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6411Y1 - 전기집진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집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6411Y1
KR200156411Y1 KR2019970003203U KR19970003203U KR200156411Y1 KR 200156411 Y1 KR200156411 Y1 KR 200156411Y1 KR 2019970003203 U KR2019970003203 U KR 2019970003203U KR 19970003203 U KR19970003203 U KR 19970003203U KR 200156411 Y1 KR200156411 Y1 KR 2001564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llecting
collecting plate
insertion hole
electrostatic precipitator
siz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32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8751U (ko
Inventor
김재훈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700032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6411Y1/ko
Publication of KR199800587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875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64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641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5Collecting-electrodes
    • B03C3/47Collecting-electrodes flat, e.g. plates, discs, gr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36Controlling flow of gases or vapour
    • B03C3/361Controlling flow of gases or vapour by static mechanical means, e.g. deflec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82Housings

Landscapes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기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의 집진판에는 단자봉(35)이 접촉하면서 관통하도록 양측에 단자봉(35)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 삽입홀(37)과, 삽입홀(37)에서 방사상으로 절개 형성되어 단자봉(35)의 관통시 삽입홀(37)의 주변부가 절곡되어 절곡된 단부가 타측에 인접하여 위치한 집진판(40)의 표면과 접하여 집진판(40)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도록 하는 절개선(38)과, 단자봉(35)의 크기에 따라 절곡되는 삽입홀(37) 주변부의 절곡크기를 제한하도록 절개선(38)의 끝단부에 삽입홀(37)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된 다수의 유성홀(39)이 마련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집진장치
본 고안은 전기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흡입공기중의 부유먼지를 코로나방전에 의해서 이온화시켜 집진하는 전기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집진장치는 주위에 부유하는 공기를 흡입하여 흡입된 공기중의 먼지를 코로나방전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집진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1은 종래의 전기집진장치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집진장치는 상부케이스(10)와 하부케이스(11)로 마련되며 상부케이스(10)의 상부면에는 다수개의 공기 흡입그릴(12)이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고, 흡입그릴(12)의 중간부위에는 코로나와이어(13)가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코로나와이어(13)와의 사이에 코로나방전이 일어나도록 전원이 인가되는 전극판(14)이 설치되어 있다.
하부케이스(11)에는(도2 참조) 코로나방전에 의하여 이온화된 먼지를 집진하는 집진판(15)이 설치된다. 이 집진판(15)은 수지재질로 마련되는데, 각각의 집진판(15)의 양측면에는 도전성도료(18)가 도포되어 있다. 그리고 집진판(15)의 양측단부는 측방으로 돌출한 돌출부(17)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케이스(11)의 내부 양측부에 삽입되어 집진판(15)과 접하게 되는 판상의 전원인가판(16)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전원인가판(16)은 각각에 +, - 전류가 인가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술한 도전성도료(18)는 집진판(15)의 일측 돌출부(17a)까지 도포되어 있고, 타측 돌출부(17b)에는 도포되어 있지 않다. 이것은 집진판(15)에 접촉하게 되는 전원인가판(16)에 의하여 집진판(15)의 전도부위가 교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집진판(15)의 도료부위는 서로 교차하여 +극성과 -극을 각각 띄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전기집진장치는 코로나와이어(13)와 전극판(14) 사이에 발생하는 코로나방전에 의하여 음이온 또는 양이온이 흡입공기에 있는 이물질을 이온화시키게 되고, 계속해서 유입된 공기는 각각의 집진판(15) 사이에서 발생하는 전자기력에 의해 이온화 된 이물질이 집진판(15)에 집진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전기집진장치는 집진판(15)의 돌출부(17a)(17b)가 전원인가판(16)의 삽입으로 그 중앙부가 볼록하게 휘게되어 필름과 필름사이의 공간이 일정하게 이격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집진판(15)으로 편향되기나 하나 미처 집진되지 않고 전기집진장치를 그대로 통과하게 되는 먼지입자가 발생하게 되며 이로 인해 집진장치의 집진성능이 떨어지게 된다.
그리고 집진판(15)의 돌출부(17)가 휘면서 인접한 다른 집진판(15)과 겹쳐져서 집진판(15)의 두께만큼 전원인가판(16)에 대하여 접촉이 이탈하게 되는 부분이 발생하게 되어 집진작용을 수행할 때 집진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는 집진판(15)이 다소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설치되는 집진판의 접속상태를 보다 안정화시켜 집진판의 집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전기집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과 관련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전기집진장치의 용량을 가변시킬 경우 집진판사이의 작용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집진판의 간격을 적절하게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한 전기집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종래의 전기집진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는 종래의 전기집진장치의 집진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의 집진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의 집진판을 보인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상부케이스 31 : 하부케이스
33 : 코로나와이어 35 : 단자봉
37 : 삽입홀 38 : 절개선
39 : 유성홀 40 : 집진판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흡입그릴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흡입된 공기중의 먼지입자를 이온화시키는 코로나와이어, 상기 코로나와이어를 거치면서 이온화된 입자가 집진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다수개의 집진판을 구비한 전기집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 양측에는 외부에서 인가된 전선이 접속되도록 하는 단자봉이 상기 집진판의 양측을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집진판에는 상기 단자봉이 접촉하면서 관통하도록 양측에 상기 단자봉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 삽입홀과, 상기 삽입홀에서 방사상으로 절개 형성되어 상기 단자봉의 관통시 상기 삽입홀의 주변부가 절곡되어 상기 절곡된 단부가 타측에 인접하여 위치한 상기 집진판의 표면과 접하여 상기 집진판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도록 하는 절개선과, 상기 단자봉의 크기에 따라 절곡되는 상기 삽입홀 주변부의 절곡크기를 제한하도록 상기 절개선의 끝단부에 상기 삽입홀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된 다수의 유성홀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집진장치는 상부케이스(30)와 하부케이스(31)로 마련되어 상부케이스(30)에는 외부의 흡입공기를 안내하는 흡입그릴(32)이 형성되어 있으며, 흡입그릴(32)의 중간부위에는 코로나와이어(33)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흡입그릴(32)의 내측면 즉 코로나와이어(33)에 대하여 평행한 양측면으로는 전극판(34)이 설치되어 코로나와이어(33)와의 사이에 코로나 방전이 일어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케이스(31)에는 수지재질로 된 다수개의 집진판(40)이 설치되는데, 도4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집진판(40)은 그 양측면에 도전성도료(36)가 도포되어 있으며, 집진판(40)의 양측부에는 삽입홀(37)이 형성되어 있고, 이 삽입홀(37)에는 이에 삽입되어 집진판(40)과 접하게 되며 삽입홀(37)의 크기보다 직경이 큰 단자봉(35)이 설치된다.
이 각각의 단자봉(35)에는 각각에 +, - 전류가 인가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집진판(40)에 도포된 도전성도료(36)는 설치되는 집진판(40)의 일측 삽입홀(37)까지 도포되어 있고, 타측 삽입홀(37)에는 도포되어 있지 않다. 이것은 집진판(40)에 접촉하게 되는 단자봉(35)에 집진판(40)의 전도부위가 인접한 집진판(40)과 극성이 서로 교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집진판(40)은 서로 교차하여 +전극과 -전극을 띠게 된다.
한편, 집진판(40)중의 삽입홀(37)에는 집진판(40)의 면상으로 연장된 열십자형상의 절개선(38)이 형성되어 있고, 이 절개선(38)의 연장선단에는 유성홀(39)이 형성되어 있다. 이 유성홀(39)은 직경이 다른 단자봉(35)을 삽입할 경우 이에 따라 가변하는 삽입홀(37)의 크기를 한정할 수 있도록 하고, 도한 집진판(40)이 단자봉(35)의 삽입으로 찢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형성된 것이다.
또한 절개선(38)은 단자봉(35)의 삽입으로 절개선(38)의 절개부위가 절곡되어 단자봉(35)의 삽입방향과 동일방향으로 집진판(40)의 삼입홀(37) 형성부위의 주변부가 버링(burring)되도록 하여 단자봉(35)의 삽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또한 유성홀(39)의 형성으로 버링의 크기 즉, 휨면의 크기를 한정하게 된다.
따라서 휨면의 단부에 의하여 인근한 다른 집진판(40)의 일측면이 지지되도록 함과 동시에 집진판(40)사이의 간격이 적절히 이격 유지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전기집진장치는 코로나와이어(33)와 전극판(34) 사이에 발생하는 코로나방전에 의하여 생성된 이온에 의하여 흡입공기는 음이온 또는 양이온으로 이온화되게 되고, 계속해서 유입된 공기중의 이온화된 먼지입자는 각각의 집진판(40)사이에서 발생하는 전자기력에 의하여 집진판(40)에 집진되게 된다.
그리고 설치조립은 하부케이스(31)에 집진판(40)을 그 접속부분이 교차하도록 배열한 후 삽입홀(37)로 1.5㎜ - 2㎜ 정도의 직경의 단자봉(35)을 삽입하게 된다. 단자봉(35)을 삽입하게 되면 이에 따라 절개선(38)이 휘면서 버닝되게 되고, 휨면의 단부는 인근한 다른 집진판(40)과 접하면서 집진판(40)을 지지하게 된다.
한편 전기집진장치의 집진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인가전압을 상승시킬 수 있다. 이때 인가전압을 상승시키기 위하여 단자봉(35)의 직경을 더 크게 하면, 이 때문에 삽입홀(37)의 크기 또한 넓어지게 된다. 삽입홀(37)의 크기가 더 커지게 되면 동시에 휨면의 길이 또한 커지게 되며, 동시에 집진판(40)의 간격은 더 넓어지게 된다.
이것은 인가전압을 상승시키는 반면에 집진판(40)의 간격을 동일하게 유지하게 되면 전압의 상승으로 인하여 집진판(40)사이에 스파크가 발생하게 되어 집진장치가 손상되게 되고, 반면에 너무 간격이 넓게 되면 집진되지 않고 통과하는 먼지 이온이 발생하게 되기 때문에 각각의 집진판(40)은 항상 적절한 이격간격을 유지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는 집진판과 단자봉사이의 접촉불량으로 인한 전기집진장치의 작동불능상태를 해소할 수 있고, 집진판의 좌우측의 간격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집진판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함과 동시에 보다 손쉽게 전기집진장치의 능력을 가변시킬 수 있으며, 이에 의한 집진판 사이의 방전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흡입그릴(32)이 형성된 케이스(30)(31), 상기 케이스(30)(31)에 설치되어 흡입된 공기중의 먼지입자를 이온화시키는 코로나와이어(33), 상기 코로나와이어(33)를 거치면서 이온화된 입자가 집진되도록 상기 케이스(30)(31)의 내부에 설치된 다수개의 집진판(40)을 구비한 전기집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30)의 내부 양측에는 외부에서 인가된 전선이 접속되도록 하는 단자봉(35)이 상기 집진판(40)의 양측을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집진판(40)에는 상기 단자봉(35)이 접촉하면서 관통하도록 양측에 상기 단자봉(35)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 삽입홀(37)과 , 상기 삽입홀(37)에서 방사상으로 절개 형성되어 상기 단자봉(35)의 관통시 상기 삽입홀(37)의 주변부가 절곡되어 상기 절곡된 단부가 타측에 인접하여 위치한 상기 집진판(40)의 표면과 접하여 상기 집진판(40)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도록 하는 절개선(38)과, 상기 단자봉(35)의 크기에 따라 절곡되는 상기 삽입홀(37) 주변부의 절곡크기를 제한하도록 상기 절개선(38)의 끝단부에 상기 삽입홀(37)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된 다수의 유성홀(39)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KR2019970003203U 1997-02-26 1997-02-26 전기집진장치 KR2001564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3203U KR200156411Y1 (ko) 1997-02-26 1997-02-26 전기집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3203U KR200156411Y1 (ko) 1997-02-26 1997-02-26 전기집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8751U KR19980058751U (ko) 1998-10-26
KR200156411Y1 true KR200156411Y1 (ko) 1999-09-01

Family

ID=19496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3203U KR200156411Y1 (ko) 1997-02-26 1997-02-26 전기집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641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8344B1 (ko) * 2019-02-27 2019-09-04 함수환 전기집진기용 집진판의 휨 방지를 위한 지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7944B1 (ko) * 2009-03-10 2010-01-21 한국기계연구원 탄소섬유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8344B1 (ko) * 2019-02-27 2019-09-04 함수환 전기집진기용 집진판의 휨 방지를 위한 지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8751U (ko) 1998-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22550A (en) Electrical dust collector
KR101525848B1 (ko) 전기집진장치
EP2468411B1 (en) Electric precipitator
US4559467A (en) Ion-generator for producing an air flow
CN102814234A (zh) 静电除尘器
KR100234085B1 (ko) 전기집진기
KR200156411Y1 (ko) 전기집진장치
CN114502285A (zh) 电除尘器
WO2021131519A1 (ja) 電気集塵機
US20220161273A1 (en) Electrostatic charger and electrostatic precipitator
EP4062993A1 (en) Air purification filter and air purifier including same
KR200179330Y1 (ko) 전기집진기의 포집부 전극필림
KR200156412Y1 (ko) 전기집진장치
KR200179856Y1 (ko) 전기집진기의 포집부 전극필림
KR200156415Y1 (ko) 전기집진장치
CN214347210U (zh) 静电过滤器
KR200179858Y1 (ko) 전기집진기의 포집부 전극필림
CN211914193U (zh) 用于从空气流中分离空气传播粒子的空气净化设备
CN211914182U (zh) 用于从空气流中分离空气传播粒子的空气净化设备
KR100201651B1 (ko) 공기정화기의 전기 집진 필터
KR20000004183U (ko) 전기집진기의 포집부 전극필림
JP3616283B2 (ja) 静電式集塵装置における電極支持方法および電極支持装置
KR970020199A (ko) 공기정화기의 전기집진필터
CN117505073A (zh) 电场单元及高效电场装置
JP4013103B2 (ja) コロナ放電発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