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091160A1 - 대전부 및 집진부를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 - Google Patents

대전부 및 집진부를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091160A1
WO2021091160A1 PCT/KR2020/014865 KR2020014865W WO2021091160A1 WO 2021091160 A1 WO2021091160 A1 WO 2021091160A1 KR 2020014865 W KR2020014865 W KR 2020014865W WO 2021091160 A1 WO2021091160 A1 WO 202109116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harging
dust collecting
plate
dust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1486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박지용
김기홍
김재호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140715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39348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140709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10054717A/ko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DE112020005438.1T priority Critical patent/DE112020005438T5/de
Priority to CN202080076008.XA priority patent/CN114616055B/zh
Priority to US17/763,044 priority patent/US20220331816A1/en
Publication of WO202109116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09116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38Particle charging or ionising stations, e.g. using electric discharge, radioactive radiation or fl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6Catalytic processes
    • B01D53/8671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not provided for in B01D53/8603 - B01D53/8668
    • B01D53/8675Oz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6Catalytic processes
    • B01D53/88Handling or mounting catalysts
    • B01D53/885Devices in general for catalytic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 B03C3/04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 B03C3/08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characterised by presence of stationary flat electrodes arranged with their flat surfaces parallel to the gas str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 B03C3/04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 B03C3/1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characterised by separation of ionising and collect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1Ionising-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5Collecting-electrodes
    • B03C3/47Collecting-electrodes flat, e.g. plates, discs, gr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66Applications of electricity supply techniqu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86Electrode-carry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10Single element gases other than halogens
    • B01D2257/106Oz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45Gas separation or purification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B01D2259/4566Gas separation or purification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use in transporta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2201/00Details of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 B03C2201/06Ionising electrode being a nee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2201/00Details of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 B03C2201/10Ionising electrode has multiple serrated ends or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2201/00Details of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 B03C2201/30Details of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for use in or with vehicl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dust collecting device including a charging unit for applying electric charges to dust particles introduced from the outside, and a dust collecting unit for collecting dust particles charged in the charging unit with an electric attraction, wherein the charging unit i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dust moves.
  • the dust collection unit includes a first connection part continuous to one side of the plurality of first dust collection plates. It is formed to improve the manufacturability and dust collection performance, relates to an electric dust collecting device including a charging unit and a dust collecting unit.
  • the electric dust collecting device is widely used in air conditioning systems of buildings and vehicles, hygrostats, etc., and after charging the dust particles to have a specific charge selected through the corona discharge phenomenon, the dust particles are collected by electric attraction in the dust collection unit.
  • the above-described electric precipitator is largely composed of a charging unit 10 and a dust collecting unit 20, and the charging unit 10 penetrate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ust particles P are introduced. It includes a frame-shaped charging frame 11 to be formed, and a charging plate 12 fixed to the charging frame 11 and formed perpendicular to a direction in which dust is introduced.
  • the charging plate 12 includes at least one charging hole 13 through which dust particles are introduced to be formed, and a pin 14 for applying a high voltage to the dust particles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harging hole 13. ), and the dust particles to bear a specific charge through the corona charging phenomenon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harging hole 13 and the pin 14.
  • the dust collecting unit 20 collects dust particles having a specific charge through charging in the charging unit 10 by electric attraction using opposite charge characteristics.
  • the conventional electric dust collecting device forms the charging hole 13 by passing through the plate-shaped charging plate 12 having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charging frame 11 through cutting or the like, thereby forming the charging hole ( As 13) is formed, there is a disadvantage in terms of material cost due to the generation of discarded material.
  • the remaining areas of the charging plate 12 in which the charging holes 13 are formed are formed by being blocked in the direction in which dust is introduced, thereby increasing pressure loss.
  • a filter using a nonwoven fabric made of fine fibers is used to remove contaminants such as dust and dust contained in air or gas. Since the general fibrous filter has a limitation in reducing the size of the pores, dust particles having a size smaller than the pores cannot be filtered. In addition, when the size of the pores is excessively reduced, the air volume decreases and the pores are blocked early by large dust particles, so that the life of the filter is very short. Therefore, an electrostatic precipitating filter that prevents a decrease in air volume, does not cause clogging of pores due to large particles, and can filter out very small impurity particles is used.
  • the electrostatic precipitating filter is configured to arrange a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plates 42a and 42b, each separately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lternately apply a positive electrode high voltage and a negative electrode high voltage one by one, so that the polarity of the positive electrode or the It is formed so that fine particles can be removed from air or gas passing between the dust collecting plates by adsorbing charged dust particles having opposite polarities on the surfaces of the dust collecting plates 42a and 42b having the negative polarity.
  • the dust collecting plates 42a, 42b have holes formed to penetrate both sides for electrical connection, and the through bars 44a, 44b are inserted through the holes formed in the dust collecting plates 42a, 42b.
  • the anode dust collecting plates 42a are in contact with the through bars 44a connected to the anode high voltage supply and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re separated from the through bars 44b connected to the cathode high voltage supply and are not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 the cathode dust collecting plates 42b are in contact with the through bar 44b connected to the cathode high voltage supply and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re separated from the through bar 44a connected to the anode high voltage supply so that they are not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Has been.
  • the through bars are inserted and coupled so as to penetrate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ion plates each separately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through bars block the flow path through which air, which is a space between the dust collection plates, and thus dust collection performance may be deteriorated.
  • the through bars block the flow path through which air, which is a space between the dust collection plates, and thus dust collection performance may be deteriorated.
  • accurate contact may not be made, and a non-contact part may occur.
  • a discharge phenomenon may occur and the dust collection performance may be deteriorated.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assembleability and manufacturability by using a first charging plate and a second charging plate parallel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dust, and stable charging is possible.
  • An electric dust collecting device comprising a charging unit that can further increase dust collection efficiency and a dust collecting unit that can further increase dust collection performance by increasing manufacturability and electrical stability by using a connection part continuously formed on one side of a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plates.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low voltage is generated in each of the first charging plate and the second charging plate, so that the performance of charging dust can be improved, and pressure loss of the moving air can be minimized, It is to provide a charging unit and an electric dust collec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which can further reduce the operation of the charging unit from acting as electric noise on a dust collecting unit positioned adjacent to the charging unit.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ssembly structure in which a first fixing frame for fixing the first charging plate and a second fixing frame for fixing the second charging plate are fastened together, and in particular, the first charging plate and the second charging plate It is to provide a charging unit that can be assembled using a plate-shaped member divided into a plurality of each, remarkably increasing the assembling property and manufacturability, and an electric dust collec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form in which the circles of the first charging hole and the second charging hole are overlapped in a selected direction, so that a plurality of overlapping circles are formed inside one first charging hole and the second charging hole, Since the charging pin can be provided in the correct position at the center of the circle, it is easy to implement in various sizes and configurations without any restrictions on the area. It is to provide an electric dust collecting device.
  •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it simple to manufacture in a form that is bonded to each other except for the connection part formation area using one sheet, and it does not require a separate assembly process for power connection, thereby increasing productivity.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ust collector for an electric dust collector that can be easily assembled.
  • the electric dust collecting apparatus comprising a charging unit that applies electric charges to dust particles introduced from the outside, and a dust collecting unit that collects dust particles charged by the charging unit with an electric attraction
  • the The charging unit may include: a first charging plate and a second charging plate each having a first charging hole and a second charging hole which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dust and have a parallel plate shape, respectively, through which the dust is moved;
  • a charging electrode including a charging pin protruding from the center of the first charging hole and the second charging hole to apply electric charges to the dust particles;
  • a frame-shaped charging frame on which the first charging plate, the second charging plate, and the charging electrode are mounted.
  • an electrode rod connecting the charging pin and the charging pin may be integrally formed.
  • the first charging hole of the first charging plate and the second charging hole of the second charging plate may be formed by being curved to have a shape in which a circle overlap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direction in which the dust particles are introduced.
  • the charging electrode wherein the electrode rod is formed long in the first charging hole and the second charging hole in a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circles are overlapped, and the charging pin is an overlapping of the first charging hole and the second charging hole.
  • a plurality may be formed to be located in the radial center of the circle.
  • the charging frame includes a first fixing frame having a first hollow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charging hole of the first charging plate, and fixing the first charging plate; and a second charging hole of the second charging plate. And a second fixing frame having a second hollow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harging plate and fixing the second charging plate, wherein the first fixing frame is fixed to the first charging plate, and the second charging plate is fixed.
  • the second fixing frames may be assembled and fixed to each other.
  • a first fasten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one of the first fixing frame and the first charging plate is formed, and a first fastening groove corresponding to the first fastening protrusion is formed in the other, so that the first fastening protrusion and the The first fastening grooves are fixed to each other, a second fasten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one of the second fixing frame and the second charging plate is formed, and a second fastening groov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fastening protrusion is formed in the other. Is formed, the second fastening protrusion and the second fastening groove may be fixed to each other.
  • the first fixing frame and the second fixing frame are protruding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to form a first fastening part and a second fastening part for fastening, respectively, and the first and second charging plates are respectively provided with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plates.
  • the third fastening groove and the fourth fastening groove through which the first fastening part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pass may be formed hollow.
  • the first fastening part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may be capable of removing a gaseous material.
  • the first fastening part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are formed of a functional catalyst material, or a functional catalyst material is attached or coated on a structure, and the functional catalyst material is a gas to prevent odor-causing gas or ozone from entering the vehicle. It may be a material having one of the functions of decomposing, adsorption, and removal.
  • the charging frame includes a connection frame in which an opening in which a predetermined region is opened is formed so that both ends are fixed to the charging frame so that the charging electrode is seated, and a charging pin of the charging electrode is exposed, and the connection frame has a length First protruding support portions may be formed to alternately support both surfaces of the electrode rod in a direction.
  • the charging unit further includes a charging electrode fixing member having a fixing groove in which the charging electrode is mounted, wherein the charging frame is fixed at both ends of the charging frame so that the charging electrode fixing member is mounted. And a connection frame having an opening in which a predetermined region is opened so that the charging pin is exposed, and the charging electrode fixing member may have a second protruding support portion that alternately supports both surfaces of the electrode ro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 the charging electrode fixing member may have a first corresponding portion protruding or concave in a predetermined region of the fixing groove, and the charging electrode may have a second corresponding portion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rresponding portion.
  • a reinforcing support part formed integrally with the connection frame may be further formed to connect regions in which the circles of the first hollow part of the first fixing frame are overlapped so as to divide the first hollow part region into a plurality.
  • the charging electrode may be formed of a single metal plate.
  • the electric dust collecting apparatus in the electric dust collecting apparatus comprising a charging unit that applies electric charges to dust particles introduced from the outside, and a dust collecting unit that collects dust particles charged by the charging unit with an electric attraction, the The dust collecting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dust collecting plates arranged in parallel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plurality of first dust collecting plates continuously formed on one side of both ends of the first dust collecting plate and electrically connecting the neighboring first dust collecting plates in series.
  • a first dust collecting part including a connection part; And a plurality of second dust collecting plates tha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rranged in parallel, and a plurality of second connectors that are continuously formed on the other sides of both ends of the second dust collecting plate and electrically connect the neighboring second dust collecting plates in series.
  • a second dust collecting part comprising; Including, wherein the second dust collecting plate is fitted to the first dust collecting part so that the first dust collecting plate and the second dust collecting plate are alternately disposed while facing each other, and not in contact with the first dust collecting part. It can be arranged not to be.
  • the dust collecting unit includes: a first case having a first opening having a hollow inside, and having a first protruding fixing portion supporting one side of the first dust collecting plate on which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of the first dust collecting unit is formed; And a second case having a second opening having a hollow inside and having a second protruding fixing portion supporting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dust collecting plate on which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of the second dust collecting part is formed, and the first case Is, a first protruding support part supporting the other side of the first dust collecting plate on which the first connection part of the first dust collecting part is not formed is formed, and the second case includes a second connection part of the second dust collecting part not formed. 2
  • a second protruding support part supporting one side of the dust collecting plate may be formed.
  • the first dust collecting part is formed using a single sheet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a dielectric material surrounding the conductive material, and a certain area of the sheet is bonded to each other except for the first connection part forming area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sheet.
  • a dust collecting plate is formed, and the second dust collecting part is formed by using a single sheet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a dielectric material surrounding the conductive material, and the sheet is constant except for the area where the second connection part is formed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sheet.
  • the regions may be bonded to each other to form the second dust collecting plate.
  • the dust collecting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dust collecting plates arranged in parallel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and a plurality of first dust collecting plates continuously formed on one side of both ends of the first dust collecting plate to electrically connect the neighboring first dust collecting plates in series.
  • a first dust collecting unit including one connecting unit; And a plurality of second dust collecting plat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rranged in parallel, and a plurality of second connectors formed alternately at both ends of the second dust collecting plate and electrically connecting the neighboring second dust collecting plates in series.
  • the dust collecting unit includes: a first fixing member including a first support that is elongat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to fix the position of the first dust collecting plate; And a second fixing member fixing the position of the second dust collecting plate including a second support that is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the first dust collecting plate has a first insertion groove in which the first support of the first fixing member is inserted and fixed on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second support of the second fixing member is located on the oth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 An incision groove is formed, and a second incision groove in which the first support of the first fixing member is positioned is formed on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econd dust collecting plate, and the second support of the second fixing member is formed on the oth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 a second insertion groove to be inserted and fixed may be formed.
  • the electric dust collec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assembly performance and manufacturability by using the first charging plate and the second charging plate parallel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dust, and stable charging to further increase dust collection efficiency. There is an advantage.
  • the electric dust collec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electric dust collec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low voltages in the first charging plate and the second charging plate, respectively, the performance of charging dust can be improved, the pressure loss of the moving air can be minimized, and the operation of the charging unit can be improve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further reduce the effect of electric noise on the dust collecting units positioned adjacent to each other.
  •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ssembly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fixing frame fixing the first charging plate and the second fixing frame fixing the second charging plate are fastened to each other. Since the charging plate can be assembled by using a plate-shaped member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ieces, there is an advantage of remarkably increasing assembleability and manufacturability.
  •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n overlapping shap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circles of the first charging hole and the second charging hole are selected, so that a plurality of overlapping circles are formed inside one of the first charging hole and the second charging hole.
  • the charging pin can be provided in an accurate position at the center of the circle, it is easy to implement in various sizes and configurations without limiting the area, and there is an advantage of preventing an abnormal discharge phenomenon because there is no part overlapping with the charging electrode.
  •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preventing an abnormal discharge phenomenon because there is no part overlapping with the charging electrode.
  • the electric dust collec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the dust collection performance by increasing the manufacturability and electrical stability by using a connection part continuously formed on one side of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plates.
  •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simply in a form that is bonded to each other except for a connection part formation area using one sheet, and since an individual assembly process for power connection is not required, productivity can be further increased.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easy to assemble.
  •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dvantages in that the first dust collecting unit and the second dust collecting unit can be assembled at an accurate position, thereby improving assembly performance and improving dust collection performance.
  • 1 and 2 are a plan view and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electric dust collecting device.
  • 3 and 4 are a plan view and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electric precipitator.
  • 5 and 6 are schematic and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to 10 are a perspective view, a partial enlarged view,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in the AA' direction of the charg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 partial schematic view of a charg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S. 12 and 13 are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a charg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 FIG. 14 and 15 are views illustrating another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charging electrode of a charg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6 is another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harg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17 to 19 are perspective views, exploded perspective views, and schematic views showing a dust collect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20 is a view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ust collect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21 is another schematic view showing a dust collect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22 to 25 are another perspective view,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dust collecting unit,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dust collect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26 and 27 are partial perspective and side views of a dust collect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29 and 30 are other exploded perspective views and side views of the dust collect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harging unit ( 1000) and a dust collecting unit 200 that collects dust particles P′ charged in the charging unit 1000 with an electric attraction.
  • FIG. 7 to 10 are a perspective view, a partially enlarged view,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in the direction AA′ of the charging unit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 partial schematic view of the charging unit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2, 13 is a partial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harging unit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s. 14 and 15 are views illustrating another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charging electrode 1130 of the charging unit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6 is Another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harging unit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charging unit 1000 includes a first charging plate 1121, a second charging plate 1122 and a charging electrode 1130.
  • the first charging plate 1121 and the second charging plate 1122 have a first charging hole 1121a and a second charging hole 1122a penetrating therein so that dust is moved, and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direction of dust movement. It is spaced apart and formed in a parallel plate shape, so that a low voltage (the charging electrode 1130 is a high voltage) is applied.
  • the first charging plate 1121 and the second charging plate 1122 are formed so that the first charging hole 1121a and the second charging hole 1122a have the same shape, and the first charging hole 1121a ) And the second charging hole 1122a have a shape in which circles overlap in a selected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direction in which dust particles are introduced. That is, the first charging plate 1121 is formed in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first charging holes 1121a are connected, and a portion where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charging hole 1121a is overlapped is curved. It is defined as 1 overlapping curve part 1121b.
  • the second charging plate 1122 is formed in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second charging holes 1122a are connected, as in the form of the first charging hole 1121a.
  • the portion where the circumferential surface is centered is curved, and this is defined as the second overlapping curve portion 1122b.
  • the charging uni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asier to manufacture the charging unit 1000 of various sizes by adjusting the overlapping ratio and the size of the first charging hole 1121a and the second charging hole 1122a.
  • the aperture ratio is increased compared to the prior art, and loss of air pressure while passing through the charging unit 1000 can be minimized.
  • the first charging plate 1121 and the second charging plate 1122 may each be formed using a single plate (see Fig. 13), the first charging plate 1121 and the second charging plate ( Each of 1122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members. (See FIG. 12) As shown in FIG. 12, the first charging plate 1121 and the second charging plate 1122 are each divided into a plurality of members.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reduce material cost compared to using a single plate, and assembling can be performed more easily using the charging frame 111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 the charging electrode 1130 protrudes from the center of the first charging hole 1121a formed by the first charging plate 1121 and the second charging hole 1122a formed by the second charging plate 1122 It includes a charging pin 1131 for applying an electric charge to the particles.
  • the sharp end of the charging pin 1131 is located at the radial center of the first charging hole 1121a and the second charging hole 1122a, and the first charging plate 1121 and the second charging in the air movement direction It exists in the area between the plates 1122.
  • the charging electrode 1130 includes a plurality of charging pins 1131, and the plurality of charging pins 1131 are integrally formed by the electrode rod 1132.
  • the charging electrode 1130 is in a first charging hole 1121a continuously formed by the first charging plate 1121 (and a second charging hole 1122a continuously formed by the second charging plate 1122).
  • the charging pin 1131 applies a voltage to the dust particles flowing into the first charging hole 1121a and the second charging hole 1122a
  • the electrode rod 1132 is the charging pin Connect (1131).
  • the charging electrode 1130 is preferably formed of a single metal plate.
  • the charging electrode 113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electrode pins on one electrode rod 1132 to form a row, reducing assembly man-hours and material cost, and an electric dust collector having stable charging performance.
  • the charging electrode 1130 may be formed by processing the plate material by stamping or etching.
  • the charging unit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a process such as welding the individual charging pins 1131, thus reducing the time and cost required for manufacturing, and further increasing the durability.
  • the charging pin 1131 is accurately positioned at the center of an overlapped circle forming the charging hol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charging efficiency can be further increased.
  • the charging unit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niformly induced by the charging pin 1131 and the first charging plate 1121 and the second charging plate 1122 as shown in FIG.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increase the charging effect more.
  • the charging unit 1000 includes a charging frame 1110.
  • the charging frame 1110 is a portion on which the first charging plate 1121, the second charging plate 1122, and the charging electrode 1130 are mounted, and is formed in a frame shape.
  • the charging frame 1110 includes a first fixing frame 1111 for fixing the first charging plate 1121 and a second fixing frame 1112 for fixing the second charging plate 1122 can do.
  • the first fixing frame 1111 is configured to fix the first charging plate 1121 and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charging frame 110.
  • the first fixing frame 1111 has a first hollow portion 1111a corresponding to the first charging hole 1121a of the first charging plate 1121.
  • the fixing method of the first fixing frame 1111 and the first charging plate 1121 can be variously made, and has a structure capable of assembling and detaching, so as to increase assembleability and enable inspection and replacement at the same time.
  • I can.
  • a first fastening protrusion 1111b protruding from one of the first fixing frame 1111 and the first charging plate 1121 is formed, and the remaining one corresponding to the first fastening protrusion 1111b
  • the first fastening groove 1121c may be formed to be fixed to each other.
  • FIG. 10 an example is shown in which a first fastening protrusion 1111b is formed in the first fixing frame 1111, and a first fastening groove 1121c is formed in the first charging plate 1121, and vice versa. Can be.
  • the second fixing frame 1112 has a second hollow portion 1112a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harging hole 1122a of the second charging plate 1122.
  • the fixing method of the second fixing frame 1112 and the second charging plate 1122 may also be variously performed.
  • a second fastening protrusion 1112b protruding from one of the second fixing frame 1112 and the second charging plate 1122 is formed, and the second fastening protrusion 1112b is formed on the other.
  • the second fastening groove 1122c may be formed to be fixed to each other.
  • FIG. 10 an example in which a second fastening protrusion 1112b is formed in the second fixing frame 1112 and a second fastening groove 1122c is formed in the second charging plate 1122 is shown, and vice versa. Can be.
  • first fixing frame 1111 and the second fixing frame 1112 may be assembled and fixed to each other.
  • first fixing frame 1111 and the second fixing frame 1112 protrude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to form a first fastening part 1111c and a second fastening part 1112c for fastening, respectively,
  • (1122d) is formed hollow.
  • the first fastening part 1111c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1112c are respectively formed on the first fixing frame 1111 and the second fixing frame 1112 to be assembled.
  • the first charging plate 1121 and It is provided to maintain the separation distance of the second charging plate 1122.
  • the second fixing frame 1112 may have a shape including a plurality of members when the second charging plate 1122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ieces. (See FIG. 16)
  • the first charging plate 1121 and the first fixing frame 1111 are assembled, and the second charging plate 1122 and the second fixing frame 1112 After this assembly, the first fastening part 1111c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1112c are fastened.
  • first fastening part 1111c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1112c not only serve to fix the first charging plate 1121 and the second charging plate 1122, but also remove gaseous materials. You can also play a role.
  • the first fastening part 1111c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1112c are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rst fixing plate and the second fixing plate, respectively, and then a functional catalyst material capable of removing gaseous substances is attached or coated. Can be.
  • the first fastening part 1111c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1112c may be formed of a functional catalyst material and connected to the first fixing plate and the second fixing plate.
  • the functional catalyst material is defined as a material having one of the functions of decomposing, adsorbing, and removing gas so as to prevent odor-causing gas or ozone from entering the vehicle.
  • the charging unit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fix the charging electrode 1130, and a connection frame 1113 is further provided to the charging frame 1110.
  • the connection frame 1113 has both ends fixed to the charging frame 1110 so that the charging electrode 1130 is seated, and an opening in which a predetermined area is opened so that the charging pin 1131 of the charging electrode 1130 is exposed ( 1113a) is formed. That is, the shape shown in FIGS. 8 to 10 is a shape in which the charging electrode 1130 is directly mounted on the connection frame 1113.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nection frame 1113 includes first protrusion support portions 1116 supporting both surfaces of the electrode rod 1132.
  • the first protrusion support portion 1116 is provided with two or more first protrusion support portions 1116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ctrode rod 1132 to facilitate mounting while supporting the electrode rod 1132 easily. It may be in the form of alternately supporting both sides by being spaced a certain distance.
  • the charging unit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nfiguration for fixing the charging electrode 1130, and uses a charging electrode fixing member 1140 and a connection frame 1113. I can.
  • the charging electrode fixing member 1140 is a portion in which the fixing groove 1141 in which the charging electrode 1130 is seated is formed, and a second protrusion supporting both surfaces of the electrode rod 1132 in the fixing groove 1141 A support portion 1142 may be formed.
  • the second protrusion support portion 1142 is provided with two or more second protrusion support portions 1142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ctrode rod 1132 to facilitate mounting while supporting the electrode rod 1132 easily. It may be in the form of alternately supporting both sides by being spaced a certain distance.
  • the charging electrode fixing member 1140 has a first corresponding portion 1143 protruding or concave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fixing groove 1141 so that the charging electrode 1130 is seated at an accurate position, and the It is preferable that the charging electrode 1130 is provided with a second corresponding portion 1133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rresponding portion 1143.
  • FIG. 15 an example is shown in which the first corresponding portion 1143 is formed in a protruding shape, and the second corresponding portion 1133 is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e protruding first corresponding portion 1143 can be inserted.
  • connection frame 1113 is a portion on which the charging electrode fixing member 1140 is seated, and is formed to be elongated so that both ends are fixed to the charging frame 1110. At this time, the connection frame 1113 is formed with an opening 1113a in which a predetermined area is opened so that the charging pins 1131 of the charging electrode 1130 are exposed.
  • the connection frame 1113 is formed to fix the charging electrode 1130, and as shown in Figs. 8 to 10, the charging electrode 1130 is the connection frame.
  • the charging electrode 1130 may be directly mounted on the 1113 or the charging electrode 1130 may be first fixed to the charging electrode fixing member 1140 and the charging electrode fixing member 1140 may be mounted on the connection frame 1113.
  • the charging uni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manufacturability by using the charging electrode 130 in which the charging pin 1131 and the electrode rod 132 are integrally formed.
  • the electric dust collecting apparatus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harging unit 1000 as described above and a dust collecting unit 2000 that collects dust particles charged in the charging unit 1000 with an electric attraction. That is, as shown in FIG. 5, when the dust particles P pass through the charging unit 100, they become charged dust particles P′ by the corona discharge (CD) phenomenon, and are generated by the dust collecting unit 2000. Is captured.
  • CD corona discharge
  • the dust collecting unit 2000 may include a filter type that passes only air and collects dust particles, as shown in FIG. 14.
  • various configurations capable of collecting charged dust particles may be used. I can.
  •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assembly and manufacturability, and since low voltage is generated i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charging plates 1121 and 1122,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performance of charging dust,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operation of the charging unit 1000 can be further reduced from acting as electric noise on the dust collecting unit 2000 positioned adjacent to each other.
  • the end of the charging pin 1131 is disposed in the center between the first charging plate 1121 and the second charging plate 1122, but the moving speed of the incoming dust, that is, the wind Depending on the speed of, the end of the charging pin 1131 may be arranged to be biased toward the charging plates 1121 and 1122 clos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wind flows. This takes into account the movement of dust particles by wind.
  • FIGS. 17 to 19 are perspective views, exploded perspective views, and schematic diagrams showing a dust collecting unit 2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20 is a view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dust collecting unit 2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21 is Another schematic view showing the dust collecting unit 2000
  • FIGS. 22 to 25 are another perspective view,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dust collecting unit 2120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dust collecting unit 22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26 and 27 are a partial perspective view and a side view of a dust collector 2000 for an electric precipit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28 is another side view of the dust collector 1000 for an electric precipit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S. 29 and 30 Another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side view of the dust collector 1000 for an electric precipit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dust collecting unit 20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dust collecting unit 2120, and the first dust collecting unit 2120 includes a first dust collecting plate 2121 and a first connecting part 2122.
  • a plurality of the first dust collecting plates 2121 are arranged side by side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 the first connection part 2122 is continuously formed on one side of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first dust collecting plates 2121 to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dust collecting plates 2121 in series.
  • FIGS. 17 to 19 an example in which the first connection part 2122 is continuously formed on the upper side in the height direction, which is one side of both ends of the first dust collecting plate 2121, is shown.
  • the first connecting part 2122 may be continuously formed at the lower side in the height direction which is the other side of both ends of the first dust collecting plate 2121.
  • the first dust collecting part 2120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ways including the first dust collecting plate 2121 and the first connecting part 2122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20, the first dust collecting part 2120 The plate 2121 and the first connector 2122 are manufactured using a single sheet, so that manufacturability may be improved. In more detail, after manufacturing a single sheet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a dielectric material surrounding the conductive material as shown in FIG. 20 (a), bending as shown in FIG. 20 (b), the first Excluding the region forming the first connection part 2122, as shown in FIG. 20(c), certain regions of the sheet are joined to each other to form the first dust collecting plate 2121.
  • the two portions a1 and a2 of the sheet are joined to each other to form one first dust collecting plate 2121.
  • the region a1, the region a2, the region b, and the region a1, the region a2, and the region b are repeated to form the first dust collecting plate 2121 and the first connector 122 repeatedly.
  • the sheet is formed in a form in which a conductive material is coated with a dielectric material, and the conductive material is wrapped by a dielectric material, and the conductive material may be various materials such as a carbon sheet having electrical conductivity. Silver can be a thin film such as plastic.
  • a conductive material in a predetermined area may be exposed at the end of the sheet to form the first electrode tab 2123 for power connection.
  • the dust collecting unit 20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cond dust collecting unit 2220 to which a high voltage is applied together with the first dust collecting unit 2120.
  • the second dust collection unit 2220 may be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first dust collection unit 2120 (refer to the shape shown in FIGS. 21 to 25), and includes a second dust collection plate 2221 and a second dust collection unit 2220. Includes. In more detail, a plurality of the second dust collecting plates 2221 are arranged side by side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The second connection part 2222 is continuously formed on the other sides of both ends of the second dust collecting plate 2221 to electrically connect the adjacent second dust collecting plates 2221 in series. At this time, the second dust collecting part 2220 is fitted into the first dust collecting part 2120 so that the first dust collecting plate 2121 and the second dust collecting plate 2221 are alternately arranged while facing each other, and the first dust collecting part ( 2120).
  • first dust collecting plate 2121 and the second dust collecting plate 2221 are alternately arranged at a certain distance apart, and the first connection part 2122 of the first dust collecting part 2120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in the height direction ,
  • the second connection part 2222 of the second dust collecting part 2220 is located at the lower side in the height direction.
  • the second dust collecting plate 2221 and the second connecting part 2222 of the second dust collecting part 2220 are also manufactured using a single sheet in the same manner as shown in FIG. 20 to further increase manufacturability.
  • a conductive material in a predetermined area may be exposed at an end of the sheet to form a second electrode tab 2223 for power connection.
  • the dust collecting unit 20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increasing manufacturability and electrical stability by using a connection part continuously formed at one side of a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plates to further increase dust collection performance.
  • the dust collecting part 20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simply in a form that is bonded to each other except for the connection part formation area using one sheet, and it does not require a separate assembly process for power connection, so that productivity can be further increased. ,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easy to assemble.
  • the second dust collecting part 2220 includes a second dust collecting plate 2221 and a second connecting part 2222, and as shown in FIGS. 17 to 19, the second connecting part 2222 is It may be formed alternately at both ends of the plate 2221. In this case, the second dust collecting plate 2221 and the second connector 2222 may be formed by bending a single sheet.
  • the dust collecting unit 20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fixing member 2310 and a second fixing member 2320.
  • the first fixing member 2310 includes a first support 2311 that is elongat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that is a stacking direction of the first dust collecting plate 2121 and the second dust collecting plate 2221, and the first dust collecting plate Fix the position of (2121).
  • the second fixing member 2320 includes a second support 2321 that is elongat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that is a stacking direction of the first dust collecting plate 2121 and the second dust collecting plate 2221, and the second dust collecting plate Fix the position of (2221).
  • the first dust collecting plate 2121 has a first support 2311 of the first fixing member 2310 inserted at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 a first insertion groove 2124 to be fixed is formed, and a first cutting groove 2125 in which the second support 2321 of the second fixing member 2320 is positioned is formed on the oth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second The dust collecting plate 2221 has a second cutting groove 2225 in which the first support 2311 of the first fixing member 2310 is located on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second fixing member 2320 is formed on the oth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 a second insertion groove 2224 to which the second support 2321 of) is inserted and fixed is formed.
  • the dust collecting unit 20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shape including a first case 2110 and a second case 2210 as shown in FIGS. 22 to 30.
  • the first case 2110 and the first dust collecting unit 2120 are referred to as the first dust collecting module 2100 of reference number 2100
  • the second case 2210 and the second dust collecting unit 2220 are referred to as 2200. It is indicated by the second dust collecting module 2200.
  • the first case 2110 has a frame shape in which a first opening 2110a having a hollow inside is formed, and the first dust collecting part 2120 is mounted and fixed.
  • the first case 2110 includes a first protrusion fixing part 2111 supporting one side of the first dust collecting plate 2121 and a first protruding support part 2112 supporting the other side of the first dust collecting plate 2121 Includes.
  • the first protrusion fixing part 2111 supports one side of the first dust collecting plate 2121, which is the side on which the first connection part 2122 is formed, and supports the first dust collecting part 2120 at different heights.
  • the 1-1 protruding fixing part 2111a and the 1-2 protruding fixing part 2111b are formed, and the shapes may be variously formed.
  • the 1-1 protruding fixing part 2111a supports one end of the first dust collecting plate 2121 and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connecting part 2122
  • the The 1-2 protruding fixing part 2111b protrudes different from the formation height of the 1-1 protruding fixing part 2111a to support the first dust collecting plate 2121, and the first dust collecting plate
  • An example in which the 1-1 protrusion fixing portions 2111a and the 1-2 protruding fixing portions 2111b are alternately formed in the stacking direction of 2121 is shown.
  • the 1-1 protrusion fixing part 2111a supports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 the 1-2 protruding fixing part 2111b is the first dust collecting plate 2121
  • the 1-1 protruding fixing part 2111a protrudes in the height direction a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upper and lower sides as in the English capital letter "I" to support the first dust collecting plate 2121.
  • the 1-2 protruding fixing part 2111b has a shape supporting the first dust collecting plate 2121 between the two areas in the height direction, and the first dust collecting plate 2121
  • An example in which the 1-1 protrusion fixing portions 2111a and the 1-2 protruding fixing portions 2111b are alternately formed in the stacking direction is illustrated.
  • the first protrusion support part 2112 supports the other side of the first dust collecting plate 2121 on which the first connection part 2122 of the first dust collecting part 2120 is not formed, and a plurality of first protruding support parts 2112 The first dust collecting plates 2121 may be interposed therebetween.
  • the second case 2210 has a frame shape in which a second opening 2210a having a hollow inside thereof is formed, and the second dust collecting part 2220 is mounted and fixed.
  • the second case 2210 includes a second protrusion fixing part 2211 supporting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dust collecting plate 2221 and a second protruding support part 2212 supporting one side of the second dust collecting plate 2221 Includes.
  • the second protrusion fixing part 2211 supports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dust collecting plate 2221, which is the side on which the second connection part 2222 is formed, and supports the second dust collecting part 2220 at different heights.
  • the 2-1 protrusion fixing part 2211a and the 2-2 protruding fixing part 2211b are formed, and the shapes may be variously formed.
  • the shape of the 2-1 protruding fixing part 2211a and the 2-2 protruding fixing part 2211b is the same as that of the 1-1 protruding fixing part 2111a and the 1-2 protruding fixing part 2111b. It is formed in the same manner, but is formed on the lower side in the height direction as shown in FIG. 11 in consideration of the formation position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2222 of the second dust collecting part 2220.
  • the second protrusion support part 2212 supports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dust collecting plate 2221 on which the second connection part 2222 of the second dust collecting part 2220 is not formed, and a plurality of second protruding support parts ( The second dust collecting plates 2221 may be fitted between the 2212).
  • the first fixing member 2310 in the first case 2110 and the second fixing member 2320 in the second case 2210 may be integrally formed.
  • the dust collecting unit 20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of securing a space through which air flows to the maximum, and increasing assembly properties, thereby increasing overall productivity.
  • first war plate 1121a first war hall
  • first case 2110a first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에서 유입되는 먼지 입자에 전하를 인가하는 대전부와, 대전부에서 하전된 먼지 입자를 전기적인 인력으로 포집하는 집진부를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대전부는 먼지의 이동 방향으로 나란한 제1대전플레이트 및 제2대전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조립성을 높일 수 있고 안정적인 대전이 이루어져 집진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으며, 집진부는 복수의 제1집진 플레이트의 일측에 연속되는 제1연결부를 포함하여 형성되어 제조성 및 집진성능을 향상할 수 있는, 대전부 및 집진부를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대전부 및 집진부를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
본 발명은 외부에서 유입되는 먼지 입자에 전하를 인가하는 대전부와, 대전부에서 하전된 먼지 입자를 전기적인 인력으로 포집하는 집진부를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대전부는 먼지의 이동 방향으로 나란한 제1대전플레이트 및 제2대전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조립성을 높일 수 있고 안정적인 대전이 이루어져 집진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으며, 집진부는 복수의 제1집진 플레이트의 일측에 연속되는 제1연결부를 포함하여 형성되어 제조성 및 집진성능을 향상할 수 있는, 대전부 및 집진부를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집진장치는 건물 및 차량의 공조장치, 항습기 등에 널리 사용되며, 코로나 방전현상을 통해 먼지 입자가 선택되는 특정전하를 띠도록 대전 시킨 후, 집진부에서 전기적인 인력으로 먼지 입자를 포집하게 된다.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된 전기집진장치는 크게 대전부(10)와 집진부(20)로 구성되며, 상기 대전부(10)는 먼지 입자(P)가 유입되는 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틀 형상의 대전프레임(11)과, 상기 대전프레임(11)에 고정되되, 먼지가 유입되는 방향과 수직하게 형성되는 대전플레이트(12)를 포함한다.
상기 대전플레이트(12)에는 먼지 입자가 유입되는 방향으로 관통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대전홀(13)을 포함하며, 상기 대전홀(13)에 대응하는 위치에 먼지 입자에 고전압을 가하는 핀(14)을 포함하여 상기 대전홀(13)의 내주면과 핀(14)과의 코로나 대전현상을 통해 먼지 입자가 특정전하를 띠도록 한다. 상기 집진부(20)는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대전부(10)에서 대전을 통해 특정전하를 가지는 먼지 입자를 반대 전하특성을 이용하여 전기적인 인력으로 먼지 입자를 포집하게 된다.
이때, 종래의 전기집진장치의 경우 판 형상의 대전플레이트(12)의 대전홀(13)과 핀(14) 사이에서 대전현상을 발생시켜 먼지 입자로 하여금 특정전하를 띠도록 하는데, 이는 수평한 대전플레이트(12)의 절단된 대전홀(13)과 핀(14) 사이에서 대전이 발생되기 때문에 대전홀(13)의 절단 상태에 따라 대전량이 균일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종래의 전기집진장치는 상술된 바와 같이, 대전프레임(11)에 대응되는 면적을 가지는 판형의 대전플레이트(12)에 절단 등을 통해 관통시켜 대전홀(13)을 형성함으로써, 대전홀(13)의 형성에 따라 버려지는 재료가 발생되어 재료비 측면에서 불리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전플레이트(12) 중 대전홀(13)이 구성된 나머지 구역은 먼지가 유입되는 방향으로 차단되어 형성됨으로써, 이에 따른 압력손실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공기나 가스에 포함된 먼지, 분진 등의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미세한 섬유로 구성된 부직포 등을 사용한 필터를 사용한다. 일반적인 섬유형 필터는 기공의 크기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기공 보다 작은 크기의 먼지 입자는 걸러줄 수 없었다. 또한 기공의 크기를 과도하게 줄일 경우, 풍량이 감소하며 큰 먼지 입자들에 의해 기공이 조기에 막혀 버리기 때문에 필터의 수명이 매우 짧아지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풍량의 저하를 방지하고 큰 입자에 의한 기공 막힘의 문제가 없으며 매우 작은 크기의 불순물 입자도 걸러 줄 수 있는 전기집진필터가 사용되고 있다.
도 3과 같이 전기집진필터는 각각 별개로 형성된 다수의 집진플레이트(42a, 42b)를 일정 간격을 갖도록 배치하고, 하나 건너 하나씩 교대로 양극 고전압과 음극 고전압을 인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양극의 극성 또는 음극의 극성을 띈 집진플레이트(42a, 42b)의 표면에 반대 극성을 갖도록 대전된 먼지 입자가 흡착됨으로써 집진플레이트들의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나 가스로부터 미세 입자가 제거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도 4와 같이 집진플레이트(42a, 42b)들은 전기적인 연결을 위해 양면을 관통하도록 구멍들이 형성되어 있고 관통바(44a, 44b)들이 집진플레이트(42a, 42b)들에 형성된 구멍들을 통과하도록 삽입되어 있다. 이때, 양극 집진플레이트(42a)들은 양극 고전압 공급부에 연결된 관통바(44a)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음극 고전압 공급부에 연결된 관통바(44b)와는 이격되어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는 반대로 음극 집진플레이트(42b)들은 음극 고전압 공급부에 연결된 관통바(44b)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양극 고전압 공급부에 연결된 관통바(44a)와는 이격되어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각각 별개로 구성된 복수의 집진플레이트들을 관통하도록 관통바들이 삽입되어 결합되므로 집진플레이트들 사이의 공간인 공기가 통과되는 유로를 관통바들이 막아서 집진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그리고 관통바와 집진플레이트가 접촉되어 결합되는 부분에서 정확한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고 미접촉되는 부분이 발생할 수 있으며, 집진플레이트가 관통바와 접촉되지 않고 이격되어 있는 구멍 부분에 이물질 또는 전도성 물질들이 유입되어 적체되면 전기적으로 방전 현상이 발생되어 집진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집진플레이트들과 관통바들을 결합하여 조립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복수개의 집진플레이트에 전극을 연결하기 위하여 관통전극을 형성하고 실링재를 이용하여 봉합하는 경우에, 복수개의 집진플레이트들을 개별적으로 관통전극을 연결해야하며, 실링재를 경화하는데 시간이 소요되어 생산 시간 및 비용이 증가된다. 또, 이러한 제조 방법은 실링재를 이용함에 따른 냄새 등이 유발되며, 개별적인 전기 연결에 의해 전기적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기술문헌]
KR0495627B1(2005.06.07.)
KR0722863B1(2007.05.22.)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먼지의 이동 방향으로 나란한 제1대전플레이트 및 제2대전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조립성 및 제조성을 높일 수 있고 안정적인 대전이 이루어져 집진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는 대전부와, 복수의 집진 플레이트의 일측에서 연속되게 형성되는 연결부를 이용하여 제조성을 높이고 전기적인 안정성을 높여 집진 성능을 보다 높일 수 있는 집진부를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대전부와 관련하여,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제1대전플레이트 및 제2대전플레이트에서 저전압이 각각 발생되므로 먼지를 대전시키는 성능을 높일 수 있으며, 이동되는 공기의 압력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고, 대전부의 작동이 이웃하게 위치되는 집진부에 전기적 잡음(electric noise)으로 작용되는 것을 보다 줄일 수 있는 대전부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제1대전플레이트를 고정하는 제1고정프레임 및 제2대전플레이트를 고정하는 제2고정프레임이 서로 체결되는 조립구조를 가지며, 특히, 제1대전플레이트 및 제2대전플레이트가 각각 복수개로 분할된 판형부재를 이용하여 조립될 수 있어 조립성 및 제조성을 현저히 높일 수 있는 대전부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제1대전홀 및 제2대전홀의 원이 선택되는 방향으로 중첩된 형태로 형성되어 하나의 제1대전홀 및 제2대전홀 내부에 복수의 중첩된 원이 형성되고, 원의 중심에 대전핀이 정확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어 면적에 제약없이 다양한 크기 및 구성으로 실시가 용이하며, 대전전극과 중첩되는 부분이 없어 이상방전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대전부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목적은 대전전극과 중첩되는 부분이 없어 이상방전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대전부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집진부와 관련하여,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시트를 이용하여 연결부 형성 영역을 제외하고 서로 접합되는 형태로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전원 연결을 위한 개별적인 조립 공정이 필요치 않아 생산성을 보다 높일 수 있고, 조립이 용이한 전기집진기용 집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제1집진부 및 제2집진부가 정확한 위치에서 조립될 수 있어 조립성을 높일 수 있으며, 집진 성능을 향상할 수 있는 전기집진기용 집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장치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먼지 입자에 전하를 인가하는 대전부와, 상기 대전부에서 하전된 먼지 입자를 전기적인 인력으로 포집하는 집진부를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대전부는, 상기 먼지의 이동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한 판형태이되, 각각 먼지가 이동되도록 관통되는 제1대전홀이 및 제2대전홀이 형성되는 제1대전플레트 및 제2대전플레이트; 상기 제1대전홀 및 제2대전홀의 중심으로 돌출되어 상기 먼지 입자에 전하를 인가하는 대전핀을 포함하는 대전전극; 및 상기 제1대전플레이트, 상기 제2대전플레이트, 및 상기 대전전극이 장착되는 틀 형상의 대전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대전전극은, 상기 대전핀과 상기 대전핀을 연결하는 전극로드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대전플레이트의 제1대전홀 및 상기 제2대전플레이트의 제2대전홀은, 상기 먼지 입자가 유입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원이 중첩된 형상을 가지도록 완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대전전극은, 상기 전극로드가 복수개의 원이 중첩된 형상의 상기 제1대전홀 및 상기 제2대전홀에 길게 형성되고, 상기 대전핀이 상기 제1대전홀 및 상기 제2대전홀의 중첩된 원의 반경방향 중심에 위치하도록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대전프레임은, 상기 제1대전플레이트의 제1대전홀에 대응되는 제1중공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대전플레이트를 고정하는 제1고정프레임;과, 상기 제2대전플레이트의 제2대전홀에 대응되는 제2중공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대전플레이트를 고정하는 제2고정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1대전플레이트가 고정된 상기 제1고정프레임과, 상기 제2대전플레이트가 고정된 상기 제2고정프레임이 서로 조립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프레임 및 상기 제1대전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에 돌출되는 제1체결돌기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 상기 제1체결돌기에 대응되는 제1체결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체결돌기와 상기 제1체결홈이 서로 고정되고, 상기 제2고정프레임 및 상기 제2대전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에 돌출되는 제2체결돌기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 상기 제2체결돌기에 대응되는 제2체결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2체결돌기와 상기 제2체결홈이 서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프레임 및 상기 제2고정프레임에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체결을 위한 제1체결부 및 제2체결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대전플레이트 및 상기 제2대전플레이트에 각각 상기 제1체결부 및 상기 제2체결부가 관통되는 제3체결홈 및 제4체결홈이 중공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부 및 상기 제2체결부는, 가스상물질(Gaseous material)을 제거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부 및 상기 제2체결부는, 기능성촉매물질로 형성되거나, 구조물에 기능성촉매물질이 부착 또는 코팅되고, 상기 기능성촉매물질은, 냄새유발가스 또는 오존이 차량 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가스를 분해, 흡착, 및 제거하는 것 중 하나의 기능을 갖는 물질일 수 있다.
상기 대전프레임은, 상기 대전프레임에 양단이 고정되어 상기 대전전극이 안착되며, 상기 대전전극의 대전핀이 노출되도록 일정영역이 개구된 개구부가 형성되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프레임은, 길이방향으로 상기 전극로드의 양면을 교번하여 지지하는 제1돌출지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대전부는, 상기 대전전극이 안착되는 고정홈이 형성된 대전전극고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대전프레임은, 상기 대전프레임에 양단이 고정되어 상기 대전전극고정부재가 안착되며, 상기 대전전극의 대전핀이 노출되도록 일정영역이 개구된 개구부가 형성되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대전전극고정부재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전극로드의 양면을 교번하여 지지하는 제2돌출지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대전전극고정부재는, 상기 고정홈의 일정영역이 돌출되거나 오목한 제1대응부가 형성되고, 상기 대전전극은, 상기 제1대응부에 대응되는 형태의 제2대응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중공부영역을 복수개로 분할하도록 상기 제1고정프레임의 제1중공부의 원이 중첩된 영역을 연결하되, 상기 연결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되는 보강지지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대전전극은 하나의 금속판재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장치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먼지 입자에 전하를 인가하는 대전부와, 상기 대전부에서 하전된 먼지 입자를 전기적인 인력으로 포집하는 집진부를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집진부는,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제1집진 플레이트와, 상기 제1집진 플레이트 양단부의 일측에 연속되게 형성되어, 이웃하는 상기 제1집진 플레이트들을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하는 복수의 제1연결부를 포함하는 제1집진부; 및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제2집진 플레이트와, 상기 제2집진 플레이트 양단부의 타측에 연속되게 형성되어, 이웃하는 상기 제2집진 플레이트들을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하는 복수의 제2연결부를 포함하는 제2집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집진 플레이트는, 상기 제1집진 플레이트와 상기 제2집진 플레이트가 서로 마주보면서 번갈아 배치되도록 상기 제1집진부에 끼워지되, 상기 제1집진부와 접촉되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집진부는, 내측이 중공된 제1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집진부의 제1연결부가 형성된 제1집진 플레이트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돌출고정부가 형성된 제1케이스; 및 내측이 중공된 제2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집진부의 제2연결부가 형성된 제2집진 플레이트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2돌출고정부가 형성된 제2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1케이스는, 상기 제1집진부의 제1연결부가 형성되지 않은 제1집진 플레이트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1돌출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케이스는, 상기 제2집진부의 제2연결부가 형성되지 않은 제2집진 플레이트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2돌출지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집진부는 전도성 물질 및 상기 전도성 물질을 감싸는 유전체 물질로 이루어진 단일 시트를 이용하여 형성되되, 상기 시트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1연결부 형성영역을 제외하고 상기 시트 일정영역이 서로 접합되어 상기 제1집진 플레이트를 형성하고, 상기 제2집진부는 전도성 물질 및 상기 전도성 물질을 감싸는 유전체 물질로 이루어진 단일 시트를 이용하여 형성되되, 상기 시트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2연결부 형성영역을 제외하고 상기 시트 일정영역이 서로 접합되어 상기 제2집진 플레이트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집진부는,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제1집진 플레이트와, 상기 제1집진 플레이트 양단부의 일측에 연속되게 형성되어, 이웃하는 상기 제1집진 플레이트들을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하는 복수의 제1연결부를 포함하는 제1집진부; 및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제2집진 플레이트와, 상기 제2집진 플레이트의 양단부에 번갈아 형성되어, 이웃하는 상기 제2집진 플레이트들을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하는 복수의 제2연결부를 포함하는 제2집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집진 플레이트는, 상기 제1집진 플레이트와 상기 제2집진 플레이트가 서로 마주보면서 번갈아 배치되도록 상기 제2집진부에 끼워지되, 상기 제1집진부와 접촉되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집진부는, 길이방향으로 긴 제1지지대를 포함하여 상기 제1집진 플레이트의 위치를 고정하는 제1고정부재; 및 길이방향으로 긴 제2지지대를 포함하여 상기 제2집진 플레이트의 위치를 고정하는 제2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집진 플레이트는 폭방향 일측에 상기 제1고정부재의 제1지지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1삽입홈이 형성되고, 폭방향 타측에 상기 제2고정부재의 제2지지대가 위치되는 제1절개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집진 플레이트는 폭방향 일측에 상기 제1고정부재의 제1지지대가 위치되는 제2절개홈이 형성되고, 폭방향 타측에 상기 제2고정부재의 제2지지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2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대전부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전기집진장치는 먼지의 이동 방향으로 나란한 제1대전플레이트 및 제2대전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조립성 및 제조성을 높일 수 있으며, 안정적인 대전이 이루어져 집진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전기집진장치는 제1대전플레이트 및 제2대전플레이트에서 저전압이 각각 발생되므로 먼지를 대전시키는 성능을 높일 수 있으며, 이동되는 공기의 압력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고, 대전부의 작동이 이웃하게 위치되는 집진부에 전기적 잡음(electric noise)으로 작용되는 것을 보다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집진장치는 제1대전플레이트를 고정하는 제1고정프레임 및 제2대전플레이트를 고정하는 제2고정프레임이 서로 체결되는 조립구조를 가지며, 특히, 제1대전플레이트 및 제2대전플레이트가 각각 복수개로 분할된 판형부재를 이용하여 조립될 수 있어 조립성 및 제조성을 현저히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집진장치는 제1대전홀 및 제2대전홀의 원이 선택되는 방향으로 중첩된 형태로 형성되어 하나의 제1대전홀 및 제2대전홀 내부에 복수의 중첩된 원이 형성되고, 원의 중심에 대전핀이 정확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어 면적에 제약없이 다양한 크기 및 구성으로 실시가 용이하며, 대전전극과 중첩되는 부분이 없어 이상방전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전기집진장치는 대전전극과 중첩되는 부분이 없어 이상방전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집진부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전기집진장치는 복수의 집진 플레이트의 일측에서 연속되게 형성되는 연결부를 이용하여 제조성을 높이고 전기적인 안정성을 높여 집진 성능을 보다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전기집진장치는 하나의 시트를 이용하여 연결부 형성 영역을 제외하고 서로 접합되는 형태로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전원 연결을 위한 개별적인 조립 공정이 필요치 않아 생산성을 보다 높일 수 있고, 조립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집진장치는 제1집진부 및 제2집진부가 정확한 위치에서 조립될 수 있어 조립성을 높일 수 있으며, 집진 성능을 향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2는 종래의 전기집진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및 부분 단면도.
도 3, 4는 종래의 전기집진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및 부분 단면도.
도 5,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의 개략도 및 분해사시도.
도 7 내지 10은 본 발명에 따른 대전부의 사시도, 부분 확대도, 분해사시도 및 AA'방향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대전부의 부분 개략도.
도 12, 13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대전부의 부분 분해사시도.
도 14, 15는 본 발명에 따른 대전부의 다른 분해사시도 및 대전전극을 설명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대전부의 또 다른 분해사시도.
도 17 내지 19는 본 발명에 따른 집진부를 나타낸 사시도, 분해사시도, 및 개략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집진부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집진부를 나타낸 다른 개략도.
도 22 내지 25는 본 발명에 따른 집진부의 다른 사시도, 분해사시도, 제1집진부의 분해사시도 및 제2집진부의 분해사시도.
도 26, 27은 본 발명에 따른 집진부의 부분 사시도 및 측면도.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집진부의 다른 측면도.
도 29, 30은 본 발명에 따른 집진부의 다른 분해사시도 및 측면도.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대전부(1000) 및 집진부(2000)를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100)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5,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의 개략도 및 분해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기집진장치(100)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먼지 입자(P)에 전하를 인가하는 대전부(1000) 및 상기 대전부(1000)에서 하전된 먼지 입자(P')를 전기적인 인력으로 포집하는 집진부(20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대전부(1000)에 대하여 우선 설명한 이후, 집진부(200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 내지 10은 본 발명에 따른 대전부(1000)의 사시도, 부분 확대도, 분해사시도 및 AA'방향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대전부(1000)의 부분 개략도이며, 도 12, 13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대전부(1000)의 부분 분해사시도이고, 도 14, 15는 본 발명에 따른 대전부(1000)의 다른 분해사시도 및 대전전극(1130)을 설명한 도면이며,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대전부(1000)의 또 다른 분해사시도이다.
상기 대전부(1000)는 제1대전플레이트(1121), 제2대전플레이트(1122) 및 대전전극(1130)을 포함한다.
상기 제1대전플레이트(1121) 및 제2대전플레이트(1122)는 내부에 먼지가 이동되도록 관통되는 제1대전홀(1121a) 및 제2대전홀(1122a)이 형성되며, 먼지 이동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한 판형태로 형성되어 저전압(대전전극(1130)이 고전압)이 인가된다.
이 때, 상기 제1대전플레이트(1121) 및 제2대전플레이트(1122)는 제1대전홀(1121a) 및 제2대전홀(1122a)이 동일한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대전홀(1121a) 및 제2대전홀(1122a)은 먼지 입자가 유입되는 방향과 수직한 선택되는 방향으로 원이 중첩되는 형상을 갖는다. 즉, 상기 제1대전플레이트(1121)는 다수의 제1대전홀(1121a)이 연결되는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제1대전홀(1121a)의 원주면이 중첩되는 부분이 곡선처리되며, 이를 제1중첩곡선부(1121b)로 정의한다. 또한, 상기 제2대전플레이트(1122)는 상기 제1대전홀(1121a)의 형태와 같이, 다수의 제2대전홀(1122a)이 연결되는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제2대전홀(1122a)의 원주면이 중첨되는 부분이 곡선처리되며, 이를 제2중첩곡선부(1122b)로 정의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대전부(100)는 중첩비율 및 제1대전홀(1121a) 및 제2대전홀(1122a)의 크기를 조절하여 다양한 사이즈의 대전부(1000)를 제조하는 것이 보다 용이하며, 제1중첩곡선부(1121b) 및 제2중첩곡선부(1122b)가 형성됨에 따라, 뾰족한 형상에 의해 불필요한 이상 대전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종래에 비해 개구율이 증가되며, 상기 대전부(1000)를 통과하면서 공기 압력이 손실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대전플레이트(1121) 및 제2대전플레이트(1122)는 각각 하나의 판재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고(도 13 참조), 상기 제1대전플레이트(1121) 및 제2대전플레이트(1122)가 각각 복수개의 부재로 분할될 수도 있다.(도 12 참조) 상기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대전플레이트(1121) 및 제2대전플레이트(1122)가 각각 복수개의 부재로 분할형성되는 경우, 하나의 판재를 이용하는 것에 비해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이후 설명할 대전프레임(1110)을 이용하여 조립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대전전극(1130)은 상기 제1대전플레이트(1121)가 형성하는 제1대전홀(1121a) 및 제2대전플레이트(1122)가 형성하는 제2대전홀(1122a)의 중심으로 돌출되어 상기 먼지 입자에 전하를 인가하는 대전핀(1131)을 포함한다.
상기 대전핀(1131)의 뾰족한 단부는 상기 제1대전홀(1121a) 및 제2대전홀(1122a)의 반경방향 중심에 위치되며, 공기 이동 방향으로 상기 제1대전플레이트(1121)와 제2대전플레이트(1122) 사이 영역에 존재한다.
또한, 상기 대전전극(1130)은 상기 대전핀(1131)이 복수개 형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대전핀(1131)이 전극로드(1132)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대전전극(1130)은 상기 제1대전플레이트(1121)에 의해 연속되게 형성된 제1대전홀(1121a) (및 제2대전플레이트(1122)에 의해 연속되게 형성된 제2대전홀(1122a))에 길게 형성되는 구성으로, 상기 대전핀(1131)은 상기 제1대전홀(1121a) 및 제2대전홀(1122a)로 유입되는 먼지 입자에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전극로드(1132)는 상기 대전핀(1131)을 연결한다. 이 때, 상기 대전전극(1130)은 하나의 금속판재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대전부(1000)는 다수의 대전핀(1131)이 전극로드(1132)에 개별적으로 조립하여 이용하는 형태에 비하여 대전핀(1131)이 정확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생산 비용 및 소요시간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대전전극(1130)은 하나의 전극로드(1132)에 전극핀이 다수개 구비되어 일렬을 형성할 수 있어 조립 공수 및 재료비를 감소할 수 있으며, 안정적인 대전 성능을 갖는 전기집진장치(100)를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 때, 상기 대전전극(1130)은 판재를 스탬핑(Stamping) 또는 에칭(Etching) 방식으로 가공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대전부(1000)는 개별적인 대전핀(1131)을 용접하는 등의 과정이 필요치 않아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내구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 상기 대전핀(1131)이 상기 대전홀을 형성하는 중첩된 원의 중심에 정확하게 위치하여 대전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대전부(1000)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전핀(1131)과 상기 제1대전플레이트(1121) 및 제2대전플레이트(1122)로 균일하게 코로나 방전현상이 유발되어 대전 효과를 보다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대전부(1000)는 대전프레임(1110)을 포함한다.
상기 대전프레임(1110)은 상기 제1대전플레이트(1121), 제2대전플레이트(1122) 및 대전전극(1130)이 장착되는 부분으로, 틀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대전프레임(1110)은 상기 제1대전플레이트(1121)를 고정하기 위한 제1고정프레임(1111) 및 상기 제2대전플레이트(1122)를 고정하기 위한 제2고정프레임(1112)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제1고정프레임(1111)은 상기 제1대전플레이트(1121)를 고정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대전프레임(110)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고정프레임(1111)은 상기 제1대전플레이트(1121)의 제1대전홀(1121a)에 대응되는 제1중공부(1111a)가 형성된다.
상기 제1고정프레임(1111)과 제1대전플레이트(1121)의 고정 방식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조립, 탈착이 가능한 구조를 가져, 조립성을 높일 수 있음과 동시에 점검 및 교체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제1고정프레임(1111) 및 제1대전플레이트(1121) 중 하나에 돌출되는 제1체결돌기(1111b)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 상기 제1체결돌기(1111b)에 대응되는 제1체결홈(1121c)이 형성되어 서로 고정될 수 있다. 도 10에서, 상기 제1고정프레임(1111)에 제1체결돌기(1111b)가 형성되고, 상기 제1대전플레이트(1121)에 제1체결홈(1121c)이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으며, 그 반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고정프레임(1112)은 상기 제2대전플레이트(1122)의 제2대전홀(1122a)에 대응되는 제2중공부(1112a)가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제2고정프레임(1112)과 제2대전플레이트(1122)의 고정 방식 역시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제2고정프레임(1112) 및 제2대전플레이트(1122) 중 하나에 돌출되는 제2체결돌기(1112b)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 상기 제2체결돌기(1112b)에 대응되는 제2체결홈(1122c)이 형성되어 서로 고정될 수 있다. 도 10에서, 상기 제2고정프레임(1112)에 제2체결돌기(1112b)가 형성되고, 상기 제2대전플레이트(1122)에 제2체결홈(1122c)이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으며, 그 반대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고정프레임(1111) 및 제2고정프레임(1112)은 서로 조립고정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제1고정프레임(1111) 및 제2고정프레임(1112)에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체결을 위한 제1체결부(1111c) 및 제2체결부(1112c)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대전플레이트(121) 및 제2대전플레이트(122)에 각각 상기 제1체결부(1111c) 및 제2체결부(1112c)가 관통되는 제3체결홈(1121d) 및 제4체결홈(1122d)이 중공형성된다. 상기 제1체결부(1111c) 및 제2체결부(1112c)는 제1고정프레임(1111)과 제2고정프레임(1112)에 각각 형성되어 조립가능한 구성으로, 상기 제1대전플레이트(1121)와 제2대전플레이트(1122)의 이격 거리를 유지할 수 있게 구비된다.
한편, 상기 제2고정프레임(1112)은 상기 제2대전플레이트(1122)가 복수개로 나누어 형성되는 경우, 복수개의 부재들을 포함하는 형태일 수 있다.(도 16 참조)
본 발명의 대전부(1000)의 조립을 설명하면, 상기 제1대전플레이트(1121)와 제1고정프레임(1111)이 조립되고, 상기 제2대전플레이트(1122)와 제2고정프레임(1112)이 조립된 후, 상기 제1체결부(1111c) 및 제2체결부(1112c)가 체결된다.
또, 상기 제1체결부(1111c) 및 제2체결부(1112c)는 제1대전플레이트(1121) 및 제2대전플레이트(1122)의 고정을 위한 역할뿐만 아니라, 가스상물질(Gaseous material)을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제1체결부(1111c) 및 제2체결부(1112c)는 각각 상기 제1고정플레이트 및 제2고정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된 후, 가스상물질을 제거가능한 기능성촉매물질이 부착 또는 코팅된 형태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체결부(1111c) 및 제2체결부(1112c)는 자체가 기능성촉매출질로 형성되어 상기 제1고정플레이트 및 제2고정플레이트에 연결된 형태일 수 있다. 이 때, 기능성촉매물질은 냄새유발가스 또는 오존이 차량 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가스를 분해, 흡착, 및 제거하는 것 중 하나의 기능을 갖는 물질로 정의한다.
또, 상기 도 8 내지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대전부(1000)는 상기 대전전극(1130)을 고정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대전프레임(1110)에 연결프레임(1113)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프레임(1113)은 상기 대전프레임(1110)에 양단이 고정되어 상기 대전전극(1130)이 안착되며, 상기 대전전극(1130)의 대전핀(1131)이 노출되도록 일정영역이 개구되는 개구부(1113a)가 형성된다. 즉, 상기 도 8 내지 10에 도시한 형태는 상기 연결프레임(1113)에 상기 대전전극(1130)이 직접 안착되는 형태이다. 이 때, 상기 연결프레임(1113)은 상기 전극로드(1132)의 양면을 지지하는 제1돌출지지부(1116)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돌출지지부(1116)는 상기 전극로드(1132)를 용이하게 지지하면서도 장착이 용이하도록 상기 전극로드(1132)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1돌출지지부(1116)가 2 이상 형성되되 길이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양면을 교번하여 지지하는 형태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도 14,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대전부(1000)는 상기 대전전극(1130)을 고정하기 위한 구성으로, 대전전극고정부재(1140) 및 연결프레임(1113)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대전전극고정부재(1140)는 상기 대전전극(1130)이 안착되는 고정홈(1141)이 형성되는 부분으로, 상기 고정홈(1141)에 상기 전극로드(1132)의 양면을 지지하는 제2돌출지지부(114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돌출지지부(1142)는 상기 전극로드(1132)를 용이하게 지지하면서도 장착이 용이하도록 상기 전극로드(1132)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2돌출지지부(1142)가 2 이상 형성되되 길이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양면을 교번하여 지지하는 형태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대전전극고정부재(1140)는 상기 대전전극(1130)을 정확한 위치에 안착되도록, 상기 고정홈(1141)의 일정영역이 돌출되거나 오목한 제1대응부(1143)가 형성되고, 상기 대전전극(1130)에 상기 제1대응부(1143)에 대응되는 형태의 제2대응부(1133)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 15에서, 상기 제1대응부(1143)가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2대응부(1133)가 상기 돌출된 제1대응부(1143)가 삽입가능한 형태인 예를 나타내었다. 이 때, 상기 연결프레임(1113)은 상기 대전전극고정부재(1140)가 안착되는 부분으로, 길게 형성되어 양단이 상기 대전프레임(1110)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연결프레임(1113)에는 상기 대전전극(1130)의 대전핀(1131)이 노출되도록 일정영역이 개구된 개구부(1113a)가 형성된다.
즉, 본 발명의 대전부(1000)는 상기 연결프레임(1113)이 형성되어 대전전극(1130)을 고정하되, 상기 도 8 내지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대전전극(1130)이 상기 연결프레임(1113)에 직접 안착되거나, 상기 대전전극(1130)이 대전전극고정부재(1140)에 먼저 고정되고 상기 대전전극고정부재(1140)가 연결프레임(1113)에 안착되는 형태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대전부(100)는 대전핀(1131)과 전극로드(132)가 일체로 형성된 대전전극(130)을 이용하여 제조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전기집진장치(1000)는 상술한 바와 같은 대전부(1000) 및 상기 대전부(1000)에서 하전된 먼지 입자를 전기적인 인력으로 포집하는 집진부(2000)를 포함한다. 즉,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지 입자(P)가 대전부(100)를 통과할 때 코로나 방전(CD) 현상에 의해 하전된 먼지입자(P')가 되어, 집진부(2000)에 의해 포집된다.
이 때, 상기 집진부(2000)는 상기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만 통과되고 먼지 입자를 포집하는 필터형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하전된 먼지 입자를 포집가능한 다양한 구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기집진장치(1000)는 조립성 및 제조성을 높일 수 있으며, 제1대전플레이트(1121) 및 제2대전플레이트(1122)에서 저전압이 각각 발생되므로 먼지를 대전시키는 성능을 높일 수 있고, 대전부(1000)의 작동이 이웃하게 위치되는 집진부(2000)에 전기적 잡음(electric noise)으로 작용되는 것을 보다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대전플레이트(1121)와 제2대전플레이트(1122) 사이 중심에 대전핀(1131)의 끝이 배치되는 것으로 서술하였으나, 유입되는 먼지의 이동 속도, 즉 바람의 속도에 따라서 대전핀(1131)의 끝이 바람이 유입되는 방향과 가까운 대전플레이트(1121, 1122) 쪽으로 치우쳐 배치될 수도 있다. 이는 바람에 의한 먼지 입자의 이동을 고려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집진부(2000)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7 내지 19는 본 발명에 따른 집진부(2000)를 나타낸 사시도, 분해사시도, 및 개략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집진부(2000)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집진부(2000)를 나타낸 다른 개략도이고, 도 22 내지 25은 본 발명에 따른 집진부(2000)의 다른 사시도, 분해사시도, 제1집진부(2120)의 분해사시도 및 제2집진부(2220)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26, 27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기용 집진장치(2000)의 부분 사시도 및 측면도이고, 도 28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기용 집진장치(1000)의 다른 측면도이며, 도 29, 30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기용 집진장치(1000)의 다른 분해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집진부(2000)는 제1집진부(2120)를 포함하는 형태로, 상기 제1집진부(2120)는 제1집진 플레이트(2121) 및 제1연결부(2122)를 포함한다.
상기 제1집진 플레이트(2121)는 복수개가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1연결부(2122)는 복수개의 상기 제1집진 플레이트(2121) 양단부의 일측에 연속되게 형성되어 제1집진 플레이트(2121)들을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한다. 도 17 내지 19에서, 제1연결부(2122)가 제1집진 플레이트(2121)의 양단부 중 일측인 높이방향으로 상측에 연속되게 형성된 예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집진부(2000)는 제1연결부(2122)가 제1집진 플레이트(2121)의 양단부 중 타측인 높이방향으로 하측에 연속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집진부(2120)는 위와 같은 상기 제1집진 플레이트(2121) 및 제1연결부(2122)를 포함하는 형태를 다양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데,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집진 플레이트(2121) 및 제1연결부(2122)가 하나의 시트(Sheet)를 이용하여 제조되어 제조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도 20 (a)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도성 물질 및 상기 전도성 물질을 감싸는 유전체 물질로 이루어진 단일 시트를 제조한 후, 도 20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곡한 후, 상기 제1연결부(2122)를 형성하는 영역을 제외하고, 도 20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시트의 일정영역이 서로 접합되어 상기 제1집진 플레이트(2121)를 형성한다. 즉, 시트의 2개 부분인 a1 및a2가 서로 접합되어 하나의 제1집진 플레이트(2121)를 형성한다. 하나의 시트는 영역 a1, 영역 a2, 영역 b 다시 영역 a1, 영역 a2, 영역 b가 반복되어 제1집진 플레이트(2121) 및 제1연결부(122)를 반복 형성한다. 이 때, 상기 시트는 전도성 물질이 유전체 물질로 코팅되어, 유전체 물질에 의해 전도성 물질이 감싸져 있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전도성 물질은 전기 전도성이 있는 카본 시트 등 다양한 물질이 될 수 있으며, 유전체 물질은 플라스틱 등의 얇은 필름이 될 수 있다. 또, 상기 시트의 단부에는 전원 연결을 위한 제1전극탭(2123)을 형성하도록 일정 영역의 전도성 물질이 노출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집진부(2000)는 상기 제1집진부(2120)와 함께 고전압이 인가되는 제2집진부(2220)를 포함한다.
상기 제2집진부(2220)는 상기 제1집진부(2120)와 같은 형태로 형성되 수 있으며, (도 21 내지 도 25에 도시한 형태 참조) 제2집진 플레이트(2221) 및 제2집진부(2220)를 포함한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제2집진 플레이트(2221)는 복수개가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2연결부(2222)는 상기 제2집진 플레이트(2221) 양단부의 타측에 연속되게 형성되어 이웃하는 제2집진 플레이트(2221)들을 전기적으로 직렬연결한다. 이 때, 상기 제2집진부(2220)는 상기 제1집진 플레이트(2121)와 제2집진 플레이트(2221)가 서로 마주보면서 번갈아 배치되도록 상기 제1집진부(2120)에 끼워지되, 상기 제1집진부(2120)와 접촉되지 않게 배치된다. 즉, 상기 제1집진 플레이트(2121)와 제2집진 플레이트(2221)는 일정 거리 이격되어 교번 배치되며, 상기 제1집진부(2120)의 제1연결부(2122)가 높이방향으로 상측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제2집진부(2220)의 제2연결부(2222)가 높이방향으로 하측에 위치된다.
상기 제1집진부(2120)와 제2집진부(2220)에 고전압이 인가되면, 그 사이에 전기장이 형성되며, 상기 제1집진 플레이트(2121)와 제2집진 플레이트(2221) 사이로 대전장치(100)에 의해 음이온화 또는 양이온화된 먼지 입자를 포함한 공기가 통과되면서 양이온화 된 먼지 입자가 전기장에 의하여 상기 제1집진부(2120) 및 제2집진부(2220)의 표면에 흡착되어 포집된다. (도 5 참조)
상기 제2집진부(2220)의 제2집진 플레이트(2221) 및 제2연결부(2222) 역시, 상기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하나의 시트를 이용하여 제조되어 제조성을 보다 높일 수 있으며, 또, 상기 시트의 단부에는 전원 연결을 위한 제2전극탭(2223)을 형성하도록 일정 영역의 전도성 물질이 노출된 형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집진부(2000)는 복수의 집진 플레이트의 일측에서 연속되게 형성되는 연결부를 이용하여 제조성을 높이고 전기적인 안정성을 높여 집진 성능을 보다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집진부(2000)는 하나의 시트를 이용하여 연결부 형성 영역을 제외하고 서로 접합되는 형태로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전원 연결을 위한 개별적인 조립 공정이 필요치 않아 생산성을 보다 높일 수 있고, 조립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2집진부(2220)는 제2집진 플레이트(2221) 및 제2연결부(2222)를 포함하되, 도 17 내지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연결부(2222)가 상기 제2집진 플레이트(2221)의 양단부에 번갈아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집진 플레이트(2221) 및 제2연결부(2222)는 단일의 시트를 절곡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집진부(2000)는 제1고정부재(2310) 및 제2고정부재(2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재(2310)는 상기 제1집진 플레이트(2121) 및 제2집진 플레이트(2221)의 적층 방향인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1지지대(2311)를 포함하여, 상기 제1집진 플레이트(2121)의 위치를 고정한다.
상기 제2고정부재(2320)는 상기 제1집진 플레이트(2121) 및 제2집진 플레이트(2221)의 적층 방향인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2지지대(2321)를 포함하여, 상기 제2집진 플레이트(2221)의 위치를 고정한다.
상기 제1고정부재(2310) 및 제2고정부재(2320)의 형성을 위하여 상기 제1집진 플레이트(2121)는 폭방향 일측에 상기 제1고정부재(2310)의 제1지지대(2311)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1삽입홈(2124)이 형성되고, 폭방향 타측에 상기 제2고정부재(2320)의 제2지지대(2321)가 위치되는 제1절개홈(2125)이 형성되며, 상기 제2집진 플레이트(2221)는 폭방향 일측에 상기 제1고정부재(2310)의 제1지지대(2311)가 위치되는 제2절개홈(2225)이 형성되고, 폭방향 타측에 상기 제2고정부재(2320)의 제2지지대(2321)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2삽입홈(2224)이 형성된다.
또, 본 발명의 집진부(2000)는 도 22 내지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케이스(2110) 및 제2케이스(2210)를 포함하는 형태일 수 있다. 도면에서, 상기 제1케이스(2110) 및 제1집진부(2120)를 도면번호 2100의 제1집진모듈(2100)로, 상기 제2케이스(2210) 및 제2집진부(2220)를 도면번호 2200의 제2집진모듈(2200)로 표시하였다.
상기 제1케이스(2110)는 내측이 중공된 제1개구부(2110a)가 형성된 틀 형태로, 상기 제1집진부(2120)가 장착 고정된다. 상기 제1케이스(2110)는 상기 제1집진 플레이트(2121)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돌출고정부(2111) 및 상기 제1집진 플레이트(2121)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1돌출지지부(2112)를 포함한다. 상기 제1돌출고정부(2111)는 상기 제1연결부(2122)가 형성된 측인 상기 제1집진 플레이트(2121)의 일측을 지지하는 것으로, 서로 다른 높이에서 상기 제1집진부(2120)를 지지하는 제1-1돌출고정부(2111a) 및 제1-2돌출고정부(2111b)기 형성되며, 그 형태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 24, 26, 및 27에 도시한 형태는 상기 제1-1돌출고정부(2111a)가 제1집진 플레이트(2121)의 일측 단부 및 제1연결부(2122) 내주를 지지하는 형태이며, 상기 제1-2돌출고정부(2111b)가 상기 제1-1돌출고정부(2111a)의 형성높이와는 다르게 돌출되어 제1집진 플레이트(2121)를 지지하는 형태를 갖고, 상기 제1집진 플레이트(2121)의 적층 방향으로 제1-1돌출고정부(2111a) 및 제1-2돌출고정부(2111b)가 교번 형성되는 예를 나타내었다.
상기 도 28에 도시한 형태는 상기 제1-1돌출고정부(2111a)가 상기 1연결부의 외주를 지지하는 형태이며, 상기 제1-2돌출고정부(2111b)가 상기 제1집진 플레이트(2121)를 지지하는 형태를 갖고, 상기 제1집진 플레이트(2121)의 적층 방향으로 제1-1돌출고정부(2111a) 및 제1-2돌출고정부(2111b)가 교번 형성되는 예를 나타내었다.
도 29, 30에 도시한 형태는 상기 제1-1돌출고정부(2111a)가 영문 대문자 "I"와 같이 높이방향으로 상측 및 하측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제1집진 플레이트(2121)를 지지하는 2개의 영역이 존재하며, 상기 제1-2돌출고정부(2111b)가 높이방향으로 2개의 영역 사이에서 제1집진 플레이트(2121)를 지지하는 형태를 갖고, 상기 제1집진 플레이트(2121)의 적층 방향으로 제1-1돌출고정부(2111a) 및 제1-2돌출고정부(2111b)가 교번 형성되는 예를 나타내었다.
상기 제1돌출지지부(2112)는 상기 제1집진부(2120)의 제1연결부(2122)가 형성되지 않은 제1집진 플레이트(2121)의 타측을 지지하는 것으로, 복수개의 제1돌출지지부(2112) 사이에 제1집진 플레이트(2121)들이 끼워지는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케이스(2210)는 내측이 중공된 제2개구부(2210a)가 형성된 틀 형태로, 상기 제2집진부(2220)가 장착 고정된다. 상기 제2케이스(2210)는 상기 제2집진 플레이트(2221)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2돌출고정부(2211) 및 상기 제2집진 플레이트(2221)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2돌출지지부(2212)를 포함한다. 상기 제2돌출고정부(2211)는 상기 제2연결부(2222)가 형성된 측인 상기 제2집진 플레이트(2221)의 타측을 지지하는 것으로, 서로 다른 높이에서 상기 제2집진부(2220)를 지지하는 제2-1돌출고정부(2211a) 및 제2-2돌출고정부(2211b)기 형성되며, 그 형태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1돌출고정부(2211a) 및 제2-2돌출고정부(2211b)의 형태는 상기 제1-1돌출고정부(2111a) 및 제1-2돌출고정부(2111b)의 형태와 동일하게 형성되되, 상기 제2집진부(2220)의 제2연결부(2222) 형성 위치를 고려하여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높이방향으로 하측에 형성된다.
또, 상기 제2돌출지지부(2212)는 상기 제2집진부(2220)의 제2연결부(2222)가 형성되지 않은 제2집진 플레이트(2221)의 타측을 지지하는 것으로, 복수개의 제2돌출지지부(2212) 사이에 제2집진 플레이트(2221)들이 끼워지는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집진부(2000)는 상기 제1케이스(2110)에 상기 제1고정부재(2310) 및 상기 제2케이스(2210)에 제2고정부재(232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집진부(2000)는 공기가 유동되는 공간을 최대로 확보할 수 있으며, 조립성을 보다 높일 수 있어 전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부호의 설명]
100: 전기집진장치
1000: 대전부
1110: 대전프레임
1111: 제1고정프레임 1111a: 제1중공부
1111b: 제1체결돌기 1111c: 제1체결부
1112: 제2고정프레임 1112a: 제2중공부
1112b: 제2체결돌기 1112c: 제2체결부
1113: 연결프레임
1113a: 개구부
1114: 제1안착부 1115: 제2안착부
1116: 제1돌출지지부
1117: 보강지지부
1121: 제1대전플레이트 1121a: 제1대전홀
1121b: 제1중첩곡선부 1121c: 제1체결홈
1121d: 제3체결홈
1122: 제2대전플레이트 1122a: 제2대전홀
1122b: 제2중첩곡선부 1122c: 제2체결홈
1122d: 제4체결홈
1130: 대전전극
1131: 대전핀 1132: 전극로드
1133: 제2대응부
1140: 대전전극 고정부재 1141: 고정홈
1142: 제2돌출지지부 1143: 제1대응부
2000: 집진부
2100: 제1집진모듈
2110: 제1케이스 2110a: 제1개구부
2111: 제1돌출고정부
2111a: 제1-1돌출고정부 2111b: 제1-2돌출고정부
2112: 제1돌출지지부
2120: 제1집진부
2121: 제1집진 플레이트 2122: 제1연결부
2123: 제1전극탭
2124: 제1삽입홈 2125: 제1절개홈
2200: 제2집진모듈
2210: 제2케이스 2210a: 제2개구부
2211: 제2돌출고정부
2211a: 제2-1돌출고정부 2211b: 제2-2돌출고정부
2212: 제2돌출지지부
2220: 제2집진부
2221: 제2집진 플레이트 2222: 제2연결부
2223: 제2전극탭
2224: 제2삽입홈 2225: 제2절개홈
2310: 제1고정부재 2311: 제1지지대
2320: 제2고정부재 2321: 제2지지대

Claims (20)

  1. 외부에서 유입되는 먼지 입자에 전하를 인가하는 대전부와, 상기 대전부에서 하전된 먼지 입자를 전기적인 인력으로 포집하는 집진부를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대전부는,
    상기 먼지의 이동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한 판형태이되, 각각 먼지가 이동되도록 관통되는 제1대전홀이 및 제2대전홀이 형성되는 제1대전플레트 및 제2대전플레이트;
    상기 제1대전홀 및 제2대전홀의 중심으로 돌출되어 상기 먼지 입자에 전하를 인가하는 대전핀을 포함하는 대전전극; 및
    상기 제1대전플레이트, 상기 제2대전플레이트, 및 상기 대전전극이 장착되는 틀 형상의 대전프레임;
    을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전극은,
    상기 대전핀과 상기 대전핀을 연결하는 전극로드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대전플레이트의 제1대전홀 및 상기 제2대전플레이트의 제2대전홀은,
    상기 먼지 입자가 유입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원이 중첩된 형상을 가지도록 완곡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전극은,
    상기 전극로드가 복수개의 원이 중첩된 형상의 상기 제1대전홀 및 상기 제2대전홀에 길게 형성되고, 상기 대전핀이 상기 제1대전홀 및 상기 제2대전홀의 중첩된 원의 반경방향 중심에 위치하도록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프레임은, 상기 제1대전플레이트의 제1대전홀에 대응되는 제1중공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대전플레이트를 고정하는 제1고정프레임;과, 상기 제2대전플레이트의 제2대전홀에 대응되는 제2중공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대전플레이트를 고정하는 제2고정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1대전플레이트가 고정된 상기 제1고정프레임과, 상기 제2대전플레이트가 고정된 상기 제2고정프레임이 서로 조립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프레임 및 상기 제1대전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에 돌출되는 제1체결돌기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 상기 제1체결돌기에 대응되는 제1체결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체결돌기와 상기 제1체결홈이 서로 고정되고,
    상기 제2고정프레임 및 상기 제2대전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에 돌출되는 제2체결돌기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 상기 제2체결돌기에 대응되는 제2체결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2체결돌기와 상기 제2체결홈이 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프레임 및 상기 제2고정프레임에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체결을 위한 제1체결부 및 제2체결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대전플레이트 및 상기 제2대전플레이트에 각각 상기 제1체결부 및 상기 제2체결부가 관통되는 제3체결홈 및 제4체결홈이 중공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부 및 상기 제2체결부는, 가스상물질을 제거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부 및 상기 제2체결부는, 기능성촉매물질로 형성되거나, 구조물에 기능성촉매물질이 부착 또는 코팅되고,
    상기 기능성촉매물질은, 냄새유발가스 또는 오존이 차량 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가스를 분해, 흡착, 및 제거하는 것 중 하나의 기능을 갖는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프레임은,
    상기 대전프레임에 양단이 고정되어 상기 대전전극이 안착되며, 상기 대전전극의 대전핀이 노출되도록 일정영역이 개구된 개구부가 형성되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프레임은, 길이방향으로 상기 전극로드의 양면을 교번하여 지지하는 제1돌출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부는, 상기 대전전극이 안착되는 고정홈이 형성된 대전전극고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대전프레임은,
    상기 대전프레임에 양단이 고정되어 상기 대전전극고정부재가 안착되며, 상기 대전전극의 대전핀이 노출되도록 일정영역이 개구된 개구부가 형성되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대전전극고정부재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전극로드의 양면을 교번하여 지지하는 제2돌출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전극고정부재는, 상기 고정홈의 일정영역이 돌출되거나 오목한 제1대응부가 형성되고,
    상기 대전전극은, 상기 제1대응부에 대응되는 형태의 제2대응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중공부영역을 복수개로 분할하도록 상기 제1고정프레임의 제1중공부의 원이 중첩된 영역을 연결하되, 상기 연결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되는 보강지지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1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전극은 하나의 금속판재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부는,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제1집진 플레이트와, 상기 제1집진 플레이트 양단부의 일측에 연속되게 형성되어, 이웃하는 상기 제1집진 플레이트들을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하는 복수의 제1연결부를 포함하는 제1집진부; 및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제2집진 플레이트와, 상기 제2집진 플레이트 양단부의 타측에 연속되게 형성되어, 이웃하는 상기 제2집진 플레이트들을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하는 복수의 제2연결부를 포함하는 제2집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집진 플레이트는, 상기 제1집진 플레이트와 상기 제2집진 플레이트가 서로 마주보면서 번갈아 배치되도록 상기 제1집진부에 끼워지되, 상기 제1집진부와 접촉되지 않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부는,
    내측이 중공된 제1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집진부의 제1연결부가 형성된 제1집진 플레이트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돌출고정부가 형성된 제1케이스; 및
    내측이 중공된 제2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집진부의 제2연결부가 형성된 제2집진 플레이트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2돌출고정부가 형성된 제2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1케이스는, 상기 제1집진부의 제1연결부가 형성되지 않은 제1집진 플레이트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1돌출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케이스는, 상기 제2집진부의 제2연결부가 형성되지 않은 제2집진 플레이트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2돌출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집진부는 전도성 물질 및 상기 전도성 물질을 감싸는 유전체 물질로 이루어진 단일 시트를 이용하여 형성되되, 상기 시트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1연결부 형성영역을 제외하고 상기 시트 일정영역이 서로 접합되어 상기 제1집진 플레이트를 형성하고,
    상기 제2집진부는 전도성 물질 및 상기 전도성 물질을 감싸는 유전체 물질로 이루어진 단일 시트를 이용하여 형성되되, 상기 시트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2연결부 형성영역을 제외하고 상기 시트 일정영역이 서로 접합되어 상기 제2집진 플레이트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부는,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제1집진 플레이트와, 상기 제1집진 플레이트 양단부의 일측에 연속되게 형성되어, 이웃하는 상기 제1집진 플레이트들을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하는 복수의 제1연결부를 포함하는 제1집진부; 및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제2집진 플레이트와, 상기 제2집진 플레이트의 양단부에 번갈아 형성되어, 이웃하는 상기 제2집진 플레이트들을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하는 복수의 제2연결부를 포함하는 제2집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집진 플레이트는, 상기 제1집진 플레이트와 상기 제2집진 플레이트가 서로 마주보면서 번갈아 배치되도록 상기 제2집진부에 끼워지되, 상기 제1집진부와 접촉되지 않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부는,
    길이방향으로 긴 제1지지대를 포함하여 상기 제1집진 플레이트의 위치를 고정하는 제1고정부재; 및
    길이방향으로 긴 제2지지대를 포함하여 상기 제2집진 플레이트의 위치를 고정하는 제2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집진 플레이트는 폭방향 일측에 상기 제1고정부재의 제1지지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1삽입홈이 형성되고, 폭방향 타측에 상기 제2고정부재의 제2지지대가 위치되는 제1절개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집진 플레이트는 폭방향 일측에 상기 제1고정부재의 제1지지대가 위치되는 제2절개홈이 형성되고, 폭방향 타측에 상기 제2고정부재의 제2지지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2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PCT/KR2020/014865 2019-11-06 2020-10-29 대전부 및 집진부를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 WO2021091160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12020005438.1T DE112020005438T5 (de) 2019-11-06 2020-10-29 Elektrische Staubsammelvorrichtung mit Ladeteil und Staubsammelteil
CN202080076008.XA CN114616055B (zh) 2019-11-06 2020-10-29 包括充电部和集尘部的电集尘装置
US17/763,044 US20220331816A1 (en) 2019-11-06 2020-10-29 Electrical dust collection device comprising charging part and dust collection par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0715A KR102639348B1 (ko) 2019-11-06 2019-11-06 대전부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
KR1020190140709A KR20210054717A (ko) 2019-11-06 2019-11-06 전기집진기용 집진장치
KR10-2019-0140715 2019-11-06
KR10-2019-0140709 2019-11-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91160A1 true WO2021091160A1 (ko) 2021-05-14

Family

ID=75848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14865 WO2021091160A1 (ko) 2019-11-06 2020-10-29 대전부 및 집진부를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331816A1 (ko)
CN (1) CN114616055B (ko)
DE (1) DE112020005438T5 (ko)
WO (1) WO202109116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16055A (zh) * 2019-11-06 2022-06-10 翰昂汽车零部件有限公司 包括充电部和集尘部的电集尘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15618A (ja) * 2008-11-14 2010-05-27 Furukawa Industrial Machinery Systems Co Ltd 電気集塵装置
US20110185905A1 (en) * 2010-01-29 2011-08-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ic precipitator and electrode plate thereof
KR20160099310A (ko) * 2015-02-12 2016-08-22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전기집진장치
KR20180076031A (ko) * 2016-12-27 2018-07-05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전기집진필터
KR20190065872A (ko) * 2017-12-04 2019-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집진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086819A (en) * 1964-11-04 1967-10-11 Gen Electric Improvements in electrostatic precipitators
TW421082U (en) * 1997-11-17 2001-02-01 Jang Pei An Negative ion generator structure
JPH11342350A (ja) * 1998-06-01 1999-12-14 Sharp Corp 空気清浄機
JP2003275578A (ja) * 2002-03-26 2003-09-30 Toshiba Home Technology Corp 光触媒反応装置
JP2004342542A (ja) * 2003-05-19 2004-12-02 Koichi Takeda マイナスイオン発生装置
JP2006068580A (ja) * 2004-08-31 2006-03-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集塵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空気調和装置または空気洗浄装置
DE102005045010B3 (de) * 2005-09-21 2006-11-16 Forschungszentrum Karlsruhe Gmbh Elektrostatische Ionisierungsstufe in einer Abscheidungseinrichtung
JP2015516297A (ja) * 2012-05-15 2015-06-11 ユニヴァーシティ オブ ワシントン センター フォー コマーシャライゼーション 電子空気浄化器、および、その方法
CN203648694U (zh) * 2014-01-03 2014-06-18 赵海清 一种基于交变电场和空气对流的自动集尘装置
KR102065350B1 (ko) * 2015-02-12 2020-01-13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전기집진장치
JP6460890B2 (ja) * 2015-04-06 2019-01-30 アマノ株式会社 荷電装置及び電気集塵機
CN105091104B (zh) * 2015-08-19 2019-03-01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器
KR102431701B1 (ko) * 2015-11-20 2022-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집진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CN107755096B (zh) * 2016-08-23 2020-08-07 Lg电子株式会社 电集尘装置
KR101809243B1 (ko) * 2016-10-10 2018-01-18 (주)수도프리미엄엔지니어링 플라즈마를 이용한 유해물질 제거장치
WO2019098526A2 (ko) * 2017-11-16 2019-05-23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전기집진기용 집진부
KR102639348B1 (ko) * 2019-11-06 2024-02-23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대전부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
CN114616055B (zh) * 2019-11-06 2024-05-14 翰昂汽车零部件有限公司 包括充电部和集尘部的电集尘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15618A (ja) * 2008-11-14 2010-05-27 Furukawa Industrial Machinery Systems Co Ltd 電気集塵装置
US20110185905A1 (en) * 2010-01-29 2011-08-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ic precipitator and electrode plate thereof
KR20160099310A (ko) * 2015-02-12 2016-08-22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전기집진장치
KR20180076031A (ko) * 2016-12-27 2018-07-05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전기집진필터
KR20190065872A (ko) * 2017-12-04 2019-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집진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16055A (zh) * 2019-11-06 2022-06-10 翰昂汽车零部件有限公司 包括充电部和集尘部的电集尘装置
CN114616055B (zh) * 2019-11-06 2024-05-14 翰昂汽车零部件有限公司 包括充电部和集尘部的电集尘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616055A (zh) 2022-06-10
US20220331816A1 (en) 2022-10-20
CN114616055B (zh) 2024-05-14
DE112020005438T5 (de) 2022-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86636A1 (ko) 전기집진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7135539A1 (ko) 전기 집진필터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전기 집진필터
WO2021091160A1 (ko) 대전부 및 집진부를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
WO2018143599A1 (en) Explosion-proof apparatus
WO2019078553A1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WO2017217652A2 (ko) 클램핑 방식의 체결 부재로 결합된 외장 부재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WO2022019638A1 (ko) 전극 컷팅 장치용 동력전달유닛
WO2016140434A1 (ko) 클램핑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JPH05245411A (ja) 電気集塵機
WO2021029696A1 (ko) 전기집진기
WO2022014954A1 (ko) 전극리드의 절곡 및 용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극리드의 용접 방법
WO2018105951A1 (ko) 공기 청정 필터, 하이브리드 공기 청정 필터 및 공기 청정기
WO2019139327A1 (ko) 전기 탈이온 필터
WO2016080620A1 (ko) 고효율 정전 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정전 필터 유니트
WO2022045828A1 (ko) 탈리 이물질 제거 유닛을 포함하는 전극 컷팅 장치
WO2020145730A1 (ko) 전기집진기용 집진장치
WO2015156536A1 (ko) 진공펌프
EP4058198A1 (en) Electrostatic dust collecting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80086979A (ko) 원통형 집진전극을 구비한 전기집진필터
WO2023167451A1 (ko) 스크류 타입 벤트
WO2022010295A1 (ko) 집진 필터 및 집진 필터 제조방법
WO2019098526A2 (ko) 전기집진기용 집진부
WO2024039077A1 (ko) 전기 집진 장치
WO2023128297A1 (ko) 전기집진장치
WO2021054694A1 (ko) 튜브형상의 절곡형 필터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88500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88500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