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4085B1 - 전기집진기 - Google Patents

전기집진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4085B1
KR100234085B1 KR1019970075544A KR19970075544A KR100234085B1 KR 100234085 B1 KR100234085 B1 KR 100234085B1 KR 1019970075544 A KR1019970075544 A KR 1019970075544A KR 19970075544 A KR19970075544 A KR 19970075544A KR 100234085 B1 KR100234085 B1 KR 1002340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ngsten wire
ground plate
electrostatic precipitator
plate
dust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5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5592A (ko
Inventor
정영욱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75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4085B1/ko
Priority to US09/217,576 priority patent/US6156104A/en
Priority to ES009802683A priority patent/ES2155366B1/es
Priority to JP10368130A priority patent/JP3112448B2/ja
Priority to CNB981240682A priority patent/CN1141183C/zh
Publication of KR19990055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55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4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40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 B03C3/04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 B03C3/1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characterised by separation of ionising and collect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66Applications of electricity supply techniques
    • B03C3/70Applications of electricity supply techniques insulating in electric separators

Landscapes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전압이 흐르는 텅스텐선과, 상기 텅스텐선과 교대로 배치되는 접지판을 포함하여 공기중의 부유물질을 이온화하는 이온화부를 갖는 전기집진기에 있어서, 상기 텅스텐선의 말단부와 상기 접지판의 말단부 사이의 전기적 절연을 위한 절연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텅스텐선과 접지판 사이의 방전을 방지함으로써, 전기적 신뢰성이 향상된 전기집진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전기집진기
본 발명은 전기집진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부유물질을 이온화하는 텅스텐선의 말단부와 접지판의 말단부 사이를 절연시킬 수 있는 전기집진기에 관한 것이다.
전기집진기는 통상적으로 공기청정기 또는 공조기기에 장착되어 실내공기속에 포함된 부유물질을 집진하여 실내공기를 청정하게 된다.
도 1은 전기집진기의 분해사시도이다. 전기집진기는, 전면프레임(2)과 후면프레임(3)으로 분할되는 사각판상의 프레임(1)내에, 흡입되는 공기의 부유물질을 이온화하는 이온화부(10)와, 이온화된 부유물질을 집진하는 집진부(20)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이온화부(10)와 집진부(20)는 고전압을 발생시키는 도시않은 고전압발생부와 연결되어 전압을 공급받는다.
여기서, 집진부(20)는, 후면프레임(3)내에 알루미늄판으로 형성된 한쌍의 집진판(25)이 설치되어 있으며, 집진판(25)은 알루미늄판을 부분적으로 절곡시켜 형성한 제1집진판과, 폴리에틸렌 등의 절연수지로 코팅된 알루미늄판으로 형성된 제2집진판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집진판과 제2집진판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고정부(24)를 중심으로 후면프레임(3)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측방향으로 감겨져 있어, 반경방향을 따라 제1집진판과 제2집진판이 교대로 배치되게 된다. 이러한 집진부(20)의 전면에는 집진판(25)으로부터의 전류가 골고루 분포하도록 알루미늄 망상체로 형성된 스크린(29)이 장착되게 된다.
한편, 이온화부(1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프레임(2)에 형성되며, 전면프레임(2)내에는 고전압발생부로부터 고전압을 공급받는 복수의 텅스텐선(15)이 전면프레임(2)의 판면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지그재그로 배치되어 있다. 전면프레임(2)의 일측에는 텅스텐선(15)의 길이방향의 가로로 길게 형성되어 텅스텐선(15)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브래킷(18)이 부착되어 있고, 텅스텐선(15)의 양 말단부에는 스프링(16)이 연결되어 전원브래킷(18)에 고정되게 된다.
이러한 각 텅스텐선(15)의 사이사이에는 텅스텐선(15)의 길이방향을 따라 긴 복수의 접지판(12)이 판면의 가로방향으로 기립배치되어 있다. 각 접지판(12)의 길이방향의 양측말단부에는 접지판(12)의 판면에 가로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연결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전기집진기에 전원을 공급하면, 이온화부(10)의 텅스텐선(15)에는 5kv의 고전압이 공급되고 접지판(12)에은 접지된다. 이에 따라, 텅스텐선(15)에서 접지판(12)을 향해 전계가 형성되며 플라즈마 분위기를 조성하여 이온화부(10)를 통과하는 부유물질들을 양이온화한다. 한편, 집진부(20)에서는 제1집진판은 접지되고, 제2집진판은 2.5kv의 고전압이 공급되며, 이에 따라, 제2집진판에서 제1집진판으로 전계가 형성되어 양이온화된 부유물질들은 집진부(20)를 통과하면서 제1집진판에 집진되게 된다.
이러한 전기집진기의 이온화부(10)의 텅스텐선(15)과 접지판(12)은 플라즈마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한 가장 최적의 거리를 유지하도록 배치되게 되며, 텅스텐선(15)과 접지판(12) 사이의 거리가 가까우면 방전이 되어 안정적으로 절연이 되지 아니하고, 텅스텐선(15)과 접지판(12) 사이의 거리가 멀면 전계가 제대로 형성되지 아니하게 된다.
그런데, 텅스텐선(15)의 양측 말단부와 접지판(12)의 양측 연결플랜지부의 간격이 전기집진기의 구조상 불가피하게 플라즈마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한 최적거리보다 가깝도록 형성되었다. 이에 따라, 텅스텐선(15)의 말단부와 연결플랜지부 사이에서 방전이 발생하여 절연이 파괴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텅스텐선(15)의 말단부와 연결플랜지부 사이를 절연시켜 안정적으로 전기집진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텅스텐선과 접지판 사이에서 방전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전기집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전기집진기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기 이온화부의 확대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단면도,
도 4는 종래의 전기집진기 이온화부의 확대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레임 10 : 이온화부
12 : 접지판 15 : 텅스텐선
20 : 집진부 25 : 집진판
29 : 스크린 30 : 절연부재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고전압이 흐르는 텅스텐선과, 상기 텅스텐선과 교대로 배치되는 접지판을 포함하여 공기중의 부유물질을 이온화하는 이온화부를 갖는 전기집진기에 있어서, 상기 텅스텐선의 말단부와 상기 접지판의 말단부 사이의 전기적 절연을 위한 절연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각 접지판의 양 말단부는 한 쌍의 연결플랜지부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절연부재는 상기 연결플랜지부와 상기 텅스텐선의 말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절연부재는 상기 접지판에 밀착되는 시이트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종래의 도면과 동일 요소에 관하여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였다.
전기집진기는, 도 1과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전면프레임(2)과 후면프레임(3)으로 분할되는 사각판상의 프레임(1)내에, 흡입되는 공기의 부유물질을 이온화하는 이온화부(10)와, 이온화된 부유물질을 집진하는 집진부(20)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이온화부(10)와 집진부(20)는 고전압을 발생시키는 도시않은 고전압발생부와 연결되어 전압을 공급받는다.
여기서, 집진부(20)는, 후면프레임(3)내에 알루미늄판으로 형성된 제1집진판과 폴리에틸렌 등의 수지로 코팅된 알루미늄판으로 형성된 제2집진판이 설치되어 있으며, 후면프레임(3)내의 중앙영역에는 각 집진판(25)을 기립고정하는 고정부(24)가 형성되어 있다. 제1집진판과 제2집진판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고정부(24)를 중심으로 후면프레임(3)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측방향으로 감겨져 있어, 반경방향을 따라 제1집진판과 제2집진판이 교대로 배치되게 된다. 그리고, 제1집진판의 말단부는 후면프레임(3)의 일측면의 외측으로 돌출한 도시않은 제1단자브래킷에 연결되어 접지되며, 제2집진판의 말단부는 제1단자브래킷에 대응되어 설치된 도시않은 제2단자브래킷에 연결되어 고전압발생부로부터 고전압을 공급받게 된다. 이러한 집진부(20)의 전면에는 집진판으로부터의 전류가 골고루 분포하도록 알루미늄 망상체로 형성된 스크린(29)이 장착되게 된다.
한편, 이온화부(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프레임(2)에 형성되며, 전면프레임(2)내에는 고전압발생부로부터 고전압을 공급받는 복수의 텅스텐선(15)이 전면프레임(2)의 판면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지그재그로 배치되어 있다. 각 텅스텐선(15)은 양 말단부가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중앙부분이 절곡되어 전면프레임(2)의 타측에 고정되며, 전면프레임(2)의 일측에는 텅스텐선(15)의 길이방향의 가로로 길게 형성된 전원브래킷(18)이 부착되어 텅스텐선(15)의 말단부가 고정된다. 여기서, 텅스텐선(15)의 양 말단부에는 스프링(16)이 연결되어 있고, 스프링(16)은 전원브래킷(18)에 고정되게 된다.
이러한 각 텅스텐선(15)의 사이사이에는 텅스텐선(15)의 길이방향을 따라 긴 복수의 접지판(12)이 판면의 가로방향으로 기립배치되어 있다. 각 접지판(12)의 길이방향의 양측말단부에는 접지판(12)의 판면의 가로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연결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플랜지부, 즉 접지판(12)의 양말단부와 텅스텐선(15)의 사이에는 절연을 위한 절연부재(30)가 개재되어 있다. 절연부재(30)는 폴리에틸렌 등의 수지로 형성되며, 연결플랜지부의 폭보다 소정 넓게 형성되어 연결플랜지부와 텅스텐선(15)의 양측 말단부를 상호 절연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전기집진기에 전원을 공급하면, 이온화부(10)의 텅스텐선(15)에는 5kv의 고전압이 공급되고 접지판(12)은 접지되어 텅스텐선(15)에서 접지판(12)을 향해 전계가 형성된다. 이 때, 구조상 근접하게 위치하는 텅스텐선(15)의 말단부와 접지판(12)의 말단부 사이에는 절연부재(30)가 개재되어 있으므로, 텅스텐선(15)에 고전압이 흐르더라도 접지판(12)과 상호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텅스텐선(15)의 말단부와 접지판(12)의 말단부 간을 절연시켜 방전을 방지함으로써, 전기집진기의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전기적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텅스텐선과 접지판 사이의 방전을 방지함으로써, 전기적 신뢰성이 향상된 전기집진기가 제공된다.

Claims (3)

  1. 고전압이 흐르는 텅스텐선과, 상기 텅스텐선과 교대로 배치되는 접지판을 포함하여 공기중의 부유물질을 이온화하는 이온화부를 갖는 전기집진기에 있어서,
    상기 텅스텐선의 말단부와 상기 접지판의 말단부 사이의 전기적 절연을 위한 절연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접지판의 양 말단부는 한 쌍의 연결플랜지부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절연부재는 상기 연결플랜지부와 상기 텅스텐선의 말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재는 상기 접지판에 밀착되는 시이트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기.
KR1019970075544A 1997-12-27 1997-12-27 전기집진기 KR1002340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5544A KR100234085B1 (ko) 1997-12-27 1997-12-27 전기집진기
US09/217,576 US6156104A (en) 1997-12-27 1998-12-21 Electrical dust collector having a member for insulating the space between a high voltage wire and a grounding member
ES009802683A ES2155366B1 (es) 1997-12-27 1998-12-23 Colector electrico de polvo que tiene un organo para aislar el espacio entre un hilo conductor de alto voltaje y un organo de puesta a tierra.
JP10368130A JP3112448B2 (ja) 1997-12-27 1998-12-24 高電圧線と接地部材との間を絶縁させる絶縁部材を備える電気集塵器
CNB981240682A CN1141183C (zh) 1997-12-27 1998-12-27 具有隔离高压线和接地件的元件的电集尘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5544A KR100234085B1 (ko) 1997-12-27 1997-12-27 전기집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5592A KR19990055592A (ko) 1999-07-15
KR100234085B1 true KR100234085B1 (ko) 1999-12-15

Family

ID=19529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5544A KR100234085B1 (ko) 1997-12-27 1997-12-27 전기집진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156104A (ko)
JP (1) JP3112448B2 (ko)
KR (1) KR100234085B1 (ko)
CN (1) CN1141183C (ko)
ES (1) ES21553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96588B2 (ja) * 1999-09-14 2004-02-1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清浄機およびそのイオン化ユニット
US6951580B1 (en) * 2004-04-13 2005-10-04 Nisource Corporate Services Company Method for minimizing bowing of collector plates in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and a collector plate-clip combination
FR2889463B1 (fr) * 2005-08-03 2008-04-04 Valeo Systemes Thermiques Dispositif d'ionisation de particules vehiculees dans un flux d'air, pour une installation de ventilation, de chauffage et/ou de climatisation notamment.
CH698694B1 (de) * 2006-01-25 2009-10-15 Lufttechnik & Metallbau Ag Vorrichtung zur Luftreinigung, insbesondere für Lüftungs- und Klimaanlagen.
US7438742B2 (en) * 2006-02-21 2008-10-21 Alstom Technology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wear in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US7276106B1 (en) * 2006-04-18 2007-10-02 Oreck Holdings Llc Electrode wire retaining member for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US7485174B2 (en) * 2006-09-19 2009-02-03 Wang Dong-Lei Electrostatic Dust Collector
US7531028B2 (en) * 2007-07-25 2009-05-12 Y2 Ultra-Filter, Inc. Air conditioning system with modular electrically stimulated air filter apparatus
US8273161B2 (en) * 2008-11-28 2012-09-25 Shaam P Sundhar Indoor air cleaner
KR200457086Y1 (ko) 2009-09-01 2011-12-06 금산전자 주식회사 전기 집진기용 케이스
US20110192284A1 (en) * 2010-02-09 2011-08-11 Ventiva, Inc. Spark resistant ion wind fan
PL2471602T3 (pl) * 2010-12-29 2014-05-30 General Electric Technology Gmbh Urządzenie ekranujące elektrycznie dla struktur w pobliżu wysokonapięciowych części odpylaczy elektrostatycznych
KR101577897B1 (ko) 2014-05-20 2015-12-17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연결부의 풀림 방지 장치
WO2021021370A1 (en) 2019-08-01 2021-02-04 Infinite Cooling Inc. Panels for use in collecting fluid from a gas stream
US11298706B2 (en) 2019-08-01 2022-04-12 Infinite Cooling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llecting fluid from a gas stream
JP2023514671A (ja) * 2020-02-27 2023-04-07 インフィニット クーリング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ガスの流れから種を収集するためのシステム、デバイス、及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95379A (en) * 1967-07-28 1970-02-17 Cottrell Res Inc Discharge electrode configuration
US4022594A (en) * 1975-05-02 1977-05-10 Baysek Edward L Electrostatic precipitator
US4071688A (en) * 1976-08-18 1978-01-31 Uop Inc. Method and article for protecting a precipitator discharge electrode
AU525784B2 (en) * 1978-03-02 1982-12-02 Pontius, D.H. Reducing back corona effects
US4349359A (en) * 1978-03-30 1982-09-14 Maxwell Laboratories, Inc. Electrostatic precipitator apparatus having an improved ion generating means
JPS54156277A (en) * 1978-05-31 1979-12-10 Mitsubishi Electric Corp Elecrtospark type gas treating system
US4167400A (en) * 1978-07-27 1979-09-11 Envirotech Corporation Electrode restraining assembly in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US4666474A (en) * 1986-08-11 1987-05-19 Amax Inc. Electrostatic precipitators
JPH074558B2 (ja) * 1991-04-17 1995-01-25 澤藤電機株式会社 電気集塵装置
KR940002616B1 (ko) * 1992-02-21 1994-03-26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기집진기
KR930017626A (ko) * 1992-02-28 1993-09-20 강진구 전기집진기
US5421863A (en) * 1992-09-11 1995-06-06 Trion, Inc. Self-cleaning insulator for use in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24639A (zh) 1999-08-04
JP3112448B2 (ja) 2000-11-27
CN1141183C (zh) 2004-03-10
ES2155366B1 (es) 2002-01-16
JPH11244733A (ja) 1999-09-14
KR19990055592A (ko) 1999-07-15
US6156104A (en) 2000-12-05
ES2155366A1 (es) 2001-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4085B1 (ko) 전기집진기
KR100259675B1 (ko) 2단 정전기 필터
KR102336514B1 (ko) 전기집진장치 및 집진유닛의 제조방법
US2650672A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US2502560A (en) Electrical gas cleaner unit
KR100251473B1 (ko) 전기집진기
KR100234086B1 (ko) 공기청정장치
KR200162317Y1 (ko) 전기집진기
JP2663740B2 (ja) 電気集塵機における極板の支持構造
KR100234069B1 (ko) 전기집진기
CN115151347A (zh) 静电集尘设备及其制造方法
KR19990055590A (ko) 전기집진기
KR200162325Y1 (ko) 전기집진기
KR200157948Y1 (ko) 공기청정장치
KR100234071B1 (ko) 전기집진기
KR200179330Y1 (ko) 전기집진기의 포집부 전극필림
KR100234073B1 (ko) 공기청정장치
KR100251472B1 (ko) 전기집진기 및 그 제어방법
JPH04187252A (ja) 電気集塵機
JPS62149359A (ja) 電気集塵装置
KR200179858Y1 (ko) 전기집진기의 포집부 전극필림
JP3648679B2 (ja) 電気集塵装置
JPH08229432A (ja) 空気清浄器
KR100234072B1 (ko) 전기집진용 이온화장치
JP2006130398A (ja) 静電気発生式帯電集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