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8992A - 윈치 - Google Patents

윈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8992A
KR20210058992A KR1020217013785A KR20217013785A KR20210058992A KR 20210058992 A KR20210058992 A KR 20210058992A KR 1020217013785 A KR1020217013785 A KR 1020217013785A KR 20217013785 A KR20217013785 A KR 20217013785A KR 20210058992 A KR20210058992 A KR 202100589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nk
winch
bearing
spool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3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벤자민 디. 블로써
Original Assignee
페러다인 아웃도어, 엘엘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페러다인 아웃도어, 엘엘시 filed Critical 페러다인 아웃도어, 엘엘시
Publication of KR20210058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89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04Driving gear manually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14Power transmissions between power sources and drums or barrels
    • B66D1/20Chain, belt, or friction drives, e.g. incorporating sheaves of fixed or variable rati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30Rope, cable, or chain drums or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30Rope, cable, or chain drums or barrels
    • B66D1/34Attachment of ropes or cables to drums or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66D3/12Chain or like hand-operated tackles with or without power transmission gearing between operating member and lifting rope, chain or cable
    • B66D3/14Chain or like hand-operated tackles with or without power transmission gearing between operating member and lifting rope, chain or cable lever ope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nting Of Bearings Or Others (AREA)
  • Sliding-Contact Bearings (AREA)
  • Shafts, Cranks, Connecting Bars, And Related Bearings (AREA)

Abstract

윈치의 비제한적인 예시적인 실시예는 베어링 하우징, 베어링 하우징에 부착된 외부 링을 갖는 일방향 베어링, 일방향 베어링의 내부 링에 부착된 원통형 섹션을 갖는 베어링 허브, 베어링 허브의 디스크에 인접한 제1 표면을 갖는 마찰 디스크, 마찰 디스크의 제2 표면에 인접한 제1 디스크를 갖는 크랭크 스풀, 크랭크 스풀을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도록 구성된 크랭크 하우징, 베어링 허브를 통해, 마찰 디스크를 통해 크랭크 스풀로 연장되는 크랭크 샤프트로서, 크랭크 샤프트의 제1 단부는 크랭크 스풀에 결합되는, 크랭크 샤프트, 및 크랭크 샤프트의 제2 단부에 결합되는 크랭크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윈치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8년 10월 9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743,203호의 이익을 주장하며, 상기 출원은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된다.
연방 정부 후원 연구 또는 개발에 관한 성명
해당 사항 없음.
기술 분야
본 개시내용은 윈치에 관한 것이다.
Vergara의 미국 특허 제10,295,299호는 액추에이터 조립체, 핸드 크랭크 조립체, 및 보우 스트링 후크 조립체를 포함하는 코킹 메커니즘을 개시한다. 액추에이터 조립체는 베어링 하우징, 베어링 케이지, 지지 액슬 및 베어링 요소를 갖는 클러치 조립체를 더 포함한다. 베어링 하우징은 복수의 내향 연장 환형 경사부를 갖는 내부 주변 표면에 의해 획정되며, 베어링 요소는 제1 방향으로 지지 액슬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경사부의 일부와 접촉하지만, 액추에이터 조립체가 로킹 구성에 있을 때 제2 방향으로 지지 액슬의 회전을 허용한다. 이는 코킹 작동 중에 제거 가능한 핸드 크랭크 조립체를 의도치 않게 또는 우발적으로 해제하는 경우와 같이 크로스보우의 보우 스트링의 임의의 예상치 못한 전진 동작에 대해 즉각적인 제동 작용을 제공한다.
Pulkrabek의 미국 특허 제10,260,835호는 드로우 스트링과 맞물린 트래블러를 해제 구성으로부터 드로잉 구성으로 이동시키고 트리거 조립체와 맞물리게 하기 위해 중앙 지지부에 피봇식으로 부착된 세장형 핸들을 사용하는 크로스보우용 코킹 메커니즘을 위한 시스템을 개시한다. 래치팅 메커니즘은 크로스보우가 코킹될 때 세장형 핸들이 개방 구성을 향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Yehle의 미국 특허 제10,175,023호는 작동 중에 실질적으로 조용한 크로스보우 상의 스트링 캐리어를 후퇴시키기 위한 코킹 시스템을 개시한다.
Yehle의 미국 특허 제10,126,088호는 중앙 레일에 부착된 제1 및 제2 가요성 가지부(limb)를 포함하는 크로스보우를 개시한다. 드로우 스트링은 해제 구성과 드로잉 구성 사이에서 병진하는 중앙 레일을 가로질러 연장된다. 캐치를 포함하는 스트링 캐리어는 드로우 스트링과 맞물리는 폐쇄 위치와 드로우 스트링을 해제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스트링 캐리어는 중앙 레일을 따라 활주되어 해제 구성에서 드로우 스트링과 맞물리고 드로우 스트링을 드로잉 구성에 위치 결정하는 후퇴 위치로 활주된다. 유지 메커니즘은 스트링 캐리어를 후퇴 위치에 유지하고 드로우 스트링을 드로잉 구성으로 유지한다. 트리거는 캐치를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시켜 스트링 캐리어가 후퇴 위치에 있을 때 크로스보우를 발사한다.
Yehle의 미국 특허 제10,082,359호는 크로스보우를 코킹하기 위한 토크 제어 시스템을 개시한다. 코킹 메커니즘은 중앙 레일에 장착되고 스트링 캐리어에 부착된 가요성 인장 부재에 결합되는 회전 부재를 포함한다. 코킹 핸들은 크로스보우를 코킹하기 위해 회전 부재와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토크 제어 메커니즘은 회전 부재에 인가되는 출력 토크를 제한하여, 스트링 캐리어가 후퇴 위치에 있는 후에 코킹 핸들을 회전해도 드로우 스트링이 드로잉 구성을 지나 이동하지 않게 된다.
Yehle의 미국 특허 제10,077,965호는 크로스보우용 코킹 시스템을 개시하는데, 스트링 캐리어는 해제 구성의 드로우 스트링과 함께 이동하는 동안 중앙 레일을 따라 드로우 스트링을 드로잉 구성에 위치 결정하는 후퇴 위치로 활주된다. 트리거는 스트링 캐리어가 후퇴 위치에 있을 때 크로스보우를 발사하기 위해 캐치를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위치 설정된다. 적어도 하나의 코킹 로프는 스트링 캐리어와 맞물려 스트링 캐리어 및 드로우 스트링을 드로잉 구성으로 후퇴시키도록 구성된다. 유지 메커니즘은 코킹 로프와는 독립적으로 스트링 캐리어를 후퇴 위치에 유지하고 드로우 스트링을 드로잉 구성으로 유지한다.
Pestrue의 미국 특허 제8,443,790호는 보우 스트링 코킹 윈치 장치를 갖는 크로스보우, 크로스보우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코킹 윈치 장치, 및 장치 작동 방법을 개시한다. 코킹 윈치 장치는 비원형 단면 형상을 갖는 돌출 정렬 부재를 포함하고, 정렬 부재는 스톡에 형성된 대응하는 형상의 구멍에 정렬 부재를 삽입함으로써 크로스보우 스톡의 맞대기 부분에 제거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코킹 윈치 장치는 크로스보우 보우 스트링에 직선적이고 균형적인 드로우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핸들을 회전시켜 보우 스트링을 뒤로 드로잉함으로써 보우 스트링을 쉽게 코킹하고, 크로스보우 트리거 메커니즘의 코킹 위치에 배치할 수 있게 한다.
Hull의 미국 특허 제6,116,580호는 윈치, 드럼 또는 릴의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 이동을 배제하도록 2개의 배향 중 하나로 위치 설정될 수 있는 단일 폴을 갖는 래칫 레버를 구비한 기계식 윈치를 개시한다. 각각의 배향에서, 래칫 레버는 또한 드럼을 위한 프리 휠링 위치에 위치 설정될 수 있다.
Kuzarov의 미국 특허 제3,986,588호는 2개의 마찰 슈 사이에 위치 설정되어 한 방향으로는 클러치로서 작용하고 다른 방향으로는 속도 조절기로서 작용하는 디스크형 래칫 판, 및 고정 브레이크를 포함하는 클러치-브레이크 조립체를 갖는 자동차 장착 윈치를 개시한다. 복수의 마찰 버튼은 대체로 원형 패턴으로 래칫 판을 통해 연장되며, 각각의 버튼은 양쪽 슈와 맞물린다. 각각의 버튼은 확장된 헤드 부분을 갖고, 버튼은 교번 패턴으로 반대 위치에 배치되어 2개의 슈 사이에서 래칫을 중앙에 배치하고 슈와 버튼의 적절한 마찰 맞물림을 제공한다.
윈치의 비제한적인 예시적인 실시예는 베어링 하우징, 베어링 하우징 내에 배치된 일방향 베어링, 베어링 허브, 마찰 디스크, 크랭크 스풀, 크랭크 스풀을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도록 구성된 크랭크 하우징, 크랭크 샤프트, 및 크랭크 샤프트의 나사식 제2 단부에 결합된 크랭크 핸들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일방향 베어링은 베어링 하우징에 부착된 외부 링, 및 내부 링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베어링 허브는 원통형 섹션과 디스크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원통형 섹션의 적어도 일부는 일방향 베어링의 내부 링 내에 배치되고 내부 링에 부착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마찰 디스크는 대향하는 제1 및 제2 표면을 포함하고, 제1 표면은 베어링 허브의 디스크에 인접해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크랭크 스풀은 대향하는 제1 및 제2 디스크를 포함하고, 제1 디스크는 마찰 디스크의 제2 표면에 인접해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크랭크 샤프트는 베어링 허브를 통해, 마찰 디스크를 통해 크랭크 스풀로 연장되고, 크랭크 샤프트의 제1 단부는 크랭크 스풀에 결합된다.
윈치의 또 다른 비제한적인 예시적인 실시예는 베어링 하우징, 베어링 하우징 내에 배치된 일방향 베어링, 베어링 허브, 크랭크 스풀, 크랭크 스풀을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도록 구성된 크랭크 하우징, 크랭크 샤프트, 및 크랭크 샤프트의 나사식 제2 단부에 결합된 나사식 크랭크 핸들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일방향 베어링은 베어링 하우징에 부착된 외부 링, 및 내부 링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베어링 허브는 원통형 섹션과 디스크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원통형 섹션의 적어도 일부는 일방향 베어링의 내부 링 내에 배치되고 내부 링에 부착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크랭크 스풀은 대향하는 제1 및 제2 디스크를 포함하고, 제1 디스크는 베어링 허브의 디스크에 인접해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크랭크 샤프트는 베어링 허브를 통해 크랭크 스풀로 연장되고, 크랭크 샤프트의 제1 단부는 크랭크 스풀에 결합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개시내용의 윈치의 비제한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의, 대향 측면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분해된 상태의 도 1의 윈치의 사시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대향 측면에서 본, 도 1의 윈치용 베어링 하우징의 비제한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3c 및 도 3d는 각각 도 3a 및 도 3b에 예시된 베어링 하우징의 측면도이며;
도 4a 및 도 4b는 대향 측면에서 본, 도 1의 윈치용 일방향 베어링의 비제한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4c는 도 4a 및 도 4b에 예시된 일방향 베어링의 측면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대향 측면에서 본, 도 1의 윈치용 베어링 허브의 비제한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5c 및 도 5d는 각각 도 5a 및 도 5b에 예시된 베어링 허브의 측면도이며;
도 6a는 미리 조립된 배열로 도 4a의 일방향 베어링 및 도 5a의 베어링 허브를 예시하고;
도 6b는 부분적으로 조립된 배열로 도 4a의 일방향 베어링 및 도 5a의 베어링 허브를 예시하며;
도 7a 및 도 7b는 대향 측면에서 본, 도 1의 윈치용 마찰 디스크의 비제한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8a 및 도 8b는 대향 측면에서 본, 도 1의 윈치용 크랭크 스풀의 비제한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 8c 및 도 8d는 각각 도 8a 및 도 8b에 예시된 크랭크 스풀의 측면도이고;
도 9a 및 도 9b는 대향 측면에서 본, 도 1의 윈치용 크랭크 하우징의 비제한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 9c 및 도 9d는 각각 도 9a 내지 도 9b에 예시된 크랭크 하우징의 측면도이고;
도 10은 도 1의 윈치용 크랭크 샤프트의 비제한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 11a는 조립된 상태로 일방향 베어링, 베어링 허브, 마찰 디스크, 크랭크 스풀, 크랭크 하우징, 및 크랭크 샤프트를 갖는 도 1의 윈치용 서브 조립체의 비제한적인 예시적인 실시예를 예시하고;
도 11b는 미리 조립된 배열로 도 11a의 서브 조립체를 예시하며;
도 12a 및 도 12b는 대향 측면에서 본, 도 1의 윈치용 크랭크 메커니즘의 비제한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12c 및 도 12d는 각각 미리 조립된 배열로 도 12a 및 도 12b의 크랭크 메커니즘을 예시하며;
도 13a 및 도 13b는 대향 측면에서 본, 도 1의 윈치용 핸들 장착부의 비제한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13c 및 도 13d는 각각 도 13a 및 도 13b에 예시된 핸들 장착부의 측면도이며;
도 13e는 도 13a 내지 도 13d에 예시된 핸들 장착부의 단부도이고;
도 14a는 도 1의 윈치용 크랭크 핸들의 비제한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 14b는 도 14a에 예시된 크랭크 핸들의 측면도이고;
도 15a 및 도 15b는 본 개시내용의 크랭크 스풀의 비제한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에 부착된 스트랩의 비제한적인 예시적인 실시예를 예시하는 비제한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하나 이상의 비제한적인 예시적인 실시예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되고, 동일한 번호는 동일하지만 반드시 동일하지는 않은 요소를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실시예는, 이들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이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명백해질 수 있는 대안적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점에서 단지 예시적인 것임을 분명히 이해해야 한다. 일부 특징이 특정 구성요소의 세부 사항을 예시하기 위해 과장되거나 최소화되었을 수 있는 수치는 반드시 실척으로 된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특정한 구조적 및/또는 기능적 특징과 세부 사항은 제한적인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를 교시하기 위한 기초로서 취급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예시되고 설명된 실시예에 대해 어떠한 방식, 형상 또는 형태로든 본 개시내용을 제한하려는 의도, 암시 또는 다른 것은 없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 것과 유사한 구조 및/또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임의의 및 모든 변형은 본 개시내용의 범위 및 경계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도 1a 및 도 1b는 대향 측면에서 본, 본 개시내용의 윈치(10)의 비제한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다양한 구성요소의 미리 조립된 배열을 예시하는 조립되지 않은 상태의 윈치(10)의 사시도이다.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윈치(10)는 베어링 하우징(12), 일방향 베어링(14), 베어링 허브(16), 마찰 디스크(18), 크랭크 스풀(20), 크랭크 하우징(22), 크랭크 샤프트(24), 및 크랭크 핸들(26)을 포함한다.
도 3a 및 도 3b는 대향 측면에서 본, 베어링 하우징(12)의 비제한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3c 및 도 3d는 각각 도 3a 및 도 3b에 대응하는 베어링 하우징(12)의 측면도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베어링 하우징(12)은 각각 제1 및 제2 개구(28, 30), 및 제1 개구(28)의 내부 표면(34)에 있는 키웨이(32)를 포함한다.
도 4a 및 도 4b는 대향 측면에서 본, 일방향 베어링(14)의 비제한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4c는 일방향 베어링(14)의 측면도이다. 일방향 베어링이 본 기술 분야에 널리 공지되어 있기 때문에, 베어링(14)의 구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고려된다. 간단히 말하면, 일방향 베어링(14)은 내부 링(36) 및 외부 링(38)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의되고, 링(36 및 38) 중 하나는 제1 방향으로 다른 하나에 대해 회전 가능하지만, 제1 방향에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다른 것에 대해 회전하는 것은 억제된다. 예를 들어, 내부 링(36)은 고정 외부 링(38)에 대해 제1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지만, 내부 링(36)은 고정 외부 링(38)에 대해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은 억제된다. 그리고, 외부 링(38)은 고정 내부 링(36)에 대해 제2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지만, 외부 링(38)은 고정 내부 링(36)에 대해 제1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은 억제된다.
일방향 베어링(14)의 일부 실시예에서, 내부 링(36)의 내부 표면(40)은 키웨이(42)를 포함하고, 외부 링(38)의 외부 표면(44)은 키 시트(46)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베어링 하우징(12)은 일방향 베어링(14)을 수용하고 일방향 베어링과 키 조인트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개구(28)는 일방향 베어링(14)을 수용하고 일방향 베어링과 키 조인트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아마도 도 6a 및 도 6b에 가장 잘 예시된 바와 같이, 일방향 베어링(14)은 제1 개구(28) 내에 배치되고 외부 링(38)의 외부 표면(44)은 제1 개구(28)의 내부 표면(32)에 맞닿거나 인접하여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키웨이(32) 및 키 시트(46)는 키 조인트를 형성하기 위해 키(48)를 이용하여 서로 정렬되고 결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체결구(50)는 키 조인트의 무결성을 보장하기 위해, 즉 이탈하지 않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키(48)를 고정하도록 제공된다.
베어링 하우징(12)과 일방향 베어링(14)이 전술한 바와 같이 조립될 때, 일방향 베어링(14)의 내부 링(36)은 제1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되고 일방향 베어링(14)의 외부 링(38)은 베어링 하우징(12)에 의해 고정 상태로 유지되며, 일방향 베어링(14)의 내부 링(36)은 제1 방향에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의 회전이 억제되고 일방향 베어링(14)의 외부 링(38)은 베어링 하우징(12)에 의해 고정 상태로 유지된다는 것이 쉽게 명백하여야 한다.
도 5a 및 도 5b는 대향 측면에서 본, 베어링 허브(16)의 비제한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5c 및 도 5d는 각각 도 5a 및 도 5b에 대응하는 베어링 허브(16)의 측면도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베어링 허브는 원통형 섹션(52), 디스크(54), 외부 표면(56), 및 원통형 섹션(52)의 외부 표면(60)에 있는 키 시트(58)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아마도 도 6a 및 도 6b에 가장 잘 예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섹션(52)의 적어도 일부는 일방향 베어링(14)의 내부 링(36) 내에 배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원통형 섹션(52)은 내부 링(36)을 통해 연장되고, 디스크(54)로부터 가장 먼 원통형 섹션(52)의 적어도 일부는 내부 링(36)으로부터 돌출되거나 연장된다. 달리 말하면, 원통형 섹션(52)의 적어도 일부는, 원통형 섹션(52)이 내부 링(36)으로 들어가는 측면에 반대되는 측면에서 내부 링(36)으로부터 돌출되거나 연장된다. 외부 표면(60)의 키 시트(58)와 내부 링(36)의 내부 표면(40)에 있는 키웨이(42)는 키(62)로 서로 정렬되고 결합되어 키 조인트를 형성한다.
비제한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베어링 하우징(12)의 제2 개구(30)는 베어링 허브(16)의 디스크(54)의 적어도 일부를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거나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도 7a 및 도 7b는 대향 측면에서 본, 마찰 디스크(18)의 비제한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마찰 디스크(18)는 각각 대향하는 제1 및 제2 표면(64 및 66)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마찰 디스크(18)의 제1 표면(64)은 디스크(54)의 외부 표면(56)에 맞닿거나 인접하여 있다.
비제한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베어링 하우징(12)의 제2 개구(30)는 베어링 허브(16)의 디스크(54)의 전체와 마찰 디스크(18)의 적어도 일부 모두를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거나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도 8a 및 도 8b는 대향 측면에서 본, 크랭크 스풀(20)의 비제한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8c 및 도 8d는 각각 도 8a 및 도 8b에 대응하는 크랭크 스풀(20)의 측면도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크랭크 스풀(20)은 각각 대향하는 제1 및 제2 디스크(68 및 70), 및 디스크(68 및 70) 사이에서 연장되는 원통형 섹션(72)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제1 디스크(68)의 외부 표면(74)은 마찰 디스크(18)의 제2 표면(66)에 맞닿거나 인접하여 있다.
도 9a 및 도 9b는 대향 측면에서 본, 크랭크 하우징(22)의 비제한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9c 및 도 9d는 각각 도 9a 및 도 9b에 대응하는 크랭크 하우징(22)의 측면도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크랭크 하우징(22)은 각각 대향하는 제1 및 제2 개구(76, 78)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획정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크랭크 하우징(22)은 크랭크 스풀(20)을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크랭크 스풀(20)의 제1 및 제2 디스크(68, 70)는 각각 크랭크 하우징(22)의 제1 및 제2 개구(76, 78)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거나 유지된다.
비제한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윈치(10)는 크랭크 스풀(20)의 제1 디스크(68)의 외부 표면(82)과 크랭크 하우징(22)의 제1 개구(76)의 내부 표면(84) 사이에 배치된 제1 크랭크 베어링(80)을 포함하고; 윈치(10)는 크랭크 스풀(20)의 제2 디스크(70)의 외부 표면(88)과 크랭크 하우징(22)의 제2 개구(78)의 내부 표면(90) 사이에 배치된 제2 크랭크 베어링(86)을 포함한다.
크랭크 스풀(20)과 크랭크 하우징(22)이 전술한 바와 같이 조립될 때, 크랭크 스풀(20)은 크랭크 하우징(22)이 고정 상태로 유지된 경우 어느 방향으로든 방해받지 않고 회전할 수 있다는 것이 쉽게 명백하여야 한다.
도 10은 각각 제1 및 제2 단부 또는 섹션(92 및 94)을 갖는 크랭크 샤프트(24)의 비제한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크랭크 샤프트(24) 및 크랭크 스풀(20)은, 하나, 즉 크랭크 스풀(20) 또는 크랭크 샤프트(24)의 회전이 다른 하나도 또한 회전하게 유도하도록 서로 결합 또는 부착 또는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크랭크 스풀(20)은 그 원통형 섹션(72)에 연결 지점(96A 및 96B)을 포함하고, 크랭크 샤프트(24)는 그 제1 단부(92)에 연결 지점(98A 및 98B)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크랭크 스풀의 원통형 섹션(72)은 크랭크 샤프트(24)의 제1 단부(92)의 적어도 일부를 수납하거나 수용하도록 구성된 통로 또는 개구(100)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연결 지점(96A 및 96B)은 크랭크 스풀(20)의 원통형 섹션(72)의 벽(102)을 통해 연장된다. 달리 말하면, 연결 지점(96A 및 96B)은 외부 표면(104)으로부터 크랭크 스풀(20)의 원통형 섹션(72)의 통로(100)로 연장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크랭크 스풀(20)의 원통형 섹션(72)은 통로(100)를 통해 다웰 또는 핀을 연장하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연결 지점(96A 및 96B) 바로 반대쪽과 같은 추가 연결 지점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크랭크 스풀(20)은 단지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연결들 지점(96)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연결 지점(98A 및 98B)은 크랭크 샤프트(24)를 통해 부분적으로 연장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연결 지점(98A 및 98B)은 크랭크 샤프트(24)를 통해 연장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크랭크 샤프트(24)는 단지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연결들 지점(98)을 포함한다.
비제한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크랭크 스풀(20) 및 크랭크 샤프트(24)는 크랭크 샤프트(24)의 제1 단부(92)의 적어도 일부를 크랭크 스풀(20)의 통로(100) 내에 또는 통로를 통해 배치 또는 위치시키거나 연장시킴으로써 서로 결합되거나 부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연결 지점(96 및 98)은 서로 정렬되고, 연결 지점(96 및 98)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또는 적어도 일부로 연장되는 커넥터(106)는 크랭크 스풀(20)과 크랭크 샤프트(24)를 서로 결합시키다. 커넥터(106)의 비제한적인 예시적인 실시예가 커넥터(106A 및 106B)로서 도 2에 예시되어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커넥터(106)의 수는 연결 지점(96 및 98)의 수에 대응한다.
크랭크 스풀(20)과 크랭크 샤프트(24)를 함께 결합하는 전술한 방식은 요구 사항 또는 제한으로 고려되어서는 안된다.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공지되었거나 공지되게 되는 크랭크 샤프트(24)의 제1 단부(92) 및 크랭크 스풀(20)의 통로(100)의 모든 대안적인 구성은 본 개시내용의 범위 및 경계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공지되었거나 공지되게 되는, 크랭크 샤프트(24)의 제1 단부(92) 및 크랭크 스풀(20)의 통로(100)를 서로 결합 또는 부착하는 모든 대안적인 방식은 본 개시내용의 범위 및 경계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비제한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크랭크 스풀(20) 및 크랭크 샤프트(24)는 단일 구성요소로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비제한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크랭크 스풀(20)과 크랭크 샤프트(24)를 서로 결합 또는 부착하기 위해 키 조인트가 사용된다.
하나 이상의 도면이 예시할 수 있고 및/또는 본 개시내용의 설명이 하나 이상의 특정 구성 및/또는 기하형상을 암시할 수 있지만, 이는 제한 또는 요구 사항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이 명확하게 이해되어야 한다.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공지되었거나 공지되게 되는 바와 같이, 크랭크 스풀(20)과 크랭크 샤프트(24)를 서로 결합하거나 부착하기 위한 임의의 하나 이상의 수단은 본 개시내용의 범위 및 경계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커넥터(106)는 특히 다웰, 핀, 나사, 너트 및 볼트, 키 조인트, 슬롯 조인트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연결 지점(96 및/또는 98) 중 하나 이상은 상보적인 구성 및/또는 기하형상을 갖는다. 이와 같이, 커넥터(106)는 하나 또는 둘 모두의 연결 지점(96 및 98)에 대응하거나 보완하는 구성 및/또는 기하형상을 가질 것이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서, 연결 지점(96A)은 원형일 수 있고 연결 지점(98A)은 다각형일 수 있으며, 커넥터(106A)는 원형 섹션과 다각형 섹션 모두를 가질 것이며, 커넥터(106A)의 원형 섹션은 연결 지점(96A)의 원형 형상을 보완하거나 이에 대응할 것이고 커넥터(106A)의 다각형 섹션은 연결 지점(96B)의 다각형 형상을 보완하거나 이에 대응할 것이다.
비제한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크랭크 샤프트(24)의 제2 단부 또는 섹션(94)은 나사식이다. 그러나,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이는 요구 사항이나 제한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도 11a는 반조립된 구성으로 윈치(10)의 서브 조립체(112)를 예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1b는 도 11a에 도시된 윈치(10)의 일부의 미리 조립된 배열을 예시한다. 도 11a 및 도 11b에 예시된 구성요소의 조립은 위에서 부분적으로 설명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단순하고 간단하다. 비제한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베어링 하우징(12) 및 일방향 베어링(14)은 전술한 바와 같이 조립된다. 일방향 베어링(14) 및 베어링 허브(16)는 전술한 바와 같이 조립되어 베어링 하우징(12), 일방향 베어링(14), 및 베어링 허브(16)의 서브 조립체(112)를 형성한다. 마찰 디스크(18)의 제1 표면(64)은 전술한 바와 같이 베어링 허브(16)의 디스크(54)의 외부 표면(56)에 인접하거나 맞닿게 배치되어 베어링 하우징(12), 일방향 베어링(14), 베어링 허브(16), 및 마찰 디스크(18)의 서브 조립체(112)를 형성한다. 크랭크 스풀(20)의 제1 디스크(68)의 외부 표면(74)은 전술한 바와 같이 마찰 디스크(18)의 제2 표면(66)에 인접하거나 맞닿게 배치되어 베어링 하우징(12), 일방향 베어링(14), 베어링 허브(16), 마찰 디스크(18), 및 크랭크 스풀(20)의 서브 조립체(112)를 형성한다. 제1 및 제2 크랭크 베어링(80 및 86)은 전술한 바와 같이 크랭크 스풀(20)의 각각의 제1 및 제2 디스크(68 및 70) 상에 또는 그 둘레에 배치되거나 위치되어 베어링 하우징(12), 일방향 베어링(14), 베어링 허브(16), 마찰 디스크(18), 크랭크 스풀(20), 및 제1 및 제2 크랭크 베어링(80, 86)의 서브 조립체(112)를 형성한다. 제1 및 제2 디스크(68, 70) 둘레에 제1 및 제2 크랭크 베어링(80, 86)을 각각 갖는 크랭크 스풀(20)과 크랭크 하우징(22)은 전술한 바와 같이 조립되어 베어링 하우징(12), 일방향 베어링(14), 베어링 허브(16), 마찰 디스크(18), 크랭크 스풀(20), 제1 및 제2 크랭크 베어링(80 및 86), 및 크랭크 하우징(22)의 서브 조립체(112)를 형성한다.
제1 단부(92)에서 시작하는 크랭크 샤프트(24)는 베어링 허브(16), 마찰 디스크(18)를 통해 크랭크 스풀(20)의 원통형 섹션(72)으로 연장된다. 크랭크 스풀(20) 및 크랭크 샤프트(24)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서로 결합되거나 부착되어 베어링 하우징(12), 일방향 베어링(14), 베어링 허브(16), 마찰 디스크(18), 크랭크 스풀(20), 크랭크 하우징(22), 및 크랭크 샤프트(24)의 서브 조립체(112)를 형성한다. 베어링 하우징(12) 및 크랭크 하우징(22)은 서로 결합되거나 부착되어 서브 조립체(112)가 온전하게 유지되는 것을, 즉 분해되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
도 11a에 예시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적어도 베어링 하우징(12), 일방향 베어링(14), 베어링 허브(16), 마찰 디스크(18), 크랭크 스풀(20), 제1 및 제2 크랭크 베어링(80 및 86), 크랭크 하우징(22), 및 크랭크 샤프트(24)로 구성되는 서브 조립체(112)는 완전히 조립된 윈치(10)의 상당한 부분이다. 달리 말하면, 도 11a에 예시되고 전술한 바와 같은 서브 조립체(112)는 본질적으로 크랭크 샤프트(24)를 회전시키는 수단, 예를 들어 크랭크 핸들이 없는 윈치(10)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 11a에 예시되고 전술한 바와 같은 서브 조립체(112)는 본 개시내용의 비제한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작동 또는 기능할 준비가 되어 있다. 예를 들어, 크랭크 샤프트(24)를 제1 방향으로, 예를 들어 수동으로 회전시키면 크랭크 스풀(20)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것이다. 그리고, 일방향 베어링(14)은 크랭크 스풀(20) 및 크랭크 샤프트(24)가 제1 방향에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억제할 것이다.
윈치 서브 조립체(112) 또는 윈치(10)에 대한 전술한 구성요소 및/또는 도 11a 및 도 11b에 예시된 윈치 서브 조립체(112)를 제조하기 위해 이들 구성요소가 조립되거나 결합되거나 부착되는 방식은 제한 또는 요구 사항으로 고려되어서는 안된다.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공지되었거나 공지되게 되는 윈치 서브 조립체(112) 또는 윈치(10)에 대한 모든 대안적인 구성요소는 본 개시내용의 범위 및 경계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또한,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공지되었거나 공지되게 되는 윈치 서브 조립체(112) 또는 윈치(10)를 생성하는 전술한 구성요소 및/또는 대안적인 구성요소를 조립하는 모든 대안적인 방식은 본 개시내용의 범위 및 경계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도 12a 및 도 12b는 대향 측면에서 본, 윈치(10)용 크랭크 메커니즘(108)의 비제한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12c 및 도 12d는 각각 미리 조립된 배열로 크랭크 메커니즘(108)을 예시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크랭크 메커니즘은 핸들 장착부(110), 크랭크 핸들(26), 핸들 로킹/해제 레버(114), 및 핸드 그립(116)을 포함한다.
도 13a 및 도 13b는 대향 측면에서 본, 핸들 장착부(110)의 비제한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13c 및 도 13d는 각각 도 13a 및 도 13b에 대응하는 핸들 장착부(110)의 측면도이며; 도 13e는 도 13a 내지 도 13d에 예시된 핸들 장착부(110)의 단부도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각각 크랭크 핸들(26)의 비제한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핸들 장착부(110)는 부착 섹션(118) 및 채널(120)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부착 섹션(118)은 핸들 장착부(110) 및 크랭크 샤프트(24)를 서로 결합 또는 부착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에서, 부착 섹션(118)은 핸들 장착부(110) 및 크랭크 샤프트(24)의 나사식 제2 단부 또는 섹션(94)을 부착 또는 결합하기 위한 나사식 개구(122)를 포함한다. 그러나, 나사식 결합은 요구 사항이나 제한으로 고려되어서는 안된다.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공지되었거나 공지되게 되는, 크랭크 샤프트(24) 및 핸들 장착부(110)를 서로 부착하거나 결합하는 대안적인 구성은 본 개시내용의 범위 및 경계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크랭크 핸들(26)은 각각 제1 및 제2 단부(124 및 126) 사이에서 연장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제1 단부(124)의 적어도 일부 및 핸들 장착부(110)의 채널(120)의 적어도 일부는 서로 결합되거나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서, 채널(120)은 크랭크 핸들(26)의 제1 단부(124)를 활주식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핸들 잠금/해제 레버(114)는 엄지(또는 손가락) 패드(128) 및 후크 또는 유사한 구조(130)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크랭크 핸들(26) 및 핸들 잠금/해제 레버(114)는 크랭크 핸들(26)의 제1 단부(124)에 근접하여 서로 결합 또는 부착하도록 구성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크랭크 핸들(26) 및 핸들 잠금/해제 레버(114)는 다웰 또는 핀(132)으로 서로 피봇식으로 결합되거나 부착된다. 그러나, 이는 요구 사항이나 제한으로 고려되어서는 안된다.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공지되었거나 공지되게 되는, 크랭크 핸들(26)과 핸들 잠금/해제 레버(114)를 서로 피봇식으로 결합하는 임의의 메커니즘은 본 개시내용의 범위 및 경계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스프링과 같은 편향 요소(134)는 크랭크 핸들(26) 및 엄지 패드(128)를 크랭크 핸들(26)의 제1 측면(136)에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피봇식으로 편향시킨다.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공지되었거나 공지되게 되는 임의의 형태 또는 유형의 편향 요소는 본 개시내용의 범위 및 경계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는 것이 명확하게 이해되어야 한다.
비제한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크랭크 핸들(26) 및 핸들 잠금/해제 레버(114)는, 이들이 피봇식으로 결합되고 크랭크 핸들(26)과 엄지 패드(128)가 크랭크 핸들(26)의 제1 측면(136)에서 서로 멀어지게 편향될 때, 후크(130)가 크랭크 핸들(26)의 제1 단부(124)에 근접하여 크랭크 핸들(26)의 제2 측면(138)을 넘어 연장하거나 그로부터 돌출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핸들 장착부(110)는 채널(120)의 벽(142)에 개구(140)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개구(140)는 후크(130)의 적어도 일부를 수납하거나 수용하거나 래칭하거나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비제한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후크(130)의 돌출부를 갖는 크랭크 핸들(26)의 제1 단부(124)는 개구(144)를 통해 채널(120)로 삽입되고, 채널(120)로 활주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핸들 잠금/해제 레버(114)는 채널(120)의 벽(142)으로부터 멀어지게 후크(130)의 돌출된 부분을 피봇시키고 크랭크 핸들(26)의 제1 측면(136)을 향해 엄지 패드(128)를 피봇시킨다. 크랭크 핸들(26)이 채널(120)로 계속 활주함에 따라, 그리고 후크(130)의 후퇴된 부분이 벽(142)의 개구(140)에 도달할 때, 편향 요소(134)는 핸들(26)의 제1 측면(136)으로부터 멀어지게 엄지 패드(128)를 변위시켜, 후크(130)의 적어도 일부가 크랭크 핸들(26)의 제2 측면(138)으로부터 돌출되거나 그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되고 채널(120)의 벽(142) 상의 개구(140)와 래치된다. 그 후, 편향 요소(134)가 엄지 패드(128)를 핸들(26)의 제1 측면(136)으로부터 멀어지게 변위된 상태로 유지하는 동안, 후크(130)와 개구(140) 사이의 결합은 핸들 장착부(110)와 크랭크 핸들(26)을 서로 결합하거나 부착시켜, 그 분리를 억제한다. 핸들 장착부(110)와 크랭크 핸들(26)을 서로 분리하기 위해, 즉 핸들 장착부(110)로부터 크랭크 핸들(26)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자는 크랭크 핸들(26)의 제1 측면(136)을 향해 엄지 패드(128)를 눌러, 차례로 벽(142)의 개구(140) 밖으로 후크(130)를 빼내고, 크랭크 핸들(26)의 제1 단부(124)를 채널(120) 밖으로 활주시킨다.
비제한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채널(120)은 양 단부에서 개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핸들 장착부(110) 및 크랭크 핸들(26)은 크랭크 핸들(26)의 제1 단부(136)를 어느 한 개구로부터 채널(120)로 활주시킴으로써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핸드 그립(116)은 그 제2 단부(138)에 근접하여 크랭크 핸들(26)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크랭크 메커니즘(108)에 대한 전술한 구성요소 및/또는 도 12a 및 도 12b에 예시된 크랭크 메커니즘(108)을 제조하기 위해 이들이 조립되거나 결합되거나 부착되는 방식은 제한 및/또는 요구 사항으로 고려되어서는 안된다.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공지되었거나 공지되게 되는 크랭크 메커니즘(108)에 대한 모든 대안적인 구성요소는 본 개시내용의 범위 및 경계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또한,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공지되었거나 공지되게 되는 크랭크 메커니즘(108)을 생성하는 전술한 구성요소 및/또는 대안적인 구성요소를 조립하는 모든 대안적인 방식은 본 개시내용의 범위 및 경계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전술한 관점에서, 윈치(10)는 도 11a에 예시된 윈치 서브 조립체(112)와 도 12a 및 도 12b에 예시된 크랭크 메커니즘(108)을 함께 조립하거나 결합하거나 부착하는 것에 기인한다는 점이 쉽게 명백하여야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윈치(10)는 도 11a에 예시된 윈치 서브 조립체(112)로부터 돌출되거나 연장되는 크랭크 샤프트(24)의 제2 단부(94)와 도 12a 및 도 12b에 예시된 크랭크 메커니즘(108)의 개구(122)를 함께 조립하거나 결합하거나 부착하는 것에 기인한다.
윈치(10)에 대한 전술한 구성요소 및/또는 윈치(10)를 제조하기 위해 이들이 조립되거나 결합되거나 부착되는 방식은 제한 또는 요구 사항으로 고려되어서는 안된다.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공지되었거나 공지되게 되는 윈치(10)에 대한 모든 대안적인 구성요소는 본 개시내용의 범위 및 경계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또한,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공지되었거나 공지되게 되는 윈치(10)를 생성하는 전술한 구성요소 및/또는 대안적인 구성요소를 조립하는 모든 대안적인 방식은 본 개시내용의 범위 및 경계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비제한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핸들 장착부(110) 및 크랭크 핸들(26)은 단일 구성요소로서 구성된다. 다른 비제한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크랭크 샤프트(24)의 제2 단부(94) 및 크랭크 핸들(26)의 제1 단부(124)는 서로 결합하도록 구성되며, 이 경우 핸들 장착부(110)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크랭크 샤프트(24)의 제2 단부(94) 및 크랭크 핸들(26)의 제1 단부(124)는 상보적인 나사부를 갖는다. 그러나, 이는 요구 사항이나 제한으로 고려되어서는 안된다.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공지되었거나 공지되게 되는 크랭크 샤프트(24) 및 크랭크 핸들(26)을 함께 부착하거나 결합하는 모든 대안적인 방식은 본 개시내용의 범위 및 경계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예를 들어, 결합은, 특히 키 조인트 또는 슬롯 조인트일 수 있다.
크랭크 샤프트(24)가 실질적으로 원형 또는 원통형으로 예시되어 있지만, 이는 요구 사항 또는 제한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공지되었거나 공지되게 되는 모든 대안적인 형상, 설계 등은 본 개시내용의 범위 및 경계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예를 들어, 비제한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크랭크 샤프트(24)는 다각형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고, 따라서 크랭크 샤프트(24)가 연장되는 구성요소 또는 통로는 유사하게 구성되어 크랭크 샤프트(24)가 회전될 때 "미끄러지지" 않게 된다.
비제한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윈치(10)는 부하를 당기고 해제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단부(148 및 150)를 각각 갖는 스트랩(146)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이 그러한 목적을 위해 제공된다. 스트랩(146)의 제2 단부(150)는 부하를 부착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스트랩(146)의 제1 단부(148)는, 크랭크 스풀(20)이 회전될 때 스트랩(146)이 크랭크 스풀(20)의 원통형 섹션(72)에 권취되거나 풀리도록 크랭크 스풀(20)에 부착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스트랩(146)의 제1 단부(148)는 크랭크 스풀(20)의 원통형 섹션(72)에 부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스트랩 핀(152)은 스트랩(146)의 제1 단부(148)의 개구를 통해 연장되고, 스트랩 핀(152)의 대향 단부는 크랭크 스풀(20)의 제1 및 제2 디스크(68 및 70)에 부착된다.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공지되었거나 공지되게 되는 크랭크 스풀(20)에 스트랩(146)을 부착하는 모든 대안적인 구성 및 방식은 본 개시내용의 범위 및 경계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다음은 윈치(10) 작동의 비제한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이다. 스트랩(146)의 제2 단부(150)에 부하가 부착된 상태에서, 핸드 그립(116)은 크랭크 메커니즘(108)을 제1 방향으로 회전시켜 부하를 당기는 데 사용된다. 크랭크 샤프트(24)와 크랭크 메커니즘(108)이 나사식이기 때문에, 회전 크랭크 메커니즘(108)은, 크랭크 조립체(108)의 핸들 장착부(110)의 적어도 일부가 일방향 베어링(14)의 내부 링(36)으로부터 돌출되거나 내부 링 밖으로 연장되는 베어링 허브(16)의 원통형 섹션(52)의 일부에 맞닿거나 인접할 때까지 윈치 서브-조립체(112)를 향해 선형으로 변위된다. 크랭크 메커니즘(108)의 계속적인 회전은 다음을 생성한다: (i) 베어링 허브(12)의 디스크(54) 및 마찰 디스크(18)의 제1 표면(64) 상에 작용하는 제1 압축력; 및 (ii) 마찰 디스크(18)의 제2 표면(66) 및 크랭크 스풀(20)의 제1 디스크(68)의 외부 표면(74) 상에 작용하는 제2 압축력.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압축력은 베어링 허브(16)와 마찰 디스크(18) 사이에 실질적으로 마찰없는 결합을 생성하고, 제2 압축력은 마찰 디스크(18)와 크랭크 스풀(20) 사이에 실질적으로 마찰없는 결합을 생성한다. 따라서, 이제 결합된 압축력으로 지칭되는 제1 및 제2 압축력의 결합은 베어링 허브(16)와 크랭크 스풀(20) 사이에 실질적으로 마찰없는 결합을 생성한다. 크랭크 메커니즘(108)을 제1 방향으로 계속 회전시키면 결합된 압축력이 증가되고, 스트랩(146)은 제1 방향으로 크랭크 스풀(20)에 권취되거나 계속 권취되어, 스트랩(146)의 임의의 처짐을 최소화하거나 제거하며, 부하를 당기고, 스트랩(146)은 인장을 받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크랭크 메커니즘(108)의 핸들 장착부(110)의 적어도 일부는 일방향 베어링(14)의 내부 링(36)으로부터 돌출되거나 내부 링 밖으로 연장되는 베어링 허브(16)의 원통형 섹션(52)의 일부에 맞닿거나 인접하여 있다. 크랭크 메커니즘(108)의 제1 방향으로의 회전은 일방향 베어링(14)의 내부 링(36)으로부터 돌출되거나 내부 링 밖으로 연장되는 베어링 허브(16)의 원통형 섹션(52)에 압축력을 가하거나 유도할 것이다. 원통형 섹션(52)의 돌출부에 작용하는 이 압축력은 전술한 결합된 압축력에 기여하는 힘 중 적어도 하나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이제, 사용자가 크랭크 메커니즘(108)을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중지시키고 핸드 그립(116)을 해제하거나 손에서 "놓으면", 결합된 압축력은 소산되지 않고 베어링 허브(16)와 크랭크 스풀(20) 사이의 실질적으로 마찰없는 결합을 계속 유지하며, 스트랩(146)은 그 제2 단부에 부착된 부하로 인해 인장 하에 유지된다. 그러나, 크랭크 스풀(20)은 제1 방향에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으므로, 스트랩(146)이 크랭크 스풀(20)로부터 풀리지 않으며 부하는 핸드 그립(116)이 해제되었을 때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치에 유지된다. 제2 방향으로의 크랭크 스풀(20)의 회전 및 스트랩(146)의 풀림은 일방향 베어링(14)에 의해, 보다 구체적으로 일방향 베어링(14)의 내부 링(36)에 의해 억제된다. 그리고, 부하는 핸드 그립(116)이 해제되었을 때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치에 계속 유지된다.
이제, 크랭크 스풀(20)이 제2 방향으로 회전하고 그로부터 스트랩(146)을 풀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용자는 결합된 압축력이 감소하기 시작하는 제2 방향으로 크랭크 메커니즘(108)을 회전시킨다. 결합된 압축력의 감소는 베어링 허브(16)와 마찰 디스크(16) 사이 및/또는 마찰 디스크(18)와 크랭크 스풀(20) 사이에서 적어도 약간의 미끄러짐을 유도하거나 가능하게 하며, 이에 의해 크랭크 스풀(20)이 제2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회전할 수 있고 스트랩(146)의 적어도 일부가 크랭크 스풀(20)로부터 풀릴 수 있다. 결합된 압축력은 스트랩(146)이 그 제2 단부(150)에서의 부하로 인해 인장 하에 있는 동안 절대 완전히 소산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스트랩(146)이 그 제2(150)의 부하로 인해 인장 하에 유지되는 동안 사용자가 핸드 그립(116)을 해제하거나 제2 방향으로 크랭크 메커니즘(108)가 회전하는 것을 중지시키면, 결합된 압축력은 베어링 허브(16)와 크랭크 스풀(20) 사이의 실질적으로 마찰없는 결합을 계속 유지하고, 일방향 베어링(14), 보다 구체적으로 일방향 베어링(14)의 내부 링(36)은 크랭크 스풀(20)이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억제하여 스트랩(146)이 크랭크 스풀(20)로부터 풀릴 수 없다. 비제한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결합된 압축력의 부분적 감소로 인해 미끄러짐이 있는 경우, 스트랩(146)의 인장은 크랭크 스풀(20), 및 크랭크 샤프트(24)를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키려고 시도할 것이다. 그러나, 제2 방향으로의 임의의 그러한 회전은, 크랭크 샤프트(24)의 제2 단부(94)가 일방향 베어링(14)의 내부 링(36)으로부터 돌출되거나 내부 링 밖으로 연장되는 베어링 허브(16)의 원통형 섹션(52)에 맞닿거나 인접한 핸들 장착부(110)에 "나사 결합"되게 할 것이다. 이어서, 이로 인해, 결합된 압축력이 베어링 허브(16)와 크랭크 스풀(20) 사이의 실질적으로 마찰없는 결합을 유지하고, 일방향 베어링(14)이 제2 방향으로 크랭크 스풀(20)의 추가 회전 및 스트랩(146)의 풀림을 억제하기 위해 맞물리거나 "자체를 확고히 하거나" 또는 "킥-인(kick-in)"하는 것이 보장된다.
스트랩(146)이 스트랩(146)의 제2 단부(150)에 부하가 없을 때와 같이 인장 하에 있지 않은 경우, 여전히 크랭크 스풀(20) 상에 권취된 스트랩(146)의 임의의 부분은, 일방향 베어링(14)이 크랭크 스풀(20)이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억제하기 때문에 단순히 스트랩(146)을 당겨서 풀릴 수 없다. 달리 말하면, 일방향 베어링(14), 보다 구체적으로 일방향 베어링(14)의 내부 링(36)은 크랭크 스풀(20)로부터 스트랩(146)이 "프리 휠링(free wheeling)"하는 것을 억제할 것이다. 비제한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윈치(10)는 크랭크 스풀(20)의 제2 디스크(70)의 외부 표면(88) 상에 하나 이상의 노브 또는 앵커(154A 및 154B)를 포함한다. 스트랩(146)이 크랭크 스풀(20)로부터 제거될, 즉 "프리 휠링될" 필요가 있을 때, 사용자는 한 손으로 하나 이상의 노브(154)를 잡고 유지하여 크랭크 메커니즘(108)을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크랭크 메커니즘(108)을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하나 이상의 노브(154)를 잡고 유지하는 것은, 크랭크 스풀(20), 및 크랭크 샤프트(24)가 또한 회전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하며, 크랭크 메커니즘(108)이 크랭크 샤프트(24)의 제2 단부(94)로부터 분리, 예를 들어 나사 결합 해제될 수 있게 한다. 크랭크 메커니즘(108)이 풀릴 때, 일방향 베어링(14)의 내부 링(36)으로부터 돌출된 베어링 허브(16)의 원통형 섹션(52)에 맞닿는 크랭크 메커니즘(108)의 핸들 장착부(110)의 일부가 서로 분리된다. 따라서, 일방향 베어링(14)의 내부 링(36)으로부터 돌출되는 베어링 허브(16)의 원통형 섹션(52)의 부분에 작용하는 압축력은 실질적으로 감소 및/또는 소산된다. 결과적으로, 결합된 압축력은 또한 실질적으로 감소 및/또는 소산되고, 크랭크 스풀(20)은 일방향 베어링(14)으로부터의 방해 또는 간섭 없이 제2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다. 사용자는 단순히 스트랩(146)을 잡고 크랭크 스풀(20)로부터 "프리 휠링"할 수 있다.
윈치(10)를 사용하기 위한 다수의 사례 또는 용례가 있을 수 있지만, 공지된 용례 중 하나는 크로스보우를 코킹하는 것이다. 비제한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윈치(10)는 크로스보우 상에 장착되고 스트랩(146)의 제2 단부(150)는 코킹되거나 드로잉되지 않은 보우 스트링에 부착된다. 크랭크 메커니즘(108)이 제1 방향으로 회전되어 스트랩(146)이 크랭크 스풀(20) 상에 권취되고 코킹을 위해 크로스보우의 맞대기를 향해 보우 스트링을 당기거나 드로잉하게 한다. 보우 스트링이 완전히 드로잉되면, 크로스보우의 트리거 메커니즘에 의해 부착되고 그에 의해 유지된다. 사용자는 스트랩(146)의 제2 단부(150)를 코킹된 보우 스트링으로부터 분리하고, 크로스보우는 발사할 준비가 된다. 이 특정 용례에서, 그리고 본 기술 분야에 공지된 크로스보우 윈치와 현저히 대조적으로, 사용자는 언제든지 크랭크 메커니즘(108)를 회전하는 것 및 보우 스트링을 당기는 것을 중지시킬 수 있으며, 부분적으로 드로잉된 보우 스트링은 사용자가 크랭크 메커니즘(108)의 회전을 중지했을 때의 위치에 유지되게 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비제한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마찰 디스크(18)는 베어링 허브(16)와 크랭크 스풀(20) 사이에 실질적으로 마찰없는 인터페이스를 위해 구성된다. 특히, 마찰 디스크(18)는 베어링 허브(16)의 디스크(54)의 외부 표면(56)과 마찰 디스크(18)의 제1 표면(64) 사이에 실질적으로 마찰없는 인터페이스를 위해; 그리고 또한 마찰 디스크(18)의 제2 표면(66)과 크랭크 스풀(20)의 제1 디스크(68)의 외부 표면(74) 사이의 실질적으로 마찰없는 인터페이스를 위해 구성된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에서, 크랭크 스풀(20)의 제1 방향으로의 회전은 마찰 디스크(18), 베어링 허브(16), 및 일방향 베어링(14)의 내부 링(36)이 제1 방향으로 회전되게 하고; 제1 방향에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의 크랭크 스풀(20)의 회전은 일방향 베어링(14)에 의해 억제되고, 즉 내부 링(36)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방향으로의 크랭크 스풀(20)의 회전을 억제할 것이다.
다른 비제한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윈치(10)는 마찰 디스크(18)를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베어링 허브(16)의 디스크(54)의 외부 표면(56)과 크랭크 스풀(20)의 제1 디스크(68)의 외부 표면(74)은 그 사이에 실질적으로 마찰없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에서, 크랭크 스풀(20)의 제1 방향으로의 회전은 베어링 허브(16) 및 일방향 베어링(14)의 내부 링(36)이 제1 방향으로 회전되게 하고; 제1 방향에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의 크랭크 스풀(20)의 회전은 일방향 베어링(14)에 의해 억제되고, 즉 내부 링(36)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방향으로의 크랭크 스풀(20)의 회전을 억제할 것이다.
또 다른 비제한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마찰 디스크(18)는 하나 또는 2개의 대향 표면, 즉, 제1 및 제2 표면(64 및 66)에서 제1 방향으로 인접하거나 맞닿는 구성요소와 실질적으로 마찰없는 회전 인터페이스를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고; 마찰 디스크(18)는 인접하거나 맞닿는 구성요소와의 인터페이스에서 제1 방향에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의 회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억제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고려하여,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의 수정된 및/또는 대안적인 구성은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명백하거나 자명해질 수 있다. 그러한 모든 변형은 본 개시내용의 범위 및 경계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예를 들어, 특정 특징(들) 및/또는 기능(들)이 참조되었을 수 있지만, 본 개시내용은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것과 유사한 기능을 제공하는 임의의 및 모든 등가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고려된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의 사상, 범위 및 의도는 그러한 모든 변형을 포괄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개시내용의 범위 및 경계는 첨부된 청구범위 및 그 임의의 및 모든 등가물에 의해 한정된다.

Claims (30)

  1. 윈치로서,
    베어링 하우징;
    베어링 하우징 내에 배치된 일방향 베어링으로서, 일방향 베어링은,
    내부 링; 및
    베어링 하우징에 부착된 외부 링을 포함하는, 일방향 베어링;
    베어링 허브로서,
    원통형 섹션 - 원통형 섹션의 적어도 일부는 일방향 베어링의 내부 링 내에 배치되고 내부 링에 부착됨 -; 및
    디스크를 포함하는, 베어링 허브;
    대향하는 제1 및 제2 표면을 포함하는 마찰 디스크로서, 제1 표면은 베어링 허브의 디스크에 인접한, 마찰 디스크;
    대향하는 제1 및 제2 디스크를 포함하는 크랭크 스풀로서, 제1 디스크는 마찰 디스크의 제2 표면에 인접한, 크랭크 스풀;
    크랭크 스풀을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도록 구성된 크랭크 하우징;
    베어링 허브를 통해, 마찰 디스크를 통해 크랭크 스풀로 연장되는 크랭크 샤프트로서, 크랭크 샤프트의 제1 단부는 크랭크 스풀에 결합되는, 크랭크 샤프트; 및
    크랭크 샤프트의 제2 단부에 결합된 크랭크 메커니즘
    을 포함하는, 윈치.
  2. 제1항에 있어서, 크랭크 메커니즘이 제1 방향으로 회전될 때, 베어링 허브, 마찰 디스크 및 크랭크 스풀은 서로를 향해 길이방향으로 변위되어 베어링 허브와 마찰 디스크 사이, 및 마찰 디스크와 크랭크 스풀 사이에 실질적으로 마찰없는 인터페이스를 형성하는, 윈치.
  3. 제2항에 있어서, 스트랩을 포함하고, 스트랩은,
    크랭크 스풀에 부착된 제1 단부; 및
    부하에 부착하도록 구성된 제2 단부를 포함하는, 윈치.
  4. 제3항에 있어서, 제1 방향으로의 크랭크 메커니즘의 계속적인 회전은 스트랩을 크랭크 스풀 상에 권취하고 스트랩은 부하에 의해 인장을 받는, 윈치.
  5. 제4항에 있어서, 일방향 베어링은 스트랩이 인장 하에 있는 동안 크랭크 메커니즘이 해제될 때 스트랩이 풀리는 것을 억제하는, 윈치.
  6. 제4항에 있어서, 크랭크 메커니즘이 제1 방향에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회전될 때, 베어링 허브, 마찰 디스크 및 크랭크 스풀은 길이방향으로 떨어져 변위되고 스트랩은 크랭크 스풀로부터 풀리는, 윈치.
  7. 제6항에 있어서, 일방향 베어링은 스트랩이 인장 하에 있는 동안 크랭크 메커니즘이 해제될 때 스트랩이 풀리는 것을 억제하는, 윈치.
  8. 제2항에 있어서, 크랭크 스풀은 크랭크 메커니즘이 제1 방향에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회전될 때 고정 상태로 유지되도록 구성되는, 윈치.
  9. 제8항에 있어서, 크랭크 메커니즘은 마찰 디스크와 크랭크 스풀 사이의 마찰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키도록 제2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윈치.
  10. 제9항에 있어서, 크랭크 스풀의 회전은 일방향 베어링에 의해 방해받지 않는, 윈치.
  11. 제1항에 있어서, 크랭크 메커니즘은,
    핸들 장착부;
    크랭크 핸들; 및
    핸들 잠금/해제 레버를 포함하는, 윈치.
  12. 제11항에 있어서,
    핸들 장착부는 크랭크 샤프트의 제2 단부에 부착되고;
    크랭크 핸들은 핸들 장착부에 부착되는, 윈치.
  13. 제11항에 있어서, 크랭크 핸들은 제거 가능한, 윈치.
  14. 제11항에 있어서, 핸들 장착부와 크랭크 핸들은 일체로 형성되는, 윈치.
  15. 제11항에 있어서, 크랭크 핸들은 나사부를 포함하는, 윈치.
  16. 제1항에 있어서, 크랭크 스풀과 크랭크 샤프트는 일체로 형성되는, 윈치.
  17. 제1항에 있어서,
    크랭크 스풀의 제1 디스크와 크랭크 하우징 사이에 배치된 제1 크랭크 베어링; 및
    크랭크 스풀의 제2 디스크와 크랭크 하우징 사이에 배치된 제2 크랭크 베어링을 포함하는, 윈치.
  18. 윈치로서,
    베어링 하우징;
    베어링 하우징 내에 배치된 일방향 베어링으로서, 일방향 베어링은,
    내부 링; 및
    베어링 하우징에 결합된 외부 링을 포함하는, 일방향 베어링;
    베어링 허브로서,
    원통형 섹션 - 원통형 섹션의 적어도 일부는 일방향 베어링의 내부 링 내에 배치되고 내부 링에 결합됨 -; 및
    디스크를 포함하는, 베어링 허브;
    대향하는 제1 및 제2 디스크를 포함하는 크랭크 스풀로서, 제1 디스크는 베어링 허브의 디스크에 인접한, 크랭크 스풀;
    크랭크 스풀을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도록 구성된 크랭크 하우징;
    베어링 허브를 통해 크랭크 스풀로 연장되는 크랭크 샤프트로서, 크랭크 샤프트의 제1 단부는 크랭크 스풀에 결합되는, 크랭크 샤프트; 및
    크랭크 샤프트의 제2 단부에 결합된 크랭크 핸들을 포함하는, 윈치.
  19. 제18항에 있어서, 크랭크 핸들이 제1 방향으로 회전될 때, 베어링 허브와 크랭크 스풀은 서로를 향해 길이방향으로 변위되어 그 사이에 실질적으로 마찰없는 인터페이스를 형성하는, 윈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스트랩을 포함하고, 스트랩은,
    크랭크 스풀에 부착된 제1 단부; 및
    부하에 부착된 제2 단부를 포함하는, 윈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제1 방향으로의 크랭크 핸들의 계속적인 회전은 스트랩을 크랭크 스풀 상에 권취하고 스트랩이 부하에 의해 인장을 받게 하는, 윈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일방향 베어링은 크랭크 핸들이 해제될 때 스트랩이 풀리는 것을 억제하는, 윈치.
  23. 제21항에 있어서, 크랭크 핸들이 제1 방향에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회전될 때, 베어링 허브 및 크랭크 스풀은 길이방향으로 떨어져 변위되고 스트랩은 크랭크 스풀로부터 풀리는, 윈치.
  24. 제21항에 있어서, 일방향 베어링은 크랭크 핸들이 해제될 때 스트랩이 풀리는 것을 억제하는, 윈치.
  25. 제19항에 있어서, 크랭크 스풀은 크랭크 핸들이 제1 방향에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회전될 때 고정 상태로 유지되도록 구성되는, 윈치.
  26. 제25항에 있어서, 크랭크 핸들은 베어링 허브와 크랭크 스풀 사이의 마찰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키도록 제2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윈치.
  27. 제26항에 있어서, 크랭크 스풀의 회전은 일방향 베어링에 의해 방해받지 않는, 윈치.
  28. 제18항에 있어서, 크랭크 핸들은 제거 가능한, 윈치.
  29. 제18항에 있어서, 크랭크 스풀과 크랭크 샤프트는 일체로 형성되는, 윈치.
  30. 제18항에 있어서, 베어링 허브의 디스크와 크랭크 스풀의 제1 디스크 사이에 배치된 마찰 디스크를 포함하고, 베어링 허브의 디스크, 마찰 디스크 및 크랭크 스풀의 제1 디스크는 크랭크 샤프트가 제1 방향으로 회전할 때 그 사이에서 최소 미끄러짐을 위해 구성되는, 윈치.
KR1020217013785A 2018-10-09 2019-10-08 윈치 KR2021005899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743203P 2018-10-09 2018-10-09
US62/743,203 2018-10-09
PCT/US2019/055159 WO2020076802A1 (en) 2018-10-09 2019-10-08 Winch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8992A true KR20210058992A (ko) 2021-05-24

Family

ID=70164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3785A KR20210058992A (ko) 2018-10-09 2019-10-08 윈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884524B2 (ko)
KR (1) KR20210058992A (ko)
CN (1) CN112888653A (ko)
CA (1) CA3115065A1 (ko)
TW (1) TW202023936A (ko)
WO (1) WO202007680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3545B1 (ko) * 2022-09-09 2023-03-23 주식회사 제이피케이이노 베어링을 이용한 윈치감속기 브레이킹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0492B1 (ko) * 2022-10-20 2023-11-08 이종희 벨트로프식 텔레스코픽 마스트용 윈치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7842A (en) * 1894-04-10 Wire-stretcher
US3986588A (en) 1975-09-23 1976-10-19 Warn Industries, Inc. Brake-clutch assembly for a winch
US4171796A (en) * 1978-02-21 1979-10-23 Forbush Dellis R Utility winch
US5374035A (en) * 1993-06-03 1994-12-20 Santos; Jose C. Winch with power train, manual operation option, and particular brake assembly
US5573091A (en) * 1994-12-09 1996-11-12 Hung; Michael Electrically powered or manually driven clutch and brake assembly for electric winch
US6116580A (en) 1999-07-13 2000-09-12 Dutton-Lainson Company Reversible winch ratchet mechanism
US6431525B1 (en) 1999-07-16 2002-08-13 Fulton Performance Products, Inc. Pawl and ratchet assembly for winch mechanism
US6883784B1 (en) * 2002-10-11 2005-04-26 William L. Sloneker Boat lift using one-way clutch
CA2417715A1 (en) * 2003-01-27 2004-07-27 Tremblay, Darryl Multifunction tie down winch, vehicl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securing cargo on a vehicle
US7114705B2 (en) * 2004-03-30 2006-10-03 Steiner Donald J Grab-activated self-locking winch handle
CN201148316Y (zh) 2007-12-06 2008-11-12 傅勇刚 一种可自锁式手摇绞车
US8443790B2 (en) 2008-05-09 2013-05-21 Eastman Outdoors, Inc. Cocking winch apparatus for a crossbow, crossbow system including the cocking winch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same
US7850146B2 (en) 2008-06-13 2010-12-14 Production Resource Group, Llc Lineset winch with braking parts
US9003992B2 (en) * 2009-01-27 2015-04-14 Bruce K. VanScoyoc Anchor reeling
EP2368831B1 (en) * 2009-08-13 2012-11-28 Talbot Industrie Decoupage Emboutissage Hand winch with brake and freewheel
US8292268B2 (en) 2009-10-30 2012-10-23 Production Resource Group, Llc Reduced size and reconfigurable winch
US20110101293A1 (en) 2009-10-30 2011-05-05 Production Resource Group L.L.C. Workhorse Winch
CN103648959B (zh) * 2010-12-01 2019-08-16 塞昆特高性能产品公司 绞盘总成
CN202038828U (zh) * 2011-04-28 2011-11-16 杭州锦昌起重机械有限公司 一种新型手动绞车
CN202465165U (zh) * 2012-03-13 2012-10-03 杭州洛基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双棘轮手动式绞车
US9383159B2 (en) 2013-03-13 2016-07-05 Ravin Crossbows, Llc De-cocking mechanism for a bow
US9067769B2 (en) * 2013-08-28 2015-06-30 Kou Sheng Feng Co., Ltd. Soundless winch
DE202013104286U1 (de) * 2013-09-19 2013-10-29 Alfred Kärcher Gmbh & Co. Kg Kurbel für eine Trommel zum Aufwickeln eines Schlauch- oder Kabelstranges, Trommel und Hochdruckreinigungsgerät
US10077965B2 (en) 2013-12-16 2018-09-18 Ravin Crossbows, Llc Cocking system for a crossbow
US10126088B2 (en) 2013-12-16 2018-11-13 Ravin Crossbows, Llc Crossbow
US10082359B2 (en) 2013-12-16 2018-09-25 Ravin Crossbows, Llc Torque control system for cocking a crossbow
US10175023B2 (en) 2013-12-16 2019-01-08 Ravin Crossbows, Llc Cocking system for a crossbow
CN203865916U (zh) * 2014-05-30 2014-10-08 宁波力富特牵引机制造有限公司 一种手动绞盘
CN105398995A (zh) * 2015-12-22 2016-03-16 杭州洛基机械制造有限公司 绞车
CN108603737B (zh) 2016-01-12 2020-04-10 依思特漫户外有限责任公司 弩弓击发装置
CN108386539A (zh) * 2016-05-04 2018-08-10 施耐德电气(厦门)开关设备有限公司 一种新型的主转轴锁止装置及升降手车驱动装置
US10295295B2 (en) 2017-07-05 2019-05-21 Hunter's Manufacturing Co., Inc. Speed-sensitive crossbow cocking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3545B1 (ko) * 2022-09-09 2023-03-23 주식회사 제이피케이이노 베어링을 이용한 윈치감속기 브레이킹시스템
KR102529157B1 (ko) * 2022-09-09 2023-05-08 주식회사 제이피케이이노 베어링 감속기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76802A1 (en) 2020-04-16
US11884524B2 (en) 2024-01-30
CA3115065A1 (en) 2020-04-16
US20210309497A1 (en) 2021-10-07
TW202023936A (zh) 2020-07-01
CN112888653A (zh) 2021-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51411B2 (en) Handheld control device for a pet leash
CN111238297B (zh) 弩弓击发装置
JP3870392B2 (ja) 歯車組立体及び歯車組立体を備えた犬用ひもの巻取り装置
KR20210058992A (ko) 윈치
US20080230015A1 (en) Braking Device for a Rope Pulley of a Leash that can be Mechanically Wound and Unwound for Leading Animals
US11660475B2 (en) High load descender with adaptive release linkage
TW200831851A (en) Automatic locking tape measure
US20160296771A1 (en) High load descender with adaptive release linkage
US20140033485A1 (en) Webbing tie down with friction roller
KR0129788B1 (ko) 체인 레버 호이스트
KR100341294B1 (ko) 자동차 주차브레이크의 케이블 장력조절장치
AU2016222265B2 (en) Unidirectional winder
TW201501637A (zh) 釣魚用紡車式捲線器及其轉子制動裝置之制動操作桿
JP3140658B2 (ja) 馬蹄錠
JP6842756B2 (ja) 魚釣り用リール
JP3940222B2 (ja) 両軸受リールの発音機構及び両軸受リール
KR100918620B1 (ko) 마우스 트랩형 복원수단을 이용한 자동차
JP3894533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US20210070217A1 (en) Load strapping device
JP3114004U (ja) 引戸用ドアクローザ
JP2006077841A (ja) 直動ワンウェイクラッチユニット
JP2004293643A (ja) ケーブル直角引きパーキングブレーキ
JPS6348024Y2 (ko)
KR200249566Y1 (ko) 낚시용릴의드래그장치
RU46251U1 (ru) Тормоз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водной лебедк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