06중량% 첨가한다.
상기 마조람(Marjoram)유는 마음을 진정시키고 걱정 신경성 문제, 불면증을 해소시켜 준다. 또한 혈액순환을 좋게 하는 역할을 하며, 제2혼합정유 총 중량에 대해서 0.01~0.06중량% 첨가한다.
또한, 상기 제1혼합정유의 5종 중 선택된 3종 또는 4종 그리고 제2혼합정유의 5종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을 혼합하여 제1, 2혼합정유를 사용하는 치약 조성물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칼립투스 잎, 제라늄 잎 또는 꽃, 티트리 잎, 만다린 잎 또는 열매, 마조람 잎 또는 꽃을 세척, 건조화를 거친 각각의 개별첨가물을 선택하여 사용하며, 상기 개별첨가물을 pH가 5.0~6.0인 차아염소산소다 용액에 1분 내지 5분 동안 침지하한 후 세척 및 자연건조의 순으로 행한 후 건조된 개별첨가물을 분쇄한 개별첨가분말과 물을 용매로 하여 1:0.3~0.6의 중량비로 혼합한 다음 열수추출 또는 초음파추출을 하는 추출단계를 가지며, 이때 개별첨가분말에 물을 가한 후, 80~100℃의 온도에서 6~12시간 열수추출하거나, 개별첨가분말에 물을 가한 후, 초음파 추출기를 이용하여 100~150kHz 정도의 조건으로 20~30분간 전처리하고, 이를 다시 50~60℃의 온도에서 6~12시간 열수추출하게 되어 개별첨가 추출물이 제조되며, 상기 개별첨가 추출물은 제2혼합정유 100중량%라 할 때 1.5 내지 38중량%로 포함되어 사용된다.
상술한 농도 및 시간 내에서 차아염소산소다 용액 중에 개별첨가물을 침지함으로써 개별첨가물 내에 있을 수 있는 일반세균 및 대장균을 더욱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아염소산소다 용액은 pH가 5.0 내지 6.0인 약산성 차아염소산소다 용액일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약산성 차아염소산소다 용액은 2% 이내의 차아염소산이온(OCl-)과 98 내지 100%의 차아염소산으로 되어있고, 염소를 함유하지 않고 있으며, 상기 차아염소산소다 용액의 pH가 6 초과인 경우에는 차아염소산이온의 생성이 많아져서 살균력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되며, pH 5.0 미만의 차아염소산소다 용액은 유효염소 구성 성분 중에 분자상 염소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염소 자극취와 금속부식성이 있으며, pH가 낮기 때문에 보관 중에 유효염소성분인 차아염소산 (HOCl)이 염소로 되어 휘발하기 때문에 차아염소산수의 유효염소농도가 저하됨으로 인하여 보관 안정성이 낮아지는 결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개별첨가물은 약산성 차아염소산소다 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열수추출 또는 초음파추출로 개별첨가 추출물을 획득함으로서 개별첨가물 내에 함유되어 있는 유효성분을 거의 추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개별첨가 추출물 추출단계를 거쳐 얻어진 개별첨가 추출물에 대해 0.1~1 중량부의 소금 및 유산균을 개별첨가 추출물에 가하고 1차 발효시킨 다음, 가압 증류에 의해 획득한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숙성 발효시키는 1차 개별첨가 발효물의 획득단계를 거치며,
상기 1차 개별첨가 발효물 100중량%에 대해 0.1~0.5 중량%의 수용성 프로폴리스 및 유산균을 가하고 2차 발효시키는 2차 개별첨가 발효물 획득단계하며,
상기 2차 개별첨가 발효물 100중량%에 대해 0.5 ~ 2 중량%의 미네랄 및 효모균을 가하고 발효시키는 3차 개별첨가 발효물 획득단계를 거치며,
상기 3차 개별첨가 발효물에 방선균 및 고초균을 접종하면서 3차 개별첨가 발효물 100중량%에 대해 0.5 ~ 3 중량%의 녹차잎 분말을 혼합하여 4차 발효시키는 4차 개별첨가 발효물의 획득단계를 거친 후 및,
상기 4차 개별첨가 발효물 100중량%에 대해 0.05 ~ 1 중량%의 글리세린, 클로렐라 및 메스틱 오일을 각각 첨가하고 고속 분산시켜 균질화시킨 다음 5차 발효시키는 5차 개별첨가 발효물 획득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 개별첨가 발효액을 이용하며, 상기 개별첨가 발효액은 제2혼합정유 100중량%라 할 때 1.5 내지 38중량%로 포함되어 사용되거나 상기 개별첨가 발효액을 포함하면서 상술한 개별첨가 추출물을 함께 사용되며, 이때 개별첨가 발효액과 개별첨가 추출물을 함께 사용시 1:01~0.8의 중량비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1차 및 2차 개별첨가 발효물을 획득하는 단계에서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루테리(Lactobacillus reuteri),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루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lus), 락토바실러스 락티스(Lactobacillus lactis),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 (Lactobacillus helveticus),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bulgaricus)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상기 3차 개별첨가 발효물를 획득하는 단계에서 효모균은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Saccharomyces cerevisiae), 지고사카로마이세스 마조르(Zygosaccharomyces major)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3차 개별첨가 발효물를 획득하는 단계에서 방선균은 스트렙토마이세스 그리세우스(Streptomyces griseus), 스트렙토마이세스 아우레우스
(Streptomyces aureus), 스트렙토마이세스 아비도플라부스(Streptomycesabisoflavus) 또는 이들의 조합을 사용하며, 상기 고초균은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스피지제피아이(Bacillus subtilis), 바실러스 메가테리움(Bacillus megaterium), 바실러스 리체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 바실러스 낫토(Bacillus natto), 바실러스 풀미스(Bacillus pumilus) 또는 이들의 조합을 사용한다.
상기 방선균은 항생 물질 생산이 우수하여 병원균을 억제하는데 큰 효과가 있으며, 상기 고초균의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하는 과정에서 분해되어 좀 더 작은 저분자 물질로 바뀌어 다른 물질과 결합하기 쉬운 상태로 유리되며, 이들을 약용재로 썼을 경우에는 생성되는 부산물의 보존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5차 개별첨가 발효물 획득하는 단계에서 사용되는 글리세린은 개별첨가 발효액이 포함되는 치약 조성물로 제공될 경우 쉽게 산화되어 변질되는 문제점을 나타내므로 식물성 글리세린을 4차 개별첨가 발효물에 혼합한 후 장기간 변질되지 않도록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 상술한 개별첨가 발효액에 무해한 식물성 종균을 접종시켜 발효공정을 거치므로 내구성을 높여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클로렐라는 천연담수녹조류의 일종인 아주 작은 단세포생물로 광합성 작용이 활발하고 세포분열 능력이 뛰어나 다량의 엽록소와 필수 아미노산과 각종 비타민과 미네랄이 함유하고 세포 신진대사를 돕고 세포 부활도 돕는 것으로서, 4차 개별첨가 발효물에 혼합하여 사용됨으로서 세균과 바이러스에 대한 저항력이 인정되고 젖산균, 단백질 분해균 등의 발효촉진과 중금속 해독과 오염된 물을 정화하는 작용이 있는 것이다.
상기 메스틱 오일은 메스틱 오일에 포함된 유효성분 그리고 개별첨가 발효액의 유화 안정성을 가지도록 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메스틱 오일 100중량%에 대해 미생물 배양액에 쇠비름씨앗 오일을 첨가하여 발효 후 질산균을 배양한 배양액을 첨가하여 혼합 발효시킨 니트로 지방산을 포함한 쇠비름씨앗 발효오일 0.1~20중량%를 더 포함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니트로 지방산을 포함한 쇠비름씨앗 발효오일이 치약 조성물에 포함됨으로서 치아의 미백 및 살균을 극대화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며, 당업자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요지 및 범위를 일탈하는 일 없이도 다양한 변화 및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영역 내에 있다.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주성분으로서 침강탄산칼슘 및 제1혼합정유를 포함하고, 부성분으로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우스나트륨, D-소르비톨, 글리세린, 벤조산나트륨, 라우릴황산나트륨, L-멘톨, 사카린나트륨, 자일리톨, 키토산, 녹차추출물, 상백피추출물, 인삼추출물, 박하유 및 정제수를 포함하되,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침강탄산칼슘 20 내지 45 중량%, 제1혼합정유 0.1 내지 0.8 중량%, 카르복시메틸셀룰로우스나트륨 1 내지 5 중량%, D-소르비톨 20 내지 30 중량%, 글리세린 3 내지 12 중량%, 벤조산나트륨 0.05 내지 0.8 중량%, 라우릴황산나트륨 2 내지 3.2 중량%, L-멘톨 0.2 내지 0.8 중량%, 사카린나트륨 0.05 내지 0.25 중량%, 자일리톨 0.1 내지 0.5 중량%, 키토산 0.1 내지 0.6 중량%, 녹차추출물 0.05 내지 0.5 중량%, 상백피추출물 0.05 내지 0.5 중량%, 인삼추출물 0.05 내지 0.5 중량%, 박하유 0.01 내지 0.1 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로 구성되고, 상기 제1혼합정유는 베가못유, 코리안더유, 생강유, 오렌지유, 레몬유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주성분에 제2혼합정유가 포함되면서 제2혼합정유는 만다린유 또는 마조람유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5 내지 0.5 중량%로 포함되는 금연 보조용 치약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만다린 잎 또는 열매, 마조람 잎 또는 꽃을 세척, 건조화를 거친 각각의 개별첨가물을 선택하여 사용하며, 상기 개별첨가물을 pH가 5.0~6.0인 차아염소산소다 용액에 1분 내지 5분 동안 침지하한 후 세척 및 자연건조의 순으로 행한 후 건조된 개별첨가물을 분쇄한 개별첨가분말과 물을 용매로 하여 1:0.3~0.6의 중량비로 혼합한 다음 열수추출 또는 초음파추출을 하는 추출단계를 가지며, 이때 개별첨가분말에 물을 가한 후, 80~100℃의 온도에서 6~12시간 열수추출하거나, 개별첨가분말에 물을 가한 후, 초음파 추출기를 이용하여 100~150kHz 정도의 조건으로 20~30분간 전처리하고, 이를 다시 50~60℃의 온도에서 6~12시간 열수추출하게 되어 개별첨가 추출물이 제조되며, 상기 개별첨가 추출물은 제2혼합정유 100중량%에 대해 1.5 내지 38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연 보조용 치약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아염소산소다 용액은 pH가 5.0 내지 6.0인 약산성 차아염소산소다 용액이며, 이때 상기 약산성 차아염소산소다 용액은 2% 이내의 차아염소산이온(OCl-)과 98 내지 100%의 차아염소산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연 보조용 치약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첨가 추출물 추출단계를 거쳐 얻어진 개별첨가 추출물에 대해 0.1~1 중량부의 소금 및 유산균을 개별첨가 추출물에 가하고 1차 발효시킨 다음, 가압 증류에 의해 획득한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숙성 발효시키는 1차 개별첨가 발효물의 획득단계를 거치며,
    상기 1차 개별첨가 발효물 100중량%에 대해 0.1~0.5 중량%의 수용성 프로폴리스 및 유산균을 가하고 2차 발효시키는 2차 개별첨가 발효물 획득단계하며,
    상기 2차 개별첨가 발효물 100중량%에 대해 0.5 ~ 2 중량%의 미네랄 및 효모균을 가하고 발효시키는 3차 개별첨가 발효물 획득단계를 거치며,
    상기 3차 개별첨가 발효물에 방선균 및 고초균을 접종하면서 3차 개별첨가 발효물 100중량%에 대해 0.5 ~ 3 중량%의 녹차잎 분말을 혼합하여 4차 발효시키는 4차 개별첨가 발효물의 획득단계를 거친 후 및,
    상기 4차 개별첨가 발효물 100중량%에 대해 0.05 ~ 1 중량%의 글리세린, 클로렐라 및 메스틱 오일을 각각 첨가하고 고속 분산시켜 균질화시킨 다음 5차 발효시키는 5차 개별첨가 발효물 획득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 개별첨가 발효액을 이용하며, 상기 개별첨가 발효액은 제2혼합정유 100중량%에 대해 1.5 내지 38중량%로 포함되어 사용되거나 상기 개별첨가 발효액을 포함하면서 상기 개별첨가 추출물을 함께 사용되며, 이때 개별첨가 발효액과 개별첨가 추출물을 함께 사용시 1:01~0.8의 중량비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연 보조용 치약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스틱 오일 100중량%에 대해 미생물 배양액에 쇠비름씨앗 오일을 첨가하여 발효 후 질산균을 배양한 배양액을 첨가하여 혼합 발효시킨 니트로 지방산을 포함한 쇠비름씨앗 발효오일 0.1~20중량%를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연 보조용 치약 조성물.
KR1020190085693A 2019-07-16 2019-07-16 금연 보조용 치약 조성물 KR1021806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5693A KR102180622B1 (ko) 2019-07-16 2019-07-16 금연 보조용 치약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5693A KR102180622B1 (ko) 2019-07-16 2019-07-16 금연 보조용 치약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0622B1 true KR102180622B1 (ko) 2020-11-18

Family

ID=73698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5693A KR102180622B1 (ko) 2019-07-16 2019-07-16 금연 보조용 치약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06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726054A (zh) * 2022-12-05 2023-09-12 山东新时代药业有限公司 一种即食型益生菌组合物及其制备方法、用途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13504A (ko) * 2007-06-25 2008-12-31 (주)아모레퍼시픽 인삼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세균억제용조성물
KR20100056085A (ko) * 2008-11-19 2010-05-27 홍성창 금연 효과가 우수한 혼합정유 조성물과 금연 보조제
KR101195618B1 (ko) 2009-05-15 2012-10-29 황철수 파래가 함유된 금연 보조형 치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257828B1 (ko) * 2011-01-18 2013-04-29 주식회사 에바코 다마스콘 함유 금연보조제 조성물
KR101641215B1 (ko) * 2015-05-15 2016-07-20 대한민국(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장) 상백피추출물과 화살나무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충치 예방 및 치료용 구강조성물
KR101930386B1 (ko) 2012-05-24 2019-03-1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금연 보조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구강 위생 제품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13504A (ko) * 2007-06-25 2008-12-31 (주)아모레퍼시픽 인삼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세균억제용조성물
KR20100056085A (ko) * 2008-11-19 2010-05-27 홍성창 금연 효과가 우수한 혼합정유 조성물과 금연 보조제
KR101195618B1 (ko) 2009-05-15 2012-10-29 황철수 파래가 함유된 금연 보조형 치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257828B1 (ko) * 2011-01-18 2013-04-29 주식회사 에바코 다마스콘 함유 금연보조제 조성물
KR101930386B1 (ko) 2012-05-24 2019-03-1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금연 보조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구강 위생 제품
KR101641215B1 (ko) * 2015-05-15 2016-07-20 대한민국(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장) 상백피추출물과 화살나무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충치 예방 및 치료용 구강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726054A (zh) * 2022-12-05 2023-09-12 山东新时代药业有限公司 一种即食型益生菌组合物及其制备方法、用途
CN116726054B (zh) * 2022-12-05 2024-03-26 山东新时代药业有限公司 一种即食型益生菌组合物及其制备方法、用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1371B1 (ko) 울금을 함유한 치약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029106A (ko) 유산균 발효 허브 추출물을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KR101715163B1 (ko) 솔잎 및 솔방울 추출물의 김치유산균 발효물을 포함하는 구취 제거용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99387B1 (ko) 향균성 치약 조성물
JP2021172620A (ja) 口腔ケア剤
Mulyanti et al. Formulation of mouth rinse from the essential oils of lime (Citrus aurantifolia) and its inhibitory efficacy on the growth of Streptococcus mutans–in vitro
KR102180622B1 (ko) 금연 보조용 치약 조성물
US20160303035A1 (en) Toothpaste Composition Containing Curcuma Longa 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101082208B1 (ko) 치약조성물
KR20130058877A (ko) 퍼머약 첨가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782858B1 (ko) 약용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313830B1 (ko) 해조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취 완화용 조성물
CN107951775A (zh) 一种含葛根和佩兰提取物的植物草本牙膏及其制备方法
KR101664810B1 (ko) 구강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53868B1 (ko) 송염 성분을 함유한 칫솔모를 갖는 칫솔 제조방법
KR102171798B1 (ko)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취 감소 및 치주질환 예방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80008120A (ko) 허브 추출물 및 그 정유를 포함하는 구강세정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660467B1 (ko) 구기자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KR20140127061A (ko) 천연식물 성분과 미네랄 염이 함유된 구강청결 기능성 조성물 및 제조방법
CN110935014A (zh) 天然草本儿童专用口腔皮肤黏膜消毒喷剂
KR102194210B1 (ko) 애완동물의 멀미, 오심 및 구토의 예방 또는 치료용 방향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18625B1 (ko) 생균 양치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생균 양치 소금
KR102283663B1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CN108379138A (zh) 一种含有藤茶黄酮提取物的口气清新剂及其制备方法
KR20140135664A (ko) 물이 필요없는 일회용 칫솔 및 일회용 칫솔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