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6796A - 차량용 쿨링팬조립체 - Google Patents

차량용 쿨링팬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6796A
KR20210056796A KR1020190143690A KR20190143690A KR20210056796A KR 20210056796 A KR20210056796 A KR 20210056796A KR 1020190143690 A KR1020190143690 A KR 1020190143690A KR 20190143690 A KR20190143690 A KR 20190143690A KR 20210056796 A KR20210056796 A KR 202100567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h
cooling fan
vehicle
region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3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빈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43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6796A/ko
Priority to US16/939,411 priority patent/US11279222B2/en
Publication of KR20210056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67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8Air inlets for cooling; Shutters or blind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3/00Liquid cooling
    • F01P3/18Arrangements or mounting of liquid-to-air heat-excha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6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with ai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8Air inlets for cooling; Shutters or blinds therefor
    • B60K11/085Air inlets for cooling; Shutters or blinds therefor with adjustable shutters or bli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P1/00 - F01P9/00
    • F01P11/10Guiding or ducting cooling-air, to, or from, liquid-to-air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5/00Pumping cooling-air or liquid coolants
    • F01P5/02Pumping cooling-air; Arrangements of cooling-air pumps, e.g. fans or blo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5/00Pumping cooling-air or liquid coolants
    • F01P5/02Pumping cooling-air; Arrangements of cooling-air pumps, e.g. fans or blowers
    • F01P5/06Guiding or ducting air to, or from, ducted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7/00Controlling of coolant flow
    • F01P7/02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cooling-air
    • F01P7/10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cooling-air by throttling amount of air flowing through liquid-to-air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5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axial pumps
    • F04D29/5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541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70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 F04D29/701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703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specially for fans, e.g. fan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3/00Liquid cooling
    • F01P3/18Arrangements or mounting of liquid-to-air heat-exchangers
    • F01P2003/187Arrangements or mounting of liquid-to-air heat-exchangers arranged in se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2025/00Measuring
    • F01P2025/60Operating parameters
    • F01P2025/66Vehicle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2060/00Cooling circuits using auxiliaries
    • F01P2060/02Intercoo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2060/00Cooling circuits using auxiliaries
    • F01P2060/14Condens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88Optimized components or subsystems, e.g. lighting, actively controlled gla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개시된 차량용 쿨링팬조립체는, 허브 및 상기 허브로부터 연장된 복수의 블레이드를 가진 쿨링팬; 상기 쿨링팬을 포위하는 팬슈라우드; 및 상기 쿨링팬의 전방 및 상기 팬슈라우드의 전방을 가로질러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쿨링팬조립체{VEHICLE COOLING FAN ASSEMBLY}
본 발명은 차량용 쿨링팬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속도에 따라 차량의 프론트 컴파트먼트로 흘러들어오는 공기의 유동을 균일하게 분배할 수 있는 차량용 쿨링팬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그릴이 차량의 전방단(front end)에 장착되고, 그릴은 공기가 프론트 컴파트먼트 측으로 흐름을 허용하는 복수의 통공을 가진다. 프론트 컴파트먼트는 그릴의 후방 측에 위치하고, 프론트 컴파트먼트는 엔진, 파워유닛(전기모터, 감속기 등) 등과 같은 원동기(prime mover)를 수용한다. 예컨대, 내연기관 차량인 경우 프론트 컴파트먼트는 내연기관 및 이와 관련된 부품들을 수용하고, 전기자동차인 경우에 프론트 컴파트먼트는 파워유닛(전기모터, 감속기어), 인버터, 회로박스, PTC히터 등과 같은 전장부품을 수용한다.
프론트컴파트먼트(front compartment)는 응축기, 라디에이터, 인터쿨러 등과 같은 복수의 열교환기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팬슈라우드(fan shroud) 및 쿨링팬(cooling fan)을 가진 쿨링팬조립체가 열교환기들의 후방측에 배치되고, 쿨링팬조립체의 쿨링팬이 작동함에 따라 그릴을 통과한 공기가 열교환기들을 향해 유입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쿨링팬조립체(1)는 팬슈라우드(2) 및 쿨링팬(3)을 포함하고, 쿨링팬(3)은 허브(4) 및 허브(4)로부터 연장된 복수의 블레이드(5)를 가진다. 예컨대, 공기가 쿨링팬(3)의 작동에 의해 프론트 컴파트먼트로 흘러들어갈 때, 대부분의 공기가 블레이드(5)들이 회전하는 제2영역(R2)을 집중적으로 통과하고, 나머지 공기는 블레이드(5)들을 포위하는 팬슈라우드(2)의 전방에 해당하는 제3영역(R3) 및 허브(4)가 위치한 제1영역(R3)에서 막힘으로써 공기가 정체되고 공기의 유속이 느려진다. 이에, 공기가 프론트 컴파트먼트 내로 흘러들어갈 때, 공기의 흐름(air flow)은 쿨링팬조립체(1)의 구조적 한계로 인해 균일하게 분배되지 못한다. 그러므로, 공기가 열교환기들과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접촉하지 못하므로 열교환기의 냉각성능이 저하된다.
또한, 내연기관의 차량은 차량의 전방단(front end)에 마련된 범퍼, 백빔 등이 그릴의 중간부에 위치한다. 이에, 공기가 그릴을 통해 프론트 컴파트먼트 내로 흘러들어갈 때, 공기의 흐름은 범퍼, 백빔 등에 의해 균일하게 분배되지 못한다. 그러므로, 공기가 열교환기들과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접촉하지 못하므로 열교환기의 냉각성능이 저하된다.
이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르면, 공기가 쿨링팬에 의해 프론트 컴파트먼트로 흘러들어갈때, 공기의 흐름이 쿨링팬조립체에 대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분배되지 못하고, 이로 인해 공기가 열교환기들과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접촉하지 못하므로 열교환기들의 냉각성능이 저하된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 차량의 속도에 따라 차량의 프론트 컴파트먼트로 흘러들어오는 공기의 유동을 균일하게 분배함으로써 프론트 컴파트먼트에 수용된 열교환기들의 냉각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차량용 쿨링팬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쿨링팬조립체는,
허브 및 허브로부터 연장된 복수의 블레이드를 가진 쿨링팬;
상기 쿨링팬을 포위하는 팬슈라우드; 및
상기 쿨링팬의 전방 및 상기 팬슈라우드의 전방을 가로질러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팬슈라우드의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된 제1롤러 및 제2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이 상기 제1롤러의 회전 및 상기 제2롤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롤러 및 상기 제2롤러에 감기거나 풀려짐으로써 상기 스크린은 상기 팬슈라우드의 전방 및 상기 쿨링팬의 전방을 가로질러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크린은 복수의 메쉬엘리먼트 및 폐쇄엘리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메쉬엘리먼트는 공기가 상기 팬슈라우드 및 상기 쿨링팬으로 흘러들어감을 허용하는 복수의 메쉬개구를 가지며, 상기 폐쇄엘리먼트는 상기 팬슈라우드 및 상기 쿨링팬으로 공기가 흘러들어감을 차단하는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차량의 속도조건에 따라 상기 복수의 메쉬엘리먼트 및 상기 폐쇄엘리먼트 중에서 어느 하나의 엘리먼트가 팬슈라우드의 전방 및 쿨링팬의 전방면을 덮는 위치로 쉬프트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메쉬엘리먼트는 제1메쉬엘리먼트와, 상기 제1메쉬엘리먼트에 연결된 제2메쉬엘리먼트와, 상기 제2메쉬엘리먼트에 연결된 제3메쉬엘리먼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메쉬엘리먼트는 서로 동일한 사이즈를 가진 복수의 메쉬개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메쉬엘리먼트는 상기 쿨링팬의 허브에 대응하는 센터영역과, 상기 쿨링팬의 블레이드들이 회전하는 영역에 대응하는 환형영영과, 상기 블레이드들을 포위하는 팬슈라우드의 전방면에 대응하는 최외곽영역으로 분할될 수 있다. 상기 환형영역의 메쉬개구는 상기 센터영역의 메쉬개구 및 상기 최외곽영역의 메쉬개구 보다 작은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3메쉬엘리먼트는 차량의 전방단에 배치된 범퍼에 대응하는 중간영역과, 차량의 전방단에 배치된 어퍼 그릴에 대응하는 상부영역과, 차량의 전방에 배치된 로어 그릴에 대응하는 하부영역으로 분할될 수 있다. 상기 중간영역의 메쉬개구는 상기 상부영역의 메쉬개구 및 상기 하부영역의 메쉬개구 보다 큰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폐쇄엘리먼트는 상기 제3메쉬엘리먼트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스크린은 상기 제1메쉬엘리먼트, 상기 제2메쉬엘리먼트, 상기 제3메쉬엘리먼트에 개별적으로 중첩되는 보조 메쉬엘리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메쉬엘리먼트는 하부영역과, 하부영역의 위에 위치한 중간영역과, 중간영역의 위에 위치한 상부영역으로 분할될 수 있다. 상기 중간영역의 메쉬개구는 상기 하부영역의 메쉬개구 보다 큰 사이즈를 가지고, 상기 상부영역의 메쉬개구은 상기 중간영역의 메쉬개구 보다 큰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크린이 팬슈라우드의 전방 및 쿨링팬의 전방을 가로질러 이동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차량의 속도에 따라 공기 흐름을 균일하게 분배할 수 있다. 특히, 차량의 속도가 저속, 중속 조건에서 스크린의 제2메쉬엘리먼트 및 제3메쉬엘리먼트에 의해 공기 흐름을 균일하게 분배함으로써 공기가 열교환기들과 접촉하는 시간을 상대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열교환기의 냉각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쿨링팬조립체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전방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화살표 A방향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화살표 B방향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쿨링팬조립체의 스크린이 완전된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쿨링팬조립체에서 스크린의 제1메쉬엘리먼트가 팬슈라우드의 전방 및 쿨링팬의 전방을 덮는 위치로 쉬프트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쿨링팬조립체에서 스크린의 제2메쉬엘리먼트가 팬슈라우드의 전방 및 쿨링팬의 전방을 덮는 위치로 쉬프트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쿨링팬조립체에서 스크린의 제3메쉬엘리먼트가 팬슈라우드의 전방 및 쿨링팬의 전방을 덮는 위치로 쉬프트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쿨링팬조립체에서 스크린의 폐쇄엘리먼트가 팬슈라우드의 전방 및 쿨링팬의 전방을 덮는 위치로 쉬프트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전방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쿨링팬조립체의 스크린이 완전히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쿨링팬조립체의 보조엘리먼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쿨링팬조립체의 스크린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4는 프론트 컴파트먼트와 접촉하는 공기의 속도 및 유용도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쿨링팬조립체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2를 참조하면, 차량은 차체의 전방단(10, front end)과, 전방단(10)에 장착된 그릴(11, 12)과, 전방단(10)의 후방에 위치한 프론트 컴파트먼트(15, front compartment)를 포함할 수 있다.
차체의 전방단(10)은 범퍼(13)를 포함하고, 완충재 및 범퍼 백빔 등이 범퍼(13)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릴(11, 12)은 범퍼(13)에 의해 어퍼 그릴(11) 및 로어 그릴(12)로 구분될 수 있고, 어퍼 그릴(11)은 범퍼(13)의 위에 배치되며, 로어 그릴(12)은 범퍼(13)의 아래에 배치된다. 어퍼 그릴(11) 및 로어 그릴(12) 각각은 공기가 통과하는 통공을 가진다.
프론트 컴파트먼트(15)는 프론트 컴파트먼트는 전방단(10)의 후방 측에 위치하고, 프론트 컴파트먼트(15)는 내연기관, 파워유닛(전기모터, 감속기 등) 등과 같은 원동기(prime mover)를 수용할 수 있다. 도 2의 실시예는, 내연기관 차량을 예시하고 있으며, 이에 프론트 컴파트먼트(15)는 원동기로서 내연기관(16)을 수용할 수 있다.
프론트 컴파트먼트(15)는 라디에이터(19a), 응축기(19b), 인터쿨러(19c) 등과 같은 복수의 열교환기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도 2의 실시예에 따르면, 응축기(19b) 및 인터쿨러(19c) 등이 라디에이터(19a)의 전방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라디에이터(19a), 응축기(19b), 인터쿨러(19c) 등의 배치는 차종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쿨링팬조립체(20)는 열교환기(19a, 19b, 19c)들의 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쿨링팬조립체(20)는 열교환기(19a, 19b, 19c)들의 후방측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쿨링팬(22)을 포함할 수 있다. 쿨링팬(22)은 허브(23) 및 허브(23)로부터 연장된 복수의 블레이드(24)를 포함할 수 있다.
쿨링팬조립체(20)는 하나 이상의 쿨링팬(22)을 포위하는 팬슈라우드(21)와, 팬슈라우드(21)의 전방 및 쿨링팬(22)의 전방을 가로질러 이동가능한 스크린(30)을 포함할 수 있다. (screen 30 movable transversly across the front of fan shroud 21 and a front of cooling fan 22)
팬슈라우드(21)는 하나 이상의 쿨링팬(22)을 포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도 4와 같이, 팬슈라우드(21)는 하나의 쿨링팬(22)을 포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팬슈라우드(21)는 2이상의 쿨링팬을 포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크린(30)이 제1롤러(41)의 회전 및 제2롤러(42)의 회전에 의해 제1롤러(41) 및 제2롤러(42)에 감겨지거나 풀려짐으로써 스크린(30)은 팬슈라우드(21)의 전방 및 쿨링팬(22)의 전방을 가로질러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롤러(41) 및 제2롤러(42)는 팬슈라우드(21)의 양측에서 회전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스크린(30)은 제1롤러(41)에 고정된 제1단부(30a) 및 제2롤러(42)에 고정된 제2단부(30b)를 가질 수 있다. 제1롤러(41)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스크린(30)의 제1단부(30a)와 인접한 부분이 제1롤러(41)에 감겨지거나 풀려질 수 있으며, 제2롤러(42)가 반시계방향 또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스크린(30)은 제2단부(30b)와 인접한 부분이 제2롤러(42)에 감겨지거나 풀려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크린(30)은 팬슈라우드(21)의 폭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롤러(41) 및 제2롤러(42)는 팬슈라우드(21)의 폭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고, 제1롤러(41) 및 제2롤러(42)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롤러에 엑츄에이터가 연결될 수 있으며, 제1롤러(41) 및 제2롤러(42)가 엑츄에이터에 의해 동일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스크린(30)은 팬슈라우드(21)의 폭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롤러(41) 및 제2롤러(42)는 팬슈라이드(21)의 좌우 양측에서 개별적으로 회전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롤러(41)는 팬슈라우드(21)의 좌측에서 회전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고, 제2롤러(42)는 팬슈라우드(21)의 우측에서 회전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엑츄에이터(43)가 제1롤러(41)에 연결될 수 있고, 제1엑츄에이터(43)는 제1롤러(41)를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고, 제2엑츄에이터(44)는 제2롤러(42)를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롤러(41) 및 제2롤러(42)가 시계방향(C1)으로 회전할 경우 스크린(30)은 좌측에서 우측을 향해 이동할 수 있다(H1 방향). 제1롤러(41) 및 제2롤러(42)가 반시계방향(C2)으로 회전할 때 스크린(30)은 우측에서 좌측을 향해 이동할 수 있다(H2 방향).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스크린(30)은 팬슈라우드(21)의 높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롤러(41) 및 제2롤러(42)는 팬슈라우드(21)의 높이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고, 제1롤러(41) 및 제2롤러(42)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롤러에 엑츄에이터가 연결될 수 있으며, 제1롤러(41) 및 제2롤러(42)가 엑츄에이터에 의해 동일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스크린(30)은 팬슈라우드(21)의 높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도 5는 완전히 전개된 스크린(3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스크린(30)은 복수의 메쉬엘리먼트(31, 32, 33, mesh element) 및 폐쇄엘리먼트(34, closure element)를 포함할 수 있다. 각 메쉬엘리먼트(31, 32, 33)는 공기가 팬슈라우드(21) 및 쿨링팬(22)으로 흘러들어감을 허용하는 복수의 메쉬 개구를 가질 수 있고, 폐쇄엘리먼트(34)는 팬슈라우드(21) 및 쿨링팬(22)으로 흘러들어감을 차단하도록 메쉬 개구를 가지지 않는다. 복수의 메쉬엘리먼트(31, 32, 33)는 제1메쉬엘리먼트(31)와, 제1메쉬엘리먼트(31)에 연결된 제2메쉬엘리먼트(32)와, 제2메쉬엘리먼트(32)에 연결된 제3메쉬엘리먼트(33)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메쉬엘리먼트(31, 32, 33) 및 폐쇄엘리먼트(34)는 팬슈라우드(21)의 전방 및 쿨링팬(22)의 전방을 완전히 커버하는 면적을 가질 수 있고, 복수의 메쉬엘리먼트(31, 32, 33) 및 폐쇄엘리먼트(34)는 서로 간에 동일한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스크린(30)은 제1메쉬엘리먼트(31)에 연결된 제1여유엘리먼트(35, marginal element) 및 폐쇄엘리먼트(34)에 연결된 제2여유엘리먼트(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30)의 제1단부(30a)는 제1여유엘리먼트(35)의 단부일 수 있고, 스크린(30)의 제2단부(30b)는 제2여유엘리먼트(36)의 단부일 수 있다. 스크린(30)은 제1여유엘리먼트(35) 및 제2여유엘리먼트(36)에 의해 제1롤러(41) 및 제2롤러(42)에 용이하게 감기거나 풀려질 수 있다.
스크린(30)이 제1롤러(41) 및 제2롤러(42)의 회전에 의해 이동할 때, 엑츄에이터(43, 44)의 회전위치가 컨트롤러(45)에 의해 제어됨으로써 복수의 메쉬엘리먼트(31, 32, 33) 및 폐쇄엘리먼트(34) 중에서 어느 하나의 엘리먼트가 팬슈라우드(21)의 전방 및 쿨링팬(22)의 전방을 완전히 덮는 위치로 쉬프트될 수 있다. 예컨대, 엑츄에이터(43, 44)의 회전위치가 0°인 경우 도 6과 같이 제1메쉬엘리먼트(31)가 팬슈라우드(21)의 전방 및 쿨링팬(22)의 전방을 덮는 위치로 쉬프트되고, 엑츄에이터(43, 44)의 회전위치가 100°인 경우 도 7과 같이 제2메쉬엘리먼트(32)가 팬슈라우드(21)의 전방 및 쿨링팬(22)의 전방을 덮는 위치로 쉬프트되며, 엑츄에이터(43, 44)의 회전위치가 200°인 경우 도 8과 같이 제3메쉬엘리먼트(33)가 팬슈라우드(21)의 전방 및 쿨링팬(22)의 전방을 덮는 위치로 쉬프트되고, 엑츄에이터(43, 44)의 회전위치가 300°인 경우 도 9와 같이 폐쇄엘리먼트(34)가 팬슈라우드(21)의 전방 및 쿨링팬(22)의 전방을 덮는 위치로 쉬프트될 수 있다.
특히, 차량의 속도조건에 따라 복수의 메쉬엘리먼트(31, 32, 33) 및 폐쇄엘리먼트(34) 중에서 어느 하나의 엘리먼트가 팬슈라우드(21)의 전방 및 쿨링팬(22)의 전방을 덮는 위치로 쉬프트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메쉬엘리먼트(31)는 복수의 메쉬개구(31a)를 가질 수 있고, 복수의 메쉬개구(31a)는 서로 간에 동일한 사이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메쉬엘리먼트(31)가 팬슈라우드(21)의 전방 및 쿨링팬(22)의 전방을 덮을 때, 제1메쉬엘리먼트(31)는 동일한 사이즈의 메쉬개구(31a)를 가짐에 따라 공기의 흐름이 균일하게 분배되지 않는다. 차량의 엔진이 아이들조건(즉, 차량의 속도가 0 kph임)과 같이 프론트 컴파트먼트(15)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균일하게 분배할 필요가 없을 경우에, 도 6과 같이 제1메쉬엘리먼트(31)가 팬슈라우드(21)의 전방 및 쿨링팬(22)의 전방을 덮는 위치로 정렬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메쉬엘리먼트(32)는 센터영역(D1)과, 센터영역(D1)을 환형으로 둘러싸는 환형영역(D2)과, 환형영역(D2)을 둘러싸는 최외곽영역(D3)으로 분할될 수 있다. 센터영역(D1)은 쿨링팬(22)의 허브(23)에 대응하고, 환형영역(D2)은 쿨링팬(22)의 블레이드(24)들이 회전하는 영역에 대응하며, 최외곽영역(D3)은 블레이드(24)들을 포위하는 팬슈라우드(21)의 전방에 대응한다. 제2메쉬엘리먼트(32)는 복수의 메쉬개구(32a, 32b, 32c)를 가질 수 있고, 제2메쉬엘리먼트(32)의 메쉬개구(32a, 32b, 32c)들은 제2메쉬엘리먼트(32)의 영역(D1, D2, D3)별로 서로 다른 사이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환형영역(D2)의 메쉬개구(32b)는 센터영역(D1)의 메쉬개구(32a) 및 최외곽영역(D3)의 메쉬개구(32c) 보다 작은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센터영역(D1)의 메쉬개구(32a) 및 최외곽영역(D3)의 메쉬개구(32c)는 유사하거나 동일한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쿨링팬(22)의 작동 시에, 블레이드(24)들이 회전할 때 환형영역(D2)의 메쉬개구(32b)가 상대적으로 작은 사이즈이므로, 환형영역(D2)에서의 흐름저항이 센터영역(D1)에서의 흐름저항 및 최외곽영역(D3)에서의 흐름저항에 비해 커지므로 공기의 흐름이 환형영역(D2)에 집중되지 않고 센터영역(D1), 환형영역(D2), 최외곽영역(D3)에 걸쳐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분배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열교환기(19a, 19b, 19c)의 냉각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차량의 운전조건이 저속운전조건(예컨대, 차량의 속도가 50kph 이하인 조건)인 경우에, 열교환기(19a, 19b, 19c)들에 대한 냉각이 필요하고, 저속운전조건에서는 공기의 속도가 상대적으로 낮으므로 범퍼(13) 및 그릴(11, 12)에 의한 흐름저항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적게 받는 반면에 쿨링팬(22)에 의한 흐름저항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많이 받을 수 있다. 이에, 차량의 저속운전조건에서 도 7과 같이 제2메쉬엘리먼트(32)가 팬슈라우드(21)의 전방 및 쿨링팬(22)의 전방을 덮는 위치로 정렬됨으로써 프론트 컴파트먼트(15)로 흘러들어오는 공기의 흐름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분배할 수 있다.
제3메쉬엘리먼트(33)는 중간영역(F1)과, 중간영역(F1)의 위에 위치한 상부영역(F2)과, 중간영역(F1)의 아래에 위치한 하부영역(F3)으로 분할될 수 있다. 중간영역(F1), 상부영역(F2), 및 하부영역(F3)은 팬슈라우드(21)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된 밴드 형상일 수 있다. 중간영역(F1)은 차량의 전방단에 배치된 범퍼(13)에 대응할 수 있고, 상부영역(F2)은 어퍼 그릴(11)에 대응할 수 있으며, 하부영역(F3)은 로어 그릴(12)에 대응할 수 있다. 제3메쉬엘리먼트(33)는 복수의 메쉬개구(33a, 33b, 33c)를 가질 수 있고, 제3메쉬엘리먼트(33)의 메쉬개구(33a, 33b, 33c)들은 제3메쉬엘리먼트(33)의 영역(F1, F2, F3)들 별로 서로 다른 사이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중간영역(F1)의 메쉬개구(33a)는 상부영역(F2)의 메쉬개구(33b) 및 하부영역(F3)의 메쉬개구(33c) 보다 큰 사이즈를 가질 수 있고, 상부영역(F2)의 메쉬개구(33b) 및 하부영역(F3)의 메쉬개구(33c)는 서로 유사하거나 동일한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쿨링팬(22)의 작동 시에, 중간영역(F1)에서의 흐름저항이 상부영역(F2)에서의 흐름저항 및 하부영역(F3)에서의 흐름저항 보다 작아지므로 공기의 흐름이 상부영역(F2) 및 하부영역(F3)에 집중되지 않고 중간영역(F1), 상부영역(F2), 하부영역(F3)에 걸쳐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분배될 수 있다.
차량의 운전조건이 중속운전조건(예컨대, 차량의 속도가 50kph를 초과하고 100kph이하인 조건)인 경우, 열교환기(19a, 19b, 19c)들에 대한 냉각이 필요하고, 저속운전조건에 비해 공기의 속도가 빠르므로 범퍼(13) 및 그릴(11, 12)에 의한 흐름저항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많이 받는 반면에 쿨링팬(22)에 의한 흐름저항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적게 받을 수 있다. 이에, 차량의 중속운전조건에서 도 8과 같이 제3메쉬엘리먼트(33)가 팬슈라우드(21)의 전방 및 쿨링팬(22)의 전방을 덮는 위치로 정렬됨으로써 프론트 컴파트먼트(15)로 흘러들어오는 공기의 흐름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분배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폐쇄엘리먼트(34)는 팬슈라우드(21) 및 쿨링팬(22)으로 공기가 흘러들어감을 차단하는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특히, 폐쇄엘리먼트(34)는 개구를 가지지 않는다.
차량의 운전조건이 고속운전조건(예컨대, 차량의 속도가 100kph를 초과하는 조건)인 경우에, 열교환기(19a, 19b, 19c)들에 대한 냉각이 필요하지 않다. 이에, 도 9와 같이, 폐쇄엘리먼트(34)가 팬슈라우드(21)의 전방 및 쿨링팬(22)의 전방을 덮는 위치로 정렬됨으로써 팬슈라우드(21) 및 쿨링팬(22)을 향해 흘러들어가는 공기의 흐름을 전체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에 공기가 폐쇄엘리먼트(34)와 그릴(11, 12)들 사이에서 정체됨에 따라 고압이 형성될 수 있고, 공기가 프론트 컴파트먼트(15)로 완전히 유입됨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항력계수의 저감에 의한 공력성능을 개선할 수 있고, 연비를 개선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쿨링팬조립체(2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전기자동차의 전방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0과 같이, 전기자동차의 전방단은 전방 개구를 감소시키도록 어퍼 그릴을 제거한 상부 폐쇄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전기자동차는 전방단(10)의 상부에 마련된 폐쇄벽(17)을 포함하고, 폐쇄벽(17)의 아래에는 범퍼(13)가 배치될 수 있으며, 로어 그릴(12)이 범퍼(13)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전방단(10)의 후방측에 위치한 프론트 컴파트먼트(15, front compartment)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컴파트먼트(15)는 전방단(10)의 후방 측에 위치하고, 프론트 컴파트먼트(15)는 원동기로서 전기모터(18) 등을 수용될 수 있다. 폐쇄벽(17)에는 전기충전구가 배치될 수 있다.
프론트 컴파트먼트(15)는 라디에이터(19a), 응축기(19b) 등과 같은 복수의 열교환기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도 10의 실시예에 따르면, 응축기(19b)가 라디에이터(19a)의 전방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라디에이터(19a), 응축기(19b)의 배치는 차종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열교환기(19a, 19b)들의 후방측에는 쿨링팬조립체(20)가 배치될 수 있고, 쿨링팬조립체(20)는 팬슈라우드(21) 및 하나 이상의 쿨링팬(22)을 포함할 수 있다. 팬슈라우드(21)는 하나 이상의 쿨링팬(22)을 포위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쿨링팬(22)은 허브(23) 및 허브(23)로부터 연장된 복수의 블레이드(2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쿨링팬조립체(20)는 팬슈라우드(21)의 전방 및 쿨링팬(22)의 전방에서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스크린(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완전히 전개된 스크린(5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스크린(50)은 제1롤러(41, 도 4 참조)에 고정되는 제1단부(50a) 및 제2롤러(42, 도 4 참조)에 고정되는 제2단부(50b)를 가질 수 있다. 스크린(50)은 제1단부(50a)를 기준으로 제1롤러(41)에 감겨지거나 풀려질 수 있으며, 스크린(50)은 제2단부(50b)를 기준으로 제2롤러(42)에 감겨지거나 풀려질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스크린(50)은 복수의 메쉬엘리먼트(51, 52, 53, mesh element) 및 폐쇄엘리먼트(54, closure element)를 포함할 수 있다. 각 메쉬엘리먼트(51, 52, 53)는 복수의 메쉬 개구를 가질 수 있고, 폐쇄엘리먼트(54)는 메쉬 개구를 가지지 않는다. 복수의 메쉬엘리먼트(51, 52, 53)는 제1메쉬엘리먼트(51)와, 제1메쉬엘리먼트(51)에 연결된 제2메쉬엘리먼트(52)와, 제2메쉬엘리먼트(52)에 연결된 제3메쉬엘리먼트(53)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메쉬엘리먼트(51, 52, 53) 및 폐쇄엘리먼트(54)는 팬슈라우드(21)의 전방 및 쿨링팬(22)의 전방을 완전히 커버하는 면적을 가질 수 있고, 복수의 메쉬엘리먼트(51, 52, 53) 및 폐쇄엘리먼트(54)는 서로 간에 동일한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스크린(50)은 제1메쉬엘리먼트(51)에 연결된 제1여유엘리먼트(55, marginal element) 및 폐쇄엘리먼트(54)에 연결된 제2여유엘리먼트(56)를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50)의 제1단부(50a)는 제1여유엘리먼트(55)의 단부일 수 있고, 스크린(50)의 제2단부(50b)는 제2여유엘리먼트(56)의 단부일 수 있다.
전기자동차의 전방단(10)은 그 상부가 폐쇄벽(17)에 의해 폐쇄되고, 그 하부가 로어 그릴(12)에 의해 개방되어 있다. 이에, 도 11의 스크린(10)은 공기가 프론트 컴파트먼트(15)로 흘러들어올때, 공기의 흐름을 균일하게 분배하기 위한 보조 메쉬엘리먼트(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 메쉬엘리먼트(70)는 하부영역(G1), 하부영역(G1)의 위에 위치한 중간영역(G2)과, 중간영역(G2)의 위에 위치한 상부영역(G3)으로 분할될 수 있다. 하부영역(G1), 중간영역(G2), 및 상부영역(G3)은 팬슈라우드(21)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된 밴드 형상일 수 있다. 하부영역(G1)은 로어 그릴(12)에 대응할 수 있으며, 중간영역(G2)은 차량의 전방단에 위치한 범퍼(13)에 대응할 수 있고, 상부영역(G3)은 폐쇄벽(17)에 대응할 수 있다. 보조 메쉬엘리먼트(70)는 복수의 메쉬개구(70a, 70b, 70c)를 가질 수 있고, 보조 메쉬엘리먼트(70)의 메쉬개구(70a, 70b, 70c)들은 보조 메쉬엘리먼트(70)의 영역(G1, G2, G3)들 별로 서로 다른 사이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중간영역(G2)의 메쉬개구(70b)는 하부영역(G1)의 메쉬개구(70a) 보다 큰 사이즈를 가질 수 있고, 상부영역(G3)의 메쉬개구(70c)은 중간영역(G2)의 메쉬개구(70b) 보다 큰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쿨링팬(22)의 작동 시에, 중간영역(G2)에서의 흐름저항이 하부영역(G1)에서의 흐름저항 보다 작아지고, 상부영역(F2)에서의 흐름저항이 중간영역(G2)에서의 흐름저항 보다 작아지므로 공기의 흐름이 하부영역(G1)에 집중되지 않고 하부영역(G1), 중간영역(G2), 상부영역(G3)에 걸쳐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분배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보조 메쉬엘리먼트(70)가 도 5에 도시된 스크린(30)의 제1 메쉬엘리먼트(31), 제2메쉬엘리먼트(32), 제3메쉬엘리먼트(33)에 개별적으로 중첩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전기자동차의 전방단(10)에 대응한 공기 흐름 분배를 효율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그외 나머지 구성 및 작동은 선행하는 도 2 내지 도 9의 실시예와 유사 내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차량의 속도가 증가할수록 프론트 컴파트먼트(3)로 흘러들어오는 공기의 속도(air velocity)가 점차 증가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공기의 속도가 증가할수록 각 열교환기(15a, 15b, 15c)의 유용도(effectiveness)는 상대적으로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낸다. 열교환기의 유용도는 유용도-NTU방법(Effectiveness- NTU method)에 따라 계산될 수 있다. 공기의 속도가 빨라짐에 따라 공기와 열교환기 사이의 접촉시간이 상대적으로 짧아지기 때문에 열교환기의 유용도가 낮아진다.
이에 대해, 본 발명은 스크린(30, 50)이 팬슈라우드(21)의 전방 및 쿨링팬(22)의 전방에서 이동가능하게 배치됨으로써 차량의 속도에 따라 공기 흐름을 균일하게 분배할 수 있다. 특히, 차량의 속도가 저속, 중속 조건에서 스크린(30, 50)의 제2메쉬엘리먼트(32, 52) 및 제3메쉬엘리먼트(33, 53)에 의한 흐름저항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프론트 컴파트먼트(15)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이 상대적으로 감소(대략 5% 이하)할 수 있다. 하지만, 스크린(30, 50)의 제2메쉬엘리먼트(32, 52) 및 제3메쉬엘리먼트(33, 53)에 의해 공기 흐름을 균일하게 분배함으로써 공기가 열교환기(19a, 19b, 19c)들과 접촉하는 시간을 상대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열교환기(19a, 19b, 19c)의 열방출량(heat removal rate)이 기존에 비해 대폭 증가(대략 20% 이상)할 수 있다. 즉, 스크린(30, 50)에 의한 흐름저항이 열교환기(19a, 19b, 19c)의 개선되는 냉각성능에 비해 무시할만한 수준이므로 열교환기의 효율을 전체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차량용 쿨링팬조립체(20)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차량의 속도(V)가 0 kph(kilometers per hour)인지를 판단하고(S1), 차량의 속도(V)가 O kph이면 제1롤러(41) 및 제2롤러(42)의 회전에 의해 제1메쉬엘리먼트(31, 51)를 팬슈라우드(21)의 전방 및 쿨링팬(22)의 전방을 덮는 위치로 쉬프트한다(S2). 차량의 속도(V)가 0 kph인 조건에서는 프론트 컴파트먼트(15)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균일하게 분배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1메쉬엘리먼트(31, 51)가 팬슈라우드(21)의 전방 및 쿨링팬(22)의 전방을 덮는 위치로 정렬될 수 있다.
차량의 속도(V)가 제1설정속도(V1) 이하인지를 판단한다(S3). 제1설정속도(V1)는 차량의 속도가 저속조건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속도이다. 예컨대, 제1설정속도(V1)는 대략 50kph일 수 있다.
차량의 속도(V)가 제1설정속도(V1) 이하이면 제1롤러(41) 및 제2롤러(42)의 회전에 의해 제2메쉬엘리먼트(32, 52)를 팬슈라우드(21)의 전방 및 쿨링팬(22)의 전방을 덮는 위치로 쉬프트한다(S3). 차량의 속도가 제1설정속도(V1)이하이면 차량이 저속운전조건에 해당하고, 열교환기(19a, 19b, 19c)들에 대한 냉각이 필요하며, 차량의 저속운전조건에서는 공기의 속도가 상대적으로 낮으므로 범퍼(13) 및 그릴(11, 12)에 의한 흐름저항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적게 받는 반면에 쿨링팬(22)에 의한 흐름저항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많이 받을 수 있다. 차량의 저속운전조건에서 제2메쉬엘리먼트(32, 52)가 팬슈라우드(21)의 전방 및 쿨링팬(22)의 전방을 덮는 위치로 정렬됨으로써 프론트 컴파트먼트(15)로 흘러들어오는 공기의 흐름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분배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열교환기(19a, 19b, 19c)들의 냉각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차량의 속도(V)가 제1설정속도(V1)를 초과하고 제2설정속도(V2) 이하인지를 판단한다(S5). 제2설정속도(V2)는 차량의 속도가 고속조건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속도이다. 예컨대, 제2설정속도(V2)는 대략 100kph일 수 있다.
차량의 속도(V)가 제1설정속도(V1)를 초과하고 제2설정속도(V2) 이하이면 제1롤러(41) 및 제2롤러(42)의 회전에 의해 제3메쉬엘리먼트(33, 53)를 팬슈라우드(21)의 전방 및 쿨링팬(22)의 전방을 덮는 위치로 쉬프트한다(S6). 차량의 속도(V)가 제1설정속도(V1)를 초과하고 제2설정속도(V2) 이하이면 차량의 운전조건이 중속운전조건에 해당하고, 열교환기(19a, 19b, 19c)들에 대한 냉각이 필요하고, 중속운전조건은 저속운전조건에 비해 공기의 속도가 빠르므로 범퍼(13) 및 그릴(11, 12)에 의한 흐름저항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많이 받는 반면에 쿨링팬(22)에 의한 흐름저항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적게 받을 수 있다. 차량의 중속운전조건에서 제3메쉬엘리먼트(33)가 팬슈라우드(21)의 전방 및 쿨링팬(22)의 전방을 덮는 위치로 정렬됨으로써 프론트 컴파트먼트(15)로 흘러들어오는 공기의 흐름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분배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열교환기(19a, 19b, 19c)들의 냉각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차량의 속도(V)가 제2설정속도(V2)를 초과한 것으로 판단하면, 라디에이터(19a)를 통과하는 냉각수의 온도(T)가 설정온도(T1) 미만인지를 판단한다(S7). 설정온도(T1)는 라디에이터(19a)의 냉각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온도이다. 예컨대, 설정온도(T1)는 100℃일 수 있다. 즉, 냉각수의 온도(T)가 설정온도(T1) 미만인 경우에는 냉각부하가 없는 것을 의미하고, 냉각수의 온도(T)가 설정온도(T1) 이상인 경우에는 냉각부하가 있는 것을 의미한다.
그 이후에, 라디에이터(19a)를 통과하는 냉각수의 온도(T)가 설정온도(T1)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면 응축기(19b)를 통과하는 냉매의 압력(P)이 설정압력(P1) 미만인지를 판단한다(S8). 설정압력(P1)은 응축기(19b)의 냉각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압력이다. 예컨대, 설정압력(P1)은 1000kPa일 수 있다. 즉, 냉매의 압력(P)이 설정압력(P1) 미만인 경우에는 냉각부하가 없는 것을 의미하고, 냉매의 압력(P)이 설정압력(P1) 이상인 경우에는 냉각부하가 있는 것을 의미한다.
차량의 속도(V)가 제2설정속도(V2)를 초과하고, 냉각수의 온도(T)가 설정온도(T1) 미만이며, 냉매의 압력(P)이 설정압력(P1) 미만이면 차량의 운전조건이 열교환기(19a, 19b, 19c)들에 대한 냉각이 필요하지 않는 고속운전조건이고 폐쇄엘리먼트(34, 54)가 팬슈라우드(21)의 전방 및 쿨링팬(22)의 전방을 덮는 위치로 정렬됨으로써 팬슈라우드(21) 및 쿨링팬(22)을 향해 흘러들어가는 공기의 흐름을 전체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에 공기가 폐쇄엘리먼트(34)와 그릴(11, 12)들 사이에서 정체됨에 따라 고압이 형성될 수 있으므로 공기가 프론트 컴파트먼트(15)로 유입됨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항력계수의 저감에 의한 공력성능을 개선할 수 있고, 연비를 개선하고 전력낭비를 줄일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전방단 11: 어퍼 그릴
12: 로어 그릴 13: 범퍼
15: 프론트 컴파트먼트 16: 내연기관
17: 폐쇄벽 18: 전기모터
19a: 라디에이터 19b: 응축기
19c: 인터쿨러 20: 쿨링팬조립체
21: 팬슈라우드 22: 쿨링팬
23: 허브 24: 블레이드
30, 50: 스크린 31, 51: 제1메쉬엘리먼트
32, 52: 제2메쉬엘리먼트 33, 53: 제3메쉬엘리먼트
34, 54: 폐쇄엘리먼트 41: 제1롤러
42: 제2롤러 43: 제1엑츄에이터
44: 제2엑츄에이터 45: 컨트롤러
70: 보조 메쉬엘리먼트

Claims (10)

  1. 허브 및 허브로부터 연장된 복수의 블레이드를 가진 쿨링팬;
    상기 쿨링팬을 포위하는 팬슈라우드; 및
    상기 쿨링팬의 전방 및 상기 팬슈라우드의 전방을 가로질러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스크린;을 포함하는 차량용 쿨링팬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팬슈라우드의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된 제1롤러 및 제2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이 상기 제1롤러의 회전 및 상기 제2롤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롤러 및 상기 제2롤러에 감기거나 풀려짐으로써 상기 스크린은 상기 팬슈라우드의 전방 및 상기 쿨링팬의 전방을 가로질러 이동하도록 구성된 차량용 쿨링팬조립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복수의 메쉬엘리먼트 및 폐쇄엘리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메쉬엘리먼트는 공기가 상기 팬슈라우드 및 상기 쿨링팬으로 흘러들어감을 허용하는 복수의 메쉬개구를 가지며,
    상기 폐쇄엘리먼트는 상기 팬슈라우드 및 상기 쿨링팬으로 공기가 흘러들어감을 차단하는 재질로 만들어진 차량용 쿨링팬조립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차량의 속도조건에 따라 상기 복수의 메쉬엘리먼트 및 상기 폐쇄엘리먼트 중에서 어느 하나의 엘리먼트가 팬슈라우드의 전방 및 쿨링팬의 전방면을 덮는 위치로 쉬프트되도록 구성된 차량용 쿨링팬조립체.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메쉬엘리먼트는 제1메쉬엘리먼트와, 상기 제1메쉬엘리먼트에 연결된 제2메쉬엘리먼트와, 상기 제2메쉬엘리먼트에 연결된 제3메쉬엘리먼트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쿨링팬조립체.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메쉬엘리먼트는 서로 동일한 사이즈를 가진 복수의 메쉬개구를 가지는 차량용 쿨링팬조립체.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메쉬엘리먼트는 상기 쿨링팬의 허브에 대응하는 센터영역과, 상기 쿨링팬의 블레이드들이 회전하는 영역에 대응하는 환형영영과, 상기 블레이드들을 포위하는 팬슈라우드의 전방면에 대응하는 최외곽영역으로 분할되고,
    상기 환형영역의 메쉬개구는 상기 센터영역의 메쉬개구 및 상기 최외곽영역의 메쉬개구 보다 작은 사이즈를 가지는 차량용 쿨링팬조립체.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3메쉬엘리먼트는 차량의 전방단에 배치된 범퍼에 대응하는 중간영역과, 차량의 전방단에 배치된 어퍼 그릴에 대응하는 상부영역과, 차량의 전방에 배치된 로어 그릴에 대응하는 하부영역으로 분할되고,
    상기 중간영역의 메쉬개구는 상기 상부영역의 메쉬개구 및 상기 하부영역의 메쉬개구 보다 큰 사이즈를 가지는 차량용 쿨링팬조립체.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폐쇄엘리먼트는 상기 제3메쉬엘리먼트에 연결되는 차량용 쿨링팬조립체.
  10.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상기 제1메쉬엘리먼트, 상기 제2메쉬엘리먼트, 상기 제3메쉬엘리먼트에 개별적으로 중첩되는 보조 메쉬엘리먼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메쉬엘리먼트는 하부영역과, 하부영역의 위에 위치한 중간영역과, 중간영역의 위에 위치한 상부영역으로 분할되며,
    상기 중간영역의 메쉬개구는 상기 하부영역의 메쉬개구 보다 큰 사이즈를 가지고, 상기 상부영역의 메쉬개구은 상기 중간영역의 메쉬개구 보다 큰 사이즈를 가지는 차량용 쿨링팬조립체.
KR1020190143690A 2019-11-11 2019-11-11 차량용 쿨링팬조립체 KR2021005679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690A KR20210056796A (ko) 2019-11-11 2019-11-11 차량용 쿨링팬조립체
US16/939,411 US11279222B2 (en) 2019-11-11 2020-07-27 Cooling fan assembly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690A KR20210056796A (ko) 2019-11-11 2019-11-11 차량용 쿨링팬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6796A true KR20210056796A (ko) 2021-05-20

Family

ID=75846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3690A KR20210056796A (ko) 2019-11-11 2019-11-11 차량용 쿨링팬조립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279222B2 (ko)
KR (1) KR2021005679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52611B2 (en) * 2015-01-22 2019-04-0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ctive seal arrangement for use with vehicle condensers
CA3231151A1 (en) * 2021-09-15 2023-03-23 Jeffrey B. Manhire An air flow metering device for controlling the flow of air into a vehicle passag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73049A (ja) * 2017-10-12 2019-05-16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熱交換器のシャッター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138893A1 (en) 2021-05-13
US11279222B2 (en) 2022-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08925A1 (en) Shutter structure of heat exchanger for vehicle
EP2574484B1 (en) Grille shutter device
US8479853B2 (en) Control of an airstream flow rate through a covered compartment by an adjustable shutter
US7484378B2 (en) Cooling system and method for cooling a heat producing system
US20120100790A1 (en) Method for monitoring operation of a shutter
US20120168125A1 (en) Multi-Function Automotive Radiator and Condenser Airflow System
KR20210056796A (ko) 차량용 쿨링팬조립체
JP5983312B2 (ja) 車両の冷却システム
KR101219344B1 (ko) 차량용 냉각공기 유입량 조절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차량용 냉각 장치
JP2010025009A (ja) 内燃機関の冷却システム及び冷却方法
WO2016079938A1 (ja) エンジンルーム通風構造
JP6206026B2 (ja) 冷却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KR20120106046A (ko) 액티브 에어 플랩
US20190143921A1 (en) Controlled In-Tank Flow Guide For Heat Exchanger
JP4367294B2 (ja) 車両用水冷式内燃機関の冷却装置
KR20200113674A (ko) 액티브 에어플랩 및 그 제어방법
KR101626385B1 (ko) 액티브 에어 플랩
JP6036169B2 (ja) 車両の冷却システム
US20020152766A1 (en) Cooling system for a vehicle
KR101714585B1 (ko) 프론트 엔드 모듈
WO2018142330A1 (en) A grille shutter assembly
WO2020230558A1 (ja) 冷却システム
JPH04314914A (ja) 車両用水冷式内燃機関の冷却装置
WO2018123325A1 (ja) 制御モジュール
CN209852076U (zh) 一种用于车辆的进气格栅及车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