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0492B1 - 벨트로프식 텔레스코픽 마스트용 윈치 - Google Patents

벨트로프식 텔레스코픽 마스트용 윈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0492B1
KR102600492B1 KR1020220135915A KR20220135915A KR102600492B1 KR 102600492 B1 KR102600492 B1 KR 102600492B1 KR 1020220135915 A KR1020220135915 A KR 1020220135915A KR 20220135915 A KR20220135915 A KR 20220135915A KR 102600492 B1 KR102600492 B1 KR 102600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assembly
coupler
arm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5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희
Original Assignee
이종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희 filed Critical 이종희
Priority to KR1020220135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04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0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0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04Driving gear manually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14Power transmissions between power sources and drums or barr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18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movable or with movable sections, e.g. rotatable or telescopic
    • E04H12/182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movable or with movable sections, e.g. rotatable or telescopic telescop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1Winches, capstans or pivots
    • B66D2700/0116Manually or spring operated win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1Winches, capstans or pivots
    • B66D2700/0183Details, e.g. winch drums, cooling, bearings, mounting, base structures, cable guiding or attachment of the cable to the dr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벨트로프식 텔레스코픽 마스트를 전개시키기 위한 벨트로프식 텔레스코픽 마스트용 윈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로프식 텔레스코픽 마스트용 윈치는, 벨트로프를 감거나 푸는 드럼과 상기 드럼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기어들을 구비하는 드럼조립체 및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한 힘이 전달되는 손잡이조립체를 포함하는 윈치에 있어서, 손잡이조립체는 운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파지면을 제공하고 상기 파지면을 통해 상기 힘이 입력되는 손잡이와, 손잡이를 통해 입력된 힘을 드럼조립체 측에 회전력으로 전달하며 손잡이결합체를 포함하는 결합구와, 일측에 손잡이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에 결합구가 단일 객체 형태로 구비된 암을 포함하며, 암은 결합구가 구비된 고정암과, 손잡이를 구비하며 고정암에 대하여 암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가동암으로 구성되어 힘 입력점인 손잡이와 힘 작용점인 결합구 사이의 거리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벨트로프식 텔레스코픽 마스트용 윈치는, 마스트 상단에 탑재되는 장비의 무게에 따라 손잡이조립체의 길이를 짧게 하여 마스트를 빠른 속도로 전개(경량의 장비가 탑재된 경우)하거나, 손잡이조립체의 길이를 길게 하여 전개 속도는 상대적으로 느리지만 장비 운용자가 느끼는 전개 부담을 경감(고중량의 장비가 탑재된 경우)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벨트로프식 텔레스코픽 마스트용 윈치{Winch for Belt rope type telescopic mast}
본 발명은 윈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동시적으로 상승(신장) 또는 하강(수축)할 수 있도록 복수의 마디체들이 벨트로프를 통해 상호 연동 가능하게 연결된 텔레스코픽 마스트에 적용되는 벨트로프식 텔레스코픽 마스트용 윈치에 관한 것이다.
윈치는 원통형의 드럼에 와이어나 로프를 감아 도르래를 이용해서 중량물을 높은 곳으로 들어올리거나 내리는 기계를 말한다. 이러한 윈치는 토목, 제조, 선박, 광산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카메라와 같은 영상 장비나 안테나와 같은 통신 장비를 탑재하여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부상시키는 텔레스코픽 마스트에도 적용된다.
텔레스코픽 마스트는 최상단에 영상 장비나 통신 장비를 탑재한 상태로 이를 지상 5 ~ 22m 높이로 부상시킴으로써, 영장 장비의 관측 범위를 넓히거나 통신 장비의 통신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장비로서, 겹겹이 포개지게 결합되는 직경이 다른 다수의 원통형 마디체들이 복수의 벨트로프를 통해 상호 연동 가능하게 연결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텔레스코픽 마스트를 구성하는 복수의 벨트로프 중 최하단 벨트로프가 윈치에 연결되며, 윈치의 회전 조작에 따른 윈치 드럼의 정역회전으로 상기 드럼에 최하단 벨트로프가 감기거나 감겨져 있던 벨트로프가 풀리면, 특유의 기계적인 매커니즘에 의해 복수의 마디체들이 동시적으로 상승 또는 하강을 함으로써 탑재된 장비를 부상시키거나 내릴 수 있게 된다.
텔레스코픽 마스트에 적용되는 종래의 윈치는 기본적으로, 벨트로프를 감거나 풀기 위한 외력이 입력되는 핸들을 포함한다. 또한 핸들을 통해 입력된 외력에 의해 회전하는 주동축과, 주동축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며 벨트로프가 권선되는 드럼, 그리고 상기 드럼의 역회전 방지를 위한 래칫 및 주동축과 드럼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의 기어 등을 구비한다.
이러한 종래의 윈치는 핸들을 한쪽으로 돌리면, 핸들과 결합된 주동축이 회전되고, 상기 주동축과 드럼 사이에 구성된 기어 들에 의해 주동축의 회전이 감속되어 드럼으로 전달되고 이에 따라 드럼이 회전을 함으로써 벨트로프가 감기게 되고, 핸들의 회전을 멈추면 드럼의 반대방향 회전이 상기 래칫에 의해 저지됨으로써 벨트로프가 풀리지 않게 된다.
여기서, 텔레스코픽 마스트를 전개하기 위한 힘(텔레스코픽 마스트 위에 설치된 장비를 부상시키기 위해 핸들에 가하는 힘)은 탑재된 장비의 무게에 비례한다. 즉 무거운 장비일수록 텔레스코픽 마스를 전개함에 있어 큰 힘을 필요로 한다. 때문에 종래에는 장비가 무거워 부하가 클수록 전개 시간이 늘어나고 운용자가 많은 피로를 느껴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61080호(등록일 2008.09.24.)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72251호(등록일 2020.10.26.)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텔레스코픽 마스트의 최상단에 탑재되는 장비의 하중이나 운용자의 신체 조건에 맞춰 손잡이조립체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텔레스코픽 마스트를 빠른 속도로 전개(경량의 장비가 탑재된 경우)하거나, 전개 속도는 상대적으로 느리지만 전개 부담을 경감(고중량의 장비가 탑재된 경우)시킬 수 있는 벨트로프식 텔레스코픽 마스트용 윈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벨트로프식 텔레스코픽 마스트를 전개시키기 위한 것으로, 벨트로프를 감거나 푸는 드럼과 상기 드럼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기어들을 구비하는 드럼조립체 및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한 힘이 전달되는 손잡이조립체를 포함하는 윈치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조립체는,
운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파지면을 제공하고 상기 파지면을 통해 상기 힘이 입력되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를 통해 입력된 힘을 상기 드럼조립체 측에 회전력으로 전달하는 결합구와;
일측에 상기 손잡이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에 상기 결합구가 단일 객체 형태로 구비된 암;을 포함하며,
상기 암은 상기 결합구가 구비된 고정암과, 상기 손잡이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암에 대하여 암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가동암으로 구성되어 힘 입력점인 상기 손잡이와 힘 작용점인 상기 결합구 사이의 거리를 가변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로프식 텔레스코픽 마스트용 윈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한 힘은 상기 드럼조립체와 손잡이조립체 사이에 설치되는 원동축조립체와 종동축조립체를 거쳐 상기 손잡이조립체에서 드럼조립체로 전달될 수 있으며, 상기 원동축조립체를 구성하는 손잡이고정대에 상기 손잡이조립체의 결합구를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는 손잡이결합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결합체는 바람직하게, 상기 손잡이고정대의 외면부 일부 영역에 형성되는 손잡이고정홈부와, 상기 결합구에 설치되는 손잡이탈착조작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손잡이고정홈부에 손잡이탈착조작부의 고정고리축 일부가 삽입됨으로써 결합구와 손잡이고정대가 상호 결속되고, 상기 손잡이고정홈부으로부터 고정고리축이 완전히 이탈되면 결합구와 손잡이고정대 간의 결속이 해제되어 결합구를 손잡이고정대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탈착조작부는, 상기 결합구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고정고리핸들과, 상기 결합구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측벽 중 다른 부분에 비해 두꺼운 살 두께를 갖는 제1 측벽에 일부가 나사 결합되어 고정되는 고정고리수용부와, 상기 고정고리수용부의 내측 수용홈에 일부가 승강 가능하게 수용되는 상기 고정고리축과, 고정고리축과 고정고리수용부 사이에서 상기 고정고리축을 상기 손잡이고정대 방향으로 밀어내기 위한 탄성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때 고정고리수용부는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측벽에 나사 결합되며 내측에 상기 고정고리축의 일부를 승강 가능하게 수용하는 수용홈을 갖는 하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의 상단 개구를 덮도록 하부몸체의 상부에서 결합되는 상부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고리축의 하단과 상단 일부가 통과하는 하부홀과 상부홀이 상기 하부몸체의 바닥판 중앙과 상부덮개의 상판 중앙에 각각 형성된 구성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고리축은, 상기 수용홈에 배치되어 허용된 범위 안에서 아래 위로 움직이고 다른 부분에 비해 반경 방향으로 확장된 직경을 갖는 원판부를 포함하며, 상기 원판부의 하면 중앙에서 상기 원판부와 단일 객체 형태로 고정고리핀이 하향 돌출되고, 상기 고정고리핀 반대편의 원판부 상면 중앙에서 상기 원판부와 단일 객체 형태로 핸들연결핀이 상향 연장되며, 상기 핸들연결핀의 상단 일부가 고정고리수용부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고리핸들에 연결핀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일측 선단이 개방된 삽입홈이 상기 가동암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암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삽입홈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고정암과 가동암 사이에 상기 고정암에 대한 가동암의 이동을 억제하거나 허용하는 길이조절유닛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길이조절유닛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고정암 선단의 체결구멍과, 상기 체결구멍에 체결되는 노브가 달린 잠금볼트로 구성되며, 상기 잠금볼트가 가동암의 외측에서 상기 가동암의 일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롯을 통과해 상기 체결구멍에 체결되는 구성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길이조절유닛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고정암의 선단에 설치되는 잠금나사와, 상기 잠금나사와 체결되는 노브가 달린 잠금너트로 구성되며, 상기 잠금나사는 가동암의 일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롯을 통과하여 가동암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잠금너트가 가동암의 외측에서 상기 가동암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잠금나사와 체결되는 구성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상기 길이조절유닛은, 상기 고정암의 일면에 길이 방향으로 연속해서 형성되는 요철면과, 상기 가동암 측에 탄성 설치되고 상기 요철면의 요홈 중 어느 한 요홈에 걸려 상기 고정암에 대한 가동암의 이동을 억제하는 잠금구를 갖는 잠금레버로 이루어진 구성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상기 길이조절유닛은, 상기 가동암에 형성되는 핀 구멍과, 상기 고정암에 길이 방향에 걸쳐 등 또는 부등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길이조절구멍과, 서로 일치된 상기 핀 구멍과 어느 한 길이조절구멍을 동시에 관통하여 고정되는 고정핀으로 이루어진 구성일 수 있다.
상기 암의 길이 조절 구조는 또한, 상기 고정암과 가동암이 길이조절레버를 구비하는 길이조절관을 통해 상호 연결되되, 상기 고정암의 일측에 제1 수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가동암의 일측에는 상기 제1 수나사와 나사산 방향이 반대인 제2 수나사가 형성되며, 상기 길이조절관의 일측 내주면에는 상기 제1 수나사에 대응하여 제1 암나사가 형성되고 타측 내주면에는 상기 제2 수나사에 대응하여 제2 암나사가 형성되며, 대응되는 제1 수나사와 제1 암나사, 제2 수나사와 제2 암나사가 서로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길이조절관의 회전으로 상기 가동암과 고정암 사이의 거리가 조절되는 구성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드럼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상기 기어들은, 상기 드럼과 동축 상에 결합되는 내접기어, 상기 내접기어와 기어접속되는 감속기어, 내접기어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감속기어와 동축 상에 결합되며 종동축조립체의 종동기어와 기어접속되는 주축기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종동기어에서 드럼에 최종적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내접기어 사이의 최종 기어비(감속비)가 13:1 내지 15:1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손잡이조립체가 힘 입력점인 손잡이와 힘 작용점인 결합구 사이의 거리를 가변시킬 수 있는 길이 가변형 구조로 구성됨에 따라, 마스트에 탑재되는 장비의 하중이나 운용자의 신체 조건에 맞춰 손잡이조립체의 길이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즉 텔레스코픽 마스트를 전개하는데 드는 힘과 속도를 운용 환경에 맞게 최적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손잡이조립체와 원동축조립체가 조작이 용이한 손잡이결합체를 통해 상호 결속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벨트로프를 감거나 풀기 위해 손잡이조립체를 빠르게 회전 조작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손잡이조립체의 임의 분리가 방지될 수 있으며, 장비 정비나 부품 교체 등을 위해 손잡이조립체를 분리시켜야 하는 상황에서는 상기 손잡이결합체의 단순 조작만으로 손잡이조립체를 원동축조립체로부터 쉽고 빠르게 분리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벨트로프식 텔레스코픽 마스트용 윈치의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윈치의 우측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윈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윈치의 요부 우측면도.
도 5는 원동축조립체가 래칫과 이탈된 상태에서 손잡이를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초기상태를 도시한 요부 정단면도.
도 6은 도 5에서 손잡이를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킨 작동상태를 도시한 요부 정단면도.
도 7은 도 6에서 손잡이의 회동을 정지시킨 작동상태를 도시한 요부 정단면도.
도 8은 원동축조립체가 래칫과 밀착된 상태에서 손잡이를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초기상태를 도시한 요부 정단면도.
도 9은 도 8에서 손잡이를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킨 작동상태를 도시한 요부 정단면도.
도 10은 손잡이조립체의 결합구와 원동축조립체의 손잡이고정대 사이의 바람직한 연결구조를 도시한 요부 확대 분해 사시도.
도 11은 손잡이조립체의 결합구가 원동축조립체의 손잡이고정대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도 11을 A-A선 방향 및 B-B선 방향에서 바라본 절개 단면도.
도 13은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손잡이결합체의 작동 상태도.
도 14 내지 도 18은 손잡이조립체의 다양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하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도면 참조부호를 부여하기로 하며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벨트로프식 텔레스코픽 마스트용 윈치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윈치의 우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윈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윈치의 요부 우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원동축조립체가 래칫과 이탈된 상태에서 손잡이를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초기상태를 도시한 요부 정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 손잡이를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킨 작동상태를 도시한 요부 정단면도이며, 도 7은 도 6에서 손잡이의 회동을 정지시킨 작동상태를 도시한 요부 정단면도이고, 도 8은 원동축조립체가 래칫과 밀착된 상태에서 손잡이를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초기상태를 도시한 요부 정단면도이고, 도 9은 도 8에서 손잡이를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킨 작동상태를 도시한 요부 정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벨트로프식 텔레스코픽 마스트용 윈치는 크게, 드럼조립체(100), 종동축조립체(200), 래칫(300), 원동축조립체(400), 축연결체 (500), 손잡이조립체(600)로 이루어지며, 상기 드럼조립체(100)와 손잡이조립체(600)의 회동상태에 따라 상기 종동축조립체(200), 래칫(300), 상기 원동축조립체(400)간의 결속상태가 변경되는 작동구조를 가진다.
드럼조립체(100)는 마스트 최상단에 탑재된 장비에 의해 지속적으로 인장력이 작용되는 벨트로프(미도시)를 감거나 푸는 드럼(110)과, 상기 종동축조립체(200)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을 상기 드럼(120)에 전달하거나 상기 드럼(120)의 회전력을 상기 종동축조립체(300)로 전달하면서 상기 종동축조립체(200)의 회전 속도를 감속시켜 상기 드럼(110)에 전달하는 기어(120, 130, 140)들을 포함한다.
기어(120, 130, 140)들은 상기 드럼(110)과 동축 상에 결합되는 내접기어(120), 상기 내접기어(120)보다 작은 개수의 기어치를 가지고 상기 내접기어(120)에 치합되는 감속기어 (130), 내접기어(120)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감속기어(130)와 동축 상에 결합되며 상기 종동축조립체(200)와 기어접속되는 주축기어(140)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종동축조립체(200)를 구성하는 종동기어(210)에서 상기 드럼(110)에 최종적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내접기어(120) 사이의 최종 기어비(감속비)는 13:1 내지 15:1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4:1일 수 있다. 즉 종동축조립체(200)의 상기 종동기어(210)가 14바퀴 회전할 때 내접기어(120)와 드럼(110)이 1바퀴 회전하도록 기어들의 내경 또는 외경, 기어 잇수, 피치서클이 설정될 수 있다.
종동축조립체(200)는 종동기어(210), 래칫끼움축(220), 원동축접속축(230)을 포함한다. 종동기어 (210)는 상기 드럼조립체(100)의 최단부에 설치된 기어(140)에 접속되며, 래칫끼움축(220)은 상기 래칫의 래칫 휠(310)이 관통되며 끼워질 수 있는 원기둥 모양으로 일단에 상기 종동기어(210)가 결합되며, 원동축접속축(230)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래칫끼움축(220)의 타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래칫(300)은 한쪽 방향에 대해서만 축의 회전을 허용하고 반대 방향에 대해서는 축의 임의 회전을 제한하는 것으로, 일측으로 경사지거나 굴곡된 형태의 기어치를 가지는 래칫휠(310)과, 상기 래칫휠(310)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래치휠(310) 기어치의 외면에 접속되거나 기어치 사이에 끼워지면서 상기 래칫휠(310)의 회전을 단속하는 폴(pawl, 320)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래칫(300)은 공지된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원동축조립체(400)는 종동축접속축(410)과 손잡이고정대(420)로 이루어지며, 상기 종동축접속축(410)은 상기 기어조립체의 원동축접속축(230)의 외주면에 나사결합되어 회동방향에 따라 상기 원동축접속축(230) 상에서 이동을 하며, 손잡이고정대(420)는 상기 종동축접속축(410)을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종동축접속축(410)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단면 모양이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축연결체(500)는 종동축조립체의 원동축접속축(230) 상에서 래칫(300)의 반대편 및 단부측으로 이동하는 종동축접속축(410)이 상기 원동축접속축(230)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구속하면서, 종동축접속축(410)이 상기 원동축접속축(230) 내지 상기 원동축접속축(230)에 일체로 결합된 접속구성 요소에 밀착되거나 결합되어 상기 종동축접속축(41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원동축접속축(230)이 동기화된 회전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축연결체(500)는 예를 들어, 볼트결합부(510)와 멈춤볼트(520)로 구성될 수 있다. 볼트결합부(510)는 원동축접속축(230)의 단부에서 상기 원동축접속축(230)의 축방향으로 함몰 형성되고 그 내면에 말단까지 나사산이 연속해서 형성된 구성일 수 있으며, 멈춤볼트(520)는 볼트머리(521)를 구비하며 상기 볼 트결합부(510)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손잡이조립체(600)는 결합구(610), 암(620), 손잡이(630)로 구성될 수 있다. 손잡이고정대(420)에 상기 결합구(610)가 기구적으로 결합되며, 암(620)의 일측에 상기 결합구(610)가 단일 객체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암(620)의 타측에 운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파지면을 제공하는 상기 손잡이(630)이가 회전 자유롭게 구비될 수 있다.
손잡이(630)의 상기 파지면(부호 생략)을 통해 상기 드럼조립체(100)를 회전시키기 위한 힘이 입력되며, 입력된 힘은 중간에 암(620)을 거쳐 상기 결합구(610)에 상기 드럼조립체(100)를 회전시키는 힘으로 전달된다. 즉 상기 손잡이(630)를 통해 입력된 힘은 암(620)을 통해 상기 결합구(610)에 상기 드럼조립체(100)를 회전시키는 회전력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칫휠(310)과 원동축조립체(400)가 이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잡이조립체의 손잡이(630)를 잡고 시계방향으로 상기 암(620)을 회동시키면, 도 6과 같이 결합구(610)와 결합된 손잡이고정대(420)를 통해 상기 종동축접속축(410)이 회전력을 전달받아 정지된 상태의 원동축접속축(230) 상에서 좌측으로 이동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종동축접속축(410)이 래칫끼움축(220) 상에 끼워져 있던 상기 래칫휠(310)을 도면(도 5)상 좌측으로 밀게 되고, 이로 인해 종동기어(210)와 원동축조립체(400) 사이에서 상기 래칫휠(310)이 가압됨으로써, 원동축조립체(400), 래칫휠(310), 종동기어(210)는 기구적으로 서로 구속되어 동기화된 회전, 즉 암(620)의 회동에 의해 동일한 각변위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종동기어(21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종동기어(210)에 접속된 상기 드럼조립체의 기어(120, 130 140)들에 의해 정해진 속도로 회전 속도가 감속(감속비가 13:1 내지 15:1)되고, 최종적으로 기어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은 드럼(11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벨트로프를 감게 되고, 이때 폴(320)이 상기 래칫휠(320)의 시계방향 회전을 허용함으로써 암(620)의 시계방향 회동은 무리 없이 수행될 수 있다.
암(620)을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다가 정지시키게 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로프가 마스터 및 그 최상단에 탑재된 장비의 하중에 의해 드럼(110)에 역방향 힘(드럼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힘)이 작용하고, 이로 인해 종동기어(210)에 이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힘이 작용함으로써, 래칫휠(310), 종동기어(210), 종동축접속축(410)은 상호 더욱 구속되고, 이때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이 폴 (320)에 의해 저지되어 상기 구성요소 전부의 운동이 멈추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다시 마스트를 더욱 들어올리고자 하면 다른 부수동작 없이 상기 암(620)을 다시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기만 하면 되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암(620)을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상기 종동축접속축(410)이 정지된 상태의 원동축접속축(230)상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래칫휠(32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종동축접속축(410)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동축접속축(230)의 단부 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축연결체의 멈춤볼트(520)와 기구적으로 상호 구속되어 동기화된 회전 운동을 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며, 이로 인해 종동축접속축(410)과 원동축접속축(230) 및 종동기어 (210)가 함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 결과, 드럼(110)이 최종적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고, 드럼(110)에 감겨 있던 벨트로프가 풀리면서 마스트 및 마스트 최상단에 탑재된 장비의 하중에 의하여 상기 마스트는 하강을 하게 된다.
여기서, 래칫휠(310)은 상기 종동축접속축(410) 및 종동기어(210)와 이격되므로, 기구적으로 어떠한 구속을 받지 않고 래칫끼움축(220) 상에서 자유 회전 가능한 상태이며, 이에 따라 종동축 접속축(410) 및 종동기어(210)는 상기 폴(320)의 단속상태와 무관하게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처럼 암(620)을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다가 정지시키게 되면, 도 7에 도시된 상기 암(620)을 시 계방향으로 회동시키다가 정지시킨 경우와 마찬가지로 벨트로프가 상기 드럼(11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어, 최종적으로는 상기 래칫휠(310) 및 종동기어(210)와 함께 기구적으로 구속되어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이 상기 폴(320)에 의해 저지되어 회전을 멈추게 된다.
도면부호 700은 래칫휠(310)과 종동기어(210), 그리고 래칫휠(310)과 종동축접속축(410) 사이에 개재되는 마찰접속판을 가리킨다. 마찰접속판(700)은 상기 래칫휠(310)의 양측에서 래칫휠(310)과 상기 종동기어(210), 그리고 래칫휠(310)과 종동축접속축(410) 간 상호 접속 및 밀착 상태를 보다 기밀하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마찰접속판(700)은 래칫끼움축(220)상에 끼워져 결합 가능하도록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된 원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종동기어(210), 래칫휠(310), 종동축접속축(410)이 일반 금속재질로 제작될 경우 마찰접속판(700)은 동일 재질 간의 면접촉에 의한 마찰 및 마모를 줄이면서도 구성요소간의 밀착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황동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스트용 윈치는 또한, 브라켓(810), 제1 커버(820), 제2 커버(830)를 포함한다. 브라켓(810)은 상기 드럼조립체의 드럼(110) 및 내접기어(120)의 회전축(부호 생략), 감속기어(130) 및 주축기어(140)의 연결축(부호 생략), 상기 종동축조립체(200)의 연장축(부호 생략) 각각이 지정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다수의 관통공(811)과 일정한 지지면(812)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커버(820)는 상기 브라켓(810)의 일면을 외측에서 덮는 형태로 상기 브라켓(810)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제2 커버 (830)는 상기 브라켓(810) 다른 일면을 외측에서 덮는 형태 이면서, 상기 종동축조립체 (200)와 래칫(300)을 수용하고, 원동축조립체(400)의 일측부를 함께 덮도록 상기 브라켓(810)의 타측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0은 손잡이조립체의 결합구와 원동축조립체의 손잡이고정대 사이의 바람직한 연결구조를 도시한 요부 확대 분해 사시도이며, 도 11은 손잡이조립체의 결합구가 원동축조립체의 손잡이고정대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2는 도 11을 A-A선 방향 및 B-B선 방향에서 바라본 절개 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원동축조립체(400)의 손잡이고정대(420)는 외면부 형상이 다각형(도면에는 외면부 형상이 사각형인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사각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손잡이조립체(600)의 결합구(610)는 상기 손잡이고정대(420)의 외면부 형상에 대응되는 고정대결합홀(612)을 내측에 구비한 다각의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구(610)의 상기 고정대결합홀(612)에 상기 손잡이고정대(420)가 삽입되는 구조로 결합구(610)와 손잡이고정대(420)가 상호 결합되고 그 상태에서 상기 결합구(610)와 손잡이고정대(420)는 손잡이결합체(550)를 통해 상호 결속됨으로써, 벨트로프를 감거나 풀기 위해 손잡이조립체(600)를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빠르게 회전시킬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손잡이고정대(420)에 대한 상기 결합구(610)의 임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손잡이결합체(550)는 상기 손잡이고정대(420)의 외면부에 형성되는 손잡이고정홈부(560)와, 결합구(610)에 설치되는 손잡이탈착조작부(570)로 구성될 수 있다. 손잡이고정홈부(560)에 손잡이탈착조작부(570)의 고정고리축(576) 일부가 삽입됨으로써 결합구(610)와 손잡이고정대(420)가 상호 결속되고, 손잡이고정홈부(560)으로부터 상기 고정고리축(576)이 완전히 이탈되면 결합구(610)와 손잡이고정대(420) 간의 결속이 해제되어 결합구(610)를 손잡이고정대(42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손잡이고정홈부(560)는 손잡이고정대(420)의 외면부 일부 영역에 손잡이고정대(420)의 반경 방향으로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홈을 낸 구성일 수 있으며, 손잡이탈착조작부(570)는 상기 결합구(610)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고정고리핸들(572)과, 결합구(610)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측벽 중 다른 부분에 비해 두꺼운 살 두께를 갖는 제1 측벽(614)에 일부가 나사 결합되어 고정되는 고정고리수용부(574), 그리고 상기 고정고리축(576)으로 구성될 수 있다.
고정고리수용부(574)는 상기 제1 측벽(614)에 나사 결합되며 내측에 상기 고정고리축(576)의 일부를 승강 가능하게 수용하는 수용홈(574c)을 갖는 하부몸체(574a)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몸체(574a)의 상단 개구를 덮도록 하부몸체(574a)의 상부에서 상부덮개(574b)가 결합되는 구성일 수 있으며, 고정고리축(576)의 하단과 상단 일부가 통과하는 하부홀(575a)과 상부홀(575b)이 하부몸체(574a)의 바닥판 중앙과 상부덮개(574b)의 상판 중앙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고정고리축(576)은 다른 부분에 비해 반경 방향으로 확장된 직경을 갖는 원판부(576a)를 포함한다. 원판부(576a)의 하면 중앙에서 상기 원판부(576a)와 단일 객체 형태로 고정고리핀(576b)이 하향 돌출되며, 고정고리핀(576b) 반대편의 원판부(576a) 상면 중앙에서 상기 원판부(576a)와 단일 객체 형태로 핸들연결핀(576c)이 상향 연장된다. 이때 원판부(576a)가 고정고리수용부(574) 내측의 상기 수용홈(574c)에 배치되어 허용 범위 안에서 아래 위로 움직일 수 있다.
고정고리축(576)의 상기 핸들연결핀(576c)은 그 상단 일부가 상기 상부홀을 통과하여 상부덮개(574b) 상부로 일정 높이 돌출되어 상기 고정고리핸들(572)에 연결핀(573)으로 연결되고, 고정고리핀(576b)은 허용 범위 안에서의 상기 고정고리수용부(574)에 대한 고정고리축(576)의 이동(도면상 상하 방향 직선 운동)에 따라 상기 하부홀(575b)을 통해 상기 손잡이고정대(420) 방향으로 돌출되거나 반대로 고정고리수용부(574) 쪽으로 인입된다.
고정고리축(576)의 손잡이고정대(420) 방향 이동으로 손잡이고정대(420)를 향하여 돌출된 고정고리핀(576b)이 상기 손잡이고정홈부(560)에 삽입됨으로써 결합구(610)와 손잡이고정대(420)가 상호 결속될 수 있으며, 반대로 손잡이고정대(42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고정고리축(576)이 이동되면 상기 고정고리핀(576b)이 손잡이고정홈부(560)에서 이탈됨으로써 결합구(610)와 손잡이고정대(420) 간의 결속이 해제되어 결합구(610)를 손잡이고정대(42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고정고리축(576)과 고정고리수용부(574) 사이의 수용홈(574c) 내에는 상기 고정고리축(576)을 손잡이고정대(420) 방향으로 밀어내기 위한 탄성을 제공하는 스프링(S1)이 설치될 수 있다. 스프링(S1)은 코일압축스프링일 수 있으며, 그 일단(하단)이 가동체인 상기 원판부(576a) 상에 탄성 접촉되어 지지되고 타단(상단)은 고정체에 해당하는 상기 상부덮개(574b)의 하부면에 탄성 접촉되어 원판부(576a)를 통해 상기 고정고리축(576)을 손잡이고정대(420) 방향으로 밀어내는 구성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손잡이조립체(600)의 결합구(610)와 원동축조립체(400)의 손잡이고정대(420) 간의 연결구조에 따르면, 앞선 도 13의 (a)와 같이 손잡이조립체(600)의 결합구(610)와 원동축조립체(400)의 손잡이고정대(420)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고정고리핸들(572)을 손으로 쥐고 화살표 방향으로 당기면, 도 13의 (b)와 같이 고정고리핸들(572)과 기구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고정고리축(576)이 함께 화살표 방향으로 움직인다.
이 과정에서 스프링(S1)이 압축되면서 탄성 복원력을 저장하게 되고, 고정고리축(576)이 상기 손잡이고정대(420)로부터 이격되면서 고정고리핀(576b)이 손잡이고정홈부(560)에서 이탈하게 된다. 이로 인해 결합구(610)와 손잡이고정대(420) 간의 결속이 해제되며, 그 결과 결합구(610)를 비롯한 손잡이조립체(600) 전체를 손잡이고정대(420)로부터 완전히 분리시킬 수 있다.
반대로, 화살표 방향으로 당기고 있던 고정고리핸들(572)을 놓게 되면(고정고리핸들을 들어 올리는 방향으로 가하고 있던 힘을 제거하면),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S1)이 탄성 복원 되면서 고정고리축(576)이 밀려 내려가게 되고, 이로 인해 고정고리축(576)의 고정고리핀(576b)이 상기 손잡이고정홈부(560)에 삽입됨으로써 결합구(610)와 손잡이고정대(420)는 도 13의 (a)와 같이 다시 결속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적용된 손잡이조립체의 다양한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벨트로프식 델레스코픽 마스트용 윈치에 적용되는 손잡이조립체의 다양한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4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벨트로프식 델레스코픽 마스트용 윈치에 적용되는 암(620)은, 상기 결합구(610)가 구비된 고정암(622)과, 상기 손잡이(630)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암(622)에 대하여 암(62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동암(624)으로 이루어진 길이 가변형 구조로서, 힘 입력점인 상기 손잡이(630)와 힘 작용점인 상기 결합구(610) 사이의 거리를 가변시킬 수 있다.
물체에 작용하여 물체를 회전시키는 힘인 토크(Torque)는 힘(N)과 거리(m)의 곱으로 표현된다. 따라서 힘 입력점인 손잡이(630)와 힘 작용점(힘 전달점)인 상기 결합구(610) 사이의 거리가 멀수록 손잡이(630)에 입력되는 힘이 동일하다는 전제 조건하에 결합구(610)에 작용하는 토크는 커지고, 반대로 손잡이(630)와 결합구(610)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결합구(610)에 작용하는 토크는 작아진다.
때문에 손잡이(630)와 결합구(610) 사이의 거리가 가까우면, 회전반경이 작아지기 때문에 손잡이조립체(600)를 빠르게 회전시킬 수는 있으나 손잡이조립체(600)를 회전시킴에 있어 드는 힘은 상대적으로 커지고, 반대로 손잡이(630)와 결합구(610) 사이의 거리가 멀면 회전반경이 커지기 때문에 손잡이조립체(600)를 빠르게 회전시키기는 어렵지만 손잡이조립체(600)를 회전시키는데 드는 힘은 상대적으로 줄게 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손잡이조립체(60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힘 입력점인 상기 손잡이(630)와 힘 작용점인 상기 결합구(610) 사이의 거리를 가변시킬 수 있는 길이 가변형으로 구성된다. 때문에 탑재되는 장비의 하중이나 운용자의 신체 조건에 맞춰 손잡이조립체(600)의 길이를 적절히 조절하거나, 텔레스코픽 마스트를 전개하는데 드는 힘과 속도를 운용 환경에 맞게 최적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손잡이조립체(600)의 길이를 짧게 하면, 전개하는데 힘은 들지만 전개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어 텔레스코픽 마스트 최상단에 탑재되는 장비가 상대적으로 가벼운 경우 유리하며, 손잡이조립체(600)의 길이를 길게 하면 전개 속도는 느리지만 전개하는데 드는 힘이 상대적으로 줄어 전개 부담이 줄게 되므로, 탑재 장비가 상대적으로 중량체인 경우 유리하다.
길이 가변형 손잡이조립체의 구성을 실시 예별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4의 제1 실시 예와 같이, 손잡이조립체(600)는 일측 선단이 개방된 삽입홈(625)이 상기 가동암(624)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암(622)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삽입홈(625)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고정암(622)과 가동암(624) 사이에 상기 고정암(622)에 대한 가동암(624)의 이동을 억제하거나 허용하는 길이조절유닛(640)을 갖춘 구성일 수 있다.
제1 실시 예에서 상기 길이조절유닛(640)은, 상기 삽입홈(625)에 삽입된 고정암(622) 선단의 체결구멍(641)과, 체결구멍(641)에 체결되는 노브(Knob, 643)가 달린 잠금볼트(642)를 포함하며, 잠금볼트(642)가 가동암(624)의 외측에서 상기 가동암(624)의 일면에 그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롯(626)을 통과해 상기 체결구멍(641)에 체결됨으로써 가동암(624)을 고정암(622)에 고정시키는 구성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실시 예는, 잠금볼트(642)를 풀어 가동암(624)을 릴리즈시킨 상태에서 고정암(622)에 대하여 가동암(624)의 길이를 조절한 후 다시 잠금볼트(642)를 조여주는 간단한 방법으로, 텔레스코픽 마스트의 최상단에 탑재되는 장비의 하중이나 운용자의 신체 조건에 맞춰 손잡이조립체(600)의 암(620)의 길이를 원하는 길이로 손쉽게 가변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도 15의 제2 실시 예와 같이 길이조절유닛(640)은, 삽입홈(625)에 삽입된 고정암(622)의 선단에 설치되는 잠금나사(644) 및 이와 체결되는 노브(643)가 달린 잠금너트(645)를 포함하며, 이때 잠금나사(644)는 가동암(624)의 일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롯(626, 도 10 참조)을 통과하여 가동암(624)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잠금너트(645)가 가동암(624)의 외측에서 상기 잠금나사(644)와 체결되어 가동암(624)을 고정암(622)에 고정시키는 구성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실시 예 역시, 잠금너트(645)를 풀어 가동암(624)을 릴리즈시킨 상태에서 고정암(622)에 대하여 가동암(624)의 길이를 조절한 후 다시 잠금너트(645)를 조여주는 간단한 방법으로, 텔레스코픽 마스트의 최상단에 탑재되는 장비의 하중이나 운용자의 신체 조건에 맞춰 손잡이조립체(600)의 암(620)을 원하는 길이로 손쉽게 가변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도 16의 제3 실시 예와 같이 길이조절유닛(640)은, 상기 고정암(622)의 일면에 길이 방향으로 연속해서 형성되는 요철면(646)과, 상기 가동암(624) 측에 힌지 레버 구조로 탄성 설치되고 상기 요철면(646)의 요홈 중 어느 한 요홈에 걸려 상기 고정암(622)에 대한 가동암(624)의 이동을 억제하는 잠금구(647a)를 갖는 잠금레버(647)로 이루어진 구성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제3 실시 예는, 잠금레버(647)의 누름단(647b)을 손으로 눌러 잠금구(647a)를 요홈으로부터 이탈시킨 상태에서 고정암(622)에 대하여 가동암(624)의 길이를 조절하고, 이후 잠금레버(647)를 누르고 있던 힘을 제거하면, 잠금레버(647)의 상기 잠금구(647a)가 길이 조절 후 대응되는 위치의 요홈에 삽입되어 구속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암(620)은 길이 조절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도 17의 제4 실시 예와 같이 길이조절유닛(640)은, 상기 가동암(624)에 형성되는 핀 구멍(648)과, 상기 고정암(622)에 길이 방향에 걸쳐 등 또는 부등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길이조절구멍(649), 그리고 서로 일치된 상기 핀 구멍(648)과 어느 한 길이조절구멍(649)을 동시에 관통하여 고정되는 고정핀(P)으로 이루어진 구성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제4 실시 예는, 고정핀(P)을 분리시킨 상태에서 가동암(624)을 이동시켜 길이를 조절한 뒤 길이 조절된 위치에서 서로 일치하는 핀 구멍(648)과 길이조절구멍(649)을 동시에 관통하도록 고정핀(P)을 끼우는 간단한 방법으로, 마스트 최상단에 탑재되는 장비의 하중이나 운용자의 신체 조건에 맞춰 손잡이조립체(600)의 암(620)을 원하는 길이로 손쉽게 가변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8의 제5 실시 예와 같이, 손잡이조립체(600)의 암(620)은 상기 고정암(622)과 가동암(624)이 길이조절레버(627)를 구비하는 길이조절관(626)을 통해 상호 연결되어 상기 길이조절관(626)에 의해 길이가 조절되는 구성일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암(622)의 일측에 제1 수나사(t1)(et1)가 형성되고, 상기 가동암(624)의 일측에는 상기 제1 수나사(t1)와 나사산 방향이 반대인 제2 수나사(t2)가 형성되며, 상기 길이조절관(626)의 일측 내주면에는 상기 제1 수나사(t1)에 대응하여 제1 암나사(t3)가 형성되고 타측 내주면에는 상기 제2 수나사(t2)에 대응하여 제2 암나사(t4)가 형성될 수 있다.
제5 실시 예에서 대응되는 제1 수나사(t1)와 제1 암나사(t3), 제2 수나사(t2)와 제2 암나사(t4)는 서로 나사 체결 방식으로 체결되며, 대응되는 수나사와 암나사가 상호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길이조절관(626)을 회전시키면, 상호 나선 체결방향이 반대인 일측과 타측의 수나사와 암나사에 의해 상기 가동암(624)이 고정암(622)에 근접하거나 고정암(622)으로부터 멀어짐으로써 암(620)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5 실시 예는, 길이조절관(626)을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원하는 만큼 회전시키는 간단한 방법으로, 마스트 최상단에 탑재되는 장비의 하중이나 운용자의 신체 조건에 맞춰 손잡이조립체(600)의 암(620)을 원하는 길이로 손쉽게 가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벨트로프식 텔레스코픽 마스트용 윈치에 의하면, 손잡이조립체가 힘 입력점인 손잡이와 힘 작용점인 결합구 사이의 거리를 가변시킬 수 있는 길이 가변형 구조로 구성됨에 따라, 탑재되는 장비의 하중이나 운용자의 신체 조건에 맞춰 손잡이조립체의 길이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으며, 따라서 텔레스코픽 마스트를 전개하는데 드는 힘과 속도를 운용 환경에 맞게 최적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손잡이조립체와 원동축조립체가 조작이 용이한 손잡이결합체를 통해 상호 결속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벨트로프를 감거나 풀기 위해 손잡이조립체를 빠르게 회전 조작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손잡이조립체의 임의 분리가 방지될 수 있으며, 장비 정비나 부품 교체 등을 위해 손잡이조립체를 분리시켜야 하는 상황에서는 상기 손잡이결합체의 단순 조작만으로 손잡이조립체를 원동축조립체로부터 쉽고 빠르게 분리시킬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드럼조립체 110 : 드럼
120 : 내접기어 130 : 감속기어
140 : 주축기어 200 : 종동축조립체
210 : 종동기어 220 : 래칫끼움축
230 : 원동축접속축 300 : 래칫
310 : 래칫휠 320 : 폴
400 : 원동축조립체 410 : 종동축접속축
420 : 손잡이고정대 500 : 축연결체
510 : 볼트결합부 520 : 멈춤볼트
521 : 볼트머리 550 : 손잡이결합체
560 : 손잡이고정홈부 570 : 손잡이탈착조작부
572 : 고정고리핸들 573 : 연결핀
574 : 고정고리수용부 574a : 하부몸체
574b : 상부덮개 574c : 수용홈
575a : 하부홀 575b : 상부홀
576 : 고정고리축 576a : 원판부
576b : 고정고리핀 576c : 핸들연결핀
600 : 손잡이조립체 610 : 결합구
612 : 고정대결합홀 614 : 결합구의 제1 측벽
620 : 암 622 : 고정암
624 : 가동암 626 : 길이조절관
627 : 길이조절레버 630 : 손잡이
640 : 길이조절유닛 641 : 체결구멍
642 : 잠금볼트 643 : 노브
644 :잠금나사 645 : 잠금너트
646 : 요철면 647 : 잠금레버
648 : 핀 구멍 649 : 길이조절구멍
700 : 마찰접속판 810 : 브라켓
811 : 관통공 812 : 지지면
820 : 제1커버 830 : 제2커버
P : 고정핀 S1 : 스프링

Claims (9)

  1. 벨트로프식 텔레스코픽 마스트를 전개시키기 위한 것으로, 벨트로프를 감거나 푸는 드럼과 상기 드럼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기어들을 구비하는 드럼조립체 및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한 힘을 전달하는 손잡이조립체를 포함하는 윈치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조립체는,
    운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파지면을 제공하고 상기 파지면을 통해 상기 힘이 입력되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를 통해 입력된 힘을 상기 드럼조립체 측에 회전력으로 전달하는 결합구와;
    일측에 상기 손잡이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에 상기 결합구가 단일 객체 형태로 구비된 암;을 포함하며,
    상기 암은 상기 결합구가 구비된 고정암과, 상기 손잡이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암에 대하여 암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가동암으로 구성되어 힘 입력점인 상기 손잡이와 힘 작용점인 상기 결합구 사이의 거리를 가변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한 힘은 상기 드럼조립체와 손잡이조립체 사이에 설치되는 원동축조립체와 종동축조립체를 거쳐 상기 손잡이조립체에서 드럼조립체로 전달되며,
    상기 원동축조립체를 구성하는 손잡이고정대에 상기 손잡이조립체의 결합구를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는 손잡이결합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결합체는,
    상기 손잡이고정대의 외면부 일부 영역에 형성되는 손잡이고정홈부와,
    상기 결합구에 설치되는 손잡이탈착조작부로 구성되고,
    상기 손잡이고정홈부에 손잡이탈착조작부의 고정고리축 일부가 삽입됨으로써 결합구와 손잡이고정대가 상호 결속되고, 상기 손잡이고정홈부으로부터 고정고리축이 완전히 이탈되면 결합구와 손잡이고정대 간의 결속이 해제되어 결합구를 손잡이고정대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로프식 텔레스코픽 마스트용 윈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탈착조작부는,
    상기 결합구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고정고리핸들과,
    상기 결합구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측벽 중 다른 부분에 비해 두꺼운 살 두께를 갖는 제1 측벽에 일부가 나사 결합되어 고정되는 고정고리수용부와,
    상기 고정고리수용부의 내측 수용홈에 일부가 승강 가능하게 수용되는 상기 고정고리축과,
    고정고리축과 고정고리수용부 사이에서 상기 고정고리축을 상기 손잡이고정대 방향으로 밀어내기 위한 탄성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로프식 텔레스코픽 마스트용 윈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고리수용부는,
    상기 제1 측벽에 나사 결합되며 내측에 상기 고정고리축의 일부를 승강 가능하게 수용하는 수용홈을 갖는 하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의 상단 개구를 덮도록 하부몸체의 상부에서 결합되는 상부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고리축의 하단과 상단 일부가 통과하는 하부홀과 상부홀이 상기 하부몸체의 바닥판 중앙과 상부덮개의 상판 중앙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로프식 텔레스코픽 마스트용 윈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고리축은,
    상기 수용홈에 배치되어 허용된 범위 안에서 아래 위로 움직이고 다른 부분에 비해 반경 방향으로 확장된 직경을 갖는 원판부를 포함하며,
    상기 원판부의 하면 중앙에서 상기 원판부와 단일 객체 형태로 고정고리핀이 하향 돌출되고,
    상기 고정고리핀 반대편의 원판부 상면 중앙에서 상기 원판부와 단일 객체 형태로 핸들연결핀이 상향 연장되며,
    상기 핸들연결핀의 상단 일부가 고정고리수용부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고리핸들에 연결핀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로프식 텔레스코픽 마스트용 윈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들은,
    상기 드럼과 동축 상에 결합되는 내접기어, 상기 내접기어와 기어접속되는 감속기어, 내접기어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감속기어와 동축 상에 결합되며 상기 종동축조립체의 종동기어와 기어접속되는 주축기어로 구성되며,
    상기 종동기어에서 드럼에 최종적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내접기어 사이의 최종 기어비(감속비)가 13:1 내지 15: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로프식 텔레스코픽 마스트용 윈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일측 선단이 개방된 삽입홈이 상기 가동암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암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삽입홈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고정암과 가동암 사이에 고정암에 대한 가동암의 이동을 억제 또는 허용하는 길이조절유닛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로프식 텔레스코픽 마스트용 윈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유닛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고정암 선단의 체결구멍과, 상기 체결구멍에 체결되는 노브가 달린 잠금볼트로 구성되며,
    상기 잠금볼트가 가동암의 외측에서 상기 가동암의 일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롯을 통과해 상기 체결구멍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로프식 텔레스코픽 마스트용 윈치.

KR1020220135915A 2022-10-20 2022-10-20 벨트로프식 텔레스코픽 마스트용 윈치 KR102600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5915A KR102600492B1 (ko) 2022-10-20 2022-10-20 벨트로프식 텔레스코픽 마스트용 윈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5915A KR102600492B1 (ko) 2022-10-20 2022-10-20 벨트로프식 텔레스코픽 마스트용 윈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0492B1 true KR102600492B1 (ko) 2023-11-08

Family

ID=88746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5915A KR102600492B1 (ko) 2022-10-20 2022-10-20 벨트로프식 텔레스코픽 마스트용 윈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0492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51454A1 (en) * 2003-06-12 2004-12-16 Weed Ronald Thomas Winch handle
KR100861080B1 (ko) 2007-06-29 2008-09-30 충무정밀 주식회사 윈치
US20100263476A1 (en) * 2008-12-11 2010-10-21 Peschmann Joseph J Adjustable handle for winch and jack
CN102659047A (zh) * 2012-05-09 2012-09-12 谢玉枝 绞车离合装置
KR101903021B1 (ko) * 2016-11-28 2018-10-01 대한민국(국민안전처 동해해양경비안전본부장) 휴대용 호이스트 장치
KR102172251B1 (ko) 2020-07-03 2020-10-30 이종희 벨트로프식 텔레스코픽 마스트
KR102190624B1 (ko) * 2019-02-21 2020-12-14 주식회사 휴니드 테크놀러지스 전동윈치의 역회전 방지 장치
KR102271893B1 (ko) * 2019-09-11 2021-07-01 주식회사 제이케이시스 송전 철탑 작업용 이동식 윈치 장치
US20210309497A1 (en) * 2018-10-09 2021-10-07 Feradyne Outdoors, Llc Winch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51454A1 (en) * 2003-06-12 2004-12-16 Weed Ronald Thomas Winch handle
KR100861080B1 (ko) 2007-06-29 2008-09-30 충무정밀 주식회사 윈치
US20100263476A1 (en) * 2008-12-11 2010-10-21 Peschmann Joseph J Adjustable handle for winch and jack
CN102659047A (zh) * 2012-05-09 2012-09-12 谢玉枝 绞车离合装置
KR101903021B1 (ko) * 2016-11-28 2018-10-01 대한민국(국민안전처 동해해양경비안전본부장) 휴대용 호이스트 장치
US20210309497A1 (en) * 2018-10-09 2021-10-07 Feradyne Outdoors, Llc Winch
KR102190624B1 (ko) * 2019-02-21 2020-12-14 주식회사 휴니드 테크놀러지스 전동윈치의 역회전 방지 장치
KR102271893B1 (ko) * 2019-09-11 2021-07-01 주식회사 제이케이시스 송전 철탑 작업용 이동식 윈치 장치
KR102172251B1 (ko) 2020-07-03 2020-10-30 이종희 벨트로프식 텔레스코픽 마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31524B2 (en) Gear reduction assembly and winch including gear reduction assembly
US7768473B2 (en) Strap driven field mast
US6554255B2 (en) Lifting gear
CN1142080C (zh) 自行车变速器用的开关
CA2722073C (en) Remotely-operated rope-threading tool
WO2014203416A1 (ja) 靴紐巻取用リール
US9873599B2 (en) Pulling device and method therefor
US20170320712A1 (en) Winch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US20070194290A1 (en) Device to enable rope pulling functionality using a rotational power source
US6899203B1 (en) Rope management apparatus
EP3369693B1 (en) Automatic reversing screw mechanism for cable winding
KR102600492B1 (ko) 벨트로프식 텔레스코픽 마스트용 윈치
JP2022527948A (ja) 柔軟なラインのための小型巻取り装置
US7080719B2 (en) Wrap spring brake
US20040113116A1 (en) Remote valve actuator
DE102007037376B3 (de) Aktor
KR20210031307A (ko) 송전 철탑 작업용 이동식 윈치 장치
US5228661A (en) Spare tire carrier and winch
KR20150003493U (ko) 와이어로프 타이밍 조정 기능을 갖는 윈치
US11713225B2 (en) Self-tailing winch
JP5992816B2 (ja) 保持解放機構
KR101516550B1 (ko) 케이블 벤딩장치
JP7116989B2 (ja) 電線牽引装置、および、電線架設方法
JPH10310375A (ja) ウインチ用ワイヤロープの張力付与装置
RU2783014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атяжения каната, сходящего с удаленно расположенного барабан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