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1903B1 - 전기집진기용 집진부 - Google Patents

전기집진기용 집진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1903B1
KR102421903B1 KR1020170152739A KR20170152739A KR102421903B1 KR 102421903 B1 KR102421903 B1 KR 102421903B1 KR 1020170152739 A KR1020170152739 A KR 1020170152739A KR 20170152739 A KR20170152739 A KR 20170152739A KR 102421903 B1 KR102421903 B1 KR 102421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llecting
fixing member
dust
fixing
spaced a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2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5906A (ko
Inventor
박지용
김기홍
김재호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주)동일기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주)동일기연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52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1903B1/ko
Priority to PCT/KR2018/011736 priority patent/WO2019098526A2/ko
Publication of KR20190055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59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1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1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5Collecting-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82Housings

Landscapes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길이방향으로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제1집진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제1집진부; 길이방향으로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제2집진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2집진 플레이트가 제1집진부에 접촉되지 않도록 배치되되 상기 제2집진 플레이트가 제1집진 플레이트와 서로 마주보면서 번갈아 배치되도록 상기 제1집진부에 끼워진 제2집진부; 및 상기 제1집진부의 제1집진 플레이트들에 결합되어 고정된 제1고정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서로 다른 전압이 인가되는 양극 집진 전극인 제1집진부 및 음극 집진 전극인 제2집진부 간의 전기적 절연이 확실하게 이루어져 수분 및 먼지 등이 유입되더라도 집진부의 전계 저하를 방지할 수 있어, 집진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전기적으로 안정적인 운용이 가능한 전기집진기용 집진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집진기용 집진부 {Collector for electric precipitator}
본 발명은 에어컨이나 공기정화기와 같은 공조장치에서 공기에 포함된 미세 먼지를 흡착하여 여과할 수 있는 전기식 집진기의 집진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나 가스에 포함된 먼지, 분진 등의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미세한 섬유로 구성된 부직포 등을 사용한 필터를 사용한다. 일반적인 섬유형 필터는 기공의 크기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기공 보다 작은 크기의 먼지 입자는 걸러줄 수 없었다. 또한 기공의 크기를 과도하게 줄일 경우, 풍량이 감소하며 큰 먼지 입자들에 의해 기공이 조기에 막혀 버리기 때문에 필터의 수명이 매우 짧아지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풍량의 저하를 방지하고 큰 입자에 의한 기공 막힘의 문제가 없으며 매우 작은 크기의 불순물 입자도 걸러 줄 수 있는 전기집진필터가 사용되고 있다.
도 1과 같이 전기집진필터는 각각 별개로 형성된 다수의 집진플레이트(42a, 42b)를 일정 간격을 갖도록 배치하고, 하나 건너 하나씩 교대로 양극 고전압과 음극 고전압을 인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양극의 극성 또는 음극의 극성을 띈 집진플레이트(42a, 42b)의 표면에 반대 극성을 갖도록 대전된 먼지 입자가 흡착됨으로써 집진플레이트들의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나 가스로부터 미세 입자가 제거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도 2와 같이 집진플레이트(42a, 42b)들은 전기적인 연결을 위해 양면을 관통하도록 구멍들이 형성되어 있고 관통바(44a, 44b)들이 집진플레이트(42a, 42b)들에 형성된 구멍들을 통과하도록 삽입되어 있다. 이때, 양극 집진플레이트(42a)들은 양극 고전압 공급부에 연결된 관통바(44a)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음극 고전압 공급부에 연결된 관통바(44b)와는 이격되어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는 반대로 음극 집진플레이트(42b)들은 음극 고전압 공급부에 연결된 관통바(44b)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양극 고전압 공급부에 연결된 관통바(44a)와는 이격되어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각각 별개로 구성된 복수의 집진플레이트들을 관통하도록 관통바들이 삽입되어 결합되므로 집진플레이트들 사이의 공간인 공기가 통과되는 유로를 관통바들이 막아서 집진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그리고 관통바와 집진플레이트가 접촉되어 결합되는 부분에서 정확한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고 미접촉되는 부분이 발생할 수 있으며, 집진플레이트가 관통바와 접촉되지 않고 이격되어 있는 구멍 부분에 이물질 또는 전도성 물질들이 유입되어 적체되면 전기적으로 방전 현상이 발생되어 집진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집진플레이트들과 관통바들을 결합하여 조립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집진플레이트들 간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별도의 고정부재를 집진플레이트들 사이로 삽입하여 결합하여 집진플레이트들을 물리적으로 잡아주는데, 서로 다른 전압이 인가되는 집진플레이트들을 고정하고 있는 고정부재 부분에 수분 또는 물이 유입되거나 먼지 등의 이물질이 쌓이면, 서로 다른 압이 인가되는 집진플레이트이 전기적으로 통전되면서 전계가 약화되어 집진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KR 10-0722863 B1 (2007.05.22)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다른 전압이 인가되는 양극 집진 전극 및 음극 집진 전극간의 전기적 절연이 확실하게 이루어져 집진부의 전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전기집진기용 집진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기집진기용 집진부는, 길이방향으로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제1집진 플레이트(110)를 포함하는 제1집진부(100); 길이방향으로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제2집진 플레이트(210)를 포함하며, 상기 제2집진 플레이트(210)가 제1집진부(100)에 접촉되지 않도록 배치되되 상기 제2집진 플레이트(210)가 제1집진 플레이트(110)와 서로 마주보면서 번갈아 배치되도록 상기 제1집진부에 끼워진 제2집진부(200); 및 상기 제1집진부(100)의 제1집진 플레이트(110)들에 끼워져 결합된 제1고정부재(3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고정부재(300)는 같은 전하를 띠고 있는 플레이트들을 고정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고정부재(300)와는 별개로 형성되어 상기 제1고정부재(300)와 접촉되지 않으며 상기 제2집진부(200)의 제2집진 플레이트(210)들에 끼워져 결합된 제2고정부재(4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고정부재(300)는, 제1지지대(310) 및 상기 제1지지대(310)에서 상기 제1집진 플레이트(110)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복수의 제1고정홈(320)을 포함하며, 상기 제1고정홈(320)에 제1집진 플레이트(110)가 삽입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제2고정부재(400)는, 제2지지대(410) 및 상기 제2지지대(410)에서 상기 제2집진 플레이트(210)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복수의 제2고정홈(420)을 포함하며, 상기 제2고정홈(420)에 제2집진 플레이트(210)가 삽입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고정부재(300)는 제1지지대(310)에서 제1고정돌기(330)들이 돌출 형성되되, 한 쌍의 제1고정돌기(330)가 한 조를 이루어 복수 조의 제1고정돌기(330)가 길이방향으로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고정부재(400)는 제2지지대(410)에서 제2고정돌기(430)들이 돌출 형성되되, 한 쌍의 제2고정돌기(430)가 한 조를 이루어 복수 조의 제2고정돌기(430)가 길이방향으로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고정부재(300)와 제2고정부재(400)는 폭방향으로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제1고정돌기(330)의 자유단과 제2고정돌기(430)의 자유단은 서로 폭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고정부재(300)의 제1고정돌기(330)들은 이웃하는 제2집진 플레이트(210)와 이격되며, 상기 제2고정부재(400)의 제2고정돌기(430)들은 이웃하는 제1집진 플레이트(110)와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집진부(100)의 제1집진 플레이트(110)는 오목하게 삽입홈(111)이 형성되고 상기 제1고정부재(300)의 제1지지대(310)가 삽입홈(111)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제2집진부(200)의 제2집진 플레이트(210)는 오목하게 삽입홈(211)이 형성되고 상기 제2고정부재(400)의 제2지지대(410)가 삽입홈(211)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집진부(100)의 제1집진 플레이트(110)는 오목하게 절개홈(112)이 형성되며, 상기 제2고정부재(400)의 제2지지대(410)가 절개홈(112)에 삽입되되 상기 제2지지대(410)가 제1집진 플레이트(110)와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2집진부(200)의 제2집진 플레이트(210)는 오목하게 절개홈(212)이 형성되며, 상기 제1고정부재(300)의 제1지지대(310)가 절개홈(212)에 삽입되되 상기 제1지지대(310)가 제2집진 플레이트(210)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집진 플레이트(110)는 폭방향 일측에 삽입홈(111)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111)에 대향되는 폭방향 타측에 절개홈(112)이 형성되며, 상기 제2집진 플레이트(210)는 폭방향 일측에 절개홈(212)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홈(212)에 대향되는 폭방향 타측에 삽입홈(21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집진부(200)는 높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제1집진부(100)를 180도 회전시킨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고정부재(300) 및 제2고정부재(400)는 각각 복수개로 구성되어 높이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기집진기용 집진부는, 서로 다른 전압이 인가되는 양극 집진 전극 및 음극 집진 전극간의 전기적 절연이 확실하게 이루어져 수분 및 먼지 등이 유입되더라도 집진부의 전계 저하를 방지할 수 있어, 집진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전기적으로 안정적인 운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전기집진기의 집진부를 나타낸 평면도 및 부분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기용 집진부를 나타낸 조립사시도 및 아래쪽에서 바라본 부분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기용 집진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및 측면도.
도 7은 도 6의 AA'방향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기용 집진부의 제1집진부 및 제1고정부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기용 집진부의 제2집진부 및 제2고정부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전기집진기용 집진부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기용 집진부를 나타낸 조립사시도 및 아래쪽에서 바라본 부분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기용 집진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및 측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AA'방향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기용 집진부는, 길이방향으로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제1집진 플레이트(110)를 포함하는 제1집진부(100); 길이방향으로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제2집진 플레이트(210)를 포함하며, 상기 제2집진 플레이트(210)가 제1집진부(100)에 접촉되지 않도록 배치되되 상기 제2집진 플레이트(210)가 제1집진 플레이트(110)와 서로 마주보면서 번갈아 배치되도록 상기 제1집진부에 끼워진 제2집진부(200); 상기 제1집진부(100)의 제1집진 플레이트(110)들에 끼워져 결합된 제1고정부재(300); 및 상기 제1고정부재(300)와는 별개로 형성되어 상기 제1고정부재(300)와 접촉되지 않으며 상기 제2집진부(200)의 제2집진 플레이트(210)들에 끼워져 결합된 제2고정부재(4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의 전기집진기용 집진부는 크게 제1집진부(100), 제2집진부(200), 제1고정부재(300) 및 제2고정부재(400)로 구성될 수 있다.
제1집진부(100)는 양극 집진 전극이고 제2집진부(200)는 음극 집진 전극이 될 수 있다. 제1집진부(100) 및 제2집진부(200)는 각각 코루게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제1집진부(100)와 제2집진부(200)가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끼워져 있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양극 고전압 발생부가 제1집진부(100)에 연결되고 음극 고전압 발생부가 제2집진부(20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제1집진부(100)와 제2집진부(200)에 각각 고전압이 인가되면 제1집진부(100)와 제2집진부(200) 사이에 전기장이 형성되며, 제1집진부(100)의 제1집진 플레이트(110)와 제2집진부(200)의 제2집진 플레이트(210) 사이로 음이온화 또는 양이온화 된 먼지 입자를 포함한 공기가 통과되면 음이온화 또는 양이온화 된 먼지 입자가 전기장에 의하여 제1집진부(100) 또는 제2집진부(200)의 표면에 흡착되어 포집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집진부(100)는 크게 평판 형태로 형성된 복수의 제1집진 플레이트(110) 및 상기 복수의 제1집진 플레이트(110)가 직렬로 연결되도록 서로 이웃하는 제1플레이트(110)들에 양단이 연결된 복수의 제1연결부(120)들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집진 플레이트(110)들은 폭방향에 비해 높이방향이 더 길게 형성된 장방형의 평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집진 플레이트(110)들은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연결부(120)는 서로 이웃하는 제1집진 플레이트(110)들에 양단이 연결되어 있으며, 제1연결부(120)는 복수개로 형성되어 길이방향으로 가면서 제1집진 플레이트(110)들의 높이방향 상단부와 하단부에 번갈아 형성되어, 복수의 제1집진 플레이트(110)가 제1연결부(120)들에 의해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길이방향의 전방쪽에서부터 후방쪽으로 가면서 배열된 제1집진 플레이트(110)들 중 첫 번째를 플레이트 A, 두 번째를 플레이트 B, 세 번재를 플레이트 C라고 하면, 길이방향 전방에서부터 첫 번째 제1연결부(120)는 제1집진 플레이트(110)들의 높이방향 상단부에 형성되며, 플레이트 A의 상단과 플레이트 B의 상단에 제1연결부(120)의 양단이 연결된다. 그리고 두 번째 제1연결부(120)는 제1집진 플레이트(110)들의 높이방향 하단부에 형성되며, 플레이트 B의 하단과 플레이트 C의 하단에 제1연결부(120)의 양단이 연결된다. 또한, 이와 같은 패턴이 반복된 형태로 제1연결부(120)들이 형성되어, 폭방향으로 바라보았을 때 제1집진부(100)가 코루게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집진부(200)는 제1집진부(100)와 마찬가지로 크게 평판 형태로 형성된 복수의 제2집진 플레이트(210) 및 상기 복수의 제2집진 플레이트(210)가 직렬로 연결되도록 서로 이웃하는 제2플레이트(210)들에 양단이 연결된 복수의 제2연결부(220)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2집진 플레이트(210)들도 장방형의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제2집진 플레이트(210)들은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연결부(220)들도 제1연결부(120)와 같은 패턴이 반복되는 형성되어, 길이방향으로 가면서 제2집진 플레이트(210)들의 높이방향 상단부와 하단부에 번갈아 형성될 수 있으며, 폭방향으로 바라보았을 때 제2집진부(200)가 코루게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제1집진부(100)와 제2집진부(200)가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끼워져 있는 형태로 배치되어, 제1집진 플레이트(110)와 제2집진 플레이트(210)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길이방향으로 가면서 제1집진 플레이트(110)와 제2집진 플레이트(210)가 번갈아 배치된 형태가 될 수 있다.
제1고정부재(300)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되 제1집진부(100)의 제1집진 플레이트(110)들이 배치된 영역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집진부(100)의 모든 제1집진 플레이트(110)들이 제1고정부재(300)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그리하여 제1고정부재(300)에 의해 제1집진 플레이트(110)들 간의 이격된 간격이 유지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고정부재(400)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되 제2집진부(200)의 제2집진 플레이트(210)들이 배치된 영역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2집진부(200)의 모든 제2집진 플레이트(210)들이 제2고정부재(400)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그리하여 제2고정부재(400)에 의해 제2집진 플레이트(210)들 간의 이격된 간격이 유지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2고정부재(400)는 제1고정부재(300)와는 별개로 형성되어, 제1고정부재(300)와 제2고정부재(400)가 서로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집진부(100)의 제1집진 플레이트(110)들 간의 이격된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제1고정부재(300)와 제2집진부(200)의 제2집진 플레이트(210)들 간의 이격된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제2고정부재(400)가 각각 별개로 형성되어, 제1고정부재(300)와 제2고정부재(400)가 물리적으로 이격되어 있는 구조이다. 그리하여 제1집진 플레이트(110)들에는 제1고정부재(300)만 결합되어 있으며, 제2집진 플레이트(210)들에는 제2고정부재(400)만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로 다른 전압이 인가되는 양극 집진 전극인 제1집진부와 음극 집진 전극인 제2집진부 간의 전기적 절연이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제1집진 플레이트와 제2집진 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으로 수분 또는 먼지를 포함한 공기가 유동되다가 제1고정부재(300) 또는 제2고정부재(400)에 수분이나 먼지가 달라붙더라도 제1집진 플레이트와 제2집진 플레이트가 전기적으로 통전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두 전극 간의 전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집진 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기용 집진부의 제1집진부 및 제1고정부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기용 집진부의 제2집진부 및 제2고정부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고정부재(300)는, 제1지지대(310) 및 상기 제1지지대(310)에서 상기 제1집진 플레이트(110)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복수의 제1고정홈(320)을 포함하며, 상기 제1고정홈(320)에 제1집진 플레이트(110)가 삽입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제2고정부재(400)는, 제2지지대(410) 및 상기 제2지지대(410)에서 상기 제2집진 플레이트(210)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복수의 제2고정홈(420)을 포함하며, 상기 제2고정홈(420)에 제2집진 플레이트(210)가 삽입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즉, 제1고정부재(300)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각봉 형태의 제1지지대(310)에서 제1집진 플레이트(110)들을 바라보는 폭방향 면 쪽에 제1집진 플레이트(110)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제1고정홈(32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고정홈(320)은 제1집진 플레이트(110)들이 배치되어 있는 위치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하나의 제1고정홈(320)에 하나의 제1집진 플레이트(110)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고정부재(400)도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각봉 형태의 제2지지대(410)에서 제2집진 플레이트(210)들을 바라보는 폭방향 면 쪽에 제2집진 플레이트(210)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오목하게 제2고정홈(42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고정홈(420)은 제2집진 플레이트(210)들이 배치되어 있는 위치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하나의 제2고정홈(420)에 하나의 제2집진 플레이트(210)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1고정부재(300)는 제1지지대(310)에서 제1고정돌기(330)들이 돌출 형성되되, 한 쌍의 제1고정돌기(330)가 한 조를 이루어 복수 조의 제1고정돌기(330)가 길이방향으로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고정부재(400)는 제2지지대(410)에서 제2고정돌기(430)들이 돌출 형성되되, 한 쌍의 제2고정돌기(430)가 한 조를 이루어 복수 조의 제2고정돌기(430)가 길이방향으로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고정부재(300)는 제1지지대(310)에서 제1집진 플레이트(110)를 향해 폭 방향으로 제1고정돌기(330)들이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제1고정돌기(330)가 한 조를 이룰 수 있으며, 한 조를 이루는 한 쌍의 제1고정돌기(330)는 서로 길이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되어, 한 쌍의 제1고정돌기(330) 사이에 형성된 빈 공간이 제1고정홈(320)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형성된 한 조의 제1고정돌기(330)가 제1집진 플레이트(110)들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각 조를 이루는 제1고정돌기(330)가 서로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고정부재(400)는 제2지지대(410)에서 제2집진 플레이트(210)를 향해 폭 방향으로 제2고정돌기(430)들이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제2고정돌기(430)가 한 조를 이룰 수 있으며, 한 조를 이루는 한 쌍의 제2고정돌기(430)는 서로 길이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되어, 한 쌍의 제2고정돌기(430) 사이에 형성된 빈 공간이 제2고정홈(420)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형성된 한 조의 제2고정돌기(430)가 제2집진 플레이트(210)들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각 조를 이루는 제2고정돌기(430)가 서로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고정부재(300)와 제2고정부재(400)는 폭방향으로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제1고정돌기(330)의 자유단과 제2고정돌기(430)의 자유단은 서로 폭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고정부재(300)가 폭 방향 후방쪽에 배치되고 제2고정부재(400)는 폭 방향 전방쪽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고정부재(300)와 제2고정부재(400)가 동일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고정돌기(330)의 자유단과 제2고정돌기(430)의 자유단이 서로 폭방향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제1고정돌기(330)와 제2고정돌기(430)가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더라도 제1고정돌기(330)와 제2고정돌기(430) 간에 이격되어 있는 거리를 멀게 형성할 수 있어, 수분이나 먼지 등의 축적되더라도 제1집진 플레이트(110)와 제2집진 플레이트(210)가 쉽게 통전되지 않을 수 있어, 집진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고정부재(300)의 제1고정돌기(330)들은 이웃하는 제2집진 플레이트(210)와 이격되며, 상기 제2고정부재(400)의 제2고정돌기(430)들은 이웃하는 제1집진 플레이트(110)와 이격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집진부(100)의 제1집진 플레이트(110)들과 결합되어 있는 제1고정부재(300)의 제1고정돌기(330)들은 폭 방향으로 이웃하는 제2집진 플레이트(210)와 이격되어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제2집진부(200)의 제2집진 플레이트(210)들과 결합되어 있는 제2고정부재(400)의 제2고정돌기(430)들은 폭 방향으로 이웃하는 제1집진 플레이트(110)와 이격되어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서로 다른 전압이 인가되는 제1집진부(100)에 결합되어 있는 제1고정부재(300)와 제2집진부(200)에 결합되어 있는 제2고정부재(400)가 물리적으로 이격되어 있어, 수분이나 먼지 등이 유입되어 적체되더라도 제1집진부(100)와 제2집진부(200)가 쉽게 통전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집진부(100)의 제1집진 플레이트(110)는 오목하게 삽입홈(111)이 형성되고 상기 제1고정부재(300)의 제1지지대(310)가 삽입홈(111)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제2집진부(200)의 제2집진 플레이트(210)는 오목하게 삽입홈(211)이 형성되고 상기 제2고정부재(400)의 제2지지대(410)가 삽입홈(211)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즉, 제1집진 플레이트(110)들에는 각각 폭 방향으로 오목하게 삽입홈(111)이 형성되어 제1고정부재(300)의 제1지지대(310)가 삽입홈(111)들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제2집진 플레이트(210)들에도 각각 폭 방향으로 오목하게 삽입홈(211)이 형성되어 제2고정부재(400)의 제2지지대(410)가 삽입홈(211)들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그리하여 제1고정부재(300) 및 제2고정부재(400)가 높이방향으로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제1고정부재(300)는 제1고정홈(320) 부분이 제1집진 플레이트(110)의 삽입홈(111) 부분에 위치하도록 하여 결합될 수 있으며, 제2고정부재(400)는 제2고정홈(420) 부분이 제2집진 플레이트(210)의 삽입홈(211) 부분에 위치하도록 하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집진부(100)의 제1집진 플레이트(110)는 오목하게 절개홈(112)이 형성되며, 상기 제2고정부재(400)의 제2지지대(410)가 절개홈(112)에 삽입되되 상기 제2지지대(410)가 제1집진 플레이트(110)와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2집진부(200)의 제2집진 플레이트(210)는 오목하게 절개홈(212)이 형성되며, 상기 제1고정부재(300)의 제1지지대(310)가 절개홈(212)에 삽입되되 상기 제1지지대(310)가 제2집진 플레이트(210)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제1집진 플레이트(110)에 오목하게 절개홈(112)이 형성되어, 제2집진 플레이트(210)들에 결합된 제2고정부재(400)가 제1집진 플레이트(110)에 접촉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2고정부재(400)에 오목하게 절개홈(212)이 형성되어 제1집진 플레이트(110)들에 결합된 제1고정부재(300)가 제2집진 플레이트(210)에 접촉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제1집진 플레이트(110)는 폭방향 일측에 삽입홈(111)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111)에 대향되는 폭방향 타측에 절개홈(112)이 형성되며, 상기 제2집진 플레이트(210)는 폭방향 일측에 절개홈(212)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홈(212)에 대향되는 폭방향 타측에 삽입홈(2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집진 플레이트(110)들에는 폭 방향 전방쪽에 절개홈(112)이 형성되고, 제2집진 플레이트(210)들에는 절개홈(112)이 형성된 높이와 동일한 높이에 제2집진 플레이트(210)들의 폭 방향 전방쪽에 삽입홈(211)이 형성되어, 제2고정부재(400)가 제1집진 플레이트(110)들과 접촉되지 않고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집진 플레이트(210)들에는 폭방향 후방쪽에 절개홈(212)이 형성되고 절개홈(212)이 형성된 높이와 동일한 높이에 제1집진 플레이트(110)들의 폭 방향 후방쪽에 삽입홈(111)이 형성되어, 제1고정부재(300)가 제2집진 플레이트(210)들과 접촉되지 않고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집진부(200)는 높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제1집진부(100)를 180도 회전시킨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제1집진부(100)는 폭 방향 전방쪽에 절개홈(112)이 형성되고 폭 방향 후방쪽에 삽입홈(11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집진부(200)는 제1집진부(100)와 형태는 동일하되 배치된 방향이 제1집진부(200)를 높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180도 회전시킨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집진부(100)의 삽입홈(111)과 절개홈(112)은 서로 같은 높이에 형성되어 폭 방향 전방쪽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집진부(100)의 절개홈(112)과 제2집진부(200)의 삽입홈(211)은 서로 같은 높이에 형성되어 폭 방향 후면쪽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하여 동일한 형태의 집진부를 두 개 형성하여, 하나의 집진부를 놓고 다른 하나의 집진부를 높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180도 회전시킨 상태로 배치한 후 서로 끼워지도록 할 수 있어, 제작이 매우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고정부재(300) 및 제2고정부재(400)는 각각 복수개로 구성되어 높이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고정부재(300)는 복수개로 구성되며, 제1고정부재(300)들이 서로 높이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제1집진 플레이트(110)들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고정부재(400)도 복수개로 구성되며, 제2고정부재(400)들이 서로 높이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제2집진 플레이트(210)들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집진부(100)의 제1전극탭(130)은 길이방향으로 최전방에 배치된 제1집진 플레이트(110)의 하단에서 아래쪽으로 직선 형태로 연장 형성될 수 있고, 제2집진부(200)의 제2전극탭(230)은 길이방향으로 최후방에 배치된 제2집진 플레이트(210)의 하단에서 아래쪽으로 직선 형태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집진부(100)의 제1연결부(120)들은 제1집진 플레이트(110)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매우 좁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집진부(100)의 제1연결부(120)들은 제1집진 플레이트(110)의 폭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연결부(120)는 높이방향으로 제1집진 플레이트(110)들의 상단 및 하단에서 볼록하게 형성되어 볼록한 안쪽은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제2연결부(220)도 높이방향으로 제2집진 플레이트(210)들의 상단 및 하단에서 볼록하게 형성되어 볼록한 안쪽은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즉, 제1집진부(100)는 제1집진 플레이트(110)들과 제1연결부(120)가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집진부(200)도 마찬가지로 제2집진 플레이트(210)들과 제2연결부(220)가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전극판을 일측으로 접고 다시 반대쪽으로 접는 것을 반복하여 코루게이트 형태의 제1집진부(100)가 형성될 수 있으며, 마찬가지 방법으로 제2집진부(20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전극판은 전도성 물질이 유전체로 코팅되어, 유전체에 의해 전도성 물질이 감싸져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전도성 물질은 전기 전도성이 있는 카본 시트 등 다양한 물질이 될 수 있으며, 유전체는 플라스틱 등의 얇은 필름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 제1집진부
110 : 제1집진 플레이트
111 : 삽입홈 112 : 절개홈
120 : 제1연결부 130 : 제1전극탭
200 : 제2집진부
210 : 제2집진 플레이트
211 : 삽입홈 212 : 절개홈
220 : 제2연결부 230 : 제2전극탭
300 : 제1고정부재
310 : 제1지지대 320 : 제1고정홈
330 : 제1고정돌기
400 : 제2고정부재
410 : 제2지지대 420 : 제2고정홈
430 : 제2고정돌기

Claims (12)

  1. 길이방향으로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제1집진 플레이트(110)를 포함하는 제1집진부(100);
    길이방향으로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제2집진 플레이트(210)를 포함하며, 상기 제2집진 플레이트(210)가 제1집진부(100)에 접촉되지 않도록 배치되되 상기 제2집진 플레이트(210)가 제1집진 플레이트(110)와 서로 마주보면서 번갈아 배치되도록 상기 제1집진부에 끼워진 제2집진부(200); 및
    상기 제1집진부(100)의 제1집진 플레이트(110)들에 끼워져 결합된 제1고정부재(300); 를 포함하고,
    상기 제1집진부(100)와 상기 제2집진부(200)는 서로 다른 전압이 인가되며,
    상기 제1고정부재(300)는 같은 전하를 띠고 있는 플레이트들을 고정하고 있고,
    상기 제1고정부재(300)와는 별개로 형성되어 상기 제1고정부재(300)와 접촉되지 않으며 상기 제2집진부(200)의 제2집진 플레이트(210)들에 끼워져 결합된 제2고정부재(4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고정부재(400)는 상기 제1고정부재(300)와는 다른 전하를 띠고 있는 플레이트를 고정하며, 상기 제1고정부재(300)와 제2고정부재(400)는 서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기용 집진부.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재(300)는,
    제1지지대(310) 및 상기 제1지지대(310)에서 상기 제1집진 플레이트(110)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복수의 제1고정홈(320)을 포함하며, 상기 제1고정홈(320)에 제1집진 플레이트(110)가 삽입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제2고정부재(400)는,
    제2지지대(410) 및 상기 제2지지대(410)에서 상기 제2집진 플레이트(210)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복수의 제2고정홈(420)을 포함하며, 상기 제2고정홈(420)에 제2집진 플레이트(210)가 삽입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기용 집진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재(300)는 제1지지대(310)에서 제1고정돌기(330)들이 돌출 형성되되, 한 쌍의 제1고정돌기(330)가 한 조를 이루어 복수 조의 제1고정돌기(330)가 길이방향으로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고정부재(400)는 제2지지대(410)에서 제2고정돌기(430)들이 돌출 형성되되, 한 쌍의 제2고정돌기(430)가 한 조를 이루어 복수 조의 제2고정돌기(430)가 길이방향으로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기용 집진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재(300)와 제2고정부재(400)는 폭방향으로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제1고정돌기(330)의 자유단과 제2고정돌기(430)의 자유단은 서로 폭방향으로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기용 집진부.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재(300)의 제1고정돌기(330)들은 이웃하는 제2집진 플레이트(210)와 이격되며, 상기 제2고정부재(400)의 제2고정돌기(430)들은 이웃하는 제1집진 플레이트(110)와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기용 집진부.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집진부(100)의 제1집진 플레이트(110)는 오목하게 삽입홈(111)이 형성되고 상기 제1고정부재(300)의 제1지지대(310)가 삽입홈(111)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제2집진부(200)의 제2집진 플레이트(210)는 오목하게 삽입홈(211)이 형성되고 상기 제2고정부재(400)의 제2지지대(410)가 삽입홈(211)에 삽입되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기용 집진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집진부(100)의 제1집진 플레이트(110)는 오목하게 절개홈(112)이 형성되며, 상기 제2고정부재(400)의 제2지지대(410)가 절개홈(112)에 삽입되되 상기 제2지지대(410)가 제1집진 플레이트(110)와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2집진부(200)의 제2집진 플레이트(210)는 오목하게 절개홈(212)이 형성되며, 상기 제1고정부재(300)의 제1지지대(310)가 절개홈(212)에 삽입되되 상기 제1지지대(310)가 제2집진 플레이트(210)와 이격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기용 집진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집진 플레이트(110)는 폭방향 일측에 삽입홈(111)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111)에 대향되는 폭방향 타측에 절개홈(112)이 형성되며,
    상기 제2집진 플레이트(210)는 폭방향 일측에 절개홈(212)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홈(212)에 대향되는 폭방향 타측에 삽입홈(21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기용 집진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집진부(200)는 높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제1집진부(100)를 180도 회전시킨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기용 집진부.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재(300) 및 제2고정부재(400)는 각각 복수개로 구성되어 높이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기용 집진부.
KR1020170152739A 2017-11-16 2017-11-16 전기집진기용 집진부 KR102421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2739A KR102421903B1 (ko) 2017-11-16 2017-11-16 전기집진기용 집진부
PCT/KR2018/011736 WO2019098526A2 (ko) 2017-11-16 2018-10-04 전기집진기용 집진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2739A KR102421903B1 (ko) 2017-11-16 2017-11-16 전기집진기용 집진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5906A KR20190055906A (ko) 2019-05-24
KR102421903B1 true KR102421903B1 (ko) 2022-07-19

Family

ID=66679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2739A KR102421903B1 (ko) 2017-11-16 2017-11-16 전기집진기용 집진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19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86660B (zh) * 2019-01-11 2023-10-20 翰昂汽车零部件有限公司 用于电除尘器的集尘设备
KR20210019876A (ko) * 2019-08-13 2021-02-23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전기집진기
EP4058198A4 (en) 2020-03-18 2023-01-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STATIC DUST COLLEC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IT
KR102535510B1 (ko) 2021-04-01 2023-05-26 김명숙 전기 집진기용 집진부 구조
KR102512450B1 (ko) 2021-04-14 2023-03-20 심근섭 전기 집진기용 집진부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1594A (ja) * 1993-08-17 1995-02-28 Ricoh Elemex Corp 空気清浄器の集塵装置
KR100722863B1 (ko) 2006-02-28 2007-05-30 에어텍21 주식회사 전기 집진기의 콜렉터 셀 유니트
KR20170004199A (ko) * 2015-07-01 2017-01-11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단락방지용 스페이서를 구비한 전기집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5906A (ko) 2019-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1903B1 (ko) 전기집진기용 집진부
KR102421908B1 (ko) 전기집진기용 집진부
RU2763742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енерирования плазмы коронного разряда и плазменный реактор
KR20080109724A (ko) 필터 뱅크, 필터 매체, 및 액티브 전계 분극 매체 공기정화기
KR102533349B1 (ko) 전기집진기용 집진부
KR101997549B1 (ko) 집진부를 포함하는 필터링 장치
JPH05245411A (ja) 電気集塵機
CN109980143A (zh) 蓄电装置
KR102421894B1 (ko) 전기집진기용 집진부
KR101963786B1 (ko) 대전부를 포함하는 필터링 장치
CN108348925A (zh) 具有重叠式收集器巢室单元的电集尘器
US20220250088A1 (en) Electric precipitator
KR20200107307A (ko) 집진부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
US11878262B2 (en) Filter module
KR102572534B1 (ko) 전기집진기용 집진부
JP2017127818A (ja) 空気清浄機
KR102634227B1 (ko) 대전부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
CN114729757B (zh) 空气调节器
KR20210054717A (ko) 전기집진기용 집진장치
CN111569619B (zh) 电净化结构、电净化组件、空气净化装置
US20220111399A1 (en)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electric precipitator
KR102583485B1 (ko) 전기집진장치
KR102583486B1 (ko) 전기집진장치
KR102194254B1 (ko) 전기분해용 전극 모듈
KR20230067209A (ko) 전기집진기용 집진부 및 이를 포함한 전기집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