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9112B1 - 콘크리트 도로포장용 피막양생제 살포장치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도로포장용 피막양생제 살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9112B1
KR101909112B1 KR1020180010125A KR20180010125A KR101909112B1 KR 101909112 B1 KR101909112 B1 KR 101909112B1 KR 1020180010125 A KR1020180010125 A KR 1020180010125A KR 20180010125 A KR20180010125 A KR 20180010125A KR 101909112 B1 KR101909112 B1 KR 1019091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ing
nozzle
wetting agent
curing agen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0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병하
정삼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씨앤엠
유한회사 대화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씨앤엠, 유한회사 대화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씨앤엠
Priority to KR1020180010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91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9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91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1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distributing granular or liquid materials
    • E01C19/20Apparatus for distributing, e.g. spreading, granular or pulverulent materials, e.g. sand, gravel, salt, dry bin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1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distributing granular or liquid materials
    • E01C19/20Apparatus for distributing, e.g. spreading, granular or pulverulent materials, e.g. sand, gravel, salt, dry binders
    • E01C2019/2055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1C2019/207Feeding the distribut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에 포장된 콘크리트 표면에 피막양생제를 미스트상태로 분사하며 분사노즐을 습윤상태로 유지시켜 균일한 피막을 형성하게 함과 함께 분사노즐의 막힘을 방지하도록 한 콘크리트 도로포장용 피막양생제 살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양측에 롤러가 구비되어 구동수단에 의해 콘트리트 양측에 구비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양생제가 수용되는 양생제탱크와; 상기 몸체의 후방에 장착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하부에 길이방향에 따라 일정간격으로 장착되어 콘크리트 표면에 양생제를 살포하는 복수개의 양생제노즐과; 상기 양생제탱크에 수용된 양생제를 상기 양생제노즐에 공급하는 제1펌프;를 포함하되, 상기 양생제노즐은 양생제를 미스트상태로 분사하는 미스트분사노즐로 구성된 콘크리트 도로포장용 피막양생제 살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도로포장용 피막양생제 살포장치{Device for spraying sealing compound used in concrete pavement of road}
본 발명은 콘크리트 도로포장용 피막양생제 살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에 포장된 콘크리트 표면에 피막양생제를 미스트상태로 분사하고, 양생제 분사노즐을 습윤상태로 유지시켜 콘크리트 표면에 피막이 잘 형성되게 함과 함께 분사노즐이 피막양생제에 의해 막히지 않도록 한 콘크리트 도로포장용 피막양생제 살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되면 시멘트의 화학작용에 의해 경화과정을 거쳐 약 28일이 경과하면 최종압축강도에 도달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화과정을 양생기간이라고 한다.
이러한 콘크리트 양생기간 동안에는 수분의 영향이 크므로 수분을 유지하기 위해 콘크리트 표면에 피막을 형성해야 하며, 타설된 콘크리트 표면의 온도, 하중, 충격 및 파손 등의 유해한 영향을 받지 않도록 보호관리를 해야 한다.
특히, 도로에 타설된 콘크리트는 그 수명이 시공 후의 양생기간에 달려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므로 양생기간 중 콘크리트의 수화작용을 촉진하고 수분증발로 인한 콘크리트의 수축균열을 줄이기 위해 콘크리트의 타설 후 최종적으로 살포장치에 의해 피막양생제를 살포하여 그 표면에 피막을 형성하는 작업을 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피막양생제의 살포장치는 용해제의 종류에 따라 구분되는 유성 피막양생제와 수용성 피막양생제를 사용하는데, 유성 피막양생제는 피막의 성질이 우수하여 통상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그 점도가 높아 고압의 분무장치가 구비된 살포장치를 통해서만 살포가 가능하므로 고압의 분무로 인해 콘크리트 표면에 패임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콘크리트 표면의 패임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종래의 피막양생제 살포장치는 표면으로부터 40~50cm의 높은 간격의 이격된 상태에서 피막양생제를 살포하게 되므로 콘크리트 표면에 피막이 균일하게 형성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살포되는 피막양생제가 주변으로 비산되어 대기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피막양생제의 살포작업을 중단하였을 경우에는 분사노즐에 피막양생제가 응고되어 있어 분사노즐의 막힘으로 인해 피막양생제의 살포작업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용성 피막양생제는 그 점도가 낮고 저압분사가 가능하며 수용성이라 대기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점이 있지만, 타설된 콘크리트 표면에 수분이 없는 상태에서 살포하여야 피막이 제대로 형성되므로 콘크리트 표면의 수분이 일정부분 증발한 후에 사용해야 하는 단점이 있어 그 사용을 꺼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수용성 피막양생제를 사용하는 종래의 살포장치도 살포작업이 중단될 경우에는 분사노즐에서 피막양생제가 응고되어 이로 인해 분사노즐이 막히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도로포장의 콘크리트의 표면에 피막양생제를 살포함에 있어서 살포되는 피막양생제의 비산에 의한 대기오염을 방지하며, 양생제의 응고에 의한 분사노즐의 막힘 현상을 방지하는 피막양생제 살포장치의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252669호(공고일자 2001년11월23일)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낮은 간격에서 살포장치를 통해 점도가 낮은 수용성 피막양생제를 미스트상태로 분사하여 균일한 피막을 형성하게 함과 함께 대기환경오염을 최소화하고, 양생제의 응고에 의한 분사노즐의 막힘을 방지하는 콘크리트 도로포장용 피막양생제 살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양측에 롤러가 구비되어 구동수단에 의해 콘트리트 양측에 구비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양생제가 수용되는 양생제탱크와; 상기 몸체의 후방에 장착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하부에 길이방향에 따라 일정간격으로 장착되어 콘크리트에 양생제를 살포하는 복수개의 양생제노즐과; 상기 양생제탱크에 수용된 양생제를 상기 양생제노즐에 공급하는 제1펌프;를 포함하되, 상기 양생제노즐은 양생제를 미스트상태로 분사하는 미스트분사노즐이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의 후방에 길이방향으로 발판이 장착되며, 상기 양생제를 살포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양생제노즐을 습윤제에 침수시켜 양생제노즐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습윤수단;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에는 전후방향으로 일측이 상기 양생제노즐과 인접하게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복수개의 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습윤수단은 상기 커버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장공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몸체에 장착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평이동수단과; 상기 메인프레임과 상기 커버 사이에 배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보조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보조프레임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직이동수단과; 상기 각각의 장공에 상단이 상기 보조프레임에 장착되고 하단이 상기 장공을 통해 상기 커버의 하부에 배치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커버의 하부에 배치되게 상기 연결부재의 하단에 장착되며, 습윤제가 수용되어 상기 수평이동수단과 상기 수직이동수단에 의해 전후 및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양생제노즐을 수용된 습윤제에 침전시키는 용기와; 상기 수평이동수단과 상기 수직이동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양생제노즐에서 양생제가 살포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평이동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용기를 상기 장공의 일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양생제노즐의 하부에 배치시키고, 상기 수직이동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양생제노즐의 하부에 배치된 상기 용기를 상승시켜 상기 용기에 수용된 습윤제에 상기 양생제노즐을 침수시키며, 상기 양생제노즐에서 양생제가 살포될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직이동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용기을 하강시켜 상기 양생제노즐에서 이격시키고, 상기 수평이동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용기를 상기 장공의 타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기에 습윤제를 공급하는 습윤제공급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습윤제공급수단은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습윤제가 수용되는 습윤제탱크와; 상기 커버의 하부에 상기 양생제노즐과 대응되게 상기 장공의 타측에 인접하게 장착되는 습윤제노즐과; 상기 제어부에 제어되어 상기 습윤제탱크에 수용된 습윤제를 상기 습윤제노즐로 공급하는 제2펌프;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직이동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장공의 타측으로 이동된 용기를 상승시켜 상기 습윤제노즐에 밀착시키고, 상기 제2펌프를 제어하여 상기 습윤제탱크에 수용된 습윤제를 상기 용기에 적정량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기에는 습윤제를 흡인하는 스폰지가 추가로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르면 양생제노즐을 미스트분사노즐로 구성함으로써, 점도가 낮은 수용성 피막양생제를 미스트상태로 분사하기 때문에 도로에 타설된 콘크리트의 표면에 수분이 있는 상태에서도 양생제살포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으며, 고압으로 분사가 되지 않기 때문에 타설된 콘크리트의 표면과 5~10cm의 낮은 간격에서 살포가 가능하고, 분사된 피막양생제가 콘크리트 표면에 균일하게 살포되어 피막이 형성되어지므로 적은 양의 피막양생제로도 양호한 양생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살포되는 양생제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대기환경오염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습윤수단을 구성함으로써, 양생제를 살포하지 않을 경우에 양생제노즐이 응고된 양생제에 의해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즉, 상기 습윤수단에 의해 양생제노즐을 용기에 수용된 습윤제에 선택적으로 침수시킴으로써, 양생제노즐에서 양생제가 살포되지 않은 경우에는 분사노즐을 습윤제에 침수시켜 분사노즐에 남아 있는 양생제의 응고를 방지하여 양생제 분사노즐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도로포장용 피막양생제 살포장치로 피막양생제를 살포하는 상태를 나타낸 후방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도로포장용 피막양생제 살포장치로 살포작업이 중단된 상태를 나타낸 후방사시도.
도 3은 도 1의 요부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도 2의 요부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도로포장용 피막양생제 살포장치에서 습윤수단의 작동과정을 간략하게 나타낸 측단면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인 콘크리트 도로포장용 피막양생제 살포장치는 몸체(100), 양생제탱크(200), 커버(300), 양생제노즐(400), 발판(500), 습윤수단(600) 및 제1펌프(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에 타설된 콘크리트의 좌우 양측에 구비된 레일(101)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양측에 롤러(102)와 구동수단(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몸체(100)는 일반적인 구조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양생제탱크(2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0)에 구비되어 양생제가 수용되며, 양생제탱크(200)는 몸체(100)와 함께 이동한다.
상기 커버(3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0)의 후방 즉, 이동방향의 뒤에 장착된다.
이러한 상기 커버(300)는 후술하는 상기 양생제노즐(400)이 장착되어 상기 양생제노즐(400)에서 살포되는 양생제가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상기 커버(300)를 구성함으로써, 양생제가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대기환경오염을 최소화 한다.
이러한 상기 커버(300)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방향으로 일측이 상기 양생제노즐(400)과 인접하게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복수개의 장공(301)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장공(301)은 후술하는 습윤수단(600)의 이동을 위한 것으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양생제노즐(400)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300)의 하부에 길이방향에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가 장착된다.
이러한 상기 양생제노즐(400)은 후술하는 상기 제1펌프(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상기 양생제탱크(200)에 수용된 양생제를 도로에 타설된 콘크리트에 살포한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상기 양생제노즐(400)을 상기 양생제탱크(200)와 연통시키는 양생제공급파이프(401)가 상기 커버(300)의 상부에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양생제노즐(400)은 양생제를 미스트상태로 분사하는 미스트분사노즐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양생제노즐(400)이 미스트분사노즐로 구성됨으로써, 점도가 낮은 수용성 피막양생제를 미스트상태로 분사하기 때문에 수분이 빠르게 증발하여 도로에 타설된 콘크리트의 표면에 약간이 수분이 있는 상태에서도 양생제 살포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고압으로 분사가 되지 않기 때문에 도로에 타설된 콘크리트의 표면과 5~10cm의 낮은 간격에서 살포가 가능하고, 분사된 피막양생제가 도로에 타설된 콘크리트 표면에 얇게 고르고 균일하게 피막을 형성하여 적은 양의 피막양생제로도 양호한 양생효과가 있다.
상기 제1펌프(도시되지 않음)는 상기 양생제탱크(200)에 수용된 양생제를 상기 양생제노즐(400)에 공급한다.
즉, 상기 제1펌프(도시되지 않음)는 상기 양생제탱크(200)와 상기 양생제공급파이프(401)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양생제탱크(200)에 수용된 양생제를 상기 양생제공급파이프(401)를 통해 상기 양생제노즐(400)로 공급한다.
상기 발판(5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0)의 후방에 길이방향으로 장착하여 작업자가 상기 몸체(100) 내에서 이동을 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상기 몸체(100)에 발판(500)을 장착하여 작업자가 상기 몸체(100) 내에서 이동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상기 몸체(100)에 장착되는 여러가지 구성요소의 이상여부를 손쉽게 체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발판(500)에 커버(300)가 장착되게 도시되었지만, 상기 발판(500)이 없을 경우에는 몸체(100)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습윤수단(600)은 양생제를 살포하지 않을 경우에 상기 양생제노즐(400)을 습윤제에 침수시켜 양생제노즐(400)이 응고된 양생제에 의해 막히는 것을 방지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습윤수단(600)은 양생제를 살포하지 않을 경우에 상기 양생제노즐(400)에 남아 있는 양생제에서 수분이 증발하여 응고되지 않도록 습윤제에 침수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습윤수단(600)을 구성함으로써, 양생제를 살포하지 않을 경우에 살포 중인 양생제가 응고되면서 응고된 양생제에 의해 양생제노즐(400)이 막히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상기 습윤수단(600)은 메인프레임(610), 수평이동수단(620), 보조프레임(630), 수직이동수단(640), 연결부재(650), 용기(660), 습윤제공급수단(670), 스폰지(680) 및 제어부(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상기 메인프레임(610)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300)의 상부에 배치되어 전술한 상기 커버(300)의 장공(301)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상기 메인프레임(6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300)와 이격되게 상기 커버(300)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이동수단(620)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0)에 장착되어 상기 메인프레임(610)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는 상기 수평이동수단(620)이 상기 발판(500)에 장착되어 있지만, 상기 발판(500)이 구성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몸체(100)에 장착된다.
상기 보조프레임(630)은 상기 메인프레임(610)과 상기 커버(300) 사이에 배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상기 보조프레임(63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프레임(610)과 상기 커버(300)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이동수단(640)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프레임(610)에 장착되어 상기 보조프레임(630)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수직이동수단(640)과 상기 수평이동수단(620)은 공지의 다양한 이동수단으로 구성하여 상기 메인프레임(610)의 상하이동과 상기 보조프레임(630)을 수직이동하게 할 수도 있지만, 유압실린더 또는 공압실린더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재(650)는 각각의 상기 장공(301)에 상단이 상기 보조프레임(630)에 장착되고 하단이 상기 장공(301)을 통해 상기 커버(300)의 하부에 배치되게 장착된다.
이러한 상기 연결부재(650)는 상기 수평이동수단(620)과 상기 수직이동수단(640)에 의해 상기 장공(301)에서 전후 및 상하이동하여 후술하는 상기 용기(660)가 상기 커버(300)의 하부에서 전후 및 상하이동하게 연동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용기(660)는 상기 커버(300)의 하부에 배치되게 상기 연결부재(650)의 하단에 장착된다.
이러한 상기 용기(660)에는 습윤제가 수용되어 상기 수평이동수단(620)과 상기 수직이동수단(640)에 의해 전후 및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양생제노즐(400)을 수용된 습윤제에 침수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는 상기 수평이동수단(620)과 상기 수직이동수단(640)을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는 상기 용기(660)에 수용된 습윤제에 상기 양생제노즐(400)이 선택적으로 침전되게 한다.
이러한 상기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는 상기 양생제노즐(400)에서 양생제가 살포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수평이동수단(620)을 제어하여 상기 용기(660)를 상기 장공(301)의 일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양생제노즐(400)의 하부에 배치시키고, 상기 수직이동수단(640)을 제어하여 상기 양생제노즐(400)의 하부에 배치된 상기 용기(660)를 상승시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660)에 수용된 습윤제에 상기 양생제노즐(400)을 침수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는 상기 양생제노즐(400)에서 양생제가 살포될 경우에는 상기 수직이동수단(640)을 제어하여 상기 용기(660)을 하강시켜 상기 양생제노즐(400)에서 이격시키고, 상기 수평이동수단(620)을 제어하여 상기 용기(660)를 상기 장공(301)의 타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양생제노즐(400)에서 양생제가 원활하게 살포되게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습윤수단(600)에 의해 상기 양생제노즐(400)을 상기 용기(660)에 수용된 습윤제에 선택적으로 침수시킴으로써, 상기 양생제노즐(400)에서 양생제가 살포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양생제노즐(400)을 습윤제에 침수시켜 살포작업이 중단되었을 경우 상기 양생제노즐(400)에 남아있는 양생제가 응고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양생제노즐(400)이 막히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습윤제공급수단(670)은 상기 용기(660)에 습윤제를 공급한다.
즉, 상기 습윤제공급수단(670)은 상기 양생제노즐(400)이 침수되는 상기 용기(660)에 수용된 습윤제의 수용양이 일정하도록 습윤제를 공급한다.
이와 같이, 습윤제공급수단(670)을 구성함으로써, 상기 용기(660)에 수용된 습윤제의 수용량이 줄어들지 않게 하여 상기 양생제노즐(400)이 상기 습윤제에 침수가 잘되게 한다.
이러한 상기 습윤제공급수단(670)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습윤제탱크(671), 습윤제노즐(672) 및 제2펌프(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상기 습윤제탱크(67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0)에 구비되어 습윤제가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습윤제노즐(672)은 상기 커버(300)의 하부에 상기 양생제노즐(400)과 대응되게 상기 장공(301)의 타측에 인접하게 장착된다.
즉, 상기 습윤제노즐(672)은 상기 용기(660)가 상기 수평이동수단(620)과 상기 수직이동수단(640)에 의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공(301)의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양생제노즐(400)을 침수시키고, 상기 용기(660)가 상기 수평이동수단(620)과 상기 수직이동수단(640)에 의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공(301)의 타측에 위치하여 상기 습윤제노즐(672)에 배치되어 습윤제를 공급받도록 상기 장공(301)의 타측에 인접하게 장착된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상기 습윤제노즐(672)에 습윤제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습윤제탱크(671)와 연통시키는 습윤제공급파이프(673)가 상기 커버(300)의 상부에 구성된다.
상기 제2펌프(도시되지 않음)는 상기 제어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습윤제탱크(671)에 수용된 습윤제를 상기 습윤제노즐(672)로 공급한다.
즉, 상기 제2펌프(도시되지 않음)는 상기 습윤제탱크(671)와 상기 습윤제공급파이프(673)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습윤제노즐(672)을 통해 상기 용기(660)에 상기 습윤제탱크(671)에 수용된 습윤제를 공급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상기 습윤제공급수단(670)에 의해 상기 용기(660)에 수용되는 습윤제의 양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상기 용기(660)에 수용된 습윤제에 상기 양생제노즐(400)이 침전될 때 항상 일정하게 침전되게 한다.
상기 스폰지(680)는 상기 용기(660)에 수용되어 습윤제를 흡입한다.
즉, 상기 스폰지(680)는 상기 용기(660)에 수용되어 습윤제를 흡입하고 있게 하여 전술한 상기 수평이동수단(620)과 상기 수직이동수단(640)에 의해 전후 및 상하방향으로 상기 용기(660)가 이동시 수용된 습윤제가 유동되어 외부로 튀거나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상기 스폰지(680)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수평이동수단(620)과 상기 수직이동수단(640)에 의해 전후 및 상하방향으로 상기 용기(660)가 이동할 때에 상기 용기(660)에 수용된 습윤제가 유동되어 외부로 튀거나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용기(660)가 상기 수평이동수단(620)과 상기 수직이동수단(640)에 의해 이동하여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양생제노즐(400)이 습윤제에 침수되거나 상기 습윤제노즐(672)에서 습윤제를 공급받을 때에는 상기 용기(660)의 상면이 상기 커버(300)의 하면을 따라 이동된다.
이와 같이, 상기 용기(660)의 상면이 상기 커버(300)의 하면을 따라 이동됨으로써, 양생제를 살포 시에 상기 양생제노즐(400)에서 분사되는 양생제가 비산되어 상기 용기(660)에 들어가거나 상기 습윤제노즐(672)에 묻는 것을 방지하고, 습윤제가 증발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작업이 중단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용기(660)의 습윤제에 침수된 상기 양생제노즐(400)을 효율적으로 습윤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습윤제가 증발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콘크리트 도로포장용 피막양생제 살포장치에서 상기 습윤수단(600)과 상기 습윤제공급수단(670)의 작동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도 3 및 도 5(a) 도시된 바와 같이 양생제가 상기 양생제노즐(400)을 통해 미스트상태로 분사될 때 상기 용기(660)는 도 3 및 도 5(a)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습윤제노즐(672)에 배치되어 상기 제어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습윤제를 일정량이 되도록 공급받는다.
그리고 살포작업을 하다가 작업이 중단되어 양생제의 살포가 중지되면, 상기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는 상기 수평이동수단(620)을 하강시켜 상기 용기(660)와 상기 습윤제노즐(672)을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격시킨다.
이렇게 일정한 거리로 이격되면, 상기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는 상기 수직이동수단(640)을 상기 장공(301)을 따라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시켜 상기 용기(660)가 상기 양생제노즐(400)의 하부에 배치되게 한다.
그리고 다시 상기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는 상기 상기 수평이동수단(620)을 통해 상기 용기(660)를 상승시켜 도 2, 도 4 및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660)에 수용된 습윤제에 상기 양생제노즐(400)이 침수되게 한다.
한편, 다시 살포작업이 시작되면, 전술한 과정의 반대로 상기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는 상기 수평이동수단(620)과 상기 수직이동수단(640)을 제어하여 도 1, 도 3 및 도 5(a)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660)에 필요한 습윤제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기 습윤제노즐(672)로 이동하여 대기하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 몸체 101 : 레일
102 : 롤러 200 : 양생제탱크
300 : 커버 301 : 장공
400 : 양생제노즐 401 : 양생제공급파이프
500 : 발판 600 : 습윤수단
610 : 메인프레임 620 : 수평이동수단
630 : 보조프레임 640 : 수직이동수단
650 : 연결부재 660 : 용기
670 : 습윤제공급수단 671 : 습윤제탱크
672 : 습윤제노즐 673 : 습윤제공급파이프
680 : 스폰지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양측에 롤러(102)가 구비되어 구동수단에 의해 콘크리트 양측에 구비된 레일(101)을 따라 이동하는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에 구비되어 양생제가 수용되는 양생제탱크(200)와, 상기 몸체(100)의 후방에 장착되며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복수개의 장공(301)이 형성된 커버(300)와, 상기 커버(300)의 하부에 길이방향에 따라 일정간격으로 장착되어 콘크리트 표면에 양생제를 살포하는 미스트분사노즐로 된 복수개의 양생제노즐(400)과, 상기 양생제탱크(200)에 수용된 양생제를 양생제노즐(400)에 공급하는 제1펌프와, 상기 양생제노즐(400)을 습윤제에 침수시켜 양생제노즐(400)의 막힘을 방지하는 습윤수단(600)으로 구성된 콘크리트 도로포장용 피막양생제 살포장치에 있어서,
    상기 습윤수단(600)은, 상기 커버(300)의 상부에 배치되어 장공(301)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메인프레임(610)과; 상기 몸체(100)에 장착되어 메인프레임(610)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평이동수단(620)과; 상기 메인프레임(610)과 커버(300) 사이에 배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보조프레임(630)과; 상기 메인프레임(610)에 장착되어 보조프레임(630)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직이동수단(640)과; 상기 각각의 장공(301)을 통해 상단이 보조프레임(630)에 장착되고 하단이 커버(300)의 하부에 배치되는 연결부재(650)와; 상기 커버(300)의 하부에 배치되며 연결부재(650)의 하단에 장착됨과 함께 습윤제가 수용되어 수평이동수단(620)과 수직이동수단(640)에 의해 전후 및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선택적으로 양생제노즐(400)을 습윤제에 침전시키는 용기(660)와; 상기 수평이동수단(620)과 수직이동수단(640)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도로포장용 피막양생제 살포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용기(660)에 습윤제를 공급하는 습윤제공급수단(67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도로포장용 피막양생제 살포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습윤제공급수단(670)은, 몸체(100)에 구비되어 습윤제가 수용되는 습윤제탱크(671)와; 상기 커버(300)의 하부에 양생제노즐(400)과 대응되게 장공(301)의 타측에 인접하게 장착되는 습윤제노즐(672)과; 상기 제어부에 제어되어 습윤제탱크(671)에 수용된 습윤제를 습윤제노즐(672)로 공급하는 제2펌프;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수직이동수단(640)을 제어하여 장공(301)의 타측으로 이동된 용기(660)를 상승시켜 습윤제노즐(672)에 밀착시키고, 상기 제2펌프를 제어하여 습윤제탱크(671)에 수용된 습윤제를 용기(660)에 적정량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도로포장용 피막양생제 살포장치.
  7.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용기(660)에는 습윤제를 흡인하는 스폰지(680)가 추가로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도로포장용 피막양생제 살포장치.
KR1020180010125A 2018-01-26 2018-01-26 콘크리트 도로포장용 피막양생제 살포장치 KR1019091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125A KR101909112B1 (ko) 2018-01-26 2018-01-26 콘크리트 도로포장용 피막양생제 살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125A KR101909112B1 (ko) 2018-01-26 2018-01-26 콘크리트 도로포장용 피막양생제 살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9112B1 true KR101909112B1 (ko) 2018-10-18

Family

ID=64132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0125A KR101909112B1 (ko) 2018-01-26 2018-01-26 콘크리트 도로포장용 피막양생제 살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911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1962A (ko) 2019-04-16 2020-10-27 주식회사 현대씨앤엠 노즐의 막힘이 방지된 콘크리트 도로포장용 피막양생제 살포장치
EP3822412A1 (en) 2019-11-15 2021-05-19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Textile-reinforced concrete road paving apparatus and method of repairing concrete road pavement using the same
KR20220023890A (ko) * 2020-08-21 2022-03-03 박종찬 도로 포장용 골재 노출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3629A (ja) * 1991-07-19 1993-02-02 Tdk Corp 液滴状接着剤の射出ノズルの乾燥防止装置
KR200252669Y1 (ko) * 2001-07-31 2001-11-23 주식회사 승화이엔씨 엘엠씨 교면포장 장비용 양생제 살포기
JP2007113234A (ja) * 2005-10-19 2007-05-10 Sumitomo (Shi) Construction Machinery Manufacturing Co Ltd 乳剤の飛散防止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3629A (ja) * 1991-07-19 1993-02-02 Tdk Corp 液滴状接着剤の射出ノズルの乾燥防止装置
KR200252669Y1 (ko) * 2001-07-31 2001-11-23 주식회사 승화이엔씨 엘엠씨 교면포장 장비용 양생제 살포기
JP2007113234A (ja) * 2005-10-19 2007-05-10 Sumitomo (Shi) Construction Machinery Manufacturing Co Ltd 乳剤の飛散防止装置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1962A (ko) 2019-04-16 2020-10-27 주식회사 현대씨앤엠 노즐의 막힘이 방지된 콘크리트 도로포장용 피막양생제 살포장치
KR102236986B1 (ko) * 2019-04-16 2021-04-08 주식회사 현대씨앤엠 노즐의 막힘이 방지된 콘크리트 도로포장용 피막양생제 살포장치
EP3822412A1 (en) 2019-11-15 2021-05-19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Textile-reinforced concrete road paving apparatus and method of repairing concrete road pavement using the same
KR20210059555A (ko) 2019-11-15 2021-05-2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텍스타일 보강 콘크리트 도로포장 포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도로포장 보수 방법
KR102312370B1 (ko) * 2019-11-15 2021-10-1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텍스타일 보강 콘크리트 도로포장 포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도로포장 보수 방법
US11174599B2 (en) 2019-11-15 2021-11-16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Textile-reinforced concrete road paving apparatus and method of repairing concrete road pavement using the same
KR20220023890A (ko) * 2020-08-21 2022-03-03 박종찬 도로 포장용 골재 노출장치
KR102447856B1 (ko) * 2020-08-21 2022-09-28 박종찬 도로 포장용 골재 노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9112B1 (ko) 콘크리트 도로포장용 피막양생제 살포장치
CN101003041B (zh) 涂敷方法、涂敷装置以及涂敷处理程序
KR100925765B1 (ko) 도포 장치의 헤드의 세정 방법
US6497531B2 (en) Concrete curing machine
CN110773358A (zh) 一种轨枕脱模剂喷涂设备
KR20220012923A (ko) 3d 프린터용 프린트 헤드 세정 장치, 프린트 헤드 세정 장치를 구비한 3d 프린터, 프린트 헤드 세정 장치의 용도, 및 3d 프린터의 프린트 헤드 세정 방법
JP5565921B2 (ja) コンクリート養生型枠
JP2015094064A (ja) コンクリートの湿潤養生装置
KR102236986B1 (ko) 노즐의 막힘이 방지된 콘크리트 도로포장용 피막양생제 살포장치
CN211436728U (zh) 一种轨枕脱模剂喷涂设备
KR100946215B1 (ko) 글라스 식각용 분사 노즐 시스템
JP6860314B2 (ja) 養生装置
BRPI0509224A (pt) instalação e processo para a fabricação de produtos acabados de concreto
CN113173803B (zh) 一种净水厂用水泥基材料养护系统及其方法
JP4537155B2 (ja) 舗装敷設作業車
ATE339321T1 (de) Druckform, druckformzylinder und verfahren für einen nassoffsetdruck
CN112177366A (zh) 一种建筑施工混凝土浇筑后养护装置
KR100290209B1 (ko) 무한궤도롤러용 오일주입장치
JP2004202354A (ja) 防水施工ロボット
JP2005040670A (ja) 塗布装置
JP2004230361A (ja) スリットダイコーターヘッド
JP4402854B2 (ja) 橋梁における橋桁等の対向端面の防水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KR102447856B1 (ko) 도로 포장용 골재 노출장치
KR101631593B1 (ko) 차열블록 제조장치
CN118082103A (zh) 一种喷涂装置及其喷涂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