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7455A - 적과 복숭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적과 복숭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7455A
KR20210057455A KR1020190144225A KR20190144225A KR20210057455A KR 20210057455 A KR20210057455 A KR 20210057455A KR 1020190144225 A KR1020190144225 A KR 1020190144225A KR 20190144225 A KR20190144225 A KR 20190144225A KR 20210057455 A KR20210057455 A KR 202100574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d
present
peach
antioxidant
peach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4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3481B1 (ko
Inventor
강연자
김진철
정용하
전동하
박상미
선용
김하은
장민정
백성환
편해옥
박가은
Original Assignee
(주)튜링겐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튜링겐코리아 filed Critical (주)튜링겐코리아
Priority to KR1020190144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3481B1/ko
Publication of KR20210057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74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3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34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05Corresponding aspects not provided for by any of codes A61K2800/81 - A61K2800/95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과 복숭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상기 항산화 및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한 적과 복숭아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적과 복숭아 추출물은 천연물질로서 인체에 무해하고, 폴리페놀류 및 플라보노이드류의 함량이 높을 뿐만 아니라 항산화 및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하므로, 항산화 및 주름 개선 용도로서 화장료, 식품, 의약품 또는 이들 제품의 보조 첨가제로서 유용하게 사용 가능하다.

Description

적과 복숭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anti-oxidating and anti-wrinkle comprising peach extracts}
본 발명은 적과 복숭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및 상기 항산화 및 주름 개선을 위한 적과 복숭아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라우레스 23과 폴리소르베이트 20이 혼합된 용매로 추출된 항산화 및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한 적과 복숭아 추출물의 제조 방법 및 상기 제조된 적과 복숭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및/또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각종 산화반응, 화학약품, 식품, 인체질환 및 방사선 등에 의해 슈퍼옥사이드(superoxide, O2 -), 하이드록실 라디칼(hydroxyl radical, ㅇOH) 및 과산화수소 (H2O2) 등과 같은 반응성이 큰 강한 활성산소와 프리 라디칼(free radical) 등이 생체 내에 생성되면 이들에 의해서 불포화 지방산이 다량 함유된 세포막의 지질이 산화되어 세포막에 지질 과산화물이 생성되게 된다. 세포막에 지질과산화물이 축적되면 세포막의 유동성과 기능성이 저하되어 세포의 전체적인 기능이 억제되고 세포의 구조도 변화하는 등 조직상에 국소적인 장해가 생기면서 각종 질환이 유발된다. 또한 활성산소와 프리 라디칼은 세포 구성성분인 핵산, 당 등을 변형 또는 파괴함으로써 암을 비롯하여 알코올성 간염 등의 간장 질환, 뇌혈관 장애로 인한 뇌졸중, 심근경색, 당뇨병성 혈관장애, 고지혈증, 급성염증, 류마티스 질환 등 각종 인체 질환의 원인이 되고 있다. 산소 자유라디칼에 의하여 원인이 될 수 있는 질환에는 암, 고혈압, 동맥경화 또는 심근경색과 같은 심혈관계 질환, 관절염, 류마티스성관절염, 파킨슨씨병, 뇌졸중, 아토피성 피부염, 당뇨병, 백내장, 노화, 자가면역질환, 간염, 신장염, 통풍, 뇌장애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활성산소는 세포를 손상시켜 신체 노화를 촉진하고 자외선을 쪼이게 되면 멜라닌 색소가 형성되는데, 신진대사가 잘 이루어지지 않으면 기미, 주근깨가 생기게 되고, 콜라겐도 산화시키면서 피부탄력이 약해진다. 또한 활성산소가 지방질과 결합하여 과산화지질이 형성되고 이 과산화지질이 혈관에 축적되어 혈류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간 및 신장에 과산화지질이 쌓이는 경우 염증이 발생할 수 있고, 과산화지질이 피부 각층에 작용하여 아토피성 피부염을 발생시키기도 한다.
또한 활성산소는 식품에 다량으로 존재하는 불포화 지방산 등과 반응하여 산패의 원인이 되어 식품의 안전성 및 고품질 유지에 결정적인 결함을 초래하기도 하며 각종 산화물에 의한 동식물의 산화적 스트레스, 미생물 발효시 발생하는 활성산소에 의한 수율저하 등 많은 분야에서 활성산소에 의한 문제가 야기되고 있다.
따라서 강력하면서도 독성이 없는 항산화 활성을 갖는 새로운 물질의 발견은 각종 질병의 치료제 개발이나 노화 방지용 화장품 첨가제 및 식품첨가제 등으로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다.
지금까지 지질과산화 저해제로는 BHT(butylated hydroxy toluene) 및 BHA(butylated hydroxy anisol) 등과 같은 합성 항산화제가 사용되어 왔으나, 이들 BHT나 BHA는 지질과산화 저해활성은 우수하나 암 또는 기형을 유발할 수 있는 가능성이 매우 높아 계속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천연 식물로부터 항산화 효과가 있는 물질을 분리하여 이용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Natural antioxidant from residual sources, Food Chem, 72, 145~171, 2001), 대표적인 천연 식물 유래 항산화제로는 로즈마리 추출물, 녹차 추출물 등이 있다. 또한, 감자껍질 추출물, 올리브박 및 포도씨 등이 항산화력을 나타낸다는 보고가 있다(Food Chem, 85, 215~220, 2004, Food Chem, 93, 197~204, 2005, Food Chem, 97, 472~479, 2006).
그러나 이와 같이 다양한 천연 식물로부터 유래한 항산화제 물질에 대한 사회적, 기술적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시장 내에서 안정적으로 공급되고 있는 천연 식품 유래 항산화제는 녹차 추출물, 로즈마리 추출물 등 몇 개에 국한되어 있는 실정이고, 제조단가가 높아 대중이 사용하기에는 부적절한 측면이 있었다.
피부는 노화가 일차적으로 나타나는 기관으로 이를 지연 또는 예방하기 위하여 화장품 영역에서도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통상적으로 피부노화는 25세를 전후하여 진행되기 시작하여 40세를 전후한 시기에 본격적으로 피부노화가 진행된다. 피부노화의 대표적 현상으로 피지 분비량이 감소되어 피부가 건조해지고, 세포 재생이 늦어지고, 노화 각질이 많이 쌓여서 피부가 거칠어지는 특징이 있다. 또한, 표피를 지탱해주는 콜라겐의 합성양이 감소되고 엘라스틴(탄력섬유)이 변성되어 주름이 생긴다. 아울러, 피부색이 얼룩지거나 기미, 검버섯 등의 색소 침착 증상이 나타나며, 표피가 얇아져서 피부보호 기능이 약화된다. 그 밖의 현상으로는 피부 두께의 감소와 관련된 피부 장벽작용(Barrier Effect)의 저하로 인한 피부 트러블의 증가를 들 수 있다. 피부노화와 관련된 연구는 크게 피부노화의 주요원인이 되는 자외선과 활성산소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소재, 피부주름개선 소재, 피부탄력 증진 소재, 피부 표피와 진피 접합부(Dermal-Epidermal Junction, DEJ) 강화에 관련된 소재로 분류하여 심도 깊게 연구되고 있다.
피부에 노화가 진행되면 진피의 변화가 현저하게 나타나며, 70세 이후 나타나는 진피위축은 대표적인 노화현상이다. 진피의 변화는 섬유아세포(fibroblast)의 숫자와 이들의 합성 능력의 감소로 인하여 세포 외 기질 중 큰 분자량을 가진 물질들의 변화로 발생된다. 그 구체적인 변화는 콜라겐 다발의 분리, 점다당질 합성감소, 콜라겐과 탄력섬유(elastin) 수와 직경 감소, 콜라겐과 탄력섬유 분해 및 혈관의 팽창 등을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피부의 수분 함유량, 콜라겐 함유량 및 외부 환경에 대한 면역 작용 능력 등 여러 가지 복합적인 요인들 중 주름의 형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콜라겐의 생성량과 콜라겐의 함량을 감소시키는 콜라겐 분해 효소인 콜라게네이즈의 발현량과 활성이다. 콜라게네이즈는 기질단백질 분해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금속단백분해효소(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 그룹에 속한다. 이러한 콜라게네이즈는 자외선, 성장인자, 염증성 사이토카인, 포르볼 에스테르(phorbol ester)에 의해 발현이 촉진되어 제1,2,3,5형 교원질(collagen)을 분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자외선에 의한 광노화에 주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밖에 금속단백분해효소(MMPs)는 4형 교원섬유(MMP-2,-3), 탄력섬유(MMP-2), 또는 피브로넥틴(fibronectin)이나 라미닌(laminin, MMP-3)과 같은 기질단백질을 분해하며, 노화된 피부에서 발현이 현저히 증가됨을 관찰할 수 있다. 따라서 금속단백분해효소의 활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소재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엘라스틴(elastin) 섬유는 콜라겐과 가교 결합을 형성하며 피부 탄력에 관여하고 있는 주름 생성에 중요한 피부 구성성분이다. 엘라스틴 섬유의 결핍과 응집, 엘라스틴 분해 효소인 엘라스타제(elastase)의 활성도의 현격한 증가는 피부 주름생성 요인 중의 하나로 밝혀지고 있다. 엘라스타제는 엘라스틴을 분해할 수 있는 유일한 효소로서 이에 대한 저해는 피부 주름개선을 근본적으로 줄여줄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피부의 세포는 생체 내에서 필요한 에너지 공급을 위해 인간의 생체 내에서 필요한 에너지 공급을 위해 끊임없이 일어나는 생화학 반응에서 발생하는 활성산소종에 의해 산화적 스트레스가 가해지게 되면, 세포 구성 성분들인 지질, 단백질, 탄수화물과 DNA 산화적 손상 및 효소활성을 변화시켜 피부암 등의 각종 질병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며, 노화를 촉진시킨다.
따라서, 화장품 분야에서는 항산화 및 주름개선 효과를 가지는 기능성 화장품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피부에 독성이나 자극을 주지 않기 위하여 천연 물질을 이용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한편, 복숭아(peach)는 복사나무(Prunus persica)의 열매로서 핵과(核果)이며 7 ~ 8월에 익어 식용한다. 복숭아의 주성분은 수분과 당분이며 타타르산·사과산·시트르산 등의 유기산이 1% 가량 들어 있고, 비타민 A와 폼산·아세트산·발레르산 등의 에스터와 알코올류ㅇ알데하이드류ㅇ펙틴 등도 풍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과육에는 유리 아미노산이 많이 들어 있는데, 특히 아스파라진산이 많으며, 복숭아 특유의 향은 에스터·알코올류·알데하이드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한다.
복숭아 재배 농가는 수확을 하기 5월경에 복숭아의 상품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한 가지에 튼튼한 복숭아 열매 한개만 남기고 모두 제거하는 적과 작업을 한다. 이렇게 적과된 복숭아는 특별히 사용되지 않고 산업폐기물로 분류되어 버려진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이처럼 버려지는 적과 복숭아의 활용을 위하여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던 중 특정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된 적과 복숭아 추출물이 주름 개선 효과가 매우 우수하다는 사실을 밝혀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56669호 (2007.09.10.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29117호 (2014.09.22.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041927호 (2007.04.20.공개)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적과 복숭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적과 복숭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상기 항산화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식품 조성물 또는 항산화용 식품 첨가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상기 항산화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항산화용 의약품 첨가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상기 항산화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또는 항산화용 화장료 첨가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상기 주름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상기 주름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항산화성 및/또는 주름 개선용 적과 복숭아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적과 복숭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및/또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적과 복숭아(peach)는 미성숙 복숭아로서 복사나무로부터 성숙 복숭아 수확 전 복숭아의 상품성을 위하여 한 가지에서 1 ~ 3개의 복숭아 열매를 제외하고 솎아내어 가지로부터 제거한 복사나무 열매이거나 바람 등의 외부 환경에 의하여 가지에서 떨어진 복사나무 열매를 말한다.
본 발명의 적과 복숭아 추출물은 계면활성제가 첨가된 물을 용매로 사용하여 추출한 물질로서, 추출한 물질은 추출 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추출액, 추출액의 희석액 또는 농축액,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이들의 조정제물 또는 정제물일 수 있다. 상기 추출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냉침 추출, 초음파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적과 복숭아 추출물은 상기 추출용매에 의하여 추출하는 방법 외에 통상적인 정제과정을 거쳐서도 수득할 수 있다. 예컨대,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을 통하여서도 적과 복숭아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에 따르면, 상기 적과 복숭아 추출물은 적과 복숭아를 분쇄한 후 계면활성제, 바람직하게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물에 첨가된 용매를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추출 용매의 양은 적과 복숭아에 대해 2 내지 50배의 부피비,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0배로 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추출 용매의 양을 사용하여야만 최적의 수율 및 유용성분의 함량이 많은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적과 복숭아 추출물의 추출 용매인 계면활성제가 첨가된 물은 계면활성제가 전체 중량에서 8 내지 12중량%, 바람직하게 9 내지 11중량%, 보다 바람직하게 9.5 내지 10.5중량%, 가장 바람직하게 10중량%로 포함된다. 상기 범위 내로 계면활성제가 포함되어야만 적과 복숭아 추출물의 수율이 우수하고 적과 복숭아 추출물 중의 폴리페놀류 및 플라보노이드류의 함량이 높을 뿐만 아니라 적과 복숭아 추출물의 주름 개선 효과가 매우 우수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한데, 이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으나, 예를 들면 알킬렌옥사이드부가물형, 다가알코올형, 알킬렌옥사이드부가물-다가알코올형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알킬렌옥사이드부가물형은 라우레스-7, 라우레스-9, 라우레스-23, 세테스-10, 세테스-20, 이소세테스-20, 세테아레스-12, 세테아레스-20, 세테아레스-25, 세테아레스-30, 스테아레스-10, 스테아레스-20, 올레스-10, 올레스-20, PEG-20 스테아레이트, PEG-30 스테아레이트 및 PEG-40 스테아레이트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며, 상기 다가알코올형은 글리세롤, 1,2-프로필렌 글리콜, 소르비톨, 부틸렌 글리콜 및 헥실렌 글리콜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으며, 상기 알킬렌옥사이드부가물-다가알코올형은 폴리소르베이트 20, 폴리소르베이트 40, 폴리소르베이트 60, 폴리소르베이트 80, PEG-20 글리세릴 이소스테아레이트, PEG-40 캐스터 오일, PEG-40-수소화된 캐스터 오일및 PEG-60-수소화된 캐스터 오일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계면활성제는 알킬렌옥사이드부가물형과 알킬렌옥사이드부가물-다가알코올형의 혼합물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계면활성제는 라우레스-23과 폴리소르베이트 20의 혼합물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계면활성제는 라우레스-23과 폴리소르베이트 20이 동일한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적인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적과 복숭아 추출물은 적과 복숭아를 분쇄한 후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첨가된 물을 30배의 부피비로 첨가하여 20 내지 70℃, 바람직하게 20 내지 30℃ 또는 50 내지 70℃에서 20 내지 30시간, 바람직하게는 22 내지 26시간 동안 침지 추출한 후 회수한 다음 여과지로 여과하고 농축하여 적과 복숭아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적과 복숭아 추출물이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01 내지 5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3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적과 복숭아 추출물의 함량이 0.001 중량% 미만일 경우 본 발명의 목적인 항산화 및 주름 개선 효과를 수득할 수 없으며, 50 중량%를 초과할 경우 함량의 증가에 따라 효과가 비례적이지 않아 비효율적일 수 있으며 제형상의 안정성이 확보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과 복숭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므로 산소 자유라디칼에 의하여 원인이 될 수 있는 개체의 질환 또는 상태를 예방, 치료 또는 개선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산소 자유라디칼에 의하여 원인이 될 수 있는 질환 또는 개체의 상태는 암, 고혈압, 동맥경화 또는 심근경색과 같은 심혈관계 질환, 관절염, 류마티스성관절염, 파킨슨씨 병, 뇌졸중, 아토피성 피부염, 당뇨병, 백내장, 노화, 자가면역질환, 간염, 신장염, 통풍, 뇌장애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활성산소는 세포를 손상시켜 신체 노화를 촉진하고 자외선을 쪼이게 되면 멜라닌 색소가 형성되는데, 신진대사가 잘 이루어지지 않으면 기미, 주근깨가 생기게 되고, 콜라겐도 산화시키면서 피부탄력이 약해진다. 또한 활성산소가 지방질과 결합하여 과산화지질이 형성되고 이 과산화지질이 혈관에 축적되어 혈류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간 및 신장에 과산화지질이 쌓이는 경우 염증이 발생할 수 있고, 과산화지질이 피부각층에 작용하여 아토피성 피부염을 발생시키기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항산화용 조성물은 상기 개체의 질환이나 상태의 예방, 완화, 개선 또는 치료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적과 복숭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주름 생성의 원인 중의 하나인 엘라스타제 및 콜라게나제의 활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하므로 개체의 피부 주름을 효고적으로 예방, 치료 및 개선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개체는 인간을 포함한 원숭이, 돼지, 말, 소, 마우스 등의 포유동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된 적과 복숭아 추출물은 식용이 가능한 적과 복숭아로부터 유래한 천연 물질로서 세포독성이 거의 없으므로 인간을 포함한 포유동물에 안전하게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적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적과 복숭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양태에 따른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서 산소 자유라디칼에 의하여 원인이 될 수 있는 피부 상태의 악화, 즉 피부의 노화 등을 개선하거나 예방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적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적과 복숭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의 적과 복숭아 추출물 이외에 화장품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 예컨대 안정화제, 가용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추가로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영양 크림, 수렴 화장수, 유연 화장수, 로션, 에센스, 영양젤 또는 마사지 크림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검,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가용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검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구체적 양태로서, 본 발명은 적과 복숭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첨가제를 제공한다.
상기 항산화용 화장료 첨가제는 화장료에 그 화장료 자체의 산패를 방지하는 항산화 용도 또는 그 화장료가 적용되는 피부에서 산소 자유라디칼 형성을 억제하는 항산화 용도로서 보조적으로 첨가될 수 있는 구성 요소를 의미하며, 제조되는 화장료의 유형 등을 고려하여 당업자가 적절히 선택 및 함량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구체적 양태로서, 본 발명은 적과 복숭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및/또는 주름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항산화용 및/또는 주름 개선용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적과 복숭아 추출물뿐만 아니라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적과 복숭아 추출물 이외에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두충 추출액, 대추 추출액, 감초 추출액 등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구체적 양태로서, 본 발명은 적과 복숭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또는 주름 개선용 식품 첨가제를 제공한다.
상기 항산화용 식품 첨가제는 식품에 그 식품 자체의 산패를 방지하는 항산화 용도 또는 그 식품이 음용하는 개체에서 산소 자유라디칼 형성을 억제하는 항산화 용도로서 보조적으로 첨가될 수 있는 구성 요소를 의미하며, 제조되는 식품의 유형 등을 고려하여 당업자가 적절히 선택 및 함량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구체적 양태로서, 본 발명은 적과 복숭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산소 자유라디칼에 의하여 원인이 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산소 자유라디칼에 의하여 원인이 되는 질환은 상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적과 복숭아 추출물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 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비경구 투여,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포에 의한 국부 투여(topical application) 방식으로 적용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별,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성인 기준으로 0.001-100 ㎎/kg 범위 내이다. 또한 외용제인 경우에는 성인 기준으로 1.0 내지 3.0 ml의 양으로 1일 1회 내지 5회 도포하여 1개월 이상 계속 하는 것이 좋다. 다 만, 상기 투여량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 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시럽제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시르제, 산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구체적 양태로서, 본 발명은 적과 복숭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의약품 첨가제를 제공한다.
상기 항산화용 의약품 첨가제는 화장료에 그 의약품 자체의 산패를 방지하는 항산화 용도 또는 그 의약품이 적용되는 개체에서 산소 자유라디칼 형성을 억제하는 항산화 용도로서 보조적으로 첨가될 수 있는 구성 요소를 의미하며, 제조되는 의약품의 제형 및 투여량 등을 고려하여 당업자가 적절히 선택 및 함량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폴리페놀류 및 플라보노이드류의 함량이 높고 항산화 및/또는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한 적과 복숭아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하나의 구체적 양태로서, 본 발명의 적과 복숭아 추출물 제조 방법은 (S1) 계면활성제가 물에 첨가된 용매를 적과 복숭아에 첨가하는 단계; 및 (S2) 상기 용매와 적과 복숭아의 혼합물을 상온에 정치하거나 가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적과 복숭아 추출물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S1) 단계는, 계면활성제가 물에 첨가된 용매를 적과 복숭아에 첨가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적과 복숭아는 상술한 바와 같이 미성숙 복숭아로서 복사나무로부터 성숙 복숭아 수확 전 복숭아의 상품성을 위하여 한 가지에서 1 ~ 3개의 복숭아 열매를 제외하고 솎아내어 가지로부터 제거한 복사나무 열매이거나 바람 등의 외부 환경에 의하여 가지에서 떨어진 복사나무 열매이다.
상기 적과 복숭아는 그 자체로서 용매가 첨가될 수 있으나 추출 수율의 증가 등을 고려하면 일정 크기로 절단되거나 분쇄 또는 미분쇄된 형태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한데, 이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으나, 예를 들면 알킬렌옥사이드부가물형, 다가알코올형, 알킬렌옥사이드부가물-다가알코올형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알킬렌옥사이드부가물형은 라우레스-7, 라우레스-9, 라우레스-23, 세테스-10, 세테스-20, 이소세테스-20, 세테아레스-12, 세테아레스-20, 세테아레스-25, 세테아레스-30, 스테아레스-10, 스테아레스-20, 올레스-10, 올레스-20, PEG-20 스테아레이트, PEG-30 스테아레이트 및 PEG-40 스테아레이트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며, 상기 다가알코올형은 글리세롤, 1,2-프로필렌 글리콜, 소르비톨, 부틸렌 글리콜 및 헥실렌 글리콜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으며, 상기 알킬렌옥사이드부가물-다가알코올형은 폴리소르베이트 20, 폴리소르베이트 40, 폴리소르베이트 60, 폴리소르베이트 80, PEG-20 글리세릴 이소스테아레이트, PEG-40 캐스터 오일, PEG-40-수소화된 캐스터 오일및 PEG-60-수소화된 캐스터 오일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계면활성제는 알킬렌옥사이드부가물형과 알킬렌옥사이드부가물-다가알코올형의 혼합물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계면활성제는 라우레스-23과 폴리소르베이트 20의 혼합물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계면활성제는 라우레스-23과 폴리소르베이트 20이 동일한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계면활성제가 물에 첨가된 용매는 계면활성제가 전체 중량에서 8 내지 12중량%, 바람직하게는 9 내지 11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0중량%로 물에 첨가된 용매이다. 상기 함량 범위에서 계면활성제가 첨가되는 경우만이 적과 복숭아 추출물의 수율이 우수하고 적과 복숭아 추출물 중의 폴리페놀류 및 플라보노이드류의 함량이 높을 뿐만 아니라 적과 복숭아 추출물의 항산화 및/또는 주름 개선 효과가 매우 우수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계면활성제가 물에 첨가된 용매는 적과 복숭아 전체 중량 대비 2 내지 50배의 부피비,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0배로 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추출 용매의 양을 사용하여야만 최적의 수율 및 유용성분의 함량이 많은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S2) 단계는, 상기 (S1) 단계의 용매와 적과 복숭아의 혼합물을 상온에 정치하거나 또는 가온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온은 20 내지 30℃이며, 상기 가온은 상온에서 50 내지 70℃로 혼합물의 온도를 상승하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적 실시에서, 상기 (S1) 단계의 용매와 적과 복숭아의 혼합물을 상온에 정치하거나 50 내지 70℃로 가온한 경우 적과 복숭아 추출물의 수율이 우수하고 적과 복숭아 추출물 중의 폴리페놀류 및 플라보노이드류의 함량이 높을 뿐만 아니라 적과 복숭아 추출물의 항산화 및/또는 주름 개선 효과가 매우 우수하였다.
상기 (S2) 단계는 20 내지 30시간, 바람직하게는 22 내지 26시간 동안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는 당업계에서 계면활성제의 종류 및 함량, 적과 복숭아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조절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반드시 상기 시간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적과 복숭아 추출물은 에탄올이 함유된 용매 또는 열수 용매 등을 사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에 비하여 적과 복숭아 추출물의 수율이 우수하고 적과 복숭아 추출물 중의 폴리페놀류 및 플라보노이드류의 함량이 높을 뿐만 아니라 적과 복숭아 추출물의 항산화 및/또는 주름 개선 효과가 현저히 우수한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적과 복숭아 추출물은 천연물질로서 인체에 무해하며,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장기간 사용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한 바와 같은 화장료 및 식품 조성물에 안전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과 복숭아 추출물은 천연물질로서 인체에 무해하고, 폴리페놀류 및 플라보노이드류의 함량이 높을 뿐만 아니라 항산화 및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하므로, 항산화 용도로서 화장료, 식품 및 의약품, 또는 이들 제품의 보조 첨가제로서 사용 가능하거나 피부의 주름 개선 용도로서 화장료 및 식품 유형으로 유용하게 사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과 복숭아 추출물의 제조 공정을 도시화한 그림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과 복숭아 추출물의 추출 조건에 따른 플라보노이드 총 함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과 복숭아 추출물의 추출 조건에 따른 폴리페놀 총 함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과 복숭아 추출물의 추출 조건에 따른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과 복숭아 추출물의 추출 조건에 따른 ABTS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과 복숭아 추출물의 추출 조건에 따른 SOD 활성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과 복숭아 추출물의 추출 조건에 따른 과산화수소 소거능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과 복숭아 추출물의 추출 조건에 따른 엘라스타제 활성 저해 효과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과 복숭아 추출물의 추출 조건에 따른 콜라게나제 활성 저해 효과를 나타낸 그림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적과 복숭아 추출물 제조 및 최적 조건 확립
본 실험에 사용된 적과 복숭아는 경상북도 청도군에 위치한 복숭아농가에서 채취하여 실험 재료로 사용하였다. 채취된 적과 복숭아는 세척 후 씨를 분리하여 동결건조 후 분쇄하여 분말화한 후, 냉동 보관하여 본 실험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적과 복숭아로부터 유용 성분, 예로 플라보노이드류와 폴리페놀류 등의 추출을 위한 용매를 선정하기 위하여, 다양한 용매를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라우레스-23(Laureth-23)과 폴리소르베이트 20(Polysorbate-20)를 선정하고 이들 선정된 용매에 의한 최적 추출 조건을 실험하였다.
구체적으로, 적과 복숭아 분쇄 파우더 1g 에 30배 중량의 용매(Laureth-23: Polysorbate 20이 수중에 1: 1로 혼합됨)를 첨가하여 각각 상온과 60℃에서 24시간 추출하여 상등액과 침전물을 분리하면서 3회 반복 추출하였다(도 1 참조). 이후 4℃ 냉장실에 보관하여 본 실험의 시료로 사용하여 화장품 약리활성 평가를 통해 최적 추출조건을 결정하였다.
한편, 본 명세서 및 도면에 기재된 축어의 의미를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PR-1 :
24℃에서 추출용매 1중량%가 물에 용해된 용매로 제조한 적과 복숭아 추출물(Prunus persica Extraction Surfactant(1% in Water) at 24℃)
PH-1 :
60℃에서 추출용매 1중량%가 물에 용해된 용매로 제조한 적과 복숭아 추출물(Prunus persica Extraction Surfactant(1% in Water) at 60℃)
PR-5 :
24℃에서 추출용매 5중량%가 물에 용해된 용매로 제조한 적과 복숭아 추출물(Prunus persica Extraction Surfactant(5% in Water) at 24℃)
PH-5 :
60℃에서 추출용매 5중량%가 물에 용해된 용매로 제조한 적과 복숭아 추출물(Prunus persica Extraction Surfactant(5% in Water) at 60℃)
PR-10 :

24℃에서 추출용매 10중량%가 물에 용해된 용매로 제조한 적과 복숭아 추출물(Prunus persica Extraction Surfactant(10% in Water) at 24℃)
PH-10 :

60℃에서 추출용매 5중량%가 물에 용해된 용매로 제조한 적과 복숭아 추출물(Prunus persica Extraction Surfactant(10% in Water) at 60℃)
PE :
24℃에서 70% 에탄올을 용매로 제조한 적과 복숭아 추출물(24Prunus persica Extraction 70% Ethanol at 24℃)
PW :
95℃에서 열수를 용매로 제조한 적과 복숭아 추출물(Prunus persica Extraction Water at 95℃)
실시예 2: 적과 복숭아 추출물의 지표성분 정량분석
2-1.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
플라보노이드(Flavonoid) 함량은 적과복숭아 추출물 0.1ml에 10% 질산알루미늄(aluminum nitrate) 0.1ml, 1M의 아세트산칼륨(potassium acetate) 0.1ml 그리고 80% 에탄올(ethanol) 4.7.ml을 가하여 25℃에서 40분간 반응시킨 후 41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정량은 퀘르세틴(quercetin; Sigma Co.,USA)을 이용하여 최종농도가 0-500ug/ml가 되도록 취하여 위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한 검량선으로부터 산출하여 함유된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구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를 표 2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추출 용매 플라보노이드 함량 (mg QE/g)1)
PR-1 132.27
PH-1 118.73
PR-5 144.53
PH-5 133.87
PR-10 161.40
PH-10 161.60
PE 141.8
PW 143.73
1)QE standards for Quercetin equivalents
2-2 총 폴리페놀 함량 측정
폴리페놀 정량은 100배 희석한 적과복숭아 추출물 3ml에 폴린-시오칼테유 페놀 시약(Folin-Ciocalteu phenol reagent) 1ml를 가하고, 1N HCI 0.2ml을 넣은 후, 포화용액 Na2CO3 1ml을 가하여 혼합한 후 1시간 실온에서 방치하고, 6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후, 표준물질인 탄닌산(Tannic acid)으로 미리 작성한 표준곡선의 흡광도 값과 비교하여 폴리페놀 함량을 산출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를 표 3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추출 용매 총 폴리페놀 함량 (mg TAE/g)1)
PR-1 3.76
PH-1 1.93
PR-5 80.95
PH-5 88.53
PR-10 117.67
PH-10 119.58
PE 4.41
PW 11.70
1)TAE standards for tannic acid equivalents
상기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추출 용매로서 물에 라우레스-23과 폴리소르베이트 20 이 10중량% 용해된 용매에서 플라보노이드 및 총 폴리페놀 함량이 가장 우수하였다. 추출 온도는 플라보노이드 및 총 폴리페놀 함량에 큰 영향은 없었다.
실시예 3: 적과 복숭아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측정
3-1. DPPH radical 소거능 측정
DPPH(2,2-diphenyl-1-picrylhydrazyl) 라디칼을 이용한 항산화능 측정법은 주로 phenlic 구조와 aromatic amine 화합물에서 많이 사용되는 방법이다. DPPH alcohol 용액은 517nm에서 가장 강한 UV 흡수가 있으며 실온에서 매우 안정한 유리 라디칼이다. 전자공여체로부터 전자나 hydrogen radical을 받아 phenoxy radical을 생성하게 됨으로써 517nm에서 나타났던 DPPH의 특이적인 흡수 band가 사라지게 된다. 가시적인 DPPH의 보라색은 분자의 몰수에 비례하여 노란색으로 변하게 된다.
본 실험의 DPPH radical 소거능, 즉 전자공여능(EDA; electron donating ability)은 Blois의 방법(1958)에 따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각 시료용액 2ml에 0.2mM의 DPPH 1ml를 넣고 교반한 후 30분간 방치한 다음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전자공여능은 시료용액의 첨가구와 무첨가군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내었다. 이에 대한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적과 복숭아 추출물의 모든 샘플군에서 농도가 증가할수록 활성이 증가하였고, 최고 농도인 적과복숭아 추출물 함유 50%에서 PR-10 및 PH-10이 각각 81.7% 및 85.4%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대조군인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과 유사한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3-2. ABTS radical cation 소거능 측정
ABTS 라디칼 소거능은 추출물들의 상대적인 항산화효과 측정인 hydrogen-donating antioxidant와 chain breaking antioxidant 모두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aqueous phase 모두에 적용이 가능하며 표준물질 사용으로 추출물의 상대비교가 가능하도록 potassium persulfate와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ABTS+ free radical이 추출물속의 항산화 물질에 의해 제거되어 radical 특유의 색인 청록색이 탈색되는 것을 이용한다.
본 실험의 ABTS radical을 이용한 항산화력 측정은 ABTS+ cation decolorization assay 방법(Roberta,et al., 1999)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7mM 2,2-azino-bis(3-ethylbenzthiazoline-6-sulfonic acid)와 2.4mM potassium persulfate를 혼합하여 실온인 암소에서 24시간 동안 방치하여 ABTS+을 형성시킨 후 ethanol로 희석하여 ABTS+ 100ul에 시료 100ul를 가하여 1분 동안 방치한 후 734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적과 복숭아 추출물의 ABTS+ radiacal 소거 활성은 농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고, 최고 농도인 적과 복숭아 추출물 50% 함유에서 대부분의 샘플군이 90% 이상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그중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낸 PR-10과 PH-10은 각각 99.3%와 100%로 양성 대조군인 vitamin C 보다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3-3. Superoxide dismutase(SOD) 유사활성 측정
항산화 효소 중의 하나인 superoxide dismutase(SOD)는 생체에 매우 유해한 superoxide anioin radical과 반응하여 hydrogen peroxide(H2O2)를 생성하는 효소로, 산소를 소비하는 모든 생물 종에 존재하여 생체 내에서 활성산소 장애에 대한 방어 작용을 하는 대표적인 활성산소 저해제이다. 또한 SOD는 자유 라디칼을 근본적으로 제거하는 효소이고 다른 종류의 항산화제보다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에 의약제재로서 많은 관심을 일으키고 있으며, 현재 항염증 제재나 피부 노화방지를 위한 미용제재로 화장품 등에 이용되고 있다.
본 실험의 SOD 유사활성은 Marklund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각 시료용액 0.2ml에 Tris-HCI 완충용액(50mM tris+10mM EDTA, pH 8.5) 2.6ml와 7.2mM pyrogallol 0.2ml 가하여 25℃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1M HCI 0.1ml를 가하여 반응을 정지시키고 반응액 중 산화된 pyrogallol의 양을 420nm에서 측정하였다. SOD 유사활성은 시료용액의 첨가구과 무첨가구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최고 농도인 적과 복숭아 추출물 50% 함유 추출물에서 PR-10이 46.4%, PH-10이 47.0%로 SOD 유사활성 효과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상기 실험들과 마찬가지로 라우레스-23과 폴리소르베이트 20로 이루어진 용매의 함량이 높을수록 활성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3-4. 과산화수소 소거능 측정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는 산소의 환원대사물질로서 미토콘드리아나 peroxisome 등의 정상세포로부터 형성 되거나 다양한 외부 요소에 의해 형성되는데, DNA 및 단백질 손상을 유발하거나 생체막 구성 성분인 불포화 지방산을 공격하여 과산화 지질을 생성함으로써 생체기능 저하 또는 노화 및 성인병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실험의 Hydrogen peroxide 저해활성은 Hydrogen peroxides assay(Jayaprakasha et. al., 2004)에 의해 측정하였다. 농도별 시료용액 1ml과 phosphate-buffer saline(PBS at pH 7.4)에 녹인 40mM hydrogen peroxide solution 2ml을 37℃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반응액 중에 저해된 hydrogen peroxide의 양을 23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적과 복숭아 추출물의 대부분의 샘플군에서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적과 복숭아 추출물이 50%인 농도에서 90% 이상의 소거활성 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PR-10이 98.5%, PH-10이 97.2%로 아주 높은 소거 활성효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4: 적과 복숭아 추출물의 주름개선 활성 평가
4-1. 엘라스타제 저해능 실험
엘라스타제(Elastase)는 단백질인 엘라스틴을 분해하는 효소로 다른 중요한 기질 단백질인 콜라겐을 분해 할수 있는 비특이적 가수분해 효소이다. 피부의 진피조직 속에는 Collagen과 피부의 탄력성에 관련된 elastin이 그물망 구조를 형성하고 있는데, elastin이 elastase에 의해 분해되어 피부의 그물망 구조 결합이 끊어짐으로, elastase가 주름생성의 주원인 효소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체내의 elastin을 분해하는 백혈구 과립 효소 중의 하나로 이상조직에서는 효소의 활성이 극히 높아 조직 파괴에 직접적인 원인이 되어 피부의 주름 및 탄력성 소실을 유발한다. 이에 적과 복숭아 추출물의 주름 개선 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적과 복숭아 추출물의 엘라스타제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적과 복숭아 추출물을 일정 농도가 되도록 조제하여 0.5ml씩 시험관에 취하고, 50mM tris-HCI buffer(pH. 8.6)에 녹인 돼지 췌장 유래 엘라스타제(porcine pancreas elastase; 2.5U/ml) 용액 0.5ml을 가한 후 50mM tris-HCI buffer (pH 8.6)에 녹인 기질 N-succinyl-(L-Ala)3-p-nitroanilide (0.5mg/ml)을 첨가하여 20분간 반응시켜 기질로부터 생성되는 p-nitroanilide의 생성량을 405nm에서 측정하였다. 엘라스타제 저해 활성은 시료용액의 첨가구와 무첨가구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내었다.
그에 대한 결과를 도 8에 나타내었다. 적과 복숭아 추출물의 모든 샘플군이 농도가 증가할수록 엘라스타제 저해 활성이 증가하였다. 특히 PR-10이 68.1%의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고, PH-10은 70%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는 양성 대조군인 EGCG와 유사한 활성을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적과 복숭아 추출물은 뛰어난 엘라스타제 저해 활성을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4-2. 콜라게나제 저해능 실험
콜라겐(collagen)은 대부분 피부의 진피층에 존재하며, 피부 전체 건조중량의 약 70~80%를 차지하고 있어, 세포외 기질의 대부분을 차지하면서 피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자연노화에 따른 세포 활성의 감소와 같은 내적 요인에 의해 콜라겐의 생합성이 감소되고, 여러 가지 유해 환경에 의한 스트레스의 증가 및 태양 광선에 의한 활성 산소종의 증가와 같은 외적 요인에 의해 분해가 가속화 되어 피부 기질이 파괴되면서 주름이 생성된다. 이러한 콜라겐은 연령 및 자외선 조사에 의한 광노화에 의해 감소하며, 이는 피부 주름 형성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적과 복숭아 추출물에 대하여 콜라겐을 분해하는 효소인 콜라게나제(collagenase)의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반응구는 0.1M tris-HCI buffer(pH 7.5)에 4mM CaCl2를 첨가하여, 4-phenylazobenzylozycarbonyl-pro-Leu-Gly-pro-D-Arg (0.3mg/ml)를 녹인 기질액 0.25ml 및 시료(적과 복숭아 추출물) 용액 0.1ml의 혼합액에 콜라게나제(0.2mg/ml) 0.15ml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20분간 정치한 후 6% citiric acid 0.5ml을 넣어 반응을 정지 시킨 후, ethyl acetate 1.5ml을 첨가하여 32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콜라게나제 저해활성은 시료 용액의 첨가구와 무첨가구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내었다.
그에 대한 결과를 도 9에 나타내었다. 양성 대조군을 포함한 모든 샘플군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콜라게나제 저해활성이 증가하였다. 또한 상기 실시예 3-1과 같이 PR-10과 PH-10이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양성 대조군인 우르솔산(ursolic acid)의 활성과 비교하였을 때는 낮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지만, PR-10은 45.7%, PH-10은 52.7%로 50% 전후의 콜라게나제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Claims (5)

  1. 적과 복숭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과 복숭아 추출물은 라우레스-23과 폴리소르베이트 20 공중합체가 8 내지 12중량%로 첨가된 물을 용매로 하여 추출한 것인 화장료 조성물.
  3. 적과 복숭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또는 주름 개선용 식품 조성물로서, 상기 적과 복숭아 추출물은 라우레스-23과 폴리소르베이트 20 공중합체가 8 내지 12중량%로 첨가된 물을 용매로 하여 추출된 것인 주름 개선용 식품 조성물.
  4. (S1) 계면활성제가 물에 첨가된 용매를 적과 복숭아에 첨가하는 단계; 및 (S2) 상기 용매와 적과 복숭아의 혼합물을 상온에 정치하거나 가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산화용 또는 주름 개선용 적과 복숭아 추출물의 제조 방법.
  5.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라우레스-23과 폴리소르베이트 20 공중합체가 8 내지 12중량%로 첨가된 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용 또는 주름 개선용 적과 복숭아 추출물의 제조 방법.
KR1020190144225A 2019-11-12 2019-11-12 적과 복숭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3734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4225A KR102373481B1 (ko) 2019-11-12 2019-11-12 적과 복숭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4225A KR102373481B1 (ko) 2019-11-12 2019-11-12 적과 복숭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7455A true KR20210057455A (ko) 2021-05-21
KR102373481B1 KR102373481B1 (ko) 2022-03-14

Family

ID=76157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4225A KR102373481B1 (ko) 2019-11-12 2019-11-12 적과 복숭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348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1927A (ko) 2005-10-17 2007-04-20 안봉전 항산화, 항암, 미백 활성을 나타내는 도화 추출물을함유하는 조성물
KR100756669B1 (ko) 2006-02-02 2007-09-10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미백 활성을 나타내는 도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JP2011105693A (ja) * 2009-11-20 2011-06-02 Kyoei Kagaku Kogyo Kk 化粧料
KR101429117B1 (ko) 2013-04-22 2014-09-2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복숭아 꽃받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855989B1 (ko) * 2016-12-23 2018-05-09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가용화제를 첨가한 물을 추출용매로 이용한 유용성분이 증가된 메밀 종자 추출물의 제조 방법 및 그에 따른 메밀 종자 추출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1927A (ko) 2005-10-17 2007-04-20 안봉전 항산화, 항암, 미백 활성을 나타내는 도화 추출물을함유하는 조성물
KR100756669B1 (ko) 2006-02-02 2007-09-10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미백 활성을 나타내는 도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JP2011105693A (ja) * 2009-11-20 2011-06-02 Kyoei Kagaku Kogyo Kk 化粧料
KR101429117B1 (ko) 2013-04-22 2014-09-2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복숭아 꽃받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855989B1 (ko) * 2016-12-23 2018-05-09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가용화제를 첨가한 물을 추출용매로 이용한 유용성분이 증가된 메밀 종자 추출물의 제조 방법 및 그에 따른 메밀 종자 추출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yunghee Kim et al., Evaluation of antioxidant activity and whitening activity by cultivar of domestic peach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Food and Nutrition, 2012, 41(2), pp. 156-160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3481B1 (ko) 2022-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212041A1 (en) Skin-Whitening Agent, Anti-Aging Agent and Skin-Care Cosmetic Agent
CN111789787B (zh) 一种具有抗衰功效的组合物及其化妆品
KR102298042B1 (ko) 고추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및 항염증용 조성물
KR101489935B1 (ko) 쑥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용 조성물
KR102094073B1 (ko) 흑설 추출물의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59577B1 (ko) 블루베리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JP2009084169A (ja) コラーゲン産生作用を呈するキサントン誘導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373481B1 (ko) 적과 복숭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20160062401A (ko) 밀싹추출물을 함유한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60571B1 (ko) 살구 추출물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살구 추출물 및 이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피부미용 또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37346B1 (ko) 리기다 소나무 수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노화용 조성물
KR20180093560A (ko) 적과자두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피부미백, 수렴 또는 주름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101487942B1 (ko) 피부 미백을 위한 석류농축액을 이용한 인삼조성물 제조방법 및 인삼조성물
KR20180045298A (ko) 배초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광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36175B1 (ko) 섬오갈피 추출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노화 방지를 위한 조성물
KR20200046674A (ko) 흑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미백 및 주름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20210144725A (ko) 항노화제, 항산화제, 항염증제 및 미백제, 그리고 화장료
KR101904216B1 (ko) 대추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20200062726A (ko) 적과자두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주름 및 항염증용 조성물
KR20200059163A (ko) 괭생이모자반 추출물을 포함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손상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00688B1 (ko) 미성숙 사과 추출물 및 바이칼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을 위한 조성물
KR102000687B1 (ko) 미성숙 사과 추출물 및 바이칼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2333431B1 (ko) 지충이의 효소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다당류 분획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KR102519671B1 (ko) 여드름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120120A (ko) 마리안 플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항노화 및 보습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