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4227B1 - 대전부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 - Google Patents

대전부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4227B1
KR102634227B1 KR1020190006627A KR20190006627A KR102634227B1 KR 102634227 B1 KR102634227 B1 KR 102634227B1 KR 1020190006627 A KR1020190006627 A KR 1020190006627A KR 20190006627 A KR20190006627 A KR 20190006627A KR 102634227 B1 KR102634227 B1 KR 102634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wire
case
dust collector
charg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6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9857A (ko
Inventor
박지용
김기홍
김재호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06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4227B1/ko
Priority to US16/724,665 priority patent/US11607695B2/en
Priority to DE102020100772.8A priority patent/DE102020100772A1/de
Priority to CN202010052226.1A priority patent/CN111450998A/zh
Publication of KR20200089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98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4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4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5Collecting-electrodes
    • B03C3/47Collecting-electrodes flat, e.g. plates, discs, gr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 B03C3/04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 B03C3/08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characterised by presence of stationary flat electrodes arranged with their flat surfaces parallel to the gas str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86Electrode-carry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9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 B03C3/04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 B03C3/1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characterised by separation of ionising and collect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38Particle charging or ionising stations, e.g. using electric discharge, radioactive radiation or fl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1Ionising-electro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2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using electrostatic forces to remove particles, e.g. electret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2201/00Details of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 B03C2201/04Ionising electrode being a wi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컨이나 공기정화기와 같은 공조장치에서 공기에 포함된 미세 먼지를 흡착하여 여과할 수 있는 대전부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케이스에 결합되어 대전플레이트의 양측 단부 및 와이어를 지지하는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대전플레이트 및 와이어를 정확한 위치로 고정할 수 있어 균일한 대전성능을 갖는 대전부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대전부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Electrification device and electric Dust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에어컨이나 공기정화기와 같은 공조장치에서 공기에 포함된 미세 먼지를 흡착하여 여과할 수 있는 대전부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케이스에 결합되어 대전플레이트의 양측 단부 및 와이어를 지지하는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대전플레이트 및 와이어를 정확한 위치로 고정할 수 있어 균일한 대전 성능을 갖는 대전부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집진장치는 건물 및 차량의 공조장치, 항습기 등에 널리 사용되며, 코로나 방전현상을 통해 먼지입자가 선택되는 특정전하를 띠도록 방전 시킨 후, 집진부에서 전기적인 인력으로 먼지입자를 포집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된 전기집진장치는 크게 대전부(10)와 집진부(20)로 구성되며, 상기 대전부(10)는 먼지가 유입되는 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틀 형상의 케이스(11)과, 상기 케이스(11)에 고정되되, 먼지가 유입되는 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대전플레이트(12)와, 상기 대전플레이트(12) 사이에 구비되는 와이어(14)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와이어(14)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대전플레이트(12)와 와이어(14) 사이에 코로나 방전현상을 통해 먼지입자가 특정전하를 띠도록 한다. 상기 도 2에서, 상기 와이어(14)는 상기 대전플레이트(14) 사이에 구비되는 부분을 도번 14a로, 이 부분들을 연결하기 위한 부분을 14b로 나타내었다.
상기 집진부(20)는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대전부(10)에서 방전을 통해 특정전하를 가지는 먼지입지를 반대 전하특성을 이용하여 전기적인 인력으로 먼지입자를 포집하게 된다.
특히, 상기 전기집진장치의 경우 대전플레이트와 와이어 사이에서 방전현상을 발생시켜 먼지입자로 하여금 특정전하를 띠도록 하는데, 대전플레이트가 정확한 위치에 배치되어야 균일한 방전이 이루어진다.
한편, 종래의 대전플레이트를 하나의 플레이트를 타공한 후, 절곡(Bending)하여 조립하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으나, 절곡한 대전플레이트가 정확한 위치에 배치되지 않는 경우 방전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어려우며, 와이어와의 이상 방전 현상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제조가 용이하면서도 균일하고 안정적인 대전이 이루어질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95627호("우레탄 필터를 이용한 전기 집진 장치", 2005.06.27.)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스에 결합되어 대전플레이트의 양측 단부 및 와이어를 지지하는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대전플레이트 및 와이어를 정확한 위치로 고정할 수 있어 균일한 대전 성능을 갖는 대전부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고정부재(또는 고정부재와 케이스)와 돌출부들을 통해 대전플레이트의 위치를 정확히 지지할 수 있고, 와이어지지부에 의해 단일 와이어가 절곡되어 이웃하는 대전플레이트 사이 측으로 연장되도록 지지할 수 있는 대전부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정부재가 대전플레이트의 양측 단부를 감싸 고정하는 형태로서, 절연역할을 수행하며, 차단부에 의해 대전플레이트와 와이어 사이를 차단할 수 있어 인접한 와이어와의 대전 이상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정적인 대전이 가능하며, 전체 대전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대전부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외부에서 유입되는 먼지입자에 전하를 인가하는 대전부(100)에 있어서, 상기 대전부(100)는, 틀 형상의 케이스(110); 상기 케이스(110)에 결합되어 전하를 인가하되, 먼지입자가 이동되는 방향과 나란한 판 형태의 대전플레이트(120); 상기 대전플레이트(120)와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고, 고전압이 인가되는 와이어(140); 및 상기 케이스(110)와 결합되되, 상기 대전플레이트(120)의 양측 단부 및 와이어(140)를 지지하는 한 쌍의 고정부재(1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110)는 상기 대전플레이트(120)의 양단부가 안착되도록 오목한 안착부(11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케이스(110)는 상기 대전플레이트(120)가 장착되는 방향으로 양측을 연결하는 제1보강부(113)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1보강부(113)는 일부가 먼지입자가 이동되는 방향으로 상기 대전플레이트(120)의 일측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110)는 상기 제1보강부(113)에 수직하게 양측을 연결하는 제2보강부(114)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케이스(110)는 상기 제2보강부(114)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대전플레이트(120)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제1돌출부(115) 및 제2돌출부(116)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1돌출부(115) 및 제2돌출부(116)는 상기 제2보강부(114)에 상기 대전플레이트(12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110)는 상기 제2보강부(114)의 제1돌출부(115) 및 제2돌출부(116) 사이에 상기 대전플레이트(120)의 일측이 삽입되도록 오목한 제1홈부(114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케이스(110)는 상기 대전플레이트(120)의 길이방향으로 일측 전체를 지지하도록 상기 제1보강부(113)에 상기 제2보강부(114)의 제1홈부(114a)와 연장되는 제2홈부(113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대전부(100)는 상기 케이스(110)에 볼록하거나 오목한 제1대응부(112)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130)에 상기 제1대응부(112)에 대응되는 제2대응부가 형성되어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130)는 상기 대전플레이트(120)의 양면을 지지하는 한 쌍의 제1고정부(13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대전부(100)는 상기 고정부재(130) 및 케이스(110)에 상기 대전플레이트(120)의 양면을 각각 지지하는 제2고정부(132) 및 제3고정부(116)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고정부재(130)는 상기 와이어(140)를 지지하는 와이어지지부(13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지지부(134)는 "ㄷ"자 형태로, 내부에서 상기 대전플레이트(120)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구비되는 와이어(140)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134a)와, 상기 와이어(140)가 절곡되어 이웃하는 대전플레이트(120) 사이 측으로 연장되도록 지지하는 제2지지부(134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고정부재(130)는 상기 대전플레이트(120)와 와이어(140) 사이를 차단하도록 돌출되는 차단부(13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전기집진장치(1000)는 상술한 바와 같은 대전부(100)와, 집진부(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집진부(200)는 상기 대전부(100)에서 하전된 먼지입자를 전기적인 인력으로 포집하거나, 공기만 통과되고 먼지집자를 포집하는 필터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대전부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는 케이스에 결합되어 대전플레이트의 양측 단부 및 와이어를 지지하는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대전플레이트 및 와이어를 정확한 위치로 고정할 수 있어 균일한 대전성능을 갖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대전부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는 고정부재(또는 고정부재와 케이스)와 돌출부들을 통해 고정부가 형성되어 대전플레이트의 위치를 정확히 지지할 수 있고, 와이어지지부에 의해 단일 와이어가 절곡되어 이웃하는 대전플레이트 사이 측으로 연장되도록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대전부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는 고정부재가 대전플레이트의 양측 단부를 감싸 고정하는 형태로서, 절연역할을 수행하며, 차단부에 의해 대전플레이트와 와이어 사이를 차단할 수 있어 인접한 와이어와의 대전 이상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정적인 대전이 가능하며, 전체 대전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전기집진기의 집진부를 나타낸 평면도 및 부분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대전부를 나타낸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대전부의 케이스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및 AA' 방향 단면도. (제1보강부 및 제2보강부 형성 영역)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대전부의 다른 케이스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대전부를 나타낸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대전부의 케이스 및 대전플레이트 장착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1 및 도 12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대전부의 케이스 및 고정부재 형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대전부(100)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1000)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장치(100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대전부(100)를 나타낸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며,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대전부(100)의 케이스(110)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및 AA' 방향 단면도(제1보강부(113) 및 제2보강부(114) 형성 영역)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대전부(100)의 다른 케이스(110)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대전부(100)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대전부(100)의 케이스(110) 및 대전플레이트(120) 장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1 및 도 12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대전부(100)의 케이스(110) 및 고정부재(130)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전기집진장치(1000)는 크게 대전부(100)와 집진부(200)로 구성되며, 상기 대전부(100)는 외부에서 유입된 먼지입자에 전하를 인가하여 코로나 방전현상을 통해 대전시킴으로써, 먼지입자가 선택되는 전하특성을 가지도록 한다. 상기 집진부(200)는 첫 번째로, 상기 대전부(100)를 통과하여 선택되는 전하특성을 가지는 먼지입자를 전기적인 인력으로 포집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집진부(200)는 전기적인 성직을 가지는 여러 재질의 필터일 수 있다. 또한, 두 번째로, 부직포 필터와 같이, 공기는 통과되어 먼지입자만 포집하는 형태가 이용될 수 있다. 또, 상기 대전부(100)와 집진부(200)는 먼지입자가 유입되어 대전되는 방향으로 서로 결합 가능한 형태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장치(1000)의 대전부(100)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대전부(100)는 케이스(110), 대전플레이트(120), 와이어(140), 및 고정부재(13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10)는 대전부(100)를 형성하는 기본 몸체로서, 먼지입자가 유입되는 방향으로 관통된 틀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케이스(110)는 상기 대전플레이트(120)가 구비되는 방향으로 내구성을 보강하기 위한 복수개의 제1보강부(113)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보강부(113)에 수직한 방향으로 제2보강부(114)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보강부(113) 및 제2보강부(114)는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 4에서, 상기 제1보강부(113)가 14개, 상기 제3보강부가 3개 형성된 예를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의 전기집진장치(1000)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대전플레이트(120)는 상기 케이스(110)에 결합되어 먼지입자가 이동되는 방향과 나란한 판 형태로, 복수개가 구비된다. 상기 대전플레이트(120)는 1차로, 상기 케이스(110)에 결합(안착)되고, 2차로 상기 고정부재(130)와 케이스(110)의 고정에 의해 최종적으로 결합된다.
먼저, 상기 대전플레이트(120)가 케이스(110)에 안착되는 형태를 설명한다.
상기 케이스(110)는 상기 대전플레이트(120)의 양단부가 안착되도록 오목한 안착부(111)가 형성된다.(도 10 참조), 상기 안착부(111)는 상기 대전플레이트(120)의 양단부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또한, 상기 케이스(110)는 상기 제1보강부(113)가 먼지입자가 이동되는 방향으로 상기 대전플레이트(120)의 일측을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보강부(113)는 일부 또는 전체가 대전플레이트(120)의 일측을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도 4에서는 대전플레이트(120)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보강부(113)와, 일반적인 제1보강부(113)가 교번 형성되는 예를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케이스(110)는 상기 제2보강부(114)에 제1돌출부(115) 및 제2돌출부(11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부(115) 및 제2돌출부(116)는 각각 상기 제2보강부(114)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대전플레이트(120)의 양면을 지지하는 부분으로, 대전플레이트(120)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2보강부(114)가 형성된 영역에 돌출되어 상기 대전플레이트(120)를 지지한다. 이 때, 상기 제1돌출부(115) 및 제2돌출부(116)는 상기 대전플레이트(120)의 장착이 용이하도록 상기 제1돌출부(115) 및 제2돌출부(116)가 대전플레이트(12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게 구비되는 형태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케이스(110)는 상기 제2보강부(114)의 제1돌출부(115) 및 제2돌출부(116) 사이에 상기 대전플레이트(120)의 일측이 더 삽입되도록 오목한 제1홈부(114a)가 형성될 수 있다. (도 7 참조)
또, 상기 케이스(110)는 상기 제1홈부(114a)와 함께 상기 대전플레이트(120)의 일측 전체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보강부(113)에 제2홈부(113a)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도 8 참조)
즉, 본 발명의 전기집진장치(1000)는 상기 대전부(100)의 케이스(110)에 대전플레이트(120)의 양단이 안착부(111)에 안착되며, 상기 제1홈부(114a) 및 제2홈부(113a)에 일측 일정영역이 삽입되어 상기 제1보강부(113)에 의해 대전플레이트(120)가 지지되고, 상기 제2보강부(114)의 제1돌출부(115) 및 제2돌출부(116)에 의해 대전플레이트(120)의 양면이 지지되어 대전플레이트(120)가 정확한 위치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140)는 상기 대전플레이트(120)들 사이에 길게 형성되는 부분으로, 상기 대전플레이트(120)와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된다. 상기 와이어(140)는 상기 대전부(100) 전체에서 단일 와이어(140)가 절곡되어 구비되는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와이어(140)는 상기 케이스(110) 내부로 유입되는 먼지입자에 고전압을 인가한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와이어(140)는 상기 케이스(110) 내부의 대전플레이트(120)와 와이어(140) 사이 영역에 먼지입자가 유입되고, 상기 와이어(140)는 복수개의 대전플레이트(120) 사이의 중심에 위치되어 균일한 대전이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도 9 참조)
상기 고정부재(130)는 상기 케이스(110)와 결합되되, 상기 대전플레이트(120)의 양측 단부 및 와이어(140)를 지지한다. 상기 고정부재(130)는 절연재질로서 상기 케이스(110)와 결합되어 상기 대전플레이트(120) 및 와이어(140)를 지지하여, 상기 대전플레이트(120) 및 와이어(140)가 정확한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고정부재(130)는 상기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대전플레이트(120)의 양면을 지지하는 한 쌍의 제1고정부(131)가 형성되는 형태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10)와 함께 상기 대전플레이트(120)의 양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고정부재(130)에 상기 대전플레이트(120)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2고정부(132)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110)에 상기 대전플레이트(120)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3고정부(116)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부재(130)는 상기 대전플레이트(120)의 양측 단부의 일정영역을 지지하는 구성으로, 상기 고정부재(130)가 정확한 위치에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130)는 와이어(140)를 지지하는 와이어지지부(134)가 형성된다. 상기 와이어지지부(134)는 제1지지부(134a)와 제2지지부(134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134a)는 복수개의 대전플레이트(120) 사이에서 와이어(140)가 정확한 위치에 구비되도록 "ㄷ"자 형태로, 그 내부에 와이어(140)가 안착된다. 즉, 상기 제1지지부(134a)를 통해 상기 와이어(140)가 정확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134b)는 상기 고정부재(130) 형성영역에서, 와이어(140)가 절곡되어 이웃하는 대전플레이트(120) 사이 측으로 연장되도록 지지하는 부분이다. 이를 통해, 단일 와이어(140)가 절곡되어 복수개의 대전플레이트(120) 사이에 와이어(1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134b)는 와이어(140)를 용이하게 안내할 수 있도록 곡면부를 포함하는 형태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고정부재(130)는 절연재질로서, 상기 대전플레이트(120)와 와이어(140)의 이상 대전을 방지하며, 특히, 상기 대전플레이트(120)를 지지하는 제1고정부(131) 내지 제3고정부(116)와, 상기 와이어(140)를 지지하는 와이어지지부(134) 사이에는 차단부(135)가 더 돌출형성되어 안정성을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고정부재(130)와 케이스(110)는 다양한 방식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며, 일 예로서, 상기 케이스(110)에 볼록하거나 오목한 제1대응부(112)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130)에 상기 제1대응부(112)에 대응되는 제2대응부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서, 상기 케이스(110)에 볼록한 형태의 제1대응부(112)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130)에 상기 제1대응부(112)가 삽입되도록 중공되는 제2대응부가 형성된 예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장치(1000)의 대전부 제조를 설명한다. 먼저, 상기 케이스(110)의 안착부(111), 제1홈부(114a), 제2홈부(113a), 제1돌출부(115) 및 제2돌출부(116)에 삽입되도록 상기 대전플레이트(120)를 안착한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부재(130)를 케이스(110)에 고정한 후, 상기 고정부재(130)의 와이어(140)안착부(111)에 와이어(140)를 장착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전기집진장치(1000)는 케이스(110)에 결합되어 대전플레이트(120)의 양측 단부 및 와이어(140)를 지지하는 고정부재(130)를 이용하여 대전플레이트(120) 및 와이어(140)를 정확한 위치로 고정할 수 있어 균일한 대전성능을 갖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0 : 전기집진장치
100 : 대전부
110 : 케이스
111 : 안착부
112 : 제1대응부
113 : 제1보강부 113a : 제2홈부
114 : 제2보강부
114a : 제1홈부
115 : 제1돌출부 116 : 제2돌출부
116 : 제3고정부
120 : 대전플레이트
130 : 고정부재
131 : 제1고정부 132 : 제2고정부
133 : 제2대응부
134 : 와이어지지부
134a : 제1지지부 134b : 제2지지부
135 : 차단부
140 : 와이어
200 : 집진부

Claims (18)

  1. 외부에서 유입되는 먼지입자에 전하를 인가하는 대전부(100)에 있어서,
    상기 대전부(100)는,
    틀 형상의 케이스(110);
    상기 케이스(110)에 결합되어 전하를 대전하되, 먼지입자가 이동되는 방향과 나란한 판 형태의 대전플레이트(120);
    상기 대전플레이트(120)와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고, 고전압이 인가되는 와이어(140); 및
    상기 케이스(110)와 결합되되, 상기 대전플레이트(120)의 양측 단부 및 와이어(140)를 지지하는 한 쌍의 고정부재(130);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130)는 상기 와이어(140)를 지지하는 와이어지지부(134)가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지지부(134)는 상기 와이어(140)가 상기 대전플레이트(120)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부위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134a)와 상기 와이어(140)가 절곡되는 부위를 지지하는 제2지지부(134b)를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부(134a)는 “ㄷ”자 형태로 구비되어 내부에서 상기 대전플레이트(120)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는 와이어(140)의 부위를 지지하고,
    상기 제2지지부(134b)는 상기 제1지지부(134a)와 와이어(140)가 연장된 방향으로 이격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140)가 이웃하는 상기 대전플레이트(120) 사이 측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와이어(140)가 절곡되는 부위를 지지하는,
    전기집진장치용 대전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10)는 상기 대전플레이트(120)의 양단부가 안착되도록 오목한 안착부(11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용 대전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10)는 상기 대전플레이트(120)가 장착되는 방향으로 양측을 연결하는 제1보강부(113)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용 대전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강부(113)는 일부가 먼지입자가 이동되는 방향으로 상기 대전플레이트(120)의 일측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용 대전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10)는 상기 제1보강부(113)에 수직하게 양측을 연결하는 제2보강부(114)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용 대전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10)는 상기 제2보강부(114)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대전플레이트(120)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제1돌출부(115) 및 제2돌출부(116)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용 대전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부(115) 및 제2돌출부(116)는 상기 제2보강부(114)에 상기 대전플레이트(12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용 대전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10)는 상기 제2보강부(114)의 제1돌출부(115) 및 제2돌출부(116) 사이에 상기 대전플레이트(120)의 일측이 삽입되도록 오목한 제1홈부(114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용 대전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10)는 상기 대전플레이트(120)의 길이방향으로 일측 전체를 지지하도록 상기 제1보강부(113)에 상기 제2보강부(114)의 제1홈부(114a)와 연장되는 제2홈부(113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용 대전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부(100)는 상기 케이스(110)에 볼록하거나 오목한 제1대응부(112)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130)에 상기 제1대응부(112)에 대응되는 제2대응부가 형성되어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용 대전부.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130)는 상기 대전플레이트(120)의 양면을 지지하는 한 쌍의 제1고정부(13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용 대전부.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부(100)는 상기 고정부재(130) 및 케이스(110)에 상기 대전플레이트(120)의 양면을 각각 지지하는 제2고정부(132) 및 제3고정부(116)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용 대전부.
  13. 삭제
  14. 삭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130)는 상기 대전플레이트(120)와 와이어(140) 사이를 차단하도록 돌출되는 차단부(13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용 대전부.
  16. 제1항의 대전부(100)와, 집진부(200)를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부(200)는 상기 대전부(100)에서 하전된 먼지입자를 전기적인 인력으로 포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부(200)는 공기만 통과되고 먼지입자를 포집하는 필터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KR1020190006627A 2019-01-18 2019-01-18 대전부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 KR1026342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6627A KR102634227B1 (ko) 2019-01-18 2019-01-18 대전부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
US16/724,665 US11607695B2 (en) 2019-01-18 2019-12-23 Electrification device and electrical dust collect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DE102020100772.8A DE102020100772A1 (de) 2019-01-18 2020-01-15 Elektrifizierungsvorrichtung und elektrische staubsammlungsvorrichtung, die dieselbe umfasst
CN202010052226.1A CN111450998A (zh) 2019-01-18 2020-01-17 起电装置和包括该起电装置的电气集尘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6627A KR102634227B1 (ko) 2019-01-18 2019-01-18 대전부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9857A KR20200089857A (ko) 2020-07-28
KR102634227B1 true KR102634227B1 (ko) 2024-02-07

Family

ID=71403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6627A KR102634227B1 (ko) 2019-01-18 2019-01-18 대전부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607695B2 (ko)
KR (1) KR102634227B1 (ko)
CN (1) CN111450998A (ko)
DE (1) DE1020201007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9422A (ko) * 2021-10-26 2023-05-03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대전부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집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97304A (en) * 1975-03-28 1976-12-14 Carrier Corporation Mounting system of ionizing wires of electrostatic precipitator
SE412012B (sv) * 1978-06-22 1980-02-18 Elfi Elektrofilter Ab Fixerings- och anslutningsanordning for tradar och platar i elektrostatiska filter
KR100495627B1 (ko) 2002-07-16 2005-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우레탄 필터를 이용한 전기 집진 장치
KR100498401B1 (ko) 2003-01-07 2005-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공기 정화기
FR2889463B1 (fr) * 2005-08-03 2008-04-04 Valeo Systemes Thermiques Dispositif d'ionisation de particules vehiculees dans un flux d'air, pour une installation de ventilation, de chauffage et/ou de climatisation notamment.
CN102383175B (zh) * 2011-10-26 2014-06-18 首都航天机械公司 背压式电解刻蚀加工装置
CN102430477B (zh) * 2011-12-28 2014-11-26 艾尼科环保技术(安徽)有限公司 一种移动极板静电除尘器
CN104321145B (zh) 2012-04-23 2016-10-12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晕放电装置及空气调节机
KR101741516B1 (ko) * 2015-05-15 2017-05-30 전주비전대학교산학협력단 상방향 타공이 가능한 제본기
KR101839557B1 (ko) * 2015-10-30 2018-04-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집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KR20170051893A (ko) * 2015-11-03 2017-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식 집진필터
KR101963786B1 (ko) * 2017-02-03 2019-07-31 (주)동일기연 대전부를 포함하는 필터링 장치
CN110461477A (zh) 2017-02-03 2019-11-15 株式会杜东日技硏 过滤装置
CN206778712U (zh) 2017-03-17 2017-12-22 浙江菲达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湿式电除尘器阳极装置
CN107029891B (zh) * 2017-06-01 2019-06-18 安徽机电职业技术学院 一种电除尘器阴极框架
CN207146637U (zh) * 2017-09-11 2018-03-27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静电除尘装置和空调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230611A1 (en) 2020-07-23
CN111450998A (zh) 2020-07-28
US11607695B2 (en) 2023-03-21
DE102020100772A1 (de) 2020-07-23
KR20200089857A (ko) 2020-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9228B1 (ko) 대전부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
AU616740B2 (en) Pleated charged media air filter
CN110732410B (zh) 电集尘用带电装置及包括其的车辆用空调机
TW201235107A (en) Electrical screening device for structures near high voltage parts of electrostatic precipitators
US7090717B2 (en) Air purifier
KR102634227B1 (ko) 대전부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
JP2009165957A (ja) 電気集塵機
US2997130A (en) Fluid cleaning apparatus
KR20210019876A (ko) 전기집진기
JPS62102844A (ja) 電気集塵機
JP3597405B2 (ja) 空気清浄装置
JPH11207208A (ja) 空気清浄装置
KR102572534B1 (ko) 전기집진기용 집진부
KR102278181B1 (ko) 전기집진장치
US20220331816A1 (en) Electrical dust collection device comprising charging part and dust collection part
KR20150027430A (ko) 전기집진 장치
JP2001276649A (ja) 空気清浄装置
CN113286660B (zh) 用于电除尘器的集尘设备
CN110743710A (zh) 电集尘用带电装置及其控制方法
KR102449163B1 (ko) 미세먼지를 집진하는 전기집진필터
JPH0622445Y2 (ja) 荷電式フィルター
KR102558592B1 (ko) 전기 집진기
CN111328296B (zh) 用于紧凑型空气清洁器的静电除尘器和使用该静电除尘器的紧凑型空气清洁器
KR20210054717A (ko) 전기집진기용 집진장치
KR101240257B1 (ko) 부유물 포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