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3486B1 - 전기집진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집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3486B1
KR102583486B1 KR1020160107138A KR20160107138A KR102583486B1 KR 102583486 B1 KR102583486 B1 KR 102583486B1 KR 1020160107138 A KR1020160107138 A KR 1020160107138A KR 20160107138 A KR20160107138 A KR 20160107138A KR 102583486 B1 KR102583486 B1 KR 102583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feeding
feeding member
electric dust
dust collection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7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2171A (ko
Inventor
전혜경
권자영
이준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7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3486B1/ko
Priority to CN201710611126.6A priority patent/CN107755096B/zh
Publication of KR20180022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21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3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34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38Particle charging or ionising stations, e.g. using electric discharge, radioactive radiation or fl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82Housings

Landscapes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중의 먼지입자를 대전시키는 대전부 및 상기 대전부에서 대전된 먼지입자를 집진하는 집진부를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로서, 상기 집진부는, 송풍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기설정된 전압이 인가되는 복수 개의 고압판; 이웃하는 고압판들 사이에 배치되고, 접지되는 복수 개의 집진판; 상기 고압판의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고압판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는 급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에는 하나 이상의 탄성 체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급전부재에는 상기 탄성 체결부와 맞물리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체결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집진장치 {Electric Dust Collection Device}
본 발명은 전기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집진부에 구비된 고전압 전극부에 급전 부재를 견고하게 체결하여 상기 고전압 전극부에 고전압을 안정적이고 균일하게 인가할 수 있는 진기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집진장치는 공기청정기나 냉방기나 난방기 등의 공기조화기에 장착되어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입자를 대전시켜 집진하는 장치이다.
전기집진장치는 크게 전기장을 형성하는 대전부와, 대전부에 의해 대전된 먼지입자가 집진되는 집진부를 포함한다. 공기가 대전부를 통과한 후 집진부를 통과하는 동안, 공기 중의 먼지는 집진부에 포집된다.
집진부는 전압 인가부 및 상기 전압 인가부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접지부를 포함하고, 대전부에서 대전된 먼지는 상기 전압 인가부와 상기 접지부 사이의 전기장에 의해 상기 접지부에 집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압 인가부에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상기 전압 인가부에 기설정된 고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급전부재가 체결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기집진장치에서 전압 인가부와 급전부재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압 인가부(1)는 기설정된 간격으로 배열된 다수의 고전압 전극판(2) 및 상기 다수의 고전압 전극판(2)의 양 단부를 연결하는 리브(3)를 포함한다.
상기 전압 인가부(1)는 일체로 사출성형을 통해 형성될 수 있으며, 수지 또는 반절연성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전압 전극판(2) 및 상기 리브(3)는 사출성형을 통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전압 전극판(2) 및 상기 리브(3)는 수지 또는 반절연성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브(3)에는 상기 고전압 전극판(2)에 기설정된 고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급전부재(4)가 체결된다.
상기 급전부재(4)는 상기 리브(3)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리브(3)에 끼워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전압 인가부(1)는 수지 또는 반절연성 수지로 성형되기 때문에, 급전부재(4)와 전압 인가부(1) 사이에 접촉 불량이 발생될 수 있고, 접촉 불량이 발생된 부분에 큰 접촉 저항이 생기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고전압 인가부(1)와 상기 급전부재(4) 사이의 접촉 불량으로 큰 접촉 저항이 발생되면, 복수 개의 고전압 전극판(2)에 기설정된 고전압을 공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고전압 인가부(1)와 상기 급전부재(4) 사이의 접촉 불량으로 큰 접촉 저항이 발생되면, 복수 개의 고전압 전극판(2) 각각에 안정적이고 균일한 전압이 인가되지 않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고전압 전극판(2)에 대한 안정적이고 균일한 전압의 인가는 집진부의 집진 성능과도 직결된다.
특히, 고전압 인가부(1)가 사출성형을 통해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고전압 인가부(1)의 형상(즉, 리브(3)의 형상) 자체에 휘어짐이나 왜곡이 발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전압 인가부(1)와 상기 급전부재(4) 사이에(즉, 리브(3)와 급전부재(4) 사이에) 접촉 불량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전압 인가부에 급전부재를 접촉불량 없이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는 전기집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고전압 인가부와 급전부재 사이의 접촉 불량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는 전기집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 개의 고전압 전극판에 기설정된 고전압을 균일하고 안정적으로 인가할 수 있는 전기집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볼트와 같은 별도의 체결부재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고전압 인가부와 급전부재 자체의 형상을 통해 고전압 인가부와 급전부재의 양호한 접촉을 확보할 수 있는 전기집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공기 중의 먼지입자를 대전시키는 대전부 및 상기 대전부에서 대전된 먼지입자를 집진하는 집진부를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로서, 상기 집진부는, 송풍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기설정된 전압이 인가되는 복수 개의 고압판; 이웃하는 고압판들 사이에 배치되고, 접지되는 복수 개의 집진판; 상기 고압판의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고압판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는 급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에는 하나 이상의 탄성 체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급전부재에는 상기 탄성 체결부와 맞물리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체결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연결부는 상면 및 상기 상면의 제1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측면을 구비하고, 상기 탄성 체결부는 상기 연결부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탄성 체결부는 상기 상면의 제1단부로부터 제2단부를 향하여 돌출된 탄성부 및 상기 탄성부에 구비되어 상방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의 상면에는 상기 탄성부의 양 측부 및 전단을 둘러싸는 절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탄성부의 하측에 형성된 공간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탄성부의 전단에서 상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고압판 및 상기 연결부는 수지 재질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잇다.
상기 급전부재는 상기 연결부를 향하여 개방된 "ㄷ"자 형태의 단면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의 측면의 높이는 상기 급전부재의 상면과 하면 사이의 거리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체결홀의 길이 및 폭은 상기 돌출부의 길이 및 폭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 체결부는 상기 연결부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기 설정된 간격으로 복수개가 구비되고, 상기 체결홀은 상기 급전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기 탄성 체결부에 대응하도록 기 설정된 간격으로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의 측면에는 상기 급전부재를 향해 돌출된 하나 이상의 위치결정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급전부재의 측면에는 상기 위치결정돌출부가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위치결정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결정돌출부는 상기 위치결정홀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탄성 체결부가 상기 체결홀에 맞물리기 전에 상기 위치결정돌출부의 일부가 상기 위치결정홀에 끼워지도록, 상기 위치결정돌출부의 높이가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전압 인가부에 급전부재를 접촉불량 없이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는 전기집진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전압 인가부와 급전부재 사이의 접촉 불량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는 전기집진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 개의 고전압 전극판에 기설정된 고전압을 균일하고 안정적으로 인가할 수 있는 전기집진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볼트와 같은 별도의 체결부재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고전압 인가부와 급전부재 자체의 형상을 통해 고전압 인가부와 급전부재의 양호한 접촉을 확보할 수 있는 전기집진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집진부에서 고전압 인가부와 급전부재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의 집진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집진부를 구성하는 구성들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집진부를 구성하는 구성들의 배치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고압판의 연결부와 급전부재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고압판의 연결부와 급전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의 전체적인 작동원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장치(10)는 공기 중의 먼지입자(P)를 집진하는 집진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대전부(100)는 기설정된 고전압이 인가되는 와이어 방전부(110) 및 상기 와이어 방전부(110)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접지판(120)을 포함한다.
상기 접지판(120)은 상기 와이어 방전부(110)로부터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접지판(120)은 송풍방향(A)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와이어 방전부(110)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 방전부(110)와 상기 집지판(120) 사이에서, 공기가 도시된 송풍방향(A)으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방전부(110)에 기설정된 고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와이어 방전부(110)와 대향하는 접지판(120) 사이에 코로나 방전이 발생된다.
이때, 와이어 방전부(110)에 인가하는 전압의 극성에 기초하여 양이온 또는 음이온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렇게 발생된 양이온 또는 음이온은 공기 중의 먼지입자(P)를 대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이온은 먼지입자(P)에 전자를 제공하여 먼지 입자를 음극으로 대전시킬 수 있고, 양이온은 먼지입자(P)로부터 전자를 빼앗아 먼지입자(P)를 양극으로 대전시킬 수 있다.
후술할 집진부(200)에서의 집진 효율 향상을 위하여, 와이어 방전부(110)에 인가되는 전압의 극성은 집진부(200)에 인가되는 전압의 극성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대전부(100)에 음극의 고전압을 인가할 경우, 양극의 고전압을 인가하는 경우에 비해, 오존의 발생량이 많을 수 있다.
따라서, 오존의 발생량을 고려하면(즉, 오존의 발생량을 줄이기 위하여), 먼지입자(P)를 양극으로 대전되도록, 대전부(100)의 와이어 방전부(110) 및 집진부(200)에 모두 양극의 고전압이 인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와이어 방전부(110) 및 접지판(120)은 송풍방향(A)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가 와이어 방전부(110)와 집진판(120) 사이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공기 중의 먼지입자(P)가 대전될 수 있다.
집진부(200)는 송풍방향(A)을 따라서 상기 대전부(100)의 후단 또는 하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집진부(200)는 기설정된 고전압이 인가되는 하나 이상의 고압판(210) 및 상기 고압판(210)에 대향하도록 배치된 하나 이상의 집진판(2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압판(210)은 상기 집진판(220)으로부터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고압판(210)은 송풍방향(A)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집진판(220)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압판(210)과 상기 집진판(220) 사이에서 공기는 도시된 송풍방향(A)으로 유동할 수 있다.
공기가 상기 집진부(20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공기 중의 대전된 먼지입자(P)는 상기 집진판(220)에 집진될 수 있다. 즉, 공기 중의 대전된 먼지입자(P)는 상기 고압판(210)과 상기 집진판(220) 사이에 형성된 전기장에 의해 상기 집진판(220)에 집진될 수 있다.
송풍방향(A)을 기준으로 상기 집진부(200)의 후방 또는 하류에는 팬(40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팬(400)의 구동에 의해 공기가 상기 대전부(100) 및 상기 집진부(20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집진부(200)는 수지 또는 반절연성 수지로 형성된 복수 개의 고압판(210)과 복수 개의 집진판(2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 개의 고압판(210)에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고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고압판(210)에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받은 전압(예를 들어, 기설정된 고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급전부재가 체결될 수 있다.
이하,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고압판(210)과 급전부재의 체결구조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의 집진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집진부(200)는 기설정된 전압이 인가되는 복수 개의 고압판(210)과, 접지되도록 형성된 복수 개의 집진판(220)과, 상기 복수 개의 고압판(210)의 단부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또는 리브, 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고압판(110)은 전술한 송풍방향(A)에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 개의 고압판(110)은 송풍방향(A)을 가로지르도록 연장되되, 상기 복수 개의 고압판(110) 각각의 양 면은 상기 송풍방향(A)에 평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 개의 고압판(110) 각각의 길이방향은 상기 송풍방향(A)에 수직이 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고압판(210)과 상기 제1연결부(230)는 사출 성형을 통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고압판(210)과 상기 제1연결부(230)는 수지 도는 반절연성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집진판(220) 역시 상기 송풍방향(A)에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 개의 집진판(220)은 송풍방향(A)을 가로지르도록 연장되되, 상기 복수 개의 집진판(220) 각각의 양 면은 상기 송풍방향(A)에 평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 개의 집진판(220) 각각의 길이방향은 상기 송풍방향(A)에 수직이 될 수 있다.
상기 집진판(220)은 이웃하는 고압판(2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집진판(220)의 각각은 이웃하는 두 개의 고압판(2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복수 개의 고압판(210)과 복수 개의 집진판(220)은 서로 번갈아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 개의 고압판(210)에 기설정된 고전압이 인가되면, 각각의 고압판(210)으로부터 이웃하는 집진판(220) 사이에 전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230)에는 외부전원에 연결된 급전부재(300)가 체결될 수 있다. 상기 급전부재(300)는 도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급전부재(300)는 메탈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급전부재(300)는 상기 고압판(210)에 기설정된 전압을 인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급전부재(300)는 상기 복수 개의 고압판(210)에 기설정된 전압을 인가하기 위하여 상기 제1연결부(230)에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급전부재(300)는 외부 전원 또는 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전압을 상기 복수 개의 고전압판(210)에 인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집진부(200)는 외관을 형성하는 프레임(20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201)은 복수 개의 고압판(210)과 상기 복수 개의 집진판(220)의 둘레에 체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 개의 고압판(210)과 상기 복수 개의 집진판(220)이 서로 번갈아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201)은 상기 복수 개의 고압판(210) 및 상기 복수 개의 집진판(220)을 고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201)에는 하나 이상의 고정부(20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202)는 제1연결부(230)에 구비되는 후술할 제1위치결정돌출부 및 제2위치결정돌출부 중 적어도 하나를 눌러서 고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고압판(210)의 양 단부에 상기 제1연결부(230)가 구비될 수 있다. 2개의 제1연결부(230)가 상기 복수 개의 고압판(210)의 양 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급전부재(300)는 두 개의 제1연결부(230) 중 하나에 결합되거나, 상기 두 개의 제1연결부(230) 모두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급전부재(300)가 두 개의 제1연결부(230) 중 하나에 결합된 상태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프레임(210)은 상기 급전부재(300)가 상기 제1연결부(23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 개의 고압판(210)과 상기 복수 개의 집진판(220)의 위치를 고정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연결부(230)와 상기 급전부재(300) 사이에 접촉 불량이 발생할 경우, 집진부(200)의 집진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이하, 수지재질로 형성된 제1연결부(230)의 변형이 생기더라도, 상기 제1연결부(230)와 상기 급전부재(300) 사이의 양호한 접촉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상기 제1연결부(230)와 상기 급전부재(300)의 체결 구조에 대하여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3의 집진부를 구성하는 구성들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3의 집진부를 구성하는 구성들의 배치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5를 함께 참조하면, 복수 개의 고압판(210)의 양 단부는 제1연결부(23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집진판(220) 역시 양 단부가 제2연결부(24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고압판(210)의 양 단부는 서로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복수 개의 집진판(220)의 양 단부 역시 서로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 개의 고압판(210)은 그 길이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양 측이 서로 대칭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한, 상기 복수 개의 집진판(220) 역시 그 길이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양 측이 서로 대칭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고압판(210)의 소재 및 형상은 상기 복수 개의 집진판(220)의 소재 및 형상과 동일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 개의 집진판(220) 역시 수지 재질로서, 사출 성형을 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고압판(210)과 상기 복수 개의 집진판(220)의 차이는 급전부재(300)가 결합되는지 또는 접지되는지 여부에 있다.
즉, 복수 개의 고압판(210)의 연결부(230)에는 상기 급전부재(300)가 결합되어 상기 복수 개의 고압판(210)에 기 설정된 고전압이 인가된다. 이와 달리, 상기 복수 개의 집진판(220)은 상기 급전부재(300)가 결합되지 않으며 접지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고압판(210)과 복수 개의 집진판(220)은 하나씩 번갈아서 배치될 수 있다.
즉, 이웃하는 고압판(210) 사이에 집진판(220)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이웃하는 집진판(220) 사이에 고압판(210)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230)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제1위치결정돌출부(239)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위치결정돌출부(239)는 상기 제1연결부(230)로부터 상기 고압판(210)의 맞은편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위치결정돌출부(239)는 상기 제1연결부(23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기 설정된 간격으로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급전부재(300)에는 상기 제1위치결정돌출부(239)에 대응하는 위치결정홀(309)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급전부재(300)의 측면(303)에는 상기 제1위치결정돌출부(239)가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위치결정홀(309)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위치결정홀(309) 역시 상기 제1위치결정돌출부(239)에 대응하여 상기 급전부재(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급전부재(300)를 상기 제1연결부(230)에 체결하기 위한 위치가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위치결정돌출부(239) 및 상기 위치결정홀(309)에 의해, 상기 제1연결부(230)에 대한 상기 급전부재(300)의 조립 용이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제1위치결정돌출부(239)는 상기 위치결정홀(309)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체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위치결정돌출부(239)이 상기 위치결정홀(309)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위치결정돌출부(239)의 길이 및 폭과 상기 위치결정홀(309)의 길이 및 폭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위치결정돌출부(239)의 길이 및 폭은 상기 위치결정홀(309)의 길이 및 폭과 동일하거나 그 이상이 될 수 있다.
상기 제1위치결정돌출부(239)와 상기 위치결정홀(309)이 억지끼움 방식으로 체결됨에 따라서, 상기 제1연결부(230) 형상에 변형에도 발생하더라도, 상기 제1연결부(230)와 상기 급전부재(300)의 양호한 체결상태 및 접촉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240)에도 외측으로 돌출된 제2위치결정돌출부(249)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위치결정돌출부(249)는 상기 제1위치결정돌출부(239)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2연결부(240)에는 급전부재(300)가 결합되지 않지만, 복수 개의 고압판(210)과 복수 개의 접지판(220)을 서로 호환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제1연결부(230)와 일체로 형성된 복수 개의 고압판(210)은 제2연결부(240)와 일체로 형성된 복수 개의 집진판(220)은 서로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연결부(230)와 일체로 형성된 복수 개의 고압판(210)은 제1부재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연결부(240)와 일체로 형성된 복수 개의 집진판(220)은 제2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는 동일한 소재로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부재의 상기 제1연결부(230)에는 급전부재(300)가 결합되고, 상기 제2부재는 접지될 수 있다. 따라서, 집진부(200)의 제작 비용이 절감되고 조립 용이성이 확보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복수 개의 고압판(210)과 복수 개의 집진판(220)이 서로 번갈아서 배치된 상태로, 급전부재(300)가 복수 개의 고압판(210)의 제1연결부(230)에 결합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전술한 프레임(201)에 의해 복수 개의 고압판(210)과 복수 개의 집진판(220)과 급전부재(300)가 고정될 수 있다. 즉, 전술한 프레임(201)에 의해 복수 개의 고압판(210)과 복수 개의 집진판(220)과 급전부재(300)가 기설정된 위치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위치결정돌출부(239)는 상기 급전부재(300)의 위치결정홀(309)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연결부(230)에 상기 급전부재(3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위치결정돌출부(239)는 상기 위치결정홀(309)을 관통하여 상기 급전부재(30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위치결정돌출부(239) 및 상기 제2위치결정돌출부(249) 중 적어도 하나는 전술한 프레임(201)에 구비되는 고정부(202)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도 3 참조).
이하,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제1연결부(230)와 상기 급전부재(300)의 양호한 접촉상태 또는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구조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은 고압판의 연결부와 급전부재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고압판의 연결부와 급전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설명될 탄성 체결부는 제1연결부(230) 및 제2연결부(240) 모두에 구비될 수 있으나, 편의를 위하여 제1연결부(230)에 형성된 탄성 체결부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6 및 7을 함께 참조하면, 고압판(210)의 제1연결부(230)에는 급전부재(300)가 끼워져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연결부(230)는 상기 급전부재(300)를 향해 돌출된 리브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급전부재(300)는 상기 제1연결부(230)의 적어도 일 측면이 배치되기 위한 체결공간(308)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급전부재(300)의 내측에는 상기 제1연결부(230)가 배치되기 위한 체결공간(308)이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급전부재(300)는 상기 제1연결부(230)의 적어도 일 측면을 둘러싸기 위한 복수 개의 면을 구비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급전부재(300)는 3개의 면을 구비하며, 횡단면이 "ㄷ"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급전부재(300)는 상기 제1연결부(230)를 향해 개방된 "ㄷ"자 형태의 단면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230)에는 하나 이상의 탄성 체결부(250)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탄성 체결부(250)는 상기 제1연결부(23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 체결부(250)는 상기 제1연결부(230)와 일체로 수지 또는 반절연성 수지로 형성되어 탄성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급전부재(300)에는 상기 탄성 체결부(250)와 맞물리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체결홀(350)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체결홀(350)은 상기 급전부재(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상기 체결홀(350)은 복수 개의 상기 제1연결부(230)에 대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탄성 체결부(250)가 상기 체결홀(350)에 체결됨에 따라서, 상기 제1연결부(230)에 상기 급전부재(300)가 견고하게 체결됨과 동시에, 상기 제1연결부(230)와 상기 급전부재(300) 사이에 양호한 접촉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230)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연결부(230)에는 하나 이상의 오목부(238)가 형성될 수 잇다.
상기 제1연결부(230)는 상면(231) 및 상기 상면(231)의 제1단부(23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측면(233)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230)의 상면(231)에는 상기 급전부재(300)의 상면(301)이 접할 수 있고, 상기 제1연결부(230)의 측면(233)은 상기 급전부재(300)의 측면(303)에 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연결부(230)의 하면은 상기 급전부재(300)의 하면에 접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230)의 측면(233)의 높이는 상기 급전부재(300)의 상면(301)과 하면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도록 결정될 수 있다.
상기 탄성 체결부(250)는 상기 제1연결부(230)의 상면(231)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 체결부(250)는 상기 상면(231)의 제1단부(231')로부터 제2단부(231")를 향해 돌출된 탄성부(251) 및 상기 탄성부(251)에 구비되어 상방으로 돌출된 돌출부(25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253)는 기설정된 길이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돌출부(253)의 길이는 상기 체결홀(350)의 길이 이하이고, 상기 돌출부(253)의 폭은 상기 체결홀의 폭 이하가 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253)의 횡단면은 반원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급전부재(300)가 상기 제1연결부(230)에 끼워질 때, 상기 돌출부(253)가 상기 급전부재(300)의 상면(310) 아래쪽으로 밀려 들어갈 수 있다.
상기 급전부재(300)가 상기 제1연결부(230)에 결합될 때, 상기 급전부재(300)의 상면(301)이 상기 돌출부(253)를 밀어서 상기 탄성부(251)가 하측으로 움직인다. 그리고, 상기 급전부재(300)의 체결홀(350)에 상기 돌출부(253)가 체결됨과 동시에 상기 탄성부(251)가 원위치로 복귀된다.
따라서, 상기 제1연결부(230)와 상기 급전부재(300)가 상기 탄성 체결부(250)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되고 양호한 접촉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연결부(230)의 상면(231)에는 상기 탄성부(251)의 양 측부 및 전단을 둘러싸는 절개부(235)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절개부(235)는 "ㄷ"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연결부(230)가 수지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절개부(235)에 의해 상기 탄성부(251)가 탄성력을 가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1연결부(230)는 상기 탄성부(251)의 하측에 형성된 공간부(237)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부(251)의 하측에는 상기 공간부(237)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급전부재(300)가 상기 제1연결부(230)에 끼워질 때, 상기 급전부재(300)의 상면(301)이 상기 돌출부(253)를 밀면, 상기 탄성부(251)가 상기 공간부(237)를 향해 아래쪽으로 움직일 수 있다.
상기 돌출부(253)는 상기 탄성부(251)의 전단에서 상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급전부재(300)가 상기 제1연결부(230)에 충분히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253)가 상기 체결홀(350)에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탄성부(251)의 폭 및 상기 돌출부(253)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급전부재(300)에 구비되는 체결홀(350)의 위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즉, 상기 돌출부(253)가 상기 체결홀(350)에 체결될 때, 상기 제1연결부(230)의 측면(233)이 상기 급전부재(300)의 측면(303)에 접하도록 상기 돌출부(253)의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돌출부(253)가 상기 체결홀(350)에 체결되면, 상기 제1연결부(230)의 측면(233)과 상기 급전부재(300)의 측면(303)이 접촉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성 체결부(250)가 상기 체결홀(350)에 맞물리기 전에 상기 제1위치결정돌출부(239)의 일부가 상기 위치결정홀(350)에 끼워지도록, 상기 제1위치결정돌출부(239)의 돌출폭이 결정될 수 있다..
즉, 상기 돌출부(253)가 상기 체결홀(350)에 체결되기 전에 상기 제1위치결정돌출부(239)의 일부가 상기 위치결정홀(350)에 끼워지도록 상기 제1위치결정돌출부(239)의 높이가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위치결정돌출부(239)를 상기 위치결정홀(350)에 끼운 상태로 상기 급전부재(300)를 상기 제1연결부(230)를 향해 더 밀어서 상기 급전부재(300)가 제1연결부(23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1연결부(230)에 상기 급전부재(300)를 결합할 때, 상기 탄성 체결부(250)와 상기 체결홀(350)의 위치를 용이하게 대응시킬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대전부 200 집진부
210 고압판 220 집진판
230 제1연결부 240 제2연결부
250 탄성 체결부 300 급전부재

Claims (13)

  1. 공기 중의 먼지입자를 대전시키는 대전부 및 상기 대전부에서 대전된 먼지입자를 집진하는 집진부를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로서,
    상기 집진부는,
    송풍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기설정된 전압이 인가되는 복수 개의 고압판;
    송풍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이웃하는 고압 판들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집진판;
    상기 고압판의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고압판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는 급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에는 하나 이상의 탄성 체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급전부재에는 상기 탄성 체결부와 맞물리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면 및 상기 상면의 제1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측면을 구비하고,
    상기 탄성 체결부는 상기 연결부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탄성 체결부는 상기 상면의 제1단부로부터 제2단부를 향하여 돌출된 탄성부 및 상기 탄성부에 구비되어 상방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상면에는 상기 탄성부의 양 측부 및 전단을 둘러싸는 절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탄성부의 하측에 형성된 공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탄성부의 전단에서 상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고압판 및 상기 연결부는 수지 재질로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부재는 상기 연결부를 향하여 개방된 "ㄷ"자 형태의 단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측면의 높이는 상기 급전부재의 상면과 하면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홀의 길이 및 폭은 상기 돌출부의 길이 및 폭 이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횡단면은 반원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체결부는 상기 연결부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기 설정된 간격으로 복수개가 구비되고,
    상기 체결홀은 상기 급전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기 탄성 체결부에 대응하도록 기 설정된 간격으로 복수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측면에는 상기 급전부재를 향해 돌출된 하나 이상의 위치결정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급전부재의 측면에는 상기 위치결정돌출부가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위치결정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돌출부는 상기 위치결정홀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체결부가 상기 체결홀에 맞물리기 전에 상기 위치결정돌출부의 일부가 상기 위치결정홀에 끼워지도록, 상기 위치결정돌출부의 돌출폭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KR1020160107138A 2016-08-23 2016-08-23 전기집진장치 KR102583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7138A KR102583486B1 (ko) 2016-08-23 2016-08-23 전기집진장치
CN201710611126.6A CN107755096B (zh) 2016-08-23 2017-07-25 电集尘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7138A KR102583486B1 (ko) 2016-08-23 2016-08-23 전기집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2171A KR20180022171A (ko) 2018-03-06
KR102583486B1 true KR102583486B1 (ko) 2023-09-27

Family

ID=61727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7138A KR102583486B1 (ko) 2016-08-23 2016-08-23 전기집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34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6926B1 (ko) * 2018-04-13 2019-1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집진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88878B2 (ja) 1998-01-23 2005-08-31 ミドリ安全株式会社 空気清浄装置
JP2010131505A (ja) * 2008-12-03 2010-06-17 Midori Anzen Co Ltd 静電式集塵装置
KR101183228B1 (ko) 2010-07-08 2012-09-14 주식회사 맥스텍 전기식 집진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23615A (ko) * 1973-07-02 1975-03-13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88878B2 (ja) 1998-01-23 2005-08-31 ミドリ安全株式会社 空気清浄装置
JP2010131505A (ja) * 2008-12-03 2010-06-17 Midori Anzen Co Ltd 静電式集塵装置
KR101183228B1 (ko) 2010-07-08 2012-09-14 주식회사 맥스텍 전기식 집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2171A (ko) 2018-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68411B1 (en) Electric precipitator
EP2532434B1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KR101523209B1 (ko) 전기집진장치
CN110639702A (zh) 静电除尘装置及其电极单元
CN110639703A (zh) 静电除尘装置及其电极单元
US20100288127A1 (en) Electric precipitator
CN110639701A (zh) 静电除尘装置及其电极单元
KR101651034B1 (ko) 전기집진기 및 그 전기집진기를 포함하는 공기청정 시스템
CN107559965B (zh) 静电除尘装置、空气净化设备以及空调器
KR20110088742A (ko) 전기집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CN107755096B (zh) 电集尘装置
CN107649291B (zh) 除尘组件及具有其的空气处理设备
JP2009165957A (ja) 電気集塵機
US6156104A (en) Electrical dust collector having a member for insulating the space between a high voltage wire and a grounding member
KR102583486B1 (ko) 전기집진장치
KR102583485B1 (ko) 전기집진장치
CN112212450A (zh) 电净化组件、空气净化设备
US20230201752A1 (en) Filter module
CN211865443U (zh) 静电除尘装置及其电极单元
CN210994794U (zh) 静电集尘组件及空气净化装置
KR102634227B1 (ko) 대전부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
KR101645847B1 (ko) 이중채널 전기집진장치
KR200295210Y1 (ko) 전기 집진기
KR200156415Y1 (ko) 전기집진장치
US20180311681A1 (en) Electric dust coll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