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5210Y1 - 전기 집진기 - Google Patents

전기 집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5210Y1
KR200295210Y1 KR2020020021739U KR20020021739U KR200295210Y1 KR 200295210 Y1 KR200295210 Y1 KR 200295210Y1 KR 2020020021739 U KR2020020021739 U KR 2020020021739U KR 20020021739 U KR20020021739 U KR 20020021739U KR 200295210 Y1 KR200295210 Y1 KR 2002952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plate
plate
charged
high voltage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17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주덕
Original Assignee
윤주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주덕 filed Critical 윤주덕
Priority to KR20200200217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52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52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5210Y1/ko

Links

Landscapes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기 집진기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하전 전극들을 하나의 박판 내에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하전 전극판을 형성하고, 복수의 고압 전극들을 다른 하나의 박판 내에 일체로 형성하여 고압 전극판을 형성하고, 복수의 대향 접지 전극들을 또 다른 하나의 박판 내에 일체로 형성하여 접지 전극판을 형성한 후, 상기 하전 전극판과 고압 전극판과 접지 전극판을 절연체의 스페이서에 의해 연결하여 적층하되 접지 전극판의 접지 전극이 하전 전극판의 하전 전극과 고압 전극판의 고압 전극에 대하여 직각으로 대면하도록 구성된 전기 집진기를 구성함으로써, 각각의 구성 부품들이 모듈화되어 조립 공정이 단순화될 뿐만 아니라 구성 부품수도 감소되므로 금형비를 포함한 제조원가가 감소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 집진기{ELECTRIC DUST COLLECTOR}
본 고안은 전기 집진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성 부품들이 모듈화된 전기 집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집진기는 고압의 전기를 이용하여 흡입된 먼지 등의 미립자를 대전시킨 후 반대 전하를 띤 대향 접지 전극에 미립자가 흡착되도록 되어 있다.
종래의 전기 집진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중의 미립자에 전하를 부여하는 하전부(211)와 하전 입자를 포집하는 집진부(212)로 구성되어 있다. 하전부(211)는 플러스 또는 마이너스 전위를 인가하는 하전 전극(213)과, 이 하전전극(213)에 대향되는 대향 접지 전극(214)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집진부(212)는 플러스 또는 마이너스 전위를 인가하는 고압 전극(216)과, 이 고압 전극(216)에 대향되는 대향 접지 전극(215)으로 이루어져 있다.
예를 들어, 하전 전극(213)에 플러스 전위를 인가하고 고압 전극(216)에 플러스 전위를 인가하면, 하전부(211)를 통과하면서 플러스 전하로 대전된 미립자는 플러스 전위를 인가하는 고압 전극(216)에 의해 밀려 마이너스 전하를 띠는 대향 접지 전극(215)에 흡착된다.
하전부(211)에서는 복수의 대향 접지 전극(214)들이 절연체의 앵글(217)에 의해 배열되고 이러한 대향 접지 전극(214)들 사이에 와이어 형태의 복수의 하전 전극(213)들이 별도의 고정 수단에 의해 배열되어 있으며, 집진부(211)에서도 복수의 대향 접지 전극(215)들과 고압 전극(216)들이 앵글(217)에 의해 교대로 나란히 배열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전기 집진기는, 조립시 대향 접지 전극(214)들과 대향 접지 전극(215)들과 고압 전극(216)들을 일일이 하나씩 앵글(217)에 끼워야만 할 뿐만 아니라 하전 전극(213)들을 대향 접지 전극(214)들 사이에 위치하도록 별도의 고정 수단으로 고정하여야만 하므로 공정이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복수의 하전 전극들을 하나의 박판 내에 일체로 형성하여 하전 전극판을 형성하고, 복수의 고압 전극들을 다른 하나의 박판 내에 일체로 형성하고, 복수의 대향 접지 전극들을 또 다른 하나의 박판 내에 일체로 형성하여 접지 전극판을 형성한 후, 상기 하전 전극판과 고압 전극판과 접지 전극판을 절연체의 스페이서에 의해 연결하여 적층하되 접지 전극판의 접지 전극이 하전 전극판의 하전 전극과 고압 전극판의 고압 전극에 대하여 직각으로 대면하도록 구성된 전기 집진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기 집진기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 집진기의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기 집진기의 정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 집진기의 측면도, 및
도 5는 종래 기술의 전기 집진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전기 집진기는, 고압의 전기를 이용하여 코로나 방전으로 흡입된 미립자를 대전시킨 후 정전기력에 의해 상기 미립자의 전하와 반대 전하를 띤 대향 접지 전극에 상기 미립자가 흡착되어 집진되도록 구성된 전기 집진기에 있어서, 소정의 폭을 갖는 판체 형상의 복수의 하전 전극(11)들이 하나의 박판 내에 종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되되 박판의 횡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하전 전극판(10)과, 상기 하전 전극(11)의 폭보다 더 큰 폭을 갖는 복수의 고압 전극(21)들이 다른 하나의 박판 내에 종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되되 그 각각의 중심이 상기 하전 전극(11)들의 중심과 일치되도록 박판의 횡방향으로 이격된 고압 전극판(20)과, 소정의 폭을 갖는 복수의 대향 접지 전극(31)들이 또 다른 하나의 박판 내에 종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되되 박판에 대하여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압 전극(21)들 사이의 간격들 간의 거리 만큼 횡방향으로 이격된 접지 전극판(30)을 포함하며, 상기 하전 전극판(10)과 상기 고압 전극판(20)과 상기 접지 전극판(30)의 각각의 박판의 가장자리부를 절연체의 스페이서(41, 43)에 의해 연결하여 적층하되, 상기 하전 전극판(10)의 하전 전극(11)이 상기 고압 전극판(20)의 고압 전극(21) 상에 중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접지 전극판(30)의 대향 접지 전극(31)이, 상기 하전 전극판(10)의 하전 전극(11) 및 상기 고압 전극판(20)의 고압 전극(21)에 대하여 직각으로 대면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전기 집진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전기 집진기는, 복수의 하전 전극(11)들이 하나의 장방형 박판 내에 일체로 형성된 하전 전극판(10)과, 복수의 고압 전극(21)들이 다른 하나의 장방형 박판 내에 일체로 형성된 고압 전극판(20)과, 복수의 대향 접지 전극(31)들이 또 다른 하나의 장방형 박판 내에 일체로 형성된 접지 전극판(30)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전 전극판(10)의 복수의 하전 전극(11)들은, 소정의 폭을 가지는 판체 형상이며, 장방형 박판 내에 그 종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하전 전극(11)들은 장방형 박판의 횡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다.
고압 전극판(20)의 복수의 고압 전극(21)들은, 하전 전극(11)의 폭보다 더 큰 폭을 가지며, 다른 하나의 장방형 박판 내에 그 종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고압 전극(21)들은 그 각각의 중심이 하전 전극(11)들의 중심과 일치되도록 박판의 횡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다.
접지 전극판(30)의 대향 접지 전극(31)들은 소정의 폭을 가지며, 또 다른 하나의 박판 내에 종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대향 접지 전극(31)들은 박판에 대하여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고압 전극(21)들 사이의 간격들 간의 거리 만큼 횡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다.
이러한 하전 전극판(10)과 고압 전극판(20)과 접지 전극판(30)은 그 각각의 박판의 가장자리부가 절연체의 스페이서(41, 43)에 의해 연결되어 적층되어 있다.
하전 전극판(10)의 박판의 가장자리부의 소정 개소에는 복수의 제1 끼움공(1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접지 전극판(30)의 박판의 가장자리부의 소정 개소에는 복수의 제2 끼움공(3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고압 전극판(20)의 박판의 가장자리부에는 하전 전극판(10)의 제1 끼움공(13)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3 끼움공(23)이 형성되어 있으며, 고압 전극판(20)의 박판의 가장자리부에서 제3 끼움공(23)의 외측에는 하전 전극판(10)의 제1 끼움공(13)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4 끼움공(25)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끼움공(13)과 상기 제3 끼움공(23)에는 소정 길이의 제1 스페이서(41)의 양단부가 각각 끼워져 하전 전극판(10)과 고압 전극판(20)을 상하방향으로 이격시킨다. 따라서, 하전 전극판(10)의 하전 전극(11)은 고압 전극판(20)의 고압 전극(21) 상에 중첩되는데, 제1 스페이서(41)의 높이만큼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또한, 제2 끼움공(33)과 상기 제4 끼움공(25)에는 제1 스페이서(43)의 길이보다 긴 제2 스페이서(43)의 양단부가 각각 끼워져 고압 전극판(20)과 대향 접지 전극판(30)을 상하방향로 이격시킨다. 따라서, 대향 접지 전극판(30)의 대향 접지 전극(31)은 고압 전극(21)들 사이의 간격에 위치되거나 최외측 고압 전극(21)의 측면에 위치되어, 하전 전극판(10)의 하전 전극(11) 및 상기 고압 전극판(20)의 고압전극(21)에 대하여 직각으로 대면하게 된다.
전술한 본 고안의 전기 집진기에 의하면, 복수의 고압 전극 및 복수의 대향 접지 전극들을 각각 하나의 별도 박판 내에 일체화함으로써, 각각의 구성 부품들이 모듈화 되어 조립 공정이 단순화될 뿐만 아니라 구성 부품수도 감소되므로 금형비를 포함한 제조원가가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고압의 전기를 이용하여 코로나 방전으로 흡입된 미립자를 대전시킨 후 정전기력에 의해 상기 미립자의 전하와 반대 전하를 띤 대향 접지 전극에 상기 미립자가 흡착되어 집진되도록 구성된 전기 집진기에 있어서,
    소정의 폭을 갖는 판체 형상의 복수의 하전 전극(11)들이 하나의 박판 내에 종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되되 박판의 횡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하전 전극판(10)과,
    상기 하전 전극(11)의 폭보다 더 큰 폭을 갖는 복수의 고압 전극(21)들이 다른 하나의 박판 내에 종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되되 그 각각의 중심이 상기 하전 전극(11)들의 중심과 일치되도록 박판의 횡방향으로 이격된 고압 전극판(20)과,
    소정의 폭을 갖는 복수의 대향 접지 전극(31)들이 또 다른 하나의 박판 내에 종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되되 박판에 대하여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압 전극(21)들 사이의 간격들 간의 거리 만큼 횡방향으로 이격된 접지 전극판(30)을 포함하며,
    상기 하전 전극판(10)과 상기 고압 전극판(20)과 상기 접지 전극판(30)의 각각의 박판의 가장자리부를 절연체의 스페이서(41, 43)에 의해 연결하여 적층하되, 상기 하전 전극판(10)의 하전 전극(11)이 상기 고압 전극판(20)의 고압 전극(21) 상에 중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접지 전극판(30)의 대향 접지 전극(31)이, 상기 하전 전극판(10)의 하전 전극(11) 및 상기 고압 전극판(20)의 고압 전극(21)에 대하여 직각으로 대면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집진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전 전극판(10)의 박판의 가장자리부의 소정 개소에는 복수의 제1 끼움공(13)이 형성되며,
    상기 접지 전극판(30)의 박판의 가장자리부의 소정 개소에는 복수의 제2 끼움공(33)이 형성되며,
    상기 고압 전극판(20)의 박판의 가장자리부에는 상기 하전 전극판(10)의 제1 끼움공(13)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3 끼움공(23)이 형성되며,
    상기 고압 전극판(20)의 박판의 가장자리부에서 상기 제2 끼움공(23)의 외측에는 상기 하전 전극판(10)의 제1 끼움공(13)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4 끼움공(25)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끼움공(13)과 상기 제3 끼움공(23)에는 소정 길이의 제1 스페이서(41)의 양단부가 각각 끼워지고,
    상기 제2 끼움공(33)과 상기 제4 끼움공(25)에는 상기 제1 스페이서(41)의 길이보다 긴 제2 스페이서(43)의 양단부가 각각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집진기.
KR2020020021739U 2002-07-22 2002-07-22 전기 집진기 KR2002952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1739U KR200295210Y1 (ko) 2002-07-22 2002-07-22 전기 집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1739U KR200295210Y1 (ko) 2002-07-22 2002-07-22 전기 집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5210Y1 true KR200295210Y1 (ko) 2002-11-18

Family

ID=73077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1739U KR200295210Y1 (ko) 2002-07-22 2002-07-22 전기 집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5210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84953A (zh) * 2009-05-12 2010-11-17 三星电子株式会社 电除尘器
KR101512290B1 (ko) 2013-03-26 2015-04-15 강상훈 전기 집진기
KR20190119730A (ko) * 2018-04-13 2019-10-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집진장치
WO2020204546A1 (ko) * 2019-04-02 2020-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대전 장치 및 집진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84953A (zh) * 2009-05-12 2010-11-17 三星电子株式会社 电除尘器
US8512455B2 (en) 2009-05-12 2013-08-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ic precipitator
KR101512290B1 (ko) 2013-03-26 2015-04-15 강상훈 전기 집진기
KR20190119730A (ko) * 2018-04-13 2019-10-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집진장치
KR102046926B1 (ko) 2018-04-13 2019-1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집진장치
WO2020204546A1 (ko) * 2019-04-02 2020-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대전 장치 및 집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22550A (en) Electrical dust collector
US5302190A (en) Electrostatic air cleaner with negative polarity power and method of using same
KR20110088744A (ko) 전기집진장치 및 그 전극판
KR100722863B1 (ko) 전기 집진기의 콜렉터 셀 유니트
JPH05245411A (ja) 電気集塵機
KR200295210Y1 (ko) 전기 집진기
KR102014139B1 (ko) 전기 집진기
KR200295211Y1 (ko) 전기 집진기용 하전 전극
JP2017127818A (ja) 空気清浄機
JP4103263B2 (ja) 電気集塵エレメント
KR102572534B1 (ko) 전기집진기용 집진부
KR102583486B1 (ko) 전기집진장치
KR102190081B1 (ko) 전기집진장치용 집진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156415Y1 (ko) 전기집진장치
JP3257239B2 (ja) 電気集塵エレメントのスペーサ突起およびそれを有する電極板積層体
KR102340994B1 (ko) 와이어방전부를 갖는 양방향전기집진모듈
JPH07193Y2 (ja) コレクタ電極板
CN217473793U (zh) 集尘装置和净化设备
CN216173231U (zh) 电净化装置及空气净化设备
KR200292649Y1 (ko) 전기 집진기의 콜렉터 셀 플레이트 조립 구조
JP3627610B2 (ja) 電気集塵装置
JPS6344018B2 (ko)
KR20210054717A (ko) 전기집진기용 집진장치
CN118103144A (zh) 电气化单元和包括电气化单元的静电除尘器
KR200156412Y1 (ko) 전기집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