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9555A - 텍스타일 보강 콘크리트 도로포장 포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도로포장 보수 방법 - Google Patents

텍스타일 보강 콘크리트 도로포장 포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도로포장 보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9555A
KR20210059555A KR1020190147153A KR20190147153A KR20210059555A KR 20210059555 A KR20210059555 A KR 20210059555A KR 1020190147153 A KR1020190147153 A KR 1020190147153A KR 20190147153 A KR20190147153 A KR 20190147153A KR 20210059555 A KR20210059555 A KR 202100595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road pavement
textile
repair
la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7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2370B1 (ko
Inventor
김형열
남정희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147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2370B1/ko
Priority to EP20165785.5A priority patent/EP3822412B1/en
Priority to US16/853,694 priority patent/US11174599B2/en
Publication of KR20210059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95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2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23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3Arrangements for curing paving; Devices for applying curing means; Devices for laying prefabricated underlay, e.g. sheets, membranes; Protecting paving under construction or while curing, e.g. use of t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7/0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 E01C7/0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 E01C7/1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of road-metal and cement or like binders
    • E01C7/14Concrete paving
    • E01C7/147Repairing concrete pavings, e.g. joining cracked road sections by dowels, applying a new concrete cove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005Methods or materials for repairing pav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02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 E01C11/04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for cement concrete pav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16Reinforcements
    • E01C11/18Reinforcements for cement concrete pav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2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consolidating or finishing laid-down unset materials
    • E01C19/30Tamping or vibrating apparatus other than rollers ; Devices for ramming individual pav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48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laying-down the materials and consolidating them, or finishing the surface, e.g. slip forms therefor, forming kerbs or gutters in a continuous operation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 E01C2201/167Elements joined together by reinforcement or me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Road Repair (AREA)

Abstract

콘크리트 절삭, 보강재 거치, 보수단면 시공을 일괄적이면서 연속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통합된 텍스타일 보강 콘크리트 도로포장 포설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시공장비 투입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시공기간을 단축시켜 시공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고, 또한, 콘크리트 도로포장의 보수단면 형성을 위해 비부식 보강재인 텍스타일 그리드 보강재를 적용함으로써 부식으로 인해 콘크리트가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텍스타일 보강 그리드를 소요 위치에 정밀하게 배치할 수 있고, 1차 및 2차 콘크리트 타설 두께를 정밀하게 시공함으로써 시공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텍스타일 보강 콘크리트 도로포장 포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도로포장 보수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텍스타일 보강 콘크리트 도로포장 포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도로포장 보수 방법 {CONCRETE ROAD PAVING EQUIPMENT BY TEXTILE REINFORCED CONCRETE, AND METHOD FOR REPAIRING CONCRETE ROAD PAVEMEN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텍스타일 보강 콘크리트 도로포장 포설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노후화된 콘크리트 포장의 손상된 단면을 제거하고, 텍스타일 보강 콘크리트(Textile Reinforced Concrete: TRC) 보수단면을 연속적인 공정으로 시공할 수 있는 텍스타일 보강 콘크리트 도로포장 포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도로포장 보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포장(Concrete Pavement)은 노상, 보조기층, 중간기층 그리고 표면에 약 30㎝ 두께의 콘크리트 슬래브를 시공하여 완성된다. 이러한 콘크리트 포장 슬래브는 수명이 평균적으로 10년 정도인 아스팔트 포장에 비하여 내구성이 우수하고, 수명이 2배정도 되는 장점이 있으나, 환경하중, 차량 축하중 등에 의해 표면에 손상이 발생함으로써 수명이 단축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콘크리트 포장 슬래브의 표면에서 균열, 박리, 박락 등이 발생되는 경우, 몰탈 패칭 또는 슬래브 부분 교체방법으로 보수를 시행하거나 또는 전면적인 교체를 실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콘크리트 포장의 몰탈 패칭된 단면은 노면으로 침투하는 수분과 차량의 축하중으로 인하여 쉽게 손상을 받아 탈락되기 때문에 영구적인 보수방법이 아니며 단지 응급보수로만 적용하고 있다.
또한, 콘크리트 슬래브에 전반적으로 손상이 진행되는 경우, 전면적인 교체를 실시하고 있으나 콘크리트 포장을 전면적으로 교체하기 위해서는 기존 포장면 제거, 신설 콘크리트 포설 및 양생이 필요하여 장기간과 많은 교체비용이 소모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차량 통행량이 많은 고속국도, 일반국도 등의 경우, 공사기간동안 전면적인 교통차단을 실시할 수 없기 때문에 공사기간 중에 우회도로 개설 등으로 막대한 추가 비용이 발생하는 실정이다. 또한, 부분적인 교통차단으로 교체를 실시하는 경우에도 차량 지체 및 정체로 인하여 막대한 사회적인 비용을 초래하고 있다. 또한, 전면교체 방법의 경우, 많은 양의 폐콘크리트를 발생시켜 환경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폐콘크리트 발생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공법의 적용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2019-84586호에는 "와이어메쉬의 자동공급이 가능한 콘크리트 포설장비 및 이를 사용한 콘크리트 포설방법"이라는 명칭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는데, 강재로 제작된 와이어메쉬는 공용 중에 부식할 우려가 있고, 일정한 크기를 갖는 평판 메쉬를 연속 포설하는 경우, 포설 길이방향으로 하중전달을 위하여 겹이음을 실시해야 하므로 불필요한 이음과 겹이음부에 따른 경제성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방법으로 콘크리트 덧씌우기 시공의 경우, 절삭 단계, 콘크리트 포설 단계 및 양생 단계가 독립적인 공정으로 진행되어 공사기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방법으로 텍스타일 보강재를 덧씌우기 단면 내에 배치하기 위해서는 1층 콘크리트 타설 이후, 그리드 거치, 2층 콘크리트 타설 과정이 필요하여 번거롭다. 또한, 연속적으로 타설이 필요한 콘크리트를 시공 특성상 분할하여 타설하게 되어 연속적인 시공이 불가능하여 작업효율이 낮고 시공품질이 낮다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보강재로서 철근이나 철망을 적용하는 경우, 부식으로 인하여 콘크리트가 탈락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2019-84586호(공개일: 2019년 7월 17일), 발명의 명칭: "와이어메쉬의 자동공급이 가능한 콘크리트 포설장비 및 이를 사용한 콘크리트 포설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909112호(등록일: 2018년 10월 11일), 발명의 명칭: "콘크리트 도로포장용 피막양생제 살포장치"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2007-82396호(공개일: 2007년 8월 21일), 발명의 명칭: "콘크리트의 타설 마감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109685호(등록일: 2012년 1월 18일), 발명의 명칭: "친환경 콘크리트 포장도로 파쇄 장치 및 방법"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콘크리트 절삭, 보강재 거치, 보수단면 시공을 일괄적이면서 연속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통합된 텍스타일 보강 콘크리트 도로포장 포설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시공장비 투입을 최소화할 수 있는, 텍스타일 보강 콘크리트 도로포장 포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도로포장 보수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콘크리트 도로포장의 보수단면 형성을 위해 비부식 보강재인 텍스타일 그리드 보강재를 적용함으로써 부식으로 인해 콘크리트가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텍스타일 보강 콘크리트 도로포장 포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도로포장 보수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텍스타일 보강 그리드를 소요 위치에 정밀하게 배치할 수 있고, 1차 및 2차 콘크리트 타설 두께를 정밀하게 시공할 수 있는, 텍스타일 보강 콘크리트 도로포장 포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도로포장 보수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텍스타일 보강 콘크리트 도로포장 포설 장치는, 이동식 작업대차의 전단부 하부에서 콘크리트 도로포장의 손상단면을 절삭 제거하는 손상단면 제거 수단; 1차 콘크리트 포설관과 제1 스프레더를 각각 이용하여 1차 콘크리트를 포설하고 평탄화하는 1차 콘크리트 포설 및 평탄화 수단; 상기 1차 콘크리트의 다짐과 동시에 소요 두께를 갖도록 보수단면의 제1 보수층을 시공하는 제1 진동압착기; 비부식 보강재인 텍스타일 보강재를 권취하고, 상기 텍스타일 보강재를 보수단면 상에 연속 거치하는 텍스타일 보강재 권취롤; 2차 콘크리트 포설관과 제1 스프레더를 각각 이용하여 상기 제1 보수층 상부에 2차 콘크리트를 포설하고 평탄화하는 2차 콘크리트 포설 및 평탄화 수단; 상기 2차 콘크리트를 다짐과 동시에 소요 두께를 갖도록 제2 보수층을 시공하는 제2 진동압착기; 및 상기 이동식 작업대차의 후단부 하부에서 상기 제1 보수층, 텍스타일 보강재 및 제2 보수층으로 이루어지는 보수단면을 완성 및 양생시키는 보수단면 마감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텍스타일 보강 콘크리트 도로포장 포설 장치는 콘크리트 절삭, 보강재 거치, 보수단면 시공을 일괄적이면서 연속적으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손상단면 제거 수단은, 상기 이동식 작업대차의 전단부 양측에 설치되어, 콘크리트 도로포장의 손상단면에 홈을 형성하는 원형 그라인더; 상기 콘크리트 도로포장의 손상단면을 일정한 두께로 절삭 제거하는 콜 마이너 절삭기; 상기 절삭된 손상단면 콘크리트를 제거하는 진공 석션장치; 및 제1 보수층 시공전 보수단면 상면을 습윤 상태로 유지하도록 물을 분사하는 물 분사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콜 마이너식 절삭기는 진공 셕션을 통하여 잔재의 배출이 가능하도록 1회당 5㎝ 이내로 절삭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1차 콘크리트 포설 및 평탄화 수단은, 제1 보수층 시공용 1차 콘크리트를 포설하는 1차 콘크리트 포설관; 및 도로 직각방향으로 움직이며, 포설된 1차 콘크리트를 균일하게 평탄화시키는 제1 스프레더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물 분사장치의 물분사관으로부터 상기 1차 콘크리트 포설관까지의 간격은 분사된 물이 단면에 충분히 스며들 수 있도록 이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2차 콘크리트 포설 및 평탄화 수단은, 제2 보수층 시공용 2차 콘크리트를 포설하는 2차 콘크리트 포설관; 및 도로 직각방향으로 움직이며, 포설된 2차 콘크리트를 균일하게 평탄화시키는 제2 스프레더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수단면 마감 수단은, 도로 직각방향으로 움직이며, 보수단면을 완성하는 미장칼; 및 상기 보수단면의 시공 즉시 양생을 시작하도록 피막양생액을 살포하는 피막양생액 살포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식 작업대차는 무한궤도에 의해 자주식으로 전진하며, 상기 무한궤도는 상기 이동식 작업대차의 네 모서리에 장착되고, 상하 이동에 의해 상기 이동식 작업대차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장치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식 작업대차 내에서 제1 및 제2 진동압착기, 텍스타일 보강재 권취롤, 미장칼의 높이는 소요 두께가 형성될 수 있도록 컴퓨터로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식 작업대차의 높이 조절과 작용압력을 조정하기 위하여 센서와 컴퓨터로 제어되는 유압 액츄에이터가 각각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텍스타일 보강 콘크리트 도로포장 포설 장치를 이용한 콘크리트 도로포장 보수 방법은, 텍스타일 보강 콘크리트 도로포장 포설 장치를 이용한 콘크리트 도로포장 보수 방법에 있어서, a) 텍스타일 보강 콘크리트 도로포장 포설 장치를 이용하여 이동식 작업대차의 전단부 하부에서 콘크리트 도로포장의 손상단면을 절삭 제거하는 단계; b) 1차 콘크리트 포설관과 제1 스프레더를 각각 이용하여 1차 콘크리트를 포설 및 평탄화하는 단계; c) 제1 진동압착기를 이용하여 상기 1차 콘크리트를 다짐과 동시에 소요 두께를 갖도록 보수단면의 제1 보수층을 시공하는 단계; d) 텍스타일 보강재 권취롤로부터 보수단면으로 텍스타일 보강재를 연속 거치하는 단계; e) 2차 콘크리트 포설관과 제1 스프레더를 각각 이용하여 상기 제1 보수층 상부에 2차 콘크리트를 포설 및 평탄화하는 단계; f) 제2 진동압착기를 이용하여 상기 2차 콘크리트를 다짐과 동시에 소요 두께를 갖도록 제2 보수층을 시공하는 단계; 및 g) 상기 이동식 작업대차의 후단부 하부에서 상기 제1 보수층, 텍스타일 보강재 및 제2 보수층으로 이루어지는 보수단면을 완성하여 즉시 양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텍스타일 보강 콘크리트 도로포장 포설 장치는 콘크리트 절삭, 보강재 거치, 보수단면 시공을 일괄적이면서 연속적으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a) 단계는, a-1) 원형 그라인더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도로포장의 손상단면에 홈을 형성하는 단계; a-2) 콜 마이너식 절삭기를 이용하여 일정한 두께로 손상단면을 절삭 제거하는 단계; a-3) 진공 석션장치을 이용하여 절삭된 손상단면 콘크리트를 제거하는 단계; 및 a-4) 물 분사장치를 이용하여 제1 보수층 시공전 보수단면 상면을 습윤 상태로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b) 단계는, b-1) 1차 콘크리트 포설관을 이용하여 제1 보수층 시공용 1차 콘크리트를 포설하는 단계; 및 b-2) 도로 직각방향으로 움직이는 제1 스프레더를 이용하여 포설된 1차 콘크리트를 균일하게 평탄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e) 단계는, e-1) 2차 콘크리트 포설관을 이용하여 제2 보수층 시공용 2차 콘크리트를 포설하는 단계; 및 e-2) 도로 직각방향으로 움직이는 제2 스프레더를 이용하여 포설된 2차 콘크리트를 균일하게 평탄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g) 단계는, g-1) 도로 직각방향으로 움직이는 미장칼을 이용하여 보수단면을 완성하는 단계; 및 g-2) 피막양생액 살포장치로 피막양생액을 살포하여 시공 즉시 양생을 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콘크리트 절삭, 보강재 거치, 보수단면 시공을 일괄적이면서 연속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통합된 텍스타일 보강 콘크리트 도로포장 포설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시공장비 투입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시공기간을 단축시켜 시공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콘크리트 도로포장의 보수단면 형성을 위해 비부식 보강재인 텍스타일 그리드 보강재를 적용함으로써 부식으로 인해 콘크리트가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텍스타일 보강 그리드를 소요 위치에 정밀하게 배치할 수 있고, 1차 및 2차 콘크리트 타설 두께를 정밀하게 시공함으로써 시공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텍스타일 보강 콘크리트 도로포장 포설 장치가 적용되는 텍스타일 보강 콘크리트 도로포장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텍스타일 보강 콘크리트 도로포장의 보수단면의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텍스타일 보강 콘크리트 도로포장 포설 장치에서 텍스타일 보강재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제직 방법으로 생산된 텍스타일 그리드 보강재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텍스타일 보강 콘크리트 도로포장 포설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텍스타일 보강 콘크리트 도로포장 포설 장치를 도로 상에 배치한 것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텍스타일 보강 콘크리트 도로포장 포설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텍스타일 보강 콘크리트 도로포장 포설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텍스타일 보강 콘크리트 도로포장 포설 장치에서 이동식 작업대차 및 무한궤도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텍스타일 보강 콘크리트 도로포장 포설 장치와 자재/잔재 운반차량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텍스타일 보강 콘크리트 도로포장 포설 장치를 이용한 콘크리트 도로포장 보수 방법의 개략적인 동작흐름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콘크리트 도로포장 보수 방법의 구체적인 동작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텍스타일 보강 콘크리트 도로포장 포설 장치(200)]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텍스타일 보강 콘크리트 도로포장 포설 장치가 적용되는 텍스타일 보강 콘크리트 도로포장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텍스타일 보강 콘크리트 도로포장의 보수단면의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보수단면은 콘크리트로 시공하는 것으로 설명하나, 보수단면 두께에 따라 필요시 굵은 골재를 제외한 몰탈로 시공할 수도 있다는 점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도로포장의 상부에 형성되는 콘크리트 슬래브(110)의 두께는 30㎝ 정도이며, 통상적으로 콘크리트 슬래브(110)에 손상이 발생하더라고 최저면까지 발생하는 경우는 거의 없고,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슬래브(110) 최상면으로부터 약 5~10㎝ 깊이 이내에 손상이 집중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콘크리트 슬래브(110)에 전반적으로 손상이 발생되더라도 전체콘크리트 슬래브(110)를 교체하는 방법보다는 도 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상이 발생된 콘크리트 슬래브(110) 최상면으로부터 약 5~10㎝ 정도를 절삭한 후, 도 1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로 덧씌우기를 하는 방법이 경제적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텍스타일 보강 콘크리트 도로포장 포설 장치의 경우, 제1 보수층(130), 텍스타일 그리드 보강재(140) 및 제2 보수층(150)을 시공하여 보수단면을 완성한다. 이때, 덧씌우기된 콘크리트에는 환경하중 등으로부터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하여 보강재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보강재로서 철근이나 철망을 적용하는 경우, 부식으로 인하여 콘크리트가 탈락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텍스타일 보강 콘크리트 도로포장 포설 장치의 경우, 비부식 보강재인 텍스타일 그리드 보강재(140)를 적용함으로써 부식으로 인해 콘크리트가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텍스타일 보강 콘크리트 도로포장 포설 장치를 이용하여,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상면으로부터 약 5~10㎝ 정도를 절삭된 콘크리트 슬래브(110) 상에 1차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1 보수층(130)을 포설하고, 다음으로, 상기 제1 보수층(130) 상에 텍스타일 그리드 보강재(140)를 거치하며, 다음으로, 상기 제1 보수층(130) 상에 1차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 보수층(150)을 포설함으로써 보수단면을 완성한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텍스타일 보강 콘크리트 도로포장 포설 장치에서 텍스타일 보강재를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4는 제직 방법으로 생산된 텍스타일 그리드 보강재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최근 탄소섬유, 아라미드섬유 등 고강도 섬유를 이용하여,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격자형태의 직물로 제직하거나 편직함으로써 텍스타일 그리드를 제작한 후, 에폭시, 비닐에스테르, SBR 수지 등으로 함침시켜 텍스타일 그리드 보강재(140)를 제조하고 있다. 이러한 텍스타일 그리드 보강재는 플라스틱 그리드 보강재에 비해 고강도 섬유를 사용하기 때문에 인장강도가 크고 인장 변형률이 낮은 특성을 나타내며, 이에 따라, 구조물 축조 및 보강에 우수한 구조재료적 특성을 나타낸다.
도 4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텍스타일 그리드 보강재(140)는 위사(Weft: 140a)와 경사(Warp: 140b)로 구성되는데, 위사(140a)와 경사(140b) 각각은 섬유다발(141)과 수지(142)가 함침되어 있지만, 완성된 텍스타일 그리드 보강재(140)는 롤(Roll) 형태로 권취할 수 있을 정도로 연성을 갖는다. 이에 따라, 상기 텍스타일 그리드 보강재(14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텍스타일 보강재 권취롤(310)에 권취되어 연속적으로 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직방법으로 생산되는 텍스타일 그리드 보강재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140b)를 꼬아서 제직하기 때문에 주방향인 직선으로 배치되는 위사(140a)의 위사방향에 비하여 경사 방향의 연신율이 크다는 특징이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텍스타일 보강 콘크리트 도로포장 포설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텍스타일 보강 콘크리트 도로포장 포설 장치(200)는, 손상단면 제거 수단, 1차 콘크리트 포설 및 평탄화 수단, 제1 진동압착기(290a), 텍스타일 보강재 권취롤(310), 2차 콘크리트 포설 및 평탄화 수단, 제2 진동압착기(290b) 및 보수단면 마감 수단을 포함한다.
손상단면 제거 수단은 이동식 작업대차(210)의 전단부 하부에서 콘크리트 도로포장의 손상단면(120)을 절삭 제거한다. 이때, 상기 손상단면 제거 수단은 원형 그라인더(230) 및 콜 마이너식(Coal Miner) 절삭기(240), 진공 석션장치(250) 및 물 분사장치(26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원형 그라인더(230)는 상기 이동식 작업대차(210)의 전단부 양측에 설치되어, 콘크리트 도로포장의 손상단면(120)에 홈을 형성하고, 콜 마이너식 절삭기(240)는 상기 콘크리트 도로포장의 손상단면(120)을 일정한 두께로 절삭 제거한다. 또한, 진공 석션장치(250)는 상기 절삭된 손상단면(120) 콘크리트를 제거하며, 물 분사장치(260)는 제1 보수층(130) 시공전 보수단면 상면을 습윤 상태로 유지하도록 물을 분사한다.
1차 콘크리트 포설 및 평탄화 수단은 1차 콘크리트 포설관(270a)과 제1 스프레더(280a)를 각각 이용하여 1차 콘크리트를 포설하고 평탄화한다. 이때, 상기 1차 콘크리트 포설 및 평탄화 수단은 1차 콘크리트 포설관(270a) 및 제1 스프레더(280a)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1차 콘크리트 포설관(270a)은 제1 보수층(130) 시공용 1차 콘크리트를 포설하고, 제1 스프레더(280a)는 도로 직각방향으로 움직이며, 포설된 1차 콘크리트를 균일하게 평탄화시킨다.
제1 진동압착기(290a)는 상기 1차 콘크리트를 다짐과 동시에 소요 두께를 갖도록 보수단면의 제1 보수층(130)을 시공한다.
텍스타일 보강재 권취롤(310)은 텍스타일 보강재(140)를 권취하고, 상기 텍스타일 보강재(140)를 보수단면 상에 연속 거치한다.
2차 콘크리트 포설 및 평탄화 수단은 2차 콘크리트 포설관(270a)과 제1 스프레더(280a)를 각각 이용하여 상기 제1 보수층(130) 상부에 2차 콘크리트를 포설하고 평탄화한다. 이때, 상기 2차 콘크리트 포설 및 평탄화 수단은 2차 콘크리트 포설관(270b) 및 제2 스프레더(280b)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2차 콘크리트 포설관(270b)은 제2 보수층(150) 시공용 2차 콘크리트를 포설하고, 제2 스프레더(280a)는 도로 직각방향으로 움직이며, 포설된 2차 콘크리트를 균일하게 평탄화시킨다. 이때, 상기 1차 및 2차 콘크리트 포설관(270a, 270b) 각각에 의해 1차 및 2차 콘크리트 타설 두께를 정밀하게 시공함으로써 시공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진동압착기(290b)는 상기 2차 콘크리트를 다짐과 동시에 소요 두께를 갖도록 제2 보수층(150)을 시공한다.
보수단면 마감 수단은 상기 이동식 작업대차(210)의 후단부 하부에서 상기 제1 보수층(130), 텍스타일 보강재(140) 및 제2 보수층(150)으로 이루어지는 보수단면을 완성 및 양생시킨다. 이때, 상기 보수단면 마감 수단은 미장칼(320) 및 피막양생액 살포장치(33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미장칼(320)은 도로 직각방향으로 움직이며, 보수단면을 완성하며, 피막양생액 살포장치(330)는 시공 즉시 양생을 시작하도록 피막양생액을 살포한다. 여기서, 도로에 타설된 콘크리트는 그 수명이 시공 후의 양생기간에 의존하기 때문에 양생기간 중에 콘크리트의 수화작용을 촉진하고 수분증발로 인한 콘크리트의 수축균열을 줄이기 위해 콘크리트의 타설 후 최종적으로 피막양생액 살포장치(330)에 의해 피막양생제를 살포하여 그 표면에 피막을 형성하는 작업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텍스타일 보강 콘크리트 도로포장 포설 장치(200)는 콘크리트 절삭, 보강재 거치, 보수단면 시공을 일괄적이면서 연속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를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텍스타일 보강 콘크리트 도로포장 포설 장치(200)는 도로, 공항, 항만 등 콘크리트 슬래브 덧씌우기 공사에 적용할 수 있으나, 1차로 폭이 3.6m인 고속국도 콘크리트 포장 덧씌우기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텍스타일 보강 콘크리트 도로포장 포설 장치(200)의 포설 폭은 1.0m 내지 3.6m로 설정할 수 있다.
콜 마이너식 절삭기(240)는 진공 셕션을 통하여 잔재의 배출이 가능하도록 통상적으로 1회 5㎝ 이내로 절삭하는 것이 적당하며, 10㎝를 절삭하기 위해서는 절삭기를 2개 연속해서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절삭된 콘크리트는 진공 석션장치(250)를 이용하여 이동식 작업대차(210)의 외부로 운반된다. 또한, 새로 타설되는 보수용 콘크리트와 기존 콘크리트가 양호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물 분사장치(260)를 이용하여 미리 계산된 분사량의 물을 분사하여 보수단면을 습윤 처리한다. 이때, 상기 물 분사장치(260)의 물분사관으로부터 상기 1차 콘크리트 포설관(270a)까지의 간격은 분사된 물이 단면에 충분히 스며들 수 있도록 이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제1 콘크리트 포설관(270a)에서 자동으로 포설되는 콘크리트를 제1 스프레더(280a)로 마감하여 제1 보수층(130)이 완성된다. 이때, 상기 제1 보수층(130) 형성을 위해 타설된 1차 콘크리트는 제1 진동압착기(290a)에 의해서 소요두께를 갖도록 포설 및 다짐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진동압착기(290a, 290b)는 원형강관의 형상을 갖고 자주식으로 회전하며 내부에 진동기가 내장되어 콘크리트에 진동과 압력을 주어 단단하게 다지는 역할을 한다.
이후, 텍스타일 보강재 권취롤(310)에 권취된 텍스타일 그리드 보강재(140)는 다짐이 완료된 상기 제1 보수층(130) 상면에 자동으로 거치된다. 여기서, 상기 텍스타일 그리드 보강재(140)의 포설을 다층으로 형성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과정들을 반복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콘크리트 포설관(270a), 제1 스프레더(280a), 제1 진동압착기(290a) 및 텍스타일 보강재 권취롤(310)을 추가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즉, 제1 보수층(130)의 시공 및 텍스타일 그리드 보강재(140)의 거치를 반복한다.
이후, 상기 텍스타일 그리드 보강재(140)의 거치 이후 제1 보수층(130) 시공과 동일한 공정으로 제2 보수층(150)이 형성된다. 이때, 정밀한 시공을 위하여 이동식 작업대차(210)의 이동은 물론, 절삭, 제1 및 제2 보수층(130, 150) 포설, 텍스타일 그리드 보강재(140) 포설, 제1 및 제2 진동압착기(290a, 290b) 작동은 컴퓨터에 의해서 조정될 수 있다. 또한, 이동식 작업대차(210) 내에서 제1 및 제2 진동압착기(290a, 290b), 텍스타일 보강재 권취롤(310), 미장칼(320)의 높이는 소요 두께가 형성될 수 있도록 컴퓨터로 조절된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텍스타일 보강 콘크리트 도로포장 포설 장치를 도로 상에 배치한 것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부분적인 교통차단 상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텍스타일 보강 콘크리트 도로포장 포설 장치를 사용하여 시공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텍스타일 보강 콘크리트 도로포장 포설 장치(200)를 이용하면 작업용 펜스(340)를 설치한 후, 부분적인 교통을 차단한 상태에서 보수단면 시공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차로 도로에서 1차로인 작업차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텍스타일 보강 콘크리트 도로포장 포설 장치(200)로 보수를 하면서, 2차로인 차량 통행차로는 차량을 통행시켜 우회도로 건설 또는 교통 전면차단 없이 보수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1차 및 2차 콘크리트의 포설 및 다짐이 완료되고 양생이 끝난 콘크리트 슬래브(110)에는 온도수축에 대응하기 위하여 약 6~10m마다 줄눈을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텍스타일 보강 콘크리트 도로포장 포설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텍스타일 보강 콘크리트 도로포장 포설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텍스타일 보강 콘크리트 도로포장 포설 장치(200)는 이동식 작업대차(210)의 하부에 진행방향을 따라 원형 그라인더(230), 콜 마이너식 절삭기(240), 진공 석션장치(250), 물 분사장치(260), 1차 콘크리트 포설관(270a), 제1 스프레더(280a), 제1 진동압착기(290a), 텍스타일 보강재 권취롤(310), 2차 콘크리트 포설관(270b), 제2 스프레더(280b), 제2 진동압착기(290b), 미장칼(320) 및 피막양생액 살포장치(330)가 순차적으로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텍스타일 보강 콘크리트 도로포장 포설 장치(200)의 경우, 이동식 작업대차(210)에 섀시(211), 액추에이터(212), 풀리(213), 엔진(214), 기어박스(215) 및 구동벨트(216)가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식 작업대차(210)의 경우,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섀시(211)에 형성되는데, 각 장치는 구동축 및 구동벨트(216)를 이용하여 동력장치와 연결되며, 이때, 이동식 작업대차(210)의 높이 조절과 작용압력을 조정하기 위하여 센서와 컴퓨터로 제어되는 유압 액츄에이터(212)가 각각 장착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스프레더(280a, 280b), 미장칼(320)은 이동식 작업대차(210)의 진행 직각방향으로 동작한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텍스타일 보강 콘크리트 도로포장 포설 장치에서 이동식 작업대차 및 무한궤도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텍스타일 보강 콘크리트 도로포장 포설 장치와 자재/잔재 운반차량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텍스타일 보강 콘크리트 도로포장 포설 장치(200)는 무한궤도(220)에 의해 자주식으로 전진하며, 상기 무한궤도(220)는 이동식 작업대차(210)의 네 모서리에 장착된다. 즉, 상기 이동식 작업대차(210)의 하부 공간이 작업공간이므로, 상기 무한궤도(220)를 이동식 작업대차(210)의 네 모서리에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무한궤도(220)는 높이조절장치(223)의 상하 이동에 의해 상기 이동식 작업대차(2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하는 텍스타일 보강 콘크리트 도로포장 포설 장치(200)의 앞에는 선행 작업차량으로서, 재료 적재함, 모바일 믹서, 운송관로 등으로 구성된 자재/잔재 운반차량(400)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재/잔재 운반차량(400)은 잔재 저장탱크(410), 콘크리트 저장탱크(420), 물 저장탱크(430) 및 양생제 저장탱크(440)를 포함하며, 폐콘크리트인 잔재의 적재와 콘크리트 포설에 필요한 자재, 예를 들면, 콘크리트, 물, 양생제 등을 공급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텍스타일 보강 콘크리트 도로포장 포설 장치(200)와 동시에 이동시킬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텍스타일 보강 콘크리트 도로포장 포설 장치에 따르면, 손상단면만 얇은 두께로 일괄 제거한 후, 보강재를 포함한 콘크리트 보수단면을 일괄 시공하는 콘크리트 포장 보수장치로서, 손상단면 제거, 콘크리트 포설 및 양생이 이동식 장치로 연속적인 작업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전면교체공법에 비하여 교통차단을 최소화하고 시공기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다.
[텍스타일 보강 콘크리트 도로포장 포설 장치를 이용한 콘크리트 도로포장 보수 방법]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텍스타일 보강 콘크리트 도로포장 포설 장치를 이용한 콘크리트 도로포장 보수 방법의 개략적인 동작흐름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콘크리트 도로포장 보수 방법의 구체적인 동작흐름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텍스타일 보강 콘크리트 도로포장 포설 장치를 이용한 콘크리트 도로포장 보수 방법은, 텍스타일 보강 콘크리트 도로포장 포설 장치(200)를 이용한 콘크리트 도로포장 보수 방법으로서, 먼저, 텍스타일 보강 콘크리트 도로포장 포설 장치(200)를 이용하여 이동식 작업대차(210)의 전단부 하부에서 콘크리트 도로포장의 손상단면(120) 절삭 제거한다(S110).
구체적으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그라인더(230)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도로포장의 손상단면(120)에 홈을 형성하고(S111), 이후, 콜 마이너식(Coal Miner) 절삭기(240)를 이용하여 일정한 두께로 손상단면(120)을 절삭 제거하며(S112), 이후, 진공 석션장치(250)을 이용하여 절삭된 손상단면(120) 콘크리트를 제거하고(S113), 이후, 물 분사장치(260)를 이용하여 제1 보수층(130) 시공전 보수단면 상면을 습윤 상태로 유지한다(S114).
다음으로, 1차 콘크리트 포설관(270a)과 제1 스프레더(280a)를 각각 이용하여 1차 콘크리트를 포설 및 평탄화한다(S120). 구체적으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콘크리트 포설관(270a)을 이용하여 제1 보수층(130) 시공용 1차 콘크리트를 포설하고(S121), 이후, 도로 직각방향으로 움직이는 제1 스프레더(280a)를 이용하여 포설된 1차 콘크리트를 균일하게 평탄화시킨다(S122).
다음으로, 제1 진동압착기(290a)를 이용하여 상기 1차 콘크리트를 다짐과 동시에 소요 두께를 갖도록 보수단면의 제1 보수층(130)을 시공한다(S130).
다음으로, 텍스타일 보강재 권취롤(310)로부터 보수단면으로 텍스타일 보강재(140)를 연속 거치한다(S140).
다음으로, 2차 콘크리트 포설관(270a)과 제1 스프레더(280a)를 각각 이용하여 상기 제1 보수층(130) 상부에 2차 콘크리트를 포설 및 평탄화한다(S150). 구체적으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 콘크리트 포설관(270b)을 이용하여 제2 보수층(150) 시공용 2차 콘크리트를 포설하고(S151), 이후, 도로 직각방향으로 움직이는 제2 스프레더(280b)를 이용하여 포설된 2차 콘크리트를 균일하게 평탄화시킨다(S152).
다음으로, 제2 진동압착기(290b)를 이용하여 상기 2차 콘크리트를 다짐과 동시에 소요 두께를 갖도록 제2 보수층(150)을 시공한다(S160).
다음으로, 상기 이동식 작업대차(210)의 후단부 하부에서 상기 제1 보수층(130), 텍스타일 보강재(140) 및 제2 보수층(150)으로 이루어지는 보수단면을 완성하여 즉시 양생시킨다(S170). 구체적으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 직각방향으로 움직이는 미장칼(320)을 이용하여 보수단면을 완성하고(S171), 이후, 막양생액 살포장치(330)로 피막양생액을 살포하여 시공 즉시 양생을 시작한다(S172).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텍스타일 보강 콘크리트 도로포장 포설 장치를 이용한 콘크리트 도로포장 보수 방법은, 텍스타일 보강 콘크리트 도로포장 포설 장치(200)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절삭, 보강재 거치, 보수단면 시공을 일괄적이면서 연속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콘크리트 절삭, 보강재 거치, 보수단면 시공을 일괄적이면서 연속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통합된 텍스타일 보강 콘크리트 도로포장 포설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시공장비 투입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시공기간을 단축시켜 시공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고, 또한, 콘크리트 도로포장의 보수단면 형성을 위해 비부식 보강재인 텍스타일 그리드 보강재를 적용함으로써 부식으로 인해 콘크리트가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텍스타일 보강 그리드를 소요 위치에 정밀하게 배치할 수 있고, 1차 및 2차 콘크리트 타설 두께를 정밀하게 시공함으로써 시공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콘크리트 슬래브 120: 손상단면
130: 제1 보수층 140: 텍스타일 보강재
150: 제2 보수층
200: 텍스타일 보강 콘크리트 도로포장 포설 장치
210: 이동식 작업대차
211: 섀시 212: 액추에이터
213: 풀리 214: 엔진
215: 기어박스 216: 구동벨트
220: 무한궤도(작업대차 바퀴)
230: 원형 그라인더 240: 콜 마이너식 절삭기
250: 진공 석션장치 260: 물 분사장치
270a: 1차 콘크리트 포설관 270b: 2차 콘크리트 포설관
280a: 제1 스프레더 280b: 제2 스프레더
290a: 제1 진동압착기 290b: 제2 진동압착기
310: 텍스타일 보강재 권취롤 320: 미장칼
330: 피막양생액 살포장치 340: 작업용 펜스
400: 자재/잔재 운반차량
410: 잔재 저장탱크 420: 콘크리트 저장탱크
430: 물 저장탱크 440: 양생제 저장탱크

Claims (19)

  1. 이동식 작업대차(210)의 전단부 하부에서 콘크리트 도로포장의 손상단면(120)을 절삭 제거하는 손상단면 제거 수단;
    1차 콘크리트 포설관(270a)과 제1 스프레더(280a)를 각각 이용하여 1차 콘크리트를 포설하고 평탄화하는 1차 콘크리트 포설 및 평탄화 수단;
    상기 1차 콘크리트의 다짐과 동시에 소요 두께를 갖도록 보수단면의 제1 보수층(130)을 시공하는 제1 진동압착기(290a);
    비부식 보강재인 텍스타일 보강재(140)를 권취하고, 상기 텍스타일 보강재(140)를 보수단면 상에 연속 거치하는 텍스타일 보강재 권취롤(310);
    2차 콘크리트 포설관(270a)과 제1 스프레더(280a)를 각각 이용하여 상기 제1 보수층(130) 상부에 2차 콘크리트를 포설하고 평탄화하는 2차 콘크리트 포설 및 평탄화 수단;
    상기 2차 콘크리트를 다짐과 동시에 소요 두께를 갖도록 제2 보수층(150)을 시공하는 제2 진동압착기(290b); 및
    상기 이동식 작업대차(210)의 후단부 하부에서 상기 제1 보수층(130), 텍스타일 보강재(140) 및 제2 보수층(150)으로 이루어지는 보수단면을 완성 및 양생시키는 보수단면 마감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텍스타일 보강 콘크리트 도로포장 포설 장치(200)는 콘크리트 절삭, 보강재 거치, 보수단면 시공을 일괄적이면서 연속적으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텍스타일 보강 콘크리트 도로포장 포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상단면 제거 수단은,
    상기 이동식 작업대차(210)의 전단부 양측에 설치되어, 콘크리트 도로포장의 손상단면(120)에 홈을 형성하는 원형 그라인더(230);
    상기 콘크리트 도로포장의 손상단면(120)을 일정한 두께로 절삭 제거하는 콜 마이너(Coal Miner) 절삭기(240);
    상기 절삭된 손상단면(120) 콘크리트를 제거하는 진공 석션장치(250); 및
    제1 보수층(130) 시공전 보수단면 상면을 습윤 상태로 유지하도록 물을 분사하는 물 분사장치(260)를 포함하는 텍스타일 보강 콘크리트 도로포장 포설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콜 마이너식 절삭기(240)는 진공 셕션을 통하여 잔재의 배출이 가능하도록 1회당 5㎝ 이내로 절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텍스타일 보강 콘크리트 도로포장 포설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콘크리트 포설 및 평탄화 수단은,
    제1 보수층(130) 시공용 1차 콘크리트를 포설하는 1차 콘크리트 포설관(270a); 및
    도로 직각방향으로 움직이며, 포설된 1차 콘크리트를 균일하게 평탄화시키는 제1 스프레더(280a)를 포함하는 텍스타일 보강 콘크리트 도로포장 포설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물 분사장치(260)의 물분사관으로부터 상기 1차 콘크리트 포설관(270a)까지의 간격은 분사된 물이 단면에 충분히 스며들 수 있도록 이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텍스타일 보강 콘크리트 도로포장 포설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콘크리트 포설 및 평탄화 수단은,
    제2 보수층(150) 시공용 2차 콘크리트를 포설하는 2차 콘크리트 포설관(270b); 및
    도로 직각방향으로 움직이며, 포설된 2차 콘크리트를 균일하게 평탄화시키는 제2 스프레더(280a)를 포함하는 텍스타일 보강 콘크리트 도로포장 포설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수단면 마감 수단은,
    도로 직각방향으로 움직이며, 보수단면을 완성하는 미장칼(320); 및
    상기 보수단면의 시공 즉시 양생을 시작하도록 피막양생액을 살포하는 피막양생액 살포장치(330)를 포함하는 텍스타일 보강 콘크리트 도로포장 포설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작업대차(210)는 무한궤도(220)에 의해 자주식으로 전진하며, 상기 무한궤도(220)는 상기 이동식 작업대차(210)의 네 모서리에 장착되고, 상하 이동에 의해 상기 이동식 작업대차(210)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장치(22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텍스타일 보강 콘크리트 도로포장 포설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작업대차(210) 내에서 제1 및 제2 진동압착기(290a, 290b), 텍스타일 보강재 권취롤(310), 미장칼(320)의 높이는 소요 두께가 형성될 수 있도록 컴퓨터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텍스타일 보강 콘크리트 도로포장 포설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작업대차(210)의 높이 조절과 작용압력을 조정하기 위하여 센서와 컴퓨터로 제어되는 유압 액츄에이터(212)가 각각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텍스타일 보강 콘크리트 도로포장 포설 장치.
  11. 텍스타일 보강 콘크리트 도로포장 포설 장치(200)를 이용한 콘크리트 도로포장 보수 방법에 있어서,
    a) 텍스타일 보강 콘크리트 도로포장 포설 장치(200)를 이용하여 이동식 작업대차(210)의 전단부 하부에서 콘크리트 도로포장의 손상단면(120)을 절삭 제거하는 단계;
    b) 1차 콘크리트 포설관(270a)과 제1 스프레더(280a)를 각각 이용하여 1차 콘크리트를 포설 및 평탄화하는 단계;
    c) 제1 진동압착기(290a)를 이용하여 상기 1차 콘크리트를 다짐과 동시에 소요 두께를 갖도록 보수단면의 제1 보수층(130)을 시공하는 단계;
    d) 텍스타일 보강재 권취롤(310)로부터 보수단면으로 텍스타일 보강재(140)를 연속 거치하는 단계;
    e) 2차 콘크리트 포설관(270a)과 제1 스프레더(280a)를 각각 이용하여 상기 제1 보수층(130) 상부에 2차 콘크리트를 포설 및 평탄화하는 단계;
    f) 제2 진동압착기(290b)를 이용하여 상기 2차 콘크리트를 다짐과 동시에 소요 두께를 갖도록 제2 보수층(150)을 시공하는 단계; 및
    g) 상기 이동식 작업대차(210)의 후단부 하부에서 상기 제1 보수층(130), 텍스타일 보강재(140) 및 제2 보수층(150)으로 이루어지는 보수단면을 완성하여 즉시 양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텍스타일 보강 콘크리트 도로포장 포설 장치(200)는 콘크리트 절삭, 보강재 거치, 보수단면 시공을 일괄적이면서 연속적으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텍스타일 보강 콘크리트 도로포장 포설 장치를 이용한 콘크리트 도로포장 보수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원형 그라인더(230)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도로포장의 손상단면(120)에 홈을 형성하는 단계;
    a-2) 콜 마이너식(Coal Miner) 절삭기(240)를 이용하여 일정한 두께로 손상단면(120)을 절삭 제거하는 단계;
    a-3) 진공 석션장치(250)을 이용하여 절삭된 손상단면(120) 콘크리트를 제거하는 단계; 및
    a-4) 물 분사장치(260)를 이용하여 제1 보수층(130) 시공전 보수단면 상면을 습윤 상태로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텍스타일 보강 콘크리트 도로포장 포설 장치를 이용한 콘크리트 도로포장 보수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1차 콘크리트 포설관(270a)을 이용하여 제1 보수층(130) 시공용 1차 콘크리트를 포설하는 단계; 및
    b-2) 도로 직각방향으로 움직이는 제1 스프레더(280a)를 이용하여 포설된 1차 콘크리트를 균일하게 평탄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텍스타일 보강 콘크리트 도로포장 포설 장치를 이용한 콘크리트 도로포장 보수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e-1) 2차 콘크리트 포설관(270b)을 이용하여 제2 보수층(150) 시공용 2차 콘크리트를 포설하는 단계; 및
    e-2) 도로 직각방향으로 움직이는 제2 스프레더(280b)를 이용하여 포설된 2차 콘크리트를 균일하게 평탄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텍스타일 보강 콘크리트 도로포장 포설 장치를 이용한 콘크리트 도로포장 보수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g) 단계는,
    g-1) 도로 직각방향으로 움직이는 미장칼(320)을 이용하여 보수단면을 완성하는 단계; 및
    g-2) 피막양생액 살포장치(330)로 피막양생액을 살포하여 시공 즉시 양생을 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텍스타일 보강 콘크리트 도로포장 포설 장치를 이용한 콘크리트 도로포장 보수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및 2차 콘크리트의 포설 및 다짐이 완료되고 양생이 끝난 콘크리트 슬래브에 온도수축에 대응하기 위하여 6~10m마다 줄눈을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텍스타일 보강 콘크리트 도로포장 포설 장치를 이용한 콘크리트 도로포장 보수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이동식 작업대차(210)는 무한궤도(220)에 의해 자주식으로 전진하며, 상기 무한궤도(220)는 상기 이동식 작업대차(210)의 네 모서리에 장착되고, 상하 이동에 의해 상기 이동식 작업대차(210)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장치(22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텍스타일 보강 콘크리트 도로포장 포설 장치를 이용한 콘크리트 도로포장 보수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작업대차(210) 내에서 제1 및 제2 진동압착기(290a, 290b), 텍스타일 보강재 권취롤(310), 미장칼(320)의 높이는 소요 두께가 형성될 수 있도록 컴퓨터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텍스타일 보강 콘크리트 도로포장 포설 장치를 이용한 콘크리트 도로포장 보수 방법.
  19. 제1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텍스타일 보강 콘크리트 도로포장 포설 장치를 이용한 콘크리트 도로포장 보수 방법의 의해 보수된 콘크리트 도로포장.
KR1020190147153A 2019-11-15 2019-11-15 텍스타일 보강 콘크리트 도로포장 포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도로포장 보수 방법 KR1023123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7153A KR102312370B1 (ko) 2019-11-15 2019-11-15 텍스타일 보강 콘크리트 도로포장 포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도로포장 보수 방법
EP20165785.5A EP3822412B1 (en) 2019-11-15 2020-03-26 Textile-reinforced concrete road paving apparatus, method of repairing concrete road pavement using the same and repaired concrete road pavement
US16/853,694 US11174599B2 (en) 2019-11-15 2020-04-20 Textile-reinforced concrete road paving apparatus and method of repairing concrete road pavement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7153A KR102312370B1 (ko) 2019-11-15 2019-11-15 텍스타일 보강 콘크리트 도로포장 포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도로포장 보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9555A true KR20210059555A (ko) 2021-05-25
KR102312370B1 KR102312370B1 (ko) 2021-10-15

Family

ID=70008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7153A KR102312370B1 (ko) 2019-11-15 2019-11-15 텍스타일 보강 콘크리트 도로포장 포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도로포장 보수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174599B2 (ko)
EP (1) EP3822412B1 (ko)
KR (1) KR10231237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2976A (ko) * 2021-11-01 2023-05-09 현대건설(주) 태양광발전도로 시공 장비
KR102604271B1 (ko) * 2022-12-06 2023-11-2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텍스타일 보강재 고정용 그리드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텍스타일 보강 모르타르 시공방법
KR102626379B1 (ko) * 2022-12-06 2024-01-1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텍스타일 보강재와 스프레이 방식의 시멘트 모르타르를 이용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및 그 보수보강 공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3066150A1 (en) * 2019-12-24 2021-06-24 Paradox Access Solutions Inc. Road surfacing machine
JP7142868B1 (ja) 2022-03-03 2022-09-28 株式会社美和テック 無機材料の施工方法
JP7142869B1 (ja) 2022-03-03 2022-09-28 株式会社美和テック 無機材料の施工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2420A (ja) * 1996-09-26 1998-04-21 Nichireki Co Ltd 道路橋等の橋面防水工法
KR100939691B1 (ko) * 2008-11-20 2010-02-01 주식회사 로드코리아 포장 포설 장비
JP2011219949A (ja) * 2010-04-07 2011-11-04 Bsk:Kk 舗装路補修装置、舗装路補修工法及び舗装路補修用充填材
KR101109685B1 (ko) 2011-03-11 2012-02-14 의왕개발 주식회사 친환경 콘크리트 포장도로 파쇄 장치 및 방법
KR101909112B1 (ko) 2018-01-26 2018-10-18 주식회사 현대씨앤엠 콘크리트 도로포장용 피막양생제 살포장치
KR20190001258A (ko) * 2017-06-27 2019-01-04 주식회사 다현산업 폐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이용한 포장도로의 친환경 보수 방법
KR20190084586A (ko) * 2018-01-08 2019-07-17 성도건설산업 주식회사 와이어메쉬의 자동공급이 가능한 콘크리트 포설장비 및 이를 사용한 콘크리트 포설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46107A (en) * 1921-03-26 1925-07-14 Koehring Co Machine for laying reenforced concrete roads
US4066723A (en) * 1976-03-19 1978-01-03 Caterpillar Tractor Co.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fibrous concrete
US4319856A (en) * 1977-01-03 1982-03-16 Microdry Corportion Microwave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cessing pavements
US4270801A (en) 1979-08-14 1981-06-02 Cmi Corporation Steering and cutter drum positioning in a paved roadway planing machine
US4309126A (en) * 1980-04-17 1982-01-05 Pfaff Deems M Machine for separating concrete from steel
DE3120661C2 (de) * 1981-05-23 1986-08-07 Huesker Synthetic GmbH & Co, 4423 Gescher Gittergewebe, insbesondere zum Bewehren von Platten und Schichten
US4742970A (en) * 1983-09-06 1988-05-10 Mounque Barazone Paving fabric stretching mechanism
US4699330A (en) * 1983-09-06 1987-10-13 Mounque Barazone Apparatus for laying paving fabric
GB2146312A (en) * 1983-09-06 1985-04-17 Ekebro Ab Apparatus for distributing short stiff loose metal fibres over a surface
DE3612131A1 (de) * 1986-04-10 1987-10-15 Huesker Synthetic Gmbh & Co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verlegen von gittergewebe zum bewehren von bitumengebundenen decken von strassen oder dergleichen
US4793731A (en) * 1986-06-13 1988-12-27 Gnesa Edward C Road coating system
US5046888A (en) 1987-03-24 1991-09-10 King John C Material spreader
US5026205A (en) * 1988-12-30 1991-06-25 Gorski George 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inuously removing existing reinforced pavement and simultaneously replacing the same by a new pavement
US5000615A (en) * 1990-01-09 1991-03-19 Cmi Corporation System for reclaiming and relaying pavement in place
US5026206A (en) * 1990-03-30 1991-06-25 Oconnor Patrick L Pavement and base recycle method and apparatus
DE4237512A1 (de) * 1992-11-08 1994-05-11 Wirtgen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anierung beschädigter Fahrbahnen
US5762446A (en) * 1994-01-07 1998-06-09 Manatts Inc. Methods & means for on-roadway recycling of pavement and recovering steels therefrom
DE29510058U1 (de) * 1995-06-21 1995-11-02 Voegele Ag J Deckenfertiger
US5836715A (en) * 1995-11-19 1998-11-17 Clark-Schwebel, Inc. Structural reinforcement member and method of utilizing the same to reinforce a product
US6769836B2 (en) * 2002-04-11 2004-08-03 Enviro-Pave, Inc. Hot-in-place asphalt recycling machine and process
DE10336940A1 (de) * 2003-08-07 2005-03-10 Klaus Dieter Sakrowski Straßenbau-Armierungskonstruktion
JP4254647B2 (ja) * 2004-07-30 2009-04-15 アオイ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防水シートの現場貼り付け機械
KR20070082396A (ko) 2006-02-16 2007-08-21 (주)복합소재기술연구소 콘크리트의 타설 마감장치
US8079778B2 (en) * 2008-05-02 2011-12-20 Byron Kelly Colkitt Geotextile applicator device and method
US8888403B2 (en) * 2011-05-06 2014-11-18 Dwayne L. Atherton Combination gravel spreader/paver geo-textile fabric installer apparatus
BR112019004970B1 (pt) * 2016-11-09 2023-02-14 Nv Bekaert Sa Tecido adaptado para o reforço de construções tais como de estradas ou pavimentos e método de renovar uma estrada ou pavimento já existent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2420A (ja) * 1996-09-26 1998-04-21 Nichireki Co Ltd 道路橋等の橋面防水工法
KR100939691B1 (ko) * 2008-11-20 2010-02-01 주식회사 로드코리아 포장 포설 장비
JP2011219949A (ja) * 2010-04-07 2011-11-04 Bsk:Kk 舗装路補修装置、舗装路補修工法及び舗装路補修用充填材
KR101109685B1 (ko) 2011-03-11 2012-02-14 의왕개발 주식회사 친환경 콘크리트 포장도로 파쇄 장치 및 방법
KR20190001258A (ko) * 2017-06-27 2019-01-04 주식회사 다현산업 폐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이용한 포장도로의 친환경 보수 방법
KR20190084586A (ko) * 2018-01-08 2019-07-17 성도건설산업 주식회사 와이어메쉬의 자동공급이 가능한 콘크리트 포설장비 및 이를 사용한 콘크리트 포설방법
KR101909112B1 (ko) 2018-01-26 2018-10-18 주식회사 현대씨앤엠 콘크리트 도로포장용 피막양생제 살포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2976A (ko) * 2021-11-01 2023-05-09 현대건설(주) 태양광발전도로 시공 장비
KR102604271B1 (ko) * 2022-12-06 2023-11-2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텍스타일 보강재 고정용 그리드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텍스타일 보강 모르타르 시공방법
KR102626379B1 (ko) * 2022-12-06 2024-01-1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텍스타일 보강재와 스프레이 방식의 시멘트 모르타르를 이용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및 그 보수보강 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2370B1 (ko) 2021-10-15
EP3822412B1 (en) 2022-03-09
US11174599B2 (en) 2021-11-16
US20210148062A1 (en) 2021-05-20
EP3822412A1 (en) 2021-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59555A (ko) 텍스타일 보강 콘크리트 도로포장 포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도로포장 보수 방법
KR100687211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도로 포장방법
KR20060071384A (ko) 높이조절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과 이를 이용한조립식 포장공법
CN110005169A (zh) 一种具有预应力无缝地坪的抗开裂工艺方法
CN110846967A (zh) 用于公路施工的路面改建方法及设备
CN112458907A (zh) 钢结构超大面积铺装超高性能混凝土层施工方法
CN102852066A (zh) 混凝土道路型钢伸缩缝精确安装方法
CN113202142A (zh) 一种复合式沥青路面检查井保护装置及路面施工方法
CN102635104A (zh) 用于路桥连接的楔形土工格室水泥加筋土结构及施工方法
JP3206887U (ja) マンホール周囲の埋め戻し補強構造
KR100886409B1 (ko) 소성변형방지를 위한 2층 섬유보강 포장공법
CN112832149B (zh) 一种涵洞施工设备及施工方法
CA3159807C (en) A jointless concrete composite pavement
CN110820715A (zh) 一种用于降低路桥过渡段跳车问题的装置及方法
JP6504838B2 (ja) コンクリート床版上面の補修工法
CN217782720U (zh) 一种铠装缝定位结构
CN213447918U (zh) 一种竹筋混凝土路面
CN218466236U (zh) 一种适用于煤矿井下的无轨运输巷道路面结构
KR102325736B1 (ko) 톱니형 스트라이커가 부착된 콘크리트 포장 균열 유도 장비 및 유도방법
Pandey et al. DESIGN & ANALYSIS OF CONCRETE PAVEMENT
CN117702646A (zh) 空心板梁铰缝快速维修加固结构及其加固方法
CN115125785A (zh) 一种隧道路面铺设方法
Buitelaar et al. Heavy reinforced high performance concrete overlay on orthotropic steel bridges in the netherlands
KR101552655B1 (ko) 도로 복합 보수 공법
CN113958087A (zh) 一种适用于工业厂房的大面积钢纤维超平地坪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