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6415Y1 - 전기집진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집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6415Y1
KR200156415Y1 KR2019970005416U KR19970005416U KR200156415Y1 KR 200156415 Y1 KR200156415 Y1 KR 200156415Y1 KR 2019970005416 U KR2019970005416 U KR 2019970005416U KR 19970005416 U KR19970005416 U KR 19970005416U KR 200156415 Y1 KR200156415 Y1 KR 2001564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llecting
electrode
plate
grill
d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54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1213U (ko
Inventor
김재훈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700054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6415Y1/ko
Publication of KR199800612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121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64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641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82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36Controlling flow of gases or vapour
    • B03C3/361Controlling flow of gases or vapour by static mechanical means, e.g. deflec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5Collecting-electrodes
    • B03C3/47Collecting-electrodes flat, e.g. plates, discs, gratings

Landscapes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기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전기집진장치는 전극그릴(23)과 집진그릴(24)에는 각각의 전극판(23a)과 집진판(24a)들을 연결하는 연결바(23b)(24b)가 전극판(23a)과 집진판(24a)의 배열방향과 수직방향으로 결합되어 설치되고, 각각의 연결바(23b)(24b)에 대응하는 전극판(23)과 집진판(24)에는 연결바(23b)(24b)가 삽입은 되되 연결바(23b)(24b)의 외면과 이격되어 위치하도록 된 다수개의 설치홈(23c)(24c)이 형성되며, 하부케이스(22)의 내면에는 서로 교호적으로 배열된 전극판(23a)과 집진판(24a) 사이의 이격간격(t1)으로 끼워질 수 있을 정도의 폭(t2)으로 형성되어 집진판(24a)과 전극판(23a)의 이격상태를 유지시키는 다수개의 이격돌기(22b)가 돌출 형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집진장치
본 고안은 전기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흡입공기중의 부유 먼지를 코로나 방전으로 이온화시켜 전기적으로 집진되도록 하는 전기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집진장치는 집진부와 하전부로 이루어지는데, 하전부는 두개의 고전압판의 사이에 코로나와이어가 설치되어 흡입되는 오염공기중의 먼지를 코로나와이어와 고전압판 사이에 발생하는 코로나방전으로 이온화시키고, 이 이온하된 먼지입자는 집진부의 집진판 사이에 발생하는 전자기력에 의하여 편향되어 집진되는 것이다.
도1은 종래의 전기집진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써,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집진장치는 직육각형으로 되어 흡입그릴(11a)이 형성된 상부케이스(11)와 토출구(12a)가 마련된 하부케이스(12)로 이루어진 케이스(10)를 구비하고, 상부케이스(11)의 흡입그릴(11a)에는 코로나방전의 발생을 위한 코로나와이어(13)와 고전압판(14)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케이스(10) 내부에는 절연성 수지재질로 된 다수개의 집진판(15)이 평행하게 설치된다. 집진판(15)의 양단부에는 집진판(15)의 고정 결합과 전원인가를 위한 결합홀(15b)이 형성되어 있으며, 집진판(15)의 일측면으로는 전도성도료(15c)가 집진판(15)의 일측의 끝단에서 타단의 결합홀(15b) 전까지 도포되어 있다. 또한 집진판(15)의 상하측의 절연부위에는 다수개의 엠보싱(15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엠보싱(15a)은 집진판(15)의 설치시 마주하는 집진판(15)의 절연부위와 접하도록 되어 집진판(15) 사이의 간격을 적절히 이격시키도록 하기 위하여 형성된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집진판(15)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하여 결합홀(15b)에 끼워져 체결되는 두개의 전원인가봉(16)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전기집진장치에서 집진판(15) 사이의 간격을 적절히 유지하는 것은 전기집진장치에서 매우 중요한데, 종래의 집진판(15)은 0.5㎜ 이하의 플라스틱재질의 수지필름판으로 마련되어 잘 휘어지는 성질이 있다. 이 때문에 필름에 전극을 인가시키기 위하여 전원인가봉(16)을 강제로 삽입하여 집진판(15)의 전도성도료(15c) 부위와 저촉시키게 되면, 이때 집진판(15)의 일부 휘어짐으로 인하여 배열된 집진판(15)에서 케이스(10)의 상측 또는 하측에 집진판(15)의 휨에 따른 여유공간이 형성되게 되고, 이에 따라 이 여유공간으로는 미처 집진되지 않은 먼지입자가 전기집진장치를 통과하게 되어 집진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집진장치의 계속적인 사용으로 집진판(15)의 탄성이 약해져 전원인가봉(16)과 집진판(15)과의 강한 밀착력이 떨어짐으로써 효율저하의 원인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집진판(15)간의 간격유지를 위하여 형성된 엠보싱(15a)은 집진판(15)사이의 공기유통을 방해하여 집진판(15)사이의 유량의 변화와 유속의 변화를 발생시키게 되어 집진판(15)에서의 집진효율을 떨어뜨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집진판 사이의 적절한 간격유지와 집진판에의 전극인가상태를 보다 안정화시켜 집진판의 집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전기집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종래의 전기집진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에서 전극판과 집진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4는 도2의 이격돌기 부분을 확대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상부케이스 22 : 하부케이스
23 : 전극그릴 23a : 전극판
23b, 24b : 연결바 24 : 집진그릴
24a : 집진판 23c, 24c : 설치홈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가 서로 결합되어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흡입된 공기중의 먼지를 이온화시키는 코로나와이어, 상기 코로나와이어에서 이온화된 먼지를 집진하도록 서로 결합된 다수의 전극판이 이격되어 배열되되 이온화된 먼지입자가 전자기력의 영향을 받도록 외부에서 인가된 전선의 일단이 접속되어 극성을 띄는 전극그릴, 상기 전극판과 교호적으로 겹쳐져 설치되어 상기 전극판의 전자기력에 의하여 편향된 먼지입자가 집진되도록 상기 전극그릴과 반대하는 극성을 띄도록 된 다수의 집진판이 서로 이격되어 배열된 집진그릴을 포함한 전기집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극그릴과 집진그릴에는 각각의 상기 전극판과 집진판들을 연결하는 연결바가 상기 전극판과 집진판의 배열방향과 수직방향으로 결합되어 설치되고, 상기 각각의 연결바에 대응하는 상기 전극판과 집진판에는 상기 연결바가 삽입은 되되 상기 연결바의 외면과 이격되어 위치하도록 된 다수개의 설치홈이 형성되며, 상부 하부케이스의 내면에는 서로 교호적으로 배열된 상기 전극판과 상기 집진판 사이의 이격간격(t1)으로 끼워질 수 있을 정도의 폭(t2)으로 형성되어 상기 집진판과 상기 전극판의 이격상태를 유지시키는 다수개의 이격돌기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각형의 전기집진장치는 흡입그릴(21a)이 형성된 상부케이스(21)와 토출구(22a)가 형성된 하부케이스(22)로 이루어진 케이스(20)가 마련되고, 상부케이스(21)의 흡입그릴(21a)에는 코로나방전을 일으키기 위한 코로나와이어(21b)가 유로상에 설치되고, 이 코로나와이어(21b)에 인접한 흡입그릴(21a)의 양측벽에는 고전압판(21c)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스(20) 내부에는 전극그릴(23)과 집진그릴(24)이 설치된다.
먼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그릴(23)은 다수의 전극판(23a)이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고, 이 각각의 전극판(23a)을 연결하는 세개의 연결바(23b)가 설치된다. 이 연결바(23b)는 전극판(23a)과 일체의 재질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전극그릴(23)은 플라스틱 재질로 마련되며 전체가 전도성 금속(니켈, 금, 은 기타 전도성 도료)에 의하여 도금처리 되어 있으며, 전극인가를 위한 접속구(23d)가 일측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집진그릴(24)은 플라스틱 재질로 된 다수의 집진판(24a)이 평행하게 배열되어 마련되고, 각각의 집진판(24a)은 일체로 형성된 세개의 연결바(24b)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으며 전극판(23a)과 마찬가지로 전도성금속이 전체적으로 도금 처리되어 있다. 그리고 일단부, 즉 전선이 접속되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절연성재질에 의하여 코팅 처리되어 있으며, 접지구(24d)가 일측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집진그릴(24)과 전극그릴(23)은 각각의 판(23a)(24a)이 서로 교호적으로 배열되게 된다. 그리고 교호적으로 배열은 하되 서로 접하지는 않게 설치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겹쳐진 집진그릴(24)과 전극그릴(23)의 각각의 연결바(23b)(24b) 부분과의 이격을 위하여 각각의 판(23a)(24a)의 서로 상대하는 부분의 연결바(23b)(24b)가 위치하는 부분에는 연결바(23b)(24b)의 크기보다 큰 폭을 갖는 세개의 설치홈(23c)(24c)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설치홈(23c)(24c)에 연결바(23b)(24b)가 위치하더라도 서로 접하지는 않게 된다.
한편 하부케이스(22)의 내면에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도3 참조) 겹쳐진 전극그릴(23)과 집진그릴(24)의 각각의 판(23a)(24a)이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하기 위하여 하부케이스(22)의 네 곳의 모서리부분에는 네개의 이격돌기(22b)가 형성되어 있다. 이 이격돌기(22b)는 설치된 각각의 전극판(23a)과 집진판(24a) 사이에 끼워지도록 각각의 판(23a)(24a) 사이의 이격된 간격(t1)보다 작거나 같은 크기의 폭(t2)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t2≥ t2)
따라서 이 이격돌기(22b)로 서로 교호적으로 배열된 전극그릴과 집진그릴이 끼워지면 각각의 판(23a)(24a)사이의 이격간격으로 끼워짐으로써 전체적으로 일정한 이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격돌기(22b)의 수는 경우에 따라 가변적으로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전기집진장치의 조립에 대하여 설명하면 먼저 전극그릴(23)과 집진그릴(24)을 교호적으로 배열하여 겹치고, 이 겹쳐진 각각의 그릴(23)(24)을 하부케이스(22)에 안착한다.
이때 양측 모서리부위의 집진판(24a)과 전극판(23a) 사이에 이격돌기(22b)가 끼워지도록 설치한다. 그리고 각각의 집진그릴(24)과 전극그릴(23)의 양단부의 접속구(23d)와 접지구(24d)에 인가된 전선(미도시)을 접속한 후 전극그릴(23)과 집진그릴(24)이 설치된 상태에서 상부케이스(21)를 덮어서 하부케이스(22)와 결합하게 되면 그 조립이 완료되게 된다. 이 결합은 나사결합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외부의 전원이 코로나와이어(21b), 고전압판(21c), 전극그릴(23) 그리고 집진그릴(24)에 각각 인가되게 되면, 케이스(20)로 흡입되는 공기중의 먼지 입자는 코로나와이어(21b)와 고전압판(21c) 사이에 발생하는 코로나방전으로 +극성으로 하전되어 이온화되게 된다. 그리고 이 이온화된 먼지입자는 전극판(23a)과 집진판(24a) 사이를 통과하면서 전극판(23a)에서 발생한 +극성의 전기장에 의하여 동일 극의 반발력으로 인하여 편향하게 되고, 편향한 먼지입자는 집진판(24a)에 달라붙게 됨으로써 하부케이스(22)의 토출구(22a)로 토출되는 공기는 정화되어 조화공간으로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고 있는 각각의 판을 통과하는 먼지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또한 고압의 음극과 양극판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방전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종래의 엠보싱에 의한 풍압손실을 줄일 수 있어 공기조화기에 적용시 냉방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상부케이스(21)와 하부케이스(22)가 서로 결합되어 형성되는 케이스(20), 상기 케이스(20)에 설치되어 흡입된 공기중의 먼지를 이온화시키는 코로나와이어(21b), 상기 코로나와이어(21b)에서 이온화된 먼지를 집진하도록 서로 결합된 다수의 전극판(23a)이 이격되어 배열되되 이온화된 먼지입자가 전자기력의 영향을 받도록 외부에서 인가된 전선의 일단이 접속되어 극성을 띄는 전극그릴(23), 상기 전극판(23a)과 교호적으로 겹쳐져 설치되어 상기 전극판(23a)의 전자기력에 의하여 편향된 먼지입자가 집진되도록 상기 전극그릴(23)과 반대하는 극성을 띄는 다수의 집진판(24a)이 서로 이격되어 배열된 집진그릴(24)을 포함한 전기집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극그릴(23)과 집진그릴(24)에는 각각의 상기 전극판(23a)과 집진판(24a)들을 연결하는 연결바(23b)(24b)가 상기 전극판(23a)과 집진파(24a)의 배열방향과 수직방향으로 결합되어 설치되고, 상기 각각의 연결바(23b)(24b)에 대응하는 상기 전극판(23)과 집진판(24)에는 상기 연결바(23b)(24b)가 삽입은 되되 상기 연결바(23b)(24b)의 외면과 이격되어 위치하도록 된 다수개의 설치홈(23c)(24c)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케이스(22)의 내면에는 서로 교호적으로 배열된 상기 전극판(23a)과 상기 집진판(24a) 사이의 이격간격(t1)으로 끼워질 수 있을 정도의 폭(t2)으로 형성되어 상기 집진판(24a)과 상기 전극판(23a)의 이격상태를 유지시키는 다수개의 이격돌기(22b)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KR2019970005416U 1997-03-21 1997-03-21 전기집진장치 KR2001564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5416U KR200156415Y1 (ko) 1997-03-21 1997-03-21 전기집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5416U KR200156415Y1 (ko) 1997-03-21 1997-03-21 전기집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1213U KR19980061213U (ko) 1998-11-05
KR200156415Y1 true KR200156415Y1 (ko) 1999-09-01

Family

ID=19497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5416U KR200156415Y1 (ko) 1997-03-21 1997-03-21 전기집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641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4258A (ko) 2018-11-28 2020-06-08 한국기계연구원 전기집진기의 고전압판 연결구조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4493B1 (ko) * 2010-01-29 2014-12-22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기집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4258A (ko) 2018-11-28 2020-06-08 한국기계연구원 전기집진기의 고전압판 연결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1213U (ko) 1998-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0024B1 (ko) 전기집진장치 및 그 전극
JP6029860B2 (ja) 電気集塵装置
KR950004657B1 (ko) 전기 집진기
CN102218373B (zh) 电除尘装置及具有该电除尘装置的家电设备
RU2396127C2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ый воздухоочиститель на основе поляризуемого под действием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поля материала
KR101525848B1 (ko) 전기집진장치
KR101622667B1 (ko) 전기집진 장치
KR200457086Y1 (ko) 전기 집진기용 케이스
KR200156415Y1 (ko) 전기집진장치
KR200142511Y1 (ko) 전기집진장치
KR200156412Y1 (ko) 전기집진장치
CN210994794U (zh) 静电集尘组件及空气净化装置
JPH11290717A (ja) 電気集塵装置
KR102583486B1 (ko) 전기집진장치
JP2539206Y2 (ja) 電気集塵器のアイオナイザ
KR200156411Y1 (ko) 전기집진장치
JP3257239B2 (ja) 電気集塵エレメントのスペーサ突起およびそれを有する電極板積層体
CN2189002Y (zh) 高压静电除尘电场装置
CN216173231U (zh) 电净化装置及空气净化设备
CN211099583U (zh) 一种静电板式电场
KR102190081B1 (ko) 전기집진장치용 집진부 및 이의 제조방법
JP3627610B2 (ja) 電気集塵装置
JPH08168698A (ja) 印加電極板
JP3616283B2 (ja) 静電式集塵装置における電極支持方法および電極支持装置
JPH0522043U (ja) 電気集塵機のコレクタ用電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