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6085A - 금연 효과가 우수한 혼합정유 조성물과 금연 보조제 - Google Patents

금연 효과가 우수한 혼합정유 조성물과 금연 보조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6085A
KR20100056085A KR1020080115067A KR20080115067A KR20100056085A KR 20100056085 A KR20100056085 A KR 20100056085A KR 1020080115067 A KR1020080115067 A KR 1020080115067A KR 20080115067 A KR20080115067 A KR 20080115067A KR 20100056085 A KR20100056085 A KR 201000560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smoking
mixed essential
composition
essential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5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6279B1 (ko
Inventor
홍성창
Original Assignee
홍성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성창 filed Critical 홍성창
Priority to KR1020080115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6279B1/ko
Publication of KR20100056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60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6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62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2Citrus, e.g. lime, orange or lem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3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use or dependence
    • A61P25/34Tobacco-abuse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Essential oils; Perfum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ddiction (AREA)
  • Neurosurge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eu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sychia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연요구 억제 및 금연효과가 우수한 혼합정유 (mixed essential oils)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금연 보조제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베가못유 25∼35%, 코리안더유 20∼30%, 생강유 15∼25%, 오렌지유 5∼20%, 레몬유 5∼20%를 함유하는 혼합정유 조성물을 제공하며, 상기 혼합정유 조성물을 사용한 치약, 스프레이, 파이프 형태의 금연보조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혼합정유 조성물은 아로마 향에 의한 흡연욕구 억제 효과와 진정작용, 정신안정 효과, 긴장해소 및 집중력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상기 혼합 정유 조성물을 사용한 치약, 스프레이, 파이프 형태의 금연보조제는 아로마 성분이 인체에 흡입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니코틴 패치, 니코틴 껌, 흡연초 등과 같은 금연보조제 제품에 비하여 부작용이 없어 매우 안전하며, 간편하고 쉽게 사용할 수 있으면서 높은 금연 성공률을 얻을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혼합 정유, 향기요법, 금연, 치약, 스프레이, 파이프

Description

금연 효과가 우수한 혼합정유 조성물과 금연 보조제 {Composition of mixed essential oils which is effective for stop smoking and its utiliztion}
본 발명은 흡연욕구 억제 및 금연 효과가 우수한 혼합정유 (mixed essential oils)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금연 보조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베가못유 25∼35%, 코리안더유 20∼30%, 생강유 15∼25%, 오렌지유 5∼20%, 레몬유 5∼20%를 함유하는 혼합정유 조성물을 제공하며, 본 발명의 혼합정유 조성물은 아로마 향에 의한 흡연욕구 억제 효과와 진정작용, 정신안정 효과, 긴장해소 및 집중력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혼합정유 조성물을 사용한 치약, 스프레이, 파이프 형태의 금연보조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며, 이들 금연보조 제품은 아로마 성분이 인체에 흡입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니코틴 패치, 니코틴 껌, 흡연초 등과 같은 금연보조제 제품에 비하여 부작용이 없어 매우 안전하며, 간편하고 쉽게 사용할 수 있으면서 높은 금연 성공률을 얻을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문헌 1] 대한민국특허 등록 10-0649552 호
[문헌 2] 문유선, 아로마치료, 가정의학회지, 제25권 제4호 별책 2004 p.413-418
흡연은 폐암을 비롯한 여러 가지 암은 물론 심혈관계 질환이나 호흡기계 질환, 그리고 일부 소화기계 질환과도 상당한 원인적 관련성을 맺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흡연은 개인의 건강은 물론 국민 보건 차원에서 사회적 문제로 다루어지고 있으며, 흡연을 하는 사람들은 점차 많은 제약을 받는 추세에 있다.
이에 따라 많은 흡연자들이 금연을 원하고 있으며, 통계적으로 흡연자들 중 60∼70%가 금연을 원한다는 보고도 있으나, 흡연자들은 니코틴에 중독이 되어 있어 금단증상을 느끼기 때문에 본인의 의지만으로는 쉽게 금연을 달성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1990년대부터 금연을 위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면서 니코틴 대체요법, 비니코틴성 약물요법(부프리피온 등), 금연침, 궐련형 금연보조제 등 여러 종류의 금연 보조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고 제품시장도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가장 큰 시장을 차지하고 있는 니코틴 대체요법의 일반적인 기전은 흡연자들이 흡연 욕구를 느낄 때 니코틴을 함유한 패치, 껌, 스프레이 등을 복용함으로써 점점 흡연 습관을 줄이게 하는 것이다. 니코틴 패치는 피부를 통해 일정량의 니코틴을 흡수시키는 원리다. 흡연량과 신체 조건에 따라 고용량, 혹은 저용량부터 시작, 24시간 동안 일정하게 몸의 니코틴 농도를 유지시켜 주며, 약 8∼12주 정도의 장기간 동안 패치를 사용해 서서히 니코틴을 줄여 나가는 것이다. 니코틴 껌은 패치에 비해 적은 양인 2∼4mg으로 언제든 흡연 욕구가 있을 때 씹기만 해도 금단증 상을 완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니코틴 껌은 약 1시간에 걸쳐서 천천히 씹으면서 약간 얼얼한 느낌이 들면 이빨과 뺨 사이에 껌을 위치시켜, 구강 내 점막으로 흡수되게 하는 원리다.
그러나 니코틴 패치의 경우 피부 마찰로 인한 손상, 메스꺼움이나 구토, 근육통, 현기증, 심박동 증가, 수면장애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으며, 피부를 통해 일정시간 계속해서 니코틴이 공급되고 있기 때문에 패치를 붙이고 담배를 피우게 되면 체내 니코틴 농도가 급격하게 상승해 사망까지 이를 수 있다.
또한 니코틴 껌의 경우에도 너무 빨리 씹을 경우 니코틴 농도가 급격하게 상승할 수 있으며, 껌을 두개 이상 한꺼번에 씹게 되면 흡수되는 니코틴 양이 많아 오히려 건강에 해로울 수 있고, 껌을 씹을 때 탄산음료를 마시거나 니코틴 스프레이 등을 사용해선 안 된다. 구강 내와 목을 자극하고, 턱관절에 무리가 올 수 있으며 매스껍고 맛도 좋지 않으며, 심박동이 증가하기도 하는 부작용이 있다.
궐련형 금연보조제인 금연초는 담배피우는 습관을 이용한 금연방법이다. 흡연자들이 담배를 피우게 되는 동기가 니코틴의 영향도 있지만, 피우는 행위 자체를 즐기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며, 금연초에는 니코틴은 없다. 대신 보통 담배에 비해 많은 양의 타르와 일산화탄소가 들어있다. 그렇기 때문에 만약 담배 대신 금연초를 장기간 피운다면 오히려 건강을 해칠 수 있다. 금연초는 단기간 계획적으로 금연할 사람에게 적당하며, 담배피우는 것을 도저히 참을 수 없을 때 가끔씩 도움 받는 방법으로 적당하다.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는 금연초에 포함된 타르와 일산화탄소의 양이 10mg을 넘어서는 안 되고, 니코틴은 전혀 검출되지 않아야 한다는 것, 그리 고, 금연초에 포함된 성분 함량 및 경고 문구 삽입 등 소비자가 잘 알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검토한 바 있다.
비니코틴계 약물요법으로는 크로니딘, 항우울제 등이 사용되고 있다. 크로니딘은 알코올이나 마약의 금단증세에 효과가 있어서 금연에 시도된 약물로써 금단증상의 경감에 효과가 있고 장기 금연율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으나, 부작용이 있어 사용하기 힘들다. 흡연은 우울증 환자에서 더욱 흔하고, 우울증 환자에서는 금연이 더욱 어렵기 때문에 항 우울제 약물이 금연 치료 약물로 처방되고 있으며, 현재까지 금연에 사용되는 항 우울제로는 서방제(부프리피온), 노트리프틸린이 있으며 서방제는 니코틴대체 치료보다 효과가 있다는 증거가 있다. 그러나 금연에 가장 적절한 사용법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며 항 우울제는 심각한 부작용으로 인해 니코틴 보충요법보다 우선해서 일차 선택제로는 쓸 수는 없다.
아로마 요법(aromatherapy)이란 식물에서 추출한 생화학 물질인 에센셜오일(essential oil)을 주체로 사용하는 자연 치료법의 일종으로 보완대체의학의 한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아로마 요법은 향기가 있는 식물로부터 추출한 순수 에센셜오일을 사용하여 여러 건강 상 문제들의 완화에 도움이 되는 치료법이며, 현재 의학계에서보다 일반인들 사이에서 개인 건강관리의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전통적으로 아로마는 호흡을 돕고 점막 분미물 감소, 작은 상처와 벌레에 물질 상처 치료, 이완과 수면 촉진, 통증 완화, 소화기 문제 완화, 근육통 경감 등에 수천년전부터 사용되어 왔다. 아로마 요법에 사용되는 에센셜오일은 세계적으로 약 300∼400 종류로 알려져 있으나, 서로 유사한 효과가 있고, 실제적으로 아로마 요 법에 흔히 사용되는 오일들은 50∼60가지 정도이며, 라벤더, 페퍼민트, 캐모마일, 로즈마리, 유칼립투스, 레몬, 오렌지, 베가못, 제라니움, 베티머 등의 에센셜오일이 많이 연구되고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존 금연 보조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인체에 대한 부작용을 줄일 수 있고, 흡연 억제효과와 긴장, 불안정성, 집중력 장애와 같은 니코틴 금단증상을 완화함으로써 금연 효과가 우수한 혼합 정유 조성물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혼합조성물을 이용하여 일상생활에서 쉽고 간편하게 사용하면서 금연 성공률을 높일 수 있는 금연보조 제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대체의학 요법의 한 종류인 아로마 요법(aromatherapy)을 적용하여 진정작용, 정신안정 효과, 긴장해소 및 집중력 향상 효과가 우수한 혼합정유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며, 구체적으로는 베가못유 25∼35%, 코리안더유 20∼30%, 생강유 15∼25%, 오렌지유 5∼20%, 레몬유 5∼20%를 포함한다. 제조된 혼합정유 조성물은 흡연욕구 억제 효과를 얻을 수 있고, 금연 실패의 원인이 되는 니코틴 금단증상으로써 긴장이나 불안정성, 집중력 장애 등을 완화함으로써 금연 효과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작용이 전혀 없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금연 보조제 제품의 제조방법은 혼합정유 조성물을 이용하는 치약, 스프레이, 파이프 제품을 포함하며, 일상생활에서 쉽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고, 금연효과 뿐만 아니라 치아건강 및 정신건강 유지 효과도 동시에 얻을 수 있는 금연보조 제품을 제조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혼합정유 조성물이 흡연욕구를 감소시키고, 불안과 초조 등 니코틴 금단증상을 완화시켜 줌으로써 금연 효과를 매우 높이는 작용을 나타낸다. 혼합정유 조성물은 천연물에서 추출 정제한 향기성분을 사용하므로 인체에 대한 독성과 부작용이 전혀 없는 매우 안전한 물질이므로, 기존에 사용되는 금연보조제의 부작용 단점을 해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치약, 스프레이, 파이프 등 일상생활에서 쉽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형태의 금연보조 제품으로 적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흡연 욕구 억제, 금연효과 증진 뿐만 아니라 진정작용, 정신안정 효과, 긴장해소 및 집중력 향상 효과가 있어 니코틴 금단 증상을 완화시켜주는 작용도 하여 금연 성공률을 증가시키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금연효과가 우수한 혼합정유 조성물 및 금연보조제품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금연효과가 우수한 혼합정유 조성물의 실시예로는 베가못유 25∼35%, 코리안더유 20∼30%, 생강유 15∼25%, 오렌지유 5∼20%, 레몬유 5∼2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혼합정유에 이용되는 성분 및 그 작용 효과는 하기와 같다.
베가못유(Bergamot essential oil)는 베르가모트 Citrus bergamia(운향과)의 신선한 열매껍질을 압착하여 얻은 정유로써 상쾌한 방향을 가진 녹색 또는 황록색의 기름이며, 녹색은 엽록소에 유래한다. 비중은 0.871∼0.880이고, 에탄올, 빙초산에 녹는다. 주성분은 리날롤아세트산에스테르(30∼45%)와 리모넨(40%)이며, 이밖에 캄펜, 피넨, 네롤, 리날로올 등을 함유한다. 긴장완화 효과가 있고 교취제로 사용되며, 살충효과도 있으며, 캔디의 향료, 포마드의 착향료로도 쓰이고 있다.
코리안더유(Coriander essential oil)는 당근과 같은 산형과(umbelliferae)의 일년생 풀인 Coriandrum sativum의 씨앗을 원료로 하며, 역사가 가장 오래된 허브 중의 하나로써, 달콤한 스파이스 향으로 기운을 북돋아주며 편안하게 하고 몸 전체의 정화작용이 있으며, 몸의 독소를 배출하고 체액의 노폐물을 내보내는 작용을 하며, 심한 피로나 두통에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다.
생강유(Ginger oil)는 생강(Zingiber officinal Roscoe (Zingiberaceae))의 근경을 수증기 증류하여 얻은 정유이며, 황갈색의 투명한 액체로 특이한 냄새가 있고 특이한 맛이 있다. 신체적인 작용이 강하여 식중독 증상, 생리통 등의 진통완화제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변화에 익숙하면서 적응하도록 도와주고 경직된 생각 에 변화와 융통성을 주도록 도와주는 정신적 건강에 미치는 효과를 기대함으로 아로마테라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오렌지유(Orange essential oil)는 오렌지(Citrus sinensis)의 껍질에서 압축 추출되며, monoterpen hydrocarbon 성분인 리모넨 성분이 대량 들어 있으며, 알데하이드 성분도 소량들어 있다. 오렌지유가 사용된지는 얼마 되지 않지만 오렌지 자체는 오래전부터 비타민이 풍부하게 들어 있어서 널리 사용되어졌고, 특히 중국의 약학에서 마른 껍질을 기침, 감기 혹은 식욕 부진등에 널리 사용되었다. 시원하면서 달콤한 향은 기분을 가라앉게 하지 않으면서 마음을 안정시켜주고 평안하고 해주므로 스트레스 해소 오일로 사용되고 있고, 피부관리에 쓰이는 식물적 성질은 항경련, 진정기능으로 민감하고 예민한 피부에 적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레몬유(Lemon essential oil)는 레몬(Citrus limon)의 껍질로부터 압축법에 의하여 추출되며, monoterpen hydrocarbon 종류의 하나인 리모넨이 거의 60 % 함유되어 있다. 활동을 자극하는 레몬 오일은 정신을 맑게 해주며, 감정면에서 새로운 것에 대한 도전을 도와주는 오일로 알려져 있으며, 작은 세균이나 곰팡이 균의 감염들을 예방하는데 효과적이고, 특히 호흡작용을 원활하게 하도록 도와주고 혈액순환을 도와주는 오일로 알려져서 특히 기관지염에 효과적인 오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심장기관을 강하게 해주고 혈액순환을 도와주는 오일로 저혈압에도 효과가 있고 류마티즘 관절염 그리고 손발이 찰 때에도 사용하면 좋은 오일로도 알려졌으며, 식욕을 조절해주고, 지방을 분해하고 몸 안에 있는 불필요한 수분을 배출하는데 도움을 준다고 하여서 다이어트 오일로도 알려지고 있다. 그리고 콜레스테롤 수 치를 줄여주고 혈당치를 줄여준다고 알려지기도 하여 성인병 예방에도 좋은 효과가 있으며, 백혈구의 활동에 자극을 준다고 하여 기본적인 면역기관에 좋은 오일로 알려져 있다.
[실시예 2]
본 발명에 따른 금연효과가 우수한 혼합정유 조성물의 제조 방법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즉, (1) 통상의 제조방법으로 추출 제조된 베가못유, 코리안더유, 생강유, 오렌지유, 레몬유, 시트로넬라유, 그리고 제라니움유를 준비한다. (2) 교반기가 부착된 혼합조에서 온도를 25∼40℃로 유지하고 50∼150 rpm으로 교반하면서, 베가못유 25∼35%, 코리안더유 20∼30%, 생강유 15∼25%, 오렌지유 5∼20%, 레몬유 5∼20%의 비율로 순서대로 투입한다. (3) 혼합조 내에서 교반기로 일정하게 30분∼2시간 교반하면서 완전히 혼합시킨다. (4) 교반을 정지하고 혼합조의 뚜껑을 덮은 후 온도를 30℃로 유지하면서 2시간동안 안정화시킨다. (5) 완성된 혼합정유를 밀봉 포장한 후 상온에서 보관하거나, 금연보조 제품의 제조에 바로 사용한다.
혼합정유의 제조에 있어 각 정유의 혼합비율은 관능시험에서 가장 우수한 향특성을 발현할 수 있고, 금연 효과 시험에서 가장 높은 결과치를 얻을 수 있는 범위이다. 각 정유의 혼합비율을 초과하거나 미달될 경우 향 특성이 좋지 않아 거부감이 발생하거나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없게 되며, 금연 효과가 현저히 낮아지게 되므로 적정한 비율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3]
본 발명에 따른 금연효과가 우수한 혼합정유 조성물을 이용한 금연보조 제품 의 실시예로는 치약, 스프레이, 파이프 제품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금연효과가 우수한 치약형 금연보조 제품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즉 치약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성분으로써, 다음의 각 원료를 배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치약을 제조할 때 혼합정유 첨가비율은 0.5∼10%(w/w) 범위가 바람직하다.
- 연마제 : 치아에 부착된 치구, 치석따위를 제거하며 치아면에 본래의 광택을 주는 작용을 하는 성분으로 인산칼슘, 탄산칼슘, 무수규산, 수산화알루미늄 등을 사용한다.
- 발포제 : 배합된 계면활성제의 작용으로 사용시의 계면장력을 저하시켜 칫솔질의 청소효과를 높이고 배합되어 있는 약효제의 분산, 침투성을 도와서 그 효과를 높이며, 또한 이 발포성에 의한 기포의 soft한 볼륨감에 칫솔질할 때의 감상적인 안정감과 만족감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SLS (라우릴 황산나트륨)을 주로 사용하며, 중성으로 산성, 알카리성 또는 경수에서도 침전이 일어나지 않아서 치약에 사용하기 적당하다.
- 습윤제 : 치약에 습기와 cream상을 주기 위하여 치약이 공기 중에 접촉하여 고체화하는 것을 방지하며, 상쾌한 감미를 가지고 있는 글리세린, 솔비톨, 프로필렌 글리콜 등의 다가 알코올 사용한다.
- 점결제 : 치약의 고체성분과 액체성분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서 배합시키는 성분으로 C.M.C(Carboxymethyl cellulose), 아라비아 고무, 알긴산 나트륨 등을 사용한다.
- 약효성분 : 특별히 약효성분을 첨가하지 않아도 올바른 칫솔질을 바탕으로한 치약의 세정작용에 의해 구강내부가 깨끗하게 되어 충치예방, 농루예방, 치아미백, 치석의 침착방지, 구취예방 등의 효과가 발휘되지만, 특히 이러한 효과를 증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목적에 알맞은 약효성분이 선택된다.
1) 충치예방제
① 치질강화제 : 일불소인산나트륨(불소이온은 구강내 세균들이 부식성산에 의해 치아 범랑질이 녹는 것을 방지하고 칼슘 공급 촉진작용으로 치아를 튼튼하게 해준다.), 불화나트륨, 불화주석
② 살균제 : 클로르헥시딘류, 라우릴산모노글리세라이드, 사르코신산아실에스테르, 도데실디(아미노에칠)글리신, 프로폴리스
③ 효소제 : 덱스트라나제, 뮤타나제, 아미노글루코시다제, 글루코스옥시다제
2) 농루예방제 : 알란토인클로로히드록시알루미늄(구강점막을 보호하여 잇몸 염증 방지, 치은염, 치주염에 수반되는 부기, 발적을 예방, 잇몸염증의 통증을 덜어준다), 클리칠리친산디칼륨, ε-아미노카프론산(항출혈, 항염증 효능이뛰어난 아미노카프론산은 뛰어난 지혈작용에 의해 잇몸출혈을 예방한다), 트라넥사믹산, 히녹치올, 라이소자임, 비타민 E 및 그 유도체, 염화나트륨 등.
3) 치아의 미백제 : 주로 연마제의 작용에 의하지만 보조적으로 사용된다. PEG-400, PEG-4000, 폴리비닐피롤리돈, 과산화물 등
4) 구취예방제 : 살균제 소취제 등이 이용된다. 클로르헥시딘류, 동클로로필 린나트륨, 레시친, 허브류, 사이클로덱스트린, 자몽종자추출물, 차추출물
5) 치석제거제 : 치석형성저지 및 제거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EHDP, 폴리인산나트륨, 제올라이트, 구연산, 트리메칠렌포스폰산,에칠렌디아민테트라메칠렌포스폰산
6) 지각과민방지제 : 질산칼륨, 산화아연-오이게놀
- 향미료 : 입속을 깨끗이 하고 아침의 상쾌함을 주는 역할과 구강내의 불결한 냄새를 억제하고 맛과 향으로 이닦는 습관을 심어주는 성분이다.
- 감미제 : 삭카린, 스테비오사이드, 자일리톨 등을 사용하며, 치아 표면의 세균막인 프라그 형성감소시키고 충치예 방 효과가 있다.
- 그외 성분 : 착색제와 치약의 변질방지를 위한 보존제가 있다.
[실시예 4]
본 발명에 따른 금연효과가 우수한 스프레이형 금연보조 제품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즉 혼합정유 0.1∼10%와 알코올 적정량, 그리고 물을 포함하는 용액을 제조한 후 통상의 스프레이 용기에 주입한다.
혼합정유를 포함하는 용액을 주입한 스프레이형 금연보조 제품은 공기중에 분무하여 혼합정유 성분이 자연스럽게 인체로 흡입되면서 흡연 욕구를 억제시키고, 니코틴 금단 증상에 따른 정신적 불안감을 해소하고 안정화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금연 효과를 높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실시예 5]
본 발명에 따른 금연효과가 우수한 파이프형 금연보조 제품의 제조방법은 다 음과 같다. 즉 통상의 금연보조제로 제품화되어 있는 담배 형태의 케이스와 필터를 제조함에 있어, 혼합정유를 필터 부위에 직접 도포한다. 이때 혼합정유 사용량은 0.01∼1 ml가 바람직하다.
혼합정유를 도포한 필터를 내부에 삽입한 파이프형 금연보조 제품은 담배를 피우고 싶을 때 자연스럽게 사용할 수 있고 혼합정유 성분의 흡입에 의하여 흡연억제 욕구가 발생하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실험 1]
본 발명의 금연효과가 우수한 혼합정유를 이용한 치약형 금연보조제품을 사용하였을 때 흡연 욕구 감소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행해진 임상시험 및 그 결과를 하기에 설명한다.
서울시 목동 소재의 오피스텔 건물에 입주한 회사에서 근무하고 있는 흡연자 중 임상시험의 목적과 취지에 동의하고 금연을 원하는 지원자를 모집하였으며, 일반적인 질병이 없는 건강한 성인 남자 40명을 선정하여 혼합정유를 포함하는 치약형 금연보조 제품에 대한 흡연 욕구 감소 정도 및 1일 흡연량/1일 식후 흡연량을 측정하였다.
시험대상자들에게 우선 금연방법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여 금연의 행동요법과 금연의 약물요법에 대해서도 설명하고 이에 관한 교육자료를 배부하였다. 금연교육 실시 후 대상자들을 접수된 순서대로 시험 총책임자의 관리하에 일률적으로 동일한 방법과 동일한 치약을 무작위로 지급하였다. 시험기간은 4주간이었으며, 시험 대상자들에게 치약을 2개씩 직접 교부하였고, 부작용에 대한 유의사항 등을 교육하였으 며, 다음과 같이 시험 대상자들에게 용법 및 용량을 지시하였다. "적당량을 칫솔에 묻혀 최소한 3분이상 칫솔질에 의해 치아를 닦습니다. 하루에 3번이상 특히 식후에 치아를 닦도록 합니다." 피험자는 치약 사용전 설문지 작성을 통하여 평균 1일 흡연량, 1일 식후 흡연량을 기입한 후 식후에 임상 시험 치약으로 치아를 닦으며 1주 간격으로 임상시험 치약 사용에 따른 흡연욕구 감소도를 체크하고, 1일 흡연량/1일 식후 흡연량을 기록한다.
시험 대상자의 총흡연량 및 식후 흡연량의 변화를 통계처리한 결과는 [표 1]과 같다. 1일 총흡연량은 4주간 시험 후 시험 전에 비하여 약 69% 감소하였고, 식후 30분 흡연량은 4주간 시험 후 시험 전에 비하여 85% 이상 감소하는 결과를 얻었다.
[표 1]
Figure 112008505686338-PAT00001
또한 혼합정유 포함 치약의 사용 전과 사용 후 흡연욕구 감소도를 조사한 결과 [표 2]와 같이 매우 개선됨이 52.5%를 나타냈으며, 상당히 개선됨 이상이 80.0%를 차지하여 흡연 욕구 감소도에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표 2]
Figure 112008505686338-PAT00002
[실험 2]
본 발명의 금연효과가 우수한 혼합정유를 이용한 치약형 금연보조제품을 사용하였을 때 금연 성공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행해진 임상시험 및 그 결과를 하기에 설명한다.
서울시 목동 소재의 오피스텔 건물에 입주하고 있는 회사에서 근무하고 있는 흡연자 중 임상시험의 목적과 취지에 동의하고 금연을 원하는 지원자를 모집하였으며, 일반적인 질병이 없는 건강한 성인 남자 20명을 선정하여 혼합정유를 포함하는 치약형 금연보조 제품을 사용한 군 10명과 혼합정유를 첨가하지 않고, 페퍼민트유를 동일량 첨가한 치약을 사용한 대조군 10명으로 구분하여 각 군에서의 금연성공률을 측정하였다.
시험대상자들에게 우선 금연방법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여 금연의 행동요법과 금연의 약물요법에 대해서도 설명하고 이에 관한 교육자료를 배부하였다. 금연교육 실시 후 대상자들을 접수된 순서대로 시험 총책임자의 관리하에 일률적으로 동일한 방법과 동일한 치약을 무작위로 지급하였다. 시험기간은 4주간이었으며, 시험 대상자들에게 치약을 2개씩 직접 교부하였고, 부작용에 대한 유의사항 등을 교육하였으며, 다음과 같이 시험 대상자들에게 용법 및 용량을 지시하였다. "적당량을 칫솔에 묻혀 최소한 3분이상 칫솔질에 의해 치아를 닦습니다. 하루에 3번이상 특히 식후에 치아를 닦도록 합니다." 피험자는 1주일 간격으로 금연 실행 여부를 일산화탄소 측정기로 확인하였으며, 4주간 금연한 사람을 성공으로 금연 성공으로 판정하였다.
시험군과 대조군에서 1주일 간격으로 금연을 유지하고 있는 개체수의 측정한 결과는 [표 3]과 같다. 대조군에서는 2주일 동안 금연을 유지한 사람은 4명이었으며, 4주 후에는 1명만이 금연에 성공하였다. 반면 시험군은 2주일 동안 7명이 금연을 유지하였고, 4주 후에는 5명이 금연에 성공하여 50%의 금연성공률을 보여 대조군의 10%에 비하여 매우 높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표 3]
Figure 112008505686338-PAT00003

Claims (5)

  1. 베가못유 25∼35%, 코리안더유 20∼30%, 생강유 15∼25%, 오렌지유 5∼20%, 레몬유 5∼20%를 포함하는 흡연 욕구 억제 효과 및 금연 유지 효과가 우수한 혼합 정유 조성물
  2. 제 1 항의 혼합정유 조성물을 0.5∼10% 함유하는 치약형 금연 보조 제품
  3. 제 1 항의 혼합정유 조성물을 0.1∼10% 함유하는 스프레이형 금연 보조 제품
  4. 제 1 항의 혼합정유 조성물을 0.01∼1 ml를 도포한 필터를 사용하는 파이프형 금연 보조 제품
  5. (1) 통상의 제조방법으로 추출 제조된 베가못유, 코리안더유, 생강유, 오렌지유, 레몬유, 시트로넬라유, 그리고 제라니움유 준비 단계, (2) 교반기가 부착된 혼합조에서 온도를 25∼40℃로 유지하고 100∼150 rpm으로 교반하면서, 베가못유 25∼35%, 코리안더유 20∼30%, 생강유 15∼25%, 오렌지유 5∼20%, 레몬유 5∼20%의 비율로 순서대로 투입하는 단계, (3) 혼합조 내에서 교반기로 일정하게 30분∼2시간 교반하면서 완전히 혼합시키는 단계, (4) 교반을 정지하고 혼합조의 뚜 껑을 덮은 후 온도를 30℃로 유지하면서 2시간동안 안정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금연효과가 우수한 혼합정유 제조 방법
KR1020080115067A 2008-11-19 2008-11-19 금연 효과가 우수한 혼합정유 조성물과 금연 보조제 KR101126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5067A KR101126279B1 (ko) 2008-11-19 2008-11-19 금연 효과가 우수한 혼합정유 조성물과 금연 보조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5067A KR101126279B1 (ko) 2008-11-19 2008-11-19 금연 효과가 우수한 혼합정유 조성물과 금연 보조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6085A true KR20100056085A (ko) 2010-05-27
KR101126279B1 KR101126279B1 (ko) 2012-03-20

Family

ID=42280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5067A KR101126279B1 (ko) 2008-11-19 2008-11-19 금연 효과가 우수한 혼합정유 조성물과 금연 보조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62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0622B1 (ko) * 2019-07-16 2020-11-18 (주)한일제약 금연 보조용 치약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72431A (ja) 2004-03-24 2005-10-06 Yukio Kitagawa アロマセラピー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0622B1 (ko) * 2019-07-16 2020-11-18 (주)한일제약 금연 보조용 치약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6279B1 (ko) 2012-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887581B (zh) 一种口腔护理组合物及其制备方法
EP1466003B1 (en) Herbal composition for improving oral hygiene, and methods of using same
AU2005319562B2 (en) Oral care malodor composition
KR101194016B1 (ko) 구강 통증 개선과 구강항균 및 신경안정 효과를 가지는 천연항균 치약 조성물
KR101195618B1 (ko) 파래가 함유된 금연 보조형 치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20190175956A1 (en) Oral care products and formulations
US20090269288A1 (en) Black pearl toothpaste
CN102512345A (zh) 一种天然抗菌漱口液及其制备方法
CN102349866B (zh) 抗菌消炎保健口洁露
CN106265383A (zh) 一种儿童漱口水及其制备方法
CN105106077A (zh) 一种口腔护齿漱口液
CN105106040A (zh) 一种口腔护齿喷剂
KR100760970B1 (ko) 에센셜 오일을 함유한 치약 조성물
KR101126279B1 (ko) 금연 효과가 우수한 혼합정유 조성물과 금연 보조제
KR20170030209A (ko) 구강 항균 효과를 갖는 치약 조성물
CN107519050A (zh) 一种口腔护齿漱口液
RU2500384C1 (ru) Композиция ополаскивателя для полости рта
RU2505283C1 (ru) Композиция зубной пасты
RU2355379C1 (ru) Лечебно-профилактический эликсир и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KR20170085703A (ko) 천연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내 항염 및 구취 제거용 조성물
KR102638091B1 (ko) 미백기능을 갖는 치약조성물
RU2777156C1 (ru) Лечебно-профилак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для пациентов с бронхиальной астмой
RU2601114C1 (ru) Лечебно-профилак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при сахарном диабете
KR20230153847A (ko) 잇몸질환 예방과 구취제거 효과가 우수한 항균치약 조성물
WO2014151831A1 (en) Treatment for dry mouth employing oral safe oxygenat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