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5517A - 볏짚 재와 옹기 시루를 이용한 콩나물 재배 방법 - Google Patents

볏짚 재와 옹기 시루를 이용한 콩나물 재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5517A
KR20210055517A KR1020190142059A KR20190142059A KR20210055517A KR 20210055517 A KR20210055517 A KR 20210055517A KR 1020190142059 A KR1020190142059 A KR 1020190142059A KR 20190142059 A KR20190142059 A KR 20190142059A KR 20210055517 A KR20210055517 A KR 202100555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n sprouts
rice straw
cultivation
beans
straw a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2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평희
Original Assignee
한재연
한평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재연, 한평희 filed Critical 한재연
Priority to KR1020190142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5517A/ko
Publication of KR20210055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551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01G22/40Fabaceae, e.g. beans or pea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2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f granular or aggregated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DIN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FERTILISERS PRODUCING CARBON DIOXIDE
    • C05D9/00Other inorganic fertilisers
    • C05D9/02Other inorganic fertilisers containing trace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1/00Other organic fertilisers
    • C05F11/08Organic fertilisers containing added bacterial cultures, mycelia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5/00Fertilisers from distillery wastes, molasses, vinasses, sugar plant or similar wastes or residues, e.g. from waste originating from industrial processing of raw material of agricultural origin or derived products thereof
    • C05F5/004Liquid waste from mechanical processing of material, e.g. wash-water, milling fluid, fil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5/00Fertilisers from distillery wastes, molasses, vinasses, sugar plant or similar wastes or residues, e.g. from waste originating from industrial processing of raw material of agricultural origin or derived products thereof
    • C05F5/006Waste from chemical processing of material, e.g. diestillation, roasting, cook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1/00Mixtures of fertilisers belonging individually to different subclasses of C05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00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20Liquid fertilis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i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볏짚, 소라 껍질 및 우뭇가사리를 태운 재에 황토와 분쇄 볏짚을 혼합한 다음과 물을 넣고 반죽을 한 후에 건조한 후 분쇄하여 볏짚 재 황토 볼을 제조하는 단계; (b) 콩을 불리는 단계; (c) 바닥면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콩나물 재배를 위한 옹기 시루에 상기 볏짚 재 황토 볼을 깔고 그 위에 상기 불린 콩을 넣고 다시 콩 위에 볏짚 재 항토 볼로 덮어 콩나물 재배를 준비하는 단계; 및 (d) 재배수을 살수하여 콩나물을 재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볏짚 재와 옹기 시루를 이용한 콩나물 재배 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콩나물의 재배 방법은 각종 유효성분을 콩나물을 재배하는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콩에 침투시킴으로써 유효성분들이 콩나물에 흡수되어 인체에 유익한 여러 가지 영양을 함유한 영양식 콩나물을 재배할 수 있다. 또한, 발아율을 촉진시킴으로써 미 발아된 썩은 콩으로 인한 비린내, 부패취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농약이나 방부제의 사용없이 콩나물 재배시 발생될 수 있는 비린내, 부패취, 썩음병, 검은 반점, 붉은 반점, 갈반 현상, 줄기의 무름병 및 줄무늬 현상 등을 개선하여 질적으로 우수한 콩나물을 재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볏짚 재와 옹기 시루를 이용한 콩나물 재배 방법{Method for growing soybean sprouts using a rice straw ash and traditional pottery}
본 발명은 콩나물의 재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볏짚 재와 옹기 시루를 이용하여 유효성분을 지속적으로 콩나물에 접촉시킴으로써, 발아율을 촉진시킬 뿐만 아니라, 콩나물에서 발생될 수 있는 비린내, 부패취, 썩음병, 검은 반점, 붉은 반점, 갈반 현상, 줄기의 무름병 및 줄무늬 현상 등을 개선하여 농약이나 방부제의 사용 없이 양질의 콩나물을 재배할 수 있는 콩나물의 재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콩나물(Bean sprouts)은 흰콩을 발아시켜 재배하는 것으로 옛날부터 가정에서 재배되어 섭취해온 우리나라 고유의 채소식품으로서, 비타민, 무기질, 단백질이 풍부하고, 섬유소가 많아 장의 작용을 돕고 성인병 예방에도 효과가 있어 철을 가리지 않고 우리 민족이 가장 즐겨 찾는 식 재료 중의 하나이다. 콩나물은 계절과 장소에 구애 없이 단기간에 재배할 수 있고, 그 재배 과정이 비교적 간단하여 매우 유용한 음식 재료로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콩나물의 재배 방법을 간략히 살펴보면, 어두운 곳에서 콩알의 부피가 약 2배 정도의 물에 담가 놓았다가 이것을 시루처럼 밑으로 물이 잘 빠지는 용기에 모래와 콩을 깔아 놓고 그 위를 볏짚같이 통기성이 있는 것으로 엎어 씌운 후 어두운 곳에서 27~30℃를 유지하면서 하루 2~3번 물을 주고, 2주 정도 지나면 싹이 나며 이후 계속 물을 부어주어 콩나물의 키가 10~13cm 자랐을 때 먹는 식품이다.
이때, 초기에 발아되지 못한 콩은 재배 도중에 용기의 바닥에서 썩게 되며, 썩은 콩은 부패취를 발생시키며 재배 중인 다른 콩나물의 부패 현상을 유도하므로 상품가치를 떨어뜨린다. 따라서 콩나물을 대량 재배할 경우 발아되지 못하고 부패된 콩으로 인하여 고품질의 콩나물을 대량으로 재배하는데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콩나물은 국민이 즐겨 먹는 식품임에도 불구하고, 썩음병, 검은 반점, 붉은 반점, 갈반 현상, 줄기의 무름병 및 줄무늬 현상 등으로 재배와 유통상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아되지 않고 부패된 콩을 제거하는 공정을 도입하여 품질 저하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부패된 콩을 제거하는 번거로운 공정이 추가되기 때문에 재배 효율이 떨어지고, 통상적인 대량 생산공정에서는 재배용기에 콩을 투입하고 급수한 뒤 재배용기를 그대로 출하하기 때문에 이러한 공정을 도입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이에 최근에는 콩나물의 발아율 촉진, 부패 방지, 비린내 제거 등 양질의 콩나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젖산, 키토산이나 천연 식물에서 추출한 추출물을 첨가하는 방법 등의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져 왔다. 상기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13763호는「녹차와 영지버섯의 혼합환을 사용한 콩나물의 재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찹쌀풀을 이용하여 녹차와 영지버섯을 환으로 만들어 콩나물 재배과정에 투입시킴으로써, 녹차 및 영지버섯의 영양성분이 콩나물과 직접 접촉되어 영양성분을 흡수시키고 콩나물 특유의 비린내가 나지 않아 질적으로 우수한 콩나물을 제거할 수 있는 콩나물의 재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50426호는「인삼 콩나물의 재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인삼의 유효성분을 콩나물이흡수할 수 있고, 온도, 습도, 콩의 미발아 등으로 인해 발생되었던 썩음병을 방지하며 색택이 우수하도록 하여 콩나물의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콩나물콩의 발아율을 높여 양질의 콩나물을 재배할 수 있는 콩나물의 재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외에도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69827호의 「헛개나무 추출액을 이용한 콩나물의 재배 방법 및 그재배 방법에 의해 재배된 콩나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62906호의 「황토성분을 포함하는 배양제를 이용한 콩나물 재배 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62411호의 「오가피 추출액을 이용한 콩나물 재배 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93802호의 「키토산을 이용한 콩나물의 재배 방법 및 그 산물」 등 다수의 기술이 콩나물의 발아율을 촉진시키고, 비린내 및 부패 방지 등 질적으로 우수한 콩나물을 재배하고자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콩나물의 생육 및 품질은 콩 종자의 상태, 재배환경, 재배온도, 수질, 수주시간 및 수주방법 뿐만 아니라 재배일수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콩나물은 단기간에 매우 습하고 광이 차단된 곳에서 재배되기 때문에 재배환경이 열악하면 부패가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콩나물의 재배온도 및 재배수온은 콩나물의 재배환경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 할 수 있다.
콩나물 수량은 품종 고유특성에 해당되지만 종자의 저장기간, 수확 후 관리상태 뿐만 아니라 미생물의 감염여부 등도 발아에 영향을 미쳐 결국 콩나물의 수량 및 수율을 좌우한다고 할 수 있다.
콩나물은 재배 온도 뿐만 아니라 재배시 공급되는 재배용수도 콩나물의 수량 및 품질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데, 재배용수와 관련된 요인으로서는 재배수온도, 재배수량, 수질, 재배수 공급방법 등을 들 수 있고 물이 부족되면 콩나물의 품온이 상승하여 부패균이 번식하기 쉽고 잔뿌리가 발생될 뿐만 아니라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콩나물의 색택을 갖지 못하기 때문에 콩나물의 품질은 저하된다고 할 수 있다.
재배중인 콩나물에 부패가 발생되면 콩나물의 수량은 물론 품질에도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콩나물 재배농가는 종자소독제를 사용하여 왔으며 잔뿌리의 발생을 억제하고 줄기를 통통하게 키워 상품성을 증대시키고자 생장조절제가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박 등(1992)은 콩나물에 살포된 농약의 잔류정도는 수주량과 수주횟수에 따라 다르지만 사용된 농약은 미량일지라도 반드시 검출되기 때문에 잔류농약 독성의 위험성이 있다고 하였다. 최근 농약을 사용하여 재배된 콩나물에 대한 소비자들의 불신이 확산되고 있으며 청정재배법으로 생산된 콩나물에 대한 선호도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농약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우수한 콩나물을 생산할 수 있는 재배조건 및 재배법의 규명이 무엇보다 절실히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13763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5042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6982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6290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6241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93802호
이에, 본 발명자들은 발아율을 현저하게 향상시킴으로써 발아되지 않고 부패된 콩으로 인한 비린내, 부패취, 썩음병, 검은 반점, 붉은 반점, 갈반 현상, 줄기의 무름병 및 줄무늬 현상 등 전반적인 콩나물의 품질을 개선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콩나물 재배 시루로서 옹기와 볏짚을 태운 재 등을 이용하여 콩나물에 다양한 방법으로 공급하고, 콩의 불림 단계를 개선하여 콩나물의 발아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콩나물의 비린내, 부패취, 썩음병, 검은 반점, 붉은 반점, 갈반 현상, 줄기의 무름병 및 줄무늬 현상 등을 개선하여 농약이나 방부제의 사용없이 양질의 콩나물을 재배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콩나물의 발아율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콩나물 특유의 비린내, 미발아로 인한 부패취, 썩음병, 검은 반점, 붉은 반점, 갈반 현상, 줄기의 무름병 및 줄무늬 현상 등을 개선하여 농약이나 방부제의 사용 없이 양질의 콩나물을 재배할 수 있는 편백나무 및 제올라이트를 이용한 콩나물의 재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볏짚, 소라 껍질 및 우뭇가사리를 태운 재에 황토와 분쇄 볏짚을 혼합한 다음과 물을 넣고 반죽을 한 후에 건조한 후 분쇄하여 볏짚 재 황토 볼을 제조하는 단계;
(b) 콩을 불리는 단계;
(c) 바닥면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콩나물 재배를 위한 옹기 시루에 상기 볏짚 재 황토 볼을 깔고 그 위에 상기 불린 콩을 넣고 다시 콩 위에 볏짚 재 항토 볼로 덮어 콩나물 재배를 준비하는 단계; 및
(d) 재배수을 살수하여 콩나물을 재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볏짚 재와 옹기 시루를 이용한 콩나물 재배 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재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콩을 불리는 단계가 밀폐된 공간에서 콩을 넣고 초음파 가습기를 이용하여 생성된 수증기로 포화 습도 상태를 만든 후에 이를 유지하면서 24 내지 48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재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콩을 불리는 단계가 상기 (a) 단계에서 제조한 볏짚 재 황토 볼에 콩을 혼합하여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재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재배수의 온도는 17℃ 내지 20℃이며, 상기 재배를 위한 옹기 시루 내부 온도가 19℃ 내지 22℃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재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재배수는 상기 (a) 단계에서 제조한 볏짚 재 황토 볼과 8 내지 12시간 동안 혼합 상태를 유지한 후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재배 방법은 상기 재배수로 어성초과 익모초를 넣고 다린 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콩나물의 재배 방법은 각종 유효성분을 콩나물을 재배하는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콩에 침투시킴으로써 유효성분들이 콩나물에 흡수되어 인체에 유익한 여러 가지 영양을 함유한 영양식 콩나물을 재배할 수 있다.
또한, 발아율을 촉진시킴으로써 미 발아된 썩은 콩으로 인한 비린내, 부패취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농약이나 방부제의 사용없이 콩나물 재배시 발생될 수 있는 비린내, 부패취, 썩음병, 검은 반점, 붉은 반점, 갈반 현상, 줄기의 무름병 및 줄무늬 현상 등을 개선하여 질적으로 우수한 콩나물을 재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자는 농약이나 방부제의 사용 없이 콩나물의 발아율을 촉진시키면서 콩나물에서 발생될 수 있는 비린내, 부패취 및 갈반 현상 등 품질 저하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볏짚, 소라 껍질 및 우뭇가사리를 태운 재에 황토와 분쇄 볏짚을 혼합한 다음과 물을 넣고 반죽을 한 후에 건조한 후 분쇄하여 제조한 볏짚 재 황토 볼의 유효성분을 콩나물을 재배하는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콩에 침투시켜 발아율을 촉진시키면서 품질이 우수한 양질의 콩나물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하여, 우선 본 발명은 볏짚, 소라 껍질 및 우뭇가사리를 태운 재에 황토와 분쇄 볏짚을 혼합한 다음과 물을 넣고 반죽을 한 후에 건조한 후 분쇄하여 볏짚 재 황토 볼을 제조하는 단계를 실시한다.
상기 볏짚은 가을에 탈곡을 하고 남은 볏짚을 의미하고, 소라 껍질은 소라과에 속하는 조개류의 말린 껍질을 사용한다,
또한, 상기 우뭇가사리는 우뭇가사리과에 속하는 홍조류로 지상부를 건조한 것으로 사용한다.
또한, 상기 볏짚, 소라 껍질, 우뭇가사리를 태운 재를 만드는 방법 역시 특별한 장비, 기술을 요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널리 알려진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이용 가능하며, 상기 볏짚, 소라 껍질, 우뭇가사리의 혼합 비율은 본 발명에 따라 재배되는 콩나물의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중량 비율로 볏짚이 1일 때 소라 껍질은 0.1 내지 0.3, 우뭇가사리는 0.1 내지 0.3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볏짚, 소라 껍질 및 우뭇가사리를 태운 재를 그대로 사용하였을 경우 재배수와 함께 흘러내려 시루 밖으로 빠져나가 버리거나 시루 밑에 깔려 있는 면포를 막아 재배수가 충분히 배출되지 않아 재배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황토와 분쇄 볏짚에 상기 재들을 혼합한 다음에 물을 넣고 반죽하여 가압하여 일정한 형상을 만든 다음에 건조하여 단단해 진 것을 분쇄하여 사용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하는 재배 기간 동에 콩과 잘 혼합되어 시루 내에 존재하게 되어 지속적으로 유효성분을 공급하고 재배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황토에 있는 각종 유효성분까지도 콩나물 재배에 활용할 수 있으며, 분쇄 볏짚을 길쭉한 모양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볼의 형상 및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데 도움이 된다.
상기 재, 황토, 분쇄 볏짚의 혼합비율을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볼의 형상과 강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중량 비율로 하여 황토를 100으로 보았을 때 20 내지 30, 분쇄 볏짚은 2 내지 5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비율에서 볼의 형상과 강도가 유지된다면 상기 재는 많이 포함되면 될수록 콩나물 재배에 좋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어서 본 발명은 콩을 불리는 단계를 수행하게 되는데, 콩을 불리는 단계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에 분야에 널리 알려진 방법이라면 특별한 제한이 없이 사용이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자들에 의한 특별한 불림 방법은 물에 침지하여 콩을 불리는 것이 아니라 콩의 깨짐을 방지하고 콩나물 생장을 촉진시켜, 물에 불리 때보다 생산량이 높으며 고품질의 콩나물을 생산할 수 있도록 밀페된 공간에 초음파 가습기를 이용하여 공간 내부를 가습하여 포화습도 상태를 만들고 여기에 콩을 넣거나 콩을 위에서 제조한 볏짚 재 황토 볼과 함께 혼합하여 넣어 콩이 서서히 수분을 충분히 흡수하면서 불려지도록 하는 것이다. 불림 시간은 콩의 손으로 만져 보면서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본 발명자의 다양한 시험에 의해 확인된 것은 포화 습도 상태를 만든 후에 24 내지 48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바닥면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콩나물 재배를 위한 옹기 시루에 상기 볏짚 재 황토 볼을 깔고 그 위에 상기 불린 콩을 넣고 다시 콩 위에 볏짚 재 황토 볼로 덮어 콩나물 재배를 준비하고 재배수를 살수하여 콩나물을 재배를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재배 용기로서 옹기 시루를 사용하는데, 이와 같은 옹기는 약토(藥土)라는 황갈색의 유약을 입힌 질그릇으로서 높은 온도로 가열됨에 따라 옹기의 기벽에 함유되었던 결정수가 빠져나가면서 기공이 생성되어 옹기의 외부와 내부 사이로 공기가 통하게 되어 숨쉬는 그릇으로 통기성이 우수하며. 옹기 기벽의 기공이 내면에 형성된 불순물을 밀어내는 작용을 하게 되어 내용물이 부패하지 않고 장기간 저장할 수 있는 뛰어난 저장능력을 가지고 있어 콩나물 재배에 가장 적합한 용기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배수는 일반적으로 콩나물 재배에 사용되는 청정수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하며, 본 발명에서는 재배 기간 동안에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를 최소로 하기 위하여 재배수 역시 상기 볏짚 재 황토 볼에 24 내지 48시간 혼합하여 정수 내지 정화시킨 물을 재배수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재배수로 어성초과 익모초를 넣고 다린 물을 상기 볏짚 재 황토 볼에 24 내지 48시간 혼합하여 정수 내지 정화시킨 물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경우 재배수에 다양한 유효성분을 포함시킬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볏짚 재 황토 볼에 의해 불순물이 흡착되어 물의 오염을 최소로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재배수를 살포하는 양 및 시간 등 재배 방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널리 알려진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이용이 가능하며, 재배 용기 내부의 온도와 재배수의 온도에 큰 영향이 미치게 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재배수의 온도는 17℃ 내지 20℃, 재배를 위한 옹기 시루 내부 온도는 19℃ 내지 22℃를 유지하면서 재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 실시예 1>
볏짚 10kg, 소라 껍질 2.0kg 및 우뭇가사리 2.0kg의 혼합물을 태운 재 1kg을 황토 5kg, 분쇄 볏짚 200g과 균질하게 혼합한 다음에 물을 넣고 반죽한 덩어리를 건조한 다음에 이를 분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볏짚 재 황토 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황토 볼을 체질하여 볼의 크기가 사용할 콩의 대략 1/2 정도의 것을 분류하여 사용하였다.
이어서 콩을 물에 침지시켜 5시간 동안 불린 다음에 콩나물 재배용 옹기 시루에 상기 볏짚 재 황토 볼을 3cm 두께를 깔고 그 위하여 콩을 한층 깔고 다시 반복한 다다음에 맨 위를 볏짚 재 황토 볼로 덮어 콩나물 재배를 준비하였다.
이어서 재배수 온도 19℃, 상기 재배를 위한 옹기 시루 내부 온도는 20℃ 로 하여 콩나물 재배를 하였으며, 3시간 간격으로 3분씩 콩나물에 공급하였을 때 재배 기간은 8일 이었다.
<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나 콩을 물에 침지시켜 불리는 않고 밀페된 공간에 초음파 가습기를 넣고 작동시켜 포화 습도 상태를 만든 다음에 이를 30시간 동안 유지하면서 콩이 충분히 수분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여 불리는 단계를 실시한 거에 차이가있다.
< 실시예 3>
실시예 2와 동일하나 콩과 볏짚 재 황토 볼을 혼합한 다음에 콩 불림 단게를 실시한 것에 차이가 있다.
< 실시예 4 내지 6>
각각 실시예 1 내지 3과 동일하나 재배수를 상기 볏짚 재 황토 볼과 혼합하여 7시간 동안 정수 내지 정화시킨 것을 사용하는 것에서 차이가 있다.
< 실시예 7>
실시예 3과 동일하나 재배수로 물 1lg에 어성초 200g과 익모초 500g을 넣고 2시간 정도 달인 물을 상기 볏짚 재 황토 볼과 혼합하여 7시간 동안 정수 내지 정화시킨 것을 사용하는 것에서 차이가 있다.
< 비교예 1>
콩의 불림과 재배는 실시예 1과 동일하나 볏짚 재만을 이용하여 재배하는 것에서 차아가 있다.
< 비교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나 볏짚, 소라 껍질 및 우뭇가사리 재를 이용하여 재배한 것에서 차이가 있다
< 비교예 3>
실시예 1과 동일하나 볏짚, 소라 껍질, 우뭇가사리의 재와 황토를 볼 형태로 제조하지 않고 분말 상태로 혼합하여 이용한 것에서 차이가 있다.
< 실험예 1> 발아율(Germination) 측정 결과
실시예 및 비교예의 발아율(%, Germination)을 확인하였다. 발아율(%)은 사용된 종자의 수 중에서 발아가 된 종자의 수를 수치화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발아율(%) = 발아가 된 종자의 수 / 사용된 종자의수 X 100
발아율 (%)
실시예 1 94%
실시예 2 95%
실시예 3 96%
실시예 4 97%
실시예 5 97%
실시예 6 97%
실시예 7 99%
비교예 1 80%
비교예 2 80%
비교예 3 82%
그 결과,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모두 발아율이 90% 이상으로 발아되어 발아율이 매우 높음을 확인하였다.
반면, 비교예의 경우 발아율이 80 내지 82%로 나타나 본 발명의 우수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험예 2> 콩나물의 생육 상태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재배된 콩나물의 생육 상태를 콩나물의 총 중량, 길이, 두께 및 외관 상태를 평가항목으로 하여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냈다.
총 종량(g) 길이(cm) 두께(cm) 외관상태
실시예 1 181.29±27 14.16±24 2.37±31 매우 양호
실시예 2 182.31±28 14.53±24 2.85±22 매우 양호
실시예 3 182.44±42 14.74±18 3.12±27 매우 양호
실시예 4 183.85±35 14.85±15 3.14±29 매우 양호
실시예 5 184.32±29 14.83±12 3.31±12 매우 양호
실시예 6 184.72±33 14.96±25 3.54±42 매우 양호
실시예 7 191.28±31 15.77±26 4.05±18 매우 양호
비교예 1 161.11±17 11.21±21 1.62±28 길이가 짧고 잔뿌리 많음, 약간 갈반
비교예 2 161.28±28 11.22±15 1.57±35 길이가 짧고 잔뿌리 많음, 갈반
비교예 3 162.13±31 12.74±22 1.66±39 일부 붉은반점, 줄무늬 현상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경우 비교예 보다 콩나물의 길이, 두께 및 총 중량이 월등하게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유효성분이 콩에 지속적으로 접촉되어 콩나물의 생육이 촉진된 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경우 콩의 발아율이 우수하기 때문에 미발아된 콩이 감소되어 발아되지 않고 부패된 콩에서 발생되는 썩음병, 검은 반점, 붉은 반점, 갈반 현상 및 줄기의 무름병 및 줄 무늬 현상 등 외관 상태의 문제점이 현저하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 실험예 3> 기호도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의 콩나물에 대하여 기호도를 평가하였다. 평가는 관능검사로 하였으며, 냄새, 식감 및 외관상태를 평가항목으로 하였다. 점수는 1~5점(5점:좋다, ~3점:보통, ~1점:나쁘다)으로 하였고, 15명의 패널에 의해 실시되었으며, 15명의 패널들의 평가점수를 평균으로 하여 수치화하여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냈다.
냄새 식감 외관상태
실시예 1 4.8 4.8 4.8
실시예 2 4.8 4.8 4.8
실시예 3 4.8 4.8 4.8
실시예 4 4.8 4.9 4.9
실시예 5 4.8 4.9 4.9
실시예 6 4.8 4.9 4.9
실시예 7 4.9 5.0 5.0
비교예 1 3.5 2.8 3.2
비교예 2 3.4 2.8 3.3
비교예 3 3.3 2.7 3.3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의 방법으로부터 재배한 콩나물은 냄새, 식감 및 외관 상태가 비교예에 비하여 매우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실시예의 콩나물을 씹었을 때 아삭한 느낌 때문에 식감이 좋다는 평가가 있었고, 외관은 육안으로 관찰하였을 때 콩나물의 전체적인 상태가 우수하였기 때문에 높은 평가를 받은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 실험예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재배방법은 콩나물에서 발생될 수 있는 비린내, 부패취, 썩음병, 검은 반점, 붉은 반점, 갈반 현상, 줄기의 무름병 및 줄무늬 현상 등을 개선하여 농약이나 방부제의 사용 없이 양질의 콩나물을 재배할 수 있다.

Claims (6)

  1. (a) 볏짚, 소라 껍질 및 우뭇가사리를 태운 재에 황토와 분쇄 볏짚을 혼합한 다음과 물을 넣고 반죽을 한 후에 건조한 후 분쇄하여 볏짚 재 황토 볼을 제조하는 단계;
    (b) 콩을 불리는 단계;
    (c) 바닥면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콩나물 재배를 위한 옹기 시루에 상기 볏짚 재 황토 볼을 깔고 그 위에 상기 불린 콩을 넣고 다시 콩 위에 볏짚 재 항토 볼로 덮어 콩나물 재배를 준비하는 단계; 및
    (d) 재배수을 살수하여 콩나물을 재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볏짚 재와 옹기 시루를 이용한 콩나물 재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콩을 불리는 단계가 밀폐된 공간에서 콩을 넣고 초음파 가습기를 이용하여 생성된 수증기로 포화 습도 상태를 만든 후에 이를 유지하면서 24 내지 48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볏짚 재와 옹기 시루를 이용한 콩나물 재배 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콩을 불리는 단계가 상기 (a) 단계에서 제조한 볏짚 재 황토 볼에 콩을 혼합하여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볏짚 재와 옹기 시루를 이용한 콩나물 재배 방법.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수의 온도는 17℃ 내지 20℃이며, 상기 재배를 위한 옹기 시루 내부 온도가 19℃ 내지 2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볏짚 재와 옹기 시루를 이용한 콩나물 재배 방법.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수는 상기 (a) 단계에서 제조한 볏짚 재 황토 볼과 8 내지 12시간 동안 혼합 상태를 유지한 후에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볏짚 재와 옹기 시루를 이용한 콩나물 재배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수는 어성초과 익모초를 넣고 다린 물인 것을 볏짚 재와 옹기 시루를 이용한 콩나물 재배 방법.
KR1020190142059A 2019-11-07 2019-11-07 볏짚 재와 옹기 시루를 이용한 콩나물 재배 방법 KR202100555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2059A KR20210055517A (ko) 2019-11-07 2019-11-07 볏짚 재와 옹기 시루를 이용한 콩나물 재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2059A KR20210055517A (ko) 2019-11-07 2019-11-07 볏짚 재와 옹기 시루를 이용한 콩나물 재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5517A true KR20210055517A (ko) 2021-05-17

Family

ID=76158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2059A KR20210055517A (ko) 2019-11-07 2019-11-07 볏짚 재와 옹기 시루를 이용한 콩나물 재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55517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0426A (ko) 2002-12-10 2004-06-16 조순여 인삼 콩나물의 재배방법
KR100569827B1 (ko) 2004-03-30 2006-04-11 이재천 헛깨나무 추출액을 이용한 콩나물의 재배방법 및 그재배방법에 의해 재배된 콩나물
KR100693802B1 (ko) 2005-03-21 2007-03-12 노홍균 키토산을 이용한 콩나물의 재배방법 및 그 산물
KR100862906B1 (ko) 2005-10-07 2008-10-15 엠오지메이트(주) 황토성분을 포함하는 배양제를 이용한 콩나물 재배방법
KR20110013763A (ko) 2009-08-03 2011-02-10 박종권 녹차와 영지버섯의 혼합환을 사용한 콩나물의 재배방법
KR101062411B1 (ko) 2009-03-26 2011-09-06 강산영농조합법인 오가피 추출액을 이용한 콩나물 재배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0426A (ko) 2002-12-10 2004-06-16 조순여 인삼 콩나물의 재배방법
KR100569827B1 (ko) 2004-03-30 2006-04-11 이재천 헛깨나무 추출액을 이용한 콩나물의 재배방법 및 그재배방법에 의해 재배된 콩나물
KR100693802B1 (ko) 2005-03-21 2007-03-12 노홍균 키토산을 이용한 콩나물의 재배방법 및 그 산물
KR100862906B1 (ko) 2005-10-07 2008-10-15 엠오지메이트(주) 황토성분을 포함하는 배양제를 이용한 콩나물 재배방법
KR101062411B1 (ko) 2009-03-26 2011-09-06 강산영농조합법인 오가피 추출액을 이용한 콩나물 재배 방법
KR20110013763A (ko) 2009-08-03 2011-02-10 박종권 녹차와 영지버섯의 혼합환을 사용한 콩나물의 재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049947A (ja) 混植発芽玄米及びその製法
CN107646500A (zh) 一种油茶的扦插方法
CN112931048A (zh) 一种红托竹荪菌包及红托竹荪的栽培方法
KR101400021B1 (ko) 천연물을 이용한 각종 버섯의 재배방법
KR20180009482A (ko) 호두가 함유된 된장 및 이의 제조방법
JP7412016B2 (ja) 茶葉加工物の製造方法
KR20170051889A (ko) 산야초 효소를 이용한 막걸리의 제조방법
KR20210055513A (ko) 볏짚 재와 옹기 시루를 이용한 콩나물 재배 방법
CN107950315A (zh) 一种辣椒和番茄的套栽方法
KR20120088154A (ko) 마를 함유한 증편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60918A (ko) 밀싹즙이 포함된 주스의 제조방법
CN106613691A (zh) 一种油桃的种植方法
KR20210055517A (ko) 볏짚 재와 옹기 시루를 이용한 콩나물 재배 방법
CN107691716A (zh) 一种香椿茶的制作方法
KR101752571B1 (ko) 갈화 추출물을 이용하여 배양, 숙성시킨 청국장 및 이를 이용한 갈화고추장 제조방법
KR101549199B1 (ko) 발효곡물 제조방법
CN111466269A (zh) 一种多花黄精种子快速繁育方法
KR101689800B1 (ko) 발아 발효 커피 원두 제조 방법
CN107710953A (zh) 一种提高大豆种子萌发率的贮藏方法
KR102455930B1 (ko) 보리 발효곡의 제조 방법 및 보리 발효곡의 용도
KR20140032579A (ko) 인삼 묘삼 생산용 상토 조성물
KR102484535B1 (ko) 구절초 꽃 발효숙성 차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40050426A (ko) 인삼 콩나물의 재배방법
KR20180089655A (ko) 산양삼을 이용한 메주 제조방법
KR20220068653A (ko) 기능성 메주의 제조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