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4717A - 전기집진기용 집진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집진기용 집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4717A
KR20210054717A KR1020190140709A KR20190140709A KR20210054717A KR 20210054717 A KR20210054717 A KR 20210054717A KR 1020190140709 A KR1020190140709 A KR 1020190140709A KR 20190140709 A KR20190140709 A KR 20190140709A KR 20210054717 A KR20210054717 A KR 202100547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llecting
dust
electric precipitator
collecting plat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0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지용
김기홍
김재호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40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4717A/ko
Priority to PCT/KR2020/000482 priority patent/WO2020145730A1/ko
Priority to US17/421,963 priority patent/US20220111399A1/en
Priority to CN202080008943.2A priority patent/CN113286660B/zh
Priority to DE112020000389.2T priority patent/DE112020000389T5/de
Priority to PCT/KR2020/014865 priority patent/WO2021091160A1/ko
Priority to DE112020005438.1T priority patent/DE112020005438T5/de
Priority to CN202080076008.XA priority patent/CN114616055B/zh
Priority to US17/763,044 priority patent/US20220331816A1/en
Publication of KR20210054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47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5Collecting-electrodes
    • B03C3/47Collecting-electrodes flat, e.g. plates, discs, gr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 B03C3/04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82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86Electrode-carrying means

Landscapes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컨이나 공기정화기와 같은 공조장치에서 공기에 포함된 미세 먼지를 흡착하여 여과할 수 있는 전기집진기용 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집진장치가 복수의 제1집진 플레이트의 일측에 연속되는 제1연결부를 포함하여 형성되어 제조성 및 집진 성능을 향상할 수 있는 전기집진기용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집진기용 집진장치 {Collector for electric precipitator}
본 발명은 에어컨이나 공기정화기와 같은 공조장치에서 공기에 포함된 미세 먼지를 흡착하여 여과할 수 있는 전기집진기용 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집진장치가 복수의 제1집진 플레이트의 일측에 연속되는 제1연결부를 포함하여 형성되어 제조성 및 집진 성능을 향상할 수 있는 전기집진기용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나 가스에 포함된 먼지, 분진 등의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미세한 섬유로 구성된 부직포 등을 사용한 필터를 사용한다. 일반적인 섬유형 필터는 기공의 크기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기공 보다 작은 크기의 먼지 입자는 걸러줄 수 없었다. 또한 기공의 크기를 과도하게 줄일 경우, 풍량이 감소하며 큰 먼지 입자들에 의해 기공이 조기에 막혀 버리기 때문에 필터의 수명이 매우 짧아지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풍량의 저하를 방지하고 큰 입자에 의한 기공 막힘의 문제가 없으며 매우 작은 크기의 불순물 입자도 걸러 줄 수 있는 전기집진필터가 사용되고 있다.
도 1과 같이 전기집진필터는 각각 별개로 형성된 다수의 집진플레이트(42a, 42b)를 일정 간격을 갖도록 배치하고, 하나 건너 하나씩 교대로 양극 고전압과 음극 고전압을 인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양극의 극성 또는 음극의 극성을 띈 집진플레이트(42a, 42b)의 표면에 반대 극성을 갖도록 대전된 먼지 입자가 흡착됨으로써 집진플레이트들의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나 가스로부터 미세 입자가 제거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도 2와 같이 집진플레이트(42a, 42b)들은 전기적인 연결을 위해 양면을 관통하도록 구멍들이 형성되어 있고 관통바(44a, 44b)들이 집진플레이트(42a, 42b)들에 형성된 구멍들을 통과하도록 삽입되어 있다. 이때, 양극 집진플레이트(42a)들은 양극 고전압 공급부에 연결된 관통바(44a)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음극 고전압 공급부에 연결된 관통바(44b)와는 이격되어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는 반대로 음극 집진플레이트(42b)들은 음극 고전압 공급부에 연결된 관통바(44b)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양극 고전압 공급부에 연결된 관통바(44a)와는 이격되어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각각 별개로 구성된 복수의 집진플레이트들을 관통하도록 관통바들이 삽입되어 결합되므로 집진플레이트들 사이의 공간인 공기가 통과되는 유로를 관통바들이 막아서 집진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그리고 관통바와 집진플레이트가 접촉되어 결합되는 부분에서 정확한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고 미접촉되는 부분이 발생할 수 있으며, 집진플레이트가 관통바와 접촉되지 않고 이격되어 있는 구멍 부분에 이물질 또는 전도성 물질들이 유입되어 적체되면 전기적으로 방전 현상이 발생되어 집진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집진플레이트들과 관통바들을 결합하여 조립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복수개의 집진플레이트에 전극을 연결하기 위하여 관통전극을 형성하고 실링재를 이용하여 봉합하는 경우에, 복수개의 집진플레이트들을 개별적으로 관통전극을 연결해야하며, 실링재를 경화하는데 시간이 소요되어 생산 시간 및 비용이 증가된다. 또, 이러한 제조 방법은 실링재를 이용함에 따른 냄새 등이 유발되며, 개별적인 전기 연결에 의해 전기적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KR 10-0722863 B1 (2007.05.22)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집진 플레이트의 일측에서 연속되게 형성되는 연결부를 이용하여 제조성을 높이고 전기적인 안정성을 높여 집진 성능을 보다 높일 수 있는 전기집진기용 집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시트를 이용하여 연결부 형성 영역을 제외하고 서로 접합되는 형태로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전원 연결을 위한 개별적인 조립 공정이 필요치 않아 생산성을 보다 높일 수 있고, 조립이 용이한 전기집진기용 집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제1집진부 및 제2집진부가 정확한 위치에서 조립될 수 있어 조립성을 높일 수 있으며, 집진 성능을 향상할 수 있는 전기집진기용 집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기용 집진장치(1000)는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제1집진 플레이트(121)와, 상기 제1집진 플레이트(121) 양단부의 일측에 연속되게 형성되어 이웃하는 제1집진 플레이트(121)들을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하는 복수의 제1연결부(122)를 포함하는 제1집진부(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전기집진기용 집진장치(1000)는,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제2집진 플레이트(221)와, 상기 제2집진 플레이트(221) 양단부의 타측에 연속되게 형성되어 이웃하는 제2집진 플레이트(221)들을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하는 복수의 제2연결부(222)를 포함하며, 상기 제1집진 플레이트(121)와 제2집진 플레이트(221)가 서로 마주보면서 번갈아 배치되도록 상기 제1집진부(120)에 끼워지되 상기 제1집진부(120)와 접촉되지 않게 배치된 제2집진부(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전기집진기용 집진장치(1000)는, 내측이 중공된 제1개구부(110a)가 형성되며, 상기 제1집진부(120)의 제1연결부(122)가 형성된 제1집진 플레이트(121)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돌출고정부(111)가 형성된 제1케이스(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1돌출고정부(111)는 상기 제1집진 플레이트(121)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다른 높이에서 제1집진부(120)를 지지하는 제1-1돌출고정부(111a) 및 제1-2돌출고정부(111b)가 상기 제1집진 플레이트(121)의 적층 방향으로 교번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케이스(110)는 상기 제1집진부(120)의 제1연결부(122)가 형성되지 않은 제1집진 플레이트(121)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1돌출지지부(11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전기집진기용 집진장치(1000)는, 내측이 중공된 제2개구부(210a)가 형성되며, 상기 제2집진부(220)의 제2연결부(222)가 형성된 제1집진 플레이트(121)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2돌출고정부(211)가 형성된 제2케이스(2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2돌출고정부(211)는 상기 제2집진 플레이트(221)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다른 높이에서 제2집진부(220)를 지지하는 제2-1돌출고정부(211a) 및 제2-2돌출고정부(211b)가 상기 제2집진 플레이트(221)의 적층 방향으로 교번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2케이스(210)는 상기 제2집진부(220)의 제2연결부(222)가 형성되지 않은 제2집진 플레이트(221)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2돌출지지부(21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1집진부(120)는 전도성 물질 및 상기 전도성 물질을 감싸는 유전체 물질로 이루어진 단일 시트를 이용하여 형성되되, 상기 시트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1연결부(122) 형성영역을 제외하고 상기 시트 일정영역이 서로 접합되어 상기 제1집진 플레이트(121)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2집진부(220)는 전도성 물질 및 상기 전도성 물질을 감싸는 유전체 물질로 이루어진 단일 시트를 이용하여 형성되되, 상기 시트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2연결부(222) 형성영역을 제외하고 상기 시트 일정영역이 서로 접합되어 상기 제2집진 플레이트(221)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기집진기용 집진장치(1000)는,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제2집진 플레이트(221)와, 상기 제2집진 플레이트(221)의 양단부에 번갈아 형성되어 이웃하는 제2집진 플레이트(221)들을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하는 복수의 제2연결부(222)를 포함하며, 상기 제1집진 플레이트(121)와 제2집진 플레이트(221)가 서로 마주보면서 번갈아 배치되도록 상기 제2집진부(220)에 끼워지되 상기 제1집진부(120)와 접촉되지 않게 배치된 제2집진부(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 때, 상기 제2집진부(220)는 단일의 시트를 절곡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전기집진기용 집진장치(1000)는 길이방향으로 긴 제1지지대(311)를 포함하여 상기 제1집진 플레이트(121)의 위치를 고정하는 제1고정부재(3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기집진기용 집진장치(1000)는 길이방향으로 긴 제2지지대(321)를 포함하여 상기 제2집진 플레이트(221)의 위치를 고정하는 제2고정부재(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1집진 플레이트(121)는 폭방향 일측에 상기 제1고정부재(310)의 제1지지대(311)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1삽입홈(124)이 형성되고, 폭방향 타측에 상기 제2고정부재(320)의 제2지지대(321)가 위치되는 제1절개홈(125)이 형성되며, 상기 제2집진 플레이트(221)는 폭방향 일측에 상기 제1고정부재(310)의 제1지지대(311)가 위치되는 제2절개홈(225)이 형성되고, 폭방향 타측에 상기 제2고정부재(320)의 제2지지대(321)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2삽입홈(22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전기집진기용 집진장치는 복수의 집진 플레이트의 일측에서 연속되게 형성되는 연결부를 이용하여 제조성을 높이고 전기적인 안정성을 높여 집진 성능을 보다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전기집진기용 집진장치는 하나의 시트를 이용하여 연결부 형성 영역을 제외하고 서로 접합되는 형태로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전원 연결을 위한 개별적인 조립 공정이 필요치 않아 생산성을 보다 높일 수 있고, 조립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집진기용 집진장치는 제1집진부 및 제2집진부가 정확한 위치에서 조립될 수 있어 조립성을 높일 수 있으며, 집진 성능을 향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전기집진기의집진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및 부분 단면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기용 집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분해사시도, 및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기용 집진장치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기용 집진장치를 나타낸 다른 개략도.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기용 집진장치의 다른 사시도, 분해사시도, 제1집진부의 분해사시도 및 제2집진부의 분해사시도.
도 12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기용 집진장치의 부분 사시도 및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기용 집진장치의 다른 측면도.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기용 집진장치의 다른 분해사시도 및 측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기를 나타낸 도면.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전기집진기용 집진장치(1000)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기용 집진장치(1000)를 나타낸 사시도, 분해사시도, 및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기용 집진장치(1000)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기용 집진장치(1000)를 나타낸 다른 개략도이고,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기용 집진장치(1000)의 다른 사시도, 분해사시도, 제1집진부(120)의 분해사시도 및 제2집진부(220)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12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기용 집진장치(1000)의 부분 사시도 및 측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기용 집진장치(1000)의 다른 측면도이며,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기용 집진장치(1000)의 다른 분해사시도 및 측면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기(D)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전기집진기용 집진장치(1000)는 제1집진부(120)를 포함하는 형태로, 상기 제1집진부(120)는 제1집진 플레이트(121) 및 제1연결부(122)를 포함한다.
상기 제1집진 플레이트(121)는 복수개가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1연결부(122)는 복수개의 상기 제1집진 플레이트(121) 양단부의 일측에 연속되게 형성되어 제1집진 플레이트(121)들을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한다. 도 3 내지 도 5에서, 제1연결부(122)가 제1집진 플레이트(121)의 양단부 중 일측인 높이방향으로 상측에 연속되게 형성된 예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전기집진기용 집진장치(1000)는 제1연결부(122)가 제1집진 플레이트(121)의 양단부 중 타측인 높이방향으로 하측에 연속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집진부(120)는 위와 같은 상기 제1집진 플레이트(121) 및 제1연결부(122)를 포함하는 형태를 다양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집진 플레이트(121) 및 제1연결부(122)가 하나의 시트(Sheet)를 이용하여 제조되어 제조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도 6 (a)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도성 물질 및 상기 전도성 물질을 감싸는 유전체 물질로 이루어진 단일 시트를 제조한 후, 도 6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곡한 후, 상기 제1연결부(122)를 형성하는 영역을 제외하고, 도 6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시트의 일정영역이 서로 접합되어 상기 제1집진 플레이트(121)를 형성한다. 즉, 시트의 2개 부분인 a1 및a2가 서로 접합되어 하나의 제1집진 플레이트(121)를 형성한다. 하나의 시트는 영역 a1, 영역 a2, 영역 b 다시 영역 a1, 영역 a2, 영역 b가 반복되어 제1집진 플레이트(121) ?? 제1연결부(122)를 반복 형성한다. 이 때, 상기 시트는 전도성 물질이 유전체 물질로 코팅되어, 유전체 물질에 의해 전도성 물질이 감싸져 있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전도성 물질은 전기 전도성이 있는 카본 시트 등 다양한 물질이 될 수 있으며, 유전체 물질은 플라스틱 등의 얇은 필름이 될 수 있다. 또, 상기 시트의 단부에는 전원 연결을 위한 제1전극탭(123)을 형성하도록 일정 영역의 전도성 물질이 노출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집진기용 집진장치(1000)는 상기 제1집진부(120)와 함께 고전압이 인가되는 제2집진부(220)를 포함한다.
상기 제2집진부(220)는 상기 제1집진부(120)와 같은 형태로 형성되 수 있으며,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한 형태 참조) 제2집진 플레이트(221) 및 제2집진부(220)를 포함한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제2집진 플레이트(221)는 복수개가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2연결부(222)는 상기 제2집진 플레이트(221) 양단부의 타측에 연속되게 형성되어 이웃하는 제2집진 플레이트(221)들을 전기적으로 직렬연결한다. 이 때, 상기 제2집진부(220)는 상기 제1집진 플레이트(121)와 제2집진 플레이트(221)가 서로 마주보면서 번갈아 배치되도록 상기 제1집진부(120)에 끼워지되, 상기 제1집진부(120)와 접촉되지 않게 배치된다. 즉, 상기 제1집진 플레이트(121)와 제2집진 플레이트(221)는 일정 거리 이격되어 교번 배치되며, 상기 제1집진부(120)의 제1연결부(122)가 높이방향으로 상측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제2집진부(220)의 제2연결부(222)가 높이방향으로 하측에 위치된다.
상기 제1집진부(120)와 제2집진부(220)에 고전압이 인가되면, 그 사이에 전기장이 형성되며, 상기 제1집진 플레이트(121)와 제2집진 플레이트(221) 사이로 대전장치(2000)에 의해 음이온화 또는 양이온화된 먼지 입자를 포함한 공기가 통과되면서 양이온화 된 먼지 입자가 전기장에 의하여 상기 제1집진부(120) 및 제2집진부(220)의 표면에 흡착되어 포집된다. (도 17 참조)
상기 제2집진부(220)의 제2집진 플레이트(221) 및 제2연결부(222) 역시, 상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하나의 시트를 이용하여 제조되어 제조성을 보다 높일 수 있으며, 또, 상기 시트의 단부에는 전원 연결을 위한 제2전극탭(223)을 형성하도록 일정 영역의 전도성 물질이 노출된 형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전기집진기용 집진장치(1000)는 복수의 집진 플레이트의 일측에서 연속되게 형성되는 연결부를 이용하여 제조성을 높이고 전기적인 안정성을 높여 집진 성능을 보다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전기집진기용 집진장치(1000)는 하나의 시트를 이용하여 연결부 형성 영역을 제외하고 서로 접합되는 형태로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전원 연결을 위한 개별적인 조립 공정이 필요치 않아 생산성을 보다 높일 수 있고, 조립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2집진부(220)는 제2집진 플레이트(221) 및 제2연결부(222)를 포함하되,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연결부(222)가 상기 제2집진 플레이트(221)의 양단부에 번갈아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집진 플레이트(221) 및 제2연결부(222)는 단일의 시트를 절곡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전기집진기용 집진장치(1000)는 제1고정부재(310) 및 제2고정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재(310)는 상기 제1집진 플레이트(121) 및 제2집진 플레이트(221)의 적층 방향인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1지지대(311)를 포함하여, 상기 제1집진 플레이트(121)의 위치를 고정한다.
상기 제2고정부재(320)는 상기 제1집진 플레이트(121) 및 제2집진 플레이트(221)의 적층 방향인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2지지대(321)를 포함하여, 상기 제2집진 플레이트(221)의 위치를 고정한다.
상기 제1고정부재(310) 및 제2고정부재(320)의 형성을 위하여 상기 제1집진 플레이트(121)는 폭방향 일측에 상기 제1고정부재(310)의 제1지지대(311)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1삽입홈(124)이 형성되고, 폭방향 타측에 상기 제2고정부재(320)의 제2지지대(321)가 위치되는 제1절개홈(125)이 형성되며, 상기 제2집진 플레이트(221)는 폭방향 일측에 상기 제1고정부재(310)의 제1지지대(311)가 위치되는 제2절개홈(225)이 형성되고, 폭방향 타측에 상기 제2고정부재(320)의 제2지지대(321)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2삽입홈(224)이 형성된다.
또, 본 발명의 전기집진기용 집진장치(1000)는 도 8 내지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케이스(110) 및 제2케이스(210)를 포함하는 형태일 수 있다. 도면에서, 상기 제1케이스(110) 및 제1집진부(120)를 도면번호 100의 제1집진모듈(100)로, 상기 제2케이스(210) 및 제2집진부(220)를 도면번호 200의 제2집진모듈(200)로 표시하였다.
상기 제1케이스(110)는 내측이 중공된 제1개구부(110a)가 형성된 틀 형태로, 상기 제1집진부(120)가 장착 고정된다. 상기 제1케이스(110)는 상기 제1집진 플레이트(121)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돌출고정부(111) 및 상기 제1집진 플레이트(121)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1돌출지지부(112)를 포함한다. 상기 제1돌출고정부(111)는 상기 제1연결부(122)가 형성된 측인 상기 제1집진 플레이트(121)의 일측을 지지하는 것으로, 서로 다른 높이에서 상기 제1집진부(120)를 지지하는 제1-1돌출고정부(111a) 및 제1-2돌출고정부(111b)기 형성되며, 그 형태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 10, 12, 및 도 13에 도시한 형태는 상기 제1-1돌출고정부(111a)가 제1집진 플레이트(121)의 일측 단부 및 제1연결부(122) 내주를 지지하는 형태이며, 상기 제1-2돌출고정부(111b)가 상기 제1-1돌출고정부(111a)의 형성높이와는 다르게 돌출되어 제1집진 플레이트(121)를 지지하는 형태를 갖고, 상기 제1집진 플레이트(121)의 적층 방향으로 제1-1돌출고정부(111a) 및 제1-2돌출고정부(111b)가 교번 형성되는 예를 나타내었다.
상기 도 14에 도시한 형태는 상기 제1-1돌출고정부(111a)가 상기 1연결부의 외주를 지지하는 형태이며, 상기 제1-2돌출고정부(111b)가 상기 제1집진 플레이트(121)를 지지하는 형태를 갖고, 상기 제1집진 플레이트(121)의 적층 방향으로 제1-1돌출고정부(111a) 및 제1-2돌출고정부(111b)가 교번 형성되는 예를 나타내었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한 형태는 상기 제1-1돌출고정부(111a)가 영문 대문자 "I"와 같이 높이방향으로 상측 및 하측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제1집진 플레이트(121)를 지지하는 2개의 영역이 존재하며, 상기 제1-2돌출고정부(111b)가 높이방향으로 2개의 영역 사이에서 제1집진 플레이트(121)를 지지하는 형태를 갖고, 상기 제1집진 플레이트(121)의 적층 방향으로 제1-1돌출고정부(111a) 및 제1-2돌출고정부(111b)가 교번 형성되는 예를 나타내었다.
상기 제1돌출지지부(112)는 상기 제1집진부(120)의 제1연결부(122)가 형성되지 않은 제1집진 플레이트(121)의 타측을 지지하는 것으로, 복수개의 제1돌출지지부(112) 사이에 제1집진 플레이트(121)들이 끼워지는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케이스(210)는 내측이 중공된 제2개구부(210a)가 형성된 틀 형태로, 상기 제2집진부(220)가 장착 고정된다. 상기 제2케이스(210)는 상기 제2집진 플레이트(221)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2돌출고정부(211) 및 상기 제2집진 플레이트(221)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2돌출지지부(212)를 포함한다. 상기 제2돌출고정부(211)는 상기 제2연결부(222)가 형성된 측인 상기 제2집진 플레이트(221)의 타측을 지지하는 것으로, 서로 다른 높이에서 상기 제2집진부(220)를 지지하는 제2-1돌출고정부(211a) 및 제2-2돌출고정부(211b)기 형성되며, 그 형태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1돌출고정부(211a) 및 제2-2돌출고정부(211b)의 형태는 상기 제1-1돌출고정부(111a) 및 제1-2돌출고정부(111b)의 형태와 동일하게 형성되되, 상기 제2집진부(220)의 제2연결부(222) 형성 위치를 고려하여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높이방향으로 하측에 형성된다.
또, 상기 제2돌출지지부(212)는 상기 제2집진부(220)의 제2연결부(222)가 형성되지 않은 제2집진 플레이트(221)의 타측을 지지하는 것으로, 복수개의 제2돌출지지부(212) 사이에 제2집진 플레이트(221)들이 끼워지는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기집진기용 집진장치(1000)는 상기 제1케이스(110)에 상기 제1고정부재(310) 및 상기 제2케이스(210)에 제2고정부재(32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기집진기용 집진장치(1000)는 공기가 유동되는 공간을 최대로 확보할 수 있으며, 조립성을 보다 높일 수 있어 전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D : 전기집진기
1000 : 전기집진기용 집진장치
100 : 제1집진모듈
110 : 제1케이스 110a : 제1개구부
111 : 제1돌출고정부
111a : 제1-1돌출고정부 111b : 제1-2돌출고정부
112 : 제1돌출지지부
120 : 제1집진부
121 : 제1집진 플레이트 122 : 제1연결부
123 : 제1전극탭
124 : 제1삽입홈 125 : 제1절개홈
200 : 제2집진모듈
210 : 제2케이스 210a : 제2개구부
211 : 제2돌출고정부
211a : 제2-1돌출고정부 211b : 제2-2돌출고정부
212 : 제2돌출지지부
220 : 제2집진부
221 : 제2집진 플레이트 222 : 제2연결부
223 : 제2전극탭
224 : 제2삽입홈 225 : 제2절개홈
310 : 제1고정부재 311 : 제1지지대
320 : 제2고정부재 321 : 제2지지대
2000 : 대전장치

Claims (15)

  1.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제1집진 플레이트(121)와, 상기 제1집진 플레이트(121) 양단부의 일측에 연속되게 형성되어 이웃하는 제1집진 플레이트(121)들을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하는 복수의 제1연결부(122)를 포함하는 제1집진부(120)를 포함하는 전기집진기용 집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집진기용 집진장치(1000)는,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제2집진 플레이트(221)와, 상기 제2집진 플레이트(221) 양단부의 타측에 연속되게 형성되어 이웃하는 제2집진 플레이트(221)들을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하는 복수의 제2연결부(222)를 포함하며, 상기 제1집진 플레이트(121)와 제2집진 플레이트(221)가 서로 마주보면서 번갈아 배치되도록 상기 제1집진부(120)에 끼워지되 상기 제1집진부(120)와 접촉되지 않게 배치된 제2집진부(220)를 포함하는 전기집진기용 집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집진기용 집진장치(1000)는,
    내측이 중공된 제1개구부(110a)가 형성되며, 상기 제1집진부(120)의 제1연결부(122)가 형성된 제1집진 플레이트(121)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돌출고정부(111)가 형성된 제1케이스(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기용 집진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고정부(111)는 상기 제1집진 플레이트(121)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다른 높이에서 제1집진부(120)를 지지하는 제1-1돌출고정부(111a) 및 제1-2돌출고정부(111b)가 상기 제1집진 플레이트(121)의 적층 방향으로 교번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기용 집진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스(110)는 상기 제1집진부(120)의 제1연결부(122)가 형성되지 않은 제1집진 플레이트(121)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1돌출지지부(11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기용 집진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집진기용 집진장치(1000)는,
    내측이 중공된 제2개구부(210a)가 형성되며, 상기 제2집진부(220)의 제2연결부(222)가 형성된 제1집진 플레이트(121)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2돌출고정부(211)가 형성된 제2케이스(2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기용 집진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돌출고정부(211)는 상기 제2집진 플레이트(221)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다른 높이에서 제2집진부(220)를 지지하는 제2-1돌출고정부(211a) 및 제2-2돌출고정부(211b)가 상기 제2집진 플레이트(221)의 적층 방향으로 교번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기용 집진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케이스(210)는 상기 제2집진부(220)의 제2연결부(222)가 형성되지 않은 제2집진 플레이트(221)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2돌출지지부(21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기용 집진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집진부(120)는 전도성 물질 및 상기 전도성 물질을 감싸는 유전체 물질로 이루어진 단일 시트를 이용하여 형성되되, 상기 시트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1연결부(122) 형성영역을 제외하고 상기 시트 일정영역이 서로 접합되어 상기 제1집진 플레이트(121)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기용 집진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집진부(220)는 전도성 물질 및 상기 전도성 물질을 감싸는 유전체 물질로 이루어진 단일 시트를 이용하여 형성되되, 상기 시트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2연결부(222) 형성영역을 제외하고 상기 시트 일정영역이 서로 접합되어 상기 제2집진 플레이트(221)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기용 집진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집진기용 집진장치(1000)는,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제2집진 플레이트(221)와, 상기 제2집진 플레이트(221)의 양단부에 번갈아 형성되어 이웃하는 제2집진 플레이트(221)들을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하는 복수의 제2연결부(222)를 포함하며, 상기 제1집진 플레이트(121)와 제2집진 플레이트(221)가 서로 마주보면서 번갈아 배치되도록 상기 제2집진부(220)에 끼워지되 상기 제1집진부(120)와 접촉되지 않게 배치된 제2집진부(220)를 포함하는 전기집진기용 집진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집진부(220)는 단일의 시트를 절곡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기용 집진장치.
  13. 제2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집진기용 집진장치(1000)는 길이방향으로 긴 제1지지대(311)를 포함하여 상기 제1집진 플레이트(121)의 위치를 고정하는 제1고정부재(3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기용 집진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집진기용 집진장치(1000)는 길이방향으로 긴 제2지지대(321)를 포함하여 상기 제2집진 플레이트(221)의 위치를 고정하는 제2고정부재(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기용 집진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집진 플레이트(121)는 폭방향 일측에 상기 제1고정부재(310)의 제1지지대(311)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1삽입홈(124)이 형성되고, 폭방향 타측에 상기 제2고정부재(320)의 제2지지대(321)가 위치되는 제1절개홈(125)이 형성되며,
    상기 제2집진 플레이트(221)는 폭방향 일측에 상기 제1고정부재(310)의 제1지지대(311)가 위치되는 제2절개홈(225)이 형성되고, 폭방향 타측에 상기 제2고정부재(320)의 제2지지대(321)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2삽입홈(22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기용 집진장치.
KR1020190140709A 2019-01-11 2019-11-06 전기집진기용 집진장치 KR20210054717A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0709A KR20210054717A (ko) 2019-11-06 2019-11-06 전기집진기용 집진장치
PCT/KR2020/000482 WO2020145730A1 (ko) 2019-01-11 2020-01-10 전기집진기용 집진장치
US17/421,963 US20220111399A1 (en) 2019-01-11 2020-01-10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electric precipitator
CN202080008943.2A CN113286660B (zh) 2019-01-11 2020-01-10 用于电除尘器的集尘设备
DE112020000389.2T DE112020000389T5 (de) 2019-01-11 2020-01-10 Staubsammelvorrichtung für elektroabscheider
PCT/KR2020/014865 WO2021091160A1 (ko) 2019-11-06 2020-10-29 대전부 및 집진부를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
DE112020005438.1T DE112020005438T5 (de) 2019-11-06 2020-10-29 Elektrische Staubsammelvorrichtung mit Ladeteil und Staubsammelteil
CN202080076008.XA CN114616055B (zh) 2019-11-06 2020-10-29 包括充电部和集尘部的电集尘装置
US17/763,044 US20220331816A1 (en) 2019-11-06 2020-10-29 Electrical dust collection device comprising charging part and dust collection par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0709A KR20210054717A (ko) 2019-11-06 2019-11-06 전기집진기용 집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4717A true KR20210054717A (ko) 2021-05-14

Family

ID=75915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0709A KR20210054717A (ko) 2019-01-11 2019-11-06 전기집진기용 집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5471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2863B1 (ko) 2006-02-28 2007-05-30 에어텍21 주식회사 전기 집진기의 콜렉터 셀 유니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2863B1 (ko) 2006-02-28 2007-05-30 에어텍21 주식회사 전기 집진기의 콜렉터 셀 유니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22550A (en) Electrical dust collector
KR102421903B1 (ko) 전기집진기용 집진부
CN111279800B (zh) 电晕等离子体设备和等离子体反应器
KR102599228B1 (ko) 대전부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
US7090717B2 (en) Air purifier
KR102421908B1 (ko) 전기집진기용 집진부
KR102533349B1 (ko) 전기집진기용 집진부
US20220331816A1 (en) Electrical dust collection device comprising charging part and dust collection part
KR20210054717A (ko) 전기집진기용 집진장치
KR20200120252A (ko) 집진부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집진기
KR102572534B1 (ko) 전기집진기용 집진부
KR20200107307A (ko) 집진부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
CN109967247B (zh) 一种高压静电净化装置
CN113286660B (zh) 用于电除尘器的集尘设备
CN111569619B (zh) 电净化结构、电净化组件、空气净化装置
KR102421894B1 (ko) 전기집진기용 집진부
KR102634227B1 (ko) 대전부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
EP2322280A1 (en) Electrostatic filtration module and modular, two-stage, electrostatic filter
KR102190076B1 (ko) 공기청정기용 집진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90081B1 (ko) 전기집진장치용 집진부 및 이의 제조방법
CN114729757B (zh) 空气调节器
CN111328296B (zh) 用于紧凑型空气清洁器的静电除尘器和使用该静电除尘器的紧凑型空气清洁器
KR20210091884A (ko) 공기 조화기
JP3130420U (ja) 静電浄油機
JP2008006417A (ja) 電気集塵装置及び集塵モジュ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